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3073A -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3073A
KR20230163073A KR1020220062646A KR20220062646A KR20230163073A KR 20230163073 A KR20230163073 A KR 20230163073A KR 1020220062646 A KR1020220062646 A KR 1020220062646A KR 20220062646 A KR20220062646 A KR 20220062646A KR 20230163073 A KR20230163073 A KR 2023016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marker
information
reality content
produ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서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잔
Priority to KR1020220062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3073A/ko
Publication of KR2023016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30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은 (a) 증강 현실의 제작자가 이용하는 제작 단말이, 상기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커 배치 UI를 통하여 상기 증강 현실의 제작자로부터 상기 마커의 배치에 관한 정보인 마커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마커 배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될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통하여 상기 제작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제작자에 고유한 제작자 식별자 정보(creator identifier), 상기 마커 배치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서버로 하여금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d)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된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보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작자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유형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되는 마커는 출력 또는 인쇄되어 현실 세계의 사물에 부착되거나 상기 마커가 상기 현실 세계의 사물 상에 인쇄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마커 배치 정보는 상기 제작 단말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는 상기 현실 세계의 촬영 사진과 매칭되고,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는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현실 세계 촬영 사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는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triggering)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action button)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작 단말은, 상기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커 배치 UI를 통하여 상기 증강 현실의 제작자로부터 상기 마커의 배치에 관한 정보인 마커 배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될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통하여 상기 제작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작자에 고유한 제작자 식별자 정보(creator identifier), 상기 마커 배치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되,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되는 마커는 출력 또는 인쇄되어 현실 세계의 사물에 부착되거나 상기 마커가 상기 현실 세계의 사물 상에 인쇄되기 위한 것이다.
근래 쏟아져 나오는 증강 현실 컨텐츠(AR contents)에 대응하기 위한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이 있는바, 이들을 설치하고 실행하여야 하는 비경제성이 문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자의 AR 컨텐츠를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을 하는 과정에서 개별적인 마커(marker)가 수없이 양산되고 결과적으로 수많은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설치하여야 하는 비경제적 활동이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 기술이 지닌 문제점은 일반 대중이 어떠한 사물에 대해 AR이 구현되어 있는지를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에 있다. 또한, 증강 현실을 통하여 마케팅을 하고 싶어하는 마케터에게 필요한 것은 애플리케이션 개발이나 AR 자체의 개발이라기보다는, 증강 현실이 주는 재미와 정보를 마커에 담고 이를 통하여 목적 행위를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이다.
그런데, 증강 현실 컨텐츠가 쉽게 만들어지는 것도 아닐 뿐더러,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데에 더 큰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나의 증강 현실 컨텐츠를 시연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그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지원되는 증강 현실의 개발이라는 매우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결국 난이도 높은 증강 현실의 개발 환경이 증강 현실 컨텐츠의 확산을 막게 되고 이는 증강 현실 시장 자체의 확대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등록특허 제10-1722550호, 휴대용 단말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작과 재생 방법 및 장치(등록일 : 2017년 03월 28일)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쉽고 간편하게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은 (a) 증강 현실의 제작자가 이용하는 제작 단말이, 상기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커 배치 UI를 통하여 상기 증강 현실의 제작자로부터 상기 마커의 배치에 관한 정보인 마커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마커 배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될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통하여 상기 제작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제작자에 고유한 제작자 식별자 정보(creator identifier), 상기 마커 배치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서버로 하여금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d)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된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보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작자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유형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되는 마커는 출력 또는 인쇄되어 현실 세계의 사물에 부착되거나 상기 마커가 상기 현실 세계의 사물 상에 인쇄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마커 배치 정보는 상기 제작 단말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는 상기 현실 세계의 촬영 사진과 