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095A - 화재진압용 소화탄 - Google Patents

화재진압용 소화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095A
KR20230159095A KR1020220059038A KR20220059038A KR20230159095A KR 20230159095 A KR20230159095 A KR 20230159095A KR 1020220059038 A KR1020220059038 A KR 1020220059038A KR 20220059038 A KR20220059038 A KR 20220059038A KR 20230159095 A KR20230159095 A KR 20230159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re
cover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성
Original Assignee
최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성 filed Critical 최근성
Priority to KR1020220059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095A/ko
Publication of KR20230159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0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8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with delivery of fire extinguishing material by air or aircraft
    • A62C3/025Fire extinguishing bombs; Projectiles and launch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9/00Hand fire-extinguishers in which the extinguishing substance is expelled by an explosion; Exploding containers thrown into the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몸체;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충격강도(衝擊强度)가 상기 하우징의 충격강도 보다 낮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지면에 닿으면 저장된 소화약제가 외부로 분출되도록 형성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진압용 소화탄{FIRE EXTINGUISHER BALL}
본 발명은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화재가 발생된 지역에 도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이다.
실내외에서 화재가 발생 시에는 소화약제를 저장하고 있는 소방차량이나 소방헬기가 출동하거나 소화기나 스프링클러 등의 주변에 비치된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화재가 발생된 장소가 차량이나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이거나 산불과 같은 대규모의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소방헬기와 같은 비행체를 통해 타깃(Target)에 소화약제를 직접 투하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이때 소방헬기를 통해 저장된 소화약제를 공중에서 투하하는 경우에는 바람이나 비행체의 동력 등에 의해서 소화약제가 타깃에서 벗어나 다른 구역으로 향하는 경우가 빈번이 발생됨에 따라 효율이 다소 낮은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포탄 형태로 내부 수용공간에 소화약제를 수용하고 있는 소화탄을 활용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상기 소화탄에 대한 기술로 현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5423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10431호 및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44821호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이때 소화탄(1)은 크게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탄발사기(2)를 통해 타깃으로 발사하는 방식이나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체(3)를 통해 타깃에 투하하는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탄(1)은 타깃에 도달하기 전에 폭파되어 저장된 소화약제가 분산되거나, 타깃에 도달한 후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외부로 분출되는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고 있다.
상기 소화탄의 내부에 폭약이 함께 수용된 경우에는 소화약제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소화탄을 제조하기 위한 단가가 높아져 경제적 제한요소에 의해 많은 수량을 활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리고 타깃에 도달한 후에 소화약제가 외부로 분출되는 타입은 대상구역에서 소화탄이 비정상 작동하는 경우에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음에 따라, 현재에는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활용성이 높아지는 소화탄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21-0005423 A (2021.01.14. 공개) KR 10-2017-0110431 A (2017.10.11. 공개) KR 10-1944821 B1 (2019.02.11.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상구역에 정밀하게 도달한 뒤 내부에 저장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되 자세유지와 분출 성능이 향상되어 비정상 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화재진압용 소화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은,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몸체;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충격강도(衝擊强度)가 상기 하우징의 충격강도 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Al, Mg, Fe, Cu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금속산화물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는, 외압강도(外壓强度)를 보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타단이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타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양측으로 연장된 관 형상의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의 외경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내부홀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홀은, 상기 제2하우징이 삽입되는 제1내부홀과, 상기 제1내부홀과 연결되어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2내부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홀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제2내부홀을 개폐하는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은, 서로 다른 충격강도를 가진 재질로 형성된 하우징과 커버를 이용하여 화재 현장에 도달한 후에 상기 커버가 파괴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됨에 따라, 제조가 용이하여 보다 경제적이면서 활용성이 높아지는 장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를 통해 외압강도가 보다 높아지는 장점이 있음과 더불어, 화재구역에 도달되는 과정에서 파손되어 내부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정밀한 소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은 상기 커버의 재질과 커버에 배치되는 자세유지부를 통해 장치의 무게중심이 하부몸체보다 상부몸체에 인접하도록 조절되어, 상기 상부몸체가 먼저 지면에 닿도록 제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이 발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이 발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사대에 탑재된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또는 고압유체가 충진되는 