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016A -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016A
KR20230165016A KR1020220064875A KR20220064875A KR20230165016A KR 20230165016 A KR20230165016 A KR 20230165016A KR 1020220064875 A KR1020220064875 A KR 1020220064875A KR 20220064875 A KR20220064875 A KR 20220064875A KR 20230165016 A KR20230165016 A KR 20230165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sponse
terminal
driv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윤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4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016A/ko
Priority to US18/081,066 priority patent/US20230386262A1/en
Priority to CN202211614260.9A priority patent/CN117133066A/zh
Publication of KR20230165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01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10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using counting means or digital c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4Energy storage means
    • B60W2510/242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 B60W2510/244Charge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은,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서버와 통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 방법{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한 배터리 방전 방지 알람을 수행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 IT 기술의 발달로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를 구비한 차량이 증가하고 있다.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가 결합된 용어로서, IT 산업과 자동차 산업의 결합을 통한 차량용 차세대 정보 제공 서비스로 정의된다.
차량용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이동 통신 기술과 위치 추적 기술(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차량에 접목하여, 차량 사고나 도난 감지, 주행 경로 안내, 교통 및 생활 정보, 원격 차량 진단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게임 등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고, SMS(Short Message Service) 번호를 통해 SMS통신을 수행하고, VoIP(Voice Over IP) 전화를 수행함으로써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차량의 문제 상황을 운전자의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텔레매틱스 단말기 또는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운전자가 다른 일을 하고 있거나, 경고 메시지를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알림을 새로이 제공하는 등 환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도 운전자의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환기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서버와 통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예상 시간을 식별하되, 상기 방전 예상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로 전화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경고 메시지는, 미등 온(On) 상태, 비상등 온(On) 상태 및 시동 온(On)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경고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위치 공유 횟수 및 상기 차량의 스마트 키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의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 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운전자 성향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운전자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차량에 마련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도 운전자의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환기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인터넷 통신에 대하여 지원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 및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개시된 실시예들은 개시된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개시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개시된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개시된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지문 인증 진단 시스템 및 지문 데이터 초기화 방법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개시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이 인터넷 통신에 대하여 지원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전용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차량(1)의 AVN 장치에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2)을 통해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2)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접속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CDMA는 UTRA(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나 CDMA2000과 같은 무선 기술(radio technology)로 구현될 수 있다. TDMA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와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OFDMA는 IEEE 802.11 (Wi-Fi), IEEE 802.16 (WiMAX), IEEE 802-20, E-UTRA(Evolved UTRA) 등과 같은 무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UTRA는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의 일부이다.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표준의 3G 통신은 CDMA2000에 해당하며 1.5MHz 대역폭 캐리어를 사용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의 3G 통신은 W-CDMA 또는 UMTS에 해당하며 5MHz 대역폭 캐리어를 사용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의 LTE(long term evolution)는 E-UTRA를 사용하는 E-UMTS(Evolved UMTS)의 일부로서 하향 링크에서 OFDMA를 채용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를 채용한다. LTE-A(Advanced)는 3GPP LTE의 진화된 버전이며, 이를 위에 설명한 3G 통신과 구별하기 위해 4G 통신이라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의 4G 통신은 700MHz 내지 2.6GHz 대역폭 캐리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동 통신사의 기지국(2)은 복수의 통신규격이 적용된 복수의 무선 통신망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은 제1 통신규격(예: 3GPP2의 3G 통신)이 적용된 통신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2 통신규격(예: 3GPP의 4G 통신)이 적용된 통신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통신사의 정책에 따라, 기지국(2)은 제1 통신규격 또는 제2 통신규격 중 더 진보한,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른 통신규격만을 채용하고, 나머지 통신규격을 채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2)은 제1 통신규격(예: 3GPP2의 3G 통신)이 적용된 통신망의 제공을 중단하고, 제2 통신규격(예: 3GPP의 4G 통신)이 적용된 통신망만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3)는 차량(1)에게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텔레매틱스 서버(3)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버(3)는 콜센터 서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콜센터 서버는 운전자 단말(4)로 전화할 수 있다.