매칭되고,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는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현실 세계 촬영 사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는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triggering)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action button)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의 상기 마커는 다육식물의 형상으로 된 이미지를 포함 및 상기 다육식물의 종류에 따른 대분류의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테츠를 제작하는 방법은 누구든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및 증강 현실 컨텐츠의 개발 없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만으로도 증강 현실 컨텐츠가 쉽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반 대중이 본 발명에 따른 마커만을 보고도 어떠한 사물에 증강 현실 컨텐츠가 내재되어 있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를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케터의 입장에서도 별도의 마커 개발 비용 없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쉽게 창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감상하는 것만으로 그쳤던 종래 증강 현실 컨텐츠의 한계에서 벗어나 마케터가 설정한 다양한 생활밀착형 편의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작 및 이용하는 방법(이하 "본 발명의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제작 단말, 이용 단말 및 서버 등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 UI 및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되는 마커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증강 현실 이용 UI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는 컴퓨팅 장치 등을 이용한 기술로써 만들어진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 또는 그 기술 자체를 지칭하는바, 만들어진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기술 또는 그렇게 만들어진 환경이나 상황을 지칭하는바, 기존의 가상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었던 반면, 증강 현실은 현실 세계의 기반 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나 가상 현실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또는 마케팅의 목적으로 전달하는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하여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 걸쳐, '포함하다'라는 단어 및 그 변형은 다른 기술적 특징들, 부가물들,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제외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성들이 일부는 본 설명서로부터, 그리고 일부는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드러날 것이다. 아래의 예시 및 도면은 실례로서 제공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제작 단말, 이용 단말, 서버 등은 컴퓨팅 장치를 의미하는바, 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및 서버 컴퓨터; 전자 통신선,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와 같은 전자 정보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컴퓨터 하드웨어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의 조합을 활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작 단말 또는 이용단말은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증강 현실의 제작자가 이용하는 제작 단말(210)이, 상기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커 배치 UI를 통하여 상기 증강 현실의 제작자로부터 상기 마커의 배치에 관한 정보인 마커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커 배치 정보는, 상기 제작 단말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는 상기 현실 세계의 촬영 사진과 매칭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단계(S110) 전에, 상기 제작 단말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이 시동될 수 있다(S105)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마커 배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210)이,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될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통하여 상기 제작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 UI 및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커(310)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 마커(310)는 현실 세계에 유형화될 예상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될 수 있으며, 마커(310)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320)는 마커(310)를 기준으로 각도, 위치 등이 상대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제작 단말(210)이 모바일 장치인 경우에, 탭(tap), 스와이프(swipe), 팬(pan), 스크롤(scroll) 등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전형적인 제스처(gesture)가 이를 위한 조작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마커(310)가 상기 예상 위치에 놓이도록 조정할 수 있도록 마커 배치 UI에 드래그(drag) 가능한 마커(310) 및 마커 배치 완료 버튼(315; 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인바, 마커(310)는 드래그에 의하여 그 위치를 조정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제작자가 마커 배치 완료 버튼(315)을 눌러 그 위치를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확정된 위치가 수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컨텐츠(320)의 마커(310)에 대한 상대적인 3차원적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X축(디스플레이상의 가로축), Y축(디스플레이상의 세로축)에 대한 각도 변경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구성요소(322 및 324; 예컨대 스크롤바(scrollbar))가 마커 배치 UI 또는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의 일요소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강 현실 컨텐츠(320) 자체의 크기, 각도, 움직임 등이 편집될 수도 있다. 