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833A -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833A
KR20230163833A KR1020220063645A KR20220063645A KR20230163833A KR 20230163833 A KR20230163833 A KR 20230163833A KR 1020220063645 A KR1020220063645 A KR 1020220063645A KR 20220063645 A KR20220063645 A KR 20220063645A KR 20230163833 A KR20230163833 A KR 20230163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hamber
laser
pressing member
laser beam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준
김병록
최은성
여환수
서승현
Original Assignee
레이저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이저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이저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833A/ko
Priority to EP22203359.9A priority patent/EP4282570A1/en
Priority to CN202211313143.9A priority patent/CN117102604A/zh
Priority to JP2022171887A priority patent/JP7504494B2/ja
Priority to US17/976,133 priority patent/US20230387069A1/en
Publication of KR20230163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5Soldering by means of radiant energy
    • B23K1/0056Soldering by means of radiant energy soldering by means of beams, e.g. lasers, 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20Preliminary treatment of work or areas to be soldered, e.g. in respect of a galv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 B23K26/1224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in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8Auxiliary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1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94Heating methods for reflowing of s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1Means for controlling the bonding environment, e.g. valves, vacuum pumps
    • H01L2224/75101Chamber
    • H01L2224/75102Vacuum cha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5261Laser
    • H01L2224/75263Laser in the upper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e.g. in the bonding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5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5301Bonding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25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 H01L2224/753Means for applying energy, e.g. heating means by means of pressure
    • H01L2224/75301Bonding head
    • H01L2224/75312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65Means for transporting the components to be connec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8Means for moving parts
    • H01L2224/75801Lower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e.g. XY 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5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bump connectors or layer connectors
    • H01L2224/758Means for moving parts
    • H01L2224/75821Upper part of the bonding apparatus, i.e. bonding h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1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bump connector
    • H01L2224/812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 H01L2224/8122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with energy being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 H01L2224/81224Applying energy for connecting with energy being in the form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a la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육면체의 밀폐 공간부로 형성되어 상기 육면체의 일측 및 타측에는 기판을 밀폐 공간부 내부로 인입, 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 및 투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부의 상부에는 레이저빔 조사홀이 형성되는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 상방에 구비되어 투광성 가압부재가 교체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를 파기하지 않도록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과 기밀한 상태를 유지하는 홀더부; 및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가 장착된 홀더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킴에 따라 진공챔버 내부에 위치된 기판을 투광성 가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 하에서 투광성 가압부재로 눌러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를 통해 진공챔버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전자부품을 기판에 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Compression type laser reflow apparatus with vacuum chamber}
본 발명은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진공챔버 내부에서 투광성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 및 레이저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복수의 전자부품을 동시에 가압 및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함에 의해 대량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솔더 중에 흄(fume)에 의한 보이드(void) 생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의 불량률이 대폭 개선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레이저 가공에서 마이크론(㎛)급의 정밀도를 가지는 응용분야가 마이크로 레이저프로세싱인데, 반도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 인쇄회로기판(PCB) 산업, 스마트폰 산업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든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칩은 집적도와 성능 및 초고속 통신속도를 구현하기 위해 회로간격을 최소한으로 축소시키는 기술이 발전하다가 현재는 회로선폭과 선폭간격을 축소시키는 것만으로는 요구되는 기술수준을 달성하기 어려워서 메모리칩들을 수직방향으로 적층하는 수준이 되었다. 이미 128층까지의 적층기술이 TSMC사(社)에서 개발되었고, 72층까지 적층하는 기술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서 대량생산에 적용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칩, 마이크로프로세서칩, 그래픽프로세서칩, 무선프로세서칩, 센서프로세서칩 등을 1개의 패키지에 실장하려는 기술개발들이 치열하게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상당한 수준의 기술들이 이미 실전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기술의 개발과정에서, 초고속/초고용량 반도체칩 내부에서 더욱 더 많은 전자들이 신호처리프로세스에 참여해야 하므로 전력소비량이 커져서 발열에 대한 냉각처리 이슈가 제기되었다. 또한, 더욱 많은 신호들에 대한 초고속 신호처리 및 초고주파 신호처리라는 요구사항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량의 전기신호들을 초고속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기술이슈가 제기되었다. 또한, 신호선들이 많아져야 해서 반도체칩 외부로의 신호 인터페이스 선들을 더 이상 1차원적인 리드선방식으로는 처리하지 못하고 반도체칩 하부에서 2차원적으로 처리하는 볼그리드어레이(BGA) 방식(Fan-In BGA 또는 Fan-in Wafer-Level-Package(FIWLP)라고 함)과, 칩 하부의 초미세 BGA층 아래에 신호 배선 재배열층(Signal Layout Redistribution Layer)을 두고 그 하부에 2차 미세 BGA층을 설치하는 방식(Fan-Out BGA 또는 Fan-Out Wafer-Level-Package(FOWLP) 또는 Fan-Out Panel-Level-Package라고 함) 방식이 실적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반도체칩의 경우, EMC(Epoxy-Mold Compound)층을 포함하여 두께가 200㎛ 이하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수백 마이크론에 불과한 마이크론급의 초경박형 반도체칩을 초경박형 PCB에 부착하기 위하여 기존의 표면실장기술(SMT) 표준공정인 써멀리플로우오븐(Thermal Reflow Oven) 기술과 같은 매스리플로우(MR) 공정을 적용하면 수백 초의 시간 동안 100∼300도(℃)의 공기온도환경 속에 반도체칩이 노출되므로 열팽창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Expansion) 차이 때문에 칩-테두리 휨(Chip-Boundary Warpage), PCB-테두리 휨(PCB-Boundary Warpage), 열충격형 랜덤본딩불량(Random-Bonding Failure by Thermal Shock) 등 다양한 형태의 솔더링 본딩 접착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들어 각광받고 있는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레이저 헤드 모듈이 본딩대상물(반도체 칩 또는 집적회로 IC)을 수 초 동안 눌러주면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본딩하는 방식으로, 반도체 칩 또는 집적회로(IC) 사이즈에 대응하는 면 광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여 본딩을 수행한다.
