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836A -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836A
KR20230158836A KR1020220058443A KR20220058443A KR20230158836A KR 20230158836 A KR20230158836 A KR 20230158836A KR 1020220058443 A KR1020220058443 A KR 1020220058443A KR 20220058443 A KR20220058443 A KR 20220058443A KR 20230158836 A KR20230158836 A KR 20230158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supply unit
air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이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이성기업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이성기업
Priority to KR102022005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836A/ko
Publication of KR2023015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83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0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applying fusible particulate material to the surface, e.g. by means of a gaseous strea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1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simultaneously but separately applying liquid material and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 e.g. bitumen and grit, with or without spreading ; for filling grooves and gritting the fi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체에 장착되며,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도료 공급부와 연결되는 도료 유입구와, 상기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기 주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여, 도료 공급부로부터 도료를 공급 받고 에어 공급부로부터 에어를 공급 받아, 공기압을 통해 도료를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슈바스켓;을 포함하여 지면으로 도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부는, 도료 공급탱크와 연결되어 도료를 전달 받고, 상기 슈바스켓과 연결되는 도료 이송관; 상기 도료 이송관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도료 이송관 내부로 전달된 도료를 상기 슈바스켓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도료 이송관 외표면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가열유체가 순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도료 이송관으로 가열유체의 열을 전달하고 파이프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히팅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히팅파이프의 외측에 마련되되, 하나 이상의 세라믹판이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히팅파이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히팅파이프와 외부간의 열 이동을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Self-propelled paint dispensing device with excellent paint temperature retention}
본 발명은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면에 도료를 도포하여 차선이나 지시선을 그리는 융착식 도색장비는 융착 도료의 특성상 도료를 180℃~200℃의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도료를 이송하는 기술과 차량속도에 맞는 많은 양의 도료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한 분사기술이 도막의 품질을 좌우하는 관건이다.
종래의 도료 온도 유지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747370호 '융착식 차선 도색장치'가 있으며,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1747370호에는 도료 저장탱크(15)로부터 압출식 도색유닛(20)에 공급되는 융착식 도료의 이송과정에서 보온을 위해 도료 공급관로(18)의 외측면에 권선되고, 히트 오일 탱크(42)로부터 이송되는 열매체의 오일이 순환되는 코일형태의 보온관(43)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보온관(43)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온도가 낮을 때는 열 유출이 매우 심하고, 특히 온도가 현저히 낮은 동절기와 같은 때는 도료의 온도를 높게 유지할 수 없어 사용이 불가하거나, 사용이 가능하더라도 지면에 도포되어 형성된 도막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필요성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히팅 파이프를 통해 도료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도료 이송관에 있어서, 세라믹판을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히팅 파이프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높은 도료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를 낙하식으로 배출하되, 균일하게 분배하여 정압으로 배출함으로써 도료가 튀지 않고 지면에 고르게 도막을 형성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는,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체에 장착되며,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도료 공급부와 연결되는 도료 유입구와, 상기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기 주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여, 도료 공급부로부터 도료를 공급 받고 에어 공급부로부터 에어를 공급 받아, 공기압을 통해 도료를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슈바스켓;을 포함하여 지면으로 도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부는, 도료 공급탱크와 연결되어 도료를 전달 받고, 상기 슈바스켓과 연결되는 도료 이송관; 상기 도료 이송관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도료 이송관 내부로 전달된 도료를 상기 슈바스켓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도료 이송관 외표면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가열유체가 순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도료 이송관으로 가열유체의 열을 전달하고 파이프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히팅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히팅파이프의 외측에 마련되되, 하나 이상의 세라믹판이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히팅파이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히팅파이프와 외부간의 열 이동을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는, 상기 공기 주입구에 구비되며 공기 주입구의 