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099A - 영어 학습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영어 학습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099A
KR20230163099A KR1020220062735A KR20220062735A KR20230163099A KR 20230163099 A KR20230163099 A KR 20230163099A KR 1020220062735 A KR1020220062735 A KR 1020220062735A KR 20220062735 A KR20220062735 A KR 20220062735A KR 20230163099 A KR20230163099 A KR 20230163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test
english
customized
english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동석
Original Assignee
장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석 filed Critical 장동석
Priority to KR102022006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099A/ko
Publication of KR20230163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0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06Q10/1097Task assign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7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questions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영어 학원에서 영어 영역별(듣기(Listening), 어휘(Vocabulary), 문법(Grammar), 독해(Reading), 영작(English composition), 영어 Pre-test)로 실력 편차를 확인하여 학습스케줄을 설계한 후,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와 수준별 학습 테스트를 통해 마치 일대일 과외와 동일한 학습 관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설정된 항목을 기준으로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이용하여 입반 테스트를 진행하고,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역별 점수를 합산하여 입반 레벨을 선정하며,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영역별 실력을 판단하고, 판단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 결과를 기초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며,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문제로 과제 시험을 시행하고, 과제 시험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평가를 수행하며, 해당 학생의 맞춤 스케줄에 따라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어, 영어 학습 능률을 향상한다.

Description

영어 학습관리방법{English learning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영어 학습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어 학원에서 영어 영역별(듣기(Listening), 어휘(Vocabulary), 문법(Grammar), 독해(Reading), 영작(English composition), 영어 Pre-test)로 실력 편차를 확인하여 학습스케줄을 설계한 후,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와 수준별 학습 테스트를 통해 마치 일대일 과외와 동일한 학습 관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선 학교의 교육현장에서는 각자의 능력과 상관없이 같은 수준의 책과 동일한 학습방법으로 공부를 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또한 학생들은 각자 자라온 환경, 소질, 흥미 등에 따라 교과목별로 기초 능력에 차이가 많이 있으나, 이러한 개인차를 무시하고 교사위주의 주도적인 강의식 수업을 강행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학습수준을 가진 학생들에게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학습을 한다면 교사들은 어느 학생을 기준으로 해서 가르쳐야 할지 어려움을 겪게 된다. 왜냐하면, 중간층을 기준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 잘하는 학생은 수업내용이 너무 시시하여 흥미를 잃어 자만과 착각에 빠지기 쉽고,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은 너무 어려워서 학습의 충분한 이해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흥미를 잃게 되어 수업을 회피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과목(예를 들어, 영어)에서 능력이 좀 떨어지는 학생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른 학습 방법(예를 들어, 영어 학원)을 이용한다.
일반적인 영어 학원은 입반시 레벨 테스트를 통해 학생의 레벨을 선정하고, 레벨이 유사한 학생들이 동일한 반을 배정받아 다른 학생들과 함께 공부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어 학원도 개인별로 영어 영역별(듣기(Listening), 어휘(Vocabulary), 문법(Grammar), 독해(Reading), 영작(English composition), 영어 Pre-test) 실력 편차가 상이한데도 불구하고, 동일한 교재를 통해 동일한 학습을 진행하므로 비효율적인 학습 상황이 자주 발생한다. 즉, 여러 개의 영역 점수를 모아 하나의 기준점수로 묶어서 레벨을 구성하고 공부하지만 영역별로 다 제각각인 실력으로 인해 학습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영어 학원은 반별로 동일한 하나의 학습 교재를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기 때문에, 영역별로 편차가 있는 학생들을 모두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영어 학원에는 영역별로 편차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동일한 문제지를 통해 동일하게 시험을 치르고, 평가를 하게 되므로 정확하게 학생의 영역별 수준의 평가가 어렵고, 이로 인해 모든 학생이 만족할 만한 학습 관리를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영역별로 편차가 발생한 학생들에게 부족한 영역에 대해서 최적으로 보완해줄 수 있는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442420(2004.07.20. 등록)(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6786(2007.12.11. 등록)(문제은행과 동영상 강의가 연동된 온라인 교육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49433(2013.05.14. 공개)(등급별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81926(2017.07.13. 