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308A - 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 - Google Patents

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308A
KR20230161308A KR1020220097661A KR20220097661A KR20230161308A KR 20230161308 A KR20230161308 A KR 20230161308A KR 1020220097661 A KR1020220097661 A KR 1020220097661A KR 20220097661 A KR20220097661 A KR 20220097661A KR 20230161308 A KR20230161308 A KR 202301613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toilet
main body
cleaning
ultrasonic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76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47271B1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ublication of KR20230161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25Ultrason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변좌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변좌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분사되는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제공하는 세정수 공급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변좌에 접촉되어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세정수가 상기 변좌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좌의 위생상태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좌를 청소하지 않아도 변좌가 자동적으로 청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변좌 세척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space for inserting a toilet sea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a washing liqu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washing liquid to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a washing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washing water to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air to remove cleaning water remaining in the toilet seat; and a sealing portion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contacting the toilet seat to prevent the cleaning fluid and the cleaning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seat, wherein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generate vibrations of different frequencies. You can do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seat can be maintained clean at all time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ilet seat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even if the user does not clean the toilet seat.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oilet seat cleaning power can be further improved.

Description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

본 발명은,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서 세척액, 세정수 및 에어가 변좌에 공급되어 변좌가 살균 세척될 수 있는 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ilet cover in which the toilet seat can be sterilized and cleaned by supplying cleaning liquid, washing water, and air to the toilet seat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oilet cover. will be.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좌변기는 용변이 흘러들어가는 도기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변좌와, 변좌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덮을 수 있는 변기 커버를 포함한다.In general, a widely used toilet seat includes a pottery into which urine flows, a toilet seat with a space for the user to sit, and a toilet cover that can selectively cover the upper part of the toilet seat.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물을 내리면 물이 용변과 함께 섞이면서 도기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용변과 섞인 물이 변좌 위로 튀어올라 변좌가 오염될 수 있다. 변기 커버를 덮은 상태로 물을 내리는 경우에도 변기 커버와 변좌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에 의하여 오염된 물이 변좌 위로 튈 수 있다.After the user flushes the toilet, the water mixes with the toilet and flows into the pottery. At this time, the water mixed with the toilet may splash onto the toilet seat and contaminate the toilet seat. Even when flushing with the toilet cover covered, contaminated water may splash onto the toilet seat due to the space between the toilet cover and the toilet seat.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변좌에 착석하였을 때 사용자의 둔부에 오염된 물이 접촉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contaminated wat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uttocks when the user sits on the toilet seat.

또한 사용자는 변기를 사용할 때마다 육안으로 변좌의 오염상태를 확인하고, 휴지 등으로 변좌를 닦아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dditionally, users hav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visually check the contamination status of the toilet seat and wipe the toilet seat with toilet paper, etc., every time they use the toilet.

최근에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좌에 소독제가 자동으로 분무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Recent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in which a disinfectant is automatically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그러나, 소독제가 변좌에 고르게 분무되지 못하여 변좌의 일부분만 소독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음 사용자가 변기를 사용하여야 할 때까지 변좌위에 소독제가 잔존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infectant is not sprayed evenly on the toilet seat, so only a portion of the toilet seat is disinfect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infectant may remain on the toilet seat until the next user must use the toilet seat.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591호에 개시된다.Meanwhile, the technology behi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15759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변기 커버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서 세척액, 세정수 및 에어가 변좌에 공급되어 변좌가 살균 세척될 수 있는 변기 커버를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oilet cover that can sterilize and clean the toilet seat by supplying cleaning fluid, washing water, and air to the toilet seat through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oilet cover.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various technical problems can be derived from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within the rang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 목적은, 내부에 변좌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변좌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분사되는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제공하는 세정수 공급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변좌에 접촉되어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세정수가 상기 변좌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space inside which a toilet seat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a washing liqu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washing liquid to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a washing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washing water to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air to remove cleaning water remaining in the toilet seat; and a sealing portion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contacting the toilet seat to prevent the cleaning fluid and the cleaning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seat, wherein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generate vibrations of different frequencies. This is achieved by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또한,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는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변좌의 상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ing unit that is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rradiates ultraviolet ray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또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상기 변좌의 형상을 따라, 상기 변좌의 상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일방향으로 향할수록 더 낮은 주파수 진동이 발생되도록, 발생 주파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alo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and the more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are directed in one direction, the lower the frequency vibration is generated. Preferably, they can be arranged in order of frequency of occurrence.