이러한 가압방식의 레이저 헤드 모듈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0662820호(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를 참조하면, 플립칩의 후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플립칩을 가열하는 한편, 상기 플립칩을 상기 캐리어 척 기판에 압착하기 위한 플립칩 가열압착모듈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에 개시된 종래 가압방식의 레이저 헤드 모듈은 칩을 흡착하여 본딩 포지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칩의 이면을 레이저를 통해 가열함과 동시에 상기 칩을 캐리어 척 기판에 압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반도체 스트립과 같이 복수의 반도체 칩을 본딩하는 경우 하나의 반도체 칩을 가압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동작을 반도체 칩 개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대될 수밖에 없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2018-0137887(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을 참조하면, 동 특허에 언급된 레이저 가압 헤드 구성은 가압 헤드가 여러 개의 플립칩을 동시에 가압한 상태에서 레이저 헤드가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며 각 플립칩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레이저를 조사하거나 또는 단일의 레이저 헤드가 여러 개의 플립칩에 레이저를 동시에 조사하는 방식으로 본딩 처리가 가능함에 대해 개괄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문헌2의 종래 레이저 가압 헤드 구성에 따르면 단일의 레이저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플립칩에 단일의 레이저빔을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조사함에 따라 균질화된 레이저빔을 조사 및 불량없이 복수의 플립칩을 리플로우하기는 기술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단일의 플립칩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가압 및 리플로우 처리함에 따라 전체 작업시간이 증가될 수밖에 없었고, 복수의 처리를 위해 다양한 기판의 사이즈에 수평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플립칩에 단일의 레이저빔을 동시에 조사하더라도 각각의 플립칩에 충분한 열에너지가 골고루 전달되기는 사실상 어려우므로 여전히 본딩 불량률이 개선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또한, 최근 기판 상에 본딩할 전자부품이 나날이 미세화됨에 따라 솔더의 크기도 함께 미세화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미세 솔더의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이 여전히 상압 분위기에서 수행됨에 따라 솔더의 융용 시 발생되는 흄(fume)에 의해 솔더 중에 보이드(void)가 다량으로 빈번하게 발생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미세 솔더 중에 발생된 보이드는 솔더에 구조적 또는 전기적으로 치명적인 불량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리플로우 처리된 미세 패턴의 전체적인 동작 신뢰성을 매우 취약하게 하는 문제점도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진공챔버 내부에서 투광성 가압부재에 의한 가압 및 레이저빔 조사에 의한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을 진행함으로써 복수의 전자부품을 동시에 가압 및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함에 의해 대량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솔더 중에 흄(fume)에 의한 보이드(void) 생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의 불량률이 대폭 개선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육면체의 밀폐 공간부로 형성되어 상기 육면체의 일측 및 타측에는 기판을 밀폐 공간부 내부로 인입, 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 및 투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부의 상부에는 레이저빔 조사홀이 형성되는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 상방에 구비되어 투광성 가압부재가 교체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를 파기하지 않도록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과 기밀한 상태를 유지하는 홀더부; 및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가 장착된 홀더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킴에 따라 진공챔버 내부에 위치된 기판을 투광성 가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 하에서 투광성 가압부재로 눌러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를 통해 진공챔버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전자부품을 기판에 본딩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과 홀더부의 사이 접촉부위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탄성체 재질의 오링(O-ring)이 더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빔 조사홀과 홀더부가 오링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압부에 의해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안착된 투광성 가압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의 일측에는 기판이 인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반대쪽 타측에는 기판이 인출되는 투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투출구에는 각각 셔터가 구비됨으로써 진공챔버의 내부 공간부가 상기 셔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에는 투입구로부터 인입된 기판을 레이저 조사홀 직하방으로 이송하여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한 후 상기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된 기판을 투출구로 이송하여 진공챔버 외부로 인출하는 캐리어 척이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의 상방에는 둘 이상의 레이저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투광성 가압부재를 통하여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에 레이저빔이 중첩 조사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홀더부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 레이저빔 조사홀이 형성됨과 함께 홀더부의 외곽라인이 원형 또는 좌우 대칭 구조의 정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곽라인을 동등하게 3분할하는 가장자리 지점에 아암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아암에는 각각 가압부가 연결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공챔버의 투입구 및 투출구 외측에는 레이저 본딩 시 발생하는 흄(fume)이 투광성 가압부재의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을 풀어주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릴-투-릴(reel to reel) 방식의 보호필름 이송부가 각각 더 구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셔터는 투입구 또는 투출구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대기하다가 투입구 또는 투출구를 폐쇄할 때에는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보호필름이 투입구 또는 투출구에 끼인 상태로 상기 투입구 또는 투출구를 막아 진공챔버 내부를 기밀하게 폐쇄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셔터가 폐쇄된 후에는 진공펌프가 구동되면서 진공챔버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의 전자부품을 동시에 가압함과 동시에 균질화된 레이저빔을 조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량 처리에 의해 생산성이 대폭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사이즈나 전자부품의 배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마스크 플레이트 및 투광성 가압부재를 교체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다양한 기판을 모두 균일하게 리플로우 처리함에 따라 불량률이 대폭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 하에서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솔더 중에 흄(fume)에 의한 보이드(void) 생성이 효과적으로 방지됨은 물론, 보이드에 의한 불량률 개선과 더불어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 하에서는 산소의 농도가 낮기 때문에 진공챔버 및 상기 진공챔버 내부에 배치된 금속재 부품 및 자재의 산화가 방지될 뿐만 아니라, 금속의 산화 시 발생되는 파티클 감소로 불량률이 더욱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레이저 모듈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저 모듈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저 모듈의 구성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저 모듈에 적용가능한 레이저 광학계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요부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에 대한 요부 확대도
도 12는 도 10의 요부 평면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내지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플로우 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챔버(800) 내부에 구비된 컨베이어(111)에 지지되면서 이송되는 본딩대상물(11)에 면광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멀티 레이저 모듈(310, 320)과, 상기 레이저 모듈(310, 320)과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설치되며 면 광원 형태의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투광성 가압부재(100),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필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복수의 멀티 레이저 모듈(310, 320)은 레이저 발진기에서 발생되어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레이저를 면 광원으로 변환시켜서 본딩대상물(11)에 조사한다.
