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822A -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822A
KR20230163822A KR1020220063628A KR20220063628A KR20230163822A KR 20230163822 A KR20230163822 A KR 20230163822A KR 1020220063628 A KR1020220063628 A KR 1020220063628A KR 20220063628 A KR20220063628 A KR 20220063628A KR 20230163822 A KR20230163822 A KR 2023016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ease
face
user
pai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수
김영은
김휘선
Original Assignee
후다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다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다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822A/ko
Priority to PCT/KR2023/004072 priority patent/WO2023229191A1/ko
Publication of KR2023016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r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한 후의 제2 증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질환에 연관된 질환 진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on-Face-To-Face disease diagnosis}
본 발명은 비대면으로 사용자의 증상을 진단하여 질환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 행동을 실시하기 전의 증상 정보와 특정 행동을 실시한 후의 증상 정보를 순차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유의미한 질환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은 자신의 신체적 증상이 어떠한 질환으로 인해 발현되었는지 파악하기 쉽지 않고, 자신의 질환에 대한 진찰이 가능한 적절한 의료 기관을 선택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최근 코로나 19의 전세계적인 대유형을 계기로 하여 비대면 진료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이러한 니즈에 맞춰, 환자와 의료인(예, 의사, 약사) 간에 증상 정보, 진료 정보 및 처방 정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인터넷을 통해 환자와 의료인를 매칭시켜 주는, 이른바 비대면 의료인 매칭 서비스들이 속속 제안되어 오고 있다.
비대면 의료인 매칭 서비스의 경우, 전문적 소양을 갖춘 의료인이 환자의 증상을 살펴본 결과에 따라 진료 정보가 제공한다는 점에서 환자의 증상에 관하여 일정 수준의 적절성을 보장할 수는 있으나, 그에 상응하는 높은 서비스 요금이 책정될 수 있으며, 의료인의 스케쥴에 따라 중증의 환자에 대한 진료가 지연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비대면 의료인 매칭 서비스의 단점에 대한 대안으로서 비대면 자가 진단 서비스 또한 존재한다. 비대면 자가 진단 서비스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된 환자의 증상 정보에 고유의 처리 로직(예, 인공지능, 빅데이터, 자연어 처리 등)을 적용하여 증상 정보에 매칭되는 질환 정보를 검색하거나 추정하여 환자에게 안내해주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한다.
그런데, 환자의 증상과 동일·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다수 질환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 로직의 우수하더라도, 특정 시점에서 입력되거나 센싱된 환자의 증상 정보만으로는 다수 질환들 중에서 환자가 실제로 겪고 있는 질환이 어느 것인지 식별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증상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의심 질환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행동을 실시하도록 요청한 다음, 특정 행동의 실시 후의 추가적인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하나를 필터링하여 적어도 하나의 대표 질환을 결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환 진단 정보의 품질 및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은, 사용자의 제1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한 후의 제2 증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질환에 연관된 질환 진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증상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제공된 제1 문진표의 복수의 문진 항목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입력된 복수의 문진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의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증상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준치 이상인 후보 질환, 또는 상기 제1 증상 정보와의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후보 질환을 상기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의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에 대해, 사전 정의된 배점표로부터, 당해 후보 질환과 상기 복수의 문진 내용 각각의 쌍별로 미리 배정된 점수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문진 내용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상기 배점표로부터 조회된 복수의 점수의 합계와 동일하게 당해 후보 질환의 상기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동 요청 메시지는,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설명하는 이미지, 동영상, 문구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증상 정보는,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 전후로의 상기 사용자의 통증 세기 및 통증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증상 정보에 대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각각의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상기 제2 증상 정보와의 관련도가 가장 높은 의심 질환을 상기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운동량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기압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은,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신체 안정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행동 요청 메시지는, 상기 신체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질환 진단 정보는, 상기 대표 질환을 진료 가능한 의료 기관, 상기 대표 질환을 경감시키는 권장 행동 및 상기 대표 질환을 악화시키는 위험 행동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비대면 질환 진단 장치는, 사용자의 제1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증상 정보를 기초로, 사전 정의된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한 후의 상기 사용자의 제2 증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 질환에 연관된 질환 진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특정 시점에서의 사용자의 증상 정보에 연관된 복수의 의심 질환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특정 행동(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하도록 요청한 다음, 특정 행동의 실시 후의 추가적인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하나를 필터링하여 대표 질환을 결정할 수 있다.