형태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 형성된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하여,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슈바스켓 내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정압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공기 분산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도록 슈바스켓 내부에 마련되며, 면적 내에 복수의 타공을 균일하게 분포 형성하여, 상기 공기 분산 플레이트로부터 정압으로 균일하게 주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도료가, 상기 배출구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정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도료 분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바스켓은, 상기 공기 주입구가 마련되며, 압축공기가 수직으로 유입되도록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고, 수평을 형성하는 상단부; 상기 도료 유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상단부에서 외측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상단 경사부; 상기 상단 경사부에서 내측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하단 경사부 및 상기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하단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수평을 형성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료 공급부를 통해 슈바스켓의 상단 경사부로 유입되는 도료가, 하단 경사부를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슈바스켓의 상단부를 통해 수직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구로 배출되어 지면에 낙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는, 상기 배출구와 상응하는 면적의 조절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도료 배출 조절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도료 배출 조절체의 회전을 통한 슈바스켓의 배출구와 도료 배출 조절체의 조절 배출구간의 각도 차이 조정을 통해 도료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부는, 상기 슈바스켓 내에 구비되며 이송 스크류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슈바스켓 일측부터 타측 전체를 가로지르도록 길이를 형성하여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되는 도료를 하방으로만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는 이송 스크류의 회전력에 공유하여 회전하는 도료 분산팬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료 분산 플레이트의 복수의 타공은, 상기 슈바스켓의 하단 경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직경이 크게 형성되거나, 중심부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는, 가열유체가 순환하는 히팅 파이프를 통해 도료를 이송하는 도료 이송관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히팅 파이프는 세라믹판을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함으로써 히팅 파이프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계절의 영향 없이 높은 도료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는, 도료를 낙하식으로 배출하되, 균일하게 분배하여 정압으로 배출함으로써 도료가 튀지 않고 지면에 고르게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는,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가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a는 압축공기가 에어 분산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슈바스켓 내부로 균일·정압으로 공급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도료가 도료 분산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균일·정압으로 배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일 구성인 도료 공급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료 분산팬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라믹판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일 구성인 슈바스켓의 상세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각각 도료의 유동 방향에 따라 타공이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도료 분산 플레이트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료 배출 조절 모듈이 구비된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일례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도면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도료 배출 조절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의 도료 배출 조절 모듈의 동작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3a는 압축공기가 에어 분산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슈바스켓 내부로 균일·정압으로 공급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도료가 도료 분산 플레이트를 통과하여 균일·정압으로 배출되는 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일 구성인 도료 공급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료 분산팬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세라믹판이 구비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일 구성인 슈바스켓의 상세도이며, 도 8a와 도 8b는 각각 도료의 유동 방향에 따라 타공이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도료 분산 플레이트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는,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체(미도시)에 장착되어 지면으로 도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로서, 도료 공급부(100), 에어 공급부(200), 슈바스켓(300),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료 공급부(100)는 슈바스켓(300) 내부로 도료(CM)를 공급하기 위해 구성되고, 에어 공급부(200)는 슈바스켓(300) 내부로 공급되는 도료(CM)를 지면으로 분사하기 위한 공기압을 슈바스켓(300) 내부에 형성하기 위해 압축공기(CA)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슈바스켓(300)은 도료 공급부(100)로부터 도료(CM)를 공급 받을 때, 에어 공급부(200)로부터 압축공기(CA)를 공급 받아 내부로 공기압을 형성하고, 공기압이 도료(CM)를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슈바스켓(300)은 도료 공급부(100)가 연결되는 위치에는 공급되는 도료의 유입을 위해 도료 유입구(301)가 형성되고, 에어 공급부(200)가 연결되는 위치에는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유입을 위해 공기 주입구(302)가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한 도료를 배출을 위해 배출구(30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료 유입구(301)와 에어 공급부(200)는 이동체(미도시)와 가깝게 슈바스켓(300)의 상단에 마련되고, 배출구(303)는 지면과 가깝게 구성되도록 슈바스켓(30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특징은 도료가 압축공기에 의해 지면으로 배출될 때에 균일하면서도 정압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와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을 구현하기 위해 마련된다.