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508A - 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508A
KR20230162508A KR1020220097297A KR20220097297A KR20230162508A KR 20230162508 A KR20230162508 A KR 20230162508A KR 1020220097297 A KR1020220097297 A KR 1020220097297A KR 20220097297 A KR20220097297 A KR 20220097297A KR 20230162508 A KR20230162508 A KR 202301625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everage container
beverage
moving block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2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일희
이재선
Original Assignee
이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선 filed Critical 이재선
Publication of KR2023016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5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with means for raising the stack of articles to permit delivery of the topmos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일측에 각각 음료용기를 감지하는 화이버센서를 형성하여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More specifically, a fiber sens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vertical plate to detect beverage containers,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are always maintained.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used up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container support, allowing use of other loading sections where beverage containers are loaded. This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that can ensure an uninterrupted supply of beverages.

Description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일측에 각각 음료용기를 감지하는 화이버센서를 형성하여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More specifically, a fiber senso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a vertical plate to detect beverage containers,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are always maintained.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used up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container support, allowing use of other loading sections where beverage containers are loaded. This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that can ensure an uninterrupted supply of beverages.

음료 자동판매장치는 사용자가 커피, 유자차, 코코아 등의 다양한 음료를 편의점이나 마켓에 가지 않더라도 손쉽게 주문하고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음료 자동판매장치는 판매시간과 설치장소에 크게 제약 받지 않고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A beverage vending machine is a device that allows users to easily order and receive various beverages such as coffee, citron tea, and cocoa without having to go to a convenience store or market. These automatic beverage vending devices can be installed in a variety of locations without being greatly restricted by sales hours or installation location.

다만, 종래의 음료 자동판매장치는 관리자가 수시로 음료용기의 잔여량을 직접 체크해야됐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everage vending machine had the problem of being very cumbersome to manage because the manager had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any time.

한편, 자동판매기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10902호 등이 있다.Meanwhile, prior art regarding vending machines includes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010902.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직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일측에 각각 음료용기를 감지하는 화이버센서를 형성하여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 fiber sensor that detects a beverage container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late,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is always maintained. It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used up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container support, allowing use of other loading sections where beverage containers are loa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that can ensure an uninterrupted supply of beverages.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contents described l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는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전하며 제1스테핑 모터의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스퍼기어;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용기지지부에 고정 형성되는 다수개의 적재부; 및 상기 다수개의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들을 밀어올리기 위해 마련되는 제2스테핑 모터, 이동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플레이트에 고정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for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consisting of an upper plate and a lower plate; a rotating shaft formed to pass through the upper plate and lower plate of the housing; a spur gear fixed to the center of the rotation shaft,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shaft, and meshing with the pinion gear of the first stepping motor;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fixed to a plurality of container support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a second stepping motor provided to push up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on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a vertical plate on which a moving block is formed and fixed to the upper plate of the housing.

이때, 상기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전하는 센서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브라켓에는 다수개의 돌출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감지부가 제3포토센서에 인입되면 상기 제1스테핑 모터의 작동이 중단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of the vending machine further includes a sensor bracket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and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shaft,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 detection portions are formed on the sensor bracket, When the protrusion dete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third photo sens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ping motor is stopped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is stopped.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에 제1화이버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1화이버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하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2스테핑 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시켜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상단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fiber senso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late, and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detect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by the first fiber sensor, the second stepping motor operates to raise the moving block to load the container. It is characterized by pushing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unit to the top.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단에 제2화이버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2화이버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스테핑 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시켜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상단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화이버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2스테핑 모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이동블럭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second fiber sensor is form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plate, and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not detec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by the second fiber sensor, the second stepping motor operates to raise the moving block to raise the moving block.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is pushed up to the top,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detec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by the second fiber senso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is stopped and the moving block is stopped.

또한,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제1포토센서; 및 제2포토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2포토센서와 맞닿을 때까지 상승했음에도 상기 제2화이버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스테핑 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적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rst photo sensor on the vertical plate; and a second photo sensor; is formed, and if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detec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by the second fiber sensor even though the moving block rises until it contacts the second photo sensor, the first stepping mot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to rotate the load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는 수직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일측에 각각 음료용기를 감지하는 화이버센서를 형성하여 현재 사용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중인 적재부에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ber sensor that detects the beverage container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late,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is alway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beverage containers are used up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container support, allowing use of other loading sections where beverage containers are loaded, ensuring uninterrupted supply of beverages through the vending machine. It can be made to last.

