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879A - 안구의 축 방향 길이 및 곡률을 수정하기 위한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구의 축 방향 길이 및 곡률을 수정하기 위한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879A
KR20230154879A KR1020237031834A KR20237031834A KR20230154879A KR 20230154879 A KR20230154879 A KR 20230154879A KR 1020237031834 A KR1020237031834 A KR 1020237031834A KR 20237031834 A KR20237031834 A KR 20237031834A KR 20230154879 A KR20230154879 A KR 20230154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implant
plate
curvatur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벤트 애크두맨
Original Assignee
엘에이 아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이 아이 엘엘씨 filed Critical 엘에이 아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30154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4Eye parts, e.g. lenses, corneal implants; Implant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tificial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27Apparatus for retinal reattach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Abstract

안구의 축 방향 길이 또는 곡률을 변경하여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수술용 임플란트 및 방법이 제공된다.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또는 임플란트는 티타늄 합금과 같은 단일 베이스 재료로 단일형 구조일 수 있고, 임플란트 몸체보다 넓은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 및 이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보다 넓은 앵커 구조부를 가질 수 있다. 복합 오목 공막 접촉 표면은 전방 곡률 반경으로 안구의 외부 표면에 근접할 수 있고, 전방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는 제2 후방 곡률 반경으로 황반 형상 및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구의 축 방향 길이 및 곡률을 수정하기 위한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및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가출원 번호 63/200,189(출원일:2021년2월19일)(이의 임의의 도형, 표, 핵산 서열, 아미노산 서열 또는 도면을 포함하여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됨)의 이익을 주장한다.
근시(근시안)에서는 안구의 앞뒤 길이(전후(AP) 길이)가 늘어난다. 안구의 AP 길이는 보통 22mm 내지 24mm(평균 23mm)이다. 각 mm 단위의 추가 신장은 안구에 3 디옵터의 굴절 이상을 제공한다. 굴절 이상 외에도 AP 길이가 정상보다 길면 안구볼(eyeball)의 내용물이 내부에 생성된 더 큰 공간에 맞게 늘어난다. 결국 안구에 맞게 늘어나게 되는 안구 내부 구조 중 하나는 망막이다. 망막은 그림을 만들어 뇌로 보내는 신경층이다. 망막은 집 안의 벽을 덮고 있는 벽지처럼 안구 뒤쪽의 안쪽을 덮고 있다. 안구의 벽이 뒤쪽에서 튀어나온 경우 내부의 망막이 늘어나, 황반이라고도 하는 망막의 중간 중심 부분에서 구멍(근시 황반원공)을 형성하거나 층으로 갈라질(근시 황반 분열) 수 있다. 황반원공은 정상 길이의 안구에도 발생할 수 있다. 황반원공에 대한 수술적 치료에는 유리체 절제술이라는 수술을 통해 안구 가스를 주입하여 구멍을 밀어 폐쇄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고도 근시의 경우 망막이 너무 늘어나 구멍이 쉽게 폐쇄되지 않는다. 외안 임플란트는 안구의 바깥쪽에서부터 삽입하도록 설계되었지만 부피와 복잡성으로 인해 유용성이 제한되었다. 수술적 기법이나 임플란트를 통해 안구를 바깥쪽에서부터 만입시키면 근시 황반 분열뿐만 아니라 근시 황반원공을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정상 안구는 실질적으로 둥글고/둥글거나 구형이다. 인구의 대다수는 안구 크기로서 직경이 22mm 내지 24mm 범위인 구형 볼을 가지고 있다. 안구의 앞부분에서 각막과 자연 수정체는 상(image)을 망막에 맺힌다. 안구가 너무 길면(예를 들어, 24mm 초과) 전방 구조가 황반 앞에 상을 맺을 수 있고, 망막에 떨어지는 상이 흐려질 수 있다. 안구 앞에 안경을 대거나 레이저로 (예를 들어, 레이저 원위치 각막절삭술 또는 라식(LASIK)을 통해) 각막을 절단하거나 재형성하면 안구 앞부분의 굴절력이 변하여 황반에 상이 놓인다. 진단 검사는 안구의 굴절 이상과 직경(예를 들어, 안구의 전후 길이 또는 축 방향 길이)을 측정할 수 있다. 안경이나 자동 굴절계의 단순 굴절은 굴절 이상을 측정한다.
고도 근시는 미국의 일반 인구에서 1.7% 내지 2%의 유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아시아에서 흔하다. 일본에서 고도 근시는 근시 인구의 6% 내지 18%, 일반 인구의 1% 내지 2%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근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안구 장애로 보고되었으며, 어린이의 시력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그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에 약 19억 명(세계 인구의 27%)이 근시이고 그 중 7천만 명(2.8%)이 고도 근시를 가진 것으로 추산되었다. 이 수치는 2050년까지 각각 52% 및 1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근시는 많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고, 고등학교 졸업자의 80% 내지 90%가 근시를 앓고 있다. 이들 중 10% 내지 20%는 시력을 위협하는 병적 근시를 가지고 있다.
근시와 관련된 시력 장애는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미치며, 환자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기능과 관련하여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과학자들은 2004년에 교정되지 않은 근시 굴절 이상으로 인한 세계 생산성 손실이 2,688억 달러이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드는 비용이 280억 달러로 추산했다.
병적 근시(유병률 0.9% 내지 3.1%)는 특히 치명적이다. 이로 백내장 발병, 망막 박리, 녹내장, 및 심지어 실명의 위험이 증가한다. 영향을 받은 개체에서 맥락막 혈관신생의 유병률은 5.2% 내지 11.3%로 보고되고, 황반원공은 환자의 6% 내지 8%에서 발생할 수 있다. 유두주위 영역은 축 방향 길이가 증가한 환자의 안구가 기계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왜곡되며, 이는 녹내장과 시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급격한 근시 발병률 증가와 함께 상당한 사회적 및 경제적 부담은 인과 요인, 가능한 치료법 및 예방 노력에 대한 연구에 박차를 가했다.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함으로써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 또는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볼과 유사한 안구는 볼록한 외부 공막 표면(이의 중간 또는 측 영역은 안구의 적도라고 할 수 있음)과 오목한 내부 표면을 가지고 있다. 임플란트는 안구의 후방 부분의 자연 곡률을 복원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안구의 더 앞쪽 부분의 자연 곡률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앵커(anchor), 및 플레이트를 앵커에 연결하는 연속적이고 평활한 오목한 공막 결합 표면을 갖는 몸체를 가질 수 있다. 임플란트는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총 임플란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몸체의 폭은 플레이트의 폭보다 작고, 앵커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앵커의 폭은 플레이트의 폭 및 몸체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두께, 몸체 두께 및 앵커 두께는 각각 균일하고 거의 동일하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을 갖는 앵커로서, 단일 직선 라인이 제1 앵커 지점, 제2 앵커 지점 및 제3 앵커 지점 간을 통과할 수 없는,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앵커는, 제2 앵커 지점을 몸체에 연결하고, 몸체 폭보다 작은 제1 아암 폭과,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1 아암 길이를 갖는 제1 아암; 및 제3 앵커 지점을 몸체에 연결하고, 몸체 폭보다 작은 제2 아암 폭과,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2 아암 길이를 갖는 제2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대칭적인 Y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발명은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을 갖는 앵커로서, 단일 직선 라인이 제1 앵커 지점, 제2 앵커 지점 및 제3 앵커 지점 간을 통과할 수 없는, 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앵커는, 제2 앵커 지점을 몸체에 연결하고, 몸체 폭보다 작은 제1 아암 폭과,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1 아암 길이를 갖는 제1 아암; 및 제3 앵커 지점을 몸체에 연결하고, 몸체 폭보다 작은 제2 아암 폭과,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2 아암 길이를 갖는 제2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대칭적인 Y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는 하나 이상의 앵커 지점을 몸체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둥근형, 원형, 아치형, 다각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비대칭형, 대칭형, 로브형 또는 불규칙형 아암 또는 아암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 아암의 폭은 몸체의 폭과 같거나, 몸체의 폭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의 외측에 있는 제2 앵커 지점과, 몸체의 외측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은 몸체의 반대쪽 외측 면에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의 외측에 있는 제2 앵커 지점과, 몸체의 외측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은 몸체의 동일한 외측 면에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2 앵커 지점과, 몸체의 외측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2 앵커 지점과,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는 제1 앵커 지점 없이 또는 몸체의 중심이 아닌 제1 앵커 지점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의 제1 앵커 지점이라는 특정 언급은 대신 몸체의 외측, 내측 또는 다른 지정 지점에 적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두 앵커 아암의 중간선의 교차점에 적용되거나, 또는 두 앵커 아암 각각의 외부 표면의 교차점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앵커 아암과 임플란트 몸체의 교차점으로 형성된 지점에 적용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예에서, 앵커 지점은 단일 직선 라인이 제1 앵커 지점, 제2 앵커 지점, 및 제3 앵커 지점 간을 통과할 수 없도록 형성, 배치, 요구 또는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 지점은 단일 직선 라인이 제1 앵커 지점, 제2 앵커 지점 및 제3 앵커 지점 간을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 배치, 요구 또는 측정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위에 언급된 라인은 각각의 앵커 지점의 직경, 길이 또는 폭(적절한 경우)의 임의의 부분을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 배치, 요구 또는 측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에 언급된 라인은 각각의 앵커 지점의 중심, 원점 또는 베이스(적절한 경우)를 통과하거나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 배치, 요구 또는 측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곡률 반경으로부터 후방 황반 만입부(indenter)를 따라 유리하게는 전방 공막 앵커의 더 큰 제2 곡률 반경으로 진행하며 이들 사이에 접선 방향으로 평활한 전이를 갖는 오목한 공막 접촉 표면을 갖는 일정하거나 가변적인 두께의 강성 단일형 임플란트로서, 제1 반경은 안구의 자연 길이 및/또는 형상을 복원하기 위해 평활하고 보다 공격적인 교정을 제공하고, 제2 반경은 안구의 전방 표면과 개선된 정합을 제공하고, 접선 방향으로 평활한 전이는 두 곡률 사이의 안구의 외부 표면에 보다 자연스런 정렬을 제공하는, 강성 단일형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전방 공막 앵커에서의 제2 곡률 반경은 유리하게는 후방 황반 만입부를 따른 제1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고, 제1 반경은 안구의 자연 길이 및/또는 형상을 복원하기 위해 보다 부드러운 교정을 제공하고, 제2 반경은 안구의 전방 표면과 개선된 정합을 제공하고, 접선 방향으로 평활한 전이는 두 곡률 사이의 안구의 외부 표면에 보다 자연스런 정렬을 제공한다.
접선 방향으로 평활한 전이는 임플란트의 몸체를 따라 임의의 지점(예를 들어, 플레이트 근위, 플레이트로부터 앵커 방향으로 아치형 거리의 1/3, 플레이트로부터 앵커 방향으로 아치형 거리의 1/2, 플레이트로부터 앵커 방향으로 아치형 거리의 2/3, 앵커 근위 또는 이들 사이의 임의의 분율 거리; 예를 들어, 안구를 복원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AP 조정을 허용하면서 몸체가 공막 조직에 예비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공막 고정 지점의 전방, 공막 고정 지점의 후방 또는 공막 고정 지점의 근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방 공막 앵커에서의 제2 곡률 반경은 후방 황반 만입부를 따른 제1 곡률 반경과 같을 수 있으며; 동일한 반경은 유리하게는 공막의 외부 표면을 따라 보다 자연스런 맞춤을 제공하고, 수술용 이식을 단순화하며, 제조의 용이성을 개선시킨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안구의 보다 자연 곡률 및 보다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기 위해 원하는 위치에서 안구의 하측두엽(inferotemporal) 또는 상측두엽(superotemporal) 사분면에 있는 결막 아래 안구의 공막 표면과 임플란트의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이 밀접 접촉하도록 윤부(limbus)에서 3mm 내지 10mm 뒤에 강성 곡선형 안과용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한 수술 방법을 제공한다.
고도 근시 안구에서 황반원공 폐쇄의 성공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임플란트를 배치하면 많은 이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안구를 단축시켜 굴절 이상을 교정한다. 근시 황반 분열의 경우, 특정 실시예는 층의 기존 분할을 감소시키고 또한 새로운 분열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황반원공과 황반 분열은 (근시 크기의 안구이든지 또는 정상 크기의 안구이든지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이지만 근시는 매우 흔하다. 미국에는 -6.00 디옵터 이상의 근시(고도 근시라고 함)를 가진 사람이 약 2,400만 명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안구의 AP 길이를 단축시켜 -6.00 디옵터 초과를 정상에 가깝게 낮출 수 있다. AP 길이가 30mm 이상인 안구를 가진 고도 근시 환자도 있다. 고도 근시 안구에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수술의 목표 중 하나는 축 방향 길이를 수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안경의 필요성이 해결되어(예를 들어, 수술 후 안경을 착용하지 않거나 훨씬 얇은 안경을 착용하게 되어) 환자가 잔류 굴절 이상에 대해 라식 수술을 받을 수 있다(일부 환자에서는 라식으로 제거될 각막 조직이 허용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디옵터 교정 필요성이 너무 높은 경우 라식 수술에 적합하지 않음).