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는 공기 주입구(302)의 형태를 따라 다수의 미세공(450)을 면적 내에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분포 형성할 수 있다. 즉, 공기 주입구(302)가 사각형일 경우, 다수의 미세공(450)은 공기 주입구(302)의 사각 형태의 면적에 맞추어 분포되어 행과 열로 배열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고, 공기 주입구(302)가 원형일 경우, 다수의 미세공(450)이 공기 주입구(302)의 원형 형태의 면적에 맞추어 분포되어 행과 열로 배열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수의 미세공(450)을 형성하는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는, 공기 주입구(302)에 구비되어 에어 공급부(200)로부터 압축공기(CA)가 전달되면, 공기 주입구(302)의 형태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균일하게 분포 형성된 다수의 미세공(450)을 통해 압축공기(CA)를 분배 주입시켜 슈바스켓(300) 내부 전체에 걸쳐 균일·정압의 공기압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는 면적 내에 복수의 타공(550)을 균일하게 분포 형성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타공(550)은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의 전체 면적에 맞추어 분포되어 행과 열로 배열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는 슈바스켓(300)의 배출구(303)와 대향하도록 슈바스켓(3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는, 도료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를 통해 균일·정압으로 형성된 압축공기(CA)에 의해 배출되는 도료(CM)가 복수의 타공(550)을 통과하면서 다시 균일하게 분배되어 배출구(303)에서 정압으로 균등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와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를 통해 배출구(303)에서 정압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는 도료(CM)는, 이동체(미도시)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낙하되어 지면에서 튀지 않고 정량으로 고르게 안착되며 경화될 수 있고, 도료간 편차를 최소화하여 차선이나 표지선이 울퉁불퉁한 것 등을 방지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공급부(100)는 도료 이송관(110), 이송 스크류(120), 히팅 파이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료 이송관(110)은 도료 공급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도료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또한, 도료 이송관(110)은 슈바스켓(300)과 연결되어 전달 받은 도료를 슈바스켓(3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도료 이송관(110)은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에는 도료 공급탱크(미도시)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미도시)이 결합할 수 있는 제1 플랜지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 플랜지부(112)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도료 이송관(110) 내측에 구비되는 이송 스크류(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장착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부(111)는 연결관(미도시)을 도료 이송관(110)과 연결시키는 것 외에도 슈바스켓(30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도료 이송관(110)이 고정된 연결관(미도시)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 플랜지부(111)는 연결관(미도시)을 도료 이송관(110)과 연결시키기 위한 제1 플랜지(도면부호 미표시) 및 도료 이송관(11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베어링(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부(112)는 도료 이송관(110)의 내부 세척이나, 제1 플랜지부(111)를 통한 도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 외부로부터 도료를 따로 공급하기 위한 외부 연결관(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도료 이송관(110)의 타측을 개폐하기 위한 제2 플랜지(도면부호 미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플랜지는 평상시에 도료 이송관(110)에 체결되어 도료 이송관(110)의 타측을 폐쇄하고 있다가 제1 플랜지부(111)를 통한 도료 공급에 문제가 생기거나 도료 이송관(110) 내부의 세척이 필요할 경우 개방되어 외부 연결관(미도시)을 도료 이송관(110)에 연결하도록 할 수 있고, 외부 연결관을 통해 도료나 세척제를 도료 이송관(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도료 이송관(110) 상측에 마련된 모터 장착부(113)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114)가 장착되고, 이송 스크류(120)는 모터(114)와 연결되어 도료 이송관(110) 내부에서 길이를 형성하여 모터(11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모터(114)는 이송 스크류(120)와는 직결될 수도 있으나, 한편으론 도면과 같이 커플러(115)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커플러(115)와 이송 스크류(120)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베어링이나 씰(seal) 등이 마련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하고 오일의 누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114)와 도료 이송관(110) 사이에는 상술한 커플러(115), 베어링, 씰과, 이송 스크류(120) 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11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송 스크류(120)는 도료 이송관(110)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114)에 의해 회전하며, 제1 플랜지부(111) 또는 제2 플랜지부(112)를 통해 도료 이송관(110) 내부로 전달된 도료를 슈바스켓(300)으로 회전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이송 스크류(120)는 모터(114)에 의해 회전력이 조절되면서 도료의 이송량과 슈바스켓(300)으로의 토출량 및 토출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120)의 길이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슈바스켓(300) 내부까지 길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슈바스켓(300)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 