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841A - 전자 경보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경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841A
KR20230163841A KR1020220063656A KR20220063656A KR20230163841A KR 20230163841 A KR20230163841 A KR 20230163841A KR 1020220063656 A KR1020220063656 A KR 1020220063656A KR 20220063656 A KR20220063656 A KR 20220063656A KR 20230163841 A KR20230163841 A KR 20230163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device
user terminal
sound
electronic alarm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환
Original Assignee
(주) 아인전자
서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인전자, 서문환 filed Critical (주) 아인전자
Priority to KR102022006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841A/ko
Publication of KR20230163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84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경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전자 경보 장치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식별하며,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지 상태임을 식별하면, 분실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자 경보 장치{Electronic alarm device}
본 개시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 또는 사용자 단말의 분실 상황에 대응한 경보음을 발생하는 전자 경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복잡해지고 타인에 대한 관심이 감소하면서 강력 범죄의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성폭력, 아동 폭력과 같은 반인륜적 범죄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약자인 여성 또는 어린이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예: 호신 제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단의 대표적인 예로, 가스총, 캡사이신 액체가 내장된 스프레이, 호루라기과 같이 휴대 가능한 호신용구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 고음의 소리를 발생함으로써, 주변 시선을 유도할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산업 및 멀티미디어 산업의 발전은 현대인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을 보유하거나,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주변 장치와의 연동 또는 4G (4th-generation) 통신 또는 차세대(예: 5th-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콘텐츠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소음을 발생하는 도구는, 호흡과 같이 인위적인 외력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함에 따라, 갑작스럽게 발생되는 상황 또는 위험 인물이 근거리에 접근한 상황과 같이 신속하게 인위적인 외력에 의한 경보음 발생이 어려울 시에 이용하기가 용이하지가 않을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만을 고려함에 따라, 사용자 단말과의 거리가 멀어져 통신 연결이 끊어질 시에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를 가방에 보관한 상태 또는 책상에 둔 상태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을 가지고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상황과 같이 연결이 상시로 해제될 수 있는 환경에서 원치 않게 경보음이 울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위험 상황 또는 사용자 단말의 분실 상황을 판단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거나, 사용자 단말의 분실 상황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전자 경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체결되어 호루라기 형상을 갖는 하우징 및 경보음이 밖으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 앞쪽에서 뒤쪽 방향인 종 방향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상부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인 횡 방향으로 길쭉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소리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위험 경보음 및/또는 사용자 단말의 움직임과 수신 신호 세기를 함께 고려하여 분실 방지를 위한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휴대하고 이동할 시에는 불필요하게 경보음이 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경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a)는 전자 경보 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전자 경보 장치의 정면도이고, (c)는 전자 경보 장치의 배면도이고, (d)는 전자 경보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e)는 전자 경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경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에서의 신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경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분실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에서 사용자 단말의 분실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분실 방지를 위하여 전자 경보 장치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분실 방지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설정 창을 활성화하기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출력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예시에서 배터리의 상태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의 예시에서 신호 세기의 상태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동작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분실 및/또는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전자 경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a)는 전자 경보 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전자 경보 장치의 정면도이고, (c)는 전자 경보 장치의 배면도이고, (d)는 전자 경보 장치의 좌측면도이고, (e)는 전자 경보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의 분실 및/또는 