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177A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177A
KR20230155177A KR1020220054703A KR20220054703A KR20230155177A KR 20230155177 A KR20230155177 A KR 20230155177A KR 1020220054703 A KR1020220054703 A KR 1020220054703A KR 20220054703 A KR20220054703 A KR 20220054703A KR 20230155177 A KR20230155177 A KR 20230155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igarette
flap
hous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Priority to KR102022005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177A/ko
Publication of KR2023015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1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20Cigarette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6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46Magnets
    • E05Y2201/462Electromagnets

Abstract

실시예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팅 장치, 제어 장치 및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궐련 수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플랩 도어와 각 플랩 도어에 설치되며 플랩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도어 자석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궐련의 삽입력에 의해 플랩 도어가 회전하며 개방되며, 궐련 인출 시 도어 자석의 인력에 의해 플랩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OPENING AND CLOSING STURCTURE OF MICROPARTICLE GENERATOR}
실시예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궐련 담배의 흡연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들은 담뱃잎을 압축하여 필터와 함께 종이에 감싼 지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타입과, 액상형 카트리지 내에 충진된 액상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액상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스(1001)에 결합된 커버(1002)의 상면에는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002p)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002)의 상면에서 외부구멍(1002p)에 인접한 위치에 레일(1003r)이 형성된다. 레일(1003r)에는 커버(100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도어(1003)가 설치된다. 도어(1003)는 레일(1003r)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어(1003)가 레일(1003r)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궐련(3)이 커버(1002)를 통과하여 케이스(100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외부구멍(1002p)과 삽입구멍(1004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커버(1002)의 외부구멍(1002p)은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h)의 삽입구멍(1004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어(1003)에 의해 외부구멍(1002p)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궐련(3)의 단부(3b)를 외부구멍(1002p)과 삽입구멍(1004p)에 삽입시켜 궐련(3)을 커버(100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통로(1004h)에 장착할 수 있다. 도어(1003)는 커버(1002)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삽입구멍(1004p)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삽입구멍(1004p)을 개폐하는 도어(1003)는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주어 슬라이드시켜 개방한 다음, 삽입구멍(1004p) 내로 궐련(3)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도어(1003)의 개방 후 궐련(3)을 삽입하고, 궐련(3)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버튼 등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가열 동작을 시작하도록 입력해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9637
실시예는 자석과 전자석을 이용하여 궐련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팅 장치, 제어 장치 및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궐련 수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플랩 도어와 각 플랩 도어에 설치되며 플랩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도어 자석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궐련의 삽입력에 의해 플랩 도어가 회전하며 개방되며, 궐련 인출 시 도어 자석의 인력에 의해 플랩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본체에 설치되며, 도어가 개방된 때에 도어 자석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는 홀 IC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홀 IC 센서를 통해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히팅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하우징; 도어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플랩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브라켓; 및 도어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며, 플랩 도어 상부를 덮어 이탈을 방지하고, 궐련 삽입구를 구비하는 데코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도어 하우징에는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의 하우징 자석이 구비되며, 하우징 자석은 반경 방향으로 극성이 배치되고, 도어 브라켓은 도어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브라켓을 도어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켜, 도어 자석과 하우징 자석 간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서, 데코 휠은 도어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데코 휠은 내주면에 돌기를 구비하며, 본체는 데코 휠의 돌기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에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실시예가 제공하는 제공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는, 자석이 배치된 플랩 도어는 평상 시 플랩 도어에 장착된 도어 자석의 인력에 의해 궐련을 인출하면 바로 궐련 삽입구가 폐쇄되며, 필요에 따라 데코 휠을 이용해 도어 브라켓을 회전시켜 플랩 도어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궐련 삽입력에 의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회전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회전 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폐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궐련 삽입력에 의해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는, 본체(1)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하우징(100), 도어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브라켓(200), 도어 브라켓(2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플랩 도어(300), 도어 브라켓(200)에 고정 결합되며 플랩 도어(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코 휠(400)을 포함한다.
