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913A - water dispens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water dispens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913A
KR20230157913A KR1020230152227A KR20230152227A KR20230157913A KR 20230157913 A KR20230157913 A KR 20230157913A KR 1020230152227 A KR1020230152227 A KR 1020230152227A KR 20230152227 A KR20230152227 A KR 20230152227A KR 20230157913 A KR20230157913 A KR 2023015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outlet
sterilizing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22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석
전제욱
한동구
지진규
김상남
윤종원
여준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5570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5191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52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913A/en
Publication of KR2023015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91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42Details of specific parts of the dispensers
    • B67D1/0081Dispens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47Piping

Abstract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본체부, 싱크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출수부, 본체부로부터 출수부로 연장되며, 음용수가 흐르는 음용수 배관, 음용수 배관에 연결되어 음용수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출수밸브, 및 제1 출수밸브로부터 분지되어 음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드레인 배관을 포함하되, 음용수 배관은, 본체부와 제1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제1 음용수 배관부, 및 제1 출수밸브와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음용수 배관부를 포함하며, 제1 출수밸브의 동작에 따라, 제1 음용수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음용수는 제2 음용수 배관부 또는 제1 드레인 배관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osed inside a sink, and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that supplies drinking water that a user can drink, a water outle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a drinking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to the outlet portion and through which drinking water flows. , a first outlet valve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pipe to guide the direction of drinking water, and a first drain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outlet valv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rinking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inking water pipe includes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irst drain pipe. 1 It includes a first drinking water piping part connecting the water outlet valve, and a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the water outlet part,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the drink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rinking water piping part is 2 It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drinking water piping section or the first drain piping.

Description

워터 디스펜싱 장치 {water dispensing apparatus}water dispensing apparatus {water disp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dispensing device.

일반적으로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장치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a device that supplies water and allows dispensing a desired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통상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게 될 경우 노즐을 통해 저장된 물이 취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가 레버 또는 버튼을 조작하는 동안 노즐의 밸브가 개방되어 물이 취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는 컵 또는 용기에 채워지는 물의 양을 확인하면서 상기 레버 또는 버튼의 조작을 종료하게 된다.Such water dispensing devices typically allow stored water to be dispensed through a nozzle when a user operates a lever or button. In detail, the water dispensing device is configured so that the valve of the nozzle is opened so that water can be dispensed while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button, and the user operates the lever or button while checking the amount of water filled in the cup or container. ends.

이와 같은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나, 대표적으로 냉장고와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냉장고와 정수기에 구비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자동으로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 단순히 정수된 물의 공급뿐만 아니라, 냉수와 온수까지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Such water dispensing devices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but are typically applied to refrigerators and water purifiers. In particular, water dispensing devices provided in refrigerators and water purifiers are configured to have a function to automatically supply a set amount of water according to user manipulation. Recently, water dispensing devices have been developed that can supply not only purified water but also cold water and hot water.

먼저, 한국등록특허 1884736호(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언더 싱크형 먹는물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First, in Korean Patent No. 188473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1), an 'under-sink typ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is disclosed.

상기 선행문헌 1에서는, 싱크대의 하측에 설치되는 본체와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되고 물이 출수되는 노즐부를 구비한 토출수단의 특징이 개시된다.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characteristics of a discharging means including a main body installed below the sink and a nozzle unit installed outside the sink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are disclosed.

그리고,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 패널이 노즐부의 상측에 분리형으로 구비되는 특징, 토출수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되거나 회전식으로 연결된 용기 받침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특징, 및 배관내 잔수의 자동 드레인이 진행되는 특징이 개시된다. In addition, the operating panel for selecting functions is provided in a separate form on the upper side of the nozzle unit, the feature of additionally forming a container support folded or rotatab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means, and the feature of automatic draining of residual water in the pipe. It begins.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 1의 경우, 싱크대 외측으로 노출된, 노즐부를 통해서, 정수, 냉수, 온수를 공급할 수는 있지만,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의 공급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토출수단과 몸체부의 구체적인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되지 않았다. In the case of Prior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can be supplied through the nozzl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supply sterilizing water with cleaning power. Additionally, the specific coupling structure of the discharge means and the body portion is not disclosed.

한편, 한국공개특허 10-2014-0033772호(이하, 선행문헌 2)에서는 정수 및 살균수 공급장치가 개시된다. Meanwhile,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337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Document 2) discloses a purified and sterilized water supply device.

상기 선행문헌 2에서는, 정수 생성수단 및 살균수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정수와 살균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된다.In the preceding document 2, a feature including a purified water generating means and a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means to the outside is disclosed.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은, 싱크대 개수대로 정수 또는 살균수를 공급하는 공급코크 및 공급코크에 설치된 조작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개시된다. In addition, the supply means is disclosed to include a supply cock for supplying purified or sterilized water to a sink sink, and an operat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ly cock.

상기와 같은 선행문헌 2의 경우, 하나의 코크를 통해서, 살균수 및 정수를 출수함에 따라, 정수 출수 시, 배관 및 코크에 잔존하는 살균수가 정수에 섞여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살균수의 경우, 차아염소산(HClO) 등을 포함하기 때문에, 음용수로 적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Prior Document 2 as described above, as sterilizing water and purified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one cock,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steriliz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e and the cock is mixed with the purified water and discharged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sterilizing wat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as drinking water because it contains hypochlorous acid (HClO).

따라서, 정수와 살균수를 별도의 코크로 배출해줄 필요가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purified water and sterilized water through separate cokes.

또한, 종래의 경우, 전극이 모두 평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생성장치의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종래 정수기 또는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살균수 생성장치를 간단히 추가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as the electrodes are all flat, the volume of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increases, so it takes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ng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inside a conventional water purifier or water treatment device. There were also problems that were difficult to add.

또한, 살균수가 배관, 밸브 및 코크에 잔존하는 경우, 배관, 밸브 및 코크에 침전이 발생하고, 배관, 밸브 및 코크의 침식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었다.Additionally, when sterilizing water remains in the pipes, valves, and cocks, there was a problem of precipitation occurring in the pipes, valves, and cockles, and erosion of the pipes, valves, and cock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모듈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존 정수기 또는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살균수 모듈을 간단히 추가 설치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can save installation space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and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inside an existing water purifier or water treatment device. Provides a water dispensing device.

또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의 조립 또는 분해가 손쉽게 진행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at allows easy assembly or disassembly of a sterilizing water modul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또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Additionally,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in which the performance of an electrod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또한, 전극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살균수의 생성용량을 유지할 수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at can maintain the production capacity of sterilizing water while reducing the volume of the electrode.

또한,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 및/또는 살균수가 출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in which drinking water and/or sterilizing water selected from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a water outlet installed outside the sink.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별도의 코크 및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출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in which drinking water and sterilizing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separate cocks and separate pipes.

또한, 살균수 출수 후, 배관과 밸브 내 잔류되는 살균수를 자동으로 드레인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Additionally,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at can automatically drain remaining sterilizing water in pipes and valves after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또한, 살균수 출수 후, 정수를 출수 노즐 측으로 공급하여, 밸브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 및 코크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at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outlet nozzle after discharging sterilized water, thereby enabling cleaning of the pipe connecting the valve and the cork and the cork.

또한, 살균수 출수 후, 정수를 출수 노즐 측으로 공급하여, 과일이나 야채 등을 살균수로 1차 세척하고, 살균수 이후에 출수되는 정수로 살균수를 헹구는 2차 세척이 한곳에서 연속으로 진행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fter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outlet nozzle, so that the first washing of fruits and vegetables with sterilizing water, and the secondary washing of rinsing the sterilizing water with purified water discharged after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one place. Provides a water dispensing device.

또한, 살균수 또는 세척수의 출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출수 정지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배관과 밸브 내 잔류되는 살균수를 자동으로 드레인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at can automatically drain sterilizing water remaining in pipes and valves even if a command to stop discharging water is input from a user during the process of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or washing water.

또한,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살균수 출수 전, 배관과 밸브 내 잔류되는 살균수를 자동으로 드레인한 후, 살균수를 출수노즐로 공급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a command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is input from a user, a water dispensing device is provided that can automatically drain remaining sterilizing water in pipes and valves before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and then supply sterilizing water to a water dispensing nozzl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본체부;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출수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출수부로 연장되며, 상기 음용수가 흐르는 음용수 배관; 상기 음용수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음용수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출수밸브; 및 상기 제1 출수밸브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음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드레인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음용수 배관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제1 음용수 배관부, 및 상기 제1 출수밸브와 상기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음용수 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밸브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음용수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음용수는 상기 제2 음용수 배관부 또는 상기 제1 드레인 배관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main body disposed inside a sink and supplying potable water for a user to drink; a water outlet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 drinking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to the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flows; A first water outlet valve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pipe to guide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inking water; and a first drain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rinking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drinking water pipe includes: a first drinking water pip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and a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the water outlet unit,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the drink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rinking water piping unit is supplied from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unit or the water outlet unit. It is configured to move to the first drain pipe.

상기 제1 출수밸브는, 상기 제1 음용수 배관부로부터 상기 음용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2 음용수 배관부로 상기 음용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드레인 배관으로 상기 음용수가 배수되는 제1 배수구, 및 전기신호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런저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를 연결하는 음용수 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런저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수구를 연결하는 음용수 배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valve includes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flows in from the first drinking water piping,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and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is drained into the first drain pipe. 1 A drain, and a first plunger configured to move to one side and the other by an electric signal, wherein when the first plunger moves to one side, a drinking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is formed. When the first plunger moves to the other side, a drinking water drain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drain can be formed.

상기 제1 출수밸브는, 상기 제1 플런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실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용수 배출 유로는 상기 제1 실링부의 상기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음용수 배수 유로는 상기 제1 실링부의 상기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val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unger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sealing part for preventing leakage of the drinking water, wherein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passag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aling part, and the drinking water is drained. The flow path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aling part.

상기 본체부는 살균을 위한 살균수를 더 공급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출수부로 연장되며, 상기 살균수가 흐르는 살균수 배관; 상기 살균수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출수밸브; 및 상기 제2 출수밸브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2 드레인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살균수 배관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제1 살균수 배관부, 및 상기 제2 출수밸브와 상기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살균수 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출수밸브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살균수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살균수는 상기 제2 살균수 배관부 또는 상기 제2 드레인 배관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further supplies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a sterilizing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to the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flows; a second water outlet valve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terilizing water; and a second drain pipe branched from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pipe includes a first sterilizing water pip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It includes a piping part, and a second sterilizing water piping part connecting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and the water outlet part, 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sterilizing water piping part is supplied to the first sterilizing water piping part. 2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or the second drain pipe.

상기 제2 출수밸브는, 상기 제1 살균수 배관부로부터 상기 살균수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2 살균수 배관부로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2 드레인 배관으로 상기 살균수가 배수되는 제2 배수구, 및 전기신호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런저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를 연결하는 살균수 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런저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수구를 연결하는 살균수 배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includes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flows in from the first sterilizing water piping,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sterilizing water piping, and a discharge of the sterilizing water into the second drain pipe. a second drain, and a second plunger configured to move to one side and the other by an electric signal, wherein when the second plunger moves to one side,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connecting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 flow path is formed, and when the second plunger moves to the other side, a sterilizing water drain flow path connecting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drain can be formed.

상기 제2 출수밸브는, 상기 제2 플런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살균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살균수 배출 유로는 상기 제2 실링부의 상기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살균수 배수 유로는 상기 제2 실링부의 상기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lunger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sealing part that prevents leakage of the sterilizing water,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 passag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The sterilizing water drain passage may be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상기 출수부는,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출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 노즐은, 내부에 상기 음용수 배관이 연장된 제1 출수노즐과, 상기 제1 출수노즐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살균수 배관이 연장된 제2 출수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unit includes a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a water outlet nozzl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wherein the water outlet nozzle includes a first water outlet nozzle into which the drinking water pipe extends, and It is located below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may include a second water outlet nozzle inside which the sterilizing water pipe is extended.

상기 출수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싱크대에 고정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ater outlet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member disposed inside the body, fixed to the sink,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출수노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출수노즐 및 상기 제2 출수노즐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출수노즐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출수노즐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body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located below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and a second body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wherei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It includes a first insertion part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art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and the inner member includes: It may be inserted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상기 제1 출수노즐 및 상기 제2 출수노즐은, 상기 내측부재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may be coupled to be able to rotate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상기 출수부는 상기 싱크대를 관통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재는, 상기 내측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싱크대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water outlet further includes a penetrat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sink, and the penetrating member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member to secure the inner member to the sink.

상기 제1 출수노즐 및 상기 제2 출수노즐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may be arrang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상기 제1 출수노즐은, 단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수가 출수되는 음용수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수노즐은, 단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살균수가 출수되는 살균수 출수구를 포함하되, 상기 살균수 출수구는 상기 음용수 출수구보다 상기 몸체에 가까이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nd and includes a drinking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nd and includes a sterilizing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he sterilizing water outlet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body than the drinking water outle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먼저,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 및/또는 살균수가 출수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rst, drinking water and/or sterilizing water selected from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can be discharged from the water outlet installed outside the sink, which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또한, 음용수와 살균수가 별도의 코크 및 별도의 배관을 통해서 출수되어, 사용자가 살균수 일부가 혼합된 음용수를 제공받지 않고, 음용수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rinking water and the sterilizing water are discharged through separate cocks and separate pipes,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 is not provided with drinking water mixed with part of the sterilizing water, but only drinking water.

또한, 싱크대의 외측에 설치된 하나의 출수부에서, 정수, 냉수, 온수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음용수와 세척력을 갖는 살균수가 출수되어, 사용자가 세척 및 헹굼 작업을 하나의 장소에서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from one water outlet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ink, drinking water selected from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and sterilizing water with cleaning power are discharg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user to perform washing and rinsing operations in one place. .

또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 모듈의 부피를 줄여서,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기존 정수기 또는 수처리 장치의 내부에 살균수 모듈을 간단히 추가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installation space can be sav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can be easily installed inside an existing water purifier or water treatment device.

또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살균수모듈의 조립 또는 분해가 손쉽게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ssembly or disassembly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극의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dditional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that generates sterilizing water can be maintained constant.

또한, 전극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살균수의 생성용량을 유지할 수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volume of the electrode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production capacity of sterilizing water.

또한, 살균수 출수 후, 배관과 밸브 내 잔류되는 살균수를 자동으로 드레인되어, 배관과 밸브에서의 침전 및 부식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he remaining sterilizing water in the pipes and valves is automatically drain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precipitation and corrosion in the pipes and valves.

또한, 살균수 출수 후, 정수를 출수 노즐 측으로 공급하여, 밸브와 코크를 연결하는 배관 및 코크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어, 배관 및 코크에서의 침전 및 부식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discharge nozzle, so that the pipe connecting the valve and the cock and the cock can be clean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precipitation and corrosion in the pipe and cock.

또한, 살균수 출수 후, 정수를 출수 노즐 측으로 공급하여, 과일이나 야채 등을 살균수로 1차 세척하고, 살균수 이후에 출수되는 정수로 살균수를 헹구는 2차 세척이 한곳에서 연속으로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outlet nozzle, so that the first washing of fruits and vegetables with sterilizing water, and the secondary washing of rinsing the sterilizing water with purified water discharged after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in one plac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살균수 또는 세척수의 출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출수 정지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배관과 밸브 내 잔류되는 살균수를 자동으로 드레인할 수 있어, 배관과 밸브에서의 침전 및 부식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or washing water, even if a command to stop discharging water is input from the user, the steriliz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es and valves can be drained automatically, reducing the occurrence of precipitation and corrosion in pipes and valves. There are benefits to this.

또한,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면, 살균수 출수 전, 배관과 밸브 내 잔류되는 살균수를 자동으로 드레인한 후, 살균수를 출수노즐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command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is input from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erilizing water remaining in the pipe and valve is automatically drained before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and then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discharging nozz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7a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b는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c는 제1출수밸브 및 제2출수밸브의 작동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2a는 제1출수노즐에서 표시 및 입력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2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제2출수노즐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제2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상부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사이에 살균수배관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9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제1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제1출수노즐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출수노즐의 정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에 포함된 전극부의 단면을 도인 도면이다.
도 27은 살균수모듈 및 제어부가 필터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8은 필터 브라켓의 일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살균수가 출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2는 살균수 정량 출수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3은 살균수 정량 출수 전, 강제종료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4는 살균수 정량 출수 전, 냉/온/정 수 출수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ink.
Figure 2 is a water piping diagram of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par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side view of the water outle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ure 5a.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t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the sink.
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mbined structure of a water outlet and a sink.
Figure 7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joint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the sink.
Figure 7c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Figure 8 is a view viewed from below in a state in which the nut member and the screw are fastened.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nut member and the screw are fastened.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0.
Figure 12a is a view from above showing the display and input means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Figure 12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ure 12a.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view from abov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with the upper frame removed.
Figure 16 is a view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viewed from below.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rilizing water pipe is fix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7.
Figure 19 is a view of the display and input means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20 is a view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viewed from below.
Figure 2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Figure 2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22.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ing water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ing water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part includ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control unit coupled to the filter bracket.
Figure 28 is a front view showing part of the filter bracket.
Figure 2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 process in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each valve when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Figure 33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each valve before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and during forced shutdown.
Figure 34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each valve before dispensing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and when dispensing cold/hot/purified water.
Figure 3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hot water discharge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hot water discharge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illustrative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sequence,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need for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언더싱크 정수기><Under sink wate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가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수배관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ink. And, Figure 2 is a water piping diagram of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정수기, 냉장고 등과 같이 외부에서 물을 유입하고, 유입된 물을 정화시킨 뒤, 배출하는 다양한 수처리 장치, 정화 장치가 해당될 수 있다.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water treatment devices and purification devices that introduce water from the outside, such as a water purifier or refrigerator, purify the introduced water, and then discharge it.

일 예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언더싱크형(under sink type) 정수기로 구비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t least a portion of an under sink type water purifier disposed in the lower space of the sink 10.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싱크대(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출수부(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100 installed inside the sink 10, and a water outlet install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10. Includes part 200.

먼저, 상기 본체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면을 형성하는 평면 형태의 탑 커버(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과 후면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과 후면을 연결하는 양측면과 바닥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First,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housing 110 that forms the exterior. The housing 110 includes a top cover 111 in a planar shape forming an upper surface. Additionally,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housing 110 may be formed to be convex forward and backward,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sides and the bottom surface connecting the front and back sides may form a flat surface.

상기 하우징(110)은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싱크대(10)의 하측에 마련된 수납공간(11)에 배치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in a box shape and may be placed in the storage space 11 provided below the sink 10.

상기 하우징(110)은 좌우폭이 좁고 전후길이가 긴 슬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싱크대 내부에 좌우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고, 싱크대 내부 공간의 안쪽 모서리에 배치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may be provided in a slim form with narrow left and right widths and long front and rear lengths. Therefore, it can be placed inside the sink in a left-right direction or in a front-to-back direction, and can be placed at the inner corner of the space inside the sink, thereby improving space utilization.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이 분리되면, 필터가 노출되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필터를 수월하게 교체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can be separated. When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is separated, the filter is exposed, and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는,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공급된 원수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로 가이드하는 원수배관(20)과, 상기 원수 배관(20)을 따라 공급된 물을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시키는 출수배관(30)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w water pipe 20 that guides raw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and a raw water pipe 20 that supplies raw water along the raw water pipe 20. It includes a filter 120 that purifies purified water into purified water, and a water outlet pipe 30 that flows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toward the water outlet 200.

한편, 원수배관(20)은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면서, 외부의 급수원과 하우징(110) 내부의 필터(120)를 연결한다. 상기 원수배관(200)을 통해서, 상기 하우징(110) 외측의 급수원에서 공급된 원수는 필터(120)로 공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aw water pipe 20 penetrates the housing 110 and connects the external water supply source to the filter 120 inside the housing 110. Through the raw water pipe 200, raw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upply source outside the housing 110 can be supplied to the filter 120.

상기와 같이 필터(120)로 공급된 물(원수)은,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정수로 정화된다. 상기 필터(120)는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필터(120)는 3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배관(200)을 통과한 물은 복수의 필터(120)를 통과하면서, 보다 깨끗한 물로 정화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raw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120 is purified into purified water as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120. At least one filter 120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three or more filters 12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aw water pipe 200 can be purified into cleaner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s 120.

또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통해, 싱크대(10)의 외측에 노출된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may flow toward the water outlet 2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10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30.

이를 위해,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 측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후, 출수부(200) 측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출수배관(30)은 상기 하우징(110)의 후단(도 1을 기준으로 우측)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은 후술되는 살균수배관(34), 공통배관(38,39), 온수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11)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탑커버(111)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one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30 is connected to the filter 120 side, and the other end penetrates the housing 1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then the water outlet portion ( 200) is connected to the side. At this time,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pass through the rear end (right side with respect to FIG. 1) of the housing 110. Additionally,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include a sterilizing water pipe 34, common pipes 38 and 39, and a hot water pipe 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ater outlet pipe 30 penetrates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10, the water outlet pipe 30 does not penetrate the top cover 111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so the top cover 111 Assembly and separation can be carried out easily.

한편, 상기와 같이 출수배관(30)이 하우징(110)의 후단을 관통하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커버(112)의 상단 중앙에는 하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리세스(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water discharge pipe 30 to penetrate the rear end of the housing 110 as described above, a recess concave downward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rear cover 112 forming the rear of the housing 110 (not shown). poetry)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리세스(미도시)를 통해서, 상기 출수배관(30), 즉 후술되는 살균수배관(34), 공통배관(38,39), 온수배관(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관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세스(미도시)의 개방된 상측은 상기 탑커버(111)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따라서, 탑커버(111)를 하우징(110)에서 분리하면, 리세스(미도시)의 상측이 개방되고, 탑커버(111)를 하우징(110)에 장착하면, 리세스(미도시)의 상측이 커버되면서, 리세스(미도시)는 폐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리세스(미도시)를 통과하는 출수배관(30)은 리세스(미도시)와 탑커버(1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And, through the recess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water outlet pipe 30, that is,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common pipe 38 and 39, and the hot water pipe 3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It can escap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Meanwhile, the open upper side of the recess (not shown) may be covered by the top cover 111. Therefore, when the top cover 111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the upper side of the recess (not shown) is opened, and when the top cover 111 is mounted on the housing 110, the upper side of the recess (not shown) is opened. As this is covered, the recess (not shown) forms a closed space. In addition, the water discharge pipe 30 passing through the recess (not shown) can be fixed by the recess (not shown) and the top cover 111.

또한,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출수부(200)와 직접 연결될 수 있고, 별도의 연결배관(미도시) 또는 연결부품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과 연결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3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unit 20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unit (200)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pipe (not shown) or connection part. 200).

후자의 경우, 상기 연결배관(미도시) 또는 연결 부품의 일측 단부는 상기 출수배관(30)과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출수부(2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출수배관(30)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된 물은 연결배관(미도시)을 통해서, 출수부(200)로 공급될 수 있다. In the latter case, one end of the connecting pipe (not shown) or connecting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pipe 3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unit 200. At this tim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unit 200 through a connection pipe (not shown).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및 살균수 배관(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urified water pipe 31, a cold water pipe 32, a hot water pipe 33, and a sterilizing water pipe 34.

즉, 이하의 설명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은 출수배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공통배관(38,39) 역시 출수배관(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urified water pipe 31, the cold water pipe 32, the hot water pipe 33,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may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e water outlet pipe 30. In addition, the common pipes 38 and 3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also be understood as being included in the water outlet pipe 30.

이하의 설명에서, 출수배관(30)은,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살균수배관(34) 및 공통배관(38,39)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water outlet pipe 30 is understood to include all of the purified water pipe 31, the cold water pipe 32, the hot water pipe 33,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common pipes 38 and 39. It can be.

상기 출수배관(30)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필터(120)와 연결되고,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물은 상기 출수배관(30)을 통해서, 상기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된다. One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30 is connected to the filter 120, an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120 flows toward the water outlet unit 200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30.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에서,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 배관(34)으로 분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water outlet pipe 30 may branch into a purified water pipe 31, a cold water pipe 32, a hot water pipe 33, and a sterilizing water pipe 34 inside the housing 110. .

상기 출수배관(30)에서, 정수배관(31)으로 분기된 물은 정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바로 공급된다.The water branched from the water outlet pipe 30 to the water purification pipe 31 is supplied directly to the water outlet 200 in a purified state.

반면, 출수배관(30)에서, 냉수배관(32)으로 분기된 물은 냉수배관(32) 상에 구비된 냉수탱크(140)를 거치면서 차갑게 냉각된 후, 냉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branched from the water outlet pipe 30 to the cold water pipe 32 is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ld water tank 140 provided on the cold water pipe 32, and then enters the water outlet 200 in the state of cold water. supplied to the side.

또한, 온수배관(33)으로 분기된 물은 온수배관(33) 상에 구비된 온수탱크(130)을 거쳐 가열된 후, 온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된다.In addition, the water branched into the hot water pipe 33 is heated through the hot water tank 130 provided on the hot water pipe 33 and then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200 in the form of hot water.

또한, 살균수배관(34)으로 분기된 물은 살균수배관(34) 상에 구비된 살균수모듈(150)을 거치면서, 살균수의 상태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 branched in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200 in the state of sterilizing water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provided o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한편, 상기 원수배관(20)에는, 필터(120)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을 조절하는 감압밸브(21)가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pressure reducing valve 21 that adjusts the flow rate of water supplied to the filter 120 may be installed in the raw water pipe 20.

또한, 상기 원수배관(20) 또는 출수배관(30)에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센서(36), 또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거나,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유입밸브(35), 또는 물의 유속을 감지하는 유속센서(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aw water pipe 20 or the water outlet pipe 30 includes a flow sensor 36 that detects the flow rate of water, or an inlet valve 35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water or controls the flow of water, or detects the flow rate of water. At least one of the flow rate sensors (not shown)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출수배관(30)에서 분기된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과, 살균수배관(34)에는 각 배관에서의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밸브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ified water pipe 31 branched from the water outlet pipe 30, the cold water pipe 32, the hot water pipe 33,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re provided with open/close valves that control the flow of water in each pipe. can be installed separately.