즉, 특정 행동의 실시 전의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전체 질환들(후보 질환군) 중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의심 질환군을 1차적으로 선별한 다음, 특정 행동의 실시 후의 증상 정보를 이용하여 의심 질환군 중에서 하나를 대표 질환으로서 2차적으로 선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질환 진단 정보의 품질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선별된 경우,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에 대해 서로 상이한 관련도(예, 통증 세기의 변화 수준, 통증 발현 범위의 변화 수준)를 갖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행동을 특정 행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심 질환군으로부터 대표 질환군을 선별함에 있어서, 특정 행동의 실시 후의 추가적인 증상 정보의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제1 문진표에 대한 문진 답변의 입력 상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20에서 수행되는 의심 질환의 설정 프로세스의 상세 루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제1 배점표를 예시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행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 시에 출력되는 예시적인 화면 정보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문진표에 대한 문진 답변의 입력 상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단계 S250에서 수행되는 대표 질환의 설정 프로세스의 상세 루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제2 배점표를 예시한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어느 하나를 나머지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그러한 용어들에 의해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 및 비대면 질환 진단 장치(200)(이하, '질환 진단 장치'라고 칭함)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로서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가 제시되어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각각은, 임의의 질환에 의해 발현되는 증상을 겪는 환자(의료 소비자)로서의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는, 인터넷 등의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질환 진단 장치(200)에 접속되어, 후술된 사용자의 진단 정보에 기초한 질환 진단 프로세스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b) 또한 제1 통신 채널을 통해 질환 진단 장치(200)에 접속되어, 질환 진단 프로세스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와 사용자 디바이스(100b)는, 블루투스 등의 제2 통신 채널을 통해 상호 접속되어, 질환 진단 프로세스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와 사용자 디바이스(100b)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예, 안테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입력 기능(예, 터치 패널, 마이크로폰, 카메라), 정보 출력 기능(예, 디스플레이, 스피커), 정보 처리 기능(예, CPU) 및 정보 저장 기능(예, SD 카드)을 갖는 공지의 컴퓨팅 디바이스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100a)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착용 불가한의 모바일 기기이고, 사용자 디바이스(100b)는 스마트 워치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 가능한(wearable)의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b)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착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생체 신호, 이를 테면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운동량 등을 계측 가능한 공지의 센서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적어도 하나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00a)와 접속되어 질환 진단 프로세스에 요구되는 각종 정보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다. 물론, 질환 진단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a)와 마찬가지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00b)에 접속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b)에 직접 접속되는 대신, 사용자 디바이스(100a)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100b)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디바이스(100b)에 의해 계측된 사용자 생체 정보(예, 생체 신호별 시계열)는 사용자 디바이스(100a)에 전달된 다음, 사용자 디바이스(100a)가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사용자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유사하게, 질환 진단 장치(20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b)가 수신처로 설정된 임의의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100a)에게 전달한 다음, 사용자 디바이스(100a)는 질환 진단 장차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의 수신처를 참조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b)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어느 하나가 제1 통신 채널에 미접속된 상태에서도,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다른 하나에 의해 질환 진단 장치(200)와의 통신을 지속할 수 있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통신부(210) 및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통신 채널을 통한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속 및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 회로를 포함한다. 일 예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a)로부터 진단 요청, 증상 정보, 디바이스 위치 정보 등을 수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00a)에게 문진표, 행동 요청 메시지, 질환 진단 정보 등을 전송한다. 다른 예로, 통신부(210)는, 사용자 디바이스(100b)로부터 디바이스 위치 정보, 생체 정보, 외부 환경 정보 등을 수신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00b)에게 질환 진단 정보 등을 전송한다. 외부 환경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100a)나 사용자 디바이스(100b)로부터 제공되는 대신,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의 디바이스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기상청 서버 등로부터 수집되는 것일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된 제어부(230)가 비대면 질환 진단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데에 이용되는, 데이터, 정보 및 프로그램들을 기록하고 있다. 저장부(220)에 기록된 프로그램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23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하드웨어적으로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도 2, 도 4 및 도 8에 따른 비대면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복수의 신체 부위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질환 리스트를 저장한다. 즉, 각 질환 리스트는, 특정 신체 부위에 매핑되며, 둘 이상의 후보 질환을 포함한다.
