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986A - Wheel stopper - Google Patents

Wheel sto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986A
KR20230160986A KR1020220060003A KR20220060003A KR20230160986A KR 20230160986 A KR20230160986 A KR 20230160986A KR 1020220060003 A KR1020220060003 A KR 1020220060003A KR 20220060003 A KR20220060003 A KR 20220060003A KR 20230160986 A KR20230160986 A KR 20230160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wheel
upper body
stopp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0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태현
조배성
Original Assignee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산신항국제터미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0986A/en
Publication of KR20230160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9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02Scotch blocks, skids, or like track-engaging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휠 스토퍼는 레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설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본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레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원호 형상의 휠 지지면이 구비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을 통해 삽입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각각의 외측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stopper. The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a rail, and the first body portion facing the first body portion at a set distance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 stopper body including a second main bod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wherei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provided with an arc-shaped wheel support surface, and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inserted through the facing gap, and each end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fixed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Description

휠 스토퍼{WHEEL STOPPER}Wheel stopper {WHEEL STOPPER}

본 발명은 휠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의 가압 시 볼트의 인장 및 압축에 의해 스토퍼 본체의 하단이 레일을 향해 오므려지도록 변형되어 레일에 강하게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 휠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stopp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wheel stopp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rail by the tension and compression of the bolt when the wheel is pressed, and is strongly supported by the rail. .

레일 상에서 운행되는 이동장비는 특정 장소에 설치된 레일에 일정시간 정차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이동장비는 열차, 및 다양한 하역장비 등을 포함한다.Mobile equipment that runs on rails may stop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n rails installed in specific locations. Here, mobile equipment includes trains and various unloading equipment.

특히, 하역장비는 제철소 및 조선소 등과 같은 중공업 분야에서 공장 또는 부두에 쌓여 있는 중량의 화물 등을 운반 및 하역시키는 장비를 말한다. 예를 들어, 하역장비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중량의 화물을 이송 및 하역하는데, 천장 크레인(Overhead crane),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브릿지 크레인(Bridge crane) 등의 다양한 장치를 포함한다. In particular, unloading equipment refers to equipment that transports and unloads heavy cargo piled up in factories or docks in heavy industries such as steel mills and shipyards. For example, unloading equipment transports and unloads heavy cargo while moving along rails, and includes various devices such as overhead cranes, gantry cranes, and bridge cranes.

레일 상에서 운행되는 이동장비들은 거의 공통적으로 설정된 방향을 따라 레일 위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작업상의 필요에 따라 일정 위치에 이동장비를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Mobile equipment that runs on rails can almost move stably on rails along a set direction,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separate fixing means are not provided to fix the mobile equipment in a certain position according to work needs.

기존의 경우, 이동장비의 레일 상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이동장비의 휠에 스토퍼를 밀착시켜 휠의 주행을 차단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In the existing case, in order to prevent movement of mobile equipment on rails, a method of blocking the running of the wheel by attaching a stopper to the wheel of the mobile equipment was mainly used.

도 1은 일반적인 기존의 휠 스토퍼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기존의 휠 스토퍼에 휠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general existing wheel stopper, and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 being supported on an existing wheel stopper.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휠 스토퍼(1)는 레일(2)의 상부에서 일정 위치에 설치되며, 이동장비(미도시)의 휠(3)을 지지하여 이동장비(미도시)의 이동을 차단한다.As shown, the existing wheel stopper (1) is installed at a certain position on the upper part of the rail (2) and supports the wheel (3) of the mobile equipment (not shown)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mobile equipment (not shown). do.

기존의 휠 스토퍼(1)는 스토퍼 본체(10)를 포함한다. 스토퍼 본체(10)는 레일(2)을 감싸며 지지하는 스토퍼 본체 하단부(11)와, 스토퍼 본체 하단부(11)와 일체로 이루어져 레일(2)의 상부로 돌출되어 휠(3)의 주행, 즉 회전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 본체 상단부(12)를 포함한다. 다만, 스토퍼 본체 하단부(11)가 레일(2)에 고정되는 힘, 즉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강하지 못할 경우, 휠(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The existing wheel stopper (1) includes a stopper body (10). The stopper body 10 is integrated with the lower part 11 of the stopper body, which surrounds and supports the rail 2, and the lower part 11 of the stopper body, and protrudes to the upper part of the rail 2 to enable the running, that is, rotating, of the wheel 3. It includes an upper part (12) of the stopper body that blocks movement. However, if the force by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11) is fixed to the rail (2), that is, the clamping force (clamping force) is not strong, the wheel (3) cannot be stably supported, which may cause a serious accident.

따라서, 휠 스토퍼(1)가 레일(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청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y that can improve clamping force so that the wheel stopper 1 is stably fixed to the rail 2.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097호에는 철도차량용 차륜고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개시된 선행기술에 따르면, 차륜지지부가 차륜(즉, 휠)을 고정하는데, 마그넷이 내측에 설치되어 마그넷의 자력으로 차륜의 고정시키는 힘을 증가시켰다. 그런데 종래의 선행기술에 따르면 마그넷의 자력이 스토퍼의 위치 변경 시에도 작용하여 스토퍼를 이동할 때 큰 힘이 필요하게 되며, 작업자의 수고를 증가시키는 단점이 있다. As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45097 discloses a wheel fixing device for a railroad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sclosed herein, the wheel support portion fixes the wheel (i.e., wheel), and a magnet is installed inside to increase the force of fixing the wheel with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acts even when the position of the stopper is changed, so a large amount of force is required to move the stopper,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operator's effor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5097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45097

본 발명의 목적은 휠의 가압 시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을 향해 오므려지는 구조를 유도하여 별도의 고정력 강화 수단(예: 마그넷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레일에 강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증가하는 구조를 갖는 휠 스토퍼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duc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rail when the wheel is pressed, to provide a clamping force that strongly supports the rail even without using a separate means of strengthening the fixing force (e.g., magnet, etc.). A wheel stopper having an increasing structure is provided.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휠의 가압 시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을 향해 오므려지는 구조를 유도하여 별도의 고정력 강화 수단(예: 마그넷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레일에 강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증가하는 구조를 갖는 휠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heel is pressed,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rail, thereby creating a clamping force that strongly supports the rail even without using a separate fixing force strengthening means (e.g., magnet, etc.). A wheel stopper having a structure that increases force can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휠 스토퍼는, 레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설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본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레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원호 형상의 휠 지지면이 구비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을 통해 일정길이를 갖도록 가로질러 삽입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각각의 외측에 체결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The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ail, and a second body portion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to face the first body portion at a set interval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 stopper body including two main bodies, wherein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provided with an arc-shaped wheel support surface; and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inserted across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a gap where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face each other, and each end of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respectively. Includes ;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레일의 일측 상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휠 지지면이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1 상단몸체; 상기 제1 상단몸체의 하단부가 상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의 하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상기 레일의 일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하단몸체;를 포함한다. The first body portion has a plate shape disposed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rail, and the wheel support surface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upper body; a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having a plate shape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plate-shaped first low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disposed vertical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ail.

