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607A -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 Google Patents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607A
KR20230158607A KR1020237036265A KR20237036265A KR20230158607A KR 20230158607 A KR20230158607 A KR 20230158607A KR 1020237036265 A KR1020237036265 A KR 1020237036265A KR 20237036265 A KR20237036265 A KR 20237036265A KR 20230158607 A KR20230158607 A KR 20230158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ectromagnet
electromagnetic contactor
contact support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사시 세키야
고우에츠 다카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기기세이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8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60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relay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상부 프레임(11B)에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28)를 일체로 끼워넣어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으로 하고, 혹은 상부 프레임에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55)를 일체로 끼워넣어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으로 한다. 계속해서, 플런저형 전자석(12) 및 레그형 전자석(60)의 한쪽의 연결 스프링(18, 76)을,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 및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의 한쪽의 연결 삽입부(32a, 32b 또는 75a, 75b)의 개구에 슬라이드 삽입해간다. 계속해서, 상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에, 하부 프레임(11A)의 상부 모서리를 걸어맞춤하여 하우징을 형성한다.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exclusively for plunger-type electromagnets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11B to form a unit for plunger-type electromagnets, or the contact support portion 55 exclusively for leg-type electromagnets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11B to create a leg-type electromagnet unit. Use a unit for electromagnets. Subsequently, the connection springs 18, 76 on one side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12 and the leg type electromagnet 6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32a, 32b on one side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unit and the leg type electromagnet unit. Insert the slide into the opening of 75a, 75b). Subsequently, the upper edge of the lower frame 11A is engaged with the lower edge of the upper frame to form a housing.

Description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전자 접촉기로서, 상하 분할형의 본체 케이스를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에 내장된 접점 기구와, 하부 프레임에 내장되어 접점 기구를 온·오프 구동하는 조작 전자석을 구비하고, 접점 기구를 상부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접촉자와,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조작 전자석에 연결되는 접점 지지부와, 접점 지지부에 지지되어, 고정 접촉자의 고정 접점에 가동 접점이 접리(接離)하는 가동 접촉자를 구비한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omprising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constituting a main body case of an upper and lower split type, a contact mechanism built into the upper frame, and an operating electromagnet built into the lower frame to turn the contact mechanism on and off, the contact mechanism comprising: a fixed contact fixed to the upper frame, a contact support part movably disposed inside the upper frame and connected to the operating electromagnet, and a contact support part supported by the contact support part, so that the movable contact contacts the fixed contact point of the fixed contactor. A device having a movable contactor is known (e.g.,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5-118915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5-118915

그런데, 전자 접촉기의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의 한쪽이 사용되고 있다. 플런저형 전자석은 상하로 이동하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끝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전기자(armature)를 갖는 전자석이고, 레그형 전자석은 상하로 이동하는 가동 철심을 갖는 전자석이다. 이러한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의 구조의 차이로부터, 상이한 접점 기구와 조작 전자석의 연결 구조가 사용되고 있었다. However,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for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one of a plunger type electromagnet and a leg type electromagnet are used. A plunger-type electromagnet is an electromagnet that has a plunger that moves up and down and an armatur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end of the plunger, and a leg-type electromagnet is an electromagnet that has a movable iron core that moves up and down.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and the leg-type electromagnet, different contact mechanisms and connection structures of the operating electromagnets have been used.

그 때문에,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조립은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으로 상이한 공정으로 각 부품의 조립을 행하고 있고, 상이한 조립 라인을 필요로 하고 있었기 때문에, 공정수가 많고 조립 라인이 길어짐으로써 설비 투자가 증대해버려 전자 접촉기의 제조 비용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Therefore, the assembly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involves assembling each part using a different process using a plunger-type electromagnet and a leg-type electromagnet, and requires a different assembly line. As a result, the number of steps is large and the assembly line is long, which increases facility investment. There is a problem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s it increase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미해결의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의 한쪽을 사용하여 전자 접촉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조립 라인을 일부 공통화하여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키고, 조립 라인을 짧게 하여 조립 설비 투자를 감소시켜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with attention to the unsolved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nd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either a plunger-type electromagnet or a leg-type electromagnet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the assembly line is partially shared to reduce the number of assembly steps.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that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reducing investment in assembly equipment by shortening the assembly li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일 양태는, 상하 분할형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한쌍의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한쌍의 가동 접점과 접리 가능한 고정 접점을 갖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접점 지지부를 구비한 접점 기구와,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접점 지지부를 통해 접점 기구를 온·오프 구동하는 조작용의 전자석을 구비하고, 접점 지지부와 전자석을, 전자석의 구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하는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에 접점 지지부를 일체로 끼워넣은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접점 지지부와 전자석을 연결하도록 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aspect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constituting an upper and lower split housing, a movable contactor disposed inside the upper frame and having a pair of movable contact points, A contact mechanism including a pair of fixed contacts having a pair of movable contacts and a fixed contact capable of contacting a contact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s, and a contact mechanism disposed inside the lower frame and turning the contact mechanism on and off through the contact support portion.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for operation and connecting the contact support and the electromagnet by sliding and mov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the contact support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and is slid and moved to form the contact support. and an electromagnet were connected.

또,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의 일 양태는, 전술한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부 프레임 및 접점 기구의 접점 지지부를 일체로 끼워넣는 제1 조립 단계와, 상부 프레임과 함께 유지된 접점 지지부를 전자석에 슬라이드하여 삽입해 가는 제2 조립 단계와, 상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에 하부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를 걸어맞춤하여 하우징을 형성하는 제3 조립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In addition, one aspect of the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ic contactor, which includes a first assembly step of integrally fitting the upper frame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of the contact mechanism, and a first assembly step of integrally fitting the contact support portion of the upper frame and the contact mechanism, and It includes a second assembly step of inserting the contact support portion into the electromagnet by sliding it, and a third assembly step of forming a housing by engaging the upper edge of the lower frame with the lower edge of the upper frame.

