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9746A - Cook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ook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9746A KR20230139746A KR1020220082153A KR20220082153A KR20230139746A KR 20230139746 A KR20230139746 A KR 20230139746A KR 1020220082153 A KR1020220082153 A KR 1020220082153A KR 20220082153 A KR20220082153 A KR 20220082153A KR 20230139746 A KR20230139746 A KR 202301397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interference
- latch
- cooking appliance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44 propag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7 th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05B6/6417—Door interlock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and related circ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 E05C19/063—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10—Hook fastenings; Fastenings in which a link engages a fixed hook-like membe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2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 E05C3/3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bolt being spring controlled in the form of a hook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 E05Y2400/322—Position control, detection or monitoring by using absolute position sens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34—Form stability
- E05Y2800/342—Deformable
- E05Y2800/344—Deformable elas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발명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More specifically, the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that includes a door that allows the cooking compartment to be opened and closed.
조리기기는 음식물과 같은 조리 대상을 가열하여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 조리 대상의 가열, 해동, 건조, 및 살균 등 조리와 관련된 여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로는, 예를 들어, 가스 오븐이나 전기 오븐 등과 같은 오븐(oven), 마이크로파 가열 장치(이하 전자 레인지, microwave), 가스 레인지, 전기 레인지,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Over The Range, OTR), 가스 그릴 또는 전기 그릴 등이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a device for cooking objects such as food by heating them, and is a device that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cooking, such as heating, defrosting, drying, and sterilizing the object. Such cooking appliances include, for example, ovens such as gas ovens or electric ovens, microwave heating devic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microwaves), gas ranges, electric ranges, and microwave ovens with hood (Over The Range, OTR). , gas grill or electric grill.
전자 레인지는 전자기파를 통해 음식물 속 물 분자의 배열을 교란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고, 오븐은 히터 등의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을 통해 음식물에 직접 열을 전달하거나 조리실 내부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A microwave oven is an appliance that cooks food using frictional heat generated by disrupting the arrangement of water molecules in food through electromagnetic waves. An oven directly transfers heat to food through a heat source such as a heater or heats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It is a device that cooks food by heating it.
조리실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조리기기가 작동하여 조리실 내부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이 데워지는 경우, 조리실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의 온도가 함께 올라갈 수 있다. 이 때, 도어를 개방한다면, 조리실 내부에 마련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사용자는 부상을 당할 수 있다.The galley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When the cooking appliance operates to warm the cooking objects contained within the cooking chamber, the temperature of the air provid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may also increase. At this time, if the door is opened, the user may be injured by the heated air provided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본 개시의 일 측면은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ith improved safety of use.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도어가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열리지 않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seek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hose door is not opened by a single movement.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는 락커,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를 간섭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cooking chamber,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 pivot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door, and the door as the pivot portion rotates. A locker including an interference part movable to a first position arranged to interfer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or a second position arranged to cancel the interferenc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art Includes guidance prepared to enable restrictions. The door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galley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n interference position in which opening of the door is restricted as the guide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art. .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door may be movabl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an open position that opens the cooking compartment.
상기 간섭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간섭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압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erence portion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that is pressurized and movable while the door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interference position or the closed position.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마련될 수 있다.The main body includes a control panel disposed adjacent to the door, and the guide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부는 상기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door includes a door handle that protrudes from the door, and the pivot portion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handle.
상기 피봇부는 상기 도어 핸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푸시 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vot portion may include a push surfac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handle.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피봇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erence par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ivot part so that it faces the first position.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erence portion may include a step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guide when the interferenc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에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부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When the interferenc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interference portion may protrude from one end of the pivot portion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ference portion can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상기 락커는 상기 피봇부의 상기 간섭부가 마련되는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에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로서,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er is a rotating shaft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one end where the interference part of the pivot part is provided, and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간섭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 가능하도록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guide may have a groove shap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ference portion.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간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interference portion when the door is in the interference position.
상기 피봇부는 상기 간섭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vot por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ference portion.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상기 제2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피봇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may include a limiting portion that limits rotation of the pivot portion so tha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osition is restricted when the interferenc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래치, 상기 도어 래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된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가열원을 제어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door latch movably provided on the door, a sensor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latch,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a heating sour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door is opened. Accordingly, when the door latch is separated from the senso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ating sourc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source is stopped.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조리실을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도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는 락커, 상기 컨트롤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를 간섭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n outer case, an inner cas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and forming a cooking chamber,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 door including a door handle, and a control disposed adjacent to the door. A panel, a pivot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door handle, and a pivot portion that can be moved to a first position to interfer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s the pivot portion rotates or to a second position to eliminate interferenc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 locker including an interference unit, and a guide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and provided to limi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unit when the interference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door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galley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n interference position in which opening of the door is restricted as the guide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art. .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 래치, 상기 도어 래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그네트론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래치와 상기 센서의 접촉이 해제된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마그네트론을 제어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door latch provided on the door, a sensor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latch,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a magnetr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act between the door latch and the sensor is released. When this occur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magnetron to stop operation of the magnetron.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간섭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이 하는 동안 가압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is movable to an open position where the galley is opened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interference part is pressed and moves while the door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interference position or the closed position. It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provided to enable this.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피봇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erence par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ivot part so that it faces the first position.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회전 샤프트를 중심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는 락커,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간섭부가 제1 위치로 향하도록 상기 피봇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를 간섭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forming a cooking chamber,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a pivot portion provided to rotate around a rotating shaft, and as the pivot portion rotates, it interferes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 locker including an interference part that can be moved to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to prevent opening of the door, and is arranged to restric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art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It includes a guide and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ivot portion so that the interference portion is directed to the first position. The door may be arranged to be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galley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n interference position in which opening of the door is restricted as the guide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art. .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 따른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도어가 두 가지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 위치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락을 포함함으로서,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door lock that allows the door to be in an open position by two or more operations, thereby improving safety of use.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도어 락의 간섭부가 제1 위치에서 도어의 이동을 간섭 가능하고, 제2 위치에서 도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도어가 하나의 동작이 아닌 간섭부의 위치를 이동 시키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하여, 도어가 하나의 동작에 의하여 열리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cooking appliance allows the interference part of the door lock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door in the first position and enables the movement of the door 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door does not perform a single movement, but rather the position of the interference part. By performing an additional moving action, the door does not open with a single action.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측을 도시하기 위하여 외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조리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가 열리는 중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가 더 열린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가열원은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와 컨트롤 패널을 이격시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에 락커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를 횡단면으로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락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락커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에 락커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삽입 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 패널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걸림 홈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및 도어와 인접한 구성을 횡단면으로 자른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락커의 간섭부가 제2 위치가 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 위치가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가이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가이드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2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삽입 홈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락커를 나타낸 분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some components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 with the outer case removed to show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3 being open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4 opened further.
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sourc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 based 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ens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S. 3 to 5.
FIG.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oor and control panel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spaced apart.
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locker attached to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FIG.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8 cut in cross sec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e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9.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e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10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er being coupled to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9.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ertion groov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2.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 panel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7 from another angle.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locking groov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ure 14.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and the configuration adjacent to the door.
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interference portion of the locke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6 is in the second posi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7 in the open position.