공개)(외국어 학원 학습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206599(2021.01.18. 등록)(학생의 학습능력별 개인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117955(2020.10.14. 공개)(영어 학습 관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학교 및 학원의 영어 학습 관리방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영어 학원에서 영어 영역별(듣기, 어휘, 문법, 독해, 영작, Pre-test)로 실력 편차를 확인하여 학습스케줄을 설계한 후,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와 수준별 학습 테스트를 통해 마치 일대일 과외와 동일한 학습 관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판사별 교재를 수준별로 구분하여 수준별 맞춤과제에 맞는 문제를 자동 출제할 수 있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를 통해 영역별 균등한 실력 향상을 도모해주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규반 수업만으로는 메울 수 없는 부족한 영역을 개인별 맞춤 과제의 형태로 부여하여 수업이나 레벨과 상관없이 본인만의 진도와 페이스로 과제를 처리하여 부족한 영역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재별로 무한대의 재시험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험에 통과할 때까지 다양한 재시험을 보며 철저하게 학습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과제 시험 및 평가에 대해서 생성된 성적을 학부모에게 발송해주어, 학부모가 자녀의 영역별 성적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관리방법"은,
영역별로 영어 학습을 관리하고, 영역별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 및 제공하고, 개별 과제 시험 및 평가를 수행하는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영어 학습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항목을 기준으로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이용하여 입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b)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역별 점수를 합산하여 입반 레벨을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영역별 실력을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c)단계에서 판단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 결과를 기초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는 단계;
(e)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문제로 과제 시험을 시행하고, 과제 시험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f)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해당 학생의 맞춤 스케줄에 따라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관리방법"은,
(g)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개별 과제에 대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를 성적 정보로 학부모 단말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a)단계의 프리 테스트는 학원 자체에서 선정한 문제를 기초로 수행하고, 상기 레벨 테스트는 듣기, 어휘, 문법, 독해 및 영작으로 이루어진 영역별 문제를 기초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c)단계는 듣기, 어휘, 문법, 독해 및 영작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로 구분하여 실력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d1) 영역별로 초등 실력, 중등 실력, 고등 실력, 토플 실력을 구분하고, 구분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출판사 교재를 영역별로 선택하여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d2) 상기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에 따라 영역별로 선택된 출판사 교재를 이용하여 영역별로 개별 과제를 추출하여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맞춤형 개별과제는 학생의 영역별 레벨에 따라 학생별로 서로 다르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모든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를 레벨 및 영역별로 등록하고, 맞춤형 개별과제 생성시 등록된 복수의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에서 영역별/레벨별 대응하는 과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d)단계는,
영역별 레벨만 입력하면 등록된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에서 해당 영역별로 레벨에 맞는 영어 학습 교재를 선택하고, 선택한 영어 학습 교재를 기초로 자동으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e)단계는,
학원 교재로 학습을 시작하기 이전에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된 시험 문제로 개별 과제 시험을 시행하고, 정규 수업 후 재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어 학원에서 영어 영역별(듣기, 어휘, 문법, 독해, 영작, Pre-test)로 실력 편차를 확인하여 학습 스케줄을 설계한 후,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와 수준별 학습 테스트를 통해 마치 일대일 과외와 동일한 학습 관리를 구현함으로써, 영어 학습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판사별 교재를 통합하여 수준별 맞춤과제에 맞는 문제를 자동 출제함으로써, 학원의 강사가 수작업으로 문제를 출제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를 통해 영역별 균등한 실력 향상을 도모해줄 수 있으며, 정규반 수업만으로는 메울 수 없는 부족한 영역을 개인별 맞춤 과제의 형태로 부여하여 수업이나 레벨과 상관없이 본인만의 진도와 페이스로 과제를 처리하여 부족한 영역을 보완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재별로 무한대의 재시험지 생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험에 통과할 때까지 다양한 재시험을 보며 철저하게 학습 관리를 도모할 수 있고, 과제 시험 및 평가에 대해서 생성된 성적을 학부모에게 발송해주어, 학부모가 자녀의 영역별 성적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도모해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서 입반 테스트를 위한 답지 및 프리 테스트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서 맞춤형 개별과제 스케줄 