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742A -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742A
KR20230158742A KR1020220058235A KR20220058235A KR20230158742A KR 20230158742 A KR20230158742 A KR 20230158742A KR 1020220058235 A KR1020220058235 A KR 1020220058235A KR 20220058235 A KR20220058235 A KR 20220058235A KR 20230158742 A KR20230158742 A KR 20230158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ior
intelligent
care
wearable device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 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월드 filed Critical (주) 군월드
Priority to KR102022005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8742A/ko
Publication of KR2023015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7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니어 빌딩(senior building)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통해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senior care)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되어,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하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가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에서 저장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시니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키며; 네트워크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간의 데이터를 중개하는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해 준다.

Description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Intellectual senior care system, server and method of senior building}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니어 빌딩(senior building)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통해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senior care)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니어 빌딩은 '연장자'라는 뜻을 가진 시니어(senior)와 시니어가 주거하기 위한 빌딩의 합성어로서, 노인이나 고령자 등을 안전하게 주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니어 케어란 시니어를 대상으로 요양, 목욕, 간호 등과 같은 기본적 케어뿐 아니라, 집에서 생활하는 것처럼 여가, 의료, 문화 등 생활의 전반적인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합 라이프 케어 서비스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시니어 빌딩은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인이나 고령자 등을 위한 거주 단지, 오피스텔, 요양 시설 등을 의미한다.
최근 들어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미 총 인구의 7%가 65세 이상인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머지않아 총 인구의 14%가 65세 이상인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시니어를 위한 케어 서비스의 필요도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40대 내지 50대의 80% 이상이 자녀와 함께 살지 않고, 배우자와 단둘이 지내거나, 유료나 무료 요양 시설의 이용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니어 빌딩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시니어 빌딩을 이용하고자 하는 시니어와 각 시설을 전문적으로 연결해 줄 수 있는 중개 서비스는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노인이나 고령자 등이 도우미가 필요할 때, 도우미와 도우미 구인자를 회원으로 가입시켜 상호 연결시켜 주는 도우미 중개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이 개발된 바 있으나, 이는 단순히 도우미를 중개해 주는 것으로서, 일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도우미를 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불과할 뿐, 시니어 빌딩을 중개 받고자 하는 시니어를 도울 수는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시니어와 시니어 빌딩을 전문적으로 연결하고, 시니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2436호(2013.09.17. 공개)는 중개 서버가 시니어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조건을 입력받아, 조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시니어에게 맞는 시설을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시니어에게 적합한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고, 시니어와 시설을 전문적으로 연결하여 시니어가 시설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에서는 간접적인 광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시니어의 시설 이용을 용이하게 유치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개 서버가, 시니어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조건을 입력받는 단계; 조건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 가중치가 적용된 조건에 맞는 시설을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한 시설의 시설 정보를 시니어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시니어 단말기는, 단계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스마트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3943호(2020.07.08. 등록)는 시니어의 생활공간에서 시니어의 행동과 음성을 분석하여 건강이상 여부를 판단하고, 노인 우울증 및 파킨슨병을 예방하여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을 위한 홈 헬스 케어 제공 방법 및 제공 장치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시니어 건강을 위한 홈 헬스 케어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인식기기; 및 서버를 포함하되, 서버는 사람의 음성신호에 대한 학습데이터를 구축한 후, 입력 값을 학습데이터 내 복수의 음성신호의 특징 값으로 설정하고, 출력 값을 학습데이터 내 우울정도에 대한 수치로 설정하여 NEWFM(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s)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우울증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입력 값을 학습데이터 내 복수의 음성신호를 특징 값으로 설정하고, 출력 값을 파킨슨병에 해당 여부에 대한 값으로 설정하여 ZNN(Zeroing Neural Network) 알고리즘을 수행함으로써, 파킨슨병 예측모델을 추가로 구축하고, 연령을 기준으로 규정되는 시니어 레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대상 시니어의 식별정보를 포함한 개인정보를 수집하며, 영상인식기기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수집하고 이미지를 통하여 객체를 식별한 후, 식별된 객체들 중 각 시니어를 식별하고, 영상인식기기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저장하되, 각 시니어의 행동에 대한 이미지를 저장하고, 시니어의 행동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시니어의 행동이 이상행동이거나 반복행동인 경우, 이미지 캡션모델을 통한 라벨링을 수행하고 저장하고 라벨링된 이미지를 통하여 시니어의 현재 건강 이상여부를 판단하고, 관리자 단말로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시니어의 영상정보와 음성신호를 통하여 시니어의 정신질환 여부를 판단하고, 병원 혹은 보호자에게 이상 징후를 알림으로써, 노인 우울증과 파킨슨병에 대한 빠른 처치와 예방이 가능하게 되어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과 시니어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영상인식기기나 음성인식기기만으로는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시니어 각각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체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니어의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바로 병원과 연계되어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시니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홈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성도 있다고 할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2436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33943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니어 빌딩(senior building)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통해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senior care)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되어,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에서 저장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시니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키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간의 데이터를 중개하는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해 주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기 자신의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시니어식별정보를 시니어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니어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 또는 시니어 신체에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반창고 형태로 별도로 형성되거나, 시니어가 착용하는 착용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니어 신체에 부착 형성되어,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확인하여 신체 상태 정보를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박막형 센서 또는 초박형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박막형 센서 또는 초박형 센서는, 심전도 센서, 혈압 센서, 맥박 센서, 혈당 센서, 온도 센서, 심장 박동 센서,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니어의 신체 상태는,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니어의 착용품에 부착 형성되어, 시니어의 체중과 운동 상태를 확인하여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압력 센서와 가속도 센서나 속도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니어의 착용품은, 양말, 신발 깔창, 옷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운동 상태는,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센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한 웨어러블 발전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발전소자는, 시니어의 체온과 바깥 온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센서에 필요한 전력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에서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시니어상태정보를 확인한 고유식별정보 또는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를 확인하여 어느 중개 기기를 