상기 제1 상단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의 상부 면에 연결되는 제1 위치보다 상기 제1 하단몸체의 상단부가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의 하부 면에 연결되는 제2 위치가 레일의 좌우 폭 중심을 기준으로 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단몸체에 마련된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 가압되어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제1 상단몸체는 레일 중심에서 외측으로 하중을 전달하고, 제1 수평연결몸체에 의해 제1 상단몸체의 하부에 연결된 제1 하단몸체는 레일을 향해 오므려져 소정의 클램핑 포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하단몸체가 레일의 일측을 소정의 클램핑 포스로 가압하여 스토퍼 본체는 레일상의 설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first lower body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is higher than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body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It may be formed further out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Accordingly, when the wheel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upper body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upper body transmits the load from the center of the rail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upper body is connected to the first upper body by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The first lower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may be retracted toward the rail to generate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As a result, the first lower body presses one side of the rail with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so that the stopper body can be stably fixed at the set position on the rail.

상기 제1 하단몸체의 내측 면에는 원형 단면의 제1 삽입몸체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삽입몸체는 상기 제1 하단몸체의 내측 면에 연결되며, 레일의 일측 하단에 마련된 오목한 레일 홈에 삽입될 수 있다. A first insertion body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body. The first insertion body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body and can be inserted into a concave rail groove provided at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rail.

제1 상단몸체에 마련된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 가압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하단몸체가 레일의 일측을 큰 하중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1 삽입몸체는 레일의 오목한 레일 홈에 밀착 구속되어 제1 하단몸체와 레일의 일측 사이의 클램핑 포스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삽입몸체는 제1 하단몸체에 구비된 지지가이드부에 의해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단몸체에는 소정 길이의 유동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와 원형 단면의 제1 삽입몸체 사이에는 고강성의 연결체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몸체는 제1 하단몸체가 레일의 타측을 향하여 오므려지며 클램핑 포스가 생성될 때 레일 홈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스토퍼 본체의 고정상태를 강화시킬 수 있다.When the wheel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provided on the first upper body and a large load is applied, and the first lower body presses one side of the rail with a large load, the first insertion body is tightly bound to the concave rail groove of the rail.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and one side of the rail can be further increased. As an example, the position of the first insertion body may be adjusted by a support guide provided on the first lower body. For example, a flow gu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lower body, and a high-rigidity connect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low guide and the first insertion body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ccordingly, the first insertion body can firmly adhere to the rail groove when the first low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rail and a clamping force is generated, thereby strengthening the fixed state of the stopper body.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1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하단몸체와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2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는 제1 본체부보다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상단몸체와 제1 수평연결몸체와 제1 하단몸체 사이의 연결부위에서의 휨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first reinforcement part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In addition,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The first reinforcing portion and the second reinforcing port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superior strength to the first body portion. When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upper body,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the first Work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bending deformation and breakage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bodies.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레일의 타측 상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휠 지지면이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2 상단몸체; 상기 제2 상단몸체의 하단부가 상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2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의 하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상기 레일의 타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2 하단몸체;를 포함한다. The second main body includes a second upper body having a plate shape disposed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and the wheel support surface is located at one end; a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having a plate shape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plate-shaped second low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disposed vertical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ail.

상기 제2 상단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의 상부 면에 연결되는 제3 위치보다 상기 제2 하단몸체의 상단부가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의 하부 면에 연결되는 제4 위치가 레일의 좌우 폭 중심을 기준으로 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단몸체에 마련된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 가압되어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제2 상단몸체는 레일 중심에서 외측으로 하중을 전달하고 제2 수평연결몸체에 의해 제2 상단몸체의 하부에 연결된 제2 하단몸체는 레일을 향해 오므려져 소정의 클램핑 포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하단몸체가 레일의 타측을 소정의 클램핑 포스로 가압하여 스토퍼 본체는 레일상의 설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The fourth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ower body is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is higher than the third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It may be formed further outward based on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Accordingly, when the wheel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provided on the second upper body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second upper body transmits the load from the center of the rail to the outside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upper body by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The second lower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can be retracted toward the rail to generate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As a result, the second lower body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rail with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so that the stopper body can be stably fixed at the set position on the rail.

상기 제2 하단몸체의 내측 면에는 원형 단면의 제2 삽입몸체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삽입몸체는 상기 제2 하단몸체의 내측 면에 연결되며, 레일의 타측 하단에 마련된 오목한 레일 홈에 삽입될 수 있다. A second insertion body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body. The second insertion body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body and can be inserted into a concave rail groo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rail.

제2 상단몸체에 마련된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 가압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2 하단몸체가 레일의 타측을 큰 하중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2 삽입몸체는 레일의 오목한 레일 홈에 밀착 구속되어 제2 하단몸체와 레일의 타 사이의 클램핑 포스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삽입몸체는 제2 하단몸체에 구비된 지지가이드부에 의해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단몸체에는 소정 길이의 유동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와 원형 단면의 제2 삽입몸체 사이에는 고강성의 연결체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삽입몸체는 제2 하단몸체가 레일의 타측을 향하여 오므려지며 클램핑 포스가 생성될 때 레일 홈에 견고하게 밀착되어 스토퍼 본체의 고정상태를 강화시킬 수 있다.When the wheel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provided on the second upper body and a large load is applied, and the second lower body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rail with a large load, the second insertion body is closely bound to the concave rail groove of the rail.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second lower body and the rudder of the rail can be further increased. As an example, the position of the second insertion body may be adjusted by a support guide provided in the second lower body. For example, a flow gu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lower body, and a high-rigidity connector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low guide and the second insertion body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insertion body can firmly adhere to the rail groove when the second low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other side of the rail and a clamping force is generated, thereby strengthening the fixed state of the stopper body.

상기 제2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1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단몸체와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2 보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보강부 및 제2 보강부는 제2 본체부보다 강도가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2 상단몸체와 제2 수평연결몸체와 제2 하단몸체 사이의 연결부위에서의 휨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 first reinforcement part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In addition,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ower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The first reinforcing part and the second reinforcing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superior strength than the second main body part. When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second upper body,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part. Work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bending deformation and breakage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wer bodies.

상기 제1 상단몸체 및 상기 제2 상단몸체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1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단몸체 및 상기 제2 하단몸체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2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first gap therebetween, and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 second gap. They can be placed facing each other with the arms in between.

