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968A - Transformer - Google Patents

Transfo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968A
KR20230164968A KR1020220064763A KR20220064763A KR20230164968A KR 20230164968 A KR20230164968 A KR 20230164968A KR 1020220064763 A KR1020220064763 A KR 1020220064763A KR 20220064763 A KR20220064763 A KR 20220064763A KR 20230164968 A KR20230164968 A KR 2023016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obbin
transformer
coil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7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티테크
Priority to KR1020220064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4968A/en
Publication of KR2023016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68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제1 보빈(110), 상기 제1 보빈(110)과 결합되는 제2 보빈(150), 및 상기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50)에 결합되는 코어(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빈(150)은 코일(160)이 권선되는 권선부(151)와 상기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결선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170)이 체결되는 단자부(156)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170)은 상기 단자부(156)에 상하로 분할되어 돌출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1열로 배열되며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은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고 리드선의 권선 교차가 방지되며 작업성이 향상되며 자동 권선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ormer, and includes a first bobbin 110, a second bobbin 150 coupled to the first bobbin 110, and a second bobbin 150 coupled to the first bobbin 110. It includes a core 190 that is coupled, and the second bobbin 150 has a winding portion 151 on which the coil 160 is wound and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170 on which the lead wire 161 of the coil 160 is connected. ) includes a terminal portion 156 to which the terminal pin 170 is fastened,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170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protrude and bend downward, and are arranged in one row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nsuring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preventing lead wire winding crossing, improving workability, and enabling automatic winding.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Transformer

본 발명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ransformers, and more specifically, to transformers applied to electronic devices.

트랜스포머는 전기를 필요한 값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변환 공급장치이다.A transformer is a power conversion supply device that converts electricity into the required value.

트랜스포머는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2차 코일도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1차 코일의 전압과 전달되는 2차 코일의 전압의 비는 코일을 감는 권선수의 비와 대응된다.A transformer includes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that are magnetically coupled, and the basic principle is that when current flows in the primary coil, current also flows in the secondary coil due to electromagnetic induction. The ratio of the voltage of the primary coil to the transmitted voltage of the secondary coil corresponds to the ratio of the number of turns around the coil.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1차 코일 주위를 둘러싼 자기장이 2차 코일 주위에 전압을 유도하며, 코일에 감은 권선수의 비를 변화시켜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다.In these transformers, the magnetic field surrounding the primary coil induces a voltage around the secondary coil, and the desired output voltage can be obtained by changing the ratio of the number of turns wound on the coil.

그런데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단자핀 하나에 여러 리드선을 결선하여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므로,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어려워 쇼트 발생 위험이 있다.However, conventional transformers allow different output voltages to be obtained by connecting several lead wires to one terminal pin, so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which poses a risk of short circuit.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 개의 단자핀을 구비하고 단자핀 하나 당 하나의 리드선을 결선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경우,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트랜스포머 전체 부피가 커지는 문제와 코일 단부 리드선의 권선 교차 문제로 리드선 절연튜브를 사용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수작업으로 제조가 진행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method of providing multiple terminal pins and connecting one lead wire to each terminal pin. However, in this case, the overall volume of the transformer is increased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and the winding intersection problem of the lead wire at the end of the coil is encountered. Because lead wire insulation tubes must be used, the process is complex and must be manufactured manually.

등록특허공보 제1123996호(2012.02.28 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123996 (registered on February 28, 2012)

본 발명의 목적은 상하 복층 단자핀 구조 및 리드선을 걸어 내리는 구조를 채용하여,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고 리드선의 권선 교차가 방지되며 작업성이 향상되며 자동 권선이 가능하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that employs an upper and lower double-layer terminal pin structure and a lead wire hanging structure to ensur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prevent lead wire winding crossing, improve workability, and enable automatic winding. It is don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되는 제2 보빈, 및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된 제2 보빈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이 체결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은 상기 단자부에 상하로 분할되어 돌출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1열로 배열되며 서로 이격된다.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first bobbin, and a core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first bobbin, The second bobbin includes a winding part where a coil is wound and a terminal part to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to which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connected are fastened,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erminal part, protrude and are bent downward. They are arranged in one row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은 상부 열 단자핀과 하부 열 단자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열 단자핀은 하부 열 단자핀들의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include upper row terminal pins and lower row terminal pins, and the upper row terminal pins may be arranged between the lower row terminal pins.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권선부를 사이에 두고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bbin includ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coil with the winding portion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상기 하부 열 단자핀들은 상기 단자부에서 돌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열 단자핀과 단부 높이를 맞춘 것인 트랜스포머. The lower row terminal pins protrude from the terminal portion, are bent upward, are bent horizontally again, and then are bent downward to match the height of the ends with the upper row terminal pins.

상기 단자부는 단자핀홈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in which terminal pin grooves are formed and a support groove that is formed by being reces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and is open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상기 단자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may have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lower flange positioned so as to be staggered.

상기 고정돌기는 선단 양측에 확장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상기 지지홈의 선단 입구 폭을 내부 폭에 비해 좁게 할 수 있다.The fixing protrusion has extension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tip, so that the width of the tip of the fixing protrusion can b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rear end, and the width of the entrance at the tip of the support groove can be narrowed compared to the inner width.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되는 제2 보빈, 및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빈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와, 권선부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단자부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단자부에 체결된 단자핀에 결선된다.It includes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first bobbin, and a core, wherein the second bobbin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 winding portion on which a coil is wound, and an upper flange exten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winding portion. and a lower flange and a terminal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respectively, wherein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supported on the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upper flange and connected to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lower flange. .

상기 단자부는 단자핀이 체결되는 단자핀홈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having terminal pin grooves into which terminal pins are fastened, and support grooves that are reces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and are open at the top and bottom.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자부에 체결된 단자핀에 결선된다.The lead wire of the coil is supported on 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flange and connected to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lower flange.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1회 이상 감긴 다음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자부에 체결된 단자핀에 결선될 수 있다.The lead wire of the coil may be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flange at least once and then connected to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lower flange.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는 선단 양측에 확장턱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상기 지지홈의 선단 입구 폭을 내부 폭에 비해 좁게 한다.The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flange has extension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tip, so that the width of the tip of the fixing protrus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 and the width of the entrance at the tip of the support groove is narrower than the inner width.