상기 멀티 레이저 모듈(310, 320)은 스폿(spot) 형태의 레이저를 면 광원 형태로 변환하는 빔 쉐이퍼(도 5 참조)와, 상기 빔 쉐이퍼의 하부에 배치되며 빔 쉐이퍼에서 출사되는 면 광원이 본딩대상물(11)의 조사영역에 조사되도록 복수의 렌즈모듈이 경통 내부에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장착되는 광학부(도 5 내지 도 9 참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 레이저 모듈(310, 320)은 본딩대상물(11)과의 정렬을 위해 z 축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거나 x 축을 따라 좌, 우 이동하거나 y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본딩대상물(11)을 눌러 가압하는 투광성 가압부재(100)와 본딩대상물(11)에 면 광원 형태의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모듈(310, 320)을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투광성 가압부재(100)로 본딩대상물(11)을 눌러준 상태에서 레이저 모듈(310, 320)을 본딩대상물(11)의 복수의 조사 위치로 이동시킨 후 구동함에 의해 하나의 본딩대상물(11)에 대한 택트 타임(tact time)의 단축 및 복수의 본딩대상물(11) 전체에 대한 본딩 작업의 고속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는 소정 형태의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미도시)에 의해 작업 위치 또는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데, 일례로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는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하강 또는 상승시키거나 좌, 우로 이동시킨 후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압력감지센서(도면 미도시)와 높이센서(도면 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와 높이센서는 투광성 가압부재(100)와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와 본딩대상물을 지지하는 컨베이어(111)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압력감지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압력이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를 제어하고, 또한 높이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높이의 목표치에 도달하도록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미도시)는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미도시)가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는 컨베이어(111)와 나란하게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겐트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투광성 가압부재 이송부를 x 축, y 축, 또는 z 축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투광성 가압부재(100)에 압력을 가하는 1개 이상의 가압부(도 10 및 도 12 참조)와 투광성 가압부재(100)에 미치는 압력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감지센서(미도시)와 투광성 가압부재의 높이를 검출하는 하나 이상의 높이센서(미도시)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센서는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로드셀로 구현될 수 있으며, 높이센서는 리니어 엔코더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통하여 본딩대상물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정하여 대면적의 경우 다수의 액추에이터와 다수의 압력감지센서를 통하여 동일한 압력이 본딩대상물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 혹은 다수의 높이 센서를 통하여 본딩대상물이 본딩되어지는 순간의 높이 위치값을 확인하거나 더 정확한 본딩 높이의 수치를 찾을 수 있는 기술적 데이타를 제공하며, 일정한 높이의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 공정을 수행할 경우에 정확한 높이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투광성 가압부재(100)은 레이저 모듈(310, 320)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를 투과시키는 모재로 구현될 수 있다.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모재는 모든 빔투과성 재질로 구현 가능하다.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모재는 예를 들어, 쿼츠(Quartz), 사파이어(sapphire), 용융실리카유리(Fused Silica Glass) 또는 다이아몬드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쿼츠(Quarts) 재질로 구현된 투광성 가압부재의 물리적 특성은 사파이어(sapphire)로 구현된 투광성 가압부재의 물리적 특성과 다르다.
예컨대, 980㎚ Laser를 조사할 경우, 쿼츠(Quarts)재질로 구현된 투광성 가압부재의 투과율은 85%∼99%이며 본딩대상물에서 측정된 온도는 100℃이다. 반면에 사파이어(sapphire)로 구현된 투광성 가압부재의 투과율은 80%∼90%이며 본딩대상물에서 측정된 온도는 60℃이다.
