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8379A - 렌즈 구동부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8379A
KR20230158379A KR1020220098802A KR20220098802A KR20230158379A KR 20230158379 A KR20230158379 A KR 20230158379A KR 1020220098802 A KR1020220098802 A KR 1020220098802A KR 20220098802 A KR20220098802 A KR 20220098802A KR 20230158379 A KR20230158379 A KR 20230158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substrate
coil
lens driv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지범
이홍주
박남기
윤영복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8/125,35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367178A1/en
Priority to CN202321095604.XU priority patent/CN220511182U/zh
Priority to CN202310515028.8A priority patent/CN117135433A/zh
Publication of KR2023015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83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는 제1 방향으로 뻗은 제1 기판에 위치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은 제2 기판에 위치하는 제2 코일,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1 센싱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코일과 마주하는 제1 마그넷,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센싱부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1 마그넷 사이의 제1 간격보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제2 간격이 더 넓을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구동부{LENS DRIVING MEMBER}
본 개시는 렌즈 구동부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전자기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기능들을 컨버전스(convergence)하여 제공하는 추세에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가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으며, 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카메라에는 자동 초점(Auto Focus, AF) 기능, 이미지 안정화(Image Stabilizer, IS) 기능 및 줌(zoom) 기능 등이 부가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는 전자 기기가 박형화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두께도 얇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얇은 카메라 모듈의 구현을 위해 구성 부품의 두께가 얇아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들은 구동 전압의 증가 없이 렌즈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유지하면서 박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렌즈 구동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들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는 제1 방향으로 뻗은 제1 기판에 위치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은 제2 기판에 위치하는 제2 코일,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1 센싱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코일과 마주하는 제1 마그넷,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센싱부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1 마그넷 사이의 제1 간격보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제2 간격이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1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2 마그넷의 두께는 거의 같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마그넷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2 마그넷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마그넷의 상기 두께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기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배면에 위치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요크의 표면은 평편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2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코일과 마주하는 제3 마그넷,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센싱부와 마주하는 제4 마그넷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마그넷 사이의 제1 간격보다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4 마그넷 사이의 제2 간격이 더 넓을 수 있다.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마그넷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3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4 마그넷의 두께는 거의 같은 서로 같을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마그넷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4 마그넷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3 마그넷의 상기 두께는 상기 제4 마그넷의 상기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렌즈 구동부는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요크의 표면은 평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동 전압의 증가 없이 렌즈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유지하면서 박형으로 제공될 수 있는 렌즈 구동부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들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 쪽으로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연결된다"라고 할 때, 이는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 또는 위치나 기능에 따라 상이한 명칭들로 지칭되었으나 일체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와 변형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120), 렌즈 배럴(120)을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 장치(150), 렌즈 배럴(12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유닛(160) 및 렌즈 배럴(120)과 렌즈 구동 장치(150)를 수용하는 하우징(110)과 커버(113)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 장치(150)는 렌즈 배럴(120)을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초점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 유닛(130) 및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 유닛(14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은 렌즈 홀더(142)에 수납되어, 가이드 부재(131)와 함께 초점 조정 유닛(130)에 수용될 수 있다.
