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571A -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571A
KR20230161571A KR1020220060890A KR20220060890A KR20230161571A KR 20230161571 A KR20230161571 A KR 20230161571A KR 1020220060890 A KR1020220060890 A KR 1020220060890A KR 20220060890 A KR20220060890 A KR 20220060890A KR 20230161571 A KR20230161571 A KR 20230161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frame
clamp
clothes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은
장형태
이신혜
김선민
김용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571A/ko
Publication of KR20230161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57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2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having conveying means for moving clothes, e.g. along an endless tr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4Clothing hangers, e.g. suit hangers
    • A47G25/48Hangers with clamps or the like, e.g. for trousers or ski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4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onditioning or finishing, e.g.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옷걸이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옷걸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제2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 그리고 하측을 향하여 개폐되고, 상기 제1, 2 상부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상측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HANGER AND LAUNDRY TREATING APPAR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개선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건조 겸용 세탁기, 의류의 리프레시를 위한 리프레셔 등이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란 열풍, 스팀 등을 공급하여 의류의 세척, 건조, 구김 개선, 냄새 제거, 살균, 정전기 제거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말한다.
최근 리프레쉬의 성능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써, 등록특허공보 10-2019132호(이하, '132 특허)는 인공지능이 구현된 의류관리기를 개시한다. '132 특허는 의류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 센서와, 상기 무게 센서를 통해 감지된 의류의 무게 정보를 기초로 의류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개시한다.
등록특허공보 10-206524호는 수용부 내부의 의류 이미지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 정보를 통해 의류의 종류를 고려하여 처리 정보를 세팅하는 의류 관리기를 개시한다.
특허공개공보 10-2021-0020249호는 의류처리장치로써 리프레셔를 개시한다. 상기 리프레셔는 처리실 상부에 옷걸이가 걸리는 행어를 포함한다. 상기 행어는 좌우로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어의 왕복 운동에 의해 옷걸이에 걸린 의류가 흔들리며 리프레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행어가 처리실 상부에 고정되고, 행어에 걸린 옷걸이를 통해 열풍 및/또는 스팀을 공급하여 리프레쉬 과정을 수행하기도 한다.
상기 행어에 거리는 옷걸이는 일반적인 옷걸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의의 어깨부분만 일정한 크기의 옷걸이에 걸린다.
공개특허공보 10-2012-0091800호는 옷걸이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상기 옷걸이 어셈블리는 옷걸이 프레임, 옷걸이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걸리는 제1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한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006026호(이하, '026 특허)는 주름을 펴는 기능을 구비한 옷걸이를 개시한다. '026 특허는 옷걸이의 폭과 다른 어깨 폭을 갖는 상의의 주름을 개선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등록특허공보 10-1809164호(이하, '164 특허)는 탈착 가능한 회전형 집게부를 갖는 옷걸이를 개시한다. '164 특허는 다양한 사이즈의 하의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나, 상의를 거는데 부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019132호 등록특허공보 10-206524호 공개특허공보 10-2021-0020249호 공개특허공보 10-2012-0091800호 공개특허공보 10-2017-0006026호 등록특허공보 10-1809164호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옷걸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옷걸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옷의 상부를 옷걸이에 걸뿐만 아니라, 옷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의와 하의를 걸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의 하부를 고정시키기 용이한 클램프 구조를 갖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에 장력을 제공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의 하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를 개방하는 버튼을 구비한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홈을 커버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버튼으로 클램프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파트를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폭이 가변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의류에 맞게 폭을 가변할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폭을 가변하더라도 옷걸이의 어깨부가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의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폭을 가변하여 설정한 폭을 유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행어의 왕복 운동 또는 열풍 공급 등에 의해 옷걸이에 걸린 의류가 흔들리며 처리실의 측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무빙, 스팀, 건조 행정에서 옷걸이에 걸린 의류에 장력을 제공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의 크기, 소재, 무게, 탄성 등 의류의 성질 및/또는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행정을 기초로 리프레쉬에 적합한 상태로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옷걸이에 상의 또는 하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무게를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량을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평균 무게를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류처리장치는 처리실을 구비하고, 옷걸이는 처리실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옷걸이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를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옷걸이는 하측 클램프를 향하여 개폐되는 상측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옷걸이는 개방될 때, 외측으로 갈수록 서로 더 멀어지는 한 쌍의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은 의류를 집도록 구성된 클램프의 일 구성으로써, 외측으로 갈수록 클램프의 회전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은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는 회전 반경을 제공하는 클램프 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프 암은 그립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그립의 호 형상의 반경 외측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하측 클램프는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옷걸이는 하측 클램프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옷걸이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릴과 릴에 감기고 하측 클램프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어셈블리는 하측 클램프와 상기 하측 클램프를 개폐하는 푸쉬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푸쉬 버튼은 메인 프레임에 삽입되고, 버튼 부는 메인 프레임의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어셈블리는 메인 프레임의 상기 홀을 커버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어셈블리는 제1 클램프 파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링크와, 제2 클램프 파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링크와,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링크 핀과 링크 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옷걸이는 숄더 프레임과 상기 숄더 프레임에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더는 옷 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스텝 파트를 포함하고, 숄더 프레임은 스텝 파트가 삽입되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링크와, 숄더 프레임에 구비되고 옷 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진 링크 가이드와 상기 링크에 결합하고 상기 링크 가이드에 삽입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옷걸이는 슬라이더를 숄더 프레임에 고정하는 락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숄더 프레임은 돌출 구조 및 함몰 구조를 갖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락커는 슬라이더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마주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클램프 어셈블리는 상하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행어의 무빙, 스팀이 공급되는 스팀행정, 고온의 공기가 공급되는 건조 행정에서 하부 클레임이 의류에 장력을 제공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클램프 어셈블리, 무빙행어, 스팀발생장치, 히트펌프 및 송풍팬을 제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옷걸이와, 옷걸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옷의 상부를 옷걸이에 걸뿐만 아니라, 옷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의와 하의를 걸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의 하부를 고정시키기 용이한 클램프 구조를 갖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에 장력을 제공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의 하부를 고정하는 클램프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클램프를 개방하는 버튼을 구비한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버튼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프레임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홈을 커버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하나의 버튼으로 클램프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파트를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폭이 가변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다양한 사이즈의 의류에 맞게 폭을 가변할 수 있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폭을 가변하더라도 옷걸이의 어깨부가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의류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폭을 가변하여 설정한 폭을 유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행어의 왕복 운동 또는 열풍 공급 등에 의해 옷걸이에 걸린 의류가 흔들리며 처리실의 측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의 행어무빙, 스팀, 건조 행정에서 옷걸이에 걸린 의류에 장력을 제공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의 크기, 소재, 무게, 탄성 등 의류의 성질 및/또는 의류처리장치의 다양한 행정을 기초로 리프레쉬에 적합한 상태로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와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옷걸이에 상의 또는 하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무게를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량을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평균 무게를 기초로 행정을 설정 및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숄더 파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숄더 파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숄더 파트의 제1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숄더 파트의 제2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락커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이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클램프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프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클램프 어셈블리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구동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바지 걸이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바지 걸이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옷걸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와 옷걸이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의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
이하, 도 1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9)는 처리실(91)을 제공하는 케이스(90)를 포함한다. 처리실(91)의 상부 또는 천장에 행어(93)가 구비될 수 있다.