본 발명은 제2 단자부가 상하 복층 구조(상하 병열 구조)로 되므로 제2 단자핀을 필요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제2 단자부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보빈 체적을 증가시키기 않고도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므로 동선 굵기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terminal part has an upper and lower double-layer structure (top and bottom parallel structure), the second terminal pin can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upper and lower second terminal parts as needed, and the terminal pins are insulated without increasing the bobbin volume. Since the distance can be secured, the thickness of the moving line can be adjusted.

더욱이, 제2 단자부에 상하 복층 구조로 돌출된 제2 단자핀은 상부 열 단자핀이 하부 열 단자핀들의 사이에 배열되고 하부로 절곡되어 1열을 형성하므로,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부분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리드선을 제2 단자핀에 결선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Moreover, the second terminal pins protru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in an upper and lower double-layer structure have the upper row terminal pins arranged between the lower row terminal pins and bent downward to form one row, so that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is connected. It is easy to secure space, which has the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connect the lead wire to the second terminal pin.

또한, 본 발명은 리드선 결선 구조를 단자부의 고정돌기에 감는 구조 또는 고정돌기에 걸어 내리는 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리드선 권선 교차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 권선이 가능하므로 트랜스포머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lead wire winding crossing by applying a lead wire wiring structure in various ways, such as a structure that wraps the lead wire around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terminal part or a structure that hangs on the fixing protrusion, and enables automatic winding,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단자부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 및 제2 단자핀에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의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 및 제2 단자핀에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의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기판에 실장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6.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boar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의 분해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단면도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A-A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ference, FIG. 2 shows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with the primary coil and secondary coil included.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100)는 제1 보빈(110), 제1 보빈(110)과 결합되는 제2 보빈(150) 및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이 결합된 결합체에 결합되는 코어(190)를 포함한다. 트랜스포머(100)는 코일 부품을 의미한다. 트랜스포머(100)는 인버터, 컨버터 또는 정류회로 등 전원회로에 사용될 수 있다.1 and 2,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bbin 110, a second bobbin 150 coupled to the first bobbin 110, and a first bobbin ( 110) and the second bobbin 150 include a core 190 coupled to the combined body. Transformer 100 refers to a coil component. Transformer 100 can be used in a power circuit such as an inverter, converter, or rectifier circuit.

제1 보빈(110)에 1차 코일(120)이 권선되고, 제2 보빈(150)에 2차 코일(160)이 권선된다. 제1 보빈(110)에는 1차 코일(120)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제1 단자핀(130)이 구비되고, 제2 보빈(150)에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제2 단자핀(170)이 구비된다.The primary coil 120 is wound on the first bobbin 110, and the secondary coil 160 is wound on the second bobbin 150. The first bobbin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pin 130 to which the lead wire of the primary coil 120 is connected, and the second bobbin 150 is provided with a second terminal to which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connected. A pin 170 is provided.

제1 단자핀(130)은 입력용 단자핀이고, 제2 단자핀(170)은 출력용 단자핀일 수 있다. 제1 단자핀(130)은 다수 개이고 서로 이격되며 1열을 형성한다. 제2 단자핀(170)은 다수 개이고, 서로 이격되며 상하 복층 구조로 된다. 하나의 트랜스포머에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을 구비하되, 제2 단자핀(170)을 상하 복층 구조로 형성하여 단자핀 간 절연 거리를 확보하고, 권선 교차 문제를 방지하며, 자동 권선 및 자동 결선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first terminal pin 130 may be an input terminal pin, and the second terminal pin 170 may be an output terminal pin. There are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ins 13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 one row. There are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pins 17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n upper and lower double layer structure.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pins 170 are provided to obtain different output voltages from one transformer, and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are formed in an upper and lower double-layer structure to ensure an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and to ensure that the windings cross each other. It prevents problems and enables automatic winding and automatic wiring.

실시예의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120)에 대한 2차 코일(160)의 권선비, 코일 두께를 여러가지로 채용하고 선택할 수 있어, 입력전압에 대한 여러 다른 출력전압을 선택적으로 얻을 수 있다.The transformer 100 of the embodiment can adopt and select various turns ratios and coil thicknesses of the secondary coil 160 to the primary coil 120, so that various different output voltages can be selectively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input voltage.

트랜스포머(100)는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결합되고,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50)에 코어(190)가 결합된 구조로 된다. 코어(190)는 제1 보빈(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12)에 일부가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한다. 코어(190)는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를 포함한다. The transform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bobbin 110 is coupled to a second bobbin 150, and a core 190 is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150 coupled to the first bobbin 110. The core 19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2 formed inside the first bobbin 110 to form a magnetic path. The core 190 includes an upper core 191 and a lower core 192.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는 단면이 E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둘이 결합되어 코일을 둘러쌈으로써 자로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190)는 강한 자속을 얻을 수 있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며 높은 주파수에서 손실이 적은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는 Mn-Zn계 페라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upper core 191 and the lower core 192 have an E-shaped cross-section and can be combined to form a magnetic path by surrounding the coil. The core 190 is made of a ferromagnetic material capable of producing strong magnetic flux and may be made of ferrite, which has low loss at high frequencies. As an example, the upper core 191 and lower core 192 may be formed of Mn-Zn-based ferrite.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은 트랜스포머(100)의 전체적인 몸체를 형성한다.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은 각각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제1 보빈(110)과 제2 보빈(15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obbin 110 and the second bobbin 150 form the entire body of the transformer 100. The first bobbin 110 and the second bobbin 150 can each be easi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he first bobbin 110 and the second bobbin 150 are preferably made of insulating resin,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voltage resistance.

제1 보빈(110)은 1차 코일(120)이 권선되는 제1 권선부(111)와 제1 권선부(111)를 사이에 두고 1차 코일(120)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단 플랜지(113)와 하단 플랜지(115)를 포함한다. The first bobbin 110 is an upper end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primary coil 120 with the first winding part 111 on which the primary coil 120 is wound and the first winding part 111 interposed. It includes a flange 113 and a bottom flange 115.

