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648A -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Google Patents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648A
KR20230157648A KR1020220057074A KR20220057074A KR20230157648A KR 20230157648 A KR20230157648 A KR 20230157648A KR 1020220057074 A KR1020220057074 A KR 1020220057074A KR 20220057074 A KR20220057074 A KR 20220057074A KR 20230157648 A KR20230157648 A KR 2023015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module housing
battery
buffer
bo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아
서성원
윤현기
귄터 타넨베르거
우베 하라스츠토지
토마스 바서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57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648A/ko
Priority to CN202380011846.2A priority patent/CN117397100A/zh
Priority to PCT/KR2023/005854 priority patent/WO2023219311A1/ko
Priority to EP23803734.5A priority patent/EP4336637A1/en
Publication of KR2023015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6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전지셀 스택이 장착되며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는 수용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하우징들 간의 결합을 위한 볼팅부, 및 상기 전지셀 스택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에 대한 것으로, 전지셀 스택의 팽창에 따른 부피 증가를 수용할 수 있고, 무게를 줄이고 구성을 최소화한 전지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Lighrweight and Rigid Battery Module Housing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본원발명은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지셀의 팽창에 따른 압력을 완화하고 복수의 전지모듈 간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에 대한 것이다.
재충전이 가능하며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 특성을 갖는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리튬 이차전지는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또는 포터블(portable)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전기자동차와 같은 고출력 및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디바이스의 에너지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고출력 및 고에너지 밀도를 갖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리튬 이차전지를 하우징에 수용하여 전지모듈 및 전지팩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충방전 과정에서 활물질층의 팽창 및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에 전지셀 부피의 증가 및 수축이 생기게 되는데, 이와 같은 전지셀의 부피 변화는 전지모듈 및 전지팩의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의 부피 변화를 완충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에너지밀도가 높은 전지팩을 제조하기 위하여, 종래의 전지팩을 구성하는 크로스빔 및 전지팩 탑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을 생략하거나 대체하는 구조 개량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은 배터리 셀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사각 관형으로 이루어진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모듈 하우징의 양 측면 상부 영역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용 플랜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의 배터리 모듈은 모듈 하우징의 사이드 파트의 외면에 충격 흡수체를 부착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배터리셀들을 보호하는 구성을 개시하나, 상기 충격 흡수체는 모듈 하우징과 별도의 부재인 바 모듈 하우징에 충격 흡수체의 결합이 필요하며, 전지팩으로 조립할 때 강성 빔 및 팩 커버와 같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전지셀 적층체를 수용하고 상부가 개방된 U자형 프레임, 상기 개방된 U자형 프레임 상부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덮는 상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측면부에는 전지셀 적층체를 향해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된 전지모듈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상기 함몰부에 전지셀의 적층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바, 전지셀들의 팽창에 따른 압력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전지모듈은 복수의 전지모듈을 결합하는 구조를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전지셀의 팽창을 흡수하기 위하여 별도의 탄성 부재를 프레임 내부에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 부재의 부피만큼 전지모듈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지셀들의 팽창에 따른 부피 변화를 완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더라도 전지모듈의 부피가 증가하지 않으면서, 최소한의 구성으로 전지팩을 제조하여 에너지밀도를 높일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20-0112246 호 (2020.10.0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2021-0053086 호 (2021.05.11)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지셀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여 전지모듈의 크기 변화를 억제하고, 복수의 전지모듈들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전지팩을 구성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발명은 전지셀 스택이 장착되며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는 수용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하우징들 간의 결합을 위한 볼팅부, 및 상기 전지셀 스택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팅부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볼팅부는,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체결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장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전지셀 스택의 팽창 방향과 평행한 전폭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구조가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완충구조는 수직 단면상 말굽 형태의 쿠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가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구조는 상기 수용부의 전장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의 두께는 중심부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완충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볼팅부의 돌출 높이 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상면 및 하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 볼팅부 및 완충부는 금속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형태일 수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전지팩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을 다양하게 조합한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은 수용부와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진 완충부를 통해 전지셀 스택의 부피 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전지모듈 하우징들의 연결 구조인 볼팅부 및 부피 팽창 완충 구조인 완충부를 제1측면 및 제2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함으로써 전지모듈 하우징의 부피 증가를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전지팩 구성시 전지모듈 하우징이 전지팩 하우징의 구성을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지팩의 부품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모듈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전지모듈이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원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원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구성요소를 한정하거나 부가하여 구체화하는 설명은, 특별한 제한이 없는 한 모든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발명에 대한 설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단수로 표시된 것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인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원의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전반에 걸쳐서 "또는"은 별도로 언급되지 않는 한 "및"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A 또는 B를 포함하는"은 A를 포함하거나, B를 포함하거나, 또는, A 및 B를 포함하는 상기 3가지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본원발명을 도면에 따라 상세한 실시예와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복수의 전지셀들이 밀착되도록 배치된 전지셀 스택을 전지모듈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전지셀 스택은 수용부의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된다.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면(111), 하면(112),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의 외면이 수직으로 만나도록 구성되는 사각 기둥형의 모노프레임 형태의 수용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하우징들 간의 결합을 위한 볼팅부(120), 및 전지셀 스택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는 완충부(131)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의 전장 방향(y) 양 끝단에는 엔드 플레이트(115)가 부가되어 수용부가 밀봉되고, 엔드 플레이트(115)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모듈단자(116)가 위치한다.