서버(3)는 차량(1)의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1) 사고나 도난 감지, 주행 경로 안내, 교통 및 생활 정보, 원격 차량(1) 진단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게임 등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인터넷 통신 및/또는 SMS통신을 통해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기지국(2)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3)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기지국(2)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버(3)와 SMS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은 운전자 단말,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4)의 개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은 차량(1)의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통해, 차량(1)의 사고나 도난 감지, 주행 경로 안내, 교통 및 생활 정보, 원격 차량 진단 서비스, 금융 서비스, 게임 등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기지국(2)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과 인터넷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기지국(2)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4)과 SMS 통신 및 전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화는 예를 들어, POTS, ISDN, VoIP,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전화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4)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노트북, 웨어러블 디바이스,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입출력 가능한 유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단말(4)은 예를 들어, 차량 원격 제어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1)은, 텔레매틱스 단말기(100), 제어부(110) 및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서버(3)와 통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10)는, 통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메모리(112), 메모리(11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예: 통신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은, 2G 또는 3G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LTE와 같은 4G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 통신망에 접속된 서버(3)와 통신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각종 데이터를 서버(3)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3)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마련된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에 필요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 표준의 3G 통신규격이 적용된 모듈 및/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의 3G 통신이 적용된 모듈 및/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의 4G 통신이 적용된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은, 사용하는 통신망에 필요한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통신 모듈은 현재 표준 통신규격에 따라 3G, 4G 네트워크를 제공할 뿐만이니라, 현재 국제 표준 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예를 들면, 5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함-에 요구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차량(1)에 장착된 통합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으며, 통합 안테나를 통해 이동 통신망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는 프로세서(111)에 전송되거나, 통합 안테나를 통해 접속된 이동 통신망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또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 모듈은 메모리(112)에 저장된 서버(3)의 SMS번호에 기초하여 SMS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통신 모듈은 변조/복조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과 데이터에 따라 통신 신호의 변조/복조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은 고유 식별자(ID) 정보를 확인하는 절차나 차량(1)에 관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과 LF(Low Frequency) 신호, RF(Radio Frequency) 신호, 초광대역 신호(Ultra-wideband)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주기적으로 송출하는 서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칭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이 차량(1)으로부터 통신이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지 판단하기 위해 차량(1)의 주변(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서 차량(1)에 의해 전송되는 통신 신호를 의미한다.
통신 모듈은 통신 모듈에 포함되는 UWB통신부, BLE통신부 및 NFC통신부, LF통신부, RF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해당 통신망과 원격 제어 장치를 연결하는 통신 포트(communication port) 및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통신 신호를 제어 신호로 복조하는 통신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차량(1)의 서칭 신호에 응답하는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의 서칭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칭 응답 신호는 원격 제어 장치가 차량(1)으로부터 서칭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차량(1)이 확인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 장치가 차량(1)에 전송하는 통신 신호를 의미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신호는 통신 모듈에 포함된 UWB통신부, BLE통신부, NFC통신부, RF통신부, LF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을 서칭하는 서칭 신호 및 서칭 응답 신호의 포맷을 달리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서칭 신호 및 서칭 응답 신호는 예를 들어, 서로 상이한 포맷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안테나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테나(미도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리시버를 의미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은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과의 통신 신호를 차량(1)의 제어부(110) 및/또는 ECU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차량(1)은, 통신 모듈로부터 서칭 신호 및 서칭 응답 신호를 포함한 통신 데이터를 기초로, 원격 제어 장치 및/또는 사용자 단말(4)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에 포함된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통신부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서칭 신호 및 서칭 응답 신호를 기초로,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초광대역(UWB) 통신은 소비 전력이 적고 고속 통신이 가능하며 위치 검출의 정확도가 높으나 거리가 길어지면 속도가 한정적일 수 있으므로, 차량(1)과 원격 제어 장치간의 통신 거리가 적은 경우 UWB통신부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하되, 통신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BLE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하여 ToF(Time of Flight)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OA(Angle of Arrival)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방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차량(1)은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또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를 포함하는 제어부(110) 및 상기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12)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2)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운영 체제 또는 