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164A -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164A
KR20230162164A KR1020220061713A KR20220061713A KR20230162164A KR 20230162164 A KR20230162164 A KR 20230162164A KR 1020220061713 A KR1020220061713 A KR 1020220061713A KR 20220061713 A KR20220061713 A KR 20220061713A KR 20230162164 A KR20230162164 A KR 20230162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ted water
solids
transfer pump
minutes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인섭
Original Assignee
(주)미미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미클 filed Critical (주)미미클
Priority to KR102022006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2164A/ko
Publication of KR20230162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세대에 설치된 커터기에서 분쇄한 음식폐기물의 고형물과 오염수를 각각 분리한 후에, 고형물은 미생물군을 통해 완전 소멸하여 잔존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염수는 바이오칩을 통과하면서 오염도를 방류 기준인를 20PPM으로 낮추어 방류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세대에 설치되며 음식폐기물을 죽 형태가 아닌 잘게 절단하여 배출하도록 1500RPM의 저속 회전하는 칼날 형태의 커터기; 상기 커터기에 연결 설치되며 직경 150㎜의 배관을 경사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설치하고 공동 배관에 연결하여 고형물과 오염수가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하는 집하 배관; 상기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된 고형물과 오염수를 각각 분리하여 고형물은 바이오 소멸기로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펌프와, 오염수는 오염수 정화기로 이동시키는 오염수 이송펌프; 상기 고형물 이송펌프을 통해 내부에 모인 고형물은 항상 충진되여 있는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접종한 바이오칩에 의해 30분당 5분씩 교반하여 혼합하고, 25분간 정지하여 혐기성으로 분해한 다음에 호기성으로 전환하기 위해 5분간 교반하는 과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30℃ ~ 45℃ 온도로 상온 발효를 통해 고형물을 완전 소멸시키는 바이오 소멸기;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을 통해 오염수를 내부 공간에 함수율을 20 중량% 보유한 1 내지 10㎜ 크기의 우드칩에 휴먼상태인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군을 접종한 바이오칩이 충진하고, 바이오칩들의 사이 공간을 밑에서 위로 스며드는 형식의 Up Flow 방식으로 3~4시간 동안 체류하도록 하는 공기주입 브로워장치를 통해 오염수의 오염도를 20PPM으로 낮추어 방류하는 오염수 정화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Apartment and multi-family housing food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세대에 설치된 커터기에서 분쇄한 음식폐기물의 고형물과 오염수를 각각 분리한 후에, 고형물은 미생물군을 통해 완전 소멸하여 잔존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염수는 바이오칩을 통과하면서 오염도를 방류 기준치인 20PPM으로 낮추어 방류하는 것이다.
현재 시행되고있는 가정에 디스포저 → 집수조 → 고액분류기 → 퇴비화 소멸장치 → 오염수 방류 과정서 고액분류기서 분리된 오염수의 오염농도가 매우 높아 종말하수처리장이 부족한 전국의 각 지자체에게 처리 용량의 부하를 발생케해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본 발명은 오염수의 농도가 매우 낮아 하수구로 방류해도 무난할 정도이나 하수방류 기준치인 20PPM이하로 방류해 전국의 지자체가 폐수처리에 심각한 문제들을 해소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으로 집단 공동주택서 발생하는 음식폐기물을 자체적으로 해결한다는 획기적인 시스템인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여러가지 오물들은 다량의 물을 함유하고 있는 상태로 배출되며, 매우 다양한 성분의 물질이 혼합되어 배출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식생활 문화에서는 먹고 남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매우 많아 다른 나라에 비해 많은 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주방에서 배출되는 오물은 대부분 유기물이기 때문에 실내 온도에의해 수분이 많이 함유된 상태에서는 부패되어 심한 악취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처리장치가 제안 및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는 건조방법,디스포자에 의한 갈아서 하수구로 오염물 전량배출,디스포자로 갈아서 걸름망에 의한 극히 소량의 고형물만 걸러내 2차 처리하는 방법등으로 처리기를 사용하거나 발생한 그대로 배출하여 음식폐기물의 오염물은 총량기준 그대로 배출되여 환경과 위생을 파괴하여 심각한 문제들을 해결치못해 전세계가 파괴되고있는 실정입니다.
