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298A -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298A
KR20230161298A KR1020220082156A KR20220082156A KR20230161298A KR 20230161298 A KR20230161298 A KR 20230161298A KR 1020220082156 A KR1020220082156 A KR 1020220082156A KR 20220082156 A KR20220082156 A KR 20220082156A KR 20230161298 A KR20230161298 A KR 20230161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ontrol panel
cooking appliance
movement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상진
윤상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45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24258A1/en
Publication of KR20230161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2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05C19/063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Abstract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며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때,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 및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원통 형상의 버튼 바디, 상기 버튼 바디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축, 및 상기 버튼 축으로부터 상기 버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버튼 푸시부를 포함한다.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main body that forms a cooking chamber and includes a control panel,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cooking chamber,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t includes a button that is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to operate the. The butt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 cylindrical button body, a button axis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button body, and the button axi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body, and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the button moves. It includes a button push unit provided to do so.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Cooking Appliance{COOKING APPARATUS}

본 개시는 도어를 갖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door.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for cooking objects such as food by heating them, and is a device that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ooking, such as heating, defrosting, drying, and sterilizing the object. Such cooking appliances include, for example, ovens such as gas ovens or electric ovens, microwave heating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waves), gas ranges, electric ranges, and microwave ovens with hood (Over The Range, OTR). , gas grill or electric grill.

전자 레인지는 전자기파를 통해 음식물 속 물 분자의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A microwave oven is an appliance that cooks food using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disrupting the arrangement of water molecules in food through electromagnetic waves. An oven directly transfers heat to food through a heat source such as a heater or heats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It is a device that cooks food by heating it.

조리실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어를 선택적으로 잠금하는 개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 장치를 작동시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 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The galley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device that selectively locks the door so that the door can remain closed to the cooking chamber. The user can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o unlock the door and then open the door.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discloses a cooking appliance that can reduce costs.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며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때,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 및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원통 형상의 버튼 바디, 상기 버튼 바디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축, 및 상기 버튼 축으로부터 상기 버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버튼 푸시부를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that forms a cooking chamber and includes a control panel,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nd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cooking chamber. It includes a device, and a button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button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 cylindrical button body, a button axis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button body, and the button axi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body, and operates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the button moves. It includes a button push unit provided to do so.

상기 버튼 푸시부는 상기 버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button pusher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utton axis.

상기 버튼 푸시부는 상기 버튼 바디로부터 상기 버튼 축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button pusher may extend longer than the button axis from the button body.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버튼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button moun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튼 장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노출부로서,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상기 버튼 바디의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따른 단면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is an exposed portion provided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button mounting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and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is the cross section of the button body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It may include an exposed portion that is prepared to be smaller.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provid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상기 탄성체는 일 단부가 상기 버튼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에 의해 지지되는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가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One end of the elastic body may be supported by the button,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supported by the button may be supported by the control panel.

상기 버튼은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버튼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may include an elastic guide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 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지지부로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is a shaft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utton shaft is movably coupled, and includes a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ntrol panel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can do.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의 이동에 따른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푸시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pusher guide provided to guide movement of the button pusher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button.

상기 푸시부 가이드는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push unit guide may be provided to interfere with movement of the button push unit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상기 버튼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장착된 때,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지지되는 버튼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the button may include a button coupling portion supported on the control panel to limit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rol panel. The control panel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guide provided to guid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상기 결합부 가이드는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guide may be provided to interfere with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상기 버튼 축은 상기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에 장착된 때,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지지되는 버튼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tton axis may include a button coupling portion supported on the control panel to limit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rol panel when the butt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래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버튼이 가압되는 동안 상기 버튼 푸시부에 의해 푸시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전달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도어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전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 door latch movably provided on the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member that is rotatable as the button is pushed by the button pusher while the button is pressed, and a first transmission member that rotates a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rotates and is provided to move the door latch. It may include a second transmission member.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며, 버튼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때,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 및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버튼 장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 장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버튼 바디, 상기 버튼 장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상기 버튼 바디의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따른 단면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노출부, 상기 버튼 바디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축, 및 상기 버튼 축으로부터 상기 버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버튼 푸시부를 포함한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ms a cooking chamber, and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button mounting portion,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nd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cooking chamber. It includes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button movably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button is a cylindrical button body disposed in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and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and has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so that the button of the button body moves. An exposed portion provided to be smaller than the cross section in a possible direction, a button axis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button body, and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as the button moves It includes a button push portion provided to operate the device.

상기 버튼 푸시부는 상기 버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 축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The button pusher may extend longer than the button ax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utton axis.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은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버튼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외측에서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버튼 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지지부로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provid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The button may include an elastic guide provided to support the elastic body on the outside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The main body is a shaft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utton axis is movably coupled, and may include a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elastic body on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You can.

