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199A -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199A
KR20230161199A KR1020220060918A KR20220060918A KR20230161199A KR 20230161199 A KR20230161199 A KR 20230161199A KR 1020220060918 A KR1020220060918 A KR 1020220060918A KR 20220060918 A KR20220060918 A KR 20220060918A KR 20230161199 A KR20230161199 A KR 20230161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amera
putting shot
pole device
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9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지하
Original Assignee
하이지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지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이지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199A/en
Publication of KR20230161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1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7Markers for golf cups or holes, e.g. fla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퍼팅 순간의 역동감을 극대화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골프 진행이나 규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퍼팅된 골프공이 홀컵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다 역동감 있게 근접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린 위에서 일어나는 경기 상황을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단부가 홀컵 중앙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폴대본체; 상기 폴대본체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퍼팅되어 홀컵을 향하여 접근하는 골프공을 대상으로 하여 폴대본체 중심으로 1인칭 시점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sm of the putting moment and a relay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and provides a more dynamic close-up of the putted golf ball approaching the hole cup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golf progress or rules. It is designed to capture more vivid images of game situations taking place on the green, including film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body whos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hole cup and has an outer wall that is at least partially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A camera module that generates image information by taking pictures of the surroundings while going up and down inside the pole body; including a camera module that allows first-person perspective shooting centered on the pole body targeting a golf ball that has been putted and approaches the hole cup. It is characterized by

Description

퍼팅 순간의 역동감을 극대화하여 촬영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sm of the putting moment and a relay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골프 진행이나 규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퍼팅된 골프공이 홀컵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다 역동감 있게 근접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린 위에서 일어나는 경기 상황을 생생하게 영상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nd in particular, vividly captures the game situation occurring on the green, including more dynamic close-up photography of the putted golf ball approaching the hole cup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gress or rules of golf. This relates to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can be captured on video and a relay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골프경기는 18홀로 이루어진 골프 코스를 돌며, 각 홀마다 그린에 마련된 홀컵에 공을 집어넣기 위한 타구 수로 점수를 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The popular golf game is played around an 18-hole golf course, and the scor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shots taken to hit the ball into the hole cup provided on the green for each hole.

최근 골프경기가 대중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안방에서도 골프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중계방송이 편성되고 있으며, 현장에서 골프경기를 생동감 있게 중계하기 위한 장비와 촬영기술들의 발전이 급속히 이루어졌다. Recently, as golf games have gained popularity, broadcasts are being organized so that golf games can be enjoyed even in one's home, and equipment and filming technology for lively broadcasting golf games in the field have been developed rapidly.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골프경기를 중계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영상전송용 카메라를 제한적인 장소에만 위치시킨 상태에서 거의 틀에 박힌 촬영만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역동적인 화면을 담아내는 데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다. 특히 홀이 위치한 그린에서는 퍼팅을 비롯하여 가장 중요한 장면들이 연출된다고 할 수 있는데, 정작 선수들이 플레이할 때에는 경기 진행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본인 이외에는 접근이 불가하여 단순히 그린 주변에서 카메라의 망원 기능을 활용하여 촬영해야만 하였다. However, despite this, only stereotypical filming was done with the video transmission camera,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broadcasting system for golf games, placed only in limited locations, so it took a lot of time to capture dynamic scenes. There were restrictions.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the most important scenes, including putting, are produced on the green where the hole is located. However, when the players are playing, no one other than themselves is allowed to approach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the game, so they simply filmed around the green using the telephoto function of the camera. I had to do it.

따라서 그린 위에서는 골프공과 보다 근접한 지점에서 보다 다양한 각도로 역동감을 살리면서 촬영하지 못하였으며, 홀컵을 중심으로 하는 1인칭 시점의 촬영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Therefore, on the green, it was not possible to film with more dynamism from a point closer to the golf ball and from more diverse angles, and first-person perspective filming centered on the hole cup was not possible at all.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052998호(2018.05.21.)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8-0052998 (2018.05.21.)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 진행이나 규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퍼팅된 골프공이 홀컵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다 역동감 있게 근접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린 위에서 일어나는 경기 상황을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pture a more dynamic and close-up view of the putted golf ball approaching the hole cup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gress or rules of golf.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nd a broadcasting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that can capture the game situation occurring on the green in more vivid imag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는, 하단부가 홀컵 중앙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폴대본체; 상기 폴대본체 내부에서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퍼팅되어 홀컵을 향하여 접근하는 골프공을 대상으로 하여 폴대본체 중심으로 1인칭 시점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body whos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hole cup and has an outer wall that is at least partially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The technology includes a camera module that captures the surroundings from inside the pole body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enabling first-person perspective shooting centered on the pole body targeting a golf ball that has been putted and approaches the hole cup. It is characterized by its composition.