위험(SOS) 상황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의 하우징은 호루라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호루라기 형상은, 예를 들어, 제1측단이 납작하면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측단의 반대 위치인 제2측단이 실질적으로 원 모양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예를 들어, 상부 케이스(예: 도 3의 상부 케이스(329)와 하부 케이스(예: 도 3의 하부 케이스(327)가 체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의 제1측단(예: 전자 경보 장치(10) 또는 하우징의 배면 단부)에는 외부 케이블이 끼워져, 상기 외부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력에 의해 내부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충전 포트(130)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포트(130)는 충전 외에도 다른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의 제1측단의 양쪽 사이드에서 연장되는 측면들(예: 상부 케이스(329)와 하부 케이스(327)가 체결된 양쪽 측면 체결 라인 부근) 각각의 초입 부근(예: 전자 경보 장치(10)의 양측면들의 일측 끝단)에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측면홀 중 제1측면홀에는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원 버튼(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50)은, 예를 들어, 충전 포트(130)가 마련된 제1측단의 좌측 사이드에서 연장되는 제2측면의 초입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50)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전자 경보 장치(1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50)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전자 경보 장치(1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버튼(150)은 길게 눌림과 짧게 눌림에 따라 전자 경보 장치(10)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50)은 눌리는 횟수에 따라 해당 동작을 활성화(enable) 시키거나, 비활성화(disable)시키는 토글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 버튼(150)에는 “전원 공급”을 직관적으로 묘사한 이미지가 각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의 제2측단(예: 전자 경보 장치(10)의 전면)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줄 또는 끈과 같은 부재를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마련된 연결 부재 또는 고정 부재(1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부재(170)의 위쪽 부근에는 경보음이 밖으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소리 관통홀(160)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리 관통홀(160)은 상부 케이스(329)의 상부면 앞쪽에서 뒤쪽 방향인 종 방향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상부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인 횡 방향으로 길쭉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의 제2측단의 양쪽 사이드에서 연장되는 측면에는 소정 모양의 장식(180a, 180b)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2측단면에서 연장된 좌측면에는 배터리 모양의 장식인 데코 배터리(deco battery)(180a)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측단면에서 연장된 우측면에는 스피커 모양의 장식인 데코 피에조(deco piezo)(180b)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소정 모양의 장식(180a, 180b) 중 제1장식(180a)은, 예를 들어,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데코 배터리 커버(예: 도 3의 데코 배터리 커버(325)), 상기 데코 배터리 커버(325)의 전면 원주를 따라 장착되어 하우징의 앞쪽 좌측면에 마련된 홀에 체결되는 제1체결 링(예: 제1체결 링(323) 또는 상기 데코 배터리 커버(325)의 안쪽 면에 대향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예: 도 3의 배터리(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모양의 장식(180a, 180b) 중 제2장식(180b)은, 예를 들어, 전면이 원반 모양의 데코 피에조 커버(333), 상기 데코 피에조 커버(333)의 전면 원주를 따라 장착되어 하우징의 앞쪽 우측면에 마련된 홀에 체결되는 제2체결 링(335) 또는 상기 데코 피에조 커버(333)의 안쪽 면에 대향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위험 경보음 또는 분실 경보음을 발생하는 전자 소자(예: 도 3의 전자 소자(3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의 상부면에는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에는 호출 버튼(110), 긴급 버튼(120)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19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긴급 버튼(120)은, 예를 들어,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 중 제1상부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긴급 버튼(120)에는 “SOS”가 각인될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110)은, 예를 들어,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 중 제2상부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110)에는 “CALL”이 각인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90)는, 예를 들어,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 중 제3상부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110)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사용자 단말을 호출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긴급 버튼(120)은 사용자의 눌림에 의해 경보 기능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110) 및/또는 상기 긴급 버튼(120)은 길게 눌림과 짧게 눌림에 따라 전자 경보 장치(10)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호출 버튼(110) 및/또는 상기 긴급 버튼(120)은 눌리는 횟수에 따라 해당 동작을 활성화(enable) 시키거나, 비활성화(disable)시키는 토글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90)는, 예를 들어, 두 개의 색상(예: 블루, 레드) LED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 다이오드(190)는 전원이 켜지거나, 정상적인 동작 상황에서 블루 색상을 발광할 수 있고, 저전력 상황 또는 사용자 단말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 레드 색상을 발광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 (SOS 상황), 사용자 단말의 분실이 예상되는 상황 또는 페어링 대기 상황 발생에 따른 경보음이 발생되는 동안 블루와 레드 색상 LED가 교번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경보 장치(10)에 마련된 버튼들 또는 충전 포트의 기능은 하기 <표 1>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1 호출 버튼 짧게 사용자 단말과 연동 시, 사용자 단말 호출
