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4324A - Reel - Google Patents

R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4324A
KR20230164324A KR1020220063928A KR20220063928A KR20230164324A KR 20230164324 A KR20230164324 A KR 20230164324A KR 1020220063928 A KR1020220063928 A KR 1020220063928A KR 20220063928 A KR20220063928 A KR 20220063928A KR 20230164324 A KR20230164324 A KR 20230164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fastening
handle
bobb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37884B1 (en
Inventor
정성식
정원동
Original Assignee
정성식
정원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식, 정원동 filed Critical 정성식
Priority to KR102022006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884B1/en
Publication of KR20230164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8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2Means for manipulating kites or other captive flying toys, e.g. kite-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2Constructional details collapsible; with re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8K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1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 B65H2402/412Portable or hand-held apparatus details or the parts to be hold by the user, e.g. handle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얼레가 개시되며, 상기 얼레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연줄을 권취하거나 권출하게 제공되는 본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향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다.A bobbin is disclosed,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main body that includes a rotating shaft and is provided for winding or unwinding a kite line;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axi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in which an upwardly opening opening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enabl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Description

얼레{REEL}REEL {REEL}

본원은 얼레에 관한 것이다.This article is about reels.

일반적인 얼레는 실이나 연줄 또는 낚시줄 따위를 감는 나무틀이다. 이러한 종래의 얼레는 목재를 다듬어틀의 구성요소를 만든 다음에 끼워 맞추거나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 결합하여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 얼레를 제작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정성을 필요로 하였다.A typical reel is a wooden frame that winds thread, kite line, or fishing line. This conventional wheel was manufactured by trimming wood to create frame components and then fitting them together or fixing them together using nails. In this way, in the past, a lot of effort and sincerity were required to manufacture a bobbin.

그러나 최근에는 금형기술의 발달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얼레를 제작할 수 있고, 이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However,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mold technology, it has been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bobbins using synthetic resin, and mass production has become possible.

그러나 얼레의 제작에 필요한 금속재 축이나 합성수지재 손잡이, 봉 및 지지테 등의 구성요소들이 많아져 얼레의 각 구성요소의 결합이 번거롭거나 조립을 위한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도 있었다.However, as the number of components such as metal shafts, synthetic resin handles, rods, and support frames required to manufacture the bobbin increased, there was a problem that combining each component of the bobbin was cumbersome or required a lot of manpower for assembly.

또한,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4587호에 얼레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얼레는, 연줄이 감기는 가로 봉이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부재가 손잡이부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연줄이 권출되거나 권취되었는데, 사용자가 바람의 세기나 연의 높이에 따라, 연줄의 권출이나 권취를 제한하고 싶어도,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지지부재의 손잡이부에 대한 회전을 제한하고 싶어도, 제한 수단이 없는 측면이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n relation to this, a bobbin was previously disclosed i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14587. In the disclosed reel,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o which the horizontal rods around which the kite line is wound are combined ar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so that the kite line is unwound or wound. The user can unwind or wind up the kite line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wind or the height of the kite. Even if one wanted to limit, in other words, even if one want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there was an inconvenience because there was no limiting means.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줄의 권출 또는 권취를 제한할 수 있는 얼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bobbin that can limit the unwinding or winding of the kite line.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challenges sought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얼레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연줄을 권취하거나 권출하게 제공되는 본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향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에 삽입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main body including a rotating shaft and provided for winding or unwinding a kite line;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axi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having an upwardly opening opening formed, and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positioned below the protrusion being inserted into the opening,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enabl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there is.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얼레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돌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ain body,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as one body.