초점 조정 유닛(130)은, 렌즈 배럴(120)을 수용하는 캐리어(130) 및 렌즈 배럴(120)과 캐리어(13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초점 조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점 조정 구동부는 마그넷(232)과 코일(233)을 포함하는 제1 렌즈 구동부(2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1)의 마그넷(232)은 캐리어(13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코일(233)은 기판(14) 내에 형성되어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233)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넷(232)과 코일(233)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캐리어(13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130)에는 렌즈 배럴(120)이 수용되므로, 캐리어(130)의 이동에 의해 렌즈 배럴(120)도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130)가 이동될 때, 캐리어(13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130)와 하우징(110) 사이에 제1 구름 부재(1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구름 부재(170)는 볼 형태일 수 있으며, 마그넷(23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130)에는 제1 구름 부재(170)가 수용되어 광축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유닛(140)은 렌즈 배럴(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131) 및 가이드 부재(131)를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흔들림 보정 구동부를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131)와 렌즈 홀더(142)는 캐리어(130) 내에 삽입되어 광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렌즈 배럴(1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 홀더(142)는 대략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렌즈 홀더(142)의 인접하는 2개의 측면에는 손떨림 보정용 마그넷(244a, 245a)이 위치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상부에는 캐리어(13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렌즈 홀더(14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스토퍼(114)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스토퍼(144)는 캐리어(130)와 결합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제2 렌즈 구동부(20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렌즈 구동부(202)는 마그넷(244a, 245a)과 코일(244b, 24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부(202)의 마그넷들(244a, 245a)은 렌즈 홀더(242)에 장착되고, 마그넷들(244a, 245a)과 각각 마주보는 코일들(244b, 245b)은 기판(14)에 형성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 유닛(140)을 지지하도록 복수의 제2 볼 부재(172a) 및 복수의 제3 볼 부재(172b)가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볼 부재(172a) 및 복수의 제3 볼 부재(172b)는 흔들림 보정과정에서 렌즈 홀더(142)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복수의 제2 볼 부재(172a) 및 복수의 제3 볼 부재(172b)는 캐리어(130)와 렌즈 홀더(142)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이미지 센서 유닛(160)은 렌즈 배럴(12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 유닛(160)은 이미지 센서(161) 및 이미지 센서(161)와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163)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배럴(12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161)는 렌즈 배럴(12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례로 이미지 센서(161)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일 수 있다. 이미지 센서(161)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161)는 인쇄 회로 기판(163)에 고정되며, 인쇄 회로 기판(16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렌즈 배럴(120)과 렌즈 구동 장치는 하우징(110)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일례로, 하우징(1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유닛(160)이 배치된다.
커버(113)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1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커버(113)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 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커버(113)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 가능한 전자 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커버(113)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커버(113)는 금속 재질로 제공되어 인쇄 회로 기판(163)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초점 조정 구동부의 코일(233)과 흔들림 보정 구동부의 코일들(244b, 245b)은 기판(14) 내에 매립 형성되어, 기판(14) 자체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초점 조정 구동부의 코일(233)과 흔들림 보정 구동부의 코일들(244b, 245b)은 하나의 기판(14) 내에 함께 매립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초점 조정 구동부와 흔들림 보정 구동부는 렌즈 배럴(12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각기 더 포함할 수 있고, 초점 조정 구동부와 흔들림 보정 구동부의 센싱부는 이미지 센서(161)와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163)에 포함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IC 패키지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흔들림 보정 구동부인 렌즈 구동부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평면도이고,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202a)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렌즈 구동부(202ax)와 제1 방향(DR1)과 다른 제2 방향(DR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렌즈 구동부(202ay)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ax)는 기판(202ax1), 코일(202ax2), 센싱부(202ax3), 제1 마그넷(202ax4), 제2 마그넷(202ax5), 그리고 요크(202ax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ax)의 코일(202ax2)은 기판(202ax1)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일(200ax2)은 기판(200ax1)의 내부에 매립되는 권선 코일일 수 있고, FP(Fine Pattern) 코일일 수 있다.
센싱부(202ax3)는 홀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기판(202ax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부(202ax3)는 기판(202ax1)이 확장되는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코일(200ax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과 수직을 이루고 기판(202ax1)과 제1 마그넷(202ax4) 및 제2 마그넷(202ax5)이 서로 마주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코일(202ax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마그넷(202ax4)과 제2 마그넷(202ax5)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다. 제1 마그넷(202ax4)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코일(202ax2)과 마주하고, 제2 마그넷(202ax5)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센싱부(202ax3)와 마주하고, 코일(202ax2)과 적어도 일부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기판(200ax1)과 제1 마그넷(200ax4) 사이의 제1 간격(d1)보다 기판(200ax1)과 제2 마그넷(200ax5) 사이의 제2 간격(d2)이 더 클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기판(200ax1) 표면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ax5)이 제1 마그넷(200ax4)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제3 간격(d3)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마그넷(200ax4)의 표면과 제2 마그넷(200ax5)의 표면은 일렬 배치되지 않고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요크(202ax6)는 제1 마그넷(200ax4) 및 제2 마그넷(200ax5)의 배면에 위치하여, 제1 마그넷(200ax4) 및 제2 마그넷(200ax5)을 고정할 수 있다.