저장부(220)는, 복수의 통증 가감 행동을 포함하는 제1 행동 리스트를 저장한다. 각 통증 가감 행동은, 복수의 후보 질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통증의 수준을 일시적(비영구적)으로 강화 또는 완화하는 것으로 사전 정의된 것이다.
일 예로, 제1 통증 가감 행동(예, 몸통을 좌우로 천천히 비틀기)은, 기준 행동(예,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서 있기) 대비 제1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을 제1 수준만큼 심화(경화)시키는 반면 제2 및 제3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은 각각 제2 수준만큼 완화시키는 행동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통증 가감 행동(예, 다리를 편 상태로 허리를 45도 정도 숙이기)은, 기준 행동 대비 제2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을 제3 수준만큼 심화시키는 반면 제4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은 제4 수준만큼 심화시키는 행동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통증 가감 행동(예, 빠르게 걷기)은, 기준 행동 대비 제5 및 제6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을 제5 수준만큼 완화시키는 반면 제1 및 제7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은 제6 수준만큼 완화시키는 행동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4 통증 가감 행동(예, 고개를 좌우로 천천히 돌리기)은, 기준 행동 대비 제8 후보 질환에 의한 통증을 제7 수준만큼 심화시키는 반면 나머지 후보 질환들에 의한 통증에는 유의미한 변화를 미치지 않는 행동일 수 있다.
복수의 통증 가감 행동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저장부(220)는, 복수의 권장 행동을 포함하는 제2 행동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각 권장 행동은, 복수의 후보 질환 중 적어도 하나를 경감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것이다.
저장부(220)는, 복수의 위험 행동을 포함하는 제3 행동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각 위험 행동은, 복수의 후보 질환 중 적어도 하나를 악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것이다.
저장부(220)는, 복수의 의료 기관을 포함하는 의료 기관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의료 기관 리스트의 각 의료 기관은, 적어도 하나의 후보 질환에 매핑되어 있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 및 저장부(220)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질환 진단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들을 관장하는 주체로서, 하드웨어적으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라 함은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 대한 전송 동작에 대한 설명은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전송 동작을 의미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 의한 전송 동작에 대한 설명은 사용자 디바이스(100a)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b)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전송 동작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진단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그에 설치된 질환 진단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화면에 표시되는 질환 진단 요청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진단 요청 신호를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12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진단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제1 증상 정보를 요청한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제1 증상 정보를 요청 시, 기준 행동을 취한 상태에서의 자각 증상을 설명하는 제1 증상 정보를 입력할 것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기준 행동은, 고정된 특정 자세이거나 순서화된 일련의 자세들로 구성된 동작일 수 있으며, 신체 부위별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가령, 허리에 대한 기준 행동은 발에 대한 기준 행동과는 상이할 수 있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질환 진단 요청에 응답하여, 통증 부위에 연관된 복수의 문진 항목을 포함하는 제1 문진표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1 문진표는, UI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214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제1 증상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터치, 클릭, 가상 키보드, 음성 녹음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제1 문진표(300)의 복수의 문진 항목에 일대일 대응하는 복수의 문진 답변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1 증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a은 제1 문진표(300)에 대한 문진 답변의 입력 상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제1 문진표(300)는 사용자의 통증 부위가 허리인 경우를 상정하였다. 제1 문진표(300)는 각각에 매칭된 체크 박스에 대한 선택 이벤트(예, 터치)를 통해 해당 유무를 문진 답변으로서 입력 가능한 5개의 문진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각 문진 항목에는 고유의 항목 코드가 기 할당된 상태일 수 있고, 각 문진 항목에 입력된 문진 답변은 해당 문진 항목의 항목 코드에 매핑되어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증상 정보 내에서, 1번, 3번 및 4번 문진 항목의 항목 코드(예, WO1, WO3, WO4)는 사용자가 해당 문진 항목에 따른 증상이 있음을 나타내는 값(예, 1)에 매핑되는 한편, 2번 및 5번 문진 항목의 항목 코드(예, WO1, WO3, WO4)는 사용자가 해당 문진 항목에 따른 증상이 없음을 나타내는 값(예, 0)에 매핑된다.