또한,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얼레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에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가 위치하게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를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삽입부의 상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돌출부의 맞물림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bb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surrounding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is located within the through hole,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are provided. It further includes a stopper that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ith respect to and has an engag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wherein rotation of the main body may be restricted wh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are engaged.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체, 삽입부 및 돌출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므로, 삽입부가 손잡이부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본 얼레가 조립될 수 있어,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body, the insertion part, and the protrusion are formed as one piece, the main bobbin can be assembled by inserting the insertion part into the opening of the handle part, and assembly can be easy.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토퍼가 손잡이부의 상부를 감싸며 구비되되, 상향 이동되면 스토퍼의 맞물림부가 돌출부와 맞물리게 될 수 있고, 스토퍼의 맞물림부와 돌출부의 맞물림시 본체의 손잡이부에 대한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본체에 외력을 가하지 않아도 연줄의 권출 또는 권취가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the stopper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and when moved upwar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topper may engage with the protrusion, and whe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topper and the protrusion are engaged, the stopper may be engaged with the handle of the main body. Rotation may be limited. Accordingly, unwinding or winding up of the kite string can be prevented even without the user separately applying external force to the main body.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개념 정면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본체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본체의 회전축, 삽입부, 돌출부, 스토퍼, 손잡이부 등과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하부의 개략적인 개념 단면도로서, 도 3의 (a)는 스토퍼의 상향 이동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b)는 스토퍼의 상향 이동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본체의 회전축, 삽입부, 돌출부, 스토퍼, 손잡이부 등과 관련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일부의 개념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의 돌출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의 (a)는 삽입부의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개념 수평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스토퍼의 맞물림부의 개념 수평 단면도이다.
1 is a conceptual front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other implementation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ure 3 is a schematic conceptu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protrusion, stopper, handle portion, etc. of the main body of the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3(a) shows the state before the stopper moves upward, and Figure 3(b) shows the state after the stopper moves upward.
Figure 4 is a conceptual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rotation axis, insertion portion, protrusion, stopper, handle portion, etc. of the main body of the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rotrusion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FIG. 5(a) is a conceptual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of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and FIG. 5(b) is a conceptual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pper. This is a conceptual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ngaging par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bove”, “at the top”, “below”, “at the bottom”, or “at the bottom” of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elem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측, 상부, 상단, 하측, 하부, 하단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이 상측,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상부, 전반적으로 12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상단,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이 하측,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부분이 하부, 전반적으로 6시 방향을 향하는 단부가 하단 등이 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or location (top, top, top, bottom, bottom, bottom, etc.) are set based on the arrangement statu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looking at Figures 1 to 4, the 12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at the top, the part generally facing 12 o'clock is at the top, the end generally towards 12 o'clock is at the top, the 6 o'clock direction is generally at the bottom, The part generally facing the 6 o'clock direction may be the lower part, and the end generally facing the 6 o'clock direction may be the bottom.

본원은 얼레에 관한 것이다.This article is about reels.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레(이하 '본 얼레'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bobb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in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얼레는 본체(1)를 포함한다. 본체(1)는 회전축(11)을 포함한다. 또한, 본체(1)는 연줄을 권취하거나 권출하게 제공된다.1 and 2, the main bobbin includes a main body (1). The main body 1 includes a rotation axis 11. Additionally, the main body 1 is provided to wind or unwind the kite line.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는 회전축(11)으로부터 회전축(1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에 연줄이 장착될 수 있고, 회전축(11)의 회전에 의해 장착부(12)가 회전됨으로써 연줄이 권취되거나 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가 회전축(11)의 둘레 방향 중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줄이 권취될 수 있고, 본체(1)가 회전축(11)의 둘레 방향 중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줄이 권출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main body 1 may include a mounting portion 12 that protrudes from the rotation axis 11 in a radial direction outside the rotation axis 11 . A kite line can be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2, and the kite line can be wound or unwound by rotating the mounting part 12 by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1.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1, the kite line can be wound, and when the main body 1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am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rotation axis 11, the kite line is unwound. It can be.

장착부(12)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12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and 2, or as shown in FIG. 3.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체(1)는 장착부(12) 또는 회전축(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조 손잡이(13)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main body 1 may include an auxiliary handle 13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mounting portion 12 or the rotation shaft 11.

또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얼레는 회전축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2)를 포함한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ures 1 and 3, the main bobbi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axis.

또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얼레는 삽입부(2)의 상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를 포함한다. 돌출부(3)는 삽입부(2)의 상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는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거나(도 4 참조), 원의 적어도 일부와 같은 형태의 단면(도 5의 (a)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돌출부(3)는 하측을 향할수록 내외측 방향으로의 두께가 줄어들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3, and 4, th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3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 A plurality of protrusions 3 may be provid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 Additionally, the protrusion 3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For example, it may have a square-shaped cross-section (see FIG. 4) or a cross-section shaped like at least a portion of a circle (see FIG. 5(a)). Additionally,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3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may decrease as it moves downward.