정보의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2)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예: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메모리(112)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동작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1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c),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는 메모리(11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 내에 내장된 각종 모듈, 기기 및/또는 차량(1)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술한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와 페어링된 사용자 단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음악이나 영상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의 조작 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1)에 설치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각종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11)는 서버(3)로부터 업데이트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승인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서버(3)에게 업데이트 데이터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도록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서버(3)로부터 업데이트 데이터를 수신한 것에 기초하여 메모리(11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1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최신 버전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OTA(Over The Air) 방식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차량(1)에 마련된 USB 포트를 통해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USB를 삽입함으로써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센서(120)는 차량(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1)의 현재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태 정보는, 차량(1)의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센서(120)는 차량(1) 의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터리 관리 장치는, 전류 센서, 전압 센서, 온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류 센서는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센서는 배터리의 출력단의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는 배터리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 정보, 배터리의 출력단의 전압 정보 및 배터리의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20)는 획득한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전류 정보, 전압 정보 및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를 식별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초로 시간당 배터리 소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소모 속도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메모리(112)에 미리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배터리의 전류 정보, 전압 정보 및 온도 정보에 대응하는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 및 상기 배터리의 소모 속도를 기초로, 상기 배터리의 방전 예상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등이 온(On)된 상태 및 경고등이 온(On)된 상태인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미등 및 경고등의 배터리 소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적은 것에 응답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큰 ECU 또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오프(Off)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센서(120)가 획득하는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1)의 도어 오픈 여부, 차량(1)의 사이드 미러 접힘 상태 여부, 미등 온(On) 상태 여부, 비상등 온(On) 상태 여부, 시동 온(On) 상태 여부, 트렁크 오픈 상태 여부, 윈도우(Window) 오픈(Open) 여부, 차량(1) 내부 식별 인원 여부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서(120)는, 차량(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위치 감지 센서, 연료 센서, 내부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센서(120)는 상술한 상태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종래에 공지된 센서 및/또는 향후 개발될 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센서(12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량(1)의 하차 상태는 차량(1)의 내부에 식별되는 사람이 존재하지 아니하고, 시동이 오프(Off)된 상태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차량(1)의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포함된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4)과 통신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4)의 위치가 차량(1) 외부이고, 상기 차량(1)과 미리 정해진 거리 이상 떨어진 것에 응답하여,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센서(120)로부터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차량(1)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센서(120)에 차량(1)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상태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배터리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10)는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의 미등 온(On) 상태, 경고등 온(On) 상태 등과 같은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는 ECU나 전자 장치의 종류를 포함하는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통신 모듈이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차량(1)의 미등이 온(On) 상태인 경우, 상기 차량(1)의 미등이 온(On) 상태임을 경고하는 메시지를 운전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경고 메시지는 예를 들어, 제어부(110)가 센서(120)로부터 획득한 베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식별한 배터리 방전 예상 시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운전자 단말로 송신한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단말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미리 입력된 단말기의 연락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설정된 단말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가족에 대한 연락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은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가 발생한 원인을 제거하고자 하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후 알림을 수신하지 않겠다는 제어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0)는 식별된 방전 예상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방전 예상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운전자 단말로 전화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화는 음성 전화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이 1시간인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식별된 방전 예상 시간이 3시간 후인 것에 응답하여, 3시간보다 1시간 전인 2시간 후까지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아,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운전자 단말로 전화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것은 예를 들어, 배터리 소모 속도 및/또는 배터리의 방전 예상 시간 등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차량(1)이 불필요한 배터리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3)로 차량(1)의 이력 정보를 요청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력 정보는, 차량(1)에 관한 이력(History)을 포함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1)의 위치 공유 및/또는 스마트 키(또는 원격 제어 장치) 공유한 단말기 정보들의 내역 및/또는 차량(1)과 블루투스 연결한 단말기의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10)는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의해 차량(1)의 위치 공유의 횟수 및/또는 차량(1)의 스마트 키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의하여 