한편, 도 3a에서는 각 문진 항목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에 대한 터치를 통해 단순히 해당 유무가 문진 답변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다. 즉, 적어도 하나의 문진 항목에 대응하는 문진 답변은 선다형, 자유 기재형, 음성 녹음형 등으로 입력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자유 기재형으로 입력된 문진 답변은 자연어 처리 등을 통해 표준화된 수치나 용어 등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음성 녹음형으로 입력된 문진 답변은 STT(Speech To Text) 등을 통해 표준화된 수치나 용어 등으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의 화면에는 제1 문진표(300)를 통한 제1 증상 정보의 입력 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한 가이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4번 문진 항목의 표시 영역이 선택(예, 터치)되는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번 문진 항목에 맵핑된 캐릭터(310, 320)가 등장하는 가이드 영상이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4번 문진 항목은 "양 팔을 위로 들었을 때에 양쪽 손의 높이가 다르다"이므로, 가이드 영상 속 캐릭터(310, 320) 또한 양 팔을 머리 위로 들어올렸을 때의 모습을 표현하며, 이때 양쪽 손의 높이가 같은 캐릭터(310)와 양쪽 손의 높이가 다른 캐릭터(320)가 동시에 표시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번갈아가며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310, 320)의 모습을 참조하여 제1 증상 정보를 적절히 입력하는 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는 4번 문진 항목을 예로 들었으나 다른 문진 항목에도 그에 대응하는 캐릭터가 등장하는 가이드 영상이 맵핑되어,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화면에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 S216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제1 증상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22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제1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한다. 단계 S210에서의 복수의 후보 질환은, 질환 진단 장치(200)에 의해 진단 가능한 것으로 사전 정의된 전체 질환들 중에서 단계 S210에서의 사용자 통증 부위에 매핑된 일부일 수 있다. 가령, 사용자의 통증 부위가 허리로 지정된 경우, 허리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 전방전위증, 척추 측만증, 추간판 탈출증 등과 같은 허리 관련 후보 질환들 중에서 의심 질환이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220의 상세 루틴에 관하여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222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222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230으로 진행된다. 단계 S222의 값이 "아니오"인 것은 단일의 후보 질환만이 의심 질환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며, 해당 의심 질환은 대표 질환으로 취급되어 단계 S260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단계 S23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저장부(220)에 기록된 제1 행동 리스트를 참조하여,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통증의 세기, 통증이 느껴지는 신체 범위 등)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한다.