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7 being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Figure 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guide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guide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insertion groov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ure 2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locker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s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various changes, equivalents, or replacements of the embodiments.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ber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above items, unless the relevant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 Each of phrases such as “at least one of , B, or C” may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ny possible combination thereof.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구성요소들 중의 어느 구성요소를 포함한다.The term “and/or” includes any element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element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elements.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simply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may be used to distinguish such elements in other respects, such as importance or order) is not limited.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One (e.g. first) component is said to be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Where mentioned, it means that any of the components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s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본 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is document, but are not intended to include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or steps. ,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구성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뿐 아니라,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 결합, 지지 또는 접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this means not only when the components are 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in contact, but also when a third component This includes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coupled, supported, or contacted through.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component, this includes not only cases where a component is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but also cases where another component exists between the two components.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하측", 및 "전후 방향"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terms “up and down direction,” “bottom side,” and “front and back direction”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1)의 조리실(41)이 개방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준으로 후방, 좌우측 및 상하측을 정의하도록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the direction in which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조리기기(1)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the configuration of the
조리기기(1)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조리실(41)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프런트 패널(16), 리어 패널(18), 바텀 패널(15)과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10)는 본체(10)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 케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는 프런트 패널(16), 리어 패널(18), 바텀 패널(15)과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이 때, 외부 케이스(11) 및/또는 내부 케이스(40)을 통칭하여 하우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우징은 외부 케이스(11) 및/또는 내부 케이스(40)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내부 케이스(40)는 외부 케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조리실(41)을 형성할 수 있다.The
커버(12)는 프런트 패널(16)과 리어 패널(18)의 사시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12)는 사이드 패널(14)과 탑 패널(13)을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과 탑 패널(1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패널(14)과 탑 패널(13)을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The
조리기기(1)는 조리실(41)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케이스(40)는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 케이스(40)는 외부 케이스(1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40)는 일 측이 개방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10)와 내부 케이스(40)의 사이에는 전장실(5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조리 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한 가열원(5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가열원(51)은 조리실(41)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고주파를 생성시키도록 마련되는 마그네트론(52)과 마그네트론(52)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 트랜스(53) 및/또는 고압 콘덴서(54)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론(52), 고압 트랜스(53) 및/또는 고압 콘덴서(54)는 전장실(50)에 위치할 수 있다. The
조리기기(1)는 전장실(50)의 내부의 구성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팬(55)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 팬(55)은 전장실(50)에 위치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조리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해 조리실(41)의 내부에 배치되는 트레이(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마그네트론(52)으로부터 방사되는 고주파를 조리실(41)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조리 대상물이 트레이(42)에 수용된 상태에서, 조리실(41)의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함에 따라,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조리실(41)의 내부로 고주파를 방사할 때, 트레이(42)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 배열이 반복 변환되며 발생하는 분자들 간의 마찰열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조리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조리실(41)을 개폐하기 위해 본체(10)의 프런트 패널(16)에 결합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도어 핸들(9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는 조리실(41)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20)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20)는 적어도 일 부분이 조리실(41)의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32) 및/또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를 포함하는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본체(10)의 프런트 패널(16)에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28)가 위치하는 프런트 패널(16)의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본체(10)에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도 3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측을 도시하기 위하여 외부 케이스를 제거하고 조리기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가 열리는 중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가 더 열린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 with the outer case removed to show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도어(20)의 개방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 opening of the
조리기기는 도어 핸들(90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20)는 도어 핸들(9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조리기기는 도어(20)가 조리실을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도어(2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 핸들(90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조리기기는 도어(2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 래치(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핸들(900)은 도어 래치(73)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도어 래치(73)는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래치(73)의 끝 단은 상방 또는 방을 향하여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후크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도어(20)는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조리실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도어(2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도어 래치(73)는 본 체의 내측으로 이동 할 수 있다.When the
외부 케이스에는 도어 래치(7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 개구(17)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 개구(17)는 도어 래치(73)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래치(73)는 삽입 개구(17)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어(20)는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The outer case may be provided with an
외부 케이스의 후방에 센서(76)를 수용하는 케이스가 결합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센서(76)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케이스는 도어 래치(7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에 후크 개구(7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후크 개구(75)는 삽입 개구(17)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 case accommodating the sensor 76 may be coupled to the rear of the external case. The
센서(76)는 도어 래치(73)의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에 보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76)는 도어 래치(73)의 움직임에 따라 도어(2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에 보낼 수 있다.The sensor 76 may send a signal regarding the movement of the
센서(76)는 도어 래치(73)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센서(76)는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래치(73)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신호를 감지하는 부분과 접촉 가능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이격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는 도어 래치(73)와 이격되는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는 도어(20)의 개방을 감지 할 수 있다.The sensor 76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제어부는 센서(76)가 보내는 도어(20)의 개방을 알리는 신호에 기초하여, 가열원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source based on the signal notifying the opening of the
조리기기(1)는 도어(2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래치(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도어 래치(73)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서(77)을 포함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센서(7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제어부(7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원(51)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원(51)은 마그네트론(52)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도어 래치(73)가 센서(77)로부터 이격된 때, 제어부(75)는 가열원(5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가열원(51)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가열원(51)이 작동 중인 채로 조리실(41)이 개방되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if the
특히 가열원(51)이 마그네트론(52)인 경우에, 고주파가 사용자에게 전파되면, 사용자는 큰 위험을 당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20)의 개방과 대략 동시에 마그네트론(52)의 작동이 멈출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heating source 51 is a
도어 래치(73)가 삽입되면 그와 접촉되는 위치에 센서(76)가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센서(76)는 도어 래치(73)의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Sensor 76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도어 래치(73)의 후방에 센서(76)가 위치되려면, 센서(76)를 수용하는 케이스는 후방을 향하여 불필요하게 커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76)는 도어 래치(7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If the sensor 76 is to be located behind the
이 경우, 도어 래치(73)에 의하여 센서(76)가 작동하기 위하여, 조리기기는 전달 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sensor 76 to operate by the
전달 부재(61)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전달 부재(61)는 프런트 패널(1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전달 부재(61)는 도어 래치(73)가 삽입됨에 따라 도어 래치(73)에 의하여 하방으로 가압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전달 부재(61)가 회전됨에 따라 전달 부재(61)는 센서(76)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센서(76)는 전달 부재(61)의 이동을 감지 할 수 있다. 센서(76)가 전달 부재(61)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센서(76)가 보낸 신호를 기초로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위치됨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기초로 제어부는 마그네트론을 작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사용자는 도어 핸들(900)을 파지하여 도어(2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 핸들(900)을 파지하여 도어(20)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도어 래치(73)도 함께 이동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the
도어 래치(73)가 삽입 개구(17) 및/또는 후크 개구(75)로 수용됨에 따라, 도어 래치(73)는 본체(1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외부 케이스(1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외부 케이스(11)와 내부 케이스(4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외부 케이스(11)의 후방에 배치되는 케이스(74)의 내측으로 삽입 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케이스(74)의 내부에 배치되는 센서(77)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후방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As the
도어 래치(73)는 후술하는 래치 가이드(76)를 따라 후방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를 따라 이동하다가, 래치 가이드(76)의 단 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도어 래치(73)가 래치 가이드(76)의 단 부까지 이동되면,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에서 단차를 두고 이동할 수 있다. The
도어 래치(73)는 전달 부재(61)를 가압할 수 있다. The
전달 부재(6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달 부재(61)는 외부 케이스(11)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달 부재(61)는 케이스(74)에 피봇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도어(20)의 개방 또는 폐쇄에 따른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20)가 조리실(41)을 개방시키는 개방 위치에서 조리실(41)을 폐쇄시키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도어 래치(73)는 후방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케이스(74)의 내측에 배치된 센서(77)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기 때문에, 센서(77)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서 도어 래치(73)와 접촉하기 위하여, 도어9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래치(73)의 후방 단부가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센서(77)가 이러한 배치를 가지는 경우, 케이스(74)는 센서(77)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케이스(74)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센서(77)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어 래치(73)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센서(77)의 위치가 도어 래치(73)가 움직이는 경로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센서(77)는 도어 래치(73)가 움직임에 따라 이동되는 전달 부재(61)에 의하여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To reduce the size of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73)가 본체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도어 래치(73)에 접촉하여, 전달 부재(61)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전달 부재(61)가 하방을 향하여 회전할 때, 전달 부재(61)는 센서(77)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 전달 부재(61)는 센서(77)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센서(77)는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도어 래치(73)는 전달 부재(61)를 가압함에 따라, 전달 부재(61)를 센서(77)와 가까워 지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면(73')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면(73')은 후술하는 후크부(73n)의 전면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면(73')은 하방으로 가까워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래치는 도어(20)의 내측에 수용되는 키 도어(7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atch may include a
키 도어(71)는 도어(20) 내측에 수용되도록 배치되는 래치 바디(72) 및/또는 래치 바디(72)에서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도어 래치(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래치는 프런트 패널(16)에 결합되고, 도어 래치(73)가 수용 가능한 케이스(74)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tch is coupled to the
래치는 전달 부재(61)를 포함할 수 있다.The latch may include a
래치는 케이스(74)의 내측에 수용되는 센서(7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77)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77)는 제어부(56), 고압 트랜스(53) 또는 고압 콘덴서(5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센서(77)는 도어 래치(73)의 움직임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77)는 도어 래치(73)의 움직임에 따라, 도어(2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56)에 보낼 수 있다.The latch may include a
프런트 패널(16)에는 도어 래치(73)에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 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개구(17)는 도어 래치(73)가 관통할 수 있다. 삽입 개구(17)는 도어 래치(73)의 후단측의 단면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개구(17)는 도어 래치(73)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삽입 개구(17)는 도어 래치(73)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An
케이스(74)에는 삽입 개구(17)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후크 개구(75)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개구(75)는 도어 래치(73)가 관통할 수 있다. 후크 개구(75)는 도어 래치(73)의 후단측의 단면보다 더 큰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크 개구(75)는 도어 래치(73)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후크 개구(75)는 도어 래치(73)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A
도어 래치(73)는 삽입 개구(17) 및/또는 후크 개구(75)를 관통하여 케이스(74) 내측에 위치한 센서(77)와 접촉할 수 있다. 센서(77)는 도어 래치(73)과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도어 래치(73)와 센서(77)의 접촉이 해제된 때, 제어부(56)는 가열원(5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가열원(51)을 제어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끝 단에 하방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예로 드는 버튼(33) 방식에 의하여 도어(20)가 개방되는 타입의 조리기기(1)에서는 도어 래치(73)의 끝 단의 절곡되는 형상의 후면이 도어 래치(73)가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e type of cooking appliance (1)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by the button (33) method as an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rear end of the door latch (73) with a bent shape is the door latch (73). It may have a shap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extending toward the rear of (20).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이 버튼(33)에 의하여 도어(20)가 개방되는 타입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핸들을 잡아당김에 의하여 도어(20)가 개방되는 타입의 경우에는 도어 래치(73)의 끝 단의 절곡되는 형상의 후면이 도어 래치(73)가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과 실질적으로 둔각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does not apply only to the type in which the
케이스(74)는 후크 개구(75)의 후측 하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래치 가이드(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는 후크 개구(75)의 후측 하방에 후방으로 갈 수록 상향 경사지는 래치 가이드(7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latch guide 76 below the rear of the hook opening 75 that slopes upward toward the rear.
