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038A -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 Google Patents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038A
KR20230161038A KR1020220060557A KR20220060557A KR20230161038A KR 20230161038 A KR20230161038 A KR 20230161038A KR 1020220060557 A KR1020220060557 A KR 1020220060557A KR 20220060557 A KR20220060557 A KR 20220060557A KR 20230161038 A KR20230161038 A KR 20230161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unit
vehicle
multipurpose
mil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향제
Original Assignee
이향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제 filed Critical 이향제
Priority to KR102022006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1038A/ko
Publication of KR20230161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0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F41H7/02Land vehicles with enclosing armour,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3/00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 B64F3/02Ground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captive aircraft with means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aircraft during f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30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al power
    • B64U50/34In-flight charg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B64U2201/202Remote controls using tethers for connecting to ground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차량과, 차량 외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기를 구비한 다목적 드론과, 상기 차량으로부터 다목적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목적 드론 일측에는, 부력을 발생하여 다목적 드론의 침수를 방지하는 부력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Military vehicle equipped with multi-purpose drone}
본 발명은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군용차에 관한 것으로, 접근하는 미사일 등을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연동하여 공중에서 폭파시키는 요격유닛을 다목적 드론에 구비함으로써 군용차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목적 드론과 군용차가 연결된 연결유닛을 구비하되,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군용차 내부에 외부 공기를 순환하는 공기순환라인을 구비하여 도하(渡河) 및 잠수시 드론을 통한 외부 감시 및 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목적 드론에 부력유닛을 구비하여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하 및 잠수시 제어가 용이하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목적 드론 일측에 부상유닛을 구비하고, 부상유닛은 감지유닛의 신호 감지여부로 작동하여 요격유닛을 공중으로 부양시킴으로써 요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요격유닛 테두리부에 방탄몸체를 구비하여 적의 실탄으로 인한 요격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 관한 것이다.
탱크나 장갑차와 같은 군용차는 전시 상황에서, 지면, 공중 및 해상으로부터 공격 대상이 되어 위협을 받기 쉽다. 따라서 군용차는 가능한 추적과 식별이 어렵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목적으로 위장을 하게 된다.
그러나 항공기는 레이더나 전기광학센서 적외선센서 등을 갖추어 군용차를 쉽게 추적 및 식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쉬운 타깃이 될 수 있으며, 군용차의 지붕 부위는 차체 무게 감량을 위해 다른 부위보다 얇은 두께의 장갑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부에 미사일 등이 타격하게 되면 탑승자에게 치명상을 입히게 되며, 군용차의 운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3416호에는 도 1과 같이 보호대상물(11)에 기존의 부품을 저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레이더 유도 시스템을 구비하고, 이 시스템은 보호대상물(11)과 발사 컨테이너(15)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없고, 공간 감시 및 목표물 추적 장치가 대상물에 고정된 발사 컨테이너의 하부 구조(14) 상에 제공되며, 평면형 안테나(20)가 목표물 추적 레이더(19)에 정보를 전송하여 발사 컨테이너(15)의 방향을 직접 정하고 미사일(12)의 접근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 대상물의 자기 방어용 레이더 장치를 보인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의 종래기술은 포탄(16)을 발사하여 미사일(12)을 격추시키는 구조로서 정확도가 낮아 보호대상물(11)을 보호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923호에는 도 2와 같이 적의 미사일이나 포탄, 총알을 레이더나 광학 탐지기 등 탐지 장치로 방향, 각도, 속도 등을 알아내고 그에 따라 로봇팔 방패(2)가 움직여 적탄을 막아내고, 방패가 손상되면 새 방패로 교체할 수 있는 로봇팔 방패 방어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2의 종래기술은 방패(2)가 미사일을 막아내더라도 로봇팔(1) 및 차량에 폭발력이 전달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1차폭발로 장애물을 없애고 2차폭발로 실질적인 피해를 줄 수 있도록 한 이중탄두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이중탄두가 군용차의 상부를 타격하게 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기술로는 막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군용차에는 작전시에 하천이나 강을 도하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륙양용차량이 다수 개발되어 있으며, 예컨대 중국 출원번호 201710162520호에는 도 3과 같이 조종실(2)의 상단에 신축식 공기 실린더(8) 공개특허 제를 설치 가능한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기 실린더(8)는 큰 부피와 무게를 차지하게 되어 기동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적에게 쉽게 노출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신축식이긴 하나 조종실(2) 상단에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및 해체 작업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접근하는 미사일 등을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연동하여 공중에서 폭파시키는 요격유닛을 다목적 유닛에 구비함으로써 군용차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다목적 드론과 군용차가 연결된 연결유닛을 구비하되,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군용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로 순환하는 공기순환라인을 구비하여 도하 및 잠수시 드론을 통한 외부 감시 및 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목적 드론에 부력유닛을 구비하여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하 및 잠수시 제어가 용이하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목적 드론 일측에 부상유닛을 구비하고, 부상유닛은 감지유닛의 신호 감지여부로 작동하여 요격유닛을 공중으로 부양시킴으로써 요격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요격유닛 테두리부에 방탄몸체를 구비하여 적의 실탄으로 인한 요격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차량과, 차량 외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기를 구비한 다목적 드론과, 상기 차량으로부터 다목적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목적 드론 일측에는, 부력을 발생하여 다목적 드론의 침수를 방지하는 부력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다목적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순환하기 위한 공기순환라인과, 상기 다목적 드론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순환라인은, 상기 다목적 드론을 경유한 외부 공기를 차량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목적 드론 일측에는, 상기 차량 상측의 비행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공중으로 탄을 발사하여 비행물체를 요격하는 요격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격유닛은, 탄을 내장한 폭발물과, 상기 폭발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는 다목적 드론에 결합된 방탄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탄몸체의 수용공간은 상방향으로 내부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격유닛은 부상유닛에 의해 공중 부양된 상태에서 폭발물이 폭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상유닛 일측에는 요격유닛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접근하는 미사일 등을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연동하여 공중에서 폭파시키는 요격유닛을 다목적 유닛에 구비하였다.