단계 S234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6a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서 행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 시에 출력되는 예시적인 화면 정보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행동 요청 메시지는, 단계 S230에서 결정된 통증 가감 행동을 설명하는 이미지나 동영상(캐릭터 등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 문구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행동 요청 메시지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의 화면 상에 푸시 메시지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행동 요청 메시지는 사용자가 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할 때의 주의 사항을 나타내는 안내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6a과 같이 통증 가감 행동을 설명하는 이미지나 동영상을 표시하기 전 또는 후로, 통증 가감 행동을 취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피해야 하거나 반드시 숙지해야 하는 사항에 연관된 행동 양식을 설명하는 하나 또는 여러 캐릭터(610, 620)가 등장하는 안내 영상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한편,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는 도 6c와 같은 형태로도 표시될 수 있다. 도 6c를 참고할 때, 사용자는 통증 가감 행동을 설명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시청하기 전후로, 화면에 표시되는 캐릭터를 통해 자신이 느끼는 통증 부위를 선택(예, 터치, 클릭)하도록 유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특정 통증 부위를 선택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통증 가감 행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가 복수 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통증 가감 행동 실시 후 느껴지는 통증들을 몇 번의 단순 선택 행동을 실시함으로써 질환 진단 장치(200) 측에 증상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앞서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 임의의 캐릭터가 표시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질환 진단용 어플리케이션 상에는 개별 사용자의 3D 이미지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사전에 3D 촬영을 한 결과물(3D 이미지)을 질환 진단 장치(200)에 업로드 해 둘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3D 이미지는 병원, 또는 그 밖의 기관에서 사용자 동의를 얻어 촬영 및 공유된 것일 수 있다. 개별 사용자는 자신의 3D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신체부위를 기준으로 더 정확한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를 이용하여, 전술된 캐릭터 등을 통해 가이드된 내용에 맞춰 실시한 행동이나 자신의 증상과 관련된 신체 부분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치대에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를 거치하거나 또는 주변 지인에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를 맡겨, 통증 가감 행동 수행 과정을 따라하는 과정을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 상에서 실행되는 질환 진단용 어플리케이션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 구비된 녹화수단을 제어하여 통증 가감 행동 수행이 시작될 시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영상 녹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사용자가 통증 가감 행동을 수행 중에 촬영되는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에 대응하는 인물 객체를 검출하고, 검출된 인물 객체의 움직임을 통증 가감 행동과 비교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객체 움직임과 통증 가감 행동 간의 유사도를 연산한 다음,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통증 가감 행동을 정확히 수행하였음을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사용자가 통증 가감 행동을 정확히 수행하였음을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로부터 통지받는 것을 조건으로 후술된 단계 S240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를 촬영하여 얻어진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객체 움직임과 통증 가감 행동 간의 유사도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통증 가감 행동의 재실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단계 S24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제2 증상 정보를 요청한다. 제2 증상 정보는,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 전후로의 사용자의 통증 세기 및 통증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행동 요청 메시지의 전송 후,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에 따른 사용자의 통증 가감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문진 항목을 포함하는 제2 문진표(700)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242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제2 증상 정보를 생성한다. 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제2 문진표(700)의 문진 항목별 문진 답변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제2 증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제2 문진표(700)에 대한 문진 답변의 입력 상황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a에서의 제1 문진표(300)와 유사하게, 제2 문진표(700)는 통증 가감 행동에 연관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된 것으로서,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에 따른 통증 세기의 변화 또는 통증 범위의 변화를 문진 답변으로서 입력 가능한 10개의 문진 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1번, 3번, 5번, 7번 및 9번의 문진 항목은 순서대로 2번, 4번, 6번, 8번 및 10번의 문진 항목과는 배타적이며, 배타적 관계의 두 문진 항목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수치가 입력되면 다른 하나에 대한 수치 입력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통증 가감 행동에 의해, 특히 허리 통증의 세기 및 허리 통증이 나타내는 신체 범위가 크게 개선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단계 S244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제2 증상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전술된 바에 따라 촬영된 영상을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추후 의료기관을 통한 사용자의 대면 또는 비대면 진료가 진행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을 의료기관에 제공하여, 사용자에 대한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단계 S25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제2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한다. 단계 S250의 상세 루틴에 관하여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단계 S26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대표 질환에 연관된 질환 진단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게 전송한다. 질환 진단 정보는, 대표 질환을 진료 가능한 의료 기관, 대표 질환을 경감시키는 권장 행동 및 상기 대표 질환을 악화시키는 위험 행동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낸다.
한편, 도 2에 따른 방법은 단계 S218 및 단계 S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8에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질환 진단 장치(200)에게 전송한다. 신체 활동 정보는, 사용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운동량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 항목의 시계열을 포함한다. 외부 환경 정보는, 사용자의 위치(사용자 디바이스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기압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의 시계열을 포함한다. 항목별 시계열은, 관심 기간에 걸친 해당 항목의 값의 변화를 나타낸다. 여기서, 관심 기간은, 예컨대 진단 요청 신호나 제1 증상 정보의 전송 시각을 종료 시각으로 하고 소정의 시간 길이를 갖는 기간일 수 있다.
