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194A -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 Google Patents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194A
KR20230161194A KR1020220060908A KR20220060908A KR20230161194A KR 20230161194 A KR20230161194 A KR 20230161194A KR 1020220060908 A KR1020220060908 A KR 1020220060908A KR 20220060908 A KR20220060908 A KR 20220060908A KR 20230161194 A KR20230161194 A KR 20230161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member
rings
eye
cornea
ey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성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웰씨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웰씨
Priority to KR1020220060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194A/ko
Priority to PCT/KR2022/013394 priority patent/WO2023224173A1/ko
Publication of KR2023016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1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2Cornea, e.g. artificial corneae, keratoprostheses or corneal implants for repair of defective corne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61F2/148Implantation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08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 A61F9/0017Introducing ophthalmic products into the ocular cavity or retaining products therein implantable in, or in contact with, the eye, e.g. ocula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는, 각막의 일부를 둘러싸며,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A MEMBER FOR INSERTING AN EYEBALL AND A METHOD FOR INSERTING A MEMBER FOR INSERTING AN EYEBALL}
본 발명은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막은 젤타입의 재질을 갖기 때문에, 각막의 두께가 얇은 부분은 안압에 의한 팽창이 발생한다. 이 경우, 팽창된 부분은 곡률편차를 만들어 시력이상증을 유발하고 눈물층 결손도 초래해 안구건조증을 발생시킨다. 만약, 안압에 의한 각막 팽창이 계속될 경우 종국에 가서는 각막이 천공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
기존에 각막의 변형을 막고자 사용되는 각막교차 결합술은, 각막실질에 비타민 B2를 바른 후, 자외선을 쬐어 콜라겐 섬유들 간의 교차결합을 강화시켜 각막의 강도를 증가시켜서 원추 각막의 진행을 억제하고 안정화시켜 주는 의료기술이다.
이러한 각막교차 결합술은, 교차결합이 정량적으로 균일하게 만들어지지 않고, 시술 후 시력이 흐려지고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결합력이 떨어지며 효과 상실로 이어질 수 있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는, 각막의 일부를 둘러싸며,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는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 acrylate, PMMA),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stainless)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는 각막의 일부를 둘러싸며,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같은 이심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타원들의 형상을 가지고,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는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안구 삽입용 부재는,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는,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절개 부분의 곡률을 포함하는 각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 중에서, 파악된 각막상태에 상응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의 각 안구 삽입용 부재들은,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Toric)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에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는 단계는, 하부 각막실질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하부 각막실질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절개부분에 삽입된 후,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를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는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안구 삽입용 부재는,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같은 이심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타원들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는,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절개 부분의 곡률을 포함하는 각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 중에서, 파악된 각막상태에 상응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의 각 안구 삽입용 부재들은,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각 안구 삽입용 부재가 포함하는 복수의 링들의 이심률,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최소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최소거리,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에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는 단계는, 하부 각막실질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하부 각막실질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절개부분에 삽입된 후,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를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는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안구 삽입용 부재를 안구에 삽입함으로써 안압으로 인한 각막팽창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막의 구성조직에 관한 모식도 및 안압에 의한 각막팽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안구에 삽입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와 링 집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10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a 내지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 과정, 공정 또는 방법 등은 기술적으로 상호 간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a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각막의 구성조직에 관한 모식도 및 안압에 의한 각막팽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는 각막의 구성조직에 관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안구의 각막(L)은 5개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L1은 각막내피, L2는 뒤경계판(데스메막), L3는 각막실질, L4는 보우만막, L5는 각막상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안구의 각막은 더 세분화된 층으로 구분될 수도 있고, 일부 층은 다른 층에 병합된 채로 생략되어 호칭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각막상피(L5)의 두께는 대략 50 마이크론, 각막실질(L3)의 두께는 300마이크론 이상 800마이크론 이하이다. 이때 전체 각막(L)의 두께가 360-400 마이크론 이하인 경우 각막확장증이 나타날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안압이 높은 경우, 각막이 두꺼워도 각막확장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b 내지 도 1d는 안압에 의한 각막팽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안구의 각막에서 두께가 얇은 부분은 안압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에는 안압에 의해 화살표(Pa)의 방향으로 각막(L)이 팽창된 부분(101)이 도시되어 있고, 도 1c에는 안압에 의해 화살표(Pb, Pc)의 방향으로 각막(L)이 팽창된 부분(102, 103)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팽창된 부분은 곡률편차를 만들어 시력이상증을 유발하고, 눈물층 결손도 초래해 안구건조증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안압에 의한 각막 팽창이 계속될 경우 종국에 가서는 각막이 천공될 수도 있다.