상세히, 상기 정수배관(31)에는 정수배관(31)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정수밸브(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수배관(32)에는 냉수배관(32)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냉수밸브(4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관(33)에는 온수배관(33)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온수밸브(4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수배관(34)에는, 살균수배관(34)에서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살균수밸브(44)가 설치될 수 있다.In detail, a water purification valve 41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purification pipe 31 to control the flow of water in the water purification pipe 31. Additionally, a cold water valve 42 that controls the flow of water in the cold water pipe 32 may be installed in the cold water pipe 32. Additionally, a hot water valve 43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in the hot water pipe 33 may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pipe 33. Additionally, a sterilizing water valve 44 that regulates the flow of water i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온수배관(33)에는 상기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밸브(37)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에는 증기 배출을 위한 세이프티 밸브(51)가 설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low control valve 37 may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pipe 33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130. Additionally, a safety valve 51 for steam discharge may be installed in the hot water tank 130.

한편, 상기와 같이 유량센서(36)가 구비되면, 냉수탱크(140) 및 온수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감지될 수 있고, 그 유량 정보를 활용해서, 냉수탱크(140) 및 온수탱크(130)에 공급되는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ow sensor 36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40 and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detected, and the flow rate information is used to detect the cold water tank 140 and the hot water. The output supplied to the tank 130 can be adjusted.

또한, 유량조절밸브(37)가 구비되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즉각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flow control valve 37 is provided,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adjusted, and hot water at the user's desired temperature can be instantly generated.

또한,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과, 온수배관(33)과, 살균수배관(34)에 각각 정수밸브(41), 냉수밸브(42), 온수밸브(43), 살균수밸브(44)가 구비되면, 냉수탱크(140), 온수탱크(130) 및 살균수모듈(150)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할 수 있다. 그리고, 냉수밸브(42), 온수밸브(43), 살균수밸브(44)는 냉수 또는 온수 또는 살균수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냉수탱크(140), 온수탱크(130) 및 살균수모듈(15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정수밸브(41)의 경우, 정수 출수가 필요한 경우에만 개방되어, 출수부(200)로 정수를 공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urification pipe 31, the cold water pipe 32, the hot water pipe 33,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re each equipped with a purification valve 41, a cold water valve 42, a hot water valve 43, and a sterilization water pipe 34. When the water valve 44 is provided, the flow of water supplied to the cold water tank 140, the hot water tank 130, and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ld water valve 42, hot water valve 43, and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ed only when it is necessary to produce cold water, hot water, or sterilizing water, and the cold water tank 140, hot water tank 130, and sterilizing water module ( 150), water can be suppli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urified water valve 41, it is opened only when purified water is required to be discharged, so that purifie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discharge unit 200.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 온수배관(33) 및 살균수배관(34)에서 공급된 정수, 냉수, 온수 및 살균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출수노즐(210,220)은 상기 싱크대(10)의 상측으로 노출되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몸체(230)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water outlet unit 200 is a condenser that supplies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and sterilized water supplied from the purified water pipe 31, cold water pipe 32, hot water pipe 33, and sterilized water pipe 34 to the user. Includes water outlet nozzles (210,220).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nozzles 210 and 220 may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body 230 extending vertically and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sink 10.

상기 출수노즐(210,220)은 정수, 냉수, 온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과,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outlet nozzles 210 and 220 may include a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are discharged, and a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rough which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고, 제2출수노즐(220)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side.

따라서, 제2출수노즐(220)에서 배출된 살균수가 정수, 냉수, 온수가 취출되는 제1출수노즐(210)에떨어지면서, 제1출수노즐(210)이 살균수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냉,온,정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에 배치되면서, 사용자의 접근이 쉽고, 조작 및 출수가 용이하다. 그리고, 비교적 적게 사용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 배치되면서, 은폐가 가능하며, 제1출수노즐(210) 대비 접근이 어려워, 실수로 살균수를 출수하여 음용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s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falls o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which discharges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contaminated by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which relatively frequently used cold, hot, and purified water is dispensed,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making it easy for the user to access, operate, and dispense water. In addition,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which is relatively rarely used, is located below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hidden, and is more difficult to access tha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so it accidentally discharges sterilizing water. This can prevent drinking accidents.

다른 예로, 상기 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수평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몸체(23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독립적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be rotatably mounted with respect to the body 230.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can rotate independently.

한편, 정수배관(31), 냉수배관(32)을 따라 유동하는 정수 및 냉수는 하나의 제1공통배관(38)에서 합류되고, 제1공통배관(38)을 통해서,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공통배관(38) 및 온수배관(33)을 통해 유동된 정수, 냉수, 온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Meanwhile, the purified water and cold water flowing along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2 are merged in one first common pipe 38 and are directed to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first common pipe 38. can be supplied. Accordingly,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common pipe 38 and the hot water pipe 33 ar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또한, 상기 온수배관(33) 역시 상기 제1공통배관(38)과 합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공통배관(39)은 상기 온수배관(33)과 제1공통배관(38)이 합류된 지점부터 상기 출수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서 유동된 정수, 냉수, 온수는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t water pipe 33 may also join the first common pipe 38. In addition, the second common pipe 39 can connect the water outlet 200 from the point where the hot water pipe 33 and the first common pipe 38 join. In this case,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ing through the second common pipe 39 may b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또한, 상기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배관(34)을 유동한 뒤, 상기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싱크대(10) 외측의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may flow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n be supplied to users outside the sink 10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상기 살균수배관(34) 상에는 제2출수밸브(6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A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o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water outlet unit 200.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살균수를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배관(50)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an supply sterilizing water flowing toward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o the water outlet 200 or discharge it to a separate drain pipe 50. .

또한, 상기 제2공통배관(39)상에는 제1출수밸브(6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상기 출수부(2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a first water outlet valve 61 may be installed on the second common pipe 39.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common pipe 39 and the water outlet unit 200.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는 정수, 냉수, 온수를 상기 출수부(200)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드레인배관(50)으로 배출할 수 있다.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supplies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flowing toward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second common pipe 39 to the water outlet 200, or uses a separate drain pipe 50. It can be discharged as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각각 하나의 입구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제1출구와 제2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출구는 상기 출수노즐(210,220) 측과 연결될 수 있고,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each have one inlet, a first outlet and a second outlet that are selectively opened, and the two outlets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t may be provided as a three-way valve including an actuator. At this time, the first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210, 220), and the second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상세히, 제1출수밸브(61)의 입구는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연결되고, 제1출구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되며,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다.In detail, the inlet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on pipe 39, the first outlet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second outlet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do.

또한, 제2출수밸브(62)의 입구는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되고, 제1출구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되며, 제2출구는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in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first outlet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nd the second outlet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

참고로, 상기 제1출수밸브(61)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상기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은 별도로 구비될 수 있고, 하나의 드레인 배관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provided separately, and one drain pipe may be commonly used.

한편, 상기 출수부(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가 싱크대(10)의 상부로 노출되게 싱크대(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230) 및 몸체(230)의 일측으로 연장된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Meanwhile, the water outlet 200 may be mounted on the sink 10 so that at least part of it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sink 10, as shown in FIG. 1. Accordingly, the body 230 and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body 23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being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ink 10.

종래의 경우, 본 발명과 같이, 정수, 온수, 정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의 외측으로 노출된 출수노즐을 통해서, 출수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가 제시되지 않았다. In the prior art,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onfigured to allow purified water, hot water, purified water, and sterilized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a water discharge nozz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was not presented.

하지만, 본 발명은, 한 개의 출수부에서 냉,온,정수와 살균수가 각각 출수될 수 있도록 출수노즐을 구성하였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nozzle is configured so that cold, hot, purified water, and sterilized water can each be dispensed from one water outlet.

만약,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가 싱크대 외부로 출수되게 출수부가 구성된 경우라도, 정수,냉수,온수와 살균수가 동일한 지점에서, 출수되지 않게 출수노즐이 배치된 경우, 사용자는 야채, 과일 등을 세척할 때, 먼저 살균수 출수노즐 아래에서, 야채, 과일의 표면의 세균, 오물 등을 1차로 세척하고, 살균수로 세척된 야채, 과일 등을 정수가 출수되는 출수노즐의 아래로 옮긴 뒤, 정수를 배출하여, 야채 과일에 묻은 살균수를 2차 세척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서로 다른 장소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다.Even if the water outlet is configured to allow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and sterilized water to flow out of the sink, if the water outlet nozzle is arranged so that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and sterilized water do not flow out from the same point, the user cannot use vegetables, fruits, etc. When washing, first wash bacteria and dirt on the surface of vegetables and fruits under the sterilizing water outlet nozzle, then move the vegetables and fruits washed with sterilizing water below the outlet nozzle wher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ere is no choice but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and remove the sterilizing water on the vegetables and fruits through secondary washing. Therefore, as the primary cleaning and secondary cleaning are performed in different locations, the cleaning process is bound to be very cumbersome.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위치에 피세척물을 놓고,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살균수를 출수해서 1차 세척 후,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배치된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정수를 출수하여, 정수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세척 및 2차 세척이 한곳에서 진행되면서, 세척과정이 매우 간편해질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o be cleaned is placed in one location, and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after primary cleaning, the first water discharge disposed above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s Purified wate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nozzle 210 to complete purified water cleaning. Therefore, as the primary and secondary cleaning are performed in one place, the cleaning process can be greatly simplified.

또한,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물은 정수, 온수, 냉수이다. 살균수는 특별한 상황에서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의식 상태에서, 살균수 배출을 선택하지 않고 정수 배출을 선택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였다.Additionally, the water that users mainly use is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Sterilizing water can only be discharged under special circumstances.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so that the user, in an unconscious state, selects the purified water outlet rather than the sterilizing water outlet.

일반적으로, 살균수를 배출하여, 음용할 경우, 살균수 내에서는 차아염소산이 함유되어 사용자의 건강에 이롭지 못하다.Generally, when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and drinking it, hypochlorous acid is contained in the sterilizing water and is not beneficial to the user's health.

이렇게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몸체부(230)의 상측에 냉,온,정수 취출이 가능한 제1출수노즐(210)을 배치하고, 하부에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을 배치하였다.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pable of dispensing cold, hot, and purified water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230, and a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rough which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s disposed at the lower part. did.

또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 온수, 냉수가 출수되는 제1출수노즐(210)의 폭과 연장된 길이가 하부의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에 비해서 넓고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살균수가 출수되는 제2출수노즐(220)은 제1출수노즐(210)에 의해서 은폐가 가능하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width and extended length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hot water, and cold water are discharged, are wider and longer than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rough which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 Accordingly,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rough which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can be concealed by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또한, 종래 경우, 상하 배치된 출수노즐의 개별 회전구조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n individual rotation structure of water outlet nozzles arranged up and down has been disclosed.

본 발명에서는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별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만약, 상부 출수노즐과 하부 출수노즐이 독립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구비하면, 상부 출수노즐에서 정,온,냉수 취출 시, 하부 출수노즐이 물을 받는 용기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출수노즐은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부(230) 내부에 배치되고, 싱크대에 고정되는 원통형의 내측부재(260)에 대해서, 각각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약 180도 회전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water outlet nozzle and the lower water outlet nozzle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rotated separately. If the upper and lower water outlet nozzles do not rotate independently, but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rotate simultaneously, when dispensing hot, hot, and cold water from the upper water outlet nozzle, the lower water outlet nozzle may interfere with the water receiving container. there is. Accordingly, the two water outlet nozzles are arrang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portion 230 forming the outer shape, and each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inner member 260 fixed to the sink.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be designed to be rotatable by about 180 degrees.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출수노즐(210,220)이 외부의 간섭에 의해서, 임의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즉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정체와 회전체 사이에 복수의 오링 및 각링을 배치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two independently rotating water outlet nozzles 210 and 220 from randomly moving due to external interference, that is, to prevent undesired rotation by the user from occurring,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A plurality of O-rings and each ring were placed.

참고로, 상기 '회전체'는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몸체부(230), 후술되는 내측부재(260), 후술되는 제1,2연결부재(214,215) 및 결합부재(216) 등을 의미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rotating body' may refer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n addition, the 'fixer' may refer to the body portion 230, the inner member 260 described lat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214 and 215, and the coupling member 216 described later.

상기 각각의 오링 및 각링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링 및 각링의 작용에 의해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은 사용자가 세팅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Each of the O-rings and each ring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by the action of the O-ring and the angle ring,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can be fixed to the position set by the user.

특히, 오링의 경우, 원주방향으로 마찰을 형성하고, 각링의 경우,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마찰을 형성한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오링 및 각링에 의해 원주방향 및 상하방향(축방향)으로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오링 및 각링은, 각 구성품 간의 유격을 잡아줄 수 있다. 오링 및 각링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O-ring, friction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each ring, friction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forming a predetermined height.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shak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xi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by the O-ring and the angle ring. Additionally, the O-ring and each ring can maintain the gap between each component. As friction is generated by the O-ring and the angle r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proceeds smoothly,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The nozzle 220 may be fixed in a rotated position.

또한, 상기 출수부(200)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ater outlet 200 may be provided with display and input means 240.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에는 출수버튼(244)을 비롯해서 각종 명령 및 설정을 입력하는 입력부 및 각종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provid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include a water extraction button 244, an input unit for inputting various commands and settings, and a display unit for externally displaying various states.

일 예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상기 출수부(200)의 최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ccordingly,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of the water outlet 200.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온수, 정수, 냉수, 살균수 선택기능, 출수 명령 기능, 냉수 및 온수 온도 설정 및 표시기능, 드레인 선택 기능, 필터 교체주기 알림 기능,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설정 기능, 출수되는 물의 취출 시간 설정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provides hot water,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selection functions, a water discharge command function, a cold water and hot water temperature setting and display function, a drain selection function, a filter replacement cycle notification function, and a capacity of discharged water. Setting functions, discharge time setting functions for discharged water, etc. can be performed.

그리고, 살균수 선택 버튼, 살균수 출수버튼 역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출수하는 물을 상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selection button and the sterilizing water dispensing button are also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dispensing nozzle 210, so that the user can always recognize the water being dispensed.

상기 출수버튼(244)은 후술되는 제1코크(219)의 수직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출수버튼(244)은 제1코크(219)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water outlet button 244 may be placed vertically above the first cock 219,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water outlet button 24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overlaps the first cock 219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에서의 정수,냉수,온수 및 살균수의 취출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process of dispensing purified water, cold water, hot water, and sterilizing water from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본체부(100)는 수도 배관, 물탱크, 지하수 배관 등의 급수원과 연결된 원수배관(20)을 통해서 원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원수배관(20) 상에는 감압밸브(21)가 설치되며, 원수는 상기 감압밸브(21)를 통과하면서, 설정된 압력으로 감압된다.The main body 100 receives raw water through a raw water pipe 20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such as a water pipe, a water tank, or an underground water pipe. A pressure reducing valve 21 is installed on the raw water pipe 20, and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21 and is reduced to a set pressure.

그리고, 감압된 원수는 감압밸브(21)와 상기 필터(120)를 연결하는 배관을 통해서 상기 필터(120)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원수는 이물질이 제거되어 정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입밸브(35)의 개방에 의해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유동하면서, 유량센서(36)를 통과하게 된다.Then, the reduced pressure raw water flows to the filter 120 through a pipe connect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21 and the filter 120. The raw water that passes through the filter 120 has foreign substances removed and becomes purified water. Then, by opening the inlet valve 35,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flows through the water outlet pipe 30 and passes through the flow sensor 36.

이때, 상기 유량센서(36)에서 감지된 유량은 온수탱크(130) 또는 냉수탱크(140)의 출력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low rate detected by the flow sensor 36 can be used as data necessary for output control of the hot water tank 130 or the cold water tank 140.

한편, 상기 유량센서(36)를 통과한 정수는 출수배관(30)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살균수측, 냉수-정수측, 온수측으로 분지될 수 있다. Meanwhil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low sensor 36 flows along the water outlet pipe 30. And, it can be branched into a sterilized water side, a cold water-purified water side, and a hot water side.

먼저, 냉수-정수측으로 분지된 정수는 재차 냉수측과 정수측으로 분지되어 각각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으로 유동한다. 상기 정수배관(31)과 냉수배관(32)에는 각각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정수밸브(41)와 냉수밸브(42)가 설치된다. 사용자의 정수 또는 냉수 선택 조작에 의해 상기 정수밸브(41)와 냉수밸브(42)가 선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출수버튼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밸브가 개방되어 정수 또는 냉수가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First, the purified water branched into the cold water-still water side is again branched into the cold water side and the still water side and flows in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2, respectively. A purification valve 41 and a cold water valve 42 that control the flow of water are installed in the purification pipe 31 and the cold water pipe 32, respectively. The purified water valve 41 and the cold water valve 42 can be selected by the user's operation of selecting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and the selected valve is opene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water outlet button, so that purified water or cold water flows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 can be supplied to the user.

상세히,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요청하면, 냉수밸브(42)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냉수밸브(42)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냉수배관(32) 및 냉수밸브(42)를 통과하게 되고, 냉수배관(32)의 물은 냉수탱크(140) 내부의 쿨링 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쿨링 코일을 따라 유동되는 물은 상기 냉수탱크(140) 내부의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냉수로 냉각된다. 이를 위해 상기 냉각수는 설정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냉각된다.In detail, when the user requests cold water to be dispensed, the cold water valve 42 is opened. When the cold water valve 42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outlet pipe 30 passes through the cold water pipe 32 and the cold water valve 42, and the water in the cold water pipe 32 is inside the cold water tank 140. passes through the cooling coil. The water flowing along the cooling coil exchanges heat with the cooling water inside the cold water tank 140 and is cooled into cold water. To this end, the coolant is continuously cooled to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상기 냉수탱크(140)를 지난 냉수는 냉수배관(32)과 연결된 제1공통유로(38) 및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The col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ld water tank 140 flows toward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first common flow path 38 and the second common flow path 39 connected to the cold water pipe 32, and open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 i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참고로,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해 압축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구동은 상기 냉수탱크(140)의 내부에 구비된 냉수 온도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각수는 항상 설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압축기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로 필요한 부하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조절되며, 냉각 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축기는 인버터 제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으며 상기 냉각수를 최적의 효율로 냉각할 수 있게 된다.For reference, a compressor may be driven to cool the coolant.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may be determined by a cold water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side the cold water tank 140.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can always maintain the set tempera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can be adjusted for this purpose. The compressor is an inverter compressor, and the frequency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required load, and the cooling capacity can be adjusted. That is, the compressor can be driven by inverter control and cool the cooling water with optimal efficiency.

한편, 사용자가 정수 출수를 요청하면, 상기 정수밸브(41)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정수밸브(41)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정수배관(31) 및 정수밸브(41)를 통과하게 되고, 정수배관(31)과 연결된 제1공통유로(38) 및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requests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the purified water valve 41 is opened. When the purified water valve 41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outlet pipe 30 passes through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e purified water valve 41, and the first common passage 38 connected to the purified water pipe 31. And through the second common passage 39, it flows toward the water outlet 200. Then, i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한편, 사용자가 온수의 출수를 요청한 경우, 상기 온수밸브(43)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온수밸브(43)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온수배관(33) 및 온수밸브(43)를 통과한다. 또한, 온수배관(33)을 통과한 물은 유량조절밸브(37)에 의해, 유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밸브(37)를 통과하면서, 유량이 조절된 정수는 온수탱크(13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을 지나는 과정에서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수탱크(130)은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 온수탱크(130)에 포함된 워킹 코일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user requests hot water to be dispensed, the hot water valve 43 is opened. When the hot water valve 43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outlet pipe 30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pipe 33 and the hot water valve 43. Additionally, the flow rate of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pipe 33 can be adjusted by the flow control valve 37. While passing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37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whose flow rate is adjusted passes through the hot water tank 130. An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130, it can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heated by induction heating, and for this,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included in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adjusted.

상기 온수탱크(130)을 통과한 정수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130 may be heated to a set temperature.

상기 온수탱크(13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배관(33)과 연결된 제2공통유로(39)를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로 공급될 수 있다.The hot water he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130 flows toward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second common passage 39 connected to the hot water pipe 33. Then, it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30)는 드레인 배관(50)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배관(50)은 상기 온수탱크(130) 내부의 물이 끓게 되는 경우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 배관(50)에는 세이프티 밸브(51)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세이프티 밸브(51)가 개방되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한다.Additionally, the hot water tank 13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The drain pipe 50 allows steam generated when the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130 to boil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drain pipe 50 is provided with a safety valve 51, and when a pressure exceeding a set pressure is generated, the safety valve 51 opens to discharge steam to the outside.

상세히, 상기 세이프티 밸브(51)는 상기 온수 탱크 내에서 온수의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온수 탱크의 내부가 증기에 의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세이프티 밸브(51)는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온수 탱크 내부의 증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detail, the safety valve 51 is used to discharge steam generated when hot water is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and prevents the press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from being excessively increased by steam. The safety valve 51 is configured to open at a set pressure,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o enable smooth discharge of steam inside the hot water tank.

상기 증기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배관의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 배출을 위한 드레인 배관의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와 연결된 드레인 배관과 합류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steam, it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drain pipe for discharging the steam, it may be joined with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참고로, 상기 온수탱크(130)는 유도가열 방식으로 순간온수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순간온수 특성 상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입수 유량이 작을 경우, 온수탱크(130) 내에서, 끓음(boiling)이 발생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hot water tank 130 can generate instantaneous hot water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Also, if the water flow rate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130 is sm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antaneous hot water, boiling may occur within the hot water tank 130.

본 발명의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온수탱크에 출력을 공급하는 제어모듈에 포함된 소자(일예로, IGBT)의 히트싱크(heat sink)에 온도센서를 장착한다. 그리고, 히트싱크(heat sink)의 온도가 설정온도(일예로, 70℃)를 초과하면, 온수탱크(130)로 출력 공급을 중단한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is,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heat sink of an element (eg, IGBT) included in the control module that supplies output to the hot water tank. And,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sink exceeds the set temperature (for example, 70°C), output supply to the hot water tank 130 is stopped.

일 예로, 상기 온수탱크(13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 및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와 제어부는 하나의 모듈 상태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hot water tank 130 may include an induction heating assembly for making hot wat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and the valve.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as a single module, and may be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 in a combined state.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온수탱크(130)로 공급된 정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는, 상기 온수 탱크(130)를 지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워킹 코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is designed to receiv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30 and heat it into hot water, and is configured to heat by an induction heating (IH) method. The induction heating assembly may include a working coil (not shown) for heat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tank 130.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워터 디스펜싱 장치의 경우, 냉수, 정수, 온수가 하나의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hot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참고로, 제1출수밸브(61)에는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공급된 냉수,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8, 도 7b참조)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에서 공급된 냉수, 온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만족범위에 포함되면, 냉수, 온수를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하고,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만족범위에 미포함되면, 정수, 냉수, 온수를 드레인 배관(50) 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68 (see FIG. 7b) that measures the temperature of cold water and hot water supplied through the second common pipe 39,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mmon pipe 39. It detects the temperature of cold and hot water supplied from the pipe (39). And,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falls within the preset satisfactory rang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supplies cold water and hot water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detected temperature falls within the preset satisfactory range. If not included, purified water, cold water, and hot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50.

상기 온도센서(68, 도 7b참조)는 제1출수밸브(61)의 유로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온도센서(68, 도 7b참조)는 냉/온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68 (see FIG. 7B) may be installed on the flow path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n detail, the temperature sensor 68 (see FIG. 7b)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inlet side where cold/hot water flows.

또한, 온수, 냉수의 출수 시, 사용자가 출수버튼을 누르면, 배관의 물은 온도 만족 여부에 관계없이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 후, 온수 및 냉수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dispensing hot or cold water, if the user presses the water dispensing button, the water in the pipe is unconditionally drained regardless of whether the temperature is satisfied, and then the discharging of hot and cold water can proceed.

상세히, 사용자가 냉수 출수를 요청하면, 냉수탱크(140)와 제1출수밸브(61) 사이에 채워졌던 물(잔수)은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자동으로 드레인되고, 잔수의 배출이 진행된 후, 냉수탱크(140)의 물은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차가운 냉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user requests cold water discharge, the water (remaining water) filled between the cold water tank 140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automatically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50, and the discharge of the remaining water proceeds. Afterwards, the water in the cold water tank 14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herefore, only cold col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user.

또한, 사용자가 온수 출수를 요청하면, 온수탱크(130)와 제1출수밸브(61) 사이에 채워졌던 물(잔수)은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자동으로 드레인되고, 잔수의 배출이 진행된 후, 온수탱크(130)의 물은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뜨거운 온수만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hot water discharge, the water (remaining water) filled between the hot water tank 130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automatically drained through the drain pipe 50, and the discharge of the remaining water proceeds. Afterwards, the water in the hot water tank 130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herefore, only hot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user.

반면, 정수의 경우, 잔수의 드레인 없이, 곧 바로 정수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urified water, the extraction of purified water can proceed immediately without draining the remaining water.

한편,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를 요청하면, 살균수밸브(44)가 개방된다. 상기와 같이 살균수밸브(44)가 개방되면, 출수배관(30)의 정수는 살균수배관(34) 및 살균수밸브(44)를 통과하게 되고, 살균수배관(34)의 물은 살균수모듈(150)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배관(34)을 따라 출수부(200) 측으로 유동하고, 제2출수밸브(62)를 거쳐,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requests the discharge of sterilizing water,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opens. When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purified water in the water outlet pipe 30 passes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nd the water i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is sterilizing water. It passes through module 150. The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flows toward the water outlet 200 along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passes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and then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Can be supplied externally.