래치 가이드(76)는 도어(20)가 폐쇄 위치 일 때, 도어 래치(72)를 향하여 배치되는 래치 면(76')을 가질 수 있다. 래치 면(76')은 도어(20)가 폐쇄 위치일 때, 도어 래치(73)의 지지부(73m)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latch guide 76 may have a latch surface 76' disposed toward the door latch 72 when the
래치 가이드(76)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 래치 면(76')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래치 면(76')은 전방을 항하여 점차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latch guide 76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he latch surface 76'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he latch surface 76' may be formed to gradually slope downward toward the front.
조리기기는 도어(20)의 개폐와 상호 작용하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는 도어(20)의 개방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20)의 개방을 잠근다는 것은 도어(20)를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2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와, 사용자의 의도 포함되지 않은 외란이 발생함에 의하여 도어(20)가 쉽게 열리지 않게 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 latch that interacts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와 도어(20)를 연결 할 수 있다. 탄성 부재(78)의 일 단은 도어 래치(73)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78)의 일 단과 반대 위치에 마련되는 타단은 도어(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탄성 부재(78)는 압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78)에 의하여 도어(20)는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를 움직인다고 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일부는 도어(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도어(20)는 도어 래치(73)가 관통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 개구(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20)에는 래치 개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래치 개구(20')는 도어 래치(7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래치 개구(2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래치 개구(20')에 의하여 이동 범위가 제한 될 수 있다. 래치 개구(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래치 개구(20')의 상단과 하단에 의하여 이동 범위가 제한 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래치 개구(20')의 상단과 접하여 상측으로의 이동이 간섭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래치 개구(20')의 하단과 접하여 하측으로의 이동이 간섭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에서 도어(20)에 수용되는 일부에 탄성 부재(78)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78)는 도어(20)의 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와 도어 래치(73)의 하방에 위치하는 도어(20)와 결합되므로, 도어 래치(73)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탄성력을 도어 래치(73)에 제공할 수 있다.An
도어 래치(73)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치 가이드(76)를 넘어 이동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73)의 후크부(73n)에 형성되는 접촉 면(73'')은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치 가이드(76)의 단 부를 넘어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하방을 향하여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도어(20)가 폐쇄 위치일 때, 후크부(73n)의 하단은 래치 가이드(76)의 끝 단보다 하방에 위치 될 수 있다.Since the
도어(20)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후크부(73n)의 접촉 면(73'')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래치 가이드(76)의 단 부에 접촉될 수 있다. When the
후크부(73n)의 접촉 면(73'')은 지지부(73m)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73m)는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면(73'')은 도어(20)의 후방을 향하는 각도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The contact surface 73'' of the
소정의 각도는 수직이 아닐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후크부(73n)의 접촉 면(73'')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래치 가이드(76)가 후크부(73n)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ngle may not be vertical.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ngle that prevents the latch guide 76 from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후크부(73n)의 하단이 래치 가이드(76)의 단부보다 상방으로 이동되고, 도어(20)가 개방되어 도어 래치(73)가 전방으로 이동 될 수 있다. 그 후 후크부(73n)의 하단이 래치 가이드(76)와 접촉되어, 도어 래치(73)는 이동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 래치(73)는 하단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The lower end of the
도어 래치(73)는 후크 개구(75) 및/또는 삽입 개구(17)를 통과하여 본체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어(20)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The
래치는 키 도어(71)를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래치 바디(72)와 도어(20)의 사이에서 래치 바디(72)와 도어(20)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어 래치(73)의 하방 끝 단은 래치 가이드(76)를 넘어 이동 할 수 없다.The latch may include an
전달 부재(61)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는 도어 래치(73)는 개폐 장치(60)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 래치(73)가 래치 가이드(76)의 끝 단을 넘어 이동하면,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이 경우,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므로, 래치 가이드(76)를 따라서 도어 래치(73)는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래치 가이드(76)는 삽입 개구(17)로부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atch guide 76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와 접촉하며 이동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도어(20)로부터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73m)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지지부(73m)에서 절곡되어 후크의 형상을 형성하는 후크부(73n)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73n)는 지지부(73m)에서 연장되어 상방 또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후크는 하방을 향하여 연장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The
후크는 도어(20)의 후방을 바라보는 접촉 면(73'')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may include a contact surface 73'' facing the rear of the
도어(20)가 폐쇄 위치일 때,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와 접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73)는 래치 가이드(76)의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도어(20)가 폐쇄 위치 일 때, 래치 가이드(76)의 단부는 도어 래치(73)의 지지부(73m)와 접촉 할 수 있다. 래치 가이드(76) 단부는 도어 래치(73)의 지지부(73m)와 후크부(73n)와 동시에 접촉 할 수 있다.When
조리기기는 도어 래치(73)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 부재(78)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만, 탄성 부재(78)가 도어 래치(7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은 도어 래치(73)의 후크부(73n)의 절곡 방향과 래치 가이드(76)의 경사 방향에 따라 설정되는 것일 뿐, 후크부(73n)의 절곡 방향과 래치 가이드(76)의 경사 방향이 달라진다면, 이에 대응하여 탄성 부재(78)가 도어 래치(73)를 가압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The cooking appliance may include an
조리기기(1)는 도어(20)의 개폐와 상호 작용하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는 도어(20)의 개방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20)의 개방을 잠근다는 것은 도어(20)를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20)가 움직이지 못하게 한다는 의미와, 사용자의 의도 포함되지 않은 외란이 발생함에 의하여 도어(20)가 쉽게 열리지 않게 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The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와 도어(20)를 연결 할 수 있다. 탄성 부재(78)의 일 단은 도어 래치(73)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78)의 일 단과 반대 위치에 마련되는 타단은 도어(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탄성 부재(78)는 압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78)에 의하여 도어(20)는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를 움직인다고 할 수 있다.The
도어 래치(73)는 일부는 도어(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가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도어 래치(73)에서 도어(20)에 수용되는 일부에 탄성 부재(78)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78)는 도어(20)의 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78)는 도어 래치(73)와 도어 래치(73)의 하방에 위치하는 도어(20)와 결합되므로, 도어 래치(73)를 하방으로 향하게 하는 탄성력을 도어 래치(73)에 제공할 수 있다.An
도어 래치(73)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치 가이드(76)를 넘어 이동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래치(73)의 후크부(73n)에 형성되는 접촉 면(73'')은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래치 가이드(76)의 단 부를 넘어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도어 래치(73)는 하방을 향하여 탄성력을 받고 있으므로, 도어(20)가 폐쇄 위치일 때, 후크부(73n)의 하단은 래치 가이드(76)의 끝 단보다 하방에 위치 될 수 있다.Since the
도어(20)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되면, 후크부(73n)의 접촉 면(73'')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래치 가이드(76)의 단 부에 접촉될 수 있다. When the
후크부(73n)의 접촉 면(73'')은 지지부(73m)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73m)는 도어(20)의 후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면(73'')은 도어(20)의 후방을 향하는 각도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The contact surface 73'' of the
소정의 각도는 수직이 아닐 수 있다. 소정의 각도는 후크부(73n)의 접촉 면(73'')이 전방으로 이동될 때, 래치 가이드(76)가 후크부(73n)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방지하는 각도일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ngle may not be vertical.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ngle that prevents the latch guide 76 from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도어 핸들(900)을 조작함에 의하여, 도어(20)가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움직일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후크부(73n)의 하단이 래치 가이드(76)의 단부보다 상방으로 이동되고, 도어(20)가 개방되어 도어 래치(73)가 전방으로 이동 될 수 있다. 그 후 후크부(73n)의 하단이 래치 가이드(76)와 접촉되어, 도어 래치(73)는 이동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 래치(73)는 하단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The lower end of the
래치는 키 도어(71)를 하방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래치 바디(72)와 도어(20)의 사이에서 래치 바디(72)와 도어(20)를 연결하는 탄성 부재(7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어 래치(73)의 하방 끝 단은 래치 가이드(76)를 넘어 이동 할 수 없다.The latch may include an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센서(76)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가열원은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 제어 블록도이다.FIG. 6 shows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source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센서(76)에 의한 제어부의 제어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6, control of the control unit by the sensor 76 will be described.