길게 사용자 단말과 연동 시, 사용자 단말 호출
2 긴급 버튼 짧게 경보 기능이 작동되어 최대 음량 출력
(다시 눌림에 의해, 음원 출력을 정지)
길게 경보 기능이 작동되어 최대 음량 출력
(다시 눌림에 의해, 음원 출력을 정지)
3 충전 포트 충전 케이블 장착
4 전원 버튼 짧게 무시
길게 전원 공급 개시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경보 장치(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경보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10)의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329)와 하부 케이스(327)가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329)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상부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상부홀에는 광 소자(indicator LED)(317)(예: 도 1 또는 도 2의 발광 다이오드(190)) 또는 상부 버튼 어셈블리(315)(예: 도 1 또는 도 2의 호출 버튼(110) 및/또는 긴급 버튼(120))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광 소자(317) 및/또는 상기 상부 버튼 어셈블리(315)는 인쇄회로기판(PCB)(321)의 상부에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PCB)(32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측면 버튼(313)(예: 도 1 또는 도 2의 전원 버튼(150))이 전기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329)와 하부 케이스(327)가 결합될 단부(edge)(체결된 양쪽 측면 체결 라인 부근)에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측면홀 중 제1측면홀에는 전원 버튼(313)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329)와 하부 케이스(327)가 결합되어 제1홈에 의해 형성되는 제1홀에는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데코 배터리 커버(325), 상기 데코 배터리 커버(325)의 전면 원주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1홀에 체결되는 제1체결 링(323) 또는 상기 데코 배터리 커버(325)의 안쪽 면에 대향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311)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329)와 하부 케이스(327)가 결합되어 제2홈에 의해 형성되는 제2홀에는 전면이 원반 모양의 데코 피에조 커버(333), 상기 데코 피에조 커버(333)의 전면 원주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제2홀에 체결되는 제2체결 링(335) 또는 상기 데코 피에조 커버(333)의 안쪽 면에 대향하도록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위험 경보음 또는 분실 경보음을 발생하는 전자 소자(331)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1)의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1)은 블루투스 방식과 같은 소정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무선 통신 채널(30)이 형성될 수 있는 전자 경보 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른 페어링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 단말(20)과 연결(30)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연결(30)된 후,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분실을 방지하거나, 또는 위험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구동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의 분실 및/또는 위험(SOS) 상황과 같은 이벤트 발생 시에 위험 경보음 또는 분실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단말(20)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 단말(20)의 분실이 예상되는 제1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긴급 버튼(예: 도 1 또는 도 2의 긴급 버튼(120))이 눌리는 경우에 위험 상황이 예상되는 제2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과 소정의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30)을 수립하고, 상기 수립한 통신 채널(30)을 통해 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 (이하 “수신 신호 세기”라 칭함)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예: 사용자의 요청 시)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대하여 측정한 신호 수신 세기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과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예: 이벤트 발생시)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 (이하 “움직임 정보”라 칭함)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마련된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수신시와 같은 위치 센서)로부터 획득한 움직임 센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예: 스마트폰)을 휴대한 채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하지 않은 채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된 움직임 센싱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때에 분실 위험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전자 경보 장치(10)는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이동 중임을 지시하는 움직임 센싱 정보를 제공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에 의한 휴대가 가능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노트북, PDA,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제1네트워크(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경보 장치(10)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네트워크(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경보 장치(10)과 소정의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통신 채널(30)을 수립하고, 상기 수립한 통신 채널(30)을 통해 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와의 연결(30)에 성공하면,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예: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수신시와 같은 위치 센서)에 의해 획득한 움직임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움직임 또는 이동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소지한 채, 이동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움직임 정보를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이벤트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주기적으로 움직임 정보를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하기 <표 2>는 버튼 조작,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는 상황, 사용자 단말의 이용 정보 및/또는 배터리 상황을 고려하여 전자 경보 장치(10)가 수행하는 동작을 정리하고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LED 음량과 음원 동작 내역