언더싱크 정수기 특성상 싱크대 내부에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싱크대 외부에 설치된 출수부(200)의 거리가 멀어 이들을 연결하는 유로가 길어진다. 또한, 이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가 출수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출수부(200)와 최대한 가까운 위치에 밸브(61,62)를 설치하여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를 선택적으로 드레인(drain) 시킨 후 출수가 이루어지게 하여 온도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Due to the nature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er,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unit 100 installed inside the sink and the water outlet unit 200 installed outside the sink is long, so the flow path connecting them is long. In addition, since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flow path affects the discharge temperature, the valves 61 and 62 are install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ater outlet 200 to selectively drain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flow path and then discharge the water. By achieving this, the temperature performance can be satisfied.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출수 후 본체부(100)와 출수부(200)를 연결하는 길이가 긴 유로에 남아있는 잔수를 출수부(200) 바로 아래 설치된 밸브(61)에서 드레인 시킨 후, 갓 만들어진 직수(온수 또는 정수) 만을 출수노즐(210)로 출수하여 목표 출수 온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water discharge, the residual water remaining in the long passage connecting the main body 100 and the water outlet 200 is drained from the valve 61 installed immediately below the water outlet 200, and then drained. The target water discharge temperature can be satisfied by discharging only the produced direct water (hot water or purified water) through the water discharge nozzle 210.

<출수부><Water outlet>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a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출수부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b는 도 5a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outlet par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a is a side view of the water outlet uni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ure 5a.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수부(20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외형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몸체(230), 상기 몸체(230)의 내측에 배치된 내측부재(26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몸체(230)의 상측에 상하방향으로 이격해서 배치된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3 to 5B, the water outle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ylindrical body 230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an outer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and an inner body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body 230.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ember 260 and includes a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a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230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몸체(230)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1몸체(231)와,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에 위치되는 제2몸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230 includes a first body 231 located below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a second body 231 located betwee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t may include two bodies (232).

일 예로, 상기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는 각각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는 동일한 크기의 외경 및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231)의 길이는 제2몸체(23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231)의 경우, 후술되는 관통부재(250)와의 결합을 위해, 하측의 내주면에 나사산(231a)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body 231 and the second body 232 may be provid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pen,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first body 231 and the second body 232 may have an out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nd an inner diameter of the same size. 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first body 231 may be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body 232.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231, a screw thread 231a may be formed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for coupling with the penetrating member 2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1출수노즐(210) 또는 제2출수노즐(220)의 상면에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 또는 제2출수노즐(220)에는 각각 하측을 향해 개방된 출수구(211,221)가 형성될 수 있다. A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or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n addition, water outlet openings 211 and 221 open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or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최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241), 상기 플레이트(241)의 하측에 배치되는 프레임(242), 상기 프레임(242)의 하측에 배치되거나, 프레임(242)의 내측에 수용되는 피시비(243)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include a plate 241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frame 242 disposed below the plate 241, and below the frame 242. It may include a PCB 243 that is disposed or accommodated inside the frame 242.

상기 플레이트(2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LED를 비롯한 다양한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The plate 24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PCB 243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display means, including LED.

또한, 상기 피시비(243)에는 스위치, 터치센서, 버튼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각종 소자들이 설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CB 243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switches, touch sensors, buttons, etc. Various devices may be installed in the PCB 243.

상기 프레임(242)는 상기 피시비(243)에 실장된 각종 소자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표시수단 및 스위치, 터치센서 등이 상기 플레이트(241) 측으로 노출되게 개방된 복수의 개방홀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rame 242 serves to protect various devices mounted on the PCB 243. A plurality of open holes may be formed in the frame 242 to expose the display means, switches, touch sensors, etc. to the plate 24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및 입력수단(240)에는, 온수선택 버튼, 용량선택 버튼, 정수선택 버튼, 살균수선택 버튼, 냉수선택 버튼, 연속출수선택 버튼, 및 출수선택 버튼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includes a hot water selection button, a capacity selection button, a purified water selection button, a sterilizing water selection button, a cold water selection button, a continuous water discharge selection button, and a water discharge selection button. You can.

상기 온수선택 버튼, 용량선택 버튼, 정수선택 버튼, 살균수선택 버튼, 냉수선택 버튼, 연속출수선택 버튼은 사용자가 3초 이상 누른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만, 선택되고, 활성화될 수 있다.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capacity selection button, purified water selection button, sterilizing water selection button, cold water selection button, and continuous water selection button can be selected and activated only when the user presses and holds the button for more than 3 seconds.

또한, 상기 온수선택 버튼의 상측에는, 온도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온도표시부에는, 40℃, 75℃, 85℃가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온수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선택하고, 선택된 온수의 온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temperature display unit may be formed above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For example,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may display 40°C, 75°C, and 85°C.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being dispensed by pressing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and visually check the temperature of the selected hot water.

또한, 상기 용량선택 버튼의 상측에는, 용량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용량표시부에는, 120ml, 500ml, 1000ml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량선택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출수되는 물의 용량을 선택하고, 선택된 출수 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capacity display unit may be formed above the capacity selection button. For example, the capacity display unit may display 120ml, 500ml, and 1000ml. Therefore, the user can select the volume of water to be dispensed by pressing the volume selection button and visually check the selected water volum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온수, 냉수, 정수, 살균수 출수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how the user operates the dispensing of hot water,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using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정수 출수 시, 사용자는 정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정수가 출수된다. First, when dispensing purified water, the user presses the purified water selection button and then presses the water dispensing button 244. T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다음, 냉수 출수 시, 사용자는 냉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냉수가 출수된다.Next, when dispensing cold water, the user presses the cold water selection button and presses the water dispensing button 244. Then, cold water comes out.

다음, 온수 출수 시, 사용자는 온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온수가 출수된다.Next, when dispensing hot water, the user presses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and presses the water dispensing button 244. And, hot water comes out.

이때, 사용자는 온수선택 버튼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서, 온수의 온도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온수의 온도를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select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hot water selection button is pressed. And, you can check the temperature of the selected hot water.

다음, 살균수 출수 시, 사용자는 살균수선택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244)을 누른다. 그리고, 살균수가 출수된다.Next, when dispensing sterilizing water, the user presses the sterilizing water selection button and presses the dispensing button 244. Then,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상기 온수, 냉수, 정수, 살균수 출수 시, 사용자는 용량선택 버튼은 통해서, 출수되는 온수, 냉수, 정수, 살균수의 용량을 선택할 수도 있다. When the hot water,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are dispensed, the user can select the capacity of the hot water, cold water,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to be dispensed through the capacity selection button.

일 예로 사용자가 정수버튼 또는 온수버튼 또는 냉수버튼 또는 살균수 버튼을 누르고, 출수버튼을 누르면, 디폴트 용량의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살균수가 출수된다.Fo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urified water button, hot water button, cold water button, or sterilized water button and then presses the water outlet button, purified water, hot water, cold water, or sterilized water of the default capacity is dispensed.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정수버튼 또는 온수버튼 또는 냉수버튼 또는 살균수 버튼을 누르고 용량버튼을 눌러 용량을 선택한 후, 출수버튼을 누르면, 사용자가 선택한 용량의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살균수가 출수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presses the purified water button, hot water button, cold water button, or sterilized water button, selects the capacity by pressing the capacity button, and then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purified water, hot water, cold water, or sterilized water of the capacity selected by the user is dispensed.

또 다른 예로, 정수 또는 온수 또는 냉수 또는 살균수가 출수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출수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출수가 종료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n a situation where purified water, hot water, cold water, or sterilized water is dispensed, if the user presses the water dispenser button one more time, the dispenser may end.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상측이 개방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공간(210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 피시비(243)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에 형성된 내측 공간(210a)에 수납되고,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한다.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have an open upper side and an inner space 210a that is conca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frame 242 and the PCB 243 are stored in the inner space 210a formed i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plate 241 is locat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overs.

이때,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부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41)와 제1출수노즐(210)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ate 24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pen upper area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241a of the plate 24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reby preventing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between the plate 241 and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In other words,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프레임(241)의 상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241)의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41)와 제1출수노즐(210)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어도, 프레임(241)의 측벽(242g, 도 22참조)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통과되고, 결과적으로 프레임(241)의 측벽(242g, 도 22참조) 내측에 배치된 피시비에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ate 24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41. Accordingly, at least a portion of the boundary portion 241a of the plate 24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frame 241, and accordingly, even if water or foreign matter flows between the plate 241 and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frame ( Water or foreign substances pass between the side walls (242g, see FIG. 22) of the frame 241, and as a result, water or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PCB disposed inside the side wall (242g, see FIG. 22) of the frame 241. You can. In other words,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부에는 둘레를 따라 내측에 단턱(213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상기 단턱(213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단턱(213a)의 깊이는 상기 플레이트(241)의 두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플레이트(241)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step 213a may be formed on the insid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boundary portion 241a of the plate 241 may be seated on the step 213a. The depth of the step 213a may be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plate 241. In this case, the open top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plate 241 may form a plane.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일측 하단에 상기 제2몸체(232)의 상단에서 내측에 삽입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1삽입부(212)를 형성한다. 상기 제1삽입부(212)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12)의 외경은 상기 제2몸체(232)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12)는 상기 출수구(211)의 맞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부(212)의 외경은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폭(출수노즐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부(212)의 상단과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하단 사이에는 단턱(2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후단(도 4 기준 우측)의 외면과 제2몸체(232)의 외면은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다.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forms a first insertion portion 212 extending downwar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from the top of the second body 232 at a lower end of one sid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body 232.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may be formed opposite the water outlet 211.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length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Accordingly, a step 212a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insertion part 212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right side in FIG. 4)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32 can be smoothly connected.

또한, 상기 제1삽입부(212)는 그 외경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212)가 삽입되는 제2몸체(23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내경이 점차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삽입부(212)를 제2몸체(232)에 삽입하는 작업이 손쉽게 진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may have an out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dditionally, the second body 232 into which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is inserted may have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ccordingly,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into the second body 232 can be easily performed.

한편,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선단에는 출수구(211)가 형성된 제1코크(219)가 배치된다. 상기 제1코크(219)는 상기 제1출수밸브(61)와 제2공통배관(39)을 통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출수밸브(61)를 통과한 냉수, 온수, 정수는 상기 제2공통배관(39)을 통해서, 제1코크(219)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공통배관(39)은 냉수, 온수, 정수를 제1출수밸브(61)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1출수밸브(61)를 통과한 냉수, 온수, 정수를 제1코크(219)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는 상기 제2공통배관(39) 상에 설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cock 219 having a water outlet 211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first cock 219 is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Accordingly, cold water, hot water, and purified water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cock 219 through the second common pipe 39. The second common pipe 39 serves to guide cold water, hot water, and purified water to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at the same time directs the cold water, hot water, and purified water that passed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o the first cock. You may also be directed to (219). In this cas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can be understood as being installed on the second common pipe 39.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선단에는 상기 제1코크(219)가 설치되는 제1코크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코크(219)는 상기 제1코크설치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irst cock installation hole into which the first cock 219 is installed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first cock 219 may penetrate the first cock installation hole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한편, 제2출수노즐(220)은 일측 하단에 상기 제1몸체(23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삽입되게, 하측으로 연장된 제2삽입부(222)를 형성한다. 상기 제2삽입부(222)는 중공의 원통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의 외경은 상기 제1몸체(231)의 내경보다 작거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는 상기 출수구(221)의 맞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의 외경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폭(출수노즐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삽입부(222)의 상단과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단 사이에는 단턱(22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후단(도 4 기준 우측)의 외면과 제1몸체(231)의 외면은 매끄럽게 이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forms a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extending downward to be inserted inward from the top of the first body 231 at one lower e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231.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may be formed opposite the water outlet 221.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e length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Accordingly, a step 222a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end (right side in FIG. 4)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31 can be smoothly connected.

한편,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선단에는 출수구(221)가 형성된 제2코크(229)가 배치된다. 상기 제2코크(229)는 상기 제2출수밸브(62)와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2출수밸브(62)를 통과한 살균수는 상기 살균수배관(34)을 통해서, 제1코크(219)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관(34)은 살균수를 제2출수밸브(62)로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제2출수밸브(62)를 통과한 살균수를 제2코크(229)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살균수배관(34) 상에 설치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Meanwhile, a second cock 229 having a water outlet 221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e second cock 229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ccordingly, the steriliz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cock 219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serves to guide sterilizing water to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and can also guide the steriliz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to the second cock 229. there is. In this case,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an be understood as being installed o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또한, 후술되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부프레임(220a)에는, 상기 제2코크(229)가 하측으로 노출되게 개방된 통과홀(220d)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passage hole 220d open so that the second cock 229 is exposed downward may be formed in the lower frame 220a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코크(229)는 상기 통과홀(220d)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프레임(220a)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cock 229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20d from top to bottom, and at least a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220a.

상기 하부프레임(220a)은 둘레를 따라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벽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The lower frame 220a may form an extension wall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The extension wall is received insid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폭(도 4 기준 좌우방향 길이)은 제2출수노즐(2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길이(출수노즐의 연장방향 길이)은 제2출수노즐(22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ased on FIG. 4)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length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상세히,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선단에 형성된 출수구(211)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선단보다 더 돌출된 위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에서 출수된 물이 상기 제2출수노즐(220)에 닿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In detail, the water outlet 211 formed at the tip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be formed in a position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tip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ccordingly,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supplied to the user without contacting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즉,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나란히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출수구(211)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과 상하방향으로 오버랩(overlap)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a state wher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re positioned side by side facing the same direction, the water outlet 211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 220) and may be formed in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제1출수노즐(210) 대비, 길이가 짧고, 높이가 낮기 때문에, 싱크대(10)의 싱크볼(12) 내부에서만 출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즉, 제2출수노즐(220)의 하측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제2출수노즐(220)을 싱크대(10)의 싱크볼(12) 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만 살균수의 출수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한 살균수가 싱크볼(12) 내부에서만 출수되게 유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은 상기 싱크볼(12) 내부에서만 가능하게 그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shorter in length and lower in height tha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water can flow smoothly only inside the sink bowl 12 of the sink 10. . That is, because the space below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narrow, sterilizing water can be easily discharged only when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positioned toward the sink bowl 12 of the sink 10. Therefore, as much as possible, sterilizing water can be induced to flow only from inside the sink bowl 12. Furthermore, th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may be limited to only be possible inside the sink bowl 12.

반면, 제1출수노즐(210)의 경우 제2출수노즐(220) 대비, 길이가 길고, 높이가 높기 때문에, 싱크대(10) 외부에서도 출수가 자유롭게 가능할 수 있다. 즉,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 공간은 비교적 넓게 확보되어, 컵 등의 용기를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냉수, 온수, 정수의 출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longer and higher than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water can be freely dispensed even from outside the sink 10. In other words, the space below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secured relatively wide, so that cold water, hot water, and purified water can be dispensed smoothly while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placed below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re is.

또한, 제1출수노즐(210)은 제2출수노즐(220) 대비 크기가 크고 더 상측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는 제1출수노즐(210)을 제2출수노즐(220) 보다 더 쉽게 인지할 수 있고, 더 쉽게 조작하면서, 냉/온/정수의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is larger in size and located higher than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so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than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t is possible to dispense cold/hot/purified water while operating it more easily.

만약, 제1출수노즐(210) 보다 높이가 높은 냄비 등의 용기에 냉수, 온수, 정수를 받고자 할 경우에는, 냄비 등의 큰 용기를 싱크볼(12)에 넣고, 제1출수노즐(210)을 냄비 등의 큰 용기의 상측에 위치되게 회전시킨 상태에서, 출수를 진행하여, 냉수, 온수, 정수를 냄비 등의 큰 용기에 받을 수 있을 것이다. If you want to receive cold water, hot water, or purified water in a container such as a pot that is taller tha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place a large container such as a pot into the sink bowl 12 and turn o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n a state where it is rotated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a large container such as a pot, water can be dispensed and cold water, hot water, and purified water can be received in a large container such as a pot.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양측 단부에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곡면부(213)를 구비할 수 있다. 제2출수노즐(220)은 출수구(221)가 형성된 선단이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단에는 원통형의 연결부(22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삽입부(222)는 상기 연결부(223)의 하단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23)의 외경은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be provided with curved portions 213 that are convex forward and backward at both ends, respectively.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have a rounded tip at which the water outlet 221 is formed. Additionally, a cylindrical connection portion 223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223.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223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상기 곡면부(213) 외면의 곡률반경, 연결부(223)의 외경, 그리고 제1몸체(231) 및 제2몸체(232)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213,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portion 223, and the outer diameters of the first body 231 and the second body 232 may be formed to be the same.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은 싱크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과 제2출수노즐(220)는 180도 범위에서, 회전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약 180도 범위에서, 회전 동작하고,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에도 약180도 범위에서 회전동작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can rotate freely while coupled to the sink 10. As an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rotate in a range of 180 degrees.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rotate in a range of about 180 degrees,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can also rotate in a range of about 180 degrees.

상기 제1출수노즐(210), 제2출수노즐(220), 몸체부(230)는 싱크대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물과 접촉할 수 밖에 없고, 녹이 슬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 제2출수노즐(220), 몸체부(230)는 녹슬지 않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nd the body portion 2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ink. Therefore, it has no choice but to come into contact with water and rust. Accordingly,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nd the body portion 230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prevent rust.

<출수부와 싱크대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outlet and sink>

도 6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을 보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a은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b는 출수부와 싱크대의 결합부분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c는 제1출수밸브 및 제2출수밸브의 작동 예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joint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the sink. And, Figure 7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water outlet and a sink. Figure 7b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joint portion of the water outlet and the sink. Figure 7c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메인 구성요소인 출수부(200)와 싱크대(10)의 결합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water outlet 200 and the sink 10,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수부(200)는 상기 싱크대(10)를 관통하는 관통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to 7C , the water outle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netrating member 250 that penetrates the sink 10.

상기 관통부재(250)의 상측은 상기 싱크대(10)의 상부에 위치되고, 하측은 싱크대(1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관통부재(250)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스크류(2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재(250)는 중심부에 외경이 확장되어, 플랜지(2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52)는 외주면에, 제1몸체(231)의 하측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231a)와 체결되는 나사산(25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는 상기 제1몸체(231)의 내측 하단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231a,252a)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관통부재(250)와 제1몸체(231)는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side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is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ink 10, and the lower side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ink 10. A screw 251 having a thread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The outer diameter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may be expanded at the center to form a flange 252. The flange 252 may have a screw thread 252a formed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which is fastened to a screw thread 231a formed on the lower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body 231. The flange 252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ttom of the first body 231. And, by fastening the screw threads 231a and 252a, the penetrating member 250 and the first body 231 can be coupled.

한편, 상기 플랜지(252)의 상측에는 플랜지(252) 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부재(250)는 상하방향으로 중공부(25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공부(254)는 상기 연장부(253), 플랜지(252), 스크류(251)를 관통한다. Meanwhile, an extension portion 253 that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lange 252 and extends upwar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ange 252. Additionally, the penetrating member 250 may form a hollow portion 254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low portion 254 penetrates the extension portion 253, flange 252, and screw 251.

상기 중공부(254)를 통해서, 살균수배관(34) 및 제2공통배관(39)이 통과될 수 있고, 중공부(254)를 통과한 살균수배관(34)은 제2출수노즐(220) 내측으로 삽입되고, 중공부(254)를 통과한 제2공통배관(39)은 제2출수노즐(210) 내측으로 삽입된다. Through the hollow part 254,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can pass,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passing through the hollow part 254 is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 is inserted inside,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passing through the hollow part 254 is inserted in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10.

또한, 상기 연장부(253)는 후술되는 내측부재(260)의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내측부재(260)는 제1몸체(231)의 내측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재(250)의 중공부(254)를 통해서, 싱크대 내측에서, 배관(34,39)를 끼울 때, 단차에 의해 걸리는 문제 없이, 중공부(254)를 통과한 배관(34,39)이 매끄럽게 제1몸체(231) 및 내측부재(26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extension portion 253 is accommodated inside the inner member 2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inner member 26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ody 231. Therefore, when the pipes 34 and 39 are inserted inside the sink through the hollow portion 254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the pipes 34 pass through the hollow portion 254 without being caught by a step. 39)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231 and the inner member 260.

한편, 상기 내측부재(26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은 상기 제2몸체(232)의 내부, 그리고, 삽입부(212)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내측부재(260)의 하단은 상기 제1몸체(23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부재(250)의 연장부(253)는 상기 내측부재(260)의 하단에 삽입된다. Meanwhile, the inner member 260 has a hollow tube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member 260 i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body 232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member 260 is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ody 231. And, the extension portion 253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inner member 260.

상기 내측부재(26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싱크대에 고정되고,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즉 내측부재(260)는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 회전 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강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member 260 may be cylindrical. The inner member 260 is fixed to the sink, has a cylindrical shape, and serves a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at is, the inner member 260 maintains a fixed state whe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rotate. The inner member 260 may b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he inner member 26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inner member 260 may be made of aluminum.

상기 싱크대(10)에는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보다 크거나, 같은 크기의 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을 통해서,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가 싱크대(10)를 관통한다. 따라서, 싱크대(10)의 하단에는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가 노출된다. 그리고 싱크대(10)의 하측으로 노출된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를 너트부재(270)로 체결한다. 따라서, 관통부재(250)가 싱크대(10)에 고정될 수 있다. A hole of the same size or larger than the screw 251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is formed in the sink 10. And, the screw 251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penetrates the sink 10 through the hole. Accordingly, the screw 251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is exposed at the bottom of the sink 10. Then, the screw 251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sink 10 is fastened with the nut member 270. Accordingly, the penetrating member 250 can be fixed to the sink 10.

상기 연장부(253)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부(255, 도 4참조)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253)가 삽입되는 내측부재(260)의 하측에는 내주면에 홈부(268, 도 4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xtension 253 forms a plurality of grooves 255 (see FIG. 4)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groove 268 (see FIG. 4)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the lower side of the inner member 260 into which the extension 253 is inserted.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홈부(255,268) 사이에는 결합편(29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편(298)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coupling piece 298 may be inserted between the grooves 255 and 268. The coupling piece 298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상기 홈부(255,268)와 결합편(298)은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홈부(255,268)와 결합편(298)은 상기 관통부재(250) 및 내측부재(26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grooves 255 and 268 and the coupling pieces 298 may each be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formed in opposing positions. That is, the grooves 255 and 268 and the coupling piece 298 may b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es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and the inner member 260.

상기와 같은 홈부(255,268) 및 결합편(298)의 구성으로, 연장부(253)와 내측부재(260) 사이 간격이 확보됨과 동시에, 연장부(253)와 내측부재(260)의 결합력이 확보될 수 있다.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grooves 255 and 268 and the coupling piece 298 as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extension part 253 and the inner member 260 is secured, and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extension part 253 and the inner member 260 is secured. It can be.

또한, 상기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와 싱크대(10)의 상면 사이에는 실링용 오링(299)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의 외측 하단에는 실링부재(299)가 삽입되는 홈이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sealing O-ring 299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lange 252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10. To this end, a groove into which the sealing member 299 is inserted may be formed concave upward at the outer lower end of the flange 252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상기 실링용 오링(299)의 구성으로,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와 싱크대(10)의 유격이 잡히게 되고, 관통부재(250)의 플랜지(252)와 싱크대(10)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재(250), 내측부재(260) 및 제1몸체(231)와 싱크대(1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면서, 관통부재(250), 내측부재(260) 및 제1몸체(231)가 싱크대(10)에 보다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sealing O-ring 299, the gap between the flange 252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and the sink 10 is maintaine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lange 252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and the sink 10 is increased. It can be improved. And, as friction occurs between the penetrating member 250, the inner member 260, the first body 231, and the sink 10, the penetrating member 250,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first body 231 can be more securely fixed to the sink 10.

도 8은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하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너트부재와 스크류가 체결된 상태를 측방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ure 8 is a view from belo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nut member and the screw are fastened. Figure 9 is a side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nut member and the screw are fastened.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너트부재(270)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251)와 체결되게 나사산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ures 8 and 9,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ut member 270 to be fastened to the screw 251.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각기둥 형태의 바디(27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디(274)는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nut member 270 may have a body 274 in the shape of a prismatic column. As an example, the body 27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gonal pillar.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27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상기 싱크대(10)와 인접하는 상단에 원판 형태로 확장된 확장부(273)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부(273)의 상면에는 고정력 향상을 위해 돌기 형태의 세그먼트를 복수 형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nut member 270 may form a fastening hole 271 with a thread formed on its inner peripheral surface. Additionally, the nut member 270 may form an extension 273 that extends into a disk shape at the top adjacent to the sink 10. A plurality of segments in the form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xpansion portion 273 to improve fixing force.

또한, 상기 너트부재(270)는 상기 바디(274)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서, 상기 확장부(273)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걸림부(275)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75)는 상기 바디(274)의 외면에서, 상기 확장부(273)의 경계까지 연장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nut member 270 may form a pair of locking portions 275 extending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273 on both opposing sides of the body 274. The catching portion 275 may exten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74 to the boundary of the extension portion 273.

상기와 같이 너트부재(270)의 바디가 육각기둥을 비롯한 각기둥 형태로 구비되면, 측면에서, 스패너, 펜치 등의 도구를 통해서, 너트부재(27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너트부재(270)에 걸림부(275)가 형성되면, 손 미끄러짐이 방지되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바디(274)를 잡고, 너트부재(270)를 회전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확장부(273)가 형성되면, 상기 싱크대(1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서, 너트부재(270)가 싱크대(10)와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출수부(200)와 싱크대(10)의 결합력도 향상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body of the nut member 27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quare pillar, including a hexagonal pillar, it is easy to rotate the nut member 270 from the side using a tool such as a spanner or pliers. In addition, when the locking portion 275 is formed on the nut member 270 as described above, hand slippage is prevented and it is easy for the user to hold the body 274 with his hand and rotate the nut member 270. In addition, when the expansion portion 273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act area with the sink 10 increases, and the nut member 270 can be more stably coupled to the sink 10. Additionally,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water outlet 200 and the sink 10 can also be improved.