조리기기(1)는 센서(77)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77)는 제1 센서(77a) 및/또는 제2 센서(7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77a)는 전달 부재(61)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센서(77b)는 도어 래치(73)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센서(77a)는 전달 부재(61)가 회전함에 따라 전달 부재(61)와 접촉이 해제되며 이격될 때, 가열원(51)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56)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센서(77b)는 도어 래치(73)가 이동함에 따라 도어 래치(73)와 접촉이 해제되며 이격될 때, 가열원(51)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56)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6)는 고압 트랜스(53) 및/또는 고압 콘덴서(54)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즉, 조리기기(1)는 도어 래치(73)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서(77), 센서(7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56), 제어부(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원(51)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장치(60)가 작동됨에 따라 도어 래치(73)가 센서(77)로부터 이격된 때, 제어부(56)는 가열원(51)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가열원(51)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앞서에서 설명한 조리기기(1)는 작동하면, 조리실(41)에 수용되는 조리 대상물이 가열된다. 조리 대상물이 가열되면, 이에 의하여, 조리실(41)에 수용되는 공기가 뜨거워진다. 조리실(41)의 공기가 가열된 채로 도어(20)를 개방하게 되면, 뜨거운 공기가 사용자를 향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부상을 입을 수 있다.Wh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20)를 두 가지 동작에 의하여 개방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20)를 가지 동작에 의하여 개방하기 위하여, 조리기기는 도어 락(100)을 포함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도어 락(100)은 도어(20)의 개방을 간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어 락(100)은 도어(20)의 개방을 간섭 또는 간섭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어 락(100)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와 컨트롤 패널(30)을 이격시켜 도시한 분해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도 7을 참조하여, 조리기기(1)의 전방 측에 마련된 구성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7, the configuration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조리기기의 전방 측에는 도어(20), 프런트 패널(16), 컨트롤 패널(30), 도어 락(100)이 포함하는 락커(200)가 마련될 수 있다. A
프런트 패널(16)은 조리기기(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패널(16)은 외부 케이스(11)의 전방에 마련되어, 외부 케이스(11)의 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는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하므로, 프런트 패널(16)은 본체(10)의 전방 외관을 형성 할 수 있다.The
도어(20)는 프런트 패널(16)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20)는 프런트 패널(16)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어(20)와 프런트 패널(16)은 힌지(28)에 의하여 피봇 결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도어(20)는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20)의 높이는 프런트 패널(16)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는 프런트 패널(16)의 전방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The
도어(20)의 측면은 평면을 가질 수 있다.The side of the
컨트롤 패널(30)은 프런트 패널(16)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와 마주보는 락킹 면(36)(도 13)을 포함할 수 있다. 락킹 면(36)에 관하여는 관련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서술한다.The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가 배치되는 프런트 패널(16)의 좌측 또는 우측 중 도어(20)가 배치되는 않은 우측 또는 좌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와 함께 프런트 패널(16)의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The
프런트 패널(16)은 컨트롤 패널(30)이 결합되는 위치에 전후 방향으로 개방된 컨트롤 개구(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앞서 언급하였듯, 프런트 패널(16)의 후방으로 전장실(50)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50)에 배치되는 전장품은 컨트롤 패널(30)과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전장실(50)에 배치된 전장품과 더 짧은 도선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전장실(5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As mentioned earlier, the
이를 위하여, 프런트 패널(16)은 컨트롤 패널(30)이 결합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전장실(50)에 배치된 전장품과 연결될 수 있도록 도선이 통과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내부 케이스(40)의 내부는 조리실(41)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전장실(50)은 내부 케이스(4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는 본체(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장실(50)은 외부 케이스(11)와 내부 케이스(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 케이스(40)의 측방과 외부 케이스(11)의 사이에 전장실(50)이 생길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컨트롤 패널(30)은 프런트 패널(16)의 좌측 또는 우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Since the
컨트롤 패널(3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앞서 살펴보았듯, 조리기기(1)가 작동되는 경우, 조리실(41) 내측에 위치되는 조리 대상물이 가열될 수 있다. 조리 대상물이 가열되는 경우, 조리실(41) 내측에 위치되는 공기는 조리 대상물과 함께 가열되거나, 조리 대상물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즉, 조리기기(1)가 작동하는 경우, 조리실(41) 내측의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조리실(41) 내측의 공기가 가열되었을 때, 도어(20)를 개방하는 경우, 가열된 공기가 사용자를 향하여 흐를 수 있다. 사용자는 가열된 공기에 의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다.As seen above, wh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20)를 두 가지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it may be necessary to open the
이를 위하여, 조리기기(1)는 도어 락(100)을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도어 락(100)은 도어(20)의 이동을 간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어(20)는 조리실(41)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에서, 도어 락(100)에 의하여 간섭되는 간섭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The
간섭 위치는 도어(20)가 도어 락(100)에 의하여 간섭되는 위치이기도 하면서, 도어(20)가 조리실(41)을 전면에 개방되지 않은 상태로 개방된 위치일 수 있다. 간섭 위치는 도어(20)가 개방 된 위치 중에 특정한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간섭 위치는 도어(20)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닐 수 있다. The interference position may be a position where the
도어(20)가 간섭 위치로 이동하면, 조리실(41)에 내부의 가열된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대신에 조리실(41)이 완전히 개방된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는 조리실(41)에 수용된 조리 대상물을 외부로 꺼낼 수 없다.When the
도어(20)가 간섭 위치에 있다면, 도어 락(100)의 도어(20) 간섭을 해제함으로써, 도어(20)는 개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개방 위치는 조리실(41)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개방 위치는 조리실(41)의 전방이 개방된 상태의 개방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If the
도어(20)가 간섭 위치에서 도어 락(100)의 도어(20) 간섭을 해제하는 동안에, 조리실(41)의 뜨거운 열기가 조리기기(1)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 대상물의 조리 이후에 도어(20)를 개방 위치로 위치시키더라도, 조리실(41) 내의 뜨거운 공기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While the
이 때, 도어 락(100)은 도어(20)를 폐쇄 위치와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도어(20)를 간섭하는 제1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도어 락(100)은 도어(20)를 간섭 위치에서 도어 락(100)과의 간섭이 해제되도록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제2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락(100)이 포함하는 락커(200)의 간섭부(21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관련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후술한다.More specifically, the
도어 락(100)은 도어(20) 또는 컨트롤 패널(3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락커(200)와 도어(20) 또는 컨트롤 패널(30) 중 어느 하나가 아닌 다른 하나에 결합하고, 이와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300)(도 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락커(200)는 도어(2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컨트롤 패널(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300)는 도어(20)와 마주보는 컨트롤 패널(30)에 결합될 수도 있고, 컨트롤 패널(30)과 마주보는 도어(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락커(200)와 가이드(300)는 서로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면 족할 뿐, 이들의 결합 위치는 특정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나아가, 본체(10)가 포함하는 구성 중에서 컨트롤 패널(30)이 아닌 도어(20)와 인접하여 마련되는 상대물이 있다면, 이에 락커(200) 또는 가이드(300)가 마련될 수 있다.The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커(200)가 도어(20)에 결합된 것을 기초로 이하 설명한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made on the basis that the
다시 말하면, 조리기기(1)는 도어(20)를 두 가지 동작에 의하여 개방하기 위하여, 도어(20)와 컨트롤 패널(30)의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20)에 결합되는 락커(200)를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락커(200)는 가이드(300)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300)는 락커(200)가 걸림으로서 도어(20)가 완전히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락커(200)는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도어(20)가 완전히 열리도록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도어(20)를 완전히 개방하기 위하여, 락커(200)를 조작하는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하는 데 두 가지 이상의 동작이 필요할 수 있다.When the
도어 락(100)은 본체(10) 또는 도어(20)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락커(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00) 본체(10) 또는 도어(20) 중 락커(200)가 결합된 어느 하나가 아닌 다른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락커(200)가 도어(20)에 마련되고, 가이드(300)가 본체(10)에 마련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한다.The
이 때, 도어(20)는 개방이 되는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어(20)가 개방되는 위치를 개방 위치라고 할 수 있다. 개방 위치는 도어(20)가 락커(200)와 가이드(300)에 의하여 개방이 간섭받는 간섭 위치 및/또는 도어(20)가 간섭부(210)의 간섭을 해제하고 간섭 위치보다 더 개방되는 개방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락커(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제1 위치는 도어(20)의 움직임을 간섭 가능한 위치이다. 제2 위치는 도어(20)의 움직임을 허락할 수 있는 위치이다. 락커(200)는 형상이 변화하여 위치를 달리 가짐으로써, 가이드(300)와의 상호 작용을 달리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에 관하여, 관련된 도면이 언급될 때, 자세히 후술한다.The
참고적으로, 락커(200)는 도어(2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락커(200)가 도어(20)의 측면 높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어(20) 측면 높이의 중심보다 더 높게 위치하거나, 도어(20) 측면 높이의 중심보다 더 낮게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락커(200)가 도어(20)의 측면 높이의 중심에 위치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20)의 심미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편하게 닿는 위치에 락커(200)가 마련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나아가, 락커(200)는 도어(20)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락커(200)와 상호 작용하는 가이드(300)는 본체(10) 상단 또는 하단에 위치하여, 락커(200)와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락커(200)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락커(200)에 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Let’s take a closer look at the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에 락커(200)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도 8을 참조하여, 락커(200)와 락커(200)가 결합된 도어(20)에 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 a
도어(20)는 도어 바디(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21)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바디(21)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일 때, 조리실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어(20)는 도어 바디(21)에서 도어 바디(21)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도어 바디(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핸들(9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외부에 내측을 향하도록 오목하게 파지 홈(901)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어 핸들(900)은 도어 바디(21)의 엣지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도어 바디(21)는 본체와 힌지(28)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힌지(28)는 도어(20)의 엣지에 형성될 수 있다. 본체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힌지(28)는 본체의 엣지와 도어 바디(21)의 엣지를 연결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he