제1 간격부는 제2 간격부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부와 제2 간격부의 길이의 비는 1:1.1~1.5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단몸체 및 제2 상단몸체 각각의 일단부에 위치한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상단몸체 및 제2 상단몸체 사이의 제1 간격부에서는 레일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힘을 받으며, 제1 하단몸체 및 제2 하단몸체 사이의 제2 간격부에서는 레일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므려지도록 힘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제1 하단몸체 및 제2 하단몸체는 레일의 양측을 강하게 밀어주어 스토퍼 본체가 레일의 설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클램핑 포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first gap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gap.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first gap and the second gap may be set within the range of 1:1.1 to 1.5. Accordingly, when the wheel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locat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rail is in the first gap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It receives force to spread outward, and in the second gap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it receives force to retract toward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As a result,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can strongly push both sides of the rail to generate a clamping force that secures the stopper body to the set position of the rail.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는, 상기 레일의 일측 상부 면을 덮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는, 상기 레일의 타측 상부 면을 덮도록 수평 배치되며,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 각각의 내측단부는 상기 레일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is horizontally arranged to cover one upper surface of the rail,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is horizontally arranged to cover the other upper surface of the rail, wherein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the The inner ends of each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ies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 각각의 내측단부 사이에는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수평연결몸체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갭부가 형성될 수 있다. A gap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inner ends of each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to space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and the horizontal connection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갭부는 제1 상단몸체 및 제2 상단몸체 각각의 일단부에 위치한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상단몸체 및 제2 상단몸체가 레일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해주며, 상기 갭부의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제1 하단몸체 및 제2 하단몸체는 레일의 양측을 향하여 오므려지도록 해준다. 만일 갭부가 구비되지 않고, 제1 수평연결몸체와 제2 수평연결몸체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될 경우 클램핑 포스의 생성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갭부는 클램핑 포스의 생성을 위해 필요하다. The gap portion allows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to spread to the outside of the rail when the wheel contacts the wheel support surface locat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nd a large load is applied. , with the position of the gap portion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are retracted toward both sides of the rail. If the gap portion is not provided and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are connected in an integrated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 clamping force. Therefore, the gap portion is necessary for generating clamping force.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may be connect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사이에서 제1 높이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사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t intervals at a first height;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t intervals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상기 제1 연결부는 제2 연결부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number of first connection parts may be less than tha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s.

예를 들어, 제1 연결부는 2개이고, 제2 연결부는 3개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re may be two first connection parts and three second connection parts.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간격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상단몸체의 내부 면과 상기 제2 상단몸체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연결몸체; 및 상기 내측연결몸체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각각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외측연결몸체;를 포함한다.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n inner connection body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p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body; and an outer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and protruding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each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상기 내측연결몸체는 제1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외측연결몸체는 상기 내측연결몸체의 단면보다 축소되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질 수 가질 수 있다. The inner connecting body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first diameter, and the outer connecting body may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by being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연결몸체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상단몸체의 외부 면과 상기 제2 상단몸체의 외부 면 각각에 밀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screw part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ng body, and a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screw part an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body.

내측연결몸체는 제1 간격부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내측연결몸체의 양단과 제1 상단몸체, 제2 상단몸체의 내부 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의 체결 정도 및 조임 강도에 따라 생성되는 클램핑 포스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The inner connecting body may have a length shorter than the first gap, and a predetermined gap may be provided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The clamping force generated can be fin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fastening and tightening strength of the fixing member.

상기 내측연결몸체의 제1 직경이 상기 외측연결몸체의 제2 직경보다 2.3 ~ 2.7배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연결몸체는 제1 직경을 갖는 환형 단면을 갖는데, 그 중심에는 중공부가 형성된다. 중공부의 직경은 외측연결부재의 제2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ameter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is about 2.3 to 2.7 time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of the outer connecting body. Additionally, the inner connecting body has an annular cross-section with a first diameter, and a hollow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of the outer connecting member.

내측연결몸체는 고정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외측연결몸체보다 탄성계수가 큰 강재일 수 있다. 휠 지지면에 휠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상단몸체 및 제2 상단몸체가 레일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내측연결부재를 통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인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외측연결몸체와 고정몸체에서는 압축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연결몸체와 외측연결몸체의 직경, 중공부, 재질, 탄성계수를 적절히 선정하여 필요한 크기의 클램핑 포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The inner connection body may be a steel material with a greater elastic modulus than the outer connection body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screwed. When the wheel contacts the wheel support surface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may be forced to spread outward from the rail. At this time, tension may be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inner connecting member, and compressive stress may be generated in the outer connecting body and the fixed body. Therefore, a clamping force of the required size can be genera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diameter, hollow portion, material, and elastic modulus of the inner and outer connecting bodies.

상기 내측연결몸체는 SS400(탄성계수 210Gpa)의 재질을 이용하고, 고정부재가 나사 체결되는 외측연결몸체는 SM45C(탄성계수 200Gpa)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ner connecting body is preferably made of SS400 (elastic modulus 210 Gpa), and the outer connecting body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screwed is made of SM45C (elastic modulus 200 Gpa).

본 발명인 휠 스토퍼는 휠의 가압 시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을 향해 오므려지는 구조를 유도하여 별도의 고정력 강화 수단(예: 마그넷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레일에 강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증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wheel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rail when the wheel is pressed, creating a clamping force that strongly supports the rail even without using a separate means of strengthening the fixing force (e.g., magnet, etc.). It may have a structure where .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인 휠 스토퍼는 마그넷 등을 이용하지 않아 휠 스토퍼의 위치 변경을 위한 이동 시 큰 힘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heel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magnet, etc., great force is not required when moving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heel stopper, thereby improving operato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인 휠 스토퍼는 스토퍼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한 복수의 볼트 및 너트가 폭 방향으로 수평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휠의 가압 시 볼트가 길이 방향(즉, 폭 방향)으로 인장되고, 휠의 가압 해제 시 복원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휠의 가압 시 레일의 양측을 덮고 있는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의 양측으로 강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기구적으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휠이 스토퍼 본체를 가압하는 힘이 클수록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의 양측을 고정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더욱 증가하는 구조로서, 기존의 스토퍼와 비교하여 레일과 스토퍼 본체 사이의 고정력이 대폭 증가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heel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body are horizontally coupl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en the wheel is pressed, the bolt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ressurization of the wheel A restoration method is used when releas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lamping forc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covering both sides of the rail strongly supports both sides of the rail when the wheel is pressed, is mechanically improved. Furthermore, as the force with which the wheel presses the stopper body increases, the clamping force that secures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to both sides of the rail increases. Compared to the existing stopper,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rail and the stopper body increas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greatly increasing.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휠 스토퍼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휠 스토퍼에 휠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에 휠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에 휠이 지지되는 경우 휠 스토퍼에 가해지는 힘의 성분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를 시험하는 테스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토퍼인 실시예와 종래의 일반적인 휠 스토퍼인 비교예 간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는 비교표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general wheel stopper.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 supported on a general wheel stopper.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 being supported on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mponents of force applied to the wheel stopper when the wheel is supported on the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test device for testing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omparison table show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an example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a conventional wheel stopp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dditionally,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dentical components may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der, or numb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through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을 구현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를 세분화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요소가 하나의 장치 또는 모듈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수의 장치 또는 모듈들에 나뉘어져서 구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in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may be subdivid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thes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one device or module, or one component may be implemented in multiple devices or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휠 스토퍼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에 휠이 지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에 휠이 지지되는 경우 휠 스토퍼에 가해지는 힘의 성분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를 시험하는 테스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토퍼인 실시예와 종래의 일반적인 휠 스토퍼인 비교예 간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는 비교표이다. In the drawing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ide view showing a wheel being supported on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briefly showing the components of force applied to the wheel stopper when the wheel is supported on the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test device for testing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an embodiment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a conventional wheel stopper. This is a comparison table showing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휠 스토퍼(10)는, 스토퍼 본체(100)와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wheel stopp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body 100 and a connection portion 150.