본 발명의 전자 접촉기 및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의 한쪽을 사용하여 전자 접촉기를 제조하는 경우, 상부 프레임에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를 일체로 끼워넣어 플런저형 전자석 유닛으로 하고, 혹은 상부 프레임에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를 일체로 끼워넣어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으로 한다. 그리고, 이들 플런저형 전자석 유닛 및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의 한쪽의 연결 삽입부와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의 한쪽을 연결하도록 한 것으로부터, 상부 프레임에 접점 지지부를 끼어넣는 공정을 초기 공정으로서 공통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이한 조립 라인으로 전자 접촉기의 일련의 공정을 행하고 있던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조립 라인과 비교하여,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킨 조립 라인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조립 라인의 단척화를 도모하여 조립 설비 투자를 감소시키고,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 및 레그형 전자석의 한쪽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를 제조할 때에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manufactu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one of a plunger-type electromagnet and a leg-type electromagnet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a contact support part dedicated to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is integrated into the upper frame. Insert it into a plunger-type electromagnet unit, or insert the contact support for leg-type electromagnets into the upper frame as a unit to create a leg-type electromagnet unit. In addition, since one connection insertion part of these plunger-type electromagnet units and leg-type electromagnet units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and leg-type electromagnet,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tact support part into the upper frame is common as the initial process. can do. Therefore, when using a plunger-type electromagnet and a leg-type electromagnet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compared to the assembly line of a conventional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which a series of processes f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ere performed on a different assembly line, an assembly line that reduces the number of assembly steps is used. can do.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horten the assembly line, reduce investment in assembly equipment, and reduce manufacturing costs when manufactu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either a plunger-type electromagnet or a leg-type electromagnet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를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을 사용한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자 접촉기를 구성하는 플런저형 전자석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를 구성하는 접점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를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에 배치한 접점 지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부호 A로 나타내는 원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를 위쪽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접점 갭이 없어지도록,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의 접점 지지부 및 상부 프레임을 상대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상부 프레임에 형성한 단차부를 전자석의 일부(전측 플랜지부)에 간섭시키지 않고서,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를 전자석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접점 지지부의 연결 삽입부를 전자석의 연결 스프링에 연결시키는 초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에 있어서,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접점 지지부의 연결 삽입부 및 전자석의 연결 스프링의 연결을 완료하고, 상부 프레임의 단차부가 전자석의 일부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조작 전자석으로서 레그형 전자석을 사용한 제2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를 구성하는 접점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에 가동 철심을 갖는 레그형 전자석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front.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first embodiment using a plunger-type electromagnet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plunger-type electromagnet constitut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in the first embodimen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act support portion constituting a contact mechanism dedicated to a plunger type electromagnet in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per frame constituting the contact mechanism dedicated to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upper frame in the first embodiment.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inside of the circle indicated by symbol A in FIG. 3.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first embodiment from above.
Fig.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nd the upper frame of the contact mechanism dedicated to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are relatively moved so that the contact gap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is eliminat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ure 10 shows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of the contact support part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pring of the electromagnet by sliding the contact mechanism dedicated to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with respect to the electromagnet without interfering with a part of the electromagnet (front flange part) of the step formed in the upper frame.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initial state of Shiki.
Figure 11 shows a contact mechanism dedicated to a plunger-type electromagnet, in which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 of the contact support part and the connection spring of the electromagnet is completed by sliding movement, and the step part of the upper frame is moved to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interfere with part of the electromagnet. This is a drawing showing the state.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using a leg-type electromagnet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constituting the contact mechanism dedicated to the leg-type electromagnet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g-type electromagnet having a movable iron core is connected to a contact support portion dedicated to the leg-type electromagnet in the 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의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다만,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두께와 평면 치수와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두께나 치수는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 도면 상호간에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다. Nex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below, identical or similar parts are given identical or similar symbol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ickness and planar dimension,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each layer, etc. are different from those in reality. Therefore, specific thickness and dimensions should be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parts with different dimensional relationships or ratios are included among the drawings.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장치나 방법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구조, 배치 등을 하기의 것에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shown below exemplifies an apparatus or method for embody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pecify the material, shape, structure, arrangement, etc. of the component parts as follows. That is not the ca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within the technical scope defined by the claims stated in the patent claims.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기재되어 있는 「상」,「하」,「좌」,「우」,「바닥」,「전」,「후」,「장척 방향」,「단척 방향」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첨부 도면의 방향을 참조하여 이용되고 있다. In addition, directions such as “top”, “bottom”, “left”, “right”, “bottom”, “front”, “rear”, “long direction”, “short direction”, etc. are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below. The terms indicated are used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10)에 관해서, 도 1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of 1st Embodimen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1.

도 1에서 도시하는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10)는 제1 프레임(11A)과 제2 프레임(11B)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제1 프레임(11A)의 바닥이 있는 각통(角筒) 형상부(50)의 바닥부 네 모퉁이에는 부착판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프레임(11B)은 제1 프레임(11A)의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50)와 대향하는 전단을 개방한 각통부(52)를 갖는다. As f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of 1st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housing is comprised by the 1st frame 11A and the 2nd frame 11B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tachment plate portions 51 are formed at the four bottom corners of the bottomed rectangular tube-shaped portion 50 of the first frame 11A. The second frame 11B has a square cylinder portion 52 with an open front end facing the bottomed rectangular cylinder portion 50 of the first frame 11A.

제2 프레임(11B)의 각통부(52)의 전방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에 전원측 단자부(53a) 및 보조 단자부(54a)가 형성되고, 아래쪽에 부하측 단자부(53b) 및 보조 단자부(54b)가 형성되어 있다. In front of the square barrel portion 52 of the second frame 11B, as shown in FIG. 2, a power supply side terminal portion 53a and an auxiliary terminal portion 54a are formed at the upper side, and a load side terminal portion 53b and an auxiliary terminal portion ar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54b) is formed.

