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884A - 디스플레이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884A
KR20230154884A KR1020237032333A KR20237032333A KR20230154884A KR 20230154884 A KR20230154884 A KR 20230154884A KR 1020237032333 A KR1020237032333 A KR 1020237032333A KR 20237032333 A KR20237032333 A KR 20237032333A KR 20230154884 A KR20230154884 A KR 20230154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waveguide
display
coupling element
diffr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스모 바르띠아이넨
주우소 올꼬넨
Original Assignee
디스페릭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스페릭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디스페릭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230154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8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4Geodesic lenses or integrated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altering, e.g. enlarging, the entrance or exit pupi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7/010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holograph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27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having plural diffractive elements positioned sequentially along the optical pa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42Diffraction optics, i.e. systems including a diffractive element being designed for providing a diffractive effect
    • G02B27/44Grating systems; Zone plate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8Diffraction gr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면(1110), 제1 면(1110) 반대편의 제2 면(1120), 및 제1 면(1110) 상의 인-커플링 영역(1112)을 포함하는 도파관(1100); 인-커플링 영역(1112)을 통해 광학 빔(1201)을 도파관(1100) 안으로 커플링시키는 인-커플링 구조(1200); 및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고 광학 빔(1201)으로부터의 광을 도파관(1100) 외부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아웃-커플링 구조(1300);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1000)이다. 인-커플링 영역(1112)은 최대 폭(Wmax)을 갖고; 도파관(1100)은 0.25 × Wmax보다 큰 두께(T)를 갖으며; 아웃-커플링 구조(1300)는,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를 측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사출 동공 확장 특성을 갖는 도파관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출 동공 확장 특성을 갖는 도파관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바, 예를 들어 두부-장착형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see-through display devices)(예: 스마트 안경)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치는 빛을 도파관으로 결합하는 것과 관련된 광학 손실을 제한하도록 주의 깊게 설계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광 인-커플링 손실(optical in-coupling losses)은, 파장판(waveplates)과 같은 편광 변경 소자와 함께, 편광 종속 회절 격자와 같은, 편광 종속 인-커플링 구조의 사용에 의해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위의 관점에서 볼 때, 도파관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된 새로운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요약은, 상세한 설명에서 아래에 추가로 설명되는 단순화된 형태로, 개념의 선택을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요약은, 청구된 주제의 주요 특징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식별시키려는 의도가 없으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데 사용하려는 의도도 없다.
제1 측면에 따르면, 일종의 디스플레이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는, 베이스 평면을 따라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면, 제1 면 반대편의 제2 면, 및 제1 면 상의 결합 영역을 포함하는 도파관; 내부 전반사에 의한 도파관에서의 전파를 위해 인-커플링 영역을 통해 광학 빔을 도파관 안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인-커플링 구조; 및 적어도 제1 복제 방향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고 광학 빔으로부터의 광을 도파관 외부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아웃-커플링 구조; 를 포함한다. 인-커플링 영역은, 제1 복제 방향을 따라 측정된 최대 너비를 갖고; 도파관은,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의 0.25배 보다 더 큰, 제1 면에서 제2 면까지 측정한, 임의의 두께를 가지며; 아웃-커플링 구조는,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중첩되는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제1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구조의 사출 동공 확장 특성을 갖는 도파관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능하다.
