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605A -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 Google Patents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605A
KR20230154605A KR1020220054230A KR20220054230A KR20230154605A KR 20230154605 A KR20230154605 A KR 20230154605A KR 1020220054230 A KR1020220054230 A KR 1020220054230A KR 20220054230 A KR20220054230 A KR 20220054230A KR 20230154605 A KR20230154605 A KR 20230154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load
support bar
ba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서기
Original Assignee
(주)인천종합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천종합중기 filed Critical (주)인천종합중기
Priority to KR102022005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4605A/en
Publication of KR2023015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60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2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ongitudinally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물 상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판과 같은 판재형 적재물을 화물차에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데 사용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는, 좌우 양측 상단부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적재물의 상하역 장치로서, 중장비 차량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판형부재로 구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전면에 구비되고 전방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중간부 및 전단부에 각각 붐대와 직교하도록 측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적재물의 좌우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적재물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ed to load or unload a plate-shaped load such as a glass plate into a truck.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arriage installed on a heavy equipment vehicle and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carriage and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standing up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 boom ba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and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 first support bar and a second support bar are disposed horizontally and laterally at right angles to the boom at the middle and front ends of the boom, respectively, and hang on protrusions formed on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 to support the load.

Description

적재물 상하역 장치{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본 발명은 적재물 상하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판과 같은 판재형 적재물을 화물차에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데 사용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used to load or unload a plate-shaped load such as a glass plate into a truck.

일반적으로 유리와 같이 깨지기 쉬운 판재형 적재물(1)의 경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나란하게 포개어진 상태로 쿠션이 있는 포장재(4)에 의해 포장된 상태에서 테두리가 목재 등으로 구성된 보호프레임(2)으로 커버되어 충격에 의해 제품이 깨지지 않도록 보호된다. 이러한 다수의 유리 판재가 한 세트로 포장되며, 여러 세트가 서로 인접하게 직립된 상태로 화물차나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운반된다. 이러한 유리판 적재물(1)은 다수의 유리판이 한 세트로 구성되어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들어 옮기기 어려워 주로 중장비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중장비에 장착하여 적재물(1)을 파지하여 상하역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의 판재형 적재물 상하역 장치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붐대의 좌우 양단에 지지바(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미도시)를 보호프레임(2)의 좌우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에 걸어 적재물(1)을 파지하고 중장비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별도의 리프팅 구조물을 활용하여 상하역 작업을 수행하였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fragile plate-type load (1) such as glass, as shown in FIG. 1, multiple pieces are stacked side by side and packed with cushioned packaging material (4), and the edges are made of wood, etc. Covered with a protective frame (2), the product is protected from being broken by impact. These multiple glass plates are packaged as one set, and the sets are loaded and transported in a truck or container in an upright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Since this glass plate load (1) consists of a set of multiple glass plates and is very heavy,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lift and move it, so heavy equipment is mainly used. At this time, a device is installed on the heavy equipment to hold the load (1) and load and unload it. is needed. In the conventional plate-typ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support bars (not shown)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horizontally extending boom, and the support bars (not shown) are connected to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tection frame 2 ( 3), the load (1) was grasped and lifted using heavy equipment, or loading and unloading was performed using a separate lifting structure.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적재물 상하역 장치는 중장비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사용시마다 중장비와 결합하고 사용후 분해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으며, 장치의 수평 위치 조절 또는 적재물의 규격에 따른 지지바의 간격 조절 등이 어려워 다양한 규격의 적재물 상하역에 최적화되지 못한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적재물(1)의 측면 보호프레임(2)에 형성된 돌출부(3)에 걸리는 지지바가 한쪽으로만 배향되어 있어 적재물의 위치에 따라 상하역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these conventional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s were constructed independently of heavy equipment, so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be combined with heavy equipment each time they were used and having to be disassembled after use. In addition, there were inconveniences such as adjusting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device or installing the support ba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load.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it was not optimized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s of various sizes due to difficulty in adjusting the spacing. In addition, the support bar hooked to the protrusion 3 formed on the side protection frame 2 of the load 1 was oriented only on one side, caus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move th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oa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2774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3277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6505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136505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판재형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중장비에 직결 설치되어 항시 일체로 운행 및 사용할 수 있으며, 적재물에 따라 상하 위치 뿐만 아니라 좌우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적재물의 규격에 따라 지지바의 위치와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적재물의 적재 위치에 따라 장비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late-typ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t is installed directly on heavy equipment and can be operated and used as one unit at all times, and can be adjusted not only up and down but also left and right depending on the loa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that is possible,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support bars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load,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because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quipment depending on the loading position. do.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는, 좌우 양측 상단부에 돌출부가 각각 형성된 적재물의 상하역 장치로서, 중장비 차량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지와; 상기 캐리지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판형부재로 구성된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전면에 구비되고 전방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붐대와; 상기 붐대의 중간부 및 전단부에 각각 붐대와 직교하도록 측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적재물의 좌우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걸려 적재물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를 포함한다.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object is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in which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arriage installed on a heavy equipment vehicle and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a support plate coupled to the carriage and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standing up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 boom bar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and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 first support bar and a second support bar are disposed horizontally and laterally at right angles to the boom at the middle and front ends of the boom, respectively, and hang on protrusions formed on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 to support the load.

