KR20230166673A -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 Google Patents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6673A
KR20230166673A KR1020220066941A KR20220066941A KR20230166673A KR 20230166673 A KR20230166673 A KR 20230166673A KR 1020220066941 A KR1020220066941 A KR 1020220066941A KR 20220066941 A KR20220066941 A KR 20220066941A KR 20230166673 A KR20230166673 A KR 20230166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laying
eggs
mat
chick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성
Original Assignee
이범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성 filed Critical 이범성
Priority to KR1020220066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6673A/ko
Publication of KR20230166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667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4Nest-boxes, e.g. for singing birds or the like
    • A01K31/16Laying nests for poultry; Egg collecting
    • A01K31/17Laying batteri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heat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전,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속 설치되는 지주프레임(10) 및 이들을 상,하에서 연결하는 가로프레임(20) 및 측면프레임(30); 측면판(101)의 중앙에서 구획칸을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주는 분리판(102); 출입구(113)가 있도록 절결된 빛차단막(112)이 상기 분리판(102)과 일정 거리 이격된 전,후방에 설치되어 전,후방에 대향으로 구비되는 산란실(110a)(110b); 닭들이 전,후방의 산란실로 들어가기 전에 휴식을 취하도록 산란실 전방에 구비되는 대기실(130a)(130b); 양쪽 산란실(110a)(110b)에서 닭이 낳은 알이 굴러 내려오면 이를 받아주도록 산란실(110a)과 산란실(110b) 사이에 순환식으로 설치되는 알받이벨트(160); 산란실(110a)(110b)에서 낳은 알이 충격받지 않고 알받이벨트(160)로 굴러내리도록 대향된 산란실(110a)(110b)에 경사져 설치되는 잔디매트(120);로 구성되어 닭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알을 낳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Animal welfare disturbance system}
본 발명은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닭을 땅에 풀어놓고 방목해서 키울 때 산란기의 닭들에게 알 낳기 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기실 및 알을 안정적으로 안전하게 낳을 수 있는 산란실을 제공하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닭을 일정 크기의 방목장(땅)에서 방목하여 키우는 경우는 대부분 유정란을 낳도록 하기 위해서 암,수의 닭들을 함께 방목 사육하는 경우가 많다. 즉, 수닭과 암닭을 방목장에서 방목해서 키우면 수닭과 암닭의 자연스러운 짝짓기를 통해서 알을 낳게 되며, 이러한 알은 부화가 될 수 있는 유정란이다.
하지만 식용으로 키우는 토종닭의 경우에는 유정란을 얻는 외에도 육질을 더 좋게 하기 위해서 주로 방목 사육하고 있다.
이러한 방목장은 산란 시기의 닭들이 알을 안전하게 낳도록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방목장의 한 쪽 귀퉁이에 볏집 등을 이용한 둥지를 구비해서 암닭이 산란 시기에 그 둥지 위에서 알을 낳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 볏집을 이용한 둥지는 주변이 너무 밝고 주변의 소음이 그대로 들리게 된다. 이에 산란 시기의 닭은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알을 낳게되므로 산란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이를 반복할 경우 산란 기간이 점차 짧아지고, 닭의 수명이 단축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의 볏집 둥지에서 낳은 알은 빨리 수거하지 않을 경우 드나드는 다른 닭이 쉽게 건드려 파손되는 경우가 많고, 닭의 배설물인 계분이 잘 묻게 되어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인력 소모가 많다고 할 수 있다.
