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507A -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 - Google Patents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507A
KR20230159507A KR1020237035633A KR20237035633A KR20230159507A KR 20230159507 A KR20230159507 A KR 20230159507A KR 1020237035633 A KR1020237035633 A KR 1020237035633A KR 20237035633 A KR20237035633 A KR 20237035633A KR 20230159507 A KR20230159507 A KR 20230159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surface
switch contact
connecting member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에프. 트라몬티나
주니어 찰스 애그뉴 오스본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30159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0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dispensing dosed volu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2005/1218Table mounted; Dispensers integrated with the mixing ta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저장조 조립체가 제공된다. 저장조 조립체는 저장조 연결 표면 및 스위치를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을 포함한다. 저장조 연결 표면은 제1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다. 조립체는 또한, 액체 제품의 양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을 포함한다. 용기 하우징은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치 접촉 표면과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 제1 취약 영역이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과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돌기 부재는 제1 취약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액체 제품 분배 장치의 리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운터 장착식 액체 제품 분배 장치 및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
본 발명은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카운터 장착식 또는 "카운터 내" 액체 분배기, 벽 장착식 분배기 또는 독립형 분배기와 같은 매우 다양한 액체 분배기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유체 분배기의 당업계에서 하나의 문제점은 빈 저장조를 리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소정의 분배 시스템에서, 리필은 빈 저장조를 제거하고 빈 저장조를 액체 제품으로 채워진 대체 저장조로 교체함으로써 완료된다. 그러나, 종종 유지보수 담당자가 저장소를 비우기 전에 교체하여 제품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유지보수 담당자는 적시에 제품 저장조를 교체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화장실 이용자가 제품을 이용할 수 없게 한다. 따라서, 제품 폐기물을 줄이고 고객 만족도를 개선하는, 제품 분배기를 리필하기 위한 보다 쉽고 편리한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당업계에 있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는 액체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저장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저장조 조립체는 저장조 연결 표면 및 스위치를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을 포함하며, 저장조 연결 표면은 제1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다. 저장조 조립체는 또한, 액체의 양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며, 용기 하우징은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고,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가지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에,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제1 취약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제공된 저장조 조립체는 카운터 내 장착 액체 제품 분배기, 벽 장착 액체 제품 분배기, 또는 독립형 액체 제품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카운터에 장착된 고정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카운터 장착식 액체 제품 분배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구 조립체는 상기 카운터에 장착된 분배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분배 헤드는 액체 제품을 사용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달 분출구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연결 부재 하우징 및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조 조립체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 하우징은 분배기 헤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저장조 연결 표면 및 스위치를 포함한다. 저장조 연결 표면은 제1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용기 하우징은 연결 부재에 탈착식으로 부착된다. 용기 하우징은 일정량의 액체 제품을 보유하기 위한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한다.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서,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연결 부재 하우징에 결합된 펌프 장치를 포함한다. 펌프는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에 정의된 유체 유출구를 통해 액체 제품을 펌핑하도록 작동한다.