즉, 광 투과율과 본딩에 필요한 열 손실 측면에서 쿼츠(Quarts)는 사파이어(sapphire)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본 출원 발명자는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를 개발하면서 투광성 가압부재(100)을 반복적으로 테스트해 본 결과, 쿼츠(quartz)재질로 구현되는 투광성 가압부재(100)은 레이저 본딩 시 크랙(crack)이 발생하거나 바닥면에서 연소(burning)가 발생하여 본딩품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는 레이저 본딩 시 발생하는 가스(fume)가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바닥면에 달라붙고, 가스(fume)가 달라붙은 부분에 레이저의 열원이 집중되어 열적 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쿼츠(quartz) 재질로 구현되는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손상을 막고 내구성 향상을 위해, 쿼츠(quartz) 재질로 구현되는 투광성 가압부재의 바닥면에 박막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박막 코팅층은 통상의 광학코팅인 유전체코팅 또는 SiC코팅 또는 금속물질코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성 가압부재(100) 하부로, 레이저 본딩 시 발생하는 가스(fume)가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필름(200) 및 상기 보호필름(200)을 이송시키는 보호필름 이송부(21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호필름 이송부(210)는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200)을 풀어주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릴-투-릴(reel to reel)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200)은 일례로, 최고 사용온도가 섭씨 300도 이상이고, 연속 최고 사용온도가 260도 이상으로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상기 보호필름(200)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통상적으로 테플론수지라고도 부름;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또는 퍼플로로 알콕시 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퍼플루오로알콕시수지(Per Fluoro Alkylvinyether copolymer; PFA)는 불소화 에틸렌 프로필렌 수지의 내열성을 개선하는 제품으로, 연속 최고 사용온도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수지와 같은 섭씨 260도로 기록되어 고기능성 수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글 레이저 모듈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저 모듈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단일의 레이저 모듈(310)을 구비하며, 이에 따라 FPCB 기판 상에 싱글 레이저빔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레이저 모듈(310)에 의해 조사된 레이저빔은 레이저빔의 세기가 균질화된 스퀘어 빔 형상으로 변형된 상태로 기판 상에서 조사된다.
한편,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저 모듈은 예를 들어 제1 레이저 모듈(310)과 제2 레이저 모듈(320)로 구성되며, 본딩대상물(11)의 전자부품이 부착되는 위치에서는 제1, 2 레이저 모듈이 서로 중첩된 상태로 조사됨으로써 균질화된 중첩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도 4에서 제1 레이저빔이 스퀘어 형상이고 제2 레이저빔이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두 레이저빔이 모두 스퀘어 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레이저빔과 제2 레이저빔은 동시에 조사될 수도 있고, 제1 레이저빔에 의한 본딩대상물(11)의 예열 후에 제2 레이저빔이 순차적으로 조사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레이저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에서, 각 레이저 모듈(310, 320, ... 330)은 각기 냉각장치(316, 326, 336)를 구비한 레이저 발진기(311, 321, 331), 빔 쉐이퍼(312, 322, 332), 광학렌즈모듈(313, 323, 333), 구동장치(314, 324, 334), 제어장치(315, 325, 335) 및 전원공급부(317, 327, 3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동일 구성을 갖는 각 레이저 모듈 중 제1 레이저 모듈(310)을 위주로 설명한다.
레이저 발진기(311)는 소정 범위의 파장과 출력 파워를 갖는 레이저빔을 생성한다. 레이저 발진기는 일례로 ‘750nm 내지 1200nm’ 또는 ‘1400nm 내지 1600nm’ 또는 ‘1800nm 내지 2200nm’ 또는 ‘2500nm 내지 3200nm’의 파장을 갖는 다이오드 레이저(Laser Diode, LD) 또는 희토류 매질 광섬유 레이저(Rare-Earth-Doped Fiber Laser) 또는 희토류 매질 광결정 레이저(Rare-Earth-Doped Crystal Laser)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755nm의 파장을 갖는 알렉산드라이트 레이저 광을 방출하기 위한 매질, 또는 1064nm 또는 1320nm의 파장을 갖는 엔디야그(Nd:YAG) 레이저 광을 방출하기 위한 매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빔 쉐이퍼(beam shaper)(312)는 레이저 발진기에서 발생하여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스폿(spot) 형태의 레이저를 플랫 탑을 가진 면광원(Area Beam) 형태로 변환시킨다. 빔 쉐이퍼(312)는 사각 광 파이프(Square Light Pipe), 회절광학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 DOE) 또는 마이크로렌즈어레이(Micro-Lens Array, MLA)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광학렌즈모듈(313)은 빔 쉐이퍼에서 면 광원 형태로 변환된 레이저빔의 형태와 크기를 조정하여 PCB 기판에 장착된 전자부품 내지 조사 구역으로 조사하도록 한다. 광학렌즈모듈은 복수의 렌즈의 결합을 통해 광학계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광학계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구동장치(314)는 조사면에 대해 레이저 모듈의 거리 및 위치를 이동시키고, 제어장치(315)는 구동장치(314)를 제어하여 레이저빔이 조사면에 도달할 때의 빔 형상, 빔 면적 크기, 빔 선명도 및 빔 조사 각도를 조정한다. 제어장치(315)는 또한 구동장치(314) 외에 레이저 모듈(310) 각 부의 동작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레이저출력조정부(3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프로그램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 레이저 모듈(310, 320, 330)에 대응하는 전원 공급부(317, 327, 337)에서 각 레이저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레이저출력조정부(37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모듈(350)로부터 조사면 상에서의 부품별, 구역별 또는 전체 리플로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각 전원 공급부(317, 327, 337)를 제어한다.
이와 달리, 레이저출력조정부(370)로부터의 제어정보가 각 레이저 모듈(310, 320, 330)의 제어장치(315, 325, 335)로 전달되고, 각 제어장치(315, 325, 335)에서 각기 대응하는 전원공급부(317)를 제어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6과 달리, 하나의 전원 공급부를 통해 각 레이저 모듈로 전력을 분배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레이저출력조정부(370)에서 전원공급부를 제어해야 한다.