여기서, 상기 폴대본체의 외벽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outer wall of the pole body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폴대본체 내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 본체부와,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본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ifting main body installed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inside of the pole main body, and a head part provided with a camera lens and rotatable 360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lifting main body. there is.

또한, 상기 폴대본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승강 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용 드라이브 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pole body, and the lifting main body of the camera module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member and an elevating drive wheel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as having a.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는 지중전선과 연결되어 드라이브 휠을 통해 카메라 모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member may be connected to an underground electric wire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camera module through a drive wheel.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헤드부는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head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rolling direction.

또한, 상기 폴대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so that images can be taken from different heights.

또한, 상기 폴대본체는 복수의 단위폴대가 일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폴대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승강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e main body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unit poles combined in a row, and the camera modules are provided inside the unit poles, so that each camera module can take pictures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at different heights. there is.

또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와 상기 안착홈 저면에는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마그네트 링이 각각 설치되어 단위폴대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Magnet rings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on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se is installed so that coupling between unit poles is achieved.

또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의 외주면 양편에는 한 쌍의 로테이트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의 벽면에는 상기 로테이트 돌기가 인입된 후 구속되는 한 쌍의 로테이트 홀이 형성되어 단위폴대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A pair of rotat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seating protrusion is provid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rotating holes are formed on the wall of the groove into which the rot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then confined, thereby enabling coupling between unit poles.

또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한 쌍의 스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스냅돌기가 스냅핑 결합되는 한 쌍의 스냅공이 형성되어 단위폴대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A pair of snap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seating protrusion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nap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into which the snap protrusions are snapped together to enable coupling between unit poles.

또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의 하단면과 상기 안착홈의 저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포고핀과 소켓이 설치되며, 홀컵의 중앙홀에 꽂혀져서 고정되는 고정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와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포고핀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전기단자와 시그널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and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A pogo pin and socket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are installed, and the fixing pin that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hole cup is characterized by an electrical terminal and a signal terminal installed to receive electricity and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them through the pogo pin. You can do this.

또한, 상기 폴대본체의 하단부에는 돔형상의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여 주변 360도 촬영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auxiliary camera equipped with a dome-shaped camera lens capable of shooting 360 degrees around the pole may be further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pole body.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높낮이를 달리하여 복수 구비되어 주변 360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며,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정보 내의 제1영역패턴을 이용하여 각 영상정보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정보 간에 중첩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영역패턴을 이용하여 영상정보 내의 파라미터를 보정하며, 보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어라운드뷰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in plurality at different heights to enable 360-degree shooting of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location of each image information is confirmed using the first area pattern 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Parameters in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corrected using a second area pattern located in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and an around-view image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corrected parameters.

또한, 상기 폴대본체에는 그린 위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감지센서가 골프공을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정보를 근거로 골프공을 향해 정조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 golf ball placed on the green is further installed in the pole body, and the camera module allows the detection sensor to aim at the golf ball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detecting the golf ball. It can be characterized as:

또한, 상기 폴대본체에는 주변의 소리를 김지하여 소리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le body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microphone that picks up surrounding sounds and generates sound information.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중계시스템은, 전술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를 포함하며,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전용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상기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해당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카메라 모듈에서 좔영된 영상이 해당 스마트폰에 저장되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Meanwhile, the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described above, and when a smartphone with a dedicated app installed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 (LBS) approaches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within a certain distance, A feature of its technical configuration is tha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camera module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s stored in the smartphone.

