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9012A -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 Google Patents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9012A
KR20230159012A KR1020220058838A KR20220058838A KR20230159012A KR 20230159012 A KR20230159012 A KR 20230159012A KR 1020220058838 A KR1020220058838 A KR 1020220058838A KR 20220058838 A KR20220058838 A KR 20220058838A KR 20230159012 A KR20230159012 A KR 20230159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ulling
pulling device
coupled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규태
노영숙
Original Assignee
도규태
노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규태, 노영숙 filed Critical 도규태
Priority to KR1020220058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9012A/en
Publication of KR20230159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901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65H49/30Swifts or skein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풀링(unbinding) 작업 시에 회전되는 드럼에서 케이블을 엉키거나 외부로 낙하 없이 용이하게 풀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을 당겨 채우도록 형성되는 전선 그립망과;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을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전선을 풀리도록 작동하는 풀링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풀링 다이의 상측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간격 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의 가변에 따라 묶음 제공되는 전선의 크기나 폭에 따라 전선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guides the cable to be easily unbound from a rotating drum during wire pulling (unbinding) work without being tangled or falling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grip net formed to pull and fill the wire; It includes a pulling die that operates to release the wire by placing and rotating the wire grip net filled with the wire, and further includes a wire gap maintain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wire from leaving. Disclosed is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which is configured to guide the wire according to the size or width of the bundled wire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wire spacing maintainer.

Description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본 발명은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선 풀링(unbinding) 작업 시에 회전되는 드럼에서 케이블을 엉키거나 외부로 낙하 없이 용이하게 풀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nd more specifically,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guides the cable to be easily unwound from a rotating drum during wire pulling (unbinding) work without being tangled or falling to the outside. It relates to a pooling device having.

일반적으로, 전선 및 케이블을 생산하는 공장에서는 전선 및 통신의 케이블을 다발 형식의 롤 또는 드럼 형식으로 제작하여 판매하게 되고,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는 롤 또는 드럼에서 케이블을 풀어가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Generally, factories that produce wires and cables produce and sell wires and communication cables in bundled rolls or drums, and at sites where cables are used, work is carried out by unwinding the cables from rolls or drums. .

그러나 상기와 같이 현장에서 케이블을 롤 또는 드럼에서 풀어가면서 진행할 때, 풀리는 전선의 엉킴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에 엉킨 전선을 풀어주기 위해 모든 공정을 멈추게 되어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되어 막대한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cables are unwound from rolls or drums in the field as described above, tangles of untangled wires often occur, and all processes have to be stopped to untangle the tangled wires, which reduces productivity and causes enormous losses. There was a problem.

또한, 케이블이 엉켜 있을 때 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풀어주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자동화 시스템으로 진행되는 현장에서 엉킨 케이블을 풀어주기 위한 작업자를 항시 대기시켜 놓아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cables are tangled, the worker must manually untangle them, which causes the work to take a long time.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workers must always be on standby to untangle cables in sites where automation is used.

또한, 케이블을 사용하는 현장에서 공정이 느리게 진행되거나 전선을 천천히 공급해도 되며 상기와 같은 엉킴 현상은 덜 발생할 수 있으나, 공정이 빠르게 진행되거나 케이블을 빠른 속도로 공급해야 한다면 케이블의 엉킴 현상은 작업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자주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in a field where cables are used, the process may progress slowly or the wires may be supplied slowly, and tangles like the above may be less likely to occur. However, if the process progresses quickly or cables must be supplied at a high speed, the cable tangle phenomenon may affect the work speed. Failure to keep up with the process often results in tangled problem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A 10-2022-003501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A 10-2022-00350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B1 10-05608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B1 10-0560866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풀링 작업 시에 회전되는 전선을 엉키거나 외부로 낙하 없이 용이하게 풀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guides the rotating wire to be easily unwound without becoming tangled or fall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wire pulling operation. This is to do 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선 다발 묶음에서 전선을 신속하고 엉킴 없이 풀리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ling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allows the wires to be untangled from the wire bundle quickly and without tangl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발 묶음의 전선을 풀기 위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간격 조절 가능하게 제공하여 전선 묶음의 크기나 형태에 구애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for unwinding a bundle of wires with adjustable spacing so tha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ize or shape of the wire bund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쉽게 작동할 수 있는 전선 풀링 장치를 제공하여 안전하면서도 작업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 pulling device that is safe and easy to operate, and has a wire pulling device that is safe and has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can reduce work speed.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선을 당겨 채우도록 형성되는 전선 그립망과;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을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전선을 풀리도록 작동하는 풀링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풀링 다이의 상측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간격 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의 가변에 따라 묶음 제공되는 전선의 크기나 폭에 따라 전선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장치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grip net formed to pull and fill the wire; It includes a pulling die that operates to release the wire by placing and rotating the wire grip net filled with the wire, and further includes a wire gap maintain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and is installed to prevent the wire from leaving. Disclosed is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which is configured to guide the wire according to the size or width of the bundled wire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wire spacing maintainer.