음량 음원
1 버튼 1 짧게 무시: LED 미출력
동작시: 상황에 맞는 LED 출력
상황에 맞는 음원 출력 상황에 맞는 음원 출력
길게
2 전원 짧게 상황에 맞는 음원 출력 상황에 맞는 음원 출력
길게
3 전원 공급 시 페어링 모드 진입시 (배터리 없음)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5초 동안 1초 간격으로 깜박임
로우 배터리 음원 출력 음원 없음
페어링 모드 진입시
블루 색상 LED가 1초 동안 2초 간격으로 깜박임
음원 없음 음원 없음
페어링 완료 (배터리 없는 경우 (3.55. V 이하))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5초 동안 1초 간격으로 깜박임
로우 배터리 음원 출력
(1단계)
2초에 한번씩 0.3초 단음 (삐~) 음원 출력 (30초 동안)
음원 출력 완료 후 슬립모드로 이동 -> 1시간 후 레드 색상 LED가 0.3초 점등 1초 간격으로 깜박임 (30초 동안) 음원 미출력 3.4V 이하가 될 때까지 반복됨 (LED만)
페어링 완료블루 색상 LED가 점등됨 음원 없음 음원 없음
4 이탈 시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으로)되면서 깜빡임 4단계 음량 출력
(버튼 입력전까지 무한)
위험 상황과 상이한 음원 출력
5 위험 상황 (SOS) 동작 중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으로)되면서 깜빡임 4단계 음량 출력(1분 출력 -> 5초 휴식을 3회 반복 후 대기) 호루라기 음원이 지속적으로 출력됨
6 배터리 없음 레드 색상 LED가 0.3초 점등 1초 간격으로 깜빡임 1단계 음량 출력
(버튼 입력전까지 무한)
2초에 한번씩 0.3초 단음 (삐~) 음원 출력 (30초 동안) -> 음원 출력 완료 후 슬립 모드 이동 -> 1시간 후 레드 색상 LED가 0.3초 점등 1초 간격으로 깜빡임 (30초 동안) 음원 미출력 3.4V 이하 될 때까지 반복됨 (LED만)
7 배터리 없음 + 이탈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으로)되면서 깜빡임 이탈 시간대 별 음량 출력 (30초 1단계 -> 5초 대기 -> 30초 2단계 -> 5초 대기 -> 30초 3단계 -> 슬립 모드 이동 위험 상황 9SOS)과 상이한 음원 출력 (음원 종료 후 배터리 없음 음원 출력)
8 배터리 없음 + 위험 상황 (SOS) 동작 중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으로)되면서 깜빡임 4단계 음량 출력
(1분 출력 -> 5초 휴식을 3회 반복)
호루라기 음원이 지속적으로 출력됨
하기 <표 3>은 버튼 조작에 응답하여 위험 상황 또는 분실 상황 별 동작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위험 상황 분실 상황
위험 경고음 출력 위험 경고음 정지 분실 경고음 출력 분실 경고음 정지
1 호출 버튼 짧게
(0.5초 이상)
무시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전자 경보 장치 음원 미출력 전원 차단까지 이탈시 음원 미출력 무시
길게
(1.5초 이상
무시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전자 경보 장치 음원 미출력 전원
차단까지 음원 미출력
무시
2 긴급 버튼 짧게
(0.5초 이상)
위험 경고음 정지 위험 경고음 출력 분실 경고음 정지 후 위험 경고음 출력 위험 경고음 출력
길게
(1.5초 이상)
위험 경고음 정지 위험 경고음 출력 분실 경고음 정지 후 위험 경고음 출력 위험 경고음 출력
3 전원 버튼 짧게
(0.5초 이상)
긴급 상황 (SOS) 음원 중지 긴급 상황 (SOS) 음원 출력 분실 경고음 정지 (다시 분실 상황 발생 시 음원 재출력) 긴급 상황 (SOS) 음원 출력
길게
(1.5초 이상)
전원 차단 전원 차단 전원 차단 전원 차단
4 LED -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되면서 깜빡임 LED 커짐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되면서 깜빡임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반복 (0.3초 간격)되면서 깜빡임
5 스마트폰 전화, 문자, 화면 오프 모든 동작 중 또는 완료 후 이전 화면으로 이동되며, 연결되어 동작 진행되어야 함 (RSSI 값, 페어링 등)
하기 <표 4>는 조작되는 버튼 별 동작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약함
약함 진입시 1회 음원 출력 (0.5초, 삐~)
밀접, 양호, 좋음
음원 출력 음원 정지
1 호출 버튼 짧게
(0.5초 이상)
음원 출력 정지후,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길게
(1.5초 이상
음원 출력 정지후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약함, 밀접, 양호, 좋음시 전자 경보 장치의 버튼을 누르고 있는 시점에 스마트폰에서 음원 출력
2 긴급 버튼 짧게
(0.5초 이상)
음원 출력 정지 후 위험 음원 출력 위험 음원 출력 위험 음원 출력 위험 음원 출력
길게
(1.5초 이상)
음원 출력 정지 후 위험 음원 출력 위험 음원 출력 위험 음원 출력 위험 음원 출력
3 전원 버튼 짧게
(0.5초 이상)
무시 무시 무시 무시
길게
(1.5초 이상)
전원 오프 전원 오프 전원 오프 전원 오프
4 LED - 블루 색상 LED 상시 켜짐 LED 오프 LED 오프 LED 오프
5 길게 전원 공급 후 페어링 모드 재진입
하기 <표 5>는 블루투스 연결 시, 호출 버튼이 눌린 동안의 동작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동작 LED
1 호출 버튼 짧게 (0.5초 이상) 블루투스 미연결 무시 페어링 모드 (블루 색상 LED 1초 간격으로 깜빡임_3분간)
길게 (1.5초 이상 무시 페어링 모드 (블루 색상 LED 1초 간격으로 깜빡임_3분간)
2 짧게
(0.5초 이상)
블루투스
연결
(1) 이탈, 약함, 밀접, 양호, 좋음 5단계 중 이탈을 제외한 상황에서 사용자 단말의 음원이 출력되며 버튼이 눌려진 시간 동안 음원 출력됨
사용자 단말의 음량 설정에 따라 음량이 결정됨 (묵음 모드일 경우 진동 등이 출력됨, S/W에서 동작 가능한 동작 대로 수정 요망_가장 좋은 내역은 묵음일 경우 스마트폰의 중간 단계 음원이 출력될 수 있도록 수정)
(2) 사용자 단말과 블루투스 연결 중 이탈 및 약함 표시되어 사용자 단말과 전자 경보 장치에서 음원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 전자 경보 장치에서 출력되고 있는 음원이 정지됨
3) 위험 경고음 출력 중에는 무시됨
음원 출력 시 블루 색상 LED 상시 출력
길게
(1.5초 이상
동일 동작
하기 <표 6>은 긴급 버튼이 입력된 후 다시 입력될 때까지의 동작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동작 LED
1 긴급 버튼 짧게 (0.5초 이상) 블루투스 미연결 (1) 위험 경보음 출력됨
(2) 5, 4, 3초 동안 위험 경보음 출력, 2초 쉬고, 다시 5, 4, 3초 위험 경보음 출력됨
(3) 긴급 버튼을 제외한 모든 버튼 무시
음원 출력 시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번갈아 출력
길게 (1.5초 이상 동일 동작 동일 동작
2 짧게
(0.5초 이상)
블루투스
연결
(1) 이탈, 약함, 밀접, 양호, 좋음 5단계 상관없이 위험 경보음 출력됨 (블루투스 연결 상태인 경우 페어링은 지속되며, 사용자 단말에서는 일반 동작과 마찬가지로 RSSI 세기 출력됨)
(2) 긴급 버튼을 제외한 모든 버튼 무시함
(3) 블루투스 미연결 상태와 동일하게 동작됨
음원 출력 시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번갈아 출력
길게
(1.5초 이상
동일 동작
하기 <표 7>은 전원 버튼 조작에 응답한 동작 내역을 정리하고 있다.