통해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았는지를 체크해서 시니어의 위치를 파악하며, 파악한 시니어 위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신체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각 시니어별로 이에 대응하는 시니어 담당 병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에서 분석한 분석정보를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저장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고유식별정보 또는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저장되는 시니어 위치를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저장되는 신체 상태 정보를 시니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저장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시니어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 및 분석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병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시니어상태정보 및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처방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처방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처방 관련 업체에 처방오더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신체 상태 정보 및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 및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상기 병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은, 시니어 빌딩에 설치되어,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시니어의 위치 정보와 함께 시니어의 건강 이상 발생을 주변 사람에게 알려주는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현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하며,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시니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알림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알림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는,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표시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표시신호에 따라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해 주기 위한 표시기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병원 단말기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 및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신체 상태 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병원 단말기는,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 및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수신받은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를 포함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니어상태정보를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에서 저장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시니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시니어 빌딩(senior building)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를 통해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senior care)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각 시니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시니어 각각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으며, 시니어의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바로 병원과 연계되어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며, 이에 시니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홈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있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네트워크(14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되어,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자기 자신의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시니어상태정보 전송 시에 해당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시니어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시니어에 대한 건강관리를 위해서, 손목, 발목, 피부 등과 같은 시니어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 또는 시니어 신체에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반창고 형태로 별도로 형성되거나, 양말, 신발, 속옷, 벨트, 보석 등과 같이 시니어가 착용하는 착용품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시니어 신체에 부착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형 센서 또는 초박형 센서(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 혈압 센서, 맥박 센서, 혈당 센서, 온도 센서, 심장 박동 센서, 습도 센서 등)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박막형 센서 또는 초박형 센서를 이용하여 시니어의 신체 상태(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신체 상태 정보를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시니어의 착용품(특히, 양말이나 신발 깔창, 옷 등)에 부착 형성된 복수 개의 압력 센서와 가속도 센서나 속도 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압력 센서와 가속도 센서나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시니어의 체중과 운동 상태(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센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한 웨어러블 발전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웨어러블 발전소자의 경우에 체온, 땀, 움직임 등과 같은 시니어의 신체 활동에서 에너지를 얻도록 하는데, 특히 시니어의 체온과 바깥 온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센서에 필요한 전력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에서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를 해당 확인한 고유식별정보 또는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네트워크(140)를 확인하여 어느 중개 기기를 통해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았는지를 체크해서 시니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파악한 시니어 위치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신체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신체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저장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시니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각 시니어별로 이에 대응하는 시니어 담당 병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 분석한 분석정보를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등록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저장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고유식별정보 또는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저장되는 시니어 위치를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저장되는 신체 상태 정보를 시니어(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3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저장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시니어(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켜 줄 수 있다.
네트워크(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 간의 데이터를 중개해 주기 위한 중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와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100)은, 시니어 빌딩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각 시니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시니어 각각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으며, 시니어의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바로 병원과 연계되어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며, 이에 시니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홈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네트워크(140), 복수 개의 병원 단말기(150), 복수 개의 알림장치(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 데이터베이스(130), 네트워크(14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이하 유사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부분만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LED 등과 같은 표시기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표시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표시신호에 따라 해당 표시기기를 온시켜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하여 주변 사람이 잘 구분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시니어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준 후에, 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처방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처방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처방 관련 업체(예를 들어, 약국, 물리치료소, 자세교정소, 운동 트레이너 등)에 처방오더를 전송해 줌으로써,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각 시니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시니어 각각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으며, 바로 병원 단말기(150)와 연계하여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며, 이에 시니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홈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현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시니어가 쓰러지거나 이상 행동을 하는 등으로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알림신호(시니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알림장치(16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14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와 병원 단말기(150)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와 병원 단말기(15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와 알림장치(160)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와 알림장치(16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해 줄 수 있다.