또한, 액체 제품 분배 장치에 대한 리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저장조 연결 표면을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을 포함하고, 저장조 연결 표면은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일정량의 액체 제품을 보유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에,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취약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분배 카운트를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제어 회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분배 카운트는 0으로 설정된다. 시스템은 또한, 분배 카운트를 수신 및 추적하고 임계 분배 카운트에 도달할 때 리필 상태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들과 측면들을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완전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장착식 점성 액체 분배기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우징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a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우징 및 연결 부재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b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용기 하우징 및 연결 부재 하우징의 일부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 네트워크 가능 분배기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카운터 장착식 점성 액체 분배기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참조 문자를 반복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 또는 요소를 나타내려는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설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더욱 넓은 측면들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시스템은 유지보수 직원이 언제 서비스된 화장실에서 제품 분배기를 리필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이러한 시스템은, 저-제품 양 또는 저-임계치가 실현될 때 유지보수 담당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각각의 분배 카운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분배 카운트 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단 탈착식 제품 리필이 제품 분배기에 설치되면 활성화되는 스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전체 제품 저장조의 설치 및 스위치의 활성화는 분배 카운트를 0으로 재설정하여, 분배 카운트가 더 낮은 임계 한계에 따라 실시간으로 경보를 전송하기 위해 카운트 다운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유지보수 담당자는 종종 제품 리필을 제거하고 동일한 제품 저장조를 분배기에 다시 놓는다. 절반이 빈 제품 저장조를 분배기 시스템 내에 다시 놓을 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을 때에도, 완전히 리필되었음을 나타내는 스위치가 트리거된다. 이로 인해 분배 횟수가 다시 0으로 설정되거나 "풀(Full)"로부터 카운트 다운이 시작되며, 이는 정확한 낮은/빈 상태가 시스템에 의해 효과적으로 결정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카운터 내 장착 액체 분배기와 같은 액체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저장조 조립체가 본원에 제공된다. 저장조 조립체는 저장조 연결 표면을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을 포함하고, 저장조 연결 표면은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저장조 조립체는 또한, 액체의 양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며, 용기 하우징은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한다.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포함하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에,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취약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저장조 조립체는 저장조 조립체의 초기 설치 시 파단되도록 구성되는 취약 영역에 스위치 접촉 표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유지보수 담당자가 액체 제품을 포함하는 용기 하우징을 저장조 조립체로부터 제거하여 이를 조립체 상에 다시 배치하는 경우, 스위치는 활성화되지 않을 것이고, 분배 카운트는 0으로 잘못 설정되지 않을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분배기 및 분배기 시스템은 손 비누, 손 소독제 및 기타 개인 위생 제품과 같은, 액체 제품을 분배하기에 적합하다. 용어 "액체 제품"이 사용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분배된 제품은 손 비누와 같은 점성 액체, 또는 발포된 손 비누와 같은 발포 제품일 수 있다. 본 개시는 점성 또는 발포 상태로 분배될 수 있는 다양한 액체 제품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카운터 내 장착형 분배기를 제공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원에 개시된 저장조 조립체는 리필 저장조가 필요한 임의의 수 또는 유형의 액체 제품 분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제공된 저장조 조립체는 벽 장착식 액체 제품 분배기 및/또는 독립형 액체 제품 분배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세면실 시설의 카운터(11)에 장착된, 본 발명의 분배기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 시스템(10)은 싱크 보울(16)에 인접하게 위치된 카운터 위 부분(14)을 갖는 분배기 고정구(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 위 부분(14)은 분배 헤드(18)로부터 연장되는 전달 분출구(20)를 갖는 분배 헤드(18)를 포함한다. 전달 분출구(20)는 비누, 액체 또는 폼을 사용자의 손에 공급하도록 종래의 방식으로 위치되고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분출구(20)는 싱크 보울(16) 위에 위치되어, 액체 제품이 분배 장치로부터 의도하지 않게 분배되는 경우에, 액체 제품은 카운터(11)가 아니라 싱크 보울(16) 내로 들어갈 것이다. 분배기 시스템으로부터 액체 제품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자는 작동 버튼(22)을 누르고, 이는 차례로 펌프를 활성화시키고, 액체 제품의 양(즉, 일회분)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된다. 대안적으로, 분배기 시스템(10)은, 전자 센서(21)가 전달 분출구(20) 아래 사용자의 손을 검출할 수 있도록 위치된 전자 센서(21)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센서(21)가 전달 분출구(20) 아래 사용자 손을 검출할 때, 전자 수단이 활성화되고, 액체 제품의 양이 사용자의 손에 전달된다. 일반적으로, 작동 버튼(22) 및/또는 센서(21)는, 분출구(20) 바로 아래에 있는 사용자의 손, 또는 작동 버튼(22)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회로를 갖는 제어 패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 회로는 주어진 기간 동안 모터 및/또는 펌프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데 사용되어, 사용자가 특정한 미리 결정된 양과 같은 액체 제품의 일회분을 수용하도록 한다. 센서 및 작동 버튼용 제어 회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Muderlak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6,929,150호에 나타나 있고, 이는 참고로 본원에 인용되어 있다.