구분 명칭 동작 내역
동작 LED
1 전원 버튼 짧게 (0.5초 이상) 블루투스 미연결 무시됨 미출력
길게 (1.5초 이상 전원 공급
(페어링 모드 진입)
블루 색상 LED 출력
2 짧게
(0.5초 이상)
블루투스
연결
무시됨
길게
(1.5초 이상
전원 공급 차단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예: 도 4의 분실 방지 시스템(1))에서의 신호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1)에서의 신호 처리는 상기 분실 방지 시스템(1)을 구성하는 전자 경보 장치(예: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와 사용자 단말(예: 도 4의 사용자 단말(2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절차일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전자 호루라기일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20)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연결이 가능한 정도의 거리 내에 상대 디바이스(예: 전자 경보 장치(10) 또는 사용자 단말(20))이 진입하면, 페어링 단계(51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단계(510)에서의 동작은 최초 연결인지, 또는 선행하여 연결된 경험이 있는 상태에서의 재 연결인지에 따라 구체적인 동작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재 연결하는 동작은 특정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연결을 요청하고, 상기 다른 디바이스의 허락에 의해 연결이 이루어지는 절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반해, 초기 연결은 연결을 요청하기 이전에 두 디바이스들 (예: 전자 경보 장치(10)와 사용자 단말(20)) 상호간에 서로를 등록하기 위한 절차가 선행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0)은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통신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전자 경보 장치(10)가 연결 가능한 주변으로 진입함을 인지하면,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가 새롭게 발견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에게 전자 경보 장치(10)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의 입력을 요청하고, 이를 입력 받아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와의 연결(30)을 승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은 위험 상황 발생 또는 분실 위험과 같은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 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및 구동 단계(52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예를 들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한 사용자 단말(20)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이 분실 위험을 예측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한 채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하지 않은 채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된 움직임 센싱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한 상태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때에 분실 위험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이동 중임을 지시하는 움직임 센싱 정보가 제공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경보 장치(10)가 모니터링 및 구동 단계(520)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20)이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미리 설정된 주기에 움직임 정보를 전자 경보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분실 위험 상황이 예상됨에 따라, 전자 경보 장치(10)로부터 경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알람 기능을 활용하여 화면에 분실 위험을 알리는 경보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설정된 사운드를 활용하여 분실 위험이 있음을 안내하는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예: 도 4의 사용자 단말(20))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 경보 장치(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10)는 제어부(610), 통신부(620), 전원부(630), 조작부(640) 또는 출력부(6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센서 모듈 또는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61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를 실행하여 제어부(610)에 연결된 전자 경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어부(61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미도시) 또는 통신부(62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미도시)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610)는 메인 프로세서(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은 메인 프로세서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는 메인 프로세서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10)는 통신부(6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이 근거리 통신을 위한 연결이 가능한 정도의 거리 내에 진입하면, 페어링 단계(예: 도 5의 페어링 단계(510))를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과의 무선 채널(예: 도 4의 채널(3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610)는 위험 상황 발생 또는 분실 위험과 같은 이벤트 발생을 모니터링 하고, 그 결과를 기반으로 경보 동작을 수행하는 모니터링 및 구동 단계(예: 도 5의 모니터링 및 구동 단계(52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0)는, 예를 들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한 사용자 단말(20)의 수신 신호 세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이 분실 위험을 예측하여 출력부(650)를 제어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부(61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한 채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하지 않은 채 이동하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제공된 움직임 센싱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이 이동하고 있지 않음을 감지한 상태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때에 분실 위험이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부(610)는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이동 중임을 지시하는 움직임 센싱 정보를 통신부(620)를 통해 수신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휴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통신부(620)은 전자 경보 장치(1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 또는 서버)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예: 도 4의 채널(30))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30)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부(620)은 제어부(61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6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2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가입자 식별 모듈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경보 장치(10)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전원부(630)는 전자 경보 장치(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원부(630)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30)는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포트(예: 도 2의 포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30)는 전자 경보 장치(10)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전력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조작부(640)는, 전자 경보 장치(10)의 구성요소(예: 제어부(61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경보 장치(10)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조작부(640)은, 예를 들면, 호출 버튼(예: 도 1의 호출 버튼(110)), 긴급 버튼(예: 도 1의 긴급 버튼(120)) 및/또는 전원 버튼(예: 도 1의 전원 버튼(150))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50)는 전자 경보 장치(10)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정보를 화면 및/또는 소리를 사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650)는,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 또는 표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는 음향 신호를 전자 경보 장치(1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분실 또는 위험 상황 발생과 같은 이벤트에 상응한 경보음을 출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전자 경보 장치(10)의 외부(예: 사용자)로 분실 또는 위험 상황 발생과 같은 이벤트에 상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경보 장치(1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센서 모듈은 전자 경보 장치(10)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 경보 장치(10)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연결 단자는, 그를 통해서 전자 경보 장치(10)가 외부 전자 장치(예: 사용자 단말(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는, 예를 들면, 충전 커넥터,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예: 도 4의 사용자 단말(20))에서 분실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은, 동작 711에서, 분실 방지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동작 713에서, 전자 경보 장치(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와의 페어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절차는, 예를 들어, 약속된 훈련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여 상대 디바이스(예: 전자 경보 장치(10))의 존재를 인지하고,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 참조).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동작 715에서, 페어링 절차에 의해 상대 디바이스인 전자 경보 장치(10)와 연결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연결에 실패할 시, 동작 713으로 돌아가 페어링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연결에 성공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동작 717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통해 이동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동작 719에서, 이동에 따른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동작 721에서, 이벤트 정보를 전자 경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중임을 지시하는 정보 또는 정지 상태임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이벤트 발생 여부와 무관하게 미리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주기에 맞추어 이벤트 정보를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0)은, 동작 723에서, 사용자로부터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종료 요청이 접수될 때까지 동작 717 내지 동작 721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경보 장치(10)로부터 분실 또는 위험 발생과 같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오디오 또는 비디오 중 적으로 하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사실을 안내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에서 사용자 단말(예: 도 1 또는 도 4의 사용자 단말(20))의 분실 방지를 위해 수행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11에서, 전원 온 요청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전원 온 요청에 응답하여 동작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동작 전압 공급이 이루어지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13에서, 페어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페어링 절차는, 예를 들어, 약속된 훈련 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하여 상대 디바이스(예: 사용자 단말(20))의 존재를 인지하고, 상기 상대 디바이스로부터의 접속 요청을 수락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15에서, 페어링 절차에 의해 상대 디바이스인 사용자 단말(20)과 연결에 성공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연결에 실패할 시, 동작 813으로 돌아가 페어링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방식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20)과의 연결을 수립하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17에서, 사용자 단말(20)에 대한 수신 신호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19에서 사용자 단말(20)의 움직임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 세기의 측정 및 상기 이벤트 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지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21에서, 경보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움직임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센싱 정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이 이동 상태인지, 또는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이벤트 정보에 포함된 움직임 정보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이 움직이고 있는지, 또는 멈춰 있는 지에 관한 이동 여부를 식별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는, 사용자 단말(20)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없는 수신 신호 세기를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이 멈춰진 상태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을 방치한 채,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여 경보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23에서, 분실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동작 825에서, 사용자에 의해 해제 요청이 접수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해제 요청을 접수할 시, 동작 827에서, 경보음 발생을 중지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분실 경보음을 발생한 후,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시간 경과에 비례하여 음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10)이 이동하도 있는 상태에서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과 함께 움직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여 경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경보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동작 817 및 동작 819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경보 장치(10)는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사용자 단말(20)이 정지 상태임을 식별하면, 동작 모드를 경보 대기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경보 장치(10)는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지 않고, 사용자 단말(20)이 이동 상태임을 식별하면, 동작 모드를 경보 중단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보 대기 모드는 사용자 단말(20)의 분실 위험 상황을 안내하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동작 모드이고, 상기 경보 중단 모드는 분실 위험 상황이 아니므로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는 동작 모드이다.
