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230A -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 Google Patents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230A
KR20230155230A KR1020220054832A KR20220054832A KR20230155230A KR 20230155230 A KR20230155230 A KR 20230155230A KR 1020220054832 A KR1020220054832 A KR 1020220054832A KR 20220054832 A KR20220054832 A KR 20220054832A KR 20230155230 A KR20230155230 A KR 2023015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tating
boom
section
headse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4678B1 (ko
Inventor
윤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인텍
Priority to KR1020220054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4678B1/ko
Priority to PCT/KR2022/010238 priority patent/WO2023214615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4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헤드셋장치가 제공된다. 헤드셋장치는, 이어컵 일 측에 회전식 붐대가 결합된 헤드셋장치에 있어서, 붐대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 제1중심단자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붐대에 고정된 회전단자, 제1중심단자 및 회전단자에 접속되어 붐대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 및 이어컵에 배치되고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되며, 회전반경으로 정의되는 회전단자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하고, 접속구간 내에서만 제1중심단자 및 회전단자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마이크모듈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붐대의 회전에 따라 회전단자가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마이크모듈이 켜지고, 회전단자가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꺼지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헤드셋장치{Headset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셋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이크가 달려있는 헤드셋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폰은 이어컵의 안쪽에 스피커를 장착한 음향기기의 일종이다. 공간을 통한 소리의 확산을 막고 사용자의 귀에 바로 소리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헤드폰이 자주 사용된다.
헤드폰에 마이크가 접목된 헤드셋은 송화기능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헤드셋 역시 헤드폰만큼 자주 사용된다. 특히 원거리의 상대방과 장시간 통화하는 경우에는 전화보다 편리한 장점이 있어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면, 불특정 다수와 반복 통화하는 전화상담원 등에게는 헤드셋의 사용이 거의 필수적이다. 헤드셋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붐대 끝에 마이크를 장착하여 마이크를 사용자의 입 쪽에 배치한 형태가 일반적이다(예, 대한민국 특허10-0413387등).
이러한 헤드셋을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도 자주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헤드셋은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금만 부주의하면 마이크를 끈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셋을 상시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원치 않는 개인정보가 유출될 확률이 증가되고, 사용자와 연결된 상대방 역시 불필요한 소음에 노출될 기회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은 아직 제공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인 개선이 필요하였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13387호, (2004. 01. 0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시키며, 마이크의 온 오프의 조정도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헤드셋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헤드셋장치는, 이어컵 일 측에 회전식 붐대가 결합된 헤드셋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상기 붐대에 고정된 회전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붐대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 및 상기 이어컵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회전반경으로 정의되는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간 내에서만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마이크모듈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붐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켜지고,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꺼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는, 상기 제1중심단자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제2중심단자에서 상기 회전반경만큼 이격되고, 상기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상기 접속구간을 형성하는 원호형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단자는 상기 붐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붐대의 회전위치와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위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는 각각 스프링에 탄성 지지된 핀형 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각각 점형상 및 원호형상의 패턴으로 단일 기판의 일 면에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반원형상의 패턴일 수 있다.
상기 기판이 상기 이어컵 내측에 상기 제2중심단자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의 배향이 바뀔 수 있다.