볼팅부(120)는 복수의 전지모듈들이 전폭 방향(x)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서로 간에 결합될 때, 나사(122)가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분으로,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한다.
볼팅부(120)는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체결부(121)에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통구에 삽입되는 나사(122)에 너트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전지모듈들의 결합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지모듈들이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체결부가 중첩된 상태로는 너트 체결이 어렵기 때문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체결부가 중첩되는 전지모듈들 중 어느 하나에 너트를 사전에 용접한 후, 이에 대해 볼팅 체결하는 방법으로 전지모듈들이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지모듈들을 결합하는 방법으로서, 리벳 스터드/너트를 체결부의 관통구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방법, 또는 플로우 드릴 스크류를 관통구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전지모듈들의 결합을 설명할 때 나사는 체결부의 관통구에 삽입되는 나사 및 리벳을 포함하고,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않는다.
체결부(121)는 수용부의 전장 방향(y)을 따라 형성되는 바, 도 1에서는 체결부(121)가 전장 방향(y)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체결부(121)는 전장 방향(y)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지셀 스택은 복수의 파우치형 전지셀들이 밀착 배열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파우치형 전지셀들은 전극 평면이 yz평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전지모듈의 충방전시 파우치형 전지셀들의 부피 팽창 및 수축 방향은 전폭 방향(x)이 된다.
이에, 본원발명은 파우치형 전지셀들의 부피 팽창에 따른 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완충부(131)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완충부(131)는 전지모듈 하우징의 전폭 방향(x)의 양 끝단 외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전폭 방향(x)으로 돌출된 완충구조가 구비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도 1 및 도 2에서는 제1측면(113)과 제2측면(114) 각각에 한 개씩의 완충부(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측면(113)의 완충부(131)와 제2측면(114)의 완충부(131)는 z 방향 위치가 서로 다르게 위치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전지모듈을 전폭 방향(x)을 따라 배치하여 연결할 때, 제1측면(113)의 완충부(131)와 제2측면(114)의 완충부(131)가 중첩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구조는 수직 단면상 말굽 형태의 쿠션부(132)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지모듈 하우징이 나사(122) 체결로 결합되고, 전지셀들의 팽창으로 좌측 전지모듈 하우징은 (+)x 방향으로 팽창하고 우측 전지모듈 하우징은 (-)x 방향으로 팽창되는 경우, 완충부(131)는 x 방향 크기는 줄어들고 z 방향 크기는 증가하는 형태로 변형된다. 즉, 완충부(131)는 전지모듈 하우징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는 쿠션 내지 스프링 역할을 할 수 있다.
완충구조는 수용부의 전장 방향(y)을 따라 형성되는 바, 도 1에서는 완충부(131)가 전장 방향(y)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완충부(131)는 전장 방향(y)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의 두께는 z방향에 따른 중심부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지모듈 하우징의 부피 팽창에 따른 변형이 x 방향으로 일어나고, z방향에 따른 중심부의 변형이 가장 크게 생기는 점을 고려할 때, z방향에 따른 중심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전지모듈 하우징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은 제1면(113)과 제2면(114)에 볼팅부(120)를 형성하고, 제1면(113)과 제2면(1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완충부(1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1면(113)과 제2면(114)에서 볼팅부(120)와 완충부(131)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전지모듈들의 결합을 위한 구조와 부피 팽창을 완화하기 위한 구조를 모두 포함함에도 전지모듈 하우징의 외형이 증가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완충부(131)의 x 방향 길이는 볼팅부(120)의 x방향 길이 보다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전지모듈 하우징을 결합하고 전지셀들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충부는 인접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의 제1측면 또는 제2측면과 접촉되지 않고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즉, 전지셀들이 팽창하지 않은 상태에서, 완충부(131)에 인가되는 압력이 없는 상태로 전지모듈 하우징들이 결합되고, 전지셀들이 팽창하면 완충부와 인접하는 전지모듈 하우징의 제1측면 또는 제2측면이 접촉되기 시작하며 곧이어 완충부가 가압될 수 있다.
