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1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12A
KR20230161812A KR1020220061636A KR20220061636A KR20230161812A KR 20230161812 A KR20230161812 A KR 20230161812A KR 1020220061636 A KR1020220061636 A KR 1020220061636A KR 20220061636 A KR20220061636 A KR 20220061636A KR 20230161812 A KR20230161812 A KR 20230161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al device
refrigerator
mounting member
mounting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현
이익규
조용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812A/ko
Priority to PCT/KR2023/005197 priority patent/WO2023224272A1/ko
Publication of KR20230161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는 제 2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제어부와의 신호 전달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일 예로, 냉장고의 내부의 악취 제거를 위한 탈취 장치가 고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식품을 확인하기 위해 카메라가 고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식품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각종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089725호에는 냉장고의 고내측 상면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고내 공간을 촬영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냉장고에 카메라가 고정 장착되어 원하는 위치에 카메라를 배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카메라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도 카메라가 배치되어 있어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다양한 제품의 라인업을 구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고내에 사용자가 원하는 부가 디바이스를 추가 장착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고내의 다양한 위치에 부가 디바이스를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자의 부가 디바이스의 선택적인 장착을 통해서 냉장고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는 제 2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제어부와의 신호 전달이 가능하다.
상기 캐비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에 의해 매립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장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저장 공간의 벽면에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단열재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열재보다 단열 계수가 더 큰 단열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장착 공간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와 추가 디바이스의 둘레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시 서로 접하여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는 형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에 함몰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동일 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부보다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모듈; 상기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연결부가 노출되는 본체; 및 상기 장착 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저장 공간으로 노출되는 디바이스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벽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 공간 내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다수의 상기 장착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는 USB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인식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대응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의 내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에 구비될 수 있다.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상기 도어 사이를 차폐하는 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필러에 구비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가지는 추가 디바이스를 저장 공간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를 판매 후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제품의 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의 판매 이후에도 추가되는 기능 또는 업그레이드 되는 기능을 추가 디바이스를 통해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체적인 냉장고 시스템의 교체 없이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을 통해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종류 또는 개수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도록 복수의 장착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추가 디바이스를 원하는 위치에 선택 장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커버를 통해 상기 장착부재를 차폐함으로써 저장 공간의 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착부재의 연결부가 오염 되거나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장착부재에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전원과 신호의 전달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추가 디바이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는 규격화된 단자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다양한 종류의 추가 디바이스가 동일한 연결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추가 디바이스의 종류에 관계 없이 동일한 연결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와 장착부에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부에 의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오조립을 방지하고 정확한 배치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추가 디바이스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추가 디바이스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서로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추가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에 따른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방향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1 에서 보이는 도어의 전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도어의 전면을 기준으로 캐비닛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 그리고, 냉장고가 설치되는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 그리고 바닥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의 저장 공간은 구획벽(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는 냉장실(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냉동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는 상기 냉장고(10)의 동작의 제어는 물론 아래에서 설명할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에는 출력부(141)가 연결되어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41)는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의 형태 또는 음성으로 표시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에는 조작부(17)가 연결되어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조작을 입력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17)는 버튼, 스위치, 터치와 같은 물리적인 입력 방식 외에도, 음성의 입력이 가능한 마이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냉장고(1)의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성되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0)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냉장실(12)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냉동실(13)의 개구된 전면을 회동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방에 구비되므로 상부 도어라 부를 수 있으며,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하방에 구비되므로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21,22)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이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좌우 한쌍이 구비되어 한쌍의 도어에 의해 상기 냉동실(13)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필요에 따라서 서랍식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동실(13)이 하방에 구비되는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에 하나의 공간을 한쌍의 도어가 회동되어 각각 개폐되는 프렌치 타입의 도어가 적용된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냉장고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카메라 모듈의 설치가 가능한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 중 적어도 일측의 도어(21)는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도어(4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도어(40)에는 개구부(도 2에서 41)가 관통 형성될 수 이다.