따라서 군용차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다목적 드론과 군용차가 연결된 연결유닛을 구비하되,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군용차 내부의 공기와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라인을 구비하여 도하 및 잠수시 드론을 통한 외부 감시 및 공기 공급이 가능하므로 적에게 노출되지 않고 장시간 수중에서 작전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다목적 드론에 부력유닛을 구비하여 수면에 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하 및 잠수시 제어가 용이하고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다목적 드론 일측에 부상유닛을 구비하고, 부상유닛은 감지유닛의 신호 감지여부로 작동하여 요격유닛을 공중으로 부양시킴으로써 요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요격유닛 테두리부에 방탄몸체를 구비하여 적의 실탄으로 인한 요격유닛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3416호에 개시된 대상물의 자기 방어용 레이더 장치를 보인 개략도.
도 2 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38923호에 개시된 로봇팔 방패 방어 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
도 3 은 중국 출원번호 201710162520호에 개시된 탱크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요부 구성인 다목적 드론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요부 구성인 다목적 드론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5의 "A"부 부분 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일 구성인 요격유닛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일 구성인 요격유닛의 작용을 보인 개요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일 구성인 요격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개요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일 구성인 연결유닛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에서 일 구성인 연결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가 잠수중인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13 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가 도하(渡河)시 다목적 드론의 사용예를 보인 개요도.
이하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이하 '군용차(100)'라 칭함)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군용차(100)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량(120)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여 피격을 방지하고 도하(渡河)시 차량(12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군용차(100)는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며 주행 가능한 차량(120)과, 상기 차량(120) 외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기(도 5의 도면부호 149 참조)를 구비한 다목적 드론(140)과, 상기 차량(120)으로부터 다목적 드론(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군용차(100)는 전시상황에서 차량(120) 주변 상공에 위치하는 미사일, 적기 등의 비행물체(10)를 감지시에 공중으로 탄(도 8의 도면부호 141 참조)을 발사하여 비행물체(10)를 요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군용차(100)는 다목적 드론(140)에 부력유닛(142)을 구비하여 다목적 드론(140)이 수면에 떠있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프로펠러 소음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수면에 가까운 위상을 가짐으로써 적에게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다목적 드론(14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에서 요부 구성인 다목적 드론(140)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에서 요부 구성인 다목적 드론(140)의 세부 구조를 보인 도 5의 "A"부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차량(120)과는 연결유닛(160)으로 연결되어 있어, 전원을 공급받고, 차량(120) 내부에서 제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목적 드론(140)의 하부에는 부력유닛(142)이 구비된다.