상기 본체는 상기 버튼의 선형 이동에 따른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pusher guid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er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and is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er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상기 버튼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버튼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버튼의 선형 이동에 따른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합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When mounted on the main body, the button may include a button coupling portion supported on the main body so that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is restricted. The main body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and may include a coupling guide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버튼이 대략 원통형상을 가지며 버튼 푸시부가 버튼 축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므로, 컨트롤 패널에서의 버튼의 위치가 상이한 다양한 조리기기에 버튼을 적용할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button of the cooking appliance has a roughly cylindrical shape and the button pusher is located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so the butt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oking appliances with different button positions on the control panel, thereby reducing costs. can do.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를 잠금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를 잠금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가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로부터 버튼을 분해하여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버튼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버튼 장착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에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과 버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버튼과 개폐 장치의 제1 전달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에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과 버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버튼과 개폐 장치의 제1 전달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과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다.
1 shows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shows an exploded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3 shows a door lock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locks the door.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unlocks the door.
FIG. 6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source shown in FIG. 2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shown in FIGS. 4 and 5.
FIG. 7 shows the buttons disassembled from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Figure 8 shows the button shown in Figure 7.
Figure 9 shows the button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ure 7.
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buttons are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FIG. 11 shows a combined structure of the control panel and buttons shown in FIG. 10.
FIG. 1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shown in FIG. 10 and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igure 13 shows a state in which buttons are mounted on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4 shows a combined structure of the control panel and buttons shown in FIG. 13.
FIG. 1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shown in FIG. 13 and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6 shows buttons and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or replacements of the embodiments.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above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ny possible combination thereof.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element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element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elements.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such elements in other respects, such as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One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re mentioned, it means that any of th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is document, but are not intended to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this means not only when th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but also when a third component This includes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contacted through.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two component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cooking applian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다.1 shows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shows an exploded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프런트 패널(11)과, 리어 패널(12)과, 바텀 패널(13)과, 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4)는 프런트 패널(11)과 리어 패널(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14)는 사이드 패널(14a)과, 탑 패널(14b)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a)과 탑 패널(14b)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a)과 탑 패널(14b)은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main body 10 forming an external shape.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front panel 11, a rear panel 12, a bottom panel 13, and a cover 14. The cover 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The cover 14 may include a side panel 14a and a top panel 14b. The side panel 14a and the top panel 14b may be formed as one piece. The side panel 14a and top panel 14b may be provided in separate configurations.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4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40)는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와 내부 케이스(40)의 사이에는 전장실(30)이 형성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n internal case 40 forming a cooking chamber 20 . The inner case 40 may be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he inner case 40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with one side open. An electrical equipment compartment 30 may be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10 and the internal case 40.

조리기기(1)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원(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열원(31)은 조리실(20)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를 생성시키도록 마련되는 마그네트론(32)과, 마그네트론(32)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 트랜스(33) 및 고압 콘덴서(3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32), 고압 트랜스(33), 및 고압 콘덴서(34)는 전장실(30)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전장실(30)의 내부의 구성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35)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35)은 전장실(30)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heating source 31 for cooking a cooking object. For example, the heating source 31 includes a magnetron 32 provided to generate high frequency waves to be supplied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a high voltage transformer 33 and a high pressure condenser for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magnetron 32. (34) may be included. The magnetron 32, high-voltage transformer 33, and high-voltage condenser 34 may be locat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cooling fan 35 for cooling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electrical appliance room 30. The cooling fan 35 may be located in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30.

조리기기(1)는 조리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조리실(20)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레이(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tray 21 dispos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20 to accommodate cooking objects.

조리기기(1)는 마그네트론(32)으로부터 방사되는 고주파를 조리실(2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waveguide provided to guide high frequency waves radiated from the magnetron 32 into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20.

조리기기(1)는 조리 대상물이 트레이(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조리실(20)의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함에 따라,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의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할 때, 트레이(21)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 배열이 반복 변환되며 발생하는 분자들 간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can cook a cooking object by radiating high frequency waves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while the cooking object is accommodated in the tray 21 . When the cooking device 1 radiates high frequency waves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the molecular arrangement of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oking object contained in the tray 21 is repeatedly converted, and the cooking object is cooked by frictional heat between the molecules generated. can do.

일 예로, 가열원(31)은 조리실(20)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heating source 31 may include a heater for heating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20.

조리기기(1)는 조리실(20)을 개폐하기 위해 본체(10)의 프런트 패널(11)에 결합되는 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조리실(20)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door 100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of the main body 10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20. The door 1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The door 10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is visible.

조리기기(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51) 및/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2)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본체(10)의 프런트 패널(11)에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도어(10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도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60)가 위치하는 프런트 패널(11)의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본체(1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control panel 50 including an input unit 51 for receiving user input and/or a display unit 52 for displaying information. The control panel 5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11 of the main body 10. The control panel 5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door 100. The control panel 50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of the front panel 11 where the hinge 60 that rotatably supports the door 100 is located. The control panel 50 may be included in the main body 10.

조리기기(1)는 컨트롤 패널(50)에 장착되는 버튼(11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도어(100)가 조리실(20)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버튼(110)을 동작시킴에 따라 도어(100)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button 110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50. The cooking appliance 1 may be configured to open the door 100 by operating the button 110 when the door 100 is in a position to close the cooking chamber 20.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에 마련되는 도어 잠금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를 잠금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잠금 장치가 도어를 잠금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가열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다.FIG. 3 shows a door locking device provided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locks the door.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ing device shown in FIG. 3 unlocks the door. FIG. 6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source shown in FIG. 2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shown in FIGS. 4 and 5.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도어(100)를 개방하기 위한 버튼(110) 및 개폐 장치(120)의 구성들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 the configurations of the button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for opening the door 100 will be described.