상기 서브 도어(30)는 상기 메인 도어(40)의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메인 도어(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30)는 상기 개구부(41)를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30)에는 상기 개구부(41)의 내측을 투시할 수 있는 투시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부(3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투명한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상기 개구부(41)의 내부가 가시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투시부(31)는 화면 출력이 가능한 엘시디(LCD), 또는 투명 엘시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저장 공간 내부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추가 디바이스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102)와,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결합되며 상기 캐비닛(10)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101) 사이에는 발포액을 주입하여 형성되는 단열재(103)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101)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캐비닛(10)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상대적으로 얇은 플라스틱 소재로 진공 성형되어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상기 냉장실(12)의 상면과 하면,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이너 케이스(102)는 상기 냉장실(12)의 후면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의 후면은 그릴팬 어셈블리(121)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21)는 고내의 냉기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너 케이스(102)에는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냉장고(1)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상기 냉장고(1)의 기능을 업그레이드 하거나, 추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냉장고(1)의 일반적인 냉각 운전에 부가되는 독립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을 위해서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는 장착부재(200)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재(200)에 사용자가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시 전원 공급 및 신호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시 자동으로 인식되어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과 좌우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 외에도 상기 그릴팬 어셈블리(121)과 같은 고내의 구성물에도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에는 커버(190)가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 된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상면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저장 공간 즉, 상기 냉장실(12)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장치 외에도, 열화상 카메라, 이온 탈취기, 이산화탄소 감지기, 가스 센서, 바코드 또는 QR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리더기, 열전소자로 구성된 추가 냉각장치, 와이파이 동글 등 다양한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냉장고(1)의 구매시 제공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추가 구매하거나, 냉장고(1)의 성능 업그레이드를 위해 추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컨트롤러(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컨트롤러(14)로 전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휴대폰이나 피시와 같은 원격지의 기기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서 획득된 영상 정보는 가공을 통해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한 정보로 활용되거나,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00)는 다양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커버를 장착하여 상기 장착부재(200)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동일 색상 또는 질감을 가지도록 형서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시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90)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190)의 외측면이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다수의 장착부재(200) 중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 적합한 위치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장착할 수 있으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되지 않는 장착부재(200)에는 커버(190)를 장착하여 상기 장착부재(200)의 내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장착부재 및 추가 디바이스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추가 디바이스가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서로 결합되는 장착부재와 추가 디바이스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착부재(200)는 이너 케이스(102)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는 이너 케이스(102)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일부가 상기 단열재(103)에 매립되어 장착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몰된 장착 공간(211)을 형성하는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냉장실(12)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개구된 일면의 둘레에는 절곡된 테두리(2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214)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결합되어 상기 장착부재(200)를 고정하고 상기 단열재(103)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착 공간(211)은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본체(12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 공간(211)은 상기 본체(12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면 둘레에는 케이스 형합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형합부(213)는 상기 장착 공간(211)의 일부가 컷아웃(cut-out)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본체(120)의 외측면 둘레에는 본체 형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형합부(123)는 상기 케이스 형합부(213)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될 때, 상기 본체(12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삽입되며, 이때 케이스 형합부(213)와 본체 형합부(123)가 서로 접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오장착되지 않고 정확한 배치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장착 구조에 의해 상기 장착부재(200)의 제 1 연결부(220)와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제 2 연결부(130)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 1 연결부(220)가 구비되는 장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4)는 상기 장착 공간(211)에서 더 함몰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제 1 연결부(220)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214)는 상기 케이스(210)의 개구와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제 1 연결부(220)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220)가 눌려지게 되더라도 상기 제 1 연결부(220)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214)는 상기 장착 공간(211)과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220)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 1 연결부(220)를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연결부(220)는 상기 장착부(214)에 고장되는 제 1 바디(222)와, 상기 제 1 바디(222)에 구비되는 제 1 단자(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222)는 상기 장착부(214)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214)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222)의 단부에는 상기 장착부(214)의 개구된 둘레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바디(222)는 상기 제 2 연결부(130)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자(221)는 상기 제 1 바디(222)의 함몰된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제 2 단자(131)와 서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자(221)와 제 2 단자(131)는 암수 구조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단자(221)와 제 2 단자(131)는 표준화된 USB단자 구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221)와 제 2 단자(131)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른 표준화된 단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2)는 상기 