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7601A - 가구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가구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7601A
KR20230157601A KR1020220056973A KR20220056973A KR20230157601A KR 20230157601 A KR20230157601 A KR 20230157601A KR 1020220056973 A KR1020220056973 A KR 1020220056973A KR 20220056973 A KR20220056973 A KR 20220056973A KR 20230157601 A KR20230157601 A KR 20230157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unit
connection structure
socket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라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라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라츠
Priority to KR102022005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7601A/ko
Publication of KR20230157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7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가구를 볼트, 나사 등의 체결 구조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력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가구의 결합 작업 및 배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가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구 연결 구조 {STRUCTURE FOR CONNECTING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가구를 볼트, 나사 등의 체결구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력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가구의 결합 작업 및 배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가구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가구, 특히 파티션(Partition)은 일반적으로 학습공간이나 사무공간 등의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 또는 사생활 보호를 위해 불필요한 노출을 최소화하고 공간을 은폐시키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파티션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프레임으나 패널 형태를 갖으며 다양한 높이와 크기로 제작되고, 이와 같은 파티션은 서로 인접하는 파티션에 대해 연결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짐에 따라 파티션을 연속적으로 결합하여 원하는 길이와 폭 또는 굴절 형태로의 파티션 결합 작업이 가능하다.
종래의 파티션은 볼트나 나사등의 체결 수단이나 클램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인접하는 파티션을 조립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체결 수단이나 클램프를 파티션에 설치하거나 체결 수단을 조이는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이나 클램프가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된 파티션의 미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인접하는 파티션을 연결하는 경우 인접하는 각 파티션에 체결 수단을 삽입한 후 결합하거나, 클램프를 설치하여 결합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번거럽고 불편할 뿐 아니라 클램프와 같은 체결 수단의 추가 제작은 판매 단가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5994호(2012.08.02)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인접하는 가구를 볼트,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력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가구의 결합 작업 및 배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가구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가구 연결 구조로서, 제1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는 플러그 유닛; 상기 제1 가구의 일면과 인접하는 제2 가구의 인접면에 상기 플러그 유닛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소켓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이 상기 소켓 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과 상기 소켓 유닛이 자성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가구의 일면에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가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가구의 인접면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소켓 본체; 및 상기 소켓 본체에 요홈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의 접촉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수용 깊이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13mm이고, 상기 수용부의 수용 깊이는 10mm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의 두께는 5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유닛 및 상기 소켓 유닛은 전해 도금 방식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가구 연결 구조로서, 인접하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제1 가구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어느 일면에는, 상기 제1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는 플러그 유닛에 대응되는 소켓 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구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2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는 소켓 유닛에 대응되는 플러그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이 상기 소켓 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과 상기 소켓 유닛이 자성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가구의 일면 및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가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구의 일면 및 상기 본체의 어느 일면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소켓 본체; 및 상기 소켓 본체에 요홈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는 가구를 볼트,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력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가구의 결합 작업 및 배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인접 배치되는 가구간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를 사용하여 가구를 배치하는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2는 가구 연결 구조(100)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며,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는 플러그 유닛(110) 및 소켓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는 서로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한다.
서로 인접하는 가구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는 실내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Partition)일 수 있다. 이때,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는 사각형의 프레임에 내부에 가로대 및 세로대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파티션일 수 있다.