또한, 볼팅부(120)의 x 방향 길이만큼 제1측면(113) 및 제2측면(114)이 팽창하더라도, 복수의 전지모듈들이 볼팅부(120)에 나사 체결되어 결합된 상태에서는 전체 전지모듈들의 전폭 방향(x)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면(111)과 하면(112)의 내부에 중공(141)이 형성된 형태인 바, 중공 형성으로 제거된 부분만큼 전지모듈 하우징의 무게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면(111) 및 하면(111)은 두께 방향(z)으로 격벽(142)이 있고 격벽(142)과 격벽(142) 사이에 중공(141)이 형성되는 형태인 바, 상기 격벽(142)에 의해 전지모듈 하우징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지모듈 하우징은 금속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수용부, 볼팅부 및 완충부 전체가 일체형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탄소강, 스테인레스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지모듈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에서 전지모듈 하우징은 완충부(131)를 구성하는 수직 단면상 말굽 형태의 쿠션부(132)의 외측에 가드(133)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과 차이가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지모듈 하우징은 제1측면(113)에는 완충부(131)가 형성되지 않고 제2측면(114)에만 완충부(131)가 형성된다. 제2측면(114)에만 형성되는 완충부(131)는 수직 단면상 말굽 형태인 쿠션부(132) 2개와 가드(133)를 포함하는 바, 수용부, 쿠션부(132)와 가드(133)를 포함하는 완충부(131) 및 볼팅부(120) 전체가 금속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4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전지모듈 하우징이 나사(122) 체결되어 연결될 때, 좌측 전지모듈 하우징의 제2측면(114)과 우측 전지모듈 하우징의 제1측면(113)이 인접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며, 좌측 전지모듈 하우징의 제2측면(114)의 가드(133)는 우측 전지모듈 하우징의 제1측면(113)과 사이에 이격 간격이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전지모듈 하우징들이 x방향으로 팽창할 때, 팽창된 부피를 완충부(131) 및 상기 이격 간격 내로 수용할 수 있다.
그 외에 제2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하우징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 및 전지모듈 하우징에 대한 설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전지모듈이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지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모듈들(100)이 수평방향(x)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있으며,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의 볼팅부(120)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복수의 전지모듈들이 연결된 전지팩을 제조할 수 있다. 전지모듈들(100)의 제1측면과 제2측면 사이에 완충부(131)가 배치되도록 전지모듈들(100)이 연결되기 때문에, x방향으로 팽창되는 전지모듈들의 부피가 완충부(131)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팩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지팩(200)은 복수의 전지모듈들(100)이 전지팩 프레임(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지모듈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이 노출되는 구조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은 상면과 하면에 격벽과 중공이 형성되어 강성이 향상된 구조인 바,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 구조를 구비한다. 이에, 상기 전지모듈 하우징이 전지팩의 탑 플레이트와 팩 트레이를 대신할 수 있으므로, 전지팩 조립시 별도의 탑 플레이트 및 팩 트레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볼팅부 및 쿠션부와 가드로 구성되는 완충부를 통해 전지모듈들이 결합된 경우, 상기 볼팅부와 완충부가 종래의 전지팩 크로스빔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팩에서는 크로스빔의 생략도 가능하다.