또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얼레는 상향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삽입부(2)가 개구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5)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의 돌출부(3)가 형성되는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개구부에 삽입된다. 또한, 삽입부(2)는 손잡이부(5)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개구부에 삽입된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3, and 4, the bobbin may include a handle portion 5 in which an opening is formed upward and the insertion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he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 positioned below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3 is formed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dditionally, the insertion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so that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5 is possible.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부(2)는 개구부로부터 상향 탈거 방지되게 손잡이부(5)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5)는 개구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띠 형태의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insertion part 2 may be fastened to the handle part 5 to prevent upward removal from the opening. For example, the handle portion 5 may be formed with a band-shaped fastening protrusion 42 that protrudes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부(2)의 하부에는 체결부(7)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7)는 체결 돌출부(42)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 구간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얼레는 체결 돌출부(42)의 하측에 위치하고, 체결 돌출부(42)에 상향 걸림되도록, 체결 돌출부(42)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체결 구간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구간부(73)의 적어도 일부의 외형(체결 구간부(73)의 최대 외경)은 체결 돌출부(42)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 구간부(73)의 상향 탈거가 방지될 수 있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a fastening part 7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2. The fastening part 7 may include an insertion section 74 located insid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In addition, the main bobbin is located below the fastening protrusion 42 and may include a fastening section 73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2 so as to be caught upwardly by the fastening protrusion 42. The outer shape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fastening section 73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section 73)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2. Accordingly, upward removal of the fastening section portion 73 can be prevented.

또한, 체결부(7)에는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고 반경 방향으로 개구되는 함몰부(7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7)는 외력에 대해 함몰부(71)의 내경이 줄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탄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체결부(7)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a recessed portion 71 that is recessed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ide and is open in the radi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7. Additionally, the fastening portion 7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elasticity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ssed portion 71 is reduced in response to external force.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7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plastic.

이에 따라, 체결부(7)는 삽입부(2)의 개구부에 대한 삽입시, 함몰부(71)의 내경이 줄어들게 탄성 변형되며 체결 구간부(73)는 개구부의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여,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의 하측에 위치하게 될 수 있고, 개구부의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의 하측의 내경은 체결 구간부(73)의 최대 외경보다 크므로 탄성 복원되어 체결 구간부(73)는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보다 큰 외경이 되어 체결 돌출부(42)에 상향 걸림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portion 7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of the insertion portion 2,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ssed portion 7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fastening section 73 is a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of the opening is formed. It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is formed,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lower side of the part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of the opening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maximum outer diameter of the fastening section 73, so the elasticity is restored. Thus, the fastening section 73 may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is formed, and may be caught upwardly by the fastening protrusion 42.

또한, 체결부(7)의 체결 구간부(73)는 하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쐐기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얼레의 조립을 위해 삽입부(2)가 개구부에 삽입될 때, 체결 구간부(73)는 쐐기 형상으로 인해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을 통과하며 용이하게 탄성 변형되어 체결 돌출부(42)를 통과해 체결 돌출부(4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구간부(73)의 상단의 외경은 개구부의 체결 돌출부(42)가 형성된 부분의 내경(체결 돌출부(42)의 내경)보다 크되, 체결 구간부(73)의 하단의 외경은 체결 돌출부(42)의 내경보다 작고, 체결 구간부(73)는 하측을 향할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쐐기 형상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fastening section 73 of the fastening portion 7 may have a wedge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as it moves downward.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for assembling the main reel, the fastening section 73 passes through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is formed due to its wedge shape and is easily elastically deformed to form the fastening protrusion. It may pass through (42) and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2). For this purpose,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astening section 73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of the opening is formed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42), but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section 73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ortion where the fastening protrusion 42 of the opening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rusion 42 is smaller, and that the fastening section 73 has a wedge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또한. 체결부(7)의 용이한 탄성 변형을 위해 함몰부(71)의 상단(711)은 다른 부분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삽입부(2)의 외면에는 장홈(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2)의 탄성력이 장홈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대비 클 수 있따.also. To facilitate elastic deform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7, the upper end 711 of the recessed portion 71 may have a larger inner diameter than other portions.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3, a long groove (reference numeral not assigned)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 Accordingly, the elastic force of the insertion portion 2 may be greater than in the case where the long groove is not formed.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삽입부(2)는 손잡이부(4)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개구부에 삽입된다. 이를 테면, 삽입부(2)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삽입부(2)의 체결부(7)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 체결 구간부(73))는 개구부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삽입부(2)는 외력 작용시 손잡이부(4)에 대해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다.Additionally, referring to FIG. 3, the insertion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enabl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4.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the insertion part 2 (for example, the part located above the fastening part 7 of the insertion part 2, the fastening section 73) may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Accordingly, the insertion part 2 can rotate relative to the handle part 4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따라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4)를 파지하고, 본체(1)를 손잡이부(4)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삽입부(2)가 손잡이부(4)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면서, 손잡이부(4) 및 삽입부(2)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1)는 보조 손잡이(13)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손잡이부(4)를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는 보조 손잡이(13)를 잡아 보조 손잡이(13)를 이용해 본체(1)와 삽입부(2)에 본체(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이루어지게 외력을 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본체(1)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줄의 권취 또는 권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referring to FIGS. 1 and 3,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portion 4 and rotates the main body 1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4, the insertion portion 2 moves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4. The handle portion 4 and the insertion portion 2 may be rotated while rotating relative to the rotation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so, for reference,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 may include an auxiliary handle 13, where the user holds the handle portion 4 with one hand and holds the auxiliary handle 13 with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 can be easily rotated by holding and using the auxiliary handle (13)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main body (1) and the insertion part (2)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main body (1), Accordingly, winding or unwinding of the kite string can be performed.