또한 맥락막 신생혈관 막 및 망막 박리 경향 증가를 포함하여 안구 내부의 망막이 극단적으로 늘어남으로 인해 고도 근시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황반원공 및 황반 분열 이외의 합병증도 있다. 이들은 법적 또는 완전한 실명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이다. 안구의 신장을 정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임플란트를 배치하면 다수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3차원 표현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는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로 치료된 안구의 3차원 표현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정상 형상 및 정상 굴절을 갖는 안구, 및 안구의 축 방향 길이가 늘어남으로 인해 근시를 나타내는 신장된 안구(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방법에 의해 치료될 수 있음)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 단부도 및 4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안구의 자연 곡률 및/또는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여)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임플란트(예를 들어, 단일형 강성 안과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임플란트는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예를 들어, 안구의 후방 부분의 자연 곡률을 복원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예를 들어, 안구의 전방 부분의 자연 곡률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표면)을 갖는 앵커, 및 플레이트를 앵커에 연결하는 표면(예를 들어, 연속적이고 평활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복원되는 안구는 자연 선형 축 방향 길이(예를 들어,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 22mm 내지 24mm)를 가질 수 있고, 임플란트는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총 선형 임플란트 길이(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직선 라인으로 측정됨)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총 선형 임플란트 길이는 26mm 미만, 또는 25.5mm 미만, 또는 25mm 미만, 또는 24.5mm 미만, 또는 24mm 미만, 또는 23.5mm 미만, 또는 23mm 미만, 22.5mm 미만, 또는 22mm 미만, 또는 21.5mm 미만, 또는 21mm 미만, 또는 20.5mm 미만, 또는 20mm 미만, 또는 19.5mm 미만, 또는 19mm 미만, 또는 18.5mm 미만, 또는 18mm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수술 전에 복원되는 안구는 변형되고 측정된 수술 전 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그리고 임플란트는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총 선형 임플란트 길이를 가질 수 있음). 수술 후 복원되는 안구는 복원된 축 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그리고 임플란트는 안구의 복원된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총 선형 임플란트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대안적으로 안구의 수술 전 또는 수술 후 측정된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는 수술 전 및/또는 수술 동안 측정될 수 있고, 임플란트는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99% 미만, 대안적으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95% 미만, 대안적으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90% 미만, 대안적으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85% 미만, 대안적으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80% 미만, 대안적으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75% 미만, 대안적으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의 70%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총 선형 임플란트 길이를 갖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안구의 변형된 축 방향 길이는 수술 전 및/또는 수술 동안 측정될 수 있고, 안구의 원하는 교정된 축 방향 길이가 결정될 수 있고, 임플란트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99% 미만, 대안적으로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95% 미만, 대안적으로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90% 미만, 대안적으로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85% 미만, 대안적으로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80% 미만, 대안적으로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75% 미만, 대안적으로는 안구의 원하는 축 방향 길이의 70%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총 선형 임플란트 길이를 갖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생체 적합성 임플란트 재료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 고밀도 폴리에틸렌(HDP),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기타 메타크릴레이트, 실리콘(폴리실록산) 또는 VICRYL®(폴리글락틴 910)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중합체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1차 재료, 코팅, 커버, 쿠션, 메시, 백 또는 라이너로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가 금속 재료를 포함할 때, 적합한 금속은 수술용 등급의 스테인리스강(예를 들어, 316L), 코발트-크롬(Co-Cr) 합금, 순수한 상업용 또는 수술용 등급의 티타늄(Ti), 니켈-티타늄 합금(니티놀) 또는 기타 티타늄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금, 백금, 은, 이리듐, 탄탈륨 및 텅스텐과 같은 다른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1차 재료, 코팅, 커버 또는 라이너로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금속, 바이메탈(예를 들어, 상이한 두 금속으로 구성됨) 또는 비금속일 수 있다. 산화티타늄 또는 양극 산화 처리된 마감재와 같은 표면 코팅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산화알루미늄, 인산칼슘, 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및 산화규소(실리카)를 포함하는 세라믹이 사용될 수 있다. 세라믹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1차 재료, 코팅, 커버 또는 라이너로 사용될 수 있다. 자가이식편, 동종이식편, 이종이식편, 합성 조직 대용물, 및 배양되거나 조작된 조직 또는 조직 대용물을 포함하는 천연 또는 합성 생물학적 재료는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1차 재료, 코팅, 커버, 쿠션, 메시, 백 또는 라이너로 사용될 수 있다. 생물학적 물질도 또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생물학적 조직 또는 조직 대용 이식편(예를 들어, Tutoplast Sclera, Pericardium 또는 Fascia Lata; AMBIO2® Amniotic Membrane; 또는 TARSYS™ 생체공학 눈꺼풀 스페이서 이식편, 이들 모두는 뉴저지주, 파시패니(Parsippany) 소재 카테나(Katena)사로부터 입수 가능)은 임플란트와 안구의 공막 사이에 배치되어 천연 조직을 강화하거나 보호할 수 있고 또는 임플란트 위에 배치되어 인접한 조직 사이의 장벽을 제공하고/하거나, 임플란트 위, 너머 또는 인접하여 재생을 유도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재료의 조합(예를 들어, 연질의 외부 보호 코팅 또는 생체 적합성 코팅을 갖는 강한 내부 부재)이 일부 실시예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재료 또는 단일형 설계는 비용 면에서 이점, 부작용 위험 감소, 제조 가능성, 견고성, 제조 용이성 및 사용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생체 적합성, 강도 대 크기 비율, 강도 대 중량 비율, 수명, 내파열성, 비용, 이용 가능성 및 제조 가능성은 모두 특정 실시예에서 주어진 재료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복잡한 삽입 또는 고정 절차, 복잡한 메커니즘, 또는 임플란트 자체의 과도한 장력 또는 변형에 의존하지 않고 안구의 자연 곡률 및/또는 축 방향 길이를 교정하고 복원하기에 충분한 구조적 강성을 임플란트가 갖는 것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단순화된 설계 및 기능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재료의 일례는 오랜 이력의 생체 적합성, 수술용 임플란트에의 사용, 높은 중량 대 강도 비율, 높은 중량 대 크기 비율 및 구조적 강성을 갖는 티타늄이다.
강성 또는 고강도 재료(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또는 기타 금속 또는 세라믹 재료)는 높은 탄성 계수(예를 들어, 특정 티타늄 합금의 경우 105 기가파스칼(GPa) 내지 120 GPa, Ti-6Al-4V ELI(등급 23), 어닐링된 티타늄 합금의 경우 113.8 GPa, 또는 316 스테인리스강, 어닐링된 바(annealed bar)의 경우 193 GPa; 여기서 특정 다른 강성 또는 고강도 재료는 이러한 예시적인 값보다 높거나, 이러한 예시적인 값들 사이에 있거나, 이러한 예시적인 값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짐)를 가질 수 있고, 반강성 또는 중강도 재료(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다른 적합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생체 적합성 중합체와 같은 중합체는 2.4 GPa 내지 3.4 GPa 범위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특정 다른 반강성 또는 중강도 재료는 이러한 예시적인 값보다 높거나, 이러한 예시적인 값들 사이에 있거나, 이러한 예시적인 값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짐)에 비해, 또는 가요성이거나 연질이거나 저강도인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는 0.00000500 GPa 내지 1.90 GPa 범위의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고, 여기서 특정 다른 가요성이거나 연질이거나 저강도인 재료는 이러한 예시적인 값보다 높거나, 이러한 예시적인 값들 사이에 있거나, 이러한 예시적인 값보다 낮은 탄성 계수를 가짐)에 비해 작은 두께와 감소된 중량으로 안구의 자연 곡률과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기 위한 강도 및 강성 요구 사항을 충족함으로써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는 105 GPa 이상, 대안적으로 1.9 GPa 초과, 2 GPa 초과, 2.4 GPa 초과, 3.4 GPa 초과, 4 GPa 초과, 5 GPa 초과, 10 GPa 초과, 20 GPa 초과, 30 GPa 초과, 40 GPa 초과, 50 GPa 초과, 60 GPa 초과, 70 GPa 초과, 80 GPa 초과, 90 GPa 초과, 100 GPa 초과, 110 GPa 초과, 120 GPa 초과, 130 GPa 초과, 140 GPa 초과, 150 GPa 초과, 200 GPa 초과, 250 GPa 초과, 300 GPa 초과, 400 GPa 초과, 또는 500 GPa 초과의 탄성 계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다른 적합한 금속, PMMA 또는 다른 생체 적합성 중합체)의 전체 임플란트를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는 105 GPa 이하, 대안적으로 1.9 GPa 미만, 2 GPa 미만, 2.4 GPa 미만, 3.4 GPa 미만, 4 GPa 미만, 5 GPa 미만, 10 GPa 미만, 20 GPa 미만, 30 GPa 미만, 40 GPa 미만, 50 GPa 미만, 60 GPa 미만, 70 GPa 미만, 80 GPa 미만, 90 GPa 미만, 100 GPa 미만, 110 GPa 미만, 120 GPa 미만, 130 GPa 미만, 140 GPa 미만, 150 GPa 미만, 200 GPa 미만, 250 GPa 미만, 300 GPa 미만, 400 GPa 미만, 또는 500 GPa 미만의 탄성 계수를 갖는 하나 이상의 재료(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스테인리스강, 다른 적합한 금속, PMMA, 실록산, 실리콘 또는 다른 생체 적합성 중합체)의 전체 임플란트를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는 1 GPa 초과, 대안적으로 2 GPa 초과, 3 GPa 초과, 4 GPa 초과, 5 GPa 초과, 6 GPa 초과, 7 GPa 초과, 8 GPa 초과, 9 GPa 초과, 10 GPa 초과, 20 GPa 초과, 30 GPa 초과, 40 GPa 초과, 50 GPa 초과, 60 GPa 초과, 70 GPa 초과, 80 GPa 초과, 90 GPa 초과, 100 GPa 초과, 200 GPa 초과, 300 GPa 초과, 400 GPa 초과 또는 500 GPa 초과의 두 재료(예를 들어, 1차 재료로 티타늄 합금, 및 2차 재료로 실리콘) 사이의 탄성 계수 차이를 갖는 2개 이상의 재료(예를 들어, 1차 재료와 코팅 포함)의 임플란트를 유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티타늄은 사용 시 순수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일 수 있고, 자연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고, 티타늄 산화물로 코팅, 양극 산화 처리, 도금, 또는 그 밖에 코팅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 재료는 2차 재료로 커버, 코팅, 도금, 피복 또는 오버레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2차 재료 및 처리는 실리콘, 세라믹 코팅 및 중합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재료 및 표면 마감재는 1 마이크로미터 두께 미만에서부터 완성되거나 코팅된 임플란트 두께의 대부분을 제공하는 범위일 수 있고, 또한 임플란트의 전체 또는 일부 위에 또는 주위에 배치되는 백, 메시 또는 기타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 베어(bare), 양극 산화 처리된, 산화, 또는 얇게 코팅된 임플란트는 특정 실시예에서 제조 용이성, 단순성, 독성 위험 감소 및 실패 위험 감소를 포함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코팅된 임플란트는 특정 실시예에서 개선된 생체 적합성, 쿠션, 조직 손상 가능성 감소 및 베이스 재료 위 표면 질감의 개선을 포함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는 몸체 폭을 가질 수 있고,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폭을 가질 수 있고;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의 절반보다 크고,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보다 작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의 1/3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2/3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3/4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4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5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6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7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8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9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95%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 초과,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5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5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2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1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99%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95%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9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8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70%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는 앵커 폭을 가질 수 있고, 앵커 폭은 플레이트 폭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9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1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2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5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20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25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300% 초과,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400% 초과,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 폭은 플레이트 폭의 5배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4배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3배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2배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45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35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25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5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20% 미만,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의 110%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몸체는 몸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앵커는 앵커 두께를 가질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50%보다 크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200% 미만이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50%보다 크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200% 미만이거나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6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7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8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9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0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1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2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50%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75% 초과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200%보다 크거나,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3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4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5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6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7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8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9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0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1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2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50%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175% 미만일 수 있고, 플레이트 두께는 몸체 두께의 200% 미만이거나,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6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7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8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9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0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1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2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50%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75% 초과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200% 초과이거나,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3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4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5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6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7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8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9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0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1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2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50%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175% 미만일 수 있고, 앵커 두께는 몸체 두께의 200% 미만이거나,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두께, 몸체 두께 및 앵커 두께는 각각 균일하고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의 두께는 플레이트로부터 몸체를 거쳐 앵커에 이르기까지 변할 수 있다. 두께는 플레이트에서 더 작고, 몸체를 통해 증가하며, 앵커에서 더 커질 수 있다. 두께는 플레이트에서 더 크고, 몸체를 통해 감소하며, 앵커에서 더 작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앵커는 균일한 두께일 수 있는 반면, 몸체는 플레이트나 앵커보다 큰 두께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앵커는 균일한 두께일 수 있는 반면, 몸체는 플레이트나 앵커보다 얇은 두께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몸체는 균일한 두께일 수 있는 반면, 앵커는 플레이트나 몸체보다 큰 두께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몸체는 균일한 두께일 수 있는 반면, 앵커는 플레이트나 몸체보다 얇은 두께이다.
대안적으로, 몸체와 앵커는 균일한 두께일 수 있는 반면, 플레이트는 몸체나 앵커보다 큰 두께이다. 대안적으로, 몸체와 앵커는 균일한 두께일 수 있는 반면, 플레이트는 몸체나 앵커보다 작은 두께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폭은 몸체 폭보다 클 수 있고, 앵커 폭은 플레이트 폭보다 클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 폭, 몸체 폭 및 앵커 폭은 각각 균일하고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의 폭은 플레이트로부터 몸체를 거쳐 앵커에 이르기까지 변할 수 있다. 폭은 플레이트에서 더 작고, 몸체를 통해 증가하며, 앵커에서 더 커질 수 있다. 폭은 플레이트에서 더 크고, 몸체를 통해 감소하며, 앵커에서 더 작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앵커는 균일한 폭일 수 있는 반면, 몸체는 플레이트 또는 앵커보다 큰 폭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앵커는 균일한 폭일 수 있는 반면, 몸체는 플레이트 또는 앵커보다 작은 폭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몸체는 균일한 폭일 수 있는 반면, 앵커는 플레이트 또는 몸체보다 큰 폭이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와 몸체는 균일한 폭일 수 있는 반면, 앵커는 플레이트 또는 몸체보다 작은 폭이다.