및 성적 예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영역별로 영어 학습을 관리하고, 영역별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 및 제공하고, 개별 과제 시험 및 평가를 수행하는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영어 학습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학생 단말, 영어 학습 관리서버, 학부모 단말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계되며, 학생 단말은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입반 테스트, 맞춤형 개별과제, 평가 정보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학생 단말은 퍼스널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영어 학습 관리 서버는 입반 테스트를 통해 영역별로 영어 학습을 관리하고, 영역별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 및 제공하며, 개별 과제 시험 및 평가를 수행하고, 시험 평가 정보를 성적 정보로 학부모 단말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학부모 단말은 학원에 수강하는 학생의 학부모가 휴대한 단말로서, 스마트폰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학부모는 휴대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자녀의 성적을 영역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영어 학습관리방법은, (a)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항목을 기준으로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이용하여 입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S10), (b)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역별 점수를 합산하여 입반 레벨을 선정하는 단계(S20 - S30), (c)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영역별 실력을 판단하는 단계(S40), (d)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c)단계에서 판단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 결과를 기초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는 단계(S50 - S60), (e)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문제로 과제 시험을 시행하고, 과제 시험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S70), (f)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해당 학생의 맞춤 스케줄에 따라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는 단계(S80 - S90), (g)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개별 과제에 대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를 성적 정보로 학부모 단말로 전송해주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학원에서의 영어 학습관리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 학원에 등록하기 위한 학생은 학원에서 정해진 방식에 따라 입반 테스트를 받는다(S10).
여기서 입반 테스트는 프리 테스트와 레벨 테스트를 통해 수행한다. 프리 테스트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원 자체에서 선정한 기본 단어 테스트(Basic Words Test), 기본 문법 테스트(Basic Grammar Test), 기본 이해력 테스트(Basic Comprehension Test)를 이용하여 수행하고(S11), 상기 레벨 테스트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답지처럼, 듣기(Listening), 어휘(Vocabulary), 문법(Grammar), 독해(Reading), 영작(English composition) 등과 같이 영역별 문제를 이용하여 수행한다(S12).
입반 테스트가 종료되면, 영역별로 획득한 점수를 종합하여 입반 레벨을 선정한다(S20 - S30).
즉, 영역별로 획득한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테스트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한 테스트 점수를 기초로 레벨을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한 레벨로 입반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영역별 실력을 판단한다(S40).
여기서 본 발명의 기장 큰 특징 중의 하나는 입반을 위한 레벨과 영역별 실력을 구분하여 판단한다는 것이다. 레벨은 교재 선택과 정규 학원 학습을 위해 선정하는 것이고, 영역별 실력 파악은 해당 학생의 강점 및 취약 분야를 판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판단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 결과를 기초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준다(S50 - S60).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학생의 영역별 평가를 통해 강점 및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을 수행해 주는 것이다.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은 영역별로 초등 실력, 중등 실력, 고등 실력, 토플 실력을 구분하고, 구분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출판사 교재를 영역별로 선택하여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선정한 레벨에 따라 입반을 결정하고, 동일 반의 모든 학생은 동일한 교재로 동일한 학습을 진행하나, 같은 반에서도 개인별로 영역별 실력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즉, A 학생은 외국에서 살다 와서 객관식 듣기와 독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 높은 레벨을 배정받았으나, 상대적으로 어휘력이나 문법 실력이 낮을 수 있고, B 학생은 어휘력이나 문법 실력은 높은 데 듣기와 독해가 낮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영어 학원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고 동일 반이면 모두 동일한 단일의 교재로 학습을 진행하여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비효율적인 상황을 개선하고 학생의 영역별 실력에 따라 최적의 영어 학습이 이루어져, 영역별로 균등한 높은 레벨을 성취할 수 있도록, 영역별 1대1 맞춤 스케줄링을 통해 판단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출판사 교재를 영역별로 선택하여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에 따라 영역별로 선택된 출판사 교재를 이용하여 영역별로 문제를 생성하여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별로 개별 과제를 제공한다.