여기서, 상기 캐리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riage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that horizontally moves the support plate.

그리고, 캐리지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레일의 상단 및 하부레일의 하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n upper rail and a lower rail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arriage,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late are each bent in a 'ㄷ' shape so that they can slide at the upper end of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rail,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ngaged.

한편, 상기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는 붐대를 기준으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based on the boom bar.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바 및 제2지지바는 상기 붐대 외측에 결합된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은 상기 붐대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붐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For this purpose,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re mount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on a first bracket and a second bracket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om pole, and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are attached to the boom pole. I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and is configured to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boom.

여기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은, 상기 붐대의 좌우 양측면에 맞대어지는 측판과; 상기 붐대의 하부면에 맞대어지는 하판과; 상기 좌우 양 측판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붐대의 상부면과 맞대어지는 가로대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양 측판은 붐대의 상부면 높이 이상 더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가 개구 형성되며; 상기 좌우 양 측판의 상단부 사이에는 각 삽입구와 연통되어 제1지지바와 제2지지바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중공의 가로관이 연결된다.Here, the first bracket and the second bracket include a side plate abut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om; a lower plate ab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om stand; It includes a cross bar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ab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bar;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re formed to extend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stand, and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are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A hollow horizontal pipe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and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insertion hole so that the first support bar and the second support bar can slide.

그리고, 상기 제1브라켓의 후방측에는 제1브라켓을 붐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위치조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bracket further includes a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for sliding the first bracket in the front-back direction along the boom bar.

또한, 상기 붐대는 중공의 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붐대의 선단부 개구에는 연장관이 삽입 결합되어 붐대로부터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장관의 둘레에는 상기 제2브라켓이 전방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oom is preferably made of a hollow tube body, and an extension tub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opening at the distal end of the boom so that it can slid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boom, and the second bracket is positioned further forward around the extension tube. It is desirable to have a stopper to prevent further move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장비에 직결 설치되어 항시 일체로 운행 및 사용할 수 있으며, 적재물에 따라 상하 위치 뿐만 아니라 좌우 위치 조정이 가능하고, 적재물의 규격에 따라 지지바의 위치와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적재물의 적재 위치에 따라 장비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heavy equipment and operated and used as one unit at all times,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as well as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depending on the load, and the position and spacing of the support bar can be adjus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load. It can be adjusted easily and has the outstanding advantage of being convenient to use as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quipment depending on the loading position.

도 1 은 일반적인 판재형 적재물이 포장되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캐리지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붐대 중간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제1지지바 설치 구조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제2지지바 설치 구조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에 의해 적재물이 파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ypical plate-type load is packaged and loaded;
Fig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carriage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iddle part of the boom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first support bar installation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second support bar installation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ad is held by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2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는 캐리지(110), 지지플레이트(130), 붐대(150),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2 to 6,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age 110, a support plate 130, a boom 150, a first support bar 160, and a second support bar 180. ) and consists of.

캐리지(110)는 중장비(10) 차량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붐대(150)와 기타 부속품들이 거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캐리지(110)는 본래 지게차의 포크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지게차를 개조하여 포크를 제거하고 후술하는 붐대(150)가 결합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캐리지(110)는 일반적인 지게차용 캐리지(110)와 마찬가지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설치되고 모터와 체인으로 구성되는 승강수단(120)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carriage 11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heavy equipment vehicle 10 and is a part where the boom 150 and other accessorie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mounted. The carriage 110 is originally a part where the fork of a forklift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klift is modified to remove the fork and a boom bar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it. As shown in FIG. 2, the carriage 110, like the carriage 110 for a general forklif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and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by a lifting means 120 consisting of a motor and a chain.