것을 도시한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메인몸체의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부몸체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형태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으로, 도 3은 화재진압용 소화탄이 발사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을, 도 4는 발사대에 탑재된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정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은, 발사대(20)를 통해 화재현장으로 도달할 수 있으며, 상기 발사대(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방헬기와 같은 비행체(30)에 탑재되거나,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상의 차량 등에 설치되어 운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은 비행체(30)에 탑재된 상태에서 화재현장 인근에서 낙하될 수도 있으며, 사용 형태는 위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활용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은 메인몸체(100), 상부몸체(200) 및 하부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방향은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의 발사 방향을 상방으로, 이와 배향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발사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현장으로 발사될 수 있으며, 상기 발사대(20)는 상측으로 개구된 발사대몸체(21)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사대(20)는 상기 발사대몸체(21)의 내부에 형성된 압력조절부(22) 및 상기 압력조절부(22)로 고압유체를 주입하는 고압유체 주입구(23)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발사 전, 상기 메인몸체(100)의 일부와 상기 하부몸체(300)는 상기 발사대몸체(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몸체(100)와 상기 발사대몸체(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실링부재(40)나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에 대한 고정용 장치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과 발사대(20)는 원통형일 수 있으며, 원통형 외에도 여러 발사가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몸체(200)가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111)의 상측을 밀폐하고,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몸체(300)가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111)의 하측을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몸체(200)와 하부몸체(3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하우징(110)과 탈착 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몸체(200)는 상측으로 중심부가 돌출되어 돔(Dome) 형상으로 이루어진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홀(211)은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부(111)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소화약제는 상기 내부홀(211)까지 충진될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100)는 외압강도를 보강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120)는 상기 중공부(111)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상하 양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연장부(121) 및, 상기 연장부(121)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면에 타단이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2)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부(121)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거나, 상기 연장부(121)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발사대(20)에는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이 추진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재(4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입부재(41)는 전동력이나 유압 등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41)가 상기 하우징(110)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재(41)의 하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부재(4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실링부재(40)의 하부로 추진력을 위한 고압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41)가 상기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은 고압유체에 의해 동력이 발생되어 화재현장으로 발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으로, 도 5는 소화약제 또는 고압유체가 충진되는 것을 도시한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정단면도를, 도 6은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분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몸체(200)는 상기 내부홀(211)과 연결되어 외부로 개구되는 관통홀(21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12)은 상기 커버(2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200) 및 하부몸체(300)가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면 상기 내부홀(211)과 중공부(111)가 소화약제에 대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홀(212)로 소화약제가 주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충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12)에는 제1공급부(51)가 연결되어 소화약제가 주입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부몸체(200)는 상기 관통홀(212)을 개폐하는 마개(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화약제가 주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마개(220)가 분리되어 상기 관통홀(212)이 개구되고, 발사 과정에서는 상기 마개(220)가 상기 관통홀(212)에 장착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발사대(20)의 고압유체 주입구(23)는 제2공급부(52)와 연결되어 고압유체를 주입받을 수 있으며, 상기 압력조절부(22)에 고압유체가 주입되어 외기와의 압력차를 통해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의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입되는 고압유체는 상기 실링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10) 및 하부몸체(300)는 고압유체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내압성이 강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200)의 커버(210)의 충격강도는 상기 하우징(110)의 충격강도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이 발사되면 상기 커버(210)가 지상이나 사물에 부딪혀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210)의 파손부위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소화약제가 화재현장에 분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210)는, Al, Mg, Fe, Cu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금속산화물 