또한, 상기 전선 그립망은, 상/하부에 가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의 가변 밴드와; 상기 가변 밴드를 세로로 연결 묶음하는 연결 밴드와; 상기 가변 밴드 및 연결 밴드의 연결부위를 결속하는 결속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grip net includes elastic, variable bands formed horizontally at the top and bottom; a connecting band that vertically connects and bundles the variable bands;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inding joint that binds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variable band and the connection band.

또한 상기 결속 이음부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 밴드에 연결밴드가 걸림 형태이거나 체결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inding joint may be formed in a clip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band is caught or fastened to the variable band.

또한, 상기 풀링 다이는 중심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되고, 바닥면에 지지되는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받침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며, 상측 둘레부에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을 올려놓도록 받쳐주기 위한 원형 프레임 구조의 원형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lling die includes a rotating shaft installed at the center to enable rotational movement; a bottom support portion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coupled to receive the rotation axis inside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circular wheel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has a circular frame structure to support the wire grip net filled with wires on the upper circumference; I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comprised of:

또한, 상기 바닥 받침부는 중심의 바닥 몸체와; 상기 바닥 몸체에서 일정 길이 형성되는 바닥 보강바와; 상기 바닥 보강바의 길이 방향 끝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ottom support portion includes a central bottom body; a floor reinforcement bar formed at a certain length in the floor body;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loor support part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welded and fix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loor reinforcement bar.

또한, 상기 바닥 몸체는 그 내측으로 결합되어 회전축에 대응하여 회전을 가이드하는 부싱 및 축 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body may further include a bushing and a shaft bearing that are coupled to the inside and guide rota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원형 휠은 상기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중심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의 둘레부에서 적어도 4곳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는 길이바와; 상기 길이바의 단부가 내측 둘레에 용접 고정되고, 외측으로 원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원형 테두리부; 및, 상기 원형 테두리부의 내측 둘레단부에서 일정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보강살과; 상기 중심 몸체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묶음 또는 다발 전선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안내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r wheel includes a central body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a length bar formed at a certain length in at least four direction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body; An end portion of the length bar is welded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circular edge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to form a circular frame structure; And, reinforcing rib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end of the circular edge portion and weld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It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ire guide rod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body and installed to guide bundled or bundled wires.

또한,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는 상기 풀링 다이의 상측단에 끼움 결합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상측에 볼트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끝단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볼트 잠금이나 풀림 작동에 따른 손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고리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 gap maintainer includes a sliding body that is movably installed by fitting in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a vertical bar that is bol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body and stands vertically; It may be characterized as including a ring handle form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rod in the form of a ring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hand in accordance with the bolt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본 발명은 전선 풀링 작업 시에 회전되는 전선을 엉키거나 외부로 낙하 없이 용이하게 풀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guides the rotating wire to be easily unwound without becoming tangled or falling to the outside during the wire pulling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선 다발 묶음에서 전선을 신속하고 엉킴 없이 풀리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pulling device that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allows the wires to be untangled from the wire bundle quickly and without tangling.

또한, 본 발명은 다발 묶음의 전선을 풀기 위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간격 조절 가능하게 제공하여 전선 묶음의 크기나 형태에 구애 없이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for unwinding a bundle of wires with adjustable spacing, so that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ize or shape of the wire bundle.