도 3은, 전자 접촉기(1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제2 프레임(11B)에 내장된 접점 기구(13)와, 제1 프레임(11A)(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되고, 접점 기구(13)를 온·오프 구동하여 조작 전자석으로서 사용되는 플런저형 전자석(12)을 구비하고 있다. FIG. 3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with a contact mechanism 13 built into the second frame 11B and a first frame 11A (not shown in FIG. 3). , and is provided with a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that drives the contact mechanism 13 on and off and is used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플런저형 전자석(12)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4)과, 플런저(15)와, 외측 요크(16)와, 여자 코일(21)과, 제1 전기자(24)와, 제2 전기자(25)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14)은 원통부(17)와, 원통부(17)의 축방향 양단부에 각각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전측 플랜지부(19)와 후측 플랜지부(20)를 갖고 있다. 스풀(14)의 원통부(17)의 외주에 여자 코일(21)이 감겨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풀(14)의 전측 플랜지부(19)에 여자 코일(21)에 통전하기 위한 코일 단자(22)가 장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includes a spool 14, a plunger 15, an outer yoke 16, an exciting coil 21, a first armature 24, and a first armature 24. 2 It is equipped with an armature (25). The spool 14 has a cylindrical portion 17, and a front flange portion 19 and a rear flange portion 20 that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both axial ends of the cylindrical portion 17, respectively. An excitation coil 21 is wound and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ylindrical portion 17 of the spool 14. Additionally, a coil terminal 22 for supplying electricity to the exciting coil 21 is mounted on the front flange portion 19 of the spool 14.

또한, 플런저(15)는 스풀(14)의 원통부(17)에 삽입 관통된 원기둥형상의 막대형상체이며, 플런저(15)의 축방향 양단부에 도 4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 전기자(24)와 제2 전기자(25)가 연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lunger 15 is a cylindrical rod-shaped body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portion 17 of the spool 14, and protrudes in the radial direction at both axial ends of the plunger 15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rmature 24 and the second armature 25 are connected.

그리고, 제1 전기자(24)의 중앙부에는 연결 스프링(18)이 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 스프링(18)은, 장척인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전기자(24)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부(18a)와, 고정판부(18a)로부터 제1 전기자(24)에 이격하는 경사 상방향으로 상승하고, 선단측에 곡률부를 설치한 한쌍의 탄성 걸어맞춤 판부(18b, 18c)로 구성되어 있다. And, a connecting spring 18 is fix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first armature 24. This connection spring 18 is formed of a long metal plate, has a fixed plate portion 18a fixed to the first armature 24, and an inclined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fixed plate portion 18a to the first armature 24. It is composed of a pair of elastic engaging plate parts 18b and 18c that rise in the direction and have a curved portion on the distal end side.

접점 기구(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1B)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한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26a)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26b)와, 제2 프레임(11B)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접점 지지부(28)와, 접점 지지부(28)에 지지되고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26a)의 고정 접점(26a1) 및 복수조의 부하측 고정 접촉자(26b)의 고정 접점(26b1)에 가동 접점(27a, 27b)이 접리 가능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가동 접촉자(27)를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contact mechanism 13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supply side fixed contacts 26a and load side fixed contacts 26b fixed to the second frame 11B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second frame 11B. A contact support portion 28 mounted to be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inside 11B, a fixed contact 26a1 of a plurality of power supply side fixed contactors 26a supported 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and a plurality of sets of load side fixed contacts. The fixed contact point 26b1 at (26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27 that m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oints 27a and 27b can be contacted.

접점 지지부(28)는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부재이다. 접점 지지부(28)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동 접촉자(27)를 전후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정렬 유지하는 복수의 가동 접촉자 지지부(29)와, 이들 가동 접촉자 지지부(29)에 일체로 형성되고 플런저형 전자석(12)이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30, 31)로 구성되어 있다.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is a member exclusively for plunger-type electromagnets. As shown in FIG. 5,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is integrat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support portions 29 that movably align and hold the plurality of movable contactors 27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se movable contact support portions 29. It is formed and consists of a pair of connection parts (30, 31) to which a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is connected.

한쌍의 연결부(30, 3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동 접촉자 지지부(29)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고, 서로의 대향하는 내벽에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슬릿 형상의 연결 삽입부(32a, 32b)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30 and 31 are form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support portions 29 are aligned, and have a slit shape extending linearly on the opposing inner walls.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are formed.

그리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제1 전기자(24)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 스프링(18)의 탄성 걸어맞춤 판부(18b, 18c)가, 접점 지지부(28)의 연결 삽입부(32a, 32b)에 탄성 변형 상태로 걸어맞춤 함으로써, 플런저형 전자석(12) 및 접점 지지부(28)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And, as shown in FIG. 3, the elastic engaging plate portions 18b and 18c of the connecting spring 18 fixed to the first armature 24 of the plunger electromagnet 12 are connected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By engaging the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are integrally connected.

여기서, 도 6은 내부에 접점 지지부(28)를 배치한 제2 프레임(11B)의 구조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2 프레임(11B)의 전원측 단자부(53a) 및 보조 단자부(54a)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각통부(52)가 개구하고 있고, 그 개구 양모서리에 단차부(34, 35)가 형성되어 있다. Here, FIG.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second frame 11B with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disposed therein. The rectangular cylinder portion 52 of the second frame 11B on the side where the power supply side terminal portion 53a and the auxiliary terminal portion 54a are formed is open, and step portions 34 and 35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opening. .

도 7은, 도 3의 부호 A로 나타내는 원의 범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지만, 제2 프레임(11B)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34, 35)는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전측 플랜지부(19)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치수 L로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치수 L은 도 3에 도시하는 고정 접점(26a1) 및 가동 접점(27a)의 접점 갭(G)(고정 접점(26b1) 및 가동 접점(27b)의 접점 갭(G))에 대하여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L<G). Figure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circle indicated by symbol A in Figure 3, but the step portions 34 and 35 formed in the second frame 11B are the front flange portion ( 19), they are arranged overlapping with dimension L in the anteroposterior direction. Moreover, this dimension L is small with respect to the contact gap G of the fixed contact 26a1 and the movable contact 27a (contact gap G of the fixed contact 26b1 and the movable contact 27b) shown in FIG. It is set as a dimension (L<G).