도 1d는 각막팽창의 보상작용 상실에 관한 생체역학 사이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d에 도시된 사이클은 생체역학적 특성분포의 비대칭에 의해 시작되면, 이후 각막이 얇아지고 스트레스가 증가하며, 결국 각막이 보상 방식으로 곡률을 변형하거나 재분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체적합성 물질을 각막에 삽입해 안압에 의한 각막의 변형 또는 팽창을 저지할 필요가 있고, 이하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에 대하여 상술한다.
도 2는 안구에 삽입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는 안구의 각막(L)에 삽입되어 있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상부영역(201), 하부영역(202) 및 상부영역과 하부영역 사이의 빈 공간(210)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안구 삽입용 부재의 상부영역(201)과 하부영역(202)은 각각 반원형의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안구에 삽입할 경우, 각막실질부(도 1a, L3)에 터널을 만든 후 축대칭으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상부영역(201)과 하부영역(202)을 삽입한다. 이때 각막의 호-단축효과(arc-shortening)를 발생시켜 중심부 각막이 편평해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원추각막의 진행을 억제시킬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안구 삽입용 부재는 링조각이 삽입된 부위의 각막이 융기되고, 이로 인해 불규칙한 굴절력 발행 및 눈물막 결손이 유발되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상부영역(201)과 하부영역(202)이 축대칭으로 분리되어 삽입되므로 각 영역이 배치된 부분(201, 202)과 배치되지 않은 부분(210)의 곡률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경우 각막의 형태를 고르게 구형 또는 타원형 곡률로 개선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이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와 링 집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300)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안구 삽입용 부재(300)의 링 집합체(310)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300)는 링 집합체(310) 및 복수의 연결부재(예: 321 내지 324)를 포함할 수 있다.
링 집합체(310)는 복수의 링(311 내지 3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링은 공통된 중심(C)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링(311 내지 314)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링의 중심은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각 링(311 내지 314)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링 사이의 간격은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예: 321 내지 324)는 복수의 링(311 내지 314)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연결 부재 각각은 중심(C)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α1)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연결 부재, 예컨대 도면부호(321)은 가장 작은 링(314)으로부터 가장 큰 링(311)까지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각 링 사이(311과 312 사이, 312와 313 사이, 313과 314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세부 연결 부재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에는 연결 부재의 개수가 16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값에 불과하며 연결 부재의 개수는 자유로이 변형이 가능하다.