외부 환경 정보의 일부 항목(예, 기압, 풍속)의 시계열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 의해 직접 계측되는 대신, 질환 진단 장치(200)가 사용자 위치를 기초로 기상청 서버로부터 수집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 설치된 날씨 정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계 S218은 단계 S216과 별개로 수행되는 대신, 단계 S216에서 제1 증상 정보의 전송 시에 부가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질환 진단 장치(200)는, 단계 S222의 값이 "예"인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단계 S232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부가 정보를 기초로, 신체 안정화 시간을 산출한다. 신체 안정화 시간은, 사용자의 신체 활동과 주변 환경으로 인해 가중된 사용자의 신체적 스트레스가 해소되는 데에 필요한 시간의 추정치이다. 일 예로, 동일 질환이더라도, 사용자가 가혹 조건(영하의 외부에서 오랜 시간 동안 고강도 운동을 진행한 직후)에서 느끼는 증상은, 적정 조건(실온에서 편안히 서있을 때)에서 느끼는 증상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상세하게는, 저장부(220)에는, 부가 정보의 항목별 대표값과 항목별 안정 필요 시간 간의 관계 함수가 저장될 수 있다. 임의의 항목의 대표값이란, 해당 항목의 시계열의 최대값, 최소값, 평균값, 중간값 또는 적분값일 수 있다. 질환 진단 장치(200)는, 부가 정보의 항목별 대표값을 연산한 다음 관계 함수로부터 항목별 대표값에 대응하는 안정 필요 시간을 취득할 수 있다.
부가 정보에 복수의 항목들 포함된 경우, 질환 진단 장치(200)는 항목별 안정 필요 시간의 합계와 동일하게 신체 안정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부가 정보에 단일 항목만이 포함된 경우, 신체 안정화 시간은 해당 항목의 안정 필요 시간과 동일하다. 만약, 부가 정보의 일부 항목의 시계열이 미취득된 경우, 질환 진단 장치(200)는 미취득된 각 항목에 대응하는 안정 필요 시간을 소정의 기준 시간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행동 요청 메시지는, 안정 필요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증상 정보의 수신 시각 또는 그 이전의 특정 시각으로부터 신체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타이밍에서, 사용자에게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알림 메시지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100a, 100b)에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단계 S220에서 수행되는 의심 질환의 설정 프로세스의 상세 루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제1 배점표(500)를 예시한다. 도 4의 방법은,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에 대해서 1회씩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사전 정의된 제1 배점표(500)로부터, 후보 질환과 복수의 문진 답변 각각의 쌍별로 미리 배정된 점수를 조회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배점표(500)는 복수의 문진 답변과 복수의 후보 질환에 대해 미리 배정된 점수들을 정의하고 있다. 일 예로, 도 3a에서와 같이 5개의 문진 답변이 입력된 경우, 후보 질환 1에 대해 5개의 점수인 1점, 1 점, 3 점, 2 점 및 5 점이 제1 배점표(500)로부터 조회되고, 후보 질환 2에 대해 5개의 점수인 5점, 8점, 3점, 4점 및 1점이 제1 배점표(500)로부터 조회되며, 후보 질환 3에 대해 5개의 점수인 3점, 4점, 1점, 5점 및 2 점이 제1 배점표(500)로부터 조회된다. 도 5에서는 제1 배점표(500)의 모든 점수가 0 또는 양수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적어도 하나의 점수는 음수일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복수의 문진 답변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제1 배점표(500)로부터 조회된 복수의 점수의 합계와 동일하게, 후보 질환의 관련도를 결정한다. 일 예로, 후보 질환 1에 대해 조회된 5개 점수의 총 합인 12점은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후보 질환 1의 관련도로 결정되고, 후보 질환 2에 대해 조회된 5개 점수의 총 합인 21점은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후보 질환 2의 관련도로 결정되며, 후보 질환 3에 대해 조회된 5개 점수의 총 합인 15점은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후보 질환 3의 관련도로 결정된다. 즉, 후보 질환 2이 제1 증상 정보에 대해 가장 높은 관련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고, 후보 질환 1이 제1 증상 정보에 대해 가장 낮은 관련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후보 질환의 관련도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기준치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서 예컨대 15일 수 있다. 전술된 예에 따르면, 후보 질환 2 및 후보 질환 3에 대해서는 단계 S430의 값이 "예"로 출력되는 반면, 후보 질환 1에 대해서는 단계 S430의 값이 "아니오"로 출력된다. 단계 S430의 값이 "예"인 경우, 단계 S440로 진행된다.