조리기기(1)는 개폐 장치(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110)은 컨트롤 패널(5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50)은 버튼(110)이 장착되는 버튼 장착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110)은 버튼 장착부(56)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button 110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The button 110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50. The control panel 50 may include a button mounting portion 56 on which the button 110 is mounted. The button 110 may be movably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조리기기(1)는 도어(100)가 조리실(20)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도어(10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도어(10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래치(106)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120)는 도어 래치(106)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configured to selectively restrict movement of the door 100 when the door 100 is in a position to close the cooking chamber 20 . 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door latch 106 movably mounted on the door 100.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door latch 106.

개폐 장치(120)는 버튼(1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달 부재(121)와, 제1 전달 부재(121)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 전달 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that is rotatable as it is pressed by the button 110, and a second transmission member that is rotatable a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rotates ( 122) may be included.

제1 전달 부재(121)는 프런트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1 전달 부재(121)는 컨트롤 패널(5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제1 전달 부재(121)는 버튼(110)의 버튼 푸시부(116)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할 때, 제2 전달 부재(122)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panel 11.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50.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when it is pressed and rotated by the button pusher 116 of the button 110.

제1 전달 부재(121)는 버튼(11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 전달부(121a)와, 제2 전달 부재(122)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 푸시부(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 부재(121)는 제1 전달부(121a)가 버튼(11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회전하며, 제1 푸시부(121b)가 제2 전달 부재(122)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전달부(121a)는 버튼(110)과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푸시부(121a)는 제2 전달 부재(122)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ncludes a first transmission part 121a that can be pressed by the button 110, and a first push part 121b that is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It can be included.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rotates as the first transmission portion 121a is pressed by the button 110, and the first push portion 121b may be provided to rotate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there is. The first transmission unit 121a may be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button 110. The first push part 121a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제2 전달 부재(122)는 프런트 패널(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전달 부재(122)는 프런트 패널(11)에 장착되는 개폐 장치(120)의 케이스(1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2 전달 부재(122)는 제1 전달 부재(121)에 의해 회전할 때, 도어(100)가 개방될 수 있도록 도어 래치(106)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panel 11.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case 126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mounted on the front panel 11.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is rotated by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the door latch 106 can be moved so that the door 100 can be opened.

제2 전달 부재(122)는 제1 전달 부재(121)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전달부(122a)와, 도어 래치(106)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푸시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달 부재(122)는 제2 전달부(122a)가 제1 전달 부재(121)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회전하며, 제2 푸시부(122b)가 도어 래치(106)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전달부(122a)는 제1 전달 부재(121)의 제1 푸시부(121b)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푸시부(122b)는 도어 래치(106)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includes a second transmission part 122a provided to be pressed by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and a second push part 122b provided to move the door latch 106. may include.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rotates as the second transmission portion 122a is pressed by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and the second push portion 122b is provided to move the door latch 106. You can.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122a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first push part 121b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The second push part 122b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latch 106.

제2 전달 부재(122)의 제2 푸시부(122b)는 버튼(110)이 가압됨에 따라 제1 전달 부재(121) 및 제2 전달 부재(122)가 회전할 때,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도어 래치(106)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푸시면(122ba)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면(122ba)은 도어 래치(106)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푸시면(122ba)은 버튼(110)이 가압됨에 따라 제1 전달 부재(121)가 회전할 때, 도어 래치(106)를 들어올릴 뿐만 아니라, 도어 래치(106)를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푸시면(122ba)이 도어 래치(106)를 밀어냄에 따라, 도어(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될 수 있다.The second push portion 122b of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opens the door 100 when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rotate as the button 110 is pressed. It may include a push surface 122ba formed to move the door latch 106 in the desired direction. The push surface 122ba may have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door latch 106. The push surface 122ba not only lifts the door latch 106 when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rotates as the button 110 is pressed, but also moves the door latch 106 to open the door 100. It can be formed to push in one direction. As the push surface 122ba pushes the door latch 106, the door 100 may be opened enough for a user to grip.

도어 래치(106)는 제2 전달 부재(122)의 제2 푸시부(122b)의 푸시면(122ba)과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면(106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106a)은 버튼(110)이 가압됨에 따라 제1 전달 부재(121) 및 제2 전달 부재(122)가 회전할 때, 도어(10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푸시면(122ba)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가이드면(106a)은 제2 전달 부재(122)를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door latch 106 may include a guide surface 106a provided to contact the push surface 122ba of the second push portion 122b of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The guide surface 106a is pushed by the push surface 122b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100 is opened when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and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rotate as the button 110 is pressed. It can be pressurized. The guide surface 106a may have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도 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130)는 제1 센서(131) 및/또는 제2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131)는 제2 전달 부재(122)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센서(132)는 도어 래치(106)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센서(131)는 제2 전달 부재(122)가 회전함에 따라 제2 전달 부재(122)와 접촉이 해제되며 이격될 때, 가열원(31)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9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센서(132)는 도어 래치(106)가 이동함에 따라 도어 래치(106)와 접촉이 해제되며 이격될 때, 가열원(31)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9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고압 트랜스(33) 및/또는 고압 콘덴서(34)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 sensor 130. The sensor 130 may include a first sensor 131 and/or a second sensor 132. The first sensor 131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The second sensor 132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latch 106. The first sensor 131 send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9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source 31 when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rotates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transmission member 122. ) can be transmitted. The second sensor 13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9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source 31 when the door latch 106 moves and is released from contact with the door latch 106 and is separated from the door latch 106. there is. The control unit 90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high pressure transformer 33 and/or the high pressure condenser 34.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로부터 버튼을 분해하여 도시한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버튼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버튼 장착부를 도시한다.FIG. 7 shows the buttons disassembled from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Figure 8 shows the button shown in Figure 7. Figure 9 shows the button mounting portion shown in Figure 7.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버튼(110)과 버튼 장착부(56)에 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 the button 110 and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of the cooking applian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버튼(110)은 버튼 바디(112)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바디(112)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바디(112)는 버튼 장착부(56)에 대응되는 형상 및/또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버튼 바디(112)는 버튼 장착부(56)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버튼 장착부(56)는 버튼(1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 the button 110 may include a button body 112 . Button body 112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button body 112 may be provided in a shape and/or size corresponding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button body 112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110.