도 3a에는 각 연결 부재가 가장 작은 링(314)으로부터 가장 큰 링(311)까지 연결되는 일직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로, 연결 부재는 각 링 사이(311과 312 사이, 312와 313 사이, 313과 314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로, 연결 부재는 각 링 사이(311과 312 사이, 312와 313 사이, 313과 314 사이)별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부재는 링(311)과 링(312) 사이의 하나의 직선, 링(312)와 링(313)을 사이의 두개의 직선, 링(313)과 링(314) 사이의 하나의 직선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몇몇 실시예로 연결 부재는 각 링 사이(311과 312 사이, 312와 313 사이, 313과 314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연결 부재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각 링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링 및/또는 복수의 연결부재의 재질은 생체적합성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생체적합성 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제작되거나 코팅된 제품일 수 있다. 몇몇 예로, 생체적합성 물질은 예컨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 acrylate, PMMA),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구 삽입용 부재(300)의 두께는 예컨대 100마이크론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c는 링 집합체(310)의 복수의 링(311 내지 314)과 연결부재(예: 321 내지 324)가 결합되어 일종의 망사 형태를 나타낸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안구 삽입용 부재의 복수의 링과 복수의 연결 부재가 서로 촘촘히 교차하는 형태, 즉 일종의 망사 형태를 나타냄으로써 안구 삽입용 부재는 각막의 형태를 감싸고 유지하는 골격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안압에 의한 각막의 변형을 저지하고, 각막의 만곡도를 구면 또는 타원면으로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도 4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400)는 복수의 링(411 내지 414)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연결부재(예: 421 내지 4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링(411 내지 414)은 공통된 중심(C)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링의 중심은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복수의 링(411 내지 414) 각각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동심원 형태의 복수의 링(311 내지 314)과 달리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링(411 내지 414)은, 서로 같은 이심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타원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는 가장 작은 크기의 링(414)의 긴 반지름이 a1이고, 짧은 반지름이 b1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두번째로 작은 크기의 링(413)의 긴 반지름이 a2이고 짧은 반지름이 b2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각 링(413 및 414)의 긴 반지름(a1, a2)은 서로 상이하고 짧은 반지름 또한(b1, b2) 서로 상이하나, 긴 반지름과 짧은 반지름의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각 링(413, 414)의 이심율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 링의 이심률은 서로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각 링(411 내지 414)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링 사이의 간격은 일부 상이할 수도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예: 421 내지 424)는 복수의 링(411 내지 414)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부재 각각은 중심(C)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α2)만큼 떨어져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각 연결 부재는 가장 작은 링(414)으로부터 가장 큰 링(411)까지의 길이를 갖도록 일체로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각 링 사이(411과 412 사이, 412와 413 사이, 413과 414 사이)의 거리만큼의 길이를 갖는 세부 연결 부재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에는 연결 부재의 개수가 16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값에 불과하며 연결 부재의 개수는 자유로이 변형이 가능하다.
도 4a에는 각 연결 부재가 가장 작은 링(414)으로부터 가장 큰 링(411)까지 연결되는 일직선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연결 부재는 각 링 사이(411과 412 사이, 412와 413 사이, 413과 414 사이)를 곡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연결 부재는 각 링 사이(411과 412 사이, 412와 413 사이, 413과 414 사이)별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부재는 링(411)과 링(412) 사이의 하나의 직선, 링(412)와 링(413)을 사이의 두개의 직선, 링(413)과 링(414) 사이의 하나의 직선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연결 부재는 각 링 사이(411과 412 사이, 412와 413 사이, 413과 414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연결 부재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각 링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링 및/또는 복수의 연결부재의 재질은 생체적합성 물질일 수 있다. 이때 생체적합성 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물질로 제작되거나 코팅된 제품일 수 있다. 몇몇 예로, 생체적합성 물질은 예컨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 acrylate, PMMA),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stainles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구 삽입용 부재(400)의 두께는 예컨대 100마이크론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조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500)는 복수의 링(511 내지 514)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복수의 연결부재(521 내지 523) 및 보조 연결부재(531 내지 5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복수의 링(511 내지 514)은 도 3a와 마찬가지로 동심원의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도 4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의 각 링(511 내지 514)은 이심률이 동일하고 크기가 서로 다른 타원들의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에는 복수의 연결 부재(예: 521 내지 523) 각각이 중심(C)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α3)만큼 떨어져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연결부재의 개수가 16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시된 각도(α3)는 도 3a의 각도(α1) 및/또는 도 4의 각도(α2)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보조 연결부재(531 내지 533)는 각 연결 부재(예: 521 내지 523)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보조 연결부재(531 내지 533)를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5에는 보조 연결부재(531 내지 533)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값에 불과하며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다.