상기 부력유닛(142)은 부력을 발생하여 다목적 드론(140)이 침수되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다목적 드론(140)을 수면에 띄워 지지함으로써 프로펠러를 가동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공중의 비행물체(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상기 다목적 드론(140)의 상부에는 차량(120) 상측의 비행물체(10)를 감지하는 감지유닛(143)과, 상기 감지유닛(143)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공중으로 탄(141)을 발사하여 비행물체(10)를 요격하는 요격유닛(145) 및 전술한 촬상기(1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유닛(143)은 차량(120)으로부터 연결유닛(16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상태에서는 상시 공중을 감시하도록 작용하며, 차량(120) 상측에 전투기나 미사일 등이 감지되는 경우 욧격유닛에 이러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유닛(143)은 다양한 방식으로 비행물체(10)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동작감지센서, 근접센서, 적외선센서, 열감지센서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 요격유닛(145)은 감지유닛(143)과 연동하여 비행물체(10)를 실제 요격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120)으로부터 다목적 드론(14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탄(도 8의 도면부호 141 참조)을 발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요격유닛(145)은 탄(141)을 내장한 폭발물(146)과, 상기 폭발물(146)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48)을 구비하면서 하부가 다목적 드론(140)에 고정된 방탄몸체(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폭발물(146)은 크레이모어(claymore)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화약과 탄(14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화약이 폭발시 발생한 폭발력으로 다수의 탄(141)이 발사되는 구조가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폭발물(146)은 연결유닛(1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되 감지유닛(143)이 비행물체(10)를 감지하였을 때 폭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탄몸체(147)는 수용공간(148)이 상방향으로 개구되어 폭발물(146)을 수용하며, 상기 수용공간(148)은 상방향으로 내부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를 가진다.
이것은 수용공간(148)에 수용되어 있는 폭발물(146)이 폭발하여 탄(141)이 발사되었을 때 넓은 공중 영역에 대하여 방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방탄몸체(147)의 상단부는 폭발물(146)을 모두 수용하더라도 수용공간(148)에 여유가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측방에서 실탄이 날아오더라도 폭발물(146)은 방탄몸체(147)에 의해 폭발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요격유닛(145)은 방탄몸체(147)를 다목적 드론(14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탄(141)을 발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요격유닛(145)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에서 일 구성인 요격유닛(145)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에서 일 구성인 요격유닛(145)의 작용을 보인 개요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요격유닛(145)은 수용공간(148) 내부에 감지유닛(143)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유닛(143)은 폭발물(146) 상측에 위치하게 되며 연결유닛(160)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상시 동작하게 된다.
상기 방탄몸체(147)의 하측에는 부상유닛(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상유닛(150)은 유압 또는 공압에의해 요격유닛(145)을 일정 높이만큼 부양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폭발물(146)이 폭발하였을 때 후폭풍으로 인한 다목적 드론(140) 및 차량(120)의 직접적인 데미지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과 같이 공중에 비행물체(10)가 감지될 시에 요격유닛(145)은 부상유닛(150)에 의해 공중으로 부양된 후 탄(141)을 발사하게 되는데, 이때 폭발물(146)의 폭발력은 방탄몸체(147)에도 미치게 되며, 만일 요격유닛(145)이 부상유닛(150)과 접촉한 상태라면 다목적 드론(140)에도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상유닛(150)의 작용으로 인해 상기 요격유닛(145)은 공중에 띄워진 상태로 탄(141)을 발사하게 되면, 이러한 충격을 차단한 요격유닛(145)의 방탄몸체(147)는 경우에 따라서는 미처 요격하지 못한 미사일 등의 비행물체(10)와 충돌하여 요격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부상유닛(150)에는 이탈방지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52)는 차량(120)이 산악과 같은 험로를 주행시에 요격유닛(145)이 부상유닛(15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축하는 실린더를 적용하여 요격유닛(145)의 하부를 구속함으로써 구현 가능하며, 상기 감지유닛(143)이 감지시에는 부상유닛(150)이 요격유닛(145)을 부상시키기 전에 이탈방지부(152)가 구속을 해지하도록 작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격유닛(145)은 도 9와 같이 작고 많은 수의 탄(141) 형태가 아닌 미사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연결유닛(16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에서 일 구성인 연결유닛(160)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에서 일 구성인 연결유닛(160)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연결유닛(160)은 차량(120)의 내부와 다목적 드론(140)의 일측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다목적 드론(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다목적 드론(140)에 전원을 공급하며, 다목적 드론(140)을 경유한 공기를 차량(120)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유닛(160)은, 상기 다목적 드론(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162)과, 상기 차량(120)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순환하기 위한 공기순환라인(165)과, 상기 다목적 드론(14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라인(1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라인(162)은 차량(120)이 다목적 드론(140)에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어 충전 등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라인(165)은 차량(120)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차량(120)이 도하(渡河) 또는 잠수시에 내부 공기를 외부 공기와 순환시켜 장시간 작전 수행이 가능하도록 돕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순환라인(165)은 도 11과 같이 상기 다목적 들농르 경유한 오비 공기를 차량(120)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관(166)과, 상기 차량(1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167)을 포함하여 구성하도록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라인(168)은 차량(120) 내부의 탑승자가 다목적 드론(140)을 조종하면서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촬상기(149)가 촬상한 영상 등은 제어라인(168)을 통해 차량(120) 내부로 송신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군용차(100)가 도하 또는 잠수시 다목적 드론(140)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가 잠수중인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드론(140)을 구비한 군용차(100)가 도하(渡河)시 다목적 드론(140)의 사용예를 보인 개요도이다.