또한, 사용자가 손으로 너트부재(270)를 회전시키고, 너트부재(270)를 조임수단으로 한두 바뀌 정도만 회전시키면,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astening force can be strengthened if the user rotates the nut member 270 by hand and rotates the nut member 270 by one or two turns using a tightening means.

참고로, 싱크대에, 수도전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등록실용신안 0276610호(이하,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 For reference, a structure for fixing a faucet to a sink has been disclosed i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2766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literature).

상세히, 선행문헌에는 냉,온수관이 연결된 수도전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관이 형성되고, 싱크대의 체결구멍을 상기 체결관이 관통한 뒤, 싱크대 하부에서 체결너트를 상기 체결관에 끼워 수도전을 싱크대에 고정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In detail, in the prior literature, a fastening pipe with thread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aucet to which the cold and hot water pipes are connected, and after the fastening pipe penetrates the fastening hole of the sink, a fastening nut is attached to the fastening pipe at the bottom of the sink. A technology for fixing a faucet to a sink has been disclosed.

이때, 싱크대의 하부공간은 협소하여, 체결너트 조립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같이, 출수노즐(210,220)이 회전하는 구조의 경우, 출수노즐(210,220)의 반복 회전에 따라 너트부재(270)가 풀려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견고하게 너트부재(270)를 체결해줄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the lower space of the sink is narrow, so assembly of the fastening nut may be difficul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outlet nozzles 210 and 220 rotat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t member 270 may be loosened due to repeated rota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s 210 and 220, so the nut member ( 270) needs to be concluded.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너트부재(270)의 형상을 원판형상의 확장부(273)와 육각기둥 형태의 바디(274)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그리고, 육각기둥 형태의 바디(274)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직선형의 걸림부(275)을 형성하였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hape of the nut member 27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disk-shaped expansion portion 273 and a hexagonal pillar-shaped body 274. In addition, straight locking portions 275 were form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the hexagonal column-shaped body 274.

또한, 상기 걸림부(275)는, 걸림부(275)가 연결된 바디(274)의 일면(274a)과 이웃하여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275b,274c)의 가상의 연장선(EL1, EL2)과 중첩되거나, 가상의 연장선(EL1, EL2)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ocking portion 275 overlaps the virtual extension lines EL1 and EL2 of the inclined surfaces 275b and 274c formed on both sides adjacent to one surface 274a of the body 274 to which the locking portion 275 is connected. , It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beyond the virtual extension lines EL1 and EL2.

따라서, 너트부재(270) 체결용 공구, 예를 들어 스패너, 펜치들을 이용해서, 바디부(274)를 회전시킬 때, 상기 걸림부(275)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rotating the body portion 274 using tools for fastening the nut member 270, such as spanners or pliers,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portion 275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걸림부(275)는 바디(274)의 두개의 변에만 형성될 수 있다. 그 이유는, 걸림부(275)가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총 4개의 변을 통해서, 랜치 등 끼워 너트부재(270)를 돌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Additionally, the locking portion 275 may be formed only on two sides of the body 274. The reason is that the nut member 270 can be turned by inserting a wrench, etc., through the remaining four sides on which the locking portion 275 is not formed.

관통부재(250)와 너트부재(270)의 체결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관통부재(250)를 싱크대(10)의 상측에서, 싱크대(10)에 형성된 홀(13, 도 7a 참조)에 끼우고, 싱크대(10)의 하측으로 노출된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를 체결한다. 이때, 사용자는 시야가 가려진 상태에라 하더라도, 상기 걸림부(275)를 손으로 잡고,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를 손쉽게 1차적으로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부(275)는 너트부재(270)의 회전 방향과 교차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으로 걸림부(275)를 잡고 너트부재(27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When explaining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and the nut member 270, first, the user inserts the penetrating member 250 into the hole 13 formed in the sink 10 (see FIG. 7A) from the upper side of the sink 10. Insert and fasten the nut member 270 to the screw 251 ex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nk 10. At this time, even if the user's view is blocked, the user can hold the locking portion 275 with his hand and easily initially fasten the nut member 270 to the screw 251. At this time, since the locking portion 275 is formed to intersect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nut member 270, the user can easily rotate the nut member 270 by holding the locking portion 275 with his hand.

또한, 상기와 같이 1차 체결이 완료되면, 별도의 공구를 바디(274)에 끼운 뒤, 공구를 돌려서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를 2차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251)에 너트부재(270)가 보다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imary fasten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tool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274 and the nut member 270 can be secondarily fastened to the screw 251 by turning the tool. Accordingly, the nut member 270 can be more easily and firmly fastened to the screw 251.

또한, 관통부재(250), 너트부재(270) 및 싱크대(10)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상기 싱크대(10)의 저면과 상기 너트부재(270)의 확장부(273) 사이에는 고무와셔(276, 도 7a 참조)가 삽입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the nut member 270, and the sink 10, a rubber washer 276 is install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ink 10 and the extended portion 273 of the nut member 270. , see FIG. 7A) may be inserted.

한편, 상기 싱크대(10)에 형성된 홀(13, 도 7a 참조)은 상기 플랜지(25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Meanwhile, the hole 13 (see FIG. 7A) formed in the sink 10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lange 252.

또한, 상기 플랜지(252)의 직경은 상기 제1몸체(231)의 내경 및 내측부재(26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252)는 상기 제1몸체(231) 및 내측부재(26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ameter of the flange 252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231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member 260. Accordingly, the flange 252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first body 231 and the inner member 260.

한편,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출수부(20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제1몸체(231) 또는 제2몸체(232)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water outlet unit 200. In detail,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irst body 231 or the second body 232.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상기 출수부(2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제1몸체(231) 또는 제2몸체(232)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water outlet unit 200. In detail,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body 231 or the second body 232.

이 경우,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싱크대(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sink 10.

상기 출수부(200)는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가 설치되는 브라켓(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80)은 상기 싱크대(10)의 하면과, 상기 너트부재(270) 사이에 삽입되는 수평부(281)와 상기 수평부(281)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부(281)에는 상기 관통부재(250)의 스크류(251)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251)는 싱크대(10)의 홀(13, 도 7a 참조)과, 수평부(281)의 홀을 차례대로 관통한 뒤, 수평부(281)의 하측에서, 너트부재(270)와 체결할 수 있다. The water outlet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280 on which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are installed. The bracket 28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281 inser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ink 10 and the nut member 270, and a vertical portion 28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281. may include. A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251 of the penetrating member 250 penetrates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portion 281. The screw 251 sequentially penetrates the hole 13 of the sink 10 (see FIG. 7A) and the hole of the horizontal part 281,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nut member 270 and the nut member 270 at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part 281. It can be concluded.

상기 수평부(281)와 수직부(282)에 의해 정의된 모서리의 내측면에는 보강리브(283)가 형성될 수 있다. A reinforcing rib 283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rner defined by the horizontal portion 281 and the vertical portion 282.

또한, 상기 수직부(282)에는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가 결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a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coupled to the vertical portion 282.

또한, 상기 수직부(282)에는 각종 배관(34,39)을 움켜쥐는 방식으로 고정하는 배관고정후크(285) 및 상기 밸브(61,62)가 고정되게 밸브고정후크(286)이 복수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portion 282 will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pe fixing hooks 285 for fixing various pipes 34 and 39 in a gripping manner and valve fixing hooks 286 for fixing the valves 61 and 62. You can.

또한, 상기 수직부(282)는 일측 또는 양측에 수직부(282)와 수직방향으로 연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벽(287)에는 상기 각종 배관(34,39)이 통과되는 배관통과홀 또는 배관통과홈(288)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vertical portion 282 may form an extension wal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282 on one or both sides. In addition, a pipe passage hole or pipe passage groove 288 through which the various pipes 34 and 39 pass may be formed in the extension wall 287.

한편,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수직부(282)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수직부(282)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수직부(282)에 상호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각각 수직부(282)의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portion 282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disposed in the vertical portion 28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portion 282. That i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one side and the low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282, respectively.

도 7a를 참조하면,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유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출수노즐(210,220) 측으로 배출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드레인이 진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arranged to allow cold, hot,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to flow in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addition, cold, hot,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are discharg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ward the water outlet nozzles (210, 220), and the drain may proce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도 7b를 참조하면,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유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측에서 상측으로 냉,온,정수 및 살균수가 출수노즐(210,220) 측으로 배출되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드레인이 진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y be arranged to allow cold, hot,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to flow in from right to left. In addition, cold, hot,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are discharg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ward the water outlet nozzles (210, 220), and the drain may be arranged to proceed from left to right.

이하, 도 7c를 참조하여,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의 개폐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7C,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will be described.

상기 제1출수밸브(61) 및 제2출수밸브(62)는 전기신호에 의해 상하동작하는 플런저(66)에 의해 개방 및 차폐될 수 있다.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plunger 66 that moves up and down by an electric signal.

먼저, 도 7c의 (a) 와 같이, 상기 플런저(66)가 상승하면, 물이 유입되는 입구(63)와 물이 배출되는 출구(64)를 연결하는 유로가 개방된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7C, when the plunger 66 rise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inlet 63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nd the outlet 64 through which water discharges is opened.

이때, 입구(63)와 출구(64)는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플런저(66)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입구(63)로 유입된 물은 출구(64)로 빠져나가고, 출구(64)로 빠져나간 물은 출수노즐(210,220)로 공급된다. At this time, the inlet 63 and the outlet 64 ar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That is, it is formed on both sides based on the plunger 66.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63 flows out through the outlet 64, and the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 64 is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nozzles 210 and 220.

이때, 상기 플런저(66)가 상승하면서, 배수구(65)와 입구(63)를 연결하는 유로는 차폐된다. At this time, as the plunger 66 rise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drain 65 and the inlet 63 is shielded.

상기 배수구(65)는 상기 입구(63)와 상하방향(도 7c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drain 65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based on FIG. 7C) relative to the inlet 63.

상기 플런저(66)의 하측에는 누수 방지를 위해 실링부(67)가 형성될 수 있다. A sealing portion 67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nger 66 to prevent water leakage.

한편, 온도센서(68)는 상기 입구(63) 측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emperature sensor 68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inlet 63 side.

온도센서(68)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상기 입구(63) 측과 상기 플런저(66)에 의해 개폐되는 분기점(69) 사이에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68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between the inlet 63 and the branch point 69 opened and closed by the plunger 66, based on the flow of water.

반면, 도 7c의 (b) 와 같이, 상기 플런저(66)가 하강하면, 물이 유입되는 입구(63)와 물이 배출되는 출구(64)를 연결하는 유로가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7C, when the plunger 66 descend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inlet 63 through which water flows in and the outlet 64 through which water is discharged is blocked.

또한, 상기 플런저(66)가 하강하면서, 배수구(65)와 입구(63)를 연결하는 유로는 개방된다. Additionally, as the plunger 66 descends,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drain 65 and the inlet 63 is opened.

따라서, 입구(63)로 유입된 물은 배수구(65)로 빠져나가고, 배수구(65)로 빠져나간 물은 드레인 된다. Accordingly,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63 flows out to the drain hole 65, and water flowing out of the drain hole 65 is drained.

참고로, 상기된 온도센서 및 후술되는 온도센서는 입구(63) 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온도센서 및 후술되는 물이 유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온도센서는 입구(63)와 플런지(66)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temperature sensor described above and the temperature sensor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on the inlet 63 side. Additionally,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or described above and the direction in which water flow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temperature senso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inlet 63 and the plunge 66.

언더싱크 정수기 특성상 싱크대 외부로 나오는 출수노즐이 필요하다.Due to the nature of the under-sink water purifier, a water outlet nozzle that comes out of the sink is required.

본 발명의 경우, 식용수(냉,온,정수) 출수용 출수노즐과 살균수 출수용 출수노즐을 구분하되, 각 출수노즐을 하나의 몸체로 구현하였고,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하였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utlet nozzle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cold, hot, purified water) and the water outlet nozzle for dispensing sterilizing water are distinguished, but each water outlet nozzle is implemented as a single body and can be rotated independently.

또한, 제1출수노즐의 경우, 터치 입력 및 디스플레이 출력이 가능하게 구현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touch input and display output were implemented.

상기와 같이 각각의 출수노즐이 좌우 회전 동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As each water outlet nozzle rotates left and right as described above, user convenience can be maximized.

<출수노즐의 회전각도 제한구조><Structur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water outlet nozzle>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a는 제1출수노즐에서 표시 및 입력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b는 도 12a의 일부분을 확대시킨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1연결부재와 제2연결부재와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0. And, Figure 12a is a view from above showing the display and input means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Figure 12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ure 12a.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nection memb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the coupling member, which are som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회전동작이 90도 내지 270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구조가 필요하다.Referring to Figures 10 to 13,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be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rotate in a range of 90 degrees to 270 degrees. For this purpose, a rotation limiting structure that limits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is required.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경우,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110)의 후단에,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 중공으로 돌출되는 제1스토퍼(21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2111)는 도 10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돌출된다.In the cas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 first stopper 2111 protruding into the inner hollow of the insertion portion 212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2110 forming the bottom surface. The first stopper 2111 protrud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FIG. 10 .

그리고,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에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이 회전 동작할 때,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링(ring) 형상의 제1연결부재(2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214)에는 상기 제1스토퍼(2111)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제한돌기(214a)가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And, inside the insertion portion 212, there is a first connection member 214 in the shape of a ring that does not rotate together and maintains a fixed state whe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rotates. can be formed.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214a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to limit rotation of the first stopper 2111.

상기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을 향하는 면이, 일직선(도 13의 점선참조)을 형성하면서, 180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스토퍼(2111)의 회전각도는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에 의해, 180도로 제한되고, 결과적으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각도가 180도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 시, 제1스토퍼(2111)가 상기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에 걸리면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범위가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스토퍼(2111)는 한 쌍의 회전제한돌기(214a)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214a may form a straight line (refer to the dotted line in FIG. 13) on the surface facing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forming an angle of 180 degrees.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stopper 2111 is limited to 180 degrees by the pair of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214a, and as a result, the rotation angl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may be limited to 180 degre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rotates, the first stopper 2111 is caught on the pair of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214a so that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is limited. , The first stopper 2111 may be form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topper 2111 overlaps a pair of rotation limiting protrusions 214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내측부재(260)의 상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연결부재(214)는 내측부재(260)와 함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 시, 상기 내측부재(260)와 제1연결부재(214)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세히, 상기 내측부재(260)는 제1출수노즐(210) 및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 시,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내측부재(260)에 고정된 제1연결부재(214)는 내측부재(26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member 260.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can remain fixed together with the inner member 260. That is, whe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rotate,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do not rotate and remain fixed. In detail, the inner member 260 does not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but maintains a fixed state.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fixed to the inner member 260 remains fixed to the inner member 260.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상단에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 형태의 누름부(214b)를 형성한다. 상기 누름부(214b)의 상단은 상기 제1스토퍼(2111)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제한돌기(214a)는 상기 누름부(214b)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2111)는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 시, 상기 회전제한돌기(214a)에 걸리면서,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토퍼(241)는 상기 누름부(214b)의 상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forms a flange-shaped pressing portion 214b extending outward at the top. The upper end of the pressing portion 214b is located below the first stopper 2111. In addition,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14a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pressing portion 214b, and the first stopper 2111 is attached to the rotation limiting protrusion 214a whe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rotates. As it gets stuck, the rotation angle may be limited. The first stopper 241 may rotate while being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14b.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 사이에는 실링, 회전 저항력 발생, 고정력 확보 및 회전 조작감 향상을 위해, 회전 저항을 발생하는 제2오링(29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오링(292)은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누름부(214b) 및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12b) 사이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돌기(212b)가 누름부(214b)의 하측에 고정되면서, 제1출수노즐(210)이 상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there is a second O-ring ( 292) can be inserted. The second O-ring 292 can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ressing portion 214b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and the support protrusion 212b protruding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ortion 212. there is. And, as the support protrusion 212b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pressing part 214b,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upward.

또한, 제2오링(292)에 의해서, 제1연결부재(214)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오링(292)에 의해서 제1출수노즐(21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2오링(292)에 의해 1연결부재(214)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의 유격이 잡힐 수 있다. 또한, 제2오링(292)에 의해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maintained by the second O-ring 292. Additionally, shaking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prevented by the second O-ring 292.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maintained by the second O-ring 292. In addition, as friction is generated by the second O-ring 292, the rotation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proceeds smoothly,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fixed in the rotated position. You can.

한편, 상기 제1연결부재(214)는 링(ring) 형상의 제2연결부재(215)를 통해서, 내측부재(260)와 결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may be coupled to the inner member 260 through a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of a ring shape.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하단이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부재(215)의 외측면에는 복수의 고정후크(215a)가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에는 상기 고정후크(215a)가 삽입되는 복수의 고정홀(264)이 원주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214)는 상단에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단에 안착되게 외측으로 연장된 안착부(215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may be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inner member 260.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xing hooks 215a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Additionally, a plurality of fixing holes 264 into which the fixing hook 215a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inner member 260 to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4 may be formed at the top with a seating portion 215b extending outward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member 260.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15)에는 하단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절개된 형태의 슬릿(215c)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해서 복수 형성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slits 215c that are concavely cut from the bottom to the top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슬릿(215c)은 복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릿(215c) 사이에는 중심측으로 오므라지도록 반경방향으로 변형되는 변형부(215f)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부(215f)의 외측면에는 고정후크(215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후크(215a)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점차 증가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후크(215a)는 외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후크(215a)는 내측부재(260)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홀(264)에 끼워지고, 이에 따라서, 제2연결부재(215)와 내측부재(260)는 결합된다.The slits 215c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dditionally, a deformation portion 215f that is de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so as to shrink toward the center may be formed between the slits 215c. Additionally, a fixing hook 215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eformable portion 215f. Additionally, the fixing hook 215a may be formed so that the height protrud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gradually increases.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hook 215a is formed to be incline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hook 215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hole 26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member 260, and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and the inner member 260 are coupled.

한편, 상기 내측부재(260)에는 내측부재(260)의 상단과 상기 고정홀(264)을 연통하면서, 개방하는 절개홀(265, 도 4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홀(264)의 직경은 상기 절개홀(265)의 폭 대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15)는 상기 절개홀(265)에 삽입되는 홀삽입돌기(215g)를 상기 고정후크(215a)의 상측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삽입돌기(215g)가 절개홀(265)에 삽입되면서, 제2연결부재(215)와 내측부재(260)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Meanwhile, a cut hole 265 (see FIG. 4) may be formed in the inner member 260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end of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fixing hole 264 and open it. The diameter of the fixing hole 264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cutting hole 265. Additionally,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may form a hole insertion protrusion 215g to be inserted into the cutting hole 265 on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hook 215a. Accordingly, as the hole insertion protrusion 215g is inserted into the cut hole 265,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and the inner member 260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제2연결부재(215)의 안착부(215b)에는 상기 고정후크(215a) 및 홀삽입돌기(215g)와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홈(215e)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결부재(215)를 내측부재(260)에 조립할 때, 외부에서 상기 안내홈(215e)과 고정홀(264)을 정렬시킨 상태에서, 제2연결부재(215)를 내측부재(260)의 내측으로 눌러, 제2연결부재(215)와 내측부재(260)를 결합할 수 있다. Additionally, a guide groove 215e may be formed in the seating portion 215b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xing hook 215a and the hole insertion protrusion 215g. 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to the inner member 260, with the guide groove 215e and the fixing hole 264 aligned from the outside,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is connected to the inner member ( By pressing toward the inside of 260,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and the inner member 260 can be coupled.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필요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may be formed integrally, if necessary.

또한,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된 후,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may be provided as separate components and then combined in various ways.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별도의 결합부재(216)를 통해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may be coupled through a separate coupling member 216.

일 예로, 결합부재(216)는 상기 제1연결부(214)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체결용보스(214c) 및 제2연결부(215)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체결용보스(215d)와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되는 체결구(216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216)는 상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호 평행한 체결바와 상기 체결바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하여, 'ㄷ'자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16)는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상측에 위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부재(260)의 중공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직벽(216c)을 포함하여, 'ㄱ'자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216 includes a fastening boss 214c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4, a fastening boss 215d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5, and a bolt, A fastener 216a fastened with a screw or the like may be formed.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coupling member 216 may have a 'ㄷ' shape, including fastening bars that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bar connecting one side of the fastening bar. In addi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coupling member 216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a horizontal portion located abov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and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define the hollow of the inner member 260. It may have an 'ㄱ' shape, including a vertical wall 216c dividing it into a plurality of spaces.

상기 체결용보스(214c,215d)는 각각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의 내측면에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2개 이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216a)는 상기 체결용보스(214c,215d)와 대응되게, 결합부재(216)의 체결바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Two or more fastening bosses 214c and 215d are formed to protrude at mutually symmetrical positions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members 214 and 215, respectively, and the fastener 216a Can be formed one by one on each fastening bar of the coupling member 216,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bosses 214c and 215d.

상기 결합부재(216)는 상기 체결구(216a)가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일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벽(216c)을 구비할 수 있다. The coupling member 216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on which the fastener 216a is formed, and a vertical wall 216c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one side of the horizontal portion.

또한, 상기 수직벽(216c)에는 일측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보강용 리브(216f)가 길이방향(도 13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리브(216f)는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용 리브(216f)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용 리브(216f)는 상기 수직벽(216c)에 의해 구획된 일측의 공간(S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S1)을 통해서는,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과 연결된 전선 등이 통과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S1)을 제1중공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Additionally, a reinforcing rib 216f protruding outwar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wall 216c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13). The reinforcing ribs 216f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At least two reinforcing ribs 216f may be provided. Additionally, the reinforcing rib 216f may be formed in the space S1 on one side partitioned by the vertical wall 216c. Through the space S1, wires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pass. This space (S1) may also be called the first hollow.

한편, 상기 수직벽(126c)에는 타측면에 상호 이격하여 돌출된 가이드용 리브(216e)가 길이방향(도 13기준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guiding ribs 216e protruding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side of the vertical wall 126c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based on FIG. 13).

상기 가이드용 리브(216e)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용 리브(216e)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용 리브(216e) 사이 공간으로, 제2공통배관(39)이 가이드 되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후, 제1출수노즐(210)로 연결될 수 있다. The guide ribs 216e are formed,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guide ribs 216e. In addition, the second common pipe 39 is guid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guide ribs 216e and can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n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다른 예로, 상기 결합부재(216)는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돌출된 체결용홈(214d) 또는 제2연결부(215)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용홈(미도시)에 삽입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용돌기(216b)를 양측에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216 has a protruding fastening groove 214d formed concavely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or a protruding fastening groove 214d formed concave inwar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Fastening protrusions 216b protruding outward to be inserted into fastening groov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상기 체결용홈(214d)은 제1연결부재(214)의 내측면에서 상호 마주보게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홈(214d)은 체결용돌기(216b)가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이 180도를 이룰 수 있다. The fastening grooves 214d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to face each other. The center line of the fastening groove 214d may be 180 degrees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216b is inserted.

또한, 체결용돌기(216b)는 결합부재(216)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체결용홈(214d)에 삽입되는 방향과 나란한 중심선이 180도를 이룰 수 있다.Additionally, the fastening protrusions 216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216, and the center line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y ar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214d may form 180 degrees.

상기 결합부재(216)의 수직벽(216c)는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중공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214)의 중공을 두 개의 공간(S1,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S1,S2)이 구획되면서, 비교적 출수구(211)와 가까이 배치된 공간(S2)을 제2공통배관(39) 전용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나머지 공간(S1)의 경우,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과 연결된 전선 등이 통과되는 전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 꼬임 및 엉킴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The vertical wall 216c of the coupling member 216 is formed to cross the hollow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dividing the hollow of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into two spaces S1 and S2. It can be divided. In addition, as the spaces S1 and S2 are divided, the space S2 located relatively close to the water outlet 211 can be used as a space dedicated to the second common pipe 39. Additionally, the remaining space S1 can be used as a dedicated space through which wires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pass.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wire twisting and entanglement can be prevented.

상기 수직벽(216c)의 하측 단부(216d)는 상기 제2출수노즐(220)까지 연장되어, 살균수배관(34)을 전선과 구획시키고, 상기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되게 절곡된 살균수배관(34)의 절곡부위를 눌러주는 역할로 기능할 수도 있다. The lower end 216d of the vertical wall 216c extends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divides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from the electric wire, and is bent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t may also function to press the bent part of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may b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결합부재(216)와 나사 등을 통해서 하나의 몸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연결부재(214)와 제2연결부재(215)는 결합부재(216)와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may be coupled into one body through a coupling member 216 and a screw.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member 214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215 are combined with the coupling member 216 into one module.

이후, 상기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제1연결부재(214), 제2연결부재(215), 결합부재(216)는 상기 내측부재(260)의 상측에 삽입 및 결합된다. Thereaft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214,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215, and the connecting member 216 combined into one module ar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member 260.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110)에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 내측에 배치되는 제2공통배관(39)을 고정하는 후크돌기(217)가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frame 2110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has a hook projection 217 for fixing the second common pipe 39 disposed insid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formed.

상기 후크돌기(217)는 일측이 하부프레임(21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하부프레임(2110)과 이격되며, 후크 형상으로 굽어진 형태를 구비한다. 사익 후트돌ㄷ기(217)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상기 후크돌기(217)는 하부프레임(2110)의 복수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217)의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217)는 하부프레임(2110)에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후크돌기(217)가 복수 구비된 경우, 어느 하나의 후크돌기(217a)는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후크돌기(217b)는 타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hook protrusion 217 is fixed to the lower frame 2110, the oth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frame 2110, and is bent into a hook shape. The saik hut process (217) has a convex shape toward the upper side. The hook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on the lower frame 2110. Additionally, the height of the hook protrusion 217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dditionally, the hook protrusions 217 may be disposed in positions that are offse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frame 2110. When a plurality of hook projections 217 are provided, one hook projection 217a may be formed to be open on one side, and the other hook projection 217b may be formed to be open on the other side.