구체적으로, 수직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제1화이버센서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의 하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제2스테핑 모터를 작동시켜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상단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detect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by the first fiber sensor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plat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stepping motor to push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section to the top.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is alway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이 수행된 이후 음료용기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되면 수직플레이트의 이동블럭이 제2포토센서와 맞닿을 때까지 상승해도 제2화이버센서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에서 수직플레이트의 이동블럭을 제1포토센서의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제1스테핑 모터를 작동시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the beverage container is continuously used, and if all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exhausted, the second photo sensor is raised even if the moving block of the vertical plate rises until it contacts the second photo sensor. The fiber sensor does not detect beverage containers at the top of the loading compartment currently in us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lowers the moving block of the vertical plate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photo sensor and then operates the first stepping motor to rotate the container support unit, thereby moving the other loading unit loaded with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use position.

즉,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리퍼에 음료용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rough the above operation,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alway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exhausted and the beverage containers are removed. By moving other loaded loading parts to the use position, beverage containers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gripper, thereby ensuring that the supply of beverages through the vending machine continues without interrup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동판매장치 내부에 별도의 통신부가 마련되어 화이버센서에 의해 적재부의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알림을 보내 즉시 음료용기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and when the fiber sensor detects that all the beverage containers in the loading part are exhausted, the control unit sends a notification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immediately replenish the beverage containers. You can.

아울러, 하우징의 상단에 음료용기를 적재하는 다수개의 적재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이 지지플레이트의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손잡이를 잡고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적재부를 자동판매장치의 외부로 빼낸 후 간편하게 음료용기를 보충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for loading beverage containers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since the housing is formed to be slideable through the guide part of the support plate, the manager holds the handle and slides the housing to form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at the top of the housing. Beverage containers can be easily refilled after the loading compartment is pulled out of the vending machine, making management very convenien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가 구비된 자동판매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서 적재부를 회전시키는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서 적재부 및 수직플레이트의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서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적재부의 상단으로 올려주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서 음료용기를 적재부의 상단으로 올려주는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에서 제1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된 경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for rotating the loading unit in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loading part and the vertical plate in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raising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to the top of the loading unit in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of raising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top of the loading unit in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state when all beverage containers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are exhausted in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ome components that are unrelated to the gist of the inventio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but the omitted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components that are un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in combina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You ca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100, 이하 '음료용기 적재 장치'라 함)는 자동판매장치(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료를 주문하면 자동판매장치(10)에 별도로 마련된 그리퍼(미도시, 음료용기(200)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에 음료용기(200)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side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10 so that the user can When a beverage is ordered,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provided to a gripper (not shown, configured to grip and move the beverage container 200) provided separately in the vending machine 10.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1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200)을 적재하는 다수개의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 및 다수개의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형성된 하우징(120)과,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에 적재된 음료용기(200)을 상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들이 형성된 수직플레이트(15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음료용기 적재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별도로 마련된다.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oading units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144) and a housing 120 formed with components for rotating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144), and loading units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It is formed to include a vertical plate 150 with components for moving the beverage container 200 loaded on the portion 141, 142, 143, and 144) to the top,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100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is provided to control the overall configuration.

또한, 음료용기 적재 장치(100)의 모든 구성들은 자동판매장치(10)의 내부에 형성된 별도의 고정 플레이트(미도시) 등의 구성에 결합되어 자동판매장치(10)의 내부 특정 위치에 고정 형성되며, 도면에서는 제2화이버센서(17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각 구성의 모습이 잘 보이도록 상단의 고정 플레이트(미도시)를 생략함에 따른 것으로, 제2화이버센서(170)는 상단의 고정 플레이트(미도시)에 고정 형성된다.In addition, all components of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100 are coupled to a separate fixing plat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10 and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vending machine 10. In the drawing, the second fiber sensor 170 is shown as if it is not fixed, but this is because the upper fixing plate (not shown) is omitted so that each component can be clearly seen, and the second fiber sensor 170 is fixed to the upper fixing plate (not shown).

하우징(120)은 상부플레이트(120a)와 하부플레이트(120b)로 구성되며, 상하부플레이트(120a, 120b)의 중앙부 일지점에는 상하부플레이트(120a, 120b)를 관통하도록 회전축(130)이 형성된다.The housing 120 is composed of an upper plate 120a and a lower plate 120b, and a rotation axis 130 is formed at a central point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0a and 120b to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lates 120a and 120b.

또한, 상부플레이트(120a)의 상단에는 회전축(130)에 고정 형성되어 회전축(130)과 동시에 회전하는 스퍼기어(132)가 형성되고, 스퍼기어(132)는 제1스테핑 모터(121)의 피니언 기어(122)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스테핑 모터(121)가 작동하여 피니언 기어(122)가 회전하면 피니언 기어(122)와 맞물려 있는 스퍼기어(132)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회전축(130)이 회전을 하게 된다.In addition, a spur gear 132 is formed at the top of the upper plate 120a, which is fixed to the rotation shaft 130 and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shaft 130, and the spur gear 132 is the pinion of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It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gear 122. Therefore, when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operates and the pinion gear 122 rotates, the spur gear 132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22 rotates simultaneously and the rotation shaft 130 rotates.