또는 세라믹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210)는 Al을 포함하는 합금 재질로 구성되거나, 부분적으로 세라믹이 개재되는 합금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210)가 세라믹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보다 높은 내압성을 가지면서도 높은 무게로 이루어져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의 무게중심이 상측으로 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이 낙하되면서 상기 커버(210)가 지상을 향하도록 자세가 조절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은, 양측으로 연장된 관 형상의 제1하우징(110a), 상기 제1하우징(110a)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하우징(110b) 및 제3하우징(110c)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110b) 및 제3하우징(110c)의 외경이 상기 제1하우징의(110a)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홀(211)은 상기 제2하우징(110b)이 삽입되는 제1내부홀(211a)과, 상기 제1내부홀(211a)과 연결되어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2내부홀(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210)는 하단에 저면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저면부(213)가 상기 제2하우징(110b)을 감싸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내부홀(211a)의 상단 내경 보다 상기 제2내부홀(211b)의 하단 내경이 작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커버(210)는 접촉면(2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214)에 상기 제2하우징(110b)의 상단면이 접하여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몸체(300)는 상부가 상기 제3하우징(110c)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밀폐부(3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부(310)는 상측으로 개구된 수용부(311)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부(311)에 상기 제3하우징(110c)이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2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부(310)에는 상기 돌출부(121a)가 삽입되는 삽입홈(312)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하우징(110c)과 밀폐부(31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돌출부(121a)와 삽입홈(312)이 나사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하우징(110c)과 돌출부(121a)의 나사산이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 시에 함께 회전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으로, 도 7은 화재진압용 소화탄의 정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몸체(200)는 상기 커버(210)의 내부홀(211)에 배치되어 무게를 증가시켜 상기 화재진압용 소화탄(10)의 자세를 조절하는 자세유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세유지부(230)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연통홀(2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홀(231)의 상측이 상기 관통홀(212)과 연결되고 상기 연통홀(231)의 하측이 상기 내부홀(211)로 개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세유지부(230)는 상기 커버(210)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상기 커버(210) 보다 높은 밀도를 가진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술한 가압부재(4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면(1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면(112)은 상기 하우징(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거나, 복수의 고정면(112)이 상기 하우징(1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복수의 상기 가압부재(41)가 각각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41)가 유압을 통해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고정면(112)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하우징(110)의 하단면에 가해지는 힘과 동일하거나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2)는 복수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10)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부(122) 중, 상기 고정면(112)에 인접한 일부의 상기 고정부(122)가 비교적 이격된 다른 일부의 상기 고정부(122) 보다 더 높은 외압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일부의 상기 고정부(122)가 다른 일부의 상기 고정부(122) 보다 단위 길이당 배치되는 수가 많거나 상하 두께가 크게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110)의 둘레 방향으로의 너비가 크게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41)로 인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고정면(112)에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부(122)에 의해서 상기 하우징(11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용 소화탄에 관한 것으로, 도 8은 메인몸체의 평단면도를, 도 9는 상부몸체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복수의 상기 고정부(122)는 상기 연장부(121)를 중심으로 상기 연장부(12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후좌우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현장에 도착하기 이전에 발생되는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이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8-(b) 및 도 8-(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고정부(122)가 상하 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거나,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소화약제의 양을 늘리면서도 외압강도가 보다 높아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그재그 형태의 일 예로 2개의 상기 고정부(122)가 하나의 높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인접한 다른 2개의 상기 고정부(122)가 다른 높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120)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고정부(122)에 연결된 관 또는 링 형상의 연결부(12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부(123)는 인접한 복수의 고정부(122)를 연결하여 외압을 분산시켜 외압강도를 보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몸체(200)는 지상이나 사물에 도달한 커버(210)가 보다 용이하게 파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210)의 외주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함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함몰부(240)는 상기 커버(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표면 보다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충격 발생 후에 파손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함몰부(240)에는 취성이 높은 세라믹과 같은 재질이 충진될 수도 있다.