보조 연결부재(531)의 배치를 통해 사용자 각막의 두께가 불균등한 경우를 커버할 수 있다. 예컨대 안구 각막의 두께가 제1부분은 얇고, 제2부분은 두꺼운 경우, 제1부분은 보조 연결부재(531 내지 533)가 배치된 위치와 대응하고, 제2부분은 보조 연결부재(531 내지 533)가 배치되지 않은 위치와 대응하도록 안구 삽입용 부재(500)를 삽입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e에는 복수의 링의 형상이 원형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601, 602, 603, 610, 620, 630, 6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곡률이 서로 다른 안구 삽입용 부재(601, 602, 603)들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각 안구 삽입용 부재(601 내지 603)는 4개의 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601)는 4개의 링(601a, 601b, 601c, 601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안구 삽입용 부재(602)는 4개의 링(602a, 602b, 602c, 602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안구 삽입용 부재(603)는 4개의 링(603a, 603b, 603c, 603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각 링 사이의 연결부재는 편의상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602)의 곡률은 안구 삽입용 부재(601)보다는 크고, 안구 삽입용 부재(603)보다는 작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곡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601 내지 60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0.25D 단위의 곡률 차이를 가지는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와 도 6c를 참조하면, 도 6b에는 안구 삽입용 부재(610)에서의 중심(C)으로부터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1), 중심(C)으로부터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2)가 도시되어 있고, 도 6c에는 안구 삽입용 부재(620)에서의 중심(C)으로부터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3), 중심(C)으로부터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4)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r3는 r1 보다 크고, r4는 r2보다 클 수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610 내지 6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도 6d에는 안구 삽입용 부재(630)의 각 링 사이의 간격이 d1, d2, d3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는 d1이나 d3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안구 삽입용 부재(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안구 삽입용 부재(630)의 각 링 사이의 간격(d1, d2, d3)이 일정하지 않은 안구 삽입용 부재(630)를 포함할 뿐 아니라, 각 링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나 그 간격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e를 참조하면, 도 6e에는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 및 복수의 연결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641 내지 645)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640)가 도시되어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6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를 종합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601, 602, 603, 610, 620, 630, 640)는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 및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f에는 복수의 링의 형상이 타원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701, 702, 703, 704, 705, 706, 710, 720, 730, 7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곡률이 서로 다른 안구 삽입용 부재(701, 702, 703)들의 정면을 도시한 것이다.
각 안구 삽입용 부재(701 내지 703)는 4개의 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701)는 4개의 링(701a, 701b, 701c, 701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안구 삽입용 부재(702)는 4개의 링(702a, 702b, 702c, 702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안구 삽입용 부재(703)는 4개의 링(703a, 703b, 703c, 703d)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각 링 사이의 연결부재는 편의상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702)의 곡률은 안구 삽입용 부재(701)보다는 크고, 안구 삽입용 부재(703)보다는 작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곡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701 내지 70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0.25D 단위의 곡률 차이를 가지는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는 이심률이 서로 다른 안구 삽입용 부재(704, 705, 706)들의 개략적인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각 안구 삽입용 부재(704, 705, 706) 각각이 포함하는 링들의 이심률은 일정하나, 안구 삽입용 부재(705)의 각 링의 이심률은 안구 삽입용 부재(704)의 각 링의 이심률 보다는 크고, 안구 삽입용 부재(706)의 각 링의 이심률 보다는 작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각 링의 이심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704 내지 70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c와 도 7d를 참조하면, 도 7c에는 안구 삽입용 부재(710)에서의 중심(C)으로부터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5), 중심(C)으로부터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6)가 도시되어 있고, 도 7c에는 안구 삽입용 부재(720)에서의 중심(C)으로부터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7), 중심(C)으로부터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r8)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r7는 r5 보다 크고, r8는 r6보다 클 수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가 서로 다른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710 내지 7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도 7e에는 안구 삽입용 부재(730)의 각 링 사이의 간격이 d4, d5, d6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d5는 d4나 d6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안구 삽입용 부재(7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안구 삽입용 부재(730)의 각 링 사이의 간격(d4, d5, d6)이 일정하지 않은 안구 삽입용 부재(730)를 포함할 뿐 아니라, 각 링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나 그 간격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7f를 참조하면, 도 7f에는 중심(C)을 기준으로 서로 동일한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부재 및 복수의 연결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741 내지 745)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740)가 도시되어 있다.