상기와 같이 제1스테핑 모터(12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 회전축(130)의 상단부에는 다수개의 용기지지부(133)가 형성되고, 다수개의 용기지지부(133)에는 다수개의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가 고정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회전축(130)이 회전하는 경우 용기지지부(133)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용기지지부(133)에 고정 형성된 다수개의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가 회전하여 다수개의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의 위치가 변경된다.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container supports 133 ar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tion shaft 130 configured to rotate by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and the plurality of container supports 133 include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first to first 4 loading parts (141, 142, 143, 144) are fixedly formed. With this structure, when the rotation shaft 130 rotates, the container support 133 also rotates at the same time, and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first to fourth loading parts, 141, 142, 143, 144) are fixed to the container support 133. rotates to change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and 144).

도면에서는 용기지지부(133)가 2개 형성되고,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가 4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용기지지부(133) 및 적재부(제1 내지 제4적재부, 141, 142, 143, 14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 it is shown that two container supports 133 are formed and four loading parts (first to fourth loading parts, 141, 142, 143, 144) are formed, but if necessary, the container support parts 133 and the loading parts are shown. The number of units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144) can be varied.

또한, 하부플레이트(120b)의 상단에는 회전축(130)에 고정 형성되어 회전축(130)과 동시에 회전하는 센서브라켓(131)이 형성되며, 센서브라켓(131)의 일측면에는 제3포토센서(134)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sensor bracket 131 is formed at the top of the lower plate 120b, which is fixed to the rotation axis 130 and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axis 130, and a third photo sensor 134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nsor bracket 131. ) is formed.

또한, 센서브라켓(131)에는 90도 간격으로 제1 내지 제4돌출감지부(131a, 131b, 131c, 131d)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제1스테핑 모터(121)가 작동하여 회전축(130)이 회전하는 경우 센서브라켓(131)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현재 제3포토센서(134)에 인입되어 있던 돌출감지부(131a, 131b, 131c, 131d)가 제3포토센서(134)로부터 이탈한 후 다음 돌출감지부(131a, 131b, 131c, 131d)가 제3포토센서(134)에 인입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제1스테핑 모터(121)의 작동을 즉시 중지시켜 회전축(130)이 멈추게 된다.In addition, first to fourth protrusion detection units 131a, 131b, 131c, and 131d are formed on the sensor bracket 131 at 90-degree intervals, and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 operates and the rotation shaft 130 rotates, the sensor bracket 131 rotates simultaneously and the protrusion detection parts 131a, 131b, 131c, and 131d currently inserted into the third photo sensor 134 are connected to the third photo sensor. After leaving (134),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next protrusion detection unit (131a, 131b, 131c, 131d) is inserted into the third photo sensor 134,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By stopping immediately, the rotation axis 130 stops.

따라서, 제1스테핑 모터(121)에 작동에 따른 회전축(130) 및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의 회전은 각각 90도 간격씩만 회전한 후 멈추는 동작을 반복하는 식으로 작동된다.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130 and the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and 14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repeats the operation of rotating only at 90-degree intervals and then stopping. It works this way.

도면에서는 센서브라켓(131)에 4개의 돌출감지부(131a, 131b, 131c, 131d)가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돌출감지부(131a, 131b, 131c, 131d)의 개수 및 형성 간격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drawing, four protrusion detection parts (131a, 131b, 131c, 131d) are shown on the sensor bracket 131 at 90-degree intervals. However, the number and formation interval of the protrusion detection parts (131a, 131b, 131c, 131d) are It is possible to change it in various ways as needed.

한편, 도 2 내지 도 7에서 제1적재부(141,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의 음료용기(200)는 자동판매장치(10)에 별도로 마련된 음료용기 그리퍼(미도시, 음료용기(200)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해 파지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음료가 담겨진 후 제공되기 위해 바로 사용되고, 나머지 제2 및 제4적재부(142, 143, 144, 사용 대기 중인 적재부)의 음료용기(200)는 지금은 사용되지 않고 제1적재부(141)의 음료용기(200)가 모두 소진될 경우 순차적으로 사용된다.Meanwhile, in FIGS. 2 to 7, the beverage container 200 of the first loading unit 141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is provided using a beverage container gripper (not shown, beverage container 200) provided separately in the vending machine 10.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held by a configuration for grasping and moving and is used immediately to serve after containing the beverage selected by the user, and the remaining beverage containers 200 of the second and fourth loading units (142, 143, 144, loading units waiting for use) is not currently used and is used sequentially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200 in the first loading unit 141 are used up.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적재부(141, 142, 143, 144) 내측 하단부에는 음료용기(200)의 상단부를 받쳐주는 돌출부(145)가 형성되어 적재부(141, 142, 143, 144)에 적재된 음료용기(200)가 적재부(141, 142, 143, 144)의 하단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7 and 8, a protrusion 145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formed at the inner lower end of each loading part 141, 142, 143, and 144, so that the loading part 141,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200 loaded on 142, 143, 144 from falling to the bottom of the loading portion (141, 142, 143, 144).