레이저 중첩 모드를 구현하는 경우, 레이저출력조정부(370)는 각 레이저 모듈(310, 320, 330)로부터의 레이저빔이 필요한 빔 형상, 빔 면적 크기, 빔 선명도 및 빔 조사 각도를 갖도록 각 레이저 모듈 및 전원공급부(317, 327, 337)를 제어한다.
레이저 중첩 모드는 제1 레이저 모듈(310)을 이용하여 디본딩 대상 위치 주변 영역까지를 예열하고 제2 레이저 모듈(320)을 이용하여 보다 좁은 리플로우 대상 영역을 추가 가열하는 경우 외에도, 예열 기능 내지 추가 가열 기능을 제1, 2, 3 레이저 모듈(310, 320, ... 330) 간에 적절하게 분배하여 필요한 온도 프로파일을 갖도록 각 레이저 모듈을 제어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한편, 하나의 레이저 광원을 분배하여 각 레이저 모듈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분배된 각 레이저빔의 출력과 위상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레이저출력조정부(37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레이저빔 간에 상쇄 간섭을 유도하도록 위상을 제어하여 빔 평탄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한편, 복수 위치 동시 가공 모드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레이저출력조정부(370)가 각 레이저 모듈로부터의 레이저빔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이하도록 각 레이저빔의 빔 형상, 빔 면적 크기, 빔 선명도, 빔 조사 각도 및 빔 파장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이때에도, 하나의 레이저 광원을 분배하여 각 레이저 모듈에 입력하는 경우에는 분배된 각 레이저빔의 출력과 위상을 동시에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레이저출력조정부(37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서, 레이저빔 크기와 출력을 조정함에 의해 조사면 내의 전자부품들과 기판 간의 접합을 수행하거나 접합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기판 상에서 손상된 전자부품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레이저빔의 면적을 해당 전자부품 영역으로 최소화함에 따라 기판에 존재하는 인접한 다른 전자부품 내지 정상적인 전자부품에 레이저빔에 의한 열이 인가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거 대상인 손상된 전자부품만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레이저 모듈 별로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진 레이저빔을 방출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모듈은 전자부품에 포함된 복수의 재료층(예: EMC층, 실리콘층, 솔더층)이 각기 잘 흡수하는 파장을 갖는 개별 레이저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디본딩 장치는 전자부품의 온도와 인쇄회로기판이나 전자부품 전극간의 연결소재인 솔더(Solder)와 같은 중간접합재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상이하게 상승시켜 최적화된 접합(Attaching or Bonding) 또는 분리(Detaching or Debond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부품의 EMC몰드층과 실리콘층을 모두 투과하여 솔더층에 각 레이저빔의 모든 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거나, 레이저빔이 EMC몰드층을 투과하지 않고 전자부품의 표면을 가열하여 전자부품 하부의 본딩부로 열이 전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의 기능을 활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이저빔에 의해 리플로우 대상 전자부품 영역과 그 주변을 포함하는 기판의 일정 구역이 소정의 예열 온도까지 예열된 후,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이저빔에 의해 리플로우 대상 전자부품 영역의 온도가 솔더의 용융이 일어나는 리플로우 온도까지 선택적으로 가열되어진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의 싱글 레이저 모듈 또는 멀티 레이저 모듈에 적용가능한 레이저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가장 간단한 구조의 광학계로서, 빔 전송 광섬유(410)로부터 방출된 레이저빔이 볼록렌즈(420)를 통해 초점 정렬되어 빔 쉐이퍼(430)로 입사하면, 빔 쉐이퍼(430)에서 스폿 형태의 레이저빔을 플랫 탑(Flat-Top) 형태의 면광원(A1)으로 변환시키고, 빔 쉐이퍼(430)로부터 출력된 정사각형 레이저빔(A1)이 오목 렌즈(440)를 통해 원하는 크기로 확대되어 확대된 면광원(A2)으로 결상면(S)에 조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빔 쉐이퍼(430)로부터의 면광원(B1)이 오목 렌즈(440)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확대되어 제1 결상면(S1)에 조사되는 면광원(B2)이 된다. 이 면광원(B2)을 더욱 확대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추가 확대에 따라 면광원(B2)의 에지(edge) 부분의 경계가 더 불분명해 질 수 있으므로, 최종 조사면이 제2 결상면(S2)에서도 에지가 명확한 조사광을 얻기 위해서, 제1 결상면(S1)에 마스크(450)를 설치하여 에지를 트리밍한다.
마스크(450)를 통과한 면광원은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와 오목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줌 렌즈 모듈(460)을 통과하면서 원하는 크기로 축소(또는 확대) 조정되어 전자부품이 배치된 제2 결상면(S2)에 사각형 조사광(B3)을 형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빔 쉐이퍼(430)로부터의 정사각형 면광원(C1)이 오목 렌즈(440)를 통해 소정의 크기로 확대된 후, 적어도 한쌍의 원통형 렌즈(470)를 지나면서 예컨대 x축 방향으로 확대(또는 축소)(C2)되고 다시 적어도 한쌍의 원통형 렌즈(480)를 지나면서 예컨대 y축 방향으로 축소(또는 확대)되어 직사각형 형상의 면광원(C3)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원통형 렌즈는 원기둥 형상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형태로서 각 렌즈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 레이저빔을 확장 또는 축소시키는 기능을 하며, 원통형 렌즈가 배치된 표면 상에서의 렌즈가 x, y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형태에 따라 레이저빔을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조절한다.
