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7087B1 -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7087B1
KR102477087B1 KR1020200184434A KR20200184434A KR102477087B1 KR 102477087 B1 KR102477087 B1 KR 102477087B1 KR 1020200184434 A KR1020200184434 A KR 1020200184434A KR 20200184434 A KR20200184434 A KR 20200184434A KR 102477087 B1 KR102477087 B1 KR 102477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ole
fine particle
closing structure
cigar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4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3577A (ko
Inventor
오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00184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7087B1/ko
Publication of KR20220093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3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궐련이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및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이너 케이스; 이너 케이스 외면에 결합되며, 궐련 수용부 상부에 홀을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스; 홀의 외측에서 아우터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며, 홀 폐쇄 시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자석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립 커버; 및 아우터 케이스에 설치되며, 플립 커버의 개방 시에 각 플립 커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OPENING AND CLOSING STURCTURE OF MICROPARTICLE GENERATOR}
본 발명은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궐련 담배의 흡연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에어로졸 발생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로졸 발생장치들은 담뱃잎을 압축하여 필터와 함께 종이에 감싼 지궐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타입과, 액상형 카트리지 내에 충진된 액상을 기화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액상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케이스(1001)에 결합된 커버(1002)의 상면에는 궐련(3)이 삽입될 수 있는 외부구멍(1002p)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002)의 상면에서 외부구멍(1002p)에 인접한 위치에 레일(1003r)이 형성된다. 레일(1003r)에는 커버(100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도어(1003)가 설치된다. 도어(1003)는 레일(1003r)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어(1003)가 레일(1003r)을 따라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궐련(3)이 커버(1002)를 통과하여 케이스(1001)에 삽입될 수 있게 하는 외부구멍(1002p)과 삽입구멍(1004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커버(1002)의 외부구멍(1002p)은 궐련(3)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통로(1004h)의 삽입구멍(1004p)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어(1003)에 의해 외부구멍(1002p)이 외부로 노출되면, 사용자가 궐련(3)의 단부(3b)를 외부구멍(1002p)과 삽입구멍(1004p)에 삽입시켜 궐련(3)을 커버(1002)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통로(1004h)에 장착할 수 있다. 도어(1003)는 커버(1002)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삽입구멍(1004p)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삽입구멍(1004p)을 개폐하는 도어(1003)는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주어 슬라이드시켜 개방한 다음, 삽입구멍(1004p) 내로 궐련(3)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29637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자기력만으로 궐련 수용부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궐련이 수용하는 궐련 수용부 및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이너 케이스; 이너 케이스 외면에 결합되며, 궐련 수용부 상부에 홀을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스; 홀의 외측에서 아우터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며, 홀 폐쇄 시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자석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립 커버; 및 아우터 케이스에 설치되며, 플립 커버의 개방 시에 각 플립 커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아우터 케이스는,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원통형 측벽, 측벽의 내측 에 결합되며 이너 케이스의 상면과 맞닿는 프레임 및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플립 커버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한 쌍의 고정 자석은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플립 커버는 자석이 플라스틱 사출물 내에 인서트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이너 케이스는, 한 쌍의 고정 자석 중 하나와는 인력이 작용하고, 나머지 하나와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조립 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는, 자석이 배치된 플립 커버가 플립 커버간의 인력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별도의 조작 없이 궐련을 밀어넣는 것만으로 플립 커버를 개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플립 커버를 폐쇄하기 위해 플립 커버와의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는 고정 자석을 구비함으로써, 궐련을 궐련 수용부에서 인출하면 자동으로 플립 커버가 닫힌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의 폐쇄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의 개방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는, 궐련이 수용되는 궐련 수용부(114)와 및 궐련 수용부(114)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이너 케이스(110)를 구비한다. 이너 케이스(110) 내부 공간은 크게 가열장치와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회로 기판 등이 설치되는 설치 공간(112)과, 궐련이 삽입되는 궐련 수용부(112)로 구획된다. 또한, 후술할 가이드 자석(170)을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 자석 설치 공간(116)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하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며, 하부 케이스(120) 내부 설치 공간(122)에는 배터리, 제어 회로, 충전 모듈 등 필요한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10) 외면에는 아우터 케이스가 결합된다. 아우터 케이스의 하단은 하부 케이스(120)의 상단과 맞닿는다.