도어 핸들(900)은 도어 바디(21)가 엣지와 결합되는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다시 말하면, 도어 핸들(900)은 컨트롤 패널(30)과 인접한 도어 바디(21)의 일 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도어 바디(21)는 컨트롤 패널(30)을 향하여 위치하는 측에 도어 바디(21)의 일 면을 커버하도록 도어 바디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어 핸들(900)은 도어 바디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어 바디 커버(23)는 도어 핸들(900)와 도어 바디(21)를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본체(10)는 도어(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00)는 컨트롤 패널(30)에 마련될 수 있다.The
도어 바디 커버(23)가 도어 핸들(900)을 커버할 때, 파지 홈(901)은 도어 바디 커버(23)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door body cover 23 covers the
도어 바디 커버(23)는 도어 바디(21)의 내 측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 바디(21)의 일 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락커(200)의 적어도 일부는 도어(2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락커(200)는 적어도 일부가 도어 바디 커버(23)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락커(200)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어 핸들(900)의 컨트롤 패널(30)을 향하는 방향으로 노출되는 푸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도어 핸들(9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푸시 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푸시부(221)는 외부로 노출되는 푸시 면(221')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 핸들(90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어 핸들(900)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고 할 때, 푸시 면(221')은 도어 핸들(900)의 일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 핸들(900)의 미감이 상승할 수 있다.The
더욱 상세하게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일 때, 푸시 면(221')은 도어 핸들(900)의 일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락커(200)는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락커(200)의 특정 시점에만, 푸시 면(221')과 도어 핸들(900)은 일체로 형성되는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락커(200)는 도어(20)의 일 측에서 관통하여 돌출되는 간섭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2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개방을 간섭할 수 있다.The
도어 바디 커버(23)는 푸시부(221)를 도어(2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 커버(23)는 간섭부(210)를 도어(20)의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락커(200)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본다.Let's look at the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를 횡단면으로 자른 것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FIG. 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9를 참조하여, 락커(200)가 결합된 도어(20)에 관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9, the
락커(200)는 도어(20)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간섭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210)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간섭부(21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도어 락(100)은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컨트롤 패널(30)의 도어(20)를 마주보는 일 면에 배치되는 가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00)는 간섭부(210)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20)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조리실(41)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가이드(300)가 간섭부(210)를 간섭함에 따라 도어(20)의 개방에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도어(20)는 간섭부(2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와 조리실(41)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The
간섭부(210)는 가이드(300)에 간섭됨으로써, 도어(20)의 개방을 간섭할 수 있다. 간섭부(210)는 도어(2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간섭부(210)의 이동이 저지되면 도어(20)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락커(200)는 도어(2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부(220)는 도어 핸들(9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도어(20)는 도어(20)로부터 돌출되는 도어 핸들(9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도어 핸들(9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락커는 피봇부(220)가 회전함에 따라 도어(20)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도어(20)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er includes an
락커(200)는 간섭부(210)를 지지하도록 피봇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부(220)는 도어(20)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피봇부(220)는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 피봇부(220)는 도어 핸들(90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피봇부(220)는 도어 핸들(90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피봇부(220)를 컨트롤 패널(30)을 항하여 탄성력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탄성체(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탄성체(400)는 피봇부(220)와 도어 핸들(9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탄성체(400)는 피봇부(220)와 도어 핸들(900)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400)는 피봇부(220)를 도어 핸들(900)의 외측을 향하여 탄성 바이어스 시킬 수 있다.The
조리기기(1)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를 향하도록 피봇부(220)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78)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20)의 전방측에는 도어(2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프런트 커버(22)가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바디 커버(23)의 전방에 도어 프런트 커버(22)가 마련될 수 있다.A
도어(20)는 도어(20)의 전방과 컨트롤 패널(30)을 향하는 도어(20)의 측방 방향의 코너에 도어(20)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도어 바디 지지부(24)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바디 지지부(24)는 도어 바디 커버(23)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체결 부재(900)는 도어 바디 지지부(24)를 관통하여 도어(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이하에서 락커(2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elow, the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락커(2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10을 참조하여, 락커(200)의 일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0 , a portion of the
락커(200)는 피봇부(220) 및/또는 피봇부(220)로부터 돌출되는 간섭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간섭부(210)는 피봇부(220)의 전방 또는 후방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간섭부(210)는 피봇부(220)의 외측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간섭부(210)의 일 측에는 가이드(300)와 접촉 가능한 단차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210)는 제1 위치에 있을 때, 가이드(300)에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 가능하도록 피봇부(220)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단차부(212)는 간섭부(210)에 마련되는 면일 수 있다. 단차부(212)는 간섭부(210)가 돌출되는 방향과 평행하도록 마련되는 면일 수 있다. 단차부(212)는 후술하는 걸림 면(312)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간섭부(210)는 도어(20)가 개방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 또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압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간섭부(210)는 단차부(212)와 연결되는 경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211)는 도어(2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도어(20)가 간섭부(210)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전환되는 동안, 경사부(211)는 컨트롤 패널(3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간섭부(210)는 실질적으로 피봇부(220)의 가장 직육면체 형상의 가장 넓은 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간섭부(2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단차부(212)는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간섭부(210)에 인접하도록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연장부(224)는 후술하겠지만, 도어 바디(21)의 내측과 접하여, 간섭부(210)를 제1 위치보다 가이드(300)에 가까이 위치하지 못하게 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피봇부(220)는 간섭부(210)와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푸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221)는 도어 핸들(9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푸시 면(221')(221')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221)는 간섭부(210)와 같은 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푸시부(221)와 간섭부(210)의 사이에 푸시부(221)에서 연장되는 연결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22)는 피봇부(220)에서 간섭부(210)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A
연결부(222)와 간섭부(210)를 연결하도록 연결부(222)에서 간섭부(21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접촉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23)의 연장 방향은 피봇부(220)가 연장되는 제1 방향일 수 있다.It may include a
접촉부(223)를 기준으로 일 측에 연결부(222)가 배치되고, 일 측과 반대되는 타 측에 간섭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223)와 간섭부(210)는 연장되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접촉부(223)와 연결부(222)는 연장되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223) 간섭부(210) 연결부(222)에 의하여 접촉 홈(223')이 형성될 수 있다.The
접촉 홈(223')에 후술하는 도어 바디 커버(23)가 포함하는 제한부(23')가 수용될 수 있다.A limiting portion 23' included in the
접촉부(223)는 푸시부(221)의 일 단에 회전 샤프트(230)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 결합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샤프트 결합부(226)는 푸시부(221)의 일단에서 피봇부(220)에서 간섭부(210)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The
샤프트 결합부(226)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피봇부(220)를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회전 샤프트(230)가 형성될 수 있다.A
회전 샤프트(230)는 피봇부(220)가 연장되는 방향 및/또는 간섭부(210)가 돌출되는 방향과 수직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회전 샤프트(230)는 상측과 하측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30)와 도어(20)의 결합에 관하여는 관련된 도면과 함께 후술한다.A pair of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락커(200)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11을 참조하여, 락커(200)의 나머지 부분을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락커(200)는 피봇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부(220)는 샤프트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푸시부(221)의 일단에서 피봇부(220)에서 간섭부(210)가 돌출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샤프트 플랜지(2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샤프트 플랜지(225)의 상측과 하측에는 샤프트 결합부(226)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샤프트 결합부(226)는 샤프트 플랜지(225)와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샤프트 결합부(226)는 샤프트 플랜지(225)를 향하여 움직일 수 있다.The
샤프트 결합부(226)는 샤프트 플랜지(225)를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샤프트 결합부(226)는 서로를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움직일 수 있다. 한 쌍의 샤프트 결합부(226)에는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는 서로를 향하여 가까워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A pair of
락커(200)는 피봇부(210)의 간섭부(220)가 마련되는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에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샤프트(230)는 도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피봇부(210)는 회전 샤프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봇부(210)에 회전 샤프트(230)가 결합할 수 있다.The