분배기 고정구(12)는 분배기 고정구(12)를 카운터에 고정시키는 장착 시스템(25)을 갖는 카운터 아래 부분(24)을 포함한다. 장착 시스템(25)은, 카운터(11)에 정의된 구멍을 통해 연장되는, 일반적으로 세장형 중공관인 세장형 관(26)을 갖는다. "중공"에 의해, 튜브는, 카운터(11) 위에 위치하는 세장형 튜브(26)의 근위 단부(26P)로부터 카운터(11) 아래에 위치하는 세장형 튜브(26)의 원위 단부(26D)까지 세장형 튜브(26)를 통해 연장되는 통로 또는 채널(도 1에 미도시함)을 갖도록 의도된다. 세장형 튜브(26)는 카운터(11) 위에 위치되는 세장형 튜브의 단부 상에 플랜지(23)를 갖는다. 플랜지(23)는 카운터(11) 내의 구멍보다 큰 크기의 것이며, 플랜지(23)는 세장형 튜브(26)가 카운터(11)를 통해 떨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시스템(25)은 또한 카운터(11) 아래로 연장되는 세장형 튜브(26)의 일부와 결합된 앵커링 기구(28)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장착 시스템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장착 시스템의 일 유형이다. 다른 유형의 장착 시스템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시스템(25)은 세장형 튜브(26)를 가지며, 이는 나사식이고 앵커링 기구(28)는 세장형 튜브(26)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너트이다. 도 1에 도시된 장착 시스템(25) 대신에 다른 장착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카운터 아래 부분(24)은 연결 부재 하우징(30) 및 일정량의 액체 제품을 보유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40)을 포함하는 저장조 조립체(27)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 하우징(30)은 세장형 튜브(26)의 원위 단부(26D)에 위치한다. 연결 부재 하우징(30)은 연결 부재(30)의 상단부(29)에서 세장형 튜브(26)의 원위 단부(26D)에 탈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전달 튜브가 연결 부재 하우징(30)을 통해 삽입될 수 있어서, 전달 헤드(18)와 분출구(20) 및 연결 부재 하우징(30)과 용기 하우징(40) 사이의 유체 소통을 허용한다. (미도시). 이러한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Phelps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8,100,299 B2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참고로 본원에 인용되어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부재 하우징(30)은 스위치(44)를 포함하는 저장조 연결 표면(42) 및 돌기 부재(48) 내에 배치된 스위치 접촉 표면(46)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부재(48)는 원형, 달걀형, 직사각형, 삼각형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 돌기 부재(48)는 표면을 천공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부재의 적어도 외측 부분(50)은 돌기 부재(48)의 내측 부분(52)보다 z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된다.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스위치 접촉 표면(46)은, 스위치 접촉 표면(46)의 어떠한 부분도 z 방향으로 돌기 부재(48) 너머 연장되지 않도록, 돌기 부재(48) 내에 배치된다. 내부에 배치된 스위치를 포함하지 않는 추가 돌기 부재(48)는 저장조 연결 표면(42) 상에 위치할 수 있다(도 3). 예를 들어, 연결 부재 하우징(30) 및 용기 하우징(40)이 사실상 달걀형 또는 직사각형인 경우, 이들을 다양한 배향으로 함께 결합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돌기 부재(48)를 스위치 접촉 표면(46) 상에 제공하고 적어도 2개의 돌기 부재(48) 중 단 하나만 스위치(44)를 포함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용기 하우징(40)은 주 용기(41)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을 포함한다. 주 용기(41)는 용기 하우징(4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일정량의 액체 제품을 보유할 수 있다. 주 용기(41)는 하나 이상의 전달 튜브를 통해 전달 분출구(20)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미도시).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은 취약 영역(64) 내에 구성된 스위치 접촉 표면(62)을 포함한다. 