또한, 본 발명은 안전하고 쉽게 작동할 수 있는 전선 풀링 장치를 제공하여 안전하면서도 작업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 pulling device that is safe and easy to operate, and can provide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that is safe and reduces work speed.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보인 실시 예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보인 전체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따른 전선 그립망을 보인 평면 및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따른 풀링 다이와 전선 간격 유지가 결합된 정면 예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 예시도,
도 5는 도 3의 부분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따른 풀링 다이에 전선 그립망이 설치되는 것을 보인 상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따른 풀링 다이에 전선 그립망이 설치된 것을 보인 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서 전선을 풀어 주는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1 to 8 show an embodiment of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ling device having a means for preventing wir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and front view showing a wire grip net according to a pulling device having a means for preventing wir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illustration of a combination of a pulling die and wire spacing maintenance according to a pulling device with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lan example of Figure 3;
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illustration of Figure 3;
Figure 6 is an example showing a wire grip net being installed on a pulling die according to a pulling device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ample showing a state where a wire grip net is installed on a pulling die according to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wire is released from a pulling device having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but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for information purposes on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rst,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를 보인 실시 예이다.1 to 8 show an embodiment of a pulling device having a means for preventing wir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100)는 전선을 당겨 채우도록 형성되는 전선 그립망(110)과;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110)을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전선을 풀리도록 작동하는 풀링 다이(120); 및 상기 풀링 다이(120)의 상측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간격 유지구(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s 1 to 8, the pulling device 100 having a means for preventing wir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grip net 110 formed to pull and fill the wire; A pulling die (120) that operates to release the wire by placing and rotating the wire grip net (110) filled with wire; And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ire gap maintainer 130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120 and installed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separated.

여기서,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130)의 가변(위치변위)에 따라 묶음 제공되는 전선의 크기나 폭에 따라 풀링 다이(120)에서 전선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풀링 다이의 회전에 따라 풀리도록 작동하는 전선 묶음이 안쪽으로 벌어짐이나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초기 묶음 상태의 전선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가이드하기 위함이다. Here, the wire is guided in the pulling die 120 according to the size or width of the bundled wire according to the variabl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wire spacing holder 130, and is operated to be relea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ulling die. It can prevent the bundle of wires from opening inward or becoming disorganized. In other words, this is to guide the wires to maintain their initial bundled form.

전선 그립망(110)은 상/하부에 가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의 가변 밴드(111)와; 상기 가변 밴드(121)를 세로로 연결 묶음하는 연결 밴드(113)와; 상기 가변 밴드(111) 및 연결 밴드(113)의 연결부위를 결속하는 결속 이음부(11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wire grip network 110 includes elastic, variable bands 111 formed horizontally at the top and bottom; a connection band 113 that vertically connects and bundles the variable bands 12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binding joint 115 that bind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variable band 111 and the connection band 113.

또한, 상기 가변 밴드(111)는 포장 제공되는 묶인 전선의 가로 및 세로 폭에 따라 탄성력을 갖는 탄성 재질로서, 고무 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묶음 전선에서 연결 밴드(113)의 길이 방향에 따른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riable band 111 is an elastic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according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the bundled wires provided in the packaging, and a rubber band or the like can be used, and the 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and 113 in the bundled wires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연결 밴드(113)는 가변 밴드(111)의 탄성을 받으면서 묶인 전선의 가로 및 세로 폭에 대한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전선의 원래 묶음 형태를 바르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밴드는 반듯이 탄성 재질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일정한 강도를 유지하는 노끈 형태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and 113 can receive the elasticity of the variable band 111, prevent the wire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idths of the bundled wires, and maintain the original bundled shape of the wires correctly. At this time, the connecting ban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be in the form of a twine that maintains a certain strength.

또한, 상기 결속 이음부(115)는 상기 가변 밴드(111)에 연결 밴드(113)를 묶어 고정하는 형태로서, 통상적인 묶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가변 밴드(111)의 다수의 일곳에 금속 클립 형태로 연결부재를 제공하고 이 연결부재에 연결 밴드의 일단부를 끼움하거나 상호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inding joint 115 is in the form of binding and fixing the connection band 113 to the variable band 111, and may be provided in a conventional bundling method. However, the binding joint 115 may be provided in a conventional binding method, but may be provided by attaching metal to a plurality of places in the variable band 111. A connect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lip,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ba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by mutual screw fastening.