여기서, 상기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는 골프장에 구비된 각각의 그린에 개별 설치되며, 각각의 그린에 설치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s individually installed on each green provided at the golf course, a database stor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nstalled on each green, and the image stored in the database. It may further include a server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상기 전용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하고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holding the smartphone with the dedicated app installed may be additional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provided together with the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는 골프 진행이나 규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퍼팅된 골프공이 홀컵에 접근하는 모습을 보다 역동감 있게 근접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린 위에서 일어나는 경기 상황을 보다 생동감 있는 영상으로 담아내는 것이 가능하다.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more dynamic and close-up photography of the putted golf ball approaching the hole cup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ogress or rules of golf, and provides more lively images of the game situation occurring on the green. It is possible to contain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폴대본체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단위폴대 간 다양한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고정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360도 촬영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작용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를 포함하는 중계시스템의 구성도
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side the pole body i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module i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D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various coupling structures between unit poles i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pin i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camera capable of 360-degree shooting in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a series of referenc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elay system including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nd a relay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components. In the attached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from the actual size to understand the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Additionally,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폴대본체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state diagram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state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amera module provided inside the pole body i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amera module i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100)는 폴대본체(110)와 카메라 모듈(120), 보조 카메라(130), 감지센서(140a), 마이크로폰(140b), 통신모듈(140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구성요소들에 의해 골프 진행이나 규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퍼팅된 골프공(GB)이 홀컵(150)에 접근하여 홀인되는 모습을 보다 역동감 있게 근접 촬영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린 위에서 일어나는 경기 상황을 보다 생생한 영상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hown,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e body 110, a camera module 120, an auxiliary camera 130, a detection sensor 140a, a microphone 140b,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140c, and these components allow the putted golf ball (GB) to approach the hole cup 150 and make a hole-in more dynamically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golf progress or rules. It is designed to capture more vivid images of game situations taking place on the green, including close-up shooting.

또한,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기반으로 하여 보다 높은 차원의 영상서비스 및 중계시스템을 쉽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it makes it easier to build higher-level video services and relay systems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LBS).

이하,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와 이를 구비한 중계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nd the relay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cusing on each of the above components.

상기 폴대본체(110)는 하단부에 설치된 고정핀(118)에 의해 홀컵(150) 중앙홀(150a)에 삽입되어 세워지며 카메라 모듈(120)이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갖는 중공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폴대본체(110)의 외벽(111)은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110)이 360도 모든 방향으로 촬영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폴대본체(110)의 외벽(111)을 이루는 투명한 재질의 소재는 유리도 가능하지만 가볍고 충격에 강한 플라스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대본체(110)의 외벽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분적으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대본체(110)의 외벽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부분적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투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내부의 카메라 모듈(120)이 그린 주변을 촬영 가능하도록 폴대본체(110)의 외벽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투광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잴의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개구부를 구비한다는 점이다. The pole body 110 is inserted and erected into the central hole 150a of the hole cup 150 by a fixing pin 118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has an internal space so that the camera module 120 can take pictures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from the inside. It consists of a hollow body. The outer wall 111 of the pole body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camera module 110 provided inside can take pictures in all directions at 360 degrees. The transparent material forming the outer wall 111 of the pole body 110 can be glass, but is preferably made of light and impact-resistant plastic. It is preferable that the entire outer wall of the pole body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but it may also be partial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addition, even if the outer wall of the pole body 110 is no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 opening may be partially formed to transmit light.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outer wall of the pole body 110 is at least partial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has an opening so that the internal camera module 120 can take pictures of the green surroundings.

여기서 상기 폴대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단위폴대(110M)가 적층된 형태로 일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폴대(110M) 내부에는 카메라 모듈(120)이 각각 구비된다. 이로써 각각의 카메라 모듈(120)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승강하면서 그린과 그린 주변을 입체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단위폴대(110M)의 상호 결합을 위하여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단위폴대(110M)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113a)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110M)의 상단부에는 안착돌부(113a)가 대응하여 삽입된 후 안착되는 안착홈(113b)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부(113a)와 상기 안착홈(113b) 저면에는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마그네트 링(114)이 각각 설치되어 단위폴대(110M) 간 결합 및 분리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 상기 단위폴대(110M) 중 최하층에 위치한 것에는 상기 안착돌부(113a) 대신 고정핀(118)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118)에는 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와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포고핀(115a)을 통해 각 단위폴대(110M)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기단자(119a,119b)와 시그널단자(119c,119d)가 설치된다. 이같은 홀컵(115) 하측에서는 지중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도킹스테이션(미도시됨)이 고정핀(118)과 도킹되어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포고핀(115a)의 경우 단위폴대(110M)의 안착돌부(113a) 하단면에 설치되며 이에 대응하여 접속되는 소켓(115b)은 단위폴대(110M)의 안착홈(113b) 저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단위폴대(110M) 모두에 전기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Here, the pole body 11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unit poles 110M in a stacked form as shown in FIG. 2, and a camera module 120 is provided inside each of the unit poles 110M. . As a result, each camera module 120 can take three-dimensional pictures of the green and its surroundings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at different heights. In order to couple the unit poles (110M)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ure 6a, a seating protrusion (113a)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110M), and a seating protrusion (113a)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110M). A seating groove 113b is formed into which the device is seated after insertion. Magnet rings 114, which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protrusion 113a and the seating groove 113b, so that the unit poles 110M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However, the unit pole (110M) located at the lowest level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118 instead of the seating protrusion 113a. The fixing pin 118 has electrical terminals 119a, 119b and signal terminals 119c, 119d for receiving electricity and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m to each unit pole (110M) through the pogo pin 115a.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le cup 115, a docking station (not shown) connected to an underground cable is docked with the fixing pin 118 to supply electricity. In the case of the pogo pin (115a), it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113a) of the unit pole (110M), and the socket (115b) connected to it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113b) of the unit pole (110M). Ensure that electricity is supplied to all unit poles (110M).