피봇부(220)에는 푸시부(221)가 형성되는 반대 측에 푸시부(221)를 향하여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홈(227)이 형성될 수 있다.An
탄성 홈(227)에는 탄성체(40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400)는 탄성 홈(227)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탄성체(400)가 탄성 홈(227)에 수용되는 것이 가이드 되도록 탄성 홈(227)은 간섭부(210)를 향하는 측에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탄성 빗면(227')을 포함할 수 있다.To guide the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에 락커(200)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삽입 홈(91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락커(200)가 도어(20)에 결합되는 것을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 how the
락커(200)는 도어(20)와 결합되기 위하여, 도어(20)의 후방에서 도어(20)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In order to be coupled to the
락커(200)는 회전 샤프트(230)가 도어(20)의 전방을 향하도록 락커(200)를 이동 시킬 수 있다.The
도어 바디 커버(23)와 도어 바디 지지부(24)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락커(200)가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230)는 도어 바디 커버(23)와 도어 바디 지지부(24)의 사이를 이동하여, 도어 핸들(900)을 향하여 이동 될 수 있다.The
도어 핸들(900)에는 회전 샤프트(230)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 홈(910)이 형성될 수 있다.An
도어 핸들(900)에는 삽입 홈(910)과 연결되는 가이드 홈(92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920)은 삽입 홈(910)보다 홈의 깊이가 얕을 수 있다.A
도어 핸들(900)은 가이드 홈(920)을 형성하는 가이드 홈 형성부(9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회전 샤프트(230)는 가이드 홈(920)을 따라서 삽입 홈(910)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가이드 흠의 삽입 홈(910)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 측에는 회전 샤프트(23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삽입 홈(910)을 향하는 측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connected to the
삽입 홈(910)은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A pair of
가이드 홈(920)은 한 쌍의 가이드 홈(920)에 대응되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A pair of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는 가이드 홈(920)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동안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A pair of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는 가이드 홈(920)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왜냐하면,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를 지지하는 샤프트 결합부(226)는 탄성 재질을 포함하기 때문이다.The pair of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가 가이드 홈(920)을 따라 이동하다가 삽입 홈(910)에 삽입되는 동안, 한 쌍의 회전 샤프트(230)는 멀어지며, 삽입 홈(9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락커(200)를 도어 핸들(900)의 원하는 위치에 조립되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While the pair of
즉, 삽입 홈(910)과 가이드 홈(920)은 락커(200)를 도어 핸들(900)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at is, the
도 14는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컨트롤 패널(30)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걸림 홈(310)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도 1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가이드(300)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 the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컨트롤 패널(30)은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어(20)와 마주보는 락킹 면(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 락(100)은 컨트롤 패널(30)의 락킹 면(35)에 배치되는 가이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00)는 락커(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도어(20)의 개방을 제한하도록 락커(200)와 접촉할 수 있다.The
가이드(300)는 간섭부(2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 가능하도록 홈(groove)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가이드(300)는 컨트롤 패널(30)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도록 형성되는 걸림 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The
걸림 홈(310)은 간섭부(210)와 마주보는 기저 면(311)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 면(311)은 락커(20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락커(200)의 기저 면(311)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 움직이는 경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기저 면(311)은 락커(200)의 움직임을 허락하도록 락커(200)의 간섭부(210)가 접촉하지 않게 컨트롤 패널(30)의 내측으로 후퇴할 수 있다.The catching
걸림 홈(310)은 기저 면(311)에서 절곡되어 도어(20)를 향하여 연장되는 걸림 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락커(200)는 걸림 면(312)에 접촉 가능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락커(200)의 간섭부(210)는 걸림 면(312)에 접촉될 수 있다.The locking
걸림 면(312)은 전방에 배치되는 제1 걸림 면(312a), 후방에 배치되는 제2 걸림 면(312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1 걸림 면(312a)은 도어(20)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 될 때, 도어(20)의 움직임을 방해하도록 락커(200)의 간섭부(210)와 접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락커(200)의 단차부(212)가 제1 걸림 면(312a)에 접할 수 있다. 락커(200)의 단차부(212)는 결합 플레이트(221)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제1 걸림 면(312a)은 기저 면(311)에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2 걸림 면(312b)은 도어(20)가 폐쇄 위치 일 때, 락커(200)의 경사부(211)와 접촉할 수 있다. 경사부(211)는 전방 경사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므로, 제2 걸림 면(312b)은 전방 경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기저 면(311)과 제2 걸림 면(312b)은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The
제1 걸림 면(312a) 및/또는 제2 걸림 면(312b)은 락커(20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가이드(300)는 락커(200)의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The first
정리하자면, 가이드(300)는 간섭부(210)의 돌출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 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 홈(310)은 간섭부(210)와 마주보는 기저 면(311) 및/또는 기저 면(311)에서 절곡되어, 도어(20)를 향하여 연장된 걸림 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To summarize, the
이하에서, 도어 락(100)에 의하여 도어(20)의 개방이 간섭되는 과정을 살펴본다.Below, we will look at the process in which opening of the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 및 도어(20)와 인접한 구성을 횡단면으로 자른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6을 참조하여, 도어(20)의 폐쇄 위치 및 간섭 위치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 16, the closed position and interference position of the
도어(20)는 조리실이 폐쇄되는 폐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The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락커(200)의 간섭부(210)의 적어도 일부는 걸림 홈(3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 때의 간섭부(210)의 위치를 제1 위치라고 할 수 있다. 즉, 간섭부(210)는 도어(20)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간섭부(210)는 도어(20)의 일측에 형성된 홀을 통하여, 걸림 홈(310)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탄성체(400)는 락커(200)의 피봇부(220)의 일측에서 간섭부(210)가 컨트롤 패널(30)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피봇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The
도어(20)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간섭부(210)의 제2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피봇부(22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도어(20)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보다 컨트롤 패널(30)에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한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간섭부(210)가 제1 위치일 때, 제한부(23')는 락커(200)의 접촉부(223)에 접촉될 수 있다. The
간섭부(210)는 제한부(23')에 의하여, 걸림 홈(310)의 기저 면(311)에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피봇부(220)가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간섭부(210)가 제1 위치일 때, 피봇부(220)가 고정된 위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간섭부(210)가 제1 위치일 때, 푸시 면(221')(221')은 도어 핸들(900)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피봇부(220)는 회전 샤프트(23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피봇부(220)는 회전 샤프트(230)를 중심으로 피봇 운동할 수 있다.The
간섭부(210)가 제1 위치일 때, 도어(20)가 폐쇄 위치에서 간섭 위치로 개방되면, 락커(200)의 단차부(212)가 제1 걸림 면(312a)에 접할 수 있다. 이에 관한 도면은 생략한다.When the
락커(200)의 간섭부(210)가 걸림 홈(310)에 접촉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락커(200)의 단차부(212)가 걸림 홈(310)의 제1 걸림 면(312a)에 접촉된다. 락커(200)의 단차부(212)는 제1 걸림 면(312a)의 단부를 넘어 위치하지 않으므로, 락커(200)의 단차부(212)는 전방으로 이동될 수 없다.The
락커(200)가 제1 위치에 위치되고, 락커(200)의 간섭부(210)가 가이드(300)에 접하는 경우, 도어(20)는 간섭 위치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When the
도어(20)가 간섭 위치에 있다면, 조리실(41)이 전면에 개방되지 않은 채 도어(20)가 개방될 수 있다.If the
도어(20)가 프런트 패널(16)의 일 측에 힌지(28)에 의하여 피봇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경우, 도어(20)는 힌지(28)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한다고 볼 수 있다. 도어(20)가 회전 운동한다고 했을 때, 도어(20)의 일 면에 결합된 락커(200)도 회전 운동한다고 볼 수 있다. 락커(200)가 회전 운동한다면, 락커(200)의 회전 반경과 회전 반경에 의하여 형성되는 락커(200)의 회전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걸림 면(312)은 락커(200)의 회전 반경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걸림 면(312)은 락커(200)의 회전 경로 내에 위치할 수 있다When the
다만, 도어(20)가 간섭 위치에 있는 경우, 가열원(51)의 작동이 중지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when the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락커(200)의 간섭부(210)가 제2 위치가 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7을 참조하여, 간섭부(210)가 제2 위치 일 때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7, the case where the
사용자는 푸시부(221)를 가압하여, 락커(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락커(200)는 회전 샤프트(230)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 할 수 있다.The user can rotate the
회전 샤프트(230)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푸시부(221)의 푸시 면(221')을 가압하면, 푸시부(221) 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간섭부(210)는 컨트롤 패널(30)과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간섭부(210)는 제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간섭부(210)는 도어(20)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push surface 221' of the
즉, 간섭부(210)는 피봇부(220)의 움직임에 따라, 피봇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간섭부(210)도 움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간섭부(210)의 가이드(300)에 대한 간섭이 해제될 수 있다.That is, the
간섭부(210)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단차부(212)의 전방에 제1 걸림 면(312a)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When the
다만, 간섭부(210)가 제2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도, 탄성체(400)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로 이동되도록 피봇부(220)를 가압할 수 있다.However, even when the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가 개방 위치가 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8을 참조하여, 도어(20)가 개방 위치일 때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8, the case where the
간섭부(210)가 제2 위치로 이동되면, 도어(20)의 개방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므로, 도어(20)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다시 말하면, 도어(20)는 간섭부(21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간섭부(210)에 간섭되는 간섭 위치로 이동 가능할 수 있고, 간섭부(21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간섭 위치보다 이격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In other words, when the
다른 측면으로는, 폐쇄 위치를 기준으로, 간섭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보다 개방 위치가 이동하는 경로가 더 길다고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the path along which the open position moves is longer than the path along which the interference position moves, based on the closed position.