이어서, 면광원(C3)은 하나 이상의 볼록렌즈와 오목 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줌 렌즈 모듈(460)을 통과하면서 원하는 크기로 확대(또는 축소) 조정되어 전자부품이 배치된 제2 결상면(S2)에 직사각형 조사광(C4)을 형성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광학계의 구성도이다.
도 9의 광학계는 도 8의 광학계에 마스크를 적용하여 레이저빔의 에지를 트리밍하는 구성이 추가된 것으로서, 도 8의 경우에 비해 보다 선명한 에지를 가진 최종 면광원(D5)을 얻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구성을 일 실시예에 따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A’ 부분에 대한 요부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요부 평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는 육면체의 밀폐 공간부로 형성되는 진공챔버(800)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챔버(800)의 일측 및 타측에는 본딩대상물(11)인 기판을 진공챔버의 밀폐 공간부 내부로 인입, 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801) 및 투출구(802)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진공챔버(800)의 상부면 중앙에는 레이저빔 조사홀(80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800)의 레이저빔 조사홀(803) 상방에는 홀더부(500)가 구비되고, 상기 홀더부(500)에는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교체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된다. 이때, 상기 홀더부에 안착된 투광성 가압부재(100)는 본딩대상물의 가압을 위해 본딩대상물과 접촉될 저부(가압면)가 레이저 조사홀을 통해 진공챔버 내부에 위치된 상태이다. (도 10 참조)
이에 따라 진공챔버(800) 상방에 구비된 레이저 모듈(30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은 상기 홀더부(500)에 장착된 투광성 가압부재(100)와 진공챔버(800)의 레이저 조사홀(803)을 통해 진공챔버(800) 내부로 조사되어진다.
또한, 상기 홀더부(500)의 테두리를 따라 적소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부(700)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700)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안착된 홀더부(500)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안착된 홀더부(5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선택적으로 눌러 하강시킴에 따라 진공챔버(800) 내부에 위치된 기판(11)이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800)에 의해 눌려 가압된다.
즉, 상기 가압부(700)에 의해 기판(11)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진공챔버(800) 내부의 진공 분위기 하에서 투광성 가압부재(100)로 눌러 가압함과 동시에 레이저 모듈(310, 32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통해 진공챔버(800) 내부로 조사된다.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800)가 기판을 가압하는 모드는 여러 가지 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11) 상의 전자부품에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최초 접촉된 후 자중을 실어 가압하는 자중 가압 모드와 기판 상의 전자부품에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중에 가압부(700)가 추가 하강하여 가압하는 포스 가압 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실제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에서는 상기 한가지 이상의 가압 모드가 혼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홀더부(500)는 중앙에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안착된 상태로 가압부(70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데, 이때 상기 홀더부(500)는 진공챔버(800) 내부의 진공 분위기를 파기하지 않도록 진공챔버(800)의 레이저빔 조사홀(803)과 기밀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진공챔버(800)의 레이저빔 조사홀(803)과 홀더부(500)의 사이 접촉부위에는 일정 두께 이상의 탄성체 재질의 오링(O-ring, OR)이 구비되고, 진공챔버(800)의 레이저빔 조사홀(803) 둘레와 홀더부(500)는 그 사이에 구비된 오링(OR)에 의해 서로 접촉되므로 항시 서로 기밀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800)의 일측에는 기판이 인입되는 투입구(801)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801)와 마주보는 반대쪽 타측에는 투출구(80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투입구(801)와 투출구(802)에는 각각 셔터(900)가 구비됨으로써 진공챔버(800)의 투입구(801) 및 투출구(802)가 상기 셔터(9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셔터(900)는 투입구(801) 및 투출구(802)에 인접하여 상기 투입구(801) 및 투출구(802)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대기하다가 투입구(801) 또는 투출구(802)를 폐쇄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셔터(900)가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투입구(801) 또는 투출구(802)에 보호필름(200)이 끼인 상태로 투입구(801) 또는 투출구(802)를 기밀하게 폐쇄한다. (도 10 참조)
또한, 상기 셔터(900)가 폐쇄된 후에는 진공펌프(미도시)가 구동되면서 진공챔버(800)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800) 내부에는 투입구(801)를 통해 인입된 기판(11)을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직하방으로 이송하여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한 후 상기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된 기판(11)을 투출구(802)로 이송하여 진공챔버(800)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캐리어 척(110) 및 컨베이어(11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800)의 상방에는 레이저 모듈(300)이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모듈(30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통하여 기판(11)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에 레이저빔이 중첩 조사된다.