이처럼 복수의 단위폴대(110M)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 구성에 따르면 폴대본체(110)가 홀컵(150)에 세워지기만 하면 홀컵(150) 하측으로 연결된 지중전선으로부터 카메라 모듈(120), 감지센서(140a), 마이크로폰(140b) 통신모듈(140c) 등 모든 부품들이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자체 내장된 배터리(170)가 충전된 상태가 되면 폴대본체(110)가 홀컵(150)에서 분리가 된 상태가 되어도 전기를 필요로 하는 모든 부품들이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poles (110M) are electrically connected, as long as the pole body 110 is erected on the hole cup 150, the camera module 120 and the detection sensor ( All parts such as 140a), microphone 140b, and communication module 140c can be supplied with electricity and operate. Furthermore, when the built-in battery 170 is charged, all parts that require electricity can receive the necessary power and operate even if the pole body 110 is separated from the hole cup 150.

상기 폴대본체(110)에는 홀컵(150) 주변의 소리를 감지하여 소리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140b)이 더 설치된다. 이처럼 상기 폴대본체(110)에 마이크로폰(140b)이 설치된 구성에 따르면 기존의 마이크로폰이 경기 진행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 멀리 그린 밖에 놓인 상태에서 그린 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대형의 마이크로폰(140b)으로 구비되었던 것과 달리 눈에 띄지 않는 소형의 마이크로폰(140b)만으로도 원활하게 소리를 감지하여 전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 microphone 140b that detects sound around the hole cup 150 and generates sound information is further installed in the pole body 110.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icrophone 140b is installed on the pole body 110, a large microphone 140b is inevitably installed in order to detect sounds generated on the green while the existing microphone is placed far outside the gree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the game. ), it is possible to smoothly detect and transmit sound with just a small, inconspicuous microphone (140b).

여기서 상기 안착돌부(113a)와 안착홈(113b)에는 마그네트 링(114)을 대신하여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것처럼 안착돌부(113a)의 외주면 양편에 한 쌍의 로테이트 돌기(116a)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113b)의 벽면에는 로테이트 돌기(116a)가 인입된 후 구속되는 한 쌍의 로테이트 홀(116b)이 형성되어 단위폴대(110M)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안착돌부(113a)의 하단부 외주면에 스냅돌기(117a)가 구비되고 안착홈(113b)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스냅돌기(117a)가 스냅핑 결합되는 스냅공(117b)이 형성되어 단위폴대(110M)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Here, the seating protrusion 113a and the seating groove 113b are provided with a pair of rotating protrusions 116a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113a, as shown in FIGS. 6B and 6C, instead of the magnet ring 114. A pair of rotating holes 116b are formed on the wall of the seating groove 113b, into which the rotating protrusions 116a are inserted and then restrained, so that the unit poles 110M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D, a snap protrusion 117a is provid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113a, and a snap hole 117b to which the snap protrusion 117a is snapped is provided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113b. It may be formed so that coupling between unit poles (110M) can be achieved.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폴대본체(110) 내부에서 승강하면서 투명한 외벽(111)을 통해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드라이브 휠(122)에 의해 폴대본체(110) 내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 본체부(121)와, 카메라 렌즈(123a)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본체부(121)에서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 및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헤드부(1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부(123)의 회전동작을 위하여 승강 본체부(121)과 헤드부(123)을 연결하는 ㄱ자형의 브래킷(124)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 본체부(121)에는 상기 브래킷(124)의 일단부(124a)가 좌우방향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브래킷(124)의 타단부(124b)에는 상기 헤드부(123)가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The camera module 120 functions to generate image information by taking pictures of the surroundings through the transparent outer wall 111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pole body 110. To this end, the camera module 120 includes a lifting body part 121 installed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inside of the pole body 110 by a drive wheel 122, as shown in FIGS. 3 to 5, and a camera lens 123a. It is provided with a head part 123 installed to be able to rotate 360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in the rolling direction on the lifting body part 121. For the rotation of the head part 123, an L-shaped bracket 124 is installed connecting the lifting main body 121 and the head part 123, and the lifting main part 121 has the bracket 124. One end portion 124a is coupled to be rotatable 360 degrees left and right, and the head portion 12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124b of the bracket 124 to be rotatable in the rolling direction.