대안적으로, 몸체와 앵커는 균일한 폭일 수 있는 반면, 플레이트는 몸체 또는 앵커보다 큰 폭이다. 대안적으로, 몸체와 앵커는 균일한 폭일 수 있는 반면, 플레이트는 몸체 또는 앵커보다 작은 폭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는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몸체의 내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는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을 포함할 수 있고, 앵커는 몸체의 내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2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은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3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과 170도 미만 및 1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2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은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3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과 16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150도 미만; 대안적으로, 140도 미만; 대안적으로, 130도 미만; 대안적으로, 120도 미만; 대안적으로, 110도 미만; 대안적으로 150도 미만; 대안적으로 150도 미만; 대안적으로, 100도 미만; 대안적으로, 90도 미만; 대안적으로, 80도 미만; 대안적으로, 70도 미만; 대안적으로, 60도 미만; 대안적으로, 50도 미만; 대안적으로, 40도 미만; 대안적으로, 30도 미만; 대안적으로, 20도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2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은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3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과 16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고; 대안적으로, 150도 초과; 대안적으로, 140도 초과; 대안적으로, 130도 초과; 대안적으로, 120도 초과; 대안적으로, 110도 초과; 대안적으로 150도 초과; 대안적으로 150도 초과; 대안적으로, 100도 초과; 대안적으로, 90도 초과; 대안적으로, 80도 초과; 대안적으로, 70도 초과; 대안적으로, 60도 초과; 대안적으로, 50도 초과; 대안적으로, 40도 초과; 대안적으로, 30도 초과; 대안적으로, 20도 초과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술한 라인 중 임의의 라인은 위에서 언급한 제1 앵커 지점 대신 몸체 또는 앵커의 중심에 있는 특징부 또는 지점(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몸체 또는 앵커 부분의 중심선 또는 중간점에 있는 지점, 몸체와 앵커를 따라 또는 몸체와 앵커 사이의 에지 또는 경계에 근접한 지점, 또는 제1 아암이 몸체 또는 제2 아암과 결합되는 지점과 같은 기하학적 특징부에 있는 지점) 사이에 그려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는 몸체에 제2 앵커 지점을 연결하는 제1 아암으로서,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가질 수 있는 제1 아암, 및 몸체에 제3 앵커 지점을 연결하는 제2 아암으로서,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가질 수 있는 제2 아암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아암은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1 아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2 아암은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2 아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Y자 형상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T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U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역 Y자 형상, 역 U자형, "아치형"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대칭인 Y자 형상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비대칭인 Y자 형상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불규칙한 Y자 형상 또는 화살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제1 곡률 반경(RP)을 가질 수 있고, 앵커는 제2 곡률 반경(RA)을 가질 수 있고,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작다(RP<RA). 대안적으로,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RP>RA).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는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제1 곡률 반경(RB1)을 가질 수 있고, 몸체는 앵커에 근접하여 제2 곡률 반경(RB2)을 가질 수 있고,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RB1<RB2). 대안적으로,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클 수 있다(RB1>RB2). RB1과 RB2를 연결하는 표면은 접선, 연속이지만 비합치(incongruent)하거나 불연속일 수 있다. RB1은 RP와 같을 수 있고, 대안적으로 RB1은 RP보다 클 수 있고, 대안적으로 RB1은 RP보다 작을 수 있다. RB1과 RP를 연결하는 표면은 접선, 연속적이지만 비합치하거나 불연속일 수 있다. RB2는 RA와 같을 수 있고, 대안적으로 RB2는 RA보다 클 수 있고, 대안적으로 RB2는 RA보다 작을 수 있다. RB2와 RA를 연결하는 표면은 접선, 연속이지만 비합치하거나 불연속일 수 있다.
위의 관계 각각은 비용, 제조 가능성 또는 임상 효능의 이점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예를 들어, RB1과 RB2를 연결하는 비합치 표면은 제조 비용이 적게 들 수 있고; 또는 RB1과 RP를 연결하는 접선 표면은 자연 곡률을 복원할 때 향상된 임상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와 몸체 사이의 연결은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몸체와 앵커 사이의 연결은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몸체는 제1 곡률 반경(RB1)과 제2 곡률 반경(RB2) 사이의 표면 접선을 유지하는 단계적인 곡률 전이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몸체는 RB1 및 RB2와 다른 제3 곡률 반경(RB3)을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RB3은 RB2의 두 배 초과일 수 있음).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몸체는 중립(오목하지도 볼록하지도 않은) 곡률 영역, 편평한 영역, 부분별로 선형인 영역 또는 오목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함으로써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는 안구의 후방 부분의 자연 곡률을 복원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안구의 전방 부분의 자연 곡률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앵커, 및 앵커에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속적이고 평활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몸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자연 축 방향 길이를 갖는 안구와 임플란트는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몸체는 몸체 폭을 가질 수 있고,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폭을 가질 수 있으며;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보다 작다. 앵커는 플레이트 폭보다 큰 앵커 폭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두께를 갖고; 몸체는 몸체 두께를 갖고; 앵커는 앵커 두께를 갖고; 플레이트 두께, 몸체 두께 및 앵커 두께는 각각 거의 동일하다.
특정 실시예는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몸체의 내측이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몸체의 외측에 있고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고; 여기서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2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은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제3 앵커 지점으로 그려진 라인과 170도 미만 그리고 1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한다.
특정 실시예는 몸체에 제2 앵커 지점을 연결하는 제1 아암으로서,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가질 수 있는 제1 아암, 및 몸체에 제3 앵커 지점을 연결하는 제2 아암으로서,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가질 수 있는 제2 아암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제1 아암은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1 아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제2 아암은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2 아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아암과 제2 아암은 몸체에 대해 대칭인 Y자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일정한 곡률 반경(R)(예를 들어, 플레이트로부터 몸체를 거쳐 앵커에 이르기까지 단일 값의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밀리미터(mm) 단위의 R의 값은 mm 단위의 앵커 폭(AW) 값과 같을 수 있고(예를 들어, R = AW), 대안적으로 R은 AW의 99% 미만, AW의 95% 미만, AW의 90% 미만, AW의 85% 미만, AW의 80% 미만, AW의 75% 미만, AW의 70% 미만, AW의 65% 미만, AW의 60% 미만, AW의 55% 미만, AW의 50% 미만, AW의 45% 미만, AW의 40% 미만,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분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R은 AW 초과, AW의 105% 초과, AW의 110% 초과, AW의 115% 초과, AW의 120% 초과, AW의 125% 초과, AW의 130% 초과, AW의 135% 초과, AW의 140% 초과, AW의 145% 초과, AW의 150% 초과, AW의 175% 초과, AW의 200% 초과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분율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밀리미터(mm) 단위의 R의 값은 mm 단위의 몸체 폭(BW)의 값과 동일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R = BW), 대안적으로 R은 BW의 99% 미만, BW의 95% 미만, BW의 90% 미만, BW의 85% 미만, BW의 80% 미만, BW의 75% 미만, BW의 70% 미만, BW의 65% 미만, BW의 60% 미만, BW의 55% 미만, BW의 50% 미만, BW의 45% 미만, BW의 40% 미만,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분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R은 BW 초과, BW의 105% 초과, BW의 110% 초과, BW의 115% 초과, BW의 120% 초과, BW의 125% 초과, BW의 130% 초과, BW의 135% 초과, BW의 140% 초과, BW의 145% 초과, BW의 150% 초과, BW의 175% 초과, BW의 200% 초과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분율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밀리미터(mm) 단위의 R의 값은 mm 단위의 플레이트 폭(PW)의 값과 동일할 수 있으며(예를 들어, R = PW), 대안적으로 R은 PW의 99% 미만, PW의 95% 미만, PW의 90% 미만, PW의 85% 미만, PW의 80% 미만, PW의 75% 미만, PW의 70% 미만, PW의 65% 미만, PW의 60% 미만, PW의 55% 미만, PW의 50% 미만, PW의 45% 미만, PW의 40% 미만,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분율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R은 PW 초과, PW의 105% 초과, PW의 110% 초과, PW의 115% 초과, PW의 120% 초과, PW의 125% 초과, PW의 130% 초과, PW의 135% 초과, PW의 140% 초과, PW의 145% 초과, PW의 150% 초과, PW의 175% 초과, PW의 200% 초과 또는 전술한 것의 임의의 분율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제1 곡률 반경(RP)을 가질 수 있고, 앵커는 제2 곡률 반경(RA)을 가질 수 있고,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작다(RP<RA). 몸체는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제1 곡률 반경(RB1)을 가질 수 있고, 몸체는 앵커에 근접하여 제2 곡률 반경(RB2)을 가질 수 있고,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작고(RB1<RB2); 플레이트와 몸체 사이의 연결은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하며; 몸체와 앵커 사이의 연결은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하며; 몸체는 제1 곡률 반경(RB1)과 제2 곡률 반경(RB2) 사이의 표면 접선을 유지하는 단계적인 곡률 전이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선택적인 목적을 위해 안구에 더 큰 만입이 필요한 경우 외과의가 플레이트에 국소 스폰지(예를 들어, 일반적인 망막 박리 복구에 쉽게 이용 가능한 것) 또는 다른 추가물을 봉합하는 옵션을 가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 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부착 지점은 봉합사의 유지를 장려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이 기술 분야에 알려진 하나 이상의 구멍, 슬롯, 돌출부 또는 다른 특징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플레이트의 중심에 근접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된 2개의 구멍을 제공하고, 구멍은 봉합사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간격과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결막과 공막을 갖는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수술 방법으로서; 수술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단계, 안구의 사분면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사분면에서 공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결막을 절개하는 단계,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먼저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오목한 공막 접합 표면이 선택된 사분면에서 결막 아래의 공막 표면과 밀접 접촉하도록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 앵커가 윤부에서 3mm 내지 10mm 뒤에 올 때까지 임플란트를 전진시키는 단계, 임플란트의 몸체를 공막에 고정시키는 단계,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앵커 지점에서 원하는 위치의 공막에 앵커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술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사분면은 하측두엽 또는 상측두엽 사분면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방법은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임플란트 아래의 공막에 자가이식편, 동종이식편, 이종이식편 또는 합성 공막 이식편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교정된 AP 길이를 측정하고, 수술 중 임플란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플란트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노모그램(nomogram) 또는 수술 전 측정을 참조하고, 수술 중 임플란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는 안구의 길이와, 22mm 내지 24mm의 정상 길이로부터 벗어난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초음파는 또한 안구 뒤쪽의 형상과 기형 정도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배치될 수정체에 대한 안구 수정체 도수를 계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백내장 수술 전 안구의 길이를 측정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OL Master 500 (Carl Zeiss Meditec AG, Jena, Germany) 또는 Lenstar LS900 (Haag Steit AG, Koeniz, Switzerland)을 사용하여 레이저 빔으로) 안구의 길이를 보다 정확히 측정하는 다른 방법도 있다. 광파 굴절 분석(Optiwave Refractive Analysis: ORA) 또는 간단한 자동 굴절계와 같은 안구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안구의 원하는 길이 및/또는 곡률을 제공하기 위해 임플란트가 올바른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수술 동안 안구에 임플란트가 배치될 때 바로 안구의 굴절 이상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원하는 길이는 굴절 이상을 교정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배치한 경우 배치 후 굴절 이상을 최소화하거나 전혀 초래하지 않는 길이이다. 일부 경우에, 황반 병리, 즉 황반 분열, 근시 황반원공, 황반 흉터 및 관련 병리를 예방, 억제, 감소 또는 교정하기 위해 안구 뒤쪽이 늘어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경우 원하는 길이는 약 22mm 내지 24mm일 것이다.