버튼(110)은 버튼 바디(112)의 일 측에 마련되는 노출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부(111)는 버튼 바디(112)로부터 일 측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노출부(111)는 버튼 바디(112)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노출부(111)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출부(111)는 버튼(110)의 이동에 따라 버튼 장착부(56)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출부(111)는 버튼(110)이 가압되기 전 상태에 있을 때, 컨트롤 패널(5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utton 110 may include an exposed portion 1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tton body 112. The exposed portion 111 may extend from the button body 112 toward one side. The exposed portion 111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button body 112. The exposed portion 111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exposed portion 111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110. The exposed portion 111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panel 50 when the button 110 is in a state before being pressed.

노출부(111)는 버튼 바디(11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노출부(111)의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크기는 버튼 바디(112)의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노출부(111)의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크기는 버튼 장착부(56)의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출부(111)는 버튼(110)이 가압됨에 따라 버튼 장착부(56)의 내부에 위치할 때, 버튼 장착부(56)와 이격될 수 있다. 노출부(111)가 버튼 장착부(56)의 내부에 위치할 때 버튼 장착부(56)와 이격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노출부(111) 및 버튼 장착부(56)는 상호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exposed portion 111 may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button body 112.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of the exposed portion 111 is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of the button body 112 is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t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of the exposed portion 111 is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s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t may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Accordingly, when the exposed portion 111 is located in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as the button 110 is pressed, the exposed portion 11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As the exposed portion 111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when located in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exposed portion 111 and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mutual friction. You can.

버튼(110)은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축(11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축(113)은 버튼(110)이 컨트롤 패널(50)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버튼 축(113)은 버튼 바디(112)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버튼 축(113)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축(113)은 버튼 바디(112)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축(113)은 버튼 장착부(56)의 축 지지부(57)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버튼 축(113)은 축 지지부(57)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utton 110 may include a button axis 113 extending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button axis 113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moves relative to the control panel 50. Button axis 113 may extend along the central axis of button body 112. The button shaft 113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button axis 113 may be located approximately at the center of the button body 112. The button shaft 113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button shaft 113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버튼(110)은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결합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110)이 컨트롤 패널(50)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 바디(112)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 바디(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button 110 may include a button coupling portion 114 extend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50.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be located around the button body 112. A plurality of button coupling portions 114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tton body 112.

버튼 결합부(114)는 대략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 축(113)이 축 지지부(57)에 결합되는 동안 변형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 축(113)이 축 지지부(57)에 장착된 때, 탄성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버튼(110)은 버튼 결합부(114)를 변형시킴에 따라, 컨트롤 패널(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장착된 때,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부 가이드(58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have a substantially hook shape.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include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be deformed while the button shaft 113 is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can be restored by elasticity when the button shaft 113 is mounted on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The button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50 by modifying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The button engaging portion 114 may be supported by the engaging portion guide 58a so that the button 110 does not separate fr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when the button 110 is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 장착부(56)의 결합부 가이드(58a)에 결합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가 결합부 가이드(58a)에 장착된 때,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따른 이동이 제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버튼(110)이 가압되는 방향에 따른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 결합부(114)는 결합부 가이드(58a)에 장착된 때, 결합부 가이드(58a)에 의해 전후 방향에 따른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When the button engaging portion 114 is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guide 58a, the button engaging portion 114 may be provided so that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separated fr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s restricted.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may be provided to enable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pressed. When the button engaging portion 114 is mounted on the engaging portion guide 58a, its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guided by the engaging portion guide 58a.

버튼(110)은 탄성체(119)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버튼(11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119)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 가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가이드(115)는 버튼(110)의 회전 축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의 탄성체(119)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탄성체 가이드(115)는 탄성체(119)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의 탄성체(119)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탄성체 가이드(115)는 버튼(110)의 반경 방향에 따른 탄성체(119)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탄성체 가이드(115)는 탄성체(115)의 외측에서 탄성체(119)를 지지할 수 있다.The button 110 may include an elastic guide 115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19 to prevent the elastic body 119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110 while the elastic body 119 is compressed or restored. The elastic body guide 115 may limit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119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utton 110. The elastic body guide 115 may restrict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119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body 119 is compressed or restored. The elastic body guide 115 may limit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119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110. The elastic body guide 115 may support the elastic body 119 on the outside of the elastic body 115.