상기 레이저 모듈(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싱글 레이저 모듈 또는 둘 이상의 레이저 모듈이 결합된 멀티 레이저 모듈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을 중첩 조사하기 위해 두 개의 레이저 모듈, 즉 제1 레이저 모듈(310) 및 제2 레이저 모듈(3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500)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 레이저빔 조사홀(803)이 형성됨과 함께 홀더부(500)의 외곽라인이 원형 또는 좌우 대칭 구조의 정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부(500)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곽라인을 동등하게 3분할하는 지점에 각각 가압부(700)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홀더부(500)의 평면 형상은 정육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홀더부(500)의 중앙에는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교체가능하게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500)의 평면상 중심으로부터 120도로 3분할되는 가장자리 3개소에는 각각 아암(510)이 연결되고, 상기 아암(510)의 홀더부(500) 반대쪽 끝단에는 가압부(70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3개의 아암(510)을 각각 승하강시킨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800)의 투입구(801) 및 투출구(802) 외측에는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200)을 풀어주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릴-투-릴(reel to reel) 방식의 보호필름 이송부(210)가 각각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필름(200)은 레이저 본딩 시 발생하는 흄(fume)이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바닥면에 직접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 하방의 보호필름(200)이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을 여러번 수행함에 따라 흄에 의해 오염된 경우 투입구(801) 외측의 보호필름 이송부(unwinder, 210)로부터 언와인딩된 보호필름(200)이 상기 투입구(801)를 통해 진공챔버(800) 내부의 투광성 가압부재(100)와 기판(11) 사이 공간을 경유하여 투출구(802) 외측의 보호필름 이송부(winder, 210)에 와인딩되면서 흄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새 보호필름(200)이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하방에 위치되도록 시프트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작동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딩대상물인 기판(11)이 진공챔버(800)의 투입구(801)쪽 셔터(90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투입구(801)를 통해 진공챔버(800) 내부로 인입된 후 캐리어 척(110) 상에 로딩되고, 상기 캐리어 척(110)은 기판(11)을 로딩한 상태로 컨베이어(111)에 의해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직하방으로 기판을 이송한다.
이어서, 투입구(801)쪽 셔터(900)가 폐쇄된 후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진공챔버(800)의 일측에 연결된 진공펌프(미도시)가 구동되면서 상기 진공펌프(800) 내부의 공기를 진공챔버(800) 외부로 배출시킴에 따라 상기 진공펌프(800) 내부에는 진공 분위기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진공챔버(800) 내부가 기설정된 일정 음압에 도달하면 본 발명에 의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이 진행되며, 먼저 가압부(700)가 홀더부(500)를 하강시킴에 따라 상기 홀더부(500)에 안착된 투광성 가압부재(100)도 진공챔버(800) 내부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홀더부(500)가 하강할 때에는 진공챔버(800)와 홀더부(500) 사이에 구비된 오링(OR)을 눌러 압박하게 되는데, 상기 홀더부(500)가 하강한 만큼 오링(OR)이 홀더부(500)에 의해 눌리면서 압축된다.(도 11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홀더부(500)와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하강한 거리(g)만큼 오링(OR)이 눌려 압축되고, 상기 홀더부(500)에 안착된 상태로 홀더부(500)와 함께 하강하는 투광성 가압부재(100)는 진공챔버(800) 내에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를 위해 이송된 본딩대상물인 기판(11) 상의 전자부품에 접촉된다.
즉, 도 11을 참조하면 홀더부(500)에 의해 압축되기 전 오링(OR-1)의 높이(h1)에서 압축된 후 오링(OR-2)의 높이(h2)를 차감하여 오링(OR)이 압축된 갭(g)만큼 홀더부(500)가 하강한다.
이어서,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가 하강하면서 기판(11) 상에 배치된 전자부품들을 일정 압력으로 눌러 가압하는 동시에 레이저 모듈(30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투광성 가압부재(100) 및 진공챔버(800)의 레이저빔 조사홀(803)을 통해 기판(11) 상의 전자부품에 조사되면서 솔더(미도시)가 가열된다.
이에 따라, 본딩대상물인 기판(11) 상의 전자부품들은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에 의해 가압됨과 동시에 레이저빔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전자부품의 하부에 배치된 솔더(미도시)가 용융되면서 전자부품이 기판(11) 상에 본딩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레이저 리플로우 공정이 완료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중첩 레이저빔이 전자부품 외 주변 기판 부분에 조사될 경우 상기 주변 기판 부분이 레이저빔의 열에너지에 의해 데미지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본딩대상물(11)의 전자부품에만 국한하여 조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딩대상물(11)의 전자부품 만이 정확히 가압 및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되기 위해 레이저 조사홀(803) 및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면적은 레이저빔의 투과 경로 및 중첩 면적 등을 고려하여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기판(11)의 사이즈에 대응될 수 있도록 홀더부(500)의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교체가능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다른 사이즈의 기판(11)을 처리하거나 상기 기판(11) 상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형상 및 면적에 따라 홀더부(500)와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다른 것으로 교체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은 투광성 가압부재(100)를 교체한 후에는 별도의 탐침 유닛(미도시)을 통해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상면을 찔러 탐침함으로써 교체된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사이즈의 기판(11)을 처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다른 사이즈의 투광성 가압부재(100)로 교체한 후, 상기 탐침 유닛(미도시)을 이용하여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평탄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투광성 가압부재(100)의 평탄도 조정 과정은 제어부 설정을 통해 자동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단지 앞서 기술된 일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장치의 세부 구성이나 개수 및 배치 구조를 변경할 때에도 동일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부가 및 삭제, 변형이 가능한 것임을 명시하는 바이다.