본 개시 내용은 첨부 도면을 고려하여 읽혀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디스플레이 구조를 보여준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구조를 묘사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디스플레이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전술한 도면들의 임의의 도면은, 상기 도면에서의 실시예의 특정한 구조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상기 도면의 임의의 소자가 도면의 다른 소자에 대해 부정확한 비율로 그려질 수 있도록, 축척에 맞게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도면들 중 임의의 두 도면의 실시예의 대응되는 소자들은, 상기 두 도면의 실시예의 특정한 구조적 측면을 강조하기 위해 상기 두 도면에서 서로 불균형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1000)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스크린"은, 사용자에게 시각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에 적합하거나 그렇게 구성되는, 전자 장치와 같은, 동작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적인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그 작동에 필요하거나 유익한 임의의 부품(들) 또는 소자(들)를, 예를 들어 광학 및/또는 전기/전자 부품(들) 또는 소자(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구조"는 동작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임의의 구조를 의미할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1000)는 도파관(1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도파관"은 광 도파관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파관은 2차원적 도파관을 지칭할 수 있으며, 여기서 광은 상기 도파관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가두어질 수 있다. 당연히, "도파관"은 광이 내부 전반사에 의해 가두어질 수 있는, 그러한 도파관의 층(layer)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도파관(1100)은, 베이스 평면(111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면(1110), 제1 면(1110) 반대편의 제2 면(1120), 및 제1 면(1110) 상의 인-커플링 영역(1112)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도파관의 "면(face)"은, 특정 시야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거나 특정 시야 방향을 향하는 상기 도파관의 표면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파관의 면은, 내부 전반사에 의해 상기 도파관에 광을 가두도록 구성되거나 그에 적합한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영역(region)'은 면(face)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파관의 제1 면 상의 "인-커플링 영역"은, 내부 전반사에 의해 상기 도파관에서의 전파를 위해 상기 도파관에 결합될 광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거나 그에 적합한 상기 제1 면 상의 일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엔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도파관의 인-커플링 영역은, 인-커플링 구조의 입구 영역과 디스플레이 엔진의 가장 큰 발광 가능 영역의 교차점을 의미할 수 있는 반면, 디스플레이 엔진을 포함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도파관의 인-커플링 영역은, 인-커플링 구조의 입구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베이스 평면(base plane)"은 도파관의 제1 면이 연장되는 가상의 표면을 의미할 수 있다. 베이스 평면은, 예를 들어 평평한 제1 면의 경우 평면형일 수 있고, 예를 들어 곡면형 제1 면의 경우 곡면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평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도파관의 제1 면은, 상기 베이스 평면을 따라 측방향을 갖는 제1 면을 지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떤 소자의 측면 범위는 해당 소자를 베이스 평면에 투영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1000)는 인-커플링 구조(12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인-커플링 구조"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파관에서의 전파를 위해 광학 빔을 도파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거나 그에 적합한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커플링 구조는, 도파관의 제1 면의 입구 영역을 통해 도파관으로 들어가는 도파관 광에 결합하도록 구성되거나 그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인-커플링 구조의 입구 영역은, 측면 범위가 상기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의 측면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면 상의 일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인-커플링 프리즘을 포함하는 인-커플링 구조의 입구 영역은, 측면 범위가 도파관과 결합된 상기 인-커플링 프리즘 면의 측면 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제1 면 상의 일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
도 1의 실시예의 인-커플링 구조(1200)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파관(1100)에서의 전파를 위해 인-커플링 영역(1112)을 통해 광학 빔(1201)을 도파관(1100) 안으로 결합시키기에 적합하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광학 빔(optical beam)"은, 광원에서 방사되는 광(light)의 방향성 흐름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1000)는 아웃-커플링 구조(130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아웃 커플링 구조"는, 도파관으로부터 광을 외부로 커플링시키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아웃-커플링 구조(1300)는, 적어도 제1 복제 방향(1301)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고, 광학 빔(1201)으로부터의 광을 도파관(1100) 외부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출 동공 확장(exit pupil expansion)"은, 광의 아웃-커플링이 발생하는 도파관의 일부를 확장하기 위해 도파관 내에서 광을 제어된 방식으로 도파관 안에서 광을 분배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공 복제(pupil replication)"는 사출 동공 확장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복수의 사출 서브-동공(exit sub-pupils)들이, 이미징 시스템에 형성된다. 사출 동공 확장을 위해 동공 복제에 의존하는 이미징 시스템에서, 개별적인 사출 서브-동공은, 바람직하게는, 도파관의 아웃-커플링 영역의 측면 범위 전체에 걸쳐 모든 각도 및 모든 파장에 대해 중첩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출 서브-동공의 이러한 배열은, 일반적으로 어두운 줄무늬로 인식되는, 아웃-커플링 이미지의 공간적 강도 변화(spatial intensity variations)의 형성을 피할 수 있게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제1 복제 방향"은, 아웃-커플링 구조가 동공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복제 방향은, 베이스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제1 복제 방향을 따라 동공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아웃-커플링 구조는, 1차원적 (예를 들어 수평 또는 수직의) 동공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혹은 2차원적 (예를 들어 수평 및 수직의) 동공 복제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아웃-커플링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영역(1112)은 최대 폭(Wmax)을 갖고, 도파관(1100)은 0.25 x Wmax 보다 큰 두께(T)를 가지며, 아웃-커플링 구조(1300)는,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바, 즉,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와 측면으로 중첩된다.