단계 S44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후보 질환을 의심 질환으로 설정한다.
대안적으로, 단계 S430 및 S440을 수행하는 대신, 단계 S410 및 단계 S420을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에 대해 진행하여 복수의 후보 질환에 일대일로 결정된 복수의 관련도를 결정한 다음,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소정 개수(예, 2)의 후보 질환을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것도 무방하다.
도 8은 도 2의 단계 S250에서 수행되는 대표 질환의 설정 프로세스의 상세 루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을 설명하는 데에 참조되는 제2 배점표(900)를 예시한다. 도 8의 방법은, 복수의 의심 질환 각각에 대해서 1회씩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과정을 통해 후보 질환 2 및 후보 질환 3이 각각 의심 질환 1 및 의심 질환 2로 설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사전 정의된 제2 배점표(900)로부터, 각 의심 질환과 복수의 문진 답변 각각의 쌍별로 미리 배정된 점수를 조회한다.
도 9에 도시된 제2 배점표(900)는 도 7에 따른 제2 문진표(700)에 대응하는 것이다. 제2 문진표(700)에서 짝수 번째의 문진 항목들은 비활성화된 상태이므로, 제2 배점표(900)에는 홀수 번째의 문진 답변들 각각과 의심 질환 1 및 의심 질환 2에 대해 배정된 점수들을 예시하고 있다. 일 예로, 도 7에서와 같이 5개의 홀수 번째 문진 항목에 대한 문진 답변이 입력된 경우, 의심 질환 1에 대해 5개의 점수인 2점, 1점, 4점, 1점 및 0점이 제2 배점표(900)로부터 조회되며, 의심 질환 2에 대해 5개의 점수인 8점, 7점, 4점, 1점 및 2점이 제2 배점표(900)로부터 조회된다.
단계 S82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복수의 문진 답변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제2 배점표(900)로부터 조회된 복수의 점수의 합계와 동일하게, 의심 질환의 관련도를 결정한다. 일 예로, 의심 질환 1에 대해 조회된 5개 점수의 총 합인 8점은 제2 증상 정보에 대한 의심 질환 1의 관련도로 결정되고, 의심 질환 2에 대해 조회된 5개 점수의 총 합인 22점은 제2 증상 정보에 대한 의심 질환 2의 관련도로 결정된다.
단계 S830에서, 질환 진단 장치(200)는,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제2 증상 정보에 대한 관련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한 의심 질환을 대표 질환으로 설정한다.