우선 도 12와 같이 상기 차량(120)이 수중으로 들어가는 경우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연결유닛(160)에 의해 차량(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전원을 공급받아 활공할 수 있으며, 촬상기(149)로 주변 환경을 촬상하여 차량(120) 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공기순환라인(165)을 통해 차량(120) 내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탑승자는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잠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적으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도 12와 같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다목적 드론(140)은 프로펠러의 동작을 정지시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여 노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다목적 드론(140)은 비행하지 못하고 낙하하게 되는데, 상기 부력유닛(142)은 다목적 드론(140)에 부력을 제공하여 수면위에 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게 된다.
물론 상기 연결유닛(160)은 수면 아래에 위치한 차량(120) 내부와, 수면 상측을 연통하는 공기순환라인(165)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량(12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유닛(143)은 상시 동작하여 비행물체(10)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며, 상기 요격유닛(145)은 감지유닛(143)의 비행물체(10) 감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피격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비행물체 100. 군용차
120. 차량 140. 다목적 드론
141. 탄 142. 부력유닛
143. 감지유닛 145. 요격유닛
146. 폭발물 147. 방탄몸체
148. 수용공간 149. 촬상기
150. 부상유닛 152. 이탈방지부
160. 연결유닛 162. 전원공급라인
165. 공기순환라인 166. 공급관
167. 배기관 168. 제어라인

Claims (9)

  1.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차량과,
    차량 외부 상황을 촬상하는 촬상기를 구비한 다목적 드론과,
    상기 차량으로부터 다목적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드론 일측에는,
    부력을 발생하여 다목적 드론의 침수를 방지하는 부력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다목적 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 공기와 순환하기 위한 공기순환라인과,
    상기 다목적 드론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순환라인은,
    상기 다목적 드론을 경유한 외부 공기를 차량 내부로 안내하는 공급관과,
    상기 차량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목적 드론 일측에는,
    상기 차량 상측의 비행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과,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공중으로 탄을 발사하여 비행물체를 요격하는 요격유닛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격유닛은,
    탄을 내장한 폭발물과,
    상기 폭발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하부는 다목적 드론에 결합된 방탄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탄몸체의 수용공간은 상방향으로 내부 크기가 증가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격유닛은 부상유닛에 의해 공중 부양된 상태에서 폭발물이 폭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유닛 일측에는 요격유닛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이탈방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KR1020220060557A 2022-05-18 2022-05-18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KR20230161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57A KR20230161038A (ko) 2022-05-18 2022-05-18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557A KR20230161038A (ko) 2022-05-18 2022-05-18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038A true KR20230161038A (ko) 2023-11-27

Family

ID=8896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557A KR20230161038A (ko) 2022-05-18 2022-05-18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0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858B2 (en) Projectile-deployed countermeasure system
US84649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untering an incoming threat
US5400688A (en) Missile defense system
US6957602B1 (en) Parachute active protection apparatus
RU2628351C1 (ru) Противотанковая мина "Стрекоза-М"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с зависанием и переворачиванием в воздухе, разведки, нейтрализации и поражения мобильных бронированных целей
US11279455B1 (en) Countermeasures apparatus and method
US5677506A (en) Submarine extendible turret system
RU2658517C2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БМОП
RU2527610C2 (ru) Двухступенчатая противотанковая управляемая ракета
US20100024708A1 (en) Submarine short-range defense system
KR20230161038A (ko) 다목적 드론을 구비한 군용차
RU2413156C1 (ru) Противовоздушный (противокорабельный) автономный универсальный комплекс позиционный подводный управляемый ("паук" ппу)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20220097843A1 (en) Incoming threa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RU2680919C1 (ru) Мобильное ак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различных объектов от беспилотных управляемых самодвижущихся средств поражения
RU105422U1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US7503259B2 (en) Anti-submarine warfare cluster munitions and cluster depth charges
RU70359U1 (ru) Разведывательно-огневой комплекс вооружения танка
US118029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warfare obscuration and suppression of enemy defenses
RU2714274C2 (ru) Крылатая ракета с автономным необитаемым подводным аппаратом-миной
KR20230136721A (ko) 군용차 상부 방어장치
US8424444B2 (en) Countermeasure systems including pyrotechnically-gimbaled targeting units and methods for equipping vehicles with the same
RU2562008C1 (ru) Способ применения мины
GB2232748A (en) Remotely controllable aircraft
US6923105B1 (en) Gun-armed countermeasure
RU2754162C1 (ru) Противоторпе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