취약 영역(64)은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 내에 오목부 또는 압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약 영역(64)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취약 영역(64)은 힘에 노출될 때 제공하거나 파괴되도록 구성된, 면 또는 정점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측면(66, 67, 68, 6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더 논의되는 바와 같이, 돌기 부재(48)에 의해 취약 영역(64)에 가해진 힘은 측면들(66, 67, 68, 69) 중 하나 이상을 파괴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약 영역(64)이 본래 직사각형인 실시예에서, 취약 영역(64)의 적어도 3개의 측면(예를 들어, 66,67,68)이 파단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취약 영역(64)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예를 들어, 69)은 온전하게 남길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취약 영역(64)은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지만, 취약 영역(64)은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으로부터 충분히 분리되어, 스위치 접촉 표면(62)이 스위치 접촉 표면(46)과 접촉할 수 없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취약 영역(64)의 실질적으로 모든 측면(66, 67, 68, 69)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에 노출될 때 파단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완전한 이탈을 허용하거나, 스위치 접촉 표면(62)을 포함하는 취약 영역(64)이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한다. 상부의 스위치 접촉 표면(62)을 포함하는 취약 영역(64)은, 스위치 접촉 표면(62)이 스위치 접촉 표면(46)과 접촉할 수 없도록 용기 하우징(40) 내로 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취약 영역(64) 및 스위치 접촉 표면(62)은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하우징(40)을 다양한 구성으로 연결 부재 하우징(30)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취약 영역(64) 및 스위치 접촉 표면(62)이 분배기 시스템의 적절한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취약 영역(64) 및 스위치 접촉 표면(62)의 수는 연결 부재 하우징(30) 상에 존재하는 돌기 부재(48)의 수와 일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위치 접촉 표면(46)을 포함하는 하나의 스위치(44)만 돌기 부재(48) 중 하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주목한다. 단지 하나의 스위치(44)를 포함함으로써, 연결 부재 하우징(30) 및 용기 하우징(40)의 특정 배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분배기 시스템(10)의 적절한 기능(예를 들어, 분배 카운트를 0으로 리셋)을 보장한다. 또한, 스위치 접촉 표면(62)을 포함하는 취약 영역(64)은, 연결 부재 하우징(30)의 저장조 연결 표면(42) 상에 위치된 돌기 부재(48)와 일반적으로 정렬되도록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 상에 배향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돌기 부재(48) 및 취약 영역(64)은, 연결 부재 하우징(30)이 용기 하우징(40)에 결합될 때, 돌기 부재(48)가 취약 영역(64)과 접촉하여, 그에 따라 스위치 접촉 표면(62)을 포함하는 취약 영역(64)을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시킨다. 또한, 스위치(44) 및 스위치 접촉 표면(46)을 포함하는 돌기 부재(48)는, 연결 부재 하우징(30)이 용기 하우징(40)에 처음 결합될 때, 돌기 부재(48)가 취약 영역(64)을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으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스위치 접촉 표면(46)이 스위치 접촉 표면(62)과 접촉할 수 있도록, 배향되거나 배치되어야 한다.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 하우징(30)이 용기 하우징(40)에 결합될 때, 스위치 접촉 표면(46)은 스위치 접촉 표면(62)과 접촉하게 되어, 스위치(44)를 활성화시킨다. 스위치(44)의 활성화는 분배 카운트를 0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스위치(44)의 활성화 후, 돌기 부재(48)는 취약 영역(64)의 적어도 일부분을 파괴하도록 구성되어서, 스위치 접촉 표면(62)이 스위치 접촉 표면(46)과 접촉할 수 없도록 제거된다. 