스토퍼 본체(10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를 포함한다. The stopper body 100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30.

제1 본체부(110)는 레일(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11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ail 2.

제2 본체부(130)는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설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본체부(110)와 마주보도록 상기 레일(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ain body 13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2 to face the first main body 110 at a set distance from the first main body 110 .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에는 원호 형상의 휠 지지면(1111, 1311)이 구비되고, 휠 지지면(111, 1311)을 통해 이동장치의 휠(3)이 접촉 지지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are provided with arc-shaped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311, and the wheels 3 of the mobile device contact each other through the wheel support surfaces 111 and 1311. It can be supported.

연결부(150)는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30)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을 통해 일정길이를 갖도록 가로질러 삽입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30) 각각의 외측에 체결 고정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50 is inserted across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3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gap facing each other, and both ends of each ar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is fastened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second body portions 130.

이와 같이 휠 스토퍼(1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에 휠 지지면(1111, 1311)이 각각 구비되고,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의 사이에는 설정간격이 형성되며, 이 설정간격을 통해 연결부(150)가 배치되어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In this way, the wheel stopper 10 is provided with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311 in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respectively, and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30 ( 130), a set gap is formed between them, and the connection part 150 is disposed through this set gap to firmly fix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30.

제1 본체부(110)는 제1 상단몸체(111)와, 제1 수평연결몸체(112)와, 제1 하단몸체(113)를 포함한다.The first main body 110 includes a first upper body 111, a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and a first lower body 113.

제1 상단몸체(111)는 상기 레일(2)의 일측 상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휠 지지면(1111)이 일단부에 위치한다. The first upper body 111 has a plate shape disposed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rail 2, and the wheel support surface 1111 is located at one end.

제1 수평연결몸체(112)는 상기 제1 상단몸체(111)의 하단부가 상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112 may have a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body 111 cross-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have a plate shape.

제1 하단몸체(113)는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112)의 하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상기 레일(2)의 일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며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The first lower body 113 is cross-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112, is arranged up and dow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ail 2, and has a plate shape.

이때, 제1 상단몸체(111)의 하단부가 제1 수평연결몸체(112)의 상부 면에 연결되는 제1 위치보다 제1 하단몸체(113)의 상단부가 제1 수평연결몸체(112)의 하부 면에 연결되는 제2 위치가 레일(2)의 좌우 폭 중심을 기준으로 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상단몸체(111)에 마련된 휠 지지면(1111, 1311)에 휠(3)이 접촉 가압되어 큰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제1 상단몸체(111)는 레일(2) 중심에서 외측으로 하중을 전달하고, 제1 수평연결몸체(112)에 의해 제1 상단몸체(111)의 하부에 연결된 제1 하단몸체(113)는 레일(2)을 향해 오므려져 소정의 클램핑 포스가 생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하단몸체(113)가 레일(2)의 일측을 소정의 클램핑 포스로 가압하여 스토퍼 본체(100)는 레일(2)상의 설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first lower body 113 is lower than the first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body 111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112. A second position connected to the surface may be formed further outside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ail 2. Accordingly, when the wheel 3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311 provided on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upper body 111 is moved from the center of the rail 2. The load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lower body 113,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upper body 111 by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112, is compressed toward the rail 2 to generate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It can be. As a result, the first lower body 113 presses one side of the rail 2 with a predetermined clamping force, so that the stopper body 100 can be stably fixed at the set position on the rail 2.

또한, 제1 하단몸체(113)의 내측 면에는 원형 단면의 제1 삽입몸체(114)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삽입몸체(114)는 상기 제1 하단몸체(113)의 내측 면에 연결되며, 레일(2)의 일측 하단에 마련된 오목한 레일(2) 홈에 삽입될 수 있다.Additionally, a first insertion body 114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body 113. The first insertion body 114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of the rail 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one side of the rail 2.

휠(3)이 휠 지지면(1111)을 가압하여 이동장비의 움직임이 구속되는 경우, 제1 하단몸체(113)는 레일(2)의 일측을 큰 하중으로 가압하여 클램핑 포스가 발생되는데, 제1 삽입몸체(114)는 레일(2)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한 홈에 더욱 강하게 구속되어 제1 하단몸체(113)와 레일(2)의 일측 사이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When the wheel 3 presses the wheel support surface 1111 and the movement of the mobile equipment is restricted, the first lower body 113 presses one side of the rail 2 with a large load to generate a clamping force. 1 The insertion body 114 is more strongly restrained in the concave groov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rail 2,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one side of the rail 2.

나아가, 제1 삽입몸체(114)는 제1 하단몸체(113)에 구비된 지지가이드부(230)에 의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단몸체(113)에는 소정 길이의 유동가이드(231)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가이드(231)와 원형 단면의 제1 삽입몸체(114) 사이에는 고강성의 연결체(232)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삽입몸체(114)는 제1 하단몸체(113)가 레일(2)의 일측을 향하여 오므려지며 클램핑 포스가 생성될 때 레일(2) 홈에 더욱 밀착되어 스토퍼 본체(100)를 레일(2)에 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first insertion body 114 may have a structure capable of moving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by the support guide portion 230 provided on the first lower body 113. For example, the first lower body 113 is provided with a flow guide 231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igh-rigidity connector 232 is provided between the flow guide 231 and the first insertion body 114 of a circular cross-section. ) can be connected. Accordingly, the first insertion body 114 is brought into closer contact with the groove of the rail 2 when the first lower body 113 is retracted toward one side of the rail 2 and a clamping force is generated, thereby forming the stopper body 100. can be strongly fixed to the rail (2).