여기서 상기 폴대본체(110)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다란 가이드홈(112a)을 갖는 가이드부재(112)가 설치되어 카메라 모듈(120)의 드라이브 휠(122)이 가이드홈(112a)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이로써 카메라 모듈(120)이 가이드홈(112a)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112)는 고정핀(118)과 포고핀(115a)을 통해 지중전선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은 후 드라이브 휠(122)을 통해 카메라 모듈(120)에 공급하는 역할도 겸한다. Here, a guide member 112 having a long guide groove 112a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body 110, so that the drive wheel 122 of the camera module 120 is seated in the guide groove 112a. It becomes a state. As a result, the camera module 120 can be stably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guide groove (112a). The guide member 112 also serves to receive electricity from underground wires through the fixing pin 118 and the pogo pin 115a and then supply it to the camera module 120 through the drive wheel 122.

상기 카메라 모듈(120)은 폴대본체(110)에 상하 높이차를 두고 개별 승강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카메라 모듈(120)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촬영하거나 동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처럼 상하로 이격을 두고 복수 설치된 카메라 모듈(120)의 구성에 따르면 그린 내에서 일지라도 폴대본체(110)로부터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골프공(GB)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고,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골프공(GB)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1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운용이 가능하다. 또한 골프공(GB)을 대상으로 촬영하는 경우에는 하측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120)을 이용하고, 그린 위 사람들이나 주변 상황들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상측에 위치한 카메라 모듈(120)을 이용하는 등 다양하고 효과적인 영상을 얻기 위해 다양한 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 모듈(120)이 승강하지 않고 폴대본체(110)에 높이차를 두고 복수 설치된 구성에도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이처럼 카메라 모듈(120)이 승강하지 않는 경우에는 역동감 있는 촬영을 위해 승강하도록 구성된 경우보다 더 많은 수의 카메라 모듈(120)을 구비해야 한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are provided on the pole body 110 to take pictures while being individually raised and lowered at different heights up and down,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allows selective filming or simultaneous filming.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installed spaced apart vertically in this way, even within the green, in the case of a golf ball (GB)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pole body 110, the camera module 120 is located relatively lower. Various operations are possible, such as using the image taken from the golf ball (GB) located relatively far away, using the image taken from the camera module 120 located relatively above. In addition, when shooting a golf ball (GB), the camera module 120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used, and when shooting people on the green or surrounding situations, the camera module 120 located on the upper side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in a variety of ways to obtain images.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imitation to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pole body 110 without being raised or lowered.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camera module 120 does not rise and fall,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r number of camera modules 120 must be provided than in the case where the camera module 120 is configured to rise and fall for dynamic shooting.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폴대본체(110)의 하단부 내부(복수의 단위폴대(120M) 중 최하층에 위치한 단위폴대(120M)의 하단부 내부)에는 돔형상의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여 주변 360도 촬영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130)가 더 설치된다. 주변 360도 촬영이 가능한 상기 보조 카메라(130)가 설치되면 복수의 카메라 모듈(120)과 함께 보다 입체적인 촬영이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모든 방향의 그린 주변을 상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감지센서(140a)와 함께 그린 주변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상기 폴대본체(110)에서 배터리(170)가 내장되는 위치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 카메라(130) 바로 밑이나 폴대본체(110) 상단부가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ure 8, the in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pole body 110 (the in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unit pole (120M) located on the lowest level among the plurality of unit poles (120M)) is provided with a dome-shaped camera lens, enabling 360-degree shooting around the pole. An auxiliary camera 130 is further installed. When the auxiliary camera 130, which is capable of 360-degree shooting of the surrounding area, is installed, more three-dimensional shooting is possible with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and it is possible to always shoot the green area in all directions, so the detection sensor 140a ), it is also very helpful in quickly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golf ball around the green. The location of the battery 170 in the pole body 110 is preferably directly below the auxiliary camera 130 or at the top of the pole body 110, as shown in FIG. 8.