또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상기 변좌에 공급된 상기 세정수에 진동을 제공하며, 상기 세정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may provide vibration to the cleaning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seat and move the cleaning water.

또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기 설정된 시간차를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작동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may operate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difference.

또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변좌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변좌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변좌의 외측 테두리와 접촉되고,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변좌의 내측테두리와 접촉되어 상기 변좌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세척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ling part includes a first sealing part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toilet seat, and a first sealing par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seal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n outer rim of the toilet seat,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is in contact with an inner rim of the toilet seat to form a washing space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main body. You can.

또한, 상기 제2실링부에는, 상기 세정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cleaning water can be discharg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eal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면, 변좌의 위생상태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at the sanitary condition of the toilet seat is always kept cle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면, 사용자가 변좌를 청소하지 않아도 변좌가 자동적으로 청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oilet sea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ilet seat can be automatically cleaned without the user cleaning the toilet sea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면, 변좌 세척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has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oilet seat cleaning pow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가 적용된 변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가 적용된 변기의 또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여 세정수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여 세정수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oilet equipped with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other view of a toilet equipped with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A' of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cleaning water by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equence of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of cleaning water from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disclosed invention, and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 may b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The same reference numbers or symbols shown in each drawing of this specification indicate parts or component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erms used herein are used to describ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and/or limit the disclosed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excluded in advanc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are on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가 적용된 변기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가 적용된 변기의 또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여 세정수가 이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is a view showing a toilet to which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ure 2 is a toilet sea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showing another view of a toilet to which is applied,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A-A' of Figure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how cleaning water is moved by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function, 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equence of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100)는 본체부(110),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 세척액 공급부(130), 세정수 공급부(140), 에어 공급부(150) 및 실링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toilet cover 100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30, and a cleaning agent. 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140, an air supply unit 150, and a sealing unit 160.

본 발명의 커버(100)는 용변이 흘러들어가는 도기(1)와, 도기(1)의 상면에 배치되는 변좌(2)와, 도기(1)와 연결되어 도기(1)에 물을 제공하는 물탱크(3)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변기에 적용될 수 있다.The cov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ttery 1 into which urine flows, a toilet seat 2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tery 1, and a water tank connected to the pottery 1 to provide water to the pottery 1. It can be applied to a general toilet including a tank (3).

여기서 변좌(2)는 도기(1)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공간과, 용변이 이동되는 공간이 만들어질 수 있다.Here, the toilet seat 2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shape of the pottery 1, so that a space where the user can sit and a space where the toilet can be moved can be created.

본체부(110)는 내부에 변좌(2)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h1)이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may have a space inside which the toilet seat 2 is inserted,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h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본체부(110)는 도기(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좌(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can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pottery 1 and can be selectively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ilet seat 2 by the user.

즉, 본체부(1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변좌(2)에 포개어질 수 있다.That is, the main body 110 can be selectively placed on the toilet seat 2 by the user.

본체부(110)가 변좌(2)에 포개어질 때 변좌(2)가 본체부(1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내측형상은 변좌(2)의 외측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the main body 110 is overlapped with the toilet seat 2, the inner shape of the main body 110 corresponds to the outer shape of the toilet seat 2 so that the toilet seat 2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10. It can be implemented as: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의 분사홀(h1)은 변좌(2)의 형상을 따라, 변좌(2) 상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h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followi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2.

즉, 본체부(110)가 변좌(2)에 포개어지는 경우 복수의 분사홀(h1)은 변좌(2) 상면과 마주하게 위치되므로, 변좌(2) 상면에 세척액, 세정수 및/또는 에어가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ain body 110 is overlapped with the toilet seat 2,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h1 are located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so that the washing liquid, cleaning water, and/or air are spray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Can be easily supplied.

한편, 분사홀(h1)에는 세척액, 세정수 및/또는 에어를 변좌(2)에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 nozzle that selectively sprays washing liquid, washing water, and/or air onto the toilet seat 2 may be disposed in the spray hole h1.

본체부(110)에는 세척액 및 세정수가 변좌(2)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A sealing part 160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body 110 to prevent the washing liquid and washing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seat 2.

실링부(160)는 고무재질로 구현되며 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16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may be install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main body 110.

실링부(160)는 제1실링부(161)와 제2실링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160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art 161 and a second sealing part 162.

제1실링부(161)는 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변좌(2)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ortion 161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toilet seat 2.