일반적으로,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상기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중첩하는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아웃-커플링 구조는, 광학적 인-커플링 손실을 제한하기 때문에 및/또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광학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도파관의 기계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도파관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은, 제1 복제 방향을 따른 상기 인-커플링 영역의 범위의 척도 (예를 들어, 가장 높은 척도) 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의 인 커플링 영역의 경우, 상기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은, 상기 인-커플링 영역의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파관의 "두께"는, 제1 면에서 제2 면까지 측정된, 상기 도파관의 범위의 측정을 의미할 수 있다.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파관의 두께는, 베이스 평면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파관의 두께는, 인-커플링 영역으로부터 제2 면까지 측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회절 광학 소자(diffractive optical element)"는, 빛의 회절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광학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절 광학 소자는, 가시광선의 파장 정도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 (예를 들어 1 마이크로미터 미만의 적어도 하나의 치수) 를 갖는 구조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절 광학 소자의 전형적인 예는, 단일 영역 회절 격자 또는 다중 영역 회절 격자로 구현될 수 있는, 1차원적 및 2차원적 회절 격자를 포함한다. 회절 격자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표면 양각 회절 격자(surface relief diffraction gratings) 또는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volume holographic diffraction gratings)로 구현될 수 있으며, 투과형 및/또는 반사형 회절 격자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회절형 아웃-커플링 소자"는, 아웃-커플링 구조의 일부를 형성하는 회절 광학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회절형 아웃-커플링 소자는, 적어도 제1 복제 방향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는데 그리고 도파관으로부터 외부로 광을 커플링하는데 기여하도록 구성된, 혹은 그에 적합한, 회절 광학 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소자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중첩하는" 제1 소자는, 베이스 평면 상의 상기 제1 및 제2 소자의 돌출부의 적어도 부분적인 (즉,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중첩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파관(1100)은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유리(들) 또는 폴리머(들)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들)를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파관(1100)은 가시 스펙트럼 전체에 걸쳐 대략 '2'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임의의 적절한 분산 특성을 갖는 임의의 적절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도파관(1100)은, 가시 스펙트럼 전체에 걸쳐 약 '1'의 굴절률을 갖는 공기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결과적으로, 광학 빔(1201)은, 2개의 공기-유리 계면에서의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파관(1100) 내에 갇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공기에 접할 수도 있고 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비록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아웃-커플링 구조(1300)는, 제1 복제 방향(1301)이 아닌 제2 복제 방향을 따라서도 동공 복제에 의한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 각각은, 2차원적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구조는, 또한 제2 복제 방향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거나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구조는, 또한, 제2 복제 방향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2-차원적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의 아웃-커플링 구조는, 제1 복제 방향을 따른 동공 복제에 의해 1-차원적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1-차원적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조는, 인-커플링 구조로부터 광을 수용하도록, 상기 제1 복제 방향 이외의 제2 복제 방향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상기 광이 아웃-커플링 구조로 향하도록, 구성된 중간 동공 확장 구조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파관(1100)의 두께(T)는,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의 대략 0.3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의 0.25배보다 큰 임의의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파관의 두께는,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의 0.3배, 0.35배, 또는 0.4배 이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에 비례하여 도파관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도파관의 기계적 안정성이 증가하고/증가하거나 인-커플링 구조와의 다중 상호작용에 따른 아웃-커플링 효과의 감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구조의 인-커플링 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파관(1100)의 두께(T)는 0.5 × Wmax 미만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의 0.5배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고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의 0.5배 이하의 두께를 갖는 도파관은,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이외의 아웃-커플링 소자가 