또한, 상기 제2공통배관(39)의 단부에는 냉/온/정수가 출수되는 제1코크(219)가 연결된다. 제1코크(219)는 양측이 상기 하부프레임(2110)에 결합된 별도의 고정브라켓(219a)에 의해 하부프레임(2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라켓(219a)는 전체적으로 'V'자, 'U'자 형태를 구비한다. 그리고, 양측 단부는 하부프레임(2110)에 나사 체결 등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코크 및 배관 교체 시, 고정 브라켓(219a)의 나사를 풀고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rst cock 219 through which cold/hot/purified water is discharge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common pipe 39. The first cock 219 can be fixed to the lower frame 2110 by separate fixing brackets 219a coupled to the lower frame 2110 on both sides. The fixing bracket 219a has an overall 'V' or 'U' shape. And, both ends are fixed to the lower frame 2110 by screwing or the like. When replacing the caulk and pipe, the screw of the fixing bracket 219a may be unscrewed.

상기 제1코크(21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연결되는 입구(219b)와, 상기 입구(219b)와 연통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출구(219c)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공통배관(39)과 입구(219b)는 입구(219b)의 외측에 제2공통배관(39)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2공통배관(39)을 가압하는 별도의 고정캡(218)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cock 219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s an inlet 219b connected to the second common pipe 39, and an outlet 219c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219b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formed. The second common pipe 39 and the inlet 219b have a separate fixing cap 218 that pressurizes the second common pipe 39 with the second common pipe 39 inserted on the outside of the inlet 219b. It can be fixed by .

또한, 제2공통배관(39)과 입구(219b)는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공통배관(39) 교체 시, 제1코크(219)까지 통째로 교체가 진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common pipe 39 and the inlet 219b may be joined by heat fusion. In this case, when replacing the second common pipe (39), the entire first cock (219) may be replaced.

일 예로, 상기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출수노즐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cock 219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can be installed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설치 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을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넣고, 제2공통배관(39)을 내측부재(260)로 넣는다. 그리고,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제1출수노즐(210)에 결합한다.When installing,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re separated. The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opened. Then, the first cock 219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are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is inserted into the inner member 260. Then,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is coupl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반대로, 분리 시,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을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빼낸다. 그리고, 제2공통배관(39)을 상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제2공통배관(39)은 제1출수밸브에서 분리된 상태이다. Conversely, when separating,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re separated. The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opened. Then, the first cock 219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are pulled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o the upper side. Then, the second common pipe (39) is pulled upward. At this time, the second common pipe 39 is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이후, 새로운 제1코크(219) 및 제2공통배관(39)을 설치한 후,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제1출수노즐(210)에 결합한다.Thereafter, after installing the new first cock 219 and the second common pipe 39,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are coupl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나사 체결, 접착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while being coupled into a single module by screwing, gluing, etc.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배치된 제1출수노즐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온수 출수, 냉수출수, 정수 출수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hot water, cold water, and purified water can be dispensed by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disposed at the top.

이를 위해서, 제1출수노즐에는 물의 종류를 선택하는 표시 및 입력수단(240)이 형성된다. For this purpose, a display and input means 240 for selecting the type of water is formed i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또한, 이러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기판(PCB)이 장착되고, 다수의 전원선 또는 신호 등이 배관을 따라서, 싱크대 하부에 배치된 정수기 본체와 연결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a board (PCB) must be mounted inside, and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signals must be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er body located below the sink along the pipe.

이러한 구조에서 상부의 제1출수노즐과 하부의 제2출수노즐을 각각 회전시킬 경우, 두 개의 노즐의 회전에 의해 전선 꼬임 및 엉킴 등이 발생하여, 전원선 단락 현상 및 이에 따른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부의 제1출수노즐과 하부의 제2출수노즐 사이에 결합부재(2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재(216)는 내측부재(260)의 내부 공간을 2개로 구획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공간은 전원선 및 각종 전선 통과용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를 제1중공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하나의 공간은 출수 배관 통과용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제2중공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In this structure, whe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t the top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at the bottom are each rotated, twisting and entanglement of the wires may occur due to the rotation of the two nozzles, resulting in a short-circuit phenomenon in the power line and resulting malfunctions. . To solve this problem, a coupling member 21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t the top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at the bottom. The coupling member 216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inner member 260 into two. In addition, one space is used as a space for passing power lines and various electric wires. This can also be called the first hollow. And, the remaining space can be used as a space for passing the water outlet pipe. This can also be called the second hollow.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 사이에는 누수 방지, 흔들림 방지, 회전 저항 발생 및 조작 감도 향상을 위한 제1오링(291)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재(260)에는 상기 제1오링(291)이 삽입되게 내측으로 오목한 제1삽입홈(261)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sertion part 212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 first O-ring 291 is provided to prevent water leakage, prevent shaking, generate rotation resistance, and improve operating sensitivity. This can be inserted. A first insertion groove 261 that is concave inward to allow the first O-ring 291 to be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inner member 26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서, 내측부재(260)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서 제1출수노즐(21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 내측부재(260)와 제1출수노즐(210)의 삽입부(212)의 유격이 잡힐 수 있다. 또한, 제1오링(291)에 의해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1출수노즐(21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maintained by the first O-ring 291. Additionally, shaking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prevented by the first O-ring 291.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maintained by the first O-ring 291. In addition, as friction is generated by the first O-ring 291, the rotation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proceeds smoothly,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fixed in the rotated position. You can.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삽입부(212)의 내측면 사이, 및/또는 삽입부(212)의 외측면과 상기 제2몸체(232)의 내측면 사이에는 제1각링(295)가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각링(295)는 상기 제1삽입홈(261)에 끼워진 제1오링(291)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angle ring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2, and/or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part 2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232. (295) may also be inserted. The first angle ring 295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O-ring 291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261.

상기 제1오링(291)에 의해서, 고정체인 내측부재(260)와 회전체인 삽입부(212)의 간격이 유지되고, 삽입부(212) 회전 시, 내측부재(260)와 삽입부(212) 사이에 회전저항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마찰이 생겨, 제1출수노즐(210)이 축방향으로 흔들거리지 않도록 잡아출 수 있다. By the first O-ring 291, the gap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which is a fixed body, and the insertion part 212, which is a rotating chain, is maintained, and when the insertion part 212 rotates,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sertion part 212 ), rotational resistance may occur. Additionally, friction occurs in the axia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be pulled out so that it does not shak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1각링(295)에 의해서, 제2몸체(232)와 삽입부(212)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각링(295)은 링 형상을 갖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body 232 and the insertion portion 212 can be maintained constant by the first angle ring 295. For reference, the first angle ring 295 may have a ring shape and its cross-section may be square.

도 1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제2출수노즐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부프레임이 제거된 제2출수노즐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은 제2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은 상부프레임과 하측프레임 사이에 살균수배관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5 is a view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with the upper frame removed, viewed from above. And Figure 16 is a view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viewed from below. Figure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rilizing water pipe is fix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7.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제2출수노즐(220) 역시 제1출수노즐(210)과 마찬가지로, 회전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4 to 18 , lik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20,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be limited.

일 예로, 상기 제2출수노즐(220)은 회전동작이 90도 내지 270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rotate in a range of 90 degrees to 270 degrees.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출수노즐(212)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구조가 필요하다.For this purpose, a rotation limiting structure that limits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12 is required.

제2출수노즐(220)의 경우,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의 후단(도 14 기준 우측)에 제2스토퍼(224)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e second stopper 224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right side in FIG. 14) of the lower frame 22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그리고, 상기 내측부재(260)에는 상기 제2스토퍼(224)가 삽입되는 회전제한홀(262)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제한홀(262)은 내측부재(260)의 원주방향을 따라 개방되고, 120-180도만큼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제한홀(262)에 삽입된 제2스토퍼(224)는 120-180도 범위에서만 회전되고, 결과적으로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각도는 120-180도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 회전 시, 상기 내측부재(26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Additionally, a rotation limiting hole 262 into which the second stopper 224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ner member 260. The rotation limiting hole 262 is open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ner member 260 and may be open by 120-180 degrees. Accordingly, the second stopper 224 inserted into the rotation limiting hole 262 can be rotated only in the range of 120-180 degrees, and as a result,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may be limited to 120-180 degree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rotates, the inner member 260 remains fixed.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후단(도 14를 기준으로 우측)과 상기 제2몸체(232) 하단의 외측면 사이에는 누수 방지 및 회전 저항을 발생하도록 제4오링(294)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후단에는 상기 제4오링(294)이 수평방향으로 접촉 지지되게 측벽(220c)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220c)의 하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몸체(232)의 하단에는 상기 제4오링(294)이 수용되게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측면홈(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홈(232a)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모서리 일부가 수용되는 모서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fourth O-ring 294 can be inser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upper frame 220b (right side in FIG. 14)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232 to prevent water leakage and generate rotation resistance. there is. In addition, a side wall 220c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frame 220b to support the fourth O-ring 29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extension surfac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ide wall 220c. can do. Additionally, a side groove 232a may be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body 232 to be concave inward to accommodate the fourth O-ring 294. A corner gro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groove 232a to accommodate a portion of an edge of the upper frame 220b.

또한,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과,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20b)에는 각각, 제2출수노즐(2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225,226)이 형성된다. 하부프레임(220a)의 지지돌기(226)는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부프레임(220b)의 지지돌기(225)는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각각의 지지돌기(225,226)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각 지지돌기(225,226)의 단부는 근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frame 22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the upper frame 220b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each have a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 Supporting protrusions (225,226) are formed protruding inside. The support protrusion 226 of the lower frame 220a protrudes upward, and the support protrusion 225 of the upper frame 220b protrudes downward.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225 and 226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ther, and the ends of each support protrusion 225 and 226 may be close to or in contact with each other.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돌기(225,226)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출수노즐(220) 내측에 배치되는 살균수배관(34)은 상기 지지돌기(226)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지돌기(226)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7, the support protrusions 225 and 226 may be formed on both sides. In additio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disposed insid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pass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26 and be fix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s 226.

한편, 도 18을 참조하면, 각 지지돌기(225,226)에는 체결용 구멍(225a,226a)이 형성되고, 각 구멍(225a,226a)은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나사 등을 체결하여, 상부프레임(220b)과 하부프레임(220a)을 체결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18, fastening holes 225a and 226a are formed in each of the support protrusions 225 and 226, and each hole 225a and 226a can be fastened with bolts, screws, etc. At this time, the upper frame 220b and the lower frame 220a can be fastened by fastening screws, etc. from below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상기 상부 프레임(220b)을 상면의 둘레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220a)은 하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20b)은 상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220a)은 하측으로 오목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20a)의 측벽은 상기 상부프레임(220b)의 측벽의 내측으로 수용된다. The upper frame 220b may form a side wall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frame 220a may form a side wall extending upwar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wer surface. The upper frame 220b may form a concave space upward, and the lower frame 220a may form a concave space downward. The side wall of the lower frame 220a is received inside the side wall of the upper frame 220b.

따라서,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과, 상기 제2출수노즐(2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프레임(220b)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용 구멍(226a)은 하부프레임(220a)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부프레임(220a)의 하측에서, 볼트, 나사 등을 체결용 구멍(226a)에 끼우고 각 지지돌기(225,226)의 체결용 구멍(225a,226a)을 체결하여, 하부프레임(220a)과, 상부프레임(220b)을 체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wer frame 22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nd the upper frame 220b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can be integrally fixed. The fastening hole 226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frame 220a. Therefore, the user inserts bolts, screws, etc. into the fastening holes 226a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frame 220a and fastens the fastening holes 225a and 226a of each support protrusion 225 and 226, thereby forming the lower frame 220a. ) and the upper frame (220b) can be fastened.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2삽입부(222)의 내측면 사이에는 흔들림 방지, 누수방지, 회전저항 발생, 회전 조작감 향상을 위해, 제3오링(293)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3오링(293)이 삽입되는 오링삽입홈(263)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ird O-ring 293 will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on part 222 to prevent shaking, prevent water leakage, generate rotation resistance, and improve the feeling of rotation. You can. Additionally, an O-ring insertion groove 263 into which the third O-ring 293 is inserte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서, 내측부재(260)와 제2출수노즐(220)의 제2삽입부(222)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서 제2출수노즐(22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 내측부재(260)와 제2출수노즐(220)의 제2 삽입부(222)의 유격이 잡힐 수 있다. 또한, 제3오링(293)에 의해서 마찰이 발생하면서, 제2출수노즐(220)의 회전이 부드럽게 진행되면서,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고, 제2출수노즐(220)이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can be maintained by the third O-ring 293. Additionally, shaking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can be prevented by the third O-ring 293. Additionally, the gap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can be maintained by the third O-ring 293. In addition, as friction is generated by the third O-ring 293, the rotation of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proceeds smoothly, and the feeling of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can be fixed in the rotated position. You can.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몸체(231)의 내측면 사이에는 흔들림 방지, 누수방지, 회전저항 발생, 회전 조작감 향상을 위해, 제2각링(296)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각링(296)에 의해, 축방향으로 마찰이 생겨, 제2출수노즐(220)이 축방향으로 흔들거리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angle ring 296 may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31 to prevent shaking, prevent water leakage, generate rotation resistance, and improve the feeling of rotation. there is. The second angle ring 296 generates friction in the axial dir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from shaking in the axial direction.

이때, 상기 제2삽입부(222)의 하단은 상기 제2각링(296)의 상측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부재(260)의 외측면에는, 각링삽입홈(267)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ngle ring 296. Additionally, an angle ring insertion groove 267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일 예로, 상기 각링삽입홈(267)에 제2각링(296)이 삽입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angle ring 296 may be inserted into the angle ring insertion groove 267.

다른 예로, 상기 각링삽입홈(267)에 각링지지부재(297)가 삽입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 may be inserted into the angle ring insertion groove 267.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는 상기 각링삽입홈(267)에 삽입되는 삽입부(297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는 상기 제2각링(296)이 안착되게 상기 삽입부(297c)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각링지지부(297a)을 포함한다.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297c inserted into the angle ring insertion groove 267. In addition,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 includes an angle ring support portion 297a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insertion portion 297c so that the second angle ring 296 is seated.

또한,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는 상기 각링지지부(297a)의 외측에서 수직하방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297d)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연장부(297d)는 내측부재(260)의 외측면과 상기 제1몸체(231)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수직연장부(297d)는 상기 내측부재(260)과 마주보는 내측면의 하단에 경사면(297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97b)에 의해, 상기 수직연장부(297d)의 하단의 두께가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각링지지부재(297)를 상기 내측부재(260)와 제1몸체(231) 사이에 끼우지 용이하다. Additionally,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 may form a vertical extension portion 297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side of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a.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297d is sandwich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231.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297d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297b at the bottom of the inner surface facing the inner member 260. Due to the inclined surface 297b,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extension portion 297d can be formed to be narrow. Therefore, it is easy to insert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first body 231.

상기 제2각링(296)에 의해서, 내측부재(260)와 제1몸체(231)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참고로, 제2각링(296)은 링 형상을 갖고, 그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By the second angle ring 296,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member 260 and the first body 231 can be maintained constant. For reference, the second angle ring 296 may have a ring shape and its cross-section may be square.

또한, 상기 각링지지부재(297) 및 제2각링(296)에 의해서, 제2삽입부(222)의 하단이 지지되면서, 제2출수노즐(220)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회전 동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22 is supported by the angle ring support member 297 and the second angle ring 296, so that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s fixed more stably and can rotate. there is.

또한, 상기 제2코크(229)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되는 입구(229a)와, 상기 입구(229a)와 연통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출구(229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배관(34)과 입구(229a)는 입구(229a)의 외측에 살균수배관(34)이 끼워진 상태에서, 살균수배관(34)을 가압하는 별도의 고정캡(218)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ck 229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as an inlet 229a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an outlet 229b that communicates with the inlet 229a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forme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inlet 229a are fixed by a separate fixing cap 218 that pressurizes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with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inserted outside the inlet 229a. It can be.

또한, 살균수배관(34)과 입구(229a)는 열융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수배관(34)교체 시, 제2코크(229)까지 통째로 교체가 진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inlet 229a may be joined by heat fusion. In this case, when replacing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entire second cock (229) may be replaced.

일 예로, 상기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출수노즐에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econd cock 229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can be installed and separated from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설치 시,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제2출수노즐(220)의 개방된 하측에서 상측으로 넣고, 살균수배관(34)을 회전제한홀(262)로 넣어서, 살균수배관(34)을 내측부재(260)로 넣는다. 그리고, 하부프레임(220a)을 제2출수노즐(220)에 결합한다.When installing, the lower frame 22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separated. Then, the second cock 229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re inserted from the open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limiting hole 262 to provide sterilizing water. The pipe 34 is inserted into the inner member 260. Then, the lower frame 220a is coupl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반대로, 분리시, 제2출수노즐(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하부프레임(220a)을 분리한다. 그리고,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빼낸다. 그리고, 살균수배관(34)을 회전제한홀(262)을 통해 잡아당긴다. 이때, 상기 살균수배관(34)은 제2출수밸브에서 분리된 상태이다.Conversely, when separating, the lower frame 220a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separated. Then, the second cock 229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re pulled ou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o the lower side. Then,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is pulled through the rotation limiting hole (262).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이후, 새로운 제2코크(229) 및 살균수배관(34)을 설치한 후, 하부프레임(220a)을 제2출수노즐(220)에 결합한다.Thereafter, after installing the new second cock 229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lower frame 220a is coupl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표시 및 입력수단과 제1출수노즐의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display and input means and first water outlet nozzle>

도 19는 표시 및 입력수단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0은 제1출수노즐을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은 제1출수노즐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제1출수노즐의 정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일부를 확대시킨 도면이다. Figure 19 is a view of the display and input means viewed from the bottom. Figure 20 is a view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viewed from below. Figure 2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Figure 22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FIG. 2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22.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2출수노즐(220)의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19 to 23,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dditionally,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최상측에 배치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241), 상기 플레이트(241)의 하측에 배치되는 프레임(242), 상기 프레임(242)의 하측에 배치되는 피시비(24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include a plate 241 disposed at the uppermost sid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 frame 242 disposed below the plate 241, and disposed below the frame 242. It may include PCB (243).

또한, 상기 플레이트(241)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LED를 비롯한 다양한 표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시비(243)에는 스위치, 터치센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243)에는 각종 접속단자들(243a,24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들(243a,243b)은 제1출수노즐(210)의 제1삽입부(212)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삽입부(212)를 통과한 전원선 및 각종 배선이 접속단자들(243a,243b)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1출수노즐(210) 회전 시, 전원선 및 각종 배선의 꼬임 및 엉킴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표시수단 및 스위치, 터치센서 등이 플레이트(241) 측으로 노출되게 복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ate 241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e PCB 243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display means, including LED. Additionally, the PCB 243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switch, a touch sensor, etc. Various connection terminals 243a and 243b may be formed on the PCB 243. The connection terminals 243a and 243b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that overlaps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power line and various wirings passing through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12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243a and 243b, and whe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rotates, the power line and various wirings Twisting and tangling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may be formed in the frame 242 so that the display means, switches, touch sensors, etc. are exposed to the plate 241.

상기 플레이트(241)의 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접착층의 구성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프레임(242)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42)은 상면에 상기 플레이트(241)와 면접촉되게 적어도 일부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An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late 241, and the plate 241 can be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242 by the structure of the adhesive layer. The frame 242 may have at least a portion of its upper surface formed in surface contact with the plate 241 as a flat surface.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은 상측이 개방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내측 공간(210a)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 피시비(243)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에 형성된 내측 공간(210a)에 수납되고,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may have an open upper side and an inner space 210a that is concave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frame 242 and the PCB 243 are stored in the inner space 210a formed in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the plate 241 is locat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an cover.

이때,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부 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41)의 경계부(241a)는 상기 제2출수노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플레이트(241)와 제2출수노즐(210) 사이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즉,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241)는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부에 접착 등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late 241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upper area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ccordingly, the boundary portion 241a of the plate 241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us the phenomenon of water or foreign substances flowing between the plate 241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10 is improved. It can be. In other words, waterproof performance can be improved. The plate 241 may be fixed to the top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by adhesive or other methods.

또한, 상기 프레임(242)은 평면부(242h)와 상기 평면부(242h)의 하측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측벽(242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벽(242g) 내부에 피시비(243)가 수용되면서, 피시비(243)의 방수성이 확보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ame 242 may include a flat portion 242h and a side wall 242g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flat portion 242h. And, as the PCB 243 is accommodated inside the side wall 242g, the waterproofness of the PCB 243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측벽(242g)은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후크부(242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42d)에 의해서, 상기 피시비(243)는 프레임(242)에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hook portions 242d protruding inwar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242g. The PCB 243 can be fixed to the frame 242 by the hook portion 242d.

상기 후크부(242d)는 상기 측벽(242g)의 일측(도 19 기준)하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과 후단(도19기준 우측)에 형성되고, 측벽(242g)의 타측의 후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42d)는 상기 측벽(242g)의 타측(도 19기준 상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레임(242)에서 피시비(243) 분리 시, 후크부(242d)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도 19기준 상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에서, 피시비(243)를 잡아당겨, 피시비(243)를 프레임(242)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체결용 홀(243c, 2112)은 후크부(242d)가 형성되지 않은 타측(도 19기준 상측)의 선단(도 19기준 좌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hook portion 242d is formed at the front end (left side in FIG. 19) and rear end (right side in FIG. 19) of the lower side of one side (reference to FIG. 19) of the side wall 242g, an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side wall 242g. It can be. The hook portion 242d is not formed at the front end (left side in FIG. 19) of the other side (upper side in FIG. 19) of the side wall 242g. Then, when separating the PCB 243 from the frame 242, the PCB 243 is pulled at the front end (left side in FIG. 19) of the other side (upper side in FIG. 19) where the hook portion 242d is not formed, and the PCB ( 243)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242.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s 243c and 211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left side in FIG. 19) of the other side (upper side in FIG. 19) where the hook portion 242d is not formed.

상기 피시비(243)는 프레임(242)의 하측에서 상측(도 22 기준)으로 조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크부(242d)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그 돌출두께가 점점 두꺼워 지면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시비(243)를 하측에서 상측으로 끼우면, 후크부(242d)의 경사면(242e)을 따라 피시비(243)의 양측이 이동하다가, 후크부(242d)의 상단에 피시비(243)의 양측이 끼워지면, 피시비(243)가 프레임(242)에 고정될 수 있다. The PCB 243 may be assembl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ased on FIG. 22) of the frame 242. Additionally, the hook portion 242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s its protruding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refore, when the PCB 243 is insert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both sides of the PCB 243 move along the inclined surface 242e of the hook portion 242d, and then both sides of the PCB 243 ar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hook portion 242d. When inserted, the PCB 243 can be fixed to the frame 242.

또한, 상기 프레임(242)은 상기 양 측벽(242g)의 상단을 연결하는 평면부(242h)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242h)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복수의 개방홈(242f)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242h)의 하단은 상기 피시비(243)의 상측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rame 242 may be formed with a flat portion 242h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two side walls 242g. In addition, a plurality of open grooves 242f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formed in the flat portion 242h. The lower end of the flat portion 242h may be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PCB 243.

따라서, 상기 피시비(243)의 하측은 상기 후크부(242d)에 의해 지지되고, 상측은 상기 개방홈(242f)의 하단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피시비(243)는 프레임(242)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wer side of the PCB 243 is supported by the hook portion 242d, the upper side is supported by the lower end of the open groove 242f, and the PCB 243 is securely fixed to the frame 242. It can be.

또한, 상기 피시비(243)와 제1출수노즐(210)의 하부프레임(2110)에는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체결용 홀(243c, 21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용 홀(243c, 2112)은 볼트, 나사 등으로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fastening holes 243c, 2112 are formed in the lower frame 2110 of the PCB 243 and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astening holes 243c, 2112 are bolted. , can be fastened with screws, etc.

이 경우,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서, 나사 등을 체결하여, 하부프레임(2110), 피시비(243)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frame 2110 and the PCB 243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screws, etc.,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또한,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체결용 홀(243c, 2112)을 통과한 나사 등이 체결되게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체결용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프레임(2110), 피시비(243) 및 프레임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242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groove that is concave from the bottom to the top so that screws that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243c and 2112 can be fastened. In this case, the lower frame 2110, PCB 243, and frame can be combined more reliably.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하부프레임(2110)에는 제1코크(219)가 설치되는 코크홀(2113)이 형성되고, 제2공통배관(39)이 배치되는 중공(2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2117)은 상기 삽입부(212)의 중공을 의미할 수 있다 A cock hole 2113 in which the first cock 219 is installed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2110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nd a hollow 2114 in which the second common pipe 39 is disposed is formed. You can. The hollow 2117 may mean the hollow of the insertion part 212.

또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11a)가 형성된다. In addition, protrusions 211a protruding inward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s 210 fac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에는 상기 돌기부(211a)의 상단에 안착되는 제1돌기(242c)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242c)는 외측 하단 모서리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protrusion 242c is formed on the frame 242,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11a. The first protrusion 242c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at the outer lower edge.

또한, 제1출수노즐(21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의 홈부(2115)가 상기 돌기부(219)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2115)는 하단에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2116)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s 210 facing each other, grooves 2115 that are concave inward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otrusions 219. The groove 2115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2116 sloping upward outward at the bottom.

그리고, 상기 프레임(242)의 양측에는 상기 홈부(2115)에 삽입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2돌기(242a)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242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242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15 and protrude outward.