또한,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얼레는 스토퍼(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5)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구 내에 손잡이부(4)의 상부가 위치하게 손잡이부(4)의 상부를 감싸며 구비되되, 삽입부(2)의 상부 및 상기 손잡이부(4)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의 상부에는 돌출부(3)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3)가 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경우(도 4 참조), 맞물림부(51)는 삽입부(2)의 상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부(3)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외측으로 함몰 형성되게(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고 형성되되), 하나 이상의 돌출부(3) 각각과 대응되게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가 원의 적어도 일부와 같은 형태의 단면(도 5의 (a) 참조)을 갖는 경우, 맞물림부(51)는 삽입부(2)의 상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부(3)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고 외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1, 3, and 4, this bobbin may include a stopper (5). The stopper 5 may hav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it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is located within the through hole,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2 a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It can be. Additionally, an engaging portion 51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protruding portion 3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stopper 5. For example, when the protrusion 3 has a square cross-section (see FIG. 4), the engaging portion 51 has the same cross-section as the protrusion 3 from the part where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ortion 2 is inserted and extends to the outside. It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formed to have a square cross-section), and one or more protrusions 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protrusion 3 has a cross section shaped like at least a portion of a circle (see (a) in FIG. 5), the engaging portion 51 is formed by protruding the protrusion 3 from the portion where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ortion 2 is inserted. ) and can be formed to be depressed outward with the same cross section.

또한, 스토퍼(5)는 삽입부(2)의 상부 및 상기 손잡이부(4)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손잡이부(4)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잡이부(4)의 상부에는 외면의 둘레 방향으로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깍일 수 있고, 스토퍼(5)는 내부 단면이 원형인 관통구를 가지고, 이러한 손잡이부(4)의 상부가 관통구에 위치하게 손잡이부(4)의 상부를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퍼(5)는 손잡이부(4)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은 가능하면서 손잡이부(4)에 대하여 회전은 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5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2 a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but may be provided not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handle part 4. For example, at the top of the handle portion 4,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cu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opper 5 has a through hole with a circular inner cross sec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4 It can wrap arou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ortion (4) so that it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Accordingly, the stopper 5 can be provided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but can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handle part 4.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는 하측을 향할수록 내외측 방향 두께가 줄어들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맞물림부(51)는 내경이 하측을 향할수록 줄어들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3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may decrease as it moves downward. In this case, the engaging portion 51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diameter that decreases as it moves downward. .