유기물이 대부분인 음식물 쓰레기가 일반 생활쓰레기와 혼합 처리됨으로 인하여 매립장, 또는 소각장에서 처리의 곤란성은 물론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주방의 개수대를 통해 그대로 흘러내려 보내는 유기물은 부패되면서 하천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가정의 디스포저는 하수관에 스케일과 하수관 막힘으로 인해 인근 가정에 역류되고 악취가 넘쳐 흘러 들어가 사용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으며,
액상으로 갈아서 하수구로 배출하는 액상소멸기란 것은 20%만 하수구로 흘려보내고 80%는 고형물로 잔존되여 건조로 말려서 배출하던, 분쇄후 건조해 배출하던, 미생물처리후 배출하던 2차처리토록 환경부 규정이있으나, 강한 회전(3000RPM)의 디스포저는 실질적으로는 90%정도가 배수구로 흘러가고 남는 고형물은 10% 정도로 하수배관의 스케일과 막힘 현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액상소멸장치는 금지해야된다는 법 개정이 발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상기문제점들을 해결할수있다며 음식폐기물 공동처리장치가 몇군데 시범적으로 아파트단지에 설치하였고 시스템을 보면 가정에서 디스포저(disposer)를 설치해 믹서기로 갈아서 별도의 배관을 통해 지하공간의 집하장으로 이송한 후 고액분류장치서 고형물은 퇴비화장치로 이송하여 처리하고 분류된 액체는 하수구로 방류하는 시스템이나 가정의 디스포저에서 음식폐기물이 갈아서 90% 이상이 오염농도가 매우높은 액체화되여 하수관을 통해 방류되여 지자체의 종말하수처리장의 부하가 만연해 전국의 강, 하천, 바다를 오염시키고 있다. 디스포저를 설치한후 80% 고형물을 걸러내야되는 액상소멸장치는 실질적으로 10% 내외의 고형물만 걸러내므로 액상소멸장치는 금지해야된다는 법 개정이 발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77549호 "고농축 악성 유기성 폐액의 정화처리방법"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한 회전의 디스포저 대신에 저속 회전의 칼날 형태의 커터기로 대체하며, 집하 배관을 통해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한 후에 고형물은 바이오소멸기로 이송하여 미생물군을 투여하여 완전 소멸시키고, 오염수는 오염수 정화기를 통해 오염도를 20PPM으로 낮추어 방류하여, 공동 주택의 대용량 음식폐기물의 고형물을 잔존물 없이 완벽하게 소멸시킴과 동시에 오염수를 오염수 방류기준에 맞게 정화하여 방류하는 친환경적인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세대에 설치되며 음식폐기물을 죽 형태가 아닌 잘게 절단하여 배출하도록 1500RPM의 저속 회전하는 칼날 형태의 커터기; 상기 커터기에 연결 설치되며 직경 150㎜의 배관을 경사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설치하고 공동 배관에 연결하여 고형물과 오염수가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하는 집하 배관; 상기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된 고형물과 오염수를 각각 분리하여 고형물은 바이오 소멸기로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펌프와, 오염수는 오염수 정화기로 이동시키는 오염수 이송펌프; 상기 고형물 이송펌프을 통해 내부에 모인 고형물은 항상 충진되여 있는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접종한 바이오칩에 의해 30분당 5분씩 교반하여 혼합하고, 25분간 정지하여 혐기성으로 분해한 다음에 호기성으로 전환하기 위해 5분간 교반하는 과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30℃ ~ 45℃ 온도로 상온 발효를 통해 고형물을 완전 소멸시키는 바이오 소멸기;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을 통해 오염수를 내부 공간에 함수율을 20 중량% 보유한 1 내지 10㎜ 크기의 우드칩에 휴먼상태인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군을 접종한 바이오칩이 충진하고, 바이오칩들의 사이 공간을 밑에서 위로 스며드는 형식의 Up Flow 방식으로 3~4시간 동안 체류하도록 하는 공기주입 브로워장치를 통해 오염수의 오염도를 20PPM으로 낮추어 방류하는 오염수 정화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는 1500RPM의 저속 회전을 통해 고형화율 80% 이상을 형성하고, 칼날 마모 및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와 고농축 오염물질인 액화상태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둘째는 세대별 배관을 경사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설치하여 공동처리 집하장까지 원활하게 도달시키는 효과가 있다.