본체(1)는 궐련(A)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미도시)를 구비하며,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A)을 가열하는 히팅 장치(미도시), 제어 장치(미도시) 및 배터리(미도시)를 구비한다.
도어 하우징(100)은 본체(1)의 궐련 수용부 상단에 설치되며, 본체(1)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 설치된다. 도어 하우징(100)은 플랩 도어(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110)을 구비하며, 공간(110)의 외주에 측벽(120)이 구비된다. 측벽(120)에는 후술할 한 쌍의 하우징 자석(140)을 수용하기 위한 자석 설치부(122)가 형성된다. 이때, 자석 설치부(122)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즉 180°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도어 브라켓(200)은 원통형으로 상면(210)과 측벽(220)을 구비하며, 상면(210)에는 플랩 도어(3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개구(230)를 구비한다. 플랩 도어(300)는 궐련 수용부를 실질적으로 개폐하는 패널부(302)와 패널부(302)가 회전하는 중심이 되는 축부(304)를 구비한다. 한 쌍의 플랩 도어(300)의 패널부(302)는 서로 나란히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축부(304)는 외측에 배치된다. 축부(304)에는 축부(304)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축부(304)의 축방향 양 단부에 돌기(304a)가 구비되고, 개구(230)는 축부(304)에 대응하는 위치에 돌기(304a)가 수용되는 수용홈(230a)가 구비된다.
한편 패널부(302)에는 각각 도어 자석(310)이 설치된다. 도어 자석(310)의 극성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도어 자석(310)의 극성이 서로 반대로 배치되어 도어 자석(310) 간 인력이 작용한다.
한편, 플랩 도어(300)의 상부를 덮으며, 도어 브라켓(200)에 고정 설치되는 데코 휠(400)을 포함한다. 데코 휠(400)은 도어 브라켓(200)의 상면(210)과 접하는 상면(210)과 도어 브라켓(200)의 측벽(220)에 접하는 측벽(420)을 구비하며, 도어 브라켓(200)을 외부에서 감싸는 형태이다. 이때, 데코 휠(400)의 상면에는 궐련(A)을 삽입하기 위한 궐련 삽입구(412)가 설치된다.
궐련(A)을 삽입하기 전에는 궐련 삽입구(412)는 플랩 도어(300)의 패널부(302)에 의해 폐쇄된다.
궐련(A)을 삽입하며, 궐련(A)을 삽입하는 삽입력이 플랩 도어(300)에 설치된 도어 자석(310) 간의 인력을 이기며 플랩 도어(300)을 회전시키며 궐련 삽입구(412)를 개방한다.
이때, 본체(1)는, 궐련(A)의 삽입에 의해 개방된 플랩 도어(300)에 설치된 도어 자석(310)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홀 IC 센서(2)를 구비한다. 홀 IC 센서(2)는, 플랩 도어(300)가 개방되면 도어 자석(310)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고, 신호를 제어 장치(미도시)로 보낸다. 제어 장치(미도시)는 도어 자석(310)이 감지되면 궐련(A)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고 히팅 장치(미도시)의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회전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브라켓(200)은 도어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데코 휠(400)이 도어 브라켓(2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즉 데코 휠(400)과 도어 브라켓(200) 사이에서는 상대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데코 휠(400)을 잡고 회전시키면 도어 브라켓(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어 브라켓(200)이 회전하면, 도어 브라켓(200)에 설치된 플랩 도어(3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궐련(A)의 삽입 시에만 플랩 도어(300)가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플랩 도어(300)의 축부가 배치된 방향과 하우징 자석(142, 144)이 배치된 방향이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도어 자석(310)과 하우징 자석(142, 144)의 인력은 플랩 도어(300)의 회전 방향과 수직하므로 도어 자석(312, 314)과 하우징 자석(142, 144)의 인력에 의해서는 플랩 도어(300)가 개방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회전 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C-C'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데코 휠(400)을 90° 회전시키면, 도어 브라켓(200)과 도어 브라켓(200)에 설치된 플랩 도어(3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 후에는 플랩 도어(300)의 축부가 배치된 방향과 하우징 자석(142, 144)이 배치된 방향이 평행을 이룬다. 이 경우, 도어 자석(310)과 하우징 자석(142, 144)의 인력에 의해 플랩 도어(300)가 개방되며, 사용자가 다시 데코 휠(40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플랩 도어(300)는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하우징 자석(142, 144)는 반경 방향으로 극성이 배치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도면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하우징 자석(142)은 내측이 S극, 외측이 N극이며, 도면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2 하우징 자석(144)은 내측이 N극, 외측이 S극이다. 또한, 각 하우징 자석(142, 144)과 인력이 작용해야하는 도어 자석(312, 314)는, 도면 상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제1 도어 자석(312)은 내측(플랩 도어 폐쇄 시 상측)이 S극, 외측(플랩 도어 폐쇄 시 하측)이 N극이며, 도면 상에서 좌측에 위치하는 제2 도어 자석(314)은 내측(플랩 도어 폐쇄 시 상측)이 N극, 외측(플랩 도어 폐쇄 시 하측)이 S극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가 회전 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버튼 스위치(3)와 버튼 스위치(3)를 누르는 돌기(430a)를 추가로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이Tekk.
데코 휠(400)의 내주면에 돌기(430a)를 구비하고, 본체(1)가 데코 휠(400)의 회전 시에 돌기(430a)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에 버튼 스위치(3)를 구비한다. 버튼 스위치(3)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어 장치는 버튼 스위치(3)의 신호 입력 시에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히팅 장치(미도시)의 가열량을 조절하여 노말 모드/뷰스트 모드로 모드 전환하도록 활용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On/Off 버튼으로 활용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 잔량 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버튼 스위치(3)의 신호가 연속하여 2번, 3번 입력 시에 제어 장치가 서로 다른 기능을 선택하도록 활용할 수도 있다.