더 나아가, 제1 상단몸체(111)와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112)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1 보강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Furthermore,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210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그리고 제1 하단몸체(113)와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112)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2 보강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220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제1 보강부(210) 및 제2 보강부(220)는 제1 본체부(11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상단몸체(111)와 제1 수평연결몸체(112)와 제1 하단몸체(113) 사이의 연결부위에서의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greater strength tha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and Work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deformation and breakage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lower bodies 113.

제2 본체부(130)는 제2 상단몸체(131), 제2 수평연결몸체(132), 제2 하단몸체(133)를 포함한다. The second main body 130 includes a second upper body 131, a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132, and a second lower body 133.

제2 상단몸체(131)는 상기 레일(2)의 타측 상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휠 지지면(1311)이 일단부에 위치한다. The second upper body 131 has a plate shape disposed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2, and the wheel support surface 1311 is located at one end.

제2 수평연결몸체(132)는 상기 제2 상단몸체(131)의 하단부가 상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132 may have a plate shape with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131 cross-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제2 하단몸체(133)는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132)의 하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상기 레일(2)의 타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lower body 133 may be cross-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132 and may have a plate shape arranged up and dow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ail 2.

이때, 제2 상단몸체(131)의 하단부가 제2 수평연결몸체(132)의 상부 면에 연결되는 제3 위치보다 제2 하단몸체(133)의 상단부가 제2 수평연결몸체(132)의 하부 면에 연결되는 제4 위치가 레일(2)의 좌우 폭 중심을 기준으로 더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단몸체(131)에 마련된 휠 지지면(1311)에 휠(3)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지면 제2 상단몸체(131)는 레일(2) 중심에서 외측으로 하중이 가해지고, 제2 하단몸체(133)는 레일(2)을 향해 오므려지며 클랭핑 포스가 생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스토퍼 본체(100)는 레일(2)의 설정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ower body 133 is lower than the third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131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132. A fourth position connected to the surface may be formed further outside the center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rail 2. Accordingly, when the wheel 3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1311 provided on the second upper body 131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second upper body 131 is loaded outward from the center of the rail 2. , the second lower body 133 is retracted toward the rail 2 and a clamping force can be generated. As a result, the stopper body 100 can be stably fixed at the set position of the rail 2.

제2 하단몸체(133)의 내측 면에는 원형 단면의 제2 삽입몸체(134)가 구비된다. A second insertion body 134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body 133.

제2 삽입몸체(134)는 상기 제2 하단몸체(133)의 내측 면에 연결되며, 레일(2)의 타측 하단에 마련된 오목한 홈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insertion body 134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lower body 133 and can be inserted into a concave groove provided at the other lower end of the rail 2.

제2 상단몸체(131)에 마련된 휠 지지면(1311)에 휠(3)이 접촉 가압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2 하단몸체(133)는 레일(2)의 타측을 큰 하중으로 가압하며 제2 삽입몸체(134)는 레일(2)의 오목한 홈에 밀착되어 제2 하단몸체(133)와 레일(2)의 타측 사이의 클램핑 포스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wheel 3 is pressed into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1311 provided on the second upper body 131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second lower body 133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rail 2 with a large load. The second insertion body 13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groove of the rail 2,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second lower body 133 and the other side of the rail 2.

제2 삽입몸체(134)는 전술한 제1 삽입몸체(114)와 동일하게 지지가이드부에 의해 위치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insertion body 134 may have a structure whose position can be adjusted by the support guide in the same way as the above-described first insertion body 114.

또한, 제2 상단몸체(131)와 제2 수평연결몸체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1 보강부(2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reinforcement portion 210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131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또한, 제2 하단몸체(133)와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 사이에는 L자 형상으로 두께 중심을 따라 배치된 제2 보강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reinforcement portion 220 disposed along the center of thickness in an L-shape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ower body 133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제1 보강부(210) 및 제2 보강부(220)는 제2 본체부(130)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휠 지지면(1111, 1311)에 휠(3)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2 상단몸체(131)와 제2 수평연결몸체와 제2 하단몸체(133) 사이의 연결부위에서의 휨 변형 및 파단을 방지하여 작업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reinforcement part 21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art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with greater strength than the second body part 130, and the wheel 3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311, causing a large impact. When a load is applied, work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bending deformation and breakage at the connection area between the second upper body 131,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133.

한편, 제1 상단몸체(111) 및 제2 상단몸체(131)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1 간격부(1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have the same thickness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first gap 141 therebetween.

또한, 제1 하단몸체(113) 및 제2 하단몸체(133)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2 간격부(14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the second lower body 133 ma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econd gap 142 therebetween.

이때, 제1 간격부(141)는 제2 간격부(14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간격부(141)와 제2 간격부(142)의 길이의 비는 1:1.1~1.5의 범위 내에서 정해질 수 있다. 만일 제1 간격부(141)와 제2 간격부(142)의 길이의 비가 1:1.1 미만일 경우(예를 들어, 1: 1.05 등) 스토퍼 본체(100)를 레일(2)의 양측으로 가압하여 발생되는 클램핑 포스의 크기가 약화될 수 있으며, 반대로 1 간격부(141)와 제2 간격부(142)의 길이의 비가 1:1.5 초과인 경우(예를 들어, 1:1.8 등) 휠(3)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구조적인 강도에 불리한 측면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gap 141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gap 142.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first gap 141 and the second gap 142 may be set within the range of 1:1.1 to 1.5. If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first gap 141 and the second gap 142 is less than 1:1.1 (for example, 1:1.05, etc.), the stopper body 100 is pressed to both sides of the rail 2. The size of the generated clamping force may be weakened, and on the contrary, if the ratio of the lengths of the first gap portion 141 and the second gap portion 142 is more than 1:1.5 (for example, 1:1.8, etc.), the wheel (3) ) is difficult to support stably, and has disadvantages in structural strength.

이와 같이, 제1 상단몸체(111) 및 제2 상단몸체(131) 각각의 일단부에 위치한 휠 지지면(1111, 1311)에 휠(3)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상단몸체(111) 및 제2 상단몸체(131) 사이의 제1 간격부(141)에서는 레일(2)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힘을 받으며, 제1 하단몸체(113) 및 제2 하단몸체(133) 사이의 제2 간격부(142)에서는 레일(2)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오므려지도록 힘을 받게 된다. 그 결과, 제1 하단몸체(113) 및 제2 하단몸체(133)는 레일(2)의 양측을 강하게 밀어주어 스토퍼 본체(100)가 레일(2)의 설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해주는 클램핑 포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wheel 3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311 locat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In the first gap 141 between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a force is applied to spread outwardly of the rail (2), and between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the second lower body 133 In the second gap 142, a force is applied to retract the rail 2 towar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As a result,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the second lower body 133 strongly push both sides of the rail 2, generating a clamping force that secures the stopper body 100 to the set position of the rail 2. You can do it.