식별된 단말기일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차량(1)의 운전자와 소통이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은 운전자에 의하여 기설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운전자 단말로 전화 및/또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 것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 및/또는 방전 예상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전까지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음성 전화를 시도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제어부(110)가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은, 차량(1)의 배터리가 방전될 여지가 있는 상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및/또는 도난 가능성이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1)의 사이드 미러의 미접힘 상태만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가 센서(120)로부터 수신된 경우, 제어부(110)는 운전자 단말에 해당하는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 이후,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더라도 제1 사용자 단말로 별도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제어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차량(1)과 블루투스 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한 것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어부(110)의 제1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은 순서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 단말 모두에 대하여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10)는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한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배터리 사용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배터리 소모량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적은 것에 응답하여, 배터리 소모량이 큰 ECU 또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오프(Off)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110)는, 제2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송신한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운전자 단말 및/또는 제1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로 가이드 안내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배터리 방전 예상 시간 정보 및/또는 차량(1)의 방전 시 대처 요령에 대한 가이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0)는, 서버(3)로 차량(1)의 이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차량(1)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경고등 온(On) 상태 등과 같은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는 상태인 경우, 서버(3)로 차량(1)의 이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력 정보는 예를 들어, 텔레매틱스 단말기(100)가 사용자 단말(4)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 이력, 전화 이력, 경고 메시지 및/또는 전화에 대한 응답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한 이력 정보를 기초로 운전자 성향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0)는, 운전자의 경고 메시지 수신 횟수, 전화 수신 횟수 및 그에 대응한 응답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운전자 성향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전자 성향 정보는, 운전자가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 내용에 대한 경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운전자가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모두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는 경우에 대한 운전자 경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경고 메시지 발생 횟수 및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응답 횟수에 기초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점수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별도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차량(1)의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운전자가 경고 메시지를 50번 수신하고, 50번에 대한 응답이 모두 해당되는 배터리 소모 상태의 오프(Off)를 제어하는 신호에 관한 것인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110)는 별도의 사용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하고, 상기 배터리의 소모 상태의 오프(Off)를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10)는 운전자 단말에 대한 경고 메시지가 미리 설정된 횟수 보다 큰 것에 응답하여, 운전자 성향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의 사용 상태와 관련이 없는 사이드 미러의 미접힘 상태 등과 같은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포함된 메모리는 상술한 차량(1)에 대하여 설명한 메모리(112)에 대하여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상술한 차량(1)에 대하여 설명한 프로세서(111)에 대하여 동일한 설명한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텔레매틱스 단말기(100)는 그 자체로서, 상술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텔레매틱스 단말기(100)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1)이 수행하는 차량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된 차량(1)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차량(1)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차량 제어 방법 또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제어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1)은 센서(120)로부터 차량(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또한, 차량(1)은 단계 S100에서 획득한 차량(1)의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10).
또한, 차량(1)은 단계 S100에서 획득한 차량(1)의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배터리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20).
또한, 차량(1)은 단계 S120에서 판단한 배터리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200).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은 단계 S120에서 판단한 배터리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200).
또한, 차량(1)은 단계 S200에서 운전자 단말로 송신한 경고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210).
이 경우,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220).
한편,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서버(3)로 차량(1)의 이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30).
또한, 차량(1)은 단계 S230에서 요청한 이력 정보를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이력 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S240).
또한, 차량(1)은 단계 S240에서 식별한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300).
도 5를 참조하면, 차량(1)은 단계 S240에서 식별한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300).
또한, 차량(1)은 단계 S300에서 제1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 경고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310).
이 경우,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320).
한편,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단계 230에서 수신한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할 수 있다(S330).
또한, 차량(1)은 단계 S330에서 식별한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400).
도 6을 참조하면, 차량(1)은 단계 S330에서 식별한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S400).
또한, 차량(1)은 단계 S400에서 제2 사용자 단말로 송신한 경고 메시지에 대응되는 응답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수신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0).