처리실(91)은 전방을 향해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9)는 처리실(91)을 개폐하는 도어(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92)는 케이스(90)에 결합할 수 있다. 도어(92)는 케이스(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어(92)는 케이스(9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처리실(9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행어(93)는 케이스(90)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행어(93)는 상기 행어(93)의 길이 방향(즉, 케이스(90)의 너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어(93)는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행어(93)를 무빙행어(93)라고도 한다.
행어(93)를 이동시키는 구동계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지된 다수의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행어(93)의 구동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행어(93)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어(93)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구비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은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홈은 행어(93)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행어(93)에 후술하는 옷걸이(H, H')가 걸릴 수 있다. 행어(93) 복수의 옷걸이(H, H')가 걸릴 수 있다.
처리실(91)에 토출구(96)가 구비될 수 있다.
토출구(96)는 처리실(9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토출구(96)는 처리실(91)의 바닥(95)에 배치될 있다. 또는, 토출구(96)는 처리실(91)의 바닥(9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96)는 처리실(91)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96)는 처리실(91)의 뒷벽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뒷벽은 도어(92)가 처리실을 폐쇄한 때, 도어(92)를 마주하는 처리실(91)의 벽(또는 케이스(90)의 내측벽)을 의미한다.
토출구(96)는 처리실 바닥(95)과 처리실(91)의 뒷벽을 연결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구(96)는 상측을 향할 수 있다.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된 공기는 토출구(96)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토출구(96)는 전방을 향할 수 있다.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된 공기는 토출구(96)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흡입구(97)는 처리실(9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97)는 처리실(91)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흡입구(97)는 처리실(91)의 바닥(95)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흡입구(97)는 처리실(91)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97)는 처리실(91)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97)는 도어(92)가 처리실(91)을 폐쇄한 때 도어(92)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구(97)는 상측을 향할 수 있다. 처리실(91)의 공기는 하측으로 유동하여 흡입구(97)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처리실(91)의 바닥(95)은 케이스(9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처리실(91)의 바닥(95) 하측에 사이클 챔버(94)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 챔버(94)에 공기의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 상기 덕트의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팬(943, 도 18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클 챔버(94)에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를 구비한 히트펌프(941, 도 18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처리실(91)의 공기는 흡입구(97)를 통해 사이클 챔버(94)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구(97) 하측에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흡입구(97)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처리실(91)의 공기는 흡입구(97)를 통해 사이클 챔버(94)로 유입(처리실(91) 기준으로 배출, 사이클 챔버(94) 기준으로 유입)되어 히트펌프(941)와 열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97)를 통해 사이클 챔버(94)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941)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상기 히트펌프(941)의 증발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공기가 냉각되어 수분이 응축될 수 있다.
응축된 수분은 배수통(98)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수통(98)은 상기 히트펌프(941)에 의해 응축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배수통(98)는 사이클 챔버(94)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배수통(98)의 전방면은 사이클 챔버(94)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배수통(98)에 투명한 소재로 마감된 슬릿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수통(98)은 사이클 챔버(94)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배수통(98)의 전방면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사이클 챔버(94)의 공기는 히트펌프(941)와 열교환한 뒤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943)에 의해 상기 히트펌프(941)와 열교환한 공기가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트펌프(941)를 통해 냉각된 공기가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히트펌프(941)의 증발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는 증발기에 의해 수분이 응축되어 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는, 히트펌프(941)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히트펌프(941)의 응축기로부터 열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사이클 챔버(94)에서 저온의 공기, 고온의 공기 또는 고온 건조한 공기가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사이클 챔버(94)에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 발생기(9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기(945)는 물을 끓여 스팀을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스팀 발생기(945)를 스팀발생장치(945)라고도 한다.
사이클 챔버(94)에 급수통(99)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통(99)은 스팀 발생기(945)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급수통(99)은 사이클 챔버(94)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급수통(99)의 전방면은 사이클 챔버(94)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급수통(99)에 투명한 소재로 마감된 슬릿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급수통(99)은 사이클 챔버(94)에서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급수통(99)의 전방면에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급수통(99)과 배수통(98)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처리실(91)에 스팀 토출구가 구비되어,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이 상기 스팀 토출구를 통해 처리실로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스팀 발생기에서 발생한 스팀은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처리실(91)로 저온의 공기, 고온의 공기 또는 고온 건조한 공기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공기도 공급될 수 있다.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토출구(96)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토출구(96)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토출구(96)를 통해 처리실(91)로 공급된 공기는 행어(93)에 배치된 옷걸이(H, H')에 걸린 의류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처리실(91)의 공기는 하측으로 유동하여 흡입구(97)를 통해 사이클 챔버(94)로 유입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며 이물질이 여과될 수 있다.
사이클 챔버(94)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트펌프에 의해 온도 및 습도가 조절되고 토출구(96)를 통해 다시 처리실(91)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처리실(91)을 제1 챔버(91)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사이클 챔버(94)를 제2 챔버(94)라 칭할 수 있다.
처리실(91)과 사이클 챔버(94)는 바닥(95)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처리실(91)의 바닥(95)을 분리판(95)이라 칭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9)는 제어부(99)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는 무빙행어(93), 히트펌프(941), 송풍팬(943), 스팀발생장치(945) 등 의류처리장치(9)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명시적으로 개시하지 않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의류처리장치(9)와 옷걸이(H, H')의 제어는 제어부(99)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99)는 본 개시에 따른 의류처리장치(9) 및/또는 옷걸이(H, H')에 대한 제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9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메모리(99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93)는 의류처리장치의 행정, 도어센서(929), 무게센서(119, 79) 등의 감지 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옷걸이(H)와 통신하는 통신부(9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의류처리장치(9)의 제어부(99), 프로세서(991), 메모리(993) 및 통신부(995)를 각각 메인 제어부(99), 메인 프로세서(991), 메인 메모리(993) 및 메인 통신부(995)라고도 한다.
의류처리장치(9)는 입력부(921)와 표시부(92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921)를 통해 코스/행정 등을 입력할 수 있다. 표시부(923)는 의류처리장치(9)와 옷걸이(H, H')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9)는 도어센서(929)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센서(929)는 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센서(929)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의류처리장치(9)는 도어 락커(9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락커(928)는 도어(92)를 케이스(9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옷걸이(H, H')는 제어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명시적으로 개시하지 않더라도 본 명세서에서 옷걸이(H, H')의 제어는 제어부(8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80)는 본 개시에 따른 옷걸이에 대한 제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메모리(8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3)는 무게센서(119, 79)의 감지 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모터(5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무게센서(79, 119)의 감지 값에 기초하여 모터(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H)를 설명한다.