요크(202ax6)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평편하지 않고, 요크(202ax6) 중 제2 마그넷(200ax5)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요크(202ax6) 중 제1 마그넷(200ax4)과 마주하는 부분과 요크(202ax6) 중 제2 마그넷(200ax5)과 마주하는 부분은 제3 간격(d3)의 간격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센싱부(200ax3)는 기판(200ax1)과 제2 마그넷(200ax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200ax5)은 기판(200ax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ax4) 보다 제3 간격(d3) 만큼 더 멀리 배치됨으로써, 기판(200ax1)과 제2 마그넷(200ax5) 사이에 센싱부(200ax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그넷(200ax4)과 기판(202ax1) 내에 형성된 코일(202ax2)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간격(d1)을 유지함으로써, 제1 마그넷(200ax4)과 기판(202ax1) 내에 형성된 코일(202ax2)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이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기판(202ax1)과 제1 마그넷(200ax4) 사이의 간격과 기판(202ax1)과 제2 마그넷(200ax5) 사이의 간격이 같을 경우, 센싱부(200ax3)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판(202ax1)과 제1 마그넷(200ax4) 사이의 간격은 제2 간격(d2)을 가져야하고, 기판(202ax1)과 제1 마그넷(200ax4) 사이의 간격이 제1 간격(d1)인 경우에 비하여, 기판(202ax1)과 제1 마그넷(200ax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이처럼, 기판(202ax1)과 제1 마그넷(200ax4)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같은 구동 전압을 인가할 때, 제1 마그넷(200ax4)과 기판(202ax1) 내에 위치하는 코일(202ax2) 사이의 전자기력이 감소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렌즈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따르면, 코일(200ax2)을 기판(200ax1) 내에 형성하고, 코일(200ax2)과 마주하는 제1 마그넷(200ax4) 보다 센싱부(200ax3)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200ax5)을 기판(200ax1)과 더 멀리 배치함으로써, 센싱부(200ax3)를 기판(200ax1)과 제2 마그넷(200ax5)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마그넷(200ax4)과 기판(202ax1) 사이의 전자기력의 감소를 방지하여, 렌즈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상승 없이 렌즈 구동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부의 코일(200ax2)을 기판(200ax1) 내에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부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ax)와 유사하게, 제2 렌즈 구동부(202ay)는 기판(202ay1), 코일(202ay2), 센싱부(202ay3), 제1 마그넷(202ay4), 제2 마그넷(202ay5), 그리고 요크(202ay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부(202ay)의 코일(202ay2)은 기판(202ay1) 내부에 매립되는 권선 코일일 수 있고, FP(Fine Pattern) 코일일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부(202ay)의 제1 마그넷(202ay4)과 제2 마그넷(202ay5)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마그넷(202ay4)은 코일(202ay2)과 마주할 수 있고, 제2 마그넷(202ay5)은 센싱부(202ay3)와 마주할 수 있고, 코일(202ay2)과 적어도 일부분 마주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기판(200ay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ay4) 사이의 제1 간격(d1)보다 기판(200ay1)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ay5) 사이의 제2 간격(d2)이 더 클 수 있고, 기판(200ax1) 표면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ax5)이 제1 마그넷(200ax4)보다 더 돌출될 수 있고, 제3 간격(d3)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마그넷(200ay4)의 표면과 제2 마그넷(200ay5)의 표면은 일렬 배치되지 않고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요크(202ay6)는 제2 방향(DR2)을 따라 평편하지 않고, 요크(202ay6) 중 제2 마그넷(200ay5)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제3 간격(d3) 만큼 돌출될 수 있다.