특정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임플란트 위의 결막을 폐쇄하는 단계 및 자가이식편, 동종이식편, 이종이식편 또는 합성 공막 이식편을 임플란트 아래, 주위 및/또는 위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결막을 절개하는 단계는 결막과 공막 사이에 임플란트를 위한 보금자리 포켓(nested pocket)을 개방하는 뭉툭한 후방 절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안구의 공막 표면을 향하는 하위 표면 및 상위 표면을 갖는 몸체, 몸체의 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황반 만입부, 몸체의 후방 단부의 반대쪽 몸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앵커 아암, 및 앵커 아암 상의 지점 또는 앵커 아암에 인접한 지점에서 각각이 몸체를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앵커 포털을 포함하고, 하위 표면은 몸체의 후방 단부에서의 제1 곡률 반경, 및 몸체의 전방 단부에서의 제2 곡률 반경으로 형성되는 복합 오목면(compound concavity)을 갖고, 제1 곡률 반경은 제2 곡률 반경보다 작은,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곡률 반경은 황반 만입부를 통해 하위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2 곡률 반경은 하나 이상의 앵커 아암을 통해 하위 표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1 곡률 반경은 몸체의 후방 단부와 몸체의 전방 단부 사이의 지점에서 하부 표면을 따라 접선으로 제2 곡률 반경과 만난다. 특정 실시예에서, 황반 만입부는 몸체의 하위 표면으로부터 몸체의 상위 표면으로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이며, 황반 만입부의 도심(centroid)에서 하위 표면에 수직인 원통형 중심축을 형성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는 몸체의 중간면을 따라 후방 단부로부터 앵커 단부까지 이어지는 길이 방향 중심축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동일한 길이와 동일한 폭의 2개의 앵커 아암은 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축과 황반 만입부의 원통형 중심축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해 대칭을 갖는 대칭 앵커 구조를 형성한다. 몸체는 앵커 아암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앵커 아암과 황반 단부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일정한 몸체 폭과 몸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앵커 아암은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 및 대략 몸체 두께와 동일한 아암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플레이트, 앵커, 이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갖는 세장형 몸체, 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하는 오목한 공막 표면, 이 공막 표면의 반대쪽 볼록한 안와 표면(orbital surface); 및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 외측 면을 포함하는,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플레이트는 공막 표면에서 플레이트 폭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세장형 몸체는 공막 표면에서 대향 외측 면 사이에 몸체 폭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앵커는,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앵커 폭을 형성하는 2개의 봉합 포털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의 적어도 약 2/3이고, 앵커 폭은 몸체 폭보다 크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질량 중심을 갖고, 몸체는 질량 중심을 가지며, 길이 벡터는 플레이트 질량 중심으로부터 몸체 질량 중심을 거쳐 연장되는 것으로 형성되며, 앵커는 2개의 앵커 아암을 포함하고, 제1 앵커 아암은 길이 벡터에 대해 제1 각도로 경로를 따라 몸체로부터 봉합 포털로 연장되고, 제2 앵커 아암은 길이 벡터에 대해 제2 각도로 경로를 따라 몸체로부터 봉합 포털로 연장되고, 2개의 아암은 이들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여기서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길이 벡터의 반대쪽에 있고,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같은 크기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1 아암은 제1 길이를 갖고, 제2 아암은 제2 길이를 가지며, 제2 길이는 제1 길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임플란트를 따라 전방-후방(AP) 방향을 형성하는 오목한 공막 지향 표면을 포함하고, 공막 표면은 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곡률 반경, 및 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고, 후방 반경은 전방 반경보다 작은,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이 실시예는,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있는 오목한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로서, 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 및 공막 표면에 걸쳐 측정되고 AP 방향에 수직인 플레이트 폭을 갖는 오목한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 및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있는 오목한 앵커로서, 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 및 공막 표면에 걸쳐 측정되고 AP 방향에 수직인 앵커 폭을 갖는, 오목한 앵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플레이트와 앵커를 연결하는 오목한 몸체 부분을 추가로 제공하고, 오목한 몸체 부분은 플레이트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에서부터 앵커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변하는 가변 곡률 반경을 갖고, 몸체의 가변 곡률 반경은 플레이트에 근접한 영역에서부터 앵커에 근접한 영역까지 곡률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몸체는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2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2개의 영역은 그 교차점에서 상호 접선이다. 대안적으로, 몸체는 전방 반경과 후방 반경 사이의 곡률 반경에 일정한 변화율을 갖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플레이트,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앵커, 이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갖는 세장형 몸체,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하고, 임플란트를 따라 전후(AP) 방향을 형성하는 오목한 공막 표면, 공막 표면과 반대쪽 볼록한 안와 표면, 및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 외측 면을 포함하고, 플레이트는 공막 표면에서 플레이트 폭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고, 세장형 몸체는 공막 표면에서 대향 외측 면 사이에서 몸체 폭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고, 앵커는,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앵커 폭을 형성하는 2개의 봉합 포털을 포함하고,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의 적어도 약 2/3이고, 앵커 폭은 몸체 폭보다 큰,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임플란트는 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곡률 반경 및 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한 공막 지향 표면(여기서 후방 반경은 전방 반경보다 작음);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있는 오목한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로서, 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 및 공막 표면에 걸쳐 측정되고 AP 방향에 수직인 플레이트 폭을 갖는 오목한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있는 오목한 앵커로서, 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 및 공막 표면에 걸쳐 측정되고 AP 방향에 수직인 앵커 폭을 갖는 오목한 앵커; 및 플레이트와 앵커를 연결하는 오목한 몸체 부분으로서, 플레이트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에서부터 앵커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으로 변하는 가변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한 몸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100)로서,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플레이트(110),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앵커(130), 세장형 몸체(120)로서,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가질 수 있는 세장형 몸체,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하는 오목한 공막 표면(140), 공막 표면의 반대쪽에 볼록한 안와 표면(150), 및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 외측 면(160)을 포함하고; 여기서 공막 표면은 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곡률 반경(R1), 및 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곡률 반경(R2)을 가질 수 있고, 후방 반경은 전방 반경보다 작으며, 플레이트는 공막 표면에서 플레이트 폭(P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세장형 몸체는 공막 표면에서 대향 외측 면 사이의 몸체 폭(B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앵커는,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앵커 폭(AW)을 형성하는 2개의 봉합 포털(131A, 131B)을 가질 수 있고,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의 적어도 약 2/3이고, 앵커 폭은 몸체 폭보다 큰,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특정 실시예는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있는 오목한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로서, 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 및 공막 표면에 걸쳐 측정되고 AP 방향에 수직인 플레이트 폭을 갖는 오목한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있는 오목한 앵커로서, 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곡률 반경, 및 공막 표면에 걸쳐 측정되고 AP 방향에 수직인 앵커 폭을 갖는 오목한 앵커, 및 플레이트와 앵커를 연결하는 오목한 몸체 부분으로서, 플레이트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으로부터 앵커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반경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으로 변하는 가변 곡률 반경을 갖는 오목한 몸체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함으로써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의 3차원 표현이다. 임플란트(100)는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플레이트(110),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앵커(130), 및 세장형 몸체(120)를 포함하고, 몸체는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갖는다. 임플란트는 2개의 뚜렷한 곡률을 가지며, 평활한 접선 표면 접합부(121)에서 더 큰 전방 곡률 반경 전이를 갖는다. 오목한 공막 표면(140)은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한다. 볼록한 안와 표면(150)은 공막 표면의 반대쪽에 보이고, 한 쌍의 대향 외측 면(160)은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한다. 앵커는 2개의 앵커 아암(132A 및 132B)의 단부에서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각각 연장되는 봉합 포털(131A, 131B) 형태의 2개의 앵커 지점을 갖는다. 봉합 포털(131C) 형태의 제3 앵커 지점은 몸체에 근접한 중심 앵커 내에서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 기법을 통해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AL)를 복원하는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로 치료된 안구(200)의 3차원 표현을 도시한다. 안구의 축 방향 길이(AL)는 각막(210)의 전방 표면(211)으로부터 플레이트(110) 바로 위 망막(220) 상의 지점의 복원된 축 방향 위치(221)까지 측정되며, 여기서 플레이트는 망막(220)과 공막(230)을 지지한다. 공막(230) 바로 바깥쪽의 결막은 이 도면에서 도시되어 있지 않다. 봉합사(170A, 170B, 170C, 170D)는 임플란트의 몸체(120)를 유지하고, 앵커 지점(131A, 131B 및 131C)을 공막에 각각 체결한다. 봉합사(170D)는 공막에 앵커 지점(131A, 131B, 및 131C)을 각각 체결하기 위해 봉합사(170A, 170B, 및 170C)를 고정하기 전에 환자의 시력을 복원하기 위해 임플란트의 축 방향 조정을 여전히 허용하면서 몸체(120) 주위를 느슨하게 감쌈으로써 초기 고정을 형성한다. 임플란트는 2개의 뚜렷한 곡률을 가지며, 평활한 접선 표면 접합부(121)에서 더 큰 전방 곡률 반경 전이를 갖는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함으로써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 및 측면도를 각각 포함한다. 임플란트(100)는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플레이트(110),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앵커(130), 세장형 몸체(120)를 포함하고, 몸체는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갖는다. 오목한 공막 표면(140)은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한다. 볼록한 안와 표면(150)은 공막 표면의 반대쪽에 보이고, 한 쌍의 대향 외측 면(160)은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한다. 공막 표면은 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곡률 반경(R1)을 갖고, 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곡률 반경(R2)을 갖고, 후방 반경은 전방 반경보다 작다. 플레이트는 공막 표면에서 플레이트 폭(P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다. 세장형 몸체는 공막 표면에서 대향 외측 면 사이에 몸체 폭(B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다. 앵커는 2개의 앵커 지점(131A 및 131B)을 갖고, 2개의 앵커 지점은 각각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되고, 2개의 앵커 아암(132A 및 132B)이 걸쳐 있는 앵커 폭(AW)을 각각 형성한다. 제3 앵커 지점(131C)은 몸체에 근접한 중심 앵커 내에서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 폭(BW)은 플레이트 폭(PW)의 적어도 약 2/3이고, 앵커 폭(AW)은 몸체 폭(BW)보다 크다.
도 4는 망막(220)에 물체(201)의 상(202)을 맺히기 위한 정상 안구 형상(231N)과 정상 굴절을 갖는 안구(200), 및 망막(220)에 상(202)을 맺지 못하고 근시를 나타내는 세장형 안구 형상(231E)을 갖는 안구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안구의 정상 축 방향 길이(ALN) 및 안구의 세장형 축 방향 길이(ALE)는 각막(210)의 전방 표면(211)으로부터 황반(221) 상의 초점까지 각각 측정된다. 시신경은 참조 번호(240)이다. 망막(220)은 신경 조직의 내부 라이닝이다. 정상 길이의 안구에서 망막에 상이 형성되면 망막에 상이 적절히 맺힐 수 있다. 안구가 근시인 경우 상은 망막 앞에 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함으로써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기 위한 단일형 강성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를 생산하는 데 유용한 제조 중간체(예를 들어, 구부려지기 전의 금속 시트의 편평한 스탬핑된 블랭크)의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면도(일부 사시도)를 형성하는 공학적 스케치를 포함한다. 블랭크(500)는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스푼" 또는 플레이트(510),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앵커(530), 및 세장형 몸체(520)를 포함하고, 세장형 몸체는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갖는다.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는 플레이트의 후방 에지로부터 앵커의 전방 에지까지 측정된 선형 임플란트 길이(L)(30.5mm)를 생성한다. 나중에 구부러져 오목한 공막 표면(이 도면에서 임플란트 뒤에 있어 보이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는 편평한 표면은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한다. 나중에 구부러져 볼록한 안와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편평한 표면(550)이 보여지고, 한 쌍의 대향 외측 면(560)은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한다. 편평한 표면은 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곡률 반경(R1)(또는 직경 = 25mm), 및 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곡률 반경(R2)(또는 직경 = 29mm)을 갖는 공막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부려짐을 위해 언급된 것이고, 후방 반경은 전방 반경보다 작다. 구부림 축(521)은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16.50mm 및 전방 단부로부터 14.00mm에 위치된 완성된 임플란트의 전방 반경으로부터 후방 반경으로 가면서 의도된 전이를 표시한다. 플레이트는 각각 공막 표면 및/또는 안와 표면에서 플레이트 폭(P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다. 세장형 몸체는 공막 표면에서 대향 외측 면 사이에 몸체 폭(B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갖는다. 앵커는 2개의 앵커 지점(531A 및 531B)을 갖고, 2개의 앵커 지점은 각각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되고, 2개의 앵커 아암(532A 및 532B)이 걸쳐 있는 앵커 폭(AW)을 각각 형성한다. 제3 앵커 지점(531C)은 몸체에 근접한 중심 앵커 내에서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된다. 이 실시예에서 몸체 폭(BW)은 플레이트 폭(PW)의 적어도 약 2/3이고, 앵커 폭(AW)은 몸체 폭(BW)보다 크다. 앵커 아암은 각각의 앵커 지점의 직경보다 작고 몸체 폭(BW)의 절반 미만인 폭(예를 들어, 1mm)이고, 플레이트는 0.5mm 두께이고, 몸체, 아암 및 앵커 지점은 편평하거나 대안적으로 날카롭거나 정사각형으로 만곡된 둥근 에지를 가질 수 있음이 주목된다. 단면 스케치는 몸체, 스푼 또는 플레이트, 및 앵커의 짧은 아암의 예시적인 기하 형상, 둥근 형상 및 에지 처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로부터 앵커로의 전이는 몸체 폭 또는 두께로부터 앵커 폭 또는 두께로의 전이 지점에서 형성된다. 이 전이 지점은 임플란트의 폭 또는 두께의 변화로 형성되거나, 또는 임플란트의 폭 또는 두께의 점진적인 증가의 시작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지점으로부터 지정된 거리(예를 들어, 1mm 또는 0.5mm)에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는 몸체로부터 돌출된 하나 이상의 앵커 아암의 원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는 하나 이상의 앵커 지점(예를 들어, 531C)의 위치로 형성되거나 또는 지정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앵커 지점의 중심, 에지 또는 사분면으로부터 지정된 거리, 반경 또는 직경(예를 들어, 1mm 또는 0.5mm)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 단부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a는 둥근 상부 에지, 3개의 앵커 지점, 및 플레이트에 2개의 추가 봉합 구멍(예를 들어, 스폰지 또는 다른 물품을 부착하는 데 사용됨)을 갖는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상면도 및 단부도를 보여준다. 도 6b는 앵커 지점 중 하나의 앵커 지점을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앵커 구멍(예를 들어, 1mm 직경의 관통 구멍)은 둥근 외부 및 상위 에지(예를 들어, 전체 구멍 또는 일부 구멍 주위 에지의 둥근 전체 또는 부분 코너)를 가진 벽(예를 들어, 0.5mm 두께)에 의해 구멍 직경 주위에서 지지된다. 도 6c는 둥글거나 부분적으로 둥근 상부 프로파일과 편평한 하부를 갖는 앵커 아암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d는 둥근 상위 코너 에지를 가진 편평한 몸체의 단면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도 6e는 2개의 추가 봉합 구멍을 가진 플레이트를 통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곡률 및 3차원 형상은 3개의 부착 지점이 있는 앵커 부분으로부터 몸체를 통해 2개의 추가 선택적 구멍 또는 부착 지점이 있는 플레이트 부분으로 만곡된 것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수술 배치 후 임플란트의 안정성 개선을 제공한다. 부착 지점의 수량, 위치, 배향, 설계, 배치 및 구성은 임플란트 안정성에 영향을 미쳐 환자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봉합은 하나의 고정 형태이다. 비흡수성 봉합사는 임플란트의 안전하고 지속적인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흡수성 봉합사는 봉합사가 흡수되기 전에 임플란트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흉터 조직이 충분히 치유 및 형성될 때까지 임플란트를 제 위치에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부착 지점이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부착 지점이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제공되고, 내외측 방향으로 임플란트의 몸체에 걸쳐 측정된 앵커 거리만큼 분리된다.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의 부착 지점은 접근 및 부착이 용이하다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이격되고 임플란트의 몸체로부터 추가로 이격되고/되거나 임플란트의 에지 또는 주변을 따라 위치된 부착 지점들은 개선된 지레버리지, 안정성 및 유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중심 또는 후방 영역에 있는 부착 지점은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유리한 레버리지 또는 고정을 제공할 수 있다. 서로 더 가깝게, 몸체에 더 가깝게 또는 플레이트에 더 가깝게 배치된 부착 지점은 안구 근육, 신경 및 혈관 부착을 방지하고, (예를 들어, 동일한 봉합사로 2개 이상의 앵커 지점에 걸쳐 봉합하고/하거나, 하나 이상의 부착 지점을 통해 다수의 봉합사를 통과시킴으로써) 더 나은 접근 및 더 많은 부착 옵션을 제공하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세장형 안구를 원하는 AP 길이로 단축시키거나 재성형하는 것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다수의 환자 및/또는 다수의 수술에 걸쳐 결과를 추적함으로써) 외과의의 경험, 개선된 노모그램 또는 안구의 AP 길이의 측정은 모두 개선된 결과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상치 못한 손상(예를 들어, 뭉툭한 절개에도 불구하고 혈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수술적 접근법은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최적화되어 있고, 임플란트는 구체적으로 안구의 해부학적 랜드마크에 맞도록 크기 정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침식은 생물학적 증강 이식편(예를 들어, TUTOPLAST®)을 임플란트에 근접하게 배치함으로써 최소화된다. 임플란트의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은 생물학적 증강 또는 다른 이식편을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고 결막 아래의 공막 표면과 밀접 접촉을 유지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절차는 플레이트가 놓여 있는 안구 뒤쪽의 약 5mm 직경 구획만을 정상화할 것이다. 유리하게는 이것은 안구의 가장 중요한 5mm 구획일 수 있다. 여기서 안구가 너무 길면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중심을 5mm 당기면 안구의 굴절 교정을 제공한다. 극히 드문 상황에서 이식 부위가 감염되어 임플란트의 제거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염 또는 수술 후 합병증의 경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몸체의 넓은 폭이 플레이트의 크기에 가까우면, 나중에 흉터 조직이 몸체 주위에 형성되어 제거되기 어렵게 하는 흉터 조직의 접착을 최소화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하는 경우 이를 쉽게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의 폭 및/또는 높이에 가까운 몸체 폭 및/또는 높이를 선택하면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전에 공막 임플란트 수술을 받았거나 이전에 심각한 안구 외상을 입은 경우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데 임플란트를 통과시키거나 부착하는 것이 의도된 공막에 기존의 흉터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방법은 특정 실시예에서 균일하거나 점점 가늘어지는 두께, 폭의 작은 변화, 및 안구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임플란트 길이를 갖는 임플란트를 제공함으로써 외과 수술에 대한 흉터 조직의 영향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은 외과의의 선호도에 따라 수술용 현미경, 확대 루프 또는 육안으로 수행될 수 있는 광범위한 수술적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수술하기 며칠 전 또는 수술하기 몇 주 전에) 안구볼의 축 방향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축 방향 길이에 기초하여, 원하는 크기의 임플란트가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각 환자의 고유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임플란트 파라미터 및 설계 특징의 반복을 갖는 표준 절차의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는 키트로 제공될 수 있고, 외과의에게 다양한 임플란트 길이, 폭, 두께, 곡률, 앵커 구성, 재료, 코팅 및 액세서리 조합으로 일련의 옵션을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트에는 3개의 임플란트가 포함될 수 있고, 각 임플란트는 공통 원형 플레이트의 직경 5mm, 앵커 폭 10mm, 몸체 폭 4mm 및 전방 반경 14.5mm를 갖고, 3개의 임플란트 각각은 고유한 후방 반경이 각각 12.0mm, 12.5mm 및 13.0mm이다.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변수는 키트 내에서 또는 다른 키트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변경될 수 있고, 그 결과 다양한 크기의 다수의 키트 구성이 생성될 수 있고, 각각은 비용, 이용 가능성 또는 사용 용이성 측면에서 외과의에게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수술 기구(surgical instrument)는 특정 실시예에서 매우 간단하다. 기구에는 결막 절단을 위한 날카로운 가위, 임플란트와 결막 및 공막을 고정하기 위한 집게, 수술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캘리퍼, 한 쌍의 바늘 홀더 및 봉합사를 포함하지만 반드시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안구의 길이 및 자연 곡률의 원하는 복원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뉴욕, 데퓨, 라이체트사(Reichert, Inc.)의 안구 응답 분석기(OCULAR RESPONSE ANALYZER)®(ORA)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수술 중 정확한 AP 길이 측정 또는 수술 중 굴절력을 제공한다.