제1실링부(161)는 본체부(110)가 변좌(2)에 포개어졌을 때, 변좌(2) 외측 테두리 부분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변좌(2)가 본체부(110)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ortion 161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toilet seat 2 when the main body portion 110 is overlapped with the toilet seat 2 . According to this, the toilet seat 2 can be completely sealed by the main body 110.

제2실링부(162)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설치되되 변좌(2)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part 162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2.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링부(162)는 본체부(110)의 하면에 설치되고 변좌(2)의 내측 테두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본체부(110)가 변좌(2)에 포개어지는 경우, 변좌(2) 내측 테두리에 접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sealing part 162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2, so that the main body 110 is attached to the toilet seat 2. When stacked, they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2.

즉, 제1실링부(161)는 변좌(2)의 외측 테두리와 접촉되고, 제2실링부(162)는 변좌(2)의 내측 테두리와 접촉되면서 변좌(2)가 실링부(16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ealing part 161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edge of the toilet seat 2,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6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2, so that the toilet seat 2 is in contact with the sealing part 160. can be shielded by

이에 의하면 변좌(2) 상면과 본체부(110) 하면 사이에 세척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 washing space s can b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한편, 제2실링부(162)에는 세정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h2)은 제2실링부(162)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변좌(2)의 후단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변좌(2) 세척을 마친 세정수는 배출홀(h2)을 통해 변좌(2)에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Meanwhile, a discharge hole h2 through which cleaning water can be discharged may be formed in the second sealing portion 162. The discharge hole h2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162 and may be formed in the rear end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Washing water that has finished washing the toilet seat (2) may be discharged from the toilet seat (2) through the discharge hole (h2).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결합되고, 변좌(2) 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can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

예컨대,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의 위치는 상술한 본체부(110) 하면에 제한되지 않고, 변좌(2) 상면에 존재하는 세정수에 초음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라면 본체부(110) 어디라도 무관하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However,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not limi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described above, and any position where ultrasonic vibrations can be transmitted to the cleaning water pres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is located at the main body 110. Anywhere is irrelevant.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변좌(2) 형상을 따라, 변좌(2) 상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be installed alo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2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

즉, 본체부(110)가 변좌(2)에 포개어졌을 때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변좌(2) 상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ain body 110 is overlapped with the toilet seat 2,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복수의 분사홀(h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h1.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변좌(2) 형상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일방향으로 향할수록 더 낮은 주파수 진동이 발생되도록 주파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2, and may be arranged in frequency order so that lower frequency vibrations are generated as they move in one direction.

예컨대,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1진동자(121), 제2진동자(122), 제3진동자(12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include a first vibrator 121, a second vibrator 122, and a third vibrator 123 that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of different frequencies.

여기서 각 진동자(121,122,123)는, 인가된 초음파 신호에 상응하는 진동수는 가지는 진동파를 발생시킴으로써 세척력을 발휘할 수 있는 초음파 진동자로 구현될 수 있다.Here, each vibrator 121, 122, and 123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sonic vibrator capable of exerting cleaning power by generating a vibration wave hav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applied ultrasonic signal.

제1진동자(121)와 제2진동자(122)와 제3진동자(123)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first vibrator 121, the second vibrator 122, and the third vibrator 123 may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of different frequencies.

제1진동자(121)는 제2진동자(122)의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진동자(122)는 제3진동자(123)의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제1진동자(121)는 가장 높은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고 제3진동자(123)는 가장 낮은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first vibrator 121 may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in a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at of the second vibrator 122, and the second vibrator 122 may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in a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requency band of the third vibrator 123. Band ultrasonic vibration can be generated. That is, the first oscillator 121 can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in the highest frequency band, and the third oscillator 123 can generate ultrasonic vibrations in the lowest frequency band.

예컨대, 제1진동자(121)는 31kHz 내지 40k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1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진동자(122)는 21kHz 내지 30k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2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3진동자(123)는 11kHz 내지 20kHz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3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vibrator 121 may generate a first ultrasonic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band of 31 kHz to 40 kHz, and the second vibrator 122 may generate a second ultrasonic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band of 21 kHz to 30 kHz. And, the third vibrator 123 can generate third ultrasonic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band of 11 kHz to 20 kHz.

이러한 제1진동자(121), 제2진동자(122) 및/또는 제3진동자(123)는 발생 주파수 대역 순대로 본체부(110)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oscillator 121, the second oscillator 122, and/or the third oscillator 123 may be arranged in the main body 110 in the order of frequency bands of occurrence.