대안적으로, 제2 증상 정보에 대한 최대 관련도와의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적어도 하나의 의심 질환이 존재하는 경우, 질환 진단 장치(200)는, 단계 S230을 재수행하여 새로운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한 다음, 새로운 통증 가감 행동에 대하여 단계 S234~S250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블록도와 순서도에 포함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실행하는 구성들은 상기 구성들 사이의 논리적인 경계를 의미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시된 구성들과 그 기능들은 독립형 소프트웨어 모듈, 모놀리식 소프트웨어 구조, 코드, 서비스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실행되며,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명령어 등을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구비한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어 그 기능들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모든 실시 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과 그에 대한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는 하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특정 배열이 분명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단순히 추론되어서는 안 된다. 즉, 이상에서 기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그러한 실시 예들이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보유하면서 일부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순서도의 경우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가장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도시된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 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비대면 질환 진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비대면 질환 진단 장치

Claims (12)

  1. 사용자의 제1 증상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한 후의 제2 증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 질환에 연관된 질환 진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상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제공된 제1 문진표의 복수의 문진 항목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입력된 복수의 문진 내용을 포함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의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증상 정보와의 관련도가 기준치 이상인 후보 질환, 또는 상기 제1 증상 정보와의 관련성이 높은 순서로 소정 개수의 후보 질환을 상기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상 정보에 대한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의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후보 질환 각각에 대해,
    사전 정의된 배점표로부터, 당해 후보 질환과 상기 복수의 문진 내용 각각의 쌍별로 미리 배정된 점수를 조회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문진 내용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상기 배점표로부터 조회된 복수의 점수의 합계와 동일하게 당해 후보 질환의 상기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동 요청 메시지는,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설명하는 이미지, 동영상, 문구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증상 정보는,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 전후로의 상기 사용자의 통증 세기 및 통증 범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증상 정보에 대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각각의 관련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상기 제2 증상 정보와의 관련도가 가장 높은 의심 질환을 상기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신체 활동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신체 활동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체온, 혈압, 심박수, 심전도, 운동량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환경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서의 온도, 습도, 기압 및 풍속 중 적어도 하나의 시계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를 기초로, 신체 안정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행동 요청 메시지는, 상기 신체 안정화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 진단 정보는,
    상기 대표 질환을 진료 가능한 의료 기관, 상기 대표 질환을 경감시키는 권장 행동 및 상기 대표 질환을 악화시키는 위험 행동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을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
  12. 사용자의 제1 증상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제1 증상 정보를 기초로, 사전 정의된 복수의 후보 질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의심 질환으로 설정하고, 복수의 의심 질환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 적어도 둘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을 서로 다른 수준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미리 정해진 통증 가감 행동을 결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의 실시를 요청하는 행동 요청 메시지를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통증 가감 행동을 실시한 후의 상기 사용자의 제2 증상 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의심 질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의 대표 질환으로 설정하고,
    상기 대표 질환에 연관된 질환 진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질환 진단 장치.
KR1020220063628A 2022-05-24 2022-05-24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30163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28A KR20230163822A (ko) 2022-05-24 2022-05-24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PCT/KR2023/004072 WO2023229191A1 (ko) 2022-05-24 2023-03-28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628A KR20230163822A (ko) 2022-05-24 2022-05-24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822A true KR20230163822A (ko) 2023-12-01

Family

ID=8891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628A KR20230163822A (ko) 2022-05-24 2022-05-24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3822A (ko)
WO (1) WO20232291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244A1 (ko) * 2010-09-09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가진찰방법 및 자가진찰장치
US11133096B2 (en) * 2011-08-08 2021-09-28 Smith & Nephew, Inc. Method for non-invasive motion tracking to augment patient administered physical rehabilitation
KR102463383B1 (ko) * 2015-02-27 2022-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착용형 전자 장치
KR102202864B1 (ko) * 2019-03-05 2021-01-15 (주)비바이노베이션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문진을 통한 질병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290504B1 (ko) * 2019-07-24 2021-08-19 주식회사 에버닌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191A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9616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health status
Mengoudi et al. Augmenting dementia cognitive assessment with instruction-less eye-tracking tests
US11816264B2 (en) Vital data acquisition and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and method
Pagiatakis et al. Intelligent interaction interface for medical emergencies: Application to mobile hypoglycemia management
US20200090813A1 (en) Method of Constructing Database
JP2020513274A (ja) バランスを定量化するための多重パラメータ法
US2022039262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virtual reality psychological test service
JP6402345B1 (ja) 指導支援システム、指導支援方法及び指導支援プログラム
KR20230163822A (ko) 비대면 질환 진단 방법 및 장치
KR20210084443A (ko) 시공간 기억 및/또는 현출성의 자동 수동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23157596A1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240112777A1 (en) Health support apparatus, health support system, and health support method
Elkefi Supporting patients’ workload through wearable devices and mobile health applica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Do et al. Measuring posture change to detect emotional conditions for workers: A scoping review
Ghady El Khoury Patient-centered outcomes in hand surgery
KR20230173831A (ko) 노약자 대상의 실감형 학습 콘텐츠 플랫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JP202318307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Swaminathan Aevum Personalized Health Monitoring System
KR20230173835A (ko) 인공지능 기반의 치매 진단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