이 증강 현실 컨텐츠(320)는 텍스트, 캐릭터, 유투브 영상, 이미지 파일,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 상에 텍스트 입력 버튼(331), 캐릭터 입력 버튼(332), 유투브 영상 입력 버튼(333), 이미지 파일 입력 버튼(334), 소리 입력 버튼(335) 등이 제공될 수 있는데, 증강 현실 컨텐츠(320)를 입력 또는 수정하는 방식이 버튼에 국한되지 않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이용되는 마커의 일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커는 다육식물의 형상으로 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마커는 상기 다육식물의 종류에 따른 대분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바, 도 4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다(410) 또한, 상기 마커는 동일 종류의 상기 다육식물에 대하여 상기 다육식물의 높이 및 너비 중 적어도 하나인 치수 정보에 따른 중분류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중분류의 정보는 2 이상의 소정의 자연수 n에 대하여 마련된 n가지의 치수 정보에 따른 n진법의 수치일 수 있다(420) 그리고, 상기 마커는, 동일 종류의 상기 다육식물에 대하여 상기 다육식물의 기본 줄기로부터 분지된 가지의 개수, 상기 가지의 위치 및 상기 가지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지 정보에 따른 소분류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소분류의 정보는 2 이상의 소정의 자연수 m에 대하여 마련된 m가지의 분지 정보에 따른 m진법의 수치일 수도 있다(430) 뿐만 아니라, 상기 마커는, 동일 종류의 상기 다육식물에 대하여 상기 다육식물의 기본 줄기 및 상기 기본 줄기로부터 분지된 가지 위에 추가로 표시된 가시의 위치를 포함하는 가시 위치 정보에 따른 일련번호의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일련번호의 정보는 2 이상의 소정의 자연수 l에 대하여 마련된 p가지의 가시 위치 정보에 따른 p진법의 수치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마커는 증강 현실 컨텐츠가 현실 세계에 덧입혀질 위치를 특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바,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되는 마커는 출력 또는 인쇄되어 현실 세계의 사물에 부착되거나 상기 마커가 상기 현실 세계의 사물 상에 인쇄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단계(S200)에서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는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triggering)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action button)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션 버튼이라 함은 증강 현실의 이용자로 하여금 증강 현실을 경험하면서 어떠한 액션을 취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버튼이다. 그러한 액션에는 전화 걸기, 식당, 숙소 등의 편의 시설 예약하기, 편의 시설 이용에 대한 스탬프 찍어주기, 특정 웹페이지의 URL 연결하기, 유투브 등 SNS(social network service) 연결하기, 이메일을 송신 또는 수신하기,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소리 듣기, 무료로 제공되는 Wi-Fi 연결을 활성화하기, 캐릭터 상품 및 쿠폰 등을 획득하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기, 기타 추가 정보 보기 등 증강 현실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가 있을 수 있다.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에는 증강 현실 컨텐츠(320)에 결부시킬 액션을 지정하기 위한 버튼(340)이 제공될 수 있다. 제작자가 이 버튼(340)을 누르면, 전술한 액션들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특정 웹페이지의 URL 연결하기를 선택하는 때에는, URL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 전화 걸기를 선택하는 때에는, 전화번호 입력창, Wi-Fi 연결의 활성화를 선택하는 때에는, 그 Wi-Fi의 연결을 위한 ID 및 패스워드의 입력창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에는 제작 단말(210)로 하여금 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저장 버튼(350)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또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시연하기 위한 재생 버튼(360)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 증강 현실 컨텐츠의 시연은 하기에서 설명할 이용 단말에 의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인바, 이는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S200) 후에,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가 획득되면, 예컨대, 전술한 저장에 의하여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210)이, 상기 제작자에 고유한 제작자 식별자 정보(creator identifier), 상기 마커 배치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서버(220)로 하여금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300(미도시); S310 내지 S3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증강 현실 데이터에는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현실 세계 촬영 사진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단계(S300)에서의 증강 현실 데이터의 저장이 서버(220)에 의하여 수행되는 경우, 단계(S300)를 서버(22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S300)에 있어서, 서버(220)가,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의 배치에 관한 정보인 마커 배치 정보,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될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제작자에 고유한 제작자 식별자 정보(creator identifier)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310) 단계(S310) 후에, 서버(220)는,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상기 마커로서 생성하고, 상기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S320)
그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제작 단말(210)이,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된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보유하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그 제작 단말(200; 제1 단말)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서버(220)가, 상기 식별 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제작 단말(210)에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S330)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은, 단계(S400) 후에, 상기 제작자의 요청이 있으면,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유형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커는 유형물에 고정됨으로써 그 유형물 혹은 사물에 증강 현실 컨텐츠가 결부되어 있음이 외부에 표시되어, 일반인이 이를 인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증강 현실 데이터의 생성 및 저장이 이루어지고, 마커가 오프라인의 현실 세계에서 유형물에 고정되었는바, 하기에서는 이와 같은 증강 현실 데이터가 증강 현실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이용 단말(230)에 의하여 이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이용 단말(230)이, 상기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 이미지를 상기 이용 단말에 포함되거나 상기 이용 단말에 연동되는 카메라 모듈을 통하여 획득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600)에서 마커 이미지가 획득되면, 이용 단말(230)이, 획득된 상기 마커 이미지로부터 마커를 추출하고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action button)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증강 현실 컨텐츠를 이용하는 증강 현실 이용 UI의 