풀링 다이(120)는, 상측에 놓인 묶음 전선을 회전으로 풀리도록 하는 것으로서, 중심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121)과; 상기 회전축(121)을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되고, 바닥면에 지지되는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받침부(123)와; 상기 회전축(121)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며, 상측 둘레부에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110)을 올려놓도록 받쳐주기 위한 원형 프레임 구조의 원형 휠(12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pulling die 120 is used to rotate and unwind the bundled wire placed on the upper side, and includes a rotating shaft 121 that is installed to allow rotational movement at the center; a bottom support portion 123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coupled to receive the rotation axis 121 inside and supported on the floor; a circular wheel 125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21 and supports the wire grip net 110 filled with wires on its upper circumferenc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또한, 상기 회전축(121)은 상기 바닥 받침부(123)의 상단 내측으로 하측 일단이 수용 결합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상측 일단은 상기 원형 휠(125)의 하단과 축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에 의해 원형 휠 전체가 바닥 받침부에 의해 지지된 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21 has a lower end that is receiv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end of the floor support portion 123 and rotates, and the upper end can be configured to be axi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wheel 125. That is, the entire circular wheel can be installed rotatably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ottom support portion by the rotation axis.

또한, 상기 바닥 받침부(123)는 회전축과 결합된 원형 휠 전체를 받쳐주는 것으로서, 중심의 바닥 몸체(123a)와; 상기 바닥 몸체(123a)에서 일정 길이 형성되는 바닥 보강바(123b)와; 상기 바닥 보강바(123b)의 길이 방향 끝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지지부(123c)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upport portion 123 supports the entire circular wheel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and includes a central bottom body 123a; a bottom reinforcement bar (123b) formed at a certain length in the bottom body (123a);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oor support portion 123c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that is welded and fix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loor reinforcement bar 123b.

한편, 상기 바닥 몸체(123a)는 그 내측으로 결합되어 회전축(121)에 대응하여 회전을 가이드하는 부싱(123d) 및 축 베어링(123e)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축과 베어링의 연결구조로 이하 생략한다.Meanwhile, the bottom body 123a may further include a bushing 123d and a shaft bearing 123e that are coupled to the inside and guide rota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shaft 121. The description of this is omitted below as it is a general shaft-bearing connection structure.

또한, 상기 원형 휠(125)은 묶음 제공되는 전선을 받쳐주고 회전 운동을 하면서 묶인 전선을 풀리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121)과 축 결합되는 중심 몸체(125a)와; 상기 중심 몸체(125a)의 둘레부에서 일정 길이 형성되는 길이바(125b)와; 상기 길이바(125b)의 단부가 내측 둘레에 용접 고정되고, 외측으로 원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원형 테두리부(125c); 및, 상기 원형 테두리부(125c)의 내측 둘레단부에서 일정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21)의 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보강살(125d)과; 상기 중심 몸체(125a)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묶음 또는 다발 전선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안내봉(125e)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lar wheel 125 supports the bundled wires and rotates to release the bundled wires, and includes a central body 125a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121; a length bar (125b) formed at a certain length around the central body (125a); An end of the length bar 125b is welded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circular edge portion 125c is formed on the outside to form a circular frame structure; And, reinforcing spokes (125d) extending in a certain length direction from the inner peripheral end of the circular edge portion (125c) and welded and fixed to the ends of the rotating shaft (121);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ire guide rod 125e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body 125a and installed to guide bundled or bundled wires.

또한, 상기 중심 몸체(125a)에서 연장된 길이바(125b)는 상기 중심 몸체(125a)의 내측 둘레면에서 적어도 4곳 정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원형 테두리부(125c)의 내측 둘레면에 용접 고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bar 125b extending from the central body 125a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at least four place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25a and extend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ircular edge portion 125c. It can be formed to be fixed by welding.

또한, 상기 원형 테두리부(125c)는 상기 바닥 받침부(123)의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지지부(123c) 보다는 그 폭이 큰 원형 프레임 구조이다. 이는 전기, 전선, 통신 케이블 등 다양한 묶음 형태를 만족하도록 그 넓이 폭이 적당한 넓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ircular edge portion 125c has a circular frame structure whose width is larger than that of the bottom support portion 123c of the circular frame structure of the floor support portion 123. It is desirable to have an appropriate width to satisfy various bundle types such as electricity, wires, and communication cables.