플레이트(12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121)는 이송 스크류(1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여 이송 스크류(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지지 플레이트(12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형성할 때 슈바스켓(300) 일측부터 타측 전체를 가로지르도록 길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이송 스크류(120)로부터 이송되는 도료는 하방으로만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이송 스크류(120)와 지지 플레이트(121) 사이에는 이송 스크류(120)의 축 선상에 결합되어 이송 스크류(120)의 회전력과 공유하여 회전하는 도료 분산팬(122)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료 분산팬(122)은 이송 스크류(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유입되는 도료를 팬 날개로 분산시켜 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히팅 파이프(130)는 도료 이송관(110) 외표면에 코일(coil)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는 가열유체가 순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유체는 가열유체 공급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어 히팅 파이프(130)를 순환하면서 도료 이송관(110)으로 열을 전달하여 도료가 경화되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히팅 파이프(130) 외측에는 히팅 파이프(130)를 순환하는 가열유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파이프 커버(131)가 마련될 수 있으며, 파이프 커버(131) 외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이송관(110) 또는 히팅 파이프(13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가열유체의 열 방출 방지를 2차적으로 차단하는 보호커버(14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보호커버(140)에는, 보호커버(140)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는 세라믹판(145)이 구비될 수도 있다. 세라믹판(145)은 보호커버(140)와 외부 간의 열 이동을 차단하는 소재로서, 보호커버(140)의 형태에 맞추어 개수가 마련되며, 보호커버(140)의 표면을 따라 부착 또는 체결되어 히팅 파이프(130)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커버(140)가 사각 등의 다각형일 경우, 각 면마다 세라믹판(145)이 부착 또는 체결되어 히팅 파이프(130)와 외부 간의 열 교환을 최대한 차단하며, 보호커버(140)가 원통형일 경우, 띠를 두르듯이 보호커버(140)의 원주상을 따라 둘러진 형태로 마련되어 히팅 파이프(130)와 외부 간의 열 교환을 최대한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세라믹판(145)을 포함한 온도 유지 구성들에 의해 본 발명은 도료의 온도 유지가 매우 뛰어날 수 있다.
에어 공급부(200)는 공기 압축기(미도시), 에어 레귤레이터(미도시), 에어 밸브(210) 및 역류방지체크밸브(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밸브(210)는 공기 압축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전달 받고, 상술한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를 향해 압축공기를 토출하여 슈바스켓(300)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에어 레귤레이터(미도시)는 에어 밸브(210)로부터 슈바스켓(300) 내부로 토출되는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측정하며 조절할 수 있고, 역류방지체크밸브(미도시)는 공기압에 따라 개폐되며 에어 밸브(210)로 토출되어야 할 압축공기가 공기 압축기(미도시)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바스켓(300)은 상단부(310), 상단 경사부(320), 하단 경사부(330) 및 하단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단부(310)는 공기 주입구(302)가 마련되는 곳으로, 에어 공급부(20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단부(310)에는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단부(310)는 압축공기가 수직으로 유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수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 또한 수평을 유지하며, 수직 방향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공기 분산 플레이트(400)의 다수의 미세공(450)으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주입될 수 있다.
상단 경사부(320)는 도료 유입구(30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단 경사부(320)는 도료 공급부(100)와 연결되어 도료를 전달 받을 통로를 마련할 수 있다. 이때, 상단 경사부(320)는 상단부(310)에서 연장되어 외측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할 수 있고, 이송 스크류(120)는 상단 경사부(320)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료를 유입시켜 도료가 슈바스켓(300)에 대해 경사 방향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하단 경사부(330)는 상단 경사부(320)에서 연장되어 내측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도료 유입구(301)를 통해 유입된 도료를 경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다.
여기서, 하단 경사부(330)에는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가 수평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하단 경사부(330)를 따라 흘러내리는 도료는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로 흘러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타공(550)에 의해 분산되어 정압으로 배출구(303)를 향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료 분산 플레이트(500)의 복수의 타공(550)은 슈바스켓(300)의 하단 경사부(330)로부터 멀어질수록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하단 경사부(330)를 따라 흘러내리는 도료는 비교적 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하단 경사부(330)에 가까운 쪽은 보다 적게 배출되고, 비교적 압력이 작게 작용하는 하단 경사부(330)에서 먼 쪽은 보다 적게 많이 배출되도록 하면서, 보다 정압으로 균일하게 배출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타공(550)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바스켓(300)의 중심부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원리와 같이 비교적 도료가 중심에 뭉치지 않고 옆으로 퍼져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압으로 균일하게 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하단부(340)는 배출구(303)가 마련되며 하단 경사부(330)에서 연장되어 수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료 공급부(100)를 통해 슈바스켓의 상단 경사부(320)로 유입되는 도료는 하단 경사부(330)를 통해 유동하면서, 슈바스켓(300)의 상단부를 통해 수직 유입되는 정압의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구(303)로 배출되면서 지면에 낙하될 수 있다.