또, 도 8은, 전자 접촉기(10)를 위쪽으로부터 도시한 것이지만, 단차부(34, 35)는 제2 프레임(11B)으로 하우징을 구성하는 제1 프레임(11A)에 내측으로부터 중복된 상태로 배치되고, 위쪽으로부터 먼지가 전자 접촉기(1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8 shows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from above, but the step portions 34 and 35 are overlapped from the inside with the first frame 11A constituting the housing with the second frame 11B. It is placed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du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from above.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10)의 조립 순서에 관해서, 도 1, 도 3,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of the first embodiment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1, 3, 9, and 10.

우선, 접점 기구(13)를 형성한 상태로 전자 접촉기(10)의 조립을 행한다. 즉, 제2 프레임(11B)의 내부에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26a)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26b), 복수의 가동 접촉자(27) 및 접점 지지부(28)가 끼워넣어진 접점 기구(13)를 사용한다. Firs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is assembled with the contact mechanism 13 formed. That is, a contact mechanism 13 in which a plurality of power supply side fixed contactors 26a, a load side fixed contactor 26b,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ors 27, and a contact support portion 28 are inserted inside the second frame 11B. use.

계속해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 지지부(28)에 대하여 제2 프레임(11B)을 상방 이동하고, 접점 기구(13)의 고정 접점(26a1) 및 가동 접점(27a)(고정 접점(26b1) 및 가동 접점(27b))을 접촉시켜 접점 갭(G)이 없는 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접점 기구(13)의 고정 접점(26a1) 및 가동 접점(27a)(고정 접점(26b1) 및 가동 접점(27b))의 사이에 접점 갭(G)이 존재하고 있는 상태가, 본 발명에 기재한 제1 조립 단계에 대응하고, 도 9에 도시하는 상태가 본 발명에 기재한 간섭 방지 단계에 대응하고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9, the second frame 11B is mov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and the fixed contact point 26a1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27a (fixed contact point ( 26b1)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27b) are brought into contact to maintain the contact gap 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a contact gap G exists between the fixed contact 26a1 and the movable contact 27a (the fixed contact 26b1 and the movable contact 27b) of the contact mechanism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assembly step described, the state shown in FIG. 9 corresponds 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 기구(13)의 접점 지지부(28)에 설치한 연결 삽입부(32a, 32b)의 개구를, 제1 전기자(24) 상의 연결 스프링(18)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접점 기구(13) 및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연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점 기구(13)를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그 때, 접점 기구(13)의 고정 접점(26a1) 및 가동 접점(27a)(고정 접점(26b1) 및 가동 접점(27b))은 접점 갭(G)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제2 프레임(11B)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부(34, 35)는,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전측 플랜지부(19)에 대하여 도 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접점 기구(13)는 전측 플랜지부(19)에 간섭하지 않고서 슬라이드 이동해 간다. 이로써, 연결 스프링(18)의 한쌍의 탄성 걸어맞춤 판부(18b, 18c)가 연결 삽입부(32a, 32b)의 내부에 걸어맞춤해 간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상태가, 본 발명에 기재한 제2 조립 단계에 대응하고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0, the openings of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provided 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of the contact mechanism 13 are opposed to the connection spring 18 on the first armature 24. I order it. Then, the contact mechanism 13 is slidably moved above the plunger electromagnet 1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direction of the contact mechanism 13 and the plunger electromagnet 12. At that time, since the fixed contact point 26a1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27a (the fixed contact point 26b1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27b) of the contact mechanism 13 are maintained without the contact gap G, the second Since the step portions 34 and 35 formed in the frame 11B ar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Fig. 10 with respect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9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the contact mechanism 13 is located at the front flange portion ( 19) The slide moves without interference. As a result, the pair of elastic engaging plate portions 18b and 18c of the connecting spring 18 engage with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Additionally, the state shown in FIG. 10 corresponds to the second assembly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점 기구(13)를, 더욱 좌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해 감으로써 연결 삽입부(32a, 32b)로의 연결 스프링(18)의 한쌍의 탄성 걸어맞춤 판부(18b, 18c)의 걸어맞춤을 완료한다. 이 때, 제2 프레임(11B)의 단차부(34, 35)가 전측 플랜지부(19)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제2 프레임(11B)을 플런저형 전자석(12)측으로 이동한다. 이 제2 프레임(11B)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26a1) 및 가동 접점(27a)(고정 접점(26b1) 및 가동 접점(27b))의 사이에 접점 갭(G)을 설치한 접점 기구(13)로 하고, 접점 기구(13)의 접점 지지부(28) 및 플런저형 전자석(12)을 연결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제2 프레임(11B)의 단차부(34, 35)는,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전측 플랜지부(19)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중복되어 배치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상태가, 본 발명에 기재한 석방 단계에 대응하고 있다. 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1, the contact mechanism 13 is further slid to the left to connect the pair of elastic engaging plate portions 18b and 18c of the connecting spring 18 to the connecting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 Complete the matching. At this time, since the step portions 34 and 35 of the second frame 11B ar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y do not interfere with the front flange portion 19, the second frame 11B is moved toward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this second frame 11B, a contact gap ( G) is installed as the contact mechanism 13,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of the contact mechanism 13 and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re connected. And, the step portions 34 and 35 of the second frame 11B are arranged to overlap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ont flange portion 19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dditionally, the state shown in Fig. 11 corresponds to the release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플런저형 전자석(12)을 내장한 제1 프레임(11A)을 접점 기구(13)의 제2 프레임(11B)에 연결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전자 접촉기(10)의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제1 프레임(11A)을 접점 기구(13)의 제2 프레임(11B)에 연결하는 동작이, 본 발명에 기재한 제3 조립 단계에 대응하고 있다. Then,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shown in FIG. 1 is completed by connecting the first frame 11A containing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to the second frame 11B of the contact mechanism 13. Additionally, the operation of connecting the first frame 11A to the second frame 11B of the contact mechanism 13 corresponds to the third assembly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60)에 관해서, 도 12부터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6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고 있고, 제2 프레임(61B)에 내장된 접점 기구(62)와, 제2 프레임(61B)과 서로 전후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내장되고, 접점 기구(62)를 온·오프 구동여 조작 전자석으로서 사용되는 레그형 전자석(63)을 구비하고 있다. FIG. 12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contact mechanism 62 built into the second frame 61B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61B in the front-back direction. It is built into a first frame (not shown) and is provided with a leg-type electromagnet 63 that drives the contact mechanism 62 on and off and is used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레그형 전자석(63)은 고정 철심(64)과, 고정 철심(64)의 접극면(64a)에 자신의 접극면(65a)이 대향하여 배치된 가동 철심(65)과, 고정 철심(64)의 중앙 돌출부의 주위에 감겨 장착되어 있는 전자 코일(66)과, 복귀 스프링(67)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철심(65)에는, 도 12의 좌우 방향(두께 방향)에 관통하는 관통 구멍(65b)이 형성되어 있다.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includes a fixed iron core 64, a movable iron core 65 whose contact surface 65a is disposed opposite to the contact surface 64a of the fixed iron core 64, and a fixed iron core 64. It is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coil 66 wound around the central protrusion and a return spring 67. The movable iron core 65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65b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in FIG. 12 .