또한, 각각의 적재부(141, 142, 143, 144)는 후술할 이동블럭(153)의 음료용기 받침부(157)가 승강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구조로 형성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loading parts 141, 142, 143, and 144 is formed in a longitudinally cut structure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support part 157 of the moving block 1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raised and lowered.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이 지지플레이트(110)의 가이드부(110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하우징(120)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120c)를 잡고 하우징(1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하우징(120)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적재부(141, 142, 143, 144)를 자동판매장치(100)의 외부로 빼낸 후 간편하게 음료용기(200)을 보충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3, since the housing 120 is formed to be slideable on the guide portion 110a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manager can use the handle 120c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20. Hold and slide the housing 120 to remove the plurality of loading parts 141, 142, 143, 144 formed at the top of the housing 120 to the outside of the vending machine 100, and then easily remove the beverage container 200. It can be supplemented.

수직플레이트(150)는 하우징(120)의 상부플레이트(120a)의 상단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수직플레이트(150)의 전면 가이드부(150a)에는 이동블럭(153)이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The vertical plate 15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20a of the housing 120, and a moving block 153 is provided on the front guide portion 150a of the vertical plate 150 to enable vertical slide movement. is formed

또한, 수직플레이트(150)의 후면부에는 제2스테핑 모터(151)의 구동축(152)이 형성되고, 제2스테핑 모터(151)의 구동축(152)에는 이동블럭(153)이 구동축(152)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In addition, the drive shaft 152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is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vertical plate 150, and a moving block 153 is provided on the drive shaft 152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It is combined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즉, 이동블록(153)의 전면부는 수직플레이트(150)의 전면 가이드부(150a)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동블록(153)의 후면부는 수직플레이트(150)의 후면부에 형성된 제2스테핑 모터(151)의 구동축(152)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at is, the front part of the moving block 153 is coupled to the front guide part 150a of the vertical plate 150 to enable vertical slide movement, and the rear part of the moving block 153 is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vertical plate 150. 2. It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52 of the stepping motor 151 so that it can move up and down.

이에 따라, 제2스테핑 모터(151)가 작동하게 되면 이동블럭(153)이 제2스테핑 모터(151)의 회전축(152) 및 수직플레이트(150)의 가이드부(150a)를 따라 상하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operates, the moving block 153 moves up and down along the rotation axis 152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and the guide portion 150a of the vertical plate 150. .

이때, 이동블럭(153)에는 음료용기 받침부(157)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동블럭(153)이 상승하면 음료용기 받침부(157)가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 중 현재 사용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200)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상승한다. 이러한 이동블럭(153)의 음료용기 받침부(157)는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의 절개된 부분을 통해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의 내측으로 진입된 상태에서 상하 승강한다.At this time, since the beverage container support portion 15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oving block 153, when the moving block 153 rises, the beverage container support portion 157 moves into the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and 143. , 144)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200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and rises at the same time. The beverage container support portion 157 of this moving block 153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loading portions 141, 142, 143 through the cut portions of the first to fourth loading portions 141, 142, 143, and 144. , 144) and goes up and down.

또한, 이동블럭(153)의 측면 일측에 감지부(154)가 형성되며, 수직플레이트(150)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포토센서(155, 156)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블럭(153)은 감지부(154)가 제1 및 제2포토센서(155, 156)에 인입되는 위치까지만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a sensing unit 15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lock 153, and first and second photo sensors 155 and 156 are formed on the vertical plate 150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the moving block 153 slides only to the position where the sensing unit 154 enters the first and second photo sensors 155 and 156.

즉, 제1 및 제2포토센서(155, 156)는 이동블럭(153)의 최대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이동블럭(153)은 제1 및 제2포토센서(155, 156)에 의해 최대 이동 거리만 제한될 뿐, 제1 및 제2포토센서(155, 156) 사이의 공간의 임의의 지점으로 자유롭게 이동 및 멈춤 동작이 가능하다.That is, the first and second photo sensors 155 and 156 serve to limit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block 153. At this time, the moving block 153 is limited only to the maximum moving distance by the first and second photo sensors 155 and 156, and can be moved to any point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hoto sensors 155 and 156. It is possible to move and stop freely.