아래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661호 "양계용 유정란 낳는 케이지"는 본 출원인이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함체의 전면부에 다수개로 절결된 빛가리개를 설치하여 함체 내부를 어둡게 해 줌으로서 산란기의 닭이 함체 내부로 들어가면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알을 낳도록 산란율을 높여주었으며, 함체의 내부에는 선단에 알받이부가 구비된 알받이판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그 하단에 계분받이판을 설치하여 산란된 알의 안전한 수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41661호 "양계용 유정란 낳는 케이지"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은 산란 장소인 산란실의 위치가 지면에서 상당한 높이에 구비됨으로서 산란기의 닭들이 산란실 입구에 구비된 횃대로 힘들게 날아 올라가야만 산란실로 들어갈 수 있는 번거로움이 있어서 산란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산란실 입구가 함체의 전면부에만 구비된 것이므로 드넓은 방목장의 중앙에 설치되었을 때 함체의 뒷쪽에 있던 산란기의 닭들은 함체의 입구를 일일이 찾아가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넓은 방목장에 설치되었을 때 전,후방의 어느 곳에서나 산란기의 닭들이 산란실로 들어가기 전에 물과 모이를 먹으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기실을 먼저 거친 다음 산란실로 쉽게 들어가 알을 낳을 수 있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란기의 닭들이 산란실 입구까지 힘들게 날아 올라가지 않고 걸어서 올라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속 설치되는 지주프레임; 상기 지주프레임들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해 주는 가로프레임 및 측면프레임; 상기 전,후방의 지주프레임 마다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다수의 구획칸을 형성하는 측면판; 측면판의 중앙에 설치되어 구획칸을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주는 분리판; 상기 분리판의 전,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된 막지지대에 출입구가 있도록 절결된 빛차단막이 설치되어 전,후방에 대향으로 구비되는 산란실;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방의 산란실 천정에 설치되는 천정판; 닭들이 전,후방의 산란실로 들어가기 전에 먹이와 물을 먹으면서 휴식을 취하도록 급이기와 급수구가 구비된 대기실; 상기 산란실과 산란실 사이에 순환식으로 설치되는 알받이벨트; 산란실에서 낳은 알이 충격받지 않고 알받이벨트로 굴러내리도록 양쪽 산란실의 바닥에 대향으로 경사져 설치되는 잔디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리판은 알받이벨트 위에 놓인 알을 가려주는 알보호판을 하단에 설치하여 알받이벨트 위의 알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을 2~3층으로 형성할 경우 높은 층에 위치한 대기실과 산란실은 닭들이 사다리를 통해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많은 닭들을 드넓은 방목장에 방목하여 사육할 때 방목장에 설치된 난상시스템의 전방과 후방의 어느 곳에서나 산란기의 닭들이 산란실로 들어가기 전에 물과 모이를 먹으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대기실을 먼저 거친 다음 어두운 산란실로 들어가 안정된 상태로 알을 낳는 것이므로 산란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산란실을 출입하는 닭들로부터 낳은 알을 최대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난상시스템을 2~3층으로 형성할 경우 높은 2층이나 3층의 경우는 산란기의 닭들이 대기실 입구까지 힘들게 날아 올라가지 않고 대기실과 연결된 사다리를 통해 올라갈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산란율 향상의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이 2층에만 실시된 난상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2층으로 실시된 난상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서 잔디매트와 망판 및 받침간의 조립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물 복지용 난상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2층에만 실시된 난상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2층으로 실시된 난상시스템의 내부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서 잔디매트와 망판 및 받침간의 조립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주프레임(10), 가로프레임(20) 및 측면프레임(30), 측면판(101), 분리판(102), 산란실(110a)(110b), 천정판(150), 대기실(130a)(130b), 알받이벨트(160), 잔디매트(120)로 이루어진 동물 복지용 난상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주프레임(10)은 전방과 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며, 횡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반복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로프레임(20) 및 측면프레임(30)은 상기 지주프레임(10)들에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상,하에 설치되어 지주프레임(10)들을 연결해 준다.
상기 측면판(101)은 횡 방향으로 반복 설치된 전,후방의 지주프레임(10) 마다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어 다수의 구획칸이 일렬 횡대로 구비되도록 하여 준다.
상기 분리판(102)은 일정 간격으로 연속 이격되는 측면판(101)과 측면판(101)의 중앙에 설치되어 측면판(101)들에 의해 연속 형성되는 구획칸을 전방과 후방으로 격리시켜 준다.
상기 산란실(110a)(110b)은 분리판(102)의 전,후방에 일정 거리를 두고 구비된 막지지대(111)에 출입구(113)가 사이 사이에 있도록 다수 개로 절결되어 늘어진 빛차단막(112)에 의해 분리판(102)을 중심으로 전,후방에 대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천정판(150)은 전,후방의 산란실(110a)(110b) 천정에 설치되어 천정을 통해 산란실(110a)(110b)로 들어오는 빛을 차단해 준다.