없더라도, 더 높은 품질의 아웃-커플링 영상을 형성하는데 용이하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도파관(1100)의 두께(T)는 대략 0.8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파관은 임의의 적합한 두께, 예를 들어 0.2mm 이상 또는 0.5mm 이상 및/또는 2mm 이하 또는 5mm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파관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디스플레이 구조의 제작이 용이해진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은 대략 2.5mm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영역은 임의의 적절한 최대 폭, 예를 들어 0.5mm 이상 또는 1mm 이상 및/또는 5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의 최대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구조(1200)는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121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구조는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인-커플링 구조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질량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1210)는, 표면 양각 회절 격자(surface-relief diffraction grating)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구조가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는, 표면 양각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 중 일부에서, 인-커플링 구조는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volume holographic diffraction grating)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1210)는, 제1 면(1110) 상에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제1 면 상에 배열될 수도 있고 배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회절형 커플링 소자는, 제2 면 상에 또는 도파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아웃-커플링 구조(1300)는, 제1 면(1110)을 통해 도파관(1100)으로부터 밖으로 광을 커플링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구조는, 제1 면 및/또는 제2 면을 통해 도파관으로부터 밖으로 광을 커플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는 제1 면(1110) 상에 배열되고,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는 제2 면(1120) 상에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는, 제1 면 상에 배열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2 아웃-커플링 소자는, 제2 면 상에 배열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또는 제2 아웃-커플링 소자는, 도파관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파관의 표면(들) 상에 배열되는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또는 제2 아웃-커플링 소자는, 디스플레이 구조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 각각은, 표면 양각 회절 격자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표면 양각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제2 아웃-커플링 소자 둘 모두는,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중 하나는 표면 양각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의 표면 양각 회절 격자는, 도파관(1100) 상에 배열된 패턴화된 필름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또는 제2 아웃-커플링 소자는 표면 양각 회절 격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양각 회절 격자는 도파관에 배열된 패턴화된 필름에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실시예 중 일부에서는, 표면 양각 회절 격자가 도파관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1210),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의 표면 양각 회절 격자가, 도 1에 2진 회절 격자(binary diffraction gratings)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2진 회절 격자, 블레이드형(blazed) 및/또는 경사형(slanted) 및/또는 다중 레벨 및/또는 아날로그 회절 격자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표면 양각 회절 격자가,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중 일부 또는 전부에서 활용될 수 있다. 당연히, 이러한 표면 양각 회절 격자는, 예를 들어 깊이나 듀티 사이클 또는 경사 변조에 의하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도파관 효율성 및 이미지 균일성을 개선하기 위해, 공간 회절 효율 변조 특성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1은 단일 도파관(1100)을 도시하지만, 디스플레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가 2개 이상의 도파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도파관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 중 일부에서, 이러한 도파관은 서로 적층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2000)를 도시한다. 도 2의 실시예는, 도 1을 참조하여 또는 도 1과 함께 개시된 실시예 중 임의의 것에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2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2의 실시예 또는 그 일부는 일반적으로, 도 1의 실시예의 임의의 특징 및/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2000)는, 베이스 평면(2111)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면(2110), 제1 면(2110) 반대편의 제2 면(2120), 및 제1 면(2110) 상의 인-커플링 영역(2112)을 포함하는 도파관(2100);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파관(2100)에서의 전파를 위해 인-커플링 영역(2112)을 통해 광학 빔(2201)을 도파관(2100) 안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인-커플링 구조(2200); 및 적어도 제1 복제 방향(2301)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도록 그리고 광학 빔(2201)으로부터의 광을 도파관(2100) 밖으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아웃-커플링 구조(2300); 를 포함한다.