버튼(110)은 개폐 장치(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 푸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110)이 컨트롤 패널(50)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축(113)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결합부(114)보다 버튼 바디(112)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바디(112)로부터 버튼 축(113)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개폐 장치(120)의 제1 전달 부재(121)를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110)이 이동함에 따라 개폐 장치(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The button 110 may include a button pusher 116 for oper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The button pusher 116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button pusher 116 may extend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moves relative to the control panel 50. The button pusher 116 may exten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utton axis 113. The button pusher 116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from the button body 112 than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The button pusher 116 may extend longer than the button axis 113 from the button body 112. The button pusher 116 may be provided to pres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The button pusher 116 can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as the button 110 moves.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장착부(56)의 푸시부 가이드(58b)에 결합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푸시부 가이드(58b)에 장착된 때, 푸시부 가이드(58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The button push portion 116 may be coupled to the push portion guide 58b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When the button push unit 116 is mounted on the push unit guide 58b, its movemen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guided by the push unit guide 58b.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축(113)으로부터 버튼 바디(112)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바디(112)의 둘레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바디(112)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버튼 결합부(114)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축(113)으로부터 버튼(1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이격 길이(L)만큼 이격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110)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버튼 푸시부(116)는 컨트롤 패널(50)에서 버튼 장착부(56)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적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button pusher 116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113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body 112. The button pusher 116 may be located around the button body 112. The button push portion 116 may be located between a plurality of button coupling portions 114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utton body 112. The button pusher 116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113 by a distance L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110. The button pusher 116 may be positioned eccentrically from the center of the button 110. The button pusher 116 may be provided to be applicable even if the position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in the control panel 50 is changed.

조리기기(1)는 버튼(110)을 컨트롤 패널(50)에 대하여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119)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19)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19)는 일 단부가 버튼(110)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119)는 일 단부와 반대되는 타 단부가 컨트롤 패널(50)의 버튼 장착부(56)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체(119)는 버튼(110)이 버튼 장착부(5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탄성체(119)는 버튼(110)이 컨트롤 패널(5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버튼(11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1 may include an elastic body 119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button 110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50. The elastic body 119 may include a spring. One end of the elastic body 119 may be supported by the button 110.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119, which is opposite to one end, may be suppor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of the control panel 50. The elastic body 119 may be provided to apply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separated fr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elastic body 119 may be provid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1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50.

도 9를 참조하면, 컨트롤 패널(50)은 버튼 장착부(56)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되는 축 지지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축 지지부(57)는 버튼(110)이 가압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버튼 축(113)을 지지할 수 있다. 축 지지부(57)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축(113)은 축 지지부(57)에 삽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control panel 50 may include a shaft support portion 57 provid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may support the button shaft 113 so that it can mov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pressed. The shaft support 57 may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button shaft 113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컨트롤 패널(50)의 축 지지부(57)는 탄성체(119)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컨트롤 패널(5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체(119)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축 지지부(57)는 버튼(110)의 회전 축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의 탄성체(119)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축 지지부(57)는 탄성체(119)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의 탄성체(119)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축 지지부(57)는 버튼(110)의 반경 방향에 따른 탄성체(119)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축 지지부(57)는 탄성체(115)의 내측에서 탄성체(119)를 지지할 수 있다.The shaft support portion 57 of the control panel 50 may be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119 to prevent the elastic body 119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50 while the elastic body 119 is compressed or restored.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may restrict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119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of the button 110.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may restrict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119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lastic body 119 is compressed or restored.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may restrict movement of the elastic body 119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110. The shaft support portion 57 may support the elastic body 119 on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115.

컨트롤 패널(50)은 버튼 장착부(56)의 대략 둘레 부분에 마련되는 결합부 가이드(58a)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 결합부(11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 결합부(114)의 전후 방향에 따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110)이 가압되는 방향을 따라 버튼 결합부(114)를 가이드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1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버튼 결합부(114)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110)의 선형 이동에 따른 버튼 결합부(114)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버튼(1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버튼 결합부(114)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50 may include a coupling guide 58a provided approximately around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may support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to be movable.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may guide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pressed.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may be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button 110.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110, and is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button 110. It can be.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 결합부(114)가 결합된 때, 버튼(110)이 컨트롤 패널(5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버튼 결합부(114)를 지지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의 개수는 버튼 결합부(114)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 가이드(58a)는 버튼 장착부(56)의 둘레 부분에서 버튼 장착부(56)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may support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so that the button 110 does not escape from the control panel 50 when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is coupled. The number of coupling portion guides 58a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button coupling portions 114. A plurality of engaging part guides 58a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tton mounting part 56 a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utton mounting part 56 .