상기 제2돌기(242a)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상기 제2돌기(242a)의 외측면에는 경사면(242b)이 형성된다. The second protrusion 242a has a shape whos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ccordingly, an inclined surface 242b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sion 242a.

따라서, 프레임(242)을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면서 조립하면, 상기 경사면(242b)이 돌기부(211a)와 접촉하면서, 하강하고, 이후, 경사면(242b)이 돌기부(211a)의 하측에 위치되면, 제2돌기(242a)가 홈부(2115)에 수용되면서, 프레임(242)이 제1출수노즐(210)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frame 242 is assembled while press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to the lower side, the inclined surface 242b descends while contacting the protruding portion 211a, and then the inclined surface 242b is mov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11a. ), the second protrusion 242a is accommodated in the groove 2115, and the frame 242 may be caught and restrained by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제1출수노즐(210)의 상면에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물 사용에 따른 물 튐 현상에 의해, 표시 및 입력수단(240)으로 물이 유입되면서, 오작동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at is accessible to the user. Therefore, water may flow into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due to water splashing caused by the use of water, which may cause malfunc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제1출수노즐(21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하고, 개방된 상부를 플레이트(241)가 덮도록 구성하였다. 플레이트(241)와 제1출수노즐(210)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에 입력용 터치 센서, 표시용 LED 등이 배치된다.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op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formed to be open, and the open top is covered with the plate 241. An internal space is formed between the plate 241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and a touch sensor for input, an LED for display, etc. ar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그리고, 플레이트(241)의 외측이 제1출수노즐(210) 대비 더 튀어나도록 형성하여, 방수성을 확보하였다. 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plate 241 wa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reby ensuring waterproofness.

또한, 제1출수노즐(210)은 내측에 복수개의 호스 고정용 후크를 배치하고, 홀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에서 표시 및 입력수단(240)을 분리하면, 상측으로 코크 및 배관이 노출되고, 방문 매니저 또는 사용자는 손쉽게 배관 및 코크를 분리 하고, 새로운 배관 및 코크를 설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has a plurality of hose fixing hooks arranged on the inside and a hole formed therein. Therefore, when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 caulk and piping are exposed to the upper side, and the visiting manager or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piping and caulk and install new piping and caulk. there is.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나사 체결, 접착, 후크 체결 등의 방식으로 하나의 모듈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에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or separated as a single module through screw fastening, adhesive, hook fastening, etc.

상기 표시 및 입력수단(240)은 제1출수노즐(210)의 하측에서 나사를 풀면 통째로 제1출수노즐(210)에서 분리된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의 상측이 개방된다. The display and input means 24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by unscrewing the screw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The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opened.

<살균수 모듈><Sterilizing water module>

도 24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살균수 생성모듈에 포함된 전극부의 단면을 도인 도면이다.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ing water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rilizing water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ectrode part included in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on modul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수모듈(150)은 케이싱(1510), 전극부(1520), 스페이서(1530), 캡(154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ing 1510, an electrode portion 1520, a spacer 1530, and a cap 1540.

먼저, 상기 케이싱(1510)은 살균수모듈(150)의 외부 몸체를 형성한다. First, the casing 1510 forms the external body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케이싱(1510)의 내측에는 상기 전극부(1520), 스페이서(153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싱(1510)은 일측이 개방되어 개구(1511)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5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510)은 적어도 일부가 납작한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10)은 적어도 일부가 길이가 긴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A space in which the electrode unit 1520 and the spacer 1530 are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casing 1510. Then, one side of the casing 1510 is opened to form an opening 1511, and a discharge pipe 1512 through which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casing 1510 may have a box shape with at least a portion of it being fl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ing 1510 may have a long box shape.

상기 케이싱(1510)에 의해 정의된 내부공간의 두께 또는 폭은 물의 입수 및 출수 시 일정한 수압이 유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internal space defined by the casing 1510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siz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constant water pressure is maintained when water is taken in and out.

상기 케이싱(1510)의 개구(1511)는 캡(154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구(1511)가 형성된 케이싱(1513)의 일측단부에는 원통형의 유입부(1513)가 형성되고, 상기 캡(1540)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1540)은 상기 개구(1511)가 형성된 케이싱(1510)의 유입부(1513)를 감싸는 형태로, 케이싱(1510)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513)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그 외경이 단계별로 점차 커지면서, 계단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1513)의 단부에는 외측면에 복수의 홈부(1513b)가 형성될 수 있다. The opening 1511 of the casing 1510 may be shielded by a cap 1540. For example, a cylindrical inlet 1513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casing 1513 where the opening 1511 is formed, and the cap 1540 may also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cap 1540 surrounds the inlet 1513 of the casing 1510 where the opening 1511 is formed, and may be coupled to the casing 1510. The inlet 1513 may have a step shape, with its outer diameter gradually increas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At the end of the inlet portion 1513, a plurality of groove portions 1513b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한편, 상기 캡(1540)은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cap 1540 may be composed of an upper cap 1541 and a lower cap 1542.

상기 상부캡(1541)은 상기 케이싱(1510)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할 수 있도록 중공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cap 1541 may have a hollow shap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sing 1510 can penetrate.

상부캡(1541)은 상기 케이싱(1510)의 토출관(1512)이 형성된 상측(도 25 기준)에서 하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541)은 상기 유입부(1513)를 상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유입부(1513)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The upper cap 1541 may be fitted from the upper side (based on FIG. 25) of the casing 1510 where the discharge pipe 1512 is formed to the lower side. In addition, the upper cap 1541 may be se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1513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inlet 1513 from the upper side.

그리고, 상기 하부캡(1542)은 케이싱(1510)의 하측에서 개구(1511)를 차폐하면서, 상기 상부캡(1541)과 체결된다. 일 예로, 상기 상부캡(1541)의 하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154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캡(1542)의 상단의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캡(1541)의 나사산(1543)이 체결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ower cap 1542 is fastened to the upper cap 1541 while shielding the opening 1511 at the lower side of the casing 1510. For example, a screw thread 1543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p 1541. In addition, a screw thread (not shown) to which the screw thread 1543 of the upper cap 1541 is fasten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cap 1542.

상기와 같이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가 체결되면, 상기 케이싱(1510)의 개구(1511)가 캡(2540)에 의해서 차폐될 수 있다.When the upper cap 1541 and the lower cap 1542 are fastened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1511 of the casing 1510 may be shielded by the cap 2540.

또한, 상기 상부캡(1541)과 하부캡(1542) 사이 또는 상기 케이싱(1510)과 캡(1540)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오링(1550)이 삽입될 수 있다. Additionally, an O-ring 1550 for sealing may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cap 1541 and the lower cap 1542 or between the casing 1510 and the cap 1540.

상기 하부캡(1542)에는 상기 살균수배관(34)에서 공급된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54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관(1544)은 필터 측 살균수 배관과 연결되고, 토출관(1512)은 출수부(200) 측 살균수 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An inlet pipe 1544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flows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p 1542. The inlet pipe 1544 may be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on the filter side, and the discharge pipe 1512 may be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on the water outlet 200 side.

또한, 상기 상부캡(1541)의 외면 그리고, 하부캡(1542)의 외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미끄럼방지용 요철(1545,154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부캡(1541)의 외면 그리고, 하부캡(1542)의 외면에는 상기 미끄럼방지용 요철(1545,1546)의 형성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홈과 돌기가 번갈아 가며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nti-slip irregularities 1545 and 1546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ap 1541 and the lower cap 1542, respectively, to prevent the user's hands from slipping. Grooves and protrusions may be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cap 154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p 1542 to form the anti-slip irregularities 1545 and 1546.

또한, 상기 케이싱(1510)은 외면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1514)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asing 15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514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urface.

상기 케이싱(1510)은 마주보는 면이 평면을 이룰 수 있다. 평면 형상의 케이싱(1510)의 외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보강리브(1514)는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 및 종방향 보강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종방향 보강리브와, 복수의 횡방향 보강리브는 교차되면서, 격자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asing 1510 may have a flat surface.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514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nar casing 15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verse reinforcing ribs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ribs. The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ribs and the plurality of transverse reinforcing ribs may intersect to form a grid pattern.

상기와 같은, 복수의 보강리브(1514)의 구성으로, 케이싱(1510)의 내압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514 as described above, the pressure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casing 1510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와 같이 케이싱(1510)과 캡(1540)에 의해서, 상기 살균수모듈(150)의 외관이 형성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xterior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formed by the casing 1510 and the cap 1540.

상기 살균수 모듈(150)은 유입관(1544)이 하측을 향하고, 토출관(1512)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관(1544)를 통해 입수된 물이 케이싱(1510)의 내측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토출관(1512)은 케이싱(1510)의 상측에 위치하여, 살균수는 토출관(1512)을 통해 케이싱(1510)의 외부로 출수될 수 있다.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may be arranged so that the inlet pipe 1544 faces downward and the discharge pipe 1512 faces upward. Accordingly, water received through the inlet pipe 1544 may flow upward from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casing 1510. The discharge pipe 151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1510, so that sterilizing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151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12.

상기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은 각각 살균수배관(34)과 연결된다. 따라서, 살균수배관(34)으로 유입된 정수는 유입관(1544)을 통해 살균수모듈(150)로 유입되고, 살균수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토출관(1512)을 통해 살균수모듈(150)을 빠져나간 뒤, 살균수배관(34)을 통해 출수부(200)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inlet pipe 1544 and discharge pipe 1512 are each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refor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flows in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through the inlet pipe 1544, and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steriliz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12. After exiting the water module 150, it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200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상기한 바와 같이, 정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544) 하측에 배치되고, 살균수가 토출되는 토출관(1512)이 상측에 구비되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물이 천천히 유동하게 되고,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측으로 포집된 후, 토출관(1512)로 빠져나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let pipe 1544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flows in is disposed, and the discharge pipe 1512 through which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s provided at the upper side, water flows slowly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After the generated bubbles are collected at the top, they can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pipe 1512.

만약, 유입관(1544)이 케이싱(1510)의 상측에 위치하면, 유입관(1544)을 통해 입수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빠르게 유동하게 되고, 정수가 전극부(1520)과 충분히 반응하지 않고 배출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원하는 살균수 농도를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inlet pipe 1544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ing 1510, the water received through the inlet pipe 1544 flows rapidly downward due to gravity, and the purified water does not sufficiently react with the electrode unit 152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be discharged without being discharge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sired sterilizing water concentration.

또한,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 살균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기포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살균수 생성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addition, if the inlet pipe 1544 and the discharge pipe 1512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 air bubbles generated dur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on process are not discharged smoothly,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ion efficiency is lowered.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관(1544)과 토출관(1512)을 상하방향으로 배치하되, 유입관(1544)이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관(1512)이 상측에 배치되게, 살균수모듈(150)을 설치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problem, the inlet pipe 1544 and the discharge pipe 1512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inlet pipe 1544 is placed at the bottom and the discharge pipe 1512 is placed at the top,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Install (150).

이에 따르면, 하측에서부터 상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서 물과 전극부(1520)의 접촉면적이 확장됨으로써 전극부(1520)과 물의 화학반응에 따른 살균수 생성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 the water level gradually ri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ater and the electrode unit 1520 expands,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generating sterilizing water due to a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electrode unit 1520 and water.

상기 케이싱(1510)의 내측에는 케이싱(1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된다. Inside the casing 1510, a flow path through which water can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ing 1510 is formed.

상기와 같은 케이싱(15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1520)가 서로 오버랩(overlap)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510)의 내부에는 두 개의 전극부(1520)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530)가 구비될 수 있다. Inside the casing 1510 as described above, two electrode units 1520 may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dditionally, a spacer 153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sing 1510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two electrode units 1520.

상기 전극부(1520)는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510)은 내측면에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되게 잡아주는 홀더(미도시)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The electrode unit 1520 includes a first electrode 1521 and a second electrode 1522. The casing 151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holders (not shown) on its inner surface to securely hol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일 예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다른 예로, 제1전극(1521)은 판형으로 구비되고, 제2전극(1522)은 일측과 타측이 마주보게 접힌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522)은 'U'자 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521 may be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be provided in a folded shape with one side facing the other. 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have a 'U' shaped cross section.

제2전극(1522)은 상호 마주보는 한쌍의 전극판(1522a,1522b)과, 상기 전극판(1522a,1522b)의 일측을 연결하는 굽힘부(1522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include a pair of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facing each other, and a bent portion 1522c connecting one side of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상기 굽힘부(1522a)에는 절개된 형상의 슬릿(1522d)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one slit 1522d having a cut shape may be formed in the bent portion 1522a.

상기 제1전극(1521)은 상기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52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은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는 갭(G)이 형성된다.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ar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nd remai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a gap G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또한, 상기와 같이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 형성된 갭(G)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또는 상기 전극판들(1522a,1522b) 사이에는 스페이스(1530)가 삽입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gap G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as described above,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or A space 1530 is insert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상기 스페이서(153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530)는 상기 슬릿(1522d)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슬릿(1522d)은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2개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1530)역시, 상기 슬릿(1522d)에 대응하여, 2개 구비될 수 있다.The spacers 15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he spacer 1530 may be inserted into the slit 1522d. For example, two slits 1522d may be provide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spacers 1530 may also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lits 1522d.

상기 스페이서(1530)는 상기 전극(15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중심부(1531)와, 상기 중심부(1531) 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중심부(15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돌기부(153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pacer 1530 includes a central portion 1531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1520,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 1532).

일 예로, 상기 돌기부(1532)는 상기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끼워져, 전극판(1522a,1522b) 사이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trusion 1532 may be insert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다른 예로, 상기 돌기부(1532)는 상기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에 끼워져, 전극판(1522a,1522b)과 제1전극(1521) 사이 간격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rotrusion 1532 may be insert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530)가 중심부(1531)와 돌기부(1532)로 형성되면, 상기 전극(1521ㅡ1522)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상기 돌기부(1532) 사이를 통해서, 물이 유동할 수 있어, 물의 유동저항이 줄어들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acer 1530 is formed of the central portion 1531 and the protruding portion 1532,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s 1521 and 1522 is maintained, and water can flow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s 1532. , the flow resistance of water may be reduced.

또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에는 각각 단자부(1523,1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에는 상기 단자부(1523)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돌출되고, 곡면으로 이루어진 파지부(1521a)가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respectively. A gripping portion 1521a that protrudes and has a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521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1523.

상기 단자부(1523,1524)는 상기 하부캡(1542)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523,1524)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may penetrate the lower cap 1542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may b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상기 케이싱(1513)의 유입부(1513)에는 내측면에 상기 단자부(1523,1524)가 고정되는 끼움부(151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캡(1542)에는 상기 단자부(1523,1524)가 통과하는 통과홀(154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과홀(1547)과 단자부(1523,1524) 사이에는 누수방지를 위해 오링(1561,1562)이 삽입될 수 있다. A fitting portion 1513a to which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are fixed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let portion 1513 of the casing 1513. Additionally, a through hole 1547 through which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pass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p 1542. Additionally, O-rings 1561 and 1562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hrough hole 1547 and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to prevent water leakage.

한편, 하부캡(1542) 외측으로 노출된 단자부(1523,1524)를 통해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염소이온이 녹아 있는 물(정수)을 전기분해하여 살균력을 갖는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할 수 있다. 차아염소산수는 특성 상, 기포가 다량 포함되고, 뿌옇게 출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포가 많이 포함된 살균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정수와 살균수를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살균수의 농도는 사용자가 음용 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될 수 있다. Meanwhile, through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ap 1542,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ar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and supplied with water (purified water) in which chlorine ions are dissolved. By electrolyzing, hypochlorous acid water with sterilizing power can be produced. Due to its nature, hypochlorous acid water contains a large amount of bubbles and comes out cloudy.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erilizing water containing many bubbles and distinguish between purified water and sterilizing water. At this time,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can be set 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problems when the user drinks it.

또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고체고분자 전해질막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수중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유도하여 고농도의 오존을 생성함에 따라 강력한 살균력을 가진 오존이 혼합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induce an electrolysis reaction in water to generate high concentration of ozone, which has strong sterilizing power. This mixed sterilizing water can also be produced.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극(1521,1522) 각각에 단자부(1523,1524)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전류)이 단자부(1523,1524)를 통해 전극(1521,1522)으로 인가될 수 있다. 단자부(1523,1524) 각각은 각 전극(1521,1522)의 일측에서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캡(1542)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1523,1524) 각각은 전극(1521,1522)의 가로방향(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ar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electrodes 1521 and 1522, so that external power (current) can be applied to the electrodes 1521 and 1522 through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each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from one side of each electrode 1521 and 1522, and may extend through the lower cap 1542 to protrude outward. Additionally, the terminal portions 1523 and 152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electrodes 1521 and 1522.

상기와 같이, 전극부(1520)가 평판형의 제1전극(1521)과, 접힌 형상의 제2전극(1522)으로 구비되면,As described above, when the electrode unit 1520 is provided with a flat first electrode 1521 and a folded second electrode 1522,

전극부(1520)의 크기가 작아지고, 결과적으로 살균수모듈(150)의 크기가 작아질 수 있다.The size of the electrode unit 1520 may become smaller, an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may become smaller.

반면, 제2전극(1522)이 접힌 형상을 갖고, 제1전극(1521)이 상기 제2전극(1522)의 전극판(1522a,1522b)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과 전극(1521,1522)의 접촉면적이 향상될 수 있고, 나아가 전극(1521,1522)과 물의 화학반응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second electrode 1522 has a folded shape and the first electrode 1521 is disposed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22a and 1522b of the second electrode 1522, water and electrodes 1521 and 1522 The contact area can be improved, and furthermore,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electrodes 1521 and 1522 and water can be efficiently increased.

참고로,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마주보는 면에 코팅이 진행되어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티타늄(Ti)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이리듐(Ir)과 백금(Pt)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521)과 제2전극(1522)은 0.5mm의 두께를 구비하고, 상기 코팅층은 1.6㎛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제1전극(1521)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제2전극(1522)의 상호 마주보는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be coated on opposing surfaces to form a coating layer. For example,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be formed of titanium (Ti). Additionally,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ixture of iridium (Ir) and platinum (Pt). The first electrode 152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2 may have a thickness of 0.5 mm, and the coating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1.6 μm.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electrode 1521. Additionally, th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s 1522 facing each other.

상기와 같은 살균수 모듈(15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제2출수노즐(210)을 통해서, 싱크대로 제공되고,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해서, 설거지, 과일세척 등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ted sterilizing water is provided to the sink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10, and the user can use the sterilizing water to wash dishes, wash fruit, etc.

*442*442

*이하, 살균수모듈 및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하우징 내 배치 및 결합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structure within the housing of th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valve will be described.

도 27은 살균수모듈 및 제어부가 필터 브라켓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8은 필터 브라켓의 일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Figure 2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control unit coupled to the filter bracket. Figure 28 is a front view showing part of the filter bracket.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 및 각종 밸브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70)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FIGS. 27 and 28, a filter 120 for purifying water and a filter bracket 170 on which various valves are mounted ar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10.

상기 필터 브라켓(170)은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113, 도 1 참조)에 인접하도록,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lter bracket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10 adjacent to the front cover 113 (see FIG. 1)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10.

상기 필터 브라켓(170)의 하측에는 필터(120)가 결합되고, 상측에는 살균수모듈(150)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60)가 결합될 수 있다. A filter 12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bracket 170, and a control unit 160 for controlling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박스 형상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bracket 170. The control unit 160 may include a box-shaped case.

일 예로, 상기 필터 브라켓(170)과 제어부(160)에는 상호 마주보는 위치에 나사 체결공(174)을 형성하고, 필터 브라켓(170)과 제어부는 나사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에는 일측 또는 양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에 체결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ilter bracket 170 and the control unit 160 may have screw fastening holes 174 form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filter bracket 170 and the control unit may be coupl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At this time,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control unit 160, and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다른 예로,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는, 필터 브라켓(170)의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제1연장부(171), 상기 제1연장부(171)의 단부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 제2연장부(172)를 포함하는 제1연장돌기(173)를 형성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filter bracket 17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171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170,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71. A first extension protrusion 173 including a second extension portion 172 may be formed.

상기 제2연장부(172)는 상기 제어부(160)의 일측면의 하측과 접촉하면서, 제어부(16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part 172 may support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160 while contacting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160 .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는, 필터 브라켓(170)의 내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171) 보다 상측에 위치된 제3연장부(176), 상기 제3연장부(176)의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제4연장부(177)를 포함하는 제2연장돌기(178)를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er bracket 170 includes a third extension 176, which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bracket 170 and is located above the first extension 171. A second extension protrusion 178 including a fourth extension 177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portion 176.

상기 제4연장부(172)는 상기 제어부(160)의 일측면의 상측과 접촉하면서, 제어부(160)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The fourth extension 172 may support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160 while contacting the upper side of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160.

상기 제1연장돌기(173) 및 제2연장돌기(178)는 상호 대칭되게, 상기 필터 브라켓(17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173 and the second extension protrusion 178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lter bracket 170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필터 브라켓(170)에는, 상기 제어부(160)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프론트커버(113, 도 1 참조)가 구비된 전방을 향해 연장된 지지턱(179)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jaw 179 extending forward and equipped with a front cover 113 (see FIG. 1) may be formed on the filter bracket 170 to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unit 160.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필터 브라켓(170)의 상측에 배치 및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can be placed a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bracket 170.

즉, 상기 필터 브라켓(170)의 하측에는 필터(120)가 장착되고, 필터 브라켓(170)의 상측에는 균수모듈(150) 및 살균수모듈(150)에 전기적 신호를 주는 제어부(PCB Assembly, 160)가 장착된다. That is, the filter 120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bracket 170, and the control unit (PCB Assembly, 160) that provides electrical signals to the bacterial water module 150 and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bracket 170. ) is installed.

기존 정수기에 살균수 출수 기능을 추가하면서, 하우징(110)내부에 살균수 생성 기능을 하는 살균수모듈(150)과 전기적 신호를 주는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배치할 수 밖에 없다.While adding a sterilizing water discharge function to an existing water purifier, there is no choice but to place a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that functions to generate sterilizing water and a control unit (PCB Assembly, 160) that provides an electrical signal inside the housing 110.

기존 정수기에서, 구조적으로 큰 변경 없이 살균수모듈(150) 및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추가하기 위해 살균수모듈(150)의 부피를 최소화시켰고, 살균수 출수 유로를 추가시켰다.In the existing water purifier, in order to add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control unit (PCB Assembly, 160) without major structural changes, the volume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was minimized and a sterilizing water outlet flow path was added.

또한, 필터(120)를 거친 정수가, 살균수모듈(150) 내부에 있는 티타늄 소재의 전극에 백금과 이리듐을 코팅하여 구성한 살균수모듈(150)을 통과하면서, 차염소산이 발생하면서 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passes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which is formed by coating platinum and iridium on a titanium electrode insid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hypochlorous acid is generated and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It can be.

본 발명의 경우, 살균수모듈(150) 및 살균수모듈(150)에 전기적 신호를 주는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하우징(110) 내에 장착하기 위해, 기존 정수기에 사용하고 있는 필터 브라켓(170)의 금형 만을 수정하여 살균수모듈(150) 및 제어부(PCB Assembly, 160)를 안착 및 결합시키는 구조를 간편하게 구현하였다. 또한, 필터(120)와 살균수모듈(150)을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unt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control unit (PCB assembly, 160) that provide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n the housing 110, the filter bracket 170 used in the existing water purifier is used. ) By modifying only the mold, the structure for seating and combining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control unit (PCB Assembly, 160) was easily implemented. Additionally, the length of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filter 120 and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may be set to a minimum.

<살균수 출수제어><Sterilizing water discharge control>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살균수가 출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살균수 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Figure 2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 process in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0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1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discharging sterilizing water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9를 참조하면, 원수는 필터(120)를 통과하여, 정화된 정수는 유입밸브(35) 및 유량센서(36)을 거친 뒤, 살균수모듈(44)로 유입된다.First, referring to FIG. 29, raw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120, and the purified purified water passes through the inflow valve 35 and the flow sensor 36 and then flows in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44.

살균수모듈(44)을 통과한 정수는 살균수로 변하게 되고, 살균수모듈(44)에서 출수된 살균수는 제2출수밸브(62)로 유입된다.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44 is changed into sterilizing water, and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44 flows into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이후, 제2출수밸브(62)의 개방 위치에 따라, 제2출수밸브(62)로 유입된 살균수는 출수부(200)로 유입되어,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거나, 드레인 배관(50)을 통해서, 배수구로 버려질 수 있다. Thereafter, depending on the opening posi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the sterilizing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flows into the water outlet unit 200 and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 can be discarded into the drain through the drain pipe 50.

상기 제2출수밸브(62)는 제어부(160)에 의해, 개폐된다. 상세히, 제어부(160)에서,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의 개방을 지시하면,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개방하여, 유입된 살균수를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공급한다.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160. In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160 instructs the opening of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open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The inflow sterilizing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반면, 상세히, 제어부(160)에서,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의 개방을 지시하면,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하여, 유입된 살균수를 드레인 배관(50) 측으로 전달한다. On the other hand, in detail, when the control unit 160 instructs the opening of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open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to allow inflow. The sterilizing water is delivered to the drain pipe (50).

한편, 상기와 같이, 살균수모듈(150)을 통해서, 정수를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다 보면, 살균수 출수 후, 케이싱(1510)의 내부 또는 전극부(1520) 등에는 차아염소산수가 잔존하고, 이에 따라 전기분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 살균수배관(34), 제2출수밸브(62), 제2출수노즐(220)에, 변색,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sterilizing water is generated by electrolyzing purified water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hypochlorous acid water remains inside the casing 1510 or the electrode portion 1520 after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And, as a result, electrolysis performance may deteriorate. Additionally, problems such as discoloration and corrosion may occur i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상세히, 아래 화학식1과 같이, 물에 포함된 망간이온(Mn2+ )이 빠르게 산화망간 형태로 침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In detail, as shown in Chemical Formula 1 below, a problem occurs in which manganese ions (Mn2+) contained in water quickly precipitate in the form of manganese oxide.