한편, 제1 수평연결몸체(112)는, 상기 레일(2)의 일측 상부 면을 덮도록 수평 배치되고, 제2 수평연결몸체(132)는 상기 레일(2)의 타측 상부 면을 덮도록 수평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평연결몸체(112)와 제2 수평연결몸체(132) 각각의 내측단부는 레일(2)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112 is horizontally arrang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rail 2,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132 is horizontal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rail 2. can be placed. The inner ends of each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132 may b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2.

이때, 제1 수평연결몸체(112)와 제2 수평연결몸체(132) 각각의 내측단부 사이에는 제1 수평연결몸체(112)와 제2 수평연결몸체(132)를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갭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between the inner ends of each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132, there is a gap portion ( 120) can be formed.

갭부(120)는 스토퍼 본체(100)가 레일(2)의 폭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할된 2개의 본체부로 분할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갭부(120)는 스토퍼 본체(100)가 레일(2)의 양측으로 분할된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도록 해준다. The gap portion 120 serves to divide the stopper body 100 into two body portions divid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rail 2. In other words, the gap portion 120 allows the stopper body 100 to have a structure including a first body portion 110 and a second body portion 130 divided into both sides of the rail 2.

이에 따라, 휠 지지면(1111, 1311)에 휠(3)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갭부(120)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하단몸체(113) 및 제2 하단몸체(133)는 레일(2)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오므려지게 되고 클램핑 포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wheel 3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311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the second lower body 133 center on the position of the gap portion 120. is compressed to press both sides of the rail 2 and can generate clamping force.

이와 같이, 만일 갭부(12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즉 제1 수평연결몸체(112)와 제2 수평연결몸체(132)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스토퍼 본체(100)가 레일(2)을 가압하는 클램핑 포스가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갭부(120)는 클램핑 포스의 생성을 위해 필요하다. In this way, if the gap portion 120 is not formed, that is, i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2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132 are formed as an integrated structure, the stopper body 100 presses the rail 2. The clamping force may not be generated. Therefore, the gap portion 120 is necessary for generating clamping force.

연결부(150)는 2개의 본체부, 즉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로 분할된 스토퍼 본체(100)를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시켜줄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150 can connect the stopper body 100, which is divided into two main bodies, that is, the first main body 110 and the second main body 130, into one structure.

연결부(150)는 제1 본체부(110)와 제2 본체부(130)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을 통해 일정길이를 갖도록 삽입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110)와 상기 제2 본체부(130) 각각의 외측에 체결 고정된다. The connecting portion 150 is inserted to have a certain length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30 facing each other, and both ends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t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outside of each main body portion 130.

예를 들어, 연결부(15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150)는 상기 제1 상단몸체(111)와 상기 제2 상단몸체(131)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50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50 may be connect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구체적인 예로서, 복수의 연결부(150)는 상기 제1 상단몸체(111)와 상기 제2 상단몸체(131) 사이에서 제1 높이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160)와, 제1 상단몸체(111)와 상기 제2 상단몸체(131) 사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170)를 포함한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150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160 arranged in a row at intervals at a first height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It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170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at intervals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제1 연결부(160)는 제2 연결부(170)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높이에 위치한 제1 연결부(160)는 2개일 경우 그보다 낮은 제2 높이에 위치한 제2 연결부(170)는 3개가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The number of first connection parts 160 may be less than that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s 170. For example, when there are two first connection parts 160 located at the first height, there may be three second connection parts 170 located at a lower second height (see FIG. 4).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60)는 제1 간격부(14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상단몸체(111)의 내부 면과 상기 제2 상단몸체(131)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연결몸체(161)와, 내측연결몸체(161)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몸체(111)와 상기 제2 상단몸체(131) 각각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외측연결몸체(172)를 포함한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2 연결부(170)도 제1 연결부(16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160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p 141 and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body 131.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is disposed, and the outer sid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and protrudes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each of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Includes a connecting body (172). Although not separately shown, the second connection part 17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connection part 160.

내측연결몸체(161)는 제1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외측연결몸체(162)는 상기 내측연결몸체(161)의 단면보다 축소되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질 수 가질 수 있다.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first diameter, and the outer connecting body 162 is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and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You can have it.

외측연결몸체(162)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나사부는 고정부재(163, 164)가 체결될 수 있다. A threaded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ng body 162, and fixing members 163 and 164 may be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고정부재(163, 164)는 외측연결몸체(162)의 나사부에 나사 체결되어 조임 강도가 조절될 수 있는 너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163, 164)는 제1 상단몸체(111)의 외부 면과 상기 제2 상단몸체(131)의 외부 면 각각에 밀착될 수 있다. The fixing members 163 and 164 may be screwed to the threaded portion of the outer connection body 162, and nuts whose tightening strength can be adjusted may be used. The fixing members 163 and 164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body 131, respectively.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휠(3)이 휠 지지면(1111, 1131)을 가압할 때 내측연결몸체(161)에서는 길이방향으로 인장하중(f1)이 발생되고, 외측연결몸체(162)와 고정부재(163, 164)가 체결된 위치에서는 압축하중(f2)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단몸체(113)와 제2 하단몸체(133)가 레일(2)의 양측을 가압하는 클램핑 포스(f3)가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고정력 강화 수단(예: 마그넷 등)을 추가적으로 이용하지 않아도 휠(3)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응하여 스토퍼 본체(100)가 레일(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클램핑 포스의 생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heel 3 presses the wheel support surfaces 1111 and 1131, a tensile load f1 is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and is fixed to the outer connecting body 162. A compressive load (f2) may be gener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members 163 and 164 are fastened. Additionally, a clamping force (f3) may be generated in which the first lower body 113 and the second lower body 133 press both sides of the rail (2). As a result, a clamping force is generated to stably fix the stopper body 100 to the rail 2 in response to the force applied by the wheel 3 without additionally using a separate fixing force strengthening means (e.g. magnet, etc.). There are possible advantages.

내측연결몸체(161)는 제1 간격부(14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내측연결몸체(161)의 양단과 제1 상단몸체(111), 제2 상단몸체(131)의 내부 면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63, 164)의 체결 거리 등에 따라 조절되는 조임 강도에 따라 클램핑 포스의 미세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may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gap 141, and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may b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gap. The clamping force may be fin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ightening strength adjusted according to the fastening distance of the fixing members 163 and 164, etc.