또한, 상기 보강살(125d)은 원형 테두리부(125c)의 단부와 회전축(121)의 단부를 상호 용접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묶음 제공되는 전선의 하중과 회전 운동에 따른 원형 휠(125)의 하중에 따른 내구성을 증대하는 보강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spokes 125d are formed to weld and fix the end of the circular edge portion 125c and the end of the rotating shaft 121 to each other, and the circular wheel 125 according to the load and rotational movement of the bundled wires. It can be provided as a reinforced structure that increases durability under load.

또한, 전선 안내봉(125e)은 도넛 형태로 제공되는 묶음 전선 형태를 원형 휠(125)의 상단부에 안전하게 안착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정 길이 수직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두께 폭으로 제공되는 묶인 전선을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높이 길이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소형의 전선 드럼 형태를 전선 안내봉(125e)으로 꽂아 놓는 형태로 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wire guide rod 125e serves as a guide to safely seat the bundled wire provided in the form of a donut on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r wheel 125. It is formed to maintain a certain length and vertical height and is provided in various thicknesses and widths. As a height and length to safely accommodate bundled wires. In some cases, a small electric wire drum can be used by mounting it with a wire guide rod (125e).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130)는 풀링 다이(120)에 설치되는 묶인 전선의 안쪽 폭에 맞추어 전선이 흐트러짐이 없이 회전하도록 지지하거나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풀링 다이(120)의 상측단에 끼움 결합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몸체(131)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131)의 상측에 볼트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132)과; 상기 수직봉(132)의 끝단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볼트 잠금이나 풀림 작동에 따른 손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고리 손잡이(13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wire gap maintainer 130 is installed to support or guide the wires to rotate without being disturbed according to the inner width of the bundled wires installed in the pulling die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120. A sliding body 131 that is coupled and movably installed; a vertical bar 132 that is bol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body 131 and stands vertically; The vertical rod 132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ng handle 133 formed in a ring shape at the end of the vertical rod 132 so that the user can hold the bolt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with his or her hand.

또한, 상기 슬라이딩 몸체(131)는 상기 풀링 다이(120)의 원형 휠(125)에서 길이바(125b)의 직경을 따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선 두께 폭에 따른 맞춤 폭 조절을 슬라이딩 몸체(131)의 전/후 움직임에 의해 간격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ing body 131 is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diameter of the length bar 125b on the circular wheel 125 of the pulling die 120, and can adjust the custom width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wire. The gap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liding body 131 forward and backward.

또한, 수직봉(132)은 일단이 나사부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몸체(131)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볼트 형태의 수직봉의 나사 쪼임으로 슬라이딩 몸체(131)를 원하는 위치에 이동 한 후, 수직봉(132)을 통해 쪼임으로 원형 휠(125)의 길이바(125b)의 면에 대해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rod 132 is configured to have one end formed of a threaded portion and screwed to the sliding body 131. After moving the sliding body 131 to the desired position by screwing the bolt-shaped vertical rod, the vertical rod is It can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length bar (125b) of the circular wheel (125) by tightening through (132).

또한, 고리 손잡이(133)는 수직봉의 나사 쪼임 동작에 따른 사용자의 원활한 쪼임 동작 및 풀림 동작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추가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의 형태를 고리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추후 케이블이나 다른 안전줄을 연이어서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ing handle 133 can be further formed in a configuration that facilitates the user's smooth tightening and loosening operations according to the screw tightening motion of the vertical rod.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handle can be formed into a ring-like shape so that cables or other safety lines can be connected in succession in the future.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설명은 상기 구조 설명에 따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ulling device with the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following description follows the above structural description.

먼저, 포장 형태로 제공되는 묶인 형태의 전선 형태를 준비한다.First, prepare the bundled wire form provided in packaging.

다음, 묶인 전선 형태를 유지한 체, 전선 외측으로 전선 그립망(110)을 외측에서 안쪽을 향해 거는 형태로 덮어씌운다.Next,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bundled wire, the wire grip net 110 is covered on the outside of the wire in a manner that hangs from the outside toward the inside.

여기서 전선 그립망(110)의 가변 밴드(111)의 탄성력으로 장력을 유지하여 단단하게 묶임 전선을 감싸도록 설치할 수 있다.Here, tension is maintai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variable band 111 of the wire grip net 110, so that it can be installed to tightly surround the bundled wire.