또한, 수직플레이트(150)의 하단 및 상단에는 제1 및 제2화이버센서(160, 170, 물체감지센서의 하나의 예)가 형성되며, 제1화이버센서(160)는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141, 142, 143, 144)의 하단에 음료용기(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제2화이버센서(170)는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141, 142, 143, 144)의 상단에 음료용기(2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1 및 제2화이버센서(160, 170)의 감지와 연동되는 각 구성들의 작동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fiber sensors (160, 170, an example of an object detection sensor) are formed at the bottom and top of the vertical plate 150, and the first fiber sensor 160 is connected to the currently used loading unit ( 141, 142, 143, 144 detects whether a beverage container 200 is present at the bottom, and the second fiber sensor 170 detects a beverage container 200 at the top of the currently used loading section 141, 142, 143, 144. It detects whether the container 200 exist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process of each component linked to the det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sensors 160 and 170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용기 적재 장치(10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제1적재부(141)에 음료용기(200)가 채워진 상태에서 수직플레이트(150) 하단의 제1화이버센서(160)에 의해 제1적재부(141)의 하단에 음료용기(200)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제2스테핑 모터(151)를 작동시켜 이동블럭(153)의 음료용기 받침부(157)를 통해 제1적재부(141)에 적재된 음료용기(200)들을 상단으로 이동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7(a), in a state where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filled in the first loading unit 141 currently in use, the first sensor 160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late 150 When the presence of a beverage container 200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141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to move the beverage container 200 through the beverage container support portion 157 of the moving block 153. The beverage containers 200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141 are moved to the top.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200)들이 제1적재부(141)의 최상단까지 상승하여 제2화이버센서(170)에 의해 제1적재부(141)의 최상단에 음료용기(200)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제2스테핑 모터(151)의 작동을 중단시킨다.Through the above operation, as shown in FIG. 7(b), the beverage containers 200 rise to the top of the first loading part 141 and are placed in the first loading part 141 by the second fiber sensor 170. When the pres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200 at the top of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이후, 제2화이버센서(170)에 의해 제1적재부(141)의 상단에 음료용기(200)가 존재하는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는 제2스테핑 모터(151)를 작동시키지 않지만, 제1적재부(141)의 상단에 위치하던 음료용기(200)가 그리퍼(미도시)에 의해 파지되어 이동됨으로써 제2화이버센서(170)에 의해 제1적재부(141)의 상단에 음료용기(20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제2스테핑 모터(151)를 작동시켜 이동블럭(153)을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음료용기 받침부(157)가 제1적재부(141)에 적재된 음료용기(200)의 하단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상승한다.Thereafter, when the prese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200 at the top of the first loading unit 141 is detected by the second fiber sensor 170, the control unit (not shown) does not operate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The beverage container 200 located at the top of the first loading portion 141 is gripped and moved by a gripper (not shown), thereby placing the beverage container on the top of the first loading portion 141 by the second fiber sensor 170. If (200) is not detect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to raise the moving block 153, and thus the beverage container support unit 157 is attached to the first loading unit 141. It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loaded beverage container 200 and rises at the same time.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제1적재부(141)에 적재된 음료용기(200)들이 상승하면서 음료용기(200)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음료용기(200)가 제1적재부(141)의 최상단까지 상승하여 제2화이버센서(170)가 음료용기(200)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제2스테핑 모터(151)의 작동을 즉시 중단시켜 제2이동블럭(153)이 그 자리에서 멈추도록 한다.As the beverage containers 200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141 rise by the above operation, the beverage container 200 located at the top among the beverage containers 200 moves up to the top of the first loading unit 141. When it rises and the second fiber sensor 170 detects the beverage container 200, the control unit (not shown)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and the second moving block 153 stops in place. Let’s do it.