상기 대기실(130a)(130b)은 양쪽 측면판(101)과 분리판(102)에 의해 대향으로 구획된 부위 중 상기 산란실(110a)(110b)의 전면에 상면과 전방이 개방된 상태로 구비되며, 닭들이 전,후방의 산란실(110a)(110b)로 들어가기 전에 먹이와 물을 먹으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급이기(131)와 급수기(132) 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실(130a)(130b)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이고, 양 측면을 가려주는 측면판(101)의 전방 부위에 다수의 통기홀(104)이 형성되어 있어서 대기실(130a)(130b)의 공기 흐름을 좋게 유지해 준다.
상기 알받이벨트(160)는 양쪽 산란실(110a)(110b)에서 닭이 낳은 알이 굴러 내려오면 이를 받아주도록 산란실(110a)과 산란실(110b) 사이 하단에 구비되는 벨트설치부(172)에 전동 순환식으로 설치되어 양쪽 산란실(110a)(110b)에서 알이 굴려 내려오면 이를 받아서 외부로 빼내 준다.
상기 잔디매트(120)는 전,후방의 산란실(110a)(110b)에서 낳은 알이 충격받지 않고 벨트설치부(172)의 알받이벨트(160) 위로 굴러내리도록 양쪽 산란실(110a)(110b)의 바닥에 경사져서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넓은 방목장에 설치되어 사용될 때 산란기가 있는 닭들이 전,후방 어느 곳에서나 대기실(130a)(130b) 및 산란실(110a)(110b)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산란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산란기가 있는 닭이 어두운 산란실(110a)(110b)로 바로 들어가서 알을 낳을 때까지 있는 것이 아니라 급이기(131)와 급수기(132)가 구비된 대기실(130a)(130b)로 먼저 들어가게 되므로 그 곳에서 먹이와 물을 먹으면서 알을 낳기 전까지 적당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그 후 알을 낳을 시간이 되면 여러 가닥으로 갈라진 빛차단막(112)의 출입구(113)를 통해 어두운 산란실(110a)(110b)로 들어가 알을 낳게 되므로 산란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며, 이때 바닥에는 푹신한 잔디매트(120)가 경사형으로 깔려 있으므로 닭이 낳은 알은 충격을 별로 받지 않고 굴러 내려가서 알받이벨트(160) 위에 언히게 되며, 알받이벨트(160)는 순환 회전되는 것이므로 알을 손쉽게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판(102)의 하단에는 잔디매트(120) 와의 사이에 알이 알받이벨트(160)로 굴러 들어갈 수 있도록 간격을 유지하는 알보호판(103)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알받이벨트(160) 위에 놓인 알들은 윗면을 가려주는 알보호판(103)에 의해 산란실(110a)(110b)을 출입하는 다른 닭들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된 양쪽 대기실(130a)(130b)과 산란실(110a)(110b)의 하부에는 중앙의 오목한 벨트설치부(172)를 사이에 두고 매트설치부(173)와 망판설치부(174)가 서로 대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된 받침간(17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간(170)의 매트설치부(173)는 산란실(110a)(110b)의 경사진 바닥으로 설치되는 잔디매트(120)를 올려놓아서 잔디매트(120)를 받쳐주며, 받침간(170)의 망판설치부(174)는 대기실(130a)(130b)의 바닥으로 설치되는 철선을 엮은 망판(140)을 받쳐준다.
이때 상기 받침간(170)의 매트설치부(173)와 망판설치부(174)의 상면에는 횡방향으로 다수의 받침봉(171) 들이 소정 간격을 두고 연속 설치되어 있으므로 잔디매트(120)와 망판(140)을 보다 안전하게 받쳐줄 수 있다.
그리고 대기실(130a)(130b)에서 모이와 물을 먹으면서 휴식을 취하는 닭들의 배설물은 대기실(130a)(130b)의 바닥으로 설치된 망판(140)을 통해 아래에 설치된 계분벨트(105)로 떨어지게 되므로 배설물로 인한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산란실(110a)(110b)과 대기실(130a)(130b)의 바닥으로 구비되는 잔디매트(120)와 망판(140)은 모두 탈,착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어느 한 곳이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부위만을 손쉽게 보수 작업할 수 있어 유지 보수비용이 저렴하다.