센싱부(202ay3)는 홀 센서와 같은 센서일 수 있다. 센싱부(200ay3)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기판(200ay1)과 제2 마그넷(200ay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200ay5)은 기판(200ay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ay4) 보다 제3 간격(d3) 만큼 더 멀리 배치됨으로써, 기판(200ay1)과 제2 마그넷(200ay5) 사이에 센싱부(200ay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고, 제1 마그넷(200ay4)과 기판(202ay1) 내에 형성된 코일(202ay2)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간격(d1)을 유지함으로써, 제1 마그넷(200ay4)과 기판(202ay1) 내에 형성된 코일(202ay2)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이 감소하지 않을 수 있어 구동 전압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 구동부(202ay)의 코일(202ay2)을 기판(202ay1) 내에 매립함으로써, 제2 렌즈 구동부(202ay)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202a)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렌즈 구동부(202ax)의 센싱부(202ax3)와 제2 마그넷(202ax5) 및 코일(202ax2)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1 렌즈 구동부(202ax)의 코일(202ax2)과 제1 마그넷(202ax4)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렌즈 구동부(202a)의 제2 방향(DR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렌즈 구동부(202ay)의 센싱부(202ay3)와 제2 마그넷(202ay5) 및 코일(202ay2)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제2 렌즈 구동부(202ay)의 코일(202ay2)과 제1 마그넷(202ay4)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ax)의 기판(202ax1)과 제2 렌즈 구동부(202ay)의 기판(202ay1)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기판일 수 있다.
도 1을 참고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점 조정 구동부(201)는 렌즈 배럴(120)을 광축 방향, 예를 들어 제3 방향(DR3)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흔들림 보정 구동부(202)의 렌즈 배럴(120)을 제3 방향(DR3)과 수직을 이루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렌즈 구동부(202a)의 제1 렌즈 구동부(202ax)와 제2 렌즈 구동부(202ay)는 흔들림 보정 구동부(202)일 수 있고, 카메라 모듈에 흔들림 에러가 발생 시 렌즈 배럴(120)을 제3 방향(DR3)과 수직을 이루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에 따른 이동을 보정할 수 있다.
그러면,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202b)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렌즈 구동부(202bx)와 제1 방향(DR1)과 다른 제2 방향(DR2)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렌즈 구동부(202by)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202b)의 제1 렌즈 구동부(202bx)와 제2 렌즈 구동부(202by)는 흔들림 보정 구동부(202)일 수 있고, 카메라 모듈에 흔들림 에러가 발생 시 렌즈 배럴(120)을 제3 방향(DR3)과 수직을 이루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에 따른 이동을 보정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bx)는 기판(202bx1), 코일(202bx2), 센싱부(202bx3), 제1 마그넷(202bx4), 제2 마그넷(202bx5), 제1 요크(202bx6) 및 제2 요크(202bx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bx)의 코일(202bx2)은 기판(202bx1) 내에 매립되는 권선 코일일 수 있고, FP(Fine Pattern) 코일일 수 있다.
센싱부(202bx3)는 홀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기판(202bx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센싱부(202bx3)는 기판(202bx1)이 확장되는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코일(200bx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과 수직을 이루고 기판(202bx1)과 제1 마그넷(202bx4) 및 제2 마그넷(202bx5)이 서로 마주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코일(202bx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마그넷(202bx4)과 제2 마그넷(202bx5)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다. 제1 마그넷(202bx4)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코일(202bx2)과 마주하고, 제2 마그넷(202bx5)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센싱부(202bx3)와 마주할 수 있고, 코일(202bx2)과 적어도 일부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기판(200bx1)과 제1 마그넷(200bx4) 사이의 제1 간격(d1)보다 기판(200bx1)과 제2 마그넷(200bx5) 사이의 제2 간격(d2)이 더 클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마그넷(200bx4)의 제1 두께(w1)는 제2 마그넷(200bx5)의 제2 두께(w2)보다 클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마그넷(200bx4)의 표면과 제2 마그넷(200bx5)의 표면은 거의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제1 요크(202bx6)는 제1 마그넷(200bx4)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요크(202bx7)는 제2 마그넷(200ax5)의 배면에 위치하여, 제1 요크(202bx6)와 제2 요크(202bx7)는 제1 마그넷(200ax4) 및 제2 마그넷(200ax5)을 고정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 따르면, 제1 요크(202bx6)와 제2 요크(202bx7)는 서로 이격되지만, 이와 다르게 제1 요크(202bx6)와 제2 요크(202bx7)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센싱부(200bx3)는 기판(200bx1)과 제2 마그넷(200bx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200bx5)은 