이후, 상기와 같이 제2화이버센서(170)에 의해 음료용기(200)가 감지되지 않으면 다시 제2스테핑 모터(151)를 작동시키고, 제2화이버센서(170)에서 음료용기(200)가 감지되면 제2스테핑 모터(151)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제1적재부(141)의 최상단에 음료용기(200)가 항상 위치하도록 작동한다.Afterwards, if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fiber sensor 170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is operated again, and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detected by the second fiber sensor 170. When this happens, the operation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is repeatedly performed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alway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first loading unit 141.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작동이 반복 수행됨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적재부(141)에 적재된 음료용기(200)가 모두 소진되어 이동블럭(153)의 감지부(154)가 제2포토센서(156)와 맞닿을 때까지 이동블럭(153)이 상승했음에도 제2화이버센서(170)에 의해 음료용기(20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미도시)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스테핑 모터(151)를 작동시켜 이동블럭(153)을 제1포토센서(155)까지 하강시킨 후 제1스테핑 모터(121)를 작동시켜 용기지지부(133)를 회전시킴으로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200)가 적재된 제2적재부(142)가 제1적재부(141)가 위치하던 사용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여 제2적재부(142)의 음료용기(20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Meanwhile, a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as shown in FIG. 8 (a), all the beverage containers 200 loaded on the first loading unit 141 are exhausted, and the detection unit of the moving block 153 ( If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not detected by the second fiber sensor 170 even though the moving block 153 rises until 154) contacts the second photo sensor 156, the control unit (not shown) As shown in (b),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is operated to lower the moving block 153 to the first photo sensor 155, and then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is operated to move the container support portion 133. By rotating the second loading unit 142, o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200 is loaded, as shown in Figure 8 (c), is moved to the use position where the first loading unit 141 was located, so that the second loading unit ( 142)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200 can be used.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테핑 모터(121)가 작동함에 따라 피니언기어(122)와 맞물려 있는 스퍼기어(132)가 회전하면서 회전축(13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센서브라켓(131)도 동시에 회전하면서 제3포토센서(134)에 인입되어 있던 제3돌출감지부(131c)가 제3포토센서(134)로부터 이탈한 후 제4돌출감지부(131d)가 제3포토센서(134)에 인입되면 이를 제3포토센서(134)에서 감지하여 제어부(미도시)에서 즉시 제1스테핑 모터(121)의 작동을 중단시켜 회전축(130)이 90도 만큼 회전한 후 멈추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축(130)과 동시에 회전하는 용기지지부(133) 및 용기지지부(133)에 결합된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도 90도 만큼 회전한 후 멈추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as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operates, the spur gear 132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22 rotates and the rotation shaft 130 rotates, and thus the sensor bracket 131 ) rotates at the same time, and after the third protrusion detection unit 131c, which was inserted into the third photo sensor 134, separates from the third photo sensor 134, the fourth protrusion detection unit 131d is connected to the third photo sensor (131d). 134), this is detected by the third photo sensor 134,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immediately stops the operation of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so that the rotation shaft 130 rotates by 90 degrees and then stops. Accordingly, the container support 133, which rotates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shaft 130, and the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and 144 coupled to the container support 133 also rotate by 90 degrees and then stop.

상기와 같이 센서브라켓(131)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제1 내지 제4돌출감지부(131a, 131b, 131c, 131d)에 의해 제1스테핑 모터(121)의 작동에 따른 회전축(130) 및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의 회전은 각각 90도 간격씩만 회전한 후 멈추는 동작을 반복하는 식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적재부(141, 142, 143, 144)가 각각 순차적으로 사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otation axis 130 and first The rotation of the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and 144) is operated by repeating the operation of rotating only at 90-degree intervals and then stopping. Accordingly, the first to fourth loading units 141, 142, 143, and 144 can each be sequentially moved to their use positions.

한편, 제2스테핑 모터(151)를 작동시켜 이동블럭(153)을 제1포토센서(155)까지 하강시킨 후 제1스테핑 모터(121)를 작동시켜 용기지지부(133)를 회전시켜 제2적재부(142)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켰는데, 제2적재부(142)에 음료용기(200)가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화이버센서(160)에서 제2적재부(142)의 하단에서 음료용기(200)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미도시)에서 제2적재부(142)가 비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동블럭(153)을 상승시키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1화이버센서(160)가 구비되지 않으면 사용 위치에 있는 적재부(141, 142, 143, 144)가 비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동블럭(153)을 제2포토센서(156) 위치까지 1번 상승시켜야만 사용 위치에 있는 적재부(141, 142, 143, 144)가 비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어 필수적으로 1번은 이동블럭(153)을 상승시킨 후 다시 하강시켜야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1화이버센서(160)에서 사용 위치에 있는 적재부(141, 142, 143, 144)의 하단에서 음료용기(200)가 감지되지 않으면 바로 사용 위치에 있는 적재부(141, 142, 143, 144)가 비어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어 불필요하게 이동블럭(153)을 구동시키지 않아도 된다.Meanwhile, the second stepping motor 151 is operated to lower the moving block 153 to the first photo sensor 155, and then the first stepping motor 121 is operated to rotate the container support 133 to load the second load. Although the unit 142 is moved to the use position,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re is no beverage container 200 in the second loading unit 142. In this case, if the first fiber sensor 160 does not detect the beverage container 200 at the bottom of the second loading part 142,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that the second loading part 142 is empty and blocks the moving block. (153) does not increase. Specifically, if the first fiber sensor 160 is not provided, the moving block 153 must be connected to the second photo sensor 156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loading parts 141, 142, 143, and 144 at the use position are empty. Only when it is raised to the position once can it be confirmed that the loading parts (141, 142, 143, 144) in the use position are empty, so the moving block (153) must be raised once and then lowered again.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ing block (153) must be raised once and then lowered again. 1If the fiber sensor 160 does not detect the beverage container 200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part 141, 142, 143, 144 in the use position, the loading part 141, 142, 143, 144 in the use position Since it can be determined that is empty, there is no need to drive the moving block 153 unnecessari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자동판매장치(10) 내부에 별도의 통신부(미도시)가 마련되어 화이버센서(160, 170)에 의해 적재부(141, 142, 143, 144)의 음료용기(200)가 모두 소진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미도시)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알림을 보내 즉시 음료용기(200)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10 so that all the beverage containers 200 of the loading units 141, 142, 143, and 14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ber sensors 160 and 170. When exhaustion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send a notification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immediately replenish the beverage container 200.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이 지지플레이트(110)의 가이드부(110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하우징(120)의 후단에 형성된 손잡이(120c)를 잡고 하우징(120)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하우징(120)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적재부(141, 142, 143, 144)를 자동판매장치(100)의 외부로 빼낸 후 간편하게 음료용기(200)을 보충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2 and 3, since the housing 120 is formed to be slideable on the guide portion 110a of the support plate 110, the manager can use the handle 120c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20. Hold and slide the housing 120 to remove the plurality of loading parts 141, 142, 143, 144 formed at the top of the housing 120 to the outside of the vending machine 100, and then easily remove the beverage container 200. It can be supplement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는 수직플레이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 일측에 각각 음료용기를 감지하는 화이버센서를 형성하여 현재 사용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중인 적재부에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As explained in detail above,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ber sensor that detects the beverage container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vertical plate,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is It is alway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used up and automatically rotates the container support, allowing the use of other loading sections where beverage containers are loaded, thereby creating an automatic ven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supply of beverages continues without interruption.