병원 단말기(15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 및 분석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병원 단말기(15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 및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신체 상태 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병원 단말기(150)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 및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알림장치(160)는, 시니어 빌딩에 설치되어,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시니어의 위치 정보와 함께 시니어의 건강 이상 발생을 주변 사람에게 알려줌으로써, 시니어의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도록 해 준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있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는, 인터페이스부(121),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21)는, 네트워크(140)를 통해 복수 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복수 개의 병원 단말기(150), 복수 개의 알림장치(16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통신 접속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병원 단말기(150), 알림장치(160) 각각을 식별하며, 그런 후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를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에 전달해 준다.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전달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에서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를 해당 확인한 고유식별정보 또는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시니어상태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네트워크(140)를 확인하여 어느 중개 기기를 통해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았는지를 체크해서 시니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파악한 시니어 위치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신체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신체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시니어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준 후에, 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처방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처방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처방 관련 업체(예를 들어, 약국, 물리치료소, 자세교정소, 운동 트레이너 등)에 처방오더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현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시니어가 쓰러지거나 이상 행동을 하는 등으로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알림신호(시니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알림장치(16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122)는,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시켜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되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주게 된다(S401).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해 줌에 있어서, 자기 자신의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시니어상태정보 전송 시에, 해당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시니어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해 줌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시니어에 대한 건강관리를 위해서, 손목, 발목, 피부 등과 같은 시니어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 또는 시니어 신체에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반창고 형태로 별도로 형성되거나, 양말, 신발, 속옷, 벨트, 보석 등과 같이 시니어가 착용하는 착용품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해 줌에 있어서, 시니어 신체에 부착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형 센서 또는 초박형 센서(예를 들어, 심전도 센서, 혈압 센서, 맥박 센서, 혈당 센서, 온도 센서, 심장 박동 센서, 습도 센서 등)를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해당 박막형 센서 또는 초박형 센서를 이용하여 시니어의 신체 상태(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신체 상태 정보를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해 줌에 있어서, 시니어의 착용품(특히, 양말이나 신발 깔창, 옷 등)에 부착 형성된 복수 개의 압력 센서와 가속도 센서나 속도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해당 압력 센서와 가속도 센서나 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시니어의 체중과 운동 상태(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된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해 줌에 있어서, 센서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 주기 위한 웨어러블 발전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해당 웨어러블 발전소자를 이용하여 체온, 땀, 움직임 등과 같은 시니어의 신체 활동에서 에너지를 얻도록 하는데, 특히 시니어의 체온과 바깥 온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센서에 필요한 전력으로 공급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1에서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해 주게 되면,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주게 된다(S402).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에서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를 해당 확인한 고유식별정보 또는 시니어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네트워크(140)를 확인하여 어느 중개 기기를 통해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았는지를 체크해서 시니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해당 파악한 시니어 위치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신체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신체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해 주며, 해당 데이터베이스(130)에 누적된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시니어상태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병원 단말기(150)에서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 및 분석정보를 네트워크(140)를 통해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시니어상태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병원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처방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처방정보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처방 관련 업체(예를 들어, 약국, 물리치료소, 자세교정소, 운동 트레이너 등)에 처방오더를 전송해 줌으로써, 병원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시니어가 생활하는 공간에서 각 시니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를 통해 시니어 각각에 대한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으며, 바로 병원 단말기(150)와 연계하여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며, 이에 시니어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홈 케어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 시니어의 건강한 노년 생활과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병원 단말기(150)에서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신체 상태 정보(예를 들어, 심전도, 혈압, 맥박, 혈당, 체온, 심장 박동 수, 땀이나 습도 등의 정보) 및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한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신체 상태 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뿐만 아니라,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병원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병원 단말기(150)에서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예를 들어, 걷기나 달리기, 움직임이나 속도 등의 정보) 및 시니어의 체중 변화, 자세(앞쪽 쏠림이나 뒤쪽 쏠림), 운동량 또는 걷기나 달리기 습관을 분석한 분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체중과 운동 상태 정보 및 분석정보를 토대로 시니어를 