인-커플링 영역(2112)은 제1 복제 방향(2301)을 따라 측정된 최대 폭(Wmax)을 갖고, 도파관(2100)은, 제1 면(2110)에서 제2 면(2120)까지 측정된, Wmax의 0.25배 보다 더 큰, 두께(T)를 갖는다. 아웃-커플링 구조(2300)는,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 및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으로 중첩되는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2320)를 포함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구조(2200)는, 인-커플링 프리즘(2220)을 포함한다. 인-커플링 프리즘(2220)은 도파관(2100)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구조는 인-커플링 프리즘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는 제1 면(2110) 상에 배열되고, 제2 아웃-커플링 소자(2320)는 제2 면(2120) 상에 배열된다.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2320) 각각은, 표면 양각 회절 격자를 포함한다.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의 표면 양각 회절 격자는, 도파관(2100) 상에 배치된 패턴화된 필름에 형성되는 반면, 제2 아웃 커플링 소자(2320)의 표면 양각 회절 격자는, 도파관(2100)에 직접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도파관에 직접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점선을 사용하여 표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실시예의 아웃-커플링 구조(2300)는, 도파관(2100) 내에 배열된 회절형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는,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2320) 각각의 적어도 일부와 측방향으로 중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구조는 그러한 회절형 제3 아웃-커플링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 각각과 중첩되고 도파관 내에 배열된, 회절형 제3 아웃-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아웃-커플링 구조는, 출사 서브-동공(exit sub-pupils)의 밀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바, 이는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구조의 광학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도파관의 두께를 추가로 증가시키는 것을 촉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구조가, 도파관 내에 배열되고 제1 아웃-커플링 소자와 제2 아웃-커플링 소자 각각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중첩하는 회절형 제3 아웃-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아웃-커플링 구조는 하나 이상의 추가 아웃-커플링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는바, 하나 이상의 추가 아웃-커플링 소자 각각은, 상기 도파관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아웃-커플링 소자, 상기 제2 아웃-커플링 소자 및 상기 제3 아웃-커플링 소자 각각과 중첩된다.
도 2의 실시예의 아웃-커플링 구조(2000)가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를 포함하는 경우, T는 0.5 × Wmax 이상, 또는 0.6 × Wmax 이상, 또는 0.7 × Wmax 이상, 또는 0.8 × Wmax 이상, 또는 0.9 × Wmax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구조가 제1 아웃-커플링 소자 및 제2 아웃-커플링 소자 각각과 중첩하는 제3 아웃-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도파관은, 인-커플링 영역의 최대 폭의 0.25배보다 큰 임의의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의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는,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의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는, 소위 "얇은” 투과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thin” transmission volumetric holographic diffraction grating)로 구현될 수 있는바, 이는, 두께가 0.1 mm 미만이고, 투과 격자로 작동 가능하다.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의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는, 소위 "두꺼운" 볼륨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thick”volume holographic diffraction grating)로서 구현될 수 있는바, 이는, 적어도 0.1mm의 두께를 갖고, 투과 및/또는 반사 모드 회절 격자로서 작동 가능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3000)를 도시한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1 및 도 2 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거나 이와 연계하여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비록 도 3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3의 실시예 또는 그 일부는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실시예 중 임의의 특징 및/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3000)는, 베이스 평면(3111)을 따라 측면으로 연장되는 제1 면(3110), 및 제1 면(3110) 상의 인-커플링 영역(3112)을 포함하는 도파관(31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구조(3000)는, 도파관(3100) 내에서 내부 전반사로 전파하기 위해 인-커플링 영역(3112)을 통해 광학 빔(3201)을 도파관(3100) 안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3210); 및 적어도 제1 복제 방향(3301)을 