그리고 상기 매트설치부(173)는 망판설치부(174) 보다 낮게 단턱지도록 형성하고, 대기실(130a)(130b) 바닥으로 설치되는 망판(140)은 잔디매트(120)의 일단을 눌러 잡아주는 매트누름부(141)를 일측에 하향으로 다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단턱진 매트설치부(173)에 경사져서 놓인 잔디매트(120)의 일단을 상기 망판(140)에 구비된 다수의 매트누름부(141)가 강하게 눌러주고 있으므로 대기실(130a)(130b)과 산란실(110a)(110b)을 출입하는 닭들로 인한 진동이 잔디매트(120)에 가해지더라도 경사진 매트설치부(173)에서 잔디매트(120)의 흘러 내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므로 잔디매트(120)는 비스듬히 놓인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잔디매트(120)는 조립식으로 설치되므로 심하게 오염되었을 때 망판(140)의 매트누름부(141) 부위를 살짝 들어올리면 잔디매트(120)를 쉽게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잔디매트(120)를 새 것으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난상시스템을 구성할 때 상기 전,후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대기실(130a)(130b)과 산란실(110a)(110b)을 2층의 복층 또는 3층의 복층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2층 또는 3층으로 높게 설치할 때 상기 전,후방의 대기실(130a)(130b) 앞쪽에는 사다리(200)를 비스듬히 경사형으로 놓이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다리받침(180)을 대기실(130a)(130b)의 앞쪽에 별도로 설치해도 무방하지만 급이기(131)를 받쳐주는 지지대(190)의 일측에 사다리받침(180)을 연장시켜서 구비하면 조립 공정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사다리받침(180)에 탈착되는 사다리(200)는 닭들이 쉽게 잡고 올라 갈 수 있도록 철선을 엮어서 된 망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사다리(200)를 설치하면 산란기가 있는 닭들은 높은 층의 대기실(130a)(130b)로 힘들게 날아 올라가지 않고 사다리(200)를 통해 쉽게 대기실(130a)(130b)로 올라갈 수 있으므로 산란율을 더 높일 수 있으며, 상기 사다리받침(180)이나 급이기(131)에는 일측에 횟대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지주프레임 20 : 가로프레임
30 : 측면프레임 101 : 측면판
102 : 분리판 103 : 알보호판
104 : 통기홀 110a,110b: 산란실
111 : 막지지대 112 : 빛차단막
120 : 잔디매트 130a,130b: 대기실
131 : 급이기 132 : 급수기
140 : 망판 141 : 매트누름부
150 : 천정판 160 : 알받이벨트
170 : 받침간 171 : 받침봉
172 : 벨트설치부 173 : 매트설치부
174 : 망판설치부 180 : 사다리받침
190 : 지지대 200 : 사다리

Claims (5)

  1. 전,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속 설치되는 지주프레임(10);
    상기 지주프레임(10)의 상,하에 설치되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연결하는 가로프레임(20) 및 측면프레임(30);
    상기 전,후방의 지주프레임(10) 마다 설치되어 횡방향으로 다수의 구획칸을 형성하는 측면판(101);
    측면판(101)의 중앙에서 구획칸을 전방과 후방으로 나누어주는 분리판(102);
    출입구(113)가 있도록 절결된 빛차단막(112)이 상기 분리판(102)과 일정 거리 이격된 전,후방에 설치되어 전,후방에 대향으로 구비되는 산란실(110a)(110b);
    닭들이 산란실(110a)(110b)로 들어가기 전에 휴식을 취하도록 각 산란실의 전방에 구비되는 대기실(130a)(130b);
    산란실(110a)과 산란실(110b) 사이에 순환식으로 설치되어 양쪽 산란실에서 굴러오는 알을 받아주는 알받이벨트(160);
    산란실에서 낳은 알이 충격받지 않고 알받이벨트(160)로 굴러가도록 산란실(110a)(110b) 바닥으로 경사져 설치되는 잔디매트(120);
    로 구성되어 닭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알을 낳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분리판(102)의 하단에는 알받이벨트(160)가 설치되는 벨트설치부(172)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알을 가려주는 알보호판(103)을 설치하여
    알받이벨트(160)에 놓인 알들이 안전하게 보호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된 양쪽 대기실(130a)(130b)과 산란실(110a)(110b)의 하부에는 중앙의 오목한 벨트설치부(172)를 사이에 두고 매트설치부(173)와 망판설치부(174)가 서로 대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된 받침간(170)을 설치하되,
    받침간(170)의 매트설치부(173)는 산란실(110a)(110b)의 경사진 바닥으로 설치되는 잔디매트(120)를 받쳐주도록 하고,
    받침간(170)의 망판설치부(174)는 대기실(130a)(130b)의 바닥으로 설치되는 망판(140)을 받쳐주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매트설치부(173)는 망판설치부(174) 보다 낮게 단턱지도록 형성하고,