<옷걸이>
이하,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여 옷걸이(H)의 메인 프레임(30)을 설명하고, 다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H)는 어깨부(shoulder part, 10)를 포함할 수 있다.
옷걸이(H)는 상의가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깨부(10)는 옷걸이(H)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어깨부(1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하, 어깨부(10)의 일단에서 타단을 향하는 방향을 옷걸이의 폭 방향이라 한다. 어깨부(10)는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어깨부(10)에 의류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깨부(10)에 상의가 걸릴 수 있다.
옷걸이(H)는 고리(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20)는 일측이 개구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리(20)는 상기 호 형상의 헤드와 상기 고리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넥을 포함할 수 있다.
고리(20)는 옷걸이(H)의 가장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고리(20)는 어깨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고리(20)는 어?틤?(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넥은 고리(20)의 회전 중심을 제공할 수 있다.
옷걸이(H)는 메인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어깨부(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어깨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후술하는 바지걸이(70)를 통해 어깨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바지걸이(70)의 후술하는 프레임(73, 도 14 참고)을 메인 프레임(3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바지걸이(70)가 생략되고, 메인 프레임(30)과 어깨부(10)가 직접 연결될수도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상하 방향(이하, 옷걸이의 길이방향이라고도 한다.)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어깨부(10)에 연결되는 상부 프레임(31, 3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상부 프레임(31, 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31, 32)은 제1 상부프레임(31)과 제2 상부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31)과 제2 상부프레임(32)은 상측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31)의 상단과 제2 상부프레임(32)의 상단은 어깨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31)과 제2 상부프레임(32)은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점차 멀어질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31)과 제2 상부프레임(32)은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점차 가까워질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31)과 제2 상부프레임(32)은 하측에서 연결될 수 있다. 제1 상부프레임(31)과 제2 상부프레임(32)은 하부 프레임(33)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 프레임(3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2 상부 프레임(31, 32)은 하부 프레임(33)의 상단에서 분지될 수 있다. 제1, 2 상부 프레임(31, 32)이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옷걸이의 폭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프레임(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34)을 포함할 수 있다. 홈(34)은 하부 프레임(33)에 배치될 수 있다. 홈(34)은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은 전방부(36)와 후방부(3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부(36)는 제1, 2 상측 전방부(361, 362)와 하측 전방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부(37)는 제1, 2 상측 후방부(371, 372)와 하측 후방부(3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 내부에 이너 프레임(44), 실린더(55) 등의 구성을 배치하기 용이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옷걸이(H)는 하부집게(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옷걸이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부집게(40)의 일단에서 타단을 연결하는 선은 어깨부의 일단에서 타단을 연결하는 선과 나란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어깨부(10)와 동일 평면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상측을 향하여 개폐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메인 프레임(30)에 연결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제1, 2 상부 프레임(31, 32)과 동일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옷걸이(H)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메임프레임(33)의 홈(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의류의 하부를 집을 수 있다. 하부집게(40)는 어깨부(10) 또는 바지걸이(70)에 걸린 의류의 하부를 집을 수 있다. 하부집게(40)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어?틤?(10) 또는 바지걸이(70)에 걸리고 하부집게(40)에 집힌 의류가 펴질 수 있다.
이하, 하부집게(40)를 클램프 어셈블리(40)라고도 할 수 있다.
옷걸이(H)는 클램프 어셈블리(40)를 이동하는 구동계(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계(50)는 메인 프레임(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계(50)는 메인 프레임(30)의 하단(또는 하부 프레임(3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옷걸이(H)는 바지걸이(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지걸이(70)는 제1 상부 프레임(31)과 제2 상부 프레임(32)에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바지걸이(70)는 각각 제1 상부 프레임(31)과 제2 상부 프레임(32)에 구비될 수 있다.
바지걸이(70)는 의류를 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걸이(70)는 하의를 집을 수 있다.
<어깨부>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어깨부(10)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어깨부(10)는 옷걸이(H)의 폭 방향에서 길이가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a는 어깨부(10)의 기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어깨부(10)가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다.
어깨부(10)는 옷걸이(H)의 폭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1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1)는 어깨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깨부(10)는 숄더 프레임(13, 도 3b 참고)을 포함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옷걸이(H)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메인 프레임(30)에 연결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후술하는 바지걸이(70)에 연결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슬라이더(1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숄더 프레임(13)에 대해 옷걸이(H)의 폭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고리(20)는 숄더 프레임(13)에 체결될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어깨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슬라이더(111)와 제2 슬라이더(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는 어깨부(10) 중심(즉, 도 3에서 고리부(20)의 위치)에 대해 옷걸이의 제1 폭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12)는 상기 어깨부(10)의 중심에 대해 옷걸이의 제2 폭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가 상기 제1 폭방향으로 이동하면 옷걸이(H)가 확장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12)가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이동하면 옷걸이(H)가 확장될 수 있다(도 3b).
옷걸이가 확장된 상태(도 3b)에서 제1 슬라이더(111)가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이동하면 옷걸이(H)의 폭이 축소될 수 있다. 옷걸이가 확장된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112)가 제1 폭방향으로 이동하면 옷걸이(H)가 축소될 수 있다(도 3a).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더(111)는 좌측부에 위치하고, 제2 슬라이더(112)는 우측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더가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2 슬라이더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옷걸이(H)의 폭이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더(111)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제2 슬라이더(112)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옷걸이(H)의 폭이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옷걸이(H)는 의류의 폭에 맞게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슬라이더(11)에 패드(118)가 배치될 수 있다. 패드(118)는 슬라이더(11)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류와의 마찰력이 큰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드(118)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중앙부가 외측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옷걸이(H)의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슬라이더(11)는 중앙부가 외측단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옷걸이(H)의 폭방향의 중앙부가 상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숄더 프레임(1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11)가 숄더 프레임(13)의 호 형상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면, 옷걸이(H)의 폭이 확장된 상태에서 어깨부(10)의 중앙부분과 외측단의 높이 차가 클 수 있다. 이 경우, 옷걸이(H)에 걸린 의류가 옷걸이(H)에서 쉽게 흘러내릴 수 있다.
본 개시의 슬라이더(11)는 옷걸이(H)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숄더 프레임(13)의 호 형상의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하지 않는다. 슬라이더(11)는 숄더 프레임(13)의 중앙부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와 제2 슬라이더(112)는 동일 선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와 상기 제2 슬라이더(112)는 일 직선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슬라이더(111)의 외측단은 숄더 프레임(13)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 방향에서 숄더 프레임(13)의 외측단과 제1 슬라이더(11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12)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 방향에서 숄더 프레임(13)의 외측단과 제1 슬라이더(112)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12)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 슬라이더(112)의 외측단은 숄더 프레임(13)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슬라이더(111)는 숄더 프레임(13)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3)을 가질 수 있다. 제2 슬라이더(112)는 숄더 프레임(13)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3)을 가질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와 제2 슬라이더(112)의 단면은 하측으로 개방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7 참조).