셋째는 바이오 소멸기에 모인 고형물은 바이오군 및 효소군과 혼합, 교반 및 저온 발효를 통해 완전히 소멸하여 잔존물이 존재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넷째는 분리된 오염수는 바이오칩을 Up Flow 방식으로 통과하면서 오염도를 20PPM으로 낮쳐 방류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오염수 처리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각 세대에 설치된 저속 회전하는 커터기로 분쇄한 음식폐기물을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한 후에 고형물과 오염수를 각각 분리 이동하고, 고형물은 미생물군과 효소군을 통해 완전 소멸하여 잔존물이 발생하지 않으며, 오염수는 바이오칩을 통과하면서 오염도를 방류 기준에 맞게 낮추어 방류하는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터기(110)와, 커터기(110)에 연결된 배관(120)들을 공동배관(125)에 연결하여 음식폐기물의 고형물(141)과 오염수(142)를 공동처리 집하장(140)에 집하하는 집하 배관(130)과, 집하된 음식폐기물에서 고형물(141)과 오염수(142)를 분리하여 바이오 소멸기(140)와, 오염수 정화기(150)로 이동시키는 고형물 및 오염수 이송펌프(160)(170)와, 바이오 소멸기(150)의 내부에 집하된 고형물(141)에 미생물군을 투여하여 교반 및 발효하여 완전 소멸시키고, 오염수(142)는 오염수 정화기(180)의 내부에 설치된 공기주입 브로워 장치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면서 오염수(142)를 바이오칩(181) 사이 공간에 체류하면서 오염도를 방류 기준에 맞게 낮추어 방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기(110)는 각 세대 내에 설치하며 모터를 통해 칼날을 회전시켜 음식폐기물을 절단한다.
이때, 상기 칼날은 1500RPM이하로 저속 회전하면서 음식폐기물을 물과 함께 절단하여 고형화율을 80%이상으로 배출하며 오염물이 액화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며 칼날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집하 배관(130)은 커터기(110)에 연결 설치되며, 직경 150㎜의 배관(120)을 경사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설치한다.
각 세대의 배관(120)들은 하나의 공동 배관(125)에 연결하여 고형물(141)과 오염수(142)를 공동처리 집하장(140)에 집하한다.
이때, 고형물(141)은 각 세대의 배관(120) 경사면을 따라 흘러가므로 배관의 막힘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공동처리 집하장(140)의 내부에 집하된 음식폐기물은 하측에 고형물(141)이 적층되고, 적층된 고형물(141)의 상측에 오염수(142)가 모이게 된다.
상기 공동처리 집하장(140)은 공동 주택의 환경 여건에 따라 지상이나 또는 지하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고형물 이송펌프(160)는 공급 배관(161)을 가지면서 공동처리 집하장(14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고, 회전력을 이용한 탈수장치를 통해 고형물(141)의 물기를 제거하면서 미생물 소멸기(150)로 공급 배관(161)을 통해 공급한다.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170)는 공급 배관(171)을 가지면서 공동처리 집하장(14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오염수(142)를 오염수 정화기(180)로 공급한다.
상기 미생물 소멸기(150)의 수집된 고형물(141)은 미생물군이 접종된 바이오칩에 의해 소멸되는 과정으로 30분당 5분씩 교반중 공기를 주입하여 호기성을 유지토록 혼합하고, 25분간 정지하여 혐기성으로 분해한 다음에 호기성으로 전환하기 위해 5분간 교반하는 과정을 연속적 진행하게 되며 발효온도는 30℃ ~ 45℃ 온도로 상온 발효한다.
상기 고형물(141)을 미생물 소멸기(150)로 이송한 후에 소멸 시간은 물질에 따라서 3~24시간 교반 및 상온 발효를 통해 고형물(141)을 완전 소멸한다.
상기 바이오 소멸기(150)는 무배출, 무배수, 무잔물로 전부 공기로 승화되어 대기중으로 사라지도록 하는 장치로서 오염물 배출이 일체없는 획기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바이오 소멸기(150)는 1일 100Kg의 고형물을 소멸시킬 수 있는 장치로, 150세대 아파트는 충분히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군은 에어로박터(Aerobacter), 바실러스(Bacillus), 슈도모나스(Psedomonas), 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니트로박터(Nitrobacter)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생물은 자연에(토양, 강, 하천) 존재하는 Saprophytic 미생물로써 호기성(산소를 필료로 하며 증식하는), 임의성(산소가 있을 때나, 없을 때나 증식하는)으로 혼합시킨 미생물로써, 음식폐기물의 주성분인 유기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전분,섬유질들을 분해하여 저분자화시켜 미생물에 의해 무색,무취 탄산가스로 승화되여 공기로 사라져 오염물 배출이 없는 것이다.
1)에어로박터(Aerobacter)
산소가 있을 때 : 모든 유기화합물 즉 C.H.O의 화합물인 음식물 쓰레기는 (CH20)X -> CO2+H20)로 분해시키는 역할.
산소가 없을 때 : 1단계 (CH20)X -> CH20+CH20
2단계 CH300H -> CH4+H20로 분해시킨다.