예를 들어, 일단 힘이 돌기 부재(48)를 통해 취약 영역(64)에 인가되면, 취약 영역(64)은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으로부터 분리되어서, 스위치 접촉 표면(62)과 스위치 접촉 표면(46) 사이의 후속 접촉이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실시예는 스위치(44)의 활성화를 단 한 번만 허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44)의 활성화는 분배 카운트를 0으로 설정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실시예에서, 분배기 시스템(10)은 액체 제품의 사용을 정확하게 추적하고 제품 저장조에 남아 있는 제품이 임계 한계 미만(예를 들어, 낮은 제품 상태가 존재함)일 때 유지보수 담당자에게 경고하기 위한 분배 카운트 시스템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전체 제품 저장조의 총량이 공지되어 있고, 분배기 시스템(10)과 통신하는 서버 시스템(106) 및/또는 컴퓨팅 시스템 상에 저장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108)에 저장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소정의 실시예에서, 분배기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108)와 작동 가능하게 통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본 개시의 분배기 시스템(10)은 활성화될 때마다 일회분(예, 액체 제품의 특정 양)을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112)는 액체 제품의 일회분을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액체 제품의 일회분이 분배될 때마다, 분배 카운트가 생성되고 서버 시스템(106) 및/또는 컴퓨팅 장치(108)에 전달된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실시예들에서, 연결 부재 하우징(30) 또는 분배기 시스템(10)의 다른 부분은 센서(110) 또는 각 분배 카운트를 서버 시스템(106) 또는 컴퓨팅 장치(108)에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다른 컴퓨팅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카운트는 분배기 시스템(10)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위치한 제어 회로(112) 또는 센서(110)를 통해 서버 시스템(106) 및/또는 컴퓨팅 장치(108)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서버 시스템(106) 또는 컴퓨팅 장치(108)는 특정 분배기 시스템(10)에 대한 분배 카운트를 추적할 수 있다. 일단 특정 수의 분배 카운트에 도달하면, 서버 시스템(106) 및/또는 컴퓨팅 장치(108)는 분배기 시스템(10)이 낮은 양에 도달하였고 리필될 필요가 있다는 경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버 시스템(106)은 경고를 생성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108)에 전송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8)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주변 모바일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낮은 제품 상태에 도달하기 전에 허용된 특정 분배 카운트 수는 서버 시스템(106) 또는 컴퓨팅 장치(108)에서 계산 및/또는 저장될 수 있고, 제품 저장조에 초기에 존재하는 제품의 부피 및 일회분 양에 기초한다.
유리하게도, 본 분배기 시스템(10)은, 분배 카운트가 0으로, 즉, 연결 부재 하우징(30)에 전체 제품 저장조를 갖는 용기 하우징(40)의 초기 설치 시 한 번만 설정되도록 저장조 조립체(27)와 구성된다. 따라서, 유지보수 직원이 용기 하우징(40)을 검사하고, 연결 부재 하우징(30) 상의 동일한 용기 하우징(40)을 교체하기 위해 용기 하우징을 제거할지라도, 스위치 접촉 표면(46, 64)은 접촉할 수 없으므로, 분배 카운트가 계속되고, 0으로 잘못 리셋되지 않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112) 이외에, 분배기 시스템(10)은 제어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14) 및/또는 제어 회로(112)는 분배되는 제품의 일회분 양, 제품 사용량, 및 분배기 시스템(10) 내에서 발생하는 임의의 다른 활동을 포함하는 분배기 시스템(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어기(114)는 유선 수단을 통해 또는 무선 웹 기반 시스템을 통해 서버 시스템(106) 및/또는 컴퓨팅 장치(108)에 분배기 시스템(10)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14), 제어 회로(112), 센서(110) 등으로부터의 통신은 유선 연결 또는 무선 연결(예를 들어, 블루투스 저 에너지(BLE) 프로토콜)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분배기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사이의 무선 통신은 또한, 예컨대 셀룰러 통신에 의해 다른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분배기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것에 따른 다른 작동 구성 요소가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기 시스템(10)은 사용자에게 분배하기 위해 액체를 펌핑하도록 동작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미도시). 펌프 장치는 연결 부재 하우징(30) 또는 저장조 하우징(40)에 포함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펌프 장치는 연결 부재 하우징(30) 내에 배치되고,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60)에 정의된 유체 유출구를 통해 액체 제품을 펌핑하도록 작동한다.