상기 붐대는,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회전반경보다 넓게 확대되어 상기 제1중심단자와 상기 회전단자가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컵은, 일 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일 면이 상기 회전판과 면하도록 상기 기판이 내부에 수용된 제1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어컵은, 상기 제1몸체의 타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제2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셋장치는,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제1몸체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한 쌍의 탄성접점, 및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탄성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접점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한 쌍의 점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는 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상기 이어컵에 내장된 내장전원 및 상기 이어컵의 외부에서 상기 이어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셋 장치의 사용자가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시각적 인지를 통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가 꺼져 있는지 스위치 등을 찾아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직관적인 조작으로 정확하게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부주의로 인해 마이크의 온 오프 상태를 오인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한 그와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가지 문제(개인정보 유출, 소음발생 등)역시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주요부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분해도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를 겹쳐서 도시한 배치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세부구조와 구간형접속단자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붐대의 회전에 의한,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배치변화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7은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의 제1몸체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헤드셋장치의 접속구간 변경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헤드셋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 그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주요부 분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부 분해도를 다른 각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헤드셋장치(1)는 이어컵(100)에 붐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마이크모듈(300)은 붐대(200)의 회전중심에서 이격된 붐대(200)의 말단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붐대(200)에는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가 배치되고, 이어컵(100)에는 구간형 접속단자(13)가 배치된다. 제1중심단자(11)는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 있지만 회전단자(12)는 회전중심과 떨어져 있어 붐대(200)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다(도 6참조).
이로 인해 붐대(200)에 배치된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의 쌍은 이어컵(100)에 배치된 구간형 접속단자(13)와 일정구간에서만 모두 접속된다. 접속구간(도 6의 A참조)에서만 마이크모듈(300)이 켜지지만, 단자의 회전이 붐대(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붐대(200)의 회전상태만 보고도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붐대(200)를 회전시키면 접속구간으로 단자의 위치를 바꿀 수 있으므로 붐대(200)를 회전시키는 직관적인 조작만으로 마이크모듈(300)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헤드셋장치(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헤드셋장치(1)는, 이어컵(100) 일 측에 회전식 붐대(200)가 결합된 헤드셋장치(1)에 있어서, 붐대(200)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도 2의 11참조), 제1중심단자(11)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붐대(200)에 고정된 회전단자(도 2의 12참조),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에 접속되어 붐대(200)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도 1의 300참조), 및 이어컵(100)에 배치되고 헤드셋장치(1)의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회전반경에 의해 정의되는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도 5 및 도 6의 A, A1~A3참조)을 구비하고, 접속구간 내에서만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마이크모듈(300)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13)를 포함하여, 붐대(2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켜지고,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마이크모듈(300)이 꺼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제1중심단자(11)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도 2의 13a참조), 및 제2중심단자(13a)에서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만큼 이격되고,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접속구간을 형성하는 원호형 접속단자(도 2의 13b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단자(12)는 붐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붐대(200)의 회전위치와 회전단자(12)의 회전위치를 동기화시킬 수 있다(도 6참조).
이하,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헤드셋장치(1)의 전체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헤드셋장치(1)는, 이어컵(100), 마이크모듈(300)이 장착된 붐대(200), 헤드밴드(400)를 포함한다. 이어컵(100) 안에는 스피커(도 2의 121참조)가 내장되며, 헤드밴드(400)는 사용자의 머리둘레에 대응하여 신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헤드밴드(400)의 일 측에는 사용자의 머리에 헤드셋장치(1)를 고정하기 위한 지지클립(410)이 배치된다.
그러나 헤드셋장치(1)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클립(410)이 형성된 위치에 다른 이어컵(스피커가 내장될 수 있다)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이어컵(100)은 내부에 공간이 있는 일종의 하우징일 수 있다. 이어컵(100) 내부에는 스피커나 기판 등을 수용가능한 적절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어컵(100)이 사람의 피부와 밀착하는 부위에는 도 1과 같이 이어패드(122)(예를 들면, 내부의 완충재를 직물이나 가죽 등으로 감싼 것일 수 있다)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어컵(100)은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착탈될 수 있다.
붐대(200)는 이어컵(100) 일 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붐대(200)는 이어컵(100)의 제1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붐대(200)는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바 형태로 형성되며, 이어컵(100)과 결합하는 일단부에 원형의 회전판(210)이 형성된다. 마이크모듈(300)은 붐대(200)의 타단부 말단에 도 1처럼 배치될 수 있다.