플러그 유닛(110)은 제1 가구(10)의 일면에 구비되며, 소켓 유닛(120)은 제2 가구(20)의 인접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구(10)의 측면에 플러그 유닛(110)이 구비되며, 제1 가구(10)와 인접 배치되는 제2 가구(20)의 측면에 소켓 유닛(12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유닛(110)은 제1 가구(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가구(10)의 일면에 원형의 제1 삽입홀이 형성되고, 플러그 유닛(110)의 플러그 본체(111)가 제1 삽입홀에 삽입되어 제1 가구(10)에 구비된다. 이때 플러그 본체(111)는 제1 삽입홀에 대응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부에 제2 가구(20)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13)의 내부 공간(112)에 후술할 자석(115)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소켓 유닛(120)은 제2 가구(20)의 인접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구(20)의 인접면이란 제1 가구(10)의 일면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가구(20)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가구(20)의 인접면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고, 소켓 유닛(120)의 소켓 본체(121)가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제2 가구(20)에 구비된다. 이때 소켓 본체(121)는 제2 가구(20)의 인접면에 부착되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켓 유닛(120)은 소켓 본체(121)에 요홈 형성되어 제2 삽입홀에 삽입되는 수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23)의 요홈 형성되는 공간에는 플러그 유닛(110)의 돌출부(113)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본체(111), 돌출부(113), 소켓 본체(121), 수용부(123)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전해 도금 방식에 의해 코팅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제1 가구(10)에 구비되는 플러그 유닛(110)과, 제2 가구(20)에 구비되는 소켓 유닛(120)은 높이 방향을 따라 측면에 복수개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3을 참고하면, 플러그 유닛(110)의 돌출부(113)의 내부 공간(112)에는 자석(115)이 구비되며, 소켓 유닛(120)의 소켓 본체(121)에 형성되는 수용부(123)에 돌출부(113)가 삽입되어, 돌출부(113)에 구비되는 자석(115)의 자력에 의해 돌출부(113)가 수용부(123)에 결합되어, 플러그 유닛(110)이 소켓 유닛(120)에 자성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유닛(110)과 소켓 유닛(120)은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형성되는 경우 제1 가구(10)와 제2 가구(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3)에 구비되는 자석(115)은 충분한 자력을 제공하기 위해 네오미듐 자석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가구의 측면에 구비되어 있는 플러그 유닛(110) 및 소켓 유닛(120)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가구를 손쉽게 연결함으로써, 가구의 결합 작업 및 가구의 배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 유닛(110)과 소켓 유닛(120)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인접 배치되는 가구간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3을 참고하면, 수용부(123)와 접촉하는 돌출부(113)의 접촉면에는 결합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13)에 구비되는 자석(115)과 수용부(123) 사이에 결합홀(114)을 형성함으로써 자석(115)에 의한 자력이 충분히 수용부(123)에 전달되게 하여, 자력에 의한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자석(115)이 돌출부(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돌출부(113)에 형성되는 결합홀(114)의 단면적은 자석(115)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돌불부의 돌출 높이는 수용부(123)의 수용 깊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3)의 돌출 높이가 수용부(123)의 수용 깊이보다 작은 경우, 돌출부(113)의 단부가 수용부(123)의 내측면에 접촉하지 않아 자석(115)에 의한 자력이 온전하게 수용부(123)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플러그 유닛(110)과 소켓 유닛(120)의 결합력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가 나무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실내 환경 조건에 따라 수축이나 팽창이 일어날 수 있으며, 수축의 경우에는 크게 문제되지 않으나,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가 팽창되는 경우 제2 가구(20)의 팽창 정도에 따라 플러그 유닛(110)의 돌출부(113)와 소켓 유닛(120)의 수용부(123)가 서로 접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가구의 팽창 정도를 고려하여 돌출부(113)의 돌출 높이를 수용부(123)의 수용 깊이보다 크게 형성시킴으로써, 가구가 환경 조건에 따라 변형되는 경우라도 돌출부(113)에 구비된 자석(115)에 의한 자력을 온전하게 수용부(123)로 전달하여, 플러그 유닛(110) 및 소켓 유닛(120)의 결합력을 최선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유닛(110)의 돌출부(113)의 돌출 높이는 13mm이고, 소켓 유닛(120)의 수용부(123)의 수용 깊이는 10mm일 수 있으며, 이때, 돌출부(113)에 구비되는 자석(115)의 두께는 5mm일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수용부(123) 및 돌출부(113)의 두께는 0.5mm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서로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가구 연결 구조(100)는 본체(131), 소켓 유닛(120) 및 플러그 유닛(1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31)는 인접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는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연결하는 수단이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가구 