    대기실(130a)(130b) 바닥으로 설치되는 망판(140)은 잔디매트(120)의 일단을 눌러 잡아주는 매트누름부(141)를 일측에 하향으로 구비하여
    단턱진 매트설치부(173)에 경사져서 놓인 잔디매트(120)의 흘러내림이 방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5. 제 2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에 구비되는 다수의 대기실(130a)(130b)과 산란실(110a)(110b)은 2~3층의 복층을 이루도록 설치하고,
    대기실(130a)(130b)은 전방에 구비한 사다리받침(180)에 사다리(200)를 비스듬히 경사형으로 설치하여
    닭들이 사다리(200)를 통해 높은 층의 대기실(130a)(130b)에 쉽게 올라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KR1020220066941A 2022-05-31 2022-05-31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KR202301666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41A KR20230166673A (ko) 2022-05-31 2022-05-31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6941A KR20230166673A (ko) 2022-05-31 2022-05-31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6673A true KR20230166673A (ko) 2023-12-07

Family

ID=8916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6941A KR20230166673A (ko) 2022-05-31 2022-05-31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66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61B1 (ko) 2007-03-20 2008-06-26 이범성 양계용 유정란 낳는 케이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61B1 (ko) 2007-03-20 2008-06-26 이범성 양계용 유정란 낳는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ppleby et al. Development of furnished cages for laying hens
Wechsler et al. The effect of foraging material and perch height on feather pecking and feather damage in laying hens
Wall et al. Egg quality in furnished cages for laying hens—Effects of crack reduction measures and hybrid
Malchow et al. Perches or grids? What do rearing chickens differing in growth performance prefer for roosting?
WO1989003637A1 (en) Nest for egg-laying poultry
US20190350173A1 (en) Eggoist multi-level system of floor equipment for commercial poultry maintenance
EFSA Panel on Animal Health and Animal Welfare (AHAW) et al. Welfare of laying hens on farm
EP0904690B1 (en) Poultry house furnishing and method for holding poultry
KR101699535B1 (ko) 새끼오리 및 병아리 사육용 직립식 케이지
KR101624585B1 (ko) 동물복지식 복층형 산란계 사육시설
Guemene et al. Production systems for waterfowl.
Thiele et al. Management recommendations for laying hens in deep litter, perchery and free range systems
KR101730048B1 (ko) 양계장의 종계용 직립케이지 구조
Karcher Basic housing and management
Elson Recent developments in laying cages designed to improve bird welfare
KR20230166673A (ko) 동물 복지 난상시스템
US6289848B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tributing fowl within an enclosure
Elson The laying hen: systems of egg production.
JP2875212B2 (ja) 移動式鶏舎及び鶏の飼育法
ES2965290T3 (es) Dispositivo para la estancia de polluelos
CN210247957U (zh) 促进鸳鸯繁殖的装置
Elson et al. Furnished cages for laying hens.
KR102539297B1 (ko) 위생적인 산란이 가능한 난상장치
CN214593571U (zh) 一种用于土鸡散养的养殖鸡舍
Rosset et al. Keeping and breeding the North-atlantic puffin (Fratercula arctica linnaeus, 1758) in the animal park Ber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