즉,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복수의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를 종합하면,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701, 702, 703, 704, 705, 706, 710, 720, 730, 740)는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각 안구 삽입용 부재가 포함하는 복수의 링들의 이심률,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 및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고,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는 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810).
이때,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지는 안구 삽입용 부재들 및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복수의 링은, 서로 같은 이심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타원들의 형상을 가지는 안구 삽입용 부재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S820).
이때 각막의 일부는 각막의 구성조직 중, 각막상피, 보우만막, 각막실질 등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각막의 일부는 레이저(예: 펨토초레이저), 미세각막절삭기(예: 마이크로케라톰) 등을 통해 절개될 수 있다.
단계(S820)이 수행되기 전에, 환자의 눈꺼풀과 주변을 소독하는 단계 및/또는 스팩큐럼으로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등의 전처리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830)
단계(S830) 이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도 9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절개부분의 각막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S910).
몇몇 예로, 절개 부분의 각막상태는 절개 부분의 곡률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절개부분의 각막상태는 평균 구면곡률 또는 타원체의 평균곡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몇몇 예로, 절개 부분의 각막상태는 각막의 두께의 균등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절개부분의 각막상태는 사용자의 각막에서 두께가 다소 얇은 부분과 두꺼운 부분이 구별되는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몇몇 예로, 절개 부분의 각막상태는 사용자 각막의 크기, 직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각막상태는 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때, 절개부분의 각막상태는 인간에 의해 수동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안구 스캐너, 3D 스캐너, 및 기타 의료용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파악될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 중에서 파악된 각막상태에 상응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920).
몇몇 예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 중에서, 파악된 각막상태와 형상, 모양 등의 일치율이 가장 높은 안구 삽입용 부재가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일치율은 인간에 의해 수동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장비, 의료장비, 스캐닝 장비등을 통해 판단될 수 있다.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는 복수의 링이 동심원 들의 형상을 갖는 안구 삽입용 부재들 및/또는 복수의 링이 중심이 동일하되 서로 다른 크기의 타원 형상을 갖는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예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의 각 안구 삽입용 부재들은, 안구 삽입용 부재의 각 링이 원인지 타원인지 여부,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및 복수의 링이 중심이 동일하되 서로 다른 크기의 타원 형상을 갖는 경우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링의 이심률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는, 전술한 도 6a 내지 도 6e의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 전술한 도 7a 내지 도 7f의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는 더 다양한 실시예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복수의 안구 삽입용 부재들, 예컨대 곡률, 크기,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등이 서로 상이한 안구 삽입용 부재들 중에서, 파악된 절개부분의 각막상태(예: 곡률, 각막 두께의 균등여부, 각막의 크기 등)에 상응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각막상태에 최적화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각막상태에 최적화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더욱더 견고하게 안압에 의한 각막의 변형을 저지하여 각막의 형태를 감싸고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더욱 효율적으로 각막의 만곡도를 구면 또는 타원면으로 개선하고 유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이어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S930).
이때 각막의 일부는 각막의 구성조직 중, 각막상피, 보우만막, 각막실질 등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각막의 일부는 레이저(예: 펨토초레이저), 미세각막절삭기(예: 마이크로케라톰) 등을 통해 절개될 수 있다.