컨트롤 패널(50)은 버튼 장착부(56)의 대략 둘레 부분에 마련되는 푸시부 가이드(58b)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 가이드(58b)는 버튼 푸시부(116)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푸시부 가이드(58b)는 버튼 푸시부(116)의 전후 방향에 따른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푸시부 가이드(58b)는 버튼(110)이 가압되는 방향을 따라 버튼 푸시부(116)를 가이드할 수 있다. 푸시부 가이드(58b)는 버튼(1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버튼 푸시부(116)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푸시부 가이드(58b)는 버튼(110)의 선형 이동에 따른 버튼 푸시부(116)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버튼(11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버튼 푸시부(116)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푸시부 가이드(58b)는 버튼 장착부(56)의 둘레 방향을 따라 결합부 가이드(58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control panel 50 may include a push part guide 58b provided approximately around the button mounting part 56. The push unit guide 58b may support the button push unit 116 to be movable. The push unit guide 58b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 unit 116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push unit guide 58b may guide the button push unit 116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110 is pressed. The pusher guide 58b may be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er 116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button 110. The push part guide 58b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 part 116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110, but is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 part 116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button 110. It can be. The push part guide 58b may be located between the engaging part guides 58a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utton mounting part 56.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에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과 버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버튼과 개폐 장치의 제1 전달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에 버튼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과 버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버튼과 개폐 장치의 제1 전달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buttons are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FIG. 11 shows a combined structure of the control panel and buttons shown in FIG. 10. FIG. 12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shown in FIG. 10 and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igure 13 shows a state in which buttons are mounted on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4 shows a combined structure of the control panel and buttons shown in FIG. 13. FIG. 1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tton shown in FIG. 13 and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110)이 다양한 디자인의 컨트롤 패널(50, 250)에 적용 가능한 예를 설명한다.10 to 15, an example in which the butt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control panels 50 and 250 of various designs will be described.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50)은 버튼 장착부(56)의 대략 중심부가 하단으로부터 제1 높이(h1)에 위치할 수 있다. 버튼(110)의 버튼 푸시부(116)는 제1 전달 부재(121)를 가압하는 부분이 컨트롤 패널(50)의 하단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 장치(120)의 제1 전달 부재(121)는 그 회전 축(121aa)이 버튼 푸시부(116)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거리(d2)는 제1 전달 부재(121)가 버튼 푸시부(116)에 의해 가압되며 회전할 수 있도록 버튼 푸시부(116)가 제1 전달 부재(121)에 가하는 토크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to 12 , in the control panel 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may be located at a first height h1 from the bottom. The button pusher 116 of the button 11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ortion that presse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rol panel 50 by a first distance d1.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may be arranged so that its rotation axis 121aa is spaced apart from the portion pressed by the button pusher 116 by a second distance d2. The second distance d2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orque applied by the button pusher 116 to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so that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s pressed by the button pusher 116 and rotates. It can be.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개폐 장치(120)의 제1 전달 부재(121)의 컨트롤 패널(250)에 대한 위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개폐 장치(120)의 제1 전달 부재(121)의 컨트롤 패널(50)에 대한 위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버튼 푸시부(116)의 제1 전달 부재(121)에 대한 위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버튼 푸시부(116)의 제1 전달 부재(121)에 대한 위치와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13 to 15, the posi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2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0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shown in FIGS. 10 to 12. It may be provid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control panel 50 (121). The position of the button pusher 116 shown in FIGS. 13 to 15 with respect to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s relative to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of the button pusher 116 shown in FIGS. 10 to 12. It can be arranged in the same location.

버튼(110)의 버튼 푸시부(116)는 제1 전달 부재(121)를 가압하는 부분이 컨트롤 패널(50)의 하단으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개폐 장치(120)의 제1 전달 부재(121)는 그 회전 축(121aa)이 버튼 푸시부(116)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으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utton pusher 116 of the button 11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portion that presse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control panel 50 by a first distance d1.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may be arranged so that its rotation axis 121aa is spaced apart from the portion pressed by the button pusher 116 by a second distance d2.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패널(250)은 버튼 장착부(256)의 대략 중심부가 하단으로부터 제2 높이(h2)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250)의 버튼 장착부(256)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50)의 버튼 장착부(56)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250)은 버튼 장착부(256)의 위치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50)의 버튼 장착부(56)의 위치와 상이하지만,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버튼(110)과 동일한 버튼(110)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3 to 15 , in the control panel 2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pproximate center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256 may be located at a second height h2 from the bott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256 of the control panel 250 shown in FIGS. 13 to 15 may be located lower tha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of the control panel 50 shown in FIGS. 10 to 12. The position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256 of the control panel 250 shown in FIGS. 13 to 15 is different from the position of the button mounting portion 56 of the control panel 50 shown in FIGS. 10 to 12. The same button 110 as the button 110 shown in FIG. 12 may be applied.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버튼(110)은 버튼 푸시부(116)를 회전 축으로 회전시킨 후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250)에 장착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1 전달 부재(121)의 컨트롤 패널(250)에 대한 위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1 전달 부재(121)의 컨트롤 패널(50)에 대한 위치와 동일하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버튼 푸시부(116)가 제1 전달 부재(121)를 가압하기 위한 위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버튼 푸시부(116)가 제1 전달 부재(121)를 가압하기 위한 위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버튼(11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버튼(110)과 비교하였을 때, 버튼 푸시부(116)의 위치를 유지하며, 노출부(111) 및/또는 버튼 바디(112)를 회전시킴에 따라,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버튼 장착부(256)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버튼(110)의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축(113)보다 컨트롤 패널(50)의 하단에 더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버튼(110)의 버튼 푸시부(116)는 버튼 축(113)보다 컨트롤 패널(50)의 하단에 더 멀게 위치할 수 있다.The button 110 shown in FIGS. 10 to 12 can be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250 shown in FIGS. 13 to 15 after rotating the button pusher 116 around the rotation axis. The posi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shown in FIGS. 13 to 15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250 i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shown in FIGS. 10 to 12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50. same. The position for the button pusher 116 shown in FIGS. 13 to 15 to pres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s the position at which the button pusher 116 shown in FIGS. 10 to 12 presse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121. It is the same as the position for pressurizing. Therefore,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13 to 15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button pusher 116 when compared to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10 to 12, and the exposed portion 111 and /Or by rotating the button body 112, it can be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256 shown in FIGS. 13 to 15. The button pusher 116 of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10 to 12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control panel 50 than the button axis 113. The button pusher 116 of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13 to 15 may be located farther from the bottom of the control panel 50 than the button axis 113.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버튼(110)은 버튼 바디(112)가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지며, 버튼 푸시부(116)가 버튼 축(113)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의 컨트롤 패널(50, 250)에 공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버튼(110)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50)에 장착되어 개폐 장치(12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50)과 상이한 디자인을 갖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250)에도 장착되어 개폐 장치(120)를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버튼(110)의 부품 운영비, 금형 투자비, 또는 설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조리기기(1)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In the button 110 of the cooking appliance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utton body 112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 button pusher 116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113 in the radial direction, It can be used in control panels (50, 250) of various designs.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7 and 8 can be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50 shown in FIGS. 10 and 12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and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S. 10 and 12 Since it can also be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250 shown in FIGS. 13 to 15, which has a different design from 50,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120, the component operating cost, mold investment cost, or design cost of the button 110 can be reduc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cooking appliance (1).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과 컨트롤 패널을 도시한다.16 shows buttons and a control pan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6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210)과 컨트롤 패널(350)을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버튼(2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버튼(110)의 노출부(111)와, 버튼 바디(112)와, 탄성체 가이드(115)와, 버튼 푸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350)은 도 9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50)의 푸시부 가이드(58b)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210)은 탄성체(119)에 의해 컨트롤 패널(350)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With reference to FIG. 16, the button 210 and control panel 3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button 210 shown in FIG. 16 includes an exposed portion 111, a button body 112, an elastic guide 115, and a button push portion 116 of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7 and 8. may include. The control panel 350 shown in FIG. 18 may include the push part guide 58b of the control panel 50 shown in FIG. 9. The button 210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control panel 350 by the elastic body 119.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210)은 버튼 축(213)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축(213)은 컨트롤 패널(350)의 축 지지부(357)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버튼 축(213)이 축 지지부(357)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버튼(210)은 컨트롤 패널(350)의 버튼 장착부(356)에 장착된 때, 선형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button 2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button axis 213. The button shaft 213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357 of the control panel 350. As the button shaft 213 is movably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357, the button 210 can move linearly when mounted on the button mounting portion 356 of the control panel 350.