따른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고 광학 빔(3201)으로부터의 광을 도파관(3100) 밖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아웃-커플링 구조(3300);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구조(3000)는, 광학 빔(3201)을 인-커플링 구조(3200)로 지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엔진(3400)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는, 그러한 디스플레이 엔진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디스플레이 엔진(display engine)"은, 인-커플링 구조로 전달될 이미지 (예를 들어 각 스펙트럼(angular spectrum)의 이미지) 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혹은 그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구조의 일부를 지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엔진은, 도파관의 제1 면 상의 (가장 큰) 조명 가능 영역(illuminable region)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엔진의 조명 가능 영역은, 측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즉,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인-커플링 구조의 입구 영역과 겹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엔진은, 사출 동공을 형성할 수도 있고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엔진이 사출 동공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사출 동공은 인-커플링 구조의 입사 동공(entrance pupil)과 중첩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엔진(3400)은, 스캐너 기반(scanner-based) 디스플레이 엔진으로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구조가 디스플레이 엔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엔진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캐너 기반 디스플레이 엔진 또는 패널 기반 디스플레이 엔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캐너 기반 디스플레이 엔진의 활용은, 디스플레이 구조의 크기 감소 및/또는 밝기 증가 및/또는 대비 증가를 촉진할 수 있다. 스캐너 기반 디스플레이 엔진을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더 작은 크기의 조명 가능 영역이 생성되므로, 두께가 감소된 도파관이, 이러한 디스플레이 엔진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엔진(3400)은, 청색광-방출 제1 레이저(3411), 녹색광-방출 제2 레이저(3412) 및 적색광-방출 제3 레이저(3413)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3410); 제1 레이저(3411), 제2 레이저(3412) 및 제3 레이저(3413)로부터의 광을 결합하여 광학 빔(3201)을 형성하는 결합 유닛(3420); 및 제1 편향 거울(3431) 및 제2 편향 거울(3432)을 포함하며, 결합 유닛(3420)으로부터 광을 수집하도록, 그리고 제1 편향 거울(3431) 및 제2 편향 거울(3432)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광학 빔(3201)이 상기 인-커플링 영역(3112)의 여러 위치에 영향을 끼치도록 하는, 스캐너 유닛(3430); 을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엔진(3400)은, 레이저 기반 조명 유닛(laser-based illumination unit)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엔진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조명 유닛 (예를 들어, 레이저 기반 조명 유닛 및/또는 발광 다이오드 기반 조명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의 스캐너 유닛(3430)은, 듀얼 1차원적 마이크로-전자기계적 거울 스캐너 유닛(dual one-dimensional micro-electro-mechanical mirror scanner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캐너 기반 디스플레이 엔진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스캐너 유닛 (예를 들어, 듀얼 1차원적 MEMS 미러(Micro-Electro-Mechanical Mirror) 스캐너 유닛 또는 2차원적 MEMS 미러 스캐너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의 인-커플링 구조(3200)는, 제1 면(3110) 상에 입구 영역(3202)을 갖는바, 상기 입구 영역(3202)은,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3210)의 측면 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반면에, 디스플레이 엔진(3400)은, 제1 면(3110) 상에 조명 가능 영역(3401)을 갖는다. 상기 조명 가능 영역(3401)의 측면 범위는, 제1 편향 거울(3431)과 제2 편향 거울(3432)의 이동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도 3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구조(3000)가 디스플레이 엔진(3400)을 포함하듯이, 인-커플링 영역(3112)의 측면 범위는, 입구 영역(3202)과 조명 가능 영역(3401)의 교차점으로 정의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인-커플링 영역(3112)은, 제1 복제 방향(3301)을 따라 측정된 최대 폭(Wmax)을 갖고; 상기 도파관(3100)은, 0.25 × Wmax 보다 더 큰 두께(T)를 갖으며; 아웃-커플링 구조(3300)는,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3310) 및 제1 아웃-커플링 소자(3310)를 측면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3320)를 포함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파관(3100)은, 대략 0.5mm의 T를 가질 수 있고, 인-커플링 영역(3112)은, 대략 1.2mm의 Wmax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T는 대략 0.4 × Wmax일 수 있다.