아우터 케이스는, 이너 케이스(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원통형 측벽(130), 측벽(130)의 내측에 결합되며 이너 케이스(110)의 상면과 맞닿는 프레임(150) 및 측벽(1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140)를 구비한다.
이때, 프레임(150)과 커버(140)는 궐련 수용부(114)로 궐련을 삽입할 수 있도록 궐련 수용부(114)와 수직한 위치에 홀(152, 142)을 구비한다. 이때 프레임(150) 상부에는 홀(152)을 개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플립 커버(202, 204)가 설치된다. 이때, 프레임(150)에는 플립 커버(202, 204)가 힌지 운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152)이 제공된다.
플립 커버(202, 204)는, 각각 자석(212, 214)과 이를 감싸는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플립 커버(202, 204)의 일 측에는 플립 커버(202, 204)가 힌지 운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222, 224)가 설치된다. 회전축(222, 224)은 홀(142)의 외측에 위치한 플립 커버(202, 204)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회전축(222, 224)과 연결되지 않은 자유단은 홀(142) 내에 위치한다. 이때, 자석(212, 214)은 플립 커버(202, 204)가 홀(142)을 폐쇄한 상태, 즉, 플립 커버(202, 204)가 나란히 위치한 때에 서로 맞주하는 자유단에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된다.
또한, 프레임(150)은 홀 외부에 각가 플립 커버(202, 204)가 개방되었을 때 플립 커버(202, 204)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힘, 즉 척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된 고정 자석(162, 164)이 배치된다.
이너 케이스(110)에는, 한 쌍의 고정 자석(162, 164) 중 하나(162)와는 인력이 작용하고, 나머지 하나(164)와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조립 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자석(17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의 폐쇄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극성은 예시이며, 극성은 자석사이의 인력 및 척력만 동일하게 작용한다면 N,S극의 배치가 달라져도 무방하다.
이하에서 플립 커버(202, 204)는 편의상 제1 플립 커버(202)와 제2 플립 커버(204)로 구분하여 지칭한다. 제1 플립 커버(202)는 도면상에서 우측단이 회전축과 결합되며, 좌측이 자유단으로 홀(142) 내에 위치한다. 이때 제1 플립 커버(202)에 배치되는 자석(212)은 회전축과 가까운 쪽이 S극 자유단 측이 N극이 되도록 극성이 배치된다. 제2 플립 커버(204)는 반대로 도면상에서 좌측단이 회전축과 결합하며 우측단이 자유단으로 홀(142) 내에 위치한다. 제2 플립 커버(204)에 배치되는자석(214)은 회전축과 가까운 쪽에 N극이 위치하고, 자유단에 S극이 위치하도록 극성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 플립 커버(202)의 자유단에 배치되는 자석(212)의 N극과 제2 플립 커버(204)의 자유단에 배치되는 자석(214)의 S극 사이에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자석(212, 214) 간의 인력에 의해 플립 커버(202, 204)는 홀(142)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의 개방 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홀을 통해 궐련(A)을 궐련 수용부(114) 내로 밀어넣으면, 궐련(A)에 의해 플립 커버(202, 204)가 개방된다. 이때, 플립 커버(202, 204)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커버(140)에 형성된 홀(142, 도 3 참조)로 궐련(A)을 밀어넣기만 하면 플립 커버(202, 204)가 회전축(222, 224; 도 2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홀(142)을 개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상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개방된 플립 커버(202, 204)는 회전하면서 궐련(A)의 길이 방향, 즉 미세 입자 발생장치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을 이룬다. 그에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던 자석(212, 214)의 극성들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 플립 커버(202)에 배치된 자석(212)의 극성은 회전축(222; 도 2 참조)이 위치한 상단이 S극, 자유단인 하단이 N극이 된다. 반면 제2 플립 커버(204)에 배치된 자석(214)의 극성은 회전축(224; 도 2 참조)이 위치한 상단이 N극, 자유단인 하단이 S극이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임(150)에는 고정 자석(162, 164)이 배치되는데, 고정 자석(162, 164)의 극성 배치는 플립 커버(202, 204)의 개방 시에 플립 커버(202, 204)의 자석(212, 214)들과 각각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플립 커버(202) 부근에 배치된 고정 자석(162)은 상단이 S극, 하단이 N극이 되도록, 제21 플립 커버(204) 부근에 배치된 고정 자석(164)은 상단이 S극, 하단이 N극이 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궐련(A)을 궐련 수용부(114)로부터 인출하면, 플립 커버(202, 204)와 고정 자석(162, 164)간의 척력에 의해 자유단이 고정 자석(162, 16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후 플립 커버(202, 204)에 설치된 자석(212, 214) 간의 인력에 의해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케이스(110)는, 한 쌍의 고정 자석(162, 164) 중 하나(162)와는 인력이 작용하고, 나머지 하나(164)와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 자석(170)을 구비한다. 가이드 자석(170)에 의해 척력이 작용하는 자석(164)이 가이드 자석(170) 상측에 위치한 상태로는 조립이 어려워 조립 시 아우터 케이스의 방향성을 쉽게 안내하고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궐련이 수용되는 궐련 수용부 및 궐련 수용부에 수용된 궐련을 가열할 수 있는 가열장치가 설치되는 이너 케이스;