이처럼 본 발명은 홀컵(150)에 삽입되어 세워지는 폴대본체(110)에 촬영용 카메라 모듈(120)이 설치되면 골프공(GB)이 퍼팅된 후 홀컵(150)을 향하여 접근할 때 다양한 높이에서 골프공(GB)에 대한 폴대본체(110) 중심의 1인칭 시점의 촬영이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감지센서(140a)나 보조 카메라(130)에서 골프공(GB)을 감지하였을 때 복수의 카메라 모듈(120) 중 어느 하나도 골프공(GB)을 정면으로 향하고 있지 않은 상태라면 도 10과 같이 카메라 모듈(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신속하게 골프공(GB)을 정면으로 향하여 정조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 모듈(120) 중 적어도 하나가 골프공(GB)을 정면으로 향하게 되면 퍼팅된 골프공(GB)이 홀컵(150)으로 다가올 때 골프공(GB)을 정면에서 바라보는 실감나는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만일 다른 높이에서 모든 카메라 모듈(120)이 골프공(GB) 향하면 퍼팅된 골프공(GB)을 다양한 높이에서 촬영한 영상을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퍼팅된 골프공(GB)의 움직임을 보다 역동감 있는 영상으로 담아낼 수 있으며, 그 외에도 그린 위와 그 주변에서 골프공(GB)의 움직임에 집중하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몸짓과 표정들을 홀컵(150) 또는 폴대본체(110)의 시점에서 보다 정확하고 생동감 있게 촬영하는 가능하다는 극도의 장점을 갖게 된다. 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golf golf at various heights when a golf ball (GB) is putted and then approaches the hole cup (150) when the filming camera module (120) is installed on the pole body (110) that is inserted into and erected in the hole cup (150). It is possible to shoot a ball (GB) from a first-person perspective centered on the pole body 110. As shown in FIG. 9, when the golf ball (GB)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140a or the auxiliary camera 130, if none of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is facing the golf ball (GB) As shown in Figure 10, at least one of the camera modules 120 can quickly aim straight at the golf ball GB. In this way, when at least one of the camera modules 120 is pointed straight at the golf ball GB, a realistic image can be obtained looking at the golf ball GB from the front when the put golf ball GB approaches the hole cup 150. It becomes possible. If all the camera modules 120 are pointed at the golf ball GB at different height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ree-dimensional images of the putt golf ball GB at various heights. As a result, the movement of the putted golf ball (GB) can be captured in a more dynamic video, and in addition, various gestures and facial expressions of people concentrating on the movement of the golf ball (GB) on and around the green can be captured in the hole cup (150 ) o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e body 110, it has the extrem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hoot more accurately and vividly.

더 나아가 복수의 카메라 모듈(120)이 하나의 방향을 향하는 대신 360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게 되면 홀컵(150)과, 홀컵(150)을 향해 이동하는 골프공(GB)의 모습을 마치 위에서 바라보는 것처럼 어라운드뷰 영상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그린의 라이로 인해 골프공(GB)이 홀컵(150)을 향해 일직선으로 나아가지 않고 좌우로 틀어지면서 불규칙하게 나아가는 모습 등을 포함하여 기존 카메라(120)로는 담기 어려운 종류의 영상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어라운드뷰 영상은 복수의 카메라 모듈(120)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정보 내의 제1영역패턴을 이용하여 각 영상정보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정보 간에 중첩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영역패턴을 이용하여 영상정보 내의 파라미터를 보정하며, 보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생성하게 된다. 이처럼 어라운드뷰 영상을 만드는 기술이 퍼팅된 골프공(GB)의 움직임을 대상으로 적용된 사례를 찾을 수 없다는 점에서 독특하지만, 일단 이같은 생각에 도달하고 폴대본체(110)에서 카메라 모듈(120)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한 구성까지 생각할 수 있다면 이미 다양하게 공지된 차량용 어라운드뷰 기술을 간단히 적용함으로써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공지된 차량용 어라운드뷰 기술들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949358호(2019.02.12.) 등을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are pointed in different directions to enable 360-degree shooting instead of facing in one direction, the hole cup 150 and the golf ball (GB) moving toward the hole cup 150 are displayed. It has become possible to create an around view image as if looking from above, including the golf ball (GB) moving irregularly, turning left and right instead of moving straight toward the hole cup 150 due to the lie of the green, using existing cameras.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types of images that are difficult to capture with (120). This around view image verifies the location of each image information using the first area pattern with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120, and the second image information is located within the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Parameters in image information are corrected using area patterns, and are generated based on the corrected parameters. It is unique in that no case has been found in which the technology for creating an around-view image has been applied to the movement of a putted golf ball (GB), but once this idea has been reached, the camera module 120 in the pole body 110 is connected to each other. If you can even think of a configuration that faces a different direction, it can be implemented by simply applying various already known vehicle around view technologies. Known around view technologies for vehicles can be easily found through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49358 (2019.02.12.).