제1 권선부(111)는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에 1차 코일(120)을 권선할 수 있다. 제1 권선부(111)의 내측은 결합공(112)이 되며, 결합공(112)에 상부코어(191)와 하부코어(192)의 일부가 삽입된다.The first winding unit 11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can wind the primary coil 120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 inside of the first winding unit 111 becomes a coupling hole 112, and parts of the upper core 191 and lower core 192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2.

제1 보빈(110)은 하부 삽입 구조이다. 제1 보빈(110)은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에 하부에서 상부로 끼움 결합된다. 제1 보빈(110)은 상단 플랜지(113)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제1 단차면(113a)이 형성되고, 하단 플랜지(115)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제2 단차면(113b)이 형성된다. The first bobbin 110 has a lower insertion structure. The first bobbin 110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52 of the second bobbin 150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first bobbin 110 has a first stepped surface 113a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upper flange 113, and a second stepped surface 113b formed along the upper edge of the lower flange 115.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결합되면, 제1 보빈(110)의 제1 단차면(113a)은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의 상측 가장자리 저면에 밀착되고 제2 단차면(113b)은 관통공(152)의 하측 가장자리 저면에 밀착된다. 제1 보빈(110)의 제1 단차면(113a)과 제2 단차면(113b)은 제1 보빈(110)을 제2 보빈(150)에 끼움 결합하기 용이하고 끼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에 결합되면 1차 코일(120)이 안쪽에 배치되고 1차 코일(120)의 바깥쪽에 2차 코일(160)이 배치된다. When the first bobbin 1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150, the first step surface 113a of the first bobbin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152 of the second bobbin 150. And the second step surface 113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dge of the through hole 152. The first step surface 113a and the second step surface 113b of the first bobbin 110 make it easy to fit the first bobbin 110 to the second bobbin 150, and the fitted state is maintained stably. Let it happen. When the first bobbin 1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150, the primary coil 120 is placed inside and the secondary coil 160 is placed outside the primary coil 120.

제1 보빈(110)에 1차 코일(120)의 권선 후 제1 권선부(111)를 절연테이프(T)로 테이핑하여 1차 코일(120)을 외부와 절연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권선부(111)에 1차 코일(120)을 권선하는 작업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하는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여 1차 코일(120) 간을 절연할 수 있다. 절연테이프(T)는 권선코일의 층간 절연에 적합한 다양한 종류가 적용 가능하다.After winding the primary coil 120 on the first bobbin 110, the first winding portion 111 may be taped with an insulating tape (T) to insulate the primary coil 120 from the outside.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primary coils 120 may be insulated by alternately winding the primary coil 120 on the first winding unit 111 and taping it with an insulating tape. Insulating tape (T) can be of various types suitable for interlayer insulation of winding coils.

제1 보빈(110)은 하단 플랜지(115)의 일단에 제1 단자부(116)가 형성된다. 제1 단자부(116)에 다수 개의 제1 단자핀(130)이 체결된다. 제1 단자핀(130)에는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이 결선된다. 제1 단자부(116)는 하단 플랜지(115)와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부(116)는 하단 플랜지(115)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단자부(116)는 후술할 제2 보빈(150)의 하부 플랜지(155)에 비해 연장된 길이가 더 길다. 제1 단자부(116)의 형상은 제2 보빈(150)의 제2 단자부(156)와 균형 및 높이 등을 맞추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first bobbin 110 has a first terminal portion 116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flange 115.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ins 130 are fasten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The lead wire 121 of the primary coil 120 wound on the first winding unit 11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in 130.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flange 115. In the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lower flange 115.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has a longer extended length compared to the lower flange 155 of the second bobbin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is formed to match the balance and height with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of the second bobbin 150.

제1 단자부(116)는 중앙이 분리된 두 몸체로 된다. 즉, 제1 단자부(116)는 일측 제1 단자부(116a) 및, 제1 단자부(116a)와 일정 간격 이격된 타측 제1 단자부(116b)로 구분할 수 있다. 일측 제1 단자부(116a)와 타측 제1 단자부(116b)의 사이 공간을 통해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1차 코일(120)이 제1 단자부(116)의 저면으로 안내되고 제1 단자핀(130)에 권선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consists of two bodies separated in the center. That is,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can be divided into a first terminal portion 116a on one side and a first terminal portion 116b on the other sid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rimary coil 120 wound on the first winding part 111 is guid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art 116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art 116a on one side and the first terminal part 116b on the other side and is guid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art 116. It may be wound around the terminal pin 130.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단자부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 단자부(116)의 저면은 중앙부분이 내측으로 단차져 안내공간을 형성하며, 안내공간을 형성하는 제1 단자부(116)의 저면에는 안내돌기(117)와 안내홈(118)이 교대로 형성된다. 안내돌기(117)는 제1 단자부(116)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홈(118)은 안내돌기(117)들 사이 또는 안내돌기(117)의 일측 또는 타측에 형성된다. 안내돌기(117)와 안내홈(118)은 제1 단자부(116)의 저면으로 안내된 1차 코일(120)을 제1 단자핀(130) 방향으로 안내하고 1차 코일(120)들의 리드선(121)을 서로 분리하여 각각의 제1 단자핀(130)에 권선되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의 경우, 2종류의 1차 코일(120)이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되고, 1차 코일(120)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4가닥의 리드선이 4개의 안내홈(118)을 통해 각각 안내되고 각 안내홈(118)과 인접한 제1 단자핀(130)에 각각 결선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1차 코일(120)은 절연재질로 피복된 상태이고, 안내홈(118)에 안내된 위치에서 리드선(121)을 노출시킨 다음, 각각의 제1 단자핀(130)에 결선할 수 있다.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을 제1 단자핀(130)에 결선한 후에는 결선 부위를 납땜하여 결선된 상태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has a central portion stepped inward to form a guide space, and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forming the guide space has a guide protrusion 117 and Guide grooves 118 are formed alternately. The guide protrusion 117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and the guide groove 118 is formed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117 or on one or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117. . The guide protrusion 117 and the guide groove 118 guide the primary coil 120 guided to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toward the first terminal pin 130 and lead wires ( 121) separates from each other and serves to guide the windings to each first terminal pin 130. In the embodiment, two types of primary coils 120 are wound on the first winding unit 111, and four lead wires corresponding to both ends of the primary coil 120 are connected through four guide grooves 118. As an example, each is guided and each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in 130 adjacent to each guide groove 118. The primary coil 120 is cover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d the lead wire 121 can be exposed at a position guided by the guide groove 118 and then connected to each first terminal pin 130. After connecting the lead wire 121 of the primary coil 120 to the first terminal pin 130,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soldered to securely fix the connection.