이 경우,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420).
한편, 차량(1)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것에 응답하여, 차량(1)이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획득한 배터리 소모량을 기초로 제어를 수행하거나, 운전자 단말 및/또는 제1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로 가이드 안내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S430)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은 센서(120)로부터 차량(1)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0). 또한, 차량(1)은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S110). 또한, 차량(1)은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배터리 사용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120).
이 경우, 차량(1)은 서버(3)로 차량(1)의 이력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230).
또한, 차량(1)은 수신된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운전자 성향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S500).
또한, 차량(1)은 운전자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S510).
본 발명에 따르면, 경고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도 운전자의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환기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가 방전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텔레매틱스 단말기(100) 및 차량(1)의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차량 2: 기지국
3: 서버 4: 사용자 단말
100: 텔레매틱스 단말기 110: 제어부
120: 센서

Claims (20)

  1.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서버와 통신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예상 시간을 식별하되,
    상기 방전 예상 시간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시간 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로 연락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미등 온(On) 상태, 비상등 온(On) 상태 및 시동 온(On)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경고 메시지인 차량.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위치 공유 횟수 및 상기 차량의 스마트 키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의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인 차량.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상기 차량과 블루투스 연결 횟수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인 차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자 성향 정보를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운전자 성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1. 차량에 마련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있어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센서로부터 수신된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의 사용 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12. 차량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상태 정보를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차량의 운전자 하차 상태가 식별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배터리 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배터리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차량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방전 예상 시간을 식별하고,
    상기 방전 예상 시간을 기준을 미리 정해진 시간 전까지 상기 배터리의 사용 상태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에 응답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로 연락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운전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서버로 상기 차량의 이력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이력 정보를 처리한 것을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응답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시지는,
    미등 온(On) 상태, 비상등 온(On) 상태 및 시동 온(On)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에 대한 경고 메시지인 차량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제2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2 사용자 단말로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은,
    상기 이력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 정보 중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의해 상기 차량의 위치 공유 횟수 및 상기 차량의 스마트 키 공유 횟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에 의하여 제1 사용자 단말을 식별하는 것인 차량 제어 방법.
  20. 제12항의 차량 제어 방법을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220064875A 2022-05-26 2022-05-2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65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75A KR20230165016A (ko) 2022-05-26 2022-05-2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US18/081,066 US20230386262A1 (en) 2022-05-26 2022-12-14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211614260.9A CN117133066A (zh) 2022-05-26 2022-12-15 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875A KR20230165016A (ko) 2022-05-26 2022-05-2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016A true KR20230165016A (ko) 2023-12-05

Family

ID=88855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875A KR20230165016A (ko) 2022-05-26 2022-05-26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86262A1 (ko)
KR (1) KR20230165016A (ko)
CN (1) CN117133066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33066A (zh) 2023-11-28
US20230386262A1 (en)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209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0686929B2 (en) System and Methods to facilitate safe driving
US11423763B2 (en) Safe zones in tracking device environments
US9911311B1 (en) Tracking device location and management
US20240064648A1 (en) Power Preservation in GPS-Equipped Tracking Devices
US89962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off-route determination via threshold for safe taxi service
US873174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security service using a vehicle keyfob
EP3718327B1 (en) Tracking device functionality restriction in a lost context
KR20170061489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운송 기기 제어 방법
CN111885500B (zh) 基于窄带物联网的路况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9924028B2 (en) Tamper resistant system for creating zones and manipulating computing devices
EP399334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10858959B (zh) 一种管理车辆处的短程无线通信srwc的方法
KR20210056632A (ko) 메시지 기반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CN108124296B (zh) 通过手持无线设备控制车载wi-fi热点的使用
US11307578B2 (en) Manual drive changing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65016A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EP33931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position of a ue associated with a vehicle
JP7090983B2 (ja) 携帯情報端末操作判別装置
KR20230136323A (ko)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통신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
CN116156450A (zh) 一种车辆的通信方法和系统
CN115336297A (zh) 定位辅助终端设备的确定方法、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