전지팩 프레임(210)은 서로 수직이 되도록 연결되는 제1부재(211), 제2부재(212), 제3부재(213), 및 제4부재(21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부재(211), 제2부재(212), 제3부재(213), 및 제4부재(214)는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지팩을 디바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15)가 필요할 수 있는데, 장착부(215)는 제1부재(211), 제2부재(212), 제3부재(213), 및 제4부재(2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지팩을 디바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불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을 사용하는 경우, 전지셀 스택의 팽창에 따른 변형을 수용할 수 있고, 복수의 전지모듈의 결합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전지팩을 구성하는 부품을 줄여서 무게가 줄어들고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원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원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 전지모듈
111: 상면
112: 하면
113: 제1측면
114: 제2측면
115: 엔드 플레이트
116: 모듈단자
120: 볼팅부
121: 체결부
122: 나사
131: 완충부
132: 쿠션부
133: 가드
141: 중공
142: 격벽
200: 전지팩
210: 전지팩 프레임
211: 제1부재
212: 제2부재
213: 제3부재
214: 제4부재
215: 장착부

Claims (13)

  1. 전지셀 스택이 장착되며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는 수용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지모듈 하우징들 간의 결합을 위한 볼팅부; 및
    상기 전지셀 스택의 부피 팽창을 흡수하는 완충부;
    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팅부는 상기 제1측면과 제2측면 각각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위치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팅부는,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체결부에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지모듈 하우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전지셀 스택의 팽창 방향과 평행한 전폭 방향으로 돌출된 완충구조가 구비된 형태인 전지모듈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조는 수직 단면상 말굽 형태의 쿠션부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의 외측에 가드를 더 포함하는 전지모듈 하우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구조는 상기 수용부의 전장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전지모듈 하우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 및 제2측면의 두께는 중심부에서 상단부 및 하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하우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볼팅부의 돌출 높이 보다 작거나 같은 전지모듈 하우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면 및 하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면 및 하면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진 전지모듈 하우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볼팅부 및 완충부는 금속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형태인 전지모듈 하우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지모듈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전지팩.
KR1020220057074A 2022-05-10 2022-05-10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30157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074A KR20230157648A (ko) 2022-05-10 2022-05-10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02380011846.2A CN117397100A (zh) 2022-05-10 2023-04-28 具有改善的刚度的轻质电池模块壳体和包括其的电池组
PCT/KR2023/005854 WO2023219311A1 (ko) 2022-05-10 2023-04-28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23803734.5A EP4336637A1 (en) 2022-05-10 2023-04-28 Lightweight battery module housing having improved rigidity,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7074A KR20230157648A (ko) 2022-05-10 2022-05-10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648A true KR20230157648A (ko) 2023-11-17

Family

ID=88730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7074A KR20230157648A (ko) 2022-05-10 2022-05-10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36637A1 (ko)
KR (1) KR20230157648A (ko)
CN (1) CN117397100A (ko)
WO (1) WO202321931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246A (ko)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판 타입의 모듈 하우징을 갖는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53086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2952A (ko) * 2011-05-30 2012-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저온액체화물용 저장탱크의 단열박스
EP3273500B1 (en) * 2016-07-21 2018-09-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system
EP3553876B1 (en) * 2018-04-09 2020-07-22 Samsung SDI Co., Ltd. Coolant distributor
KR20220053312A (ko) * 2020-10-22 2022-04-2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7074A (ko) 2020-10-29 2022-05-09 주식회사 웨이브쓰리디 드론 대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246A (ko) 2019-03-21 2020-10-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박판 타입의 모듈 하우징을 갖는 배터리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53086A (ko) 2019-11-01 2021-05-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9311A1 (ko) 2023-11-16
CN117397100A (zh) 2024-01-12
EP4336637A1 (en) 202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2968B1 (ko) 확장형 배터리 모듈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US20220037726A1 (en) Battery pack
EP3570364B1 (en) Battery pack including heat conduction medium with louver fin shape
KR102172517B1 (ko) 크래쉬 빔 구조를 갖는 배터리 팩
EP3401976B1 (en) Battery pack
KR101680709B1 (ko) 배터리 모듈 케이스
KR102319537B1 (ko)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JP7262598B2 (ja) 薄板型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を備え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JP2022545267A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102257681B1 (ko) 배터리 모듈
KR102249494B1 (ko)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200064761A (ko)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40140795A (ko) 배터리 모듈
KR20210112919A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23526640A (ja) 大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JP6390722B2 (ja) 電池パック
US11223085B2 (en) Battery pack fixing apparatus
KR20230157648A (ko) 가볍고 강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715438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自動車
KR102497916B1 (ko) 슈퍼커패시터 패키징 구조
CN219457851U (zh) 电池模组外壳及包含其的电池模组
CN220420799U (zh) 安装组件及电池包
US20230069871A1 (en) Battery pack
US20240014493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21694A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