[화학식 1][Formula 1]

HOCl + Mn2+ + H2O → 2MnO2(s) + Cl- + 3H+ HOCl + Mn 2+ + H 2 O → 2MnO 2(s) + Cl - + 3H +

따라서, 살균수 출수 후, 살균수모듈(150), 살균수배관(34), 제2출수노즐(220)등의 세척 및 드레인이 필요하다.Therefore, after discharging the sterilizing water, it is necessary to clean and drai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nozzle 220.

도 30은 살균수모듈(150)의 세척을 위한 제어방법을 도시하였다.Figure 30 shows a control method for cleaning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도 30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가 살균수 출수를 요청하면, 살균수가 출수될 수 있다.(S110) Referring to Figure 30, first, when the user requests sterilizing water to be dispensed, sterilizing water can be dispensed (S110).

이때, 살균수 1회 출수량은 기준값으로 자동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mount of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once can be automatically set to the standard value.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차폐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개방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shield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opened. Exit 1 is open. T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이에 따라서,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는 살균수모듈(150)을 거친 뒤, 살균수 형태로 전환되어 제2출수노즐(220)로 공급되고, 사용자는 살균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120 passes through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converted into sterilizing water,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nd the user can receive sterilizing water.

이후, 사용자로부터 강제정지명령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Afterwards, it is determined whether a forced stop command is issued from the user (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되면, 후술되는 드레인을 진행하는 단계(S190)가 진행된다.If a forced stop occurs in step S120, a draining step (S190)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반면, S12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2출수노즐(220)로 출수된 세척수 양(누적 pulse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세척 pulse값)을 비교한다. (S130)On the other hand, in step S120, if a forced stop does not occur,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accumulated pulse value)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washing pulse value). (S130)

상기 S130단계에서, 출수된 세척수 양(누적 pulse값)이 기 설정된 기준값(세척 pulse값)을 초과하면, 살균수 생성이 중단되고, 살균수 모듈(150)로 유입된 정수는, 정수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S140)In step S130, if the amount of discharged washing water (accumulated pulse value)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value (washing pulse value), the generation of sterilizing water is stopped, and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in the form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user. (S14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차폐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개방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shield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opened. Exit 1 is open. T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cut off.

이후, 사용자로부터 강제정지명령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재판단한다.(S150)Afterwards, it is re-determined whether a forced stop command is issued from the user (S150).

상기 S15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되면, 후술되는 드레인을 진행하는 단계(S190)가 진행된다.If a forced stop occurs in step S150, a draining step (S190)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반면, S150 단계에서, 강제정지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2출수노즐(220)로 출수된 정수의 양(누적값)과 기 설정된 목표값을 비교한다. (S160)On the other hand, in step S150, if a forced stop does not occur, the amount (accumulated value) of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s compared with a preset target value. (S160)

상기 S160단계에서, 출수된 정수의 양(누적 pulse값)이 기 설정된 목표값(목표 pulse값)을 초과하면, 제2출수노즐(220)로의 정수의 출수를 정지하고, 드레인을 진행한다.(S170)In step S160, if the amount (accumulated pulse value) of the discharged purified water exceeds the preset target value (target pulse value), the discharge of purified water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s stopped and draining is performed. ( S17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차폐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e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open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opened. Exit 1 is shielded. T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cut off.

그리고, 드레인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만큼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rain has progressed for the preset reference time (S180).

일예로, 기준시간은 약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andard time may be set to about 10 seconds.

이후, 드레인이 기준시간 동안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면, 드레인을 정지한다.(S190)Afterwa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 has proceeded for the standard time, the drain is stopped (S19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 역시 차폐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도 차폐되며,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 역시 차폐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also shielded, the second outlet valve 62 is also shielded,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is also shielded,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also shielded. Exit 1 is also shielded. T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remains cut off.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살균수의 출수가 완료 후, 정수를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공급하여, 살균수모듈(15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의 세척이 진행되고, 제2출수노즐(220) 또한 세척될 수 있다. 따라서, MnO2에 의한 유로변색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이 진행되면서, 살균수모듈(150) 및 살균수배관(44)의 잔수가 드레인배관(50)을 통해 배수구로 배출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after the discharge of the sterilizing water is completed,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the pipe connecting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is cleaned. ,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may also be cleaned. Therefore, discoloration of the channel due to MnO2 can be prevented. Additionally, as draining progresses, residual water from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44 may be discharged into the drain through the drain pipe 50.

일 예로, 상기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은 120ml, 500ml, 1000ml 로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ne-time discharg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may be set to 120ml, 500ml, or 1000ml.

그리고,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이 120ml인 경우, 상기 기준값(pulse값)은 205이고, 목표값(pulse값)은 248로 설정될 수 있다. And, when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at one time is 120ml, the reference value (pulse value) can be set to 205 and the target value (pulse value) can be set to 248.

또한,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이 500ml인 경우, 상기 기준값(pulse값)은 849이고, 목표값(pulse값)은 999로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at one time is 500 ml, the reference value (pulse value) can be set to 849, and the target value (pulse value) can be set to 999.

또한, 세척수의 1회 출수량이 1000ml인 경우, 상기 기준값(pulse값)은 1848이고, 목표값(pulse값)은 1998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shing water discharged at one time is 1000 ml, the reference value (pulse value) can be set to 1848, and the target value (pulse value) can be set to 1998.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상기 살균수모듈(150)은 드레인이 진행된 후,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살균수모듈(150)에서 드레인배관(50)으로 유동시키면서 각 전극(1521,1522)에 전류 방향을 반대로 인가하는 역전 단계를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전극(1521,1522)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역전 단계가 진행된 후, 추가 드레인이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flows the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from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to the drain pipe 50 and directs the current to each electrode (1521 and 1522) after draining. Conversely,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odes 1521 and 1522 may be secured by additionally performing an applied reversal step. Additionally, after the above reversal step is performed, additional draining may optionally be performed.

또한, 전류 방향을 반대로 역전시킨 상태에서, 일정 기간 동안 살균수가 생성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with the current direction reversed, sterilizing water may be gen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도 31은 드레인을 위한 제어방법을 도시하였다.Figure 31 shows a control method for drain.

도 31을 참조하면, 먼저, 드레인이 진행된다.(S210)Referring to FIG. 31, first, drain is performed (S210).

상기와 같은 드레인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진행될 수 있고,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Draining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manipulation by the user,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후자의 경우, 제2출수노즐(220)로 출수된 세척수 및 정수의 양(누적값)이 기 설정된 목표값을 초과하는 경우이며, 이 경우, 제2출수노즐(220)로의 세척수 또는 정수의 출수를 정지하고, 드레인이 자동으로 진행된다. In the latter case, the amount (accumulated value) of washing water and purifi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exceeds the preset target value. In this case, the discharge of washing water or purified water in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stops, and draining proceeds automatically.

S210단계에서,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는 개방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하고,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는 차폐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다.In step S210, the water intake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ed,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open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The connected first outlet is shielded. T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cut off.

상기와 같이 드레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제어부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냉수, 온수, 정수 출수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20) In the process of draining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request for dispensing cold water, hot water, or purified water from the user. (S220)

만약, S22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냉수, 온수, 정수 출수명령이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드레인이 중단된다.(S250)If, in step S220, it is determined that a command to dispense cold water, hot water, or purified water has been issued from the user, draining is stopped (S250).

그리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 또는 정수가 출수된다.(S260)Then, cold water, hot water, or purified water is dispensed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S260).

*510*510

*반면, S22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냉수, 온수, 정수 출수명령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드레인이 기설정된 기준시간만큼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On the other hand, in step S220, if the command to dispense cold water, hot water, or purified water by the user does not occur, it is determined whether draining has progressed for the preset reference time (S230).

일 예로, 기준시간은 약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reference time may be set to about 10 seconds.

이후, 드레인이 기준시간 동안 진행되었다고 판단되면, 드레인을 정지한다.(S240)Afterward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ain has proceeded for the standard time, the drain is stopped (S240).

이때, 입수밸브(35), 살균수밸브(44) 역시 차폐되고, 제2출수밸브(62)는 드레인 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도 차폐되며,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 역시 차폐된다. 그리고, 살균수모듈(150)에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한다. At this time, the water intake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also shielded, the second outlet valve 62 is also shielded,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is also shielded, and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also shielded. Exit 1 is also shielded. Then, the power supply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remains cut off.

상기한 바에 따르면, 드레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냉/온/정수 출수요청이 발생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냉/온/정수 출수가 즉각적으로 진행되게 드레인을 중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는 드레인 여부에 관계없이 원하는 온도의 정수를 즉시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이 커질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in the process of draining, if a request for cold/hot/pure water discharge occurs from the user, the drain is stopped so that the cold/hot/pure water discharge according to the user's request proceeds immediately. Therefore, the user Regardless of whether it is drained or not, purified water at the desired temperature can be immediately provided, thereby increasing the satisfaction felt by the user.

도 32는 살균수 정량 출수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3은 살균수 정량 출수 전, 강제종료 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 도 34는 살균수 정량 출수 전, 냉/온/정 수 출수시, 살균수모듈과 각 밸브의 동작상태를 보인 타이밍도이다.Figure 32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each valve when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Figure 33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each valve before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and during forced shutdown. Figure 34 is a timing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and each valve before dispensing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and when dispensing cold/hot/pure water.

먼저, 도 32를 참조하면, 살균수 정량 출수 시, 살균수 출수가 완료되면, 정수가 출수되면서, 배관 세척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32, when dispensing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t can be seen that when sterilizing water is completed,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and piping cleaning is in progress.

상세히,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가 요청되면,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가 개방(on)된다. In detail, when a user requests the discharge of sterilizing water, power is supplied (on)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ed (on). And, the first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opened (on).

그리고, 살균수가 정량 출수되면, 살균수 출수가 종료되고, 제2출수노즐(220)로 정수가 출수되면서, 살균수모듈(150)과 제2출수노즐(220) 사이의 배관 세척이 진행된다. 이 과정에서, 제2출수노즐(220) 역시 세척이 진행된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개방(on)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Then, when the sterilizing water is dispensed in a fixed quantity, the sterilizing water dispensing ends,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nozzle 220, and cleaning of the pipe between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ing nozzle 220 proceeds. In this process,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also cleaned. At this time, the power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turned off,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remain open (on).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maintain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n an open stat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or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may be set to 5 seconds.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을 통해서, 살균수 출수 후, 정수가 출수되면, 사용자는 살균수를 이용해서, 과일, 채소, 그릇 등을 세척하고, 이어서 나오는 정수로 과일, 채소, 그릇 등의 피세척물에 묻은 살균수를 손 쉽게 헹궈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fter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when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he user uses the sterilizing water to wash fruits, vegetables, dishes, etc., and then uses the purified water to wash the fruits, vegetables, and dishes. You can easily rinse off the sterilizing water on your back.

상기와 같이, 제2출수노즐(220)을 통한 정수출구가 완료되면, 드레인이 시작된다. 이 과정에서, 살균수모듈(150)과 살균수배관(34)의 잔수가 드레인유로(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utlet of purified water through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completed, draining begins. In this process, residual water from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50.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remains turned off, and the inlet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remain open (on). Then,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close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opens (on)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or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50 may be set to 10 seconds.

그리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대기모드로 돌입한다. 대기모드에서,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된다. And, when drain is completed, it enters standby mode. In standby mod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remains turned off,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closed.

도 32에서, 제2출수밸브(62)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된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제2출수밸브(62)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In FIG. 32, when the first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open, it means that the second outlet is blocked. Conversely, when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open, the first outlet is blocked. This may mean being blocked.

즉, 제2출수밸브(62)에서,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2출수밸브(62)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discharge of water to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and from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ide, it can be understood that discharge of water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blocked.

한편, 도 33을 참조하면, 살균수 정량 출수가 완료되기 전, 사용자로부터 강제종료가 요청되면, 바로 드레인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33, it can be seen that if a forced shutdown is requested by the user before the discharge of a fixed amount of sterilizing water is completed, draining proceeds immediately.

상세히,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가 요청되면,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가 개방(on)된다. In detail, when a user requests the discharge of sterilizing water, power is supplied (on)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ed (on). And, the first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opened (on).

그리고, 살균수가 정량 출수 되기전, 살균수 강제 종료 요청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강제종료가 입력되면, 살균수 출구가 종료되고, 곧 바로 드레인이 시작된다.And, before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n the correct quantity, a request for forced termina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occurs. As above, when forced termination is input, the sterilizing water outlet is terminated and draining begins immediately.

이 과정에서, 살균수모듈(150)과 살균수배관(34)의 잔수가 드레인유로(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residual water from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50.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turned off, and the inlet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remain open (on). Then,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close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opens (on)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or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50 may be set to 10 seconds.

그리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대기모드로 돌입한다. 대기모드에서,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된다. And, when drain is completed, it enters standby mode. In standby mod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remains turned off,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closed.

도 33에서, 제2출수밸브(62)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되고, 반대로, 제2출수밸브(62)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FIG. 33, when the first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opened, the second outlet is blocked, and conversely, when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opened, the first outlet is blocked. It can be understood.

즉, 제2출수밸브(62)에서,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2출수밸브(62)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discharge of water to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and from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ide, it can be understood that discharge of water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blocked.

상기한 바에 따르면, 살균수가 정량 출수되지 않은 경우에는 곧바로 드레인을 진행하고, 살균수의 정량출수가 진행된 경우에만, 제2출수노즐(220)로 정수를 공급하면서 1차 세척을 진행하고, 1차 세척이 종료되면 드레인을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if the sterilizing water is not discharged in a fixed amount, draining is performed immediately, and only when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n a fixed amount, the first washing is performed while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the first washing is performed. Once cleaning is complete, you can proceed with draining.

드레인이 설정시간 동안 진행되지 않고 냉/온/정수 출수 요청에 의해 강제 종료된 경우, 냉/온/정수 출수 후, 드레인이 재진행되면서, 배관 세척이 확실히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f the drain does not proceed for the set time and is forcibly terminated by a request for dispensing cold/hot/pure water, the drain is restarted after the dispensing of cold/hot/pure water,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piping cleaning can be carried out reliably.

한편, 도 34를 참조하면, 드레인 진행 중, 냉/온/정수 출수요청 시, 드레인이 중지되고, 냉/온/정수 출수가 진행된 후, 드레인이 재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34, it can be seen that when a request is made for discharging cold/hot/pure water while draining is in progress, draining is stopped, and after discharging cold/hot/pure water proceeds, draining is resumed.

상세히, 사용자로부터 살균수 출수가 요청되면, 살균수모듈(150)에 전원이 공급(on)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가 개방(on)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가 개방(on)된다. In detail, when a user requests the discharge of sterilizing water, power is supplied (on) to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opened (on). And, the first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opened (on).

그리고, 살균수가 정량 출수 되기전, 살균수 강제 종료 요청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강제종료가 입력되면, 살균수 출구가 종료되고, 곧 바로 드레인이 시작된다.And, before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in the correct quantity, a request for forced termina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occurs. As above, when forced termination is input, the sterilizing water outlet is terminated and draining begins immediately.

이 과정에서, 살균수모듈(150)과 살균수배관(34)의 잔수가 드레인유로(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residual water from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and the sterilizing water pipe 34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assage 50. At this tim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turned off, and the inlet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remain open (on). Then,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close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opens (on)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or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50 may be set to 10 seconds.

상기와 같이 드레인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드레인이 종료되기전 사용자로부터 냉/온/정수 출수가 요청된다. In the process of draining as described above, cold/hot/purified water is requested from the user before draining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냉/온/정수 출수가 입력되면, 드레인이 종료되고, 곧 바로 냉/온/정수 출수가 진행된다. 냉/온/정수 출수 과정에서,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제1출구를 개방한다. When cold/hot/pure water discharge is input as described above, draining is completed and cold/hot/pure water discharge proceeds immediately. During the cold/hot/pure water dispensing proces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open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그리고, 상기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되고, 유입밸브(35)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n,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is closed, and the inlet valve 35 remains open.

그리고, 냉/온/정수가 정량 출수되면, 냉/온/정수 출수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냉/온/정수 출수 종료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제1출구를 차단하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할 수 있다. And, when the correct amount of cold/hot/pure water is dispensed, the cold/hot/pure water dispensing ends. To terminate the cold/hot/pure water discharg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block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 0 and open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can do.

그리고, 드레인이 재진행된다. Then, the drain is restarted.

이 때,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개방(on)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2출수밸브(62)는 제2출수노즐(220)과 연결된 제1출구를 닫고, 드레인배관(50)과 연결된 제2출구를 개방(on)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일 예로, 상기와 같이 드레인배관(50)으로 정수가 출수되는 시간은 10초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is turned off, and the inlet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remain open (on). And,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closes the first outl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and maintains the second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pipe 50 in an open state.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time for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from the drain pipe 50 may be set to 10 seconds.

그리고, 드레인이 완료되면, 대기모드로 돌입한다. 대기모드에서, 살균수모듈(150)은 전원이 차단(off)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입밸브(35)와 살균수밸브(44)는 차단(close)된다. And, when drain is completed, it enters standby mode. In standby mode, the sterilizing water module 150 remains turned off, and the inflow valve 35 and the sterilizing water valve 44 are closed.

도 34에서, 제1출수밸브(61)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되고, 반대로, 제1출수밸브(61)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FIG. 34, when the first outlet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opened, the second outlet is blocked, and conversely, when the second outlet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opened, the first outlet is blocked. It can be understood.

즉, 제1출수밸브(61)에서,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1출수밸브(61)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1출수노즐(21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discharge of water to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an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ide, it can be understood that discharge of water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is blocked.

또한, 제2출수밸브(62)의 제1출구가 개방되면, 제2출구는 차단되고, 반대로, 제2출수밸브(62)의 제2출구가 개방되면, 제1출구는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irst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opened, the second outlet is blocked, and conversely, when the second outlet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62 is opened, the first outlet is understood to be blocked. You can.

즉, 제2출수밸브(62)에서,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드레인배관(5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고, 제2출수밸브(62)에서, 드레인배관(50)측으로 물을 공급하면, 제2출수노즐(220) 측으로 물의 배출이 차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at is, when water is supplied from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to the second water discharge nozzle 220, discharge of water to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and from the second water discharge valve 62, the drain pipe 50 is blocked. When water is supplied to the side, it can be understood that discharge of water to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220 is blocked.

상기한 바에 따르면, 드레인이 설정시간 동안 진행되지 않고 냉/온/정수 출수 요청에 의해 강제 종료된 경우, 냉/온/정수 출수 후, 드레인이 재진행되면서, 배관 세척이 확실히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if the drain does not proceed for the set time and is forcibly terminated by a request for discharging cold/hot/pure water, the drain is restarted after discharging cold/hot/pure water, and the advantage is that piping can be cleaned clearly. there is.

<온수출수제어><Water discharge control>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의 온수출수를 위한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Figure 3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hot water discharge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6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for hot water discharge from a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5를 참조하여, 출수되는 온수가 '첫잔'일 경우 온수 출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35, the hot water dispensing process when the hot water dispensed is the 'first cup' will be described.

첫잔 및 반복잔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standards for first and repeat drinks can be set in various ways.

일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n번째'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n-1번째' 온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이 약 3분을 경과한 경우, 첫잔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cup and the repeat cup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n-1th' hot water dispenser when the 'nth' hot water dispensing command is input. If the waiting time has passed about 3 minutes, it can be judged as the first drink.

다른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의 온수 또는 온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 등에 따라 판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drink and the repeat drink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half and the repeat half may b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and the remaining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half and the repeat half may b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remaining water sens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먼저, 사용자가 출수버튼(240)을 누르면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다.(S301)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outlet button 240, a command to dispense hot water is input (S301).

그리고, 첫잔 또는 반복잔 여부가 판단되고, 첫잔일 경우, 곧 바로 예열이 진행된다.(S302)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the first drink or a repeat drink, and if it is the first drink, preheating begins immediately (S302).

예열 상태에서, 제1출수밸브(61)와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S303,S304,S305)In the preheating state, the first outlet valve 61, the inlet valve 35, and the hot water valve 43 remain closed. (S303, S304, S305)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may have its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open.

그리고, 예열 종료 후, 기 설정된 고정출력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고, 실시간 온도제어가 진행된다.(S306)Then, after preheating is completed, the preset fixed output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30, and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S306).

일 예로, 상기 S306단계에서, 온수탱크(13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미도시)의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ep S306,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not shown) that heats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kept constant.

다른 예로, 상기 S306단계에서, 온수탱크(13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미도시)의 출력을 실시간으로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온수탱크(130)의 온도 또는 온수탱크(130)에서 가열된 온수의 온도 또는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 또는 온수탱크(130)로 유입되는 정수의 유량 등의 요인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각 요인에 따라 온수탱크(130)를 가열하는 워킹코일(미도시)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step S306, the output of a working coil (not shown) that heats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adjusted in real time. In detail, factors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130,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heated in the hot water tank 130, the temperature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130, or the flow rate of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130 are measured in real time. , and the output of the working coil (not shown) that heats the hot water tank 13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each factor.

상기와 같은 예열과정은 약 4.2초 내지 5.0초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The above preheating process may be carried out in the range of about 4.2 seconds to 5.0 seconds.

이후,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순차적으로 개방된다. (S307, S308)Afterwards, the inflow valve 35 and the hot water valve 43 are sequentially opened. (S307, S308)

그리고, 배관 내 잔수 및/또는 온수의 드레인이 시작된다. (S309)Then, draining of the remaining water and/or hot water in the pipe begins. (S309)

온수 드레인 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 출구가 개방된다. When draining hot water, the drain side outlet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opened.

드레인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약 3.6초 동안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The drain time can be set in various ways. As an example, drain may proceed for approximately 3.6 seconds.

드레인이 완료되면, 제1출수노즐(210)을 통해,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When draining is completed, hot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온수 출수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이 닫히고,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가 개방된다.(S310)For hot water discharge, the drain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is opened (S310).

그리고, 설정된 양의 온수가 출수되고 나면,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 (S311)And, once the set amount of hot water is discharged, the hot water discharge is terminated. (S311)

이후, 제1출수밸브(61)가 닫힌다. (S312)Afterward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closed. (S312)

그리고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S313,S314)And the hot water valve 43 and the inlet valve 35 are closed sequentially (S313, S314).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may have its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open.

이하, 도 36을 참조하여, 출수되는 온수가 '반복잔'일 경우 온수 출수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36, the hot water dispensing process when the dispensed hot water is a 'repeated cup' will be described.

첫잔 및 반복잔의 기준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standards for first and repeat drinks can be set in various ways.

일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n번째'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n-1번째' 온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이 약 3분을 경과한 경우, 첫잔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first cup and the repeat cup may be determined based on whether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after the 'n-1th' hot water dispenser when the 'nth' hot water dispensing command is input. If the waiting time has passed about 3 minutes, it can be judged as the first drink.

다른 예로, 첫잔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의 온수 또는 온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 등에 따라 판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drink and the repeat drink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in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half and the repeat half may b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and the remaining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또 다른 예로, 첫반 및 반복잔은, 온수탱크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와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차이에 의해서, 판단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half and the repeat half may be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in the hot water tank and the remaining water sens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먼저, 사용자가 출수버튼(240)을 누르면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다. (S401)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dispensing button 240, a hot water dispensing command is input. (S401)

그리고, 곧 바로 예열이 진행된다.(S402)And, preheating begins immediately (S402).

이후, 예열 상태에서, 출수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한다.(S403)Afterwards, in the preheating state, the outlet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S403).

여기서, '출수온도'는 상기 제1출수밸브(61)에 장착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를 의미한다. Here, 'outlet water temperature'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mounted on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일 예로, 상기 기준온도는 75℃로 설정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to 75°C.

만약,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 이하일 경우, 예열을 진행한다. If the outlet temperature is below the standard temperature (75℃), preheating is performed.

그리고, 온수탱크(130)의 온도를 예측하기 위해서,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이상 지났는지 판단한다.(S411) And, in order to predict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130, after water discharg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aiting time has passed longer than the standard time (S411).

이겨서, '출수 후 대기시간'의 의미는 'n번째' 온수 출수 진행 시, 'n-1번째' 온수 출수 이후, 대기시간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waiting time after dispensing' means the waiting time after dispensing 'n-1' hot water during the 'nth' hot water dispensing process.

만약,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약 3분) 이상 경과하지 않은 경우, 제1출수밸브(61)와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If the waiting time does not exceed the standard time (about 3 minutes) after water discharge,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the inlet valve 35, and the hot water valve 43 remain closed.

상세히, 제1출수밸브(61)를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2)In detail,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ontrolled to close. (S412)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may have its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open.

그리고, 온수밸브(43)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3)Then, the hot water valve 43 is controlled to close. (S413)

그리고, 유입밸브(35)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4)Then, the inlet valve 35 is controlled to close. (S414)

상기 온수밸브(43)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탱크(130) 보다 앞단에 설치된다.The hot water valve 43 is installed ahead of the hot water tank 130 based on the flow of water.

그리고, 상기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라 하더라도, 온수탱크(43) 내부에서 물이 끓게 되면, 온수탱크(43)의 압력이 커지고, 가열된 온수의 일부가 온수탱크(130)를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빠져나온 온수는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드레인 된다. 그리고, 드레인되는 온수의 온도는 제1출수밸브(61)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And, even if the hot water valve 43 is closed, when the water boils inside the hot water tank 43,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43 increases, and some of the heated water may exit the hot water tank 130. You can. Then, the discharged hot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of the drained hot water is detected in real time by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또한,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약 3분) 이상 경과한 경우라 하더라도, 제1출수밸브(61)와 유입밸브(35) 및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In addition, even if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longer than the standard time (about 3 minute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he inlet valve 35, and the hot water valve 43 remain closed.