복원은 환자의 시력을 복원하는 데 필요에 따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으로 늘어나거나 짧아지거나 재성형하는 것일 수 있다. 축 방향 길이는 선형 길이 측정이고, 각막의 전방 표면 또는 기타 적절한 해부학적 랜드마크로부터 오목한 내부 망막 표면의 복원 지점까지 (예를 들어, 초음파 또는 광학 측정 기구를 사용하여) 직선 라인으로 측정되거나 또는 벡터 또는 측정 축을 따라 측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교정되지 않은 실제 수술 전 길이 및/또는 곡률; 자연적인 적절한 기능 또는 원하는 길이 및/또는 곡률; 및/또는 교정된 실제, 개선된 기능 또는 수술 후 상태를 측정할 수 있음).
일부 실시예에서 전체 선형 임플란트 길이는 임플란트의 후방 범위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범위까지 벡터를 따라 측정되거나 또는 직선 라인으로 측정될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 이로 전체 임플란트 길이는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 또는 범위로부터 앵커의 전방 단부 또는 범위까지 측정될 수 있다. 선형 폭, 두께 또는 길이는 최대값, 최소값 또는 국부 측정값(예를 들어, 임플란트를 따라 임의의 지점에서 측정될 수 있는 최대 또는 최소 길이, 폭 또는 높이, 또는 임플란트의 지정된 영역, 부분, 특징부 또는 영역 내에서 측정될 수 있는 최대 또는 최소 길이, 폭 또는 높이; 예를 들어 전체 임플란트 길이, 앵커 아암의 폭, 몸체 두께 또는 플레이트 직경)일 수 있고, 임플란트의 구획, 영역, 특징부 또는 영역에 걸쳐, 이 주위에, 이를 통해 또는 이에 대해 일정한 또는 가변적인,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부분별 선형, 곡선, 직선, 실제값 또는 근사값 중 임의의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선형 측정에는 공간의 두 지점 사이의 최소 거리에 대한 직선 라인 측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측정은 선형 측정을 말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아치형 임플란트 길이는 임플란트의 후방 범위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범위까지 곡선, 경로 또는 원호를 따라 측정될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 이로 전체 아치형 임플란트 길이는 플레이트의 후방 단부 또는 범위로부터 표면(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공막 정합 표면)을 따라 앵커의 전방 단부 또는 범위까지 측정될 수 있다. 아치형 폭, 두께 또는 길이는 최대값, 최소값 또는 국부 측정값(예를 들어, 임플란트를 따라 임의의 지점에서 측정될 수 있는 최대 또는 최소 아치형 길이, 폭 또는 높이, 또는 임플란트의 지정된 영역, 부분, 특징부 또는 영역 내에서 측정될 수 있는 최대 또는 최소 아치형 길이, 폭 또는 높이; 예를 들어, 임플란트, 앵커, 몸체 또는 플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표면, 곡선, 중간 평면 또는 라인의 경로를 따라 측정된 전체 아치형 임플란트 길이, 앵커 아암의 아치형 폭, 아치형 몸체 두께 또는 아치형 플레이트 직경)일 수 있고, 임플란트의 구획, 영역, 특징부 또는 영역에 걸쳐, 이 주위에, 이를 통해 또는 이에 대해 일정한 또는 가변적인,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부분별 선형, 곡선, 직선, 실제값 또는 근사값 중 임의의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아치형 측정은 지정된 경로를 따르고 곡선체의 경우 두 점 사이의 절대 최단 거리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아치형 측정은 선형 측정과 다르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폭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에 수직인 공막 접합 표면에서 플레이트에 걸쳐 측정될 수 있다. 몸체 폭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에 수직인 공막 접합 표면에서 몸체에 걸쳐 측정될 수 있다. 앵커 폭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에 수직인 공막 접합 표면에서 앵커에 걸쳐 측정될 수 있다. 임플란트, 몸체, 플레이트 또는 앵커 두께는 각각 전체 임플란트 길이에 수직이고/이거나 폭에 수직인 공막 장착 표면으로부터 각각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합병증 없이 안구에 영구적으로 남을 수 있는 임플란트의 부피, 중량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면서 강성과 견고성을 위한 충분한 두께를 제공하기 위해, 0.6mm 내지 0.7mm의 두께, 대안적으로 0.65mm 내지 0.75mm의 두께, 대안적으로 0.5mm 내지 0.8mm의 두께, 대안적으로 0.4mm 내지 0.9mm의 두께, 대안적으로 0.3mm 내지 1.0mm의 두께,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으로 강성이고, 튼튼하고, 오래 지속되고, 불활성이고, 일체형이며, 깨지지 않고, 탄성이 있고, 강인하거나, 내파열성이 있는 수술용 이식 등급 재료(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를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티타늄, 기타 금속, 생체 적합성 중합체 또는 세라믹 재료를 갖는) 임플란트 두께는 0.1mm, 0.2mm, 0.3mm, 0.4mm, 0.45mm, 0.55mm, 0.65mm, 0.75mm, 0.8mm, 0.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1.7mm 또는 2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대안적인 재료가 본 발명의 내용에 따라 각각의 개별 재료의 재료 특성에 따라 적절한 경우 상이한 두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구 주위를 감싸거나 조정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보다 복잡한 설계에 비해,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방법은 덜 복잡한 설계 및 수술 기법의 이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구의 주변 조직, 신경 및 혈관에 대한 손상 위험을 줄이면서 합병증의 발생율을 줄이고, 외과의의 자신감을 증가시키며, 환자 결과를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모든 구획에서 오목하고 안구에 더 자연스럽게 맞는 임플란트의 내부 표면을 제공한다. 안구는 둥글고, 본 발명은 안구 내부의 망막 표면(상이 형성되는 곳)이 오목하게 유지되도록 오목한 표면을 가진 안구볼에 가깝게 맞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뇌는 오목한 망막 표면으로부터 오는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배웠기 때문에,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편평하거나 볼록한 플레이트가 뒤쪽의 안구볼을 향하여 접촉해서 안구 내부의 망막의 오목면을 뒤집거나 편평하게 한 결과 환자에게 부자연스럽고 혼란스러운 패턴으로 망막에 상이 떨어지는 임플란트에 비해 이점을 제공한다. 플레이트의 오목면은 안구볼이 짧아지고 후퇴가 교정된 후에도 여전히 자연 망막 오목면에 상이 떨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더 넓은 임플란트 몸체는 원하는 경우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도와주고, 더 나은 임플란트 안정성을 제공하고, 향상된 외과의 취급 및 자신감을 제공하고, 초기 배치 후 이탈 위험을 줄인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임플란트가 일단 배치되면 오른쪽, 왼쪽 또는 앞뒤로 이동하지 않도록 (예를 들어, 구멍을 통과한 봉합사를 통해) 3점 고정을 사용하여 광범위한 포크형 전방(전면) 구획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술 기법은 더 크고 더 복잡하거나 덜 안정적인 임플란트를 포함하는 다른 기법보다 훨씬 더 간단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안구 주위를 감싸거나 안구볼 뒤의 민감한 구조(예를 들어, 시신경)를 통과할 필요 없이 고정하는 것; 임플란트 몸체 또는 추가 부착 지점에 3점 고정 및 선택적 추가 고정을 통해 견고한 것; 원하는 경우 제거가 용이한 것; 원하는 AP 길이로 수술 중 조정이 용이하고, 임플란트의 불규칙성이 적은 간단한 구조로 초기 이식 후 침식 및 노출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주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몸체의 길이는 임플란트가 안구볼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정도를 결정한다. 몸체의 길이와 몸체의 곡률 반경은 플레이트가 떨어지는 위치와, 앵커 구조(예를 들어, 포크)가 안구 앞에서 안착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 길이 및/또는 전체 임플란트 선형 길이 및/또는 전체 임플란트 아치형 길이에 대해 2개 또는 3개만큼 적은 상이한 표준 크기(대안적으로, 4개의 크기, 또는 5개의 크기 또는 6개의 크기)를 갖는 키트만으로도 외과의가 안구의 최종 교정된 AP 길이를 결정하기 위해 전방 앵커링과 함께 수술 중 조정을 유리하게 활용하여 대부분의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충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플레이트의 크기는 임플란트가 정상화할 안구 뒤쪽 영역의 크기를 결정한다. 임플란트는 이식 전, 이식 동안 및/또는 이식 후에 시신경 또는 다른 구조부에 닿거나 충격을 주지 않을 만큼 충분히 작지만 안구의 유효 영역을 정상화할 만큼 충분히 큰 것이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원통형이며, 5mm, 대안적으로 4.5mm 내지 5.5mm, 대안적으로 4mm 내지 6mm, 대안적으로 3.5mm 내지 6.5mm, 대안적으로 3mm 내지 7mm, 대안적으로 2.5mm 내지 7.5mm, 대안적으로 2mm 내지 8mm, 대안적으로 1.5mm 내지 8.5mm, 대안적으로 1mm 내지 9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직경을 갖는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는 약 2mm 또는 3mm 또는 4mm 또는 5mm 또는 6mm 또는 7mm 또는 8mm 또는 9mm 또는 10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직경(또는 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라 길이 또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는 거의 원형, 장방형, 타원형, 계란형, 원추형, 불규칙한 형상 또는 위의 형상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플레이트는 1차 형상과, 이 1차 형상에 더해지거나 이 1차 형상으로부터 빼지는 2차 형상(예를 들어, 2차 타원체 절결부가 있는 1차 원형 형상 또는 원추형 추가가 있는 1차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1차 원형 또는 원통형의 직경과 관련하여 위에서 논의한 크기는 1차 형상뿐만 아니라 2차 형상에도 적용될 수 있고, 교정할 안구 영역에 대해 플레이트의 크기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유효 또는 국부 직경, 코드 길이, 폭 또는 길이와 같은 다른 측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는 전방(예를 들어, 전면 또는 앵커) 구획에서 14.5mm의 공막 접합 표면을 따라 곡률 반경(또는 곡률의 반경)을 가질 수 있고, 후방(예를 들어, 후면 또는 플레이트) 구획에서 12.5mm의 공막 접합 표면을 따라 곡률 반경(또는 곡률의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의 전방, 후방, 내측, 외측, 중심, 플레이트, 몸체, 앵커 또는 전이 구획에서의 곡률 반경은 9mm, 9.5mm, 10mm, 10.5mm, 11mm, 11.5mm, 12mm, 12.5mm, 13mm, 13.5mm, 14mm, 14.5mm, 15mm, 15.5mm, 16mm, 16.5mm, 17mm 또는 17.5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반경은 또한 임플란트의 2개의 다른 구획을 연결하거나 양 단부에 있는 편평하거나 직선 구획을 포함하여 이 직선 구획까지 17.5mm보다 클 수 있다. 임플란트의 임의의 두 구획을 따른 반경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임플란트의 임의의 구획을 따른 반경은 일정하거나 가변적(예를 들어, 구획을 따라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으로 변화함)일 수 있고, 임의의 두 구획 사이의 전이는 평활하거나, 날카롭거나, 접선이거나, 연속적이거나, 또는 불연속적일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곡률 반경 값은 둘 간을 전이시키는 제3 구획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곡률 반경과 관련하여, 구획은 그 안에 존재하는 반경(또는 반경들)에 의한 구획의 형성을 포함하여 임플란트의 길이, 폭 또는 두께를 따라 수많은 특징부로 형성될 수 있다. 곡률 반경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내의 3차원 공간에 존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후방, 내외측, 하상위, 전후, 좌우, 상하 또는 임의의 적절히 형성된 평면 또는 경로 교차점, 또는 임플란트 기하 형상으로 또는 이 임플란트 기하 형상으로부터 돌출하는) 임의의 적합한 평면 또는 경로를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임의의 주어진 지점 또는 구획에서 하나 초과의 방향으로 곡률이 존재할 수 있다(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곡률 반경 14.5mm는 외측 방향으로 곡률 반경 8mm와 일치할 수 있다). 곡률 반경은 임플란트의 방향과 단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더 작거나 더 큰 반경 값은 임플란트의 작고 좁고 짧은 구획 또는 크고 넓고 긴 구획에서 발생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구획에 걸쳐 전이하는 것에 더하여 곡률 반경은 임플란트의 구획, 특징부 또는 기능 부분의 에지 또는 경계에서 다른 값 또는 종료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은 황반 만입부 플레이트에 걸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플레이트 재료의 에지 주위에는 다른 값(예를 들어, 더 작거나 크거나 반대이거나 볼록함)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말려 있는 에지를 가진 오목한 플레이트 및/또는 매우 작은 볼록한 테두리(rim)는 주변 조직에 외상이나 주변 조직과의 간섭을 줄이고/줄이거나 망막의 교정된 곡률을 개선하여 외과의의 사용 용이성 및/또는 환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단부, 에지 또는 경계 조건(예를 들어, 말려 있는 에지, 볼록한 립(lip), 둥근 주변 또는 플레이트로부터 몸체 및/또는 앵커로의 평활한 및/또는 접선 방향 전이)은 임플란트에 의한 안구의 절단 및/또는 손상 및/또는 왜곡 가능성 또는 날카롭게 갈리는 것을 유리하게 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평활하고, 마감되고, 연마되고, 산화 처리된 티타늄을 포함하는 수술 등급의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완전히 제조될 수 있다. 티타늄 마감은 금속 색상을 잘 알려진 티타늄 블루(blue)로 바꾸는 산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는 코팅, 보호층 또는 통합된 설계 요소로 적용(예를 들어, 오버몰딩, 침지 또는 분무)되는 2차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다른 생체 비활성 또는 생체 활성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2차 재료는, 제조 시 또는 외과의에 의해 이식 시 장착될 수 있고, 영구적으로 부착, 제거 또는 일시적으로 제거(예를 들어, 열 스테이킹, 접착제 적용, 리벳팅 또는 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유사한 연결 방법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될 때까지 임플란트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는 커버)될 수 있는 키트(예를 들어, 실리콘 백, 메시 또는 슬리브)로 또는 단독으로 키트 또는 조립된 임플란트의 추가 구성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일부 경우에 이식 전에 표면이나 에지를 준비하기 위해 기계나 손으로 작업(예를 들어, 제조 동안 기계로 텀블링하고/하거나 손으로 연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지는 0.1mm, 0.2mm, 0.3mm, 0.4mm, 0.5mm, 0.6mm, 0.7mm, 0.8mm, 0.9mm 또는 1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최소 모따기 또는 반경으로 모따기되거나 둥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평활하거나 질감이 있는 표면, 표면 코팅, 표면 특징부, 최소 두께,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모따기된 에지, 또는 낮거나 중간이거나 높은 폭 대 두께 비율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위, 주위 또는 근처에서 섬유성 흉터 조직의 성장을 촉진한다. 일부 경우에 폭 대 두께 비율은 7:1, 대안적으로 20:1, 15:1, 12:1, 10:1, 8:1, 6:1, 4:1 또는 2:1의 두께 비율이거나,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이다.