100 : 투과성 가압부재 200 : 보호필름
210 : 보호필름 이송부 300 : 레이저 모듈
500 : 홀더부 700 : 가압부
800 : 진공챔버 801, 802: (기판) 투입구, 투출구
803 : 레이저 조사홀 900 : 셔터
OR : 오링(O-ring) OR-1: (압축되기 전) 오링
OR-2: (압축된 후) 오링 g : 오링의 압축 변위값(gap)

Claims (9)

  1. 육면체의 밀폐 공간부로 형성되어 상기 육면체의 일측 및 타측에는 기판을 밀폐 공간부 내부로 인입, 출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 및 투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밀폐 공간부의 상부에는 레이저빔 조사홀이 형성되는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 상방에 구비되어 투광성 가압부재가 교체가능하게 끼워져 장착되고, 상기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를 파기하지 않도록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과 기밀한 상태를 유지하는 홀더부; 및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가 장착된 홀더부를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킴에 따라 진공챔버 내부에 위치된 기판을 투광성 가압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눌러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에 의해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진공챔버 내부의 진공 분위기 하에서 투광성 가압부재로 눌러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투광성 가압부재를 통해 진공챔버 내부로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전자부품을 기판에 본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의 레이저빔 조사홀과 홀더부의 사이 접촉부위에는 일정 두께를 갖는 탄성체 재질의 오링(O-ring)이 더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빔 조사홀과 홀더부가 오링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압부에 의해 홀더부와 상기 홀더부에 안착된 투광성 가압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의 일측에는 기판이 인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함께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반대쪽 타측에는 기판이 인출되는 투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와 투출구에는 각각 셔터가 구비됨으로써 진공챔버의 내부 공간부가 상기 셔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에는 투입구로부터 인입된 기판을 레이저 조사홀 직하방으로 이송하여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한 후 상기 레이저 리플로우 처리된 기판을 투출구로 이송하여 진공챔버 외부로 인출하는 캐리어 척이 구비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의 상방에는 둘 이상의 레이저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이 투광성 가압부재를 통하여 기판 상에 배열된 복수의 전자부품에 레이저빔이 중첩 조사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중앙에 레이저빔 조사홀이 형성됨과 함께 홀더부의 외곽라인이 원형 또는 좌우 대칭 구조의 정다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홀더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외곽라인을 동등하게 3분할하는 가장자리 지점에 아암이 결합됨과 함께 상기 아암에는 각각 가압부가 연결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의 투입구 및 투출구 외측에는 레이저 본딩 시 발생하는 흄(fume)이 투광성 가압부재의 바닥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롤 형태로 감긴 보호필름을 풀어주면서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릴-투-릴(reel to reel) 방식의 보호필름 이송부가 각각 더 구비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투입구 또는 투출구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대기하다가 투입구 또는 투출구를 폐쇄할 때에는 상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보호필름이 투입구 또는 투출구에 끼인 상태로 상기 투입구 또는 투출구를 막아 진공챔버 내부를 기밀하게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폐쇄된 후에는 진공펌프가 구동되면서 진공챔버 내부에 진공 분위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1020220063645A 2022-05-24 2022-05-24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20230163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45A KR20230163833A (ko) 2022-05-24 2022-05-24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EP22203359.9A EP4282570A1 (en) 2022-05-24 2022-10-24 Compression type laser reflow apparatus with vacuum chamber
CN202211313143.9A CN117102604A (zh) 2022-05-24 2022-10-25 具有真空腔室的加压方式的激光回流焊装置
JP2022171887A JP7504494B2 (ja) 2022-05-24 2022-10-27 真空チャンバーを設けた加圧方式のレーザリフロー装置
US17/976,133 US20230387069A1 (en) 2022-05-24 2022-10-28 Compression type laser reflow apparatus with vacuum cha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45A KR20230163833A (ko) 2022-05-24 2022-05-24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833A true KR20230163833A (ko) 2023-12-01

Family

ID=8399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45A KR20230163833A (ko) 2022-05-24 2022-05-24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87069A1 (ko)
EP (1) EP4282570A1 (ko)
KR (1) KR20230163833A (ko)
CN (1) CN117102604A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820B1 (ko) 2005-09-27 2006-12-2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플립칩 본더
JP2011084009A (ja) * 2009-10-16 2011-04-28 Kyoshin Engineering:Kk ラミネート装置、物品処理装置及び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方法
CN102319956B (zh) * 2011-08-16 2015-04-22 北京博晖创新光电技术股份有限公司 膜动聚合物微流控芯片的基板与隔膜焊接方法
JP6071122B2 (ja) * 2012-03-29 2017-02-01 住友化学株式会社 中空成形体の製造方法、中空成形体および製造装置
KR101975103B1 (ko) 2017-06-20 2019-05-03 주식회사 프로텍 플립칩 레이저 본딩 장치 및 플립칩 레이저 본딩 방법
KR102199450B1 (ko) * 2019-04-09 2021-01-06 레이저쎌 주식회사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
CN112750711B (zh) * 2019-10-30 2024-05-17 梭特科技股份有限公司 巨量固晶的方法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87069A1 (en) 2023-11-30
EP4282570A1 (en) 2023-11-29
JP2023172844A (ja) 2023-12-06
CN117102604A (zh) 202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9730B2 (ja) レーザリフロー装置
KR101937360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102022600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102228432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
KR102376989B1 (ko) 선형 이송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102228434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리플로우 방법
KR20210039620A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온도 센싱 모듈
KR102174929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리플로우 방법
KR102199450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
KR102174930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
KR20200129435A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본딩대상물 이송 모듈
KR20230163833A (ko) 진공챔버를 구비한 가압 방식의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JP7504494B2 (ja) 真空チャンバーを設けた加圧方式のレーザリフロー装置
KR102228433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
KR102327167B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가압 헤드 모듈
KR20220083629A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의 레이저 리플로우 방법
KR20210094906A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20200124558A (ko) 레이저 디본딩 장치의 석셕모듈
KR20200125205A (ko) 레이저 디본딩 장치의 히팅모듈
KR20210029344A (ko) 레이저스캐너를 포함한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KR20200145187A (ko) 레이저 디본딩 장치의 레이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