헤드셋장치(1)는 내장전원 또는 외부전원에 의해서 동작할 수 있다. 헤드셋장치(1)의 전원(미도시)은 이어컵(100)에 내장된 내장전원 및 이어컵(100)의 외부에서 이어컵(100)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헤드셋장치(1)의 전원으로부터 제공된 전력에 의해 마이크모듈(300)과 스피커 등이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셋장치(1)가 전원선(113)에 의해서 연결되는 외부전원(미도시)을 사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셋장치(1)는 내부전원(미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경우 예를 들어, 이어컵(100) 내부에 장착되는 착탈식 또는 충전식 배터리로 내부전원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헤드셋장치(1)의 결합구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붐대(200)는 회전판(210)을 통해 이어컵(10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판(210)은 이어컵(100)의 제1몸체(1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판(210)과 제1몸체(110)에는 회전식 결합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회전식 결합구조는 원안에 회전 가능한 링 구조가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제1몸체(110)의 회전판(210)과 접하는 부분에 원형으로 개방된 결합구(112)를 형성하고, 도 3과 같이, 회전판(210)의 결합구(1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1몸체(110)를 향해 돌출된 결합링(212)을 형성하여 양자를 결합할 수 있다.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링(212)과 결합구(112) 사이에는 결합 후 빠지지 않도록 요철 결합하는 돌기나 홈 등의 구조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붐대(200)는 이어컵(100)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중심단자(11), 회전단자(12) 및 구간형 접속단자(13)는 붐대(200)와 이어컵(100)이 결합되는 결합부위에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닿을 수 있게 배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결합링(212)의 안쪽에 고정된 회전기판(211)에 배치하고,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간형 접속단자(13)는 결합구(112)를 통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제1몸체(110)안의 기판(111)에 배치할 수 있다.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각각 스프링(11a, 12a)에 탄성 지지된 핀형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확대도 참조). 예를 들어 고정블록(11b)안에 스프링(11a, 12a)과 함께 각 단자를 결합하여 탄성 지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구간형 접속단자(13)간 접촉이 더 원활해질 수 있다
확대도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11a, 12a)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를 회전기판(211)에 형성된 단자선(14a)과 통전시킬 수 있다. 즉 스프링 구조가 단자의 전기적 접속상태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필요한 경우에는 스프링 사이로 단자선과 각 단자를 연결하는 연결선(미도시)등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실질적으로 두 개의 단자가 기하학적으로 조합된 형태일 수 있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각각 점형상 및 원호형상의 패턴으로 단일 기판[전술한 제1몸체(110) 내부의 기판(111)]의 일 면에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반원형상의 패턴일수 있다. 그러나 그로써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원호 형상으로 변형도 가능하다.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구간형 접속단자(13)는 붐대(200)의 회전판(210)과, 제1몸체(110)의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회전판(210)은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서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보다 넓게 확대된 구조이며 예를 들면, 납작한 원반 또는 원판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는 회전판(210)의 내부(외측 테두리에서 안쪽을 말함)에 고정된다.
제1몸체(110)는 일 측에 회전판(2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구간형 접속단자[즉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일 면에 인쇄된 기판(111)이 회전판(210)과 면하도록 수용된다.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전술한 결합구(112)를 통해 기판(111)의 일 면에 인쇄된 구간형 접속단자(13)가 회전판(21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붐대(200)가 이어컵(100)에 결합되면(구체적으로 붐대의 회전판과 이어컵의 제1몸체간 결합) 결합부위에 위치한 단자(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 접속단자)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된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제1중심단자(11)와 제2중심단자(13a)는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서 맞닿아 접촉상태를 유지하지만, 회전중심(C)과 떨어져있는 회전단자(12)와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회전단자(1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의 쌍과 구간형 접속단자(13)간 통전은 구간형 접속단자(13) 전체[즉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 모두와 접촉되는 구간에서만 발생된다. 이러한 단자구조를 이용하여,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을 제공하거나 전력공급을 제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회전기판(211)에 형성된 단자선(14a)과 회전기판(211)과 마이크모듈(도 1의 300참조)을 연결하는 배선(16a)등을 통해 마이크모듈(300)과 접속된다. 반면 구간형 접속단자(13)는, 기판(111)에 형성된 또 다른 단자선(14b)과 기판(111)과 전원선(113)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배선(16b)등을 통해 전원에 접속된다.