접점 기구(62)는, 제2 프레임(61B)에 고정되어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한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68a)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68b)와, 제2 프레임(61B)의 내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69)와, 접점 지지부(69)에 지지되고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68a)의 고정 접점(68a1) 및 복수조의 부하측 고정 접촉자(68b)의 고정 접점(68b1)에 가동 접점(70a, 70b)이 접리 가능해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가동 접촉자(70)를 구비하고 있다. The contact mechanism 62 includes a plurality of power supply side fixed contacts 68a and load side fixed contacts 68b fixed to the second frame 61B and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located inside the second frame 61B in the front-back direction. A contact support portion 69 dedicated to a leg-type electromagnet movably mounted, a fixed contact point 68a1 of a plurality of sets of power-side fixed contactors 68a supported by the contact support part 69, and a plurality of sets of load-side fixed contactors 68b. The fixed contact point 68b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70 that move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 points 70a and 70b can be opened and closed.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69)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가동 접촉자(27)를 전후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정렬 유지하는 복수의 가동 접촉자 지지부(71)와, 이들 가동 접촉자 지지부(71)에 일체로 형성되고, 레그형 전자석(63)이 연결되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연결부(72, 73)를 구비하고 있다. 한쌍의 연결부(72, 73)의 사이에는, 가동 철심 맞닿음면(74)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한쌍의 연결부(72, 73)의 대향하는 내벽에, 직선형상으로 연장하는 슬릿 형상의 연결 삽입부(75a, 7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69)는, 제1 실시형태에서 도시한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28)와 마찬가지로, 제2 프레임(61B)의 내부에 장착되고, 접점 지지부(69)의 가동에 의해 제2 프레임(61B)에 고정된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68a)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68b)의 고정 접점(68a1), 고정 접점(68b1)과, 접점 지지부(69)에 지지된 복수조의 가동 접촉자(70)의 가동 접점(70a, 70b)이 접리한다.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dedicated to the leg-type electromagnet includes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 support portions 71 that movably align and hold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ors 27 in the front-back direction, as shown in FIG. 13, and these movable contact support portions.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71) and has a pair of opposing connecting portions (72, 73) to which leg-shaped electromagnets (63) are connected. A movable iron core contact surface 74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72 and 73, and a slit-shaped connection extends linearly on the opposing inner wall of the pair of connecting portions 72 and 73. Insertion portions 75a and 75b are formed. This contact support portion 69 dedicated to the leg-type electromagnet is mounted inside the second frame 61B, similar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28 dedicated to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The fixed contact point 68a1 and the fixed contact point 68b1 of the plurality of power supply side fixed contactors 68a and the load side fixed contactor 68b fixed to the second frame 61B are supported by the movement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The movable contact points 70a and 70b of the multiple movable contactors 7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레그형 전자석(63)은,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철심(65)의 철심 상면(65b)을, 접점 지지부(69)의 가동 철심 맞닿음면(74)에 맞닿게 하고, 가동 철심(65)의 관통 구멍(65b)에 삽입 관통한 연결 스프링(76)의 선단부를 연결 삽입부(75a, 75b)에 삽입하고, 연결 스프링(76)의 탄성력으로 가동 철심(65)이 가동 철심 맞닿음면(74)에 압접되고 있다. 이로써, 레그형 전자석(63)이 접점 지지부(69)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2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6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nd, as shown in FIG. 14,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brings the upper surface 65b of the movable iron core 65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core abutting surface 74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and is movable.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pring 76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5b of the iron core 6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insertion portions 75a and 75b, and the movable iron core 65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nnecting spring 76. It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surface 74. Thereby, it becomes possible to configure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by integrally connecting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60)의 조립 순서에 관해서 설명한다. Next, the assembly procedur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제2 프레임(61B)의 내부에 복수조의 전원측 고정 접촉자(68a) 및 부하측 고정 접촉자(68b) 및 접점 지지부(69)를 끼워넣은 상태, 즉,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기구(62)를 형성한다. First, a plurality of power supply side fixed contactors 68a, load side fixed contactors 68b, and contact support portions 69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61B, that is, a contact mechanism 62 dedicated to the leg type electromagnet is installed. form

계속해서, 접점 기구(62)의 고정 접점(68a1), 고정 접점(68b1)과, 접점 지지부(69)에 지지된 가동 접촉자(70)의 가동 접점(70a, 70b)을 접촉시켜 접점 갭이 없는 상태가 되도록, 접점 지지부(69)에 대하여 제2 프레임(61B)을 이동한다(본 발명에 기재한 제1 조립 단계에 대응). Subsequently, the fixed contact point 68a1 and the fixed contact point 68b1 of the contact mechanism 62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ovable contact points 70a and 70b of the movable contactor 70 supported 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so that there is no contact gap. The second frame 61B is moved relative to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corresponding to the first assembly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achieve this state.