위에서는 주로 디스플레이 구조(display structures)의 특징을 다루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s)의 특징에 대해 더 중점을 둘 것이다. 디스플레이 구조와 관련된 구현 방법, 정의, 세부 사항 및 장점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내용은,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여 아래에서 논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그대로 인용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4000)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되거나 참조하여 개시된 임의의 실시예에 따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도 4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4의 실시예 또는 그 일부는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 중 임의의 특징 및/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본 명세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투시형 두부-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더 구체적으로는, 투시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안경(spectacles)) 로서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투시형 및/또는 두부-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도파관(4100), 인-커플링 구조(4200), 아웃-커플링 구조(4300), 및 디스플레이 엔진(44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엔진(4400)에 의해 인-커플링 구조(4200)로 지향되는 광학 빔(4201)은, 인-커플링 구조(4200)에 의해 도파관(4100) 안으로 커플링되고, 이어서 광학 빔(4201)으로부터의 광은, 아웃-커플링 구조(4300)에 의해 사용자의 눈을 향하여 도파관(4100) 밖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중 2개 이상이 함께 결합되어 추가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대신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임의의 이점 및 장점은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될 수 있거나 여러 실시예와 관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들은 언급된 문제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는 실시예 또는 언급된 이점 및 이점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 은,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특징 또는 행위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고, 그 뒤에 이어지는 특징(들) 또는 행위(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하나의(an)' 항목에 대한 언급은 해당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지칭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참조 부호
Wmax 최대 너비
T 두께
1000 디스플레이 구조
1100 도파관
1110 제1 면(face)
1111 베이스 평면(base plane)
1112 인-커플링 영역
1120 제2 면
1200 인-커플링 구조
1201 광학 빔
1210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
1300 아웃-커플링 구조
1301 제1 복제 방향(replication direction)
1310 제1 아웃-커플링 소자
1320 제2 아웃-커플링
2000 디스플레이 구조
2100 도파관
2110 제1 면
2111 베이스 평면
2112 인-커플링 영역
2120 제2 면
2200 인-커플링 구조
2201 광학 빔
2220 인-커플링 프리즘 소자
2300 아웃-커플링 구조
2301 제1 복제 방향
2310 제1 아웃-커플링 소자
2320 제2 아웃-커플링 소자
2330 제3 아웃-커플링 소자
3000 디스플레이 구조
3100 도파관
3110 제1 면
3111 베이스 평면
3112 인-커플링 영역
3200 인-커플링 구조
3201 광학 빔소자
3202 입구 영역(entrance region)
3210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
3300 아웃-커플링 구조
3301 제1 복제 방향
3310 제1 아웃-커플링 소자
3320 제2 아웃-커플링
3400 디스플레이 엔진
3401 조명 가능 영역(illuminable region)
3410 조명 장치
3411 제1 레이저
3412 제2 레이저
3413 제3 레이저
3420 결합 장치(combination unit)
3430 스캐너 장치
3431 제1 편향 거울
3432 제2 편향 거울
4000 디스플레이 장치
4100 도파관
4200 인-커플링 구조
4201 광학 빔
4300 아웃-커플링 구조
4400 디스플레이 엔진

Claims (13)

  1. 디스플레이 구조로서,
    - 베이스 평면(1111)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면(1110), 상기 제1 면(1110) 반대편의 제2 면(1120), 및 상기 제1 면(1110) 상의 인-커플링 영역(1112)을 포함하는 도파관(1100);
    - 내부 전반사에 의해 도파관(1100)에서의 전파를 위해 인-커플링 영역(1112)을 통해 광학 빔(1201)을 도파관(1100) 안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인-커플링 구조(1200); 및
    - 적어도 제1 복제 방향(1301)을 따라 동공 복제에 의해 사출 동공 확장을 수행하고 광학 빔(1201)으로부터의 광을 도파관(1100) 외부로 커플링하도록 구성된 아웃-커플링 구조(1300);
    를 포함하며,
    상기 인-커플링 영역(1112)은 상기 제1 복제 방향(1301)을 따라 측정된 최대 폭(Wmax)를 갖고;
    상기 도파관(1100)은 상기 제1 면(1110)에서 상기 제2 면(1120)까지 측정된 두께(T)가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의 0.25배 보다 더 크고;
    상기 아웃-커플링 구조(1300)는, 회절형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 및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면으로 중첩되는 회절형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1100)의 두께(T)는, 상기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의 0.3배, 0.35배 또는 0.4배 이상인 디스플레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커플링 구조(1200)는 회절형 인-커플링 소자(121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커플링 구조(2200)는 인-커플링 프리즘(2220)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웃-커플링 소자(1310)는 상기 제1 면(1110)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아웃-커플링 소자(1320)는 상기 제2 면(1120) 상에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커플링 구조(2300)는, 상기 도파관(2100) 내에 배열된 회절형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를 더 포함하고,