연결 구조(100)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가 서로 수직하게 위치하는 경우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체(131)는 대략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중공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직육면체 구조의 본체(131) 외주 각 4개의 면에는 플러그 유닛(110) 또는 소켓 유닛(120)이 교번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31)의 제1면(132A)에는 소켓 유닛(120)이 형성되고, 제1면(132A)과 연결되는 제2면(132B)에는 플러그 유닛(110)이 형성되고, 제2면(132B)과 연결되는 제3면(132C)에는 소켓 유닛(120)이 형성되며, 제3면(132C) 및 제1면(132A)과 연결되는 제4면(132D)에는 플러그 유닛(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31)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직교 배치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의 모서리부에 본체(131)가 구비되어 본체(131)에 형성되는 플러그 유닛(110) 및 소켓 유닛(120)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연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가구(10)와 인접하는 본체(131)의 어느 일면(제1면(132A))에는 제1 가구(10)의 일면에 구비되는 플러그 유닛(110)에 대응되는 소켓 유닛(120)이 형성되고, 제1 가구(10)와 직교 배치되는 제2 가구(20)와 인접하는 본체(131)의 다른 일면(제4면(132D))에는 제2 가구(20)의 일면에 구비되는 소켓 유닛(120)에 대응되는 플러그 유닛(110)이 형성되며, 플러그 유닛(110)이 소켓 유닛(120)에 삽입되어 플러그 유닛(110)과 소켓 유닛(120)이 자성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제1 가구(10)의 일면 및 상기 본체(131)의 다른 일면(제4면(132D))에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며, 플러그 유닛(110)은, 제1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플러그 유닛(110)은 제2 가구(2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3)를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111) 및 플러그 본체(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1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가구(20)의 일면 및 본체(131)의 어느 일면(제1면(132A))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며, 소켓 유닛(120)은,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소켓 유닛(120)은 금속 재질의 소켓 본체(121) 및 소켓 본체(121)에 요홈 형성되어 돌출부(113)를 수용하는 수용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러그 유닛(110)과 소켓 유닛(120)은 앞선 실시예의 플러그 유닛(110) 및 소켓 유닛(120)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의 플러그 유닛(110) 및 소켓 유닛(120)의 구체적인 설명은 앞선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가구(10)에 형성되는 플러그 유닛(110)이 본체(131)의 제1면(132A)에 형성되는 소켓 유닛(120)에 삽입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되고, 본체(131)의 제4면(132D)에 형성되는 플러그 유닛(110)이 제2 가구(20)에 형성되는 소켓 유닛(120)에 삽입되어 자력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서로 직교 배치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가 본체(131)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31)를 가구(10, 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함으로써 가구(10, 20)와 본체(131)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작업자가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직교 배치하는 작업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작업자는 먼저 제1 가구(10)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제1 가구(10)의 플러그 유닛(110)에 본체(131)의 소켓 유닛(120)을 삽입시켜 본체(131)를 연결시키며, 제2 가구(20)의 소켓 유닛(120)을 본체(131)의 플러그 유닛(110)에 외삽시킴으로써 제1 가구(10)와 제2 가구(20)를 직교 배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서로 직교 배치되는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연결시킬 수 있으며, 본체(131)에 형성된 연결 구조를 통해 간이한 작업만으로도 제1 가구(10) 및 제2 가구(2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직육면체 본체(131)의 평평한 상(上)면에는 화분과 같은 인테리어 물품을 위치시킴으로써,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도 6을 참고하면, 3개 이상의 가구(파티션, 10, 20, 30, 40)를 이용하여 공간을 구분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131)에 형성된 플러그 유닛(110) 또는 소켓 유닛(120)과 파티션에 형성된 소켓 유닛(120) 또는 플러그 유닛(110)을 연결시킴으로써, 본체(131)를 기준으로 파티션(10, 20, 30, 40)을 서로 수직으로 배치하여 간이한 시공 방법을 통해 ┣, ┫, ┳, ┻, ╋ 의 다양한 형상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하는 가구를 볼트, 나사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지 아니하고 자력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가구의 결합 작업 및 배치가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 연결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인접 배치되는 가구간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러그 유닛과 소켓 유닛을 결합하는 간이한 작업만으로 서로 직교 배치되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를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 형성된 플러그 유닛 또는 소켓 유닛과 파티션에 형성된 소켓 유닛 또는 플러그 유닛을 연결시킴으로써, 본체를 기준으로 ┣, ┫, ┳, ┻, ╋ 의 다양한 형상으로 파티션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제1 가구 20: 제2 가구