슬라이더(11)는 숄더 프레임(13)에 대해 슬라이더(11)의 이동을 제한하는 락커(15, 도 7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와 제2 슬라이더(112)는 각각 락커(15)를 포함할 수 있다..
락커(15)는 삽입공간(113)에 구비될 수 있다. 락커(15)는 숄더 프레임(13)의 홈(133)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11)에 버튼 홈(115)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 홈(115)은 슬라이더(11)에서 하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락커(15)는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버튼(151)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버튼 홈(115)에 삽입될 수 있다.
락커(15)는 해제버튼(151)을 수용하는 하우징(153, 도 7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3)은 해제버튼(151)과 래치(152)를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153)의 상기 공간은 상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153)의 상기 공간을 버튼 홈(115)이라 할 수 있다.
락커(15)는 숄더 프레임(13)에 슬라이더(11)를 고정시키는 래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152)는 하우징(15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치(152)는 해제버튼(151)에 결합할 수 있다. 핀(154)을 통해 래치(152)와 해제버튼(151)이 결합될 수 있다. 핀(154)은 해제버튼(151)을 관통하고, 해제버튼(151)에서 돌출된 핀(154)의 일부분이 래치(152)의 홈(1524, 도 7 참조)에 삽입될 수 있다.
락커(15)는 스프링(15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55)은 래치(152)를 숄더 프레임(13)의 고정부(135)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래치(152)가 맞물리는 고정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152)가 고정부(135)에 맞물림으로써, 슬라이더(11)가 숄더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슬라이더(11)를 마주하는 홈(133)을 구비할 수 있다. 홈(133)은 상측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다.
홈(133)은 숄더 프레임(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홈(133)에 락커(15), 후술하는 스텝 파트(156, 도 7 참조), 링크(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홈(133)에 고정부(135), 후술하는 락커 가이드(136), 링크 가이드(137)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슬라이더(1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 가이드(137)는 숄더 프레임(13)에서 전후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숄더 프레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옷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슬라이더(11)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측을 향하게 경사질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에 롤러(173)가 삽입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롤러의 이동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롤러(173)는 링크 가이드(13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롤러(173)는 링크(17)에 결합할 수 있다. 링크(17)의 외측단은 링크 가이드(137)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링크(17)는 슬라이더(11)에 결합할 수 있다. 링크(17)는 슬라이더(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11)는 링크(17)에 결합하는 보스(117,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117)는 슬라이더(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링크 축(171)이 보스(117)에 삽입되어 링크(170)가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숄더 프레임(13)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은 각각 홈(133) 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2 프레임(131, 132)은 결합, 융착, 접착 등으로 하나의 숄더 프레임(13)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락커(15), 링크(17) 등 홈(133)에 배치되는 구성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연결부(134)는 숄더 프레임(13)에서 하측으로 돌출 또는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134)는 바지걸이(7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4)는 숄더 프레임(13)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또는, 연결부(134)는 바지걸이(7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또는 연결부(134)는 메인 프레임(30)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슬라이더(11)에 무게센서(119)가 배치될 수 있다. 무게센서(119)는 슬라이더의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무게센서(119)는 제1 슬라이더(111)와 제2 슬라이더(112)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118)는 무게센서(119)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패드(118)에 의해 무게센서(119)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숄더 프레임(13)에 락커 가이드(136)가 구비될 수 있다. 락커 가이드(136)는 고정부(135)를 마주할 수 있다. 락커 가이드(136)는 고정부(135)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락커 가이드(136)는 슬라이더(1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커 가이드(136)는 숄더 프레임(13)의 홈(133)을 이루는 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락커 가이드(136)은 옷걸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락커 가이드(136)는 옷걸이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락커(15)의 스텝파트(156, 도 7 참조)가 락커 가이드(136)에 삽입될 수 있다. 락커(15)의 스텝파트(156)는 락커 가이드(13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고정부(135)는 락커 가이드(136)를 마주할 수 있다. 고정부(136)는 락커 가이드(136)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135)는 제1 프레임(131)에 구비되고, 락커 가이드(136)는 제2 프레임(132)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35)는 돌출 구조와 함몰 구조가 반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고정부(135)는 랙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34)의 함몰 구조에 래치(152)의 헤드(1523)가 삽입되어, 슬라이더(11)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고정부(134)는 슬라이더(11)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135)는 락커 가이드(136)와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슬라이더(11)의 이동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137)는 제1 프레임(131)과 제2 프레임(132)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락커(15)의 스텝파트(156)가 락커 가이드에 삽입되고, 링크(17)의 롤러(173)가 링크 가이드(137)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1)가 숄더 프레임(1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락커 가이드(136)을 제1 가이드(136)라 하고, 링크 가이드(137)를 제2 가이드(137)라고 할 수도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숄더 프레임(13)은 슬라이더(1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된 락커 가이드(136)를 포함할 수 있다. 락커 가이드(136) 숄더 프레임(13)의 길이방향(또는, 옷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락커(15)는 슬라이더(11)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된 스텝파트(15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파트(156)는 슬라이더의 길이방향(또는, 옷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텝파트(156)는 락커 가이드(136)에 삽입될 수 있다. 스텝파트(156)는 락커 가이드(136)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텝파트(156)는 하우징(153)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스텝파트(156)는 하우징(153)에서 돌출될 수 있다.
락커(15)는 숄더 프레임(13)의 홈(1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락커(15)는 슬라이더(11)의 길이방향(또는, 옷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래치(152)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152)는 슬라이더(11)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래치(152)는 하우징(15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치(152)의 헤드(1523)은 하우징(153)의 헤드 홈(1533)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락커(15)는 래치(152)를 고정부(135)의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해제버튼(151)을 포함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래치(152)의 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슬라이더(11) 및 숄더 프레임(13)의 길이방향(또는, 옷걸이의 폭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락커(15)는 래치(152)를 고정부(135) 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15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55)은 래치(152)에 대해 고정부(135)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래치(152)는 래치바디(151)에서 고정부(135)의 반대측에서 돌출되는 제1 스프링 고정부(152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25)은 제1 스프링 고정부(1525)를 마주하는 제2 스프링 고정부(15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155)은 제1 스프링 고정부(1525)와 제2 스프링 고정부(1535)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53)은 고정부(135)를 마주하는 헤드 홀(1533)을 구비할 수 있다. 래치(152)는 래치바디(151)에서 고정부(125)를 향해 돌출되는 래치헤드(1523)를 구비할 수 있다. 래치헤드(1523)는 헤드 홀(1533)을 통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고, 고정부(135)의 함몰 구조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래치바디(1521)는 해제버튼(151)을 향해 개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래치바디(1521)에 삽입될 수 있다.