즉, 맞춤형 개별과제는 학생의 영역별 레벨에 따라 학생별로 서로 다르게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영어 학습 교재가 출판사별로 5개가 존재한다고 가정을 하면, 영역별 레벨에 따라 A 학생은 듣기 영역에 대하여 A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 이해력에 대하여 B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 문법에 대하여 C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 독해에 대하여 D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를 이용하여, 맞춤형 개별 과제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아울러 B 학생은 영역별 레벨에 따라 듣기 영역에 대하여 B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 이해력에 대하여 C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 문법에 대하여 A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 독해에 대하여 D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를 이용하여, 맞춤형 개별과제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전에 모든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를 레벨(예를 들어, 학년별일 수 있음) 및 영역별로 등록하고, 맞춤형 개별과제 생성시 등록된 복수의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에서 영역별/레벨별 대응하는 과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맞춤형 개별과제(1:1 개인별 맞춤 과제)를 생성할 수 있다(S61 - S62). 맞춤형 개별과제는 숙제를 의미한다.
맞춤형 개별과제 생성은, 영역별 레벨(예를 들어, 듣기 상(고등수준), 이해력 중(중등기초수준), 문법 중(중2 수준), 독해 상(고1 수준) 등등)만 입력하면 등록된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에서 해당 영역별로 레벨에 맞는 영어 학습 교재를 단일 또는 복수로 선택하고, 선택한 영어 학습 교재를 기초로 자동으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한다. 여기서 맞춤형 개별과제는 특정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의 학습 내용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의 출제문제가 맞춤형 개별과제로 제시될 수도 있다.
이렇게 영역별 레벨에 따라 다양한 출판사 학습 교재 중 최적의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를 선택한 후 영역별로 자동으로 개별과제를 제시해줌으로써, 학원 강사가 수작업으로 개별과제를 생성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출판사의 영어 학습 교재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강사에게는 편리함을 주면서도 다양하고 해당 학생에게 최적화된 영역별 과제를 맞춤형 개별과제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영역별 레벨 선택에 따라 자동으로 다양한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에서 개별 과제를 자동으로 제시함으로써, 강사의 특별한 노력 없이 학생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개별과제를 제공할 수 있어, 학원 입장에서는 강사 관리에도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학생은 정규적인 학원 학습을 수행하고, 자신에 당일 제시된 맞춤형 개별과제를 이용하여 별도로 공부를 한다.
이렇게 영역별 맞춤형 개별과제를 이용하여 개인 공부를 함으로써, 마치 일대일 과외를 받는 것과 동일한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다음 수업 일에는 바로 학습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고, 학원 교재로 정규 학습을 시작하기 이전에 전날 제시한 맞춤형 개별과제에 대하여 시험을 보고, 정규 수업 후 다시 재시험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재시험은 동일한 문제를 무한 반복적으로 출력할 수 있으므로, 학원 강사들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자동으로 생성된 문제를 기초로 과제 시험을 시행한다(S70). 여기서 과제 시험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평가를 재수행할 수도 있다.
과제 시험 문제를 해당 학생별로 영역별 제시한 개별과제에서 자동으로 문제를 출제함으로써, 학원 강사가 수작업으로 문제를 입력하고 학생별로 시험지를 출력하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학생별로 서로 다른 시험지를 출력해도 문제 출제부터 출력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강사의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문제 출제 및 출력 등을 위한 고용 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학원 운영비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자동 문제 출제는 문제 은행에서 문제를 출제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문제 은행과의 차별성은, 학생의 영역별 개별 과제에 대응하여 학생별로 문제를 자동으로 출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출판사 교재가 아무리 많아도 자동으로 최적화된 문제 출제가 가능하여, 다른 학원들과 차별화되며 학생의 학습 능률 향상도 도모할 수 있고, 강사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여 학원 이미지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과제 시험은 동일한 장소에서 학원생 전체가 수행하거나 선택된 반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과제 문제를 학생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과제 시험이 종료되면 학생은 선정된 반으로 이동하거나 현재 반에서 정규 학원 학습을 진행한다(S80).