장착부(214)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상기 케이스(21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210)에는 상기 가이드부(21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212)는 상기 장착부(214)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2)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서 돌출된 가이드 돌기(122)가 삽입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12)는 상기 가이드 돌기(122)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될 때 상기 가이드 돌기(122)는 상기 가이드부(21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22)가 상기 가이드부(212)에 삽입되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 위치가 안내될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제 2 연결부(13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212)에 상기 가이드 돌기(122)가 삽입되도록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장착하게 되면,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제 2 연결부(130)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돌기(122)와 상기 가이드부(212)는 서로 걸림 구속되거나, 압입될 수도 있으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장착 공간(211)에 수용되는 본체(120)와, 상기 장착 공간(211)을 차폐하는 디바이스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상기 장착부재(200)의 장착 공간(21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의 둘레면 일측에는 본체 형합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형합부(123)는 상기 케이스 형합부(213)와 마주보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20)를 상기 장착 공간(21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장착 위치가 정렬되면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의 내부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모듈(140)이 구비되는 수용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카메라 장치인 경우 상기 모듈(140)은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상기 모듈(140)은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140)은 상기 제 2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상기 본체(120)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30)는 제 2 단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단자(131)는 제 1 단자(2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제 2 연결부(130)의 결합시 상기 제 1 단자(221)와 제 2 단자(131)는 서로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단자(221)와 제 2 단자(131)의 연결을 통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221)와 제 2 단자(131)의 연결을 통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와 상기 제어부(15) 사이에 신호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작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15)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에는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2)는 상기 제 2 연결부(130)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22)는 상기 가이드부(212)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2)는 한쌍이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양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22)는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돌출 방향과 동일하게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돌출 높이(H2)는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돌출 높이(H1)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돌출된 단부는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돌출된 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낙하하거나 다른 구성들과 부딪히게 되더라도 상기 가이드 돌기(122)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부(130)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상기 제 2 연결부(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부(212)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부(212)의 바닥에 접하게 되면,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제 2 연결부(130)가 서로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22)와 가이드부(2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제 2 연결부(130)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는 상기 본체(120)의 일 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200)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는 본체(120)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 공간(211)의 개구를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가 상기 저장 공간으로 노출되어 외관을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노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모듈(14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를 통과하여 노출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카메라 장치인 경우 상기 카메라 장치의 일부가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를 통과하여 노출되며, 상기 저장 공간 내부의 식품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 및 미장착된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2의 VII-VII'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이너 케이스(102)에 장착되며, 상기 장착부재(200) 내부의 장착 공간(211)은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외측면보다 더 함몰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200)의 장착으로 인해 상기 이너 케이스(102)와 아웃 케이스(210) 사이의 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상기 장착부재(200)에는 단열부재(104)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04)는 상기 단열재(103)와 달리 성형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부재(200)를 덮는 판 또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04)는 상기 단열재(103)보다 단열 성능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부재(104)는 상기 단열재(103)보다 더 큰 단열 계수를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단열부재(104)는 진공 단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재(200)의 외면에 상기 단열부재(104)를 배치 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200)가 장착된 위치에서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본체(120)와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20)는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상기 모듈(140)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2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연결부(220)가 돌출되는 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123)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는 상기 본체(120)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플레이트부(111)와, 상기 플레이트부(111) 둘레의 테두리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는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본체(120)의 하단이 상기 테두리부(112)와 접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의 내측에는 상기 모듈(140)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모듈(140)은 스크류(115)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에 장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를 분리하여 상기 모듈(140)에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에는 스크류(115)가 체결되는 보스(113,1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113)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113)를 통과하는 스크류(115)는 상기 본체(120)의 내측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와 상기 본체(120)는 상기 스크류(115)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와 본체(120)의 사이는 물 또는 습기가 침투되지 않도록 실링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3의 IX-IX'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커버(190)가 장착되어 상기 장착부재(200)의 장착 공간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00)의 함몰된 공간의 노출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190)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의 내측면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90)의 장착을 통해 상기 장착 공간(211) 내부의 제 2 연결부(13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130)의 파손 및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판상의 커버 플레이트(191)와, 상기 커버 플레이트(191) 둘레를 따라 절곡된 커버 테두리(192)를 포함할 수 수 있다. 