즉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의 쌍은 마이크모듈(300)에,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전원에 각각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1중심단자(11), 회전단자(12) 및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실질적으로 전원과 마이크모듈(300) 사이에 위치하여 전원과 마이크모듈(300)사이의 회로(전원회로)를 개폐하는 일종의 스위칭 장치로 기능한다.
예를 들면,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는 마이크모듈(300)의 전원단자에 형성된 양 극(또는 그라운드와 전원)에 각각 연결될 수 있고 구간형 접속단자(13)의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전술한 헤드셋장치(1) 전원의 양 극(또는 그라운드와 전원단자)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중심단자(11)와 제2중심단자(13a), 회전단자(12)와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모두 통전되는 구간에서만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단자들의 구체적인 배치와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를 겹쳐서 도시한 배치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세부구조와 구간형접속단자의 변형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붐대의 회전에 의한, 제1중심단자, 회전단자, 및 구간형접속단자의 배치변화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심단자(11), 회전단자(12), 및 구간형 접속단자(13)를 겹쳐서 도시하면 단자들의 상호간 배치가 보다 분명히 나타난다. 도 4는 붐대(200)에 형성된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이어컵(도 3의 100참조)에 형성된 구간형 접속단자(13)를 도 2의 회전중심(도 2의 C참조)방향으로 겹쳐서 도시한 것이다.
잠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는 모두 붐대(200)에 고정되어 있다. 제1중심단자(11)는 붐대(200)의 회전중심(C)에 고정되며, 회전단자(12)는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만큼 이격되어 붐대(200)에 고정된다. 회전단자(12)가 회전중심(C)에서 이격되어 있으므로 붐대(200)가 회전하면 회전단자(12)도 함께 회전한다.
예를 들면, 회전단자(12)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최대 회전범위를 의미함)는 더 클 수 있다. 회전단자(12)의 회전각도는 붐대(200)의 회전각도와 일치하므로 붐대(200)가 360도 회전하면 회전단자(12) 역시 360도 회전된다.
따라서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는, 실질적으로 회전반경에 의해 정의되는 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중심단자(11)와 회전단자(12) 사이의 회전반경(R)을 측정할 수 있고, 해당 회전반경(R)에 의해 정의되는 원 위에서 회전단자(12)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단자들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므로, 회전반경(R)을 비롯하여 후술하는 원호의 길이, 그에 대응하는 접속구간(A1~A3) 등은 모두 단자들의 두께에 영향 받지 않는 단자의 중심에 대해 도시되었다. 즉 회전반경(R)은 제1중심단자(11)의 중심(붐대의 회전중심과 일치한다)과 회전단자(12)의 중심간 간격으로 측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이어컵(100)에 배치된다.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실질적으로 이어컵(100)에 고정되며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한다. 따라서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구간 내에서만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모두 통전되며, 그러한 접속구간 내에 회전단자(12)가 위치할 때에만 마이크모듈(도 1의 300참조)로 전력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구간형 접속단자(13)는 제1중심단자(11)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13a), 및 제2중심단자(13a)와 이격된 원호형 접속단자(13b)를 포함한다.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제2중심단자(13a)에서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도 5의 R참조)만큼 이격되고,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접속구간은 실질적으로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이루는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접속구간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a)에는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제2중심단자(13a) 및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간격이 비교되어 있다. 간격은 전술한 것처럼 단자의 중심간 간격을 고려하였다. 도시된 것처럼 회전단자(12)와 제1중심단자(11)간 간격은, 제2중심단자(13a)와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간격과 동일하며, 이 간격은 회전단자(12)의 회전반경(R)과도 동일하다.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는 회전반경(R)으로 정의되는 원에 해당하므로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형성하는 원호는 상기 원의 일부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5의 (a)와 같이, 원호형 접속단자(13b)는 회전단자(12)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접속구간(A1)을 형성한다.