제공된 분배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 하우징(30)은 모터 하우징(102) 및 전력 공급부 하우징(104)에 연결된다. (도 8 참조). 대안적으로, 모터 하우징(102)은 연결 부재(30)와 일체형이며, 이는 모터 하우징(102) 및 연결 부재(30)가 단일 유닛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전력 공급부(104)는 모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서 필요할 때 전력 공급부가 교체될 수 있다. 즉, 전력 공급부는 모터 하우징(102)에 연결 해제 및 재연결 가능하다. 전력이 전력 공급부(104)로부터 모터 하우징(102)으로 전달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전기 접촉 지점이 상보적 위치에 있도록, 전기 접촉 지점이 모터 하우징(102) 및 전력 공급부(104) 둘 다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력 공급부가 모터 하우징(102)에 부착될 때 전기 연결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터 하우징 및 공급부 하우징에 대한 구성이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Phelps 등의 미국 특허 번호 제8,100,299호에 나타나 있으며, 이는 참고로 본원에 인용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분배기 시스템(10)을 작동시키기 위해 포함된 모터 및/또는 펌프는 배터리 구획부에 포함된 배터리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거나 AC 분배 시스템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분배기 시스템(10)이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센서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품 분배기에 대한 리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이 본원에 제공된다. 시스템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분배기 시스템의 임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리필 모니터링 시스템은 저장조 연결 표면을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 연결 표면은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액체 제품의 양을 보유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에,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취약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되고; 제어 회로 및/또는 분배 카운트를 컴퓨팅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상기 분배 카운트는 0으로 설정된다. 그런 다음, 제어 회로 및/또는 센서는 분배 카운트를 생성하고, 분배된 제품의 각각의 도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컴퓨팅 또는 서버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라면, 청구범위에 더욱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본 발명의 이러한 예들 및 기타 수정예들과 변형예들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측면들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상호 교환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게다가, 통상의 기술자라면, 위 설명은, 예를 든 것일 뿐이며, 이러한 청구범위에 더 설명되어 있는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인식할 것이다.

Claims (20)

  1. 액체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저장조 조립체로서,
    저장조 연결 표면 및 스위치를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으로서, 상기 저장조 연결 표면은 제1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및
    일정량의 액체를 보유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으로서, 상기 용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에,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제1 취약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저장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분배 카운트는 0으로 설정되는, 저장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은 제어 회로 및/또는 분배 카운트를 컴퓨팅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저장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 영역과 맞물리는 상기 제1 돌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보다 z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저장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은 상기 제1 돌기 부재와 맞물리는 상기 제1 취약 영역의 일부보다 z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저장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 영역은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저장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 영역은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저장조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은 카운터 위에 배치된 분배 헤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저장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에 정의된 유체 유출구를 통해 상기 액체를 펌핑하도록 작동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저장조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 연결 표면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 상의 제3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제2 취약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돌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돌기 부재에 의해 접촉될 때 상기 제2 취약 영역이 파단되도록 구성되는, 저장조 조립체.
  11. 카운터 장착형 액체 제품 분배 장치로서,
    카운터에 장착되는 고정구 조립체로서,
    상기 카운터에 장착되고, 액체 제품을 사용자에게 분배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전달 분출구를 갖는 분배 헤드를 포함하는, 상기 고정구 조립체;
    저장조 조립체로서,
    상기 분배기 헤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되고, 저장조 연결 표면 및 스위치를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으로서, 상기 저장조 연결 표면은 제1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상기 연결 부재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용기 하우징으로서, 상기 용기 하우징은 일정량의 액체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돌기 부재가 상기 제1 취약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용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상기 저장조 조립체; 및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 내에 정의된 유체 유출구를 통해 상기 액체 제품을 펌핑하도록 작동하는 펌프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은 제어 회로 및/또는 분배 카운트를 컴퓨팅 시스템에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분배 카운트는 0으로 설정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 영역과 맞물리는 상기 제1 돌기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보다 z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은 상기 돌기 부재와 맞물리는 상기 제1 취약 영역의 일부보다 z 방향으로 더 멀리 연장되는,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 영역은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취약 영역은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 연결 표면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 상의 제3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제2 취약 영역과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2 돌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취약 영역은 상기 제2 돌기 부재에 의해 접촉될 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세장형 튜브를 포함하되, 상기 세장형 튜브의 원위 단부는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세장형 텁의 상단부는 상기 분배기 헤드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장치.