도 2를 참조하면, 제1진동자(121)는 본체부(110)의 전단과 가깝게 배치되고 제3진동자(123)는 본체부(110)의 후단과 가깝게 배치되고, 제2진동자(122)는 제1진동자(121)와 제3진동자(12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first oscillator 121 is disposed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10, the third oscillator 123 is disposed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oscillator 122 is It may be placed between the first vibrator 121 and the third vibrator 123.

여기서 전단은 변기를 기준으로 변기 앞부분을 전단, 변기 뒷부분을 후단이라고 할 수 있다.Here, the front end can be referred to as the front end of the toilet, and the back end of the toilet can be referred to as the rear end.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각 진동자(121,122,123)가 변좌(2)의 형상을 따라 변좌(2) 후단 방향으로 향할수록 더 낮은 주파수 진동이 발생되도록 주파수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each vibrator 121, 122, and 123 can be arranged in frequency order so that lower frequency vibration is generated as it moves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along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2.

그러나 상술한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의 배치순서는 상술한 순서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주파수 대역 또한 변경될 수 있다.However, the arrangement order of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rder and may be changed as needed, and the above-described frequency band may also be changed.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차를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작동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operate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difference.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고주파 대역에서 저주파 대역 순으로 작동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be operated in the order from high frequency bands to low frequency bands.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진동자(121) 최초로 작동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제2진동자(122)가 작동될 수 있다.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재 초과되면 제3진동자(123)가 작동될 수 있다.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first vibrator 121 may be activa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second vibrator 122 may be activated when a preset time is exceeded. Thereafter, when the preset time is exceeded again, the third oscillator 123 may be activated.

즉, 제1진동자(121), 제2진동자(122) 및/또는 제3진동자(123)는 기 설정된 시간차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oscillator 121, the second oscillator 122, and/or the third oscillator 123 may be operated sequentially according to a preset time difference.

한편, 제2진동자(122)가 작동을 시작하더라도 제1진동자(121)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제3진동자(123)가 작동을 시작하더라도 제1진동자(121), 제2진동자(122)의 동작이 정지되지 않는다. 즉, 제3진동자(123)의 작동이 시작되면 제1진동자(121), 제2진동자(122) 및 제3진동자(123)가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Meanwhile, even if the second vibrator 122 starts operat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vibrator 121 does not stop. Additionally, even if the third vibrator 123 starts operating, the operations of the first vibrator 121 and the second vibrator 122 do not stop. That is, when the third vibrator 123 starts operating, the first vibrator 121, the second vibrator 122, and the third vibrator 123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변좌(2)에 공급되어 세척공간(s)에 위치한 세정수에 진동을 제공하며, 세정수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supplied to the toilet seat 2 to provide vibration to the washing water located in the washing space s and can move the washing water.

변좌(2)에 세정수가 분사되면,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는데 이때,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시간당 진동 횟수가 많고 더욱 미세한 기포가 다량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주파수 대역이 낮을수록 시간당 진동 횟수가 적고, 보다 큰 기포가 보다 소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cleaning water is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2, a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operated sequentially. At this time, the higher the frequency band, the greater the number of vibrations per hour, and a large amount of finer bubbles can be formed. Conversely, the lower the frequency band, the fewer vibrations per hour, and larger bubbles can be formed in smaller quantities.

즉, 진동 횟수, 기포 크기 및 기포 발생량에 따라 주파수 대역이 높은 곳에 위치된 세정수가 주파수 대역이 낮은 곳으로 이동될 수 있다.That is, depending on the number of vibrations, the size of bubbles, and the amount of bubbles generated, the cleaning water located in a high frequency band may be moved to a low frequency band.

예컨대, 제1진동자(121)로부터 주파수 진동을 인가받은 세정수는 제2진동자(122)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되어 제3진동자(123)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진동자(122)로부터 주파수 진동을 인가받은 세정수는 제3진동자(123)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ing water that has received the frequency vibration from the first vibrator 121 may be moved to a location where the second vibrator 122 is located and then moved to a location where the third vibrator 123 is located. Additionally, the cleaning water that has received the frequency vibration from the second vibrator 122 may be moved to the location where the third vibrator 123 is located.

즉, 세정수는 제1진동자(121)가 위치된 변좌(2) 전단에서부터 제3진동자(123)가 위치된 변좌(2) 후단으로 이동되면서 변좌(2) 상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변좌(2) 세척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cleaning water can clea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while mov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toilet seat 2 where the first vibrator 121 is located to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where the third vibrator 123 is located.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leaning power of the toilet seat 2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변좌(2) 후단으로 이동된 세정수는 제2실링부(162)에 형성된 배출홀(h2)을 통해 변좌(2)에서 배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cleaning water moved to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may be discharged from the toilet seat 2 through the discharge hole h2 formed in the second seal part 162.