아울러 정규 학원 수업을 하기 이전에 맞춤 스케줄에서 전날 제공한 개별 과제에 대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레벨을 판단하고, 해당 학생의 맞춤 스케줄에 따라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준다(S90).
아울러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는 상기 개별 과제에 대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를 성적 정보로 학부모 단말로 전송해주어(S100), 학부모가 자녀의 영어에 대하여 영역별로 강점 및 취약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시험 평가 결과는 매일 전송해주거나 주 단위로 전송해줄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어 학원에서 영어 영역별(듣기, 어휘, 문법, 독해, 영작, Pre-test)로 실력 편차를 확인하여 학습 스케줄을 설계한 후,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와 수준별 학습 테스트를 통해 마치 일대일 과외와 동일한 학습 관리를 구현함으로써, 영어 학습 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출판사별 교재를 이용하여 수준별 맞춤과제에 맞는 문제를 자동 출제함으로써, 학원의 강사가 수작업으로 문제를 출제하는 불편함을 개선하고, 강사의 출력 실수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역별로 개별 맞춤 과제를 통해 영역별 균등한 실력 향상을 도모해줄 수 있으며, 정규반 수업만으로는 메울 수 없는 부족한 영역을 개인별 맞춤 과제의 형태로 부여하여 수업이나 레벨과 상관없이 본인만의 진도와 페이스로 과제를 처리하여 부족한 영역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재별로 무한대의 재시험지 생성이 가능하여, 시험에 통과할 때까지 다양한 재시험을 보며 철저하게 학습 관리를 도모할 수 있고, 과제 시험 및 평가에 대해서 생성된 성적을 학부모에게 발송해주어, 학부모가 자녀의 영역별 성적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Claims (8)

  1. 영역별로 영어 학습을 관리하고, 영역별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 및 제공하고, 개별 과제 시험 및 평가를 수행하는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영어 학습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미리 설정된 항목을 기준으로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이용하여 입반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
    (b)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프리 테스트 및 레벨 테스트를 진행한 후 획득한 영역별 점수를 합산하여 입반 레벨을 선정하는 단계;
    (c) 상기 영어 학습 관리서버에서 상기 영역별 점수를 기초로 영역별 실력을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c)단계에서 판단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을 수행하고, 영역별 맞춤 스케줄링 결과를 기초로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는 단계;
    (e)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자동 생성된 문제로 과제 시험을 시행하고, 과제 시험 결과를 기초로 영역별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및
    (f)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해당 학생의 맞춤 스케줄에 따라 개별과제를 생성하여 학생에게 제공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2. 청구항 1에서,
    (g) 상기 영어 학습 관리 서버에서 상기 개별 과제에 대하여 시험 평가한 결과를 성적 정보로 학부모 단말로 전송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3. 청구항 1에서, 상기 (a)단계의 프리 테스트는 학원 자체에서 선정한 문제를 기초로 수행하고, 상기 레벨 테스트는 듣기, 어휘, 문법, 독해 및 영작으로 이루어진 영역별 문제를 기초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4. 청구항 1에서, 상기 (c)단계는 듣기, 어휘, 문법, 독해 및 영작으로 구분한 영역별로 실력을 구분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5. 청구항 1에서, 상기 (d)단계는,
    (d1) 영역별로 초등 실력, 중등 실력, 고등 실력, 토플 실력을 구분하고, 구분한 영역별 실력에 따라 출판사 교재를 영역별로 선택하여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d2) 상기 맞춤형 학습 스케줄링에 따라 영역별로 선택된 출판사 교재를 이용하여 영역별로 개별 과제를 추출하여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6. 청구항 5에서, 상기 맞춤형 개별과제는 학생의 영역별 레벨에 따라 학생별로 서로 다르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7. 청구항 1에서, 상기 (d)단계는,
    모든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를 레벨 및 영역별로 등록하고, 맞춤형 개별과제 생성시 등록된 복수의 출판사 영어 학습 교재에서 영역별/레벨별 대응하는 과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맞춤형 개별과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8. 청구항 1에서, 상기 (e)단계는,
    학원 교재로 학습을 시작하기 이전에 맞춤형 개별과제를 기초로 학생별로 자동으로 생성된 시험 문제로 개별 과제 시험을 시행하고, 정규 수업 후 재시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학습관리방법.