제1중심단자(11)와 제2중심단자(13a)는 접촉상태로 유지되지만, 회전단자(12)는 원호형 접속단자(13b)와 접속구간(A1)에서만 접촉하기 때문에, 제1중심단자(11) 및 회전단자(12)와, 구간형 접속단자(13) 전체가 통전되는 구간은 접속구간(A1)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헤드셋장치의 전원이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간도 접속구간(A1)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A1)안에 있을 때에만 마이크모듈(300)이 켜지고, 회전단자(12)가 접속구간(A1)을 이탈하면 마이크모듈(300)은 꺼지게 된다.
도 5의 (a), (b), (c)를 참조하면, 원호형 접속단자(13b)가 이루는 원호[접속구간(A1, A2, A3)과 실질적으로 동일함]는, 회전반경(R)과 중심각(θ1, θ2, θ3)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게 된다. 도시된 것처럼, 원호의 길이는 한정적이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므로, 접속구간(A1, A2, A3)의 크기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크기를 조절하면 필요한 만큼 접속구간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도면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더 다양하게 구간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이러한 단자구조에 의해서,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접속구간(A)안에 회전단자(12)를 중첩시켜 마이크모듈(30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마이크모듈 ON상태). 또한, 도 6의 (b)와 같이, 접속구간(A) 밖으로 회전단자(12)를 이탈시켜 마이크모듈(300)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마이크모듈 OFF상태).
접속구간(A)은 실질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외부에서도, 접속구간(A)에 대응하는 대응접속구간(A')[접속구간(A)의 중심각과 동일하고 같은 회전중심을 갖되 회전반경만 증가된 원호 또는 부채꼴일 수 있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대응접속구간(A')은 제품 제조 시 기록하였다가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고, 표시가 없더라도 반복사용에 의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또는 이어컵(100) 등에 대응접속구간(A')을 표시해 놓을 수도 있다.
회전단자(12)의 회전은 붐대(200)의 회전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붐대(200)와 대응접속구간(A')의 위치를 보고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상태를 매우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회전단자(12)는 붐대(20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도시된 것처럼 붐대(200)의 회전위치와 회전단자(12)의 회전위치를 완전히 동기화시킬 수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붐대(200)의 방향의 방향이 회전단자(12)의 방향을 가리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대응접속구간(A')과 붐대(200)의 위치로부터 접속구간(A)과 회전단자(12)의 위치를 동등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6의 (a)와 같이, 붐대(200)가 대응접속구간(A') 안에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켜진 상태로 인지하고, 도 6의 (b)와 같이, 붐대(200)가 대응접속구간(A') 밖으로 이탈되면 마이크모듈(300)이 꺼진 상태로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붐대(200)를 회전시켜, 대응접속구간(A') 안으로 배치하거나, 밖으로 이탈시키는 매우 직관적인 방식으로 마이크모듈(300)을 손쉽게 켜거나 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구조를 이용하여 마이크모듈(300)의 작동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나머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 후, 헤드셋장치 전체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어컵(100)은 서로 착탈되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를 포함한다.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착탈 구조로 스피커 측에도 편리하게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몸체(120)는 스피커(121)가 내장되어 있고 제1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각각 제1결합부(도 3의 114참조) 및 제2결합부(도 2의 123참조)를 형성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4)와 제2결합부(123)는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마주보는 면에 서로 착탈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면의 구조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는 요철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제2결합부(123) 측에 결합돌기(12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결합부(114)는 예를 들어, 결합돌기(124)가 내측에 끼워질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124)와 결합하는 테두리부분 안쪽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몸체(120)에는 제2몸체(120)에서 제1몸체(110)를 향해 돌출되고 스피커(121)(진동판 측이 아닌 반대편 일부가 노출된 형태로 도시됨)와 연결된 한 쌍의 탄성접점(121a)이 형성되고, 제1몸체(110)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접점(12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접점(121a)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전술한 헤드셋장치(1)의 전원에 접속된 한 쌍의 점전원단자(15)가 형성될 수 있다.