일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증강 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마커 이미지, 즉 현실 세계의 마커를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로부터 마커를 추출하기 위한 가이드 인터페이스(510)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용자는 이 가이드 인터페이스(510)에 현실 세계의 마커를 겨누어 이미지 프로세싱에 의한 상기 마커의 추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커는 QR 코드일 수도 있을 것인바, QR 코드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 가이드 인터페이스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QR 코드 이외의 마커에 대해서도 이 가이드 인터페이스(510)는 QR 코드에 대한 기능과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이 이용 단말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탑재되어 있다면, 제작자로 하여금 마커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전면 카메라 모듈로부터 후면 카메라 모듈로, 또는 후면 카메라 모듈로부터 전면 카메라 모듈로 전환하게 할 수 있도록 증강 현실 이용 UI 상에 카메라 전환 버튼(520)이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S7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용 단말(230)은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액션 버튼의 정보를 상기 이용 단말에 연동되는 서버(220)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서버(220)는, 특정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S702)를 포함하는 이용 단말(400; 제2 단말)의 요청(S705)에 응하여, 상기 특정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action button)의 정보를 이용 단말(230)에 전달할 수 있다(S710)
단계(S710) 후에, 본 발명의 방법은, 이용 단말(230)이,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액션 버튼 정보에 기초한 증강 현실을 구현하는 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액션 버튼 정보에 기초한 액션 버튼(530) 및 저장 및 공유를 위한 촬영 버튼(540)이 증강 현실 이용 UI 상에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단계(S800)에서, 상기 증강 현실이 구현되는 때에, 상기 액션 버튼(530)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이용 단말(230)이, 상기 액션 버튼(530)에 대하여 미리 지정된 액션을 실행하는 프로세스(S800a; 미도시); 및 상기 증강 현실이 구현되는 때에, 촬영 버튼(540)에 대한 조작이 검출되면, 이용 단말(230)이, 상기 마커 및 상기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인식하고 상기 마커 및 상기 식별 부호를 사진으로서 저장하거나 상기 이용 단말에 연동되는 서버로 하여금 저장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800b; 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이용 단말(230)이, 상기 증강 현실의 공유를 위한 증강 현실 공유 UI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강 현실 공유 UI를 통하여 상기 저장된 사진을 직접적으로 또는 제3 서버(240; 미도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제3 단말(250)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3 단말(250)로 하여금 상기 사진에 의하여 식별되는 상기 마커 및 상기 식별 부호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을 가상 현실로서 상기 제3 단말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900(미도시); S905 내지 S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강 현실 공유 UI는 상기 촬영 버튼(540)에 의한 조작에 응하여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며, 촬영 버튼(540)과는 별도로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단계(S900)에서, 제3 단말(250)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마커의 식별 기능을 갖추고 마커에 따른 증강 현실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서버(220)가, 특정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포함하는 제3 단말(250)의 요청에 응하여, 상기 특정 마커에 대응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의 정보를 제3 단말(250)에 전달하면, 이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 및 액션 버튼 정보를 제3 단말(250)이 증강 현실이 아닌 가상 현실(virtual reality)로서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용 단말(230)의 증강 현실 이용 UI 상에 메뉴(550)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용 단말(230)은 곧 증강 현실 컨텐츠의 제작 단말(210)일 수도 있으므로, 증강 현실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마커 배치 UI 및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로의 접근을 위한 메뉴 요소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AR Making' 버튼이 제공될 수 있으며, 기타 제작 단말(210) 또는 이용 단말(230)의 환경 설정을 위한 아이콘 버튼이 제공될 수도 있을 것이다.
게다가, 메뉴(550)에는 이용자가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의 목록을 나타낸 증강 현실 컨텐츠 이용 이력을 살펴볼 수 있게 하는 메뉴 요소, 예컨대 'My AR History'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한 증강 현실 컨텐츠 이용 이력 UI을 제공함에 있어서, 개인이 제작자 또는 이용자로서 제작하거나 이용한 증강 현실 컨텐츠의 목록을 표시하거나, 이력을 삭제하거나, 특정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열람 횟수, 호의적 평가(이른바 'like') 횟수, 증강 현실 컨텐츠의 제작 또는 이용 횟수 등을 표시하거나 그 증강 현실 컨텐츠 목록으로부터 증강 현실을 시연하거나 공유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UI 요소들을 제공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 걸쳐, 증강 현실 컨텐츠를 누구든지 손쉽게 만들 수 있게 되고, 일반 대중이 본 발명에 따른 마커만을 보고도 어떠한 사물에 증강 현실 컨텐츠가 내재되어 있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실시예들로써 여기에서 설명된 기술의 이점은, 별도의 마커 개발 비용 없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쉽게 창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감상하는 것만으로 그쳤던 종래 증강 현실 컨텐츠의 한계를 뛰어 넘어 다양한 생활밀착형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위 실시예의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을 통하여 달성되거나 하드웨어만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CPU나 G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컨테츠를 제작하는 방법은 누구든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욱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및 증강 현실 컨텐츠의 개발 없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만으로도 증강 현실 컨텐츠가 쉽게 만들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일반 대중이 본 발명에 따른 마커만을 보고도 어떠한 사물에 증강 현실 컨텐츠가 내재되어 있는지를 쉽게 인지할 수 있어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를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마케터의 입장에서도 별도의 마커 개발 비용 없이 증강 현실 컨텐츠를 쉽게 창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감상하는 것만으로 그쳤던 종래 증강 현실 컨텐츠의 한계에서 벗어나 마케터가 설정한 다양한 생활밀착형 편의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210...제작 단말 220...서버