이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는 골프장의 모든 홀컵(150)들에 간단히 설치되어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기반으로 하는 한 차원 높은 중계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용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S)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해당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카메라(120)에서 좔영된 영상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스마트폰(S)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ply installed in all hole cups 150 on a golf course to implement a higher-level relay system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LBS). As a result, when a smartphone (S) user with a dedicated app installed approaches within a certain distance to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0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It can be stored on the smartphone (S) and various video services can be provided.

이를 위해 상기 중계시스템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골프장에서 각각의 그린에 개별 설치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100)가 구비하고 있는 카메라 모듈 (120), 감지센서(140a), 마이크로폰(140b), 통신모듈(140c), 제어기와 함께 촬영된 영상정보 및 취득한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각각의 그린에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서 촬영한 수준 높은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전용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S)을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서버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맞춤식 영상정보 및 소리정보, 골프장에서의 시간별 이동정보, 운동량 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this purpose, the relay system includes a camera module 120, a detection sensor 140a, a microphone 140b, and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100 individually installed on each green in a golf course, as shown in FIG. 11. It further includes a module 140c, a database for storing captured image information and acquired sound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controller, and a server for providing the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high-quality video and sound information captured by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on each green can be provided to the place where it is needed, and at this time, the location of the user holding the smartphone (S) with the dedicated app installed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in a database along with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and provide it through a server, making it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image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for a specific user, movement information by time on the golf course, amount of exercise, etc.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claims below.

110: 폴대본체 120: 카메라 모듈
130: 보조 카메라 140a: 감지센서
140b: 마이크로폰 140c: 통신모듈
150: 홀컵 170: 배터리
110: Pole body 120: Camera module
130: Auxiliary camera 140a: Detection sensor
140b: Microphone 140c: Communication module
150: hole cup 170: battery

Claims (19)

하단부가 홀컵 중앙홀에 삽입되어 세워지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광 가능한 외벽을 구비한 폴대본체;
상기 폴대본체 내부에서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여,
퍼팅되어 홀컵을 향하여 접근하는 골프공을 대상으로 하여 폴대본체 중심으로 1인칭 시점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 pole body whos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hole cup and has an outer wall that is at least partially transparent;
Including a camera module that captures the surroundings inside the pole body and generates image information,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allows first-person perspective shooting centered on the pole body targeting a golf ball that has been putted and approaches the hole cu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의 외벽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wall of the pole body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폴대본체 내부를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 승강 본체부와,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본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mera module is a putting sho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evating body part installed to be able to be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inside of the pole main body, and a head part provided with a camera lens and rotatable 360 degre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elevating main body part. Camera pol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을 갖는 가이드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승강 본체부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승강용 드라이브 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guide member having a guide groov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pole body, and the lifting main body of 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with a drive wheel for lifting and lowering that moves along the guide groove while being seated in the guide groove of the guide member.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by o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지중전선과 연결되어 드라이브 휠을 통해 카메라 모듈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member is connected to an underground wire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camera module through a drive whee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의 헤드부는 롤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d part of the camera module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rolling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amera modules to enable shooting at different heigh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는 복수의 단위폴대가 일렬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폴대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서로 다른 높이에서 승강하면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ole main body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unit poles combined in a row,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mera modules are provided inside the unit pole so that each camera module can take pictures while being raised and lowered at different height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와 상기 안착홈 저면에는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마그네트 링이 각각 설치되어 단위폴대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Magnet rings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on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respectively.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is installed to allow coupling between unit po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의 외주면 양편에는 한 쌍의 로테이트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의 벽면에는 상기 로테이트 돌기가 인입된 후 구속되는 한 쌍의 로테이트 홀이 형성되어 단위폴대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A pair of rotating protrusion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seating groove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rotating holes are formed on the wall into which the rotat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nd then restrained to enable coupling between unit po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한 쌍의 스냅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홈의 하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스냅돌기가 스냅핑 결합되는 한 쌍의 스냅공이 형성되어 단위폴대 간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A pair of snap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seating groove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nap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part to which the snap protrusions are coupled by snapping, thereby enabling coupling between unit pol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폴대의 하단부에는 안착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폴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안착돌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돌부의 하단면과 상기 안착홈의 저면에는 각각 서로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포고핀과 소켓이 설치되며,
홀컵의 중앙홀에 꽂혀져서 고정되는 고정핀에는 외부로부터 전기와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포고핀을 통해 전달하기 위한 전기단자와 시그널단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seat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unit pole, and a seating groove into which the seat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sea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unit po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rotrusion and the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Connected pogo pins and sockets are installed,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n inserted and fixed into the central hole of the hole cup is equipped with an electrical terminal and a signal terminal for receiving electricity and electrical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ting them through the pogo p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의 하단부에는 돔형상의 카메라 렌즈를 구비하여 주변 360도 촬영이 가능한 보조 카메라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camera equipped with a dome-shaped camera lens and capable of shooting 360 degrees around the pole is further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l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높낮이를 달리하여 복수 구비되어 주변 360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며, 복수의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된 복수의 영상정보 내의 제1영역패턴을 이용하여 각 영상정보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영상정보 간에 중첩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영역패턴을 이용하여 영상정보 내의 파라미터를 보정하며, 보정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어라운드뷰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amera module is provided in plurality at different heights to enable 360-degree shooting of the surrounding area. The location of each image information is confirmed using the first region pattern in the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lurality of camera modules, and the plurality of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corrects parameters in the image information using a second area pattern located in an overlapping area between the image information, and generates an around-view image based on the corrected paramet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에는 그린 위에 놓인 골프공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이 상기 감지센서가 골프공을 감지하여 생성된 감지정보를 근거로 골프공을 향해 정조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golf ball placed on the green is further installed in the pole body, and the camera module is capable of aiming directly at the golf ball based on the detec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etection sensor detecting the golf ball.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본체에는 주변의 소리를 김지하여 소리정보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폰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e body is further equipped with a microphone that captures surrounding sounds and generates sound information.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를 포함하며,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기반으로 전용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 상기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에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해당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카메라 모듈에서 좔영된 영상이 해당 스마트폰에 저장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시스템.
It includes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16,
Based on location-based services (LBS), when a smartphone with a dedicated app installed approaches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s stored on the smartphone. A relay system characterized b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는 골프장에 구비된 각각의 그린에 개별 설치되며, 각각의 그린에 설치된 퍼팅샷 카메라 폴대장치의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7,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s individually installed on each green provided at the golf course, and includes a database that store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of the 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installed on each green,
A relay system further comprising a server capable of providing video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의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을 소지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추가로 저장하고 영상정보와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18,
A rela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holding a smartphone with the dedicated app installed is additionally stored in the database and provided together with video information.