점전원단자(15)는 예를 들어, 전술한 구간형 접속단자(13)가 일 면에 인쇄된 기판(111)의 반대편 타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11)과 전원선(113)을 연결하는 배선(16b)등을 통해서 헤드셋장치(1)의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이므로 필요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조를 바꾸어 배치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몸체(110)와 제2몸체(120)가 결합되면, 점전원단자(15)는 탄성접점(121a)과 탄성적으로 접하여 통전된다. 점전원단자(15)가 헤드셋장치(1)의 전원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원으로부터 탄성접점(121a)을 통해 스피커(121) 측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제2몸체(120)가 착탈식으로 쉽게 분리되므로 스피커(121), 이어패드(122)등의 교체 및 수리, 유지보수도 편리하며, 복잡한 배선이 사라지므로 헤드셋장치(1)의 조립성도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이어컵(100)을 헤드셋장치(1)에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헤드셋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헤드셋장치(1)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외부에서도 접속구간(도 6의 A참조)에 대응하는 대응접속구간(도 6의 A'참조)을 인지할 수 있고 회전단자(도 6의 12참조)의 회전위치도 붐대(200)의 위치만 보면 바로 알 수 있기 때문에, 마이크모듈(300)이 켜져 있는지 또는 꺼져 있는지를 붐대(200)의 회전위치만 보고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도 7에는 대응접속구간이 하부 반원(ON으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으로 나타나 있다. 따라서 붐대(200)가 해당 구간으로 회전되어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켜진 것으로 바로 인지되며, 대응접속구간이 아닌 상부 반원(OFF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안으로 붐대(200)가 회전되어 있으면 마이크모듈(300)이 꺼진 것으로 역시 바로 인지된다.
또한, 사용자가 마이크모듈(300)을 켜고 싶을 때는 대응접속구간인 하부 반원(ON으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으로 붐대(20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며, 마이크모듈(300)을 끄고 싶으면 대응접속구간 밖인 상부 반원(OFF로 표시되어 있는 구간)으로 붐대(200)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마이크모듈(300)을 켜고 끄는 조작도 매우 직관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셋장치(1)를 자주 사용하더라도, 마이크모듈(300)을 오조작하거나, 마이크모듈(300)의 온 오프 상태를 착각할 확률은 극도로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접속구간(도 5의 A1, A2, A3참조)의 크기 또는 범위도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조정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접속구간 및 대응접속구간의 범위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조작 편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셋장치(1)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하도록,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나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별도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전술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의 제1몸체의 분해도이고, 도 9는 도 8의 헤드셋장치의 접속구간 변경동작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셋장치는, 구간형 접속단자(13)가 형성된 기판(111a)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구간형 접속단자(13)의 위치 또는 배향까지 사용자가 맞춤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간형 접속단자(13)가 인쇄된 기판(111a)[제1몸체(110) 내측에 장착된 기판]을 이어컵(100) 내측에 제2중심단자(13a)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여, 기판(111a)의 회전에 따라 구간형 접속단자(13)의 배향이 바뀌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9참조).
예를 들어, 기판(111a)의 일 측에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핸들(111b)을 배치하고, 제1몸체(110)의 대응위치에 핸들(111b)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홈부(110a)를 형성하여, 기판(111a)의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기판(111a)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원통 또는 원통의 일부인 원호형의 홀더(110b)에 결합하여 제2중심단자(13a)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점전원단자(15)는 예를 들어, 별도의 분리기판(111c)등에 따로 배치하여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분리기판(111c)은 또 다른 형태의 고정형 홀더(110c)에 결합할 수 있다. 기판(111a)과 분리기판(111c)은 전술한 전원선(도 8의 113참조)과 연결된 또 다른 배선(16c)을 통해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될 수 있다.