구체적으로, 수직플레이트의 하단부 일측에 형성된 제1화이버센서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의 하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제2스테핑 모터를 작동시켜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상단으로 밀어올림으로써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detect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by the first fiber sensor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plate,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second stepping motor to push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section to the top.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currently in use is alway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이 수행된 이후 음료용기가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되면 수직플레이트의 이동블럭이 제2포토센서와 맞닿을 때까지 상승해도 제2화이버센서에 의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에서 수직플레이트의 이동블럭을 제1포토센서의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제1스테핑 모터를 작동시켜 용기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above operation is performed, the beverage container is continuously used, and if all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exhausted, the second photo sensor is raised even if the moving block of the vertical plate rises until it contacts the second photo sensor. The fiber sensor does not detect beverage containers at the top of the loading compartment currently in us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lowers the moving block of the vertical plate to the position of the first photo sensor and then operates the first stepping motor to rotate the container support unit, thereby moving the other loading unit loaded with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use position.

즉, 상기와 같은 작동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항상 적재부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현재 사용 중인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음료용기가 적재되어 있는 다른 적재부를 사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그리퍼에 음료용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자동판매장치를 통한 음료의 공급이 끊김 없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rough the above operation,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alway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loading section, and at the same time, it detects when all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in the loading section currently in use are exhausted and the beverage containers are removed. By moving other loaded loading parts to the use position, beverage containers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gripper, thereby ensuring that the supply of beverages through the vending machine continues without interrup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자동판매장치 내부에 별도의 통신부가 마련되어 화이버센서에 의해 적재부의 음료용기가 모두 소진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무선 통신을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로 알림을 보내 즉시 음료용기를 보충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is provid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and when the fiber sensor detects that all the beverage containers in the loading part are exhausted, the control unit sends a notification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immediately replenish the beverage containers. You can.

아울러, 하우징의 상단에 음료용기를 적재하는 다수개의 적재부가 형성되고, 하우징이 지지플레이트의 가이드부를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관리자가 손잡이를 잡고 하우징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된 다수개의 적재부를 자동판매장치의 외부로 빼낸 후 간편하게 음료용기를 보충할 수 있어 관리가 매우 편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for loading beverage containers are formed at the top of the housing, and since the housing is formed to be slideable through the guide part of the support plate, the manager holds the handle and slides the housing to form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at the top of the housing. Beverage containers can be easily refilled after the loading compartment is pulled out of the vending machine, making management very convenient.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addi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will be possible. and addition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자동판매장치
100 : 음료용기 적재 장치
110 : 지지플레이트
110a : 가이드부
120 : 하우징
120a : 상부플레이트
120b : 하부플레이트
120c : 손잡이
121 : 제1스테핑 모터
122 : 피니언기어
123 : 제1이동블럭
130 : 회전축
131 : 센서브라켓
131a : 제1돌출감지부
131b : 제2돌출감지부
131c : 제3돌출감지부
131d : 제4돌출감지부
132 : 스퍼기어
133 : 용기지지부
134 : 제3포토센서
141 : 제1적재부
142 : 제2적재부
143 : 제3적재부
144 : 제4적재부
145 : 돌출부
150 : 수직플레이트
150a : 가이드부
151 : 제2스테핑 모터
152 : 구동축
153 : 이동블럭
154 : 감지부
155 : 제1포토센서
156 : 제2포토센서
157 : 음료용기 받침부
160 : 제1화이버센서
170 : 제2화이버센서
200 : 음료용기
10: Automatic vending device
100: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110: support plate
110a: Guide part
120: housing
120a: upper plate
120b: lower plate
120c: handle
121: 1st stepping motor
122: pinion gear
123: 1st moving block
130: rotation axis
131: Sensor bracket
131a: First protrusion detection unit
131b: Second protrusion detection unit
131c: Third protrusion detection unit
131d: Fourth protrusion detection unit
132: spur gear
133: container support
134: Third photo sensor
141: First loading unit
142: Second loading unit
143: Third loading unit
144: 4th loading unit
145: protrusion
150: vertical plate
150a: Guide part
151: 2nd stepping motor
152: drive shaft
153: Moving block
154: detection unit
155: 1st photo sensor
156: 2nd photo sensor
157: Beverage container support
160: 1st fiber sensor
170: 2nd fiber sensor
200: Beverage container