Claims (5)

  1. 궐련을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하는 히팅 장치, 제어 장치 및 배터리를 구비하는 본체; 및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궐련 수용부를 개폐하는 한 쌍의 플랩 도어와 각 플랩 도어에 설치되며 플랩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서로 인력이 작용하는 한 쌍의 도어 자석을 구비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궐련의 삽입력에 의해 플랩 도어가 회전하며 개방되며, 궐련 인출 시 도어 자석의 인력에 의해 플랩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 설치되며, 도어가 개방된 때에 도어 자석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는 홀 IC 센서;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는, 홀 IC 센서를 통해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히팅 장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도어 하우징;
    도어 하우징 상에 설치되며 플랩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브라켓; 및
    도어 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며, 플랩 도어 상부를 덮어 이탈을 방지하고, 궐련 삽입구를 구비하는 데코 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도어 하우징에는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의 하우징 자석이 구비되며,
    하우징 자석은 반경 방향으로 극성이 배치되고,
    도어 브라켓은 도어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브라켓을 도어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켜, 도어 자석과 하우징 자석 간 인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데코 휠은 도어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데코 휠은 내주면에 돌기를 구비하며,
    본체는 데코 휠의 돌기에 의해 눌려지는 위치에 버튼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1020220054703A 2022-05-03 2022-05-03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20230155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03A KR20230155177A (ko) 2022-05-03 2022-05-03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03A KR20230155177A (ko) 2022-05-03 2022-05-03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177A true KR20230155177A (ko) 2023-11-10

Family

ID=8874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703A KR20230155177A (ko) 2022-05-03 2022-05-03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1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637A (ko)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9637A (ko) 2017-05-26 2018-12-0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5737B1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KR20160116991A (ko) 전자담배 및 전자담배 제조방법
EP3639682A1 (en) Vapor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ing same
KR20230155177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102477087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N112450500A (zh) 一种童锁装置、雾化器及电子烟
KR102555115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N115003174A (zh) 电子烟
CN111406996A (zh) 电子烟
KR20230144722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102614307B1 (ko) 카트리지 회전형 살균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KR20230151624A (ko) 자기력을 이용한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JP7454644B2 (ja) 微細粒子発生装置の開閉構造
CN217672314U (zh) 一种车用烟灰盒总成
CN213128003U (zh) 一种加热不燃烧电子烟具
KR20240030860A (ko) 슬라이드 커버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KR20240011522A (ko) 에어로졸 발생장치의 궐련 삽입부 도어 어셈블리
KR20200030878A (ko) 액상 누액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미세입자발생기
KR950006085Y1 (ko) 자동차 연료주입구 개폐장치
KR940001824Y1 (ko) 담배 케이스
KR940004280Y1 (ko) 배터리 커버 자동 개폐장치
KR102555119B1 (ko) 회전형 살균 커버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
CN219346542U (zh) 打火机
KR100802427B1 (ko) 수납 장치용 개방 모듈
JPH044733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