그런 다음, 전선 그립망(110)에 씌워진 묶인 전선 형태(다발)를 풀링 다이(120)의 원형 휠(125)에 올려 전선 풀기의 준비를 마무리한다.Then, the bundled wire form (bundle) covered with the wire grip net 110 is placed on the circular wheel 125 of the pulling die 120 to complete preparations for unwinding the wire.

또 다음으로, 전선 이탈방지수단으로서 전선 간격 유지구(130)를 풀고 전후 거리를 조절하여 묶인 전선의 안쪽에서 간격을 촘촘하게 조절한 후에 나사 쪼임하여 고정한다.Next, as a means of preventing wire separation, loosen the wire spacing retainer 130 and adjust the front and rear distances to finely adjust the gap inside the bundled wires, then fasten them with screws.

끝으로, 사용자가 풀링 다이(120)의 원형 휠(125)을 회전축을 축기점으로 회전하면서 상측에서 묶인 전선에서 전선의 가닥 일부를 잡고 이동하면서 풀링 다이에서 전선을 원활하게 회전시켜 풀리도록 사용할 수 있다.Finally, the user can use the circular wheel 125 of the pulling die 120 to rotate the rotation axis to the axis point and move it by holding a part of the wire strand from the wire tied at the upper side to smoothly rotate and unwind the wire from the pulling die. there i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장치전선 풀링 작업 시에 회전되는 전선을 엉키거나 외부로 낙하 없이 용이하게 풀리도록 안내하도록 하면서, 구조가 간단하면서 전선 다발 묶음에서 전선을 신속하고 엉킴 없이 풀리도록 할 수 있으며, 다발 묶음의 전선을 풀기 위한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간격 조절 가능하게 제공하여 전선 묶음의 크기나 형태에 구애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ulling device having a means for preventing wir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uides the rotating wire to be easily unwound during the wire pulling operation without tangling or falling to the outside,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quickly removes the wire from the wire bundle bundle. It can be untangled without tangling, and a wire separation prevention means for untangling the bundled wires is provided with adjustable spacing, so 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ize or shape of the wire bundl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iscuss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is intended to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below.

100 : 풀링 장치
110 : 전선 그립망
111 : 가변 밴드
113 : 연결 밴드
115 : 결속 이음부
120 : 풀링 다이
121 : 회전축
123 : 바닥 받침부
125 : 원형 휠
130 : 간격 유지구
131 : 슬라이딩 몸체
132 : 수직봉
133 : 고리 손잡이
100: pulling device
110: wire grip net
111: variable band
113: connection band
115: Binding joint
120: pulling die
121: rotation axis
123: floor support
125: circular wheel
130: gap maintenance device
131: sliding body
132: vertical bar
133: Hook handle

Claims (8)