구체적인 예로서, 내측연결몸체(161)의 제1 직경이 외측연결몸체(162)의 제2 직경보다 2.3 ~ 2.7배 정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연결몸체(161)는 제1 직경을 갖는 환형 단면을 갖는데, 그 중심에는 중공부(1611)가 형성된다. 중공부(1611)의 직경은 외측연결몸체(162)의 제2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중공부(1611)는 내측연결몸체(161)에 인장하중(f1)이 가해질 때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인장을 유도하여 클램핑 포스를 발생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iameter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is about 2.3 to 2.7 time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of the outer connecting body 162. Additionally,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has an annular cross-section with a first diameter, and a hollow portion 1611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The diameter of the hollow portion 1611 may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of the outer connection body 162. This hollow portion 1611 can help generate a clamping force by inducing a constant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a tensile load (f1) is applied to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또한, 내측연결몸체(161)는 고정부재(163, 164)가 나사 체결되는 외측연결몸체(162)보다 탄성계수가 큰 강재일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may be made of steel with a greater elastic modulus than the outer connecting body 162 to which the fixing members 163 and 164 are screwed.

휠 지지면(1111, 1311)에 휠(3)이 접촉되어 큰 하중이 가해질 때, 제1 상단몸체(111) 및 제2 상단몸체(131)가 레일(2)의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때, 내측연결몸체(161)를 통해서는 길이방향으로 인장이 일어나고 외측연결몸체(162)와 고정몸체(163, 164)는 압축응력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연결몸체와 외측연결몸체의 직경, 중공부, 재질, 탄성계수를 적절히 선정하여 필요한 크기의 클램핑 포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연결몸체(161)는 SS400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의 탄성계수는 210Gpa 일 수 있다. 고정부재(163, 164)가 체결되는 외측연결몸체(162)는 SM45C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의 탄성계수 200Gpa 일 수 있다. When the wheel (3) is in contact with the wheel support surface (1111, 1311) and a large load is applied, the first upper body (111) and the second upper body (131) are forced to spread outwardly to the outside of the rail (2). You can. At this time, tension may occu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and compressive stress may be generated in the outer connecting body 162 and the fixed bodies 163 and 164. Therefore, a clamping force of the required size can be generat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diameter, hollow portion, material, and elastic modulus of the inner and outer connecting bodies. Preferably, the inner connecting body 161 may be made of SS400, and its elastic modulus may be 210 GPa. The outer connection body 162 to which the fixing members 163 and 164 are fastened may be made of SM45C material, and its elastic modulus may be 200 GP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 스토퍼를 시험하는 테스트 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ure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test device for testing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휠 스토퍼를 시험하는 테스트 장치(300)는 바닥에 안착되는 베드부(310), 베드부(310)의 일측 상단에 설정 높이를 갖도록 세워 설치되는 지그부(320), 지그부(320)의 하단과 베드부(310) 사이를 보강하는 보강리브(330), 지그부(320)의 상단에서 하향 경사진 방향으로 출몰 동작하는 실린더(340), 및 실린더(340)의 선단에 고정되는 휠 모형부(350)를 포함한다. The test device 300 for testing the illustrated wheel stopper includes a bed part 310 that is seated on the floor, a jig part 320 that is erected to have a set height at the top of one side of the bed part 310, and a jig part 320. A reinforcing rib 330 that reinforces the space between the bottom of the jig part 310 and the bed part 310, a cylinder 340 that moves in a downward incline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jig part 320, and a wheel fixed to the tip of the cylinder 340. Includes a model unit 350.

실린더(340)에서 일정한 힘이 인가되면, 휠 모형부(350)는 설정 힘(Fx)으로 레일(3) 상에 고정된 스토퍼 본체(100)를 가압하여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다.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from the cylinder 340, the wheel model unit 350 can perform a test by pressing the stopper body 100 fixed on the rail 3 with a set force (Fx).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휠 스토퍼인 실시예와 종래의 일반적인 휠 스토퍼인 비교예 간의 성능 차이를 보여주는 비교표이다. Figure 9 is a comparison table showing the difference in performance between an example of a wheel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example of a conventional wheel stopper.

실린더의 압력 조건에 따라, 종래의 비교예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비교한 결과, 종래의 비교예의 경우 978kg 이후에는 지속적인 밀림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6845kg까지는 밀림 없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는 클램핑 포스의 발생에 따른 효과로서, 종래의 비교예와 대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대략 7배 이상의 고정력 향상 효과가 개선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sure conditions of the cylind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inuous slipping occurs after 978 kg,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tops without slipping up to 6845 kg. There is an advantage to maintaining the status quo. This is an effect due to the generation of clamping forc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fixing force improvement effect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7 times or m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mparative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휠 스토퍼는 휠의 가압 시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을 향해 오므려지는 구조를 유도하여 별도의 고정력 강화 수단(예: 마그넷 등)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레일에 강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증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heel stopp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uce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is retracted toward the rail when the wheel is pressed, so that the rail is secured even without using a separate fixing force strengthening means (e.g., magnet, etc.) I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force that strongly supports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인 휠 스토퍼는 마그넷 등을 이용하지 않아 휠 스토퍼의 위치 변경을 위한 이동 시 큰 힘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heel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magnet, etc., great force is not required when moving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wheel stopper, thereby improving operator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인 휠 스토퍼는 스토퍼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한 복수의 볼트 및 너트가 폭 방향으로 수평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휠의 가압 시 볼트가 길이 방향(즉, 폭 방향)으로 인장되고, 휠의 가압 해제 시 복원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에 따라, 휠의 가압 시 레일의 양측을 덮고 있는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의 양측으로 강하게 지지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기구적으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heel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olts and nut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pper body are horizontally coupl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when the wheel is pressed, the bolt is stret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pressurization of the wheel A restoration method is used when releas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lamping forc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topper body covering both sides of the rail strongly supports both sides of the rail when the wheel is pressed, is mechanically improved.

나아가, 본 발명인 휠 스토퍼는 휠이 스토퍼 본체를 가압하는 힘이 클수록 스토퍼 본체의 하단부가 레일의 양측을 고정하는 클램핑 포스(Clamping force)가 더욱 증가하는 구조로서, 기존의 스토퍼와 비교하여 레일과 스토퍼 본체 사이의 고정력이 대폭 증가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유리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the wheel stopp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force that secures both sides of the rail at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body increases as the force with which the wheel presses the stopper body increases. Compared to the existing stopper, the rail and stopper There is an advantageous technical effect in that the fixing force between the bodies can be greatly increased, thereby improving st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1: 기존의 휠 스토퍼
2: 레일
3: 휠
10: 휠 스토퍼
100: 스토퍼 본체
110: 제1 본체부
111: 제1 상단몸체
1111: 휠 지지면
112: 제1 수평연결몸체
113: 제1 하단몸체
114: 제1 삽입몸체
120: 갭부
130: 제2 본체부
131: 제2 상단몸체
1311: 휠 지지면
132: 제2 수평연결몸체
133: 제2 하단몸체
134: 제2 삽입몸체
141: 제1 간격부
142: 제2 간격부
150: 연결부
160: 제1 연결부
161: 내측연결몸체
1611: 중공부
162: 외측연결몸체
163, 164: 고정부재
170: 제2 연결부
210: 제1 보강부
220: 제2 보강부
230: 지지가이드부
231: 가이드몸체
232: 연결체
300: 테스트 장치
310: 베드부
320: 지그부
330: 보강리브
340: 실린더
350: 휠 모형부
1: Conventional wheel stopper
2: rail
3: wheel
10: Wheel stopper
100: Stopper body
110: first main body
111: first upper body
1111: wheel support surface
112: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113: first lower body
114: first insertion body
120: gap part
130: second main body
131: Second upper body
1311: wheel support surface
132: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133: Second lower body
134: Second insertion body
141: first gap part
142: second gap part
150: connection part
160: first connection part
161: inner connection body
1611: Ministry of China
162: External connection body
163, 164: Fixing member
170: second connection part
210: first reinforcement part
220: second reinforcement part
230: Support guide unit
231: Guide body
232: Connector
300: test device
310: bed department
320: Jig part
330: Reinforcement rib
340: cylinder
350: Wheel model unit