또한, 제1 단자부(116)의 저면은 내측으로 단차져 안내공간을 형성하므로, 제1 권선부(111)에 권선된 후 제1 단자핀(130)에 결선하기 하기 위해 인출된 1차 코일(120) 단부 부분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고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을 제1 단자핀(130)에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is stepped inward to form a guide space, the primary coil (which is drawn out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in 130 after being wound on the first winding portion 111) 120) External exposure of the end por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lead wire 121 of the primary coil 120 can be more stab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in 130.

제1 단자부(116)에는 다수 개의 제1 단자핀(130)이 1열로 체결된다. 실시예에서, 제1 단자핀(130)은 4개의 안내돌기(117)에 각각 하나씩 체결되며 서로 이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 단자핀(130)은 탄성력을 갖도록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단자핀(130)은 전기전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ins 130 are fasten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in one row. In an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pins 130 are fastened to each of the four guide protrusions 117 one by on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terminal pin 130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to have elasticity. The first terminal pin 130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다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2 보빈(150)은 2차 코일(160)이 권선되는 제2 권선부(151)와 제2 권선부(151)를 사이에 두고 2차 코일(160)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를 포함한다. Again,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second bobbin 150 is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winding part 151 on which the secondary coil 160 is wound and the secondary winding part 151. It includes an upper flange 153 and a lower flange 155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coil 160.

제2 권선부(151)는 관(tube) 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할 수 있다. 제2 권선부(151)의 내측은 관통공(152)이 되며, 관통공(152)에 제1 보빈(110)이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끼움 결합된다.The second winding unit 151 is formed in a tube shape and can wind the secondary coil 160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The inside of the second winding unit 151 becomes a through hole 152, and the first bobbin 110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52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2 보빈(150)은 관통공(152)의 상측 가장자리 저면이 제1 보빈(110)의 제1 단차면(113a)과 겹쳐지는 스토퍼면(153a)을 형성한다. 스토퍼면(153a)은 제1 보빈(110)이 제2 보빈(150)의 관통공(152)에 끼움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The second bobbin 150 forms a stopper surface 153a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edge of the through hole 152 overlaps the first step surface 113a of the first bobbin 110. The stopper surface 153a stably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bbin 110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52 of the second bobbin 150.

제2 보빈(150)에 2차 코일(160)의 권선 후 제2 권선부(151)를 절연테이프(T)로 테이핑하여 2차 코일(160)을 외부와 절연할 수 있다.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권선부(151)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하는 작업과 절연테이프로 테이핑하는 작업을 교대로 수행하여 2차 코일(160) 간을 절연할 수 있다. 절연테이프(T)는 권선코일의 층간 절연에 적합한 다양한 종류가 적용 가능하다.After winding the secondary coil 160 on the second bobbin 150, the secondary coil 160 can be insulated from the outside by taping the second winding portion 151 with an insulating tape (T).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ary coils 160 may be insulated by alternately winding the secondary coil 160 on the second winding unit 151 and taping it with an insulating tape. Insulating tape (T) can be of various types suitable for interlayer insulation of winding coils.

제2 보빈(150)은 제2 단자부(156)를 포함한다. 제2 단자부(156)에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이 체결되며, 제2 단자핀(170)에는 제2 권선부(151)에 권선된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결선된다.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은 제2 단자부(156)에 상하로 분할되어 돌출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1열로 배열되며 서로 이격된다. 상기한 제2 단자핀(170)의 배열 구조는 제2 단자핀(170)들간 절연거리를 확보하면서 제2 보빈(150)의 부피는 증가시키지 않는다.The second bobbin 150 includes a second terminal portion 156.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pins 170 are fasten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and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wound on the second winding portion 151 is attached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t is finalized.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pins 170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protrude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are bent downward, are arranged in one row,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described above secures an insulating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and does not increase the volume of the second bobbin 150.

또한, 다수 개의 제2 단자핀(170)은 상부 열 단자핀(171)과 하부 열 단자핀(172)으로 구분되고, 상부 열 단자핀(171)은 하부 열 단자핀(172)들의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한 제2 단자핀(170)의 배열 구조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결선되는 부분에서 제2 단자핀(170)들간 이격 거리를 최대로 하여 2차 코일(160)의 리드선 간 교차를 방지하고, 제2 단자핀(170)에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결선하는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또한, 상하 복층 구조의 제2 단자핀(170)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1열로 배열되는 구성은 트랜스포머(100)의 기판 실장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부 열 단자핀(171)이 하부 열 단자핀(172)들의 사이에 배열되는 구성은 상하 복층 구조의 제2 단자핀(170)을 하방으로 절곡시켜 1열로 배열하고 서로 이격시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에 보다 용이하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pins 170 are divided into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nd lower row terminal pins 172, and th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re arranged between the lower row terminal pins 172. d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described above maximize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at the portion where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connected, so that the secondary coil 160 Crossing between lead wires is prevented and the workability of connecting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improve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of the upper and lower double-layer structure are bent downward and arranged in one row facilitates mounting the transformer 100 on the board. 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re arranged between the lower row terminal pins 172 is such that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of the upper and lower multi-layer structure are bent downward and arranged in one row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increase the insulation distance. It is easier to secure.