상기 커버(19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되면, 상기 커버 플레이트(191)는 상기 장착 공간(211)을 차폐하고, 상기 커버 테두리(192)는 상기 장착 공간(211)의 내측 둘레와 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90)의 내측에는 다수의 커버 고정부(19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3)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191) 또는 상기 커버 테두리(192)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190)의 장착시 상기 장착 케이스(210)의 내측면에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고정부(193)는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커버(190)의 양측이 모두 상기 장착부재(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고정부(193)는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버(190)의 장착 분리시 상기 커버 고정부(193)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장착 케이스(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재(200)의 외면에는 상기 단열부재(104)가 배치되어 상기 장착부재(200)의 장착 공간(211)이 비어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단열 성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상기 냉장고의 주요 구성들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에 따른 상기 냉장고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냉장고(1)의 압축기와 같은 냉각을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구동부(16)가 구동되면서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17)에서 입력된 조작에 따라 상기 제어부(15)가 상기 구동부(16)를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는 온도 센서(18)에서 감지되는 상기 저장 공간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상기 구동부(16)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와 같은 통상의 운전을 일반 운전이라 할 수 있다. [S100]
일반 운전이 시작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냉장고(1)에 추가 디바이스(1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되는 위치는 제 1 장착부재(200)와 제 2 장착부재(200)와 같이 다수의 장착부재(200) 중 설정된 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적합한 위치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190)를 상기 장착부재(20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제 2 연결부(130)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 2 연결부(130)가 노출된 상기 장착 공간(211)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장착하게 된다. [S210]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장착하여 상기 제 1 연결부(220)와 제 2 연결부(130)가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15)에서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장착부재(200)에 장착하기만 하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와 상기 제어부(15)는 통신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에 통신부(19)가 구비되어 외부와 통신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원격지로부터 수신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원격지와의 주기적인 통신을 통해 추가 디바이스(100)가 출시되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제어부(15)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과 함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상기 제어부(15)에 설치될 수도 있다. [S220]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과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위한 대응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5)에 설치된 다양한 추가 디바이스(100)의 프로그램들 중 실제 장착된 추가 디바이스(100)의 정보를 인식하고, 그에 맞추어 대응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게 된다. [S230]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과 인식이 완료되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구동을 위한 대응 프로그램까지 활성화 된 후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정상적인 인식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출력부(141) 또는 원격지의 사용자 단말기로 추가 디바이스(100)의 정상적인 인식 완료 및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이 대기된 상태를 안내할 수 있다. [S240]
한편,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정상적인 장착과 인식이 완료되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설정된 대응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종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상기 대응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활성화가 이루어진 상태라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인식과 함께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 대한 동작을 설정하고 조작할 수도 있으며, 대응 프로그램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7)의 조작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설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S250]
상기 대응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구동부(16)를 제어하여 일반 운전을 지속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종류와 동작에 따라 상기 일반 운전이 아닌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 의해 종속 또는 변경되는 다른 운전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S120]
한편,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장착부재(200)에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정상적으로 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다른 문제에 의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한 경우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미인식 상태를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출력부(141) 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 또는 인식에 문제가 생겼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장착 또는 인식 중 어떤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를 복수개 장착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복수의 추가 디바이스(100)는 제 1 장착부재(201)와 제 2 장착부재(202) 등 다수의 장착부재들(200)에 적절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인식 및 활성화는 전술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복수의 추가 디바이스(100)가 한꺼번에 장착되는 경우 복수의 추가 디바이스(100)가 동시에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전술한 실시 예와 달리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저장 공간의 내부 중 캐비닛이 아닌 도어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전술한 실시 예의 장착 위치는 물론, 아래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 예의 장착 위치까지 조합되어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추가 디바이스 및 장착부재의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와 장착부재의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으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도어(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2)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메인 도어(40)와 서브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30)에는 투시부(31)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 도어(40)의 개구부(41)를 투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브 도어(30)의 후면은 도어 라이너(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3) 중 상기 개구부(41)의 내측과 대응하는 일측에는 추가 디바이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 의해 상기 개구부(41) 또는 상기 개구부(41)와 연통된 공간에 수납된 식품을 촬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33)에는 장착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도어 라이너(33)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커버(110')에 의해 장착부재(200')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140')이 상기 디바이스 