기판(200bx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bx4) 보다 더 멀리 배치됨으로써, 기판(200bx1)과 제2 마그넷(200bx5) 사이에 센싱부(200bx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그넷(200bx4)과 기판(202bx1) 내에 형성된 코일(202bx2)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간격(d1)을 유지함으로써, 제1 마그넷(200bx4)과 기판(202bx1) 내에 형성된 코일(202bx2)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이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따르면, 코일(200bx2)을 기판(200bx1) 내에 형성하고, 코일(200bx2)과 마주하는 제1 마그넷(200bx4) 보다 센싱부(200bx3)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200bx5)의 두께를 작게 형성하여, 기판(200bx1)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bx5)을 제1 마그넷(200bx4) 보다 더 멀리 배치함으로써, 센싱부(200bx3)를 기판(200bx1)과 제2 마그넷(200bx5)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마그넷(200bx4)과 기판(202bx1) 사이의 전자기력의 감소를 방지하여, 렌즈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상승 없이 렌즈 구동력을 유지할 수 있고, 렌즈 구동부의 코일(200bx2)을 기판(200bx1) 내에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부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1 렌즈 구동부(202bx)와 유사하게, 제2 렌즈 구동부(202by)는 기판(202by1), 코일(202by2), 센싱부(202by3), 제1 마그넷(202by4), 제2 마그넷(202by5), 제1 요크(202by6) 및 제2 요크(202by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부(202by)의 코일(202by2)은 기판(202by1) 내부에 매립되는 권선 코일일 수 있고, FP(Fine Pattern) 코일일 수 있다.
제2 렌즈 구동부(202by)의 제1 마그넷(202by4)과 제2 마그넷(202by5)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마그넷(202by4)은 코일(202by2)과 마주할 수 있고, 제2 마그넷(202by5)은 센싱부(202by3)와 마주할 수 있고, 코일(202by2)과 적어도 일부분 마주할 수 있다.
제1 방향(DR1)을 따라, 기판(200by1)과 제1 마그넷(200by4) 사이의 제1 간격(d1)보다 기판(200by1)과 제2 마그넷(200by5) 사이의 제2 간격(d2)이 더 클 수 있고, 제1 마그넷(200by4)의 제1 두께(w1)는 제2 마그넷(200by5)의 제2 두께(w2)보다 더 클 수 있다.
제1 요크(202by6)는 제1 마그넷(200by4)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요크(202by7)는 제2 마그넷(200by5)의 배면에 위치하여, 제1 요크(202by6)와 제2 요크(202by7)는 제1 마그넷(200by4) 및 제2 마그넷(200by5)을 고정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 따르면, 제1 요크(202by6)와 제2 요크(202by7)는 서로 이격되지만, 이와 다르게 제1 요크(202by6)와 제2 요크(202by7)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센싱부(202by3)는 홀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싱부(200by3)는 제1 방향(DR1)을 따라, 기판(200by1)과 제2 마그넷(200by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200by5)은 기판(200by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by4) 보다 더 멀리 배치됨으로써, 기판(200by1)과 제2 마그넷(200by5) 사이에 센싱부(200by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그넷(200by4)과 기판(202by1) 내에 형성된 코일(202by2)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간격(d1)을 유지함으로써, 제1 마그넷(200by4)과 기판(202by1) 내에 형성된 코일(202by2) 사이의 전자기력에 의한 구동력이 감소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따르면, 코일(200by2)을 기판(200by1) 내에 형성하고, 코일(200by2)과 마주하는 제1 마그넷(200by4) 보다 센싱부(200by3)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200by5)의 두께를 작게 형성하여, 기판(200by1)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by5)을 제1 마그넷(200by4) 보다 더 멀리 배치함으로써, 센싱부(200by3)를 기판(200by1)과 제2 마그넷(200by5)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마그넷(200by4)과 기판(202by1) 사이의 전자기력의 감소를 방지하여, 렌즈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상승 없이 렌즈 구동력을 유지할 수 있고, 렌즈 구동부의 코일(200by2)을 기판(200by1) 내에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부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202b)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 렌즈 구동부(202bx)의 센싱부(202bx3)와 제2 마그넷(202bx5) 및 코일(202bx2)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고 렌즈 구동부(202b)의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2 렌즈 구동부(202by)의 센싱부(202by3)와 제2 마그넷(202by5) 및 코일(202by2)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감지 결과에 따라 제1 렌즈 구동부(202bx)의 코일(202bx2)과 제1 마그넷(202bx4)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을 이동시킬 수 있고, 제2 렌즈 구동부(202by)의 코일(202by2)과 제1 마그넷(202by4)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6을 참고하여,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202c)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렌즈 구동부(202c)는 기판(202c1), 코일(202c2), 센싱부(202c3), 제1 마그넷(202c4), 제2 마그넷(202c5), 그리고 요크(202c6)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동부(202c)의 코일(202c2)은 기판(202c1)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일(200c2)은 기판(200c1)의 내부에 매립되는 권선 코일일 수 있고, FP(Fine Pattern) 코일일 수 있다.