이때, 배출홀(h2)의 형성방향이 도기(1) 방향이므로 세정수는 도기(1)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용변 물을 내릴 때에 세정수가 재활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hole h2 is formed is toward the pottery 1, the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into the pottery 1. According to this, the washing water can be recycled when flushing the toilet.

세척액 공급부(130)는 복수의 분사홀(h1)에 연결되어 변좌(2)에 분사되는 세척액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다.The washing liquid supply unit 13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ray holes h1 and can provide washing liquid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2 for a preset time.

세척액 공급부(130)는 제1케이스부 및 세척액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부는 세척액이 수납되어 보관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와 인접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first case part and a cleaning liquid moving part. The first case portion provides a space where cleaning liquid can be stored and stored, and may be placed adjacent to the main body portion 110.

세척액 이동부는 세척액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케이스부에 수납된 세척액을 분사홀(h1)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leaning liquid moving part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can be moved, and can move the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first case part to the spray hole (h1).

예컨대 세척액 이동부는 일단이 제1케이스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분사홀(h1)에 연결되며 내부에 세척액이 이동되는 공간이 마련된 배관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세척액 이동부는 본체부(110)에 마련된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배관은 필요에 따라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ing liquid moving part may be implemented as a pipe with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case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pray hole h1, and a space provided therein for moving the washing liquid. This cleaning liquid mov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At this time, the piping may be implemented with flexible materials as needed.

세척액 이동부의 타단은 분사홀(h1)에 배치된 노즐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변좌(2) 상면에 세척액이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cleaning liquid moving unit may be connected to a nozzle disposed in the spray hole (h1). According to this, the cleaning liquid can be selectively spray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여기서 세척액은, 다양한 형태(점도를 가지는 액, 거품 형태 등)를 가질 수 있으며, 세제 등의 성분이 포함된 액체일 수 있다. 또한, 휘발성을 가지는 액체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세척액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세척액 공급부(130)에 공급될 수 있다.Here, the cleaning liquid may have various forms (liquid with viscosity, foam form, etc.) and may be a liquid containing ingredients such as detergent. Additionally, it may be implemented as a volatile liquid. This cleaning solution may be selectively supplied to the cleaning solution supply unit 130 as needed.

세정수 공급부(140)는 복수의 분사홀(h1)에 연결되어 변좌(2)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4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spray holes h1 and can provide washing water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2 for a preset time.

세정수 공급부(140)는 변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3)와 연결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4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 that supplies water to the toilet.

세정수 공급부(140)는 물탱크(3)에 수납된 세정수를 분사홀(h1)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40 can mov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3 to the spray hole h1.

예컨대 세정수 공급부(140)는 일단이 물탱크(3)와 연결되고, 타단이 분사홀(h1)에 연결되는 세정수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정수 이동부는 본체부(110)에 마련된 내부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40 may include a washing water moving unit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pray hole h1. This washing water moving unit may be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세정수 이동부의 타단은 분사홀(h1)에 배치된 노즐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변좌(2) 상면에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washing water moving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nozzle disposed in the spray hole (h1). According to this, cleaning water can be selectively spray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에어 공급부(150)는 복수의 분사홀(h1)에 연결되어 변좌(2)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를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제공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5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h1 and can provide air for removing cleaning water remaining in the toilet seat 2 for a preset time.

에어 공급부(150)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에서 초음파 발생이 중단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작동될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50 may be activated after a preset period of time has elapsed after ultrasonic generation from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is stopped.

에어 공급부(150)는 변좌(2) 상면 방향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한다. 이 때 압축 공기는 고온일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50 sprays compressed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may be at high temperature.

또한, 에어 공급부(150)는 변좌(2) 상면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함과 동시에 변좌(2) 후단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supply unit 150 can supply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nd at the same time supply air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이에 의하면, 변좌(2) 상면에 잔류된 세정수가 변좌(2) 후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실링부(162)의 배출홀(h2)을 통해 변좌(2)에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leaning water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can be mov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and discharged from the toilet seat 2 through the discharge hole h2 of the second seal part 16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100)는 살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oilet cover 100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rilization unit 170.