2)바실러스(Bacillus)
증식을 하면서 배설물인 Enzyme을 배설하여 유기물질들을 소립자로 쪼개는 역할을 수행하여 미생물들이 먹을수 있도록 해주는 미생물로 배설물인 각종 효소들을 살펴보면,
A. Lipase - 지방질을 분해
B. Protease - 단백질을 분해
C. Amylase - 전분을 분해시키며, 분해가 어려운 Suspend Solid를 분해하는 Soluble Suspend Solid로 분해를 해준다.
이때 염분 및 각종 염류가 분해된다.
3)슈도모나스(Psedomonas)
C.H.O의 화합물인(CH20)X->CO2 +H20로 분해시키며 석유화학 물질에서 발생되는 즉, 식생활에서 배출되는 물질들인 H2S, ABS, LAS, N-Hexane, Phenol, Hydrocarbon등을 분해시킨다.
4)셀룰로모나스(Cellulomonas)
섬유질을 분해시키는 미생물로써 섬유질의 분해가 어려운 Glucose β를 분해가 잘 되는 Glucose α로 변화시켜 포도당으로 변화되어 섬유소를 제거시킨다.
5)로도슈도모나스(Rhodopseudomonas)
a. 산소가 있을 때는Pseudomonas와 같은 역할.
b. 산소가 없을 때는 유기물이 (CH20)x -> CH3COOH로의 2CH4 +CO2로의 변화를 억제하고 CH3COOH -> CO2 +H2O로 역변화를 시켜 악취 발생 요인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6)니트로소모나스(Nitrosomonas)
단백질 화합물이 분해되면서, 각종 단백질이 암모니아성 질소(NH3-N)로 변화된 성분을 아질산성질소(NO2-N)로 전환 시키는 역할을 한다.
7) 니트로박터(Nitrobacter)
아질산성 질소(NO2-N)를 안정화된 물질인 질산성 질소(NO3-N)로 승화시켜 질소 공기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미생물군은 미생물과 효소군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이오칩(181)은 함수율을 20 중량% 보유한 1 내지 10㎜ 크기의 100% 참나무 우드칩에 휴먼상태인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효소 포함)을 포함하는 미생물군을 접종시켜 형성한다.
상기 오염수 정화기(180)는 내부 공간을 갖는 일정 크기의 탱크로서, 탱크의 내부에 미생물군이 접종된 바이오칩(181)을 충진하고, 그 하측에 공기주입 브로워(blower) 장치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 브로워(blower) 장치가 설치된 곳으로 오염수(142)를 공급하는 오염수 이송펌프(170)를 연결한다.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170)는 정량펌프로서, 일정 양의 오염수(142)를 탱크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공기주입 브로워(blower) 장치는 저수위센서(191)와 오염수(142)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192) 및 공기주입관(192)에 공기를 공급하는 링브로워 모터(193)로 구성한다.
상기 저수위센서(191)는 첨부된 도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192)의 상측에 설치하며, 오염수(142)가 일정 수위까지 충진되면, 일정한 속도로 점차적으로 Up Flow 방식으로 오염수(142)를 바이오칩(181) 쪽으로 공급하여 3~4시간 정도 체류한 후에 방류하도록 설계하여 미생물에 의해 오염수(142)를 정화한다.
상기 공기주입관(192)은 링브로워 모터(193)에 의해 공급된 공기를 오염수(142)로 폭기하여 오염수(142)의 산소농도를 높이게 된다.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170)를 통해 오염수 정화기(180)로 공급되는 오염수(142)의 수위가 저수위센서(191)까지 도달하게 되면, 링브로워 모터(193)가 가동하면서 공기주입관(192)에서 공기가 폭기되면서 오염수(142)로 공급한다.
이때, 폭기되는 공기를 일정한 속도로 점차적으로 Up Flow 방식으로 공급하여 오염수(142)를 바이오칩(181) 사이 공간을 3~4시간 동안 체류하면서 오염수(142)의 산소농도를 높이게 된다.
이때, 상기 바이오칩(181)에 접종된 미생물과 특수 효소에 의해 오염수의 오염도를 20PPM으로 낮추게 된다.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170)는 정량펌프로서, 오염수 정화기(180)의 저수위센서(191)에 의해 감지된 오염수(142)의 양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170)를 통해 계속 유입되는 오염수(142)는 바이오칩에 의해 지속적으로 정화되면서 오염수 정화기(180)의 상측에 형성된 배출관(182)을 통해 외부로 배출 처리한다.