센싱부(202c3)는 홀 센서와 같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기판(202c1)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고, 기판(202c1)이 확장되는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을 따라 코일(200c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고,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과 수직을 이루고 기판(202c1)과 제1 마그넷(202c4) 및 제2 마그넷(202c5)이 서로 마주하는 제2 방향(DR2)을 따라 코일(202c2)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마그넷(202c4)과 제2 마그넷(202c5)은 서로 분리되어 이격된다. 제1 마그넷(202c4)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코일(202c2)과 마주할 수 있고, 제2 마그넷(202c5)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센싱부(202c3)와 마주할 수 있고, 코일(202c2)과 적어도 일부분 마주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기판(200c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c4) 사이의 제1 간격(d1)보다 기판(200c1)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c5) 사이의 제2 간격(d2)이 더 클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마그넷(200c4)의 제1 두께(w1)는 제2 마그넷(200c5)의 제2 두께(w2)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방향(DR2)을 따라, 제1 마그넷(200c4)의 제1 두께(w1)와 제2 마그넷(200c5)의 제2 두께(w2)는 거의 같고 기판(200c1) 표면으로부터, 제2 마그넷(200c5)이 제1 마그넷(200c4)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마그넷(200c4)의 표면과 제2 마그넷(200c5)의 표면은 일렬 배치되지 않고 단차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요크(202c6)는 제1 마그넷(200c4) 및 제2 마그넷(200c5)의 배면에 위치하여, 제1 마그넷(200c4) 및 제2 마그넷(200c5)을 고정할 수 있다.
요크(202c6)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평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요크(202c6) 중 제2 마그넷(200c5)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요크(202c6) 중 제1 마그넷(200c4)과 마주하는 부분과 요크(202c6) 중 제2 마그넷(200c5)과 마주하는 부분 사이는 간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라, 센싱부(200c3)는 기판(200c1)과 제2 마그넷(200c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넷(200c5)은 기판(200c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c4) 보다 더 멀리 배치됨으로써, 기판(200c1)과 제2 마그넷(200c5) 사이에 센싱부(200c3)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제1 마그넷(200c4)과 기판(202c1) 내에 형성된 코일(202c2) 사이의 간격은 상대적으로 작은 제1 간격(d1)을 유지함으로써, 제1 마그넷(200c4)과 기판(202c1) 내에 형성된 코일(202c2) 사이의 전자기력의 감소를 방지하여, 렌즈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상승 없이 렌즈 구동력을 유지하고, 렌즈 구동부의 코일을 기판 내에 형성함으로써, 렌즈 구동부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제1 방향(DR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렌즈 구동부(202c)의 센싱부(202c3)와 제2 마그넷(202c5) 및 코일(202c2)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202c3)와 제2 마그넷(202c5) 및 코일(202c2)은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수평 이동뿐만 아니라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간격 변화를 함께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렌즈 구동부(202c)는 제1 방향(DR1)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뿐만 아니라 제2 방향(DR2)과 나란한 방향에 따른 렌즈 배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부에 따르면, 코일(200c2)을 기판(200c1) 내에 형성하고, 센싱부(200c3)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200c5)을 기판(200c1)으로부터 제1 마그넷(200c4) 보다 더 멀리 배치함으로써, 렌즈 구동부를 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고, 센싱부(200bx3)를 기판(200c1)과 제2 마그넷(200c5)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마그넷(200c4)과 기판(202c1) 사이의 전자기력이 감소를 방지하여, 렌즈 구동부에 인가되는 구동 전압 상승 없이 렌즈 구동 및 센싱 동작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202a, 202ax, 202ay, 202b, 202bx, 202by, 202c: 렌즈 구동부
202ax1, 202ay1, 202bx1, 202by1, 202c1: 기판,
202ax2, 202ay2, 202bx2, 202by2, 202c2: 코일
202ax3, 202ay3, 202bx3, 202by3, 202c3: 센싱부
202ax4, 202ax5, 202ay4, 202ay5, 202bx4, 202bx5, 202by4, 202by5, 202c4, 202c5: 마그넷
202ax6, 202ay6, 202bx6, 202bx7, 202by6, 202by7, 202c6: 요크

Claims (16)

  1. 제1 방향으로 뻗은 제1 기판에 위치하는 제1 코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뻗은 제2 기판에 위치하는 제2 코일,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제1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1 센싱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코일과 마주하는 제1 마그넷,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센싱부와 마주하는 제2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1 마그넷 사이의 제1 간격보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의 제2 간격이 더 넓은 렌즈 구동부.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센싱부는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부.