    이너 케이스 외면에 결합되며, 궐련 수용부 상부에 홀을 구비하는 아우터 케이스;
    홀의 외측에서 아우터 케이스와 힌지 결합되며, 홀 폐쇄 시에 서로 인력이 작용하도록 극성이 배치되는 자석을 구비하는 한 쌍의 플립 커버; 및
    아우터 케이스에 설치되며, 플립 커버의 개방 시에 각 플립 커버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아우터 케이스는, 이너 케이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원통형 측벽, 측벽의 내측 에 결합되며 이너 케이스의 상면과 맞닿는 프레임 및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플립 커버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 자석은 프레임과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플립 커버는 자석이 플라스틱 사출물 내에 인서트 사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이너 케이스는, 한 쌍의 고정 자석 중 하나와는 인력이 작용하고, 나머지 하나와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배치되어 조립 시 방향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1020200184434A 2020-12-28 2020-12-28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102477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34A KR102477087B1 (ko) 2020-12-28 2020-12-28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4434A KR102477087B1 (ko) 2020-12-28 2020-12-28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77A KR20220093577A (ko) 2022-07-05
KR102477087B1 true KR102477087B1 (ko) 2022-12-13

Family

ID=8240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4434A KR102477087B1 (ko) 2020-12-28 2020-12-28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7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507A (ko) 2022-09-16 2024-03-25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도어 열림 판단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983521U (zh) 2019-03-19 2020-01-24 深圳因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及其烟弹防脱装置
CN110742329A (zh) 2019-10-25 2020-02-04 深圳市云熙智能有限公司 一种加热不燃烧电子烟具的弹性旋转防尘烟盖
CN210017860U (zh) 2019-03-14 2020-02-07 深圳市云熙智能有限公司 防尘电子烟及其壳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228B1 (ko) 2017-05-26 2021-03-2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200085170A (ko) * 2019-01-04 2020-07-14 주식회사 이엠텍 미세 입자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0017860U (zh) 2019-03-14 2020-02-07 深圳市云熙智能有限公司 防尘电子烟及其壳体
CN209983521U (zh) 2019-03-19 2020-01-24 深圳因味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烟及其烟弹防脱装置
CN110742329A (zh) 2019-10-25 2020-02-04 深圳市云熙智能有限公司 一种加热不燃烧电子烟具的弹性旋转防尘烟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3577A (ko) 202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5737B1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KR102477087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20120079493A (ko) 휴대 단말기
EP4096235A1 (en) Electronic device for stor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JP5723136B2 (ja) 磁気制御式電気スイッチ装置
KR20100082221A (ko) 핸드백용 잠금장치
KR102052647B1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KR102542999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슬라이드 커버 구조
CN211296922U (zh) 一种耳机充电盒
KR102555115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100981956B1 (ko)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230155177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N213547795U (zh) 耳机盒
KR2004009454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구멍 개폐 장치
KR102243997B1 (ko) 함체 문짝의 개폐장치
KR20230151624A (ko) 자기력을 이용한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KR20180000220U (ko) 수용 케이스
US20070018759A1 (en) Switch
KR20230144722A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개폐구조
CN113810818B (zh) 耳机组件
CN219821784U (zh) 一种无人机充电盒
KR920001804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도어 개폐장치
CN113692162B (zh) 一种具有双层联动翻盖的仪表
JP3560785B2 (ja) 電池収納装置
CN219383433U (zh) 一种耳机收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