살균부(170)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고 변좌(2)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17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irradiate ultraviolet rays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살균부(170)는 복수의 LED가 실장된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mounted.

예컨대, 살균부(170)는 200nm 내지 280nm 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LED가 실장된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terilizing unit 170 may be implemented as a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LEDs that irradiate ultraviolet rays with a wavelength of 200 nm to 280 nm are mounted.

이러한 살균부(170)는 변좌(2) 방향에 상술한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변좌(2)를 살균할 수 있다.This sterilizing unit 170 can sterilize the toilet seat 2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the above-described wavelength range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그러나 살균부(170)는 상술한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LED 실장 기판에 한정되지 않고 살균을 목적으로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등기구라면 어떠한 것으로 구현되더라도 무방하다.However, the sterilizing unit 170 is not limited to an LED mounting board that irradiates ultraviolet rays in the above-mentioned wavelength band, and may be implemented as any lighting device that can irradiate ultraviolet rays for sterilization purposes.

지금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의 작동 순서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의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From now on,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equence of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용변을 보고 난 후, 본체부(110)를 변좌(2) 위로 포개어 변기물을 내리게 되면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100)의 동작이 시작된다.After the user uses the toilet, when the main body 110 is placed over the toilet seat 2 and flushes the toilet, the toilet cover 100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begins to operate.

먼저, 세척액 공급부(130)는 세척액을 분사홀(h1)로 이동시킨다. 이후, 분사홀(h1)에 세척액이 공급되면 분사홀(h1)에 연결된 노즐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액을 변좌(2) 방향으로 분사한다.First,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30 moves the cleaning liquid to the spray hole (h1). Afterwards, when the wash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spray hole (h1), the nozzle connected to the spray hole (h1) sprays the washing liquid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for a preset time.

예컨대, 분사홀(h1)에 연결된 노즐은 5초 동안 변좌(2) 방향으로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세척액은 변좌(2) 상면에 분사되어 변좌(2) 상면에 존재하는 오물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변좌(2) 상면에 존재하는 세균등을 사멸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nozzle connected to the spray hole h1 can spray the cleaning liquid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for 5 seconds. At this time, the cleaning liquid may be spr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nd absorbed into the dirt pres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dditionally, bacteria pres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can be killed.

세척액 분사가 끝나면, 세정수 공급부(140)는 세정수를 분사홀(h1)로 이동시킨다. 이후, 분사홀(h1)에 세정수가 공급되면 분사홀(h1)에 연결된 노즐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세정수를 변좌(2) 방향으로 분사한다.When the cleaning solution is finished spraying, the cleaning water supply unit 140 moves the cleaning water to the spray hole h1. Afterwards, when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pray hole (h1), the nozzle connected to the spray hole (h1) sprays the washing water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for a preset time.

세정수가 변좌(2) 방향으로 분사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세척공간(s)에 세정수가 채워지게 된다.Washing water is sprayed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and after a preset time, the washing space (s)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세척공간(s)에 세정수가 채워지면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서로 다른 주파수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때,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기 설정된 시간차를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작동될 수 있다.When the washing space s is filled with washing water,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generate vibrations of different frequencie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be operated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difference.

예컨대,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는 고주파 대역에서 저주파 대역 순으로 작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may operate in the order from high frequency bands to low frequency bands.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진동은 세정수로 전달되고, 세정수가 매질이 되어 변좌(2) 상면이 세척될 수 있다.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transmitted to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becomes a medium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can be cleaned.

또한, 세정수가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의 주파주 대역을 따라 이동되면서 변좌(2) 상면이 더욱 청결하게 세척될 수 있다.Additionally, as the cleaning water moves along the frequency band of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can be cleaned more cleanly.

세정수 공급부(140)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가 작동될 동안 지속적으로 변좌(2)에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세정수 공급을 중단한다.The cleaning water supply unit 140 can continuously supply cleaning water to the toilet seat 2 while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re operating, and stops supplying the cleaning water when the preset time is exceeded.

세정수 공급부(140)의 세정수 공급이 중단되면 세척공간(s)에 잔존하는 세정수는 계속해서 변좌(2) 후단방향으로 흐르게 된다.When the supply of washing water from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140 is stopped, the washing water remaining in the washing space s continues to flow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변좌(2) 후단방향으로 이동된 세정수는 배출홀(h2)에 의하여 변좌(2)에서 배출된다.The washing water mov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is discharged from the toilet seat (2) through the discharge hole (h2).