즉, 슈바스켓(300)은 경사 방향으로 유입되는 도료에 대해 압축공기가 수직 방향으로 밀어내면서 배출구(303)를 향해 수직 낙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압축공기가 도료의 배출을 막지 않고 오로지 도료의 배출에만 이용되어 도료의 배출이 보다 원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배출구(303)에 구비되는 도료 배출 조절체(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도 9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료 배출 조절 모듈이 구비된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의 일례도이며, 도 10은 도 9의 도면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의 도료 배출 조절 모듈의 분해도이며, 도 12a 및 도 12b는 도 9의 도료 배출 조절 모듈의 동작도이다.
도 9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도료 배출 조절 모듈(600)은 배출구(303)의 하단에 장착되어 도료의 배출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료의 배출은 도료의 배출 여부, 도료의 배출 방향, 도료의 배출량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료 배출 조절 모듈(600)은 도료의 배출을 조절하기 위해 장착 플레이트(610), 회전체(620), 회전 조절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착 플레이트(610)는 배출구(303) 하단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로서, 배출구(303)와 상응하는 면적의 연장 배출구(6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배출구(303)가 직사각일 경우, 연장 배출구(615)는 배출구(303)와 동일한 면적과 형태의 직사각일 수 있다. 이러한 연장 배출구(615)를 형성하는 장착 플레이트(610)는 배출구(303)와 연장 배출구(615)가 연장 일치되어 하나의 통로를 이루도록 슈바스켓(300)의 하단부(340)에 체결될 수 있다.
회전체(620)는 장착 플레이트(6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구(303) 및 연장 배출구(615)와 상응하는 면적의 조절 배출구(6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체(620)는 회전 조절부(6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조절부(630)에 의해 회전될 때 조절 배출구(625)가 연장 배출구(615)와의 각도 차이가 발생하여 도료의 배출을 개폐하거나, 도료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거나, 도료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회전 조절부(630)는 회전체(620)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하 방향의 수직 상으로 피스톤 운동하는 실린더(631)와, 실린더(631)에 축 결합되어 피스톤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되, 피스톤과 회전체(620)간을 연결하는 연결대(6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631)가 피스톤 운동하는 움직임에 따라 연결대(632)는 회전할 수 있고, 이 회전에 의해 회전체(620)도 회전하여 연장 배출구(615)와 조절 배출구(625)간의 각도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도료 배출 조절 모듈(600)의 회전을 통해 도료의 배출 여부나, 도료의 배출 방향, 도료의 배출량의 조절 등 도료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도료 공급부
110 : 도료 이송관
111 : 제1 플랜지부
112 : 제2 플랜지부
113 : 모터 장착부
114 : 모터
115 : 커플러
116 : 보호커버
120 : 이송 스크류
121 : 지지 플레이트
122 : 도료 분산팬
130 : 히팅 파이프
131 : 파이프 커버
140 : 보호커버
145 : 세라믹판
200 : 에어 공급부
210 : 에어 밸브
300 : 슈바스켓
301 : 도료 유입구
302 : 공기 주입구
303 : 배출구
310 : 상단부
320 : 상단 경사부
330 : 하단 경사부
340 : 하단부
400 : 공기 분산 플레이트
450 : 다수의 미세공
500 : 도료 분산 플레이트
550 : 복수의 타공
600 : 도료 배출 조절 모듈
610 : 장착 플레이트
615 : 연장 배출구
620 : 회전체
625 : 조절 배출구
630 : 회전 조절부
631 : 실린더
632 : 연결대

Claims (7)

  1. 지면을 따라 움직이는 이동체에 장착되며, 도료를 공급하는 도료 공급부;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 및 상기 도료 공급부와 연결되는 도료 유입구와, 상기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는 공기 주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여, 도료 공급부로부터 도료를 공급 받고 에어 공급부로부터 에어를 공급 받아, 공기압을 통해 도료를 배출구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슈바스켓;을 포함하여 지면으로 도료를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료 공급부는,
    도료 공급탱크와 연결되어 도료를 전달 받고, 상기 슈바스켓과 연결되는 도료 이송관;
    상기 도료 이송관 내부에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도료 이송관 내부로 전달된 도료를 상기 슈바스켓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
    상기 도료 이송관 외표면에 구비되며, 내측에는 가열유체가 순환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도료 이송관으로 가열유체의 열을 전달하고 파이프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히팅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커버에 의해 보호되는 히팅파이프의 외측에 마련되되, 하나 이상의 세라믹판이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히팅파이프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히팅파이프와 외부간의 열 이동을 차단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에 구비되며 공기 주입구의 형태를 따라 균일하게 분포 형성된 다수의 미세공을 형성하여, 에어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슈바스켓 내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정압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공기 분산 플레이트 및