110:커터기 120:배관
125:공동배관 130:집하 배관
140:공동처리 집하장 141:고형물
142:오염수 150:바이오 소멸기
160:고형물 이송펌프 170:오염수 이송펌프
180:오염수 정화기 181:바이오칩

Claims (2)

  1. 각 세대에 설치되며 음식폐기물을 죽 형태가 아닌 잘게 절단하여 배출하도록 1500RPM의 저속 회전하는 칼날 형태의 커터기;
    상기 커터기에 연결 설치되며 직경 150㎜의 배관을 경사 각도를 20도 이상으로 설치하고 공동 배관에 연결하여 고형물과 오염수가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하는 집하 배관;
    상기 공동처리 집하장에 집하된 고형물과 오염수를 각각 분리하여 고형물은 바이오 소멸기로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펌프와, 오염수는 오염수 정화기로 이동시키는 오염수 이송펌프;
    상기 고형물 이송펌프을 통해 내부에 모인 고형물은 항상 충진되여 있는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접종한 바이오칩에 의해 30분당 5분씩 교반하여 혼합하고, 25분간 정지하여 혐기성으로 분해한 다음에 호기성으로 전환하기 위해 5분간 교반하는 과정을 진행함과 동시에 30℃ ~ 45℃ 온도로 상온 발효를 통해 고형물을 완전 소멸시키는 바이오 소멸기;
    상기 오염수 이송펌프을 통해 오염수를 내부 공간에 함수율을 20 중량% 보유한 1 내지 10㎜ 크기의 우드칩에 휴먼상태인 에어로박터, 바실러스, 슈도모나스, 셀룰로모나스, 로도슈도모나스, 니트로소모나스, 니트로박터의 7가지 혼합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군을 접종한 바이오칩이 충진하고, 바이오칩들의 사이 공간을 밑에서 위로 스며드는 형식의 Up Flow 방식으로 3~4시간 동안 체류하도록 하는 공기주입 브로워장치를 통해 오염수의 오염도를 20PPM으로 낮추어 방류하는 오염수 정화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 브로워(blower) 장치는 저수위센서)와 오염수에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관 및 공기주입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링브로워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KR1020220061713A 2022-05-20 2022-05-20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KR20230162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13A KR20230162164A (ko) 2022-05-20 2022-05-20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713A KR20230162164A (ko) 2022-05-20 2022-05-20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164A true KR20230162164A (ko) 2023-11-28

Family

ID=8895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713A KR20230162164A (ko) 2022-05-20 2022-05-20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21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49B1 (ko) 2012-03-22 2015-01-12 (주)미미클 고농축 악성 유기성 폐액의 정화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549B1 (ko) 2012-03-22 2015-01-12 (주)미미클 고농축 악성 유기성 폐액의 정화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Dictionary of water and waste management
CN105540994A (zh) 一种钻井废弃物的资源化利用工艺
CN104310714B (zh) 一种处理养殖与屠宰污水的系统及其工艺
ZA200105397B (e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hydrocarbon contaminated material.
CN205295088U (zh) 一种餐厨垃圾的渗滤液处理系统
Kinnicutt et al. Sewage disposal
Tay et al. Seafood processing wastewater treatment
EP2160361A1 (en) Process for removing nitrogen and phosphorus from greywater and apparatus
JP2983014B2 (ja) 汚泥処理方法
KR20230162164A (ko) 아파트 및 공동주택 음식물처리 시스템
KR10094924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법
Dewi et al. Removal of ammonia and phosphate parameters from greywater using Vetiveria zizanioides in subsurface-constructed wetland
Nielsen et al. Purification efficiency of Danish biological sand filter systems
JP2005144361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
KR100246955B1 (ko) 미립목질입자에 의한 폐수처리방법
KR20000054588A (ko)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장치 및 이를이용한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방법
JP4044159B2 (ja) 小規模廃液処理槽における廃液処理法
JP2000325993A (ja) 生ゴミ処理方法および同設備
CN205473227U (zh) 河水净化处理系统
AU767753B2 (e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hydrocarbon contaminated material
Gajurel et al. Potential of filter-vermicomposter for household wastewater pre-treatment and sludge sanitisation on site
JP2006255691A (ja) 環境浄化資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環境浄化方法
Raivaldi et al. The use of subsurface constructed wetland for the treatment of tofu industrial wastewater in Semanan, Jakarta Barat
Isnadina et al. Technical evaluation of leachate treatment plant at Klotok Landfill Kediri in 2017
Ramprasad Experimental study on waste water treatment using lab scale reed bed system using Phragmitis austral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