정리하면, 도 3의 (a)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토퍼(5)는 손잡이부(4)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게 손잡이부(4)의 상부를 감싸며 구비되되,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향 이동시 삽입부(2)의 상부(돌출부(3)가 형성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돌출부(3)와 맞물리게 되어 본체(1)의 손잡이부(4)에 대한 상대적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도 3의 (a)를 참조하면, 스토퍼(5)는 상향 이동 전에 손잡이부(4)를 감싸며 구비되되 삽입부(2)의 상부의 일부(이를 테면, 돌출부(3)의 하부)도 감싸며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스토퍼(4)에 의해 본체(1)의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부(2)의 상부의 일부(돌출부(3)의 하부)를 감쌀 수 있다. 이를 테면, 돌출부(3)는 하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수평 방향 단면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하측을 향할수록 내외측 방향으로의 두께가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고, 맞물림부(51) 또한 하측을 향할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맞물림부(51)의 상부의 내경은 돌출부(3)의 하부의 돌출량보다 크게 설정되어 스토퍼(5)의 상향 이동 전에 스토퍼(5)가 돌출부(4)의 하부를 감싸더라도, 맞물림부(51)와 돌출부(3)의 맞물림이 이루어지지 않아 본체(1)의 회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In summary, referring to Figures 3 (a) and 4, the stopper (5)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so that it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handle part (4), and (b) in Figure 3 Referring to this, when moving upward, it surrounds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ortion 2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3 is formed) and engages with the protrusion 3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4 of the main body 1. You can. For reference, referring to (a) of FIG. 3, the stopper 5 is provided to surround the handle portion 4 before moving upward, and is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ortion 2 (i.e.,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3). It can also be provided to surround the . However, even in this case,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2 (lower part of the protruding part 3) can be wrapp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stopper 4. For example, the protrusion 3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cross-sectional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decreases as it goes downward), and the engaging portion 51 also has a lower cross-sectional area. It may have a shape where the cross-sectional area decreases as you move towards it.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part of the engaging portion 51 is set larger than the protruding amount of the lower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3, so that even if the stopper 5 wraps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protruding portion 4 before the upward movement of the stopper 5, the engaging portion 51 is not engaged. Since the portion 51 and the protrusion 3 are not engaged, interference may not occur in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1.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4)는 스토퍼(5)가 손잡이부(4)의 상부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하부의 외경이 스토퍼(5)의 관통구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4)의 하부에는 스토퍼(5)의 손잡이부(4)의 하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외측으로 손잡이부(4)의 상부 대비 돌출된 제한턱(41)이 형성될 수 있고, 제한턱(41)에 의해 손잡이부(4)는 스토퍼(5)가 손잡이부(4)의 상부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어 손잡이부(4)의 상부 및 삽입부(2)의 상부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handle portion 4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stopper 5 so that the stopper 5 is restricted from moving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4. It can be set larger. Accordingly, a limiting protrusion 41 may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4, which protrudes outward compar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4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stopper 5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4. In addition, the stopper 5 is restricted from moving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by the limiting jaw 41, so that it is limited to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4 and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2. can be moved about.

또한, 회전축(11)의 하단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한용 부재(6)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용 부재(6)는 회전축의 하단을 감싸며 띠형의 디스크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스토퍼(5)가 돌출부(3)가 형성된 부분보다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한용 부재(6)의 외경은 스토퍼(5)의 최대 내경(최상단의 내경)보다 큼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a limiting member 6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1. The limiting member 6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nd-shaped disk surrounding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may restrict the stopper 5 from moving above the portion where the protrusion 3 is formed. For this purpose, the outer diameter of the limiting member 6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aximum inner diameter (inner diameter of the uppermost end) of the stopper 5.

또한, 본원에 의하면, 본체(1), 삽입부(2) 및 돌출부(3)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얼레는, 본체(1) 및 돌출부(3)와 일체로 형성된 삽입부(2)를 스토퍼(5)와 결합된 손잡이(4)의 개구부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main body 1, the insertion portion 2, and the protruding portion 3 may be formed as one piece. Accordingly, this bobbin can be easily assembled by inserting the insertion portion 2,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 and the protrusion 3, into the opening of the handle 4 combined with the stopper 5. . Accordingly, manufacturing may be easy.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 본체
11: 회전축
12: 장착부
13: 보조 손잡이
2: 삽입부
3: 돌출부
4: 손잡이부
41: 제한턱
42: 체결 돌출부
5: 스토퍼
51: 맞물림부
6: 제한용 부재
7: 체결부
71: 함몰부
73: 체결 구간부
74: 삽입 구간부
1: Body
11: rotation axis
12: Mounting part
13: Auxiliary handle
2: Insertion part
3: protrusion
4: handle part
41: limit jaw
42: fastening protrusion
5: Stopper
51: Engagement part
6: Limiting member
7: fastening part
71: depression
73: Fastening section
74: Insertion section

Claims (6)