단계(S930)이 수행되기 전에, 환자의 눈꺼풀과 주변을 소독하는 단계 및/또는 스팩큐럼으로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등의 전처리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940)
단계(S940) 이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d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1010). 이때 단계(S1010)은 도 8의 단계(S810) 및/또는 도 9의 단계(S910, S92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할 수 있다(S1020). 이때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홈은 레이저(laser)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즉,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예: 곡률, 크기,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등)와 일치되는 형태를 갖도록 홈을 생성하고 그에 맞도록 삽입함으로써, 각막 제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홈의 형태와 삽입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가 동일하므로, 삽입 후 안구 삽입용 부재가 융기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단계(S1020)이 수행되기 전에, 환자의 눈꺼풀과 주변을 소독하는 단계 및/또는 스팩큐럼으로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등의 전처리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103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홈과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생성된 홈에 안구 삽입용 부재를 끼워 넣는 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030) 이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1040). 이때 단계(S1040)은 도 8의 단계(S810) 및/또는 도 9의 단계(S910, S92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toric) 형태의 홈을 생성할 수 있다(S1040).
이때 원환체 형태는 일반적인 원환체 형태, 타원 원환체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의 홈은 레이저(laser)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는 원환체 형태의 홈은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큰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0a에서와 달리 도 10b에서는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각막의 일부를 절개할 수 있다.
생성된 원환체 형태의 홈에 대하여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c는 생성된 원환체 형태의 홈의 모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d는 도 10c의 절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 및 도 10d를 참조하면, 생성된 원환체 형태의 홈(H)과, 홈(H)의 경계면(Q1, Q2)이 도시되어 있다. 생성된 원환체 형태의 홈(H)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홈(H)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경계면(Q1) 사이의 거리는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가장 작은 링의 크기보다 크게 생성될 수 있고, 경계면(Q2)사이의 거리는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가장 큰 링의 크기보다 크게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0b를 참조하면, 단계(S1050)이 수행되기 전에, 환자의 눈꺼풀과 주변을 소독하는 단계 및/또는 스팩큐럼으로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등의 전처리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1060).
이때,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보다 더 큰 크기로 생성된 원환체 형태의 홈에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060) 이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의 경우 각막실질이 아닌, 각막상피와 보우만막에 홈을 생성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후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제거할 경우, 각막상피는 원 상태로 복원되는 성질을 갖는 바, 각막실질에 홈을 생성한 경우에 비하여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제거하는 과정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즉 각막실질에 삽입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제거할 경우, 각막실질은 복원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바, 절개 부분(홈, 예: 도 10d의 H)과 절개되지 않은 부위(예: 도 10d의 Q1, Q2)의 높이를 일치시켜주는 추가 절개과정(예: 도 10d의 H와 Q1, Q2의 높이를 일치시키기 위해 H를 제외한 부분을 H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절개)이 필요할 수 있는데, 각막상피를 절개한 경우에는 그러한 추가 절개과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만,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단계 1020, 1050)와 달리,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 및/또는 원환체 형태의 홈은 각막실질, 보우만막을 거쳐 각막실질까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1110).
이때 단계(S1110)은 도 8의 단계(S810) 및/또는 도 9의 단계(S910, S92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할 수 있다(S1120). 도 11b에는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상부 각막실질(1140)과 하부 각막실질(1150)의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레이저(예: 펨토초레이저), 미세각막절삭기(예: 마이크로케라톰) 등을 이용하여,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할 수 있다.
단계(S1120)이 수행되기 전에, 환자의 눈꺼풀과 주변을 소독하는 단계 및/또는 스팩큐럼으로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등의 전처리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1130).