제2 단자부(156)는 제2 보빈(110)의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의 각 일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의 각 일단은 제1 보빈(110)에 형성된 제1 단자부(116)와 대향되는 방향, 즉 반대측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보빈(150)에 제1 보빈(110)이 결합되면, 제2 단자부(156)는 제1 단자부(116)와 반대방향에 위치된다. 일 예로, 제2 보빈(150)에 제1 보빈(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 단부에 제1 단자부(116)가 위치되고, 반대되는 타측 단부에 제2 단자부(156)가 위치된다.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upper flange 153 and the lower flange 155 of the second bobbin 110. Here, each end of the upper flange 153 and the lower flange 155 refers to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formed in the first bobbin 110, that is, an opposite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first bobbin 1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150,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For example, when the first bobbin 110 is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150, the first terminal 116 is located at one end, and the second terminal 156 is located at the other opposite end.

제2 단자핀(170)에서 상부 열 단자핀(171)과 하부 열 단자핀(172)은 절곡되어 동일선상에 배치되되, 상부 열 단자핀(171)과 하부 열 단자핀(172)이 절곡된 형상은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열 단자핀(172)은 탄성력을 갖도록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일 수 있고, 상부 열 단자핀(171)은 하부 열 단자핀(172)과 단부 높이를 맞추기 위해 1회만 수직으로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In the second terminal pin 170, th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nd lower row terminal pins 172 are bent and arranged on the same line, and th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nd lower row terminal pins 172 are bent. The shape may be different. As an example, the lower row terminal pins 172 may be bent more than once to have elastic force, and th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may be vertically bent only once to match the end height with the lower row terminal pins 172. It may be a shape.

실시예에서 하부 열 단자핀들(172)은 제2 단자부(156)에서 돌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되어 상부 열 단자핀(171)과 단부 높이를 맞춘다.In the embodiment, the lower row terminal pins 172 protrude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are bent upward, are bent horizontally again, and then are bent downward to match the end height with th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제2 단자부(156)는 단자핀홈(156')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156a)와 고정돌기(156a)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156b)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단자부(156)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0)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56b)은 제2 권선부(151)에 권선된 2차 코일(160)의 리드선을 다른 리드선과 교차하지 않고 분리 안내하여 해당 제2 단자핀(170)에 안정적으로 결선되게 한다.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56a in which terminal pin grooves 156' are formed and a support groove 156b that is reces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156a and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is formed by The second terminal pin 170 may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erminal pin groove 156'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n addition, the support groove 156b separates and guides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160 wound on the second winding unit 151 without crossing other lead wires, thereby ensuring that it is stab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second terminal pin 170.

또한, 제2 단자부(156)는 상부 플랜지(153)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와 하부 플랜지(155)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된다. 이는 전술한 상부 열 단자핀(171)이 하부 열 단자핀(172)들의 사이에 배열되는 구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has a fixing protrusion 156a formed on one end of the upper flange 153 and a fixing protrusion 156a formed on one end of the lower flange 155 positioned alternately with each other. This is to enabl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above-described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re arranged between the lower row terminal pins 17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 및 제2 단자핀에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의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connected to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돌기(156a)는 선단 양측에 확장턱(156a')이 형성되어, 고정돌기(156a)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지지홈(156b)의 선단 입구 폭을 내부 폭에 비해 좁게 한다. 고정돌기(156a)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고정돌기(156a)에 1회 이상 감은 다음 제2 단자핀(170)에 결선할 때 고정돌기(156a)에 리드선(161)이 안정적으로 감겨질 수 있고, 제2 단자핀(170)에 리드선(161)을 결선하는 작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홈(156b)의 선단 입구 폭이 내부 폭에 비해 좁게 되어 지지홈(156b)으로 안내된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지지홈(156b)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리 안내될 수 있고 제2 단자핀(170)에 결선하는 작업도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protrusion 156a has extension protrusions 156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ip, so that the width of the tip of the fixing protrusion 156a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rear end and the support groove 156b is Make the tip entrance width narrower than the internal width. If the width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56a)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rear end,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can be wound around the fixing protrusion (156a) more than once and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When the lead wire 161 can be stably wound around the fixing protrusion 156a, the work of connecting the lead wire 161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tip entrance of the support groove (156b) is narrower than the inner width, so that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guided into the support groove (156b) can be stably separated and guided through the support groove (156b). And the work of wiring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can also be performed more stably.

제2 보빈(150)의 하부 플랜지(155)의 양측 내면의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지지리브(157)가 형성된다. 지지리브(157)는 제2 권선부(151)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하는 과정에서 2차 코일(160)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과 연면거리를 증가시켜 절연거리를 추가 확보하는 2가지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리브(157)는 제2 권선부(151)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하는 작업시 장애가 되지 않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upport ribs 157 are formed at the edges of both inner surfaces of the lower flange 155 of the second bobbin 1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rib 157 serves to prevent the secondary coil 160 from unwinding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secondary coil 160 on the second winding unit 151 and to secure additional insulation distance by increasing the creepage distance. performs several role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rib 157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height so as not to become an obstacle during the operation of winding the secondary coil 160 on the second winding unit 151, and that the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실시예에서, 트랜스포머(100)는 일측 측면의 제1 단자부(116)에 제1 단자핀(130)이 1열로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된 형태이며, 반대되는 타측 측면의 제2 단자부(156)에 제2 단자핀(170)이 상하 복층 구조로 2열로 돌출되고 하부로 절곡되어 1열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특히, 제2 단자부(156)에 상하 복층 구조로 돌출된 제2 단자핀(170)은 상부 열 단자핀(171)이 하부 열 단자핀(172)들의 사이에 배열되고 하부로 절곡되어 1열을 형성하므로,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결선되는 부분의 공간 확보가 용이하여 리드선(161)을 제2 단자핀(170)에 결선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자동 권선도 가능하게 한다. In an embodiment, the transformer 100 has a first terminal pin 130 protruding in a row and bent downward on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on one side, and the second terminal pin 13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The second terminal pin 170 has an upper and lower double-layer structure, protruding in two rows and bending downward to form one row. In particular,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protruding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n an upper and lower multi-layer structure have upper row terminal pins 171 arranged between lower row terminal pins 172 and bent downward to form one row. Therefore, it is easy to secure space in the area where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connected, making it easy to connect the lead wire 161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and enabling automatic winding. .