도어(20)의 개방 위치는 조리실의 전방이 외부에 완전히 개방된 도어(20)의 위치라고 할 수 있다. 도어(20)가 개방 위치가 되어야 비로소, 조리실의 내측에 배치되는 조리 대상물을 꺼내거나 수용시킬 수 있다.The open position of the
이상에서 본 것과 같이, 락커(200)의 움직임에 따라서, 도어(20)의 개방이 간섭될 수 있다. 도어(20)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도어(20)를 개방하기 위하여 락커(2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움직이는 동작을 제1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As seen above,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
제1 동작 이후에 도어(20)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도어 핸들(900)을 파지하고 도어(20)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제2 동작이라고 할 수 있다.After the first operation,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다시 말하면, 도어(20)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는 제1 동작 및/또는 제2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리실을 쉽게 개방하지 못하여, 사용자가 다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n order to open the
도 19는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1)의 도어(2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도 19를 참조하여, 도어(20)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19, it will be explained that the
도어(20)는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동작하는 역순으로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설명은 이상에서의 동작이 역순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이해하고 설명을 대신한다.The
다만, 간섭부(210)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간섭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이 하는 동안 가압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However, the
도어(20)어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경사부(211) 컨트롤 패널(30)과 접할 수 있다. 락커(200)는 회전 가능하기 문에, 도어(20)가 폐쇄 위치로 더 이동할 때, 락커(200)가 회전함에 따라 도어는 이동할 수 있다. 도어(20)가 폐쇄 위치로 더 이동하는 경우, 경사부(211)에 의하여 컨트롤 패널(30)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 채, 락커(200)가 회전할 수 있다.While the
이상에서는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가 실시할 수 있는 다른 예시에 관하여 설명한다.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has been described. Below, other examples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이상에서는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하나의 예시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가 실시할 수 있는 다른 예시에 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Above,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has been described. Below, other examples in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implemented will be described. In describing one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19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도 20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1)의 가이드(300-1)를 나타낸 확대도이다.Figure 20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guide 300-1 of the
도 20을 참고하여, 도어 락(100-1)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0, an embodiment of the door lock 100-1 will be described.
가이드(300-1)의 제1 걸림 면(312a)은 컨트롤 패널(30)의 전면과 인접하여 위치된다. 락커(200)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도어(20)를 개방하려고 한다면, 락커(200)의 단차부(212)와 가이드(300-1)의 제1 걸림 면(312a)이 접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20)를 개방하려고, 도어(20)를 전방으로 이동하는 힘을 도어(20)에 가하게 되면, 락커(200)의 단차부(212)는 컨트롤 패널(30)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The first
도어(20)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제1 걸림 면(312a)에 이와 같은 압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제1 걸림 면(312a)이 형성된 부분의 컨트롤 패널(30)이 파손될 염려가 있다. 제1 걸림 면(312a)이 형성된 부분의 컨트롤 패널(30)이 파손되면, 락커(200)와 상호 작용 할 대상이 없어지므로, 도어(20)는 두 가지 이상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 가지 동작에 의하여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컨트롤 패널(30)의 파손을 방지하고자, 제1 걸림 면(312a)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걸림 브래킷(313-1)이 마련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걸림 브래킷(313-1)은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The catching bracket 313-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o prevent it from being damaged.
걸림 브래킷(313-1)은 제1 걸림 면(312a)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림 브래킷(313-1)은 제1 걸림 면(312a) 상에서 컨트롤 패널(30)의 표면을 따라 컨트롤 패널(3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The catching bracket 313-1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first catching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가이드(300-2)를 나타낸 확대도이다.Figure 2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guide 300-2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1을 참고하여, 도어 락(100-2)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21, an embodiment of the door lock 100-2 will be described.
도어 락(100-2)에 포함되는 가이드(300-2)는 컨트롤 패널(30)의 락킹 면(35)에서 돌출되는 걸림 돌기(320-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300-2)는 도어(20)가 간섭 위치에 있을 때, 간섭부(220)를 지지하도록 본체(10)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320-2)를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300-2 included in the door lock 100-2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320-2 protruding from the locking surface 35 of the
걸림 돌기(320-2)는 락커(200)의 단차부(212)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도어(20)의 간섭 위치일 때, 락커(200)의 단차부(212)는 걸림 돌기(320-2)와 접촉할 수 있다.The locking protrusion 320-2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도어(20)가 간섭 위치일 때, 간섭부(210-2)는 걸림 돌기(320-2)가 본체를 마주보는 면과 접할 수 있다.When the
도 2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삽입 홈(910-3)을 나타낸 확대도이다.Figure 2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insertion groove 910-3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2를 참고하여, 삽입 홈(910-3)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With reference to Figure 22, one embodiment of the insertion groove 910-3 will be described.
도어 핸들(900)에는 락커(200)가 포함하는 회전 샤프트(230)가 삽입 될 수 있는 삽입 홈(910-3)이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groove 910-3 into which the
삽입 홈(910-3)과 연결되는 가이드 홈(920-3)이 형성될 수 있다.A guide groove 920-3 connected to the insertion groove 910-3 may be formed.
가이드 홈(920-3)은 삽입 홈(910-3)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920-3)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홈의 깊이가 달라질 수 있다. 가이드 홈(920-3)은 삽입 홈(910-3)에서 멀어질 수록 홈의 깊이가 깊어 질 수 있다.The guide groove 920-3 may be formed to extend toward the insertion groove 910-3.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920-3 may vary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it extends.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920-3 may become deeper as it moves away from the insertion groove 910-3.
이에 의하여 가이드 홈(920-3)은 주위보다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920-3)은 삽입 홈(910-3)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가이드 홈(920-3)에서 큰 단차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920-3)과 가이드 홈(920-3)의 주변의 단차가 커질 수록 회전 샤프트(230)가 삽입될 때 조립 압력이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회전 샤프트(23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guide groove 920-3 can be formed to have a level difference compared to its surroundings. The guide groove 920-3 may be formed with a large step in the guide groove 920-3, which is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groove 910-3. As the level difference between the guide groove 920-3 and the guide groove 920-3 increases, the assembly pressure may be felt stronger when the
다만, 이러한 가이드 홈(920-3)의 깊이가 삽입 홈(910-3)으로 가까워지는 동안 그대로 유지된다면, 가이드 홈(920-3)과 삽입 홈(910-3)의 홈의 깊이 차이가 줄어들 수 있다. 이는 삽입 홈(910-3)으로 회전 샤프트(230)가 삽입될 때 조립 압력이 약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owever, if the depth of this guide groove (920-3) is maintained as it approaches the insertion groove (910-3), the difference in depth between the guide groove (920-3) and the insertion groove (910-3) is reduced. You can. This means that the assembly pressure may be weakened when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 홈(920-3)은 삽입 홈(910-3)으로 가까워지는 동안 점차 홈의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가이드 홈(920-3)의 홈의 깊이가 얕아지면, 삽입 홈(910-3)과 가이드 홈(920-3)의 홈의 깊이 차이가 커져, 삽입 홈(910-3)과 가이드 홈(920-3)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회전 샤프트(230)가 삽입 홈(910-3)에 삽입될 때, 조립 압력이 강해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회전 샤프트(230)의 조립성이 향상 될 수 있다.To prevent this,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920-3 may gradually become shallower as it approaches the insertion groove 910-3. As the groove depth of the guide groove (920-3) becomes shallower, the difference in depth between the insert groove (910-3) and the guide groove (920-3) increases, and the insert groove (910-3) and the guide groove (920-3) become smaller. -3) A step may be formed between. Thereby, when the
도어 핸들(900)은 가이드 홈(920-3)을 형성하는 가이드 홈 형성부(92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 형성부(921-3)는 가이드 홈(920-3)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홈 형성부(921-3)는 가이드 홈(920-3)의 깊이 변화를 만들기 위하여, 삽입 홈(910-3)에서 멀어질 때 도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삽입 홈(910-3)에서 멀어지는 위치에서 더 두껍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이로 인하여, 회전 샤프트(230)가 가이드 홈(920-3)에 삽입되기 직전에 가이드 홈 형성부(921-3)와 접촉하여 가이드 홈 형성부(921-3)가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that the guide groove forming part 921-3 may be damaged by contacting the
도 2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락커를 나타낸 분해도이다.Figure 2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locker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3을 참조하여,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3, an embodiment of a cooking appliance will be described.