230...이용 단말 250...제3 단말
310...마커 320...증강 현실 컨텐츠
510...가이드 인터페이스 520...카메라 전환 버튼
530...액션 버튼 540...촬영 버튼

Claims (2)

  1. (a) 증강 현실의 제작자가 이용하는 제작 단말이, 상기 증강 현실의 구현을 위한 마커를 배치하도록 구성된 마커 배치 UI(user interface)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마커 배치 UI를 통하여 상기 증강 현실의 제작자로부터 상기 마커의 배치에 관한 정보인 마커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마커 배치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에 대응하여 상기 증강 현실에 제공될 컨텐츠를 편집하도록 구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편집 UI를 통하여 상기 제작자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관한 정보인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c)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제작자에 고유한 제작자 식별자 정보(creator identifier), 상기 마커 배치 정보 및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서버로 하여금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d)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된 마커에 대응되는 식별 부호를 포함하는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보유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작자의 요청이 있으면, 상기 제작 단말이, 상기 마커의 이미지를 유형물로 출력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타 장치로 하여금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대응되도록 생성되는 마커는 출력 또는 인쇄되어 현실 세계의 사물에 부착되거나 상기 마커가 상기 현실 세계의 사물 상에 인쇄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마커 배치 정보는 상기 제작 단말에 포함되거나 상기 제작 단말에 연동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획득되는 상기 현실 세계의 촬영 사진과 매칭되고,
    상기 증강 현실 데이터는 상기 마커 배치 정보에 매칭되는 상기 현실 세계 촬영 사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는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 정보의 제공을 시발(triggering)하도록 제공되는 액션 버튼(action button)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다육식물의 형상으로 된 이미지를 포함 및 상기 다육식물의 종류에 따른 대분류의 정보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KR1020220062646A 2022-05-23 2022-05-23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KR20230163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646A KR20230163073A (ko) 2022-05-23 2022-05-23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2646A KR20230163073A (ko) 2022-05-23 2022-05-23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3073A true KR20230163073A (ko) 2023-11-30

Family

ID=8896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646A KR20230163073A (ko) 2022-05-23 2022-05-23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307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50B1 (ko) 2010-07-23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작과 재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550B1 (ko) 2010-07-23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에서 증강현실 컨텐츠 제작과 재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101911A4 (en) A system, device, or method for collaborative augmented reality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40340423A1 (en) Marker-based augmented reality (AR) display with inventory management
CN113225572B (zh) 直播间的页面元素展示方法、装置及系统
KR20170125618A (ko) 증강현실 플랫폼을 통해 가상 영역에 표시할 컨텐츠를 생성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2215924A (zh) 一种图片评论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11829809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managing event messages and system for presenting conversation thread
CN112995721A (zh) 视频投放方法、富媒体内容的投放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3709022A (zh) 消息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1631960A (zh) 擴增實境式串流影音顯示系統、其方法、電腦可讀取記錄媒體及電腦程式產品
KR102063268B1 (ko)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작하는 방법, 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N111651049B (zh) 交互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TWI514319B (zh) 藉由虛擬物件編輯資料之方法及系統,及相關電腦程式產品
KR102040392B1 (ko) 클라우드 기반의 증강현실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US11586712B2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for providing content copyright in chatroom
KR20230163073A (ko) 시인성이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 제작 방법
CN111652986A (zh) 舞台效果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885139A (zh) 内容分享方法、装置及系统、移动终端、服务器
US113020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nd interacting with a dynamic real-world environment
CN113507640B (zh) 录屏视频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80060706A (ko) 증강 현실 게임을 위한 이벤트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50140947A (ko) 오브젝트의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CN114817802A (zh) 一种信息创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30690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irtual content
CN116882911A (zh) 金融卡片申请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产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