래치(152)는 래치바디(1521)에서 함몰되고, 래치(152)의 이동 경로에 대해 경사진 경사홈(15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홈(1524)은 상부가 고정부(135)에서 멀고 하부가 고정부(135)에서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버튼 홈(115)에 삽입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래치(152)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버튼(151)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고, 래치(152)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래치(152)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해제버튼(151)은 래치(152)를 고정부(135)의 반대편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래치(152)는 해제버튼(151)에 결합할 수 있다. 핀(154)을 통해 래치(152)와 해제버튼(151)이 결합될 수 있다. 핀(154)은 해제버튼(151)을 관통하고, 해제버튼(151)에서 돌출된 핀(154)의 일부분이 래치(152)의 경사홈(1524)에 삽입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이 하측으로 이동하면, 래치(152)는 고정부(135)에서 이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제버튼(151)을 눌러 슬라이더(1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해제버튼(151)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155)이 래치(152)를 가압하여 래치(152)의 헤드(1523)는 헤드 홀(1533) 외부로 돌출되며 고정부(135)에 접촉하고, 해제버튼(151)은 상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더(11)가 숄더 프레임(13)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해드(1523)는 고정부(135)의 함몰 구조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락커(15)와 고정부(135)의 접속이 해제되면 슬라이더(11)는 옷걸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스텝파트(156)와 락커 가이드(156)를 통해 슬라이더(11)는 숄더 프레임(13)의 호 형상과 나란하게 호를 그리며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옷걸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링크(170)는 링크바(170)와 링크바(170)를 슬라이더(11)의 보스(11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링크 축(171)과, 링크 바(170)에 결합하고 링크 가이드(137)에 삽입되는 롤러(173)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1)가 이동하면, 링크 바(170)의 일단은 보스(117)와 함께 이동하고, 링크 바는 회전할 수 있다. 링크 바(170)가 이동하며 롤러(173)는 링크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링크(17)는 슬라이더(11)가 옷걸이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때 슬라이더(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1)는 옷걸이(H)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슬라이더(11)는 숄더 프레임(13)의 호 형상의 원주방향과 나란하게 이동하지 않고, 숄더 프레임(13)의 중앙부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1)는 수평 또는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와 제2 슬라이더(112)는 동일 선 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더(111)와 상기 제2 슬라이더(112)는 일 직선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11)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11)의 외측단은 숄더 프레임(13)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슬라이더(11)가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하 방향에서 숄더 프레임(13)의 외측단과 슬라이더(1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
이하,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클램프 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도 9a, 도 10a 및 도 11a는 집게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9b, 도 10b, 도 11b는 집게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클램프 어셈블리(40)는 클램프(47, 도 11 참조)와 클램프(47)를 개폐하는 푸쉬버튼(4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47)는 상측으로 개폐될 수 있다. 클램프(47)는 어깨부(10) 또는 바지걸이(70)에 걸린 의류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하, 클램프(47)를 하측 클램프(47)라고도 한다.
클램프 어셈블리(40)는 메인 프레임(30) (또는 하측 프레임(33)) (도 2 참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이너 프레임(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44)은 메인 프레임(3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 어셈블리(40)는 메인 프레임(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34)을 포함할 수 있다. 푸쉬버튼(41)은 홈(34)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44)은 메인 프레임(30) 내부에서 홈(34)을 커버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44)은 푸쉬버튼(41)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44)은 푸쉬버튼(4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홈(34)을 통한 메인 프레임(30) 내부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클램프(47)는 서로 마주하는 제1 클램프 파트(47a)와 제2 클램프 파트(4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 파트(47a)와 제2 클램프 파트(47b)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2 클램프 파트(47a)는 후술하는 홀더(4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2 클램프 파트(47a, 47b)의 회전 중심은 옷걸이의 폭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2 클램프 파트(47a, 47b)의 회전 중심을 연장한 선(이하, 회전 중심선)은 옷걸이의 폭 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클램프(47)는 그립(471)을 포함한다. 그립(471)은 의류를 집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 파트(47a)의 그립(471)과 제2 클램프 파트(47b)의 그립(471)이 서로 멀어져서 클램프가 개방되고, 서로 가까워져 클램프가 폐쇄되며 의류를 집을 수 있다.
그립(471)은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립(471)은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클램프의 회전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립(471)은 외측으로 갈수록 많이 벌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앙부에서 작은 변위를 갖더라도, 외측부는 제1, 2 클램프 파트(47a, 47b)가 많이 벌어져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하부를 고정하기 용이하다.
예를 들어, 그립(471)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립(471)은 중앙부가 하측으로 볼록한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클램프의 회전 중심은 그립(471)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클램프(47)는 상기 클램프의 회전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그립(471)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47)는 클램프(47)의 회전 반경을 제공하는 클램프 암(473)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암(473)은 그립(471)에서 연장될 수 있다.
클램프(47)는 클램프 암(473)에서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 버튼(41)은 버튼(42)과 홀더(43)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42)은 홀더(43)에 삽입될 수 있다. 버튼(42)은 홀더(43)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버튼(42)은 홀더(43)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홀더(43)는 클램프(47)와 버튼(42)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외벽(431)과, 클램프(47)를 수용하는 공간과 버튼(42)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내벽(434)을 포함할 수 있다. 내벽(434)은 제1, 2 클램프 파트 중 버튼(41)에 인접한 클램프 파트(예를 들어, 제1 클래프 파트)의 레그(475)가 버튼(42)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로를 제한할 수 있다.
클램프(47)는 홀더(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홀더(43)는 그립의 회전 중심(471)을 제공할 수 있다.
홀더(433)는 클램프(47)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47)의 암(473)은 지지부(4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버튼(42)은 홀더(43) 및 메인 프레임(30)의 홀(34)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바디(421)와, 버튼 바디(421)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되는 림(423)을 포함할 수 있다. 림(423)은 홀더(43)의 외벽(431)에 삽입될 수 있다.
홀더(43)는 외벽(431)에서 돌출되는 후크(432)를 포함할 수 있다. 림(424)에 홈이 구비되고, 후크(432)가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버튼(42)은 버튼바디(421)에서 클램프(47) 측으로 돌출된 로드(425)를 포함할 수 있다. 로드(425)는 클램프(47)의 레그(475)를 밀어 그립(471)을 개방할 수 있다.
내벽(434)에 중공을 갖는 보스(435)가 구비될 수 있다. 로드(425)는 보스(435)의 중공에 삽입되고, 중공을 관통하여 레그(475)에 접촉할 수 있다.