또한, 상하 복층 제2 단자핀(170) 구조(병렬 구조)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제2 단자핀(170)에 결선되는 부분에서 제2 단자핀(170)간 이격 거리가 최대가 되므로 굵은 동선의 사용이 가능하여 동선 굵기 조정이 가능하므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double-layer second terminal pin 170 structure (parallel structure) has a space between the second terminal pins 170 at the portion where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Since the distance is maximized, thick copper wires can be used and the thickness of the copper wires can be adjusted,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상술한 트랜스포머(100)에서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0)은 제1 권선부(111)에 1차 코일(120)을 권선하고 제1 단자핀(130)에 1차 코일(120)의 리드선(121)을 결선하는 작업과, 제2 권선부(151)에 2차 코일(160)을 권선하고 제2 단자핀(170)에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결선하는 작업을 완료한 다음 절곡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transformer 100, the first terminal pin 130 and the second terminal pin 170 wind the primary coil 120 on the first winding part 111 and the primary coil 120 on the first terminal pin 130. The work of wiring the lead wire 121 of the coil 120, winding the secondary coil 160 on the second winding unit 151, and connecting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 can be bent after completing the wiring work.

다른 실시예로, 트랜스포머는 제2 단자핀이 제2 단자부에 1열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자핀(172)은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단자부(156)의 단자핀홈(156')에만 체결되는 하부 열 단자핀으로만 구성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transformer may have a second terminal pin protruding in a row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pin 172 may be composed of only lower row terminal pins that are fastened only to the terminal pin groove 156'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flang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B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제2 보빈 및 제2 단자핀에 2차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된 모습의 일부를 보인 도면이다. 참고로, 도 2는 도 1의 단면도에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포함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B-B of Figure 6, and Figure 8 is a secondary coil at the second bobbin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part of the lead wire connection. For reference, FIG. 2 shows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with the primary coil and secondary coil included.

다른 실시예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상부 플랜지(153)에 형성된 제2 단자부(156)에 지지되어 하부 플랜지(155)에 형성된 제2 단자부(156)에 체결된 단자핀(172)에 결선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supported o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formed on the upper flange 153 and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formed on the lower flange 155.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inalized in (17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100-1)는 제1 보빈(110), 제1 보빈(110)과 결합되는 제2 보빈(150), 및 제1 보빈(110)과 결합된 제2 보빈(150)에 결합되는 코어(19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transformer 100-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first bobbin 110, a second bobbin 150 coupled to the first bobbin 110, and a first bobbin. It includes a core 190 coupled to the second bobbin 150 coupled to 110.

제1 보빈(11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1차 코일(120)이 권선되는 제1 권선부(111)와 제1 권선부(111)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상단 플랜지(113)와 하단 플랜지(115)를 포함한다. The first bobbin 11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cludes a first winding portion 111 on which the primary coil 120 is wound, an upper flange 113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first winding portion 111, and Includes bottom flange (115).

제1 보빈(110)은 하단 플랜지(115)의 일단에 제1 단자부(116)가 구비된다. 제1 단자부(116)에는 다수 개의 제1 단자핀(130)이 1열로 체결된다. 제1 단자핀(130)은 탄성력을 갖도록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빈(11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코어(190)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bobbin 110 is provided with a first terminal portion 116 at one end of the lower flange 115. A plurality of first terminal pins 130 are fasten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in one row. The first terminal pin 130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to have elasticity.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obbin 110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Additionally, since the core 19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예는 제2 보빈(150)의 구성이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In other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obbin 150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제2 보빈(15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2차 코일(160)이 권선되는 제2 권선부(151)와 제2 권선부(151)의 양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를 포함한다. The second bobbin 150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cludes a second winding portion 151 on which the secondary coil 160 is wound, an upper flange 153 exten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winding portion 151, and Includes lower flange 155.

또한, 제2 보빈(150)은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단자핀(172)이 체결되는 제2 단자부(15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bobbin 15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153 and the lower flange 155, respectively, and includes a second terminal portion 156 to which at least one second terminal pin 172 is fastened.

제2 단자부(156)는 단자핀홈(156')이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돌기(156a)와 고정돌기(156a)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156b)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단자부(156)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2)이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하부 플랜지(155)의 일단에 형성된 제2 단자부(156)의 단자핀홈(156')에만 제2 단자핀(172)을 1열로 체결한다. 제2 단자핀(172)은 탄성력을 갖도록 1회 이상 절곡된 형상으로 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56a in which terminal pin grooves 156' are formed and a support groove 156b that is reces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156a and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is formed by The second terminal pin 172 may be selectively fastened to the terminal pin groove 156'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pins 172 are fastened in one row only to the terminal pin grooves 156' of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formed at one end of the lower flange 155. The second terminal pin 172 may be bent one or more times to have elasticity.

실시예에서 제2 단자핀(172)은 제2 단자부(156)에서 돌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되어 제1 단자핀(130)과 단부 높이를 맞춘다.In the embodiment, the second terminal pin 172 protrudes from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then is bent upward, horizontally again, and then bent downward to match the height of the end with the first terminal pin 130.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의 경우,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상부 플랜지(153)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 중 적어도 하나에 1회 이상 감긴 다음, 하방으로 내려져 하부 플랜지(155)의 제2 단자부(156)에 체결된 제2 단자핀(172)에 결선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in another embodiment,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156a formed on the upper flange 153 at least once and then lowered. I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2 fasten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of the lower flange 155.

또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이 상부 플랜지(153)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 중 적어도 하나에 1회 이상 감긴 다음, 하방으로 내려져 하부 플랜지(155)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에 다시 1회 이상 감긴 후 하부 플랜지(155)의 제2 단자부(156)에 체결된 제2 단자핀(172)에 결선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156a formed on the upper flange 153 at least once, and then lowered downward to fix the fixing protrusion 156a formed on the lower flange 155. ) can be wound again one or more times and then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2 fasten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of the lower flange 155.