도시되고 있지 않지만, 전자 경보 장치(10)는 사용자에 의한 긴급 버튼(예: 도 1의 긴급 버튼(120))이 눌림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을 호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긴급 버튼(120)이 다시 조작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된 명령에 응답하여 위험 상황을 알리기 위한 경보 기능을 작동하여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자 경보 장치(10)는, 긴급 버튼(예: 도 1의 긴급 버튼(1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위험 경보음을 최대 음량 또는 음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자 경보 장치(10)는, 분실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이거나, 배터리가 저력인 상태라 하더라도, 긴급 버튼(1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위험 경보음을 최대 음량 또는 음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발생할 수 있다. 전자 경보 장치(10)는 위험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긴급 버튼(120)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위험 경보음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전자 경보 장치(10)는 위험 경보음이 출력되는 동안, 블루 색상 LED와 레드 색상 LED가 소정 시간 간격(예: 0.3초)으로 깜빡이도록 할 수 있다. 전자 경보 장치(10)는 위험 경보음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어떠한 버튼이 눌리더라도 해당 이벤트를 무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예: 도 4의 사용자 단말(20))에서 분실 방지를 위하여 전자 경보 장치(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와 페어링을 수행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은 전자 경보 장치(10)가 주변에 위치함을 인지할 시, 이를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인트로 화면에 관련 디바이스의 식별자 또는 서비스 이름 (예: 팅벨)(900)을 (a)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전자 경보 장치(10)와의 페어링 수행을 돕기 위한 페어링 화면을 (b)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화면 (b)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아이콘(910), 언어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아이콘(920), 페어링을 수행할 전자 경보 장치(10)의 식별 정보(930) 또는 선택할 전자 경보 장치(10)가 보이는지를 문의하는 안내 메시지(940)를 포함하고 있다. 화면 (b)에서는, 일 예로, 검은색 바탕의 좌측 상단에 전자 경보 장치(10)에 해당하는 이름인 ”휘익(AHP-10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자 경보 장치(10)에 해당하는 ”휘익(AHP-100)”만이 출력되거나, 여러 개의 디바이스가 확인될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디바이스를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으며, 페이링이 재 수행된 경우에 해당 화면 없이 다음 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20)은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수행된 전자 경보 장치(10)와의 페어링 수행 결과를 표시(950) 및 페어링의 재 수행을 요청할 수 있는 기능 아이콘(960)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 아이콘(910)을 포함하는 화면을 (c)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페어링의 재 수행을 요청할 수 있는 기능 아이콘(960)을 선택하면, 화면 (b)로 이동할 수 있다. 화면 (c)에서의, 수행 결과는 하기 <표 8>과 같을 수 있다.
연결되지 않았나요?
아래와 같은 상황 인가요?
1) 전자 경보 장치의 전원이 꺼져 있다면 전원을 켜주세요
2) 전자 경보 장치의 전원이 켜져 있다면 전원을 off 후 다시 전원을 켜주세요
3) 스마트폰이나 전자 경보 장치가 가방에 들어가 있나요? 전자 경보 장치와 스마트폰이 30cm 이내에 존재하여야 하며 가방 등의 물건에 들어가 있지 않아야 합니다
4) 어플 실행시 블루투스 사용이나 위치 사용 여부에 대하여 허용을 선택하였나요? 미사용 선택시 어플을 제거하고, 다시 설치 후 허용을 선택해 주세요
5) 블루투스는 ON 되어 있나요? 스마트폰 설정에서 블루투스를 켜주세요
위의 내용이 완료되면 아래의 페어링 시작 버튼을 눌러 주세요
화면 (d)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이동한 홈 화면에 대한 일 예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도 4의 사용자 단말(20))에서 분실 방지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20)의 화면(1000)은,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의 이미지(1011),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에서 음원 출력 여부를 토글 형태 (예: 최초 터치 시 활성화되고, 다시 터치 시 비활성화됨)로 설정하는 아이콘(1013), 이탈 상황에 따른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를 호출 상태 식별 아이콘(1023), 수신 신호 세기의 품질(예: 이탈, 좋은, 양호, 밀접, 약함 5단계로 표시 가능)을 표시하는 영역(1025), 수신 신호 세기의 품질 단계 표시(1027), 페어링 여부를 색깔(붉은 색, 검은 색)로 표시하는 영역(1029),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예: 전자 경보 장치)의 배터리 상태를 표시하는 아이콘(1031) 또는 상세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설정 창을 활성화하는 아이콘(101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된 대상 디바이스의 이미지(1011)를 사용자가 터치하면, 전자 경보 장치(10) 및/또는 사용자 단말(20)에서 동시에 소정 시간 동안(예: 2초)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1013)은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가 이탈된 상황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 세기의 품질 단계 표시(1027) 및 바탕 화면 영역(1029)은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가 이탈될 시, 레드 색상과 바탕 화면 색상 (예: 청색)이 교차되면서 약 0.5초 간격으로 깜빡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인 스마트폰 전체 화면이 깜빡일 수 있다. 상기 수신 신호 세기의 품질을 표시하는 영역(1025)은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가 이탈하여 대상 디바이스를 호출할 시, 호출 중으로 표시될 수 있다. 