내벽(434)과 버튼바디(421) 사이에 스프링(451)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451)은 로드(425)를 감쌀 수 있다. 스프링(451)은 버튼(42)을 홀더(43)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버?z(42)의 로드(425)가 클램프(47)의 레그(475)를 밀면, 제1 클램프 파트(47a)의 레그(471)와 제2 클램프 파트(47b)의 레그(471)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452)이 압축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제1, 2 클램프 파트(47a, 47b)의 레그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클램프(47)는 제1, 2 클램프 파트(47a, 47b) 중 어느 하나의 클램프 파트(47b)의 레그(4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링크(461)와, 다른 하나의 클램프 파트(47a)의 레그(47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링크(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461)와 제2 링크(462)는 링크 핀(463)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레그(471)에서 돌출된 결합부(476)에 제1, 2 링크(461, 46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홀더(436)에 링크 핀(463)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링크 가이드(436)가 구비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436)는 클램프(47)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임의의 원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436) 메인 프레임(30)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링크 핀(463)은 홀더(436)에 형성된 링크 가이드(436)에 삽입될 수 있다. 링크 핀(463)은 링크 가이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버튼(42)을 누르면 스프링(451)이 압축되며, 로드(425)는 보스(435)의 중공을 통과하여 레그(475)를 누른다. 이에 따라 버튼에 인접한 클램프 파트의 레그(475)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도 11에서 시계방향), 제2 링크(46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링크 가이드(436)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링크(461)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버튼에서 먼 클램프 파트의 레그(475)는 제1 회전 방향에 반대 방향인 제2 회전 방향(도 1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2 클램프 파트의 그립(471)이 서로 벌어진다.
사용자가 버튼(4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452)에 의해 제1, 2 클램프 파트의 레그(475)가 서로 멀어지며 그립(471)이 닫힌다.
이에 따라, 버튼을 통해 하나의 클램프 파트에 힘을 가하더라도, 한 쌍의 클램프 파트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구동계-모터>
이하,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구동계를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옷걸이(H)는 클램프 어셈블리(40)를 이동시키는 구동계(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계(50)는 클램프 어셈블리(40)를 하측으로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계(50)는 모터(51)에 의해 회전하는 릴(52)과 릴(52)에 감기는 와이어(5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3)는 클램프 어셈블리(4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53)는 클램프 어셈블리(40)에 직접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을 통해 클램프 어셈블리(4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53)는 실린더(55)에 연결되고, 실린더(55)는 이너 프레임(44)과 결합할 수 있다.
실린더(55)는 피스톤(552)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53)는 피스톤(552)에 연결되고, 피스톤(552)은 이너 프레임(44)과 결합할 수 있다.
릴(52)은 메인 프레임(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552)은 메인 프레임(30)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하단에 스프링 마운트(58)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마운트(58)에 홀이 구비되고, 와이어(53)는 상기 홀을 관통하고 피스톤(552)에 연결될 수 있다. 스프링 마운트(58)와 피스톤(552) 사이에 스프링(57)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57)은 피스톤(552)을 상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실린더(55)는 스프링(53)을 둘러싸고 피스톤(552)이 삽입되는 제1 실린더(55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피스톤(552)을 제2 실린더(552)라고도 할 수 있다.
<바지걸이>
이하,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바지걸이를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바지걸이(70)는 클램프(71)와 클램프 프레임(7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클램프(71)를 상측 클램프(71)라고도 한다.
상측 클램프(71)는 클램프 프레임(7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클램프의 체결부(715)와 클램프 프레임(73)의 체결부(735)에 축이 삽입되어, 상측 클램프(71)가 클램프 프레임(7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측 클램프(71)와 클램프 프레임(73) 사이에 토션 스프링(7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토션 스프링은 상기 체결부(715, 735)에 삽입되는 축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측 클램프(71)는 하측을 향하여 개폐될 수 있다.
즉, 상측 클램프(71)의 하측부(711)는 의류를 집도록 구성되고, 상측부(713)는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측부(713)를 눌러 하측부(711)를 클램프 프레임(73)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731)은 상측 클램프(71)를 마주하는 오목면(731)을 구비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73)은 메인 프레임(30)의 일부일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73)은 상부 프레임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측 클램프(71)는 하측부에서 클램프 프레임(73)를 향하여 돌출되는 범프(712)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73)은 범프(712)에 대응하는 수용홈(732)을 구비할 수 있다. 수용홈(732)은 오목면(731)에서 함몰될 수 있다.
클램프 프레임(73)에 무게센서(79)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센서(79)는 수용홈(732)에 구비될 수 있다. 무게센서(79)는 수용옴(732)에 노출될 수 있다.
<구동계-릴 스프링>
이하,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를 설명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H') 전술한 실시예의 옷걸이(H)와 어?틤?(10), 고리(20), 메인 프레임(30), 클램프 어셈블리(40), 바지걸이(70)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옷걸이(H')는 전술한 실시예의 옷걸이(H)와 비교할 때, 구동계(60)에 차이가 있다.
구동계(60)는 릴 스프링(65)을 포함한다. 릴 스프링(65)은 메인 프레임(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릴 스프링(65)은 클램프 어셈블리(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릴 스프링(65)은 이너 프레임(44)에 결합할 수 있다.
옷걸이(H, H')는 래치 스위치(49)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 스위치(49)는 메인 프레임(30)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 스위치(49)는 하부 프레임(33)의 상단(349)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33)의 상단에 후크가 구비되어 래치 스위치(49)에 결합할 수 있다. 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프 어셈블리(40)를 상측으로 밀면, 래치스위치(49)와 후크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결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클램프 어셈블리(40)를 상측으로 이동하여 후크를 래치 스위치(49)에 접속하면 후크와 래치 스위치(49)가 결합할 수 있다.
<옷걸이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이하,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옷걸이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99, 80)는 입력부(921)의 입력신호, 도어 센서(929)의 도어 개폐 신호, 무게센서(79, 119)의 감지 값 등을 기초로 표시부(923), 도어락커(928), 무빙행어(93), 히트펌프(941), 송풍팬(943), 스팀발생장치(945) 및 모터(51)를 제어할 수 있다.
옷걸이(H, H')의 통신부(85)와 의류처리장치(9)의 통신부(995)는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옷걸이 통신부(85)는 무게센서(119, 79)의 감지 값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고 의류처리장치(9)의 통신부(995)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처리장치(9)의 통신부(995)는 모터(51)의 제어신호를 송신하고, 옷걸이 통신부(85)는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9)의 메모리(993)는 무빙행어(93), 히트펌프(941), 송풍팬(943), 스팀발생장치(945), 표시부(923), 도어락커(928), 모터(51)의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9)의 메모리(993)와 옷걸이 메모리(83)는 제1, 2 무게센서(119, 79)의 감지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옷걸이 메모리(83)는 모터(51)의 제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옷걸이(H)에 걸린 옷을 펼친 상태로 의류처리장치(9)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센서(929)는 도어(9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도어가 개방되면(S11), 옷걸이(H)의 전원을 on 할 수 있다(S12).
무게센서(79, 119)는 통해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99, 80)는 무게센서(79, 119)의 감지 값을 기초로 옷걸이에 옷이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
예를 들어, 무게 감지 값이 기 설정된 값보다 크면 옷일 걸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값은 0 또는 0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제어부(99, 80)는 옷걸이에 옷이 걸려있고, 도어가 폐쇄되면(S14), 무게센서(79, 119)를 통해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고, 감지한 값(w1)을 메모리(83, 993)에 저장할 수 있다(S15).