상세히, 제1출수밸브(61)를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2)In detail,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ontrolled to close. (S412)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may have its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open.

그리고, 온수밸브(43)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3)Then, the hot water valve 43 is controlled to close. (S413)

그리고, 유입밸브(35)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S414)Then, the inlet valve 35 is controlled to close. (S414)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밸브(43)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탱크(130) 보다 앞단에 설치된다.Likewise, the hot water valve 43 is installed ahead of the hot water tank 130 based on the water flow.

그리고, 상기 온수밸브(43)가 닫힌 상태라 하더라도, 온수탱크(43) 내부에서 물이 끓게 되면, 온수탱크(43)의 압력이 커지고, 가열된 온수의 일부가 온수탱크(130)를 빠져나올 수 있다. 그리고, 빠져나온 온수는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드레인 된다. 그리고, 드레인되는 온수의 온도는 제1출수밸브(61)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 And, even if the hot water valve 43 is closed, when the water boils inside the hot water tank 43, the pressure of the hot water tank 43 increases, and some of the heated water may exit the hot water tank 130. You can. Then, the discharged hot water is drained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of the drained hot water is detected in real time by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한편, 상기 S403단계에서,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를 초과하면, 예열 드레인(1차 드레인)이 진행된다. Meanwhile, in step S403, if the water outlet temperature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75°C), preheating drain (primary drain) is performed.

이를 위해서, 온수밸브(43)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21)For this purpose, the hot water valve 43 is controlled to open. (S421)

상기 온수밸브(43)는 물의 흐름을 기준으로 온수탱크(130) 보다 앞단에 설치된다.The hot water valve 43 is installed ahead of the hot water tank 130 based on the flow of water.

그리고, 유입밸브(35)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22)Then, the inlet valve 35 is controlled to open. (S422)

이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remains open.

따라서, 예열 드레인이 진행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예열 드레인이 종료된다.(S423)Accordingly, the preheating drain proceeds,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the preheating drain ends (S423).

그리고, 예열 드레인 과정에서, 온수탱크(130)를 빠져나온 온수는 제1출수밸브(61)를 거쳐 드레인 된다. 그리고, 드레인되는 온수의 온도는 제1출수밸브(61)의 유입구 측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된다.And, during the preheating drain process, the hot water exiting the hot water tank 130 is drained through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Additionally, the temperature of the drained hot water is detected in real time by a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inlet side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일 예로, 상기 예열 드레인은 약 0.8초 내지 1초 동안 진행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preheating drain may be performed for about 0.8 seconds to 1 second.

즉, 상기 S403단계에서,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를 초과하면,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를 개방하면서, 약 1초 동안의 예열과 드레인이 진행되고, 상기 S403단계에서, 출수온도가 기준온도(75℃) 이하에 해당되면,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닫힌 상태에서, 예열만 진행된다. That is, in step S403, when the outlet water temperature exceeds the reference temperature (75°C), the hot water valve 43 and the inlet valve 35 are opened, and preheating and draining are performed for about 1 second, and in step S403, If the outlet water temperature is below the standard temperature (75°C), only preheating is performed with the hot water valve 43 and the inlet valve 35 closed.

상기와 같은 '예열시간'은 약 1.0초 내지 5.2초 동안 진행될 수 있다. The ‘preheating time’ as described above may last for about 1.0 to 5.2 seconds.

이후, 기 설정된 고정출력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고, 실시간 온도제어가 진행된다.(S430)Afterwards, the preset fixed output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30, and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S430).

즉, 상기 S414단계 또는 S423단계 이후에는 기 설정된 고정출력이 온수탱크(130)로 공급되고, 실시간 온도제어가 진행된다.(S430)That is, after step S414 or step S423, a preset fixed output is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130, and real-time temperature control is performed (S430).

그리고, 간헐적 출수 여부를 판단한다.(S431)Then, determine whether the water is discharged intermittently (S431).

상기 간헐적 출수 여부는 상기 S411단계의 판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Whether or not the water is discharged intermittently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judgment in step S411.

일 예로, S411단계에서,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이상이면, S431단계에서는 간헐적 출수로 판단한다. For example, in step S411, if the waiting time is longer than the standard time after water extraction, it is determined as intermittent water extraction in step S431.

다른 예로, , S411단계에서, 출수 후, 대기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이면, S431단계에서는 간헐적 출수가 아니고, 반복잔으로 판단한다.As another example, in step S411, if the waiting time is less than the standard time after water extraction, it is determined in step S431 that it is not intermittent water extraction and is a repeated cup.

S431단계에서, 간헐적 출수로 판단되면, 실시간으로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출수온도를 제2기준온도(약 88℃)와 비교한다.(S432)In step S43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intermittent water discharge, the water discharg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n real time is compared with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bout 88°C). (S432)

반면, S431단계에서, 간헐적 출수로 판단되지 않으면, S432 단계를 생략하고, 곱 다로 후술되는 S441단계가 진행된다. On the other hand, in step S431, if it is not determined to be an intermittent water extraction, step S432 is omitted, and step S44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erformed.

한편, 상기 S432단계에서, 실시간 출수온도가 제2기준온도(약 88℃)를 초과하는 경우,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Meanwhile, in step S432, if the real-time water discharge temperature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bout 88°C), hot water discharge proceeds.

이를 위해서 먼저, 온수밸브(43)가 개방된다.(S441)For this purpose, first, the hot water valve 43 is opened (S441).

그리고, 유입밸브(35)가 개방된다.(S442)Then, the inflow valve 35 is opened (S442).

이후,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S443)Afterwards, hot water is discharged. (S443)

그리고, 온수 출수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이 닫히고,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가 개방된다.(S444)And, for hot water discharge, the drain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is opened (S444).

그리고, 설정된 양의 온수가 출수되고 나면,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 (S461)And, once the set amount of hot water is discharged, the hot water discharge is terminated. (S461)

이후, 제1출수밸브(61)가 닫힌다.(S462)Afterward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closed (S462).

그리고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S463, S464)And the hot water valve 43 and the inlet valve 35 are closed sequentially (S463, S464).

다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However,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may have its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open.

한편, 상기 S432단계에서, 출수온도가 제2기준온도(약 88℃) 이하인 경우, 온수 출수 전 추가 드레인이 진행된다.Meanwhile, in step S432, if the outlet temperature is below the second reference temperature (about 88°C), additional draining is performed before hot water is dispensed.

이를 위해서, 온수밸브(43)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51)For this purpose, the hot water valve 43 is controlled to open. (S451)

그리고, 유입밸브(35)가 열리도록 제어한다. (S452)Then, the inlet valve 35 is controlled to open. (S452)

이때, 제1출수밸브(61)는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는 닫히고, 드레인 측과 연결된 출구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drain side remains open.

따라서, 추가 드레인이 진행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추가 드레인이 종료된다.(S453)Therefore, additional draining proceeds, and when the set time elapses, additional draining ends (S453).

상기와 같이 추가 드레인이 종료되면, 온수 출수를 위해서, 제1출수밸브(61)는 드레인 측이 닫히고, 제1출수노즐(210)과 연결된 출구가 개방된다.(S444)When the additional drai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drain side of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is closed and the outlet connected to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is opened to discharge hot water (S444).

그리고, 설정된 양의 온수가 출수되고 나면, 온수 출수가 종료된다. (S461)And, once the set amount of hot water is discharged, the hot water discharge is terminated. (S461)

이후, 제1출수밸브(61)가 닫힌다.(S462)Afterwards,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closed (S462).

그리고 온수밸브(43)와 유입밸브(35)가 순차적으로 닫히게 된다.(S463, S464)And the hot water valve 43 and the inlet valve 35 are closed sequentially (S463, S464).

종합하면, 출수 온도가 75℃를 초과하는 경우, 예열과정에서 예열 드레인(1차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In summary, if the outlet temperature exceeds 75°C, preheating drain (primary drain) may occur during the preheating process.

이는 온수탱크 내 끓음(boiling)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is is to prevent boiling in the hot water tank.

반면, 출수 온도가 75℃ 이하인 경우, 온수탱크 내 끓음(boiling) 발생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예열 드레인(1차 드레인)이 생략되고, 예열만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도 온수탱크 내 끓음으로 인해 소량의 온수는 드레인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utlet temperature is 75°C or lower, the possibility of boiling occurring in the hot water tank is low, so the preheating drain (primary drain) is omitted and only preheating can be performed. However, even at this time, a small amount of hot water is drained due to boiling in the hot water tank.

또한, 예열 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 즉 '출수 온도'가 88℃ 이하인 경우, 추가 드레인(2차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Additionally, after preheating, if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hat is, the 'outlet temperature', is 88°C or lower, additional draining (secondary draining) may proceed.

반면, 예열 후,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온수의 온도, 즉 '출수 온도'가 88℃를 초과하는 경우, 추가 드레인(2차 드레인)이 생략되고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preheating, if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hat is, the 'discharge temperature', exceeds 88°C, additional drain (secondary drain) is omitted and hot water discharge can proceed immediately. .

여기서, 상기 추가 드레인(2차 드레인)의 시간은 입수 온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Here, the time of the additional drain (secondary drain) may vary depending on the water temperature.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높을수록 추가 드레인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the shorter the additional drain time may be.

일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30℃ 미만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9.5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is less than 30°C, the additional drain time may be 9.5 seconds minus the preheating time.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30℃ 이상 45℃ 미만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9.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is above 30°C but below 45°C, the additional drain time may be 9.0 seconds minus the preheating time.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45℃ 이상 60℃ 미만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5.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is above 45°C but below 60°C, the additional drain time may be 5.0 seconds minus the preheating time.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입수온도가 60℃ 이상일 경우, 추가 드레인 시간은 생략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is 60°C or higher, the additional drain time may be omitted.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고, n-1번째 출수에서, 냉수가 출수된 경우,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다. 여기서, 드레인은 온수탱크와 제1출수밸브(61) 사이 유로의 잔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a hot water dispensing command is input at the nth outlet and cold water is dispensed at the n-1th outlet, draining is unconditionally performed. Here, draining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where all remaining water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hot water tank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can be discharged.

또한,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고, n-1번째 출수에서, 정수가 출수된 경우에도,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된다. 여기서, 드레인은 온수탱크와 제1출수밸브(61) 사이 유로의 잔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hot water dispensing command is input at the nth outlet and purified water is dispensed at the n-1th outlet, draining continues unconditionally. Here, draining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where all remaining water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hot water tank and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can be discharged.

반면,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 명령이 입력되고, n-1번째 출수에서도 온수가 출수된 경우에만,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에 따라서, 드레인을 진행하거나 드레인 없이 곧바로 출수를 진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ly when a hot water dispensing command is input at the nth outlet and hot water is discharged at the n-1th outlet, drain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or immediately without draining. Exiting can proceed.

또한, n번째 출수에서, 냉수 출수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도, 무조건 드레인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드레인은 냉수탱크와 제1출수밸브(61) 사이 유로의 잔수가 모두 배출될 수 있는 범위에서 진행될 수 있다.Additionally, at the nth water outlet, draining may proceed unconditionally even when a cold water outlet command is input. Here, draining may be performed within a range where all remaining water in the flow path between the cold water tank and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can be discharg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온수가 출수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process in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로부터 온수출수가 요청된다.First, hot water is requested from the user.

이후, 이전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fterwa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ard time has elapsed after the previous water extraction.

일 예로, 기준시간을 3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andard time may be set to 3 minutes.

만약,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가 요청되고, n-1번째 출수에서, 온수가 출수된 후, 경과된 시간이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드레인 없이 예열만 진행된다. If hot water is requested from the nth outlet, and the time elapsed after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n-1th outlet is longer than the reference time, only preheating is performed without draining.

즉, 온수출수가 연달아 진행되고, 연달아 진행된 온수출수 사이 시간이 기준시간 이상일 경우, 첫복잔으로 판단하고, 드레인 없이 예열만 진행된다. 드레인 없이 예열만 진행되는 이유는 온수 탱크 과열로 인한 끓음(boiling)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In other words, if hot water is discharged in succession, and the time between consecutive hot water discharges is longer than the standard time, it is judged to be the first cup, and only preheating is performed without draining. The reason why only preheating is performed without draining is because boiling due to overheating of the hot water tank does not occur.

일 예로, 예열은 약 1.8 초 내지 3.9초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예열시간은 목표 온수온도, 온수 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입수 유량, 온수탱크로 공급되는 출력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As an example, preheating may proceed for about 1.8 seconds to 3.9 seconds. The preheating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target hot wate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the water flow rate, and the output supplied to the hot water tank.

이후, 예열이 종료되면, 출수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한다. Afterwards, when preheating is completed, the outlet water temperatur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temperature.

일 예로, 상기 '출수온도'는 제1출수밸브(61)에서 감지된 잔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outlet water temperature' may mean the temperature of the remaining water detected by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다른 예로, 상기 '출수온도'는 온수탱크에서 출수된 온수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outlet water temperature' may mean the temperature of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hot water tank.

여기서, 기준온도는 약 88℃로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reference temperature may be set to about 88°C.

만약, 출수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인 경우, 제1출수노즐(210)에서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If the water discharg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hot water is discharged immediately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목표 유량의 온수가 출수되면, 온수 출수는 종료된다. Then, when the set time elapses or hot water is dispensed at the target flow rate, hot water dispensing ends.

반면, 출수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인 경우, 선택적으로 드레인이 진행된 후, 제1출수노즐(210)에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discharg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temperature, after selective draining,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이때, 여기서, 드레인 시간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ain time may var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tself.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높을수록 드레인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The higher the intak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tself, the shorter the drain time may be.

일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30℃ 미만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8.5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intak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tself is less than 30°C, the drain time may be 8.5 seconds minus the preheating time.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30℃ 이상 45℃ 미만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8.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tself is above 30°C and below 45°C, the drain time may be 8.0 seconds minus the preheating time.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45℃ 이상 60℃ 미만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4.0초에서 예열 시간을 뺀 시간 만큼 진행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f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tself is above 45°C and below 60°C, the drain time may be 4.0 seconds minus the preheating time.

또 다른 예로,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입수 온도 또는 온수 탱크 자체의 온도가 60℃ 이상일 경우, 드레인 시간은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출수노즐(210)에서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As another example, if the intake temperature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or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tank itself is 60°C or higher, the drain time may be omitted. And, hot water is discharged immediately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디스펜싱 장치에서 온수가 출수되는 과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xample of the process in which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pen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로부터 온수출수가 요청된다.First, hot water is requested from the user.

이후, 이전 출수 후,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Afterward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standard time has elapsed after the previous water extraction.

일 예로, 기준시간을 3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tandard time may be set to 3 minutes.

만약, n번째 출수에서 온수 출수가 요청되고, n-1번째 출수에서, 온수가 출수된 후, 경과된 시간이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예열과 동시에 드레인이 진행된다. If hot water is requested from the nth outlet, and the time elapsed after hot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n-1th outlet is less than the reference time, drain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preheating.

즉, 온수출수가 연달아 진행되고, 연달아 진행된 온수출수 사이 시간이 기준시간 미만인 경우, 반복잔으로 판단하고, 예열과 동시에 드레인이 진행된다. 예열과 동시에 드레인이 진행되는 이유는 온수 탱크내 과열로 인한 끓음(boili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at is, if hot water is discharged in succession and the time between consecutive hot water discharges is less than the standard time, it is judged to be a repeat cup, and draining i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preheating. The reason why draining occurs simultaneously with preheating is to prevent boiling due to overheating in the hot water tank.

상기 드레인 시간은 0.6초 내지 1.8초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rain time may be within 0.6 seconds to 1.8 seconds.

그리고, 드레인 및 예열이 종료되면, 제1출수노즐(210)에서 곧 바로 온수 출수가 진행된다. And, when draining and preheating are completed, hot water is discharged immediately from the first water discharge nozzle 210.

그리고, 설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목표 유량의 온수가 출수되면, 온수 출수는 종료된다. Then, when the set time elapses or hot water is dispensed at the target flow rate, hot water dispensing end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경우, 제1출수노즐(210)와 인접해서 배치된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된다. 따라서, 제1출수노즐(210)로 배출되는 냉수, 온수의 온도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Accordingly, the temperature satisfaction of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210 can be improved.

만약, 온도센서가 싱크대 내부에 설치된 정수기 본체 측에 배치된 경우, 정수기 본체에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가 만족되었다 하더라도, 싱크대 내부의 정수기 본체와 싱크대 외부의 출수부를 연결하는 긴 배관을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에 변화가 생기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만족스러운 온도의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If the temperature sensor is placed on the side of the water purifier body installed inside the sink,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hot or cold water in the water purifier body is satisfied, the long pipe connecting the water purifier body inside the sink and the water outlet outside the sink is used to There may be a change in temperature, which may result in the user not being supplied with hot or cold water at a satisfactory temperature.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에게 물이 공급되는 출수노즐 근처에 배치된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온수 또는 냉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disposed near the water outlet nozzle through which water is supplied to the user, so the user can receive hot or cold water at a desired temperature.

본 발명과 같이,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된 경우, 온도센서에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가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 배관의 온수 또는 냉수를 출수노즐로 공급하지 않고, 드레인시키고,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수 또는 냉수의 온도가 만족스러울 경우에만 출수노즐로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한다. 또한, 출수노즐과 제1출수밸브(61)의 거리가 짧게 형성되고, 제1출수밸브(61)에서 출수노즐로 온수 또는 냉수가 유동하는 도중에 물의 온도 변화가 거의 없게 된다. 비록, 싱크대 내부에 정수기 본체가 배치되고, 싱크대 외부에 출수노즐이 배치된 경우라 하더라도, 출수노즐과 출수밸브(61)가 인접해서 배치되고, 제1출수밸브(61)에 온도센서가 장착되는 구조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온수 및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61, the temperature of hot or cold water is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and if the detected temperature of hot or cold water is not satisfactory, hot or cold water from the pipe Instead of supplying it to the water outlet nozzle, it is drained, and hot or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on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ot or cold water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satisfactory. 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water outlet nozzle and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is formed to be short, and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while hot or cold water flows from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to the water outlet nozzle. Even in the case where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is placed inside the sink and the water outlet nozzle is placed outside the sink, the water outlet nozzle and the water outlet valve 61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temperature sensor is mounted on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61. Due to the structure, the user can receive hot and cold water at the desired temperature.

그리고, 드레인 시간은 온수탱크로 유입되는 정수의 온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drain time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tank.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ttached drawings. .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싱크대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가 마실 수 있는 음용수를 공급하는 본체부;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서 연장되는 출수부;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출수부로 연장되며, 상기 음용수가 흐르는 음용수 배관;
상기 음용수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음용수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제1 출수밸브; 및
상기 제1 출수밸브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음용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1 드레인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음용수 배관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1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제1 음용수 배관부, 및
상기 제1 출수밸브와 상기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음용수 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출수밸브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음용수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음용수는 상기 제2 음용수 배관부 또는 상기 제1 드레인 배관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 main body disposed inside the sink and supplying drinking water for the user to drink;
a water outlet exten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 drinking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to the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flows;
A first water outlet valve connected to the drinking water pipe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drinking water; and
A first drain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drinking water to the outside,
The drinking water pipe is,
A first drinking water pip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It includes a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unit connecting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nd the water outlet unit,
A water dispensing device configured to move the drink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drinking water piping unit to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unit or the first drain pip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밸브는,
상기 제1 음용수 배관부로부터 상기 음용수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
상기 제2 음용수 배관부로 상기 음용수가 배출되는 제1 배출구,
상기 제1 드레인 배관으로 상기 음용수가 배수되는 제1 배수구, 및
전기신호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플런저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를 연결하는 음용수 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플런저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수구를 연결하는 음용수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water outlet valve,
A first in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flows from the first drinking water piping unit,
A first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drinking water piping unit,
A first drain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is drained into the first drain pipe, and
It includes a first plunger configured to move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an electric signal,
When the first plunger moves to one side, a drinking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is forme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which a drinking water drain passage connecting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drain is formed when the first plunger moves to the other side.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밸브는, 상기 제1 플런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1 실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음용수 배출 유로는 상기 제1 실링부의 상기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음용수 배수 유로는 상기 제1 실링부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2,
The first water discharge val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rst plunger and further includes a first sealing portion that prevents leakage of the drinking water,
The drinking water discharge pat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ealing part,
The water dispensing device wherein the drinking water drainage passage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ealing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살균을 위한 살균수를 더 공급하며,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출수부로 연장되며, 상기 살균수가 흐르는 살균수 배관;
상기 살균수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살균수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제2 출수밸브; 및
상기 제2 출수밸브로부터 분지되어 상기 살균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제2 드레인 배관;을 포함하되,
상기 살균수 배관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제2 출수밸브를 연결하는 제1 살균수 배관부, 및
상기 제2 출수밸브와 상기 출수부를 연결하는 제2 살균수 배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출수밸브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살균수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살균수는 상기 제2 살균수 배관부 또는 상기 제2 드레인 배관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further supplies sterilizing water for sterilization,
a sterilizing water pipe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to the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flows;
a second water outlet valve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water pipe and guid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terilizing water; and
A second drain pipe branched from the second outlet valv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sterilizing water to the outside,
The sterilizing water pipe is,
A first sterilizing water pipe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and
It includes a second sterilizing water piping unit connecting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and the water outlet unit,
A water dispensing device configured to move the sterilizing water supplied from the first sterilizing water piping unit to the second sterilizing water piping unit or the second drain pip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밸브는,
상기 제1 살균수 배관부로부터 상기 살균수가 유입되는 제2 유입구,
상기 제2 살균수 배관부로 상기 살균수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
상기 제2 드레인 배관으로 상기 살균수가 배수되는 제2 배수구, 및
전기신호에 의해 일측 및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 플런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플런저가 일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를 연결하는 살균수 배출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플런저가 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수구를 연결하는 살균수 배수 유로가 형성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second outlet valve is,
a second in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flows from the first sterilizing water piping unit;
A second out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second sterilizing water piping unit,
a second drain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drained into the second drain pipe, and
It includes a second plunger configured to move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by an electric signal,
When the second plunger moves to one side, a sterilizing water discharge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is forme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which a sterilizing water drain passage connecting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drain is formed when the second plunger moves to the other sid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수밸브는, 상기 제2 플런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살균수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2 실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살균수 배출 유로는 상기 제2 실링부의 상기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살균수 배수 유로는 상기 제2 실링부의 상기 일측에 위치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water outlet valve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plunger and further includes a second sealing part that prevents leakage of the sterilizing water,
The sterilizing water discharge passage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The water dispensing device wherein the sterilizing water drain path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ling par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싱크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출수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출수 노즐은,
내부에 상기 음용수 배관이 연장된 제1 출수노즐과,
상기 제1 출수노즐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살균수 배관이 연장된 제2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4,
The outlet section,
a body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ink, and
It includes a water outlet nozzle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The outlet nozzle is,
A first water outlet nozzle with the drinking water pipe extended therein,
A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is located below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includes a second water outlet nozzle inside which the sterilizing water pipe extends.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싱크대에 고정되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내측부재를 더 포함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outlet section,
The water dispens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inner member disposed inside the body, fixed to the sink,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출수노즐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제1 출수노즐 및 상기 제2 출수노즐 사이에 위치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출수노즐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1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출수노즐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몸체부에 삽입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부재는, 상기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2 삽입부 내측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body is,
A first body located below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and
It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includes a second insertion portion that extends down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The inner member is a water dispensing device that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side the first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노즐 및 상기 제2 출수노즐은, 상기 내측부재를 기준으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A water dispensing device wherein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are coupled to be able to rotate independently with respect to the inner memb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는 상기 싱크대를 관통하는 관통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관통부재는, 상기 내측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내측부재를 상기 싱크대에 고정시키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8,
The water outlet further includes a penetrating member that penetrates the sink,
The penetrating member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inner member to secure the inner member to the sink.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노즐 및 상기 제2 출수노즐은 상하 이격되어 배치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an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are arrang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수노즐은, 단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음용수가 출수되는 음용수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출수노즐은, 단부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살균수가 출수되는 살균수 출수구를 포함하되,
상기 살균수 출수구는 상기 음용수 출수구보다 상기 몸체에 가까이 위치하는 워터 디스펜싱 장치.
According to clause 7,
The first water outlet nozz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nd and includes a drinking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drinking water is dispensed,
The second water outlet nozz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end and includes a sterilizing water outlet through which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A water dispensing device in which the sterilizing water outlet is located closer to the body than the drinking water outlet.
KR1020230152227A 2020-11-19 2023-11-06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23015791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52227A KR20230157913A (en) 2020-11-19 2023-11-06 water dispen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700A KR102305191B1 (en) 2019-02-22 2020-11-19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0230009360A KR102617152B1 (en) 2020-11-19 2023-01-25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0230152227A KR20230157913A (en) 2020-11-19 2023-11-06 water dispens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360A Division KR102617152B1 (en) 2020-11-19 2023-01-25 water dispens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913A true KR20230157913A (en) 2023-11-17

Family

ID=781154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360A KR102617152B1 (en) 2020-11-19 2023-01-25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0230152227A KR20230157913A (en) 2020-11-19 2023-11-06 water dispens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360A KR102617152B1 (en) 2020-11-19 2023-01-25 water dispens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7152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246Y1 (en) * 1992-12-09 1996-01-05 김성웅 Pipe and wire treatmet device of loader and robot
ES2748933T3 (en) * 2011-03-11 2020-03-18 Ideal Standard Int Nv Kitchen tap with adjustable outlet
KR20180063657A (en) * 2016-12-02 2018-06-12 주식회사 이온 Under-sink water purifier faucet and control method
CN108561603B (en) * 2018-03-29 2020-02-21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water outlet fauc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7152B1 (en) 2023-12-27
KR20210118783A (en) 2021-10-01
KR20230020464A (en)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1049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194595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267887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305191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230058338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447111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617152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664357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599999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306072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283533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481846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102548254B1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KR20200132601A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