버튼(210)은 버튼 축(213)의 단부에 마련되는 버튼 결합부(213a)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213a)는 대략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버튼 결합부(213a)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213a)는 버튼 축(213)이 축 지지부(357)에 결합되는 동안 변형될 수 있다. 버튼 결합부(213a)는 버튼 축(213)이 축 지지부(357)에 장착된 때, 탄성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버튼(210)은 버튼 결합부(213a)를 변형시킴에 따라, 컨트롤 패널(35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버튼 결합부(213a)는 버튼 축(213)이 축 지지부(357)에 장착된 때, 버튼(210)이 버튼 장착부(35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축 지지부(35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button 210 may include a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provided at an end of the button shaft 213. The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may have a substantially hook shape. The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may include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may be deformed while the button shaft 213 is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ortion 357. The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can be restored by elasticity when the button shaft 213 is mounted on the shaft support portion 357. The button 21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350 by deforming the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The button coupling portion 213a may be supported by the shaft support portion 357 so that the button 210 does not separate from the button mounting portion 356 when the button shaft 213 is mounted on the shaft support portion 357.

도 16에 도시된 버튼(21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버튼(110)의 버튼 결합부(114)가 버튼 회전축(113)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350)은 도 9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50)의 결합부 가이드(58a)가 생략될 수 있다.The button 210 shown in FIG. 16 may have the button coupling portion 114 of the button 110 shown in FIGS. 7 and 8 provided on the button rotation axis 113. The control panel 350 shown in FIG. 16 may omit the coupling portion guide 58a of the control panel 50 shown in FIG. 9.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1; 조리기기
50, 250, 350; 컨트롤 패널
56, 256, 356; 버튼 장착부
57, 257, 357; 축 지지부
58a, 258a; 결합부 가이드
58b, 258b; 푸시부 가이드
90; 제어부
100; 도어
106; 도어 래치
110; 버튼
111; 노출부
112; 버튼 바디
113, 213; 버튼 축
114; 버튼 결합부
115; 탄성체 가이드
116; 버튼 푸시부
119; 탄성체
120; 개폐 장치
130; 센서
One; Cooking equipment
50, 250, 350; control panel
56, 256, 356; Button mounting part
57, 257, 357; shaft support
58a, 258a; Joint guide
58b, 258b; Push part guide
90; control unit
100; door
106; door latch
110; button
111; exposed part
112; button body
113, 213; button axis
114; Button connection part
115; elastomer guide
116; button pusher
119; elastic body
120; switchgear
130; sensor

Claims (20)