30: 제3 가구 40: 제4 가구
100: 가구 연결 구조 110: 플러그 유닛
111: 플러그 본체 112: 내부 공간
113: 돌출부 114: 결합홀
115: 자석 120: 소켓 유닛
121: 소켓 본체 123: 수용부
131: 본체 132A: 제1면
132B: 제2면 132C: 제3면
132D: 제4면 133: 중공부

Claims (10)

  1. 서로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가구 연결 구조로서,
    제1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는 플러그 유닛;
    상기 제1 가구의 일면과 인접하는 제2 가구의 인접면에 상기 플러그 유닛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소켓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이 상기 소켓 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과 상기 소켓 유닛이 자성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구의 일면에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가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구의 인접면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소켓 본체; 및
    상기 소켓 본체에 요홈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상기 돌출부의 접촉면에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수용부의 수용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높이는 13mm이고, 상기 수용부의 수용 깊이는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 구비되는 상기 자석의 두께는 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유닛 및 상기 소켓 유닛은 전해 도금 방식에 의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9. 서로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가구 연결 구조로서,
    인접하는 제1 가구 및 제2 가구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제1 가구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어느 일면에는, 상기 제1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는 플러그 유닛에 대응되는 소켓 유닛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가구와 인접하는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2 가구의 일면에 구비되는 소켓 유닛에 대응되는 플러그 유닛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이 상기 소켓 유닛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 유닛과 상기 소켓 유닛이 자성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가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구의 일면 및 상기 본체의 다른 일면에는 제1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플러그 유닛은,
    상기 제1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 가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가구의 일면 및 상기 본체의 어느 일면에는 제2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소켓 유닛은,
    상기 제2 삽입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소켓 본체; 및
    상기 소켓 본체에 요홈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연결 구조.
KR1020220056973A 2022-05-10 2022-05-10 가구 연결 구조 KR20230157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73A KR20230157601A (ko) 2022-05-10 2022-05-10 가구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973A KR20230157601A (ko) 2022-05-10 2022-05-10 가구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7601A true KR20230157601A (ko) 2023-11-17

Family

ID=8896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973A KR20230157601A (ko) 2022-05-10 2022-05-10 가구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76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994A (ko)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엘퍼스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5994A (ko) 2011-01-25 2012-08-02 주식회사 엘퍼스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7218B2 (en) Modular wall nesting system
KR100300753B1 (ko) 선반 또는 수납장용 조립식 프레임 부재세트
KR20230157601A (ko) 가구 연결 구조
KR20200102211A (ko) 칸막이 연결구조
KR200399628Y1 (ko) 건축물 내,외장용 패널의 코너 연결구
KR20150074536A (ko) 수납용 조립식 가구
CN210002622U (zh) 一种多功能室内金属隔断
JP2017141655A (ja) 物支持部材の支持構造
KR20200090548A (ko) 조립이 간편한 수납함 세트 및 이의 조립방법
CN211473199U (zh) 一种装饰板用卡接件及装饰板系统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CN211472969U (zh) 一种隔墙系统
KR0129212Y1 (ko) 조립식 욕실용 벽체와 그 조립용 브라켓
CN216109533U (zh) 金属铝合金型材制作的壁龛
CN219671949U (zh) 一种装配式背景墙
KR102657308B1 (ko) 조립식 가구
CN215368389U (zh) 一种阴角连接结构
CN217232314U (zh) 一种应用于商业建筑的装配式硬裱墙面结构
CN215368390U (zh) 一种墙面阳角安装结构
JP3218486U (ja) フレーム
CN210857823U (zh) 单向插件及墙板拼接组件
KR101348856B1 (ko) 조립식 칸막이용 칸막이 부재 연결 구조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TWI711751B (zh) 輕質集裝屋
US20210388598A1 (en) Structural component for modular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