제어부(99, 80)는 모터(51)를 동작하여 클램프 어셈블리(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16).
무게센서(79, 119)는 모터(51)를 동작하는 동안 의류 무게(w2)를 감지할 수 있다(S17). 메모리(83, 993)는 w2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 99)는 w2와 w1을 기초로 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2 값이 w1보다 크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2 값이 w1보다 기 설정된 값 이상 크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값은 메모리(83, 99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옷걸이(H)에 걸린 옷을 펼친 상태로 의류처리장치(9)의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옷걸이(H, H')에 걸린 옷이 상의인지 하의인지 여부에 따라 의류처리장치(9)의 행정을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921)를 통해 행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코스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옷걸이(H, H')에 걸린 옷이 상의인지 하의인지 여부에 따라 의류처리장치(9)의 행정을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80, 99)는 옷걸이(H, H')에 상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0, 99)는 제1 무게센서(119)의 감지 값을 기초로 어깨부(10)에 의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80, 99)는 옷걸이에 상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80, 99)는 옷걸이(H, H')에 하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0, 99)는 제2 무게센서(79)의 감지 값을 기초로 바지걸이(70)에 의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80, 99)는 옷걸이에 하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80, 99)는 상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S21)하고, 하의가 결려있는지 여부를 판단(S22, S24)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고, 상의가 걸려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80)는 상의와 하의가 모두 걸려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이에 대응하는 복합 행정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21).
제어부(80)는 상의는 걸려있고, 하의는 걸려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외투 행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31).
제어부(80)는 상의는 걸려있지 않고, 하의는 걸려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바지 행정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241).
예를 들어 바지 행정모드는 무빙행어가 움직이는 행정 시간이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 행정모드는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 행정모드는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높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지 행정모드는 건조시간이 짧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투 행정모드는 상대적으로 바지 행정모드에 반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 행정모드는 바지 행정모드와 외투 행정모드의 중간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옷걸이에 상의 또는 하의가 걸려있는 옷걸이의 수량을 판단할 수 있다(S222, S232, S242).
제어부(80)는 설정된 행정 모드(S221, S231, S241)에서 판단한 의류의 수량을 반영하여 행정모드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S25).
예를 들어 의류의 수량이 많을수록 기존에 설정한 행정모드(S221, S231, S241)에서 무빙 행어가 움직이는 행정시간, 공급되는 스팀의 양, 건조시간을 늘리고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설정된 행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26).
행정이 완료되면(S27), 도어의 잠금을 해제(S28)하고 표준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9)의 처리실(91)에 옷이 걸린 옷걸이의 수를 기초로 스타일러의 행정을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
행어(93)에 복수의 옷걸이가 걸릴 수 있다.
입력부(9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코스를 입력 받을 수 있다(S30).
무게센서(79, 119)는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S31).
제어부(99)는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S32).
예를 들어, 옷걸이 통신부(85)는 무게센서(79, 119) 감지 값에 관련된 신호를 메인 통신부(995)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메인 통신부(995)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입력받은 코스와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를 기초로(S33, S34, S35) 코스에 포함된 행정을 설정할 수 있다(S331, S333, S335, S341, S343, S345, S351, S353, S355).
예를 들어,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가 많을수록 무빙행어를 빠르게 왕복 운동시키고, 스팀 발생장치(945)에서 발생하는 스팀의 양과 건조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어부(80)는 설정된 행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36).
행정이 완료되면(S37), 도어의 잠금을 해제(S38)하고 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9)의 처리실(91)에 구비된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평균 무게를 기초로 스타일러의 행정을 설정하고 수행할 수 있다.
행어(93)에 복수의 옷걸이가 걸릴 수 있다.
입력부(9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코스를 입력 받을 수 있다(S40).
무게센서(79, 119)는 옷걸이에 걸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S41).
제어부(99)는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의류가 걸린 옷걸이의 수를 산출할 수 있다(S42).
예를 들어, 옷걸이 통신부(85)는 무게센서(79, 119) 감지 값에 관련된 신호를 메인 통신부(995)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메인 통신부(995)를 통해 수신한 신호를 기초로 옷걸이들에 걸린 의류들의 평균 무게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99)는 입력받은 코스와 의류의 평균 무게를 기초로(S43, S44) 코스에 포함된 행정을 설정할 수 있다(S431, S433, S435, S441, S443, S445, S451, S453, S455).
예를 들어, 의류의 평균 무게가 무거울수록 무빙행어를 빠르게 왕복 운동시키고, 스팀 발생장치(945)에서 발생하는 스팀의 양과 건조시간을 늘릴 수 있다.
제어부(80)는 설정된 행정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46).
행정이 완료되면(S47), 도어의 잠금을 해제(S48)하고 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어부(80, 99)는 수행되는 행정에 따라 클램프 어셈블리의 제어를 설정 및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921)를 통해 사용자에게 행정 및/또는 코스를 입력 받을 수 있다(S50).
메모리(993)에 복수의 행정 및 복수의 코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복수의 코스에 상하무빙 모드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80)는 상하무빙 모드가 입력되거나 입력된 코스에 상하무빙 모드가 포함되면(S51) 모터(51)를 제어하여 클램프 어셈블리(50)를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상하무빙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533).
제어부(80)는 행어무빙 모드가 입력되거나 입력된 코스에 행어무빙 모드가 포함되면(S52, S54), 무빙 행어(93)를 왕복 운동시키는 행어무빙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S531, S55).
행어무빙 행정과 상하무빙 행정을 수행한 후 스팀행정(S535, S56)이 수행될 수 있다.
스팀 행정(S535, S56)에서 제어부(80)는 스팀발생장치를 통해 처리실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스팀행정(S535, S56)에서 제어부(80)는 클램프 어셈블리(4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의류에 장력을 제공한 상태에서 처리실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9, 80)는 무게센서(79, 119)를 통해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고, 감지한 값(w1)을 메모리(83, 993)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99, 80)는 모터(51)를 동작하여 클램프 어셈블리(40)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무게센서(79, 119)는 모터(51)를 동작하는 동안 의류 무게(w2)를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83, 993)는 w2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 99)는 w2와 w1을 기초로 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2 값이 w1보다 크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2 값이 w1보다 기 설정된 값 이상 크면 모터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값은 메모리(83, 993)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옷걸이(H)에 걸린 옷을 펼친 상태로 스팀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스팀행정이 종료된 후 건조행정(S537, S57)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80, 99)는 건조 행정에서 히트펌프(941)와 송풍팬(943)을 통해 처리실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제어부(80)는 클램프 어셈블리(40)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의류에 장력을 제공한 상태에서 처리실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에 장력을 제공하는 제어는 스팀행정(S535, S56)에 대한 설명과 동일한 방법일 수 있다.