수술 부위에서 단순화된 취급 및 배치에 더하여,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단순한 설계, 원하는 경우 임플란트의 용이한 제거, 및 단일형 설계의 평활한 프로파일(예를 들어, 파손되거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기계적 연결 부분이 없음)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과 기타 특징은 단순화된 수술 중 조정 및 안구의 교정된 AP 길이의 확인을 포함하여 단순화된 수술 기법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공막에 임플란트의 몸체를 초기에 고정하면 임플란트를 안구에 앵커링 및/또는 최종 고정하기 전에 임플란트를 축 방향으로 여전히 조정하여 안구의 원하는 길이 및 곡률을 결정할 수 있다).
전체 임플란트 길이는 특정 실시예에서 20mm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길이는 선형 축(예를 들어, 앵커의 전방 팁(tip)으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 팁까지 직접 선형 축 방향 길이)을 따라 또는 임플란트의 곡선 경로(예를 들어, 공막 접합 표면 또는 안와 표면의 곡선, 임플란트 에지 또는 특징부, 또는 앵커의 전방 팁으로부터 플레이트의 후방 팁까지 임플란트의 평면 또는 중간 평면을 따라 아치형 길이)를 따라 측정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임플란트 길이는 45mm, 44mm, 43mm, 42mm, 41mm, 40mm, 39mm, 38mm, 37mm, 36mm, 35mm, 34mm, 33mm, 32mm, 31mm, 30mm, 29mm, 28mm, 27mm, 26mm, 25mm, 24mm, 23mm, 22mm, 21mm, 20mm, 19mm, 18mm, 17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는 2개 이상(예를 들어, 2개, 3개, 4개, 5개 또는 6개 이상)의 수술 부착 지점을 지지하는 포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 지점과 앵커 지점은 일부 실시예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부착은 임플란트의 초기, 1차, 임시 및/또는 조정 가능한 고정(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최종 배치를 결정하기 전에 몸체를 공막에 느슨하게 봉합)하거나 또는 임플란트의 최종, 2차, 영구 및/또는 고정 부착(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최종 배치를 결정한 후 앵커 지점을 공막에 단단하게 및/또는 견고하게 봉합하고/하거나 앵커링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포크 길이(예를 들어, 포크 방향을 따라 아치형 또는 선형으로 측정됨) 또는 앵커 길이(임플란트 및/또는 앵커 구조의 길이를 따라 아치형 또는 선형으로 측정됨)는 4mm 내지 6mm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포크 길이 또는 앵커 길이는 1mm 미만, 1mm, 2mm, 3mm,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20mm, 25mm, 30mm, 40mm 또는 45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단일 포크의) 포크 폭 또는 (단일형 및/또는 분기형 및/또는 분할형 앵커 구조 부재의) 앵커 구조 폭은 1mm 내지 2mm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0.25mm, 0.5mm, 1mm, 1.5mm, 2mm, 2.5mm, 3mm,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몸체 길이는 15mm 내지 20mm, 대안적으로 45mm, 40mm, 35mm, 30mm, 29mm, 28mm, 27mm, 26mm, 25mm, 24mm, 23mm, 22mm, 21mm, 20mm, 19mm, 18mm, 17mm, 16mm, 15mm, 14mm, 13mm, 12mm, 11mm, 10mm, 9mm, 8mm, 7mm, 6mm, 5mm, 4mm, 3mm, 2mm, 1mm 또는 1mm 미만,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몸체 폭은 4mm 내지 5mm, 대안적으로 1mm, 2mm, 3mm,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또는 20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플레이트 직경(또는 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라 길이 또는 폭)은 4mm 내지 6mm, 대안적으로 1mm, 2mm, 3mm,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또는 20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일 수 있다.
앵커 지점은 0.5mm 내지 1mm, 대안적으로 0.1mm, 0.2mm, 0.3mm, 0.4mm, 0.5mm, 0.6mm, 0.7mm, 0.8mm, 0.9mm, 1mm, 1.1mm,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2mm, 2.5mm, 3mm, 4mm, 4.5mm 또는 5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의 구멍 또는 개구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앵커 지점(예를 들어, 2개 이상의 구멍, 각각의 구멍은 2개 이상의 아암 각각의 팁에 있음)은 서로 약 8mm 내지 약 10mm 떨어진 앵커 거리, 대안적으로, 1mm, 2mm, 3mm, 4mm, 5mm, 6mm, 7mm, 8mm, 9mm, 10mm, 11mm, 12mm, 13mm, 14mm, 15mm, 16mm, 17mm, 18mm, 19mm 또는 20mm 또는 전술한 것 중 임의의 것의 증분만큼 떨어진 앵커 거리만큼 분리될 수 있다. 앵커 거리 또는 앵커 폭은 임의의 2개 이상의 앵커 또는 패스너 지점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임플란트 치수는 또한 구체적으로 나열된 개별 값과 이들 값 사이의 범위에서 취해질 수 있다(예를 들어, 포크 길이는 약 3.5mm보다 크고 약 7.25mm보다 작을 수 있음).
특정 실시예는 임플란트의 상이한 파라미터마다 이용 가능한 범위에서 취해진 값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임플란트의 곡률을 따라 또는 선형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5.5mm의 플레이트는 2mm의 몸체와 30mm의 앵커와 결합하여 37.5mm 길이의 임플란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앵커 및/또는 앵커 아암이 플레이트 자체로부터 전개되거나 또는 플레이트 자체에 접근함에 따라 (여전히 존재하는 동안) 몸체 길이가 0 또는 1mm 미만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몸체는 앵커 및/또는 앵커 아암의 대응하는 구획으로 이어지는 구획으로 분기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길이 5mm의 플레이트는 30mm의 몸체와 2mm의 앵커와 결합하여 37mm 길이의 임플란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여전히 존재하는 동안) 앵커 길이는 앵커 및/또는 앵커 아암이 몸체 자체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개되거나 또는 전방 단부 자체에 근접함에 따라 0mm 또는 1mm 미만에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앵커는 모놀리식 또는 단일 형상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앵커는 몸체의 대응하는 구획 및/또는 단일 몸체 구획으로 이어지는 구획으로 분기되거나 분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정 실시예에서 앵커는 플레이트로부터 직접 연장된다(즉, 몸체가 없을 수 있음). 특정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에는 앵커가 없고; 앵커는 몸체와 폭이 같거나 더 작고; 그리고/또는 임플란트가 몸체로부터, 몸체를 통해 또는 몸체 주위에 직접 앵커링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볍고 콤팩트하며 단순한 임플란트 설계는 안구의 임의의 부분에서 파열될 가능성을 초래하는 환자의 안구벽의 얇은 조직과 같은 위험을 줄이면서 안정된 고정을 생성하기 위해 평활하고 복잡하지 않고 부드러운 수술을 제공하기 위해 유리하게 적용된다. 점진적 배치 및 앵커링과 함께 임플란트 플레이트 및 몸체의 안정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설계는 몸체로부터 앵커 지점으로 진행하고 점진적 배치 및 앵커링 과정 동안 계획되고 제어된 수술 중 조정을 허용한다. 임플란트 배치 위치를 정확히 측정(예를 들어, 수술 전 측정 및 수술 중 측정)하면 추가로 위험을 줄이고 환자 결과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근시에서는 안구의 앞뒤 길이(전후(AP) 길이)가 늘어난다. 안구의 AP 길이는 보통 22mm 내지 24mm(평균 23mm)이다. 각 mm 단위의 추가 신장은 안구에 3 디옵터의 굴절 이상을 제공한다. AP 길이가 26mm인 경우(정상 길이보다 약 2mm 더 긴 경우) 환자는 (2x3D) -6.00 근시이다. AP 길이가 정상보다 길면, 안구볼의 내용물이 내부에 생성된 더 큰 공간에 맞게 늘어난다. 결국 안구에 맞게 늘어나게 되는 안구 내부 구조 중 하나는 망막이다. 망막에는 그림을 만들어 뇌로 보내는 신경층이 내부에 있다. 망막은 벽을 덮고 있는 벽지처럼 안구 뒤쪽의 안쪽을 덮고 있다. 안구의 벽이 안구 뒤쪽에서 튀어나온 경우 안쪽의 벽지가 늘어나 중간에서 찢어질 수 있다. 실제 안구의 경우 이 찢어짐은 바로 중심에 둥근 구멍의 형태인 황반원공일 수 있다. 외과의는 고도 근시 안구에서 이 상태를 황반원공이라고 부른다. 황반원공은 정상 길이의 안구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황반원공을 치료하기 위한 하나의 수술은 떠다니는 기포가 구멍을 밀어 폐쇄할 수 있도록 환자에게 머리를 아래로 유지하도록 요청하여 안구 안에 기포를 배치하여 구멍을 밀어 폐쇄하여야 한다. 고도 근시의 경우 망막이 너무 늘어나 구멍이 쉽게 페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안구의 벽을 바깥쪽에서 밀어 넣으면 환자의 성공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라 안구의 벽을 앞으로 가져오기 위해 임플란트를 배치하면 황반원공을 치료하기 위한 안구 수술 후 황반 구멍이 폐쇄될 가능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이점은 제조 및 이식의 용이함을 포함하지만, 간단히 말해서, 안구는 더 간단한 설계를 더 잘 다룰 수 있다. 기계적 구성요소와 연결 및 전자 소자를 줄임으로써, 본 발명은 안구에 수십 년 동안 임플란트를 배치하고 유지하는 위험과 합병증을 줄인다. 더 쉽고 단순한 설계로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보다 단순한 일체형 설계로 수술 기법이 더 간단하고 덜 까다롭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방법은 공막(즉, 안구의 흰색 부분, 외부 피막)에 봉합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안과 분야의 망막 전문의 또는 일부 다른 하위 전문의에게 더 큰 접근성을 제공한다. 망막 외과의 및 사시(strabismus) 외과의는 본 발명의 외과 기법에 적응할 수 있는 방식으로 공막에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기법에 익숙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하나의 응용은 근시(근시안)를 교정하기 위해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단축시키는 것이다. 특정 실시예는 원시(원시안) 및/또는 난시(안구가 정상 둥근 볼이 아닌 풋볼 또는 계란형 형상임)를 교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는 일 단부에 플레이트가 있고 타 단부에 "Y"자형 포크가 있는 "J"자형 스텐트로 설명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텐트의 설계된 길이는 의도된 환자의 안구의 크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도 2의 다이어그램은 수술 후 안구에 부착된 하나의 대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근시의 경우에, 안구가 정상보다 긴 경우, 디바이스는 안구의 뒤쪽을 앞으로 당겨 안구를 더 짧게 만들 수 있고, 디바이스는 "Y"자형의 두 단부에서 그리고 Y자형 포크가 몸체와 만나는 위치에서 3개의 구멍을 통해 안구의 측면에 봉합될 수 있다. 안구에 디바이스를 추가로 봉합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추가 구멍을 만들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구멍은 임플란트의 앵커, 몸체 또는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구멍에 더하여, 특정 실시예는 유리하게는 돌출부, 노치부, 융기부, 슬롯, 범프, 아암, 함몰부, 홈, 또는 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기타 부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적절한 경우 패스너(예를 들어, 봉합사 또는 스테이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안구의 축 방향 길이를 변경하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100)로서,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에 위치된 플레이트(110),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앵커(130), 이 앵커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되는 몸체 길이를 갖는 세장형 몸체(120), 및 임플란트의 후방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어 플레이트, 몸체 및 앵커를 연결하는 오목한 공막 표면(140)을 갖는,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임플란트는 또한 공막 표면의 반대쪽에 볼록한 안와 표면(150), 및 몸체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안와 표면과 공막 표면을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 외측 면(160)을 가질 수 있고, 공막 표면은 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후방 곡률 반경(R1), 및 전방 단부에 근접한 영역에서 전방 곡률 반경(R2)을 갖고, 후방 반경은 전방 반경보다 작다. 플레이트는 공막 표면에서 플레이트 폭(P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장형 몸체는 공막 표면에서 대향 외측 면 사이의 몸체 폭(BW)을 형성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앵커는, 공막 표면으로부터 안와 표면으로 연장되고 이들 사이에 앵커 폭(AW)을 형성하는 2개의 봉합 포털(131A, 131B)을 가질 수 있고, 몸체 폭은 플레이트 폭의 적어도 약 2/3이고, 앵커 폭은 몸체 폭보다 크다.