도 8에는 생략되었지만, 도 9의 홀더(110b, 110c)들은 제1몸체(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제1몸체(110)를 형성하는 경우, 사출방식으로 제1몸체(110)에 다양한 형태의 홀더(110b, 100c)를 형성할 수 있으며 홀더(110b, 110c)를 별도 제작하여 제1몸체(110) 내부에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핸들(111b)을 조작하여 기판(111a)을 회전시키고 구간형 접속단자(13)의 배향을 바꿀 수 있다. 따라서, 원호형 접속단자(13b)의 위치가 바뀌므로 원호에 대응하는 접속구간(A, A-1)의 위치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접속구간(A, A-1) 또는 그에 대응하는 대응접속구간(도 6의 A'참조)의 위치도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으므로, 어느 방향으로 붐대(200)를 회전시켰을 때 마이크모듈(도 7의 300참조)이 켜지거나 꺼질지를 사용자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자신에게 익숙한 방향으로 붐대(200)를 회전시켰을 때 켜지거나 또는 꺼지게 하는 등의 설정을 보다 세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직관적으로 헤드셋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셋장치를 구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헤드셋장치
11: 제1중심단자 12: 회전단자
11a, 12a: 스프링 11b: 고정블록
13: 구간형 접속단자 13a: 제2중심단자
13b: 원호형 접속단자 14a, 14b: 단자선
15: 점전원단자 16a, 16b, 16c: 배선
100: 이어컵 110: 제1몸체
110a: 홈부 110b, 110c: 홀더
111, 111a: 기판 111b: 핸들
111c: 분리기판 112: 결합구
113: 전원선 114: 제1결합부
120: 제2몸체 121: 스피커
121a: 탄성접점 122: 이어패드
123: 제2결합부 124: 결합돌기
200: 붐대 210: 회전판
211: 회전기판 212: 결합링
300: 마이크모듈 400: 헤드밴드
410: 지지클립 R: 회전반경
θ1, θ2, θ3: 중심각 A, A1, A2, A3, A-1: 접속구간
A': 대응접속구간 C: 회전중심

Claims (10)

  1. 이어컵 일 측에 회전식 붐대가 결합된 헤드셋장치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회전중심에 고정된 제1중심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에서 회전반경만큼 이격되어 상기 붐대에 고정된 회전단자;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붐대 끝에 배치된 마이크모듈; 및
    상기 이어컵에 배치되고 상기 헤드셋장치의 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회전반경으로 정의되는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범위와 부분적으로만 중첩되는 접속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간 내에서만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와 모두 통전되어 상기 전원의 전력을 상기 마이크모듈로 제공하는 구간형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붐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 내에 있으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켜지고, 상기 회전단자가 상기 접속구간을 이탈하면 상기 마이크모듈이 꺼지는 헤드셋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는,
    상기 제1중심단자와 맞닿게 배치된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제2중심단자에서 상기 회전반경만큼 이격되고, 상기 회전반경과 중심각이 360도보다 작은 부채꼴을 이루는 원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원호에 대응하는 구간으로 상기 접속구간을 형성하는 원호형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헤드셋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자는 상기 붐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붐대의 회전위치와 상기 회전단자의 회전위치를 동기화시키는 헤드셋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중심단자 및 상기 회전단자는 각각 스프링에 탄성 지지된 핀형 단자로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단자 및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각각 점형상 및 원호형상의 패턴으로 단일 기판의 일 면에 인쇄되는 헤드셋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접속단자는 반원형상의 패턴인 헤드셋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상기 이어컵 내측에 상기 제2중심단자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기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간형 접속단자의 배향이 바뀌는 헤드셋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상기 회전중심에서 상기 회전반경보다 넓게 확대되어 상기 제1중심단자와 상기 회전단자가 내부에 고정되는 회전판을 포함하고,
    상기 이어컵은, 일 측에 상기 회전판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기판의 일 면이 상기 회전판과 면하도록 상기 기판이 내부에 수용된 제1몸체를 포함하는 헤드셋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컵은, 상기 제1몸체의 타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는 제2몸체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에서 상기 제1몸체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스피커와 연결된 한 쌍의 탄성접점, 및
    상기 제1몸체의 상기 탄성접점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탄성접점과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전원에 접속된 한 쌍의 점전원단자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상기 이어컵에 내장된 내장전원 및 상기 이어컵의 외부에서 상기 이어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헤드셋장치.