호출이 이루어지는 중에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가 안전 영역 내로 진입하여 호출 상태 식별 아이콘(1023)이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면, 사용자 단말(10)은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를 호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설정 창을 활성화하기 위한 아이콘(1015)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시, 출력되는 화면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아이콘(1051)은 사용자에 의한 좌/우 드래그 동작에 의해 사용자 단말(20)에서의 경보 기능을 활성화(on)하거나, 비활성화(off)할 수 있다. 제2아이콘(1059)은 사용자 단말(20)에 저장된 기본 벨 소리로 설정 가능한 음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음 소거 설정 또는 음량 설정과 무관하게 최대 음량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아이콘(1059)을 터치한 후, 상/하 드래그에 의해 음원 목록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3아이콘(1017)은 페어링 해제 선택 시, “페어링 해제를 원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응답하여 “YES”또는 “NO” 중 하나를 선택하여 페어링을 종료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4아이콘(1019)은 어플 종료 선택 시, “어플 종료를 원하십니까?”라는 질문에 응답하여 “YES”또는 “NO” 중 하나를 선택하여 종료한 후 홈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5아이콘(1053)은 사용자에 의한 좌/우 드래그 동작에 의해 대상 디바이스(예: 도 1 또는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에서의 경보 발생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상기 경보 발생이 켜진 상태에서 제5아이콘(1053)은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경보 발생이 꺼진 상태에서 제5아이콘(1053)은 회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6아이콘(1055)은 사용자 단말(20)에서의 모션 인식 기능을 활성화(on)하거나, 또는 비활성화(off)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예시에서 배터리의 상태(1031)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에서 분실 관리를 위해 실행된 응용 프로그램의 화면(예: 도 10)에서 전자 경보 장치(예: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의 배터리 상태를 다섯 단계((1), (2), (3), (4), (5))로 정의된 용량 별로 표시할 수 있다.
하기 <표 9>는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전자 경보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의 동작에 대한 일 예를 정의하고 있다.
구분 배터리 잔량 동작 내역
전자 경보 장치 LED 사용자 단말 LED
1 3.95V 이상 오프 3단계 (모두 표시)
2 3.95V ~ 3.7V 오프 2단계
3 3.7V ~ 3.55V 오프 1단계
4 3.55V ~ 3.4V 레드 색상 LED 0.5초 출력
(1초 간격)
배터리 없음
(배터리 가이드만 표시)
5 3.4V 이하 전자 경보 장치 전원 오프 전자 경보 장치 전원 오프로 어플 종료되는 토스트 메시지 출력된 상태로 약 10초 후 어플 종료
도 13은 도 10의 예시에서 신호 세기의 상태(1027)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예: 도 4의 사용자 단말(20))에서 전자 경보 장치(예: 도 4의 전자 경보 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세기를 기반으로 분실 위험 가능성을 알리는 시각적 표시 예를 보이고 있다. 일 예로, 수신 신호 세기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에 최상의 상태에 해당하는 상태 (미리 설정된 최고 임계치를 100 퍼센트(%) 만족)일 시에 전체 원 표시가 풀로 표시된 화면 (a)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50% 내지 100 퍼센트(%) 사이에 있어 양호한 경우에 원 표시가 3/4 표시된 화면 (b)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50% 정도인 밀접한 경우에 원 표시가 1/2 표시된 화면 (c)를 출력하고, 수신 신호 세기가 50%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 원 표시가 1/4 표시된 화면 (d)를 출력하며, 수신 신호 세기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에 부적합한 수준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에 원 표시를 하지 않는 화면 (e)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동작 환경에 대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영역(1410)는 전자 경보 장치(10)가 무선 채널(3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이동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분실 위험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정의된 영역이다.
제2영역(1420)는 전자 경보 장치(10)가 무선 채널(3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이동 관련 정보를 무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분실 위험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정의된 영역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실 방지 시스템의 동작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전자 경보 장치(10)가 이동(1511)하여 소정의 영역(1510)에서 벗어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의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영역(1510)은 사용자 단말(20)의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상으로 수신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가 멈춤 데이터(1513)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분실 위험을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1515).
도 15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0)이 이동(1521)하여 소정의 영역(1510)에서 벗어남으로써, 사용자 단말(20)의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영역(1510)은 사용자 단말(20)의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상으로 수신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가 움직임 데이터(1523)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20)이 사용자와 함께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분실 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1525).