또는, 건조 행정에서 제어부(80)는 클램프 어셈블리(40) 상하 왕복 운동시키며 처리실에 고온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터를 양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램프 어셈블리(40)를 상하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건조 행정이 종료되면 도어의 잠금을 해제(S58)하고 코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제2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 그리고 하측을 향하여 개폐되고, 상기 제1, 2 상부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상측 클램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측 클램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하측 클램프를 개폐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푸쉬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수용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홀더 내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하측 클램프를 열도록 구성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튼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와 상기 푸쉬버튼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을 커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하측 클램프를 상기 하부 클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계는: 상기 하측 클램프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와이어; 상기 하측 클램프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는 릴;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하측 클램프보다 하측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클램프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구동계는 상기 하측 클램프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클램프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릴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래치 스위치; 상기 하측 클램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클램프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래치 스위치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어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깨부에 걸리는 옷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제1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어깨부에 옷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 상측 클램프를 향하는 오목면을 구비한 클램프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상측 클램프는 상기 오목면을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램프 프레임은 상기 오목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범프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는 제2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제2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상측 클램프에 옷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처리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처리실에 배치되는 옷걸이; 상기 처리실에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여 상기 처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상기 처리실을 순환하는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히트 펌프; 상기 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 그리고 상기 히트 펌프와 상기 스팀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옷걸이는: 상기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상기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어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 상기 옷걸이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어깨부와 상기 하측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바지걸이; 상기 어깨부에 배치되는 제1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바지걸이에 배치되는 제2 무게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센서와 상기 제2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스팀 발생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제2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측 클램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부 프레임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하측 클램프를 개폐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푸쉬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푸쉬 버튼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와 상기 푸쉬버튼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을 커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하측 클램프를 상기 하부 클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일 측면에 따른 옷걸이는: 상기 어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깨부에 걸리는 옷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제1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어깨부에 옷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ure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other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20)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제2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 그리고
    하측을 향하여 개폐되고, 상기 제1, 2 상부 프레임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상측 클램프를 포함하는 옷걸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클램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옷걸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를 개폐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푸쉬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옷걸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수용되는 홀더; 그리고
    상기 홀더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홀더 내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하측 클램프를 열도록 구성된 버튼을 포함하는 옷걸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옷걸이.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와 상기 푸쉬버튼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을 커버하는 옷걸이.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클램프를 상기 하부 클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계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상기 하측 클램프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와이어;
    상기 하측 클램프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는 릴;
    상기 릴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옷걸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클램프보다 하측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측 클램프에 상측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옷걸이.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계는 상기 하측 클램프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클램프에 하측으로 힘을 가하는 릴 스프링을 포함하는 옷걸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구비되는 래치 스위치;
    상기 하측 클램프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측 클램프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래치 스위치에 걸리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깨부에 걸리는 옷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제1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어깨부에 옷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 상측 클램프를 향하는 오목면을 구비한 클램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상측 클램프는 상기 오목면을 마주하는 내측면에 구비된 범프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프레임은 상기 오목면에서 함몰되고 상기 범프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옷걸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구비되는 제2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제2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상측 클램프에 옷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15. 내부에 처리실을 제공하는 케이스;
    상기 처리실에 배치되는 옷걸이;
    상기 처리실에 공기를 공급 및 회수하여 상기 처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
    상기 처리실을 순환하는 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히트 펌프;
    상기 처리실에 공급되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장치; 그리고
    상기 히트 펌프와 상기 스팀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옷걸이는:
    상기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상기 옷걸이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어깨부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
    상기 옷걸이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어깨부와 상기 하측 클램프 사이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바지걸이;
    상기 어깨부에 배치되는 제1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바지걸이에 배치되는 제2 무게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게센서와 상기 제2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히트펌프와 상기 스팀 발생장치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프레임;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서 두 갈래로 분지되어 연장되는 제1 상부 프레임과 제2 상부 프레임;
    상기 제1 상부 프레임의 상단과 상기 제2 상부 프레임의 상단을 연결하는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어깨부;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측을 향하여 개폐되는 하측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는 상기 하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옷걸이.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를 개폐하고 상기 하측 클램프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푸쉬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쉬 버튼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는 옷걸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 버튼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푸쉬 버튼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와 상기 푸쉬버튼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하측부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홈을 커버하는 옷걸이.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클램프를 상기 하부 클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구동계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부에 배치되어, 상기 어깨부에 걸리는 옷의 무게를 감지하는 제1 무게센서; 그리고
    상기 제1 무게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어깨부에 옷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옷걸이.

KR1020220060890A 2022-05-18 2022-05-18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615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890A KR20230161571A (ko) 2022-05-18 2022-05-18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890A KR20230161571A (ko) 2022-05-18 2022-05-18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571A true KR20230161571A (ko) 2023-11-28

Family

ID=88957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890A KR20230161571A (ko) 2022-05-18 2022-05-18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571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524B1 (ko) 1990-07-13 1999-07-01 어니스트 엠. 해데드 씨디 53 세포 표면 항원 및 그를 암호화하는 재조합 디엔에이
KR20120091800A (ko)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어셈블리
KR20170006026A (ko) 2015-07-07 2017-01-17 서준 주름방지 옷걸이
KR101809164B1 (ko) 2016-08-09 2017-12-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착가능한 회전형 집게부를 갖는 옷걸이
KR102019132B1 (ko) 2018-10-19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20210020249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6524B1 (ko) 1990-07-13 1999-07-01 어니스트 엠. 해데드 씨디 53 세포 표면 항원 및 그를 암호화하는 재조합 디엔에이
KR20120091800A (ko) 2011-02-10 2012-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옷걸이 어셈블리
KR20170006026A (ko) 2015-07-07 2017-01-17 서준 주름방지 옷걸이
KR101809164B1 (ko) 2016-08-09 2017-12-1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착가능한 회전형 집게부를 갖는 옷걸이
KR102019132B1 (ko) 2018-10-19 2019-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관리기
KR20210020249A (ko) 2019-08-14 2021-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5502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RE49678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RE49100E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JP7490020B2 (ja) 衣類処理装置
EP282691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69954B1 (ko) 의류처리장치
RU2540887C1 (ru) Сушильная и гладильная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машина
KR102169956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60137210A1 (en) Drum-and-cabinet type dryer with length-adjustable shelf
KR20230161571A (ko)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61572A (ko)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61570A (ko)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61568A (ko)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230161569A (ko) 옷걸이 및 옷걸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198832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28185A (ko) 의류처리장치
CN116876182A (zh) 衣物处理设备
KR100595240B1 (ko) 세탁물접이수단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KR20200028184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10283A (ko) 의류처리장치
JPH088798Y2 (ja) 衣類の仕上げ装置
KR102158701B1 (ko) 의류처리장치
CN115053030B (zh) 衣物处理装置
AU201420820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307611Y1 (ko) 의류 건조기용 빨래걸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