얼레에 있어서,
회전축을 포함하며, 연줄을 권취하거나 권출하게 제공되는 본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상부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상향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의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대하여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인, 얼레.
In the reel,
A main body including a rotating shaft and provided for winding or unwinding a kite line;
an insertion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otation axis;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surface of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An opening that opens upward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located below the protrusion includes a handle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A bobbin wherein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to enable relativ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andl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기 삽입부 및 상기 돌출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얼레.
According to paragraph 1,
A bobbin, wherein the main body,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protrusion are formed as one piece.
제2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 내에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가 위치하게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를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삽입부의 상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돌출부와 맞물림 가능한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돌출부의 맞물림시, 회전이 제한되는 것인, 얼레.
According to paragraph 2,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is located within the through hole, and is provid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It further includes a stopper forming an engag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protrusion,
The main body is a bobbin whose rotation is restricted wh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are engag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측을 향할수록 상기 내외측 방향으로의 두께가 줄어드는 것인, 얼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thickness of the protrusion i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decreases as it moves down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스토퍼가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의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하부의 외경이 상기 스토퍼의 상기 관통구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인, 얼레.
According to paragraph 3,
A bobbin wherein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stopper so that movement of the stopper downwar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is restri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개구부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띠 형태의 체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하부에 체결부가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삽입 구간부 및 상기 체결 돌출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체결 돌출부에 상향 걸림되도록 외경이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보다 큰 체결 구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는 하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반경 방향으로 개구되는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외력에 대해 상기 함몰부의 내경이 줄어드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게 탄성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결 구간부의 상기 체결 돌출부 하측으로의 하향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함몰부의 외경과 상기 함몰부의 내경의 차는 상기 체결 돌출부의 내경 미만인 것인, 얼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with a band-shaped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ing,
The insertion portion has a fastening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n insertion section located inside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a fastening section located below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so as to be caught upwardly by the fastening protrusion,
A recess is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that is recess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opens in the radial direction,
The fastening part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elasticity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depression is reduced in response to external force,
A bobbin,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ssed portion is less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rotrusion to enable downward insertion of the fastening section into the lower sid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KR1020220063928A 2022-05-25 2022-05-25 Reel KR1026378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928A KR102637884B1 (en) 2022-05-25 2022-05-25 R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928A KR102637884B1 (en) 2022-05-25 2022-05-25 R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324A true KR20230164324A (en) 2023-12-04
KR102637884B1 KR102637884B1 (en) 2024-02-16

Family

ID=89165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928A KR102637884B1 (en) 2022-05-25 2022-05-25 R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88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411A (en) * 1989-01-17 1993-02-16 Peter Fanning And Company Proprietary Limited Spool with holder
KR19980065481U (en) * 1998-08-31 1998-11-25 조영배 Kite hoop with stopper
KR200256696Y1 (en) * 2001-08-22 2001-12-24 정세영 Soft key rot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411A (en) * 1989-01-17 1993-02-16 Peter Fanning And Company Proprietary Limited Spool with holder
KR19980065481U (en) * 1998-08-31 1998-11-25 조영배 Kite hoop with stopper
KR200256696Y1 (en) * 2001-08-22 2001-12-24 정세영 Soft key rot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884B1 (en)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2821U (en) Reel structure
US9126801B2 (en) Bobbin
KR102637884B1 (en) Reel
JP6839879B2 (en) Reel seat and fishing rod equipped with it
US20150140894A1 (en) Yo-yo toy
US4540134A (en) Film core with restrainer
JP2017008710A (en) Roll Assembly
KR100538861B1 (en) Fixed plate of pay-out bobbin for cable or wire, bobbin having the same, and boxed bobbin assembly having the same
KR101004469B1 (en) Boxed reel assembly including reel stand having structure for preventing overrun
JP3639573B2 (en) Winding bobbin
NL8303155A (en) RECEPTION SPOOL FOR A CORRECTION TAPE.
JP3107564U (en) Fishing rod centering structure
KR200231482Y1 (en) jumbo bobbin for setting
JP3226741U (en) High-strength assembly string fastening structure
CN220442144U (en) Packing tube
JPS63676Y2 (en)
JP2013124168A (en) Winding reel
JPH0522069Y2 (en)
JP2012057364A (en) Roll shade
JPS6331255Y2 (en)
JP3748345B2 (en) Fishing in process winding
KR200171017Y1 (en) Reel integrated with clamp and spring in video tape cassette
KR102462335B1 (en) Bobbin for winding rectangular copper wire
KR20130007345U (en) Bobbin having grip
JPS6145093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