KR1020220054832A 2022-05-03 2022-05-03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KR102614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32A KR102614678B1 (ko) 2022-05-03 2022-05-03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PCT/KR2022/010238 WO2023214615A1 (ko) 2022-05-03 2022-07-13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832A KR102614678B1 (ko) 2022-05-03 2022-05-03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230A true KR20230155230A (ko) 2023-11-10
KR102614678B1 KR102614678B1 (ko) 2023-12-19

Family

ID=8864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832A KR102614678B1 (ko) 2022-05-03 2022-05-03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14678B1 (ko)
WO (1) WO202321461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326A (ja) * 1998-03-04 2002-02-26 ハロー・ダイレクト・インク ヘッドセット用光スイッチ
KR100413387B1 (ko) 2002-01-18 2004-01-03 (주) 보이스웨어 음성변조 통화 시스템의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US20210267300A1 (en) * 2018-06-21 2021-09-02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A headset for a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385395T1 (de) * 2001-03-16 2008-02-15 Gn Netcom As Kopfgerät mit einstellbarem mikrofonhalter
US8520860B2 (en) * 2007-12-13 2013-08-27 Symbol Technologies, Inc. Modular mobile computing headset
US9749728B2 (en) * 2013-06-07 2017-08-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dio headset accommodating ear geometry varia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6326A (ja) * 1998-03-04 2002-02-26 ハロー・ダイレクト・インク ヘッドセット用光スイッチ
KR100413387B1 (ko) 2002-01-18 2004-01-03 (주) 보이스웨어 음성변조 통화 시스템의 헤드셋 및 이를 이용한 통화방법
US20210267300A1 (en) * 2018-06-21 2021-09-02 Savox Communications Oy Ab (Ltd) A headset for a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4678B1 (ko) 2023-12-19
WO2023214615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029042U (zh) 用于耳塞、便携式收听或电子设备的盒和无线收听系统
US9813799B2 (en) Modular headset with pivotable boom and speaker module
JP5937646B2 (ja) 電池扉
US7519196B2 (en) Headset
KR20020061776A (ko) 헤드셋 장치
US20110116674A1 (en) Headphone
JP7264155B2 (ja) 音響出力装置
AU2021101502A4 (en) Magnetic bluetooth eyeglasses
KR102614678B1 (ko) 음소거 기능이 있는 헤드셋장치
JP2012105118A (ja) ヘッドホーン及び頭部装着型画像表示装置
US20060239447A1 (en) Earphone with selectable cable positioning
JP5209828B1 (ja) イヤホン
KR201900150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CN213403470U (zh) 可调节佩戴角度的无线耳机
CN113747302B (zh) 耳机
KR200228489Y1 (ko) 헤드셋 장치
WO2018198265A1 (ja) ヘッドフォン
CN219802545U (zh) 一种带咪杆的耳机
JP4154587B2 (ja) 電子機器
CN214960044U (zh) 一种头戴耳机
JP4551891B2 (ja) ヘッドホン装置
TWM625801U (zh) 耳機系統
KR20170013572A (ko) 전자기기
KR20190022138A (ko) 휴대용 음향기기
JPH07162997A (ja) 耳掛け型補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