세정수 공급이 중단되고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의 동작도 중단된다.When the supply of washing water is stopped and the preset time is exceeded,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is also stopped.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의 동작이 중단되면, 에어 공급부(150)에서 에어가 발생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is stopped, air is generated from the air supply portion 150.

에어 공급부(150)는 변좌(2) 상면 방향으로 압축 에어를 분사한다. 이 때 압축 공기는 고온일 수 있다.The air supply unit 150 sprays compressed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may be at high temperature.

또한, 에어 공급부(150)는 변좌(2) 상면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함과 동시에 변좌(2) 후단 방향으로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ir supply unit 150 can supply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and at the same time supply air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이에 의하면, 변좌(2) 상면에 잔류된 세정수가 변좌(2) 후단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실링부(162)의 배출홀(h2)을 통해 변좌(2)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변좌(2)가 건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cleaning water remai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2 can be mov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seat 2 through the discharge hole h2 of the second seal part 162. (2) can be dried.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에어 공급부(150)의 에어 공급이 중단되면 살균부(170)에서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다.When the air supply from the air supply unit 150 is stopped according to a preset time, ultraviolet rays may be irradiated from the sterilizing unit 170.

살균부(170)는 변좌(2) 방향에 살균 효과가 있는 파장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변좌(2)를 살균할 수 있다.The sterilizing unit 170 can sterilize the toilet seat 2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in a wavelength band with a sterilizing effect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2 .

기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면 살균부(170)는 자외선 조사를 중단함으로써 변좌(2)의 세척 및 살균 동작이 종료될 수 있다.If the preset time is exceeded, the sterilizing unit 170 may stop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hereby ending the cleaning and sterilizing operation of the toilet seat 2.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대해 설명한다.From now on,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에 의하여 세정수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of cleaning water from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200)의 실링부(160)는 제1실링부(211)와 제2실링부(21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the sealing portion 160 of the toilet cover 200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aling portion 211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212. .

제1실링부(211)는 본체부(1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변좌(2)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sealing part 211 is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edge of the toilet seat 2.

제2실링부(212)는 본체부(110)의 일면에 설치되되 변좌(2)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sealing part 212 may be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2.

이러한 제1실링부(211), 제2실링부(212)에 의하면 변좌(2)가 본체부(110)에 의해 차폐될 수 있고, 변좌(2)와 본체부(110) 사이에는 세척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sealing part 211 and the second sealing part 212, the toilet seat 2 can be shielded by the main body 110, and a washing space ( s) can be formed.

한편, 제1실링부(211)에는 세정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h3)이 형성될 수 있고, 배출홀(h3)은 세정수가 이동될 수 있는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discharge hole h3 through which cleaning water can be discharged may be formed in the first sealing part 211, and the discharge hole h3 may be connected to a pipe through which cleaning water can move.

배관의 일단은 배출홀(h3)과 연결되고, 배관의 타단은 변기의 물탱크(3)에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h3),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3) of the toilet.

또한, 배관은 모터(펌프)와 연결되어 세정수를 배출홀(h3) 방향으로 흡입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pe is connected to a motor (pump) so that cleaning water can be sucked toward the discharge hole (h3).

즉, 세정수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120)에 의해 변좌(2)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모터(펌프)에 의하여 배출홀(h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at is, the cleaning water may be moved toward the rear end of the toilet seat 2 by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20 and toward the discharge hole h3 by the motor (pump).

배출홀(h3) 방향으로 이동된 세정수는 배관을 통해 변기의 물탱크(3)로 이동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hole (h3) can be moved to the water tank (3) of the toilet through the pipe.

이에 의하면, 세정수가 변좌(2) 외부 즉, 변기 밖으로 누출되지 않고 물탱크(3)로 이동되면서 세정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the washing water can be recycled by moving to the water tank 3 without leaking outside the toilet seat 2, that is, outside the toile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us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커버
110: 본체부
120: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
130: 세척액 공급부
140: 세정수 공급부
150: 에어 공급부
160: 실링부
170: 살균부
100: Toilet seat cover with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110: main body
120: plural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130: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40: Washing water supply unit
150: Air supply unit
160: Sealing part
170: Sterilization department

Claims (7)