계속해서, 접점 지지부(69)에 설치한 연결 삽입부(75a, 75b)의 개구를, 가동 철심(65)의 관통 구멍(65b)에 삽입 관통한 연결 스프링(76)에 대향시키고, 레그형 전자석(63)의 연결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접점 기구(62)를 레그형 전자석(63)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시킨다(본 발명에 기재한 제2 조립 단계에 대응). Subsequently, the openings of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75a and 75b provided o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are opposed to the connection spring 76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65b of the movable iron core 65, and a leg-type electromagnet is formed. The contact mechanism 62 is slidably moved relative to the leg-shaped electromagnet 63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on direction of 6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ssembly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계속해서, 접점 기구(62)를 더욱 슬라이드 이동해 감으로써 연결 삽입부(75a, 75b)로의 연결 스프링(76)의 선단부의 걸어맞춤을 완료한다. Subsequently, the contact mechanism 62 is further slid to complete engagement of the tip portion of the connection spring 76 with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75a and 75b.

그리고, 레그형 전자석(63)을 내장하도록 제1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제2 프레임(61B)에 연결함으로써(본 발명에 기재한 제3 조립 단계에 대응), 제2 실시형태의 전자 접촉기(60)의 조립이 완료된다. Then, the first fram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second frame 61B to incorporate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corresponding to the third assembly step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form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ssembly of (60) is completed.

다음으로, 제1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플런저형 전자석(12)을 조작 전자석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10) 및 제2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레그형 전자석(63)을 조작 전자석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60)에 관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Next, about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using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and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using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Explain the effect.

플런저형 전자석(12)을 조작 전자석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10)의 조립 방법에서는, 우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1B)의 내부에 플런저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28)를 끼워넣음으로써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을 형성하고 있다. 또, 레그형 전자석(63)을 조작 전자석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60)의 조립 방법에서는, 우선, 제2 프레임(61B)의 내부에 레그형 전자석 전용의 접점 지지부(69)를 끼워넣음으로써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전자 접촉기(10)의 조립 라인에서는, 최초의 조립 공정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의 연결 삽입부(32a, 32b)를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연결 스프링(18)에 연결하고 있다(도 11 참조). 또, 전자 접촉기(60)의 조립 라인에서는, 최초의 조립 공정으로서,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의 연결 삽입부(75a, 75b)를 레그형 전자석(63)의 가동 철심(65)에 걸어맞춤하고 있는 연결 스프링(76)에 연결하고 있다. In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using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first, as shown in FIG. 9, a contact support portion 28 dedicated to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side the second frame 11B. By inserting, a unit for a plunger-type electromagnet is formed. In addition, in the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using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first, the contact support portion 69 dedicated to the leg-type electromagne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rame 61B to form the leg-type electromagnet. It forms a unit for electromagnets. And in the assembly lin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as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connection insertion parts 32a and 32b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unit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pring 18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12 ( 11). In addition, in the assembly lin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as the first assembly process,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75a and 75b of the leg-type electromagnet unit are engaged with the movable iron core 65 of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pring (76).

이와 같이,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12) 및 레그형 전자석(63)의 한쪽을 사용하여 전자 접촉기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의 연결 삽입부(32a, 32b)에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연결 스프링(18)을 연결하는 공정을 최초의 조립 공정으로 하고, 혹은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의 연결 삽입부(75a, 75b)에 레그형 전자석(63)의 연결 스프링(76)을 연결하는 공정을 최초의 조립 공정으로서 공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전자석으로서 플런저형 전자석(12) 및 레그형 전자석(63)을 사용하는 경우에 상이한 조립 라인으로 전자 접촉기의 일련의 공정을 행하고 있던 종래의 전자 접촉기의 조립 라인과 비교하여, 조립 공정수를 감소시킨 단척인 조립 라인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단척인 조립 라인이 됨으로써 조립 설비 투자를 감소시키고, 플런저형 전자석(12) 및 레그형 전자석(63)의 한쪽을 사용한 전자 접촉기를 제조할 때에 제조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manufactu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one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nd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unit.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ing spring 18 of (12) is the first assembly process, or the connecting spring 76 of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insertion portions 75a and 75b of the leg-type electromagnet unit. Since the connecting process can be common as the first assembly process, when using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nd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a series of processes for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were conventionally performed on different assembly lines. Compared to the assembly line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it can be made into a short assembly line with a reduced number of assembly steps. In addition, by using a short assembly line, investment in assembly equipment can be reduced, and manufacturing costs can be reduced when manufactur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one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s 12 and the leg-type electromagnets 63.

또한,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 및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의 한쪽을, 플런저형 전자석(12) 및 레그형 전자석(63)의 한쪽에 연결할 때에는, 플런저형 전자석용 유닛의 연결 삽입부(32a, 32b), 및 레그형 전자석용 유닛의 연결 삽입부(75a, 75b)의 한쪽을, 플런저형 전자석(12)의 연결 스프링(18) 및 레그형 전자석(63)의 연결 스프링(76)의 한쪽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킬 뿐이기 때문에, 전자 접촉기의 조립의 단순화도 도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connecting one side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unit and the leg type electromagnet unit to one side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12 and the leg type electromagnet 63,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32a and 32b of the plunger type electromagnet unit , and sliding one side of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s 75a, 75b of the leg-type electromagnet unit toward one side of the connection spring 18 of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nd the connection spring 76 of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Since it is only moved, assembly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can be simplified.