Claims (10)

레일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본체부와 설정간격을 두고 상기 제1 본체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레일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에 원호 형상의 휠 지지면이 구비되는 스토퍼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가 서로 마주보는 간격을 통해 삽입되고, 각각의 양단이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2 본체부 각각의 외측에 고정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휠 스토퍼.
It includes a first main bod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rail, and a second main bod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to face the first main body at a set interval from the first main body, and the first main body and a stopper body provided with an arc-shaped wheel support surface on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inserted through a gap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facing each other, and each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outside of each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Wheel stoppe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부는,
상기 레일의 일측 상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휠 지지면이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1 상단몸체;
상기 제1 상단몸체의 하단부가 상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1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의 하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상기 레일의 일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1 하단몸체;
를 포함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main body,
a first upper body having a plate shape disposed up and down on one side of the rail, and having the wheel support surface located at one end;
a first horizontal connection body having a plate shape and a lower end of the first upp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plate-shaped first low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disposed vertical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rail;
Wheel stopper inclu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체부는,
상기 레일의 타측 상부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휠 지지면이 일단부에 위치하는 제2 상단몸체;
상기 제2 상단몸체의 하단부가 상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제2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의 하부 면에 교차 연결되고, 상기 레일의 타측 측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제2 하단몸체;
를 포함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second main body,
a second upper body having a plate shape disposed up and down on the other side of the rail, and having the wheel support surface located at one end;
a second horizontal connection body having a plate shape and a lower end of the second upp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and
a plate-shaped second lower body cross-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disposed vertically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rail;
Wheel stopper includ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단몸체 및 상기 제2 상단몸체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1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하단몸체 및 상기 제2 하단몸체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제2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간격부는 제2 간격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first gap therebetween,
The first lower body and the second lower body have the same thickness and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second gap therebetween,
The first gap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second gap.
wheel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는, 상기 레일의 일측 상부 면을 덮도록 수평 배치되고,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는, 상기 레일의 타측 상부 면을 덮도록 수평 배치되며,
상기 제1 수평연결몸체 및 상기 제2 수평연결몸체 각각의 내측단부는 상기 레일의 폭 방향 중심을 향하여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is horizontally arranged to cover one upper surface of the rail,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is arranged horizontally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rail,
The inner ends of each of the first horizontal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horizontal connecting body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toward the center of the width direction of the rail.
wheel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he plurality of connect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re connected at different heights.
wheel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는,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사이에서 제1 높이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사이에서 상기 제1 높이보다 낮은 제2 높이로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제2 연결부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nection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 pieces,
The plurality of connections are,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parts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t intervals of a first height;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rts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at intervals at a second height lower than the first height,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a smaller number than the number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wheel stopp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간격부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상단몸체의 내부 면과 상기 제2 상단몸체의 내부 면 사이에 배치되는 내측연결몸체; 및
상기 내측연결몸체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상단몸체와 상기 제2 상단몸체 각각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는 외측연결몸체;
를 포함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connection part is,
an inner connection body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irst gap and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body; and
an outer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ner connecting body and protruding out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each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second upper body;
Wheel stopper includ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연결몸체는 제1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외측연결몸체는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의 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clause 8,
The inner connecting body has a circular cross-section of a first diameter,
The outer connecting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ircular cross-section with a second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diameter.
wheel stopp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외측연결몸체의 외주 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1 상단몸체의 외부 면과 상기 제2 상단몸체의 외부 면 각각에 밀착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휠 스토퍼.
According to clause 9,
The connection part is,
A fixing member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ng body and fastened to the threaded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upper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upper body;
Wheel stopper including.
KR1020220060003A 2022-05-17 2022-05-17 Wheel stopper KR202301609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003A KR20230160986A (en) 2022-05-17 2022-05-17 Wheel sto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003A KR20230160986A (en) 2022-05-17 2022-05-17 Wheel stopp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986A true KR20230160986A (en) 2023-11-27

Family

ID=8896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003A KR20230160986A (en) 2022-05-17 2022-05-17 Wheel sto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098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097B1 (en) 2014-10-23 2016-08-02 한국철도공사 A fixing appararus for wheel of tra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097B1 (en) 2014-10-23 2016-08-02 한국철도공사 A fixing appararus for wheel of tra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93659B (en) Clamping device for automatic welding of bumpers
US5863020A (en) Lifeline mounting apparatus
CN101016722A (en) Deck plate
US8327773B2 (en) Railway vehicle
US3957285A (en) Double spring cargo tie-down
CN111889941A (en) Flexible assembly point fixing tool for machining of traction beam and flexible deflection welding process equipment
KR20230160986A (en) Wheel stopper
US9116079B2 (en) Dynamic test fixture
CN110966286B (en) Guide rail installation method and guide rail fixing device on steel member
US6196133B1 (en) Device for suspension of a hollow section rail which opens downward in a suspension crane
JP2005002771A (en) Main rope post
CA2140846C (en) A press with a window-type tension frame
KR101783468B1 (en) Stress and tension devices for removable bridges with the connectin carbon fiber
US4095766A (en) Trailer hitch having elastomer-in-shear cushioning in the diagonal strut
WO2017163758A1 (en) Method for supporting linear brake, body having linear brake mounted therein, and linear brake adapter
US4074633A (en) Trailer hitch having elastomer-in-shear cushioning in the diagonal strut
CN211103857U (en) Novel draw pull rod equipment frock
CN211943104U (en) Steel wire rope clamping device and vehicle
CN112298240A (en) Light aluminum alloy underframe of light rail car body
CN103149021A (en) Three-dimensional comprehensive loading fatigue test device for rubber damping product
CN210208773U (en) Guardrail drilling equipment
CN111196541A (en) Elevator guide rail fixing device
CN220241265U (en) Cantilever beam clamping tool
CN221140921U (en) Locking mechanism
CN105334069A (en) Vehicle body fixing frame and hanger bracket fatigue strength test platform u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