이때,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 예컨대 도 11b의 화살표 위치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130) 이후,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봉합하는 단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 등이 후행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한 후 그 사이에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하는 경우, 별도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 및/또는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할 필요가 없어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이 더 용이하고 편리할 수 있다. 또한 각막실질에 홈을 생성하는 과정, 즉 각막실질의 일부를 파내는 과정이 아닌 바, 복원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 각막실질을 최소한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추가적으로, 삽입하였던 망사링의 제거시에도 수평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한 후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적출할 수 있어 그 제거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1210). 이때 단계(S1210)은 도 8의 단계(S810) 및/또는 도 9의 단계(S910, S92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할 수 있다(S1220). 이때 단계(S1220)은 도 11a의 단계(S1120) 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하부 각막실질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할 수 있다(S1230). 이때 하부 각막실질의 홈은 레이저(laser)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즉,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예: 곡률, 크기,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등)와 일치되는 형태를 갖도록 홈을 생성하고 그에 맞도록 삽입함으로써, 삽입 후 안구 삽입용 부재가 융기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1240).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홈과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는 동일하므로, 생성된 홈에 안구 삽입용 부재를 끼워 넣는 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240) 이후,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봉합하는 단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 등이 후행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1250). 단계(S1250)은 도 8의 단계(S810) 및/또는 도 9의 단계(S910, S92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할 수 있다(S1260). 단계(S1260)은 이때 도 11a의 단계(S1120) 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하부 각막실질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할 수 있다(S1270). 이때 원환체 형태는 일반적인 원환체 형태, 타원 원환체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각막실질의 홈은 레이저(laser) 등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되는 원환체 형태의 홈은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큰 크기로 생성될 수 있다. 도 12a에서와 달리 도 12b에서는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함으로써 더욱 편리하게 각막의 일부를 절개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1280). 이때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보다 더 큰 크기로 생성된 원환체 형태의 홈에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경우, 양분된 각막실질 중 하부실질에 홈(예: 안구 삽입용 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홈 또는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가 추가됨으로써 도 11a 및 도 11b에 비하여 삽입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융기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3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안구 삽입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할 수 있다(S1310).
이때 단계(S1310)은 도 8의 단계(S810) 및/또는 도 9의 단계(S910, S920)과 동일한 단계를 의미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분을 생성할 수 있다(S1320).
이때 단계(S1320)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하부 각막실질에 홈을 생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각막실질에 홈을 생성하는 단계는 하부 각막실질에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하부 각막실질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320)은 레이저(예: 펨토초레이저), 미세각막절삭기(예: 마이크로케라톰)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S1320)이 수행되기 전에, 환자의 눈꺼풀과 주변을 소독하는 단계 및/또는 스팩큐럼으로 윗 눈꺼풀과 아래 눈꺼풀을 벌려서 고정시키는 단계 등의 전처리 단계가 선행될 수 있다.
이어서,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절개부분에 삽입할 수 있다(S133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때 안구 삽입용 부재는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에 삽입되거나, 하부 각막실질에 형성된 안구 삽입용 부재와 동일한 형태의 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하부 각막실질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절개부분을 봉합할 수 있다(S1340).
이때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봉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재(suture) 등을 이용하여 상부 각막실질고 하부 각막실질을 압착할 수 있다.
단계(S1340) 이후, 각막상피가 회복될 동안 각막을 보호할 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키는 단계가 후행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의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단계들은, 인간에 의해 수행되거나 및/또는 자동화된 의료장비, 안구 삽입용 장비, 수술 로봇 등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각막의 일부를 둘러싸며,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되는 안구 삽입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 acrylate, PMMA),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stainless) 중 적어도 하나인 안구 삽입용 부재.
  4. 각막의 일부를 둘러싸며,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은, 서로 같은 이심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타원들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되는 안구 삽입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안구 삽입용 부재.