특정 실시예에서, 수술 적용 부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의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전방에서 안구를 보면, 안구를 위, 아래, 오른쪽, 왼쪽으로 이동시키는 4개의 주요 직근(straight muscle)이 있다. 이 근육의 고정은 대략 12시 위치(상직근), 3시 위치(오른쪽 안구이면 외직근, 왼쪽 안구이면 내직근), 6시 위치(하직근), 및 9시 위치(오른쪽 안구이면 내직근, 왼쪽 안구이면 외직근)에 있다. 근육은 안구의 바깥쪽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이 근육은 일반적으로 윤부(즉, 각막이 공막과 만나는 곳, 안구를 볼 때 흰색 공막이 시작되는 원형 에지)에서 6mm 내지 7mm 뒤에서 시작한다. 이 4개의 근육 사이의 안구 부분은 사분면이라고 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임의의 사분면(하비강, 상비강, 하측두엽, 상측두엽)에 배치될 수 있지만, 하측두엽 사분면(외부 하부)과 상측두엽 사분면(외부 상위)은 임플란트를 배치하는 동안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시신경에 닿을 위험이 적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는 (예를 들어, 이전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해) 너무 많은 흉터가 측두엽 사분면에 있는 경우 상비강(내부 상위) 및 하비강(내부 하부) 사분면에 배치된 임플란트의 길에 부분적으로 있을 수 있는 시신경을 피하도록 구성되고 적응된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측두엽 사분면에 임플란트를 수술로 배치하면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중요한 구조부(예를 들어, 시신경 및/또는 정맥)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망막 외과의는 결막(즉, 안구볼의 피부) 아래의 이러한 사분면에 접근하는 데 매우 익숙하다. 망막 외과의는 일반적으로 공막으로 절반 두께의 봉합사를 통과시켜 공막의 해당 사분면에 망막 박리 복구를 위한 실리콘 임플란트를 배치한다. 이 사분면을 뭉툭하게 절개하면 신경과 혈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안구의 벽에 접근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뭉툭한 에지를 갖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안과의에게 익숙한 외과적 접근법 및 기법을 따르면서 중요한 구조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쉽게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주변 조직의 경계 내에서 안구의 섬세한 구조부에 간단하고 콤팩트하며 안정된 부착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는 환자의 안구의 윤부(예를 들어, 안구의 뒤쪽을 향해 윤부 위에서 연장됨)로부터 수직으로(및 후방으로) 위치될 것이다. 플레이트는 뒤로 삽입되어 (예를 들어, 절개부를 통해 먼저 플레이트를 통과시킨 다음 몸체를 통과시킨 후, 마지막으로 앵커를 통과시킴으로써 삽입되어) 안구의 뒤쪽을 지지하고 안구를 앞으로 당긴다. 특정 실시예에서 구멍이 있는 Y자형 포크는 윤부에서 약 3mm 내지 10mm 뒤에 고정되고, 임플란트를 원하는 깊이에 고정 및 앵커링한 후 환자 자신의 결막으로 덮이게 된다. 환자 자신의 공막이 너무 얇은 경우 공막 패치(예를 들어, TUTOPLAST®와 같은 처리된 기증자 공막)가 결막 아래 임플란트 위에 놓일 수 있다. 임플란트의 몸체는 초기에 비흡수성 스티치(예를 들어,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소재 J&J Ethicon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MERSILENE® 폴리에스테르 섬유 봉합사)로 안구볼에 놓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최종 임플란트 위치는 (예를 들어, 봉합사를 사용하여) 안구볼에 몸체를 초기에 배치하고 고정한 후에 외과의가 임플란트를 앞으로 당기고 다시 뒤로 밀어서 원하는 단축을 결정한 후 앵커 아암을 안구볼에 앵커링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안구의 원하는 단축 및 형상 변화는 수술 중 AP 길이를 측정하고, 배치 동안 (예를 들어, 뉴욕주, 데퓨 소재 라이체트사의 안구 응답 분석기®(ORA)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조정하거나, 노모그램을 참조하여(예를 들어, 이전에 수집된 데이터의 차트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용이하게 형성되는 수술 경로를 제공하여, 망막 전문의, 또는 공막 임플란트를 배치하거나 또는 망막 박리 복구를 위해 공막에 봉합사를 배치하는 데 익숙한 외과의(예를 들어, 망막 전문의), 및 사시 수술을 하는 외과의(예를 들어, 안구 근육을 절단하고 공막에 다시 스티치하는 경험이 있는 외과의)가 수술하는 것을 간단하게 만든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술은 원하는 사분면에서 공막에 접근하기 위해 결막을 절단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공막에 터널 스크래핑과 같은 뭉툭한 후방 절개는 임플란트를 위한 보금자리 또는 임플란트 위치를 만든다. 임플란트는 이 위치에 배치되고, 몸체는 먼저 (예를 들어, 봉합사를 사용하여) 안구볼에 고정된다. 여전히 임플란트를 당기거나 밀어서 초기 부착물 내에서 몸체를 미끄러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과의는 전후방 위치를 조정하고 (예를 들어, 구멍을 통해 추가 봉합사를 사용하여) 전방 앵커 구획을 고정할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결막은 임플란트 위에 생물학적 덮개(예를 들어, TUTOPLAST®)와 함께 또는 없이 임플란트 위에 봉합될 수 있다.
정의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의미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용어가 아래에 정의되고 상세한 설명에 걸쳐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된 단수형 요소와 "상기" 요소 및 유사한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달리 나타내거나 문맥에 의해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아암" 또는 "구멍"이라는 언급은 달리 나타내거나 문맥에 의해 명백히 모순되지 않는 한, 단일 아암 또는 단일 구멍 및 복수의 아암과 복수의 구멍을 모두 포함하거나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약" 및 "대략"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주어진 측정의 특성 또는 정밀도를 고려할 때 측정된 양에 허용 가능한 오차 정도를 의미한다. 예시적인 오류 정도는 주어진 값 또는 값 범위의 20%(%) 이내, 일반적으로 10% 이내, 보다 일반적으로 5% 이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이렇게 결합된 특징부, 즉 일부 경우에는 결합하여 존재하고 다른 경우에는 분리하여 존재하는 요소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를 포함하는", "~로 구성되는" 및 "본질적으로 ~로 구성되는"이라는 용어는 그 표준 의미에 따라 정의된다. 이 용어는 각 용어와 관련된 구체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서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또는"이라는 용어는 위에 정의된 "및/또는"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항목 목록을 구분할 때, "및/또는" 또는 "또는"은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즉, 다수의 항목 중 적어도 하나뿐만 아니라 둘 이상을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목록에 없는 추가 항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 중 단 하나" 또는 "~ 중 정확히 하나" 또는 "~로 구성되는"과 같이 명백히 달리 지시된 용어만이 다수의 요소 또는 요소 목록 중 정확히 하나의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또는"이라는 용어는 "어느 하나", "~ 중 하나", "~ 중 하나만" 또는 "~ 중 정확히 하나"와 같은 배타적 용어가 선행되는 경우에만 배타적 대안(즉, "둘 다가 아니고 둘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환자" 및 "피검자"라는 용어는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을 지칭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디바이스" 및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명시적으로 구별되지 않는 한, (예를 들어, 안과 수술용 임플란트 또는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거나 인용된 모든 특허, 특허 출원, 가출원 및 간행물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의 명시적인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범위까지 모든 도면 및 표를 포함하여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완전히 기재된 것처럼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다음은 본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하는 예이다.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며 모든 용매 혼합물 비율은 부피 기준이다.
예 1 - 예상 수술 사례 연구
이 예상 수술 사례 연구에서, 극히 근시(근시안)인 환자가 이전에 황반원공 수술에 실패한 경험이 있었다. 이 환자에서 찢어짐은 고도 근시 안구의 바로 중심에 둥근 구멍, 즉 황반원공의 형태였다. 황반원공에 대한 예상 수술은 안구 안에 기포를 넣고 떠다니는 기포가 구멍을 밀어 폐쇄할 수 있도록 환자에게 머리를 숙이게 하여 이 구멍을 밀어 폐쇄할 것을 요구한다. 고도 근시의 경우 망막이 너무 늘어나서 구멍이 쉽게 폐쇄되지 않을 수 있다. 환자는 이전에 이런 수술을 받았고 구멍이 폐쇄되지 않았었다. 안구의 벽이 바깥쪽에서 밀어 넣어졌다면 환자의 성공 가능성이 훨씬 높아졌을 것이다. 안구의 벽을 앞으로 가져오기 위해 임플란트를 배치하면 황반 구멍이 폐쇄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 환자에서 측정된 총 AP 길이는 약 30mm였다. 수술 전 측정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발명자에 의해 설계되고 제조되었다(일리노이주, 레드 버드(Red Bud) 소재 토탈 티타늄사(Total Titanium Inc.)). 직경 6mm의 원형 플레이트가 5mm 폭의 몸체와, 2개의 전방 고정점을 지지하는 2개의 아암이 있는 대칭 Y자 형태의 12mm 폭의 앵커에 결합되며, 제3 중심 고정점은 몸체에 근접한 Y자형 목부에 있다. 모든 고정점은 봉합사를 부착하기 위해 1mm 직경의 관통 구멍이었다. 임플란트는 균일한 0.7mm 두께의 6AL-4EV-ELI 티타늄 플랫 시트 재료로 제조되었다. 곡률 반경을 공막 접촉 표면으로 구부리기 전에 임플란트의 플랫 패턴 길이는 30.5mm였고, 앵커 구획의 플랫 패턴 길이는 5mm였다. 곡률 반경을 공막 접촉 표면으로 구부린 후 임플란트의 아치형 길이는 약 30.5mm였고, 앵커 구획의 아치형 길이는 5mm였다. 후방 곡률 반경은 12.5mm였고, 전방 곡률 반경은 14.5mm였고, 2개의 곡률은 플랫 패턴 블랭크의 전방 에지로부터 14mm 라인 및 플랫 패턴 블랭크의 후방 에지로부터 16.5mm 라인을 따라 접선 표면 조건에서 만났다. 플레이트에 있는 공막 접촉 표면의 후방 에지로부터 앵커에 있는 공막 접촉 표면의 전방 에지까지 직선 라인으로 측정된 결과적인 임플란트 AP 길이는 약 24mm였다.
예 2 - 실제 수술 사례 연구
이 실제 수술 사례 연구에서 목표는 티타늄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황반 임플란트 또는 포도상종 지지 임플란트라고도 함)를 장착하기 쉬운 새로운 설계와, 디바이스를 근시 황반원공에 삽입하는 수술 기법을 도입하는 것이었다.
60세의 퇴행성 근시 환자는 두 안구에 황반원공이 있었다. 오른쪽 안구의 황반원공은 최초 진단 후 5년 초과 시 재발하는 장기 구멍이었다. 환자는 더 잘 보이는 왼쪽 안구에 대한 수술을 거부했다. 오른쪽 안구의 시력은 20/400이었다.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가 없는 상황에서 이 환자를 위해 맞춤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설계 및 제조했다(도 7에 도시됨). 표준 파스 플라나 유리체 절제술, 내부 제한 막 박리 및 가스 탐포네이드에 더하여 황반에 만입을 제공하기 위해 티타늄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를 외부에 배치했다.