도 15c를 참조하면, 전자 경보 장치(10)가 제1위치(10-1)에서 제2위치(10-2)로 이동(1531)하고, 사용자 단말(20)이 제3위치(20-1)에서 제4위치(20-2)로 이동(1533)하는 경우,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와 상기 사용자 단말(20)의 떨어진 거리가 임계 수준(예: 소정 영역(1510))을 벗어남으로써, 사용자 단말(20-2)의 수신 신호 세기가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20-2)로부터 수신되는 이벤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경보 장치(10-2)는 상기 사용자 단말(20-2)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가 멈춤 데이터(1535)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20-2)이 사용자와 함께 이동한 것이 아닐 수도 있음을 판단하여 분실 위험을 경보하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1537).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를 통해 설명된 신체 치수 측정 장치(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5)

  1. 전자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체결되어 호루라기 형상을 갖는 하우징; 및
    경보음이 밖으로 배출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 앞쪽에서 뒤쪽 방향인 종 방향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상부면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인 횡 방향으로 길쭉한 모양을 갖는 복수의 소리 관통홀을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 단부에 외부 케이블을 장착하도록 마련된 충전 포트를 더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
    상기 적어도 세 개의 상부홀 중 제1상부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경보음 발생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긴급 버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상부홀 중 제2상부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경보음 발생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호출 버튼;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상부홀 중 제3상부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LED)를 더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가 체결된 양쪽 측면 체결 라인 부근에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측면홀;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측면홀 중 제1측면홀에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끼워져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동작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전원 버튼을 더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반 모양으로 형성된 데코 배터리 커버;
    상기 데코 배터리 커버의 전면 원주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앞쪽 좌측면에 마련된 홀에 체결되는 제1체결 링;
    상기 데코 배터리 커버의 안쪽 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
    전면이 원반 모양의 데코 피에조 커버;
    상기 데코 피에조 커버의 전면 원주를 따라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앞쪽 우측면에 마련된 홀에 체결되는 제2체결 링; 및
    상기 데코 피에조 커버의 안쪽 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경보음을 발생하는 전자 소자를 더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줄을 끼워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링 형상으로 마련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포트, 상기 긴급 버튼, 상기 호출 버튼, 상기 LED, 상기 전원 버튼,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전자 소자 중 적어도 하나가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탑재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전자 경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버튼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조작부;
    근거리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과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구성된 통신부;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된 출력부; 및
    상기 조작부,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긴급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위험 경보음을 발생하거나, 또는 발생 중인 위험 경보음을 중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LED를 제어하여 블루 색상과 레드 색상이 교번적으로 발광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험 경보음이 발생되는 있는 상황에서, 상기 호출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위험 경보음을 출력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위험 경보음이 발생 중이 아닌 상황에서, 상기 호출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 분실 경보음을 출력할 것을 요청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블루투스 통신 채널이 연결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정지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분실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정된 수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분실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분실 경보음이 발생 중인 경우에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실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위험 경보음을 발생한 후 상기 긴급 버튼의 눌림이 감지될 때까지 시간 경과함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위험 경보음의 음량을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실 경보음을 발생한 후 상기 호출 버튼의 눌림이 감지될 때까지 시간 경과함에 따라,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실 경보음의 음량을 단계적으로 증가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분실 경보음이 발생 중인 상황에서 상기 긴급 버튼의 눌림에 의해,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실 경보음의 발생을 중지하고, 상기 위험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전자 경보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움직임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센싱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이동 상태인지, 또는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잔량 및 상기 위험 경보음 또는 상기 분실 경보음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LED의 발광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정된 발광 타입에 의해 상기 LED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실 경보음이 출력되는 중에 상기 긴급 버튼의 눌림을 감지하면, 상기 분실 경보음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위험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전자 경보 장치.
KR1020220063656A 2022-05-24 2022-05-24 전자 경보 장치 KR20230163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56A KR20230163841A (ko) 2022-05-24 2022-05-24 전자 경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56A KR20230163841A (ko) 2022-05-24 2022-05-24 전자 경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841A true KR20230163841A (ko) 2023-12-01

Family

ID=8912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56A KR20230163841A (ko) 2022-05-24 2022-05-24 전자 경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8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236B2 (en) Wireless visual notification device for mobile device
KR102366253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060776B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외부 오디오 장치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6989748B2 (en) Battery with integrated tracking device
US99616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tifying missed events
CN106134168B (zh) 针对无线个人域网络中的链路终止事件的选择性用户通知
US20150070190A1 (en) Senso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20170082022A (ko) 오디오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의 동작 방법
CN105527850B (zh) 断电提醒方法及装置
US20170094048A1 (en) Ligh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equipment, and user terminal
US20120238330A1 (en) Apparatus that connects wirelessly to a cell phone via bluetooth technology and provides additional ringing sound and visual alert upon an incoming call
US9794526B2 (en) Non-disruptive monitor system
US20160112988A1 (en) Method for indicating alarm by portable terminal and accessory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and apparatus and application for the same
CN112136160A (zh) 自移动设备、自移动设备的报警模块及其报警方法
GB2542606A (en) Personal protection device
JP5983332B2 (ja) 音声情報報知装置、音声情報報知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74860B2 (ja) 救助支援機能を有する地震警報装置
JP201015267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セキュリティ方法
TW201405362A (zh) 人機介面裝置及警示感知訊號顯示方法
JP5000002B1 (ja) 災害表示システムおよび災害監視装置および災害表示装置
US202302891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video conferencing status with visual status indicator
KR20230163841A (ko) 전자 경보 장치
JP2006109004A (ja) 携帯型装置、携帯型装置の制御方法、携帯型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60115603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JP2013257812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