조리실을 형성하며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때,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 및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원통 형상의 버튼 바디;
상기 버튼 바디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축; 및
상기 버튼 축으로부터 상기 버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버튼 푸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 main body forming a galley and including a control panel;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galley;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galley; and
It includes a button provid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control panel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button is,
Cylindrical button body;
a button axis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button body;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button push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body and provided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the button mo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푸시부는 상기 버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button push portion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utton axi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푸시부는 상기 버튼 바디로부터 상기 버튼 축보다 길게 연장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2,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button push unit extends from the button body longer than the butt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버튼 장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panel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button moun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butt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버튼 장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노출부로서,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상기 버튼 바디의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따른 단면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button is an exposed portion provided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button mounting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and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is the cross section of the button body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exposed portion that is provided to be sma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A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provid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moves away from the control pan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일 단부가 상기 버튼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버튼에 의해 지지되는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가 상기 컨트롤 패널에 의해 지지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6,
A cooking appliance wherein one end of the elastic body is supported by the button, and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supported by the button is supported by the control pane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버튼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button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elastic guide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 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지지부로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적어도 일 부분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6,
The control panel is a shaft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utton shaft is movably coupled, and includes a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to support at least a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ntrol panel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A cooking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의 이동에 따른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푸시부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rol panel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push unit guide provided to guide movement of the button push unit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butt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 가이드는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10,
The push unit guide is provided to interfere with movement of the button push unit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컨트롤 패널에 장착된 때,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지지되는 버튼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 패널은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결합부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butt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it includes a button coupling portion supported on the control panel so that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rol panel is restricted,
The control panel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coupling portion guide provided to guid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가이드는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12,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guide is provided to interfere with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축은 상기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에 장착된 때,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패널에 지지되는 버튼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utton axis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button coupling portion supported on the control panel so that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trol panel is restricted when the button is mounted on the control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래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버튼이 가압되는 동안 상기 버튼 푸시부에 의해 푸시됨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 전달 부재; 및
상기 제1 전달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며 상기 도어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전달 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paragraph 1,
It further includes a door latch movably provided on the door,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is,
a first transmission member provided to be rotatable as it is pushed by the button pusher while the button is pressed;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second transmission member that rotates as the first transmission member rotates and is provided to move the door latch.
조리실을 형성하며, 버튼 장착부가 마련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때, 상기 도어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장치; 및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버튼 장착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버튼 장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버튼 바디;
상기 버튼 장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상기 버튼 바디의 상기 버튼이 이동 가능한 방향에 따른 단면보다 작도록 마련되는 노출부;
상기 버튼 바디의 중심 축을 따라 연장되는 버튼 축; 및
상기 버튼 축으로부터 상기 버튼 바디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버튼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개폐 장치를 작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버튼 푸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 main body that forms a cooking compartment and is provided with a button mounting portion;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galley;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nfigured to lock or unlock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galley; and
It includes a button movably coupled to the button mounting portion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e button is,
a cylindrical button body disposed inside the button mounting portion;
an exposed portion provided to be positioned inside or outside the button mounting unit, and having a cross-s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is smaller than a cross-section of the button body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can move;
a button axis extending along the central axis of the button body; and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button push uni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utton axis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utton body and provided to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as the button mov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푸시부는 상기 버튼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버튼 축보다 길게 연장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16,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button push unit extends longer than the button axi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utton axi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튼은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버튼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외측에서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탄성체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버튼 축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 지지부로서, 상기 탄성체가 압축 또는 복원되는 동안 상기 본체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내측에서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16,
It further includes an elastic body provided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butt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separated from the control panel,
The button includes an elastic guide provided to support the elastic body on the outside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The main body is a shaft support portion to which the button shaft is movably coupled, and includes a shaft support portion provided to support the elastic body on the inside of the elastic body to prevent the elastic body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while the elastic body is compressed or restored. Cooking equipmen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버튼의 선형 이동에 따른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푸시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되는 푸시부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16,
The main body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 unit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and includes a push unit guide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push unit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본체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본체에 지지되는 버튼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버튼의 선형 이동에 따른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되, 상기 버튼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버튼 결합부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게 마련되는 결합부 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According to clause 16,
When the button is mounted on the main body, it includes a button coupling portion supported on the main body so that movem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is restricted,
The main body guides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button, and includes a coupling guide provided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coupling portion to limit rotation of the button.
KR1020220082156A 2022-05-18 2022-07-04 Cooking apparatus KR202301612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4508 WO2023224258A1 (en) 2022-05-18 2023-04-04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871 2022-05-18
KR20220060871 2022-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298A true KR20230161298A (en) 2023-11-27

Family

ID=8896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156A KR20230161298A (en) 2022-05-18 2022-07-04 Cook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29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8240B2 (en) Cooking appliance
EP3560288B1 (en) Cooking apparatus
KR100218957B1 (en) Microwave leakage protection apparatus for microwave oven
KR20180113810A (en) Home appliance
KR20230161298A (en) Cooking apparatus
KR20230142308A (en) Cooking apparatus
US7189950B2 (en) Electric oven
EP1571891A1 (en) Microwave oven with door latch assembly
KR20230139745A (en) Cooking apparatus
KR20230151419A (en) Cooking apparatus
KR20070103247A (en) Microwave oven
KR20230139746A (en) Cooking apparatus
KR102553498B1 (en) Cooking appliance
WO2023224258A1 (en) Cooking appliance
US20230345590A1 (en) Cooking apparatus
KR100516660B1 (en) Door interlock system of electric oven range
US11460194B2 (en) Cooking appliance
KR101623978B1 (en) Cooking appliance
KR101136605B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110705A1 (en) Latch and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CN220522349U (en) Cooking machine
KR20230139744A (en) Cooking apparatus
KR20220157051A (en) Cooking apparatus
KR20230139743A (en) Cooking apparatus
KR101283681B1 (en) Switch operation structure of micro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