또한, 플런저형 전자석(12)을 조작 전자석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10)에서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프레임(11B)의 단차부(34, 35)는 제1 프레임(11A)에 내측으로부터 중복된 상태로 배치되고, 전자 접촉기(10)의 제1 프레임(11A) 및 제2 프레임(11B)의 상부벽에는 내부에 통하는 공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위쪽으로부터 먼지가 전자 접촉기(1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레그형 전자석(63)을 조작 전자석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60)도, 상세는 기재하고 있지 않지만, 제2 프레임(11B)에 설치한 단차부(34, 35)가 제1 프레임(11A)에 내측으로부터 중복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위쪽으로부터 먼지가 전자 접촉기(10)의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using the plunger-type electromagnet 12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as shown in FIG. 8, the step portions 34 and 35 of the second frame 11B are inside the first frame 11A. Since the upper walls of the first frame 11A and the second frame 11B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do not have an internal space, dust is drawn from the top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It can prevent intrusion inside.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60 using the leg-type electromagnet 63 as the operating electromagnet is not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tep portions 34 and 35 provided on the second frame 11B are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1A. By being disposed in an overlapping state from the in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du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electromagnetic contactor 10 from above.

10: 전자 접촉기, 11A: 제1 프레임(하부 프레임), 11B: 제2 프레임(상부 프레임), 12: 플런저형 전자, 13: 접점 기구, 14: 스풀, 15: 플런저, 16: 외측 요크, 17: 원통부, 18: 연결 스프링, 18a: 고정판부, 18b, 18c: 한쌍의 탄성 걸어맞춤 판부, 19: 전측 플랜지부(플랜지부), 20: 후측 플랜지부, 21: 여자 코일, 22: 코일 단자, 24: 제1 전기자, 25: 제2 전기자, 26a: 전원측 고정 접촉자, 26a1: 고정 접점, 26b: 부하측 고정 접촉자, 26b1: 고정 접점, 28: 접점 지지부(플런저형 전자석용), 27: 가동 접촉자, 27a, 27b: 가동 접점, 29: 가동 접촉자 지지부, 30, 31: 연결부, 32a, 32b: 연결 삽입부, 34,35: 단차부, 50: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 51: 부착판부, 52: 각통부, 53a: 전원측 단자부, 53b: 부하측 단자부, 54a: 보조 단자부, 54b: 보조 단자부, 60: 전자 접촉기, 61B: 제2 프레임(상부 프레임), 62: 접점 기구, 63: 레그형 전자석, 64: 고정 철심, 64a: 접극면, 65: 가동 철심, 65a: 접극면, 65b: 관통 구멍, 65c: 철심 상면, 66: 전자 코일, 67: 복귀 스프링, 68a: 전원측 고정 접촉자, 68b: 부하측 고정 접촉자, 69: 접점 지지부(레그형 전자석용), 68a1: 고정 접점, 68b1: 고정 접점, 70a, 70b: 가동 접점, 70: 가동 접촉자, 71: 가동 접촉자 지지부, 72, 73: 연결부, 74: 가동 철심 맞닿음면, 75a, 75b: 연결 삽입부, 76: 연결 스프링, G: 접점 갭10: electromagnetic contactor, 11A: first frame (lower frame), 11B: second frame (upper frame), 12: plunger type electronic, 13: contact mechanism, 14: spool, 15: plunger, 16: outer yoke, 17 : Cylindrical part, 18: Connecting spring, 18a: Fixing plate part, 18b, 18c: A pair of elastic engaging plate parts, 19: Front flange part (flange part), 20: Rear flange part, 21: Excitation coil, 22: Coil terminal , 24: first armature, 25: second armature, 26a: power side fixed contact, 26a1: fixed contact, 26b: load side fixed contact, 26b1: fixed contact, 28: contact support (for plunger type electromagnet), 27: movable contact. , 27a, 27b: movable contact point, 29: movable contact support part, 30, 31: connection part, 32a, 32b: connection insertion part, 34, 35: step part, 50: rectangular cylinder-shaped part with bottom, 51: attachment plate part, 52 : Leg tube part, 53a: Power side terminal part, 53b: Load side terminal part, 54a: Auxiliary terminal part, 54b: Auxiliary terminal part, 60: Magnetic contactor, 61B: Second frame (upper frame), 62: Contact mechanism, 63: Leg type electromagnet, 64: fixed iron core, 64a: contact surface, 65: movable iron core, 65a: contact surface, 65b: through hole, 65c: upper surface of iron core, 66: electromagnetic coil, 67: return spring, 68a: power side fixed contactor, 68b: load side fixed Contactor, 69: Contact support (for leg-type electromagnet), 68a1: Fixed contact, 68b1: Fixed contact, 70a, 70b: Movable contact, 70: Movable contactor, 71: Movable contact support, 72, 73: Connection, 74: Movable. Iron core contact surface, 75a, 75b: connection insertion part, 76: connection spring, G: contact gap

Claims (9)