  3. 제2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제1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2 마그넷의 두께는 거의 같은 서로 같은 렌즈 구동부.
  4. 제3항에서,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마그넷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부.
  5. 제4항에서,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2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코일과 마주하는 제3 마그넷,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센싱부와 마주하는 제4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마그넷 사이의 제1 간격보다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4 마그넷 사이의 제2 간격이 더 넓은 서로 다른 렌즈 구동부.
  6. 제5항에서,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부.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제3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4 마그넷의 두께는 거의 같은 서로 같은 렌즈 구동부.
  8. 제7항에서,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의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요크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4 마그넷과 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부.
  9. 제2항에서,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2 마그넷의 두께는 서로 다른 렌즈 구동부.
  10. 제9항에서,
    상기 제1 마그넷의 상기 두께는 상기 제2 마그넷의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렌즈 구동부.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마그넷과 상기 제2 마그넷 배면에 위치하는 제1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요크의 표면은 평편한 렌즈 구동부.
  12. 제11항에서,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제2 코일과 중첩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제2 센싱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코일과 마주하는 제3 마그넷,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센싱부와 마주하는 제4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마그넷 사이의 제1 간격보다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4 마그넷 사이의 제2 간격이 더 넓은 서로 다른 렌즈 구동부.
  13. 제12항에서,
    상기 제2 센싱부는 상기 제2 기판과 상기 제3 마그넷 사이에 위치하는 렌즈 구동부.
  14. 제13항에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3 마그넷의 두께와 상기 제4 마그넷의 두께는 서로 다른 렌즈 구동부.
  15. 제14항에서,
    상기 제3 마그넷의 상기 두께는 상기 제4 마그넷의 상기 두께보다 두꺼운 렌즈 구동부.
  16. 제15항에서,
    상기 제3 마그넷과 상기 제4 마그넷 배면에 위치하는 제2 요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요크의 표면은 평편한 렌즈 구동부.
KR1020220098802A 2022-05-11 2022-08-08 렌즈 구동부 KR202301583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125,356 US20230367178A1 (en) 2022-05-11 2023-03-23 Lens driver
CN202321095604.XU CN220511182U (zh) 2022-05-11 2023-05-09 透镜驱动器
CN202310515028.8A CN117135433A (zh) 2022-05-11 2023-05-09 透镜驱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57912 2022-05-11
KR1020220057912 2022-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8379A true KR20230158379A (ko) 2023-11-20

Family

ID=8897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8802A KR20230158379A (ko) 2022-05-11 2022-08-08 렌즈 구동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83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2527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with circuit embedment
CN105527776B (zh) 透镜移动装置
US10976516B2 (en) Optical mechanism
CN112198619B (zh) 透镜驱动装置
KR102560790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102513041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190137657A (ko) 듀얼 카메라 모듈
KR102607892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EP3770678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230158379A (ko) 렌즈 구동부
KR102080656B1 (ko) 카메라 모듈
KR102662734B1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US11835788B2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8732715A (zh) 光学系统
US20230247272A1 (en) Camera device
KR20230100581A (ko) 렌즈 구동부
US20230367178A1 (en) Lens driver
CN220511182U (zh) 透镜驱动器
KR20210110139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20230209160A1 (en) Lens driver
KR102673837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230103595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6794792A (zh) 透镜驱动器
KR20230067466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68935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