관리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처방정보를 생성시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시니어의 신체 상태를 분석하여 시니어의 현재 건강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시니어가 쓰러지거나 이상 행동을 하는 등으로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알림신호(시니어의 위치 정보를 포함함)를 생성시켜 알림장치(16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이에, 알림장치(160)는, 시니어 빌딩에 설치되어,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알림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알림신호에 따라 시니어의 위치 정보와 함께 시니어의 건강 이상 발생을 주변 사람에게 알려줌으로써, 시니어의 이상 발생 여부에 따라 빠른 예방과 조치가 가능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402에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해 줌에 있어서,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에서는, 시니어의 건강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신호를 생성시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에, LED 등과 같은 표시기기를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표시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표시신호에 따라 해당 표시기기를 온시켜 건강 이상이 발생한 시니어를 표시하여 주변 사람이 잘 구분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110: 웨어러블 디바이스
120: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121: 인터페이스부
122: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네트워크
150: 병원 단말기
160: 알림장치

Claims (5)

  1.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되어,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니어상태정보를 전송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에서 저장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시니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키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간의 데이터를 중개하는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사이의 통신을 연결시켜,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해 주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자기 자신의 고유식별정보 및 시니어식별정보를 저장해 두었다가, 상기 고유식별정보 및 상기 시니어식별정보를 시니어상태정보에 포함시켜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시니어 신체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 또는 시니어 신체에 부착하거나 삽입하는 반창고 형태로 별도로 형성되거나, 시니어가 착용하는 착용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4.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접속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전달되는 시니어상태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는 지능형 시니어 케어부를 포함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
  5. 시니어 빌딩에서 생활하는 시니어에 착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시니어의 상태를 확인하여 시니어상태정보를 중개 기기,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단계;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받아 저장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에서 저장한 시니어상태정보를 시니어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누적시키는 단계; 및
    상기 지능형 시니어 케어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시니어상태정보를 바탕으로 시니어의 상태를 분석해서 시니어 담당 병원과 연계하여 지능형 시니어 케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방법.
KR1020220058235A 2022-05-12 2022-05-12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30158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35A KR20230158742A (ko) 2022-05-12 2022-05-12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8235A KR20230158742A (ko) 2022-05-12 2022-05-12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742A true KR20230158742A (ko) 2023-11-21

Family

ID=88982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8235A KR20230158742A (ko) 2022-05-12 2022-05-12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74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436A (ko) 2012-03-07 2013-09-17 (주)퍼스트메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3943B1 (ko) 2020-01-16 2020-07-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의 건강을 위한 홈 헬스케어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436A (ko) 2012-03-07 2013-09-17 (주)퍼스트메카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니어 시설 또는 시니어 케어 시설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33943B1 (ko) 2020-01-16 2020-07-1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니어의 건강을 위한 홈 헬스케어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631B1 (ko) 의료 중재 레벨을 원격으로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819344B2 (en) Systems for automatic assessment of fall risk
Bergmann et al. Body-worn sensor design: what do patients and clinicians want?
Gokalp et al.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and the potential for its use in telecare and telehealth: a review
Fisher et al. Ambulatory activity of older adults hospitalized with acute medical illness
Kenner Securing the elderly body: Dementia, surveillance, and the politics of" aging in place"
Lv et al. iCare: a mobile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the elderly
US202102751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nd notification regarding the onset of a stroke
KR102439807B1 (ko) 치매 환자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4871162B (zh) 用于监测用户的系统
Hsu et al. Proactive healthcare and an early warning mechanism for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using Internet-of-Thing devices
Fritz et al. Nurse-in-the-loop smart home detection of health events associated with diagnosed chronic conditions: A case-event series
CN114068022A (zh) 跌倒风险的预警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KR20230158742A (ko) 시니어 빌딩에서의 지능형 시니어 케어 시스템, 서버 및 방법
Tang et al. A two-echelon responsive health analytic model for triggering care plan revision in geriatric care management
Demiris Home based e-health applications
Grünerbl et al. Uwb indoor location for monitoring dementia patients: The challenges and perception of a real-life deployment
JP3994773B2 (ja) 在宅者健康状態遠隔診断装置
Chiriac et al. Towards combining validation concepts for short and long-term ambient health monitoring
US20220238211A1 (en) Notification System and Notification Method
US20230307142A1 (en) Fall risk analysis using balance profiles
Wu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ed-exit alarm system for preventing elderly falling
AU2021104542A4 (en) I-Health-Care: Technologies Towards 5G Network for Intelligent Health-Care Using IoT Notification with Machine Learning Programming
Hamper et al. Rehabilitation Risk Management: Enabling Data Analytics with Quantified Self and Smart Home Data
Andreou et al. Active life coach: towards a framework for holistic care of citizens as they 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