상하 분할형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한쌍의 가동 접점을 갖는 가동 접촉자와, 상기 한쌍의 가동 접점과 접리 가능한 고정 접점을 갖는 한쌍의 고정 접촉자와, 상기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접점 지지부를 구비한 접점 기구와,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접점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접점 기구를 온·오프 구동하는 조작용의 전자석
을 구비하고,
상기 접점 지지부와 상기 전자석을, 상기 전자석의 구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하는 것인 전자 접촉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상기 접점 지지부를 일체로 끼워넣은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점 지지부와 상기 전자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 lower frame and an upper frame constituting an upper and lower split housing,
A contact mechanism is disposed inside the upper frame and includes a movable contactor having a pair of movable contact points, a pair of fixed contactors having a fixed contact point that can be contacted with the pair of movable contact points, and a contac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movable contact point. and,
An electromagnet for operation that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frame and drives the contact mechanism on and off through the contact support part.
Equipped with
In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nd the electromagnet are connected by sli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support and the electromagnet are connected by sliding and moving the contact support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 support is integrally inserted into the upper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지지부는, 상기 전자석과의 연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일단에서 개구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은 상기 접점 기구와 연결되는 연결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접점 지지부의 상기 연결 삽입부를, 상기 전자석의 상기 연결 스프링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접점 지지부와 상기 전자석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contact support portion has a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that opens at one 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nnection direction with the electromagnet and extends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The electromagnet has a connecting spring connected to the contact mechanism,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the contact support portion and the electromagnet are connected by sliding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of the contact support portion toward the connection spring of the electromagne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여자 코일이 감겨 장착되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의 끝으로부터 외측으로 또한 상기 접점 기구측으로 돌출한 플랜지부를 갖는 스풀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전자석측에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의 접점 갭보다도 작은 치수로 돌출하는 단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점 갭이 개방되었을 때에 상기 접점 기구측으로 돌출한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단차부의 벽면끼리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electromagnet has a cylindrical portion on which an excitation coil is wound and a spool having a flange portion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oward the contact mechanism, and the upper frame has the movable contact on the electromagnet sid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omprising a step portion that protrudes with a dimension smaller than the contact gap of the fixed contact point, and wherein when the contact gap is opened, the flange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ontact mechanism and the wall surfaces of the step portion face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기구의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접점 지지부를, 상기 접점 갭이 없도록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접점 지지부를 상기 전자석을 향해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wherein the upper frame and the contact support part of the contact mechanism are maintained so that there is no contact gap, and the contact support part is slidably moved toward the electromagnet.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하로 이동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끝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전기자를 갖는 플런저형 전자석이며, 상기 전기자에 상기 연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electromagnet is a plunger-type electromagnet having a plunger that moves up and down and an armature protruding outward from an end of the plunger, and the connecting spring is installed in the armature.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은, 상하로 이동하는 가동 철심을 갖는 레그형 전자석이며, 상기 가동 철심에 상기 연결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The electromagnet is a leg-type electromagnet having a movable iron core that moves up and down, and the connecting spring is installed on the movable iron cor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접점 기구의 상기 접점 지지부를 일체로 끼워넣는 제1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유지된 상기 접점 지지부를 상기 전자석에 슬라이드하여 삽입해 가는 제2 조립 단계와,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에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 모서리를 걸어맞춤하여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는 제3 조립 단계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
A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omprising:
A first assembly step of integrally fitting the upper frame and the contact support portion of the contact mechanism;
a second assembly step of sliding and inserting the contact support held together with the upper frame into the electromagnet;
A third assembly step of forming the housing by engaging the upper edge of the lower frame with the lower edge of the upper frame.
A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ompris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 단계와 상기 제2 조립 단계의 사이에,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함께 유지된 상기 접점 지지부를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이 접촉하여 상기 접점 갭이 없어지도록 상대 이동시키는 간섭 방지 단계를 마련하고,
상기 제2 조립 단계와 상기 제3 조립 단계의 사이에, 상기 접점 지지부와 상기 전자석의 연결이 완료되었을 때에,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가동 접점의 사이에 미리 정해진 상기 접점 갭이 마련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을 상기 전자석으로 이동시키는 석방 단계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
In clause 7,
Between the first assembling step and the second assembling step, an interference prevention step is provided in which the contact support held with the upper frame is moved relative to the fixed contact point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so that the contact gap disappears. do,
Between the second assembly step and the third assembly step,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tact support and the electromagnet is completed, the upper frame is formed so that a predetermined contact gap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 method of assembling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characterized in that a release step for moving to the electromagnet is provided.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플런저형 전자석을 조작용의 전자석으로서 사용하는 전자 접촉기 및 레그형 전자석을 조작용의 전자석으로서 사용하는 전자 접촉기를 포함하는 조립 라인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 단계를 공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접촉기의 조립 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7 or 8,
An assembly line including a magnetic contactor using a plunger-type electromagnet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and a magnetic contactor using a leg-type electromagnet as an operating electromagnet, wherein the first assembly step is common. Assembly method.
KR1020237036265A 2021-11-30 2022-10-12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KR202301586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94632 2021-11-30
JP2021194632A JP2023081001A (en) 2021-11-30 2021-11-30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for electromagnetic contactor
PCT/JP2022/038096 WO2023100485A1 (en) 2021-11-30 2022-10-12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electromagnetic conta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607A true KR20230158607A (en) 2023-11-20

Family

ID=86611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265A KR20230158607A (en) 2021-11-30 2022-10-12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81001A (en)
KR (1) KR20230158607A (en)
CN (1) CN117223080A (en)
WO (1) WO2023100485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8915A (en) 2013-12-19 2015-06-25 エルエス産電株式会社Lsis Co., Ltd. Magnetic conta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2159A (en) * 1994-05-17 1995-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12015088A (en) * 2010-06-01 2012-01-19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Electromagnetic contactor
CN105637610B (en) * 2014-09-25 2017-07-18 三菱电机株式会社 The assemble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JP7322643B2 (en) * 2019-09-30 2023-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relay
JP7067580B2 (en) * 2020-03-18 202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エレクトロニクス Electromagnetic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electromagnetic re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18915A (en) 2013-12-19 2015-06-25 エルエス産電株式会社Lsis Co., Ltd. Magnetic cont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0485A1 (en) 2023-06-08
CN117223080A (en) 2023-12-12
JP2023081001A (en)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27819B (en) Electromagnetic relay
US11101092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9727818B (en) Electromagnetic relay
US4409580A (en) Solenoid actuator for electromagnetic valve
KR101086908B1 (en) Electromagnetic switch
EP2717287A1 (en) Electromagnetic relay
KR20060058037A (en) Solenoid valve
WO2012096005A1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reed switch attachment structure
CN112509874A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00245002A1 (en) Electromagnetic contractor
JP2018018781A (en) Electromagnetic relay
EP2650900B1 (en) Electromagnetic relay
KR101346550B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having permanent magnets placed in the form of a v in an electromagnetically optimized arrangement
EP3979289A1 (en) Direct current re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30158607A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assembly method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KR980011562A (en) Electronic contactor
US5739599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US6919786B2 (en) Actuator with magnetic circuit having two iron parts
JP5857336B2 (en) solenoid
CN215172638U (en) Electromagnetic valve
US5828144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CN215596523U (en) Electromagnetic valve
JP2006266375A (en) Solenoid valve
CN215172639U (en) Electromagnetic valve
CN114521281A (en) Electromagnetic re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