KR1020220060918A 2022-05-18 2022-05-18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KR202301611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18A KR20230161199A (en) 2022-05-18 2022-05-18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18A KR20230161199A (en) 2022-05-18 2022-05-18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199A true KR20230161199A (en) 2023-11-27

Family

ID=8896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918A KR20230161199A (en) 2022-05-18 2022-05-18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19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998A (en) 2016-11-11 2018-05-21 김성우 Green fixed cameras for image transmission in real ti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2998A (en) 2016-11-11 2018-05-21 김성우 Green fixed cameras for image transmission in real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6404B2 (en) Wireless gaming method and wireless gaming-enabled mobile terminal
US7452275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US8959555B2 (en) Instrumented sports paraphernalia system
US6890262B2 (en) Video game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viewpoint movement of simulated camera in video game
US11599187B2 (en) Home and portable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game consoles
US9185361B2 (en) Camera-based tracking and position determination for sporting events using event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data extracted in real-time from position information
US9674435B1 (en) Virtual reality platforms for capturing content for virtual reality displays
US202004070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n golf course using fuel cell drone
US20110237367A1 (en) Ball and entertainment system
US8257176B2 (en) Game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responsive to captured player images
US20120068980A1 (en)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on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system,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768017B1 (en) Golf Adressing guide displaying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Head-up Display Device for Golf Field and the Display Device thereof
US20200128157A1 (en) Camera device, camera system, and program
JP7057829B2 (en) Game device, golf game control method
JP2008167244A (en) Flagstaff with image pickup camera and image pickup camera system for green
KR20230161199A (en)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KR20230161202A (en)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KR20230161201A (en)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KR20230161200A (en) Pputting shot camera pole device that maximizes the dynamic feeling at the moment of putting and relay broadcasting system with the same
TW202146084A (en) A portable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golf club swing motion tracking and analysis
WO2022175930A2 (en) Putting shot camera pole apparatus for shooting by maximizing dynamism of moment of putting, and relay system having same
JP7085706B2 (en) Auxiliary device for golf putters
US20160008709A1 (en) Infrared gam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5704872B2 (en) Display device
JP2007050102A (en) Hole-in-one certificating flag p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