커버(33)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개구부(41)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추가 디바이스(100') 대신 상기 커버(1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장착부재(200')를 차폐하여 상기 장착 공간(211)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커버(190')는 상기 서브 도어(30)의 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서브 도어(30)의 후면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어(20,40)의 후면에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닛의 저장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다수의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한쌍이 나란히 배치된 프렌치 타입(French type)의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냉장실 도어(21)가 회전되어 상기 냉장실(12)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한쌍의 냉장실 도어(21) 중 일측의 냉장실 도어(21)의 단부에는 필러(20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러(203)는 상기 한쌍의 냉장실 도어(21)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단부를 따라 상하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러(203)는 일측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단부 즉, 다른 냉장실 도어(22)와 인접하는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러(203)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20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측단에 접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회전에 의해 펼쳐져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사이 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러(203)의 일측에는 추가 디바이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카메라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촬영하고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필러(203)에는 장착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재(200'')는 상기 필러(203)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상기 장착부재(2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디바이스 커버(110'')에 의해 장착부재(200'')가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140'')이 상기 디바이스 커버(110'')를 통해 노출되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장착부재(200'')에 추가 디바이스(100'') 대신 상기 커버(19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190'')는 상기 장착부재(200'')를 차폐하여 상기 장착 공간(211)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커버(190'')는 상기 필러(203)의 후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에 구비된 상기 필러(203)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추가 디바이스(100'')가 장착되는 상기 필러(203)는 냉동실 도어(22)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 공간에 구비되는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장착 상태에서 부가 기능을 수행하는 추가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에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연결된 제 1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는 제 2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제어부와의 신호 전달이 가능한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
    상기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 및
    상기 아웃 케이스와 이너 케이스의 사이에 채워지는 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재는 상기 이너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단열재에 의해 매립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수용되도록 함몰된 장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 공간은 상기 저장 공간의 벽면에서 함몰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단열재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열재보다 단열 계수가 더 큰 단열부재가 배치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장착 공간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장착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 과정에서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추가 디바이스의 둘레에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장착시 서로 접하여 방향성을 가지도록 하는 형합부가 형성되는 냉장고.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 2 연결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마주보는 상기 케이스에 함몰되며, 상기 제 1 연결부와 동일 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부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의 결합을 안내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부보다 더 돌출 형성되는 냉장고.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연결부와 연결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모듈;
    상기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제 2 연결부가 노출되는 본체; 및
    상기 장착 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저장 공간으로 노출되는 디바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연결부를 차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장착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의 벽면 일부를 형성하는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 공간 내에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다수의 상기 장착부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 및 제 2 연결부는 USB단자로 구성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종류를 인식하도록 구성되고,
    인식된 상기 추가 디바이스의 구동을 위한 대응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냉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디바이스는 상기 장착 부재에 장착된 상태에서 저장 공간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도어의 후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에 구비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상기 도어 사이를 차폐하는 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필러에 구비되는 냉장고.
KR1020220061636A 2022-05-19 2022-05-19 냉장고 KR20230161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36A KR20230161812A (ko) 2022-05-19 2022-05-19 냉장고
PCT/KR2023/005197 WO2023224272A1 (ko) 2022-05-19 2023-04-1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1636A KR20230161812A (ko) 2022-05-19 2022-05-1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12A true KR20230161812A (ko) 2023-11-28

Family

ID=8883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1636A KR20230161812A (ko) 2022-05-19 2022-05-19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1812A (ko)
WO (1) WO202322427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8630Y1 (ko) * 1997-10-07 1999-10-15 윤종용 냉장고의 램프와 램프소켓
KR200218552Y1 (ko) * 2000-11-07 2001-04-02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고내등 조립구조
JP6498866B2 (ja) * 2013-03-12 2019-04-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カメラ装置
KR102118156B1 (ko) * 2016-07-28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20030128A (ko) * 2020-09-02 2022-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272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0243B2 (en) Refrigerator
US10852864B2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refrigerator door including same
US11713919B2 (en) Refrigerator
CN114370734B (zh) 冰箱
EP3037760A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XPA06000280A (es) Unidad de despliegue para refrigerador.
KR102474194B1 (ko) 냉장고
JP2004116788A (ja) 冷蔵庫扉
KR20230161812A (ko) 냉장고
KR20220030128A (ko) 냉장고
EP3819573A1 (en) Refrigerator
KR102302389B1 (ko) 냉장고
CN111971517B (zh) 冰箱
KR20180013448A (ko) 냉장고
US20240080596A1 (en) Refrigerator
CN113203235B (zh) 冰箱
KR102435504B1 (ko) 냉장고
US11959691B2 (en) Refrigerator and home appliance
KR20240031834A (ko) 냉장고
CN116465131A (zh) 冰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