또는,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상부 플랜지(153)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에 걸어 하방으로 내린 후, 하부 플랜지(155)의 제2 단자부(156)에 체결된 제2 단자핀(172)에 결선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is hooked to the fixing protrusion 156a formed on the upper flange 153 and lowered downward, and then the second coil 161 is fastened to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of the lower flange 155. It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pin (172).

상부 플랜지(153)와 하부 플랜지(155)에 형성된 고정돌기(156a)는 선단 양측에 확장턱(156a')이 형성되어, 고정돌기(156a)의 선단 폭을 후단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고 지지홈(156b)의 선단 입구 폭을 내부 폭에 비해 좁게 한다. 이러한 고정돌기(156a)의 확장턱(156a')은 2차 코일(160)의 리드선(161)을 고정돌기(156a)에 걸어 내리거나 고정돌기(156a)에 감아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리드선 간 권선 교차를 방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2차 코일(160)의 리드선을 상부 플랜지(153)의 고정돌기(156a)에 걸어 내린 후 하부 플랜지(155)의 제2 단자핀(172)에 결선하는 과정은 자동화기기에서 자동 권선이 가능하다. The fixing protrusions 156a formed on the upper flange 153 and the lower flange 155 have extension protrusions 156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so that the width of the front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156a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rear end and is supported. The width of the entrance at the tip of the groove 156b is made narrower than the inner width. The extension jaw 156a' of the fixing protrusion 156a hangs the lead wire 161 of the secondary coil 160 on the fixing protrusion 156a or keeps it stably wound around the fixing protrusion 156a. , contributes to preventing winding crossing between lead wires. In addition, the process of lowering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160 to the fixing protrusion 156a of the upper flange 153 and then connecting it to the second terminal pin 172 of the lower flange 155 is an automatic winding process in an automated device.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보빈(150)의 제2 단자부(156)에 다수 개의 단자핀홈(156')이 형성되고, 다수 개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0)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 단자핀(170)이 사출에 의해 제2 보빈(150)에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erminal pin grooves 156' are formed in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of the second bobbin 150, and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sel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 grooves 156'. However, the second terminal pin 170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second bobbin 150 by injection molding.

예를 들어, 금형에서 제2 단자핀(170)의 위치를 잡아놓고 제2 보빈(150)을 사출 성형하면 제2 보빈(150)에 제2 단자핀(170)이 일체로 고정된다. 이 경우, 제2 단자핀(170)이 제2 보빈(150)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제2 단자핀(170)의 길이가 길어도 핀이 휘거나 고정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positioned in a mold and the second bobbin 150 is injection molded,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integrally fixed to the second bobbin 150. 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firmly fixed to the second bobbin 150, problems such as bending of the pin or unstable fixation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length of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long.

다수 개의 단자핀홈(156')에 제2 단자핀(170)이 선택적으로 체결되는 실시예의 제2 보빈(150)은 제2 보빈(150)의 제작 후 제2 단자핀(170)을 필요한 위치의 단자핀홈(156')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대량 양산에 유리하고, 제2 단자핀(170)이 사출에 의해 제2 보빈(150)에 일체로 고정되는 구조는 맞춤형 생산에 유리하다.The second bobbin 150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selectively fastened to a plurality of terminal pin grooves 156' is installed by placing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n the required position after manufacturing the second bobbin 150. Since the structure is fixed to the terminal pin groove 156', it is advantageous for mass production,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integrally fixed to the second bobbin 150 by injection is advantageous for customized production.

제1 단자핀(130)도 사출에 의해 제1 보빈(11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pin 130 may also be integrally fixed to the first bobbin 110 by injection moldin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를 기판에 실장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board.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트랜스포머(100-1)는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2)이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제1 단자부(116)와 제2 단자부(156)에서 각각 돌출되고 1회 이상 절곡되어 단부가 제1 단자부(116) 및 제2 단자부(156)의 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9, the transformer 100-1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in 130 and the second terminal pin 172 are in opposite directions. Each protrudes and is bent one or more times so that the ends can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terminal portion 116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상기한 트랜스포머(100-1)는 기판(P)에 형성한 절개부(s)에 일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100-1)의 중앙 부분이 기판(P)의 절개부(s)에 삽입되며 양측 제1 단자핀(130)과 제2 단자핀(172)이 기판(P)에 형성한 핀홈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제2 단자핀(172)이 기판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100-1)를 기판(P)에 실장하면, 트랜스포머(100-1)를 기판(P)에 실장할 때 플립칩 형태로 실장이 가능하여 기판 실장 높이를 줄일 수 있다.The transformer 100-1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in such a way that a portion of the transformer 100-1 is inserted into the cutout s formed in the substrate P. The central portion of the transformer (100-1) is inserted into the cutout (s) of the substrate (P), and the first terminal pins (130) and second terminal pins (172) on both sides are inserted into the pin grooves formed in the substrate (P). The second terminal pin 172 may be connected to the board circuit in a coupled form. As described above, if the transformer 100-1 is mounted on the board P, the transformer 100-1 can be mounted in a flip chip form and the board mounting height can be reduced.

상술한 본 발명의 트랜스포머(100, 100-1)는 제2 단자부(156)가 상하 병렬 구조로 되므로 제2 단자핀(170)을 필요에 따라 상부 및 하부의 제2 단자부(156)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고, 보빈 체적을 증가시키기 않고도 단자핀 간 절연거리 확보가 가능하므로 동선 굵기 조정이 가능하고, 리드선 결선 구조를 고정돌기에 감는 구조 또는 고정돌기에 걸어 내리는 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리드선 권선 교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드선을 고정돌기에 걸어 내리는 구조는 자동화기기에서 자동 권선도 가능하므로 트랜스포머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transformer (100, 100-1)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second terminal portion 156 has a vertical parallel structure, so the second terminal pin 170 is selective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econd terminal portions 156 as neede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erminal pins without increasing the bobbin volume, so the thickness of the copper wire can be adjusted, and the lead wire wiring structure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 structure that wraps around a fixed protrusion or a structure that hangs down from a fixed protrusion. There is an advantage in preventing intersections. In addition, the structure where the lead wire is hung on the fixing protrusion allows automatic winding in automated devices, thereby increasing the work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또한, 트랜스포머(100-1)는 기판(P)에 실장할 때 기판(P)에 절개부(s)를 두어 기판(P)에 삽입식으로 배치하여 기판 실장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ransformer 100-1 is mounted on the board P, the board mounting height can be minimized by inserting the transformer 100-1 into the board P by making a cutout part s in the board P.