    제3 아웃-커플링 소자(2330)는 제1 아웃-커플링 소자(2310)와 제2 아웃-커플링 소자(2320) 각각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중첩되는 디스플레이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1100)의 두께(T)는, 상기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의 0.5배, 0.6배, 0.7배, 0.8배 또는 0.9배 이상인 디스플레이 구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1100)의 두께(T)는, 상기 인-커플링 영역(1112)의 최대 폭(Wmax)의 0.5배 이하인 디스플레이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빔(3201)을 상기 인-커플링 구조로 지향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엔진(3400);
    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엔진(3400)은, 스캐너 기반 디스플레이 엔진 (예를 들어, 레이저 스캐닝 디스플레이 엔진) 으로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구조(100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투시형 디스플레이 장치(see-through display device)로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두부-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head-mounted display device)로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32333A 2021-03-17 2022-03-15 디스플레이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54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215292 2021-03-17
FI20215292A FI20215292A1 (en) 2021-03-17 2021-03-17 DISPLAY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PCT/FI2022/050166 WO2022195166A1 (en) 2021-03-17 2022-03-15 Display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884A true KR20230154884A (ko) 2023-11-09

Family

ID=80937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333A KR20230154884A (ko) 2021-03-17 2022-03-15 디스플레이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40159964A1 (ko)
EP (1) EP4308993A1 (ko)
JP (1) JP2024511586A (ko)
KR (1) KR20230154884A (ko)
CN (1) CN117099033A (ko)
FI (1) FI20215292A1 (ko)
TW (1) TW202238191A (ko)
WO (1) WO20221951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38969B (zh) * 2023-05-31 2024-05-28 杭州光粒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ar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77803A1 (en) * 2006-12-14 2010-11-04 Nokia Corporation Display Device Having Two Operating Modes
CN107615136B (zh) * 2015-04-08 2021-05-11 迪斯帕列斯有限公司 光学透视显示元件和使用这样的元件的设备
US10185151B2 (en) * 2016-12-20 2019-01-22 Facebook Technologies, Llc Waveguide display with a small form factor, a large field of view, and a large eyebox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1586A (ja) 2024-03-14
FI20215292A1 (en) 2022-09-18
CN117099033A (zh) 2023-11-21
EP4308993A1 (en) 2024-01-24
US20240159964A1 (en) 2024-05-16
TW202238191A (zh) 2022-10-01
WO2022195166A1 (en) 2022-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695B1 (ko)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 및 듀얼-모드 프라이버시 디스플레이 시스템
US10866419B2 (en) Optical combiner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200241301A1 (en) Resonant waveguide grating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2615891B1 (ko) 집광을 이용하는 격자-결합 도광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WO2008148927A1 (e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and a virtual display based on a diffractive beam expander
CN111999794B (zh) 显示装置
WO2019168538A1 (en) Static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employing collimated guided light
CN111175971A (zh) 一种近眼光学显示系统、增强现实眼镜
KR20230154884A (ko) 디스플레이 구조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6719169B (zh) 一种衍射光栅波导及增强现实显示设备
CN114415376B (zh) 显示装置与虚拟现实显示设备
US20210302630A1 (en) Static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having multiview zones
JP7317140B2 (ja) 対角視差を有する静的マルチビューディスプレイおよび方法
Äyräs et al. Near-to-eye display based on retinal scanning and a diffractive exit-pupil expander
CN220730537U (zh) 一种增强现实显示装置
US11409030B2 (en) Optical arrangement for providing privacy
CN217007745U (zh) 波导基板和增强现实显示装置
JP2024531487A (ja) ディスプレイ構造体および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CN118426101A (zh) 导光器件以及可穿戴设备
JP2003162911A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