도 9-(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함몰부(240)는 상기 접촉면(214) 보다 상기 커버(210)의 중심에 가깝도록 위치될 수 있으며, 보다 명확히는 상기 함몰부(240)가 상기 접촉면(214)과 상기 마개(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 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형태의 제1함몰부(241a) 및 제2함몰부(241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른 형태의 일 예로 상기 제1함몰부(241a) 및 제2함몰부(241b)의 장축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도 9-(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함몰부(242)의 형상으로 상기 커버(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그루브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화재진압용 소화탄
20 : 발사대
21 : 발사대몸체
22 : 압력조절부
23 : 고압유체 주입구
30 : 비행체
40 : 실링부재
41 : 가압부재
51 : 제1공급부
52 : 제2공급부
100 : 메인몸체
110 : 하우징
110a : 제1하우징
110b : 제2하우징
110c : 제3하우징
111 : 중공부
112 : 고정면
120 : 보강부재
121 : 연장부
121a : 돌출부
122 : 고정부
123 : 연결부
200 : 상부몸체
210 : 커버
211 : 내부홀
211a : 제1내부홀
211b : 제2내부홀
212 : 관통홀
213 : 저면부
214 : 접촉면
220 : 마개
230 : 자세유지부
231 : 연통홀
240 : 함몰부
241a : 제1함몰부
241b : 제2함몰부
242 : 원형 함몰부
300 : 하부몸체
310 : 밀폐부
311 : 수용부
312 : 삽입홈

Claims (10)

  1. 양측으로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메인몸체;
    상기 하우징의 중공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
    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의 충격강도(衝擊强度)가 상기 하우징의 충격강도 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Al, Mg, Fe, Cu 및 T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 금속산화물 또는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는,
    외압강도(外壓强度)를 보강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보강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중공부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양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타단이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연장부의 타측 단부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5.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6.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7.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장부의 길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양측으로 연장된 관 형상의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의 외경이 상기 제1하우징의 외경 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부에는 내부홀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홀은,
    상기 제2하우징이 삽입되는 제1내부홀과, 상기 제1내부홀과 연결되어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제2내부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내부홀이 외부와 연결되고,
    상기 상부몸체는,
    상기 제2내부홀을 개폐하는 마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진압용 소화탄.
KR1020220059038A 2022-05-13 2022-05-13 화재진압용 소화탄 KR202301590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038A KR20230159095A (ko) 2022-05-13 2022-05-13 화재진압용 소화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038A KR20230159095A (ko) 2022-05-13 2022-05-13 화재진압용 소화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095A true KR20230159095A (ko) 2023-11-21

Family

ID=8898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038A KR20230159095A (ko) 2022-05-13 2022-05-13 화재진압용 소화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09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431A (ko) 2016-03-23 2017-10-1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진화용 공중투하 소화탄
KR101944821B1 (ko) 2018-05-17 2019-02-11 주식회사 명성하이텍 양단이 곡선형인 소화탄
KR20210005423A (ko) 2019-07-05 2021-01-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산불확산방지용 소화탄을 이용한 산불진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0431A (ko) 2016-03-23 2017-10-11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산불 진화용 공중투하 소화탄
KR101944821B1 (ko) 2018-05-17 2019-02-11 주식회사 명성하이텍 양단이 곡선형인 소화탄
KR20210005423A (ko) 2019-07-05 2021-01-14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산불확산방지용 소화탄을 이용한 산불진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301B1 (ko) 화재진압용 비행기
US8672044B2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surizing gas in an extinguisher bottle
KR101304229B1 (ko) 발사 가능한 원격 조종 공격 장치
CN110947133B (zh) 一种投送喷粉的高楼灭火弹
CN108744354B (zh) 一种机载灭火弹
CN107998550B (zh) 远程灭火弹及其发射装置
CN102878870A (zh) 一种灭火子母火箭弹
CN106051252A (zh) 烟火阀
KR102075026B1 (ko) 화재 진압 무인기 탑재형 투척용 소화기
CN211273254U (zh) 一种森林灭火弹
CN104474652A (zh) 一种炮击投式森林火灾灭火器
JP2013204864A (ja) 機能弾射出装置及び機能弾射出システム
KR20230159095A (ko) 화재진압용 소화탄
CN111707147B (zh) 一种能量衰减型催泪动能弹
KR102190643B1 (ko) 소방용 강화유리 파괴 드론
CN218155785U (zh) 一种气动灭火弹
KR20220061600A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소화장치
KR20070048843A (ko) 화재 진압용 소화탄
CN116099141B (zh) 一种自爆式消防炮弹
CN110665143A (zh) 一种双保险导爆的空投式森林灭火弹
CN212235711U (zh) 一种灭火弹
CN1278751C (zh) 连环子母灭火弹
JP2001149492A (ja) 消火用水を遠方に飛ばす装置
KR20230159101A (ko) 소화탄 발사장치
CN205332931U (zh) 一种车载火箭灭火弹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