내부에 변좌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하면에 복수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고, 변좌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분사되는 세척액을 제공하는 세척액 공급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분사되는 세정수를 제공하는 세정수 공급부;
상기 복수의 분사홀에 연결되어 상기 변좌에 잔류하는 세정수를 제거하기 위한 에어를 제공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변좌에 접촉되어 상기 세척액 및 상기 세정수가 상기 변좌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A main body portion in which a space for inserting a toilet seat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pray holes are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in the direction of the toilet seat;
a washing liquid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washing liquid to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a washing wate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washing water to be sprayed onto the toilet seat;
an air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pray holes and providing air to remove cleaning water remaining in the toilet seat; and
A sealing part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and contacting the toilet seat to prevent the cleaning liquid and the cleaning wat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of the toilet seat,
A toilet cover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generate vibrations of different frequenci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변좌의 상면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In claim 1,
A toilet cover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further comprising a sterilizing uni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상기 변좌의 형상을 따라, 상기 변좌의 상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일방향으로 향할수록 더 낮은 주파수 진동이 발생되도록, 발생 주파수 순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In claim 1,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They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ositions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oilet sea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toilet seat,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A toilet cover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which is arranged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occurrence so that lower frequency vibrations are generated as they move in one dir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상기 변좌에 공급된 상기 세정수에 진동을 제공하며, 상기 세정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In claim 3,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A toilet cover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vibration to the washing water supplied to the toilet seat and moves the washing wat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초음파 진동 발생부는,
기 설정된 시간차를 따라, 주파수 대역 별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In claim 4,
The plurality of ultrasonic vibration generators,
A toilet cover equipped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which operates for each frequency band according to a preset time differe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본체부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되 상기 변좌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1실링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설치되되 상기 변좌의 내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실링부는,
상기 변좌의 외측 테두리와 접촉되고,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변좌의 내측테두리와 접촉되어 상기 변좌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In claim 1,
The sealing part,
a first sealing portion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outer edge of the toilet seat;
A second sealing par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The first sealing part,
Contacting the outer edge of the toilet seat,
The second sealing part,
A toilet cover with a toilet seat sterilizing and clea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cts the inner edge of the toilet seat to form a cleaning space between the toilet seat and the main bod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에는,
상기 세정수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살균 세척 기능이 구비된 변기 커버.
In claim 6,
In the second sealing part,
A toilet cover with a toilet seat sterilization and clean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the cleaning water can be discharged is formed.
KR1020220097661A 2022-05-18 2022-08-05 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 KR10264727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0698 2022-05-18
KR1020220060698 2022-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308A true KR20230161308A (en) 2023-11-27
KR102647271B1 KR102647271B1 (en) 2024-03-13

Family

ID=8896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7661A KR102647271B1 (en) 2022-05-18 2022-08-05 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27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96A (en)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Seat cleaning apparatus for stool
KR20220030718A (en) * 2020-09-03 2022-03-11 (주)클린아이디어 Ultrasonic cleaning method using change of ultrasonic wave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196A (en) * 2008-04-01 2009-10-07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Seat cleaning apparatus for stool
KR20220030718A (en) * 2020-09-03 2022-03-11 (주)클린아이디어 Ultrasonic cleaning method using change of ultrasonic wave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7271B1 (en)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7027B1 (en) Cleaning apparatus for sanitary ware with device for supplying bubble and cleaning sanitary ware using the same
US8083864B2 (en) Cleaning device
KR102068142B1 (en) Device for supplying bubble for toilet stool
US9890529B2 (en) Sanitary toilet
JP2011255271A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KR102647271B1 (en) Toilet seat cover with sterilization cleaning function
KR100951962B1 (en) Seat cleaning apparatus for stool
JP2008049233A (en) Cleaning apparatus and its method
KR20070053050A (en) Sterilization method in a dish wahser using ultraviolet radiation
KR100527841B1 (en) A milk bottle washer
JP2008038475A (en) Private parts washing device
KR200276506Y1 (en) A movable type washer using supersonic waves and ozone
KR101320585B1 (en) bidet for improving sanitary condition of nozzle assembly
KR20020026223A (en) A movable type washer using supersonic waves and ozone
KR101076659B1 (en) Potable sterilizer
KR102622211B1 (en) Bidet
JP3219730B2 (en) Endoscope cleaning and disinfecting equipment
KR101784386B1 (en) Wash basin system
KR102574020B1 (en) Bidet sterilization device using spraying and discharge of sterilized water with cleaning function
KR100747703B1 (en) Ultrasonic Sterilization Cleaner
CN219825492U (en) Defecation device with fluid injection function
JP7439574B2 (en) Local cleaning device
KR20110132928A (en) Disinfection system for a western-style toilet
CN215130444U (en)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operating room nursing
JP2018082738A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