Claims (5)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용기지지부에 고정 형성되는 다수개의 적재부; 및
상기 다수개의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들을 밀어올리기 위해 마련되는 제2모터, 이동블럭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 고정 형성되는 수직플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
housing;
a rotating shaft formed to penetrate the housing;
a plurality of loading parts fixed to a plurality of container support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A second motor provided to push up the beverage containers loaded on the plurality of loading units, a vertical plate on which a moving block is formed and fixed to the housing; loading of beverage containers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과 동시에 회전하는 센서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브라켓에는 다수개의 돌출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감지부가 제3포토센서에 인입되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모터의 작동이 중단되면서 상기 회전축의 회전이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bracket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and rotating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shaft,
A plurality of protrusion detection units are formed on the sensor bracket,
When the protrusion detection unit is inserted into the third photo sens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motor that rotates the rotation shaft is stopped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is stopp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하단에 제1물체감지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1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하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2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시켜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상단으로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plate,
Automatic vend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detect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unit by the first object detection sensor, the second motor operates to raise the moving block and push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to the top. Beverage container loading device of th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상단에 제2물체감지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제2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2모터가 작동하여 상기 이동블럭을 상승시켜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음료용기를 상단으로 밀어올리고,
상기 제2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면 상기 제2모터의 작동이 중지되어 상기 이동블럭이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is form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plate,
If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detec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by the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the second motor operates to raise the moving block to push the beverage container loaded on the loading unit to the top,
When a beverage container is detec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by the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operation of the second motor is stopped and the moving block is stopp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제1포토센서; 및 제2포토센서;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블럭이 상기 제2포토센서와 맞닿을 때까지 상승했음에도 상기 제2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상단에서 음료용기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적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장치의 음료용기 적재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first photo sensor on the vertical plate; And a second photo sensor is formed,
A beverage container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ing unit is rotate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not detected at the top of the loading unit by the second object detection sensor even though the moving block rises until it contacts the second photo sensor. Loading device.
KR1020220097297A 2022-05-20 2022-08-04 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 KR2023016250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1885 2022-05-20
KR1020220061885 2022-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508A true KR20230162508A (en) 2023-11-28

Family

ID=88957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297A KR20230162508A (en) 2022-05-20 2022-08-04 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5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090B1 (en) Medication dispensing device
JP6156463B2 (en) Chemical tray feeder
CN101686897B (en) Tablet filler device
WO2013035692A1 (en) Medicine cassette and medicine supply device
US4403908A (en) Method for the emptying of cigarette trays into magazines
JP6141404B2 (en) Dispenser with retention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EP2345010B1 (en) Vending machine stir-stick and sugar dispensing assembly
KR20230162508A (en) Beverage container loading apparatus for the vending machine
JP2020036978A (en) Medicine dispensing device
EP3765398B1 (en) Device for automated beverage dispensing into vessels on a turntable, and corresponding method
EP0424580A1 (en) Container dispensing apparatus
EP2535878B1 (en) Product vending machine
EP2504821B1 (en) A cup feeding unit in a beverage vending machine
US3300086A (en) Vending machine with coordinated package holders
ITMI20101912A1 (en) POWER SUPPLY SYSTEM FOR CAPSULES, CONTAINING A FOOD PRODUCT TO PRODUCE A BEVERAGE OR LIKE IT, PARTICULARLY FOR AUTOMATIC DISTRIBUTORS
KR102611026B1 (en) Product self-supply vending machine
JPS5931646Y2 (en) Paper tube discharge device
KR20230162507A (en) Module that closes the lid of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vending machine
EP0866016A2 (en) Tray transfer system and tray storage apparatus
JP4539162B2 (en) Coin dispensing device and game machine
KR20060089359A (en) Ejection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JP2022106557A (en) Medicine feeder and dispensing system
ITTO20070712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ISTRIBUTION OF PRODUCTS IN AN AUTOMATIC DISTRIBUTOR
JP2003228762A (en) Lid fitting device for cup type automatic vending machine
JPS6349809Y2 (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