  20. 액체 제품 분배 장치에 대한 리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저장조 연결 표면을 갖는 연결 부재 하우징으로서, 상기 저장조 연결 표면은 돌기 부재 내에 배치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갖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일정량의 액체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 하우징으로서, 상기 용기 하우징은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용기 하우징은 주 용기 및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은 제1 취약 영역에 구성된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후에, 상기 돌기 부재는 상기 제1 취약 영역이 상기 연결 부재 하우징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이 접촉할 수 없도록 상기 제1 취약 영역과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상기 용기 하우징;
    분배 카운트를 전달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1 스위치 접촉 표면 및 상기 제2 스위치 접촉 표면의 접촉 시 상기 분배 카운트는 0으로 설정되는, 제어 회로 및/또는 하나 이상의 센서; 및
    상기 분배 카운트를 수신 및 추적하고, 임계 분배 카운트에 도달할 때 리필 상태를 생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컴퓨팅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37035633A 2021-03-23 2021-03-23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 KR20230159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21/023637 WO2022203656A1 (en) 2021-03-23 2021-03-23 Reservoir assembly for a liquid product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507A true KR20230159507A (ko) 2023-11-21

Family

ID=8339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5633A KR20230159507A (ko) 2021-03-23 2021-03-23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30575A1 (ko)
EP (1) EP4312687A1 (ko)
KR (1) KR20230159507A (ko)
CN (1) CN116887729A (ko)
AU (1) AU2021435630A1 (ko)
CA (1) CA3212062A1 (ko)
WO (1) WO2022203656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0421B2 (en) * 2007-06-18 2011-07-19 Gotohti.Com Inc. Optically keyed dispenser
US9555429B2 (en) * 2007-11-14 2017-01-31 Gojo Industr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future need for product replacement of random-use dispen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87729A (zh) 2023-10-13
CA3212062A1 (en) 2022-09-29
EP4312687A1 (en) 2024-02-07
AU2021435630A1 (en) 2023-10-26
US20240130575A1 (en) 2024-04-25
WO2022203656A1 (en)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4967B2 (ja) プロダクトディスペンサ
US8342365B2 (en) Touch-free pressurized can dispenser
JP5748764B2 (ja) 流体ディスペンサ
JPH11507420A (ja) 洗浄装置及び操作方法
AU2004315161B2 (en) Electrostatic spraying device
EP2335540A2 (en) Apparatus for hands-free dispensing of a measured quantity of material
US20120248140A1 (en) Portable hand sanitation dispenser
RU2536191C2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раз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90050008A (ko) 랜덤 사용 디스펜서의 제품 교체를 표시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JP2017512599A5 (ko)
CA2803703A1 (en) Secure liquid drug dispenser and method for delivering liquid medication
US11793365B2 (en) Dispenser for use with refill cartridge
KR20230159507A (ko) 액체 제품 분배기용 저장조 조립체
EP1099400A2 (en) Improvements to an automatic device for disinfecting hands
KR20240036714A (ko) 계량된 용량 제어 특징부를 갖는 유체 분배기
GB2586090A (en) Dispensing device
US20240065492A1 (en) Pressurized Soap Dispenser and Method
JP5565400B2 (ja) 静電噴霧装置
JPH0682992U (ja) 泡出し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