전선을 당겨 채우도록 형성되는 전선 그립망과;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을 올려놓고 회전시키면서 전선을 풀리도록 작동하는 풀링 다이를 포함하고,
상기 풀링 다이의 상측단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간격 유지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의 가변에 따라 묶음 제공되는 전선의 크기나 폭에 따라 전선을 안내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 wire grip net formed to pull and fill the wire;
It includes a pulling die that operates to release the wire by placing and rotating the wire grip net filled with the wire,
It further includes a wire gap maintainer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to prevent the wire from leav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guided according to the size or width of the bundled wire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the wire spacing maintainer.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그립망은,
상/하부에 가로 형태로 형성되는 탄성의 가변 밴드와;
상기 가변 밴드를 세로로 연결 묶음하는 연결 밴드와;
상기 가변 밴드 및 연결 밴드의 연결부위를 결속하는 결속 이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grip net is,
Elastic variable bands formed horizontally at the top and bottom;
a connecting band that vertically connects and bundles the variable band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inding joint that bind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variable band and the connection band.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이음부는 클립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 밴드에 연결 밴드가 걸림 형태이거나 체결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binding joint is formed in the form of a clip, and the connection band is hooked or fastened to the variable band.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 다이는,
중심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내측으로 수용하도록 결합되고, 바닥면에 지지되는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받침부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며, 상측 둘레부에 전선이 채워진 전선 그립망을 올려놓도록 받쳐주기 위한 원형 프레임 구조의 원형 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ulling die,
a rotation axis that can be rotated at the center;
a bottom support part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coupled to receive the rotation axis inside and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circular wheel is axially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tating shaft and has a circular frame structure to support the wire grip net filled with wires on the upper circumference; Characterized by being composed of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받침부는
중심의 바닥 몸체와;
상기 바닥 몸체에서 일정 길이 형성되는 바닥 보강바와;
상기 바닥 보강바의 길이 방향 끝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원형 프레임 구조의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floor support is
a central bottom body;
a floor reinforcement bar formed at a certain length in the floor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or support part of a circular frame structure welded and fixed to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loor reinforcement bar.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몸체는 그 내측으로 결합되어 회전축에 대응하여 회전을 가이드하는 부싱 및 축 베어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bottom body is coupled to the inside and further includes a bushing and a shaft bearing that guide rotation in response to the rotation axis.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휠은,
상기 회전축과 축 결합되는 중심 몸체와;
상기 중심 몸체의 둘레부에서 적어도 4곳 방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는 길이바와;
상기 길이바의 단부가 내측 둘레에 용접 고정되고, 외측으로 원형 프레임 구조로 형성되는 원형 테두리부; 및,
상기 원형 테두리부의 내측 둘레단부에서 일정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보강살과;
상기 중심 몸체의 상단 중심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묶음 또는 다발 전선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전선 안내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circular wheel is,
a central body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a length bar formed at a certain length in at least four directions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body;
An end portion of the length bar is welded and fixed to an inner circumference, and a circular edge portion formed on the outside to form a circular frame structure; and,
Reinforcement rib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end of the circular edge portion and welded and fixed to an end of the rotating shaf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upper center of the central body and includes a wire guide rod installed to guide the bundled or bundled wires.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간격 유지구는
상기 풀링 다이의 상측단에 끼움 결합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몸체와;
상기 슬라이딩 몸체의 상측에 볼트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끝단부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볼트 잠금이나 풀림 작동에 따른 손을 파지하도록 형성되는 고리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이탈방지수단을 갖는 풀링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 gap maintainer is
a sliding body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pulling die and movably installed;
a vertical bar that is bolted to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body and stands vertical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at the end of the vertical rod and includes a ring handle formed to allow the user to hold the hand according to the bolt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A pulling device having means to prevent wire separation.
KR1020220058838A 2022-05-13 2022-05-13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KR202301590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38A KR20230159012A (en) 2022-05-13 2022-05-13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838A KR20230159012A (en) 2022-05-13 2022-05-13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9012A true KR20230159012A (en) 2023-11-21

Family

ID=8898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838A KR20230159012A (en) 2022-05-13 2022-05-13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901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866B1 (en) 2003-03-24 2006-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Jig using for cable drum institution and cable spreading
KR20220035015A (en) 2021-12-20 2022-03-21 (주)태룡전설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nd electric cable recovery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866B1 (en) 2003-03-24 2006-03-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Jig using for cable drum institution and cable spreading
KR20220035015A (en) 2021-12-20 2022-03-21 (주)태룡전설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nd electric cable recove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980B2 (en) Wire spool guide assembly
AU703629B2 (en) Winding arrangement for coiling of an elongated flexible element and coiling means
US20120048988A1 (en) Barbed Wire Dispensing Apparatus
CA1083119A (en) Welding wire spool shroud
US4856729A (en) Hold and unwind reel for coiled material
KR20230159012A (en) Pulling apparatus having wire separation preventive measure
JP3656767B2 (en) Drum support device for cable feeding
US5806780A (en) Universal cable take-off system
KR20220040126A (en) Fiber cable loosening prevention apparatus
KR101558133B1 (en) Variable assembly apparatus for unbinding wire
CN213445530U (en) Electric power engineering is with receiving line equipment
KR20190045537A (en) Wiring apparatus with drone and the method thereof
JP4597743B2 (en) Cable wiring method
KR200497979Y1 (en) Falling fire prevention part for the cable separation protection
JP2001327016A (en) Stringing construction method for cable and corner guide for cable stringing
JP3219768U (en) Winding device for long objects
CN217555437U (en) Auxiliary paying-off device for laying electric wire
KR102516737B1 (en) Moving cart for coil puller
JP3581854B2 (en) Corner guide for cable overhead line
US11180340B2 (en) Adjustable coil adapter mechanism
US20050127237A1 (en) Alignment tool
JP4619928B2 (en) Three-wire batch drum reel for bypass cable
KR101877760B1 (en) Spooling method for wire rope
JP6995001B2 (en) Cable drawer jig
JPS6132929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