KR1020220062735A 2022-05-23 2022-05-23 영어 학습관리방법 KR202301630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735A KR20230163099A (ko) 2022-05-23 2022-05-23 영어 학습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735A KR20230163099A (ko) 2022-05-23 2022-05-23 영어 학습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099A true KR20230163099A (ko) 2023-11-30

Family

ID=8896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735A KR20230163099A (ko) 2022-05-23 2022-05-23 영어 학습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099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20B1 (ko) 2001-03-29 2004-07-30 (유)엔와이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100786786B1 (ko) 2007-04-23 2007-12-18 주식회사 해피에듀 문제은행과 동영상 강의가 연동된 온라인 교육방법
KR20130049433A (ko) 2011-11-04 2013-05-14 두산동아 주식회사 등급별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926A (ko) 2016-01-05 2017-07-13 고희용 외국어 학원 학습관리 시스템
KR20200117955A (ko) 2018-03-27 2020-10-14 윤종진 영어 학습 관리 방법
KR102206599B1 (ko) 2018-12-12 2021-01-22 스톰스터디 주식회사 학생의 학습능력별 개인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420B1 (ko) 2001-03-29 2004-07-30 (유)엔와이텔 맞춤형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KR100786786B1 (ko) 2007-04-23 2007-12-18 주식회사 해피에듀 문제은행과 동영상 강의가 연동된 온라인 교육방법
KR20130049433A (ko) 2011-11-04 2013-05-14 두산동아 주식회사 등급별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1926A (ko) 2016-01-05 2017-07-13 고희용 외국어 학원 학습관리 시스템
KR20200117955A (ko) 2018-03-27 2020-10-14 윤종진 영어 학습 관리 방법
KR102206599B1 (ko) 2018-12-12 2021-01-22 스톰스터디 주식회사 학생의 학습능력별 개인 맞춤형 교육 커리큘럼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åland et al. Writing in first grad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ractices in Norwegian classrooms
Bojovic Reading skill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Gözüyeşil An analysis of engineering students’ English language needs
Chien Analysis of Taiwanes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perceptions of, designs of, and knowledge constructed about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 content
Griffith et al. Performance-based assessment: rubrics, web 2.0 tools and language competencies
Abdalla Elhussien Mohammed Creative writing from theory to practice: Multi-Tasks for developing Majmaah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writing competence
Lowrey et al. Exploring ways to support preservice teachers' use of UDL in planning and instruction
Karimkhanlouei What do Medical Students Need to Learn in Their English Classes?
Qamariah Developing Islamic English instructional materials based on school-based curriculum
Situmorang et al. An Analysis of Teachers' Strategies on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n Online Learning at Junior High School
عبد الله أبو نبعة et al. Saudi EF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intermediate stage textbooks
Suardi et al. English learning in Islamic boarding school Al-Junaidiyah Biru Bone (ethnographic studies)
Kent Viability of employing the Plickers SRS in the Korean TEFL university setting
KR20230163099A (ko) 영어 학습관리방법
Suhandoko CLIL-oriented and task-based EFL materials development
Akdemır et al. EFL Instructors’ Majors and Their Speaking Activity Choices for Informal Oral Assessment
Zhou Applying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introductory level Mandarin language classes at the college of the Bahamas
Kansizoglu Investigating Turkish Teachers' Views and Practices on Writing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s: A Mixed-Methods Study.
Charlesworth et al. Evolving paradigms: Methods of delivery and teaching philosophies for a digital age
Rahman et al. Education Communication in the English Learning Process
Mijušković Assessing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through rubrics
Jayanti Developing Reading Learning Materials for the Grade X Students of Computer Engineering and Networking Program at SMKN 1 Pundong in the Academic Year of 2014/2015
Farrelly Exploring tensions in the mediated activity of teaching L2 adult emergent readers
Suwancharas Development of multimedia using augmented reality (AR) for improving undergraduates’ English listening skill
Nariswari et al. Influence of Literature Circles Strategy and Cultural Literacy on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