  7.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상기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는,
    각막의 일부를 둘러싸며,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동심원들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상기 절개 부분의 곡률을 포함하는 각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 중에서, 상기 파악된 각막상태에 상응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1 세트의 각 안구 삽입용 부재들은,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상기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상기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거리, 상기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상기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 및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Toric)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상기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에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각막실질에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부 각막실질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상기 절개부분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를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 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8.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상기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는,
    중심이 동일한 복수의 링을 포함하는 링 집합체 및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링은, 서로 같은 이심률을 가지며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타원들의 형상을 갖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각막에 삽입할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가 삽입될 상기 절개 부분의 곡률을 포함하는 각막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 중에서, 상기 파악된 각막상태에 상응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의 제2 세트의 각 안구 삽입용 부재들은,
    각 안구 삽입용 부재의 곡률, 각 안구 삽입용 부재가 포함하는 복수의 링들의 이심률, 상기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소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최소거리, 상기 중심으로부터 복수의 링 중 최대 크기를 갖는 링 까지의 최소거리, 상기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 상기 복수의 링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지 여부 및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의 유무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상이한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상피 및 보우만막 중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위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막의 구성 조직 중,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여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를 상기 절개 부분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에 상기 안구 삽입용 부재를 삽입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실질을 수평 방향의 일직선으로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각막실질에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상기 하부 각막실질에 소정 크기의 원환체 형태의 홈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안구 삽입용 부재가 상기 절개부분에 삽입된 후, 상기 상부 각막실질과 하부 각막실질 사이를 봉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각각은, 상기 중심을 기준으로 인접한 연결부재와동일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배치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되는 보조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링의 재질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금, 합금, 백금, 티타늄 및 스테인레스 중 적어도 하나인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KR1020220060908A 2022-05-18 2022-05-18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KR20230161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08A KR20230161194A (ko) 2022-05-18 2022-05-18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PCT/KR2022/013394 WO2023224173A1 (ko) 2022-05-18 2022-09-06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908A KR20230161194A (ko) 2022-05-18 2022-05-18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194A true KR20230161194A (ko) 2023-11-27

Family

ID=88835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908A KR20230161194A (ko) 2022-05-18 2022-05-18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1194A (ko)
WO (1) WO20232241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3371999A (en) * 1998-03-30 1999-10-18 Microoptix, Llc Apparatus for adjusting corneal curvature using multiple removable corneal implants
KR100363970B1 (ko) * 2000-06-09 2002-12-12 정영택 각막 그라프트 링
MX2008011680A (es) * 2006-03-16 2008-12-10 Daxer Albert Implante de cornea.
US20090306773A1 (en) * 2008-06-04 2009-12-10 Acufocus, Inc. Opaque corneal insert for refractive correction
EP4108216A1 (en) * 2009-06-03 2022-12-28 Forsight Vision5, Inc. Anterior segment drug deliv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4173A1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1371B2 (en) Intraocular lens with elastic mask
US6508837B1 (en) Segmented pre-formed intrastromal corneal insert
JP4511533B2 (ja) 眼内レンズ機構
JP6270739B2 (ja) モジュール式眼内レンズの設計および方法
US5391201A (en) Method of using a corneal ring inlay
US5323788A (en) Overlapping split ring device for corneal curvature adjustment
JP2020006184A (ja) 人工カプセルデバイス、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4718906A (en) Intraocular lens
KR20200018426A (ko) 동적 눈물 렌즈
JP2016165465A (ja) 視力を矯正する角膜インレー設計および方法
EP0105929A1 (en) LENS IMPLANT FOR THE REAR EYE.
AU3713400A (en) A universal implant blank for modifying corneal curvature and methods of modifying corneal curvature therewith
AU721590B2 (en) Segmented intrastromal corneal insert for altering corneal refractive properties and methods thereof
JP2001501520A (ja) 軟質レンズと硬質円形単一ワナの眼球内インプラント
JP2018130568A (ja) 眼内レンズにおける光効果を低減するための縁部設計
KR20230161194A (ko) 안구 삽입용 부재 및 안구 삽입용 부재의 삽입 방법
US11406531B1 (en) Method for the amelioration of ectatic and irregular corneal disorders
Saleem Combined cross-linking with femtosecond laser myoring implantation versus combined cross-linking with femtosecond laser keraring implantation in the treatment of keratoconus
JP2014512878A (ja) 人間の目の角膜を集束パルスレーザー放射で切開する装置及び方法
KR101928943B1 (ko) 헤파린이 표면 처리된 단차형 홍채 차단막
US20230375858A1 (en) Contact lens in which basically centric part comprises empty space, and method for wearing the same
Krumeich et al. Femtosecond Circular Keratotomy in Stage I and II Keratoconus
AU727908B2 (en) Segmented pre-formed intrastromal corneal insert
AU687859C (en) Segmented preformed intrastromal corneal insert
Arshinoff Suffering & pain lead to crea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