티타늄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는 1mm의 만입을 제공하여 축 방향 길이를 28.88mm에서 27.94mm로 단축했다. 수술 후 황반원공이 폐쇄되었다. 수술 후 최고 교정 시력은 1개월째 20/400이었으며 티타늄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또는 수술 기법에 의한 합병증은 없었다.
수술 전 광간섭 단층 촬영(OCT)과 수술 후 OCT를 기록하였다. 수술 후 OCT에서 황반 만입부 바로 아래에서 임플란트의 팁이 보였다.
이 수술 사례 연구는 본 발명에 따른 티타늄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가 근시 황반원공을 포함하는 퇴행성 근시 황반 병리의 수술적 복구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이 이 실시예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가능할 것이므로 이 다양한 수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및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발명 또는 이 발명의 실시예의 임의의 요소 또는 제한은 임의의 및/또는 모든 다른 요소 또는 제한(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발명 또는 이 발명의 실시예와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모든 조합은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본 발명의 범위로 고려된다.

Claims (50)

  1.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여 환자의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상기 안구의 후방 부분의 자연 곡률을 복원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상기 안구의 전방 부분의 자연 곡률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앵커;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에 연결하는 연속적이고 평활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는 자연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몸체 폭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폭을 갖고;
    상기 몸체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1/2보다 크고;
    상기 몸체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작은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앵커 폭을 갖고;
    상기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크고;
    상기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3배 미만인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두께를 갖고;
    상기 몸체는 몸체 두께를 갖고;
    상기 앵커는 앵커 두께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 두께는 상기 몸체 두께의 50%보다 크고;
    상기 플레이트 두께는 상기 몸체 두께의 200% 미만이고;
    상기 앵커 두께는 상기 몸체 두께의 50%보다 크고;
    상기 앵커 두께는 상기 몸체 두께의 200% 미만인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두께, 상기 몸체 두께 및 상기 앵커 두께는 각각 균일하고 동일한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상기 몸체의 내측에 있고 상기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있고 상기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앵커 지점까지 그려진 라인은 상기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앵커 지점까지 그려진 라인과 170도 미만 그리고 1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제2 앵커 지점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고, 상기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갖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3 앵커 지점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고, 상기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갖는 제2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1 아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2 아암 길이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몸체에 대해 Y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몸체에 대해 대칭인 Y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곡률 반경(RP)을 갖고;
    상기 앵커는 제2 곡률 반경(RA)을 갖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작은(RP<RA)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제1 곡률 반경(RB1)을 갖고;
    상기 몸체는 상기 앵커에 근접하여 제2 곡률 반경(RB2)을 갖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작은(RB1<RB2)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사이의 연결은 상기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앵커 사이의 연결은 상기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한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곡률 반경(RB1)과 상기 제2 곡률 반경(RB2) 사이의 표면 접선을 유지하는 단계적 곡률 전이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RB1 및 RB2와 다른 제3 곡률 반경(RB3)을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8. 제14항에 있어서,
    RB3은 RB2의 2배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중립(neutral) 곡률 영역을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20.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여 환자의 시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상기 안구의 후방 부분의 자연 곡률을 복원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상기 안구의 전방 부분의 자연 곡률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앵커; 및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앵커에 연결하는 연속적이고 평활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안구는 자연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를 갖고;
    상기 몸체는 몸체 폭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폭을 갖고;
    상기 몸체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1/2보다 크고;
    상기 몸체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작고;
    상기 앵커는 앵커 폭을 갖고;
    상기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크고;
    상기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3배 미만이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두께를 갖고;
    상기 몸체는 몸체 두께를 갖고;
    상기 앵커는 앵커 두께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 두께, 상기 몸체 두께 및 상기 앵커 두께는 각각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몸체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상기 몸체의 내측에 있고 상기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상기 몸체의 외측에 있고 상기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으로서, 상기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앵커 지점까지 그려진 라인은 상기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앵커 지점까지 그려진 라인과 170도 미만 그리고 1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하는, 상기 제3 앵커 지점;
    상기 제2 앵커 지점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고, 상기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갖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3 앵커 지점을 상기 몸체에 연결하고, 상기 몸체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갖는 제2 아암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1 아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몸체 길이보다 작은 제2 아암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몸체에 대해 대칭인 Y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곡률 반경(RP)을 갖고;
    상기 앵커는 제2 곡률 반경(RA)을 갖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작고(RP<RA);
    상기 몸체는 상기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제1 곡률 반경(RB1)을 갖고;
    상기 몸체는 상기 앵커에 근접하여 제2 곡률 반경(RB2)을 갖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작고(RB1<RB2);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몸체 사이의 연결은 상기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앵커 사이의 연결은 상기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제1 곡률 반경(RB1)과 상기 제2 곡률 반경(RB2) 사이의 표면 접선을 유지하는 단계적 곡률 전이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23. 결막과 공막을 갖는 안구의 자연 곡률과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여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으로서,
    1) 제1항 내지 제22항 또는 제3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술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안구의 사분면을 선택하는 단계;
    3) 선택된 사분면에서 상기 공막을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결막을 절개하는 단계;
    4)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먼저 플레이트를 삽입하고,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이 상기 선택된 사분면에서 상기 결막 아래의 공막 표면과 밀접 접촉하도록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
    5) 상기 앵커가 상기 윤부 뒤에 올 때까지 상기 임플란트를 전진시키는 단계;
    6) 상기 임플란트의 몸체를 상기 공막에 고정하는 단계;
    7) 상기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임플란트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8) 상기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2개의 앵커 지점의 원하는 위치의 상기 공막에 상기 앵커를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사분면은 하측두엽 사분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를 배치하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임플란트 아래의 공막에 자가이식편, 동종이식편, 이종이식편 또는 합성 공막 이식편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교정된 AP 길이를 측정하고, 수술 중에 상기 임플란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원하는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노모그램(nomogram) 또는 수술 전 측정을 참조하고, 수술 중에 상기 임플란트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위의 결막을 폐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아래 또는 위에 자가이식편, 동종이식편, 이종이식편 또는 합성 공막 이식편을 부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결막을 절개하는 단계는 상기 결막과 상기 공막 사이에 상기 임플란트를 위한 보금자리 포켓(nested pocket)을 개방하는 뭉툭한 후방 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31. 안구의 자연 곡률 및 자연 축 방향 길이를 복원하여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는 수술용 임플란트로서,
    상기 안구의 후방 부분의 자연 곡률을 복원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플레이트; 및
    상기 안구의 전방 부분의 자연 곡률에 근접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을 갖는 앵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안구는 자연 축 방향 길이를 갖고,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안구의 자연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전체 임플란트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최소 앵커 폭을 갖고;
    상기 앵커는 최대 앵커 폭을 갖고;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폭을 갖고;
    상기 최소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절반보다 크고;
    상기 최대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3배 미만인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평균 앵커 폭을 갖고;
    상기 평균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크고;
    상기 평균 앵커 폭은 상기 플레이트 폭의 3배 미만인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두께를 갖고;
    상기 앵커는 앵커 두께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 두께는 상기 앵커 두께의 50%보다 크고;
    상기 플레이트 두께는 상기 앵커 두께의 200% 미만인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두께와 상기 앵커 두께는 각각 균일하고 동일한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임플란트의 중심에 있는 제1 앵커 지점;
    상기 임플란트의 내측에 있고 상기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2 앵커 지점; 및
    상기 임플란트의 외측에 있고 상기 제1 앵커 지점의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제3 앵커 지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앵커 지점까지 그려진 라인은 상기 제1 앵커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3 앵커 지점까지 그려진 라인과 170도 미만 그리고 10도 초과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제2 앵커 지점을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하고,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갖는 제1 아암; 및
    상기 제3 앵커 지점을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하고, 상기 플레이트 폭보다 작은 아암 폭을 갖는 제2 아암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은 상기 임플란트 길이의 3/4 미만인 제1 아암 길이를 갖고;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임플란트 길이의 3/4 미만인 제2 아암 길이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Y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암과 상기 제2 아암은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대칭인 Y자 형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1 곡률 반경(RP)을 갖고;
    상기 앵커는 제2 곡률 반경(RA)을 갖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작은(RP<RA)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제1 곡률 반경(RB1)을 갖고;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앵커에 근접하여 제2 곡률 반경(RB2)을 갖고;
    상기 제1 곡률 반경은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작은(RB1<RB2)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앵커 사이의 연결은 상기 오목한 공막 정합 표면에서 연속적이고 평활한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제1 곡률 반경(RB1)과 상기 제2 곡률 반경(RB2) 사이의 표면 접선을 유지하는 단계적 곡률 전이를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7.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RB1 및 RB2와 다른 제3 곡률 반경(RB3)을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8. 제44항에 있어서,
    RB3은 RB2의 2배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49.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중립 곡률 영역을 갖는 것으로 추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용 임플란트.
  5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가 상기 윤부 뒤에 올 때까지 상기 임플란트를 전진시키는 단계는 상기 임플란트를 상기 윤부에서 3mm 내지 10mm 뒤로 전진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시력을 개선, 지원 또는 보존하는 것을 도와주는 방법.
KR1020237031834A 2021-02-19 2022-02-18 안구의 축 방향 길이 및 곡률을 수정하기 위한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및 방법 KR202301548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00189P 2021-02-19 2021-02-19
US63/200,189 2021-02-19
PCT/US2022/070733 WO2022178539A1 (en) 2021-02-19 2022-02-18 Staphyloma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axial length and curvature of an ey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879A true KR20230154879A (ko) 2023-11-09

Family

ID=8293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834A KR20230154879A (ko) 2021-02-19 2022-02-18 안구의 축 방향 길이 및 곡률을 수정하기 위한 포도상종 지지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51989B2 (ko)
EP (1) EP4294338A1 (ko)
JP (1) JP2024508792A (ko)
KR (1) KR20230154879A (ko)
CN (1) CN117083037A (ko)
WO (1) WO20221785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4089A1 (fr) * 1976-06-11 1978-01-06 Fournot Claire Instrument de chirurgie ophtalmologique permettant de creer sur le globe oculaire une indentation parfaitement reglable
SU1537274A1 (ru) * 1987-06-24 1990-01-23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М-5893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имул ции нерва
US6544193B2 (en) * 1996-09-04 2003-04-08 Marcio Marc Abreu Noninvasive measurement of chemical substances
US7008396B1 (en) 1999-09-03 2006-03-07 Restorvision, Inc. Ophthalm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US6511508B1 (en) 2000-08-04 2003-01-28 Environmental Robots, Inc. Surgical correction of human eye refractive errors by active composite artificial muscle implants
US7037336B2 (en) 2003-06-16 2006-05-02 Brian Ward Macular and scleral support surgical device for ocular restraint in progressive high myopia
EP2708209A1 (en) * 2012-09-13 2014-03-19 AJL Ophthalmic, S.A. Scleral epimacular implant
ITUB20153201A1 (it) * 2015-08-24 2017-02-24 Barbara Parolini Kit per la chirurgia episclerale.
CN108113997B (zh) * 2016-11-28 2020-07-07 深圳深见医药科技有限公司 金团簇或含金团簇的物质在制备预防和/或治疗青光眼药物中的应用
GB201714392D0 (en) * 2017-09-07 2017-10-25 Marsteller Laurence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glaucoma
US20210290434A1 (en) * 2020-03-23 2021-09-23 Opticgon Llc Macular indentor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63888A1 (en) 2023-11-16
US20230139497A1 (en) 2023-05-04
CN117083037A (zh) 2023-11-17
US11751989B2 (en) 2023-09-12
EP4294338A1 (en) 2023-12-27
WO2022178539A1 (en) 2022-08-25
JP2024508792A (ja) 2024-02-28
WO2022178539A8 (en)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3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orneal curvature
US6206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correct refractive errors using adjustable corneal arcuate segments
Smiddy Dislocated posterior chamber intraocular lens: a new technique of management
US10064717B2 (en) Retinal repair device and method
JPH01195853A (ja) 移植用のレンズと角膜内レンズおよび角膜内レンズの製造方法
EP2823789A1 (en) Small aperture (pinhole) intraocular implant to increase depth of focus
US8317860B2 (en) Stable anterior chamber phakic lenses
JP2004508094A (ja) 網膜クリ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る施術
US20110313344A1 (en) Method for treating refractive errors and vision disorders of an eye
EP2708209A1 (en) Scleral epimacular implant
JP6754773B2 (ja) 眼科インターポジションインプラント
US11751989B2 (en) Staphyloma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modifying the axial, length and curvature of an eye
EP0069089B1 (en) Intraocular lens
EP1433442A1 (en) Cosmetic eye implant
US71756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vision utilizing a cornea-supported artificial intraocular lens
JP2008544819A (ja) 適合可能な支持部構造を有する折り畳み可能な眼内レンズ
JPS5836547A (ja) 眼内插入用具
RU2674889C1 (ru) Способ проведения кератопластики с одномоментной имплантацией интрастромального кольца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послеоперационного астигматизма
RU2525639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й культи для ношения глазного косметического протеза после энуклеации у детей дошкольного и младшего школьного возраста
RU2784955C1 (ru) Способ имплантации орбитального сферического имплан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472473C1 (ru) Бесшовный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эластичной интраокулярной линзы с &#34;о-образным&#34; гаптическим элементом
Çelik Utility of Cross Suture Technique for Stabilize the Intraocular Lens Against Vitreous Pressure During Penetrating Re-Keratoplasty: Case Report
Maletskyi et al. A novel technique of evisceration or enucleation secondary to trauma, chronic uveitis or uveal melanoma, with permanent and removable fixation of the ocular prosthesis in a musculoskeletal stump
JP2021525140A (ja) 角膜インプラント
Kalaydzhiev et al. Our experience in correction of low astigmatism with toric intraocular lenses in cataract surge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