    상기 배출구와 대향하도록 슈바스켓 내부에 마련되며, 면적 내에 복수의 타공을 균일하게 분포 형성하여, 상기 공기 분산 플레이트로부터 정압으로 균일하게 주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배출되는 도료가, 상기 배출구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정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도료 분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슈바스켓은,
    상기 공기 주입구가 마련되며, 압축공기가 수직으로 유입되도록 에어 공급부와 연결되고, 수평을 형성하는 상단부;
    상기 도료 유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상단부에서 외측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상단 경사부;
    상기 상단 경사부에서 내측 하방으로 경사를 형성하는 하단 경사부 및
    상기 배출구가 마련되며 상기 하단 경사부에서 연장되어 수평을 형성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상기 도료 공급부를 통해 슈바스켓의 상단 경사부로 유입되는 도료가, 하단 경사부를 통해 유동하면서, 상기 슈바스켓의 상단부를 통해 수직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해 배출구로 배출되어 지면에 낙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와 상응하는 면적의 조절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도료 배출 조절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도료 배출 조절체의 회전을 통한 슈바스켓의 배출구와 도료 배출 조절체의 조절 배출구간의 각도 차이 조정을 통해 도료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스크류의 일단부는,
    상기 슈바스켓 내에 구비되며 이송 스크류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슈바스켓 일측부터 타측 전체를 가로지르도록 길이를 형성하여 이송 스크류로부터 이송되는 도료를 하방으로만 안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송 스크류와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는 이송 스크류의 회전력에 공유하여 회전하는 도료 분산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분산 플레이트의 복수의 타공은,
    상기 슈바스켓의 하단 경사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 분산 플레이트의 복수의 타공은,
    중심부에서 측방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KR1020220058443A 2022-05-12 2022-05-12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KR202301588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43A KR20230158836A (ko) 2022-05-12 2022-05-12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443A KR20230158836A (ko) 2022-05-12 2022-05-12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836A true KR20230158836A (ko) 2023-11-21

Family

ID=8898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443A KR20230158836A (ko) 2022-05-12 2022-05-12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8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458A (en) Automatically adjustable fluid distributor
CN103930956B (zh) 用于弹性体材料的移动式涂覆系统
TW473766B (en) Liquid coating nozzle, liquid coating method, liquid coating apparatus, and cathode ray tube manufacturing method
RU2509611C1 (ru)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для распы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подачей самотеком
CN106140514A (zh) 用于弹性体材料的移动式涂覆系统
JPH08318193A (ja) 液体塗布方法、液体塗布装置およびスリットノズル
US5050995A (en) Jet agitation system
US9616442B2 (en) Rotating disk atomizer with treatment fluid feed arrangement
KR102210471B1 (ko) 드론 살포장치
KR20230158836A (ko)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KR102635996B1 (ko) 도료의 온도 유지가 뛰어난 자주식 도료 분사 장치
US9731304B2 (en) Apparatus for coating particulate material flowing through a chute
KR102476314B1 (ko) 도료의 균일정압배출이 가능한 자주식 도료 배출 장치
US3606168A (en) Recirculating spray nozzle
KR101201536B1 (ko) 코팅필름 건조기용 노즐장치
KR101737050B1 (ko) 판넬 도장장치
KR100404046B1 (ko) 정제 코팅장치
KR200140959Y1 (ko) 농약살포기
JP2023029116A (ja) 粒状物の散布用タンク及びそれを装着した農業用ドローン
KR200250877Y1 (ko) 정제 코팅장치
KR102201447B1 (ko) 부생가스 홀더장치
JPH0526414Y2 (ko)
KR101712719B1 (ko) 물 분배기
KR102209334B1 (ko) 돈사 비료 살포장치
JP3994214B2 (ja) 冷水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