도어(20)는 도어 핸들(900)을 사용자가 잡아 당기는 것 외에 버튼(33)에 의하여 개방 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33)을 누르게 되면 도어(20)는 전방을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The
다만, 이 경우에도 락커(200)는 도어 핸들(900)에 결합될 수 있다.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re shown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
조리기기: 1
본체: 10
외부 케이스: 11
도어: 20
제한부: 23'
컨트롤 패널: 30
락킹 면: 35
내부 케이스: 40
조리실: 41
가열원: 51
마그네트론: 52
고압 트랜스: 53
고압 콘덴서: 54
도어 래치: 73
센서: 76
도어 핸들: 900
삽입 홈: 910
가이드 홈: 920
도어 락: 100
락커: 200
간섭부: 210
경사부: 211
단차부: 212
피봇부: 220
푸시부: 221
푸시 면: 221'
접촉부: 223
연장부: 224
회전 샤프트: 230
가이드: 300
걸림 홈: 310
걸림 돌기: 320
탄성체: 400Cooking equipment: 1
Body: 10
External Case: 11
Doors: 20
Limit: 23'
Control panel: 30
Locking side: 35
Inner case: 40
Galley: 41
Heating source: 51
Magnetron: 52
High pressure transformer: 53
High pressure condenser: 54
Door latch: 73
Sensors: 76
Door handle: 900
Insertion groove: 910
Guide groove: 920
Door lock: 100
Locker: 200
Interference section: 210
Incline: 211
Step: 212
Pivot: 220
Push part: 221
Push side: 221'
Contact: 223
Extension: 224
Rotating shaft: 230
Guide: 300
Hang groove: 310
Hang projection: 320
Elastic: 400
Claims (20)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는 락커;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를 간섭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a main body forming a galley;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galley;
It includes a pivot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door and an interference portion that can be moved to a first position to interfer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s the pivot portion rotates or to a second position to cancel the interferenc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locker that does;
When the interference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it includes a guide provided to limi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unit,
The door is a cooking appliance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cooking chamber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n interference position in which opening of the door is restricted as the guide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art. .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조리실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oor is movable between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that opens the cooking chamber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간섭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간섭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가압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2,
The interference portion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inclined portion that is pressurized and movable while the door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interference position or the closed position.
상기 본체는 상기 도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컨트롤 패널에 마련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in body includes a control panel disposed adjacent to the door,
The guide is a cooking devic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로부터 돌출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피봇부는 상기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oor includes a door handle protruding from the door,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pivot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handle.
상기 피봇부는 상기 도어 핸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푸시 면을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use 5,
The pivot portion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push surface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handle.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피봇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A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ivot portion so that the interference portion faces the first position.
상기 간섭부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interference unit includes a step portion provided to contact the guide when the interference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간섭부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에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피봇부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cooking appliance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pivot par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it can be accommodated in the guide.
상기 락커는 상기 피봇부의 상기 간섭부가 마련되는 일 단부에 반대되는 타 단부에 마련되는 회전 샤프트로서,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샤프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use 9,
The locker is a rotating shaft provided at the other end opposite to the one end where the interference part of the pivot part is provided, and the locker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rotating shaft rotatably coupled to the door.
상기 가이드는 상기 간섭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 가능하도록 홈(groove) 형상을 갖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uide is a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oove shape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terference portion.
상기 가이드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간섭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guide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interference portion when the door is in the interference position.
상기 피봇부는 상기 간섭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A cooking appliance in which the pivot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terference portion.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상기 제2 위치와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피봇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oor is a cooking appliance that includes a limiting portion that limits rotation of the pivot portion so tha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position is restricted when the interference portion is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도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래치;
상기 도어 래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열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 래치가 상기 센서로부터 이격된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원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가열원을 제어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paragraph 1,
a door latch movably provided on the door;
a sensor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latch;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It further includes a heating sourc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door latch is separated from the sensor as the door is open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heating source to stop operation.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조리실을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도어;
도어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
상기 도어 핸들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는 락커;
상기 컨트롤 패널에 배치되고,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를 간섭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outer case;
an inner case disposed inside the outer case and forming a cooking chamber;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galley and including a door handle;
a control panel disposed adjacent to the door;
A pivot port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door handle, and an interference portion that can be moved to a first position to interfer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s the pivot portion rotates or to a second position to cancel the interferenc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Locker containing;
A guide disposed on the control panel and configured to limi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unit when the interference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door is a cooking appliance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cooking chamber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n interference position in which opening of the door is restricted as the guide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art. .
상기 도어에 마련되는 도어 래치;
상기 도어 래치와 접촉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센서;
상기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마그네트론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래치와 상기 센서의 접촉이 해제된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의 작동이 중지되도록 상기 마그네트론을 제어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use 16,
A door latch provided on the door;
a sensor provided to contact the door latch;
a control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and
It further includes a magnetr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act between the door latch and the sensor is release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agnetron to stop operation of the magnetron.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이 개방되는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간섭부는 상기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간섭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이 하는 동안 가압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use 16,
The door is movable to an open position where the galley is opened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interference portion is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n inclined portion that is pressurized and movable while the door moves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interference position or the closed position.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피봇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According to clause 16,
A cooking appliance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ivot portion so that the interference portion faces the first position.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회전 샤프트를 중심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피봇부 및 상기 피봇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간섭 해제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한 간섭부를 포함하는 락커;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간섭부의 이동을 제한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및
상기 간섭부가 제1 위치로 향하도록 상기 피봇부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간섭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조리실을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이드가 상기 간섭부를 간섭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이 제한되는 간섭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기.a main body forming a galley;
a doo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galley;
A pivot part provided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about the central axis, and as the pivot part rotates, the pivot part can be moved to a first position arranged to interfer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or a second position arranged to cancel the interference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A locker including an interference portion;
a guide provided to limit movement of the interference unit when the interference uni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It includes an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pivot portion so that the interference portion is directed to the first position,
The door is a cooking appliance that is provided to be movable betwee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cooking chamber when the interference part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an interference position in which opening of the door is restricted as the guide interferes with the interference part.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3/001532 WO2023191293A1 (en) | 2022-03-28 | 2023-02-02 | Cook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038385 | 2022-03-28 | ||
KR1020220038385 | 2022-03-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9746A true KR20230139746A (en) | 2023-10-05 |
Family
ID=88293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2153A KR20230139746A (en) | 2022-03-28 | 2022-07-04 | Cook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39746A (en) |
-
2022
- 2022-07-04 KR KR1020220082153A patent/KR20230139746A/en unknow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49866A (en) | Cooking Appliance | |
CA1226013A (en) | Locking device for door of cooking apparatus | |
US7034269B2 (en) | Wall-mounted microwave oven | |
KR20180087943A (en) | Cooking apparatus | |
US10663173B2 (en) | Electric cooking appliance | |
KR20230139746A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30139745A (en) | Cooking apparatus | |
US20050194380A1 (en) | Microwave oven | |
KR20230139743A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30139744A (en) | Cooking apparatus | |
KR101623978B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142308A (en) | Cooking apparatus | |
KR20230088288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106837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139273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151419A (en) | Cooking apparatus | |
KR20070103247A (en) | Microwave oven | |
KR20230047045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161298A (en) | Cooking apparatus | |
EP4426065A1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047046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20134079A (en) | Cooking appliance | |
KR100516660B1 (en) | Door interlock system of electric oven range | |
KR20230105247A (en) | Cooking appliance | |
KR20230105246A (en) | Cooking applian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