상술한 트랜스포머(100,100-1)는 TV, 모니터, LED 드라이브 전원장치, PC 파워서플라이 등에 설치하여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transformers (100, 100-1) can be installed in TVs, monitors, LED drive power supplies, PC power supplies, etc. to ensure stable power supply.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트랜스포머 110: 제1 보빈
111: 제1 권선부 112: 결합공
113: 상단 플랜지 115: 하단 플랜지
116: 제1 단자부 120: 1차 코일
121: 리드선 130: 제1 단자핀
150: 제2 보빈 151: 제2 권선부
152: 관통공 153: 상부 플랜지
155: 하부 플랜지 156: 제2 단자부
156': 단자핀홈 156a: 고정돌기
156a': 확장턱 156b: 지지홈
157: 지지리브 160: 2차 코일
161: 리드선 170: 제2 단자핀
171: 상부 열 단자핀 172: 하부 열 단자핀
190: 코어 191: 상부코어
100: Transformer 110: First bobbin
111: first winding section 112: coupling hole
113: top flange 115: bottom flange
116: first terminal portion 120: primary coil
121: Lead wire 130: First terminal pin
150: second bobbin 151: second winding section
152: Through hole 153: Upper flange
155: lower flange 156: second terminal portion
156': terminal pin groove 156a: fixing protrusion
156a': Extension jaw 156b: Support groove
157: Support rib 160: Secondary coil
161: Lead wire 170: Second terminal pin
171: upper row terminal pin 172: lower row terminal pin
190: core 191: upper core

Claims (10)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되는 제2 보빈, 및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빈은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다수 개의 단자핀이 체결되는 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은 상기 단자부에 상하로 분할되어 돌출되고 하방으로 절곡되어 1열로 배열되며 서로 이격되는 트랜스포머.
It includes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first bobbin, and a core,
The second bobbin is
A winding section where a coil is wound;
a terminal portion to which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to which the lead wires of the coil are connected are fastened;
Including,
A transformer wherein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ar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ections of the terminal portion, protrude, and are bent downward to be arranged in one row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단자핀은
상부 열 단자핀과 하부 열 단자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열 단자핀은 하부 열 단자핀들의 사이에 배열되는 트랜스포머.
In claim 1,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are
Including an upper row terminal pin and a lower row terminal pin,
A transformer in which the upper row terminal pins are arranged between lower row terminal pin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열 단자핀들은 상기 단자부에서 돌출 후, 상부로 절곡되고 다시 수평으로 절곡된 다음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열 단자핀과 단부 높이를 맞춘 것인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lower row terminal pins protrude from the terminal portion, are bent upward, are bent horizontally again, and then are bent downward to match the height of the ends with the upper row terminal pi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보빈은
상기 권선부를 사이에 두고 코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되는 트랜스포머.
In claim 1,
The second bobbin is
It includ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outward to support the coil with the winding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The terminal portion is a transformer formed at one end of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In claim 4,
The terminal part
A transformer including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nd a support groove that is reces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and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는 트랜스포머.
In claim 5,
The terminal part
A transformer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one end of the lower flange are positioned alternately.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결합되는 제2 보빈, 및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빈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코일이 권선되는 권선부;
권선부의 양단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된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는 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단자부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에 형성된 단자부에 체결된 단자핀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It includes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coupled to the first bobbin, and a core,
The second bobbin is
A winding portion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into which a coil is wound;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exten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winding section; and
Terminal portions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respectively;
Including,
A transformer in which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supported on a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upper flange and connected to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formed on the lower flang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다수 개의 고정돌기와,
고정돌기들 사이에 요입되어 형성되며 상하부로 개방된 형상인 지지홈을 포함하는 트랜스포머.
In clause 7,
The terminal part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A transformer including a support groove that is recessed between fixing protrusions and is open at the top and botto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지지홈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자부에 체결된 단자핀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8,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A transformer guided through the support groove, supported by 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flange, and connected to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lower flan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지지홈을 통해 안내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돌기 중 적어도 하나에 1회 이상 감긴 다음 상기 하부 플랜지의 단자부에 체결된 단자핀에 결선되는 트랜스포머.
According to clause 8,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A transformer that is guided through the support groove, wound around at least one of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flange at least once, and then connected to a terminal pin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lower flange.
KR1020220064763A 2022-05-26 2022-05-26 Transformer KR202301649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763A KR20230164968A (en) 2022-05-26 2022-05-26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763A KR20230164968A (en) 2022-05-26 2022-05-26 Transform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68A true KR20230164968A (en) 2023-12-05

Family

ID=89157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763A KR20230164968A (en) 2022-05-26 2022-05-26 Transfor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496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96B1 (en) 2010-08-11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996B1 (en) 2010-08-11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8101B2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102237B2 (en) Low profile coil-wound bobbin
US886657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3996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692638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N102832023B (en) Transformer and use the display unit of this transformer
US874933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328654A1 (en) Coil device
KR101240854B1 (en) Transformer
US6060974A (en) Header plate for a low profile surface mount transformer
KR20230164968A (en) Transformer
KR102651675B1 (en) Transformer
JP5680327B2 (en) Split winding transformer
JP5949841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0904179B1 (en) Switching transformer
KR20160042560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153521B1 (en) Transformer, Power modul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173774B1 (en) Coi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656013B1 (en) Coil component
KR20130084342A (en) Transformer
KR102647723B1 (en) Transformer
CN116646155A (en) Novel transformer
JP2007103974A (en) Transformer
CN116666079A (en) Transfor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