지지플레이트(130)는 후방측이 상기 캐리지(110)에 결합되고 전방측에는 후술하는 붐대(150)가 결합지지되는 부분으로,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판형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는 후술하는 붐대(150)의 수평 위치 조정을 위하여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레일(112)과 하부레일(114)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레일(112)과 하부레일(114)은 캐리지(110)의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며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금속재 판부재로 구성되며, 캐리지(110)의 좌우 측면 프레임에 각각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레일(112)의 상단 및 하부레일(114)의 하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130)의 원활한 슬라이등 이동을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하단 절곡부 내측에는 베어링(미도시) 또는 마찰계수가 작은 화이버 소재 미끄럼부재(미도시)가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late 130 is a part where the rear side is coupled to the carriage 110 and the front side is coupled and supported by a boom bar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that stands up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 plate 13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boom 1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this purpose, as shown in FIG. 3, an upper rail 112 and a lower rail 114 ar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arriage 110, respectively. The upper rail 112 and the lower rail 114 are composed of metal plate member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and below the carriage 110 and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s of the carriage 110 Each is fixedly joined by a method such as welding.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late 130 are each bent in a 'ㄷ' shape and are slidably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upper rail 112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rail 114,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order to move the support plate 130 smoothly, it is preferable that a bearing (not shown) or a sliding member (not shown) made of fiber material with a small coefficient of friction is interposed inside the upper and lower bent portions of the support plate 130. .

한편,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좌우 이동을 위해,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지(110)에는 수평이송실린더(140)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이송실린더(140)는 캐리지(110)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 배치되고, 실린더로드 부분이 별도의 브라켓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수평이송실린더(140)의 팽창 및 수축 작동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30)가 상부레일(112) 및 하부레일(114)을 따라 좌우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적재물(1)의 위치에 따른 붐대(150)와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의 상대적인 수평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Meanwhile, in order to move the support plate 130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3, the carriage 110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140. The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140 is fixed to the carriage 1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ylinder rod portion is coupled to the support plate 130 using a separate bracket.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support plate 130 can be horizontally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upper rail 112 and lower rail 114 as the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140 expands and contract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elative horizontal positions of the boom bar 150,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ad 1.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전면에는 붐대(150)가 구비된다. 상기 붐대(150)는 대체로 내부가 빈 중공의 관체로 구성되되, 원형 관체로 구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관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붐대(150)는 전방측으로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어 적재물(1)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적재물(1)의 하중이 붐대(150)에 가해지는 경우 붐대(150)와 지지플레이트(130)의 결합부(용접부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의 체결부)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붐대(150)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대(152)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5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단부는 상기 붐대(150)의 선단부 하측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전면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대체로 전방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붐대(150)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붐대(150)와 하부지지대(152) 사이에는 상호간의 결합 및 지지력 보강을 위해 수직 방향으로 연결바(15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mentioned above, a boom 15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130. The boom 150 is generally composed of a hollow tube body with an empty interior, but may be composed of a circular tube body or may be composed of a square tube body as shown. The boom 150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and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load (1).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 of the load 1 is applied to the boom 150, excessive load may be applied to the joint portion (joint portion when joined by welding or bolts, etc.) of the boom 150 and the support plate 130, causing damag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a lower support 152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om 150. As shown in FIG. 2, the lower support 152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ont end of the boom 150, and the rear end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130. It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end and generally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to support the boom 150 from below. It is preferable that a connecting bar 154 is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boom bar 150 and the lower support bar 152 for mutual coupling and reinforcement of support force.

상기 붐대(150)의 중간부 및 전단부에는 각각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재물(1)의 보호프레임(2) 좌우 측면 상측에 형성된 돌출부(3)에 걸려 적재물(1)을 지지하는 바 형상 부재로서, 각각 붐대(150)의 상부에 붐대(150)와 직교하도록 측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A first support bar 160 and a second support bar 180 are provided at the middle and front ends of the boom bar 150, 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hung on the protrusions 3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rotection frame 2 of the load 1 as shown in FIG. 1 to secure the load 1. As a supporting bar-shaped member, each is disposed horizontally later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boom stand 150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om stand 15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는 붐대(150)를 기준으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기존에 지지바가 붐대(150)의 일측면에 고정 설치된 경우 적재물(1)이 지지바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에 위치되면 붐대(150)를 적재물(1)의 반대편으로 이동시켜야 했기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를 좌우 양측으로 수평 이동하게 구성하여 적재물(1)이 붐대(150)를 기준으로 좌우 어느쪽에 위치되어도 붐대(150)의 이동 없이 적재물(1)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도 4 및 도 5 에는 이러한 본 발명의 개선된 제2지지바(180) 설치 구조가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oom bar 150. This is because, when the support bar was previously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oom bar 150, the boom bar 150 had to be mov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load 1 when the load 1 was located on the other side where the support bar was not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 order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configured to move horizontally to both left and right, so that the load (1) is position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boom bar (150). This has been improved so that the load (1) can be lifted without moving. 4 and 5 show the improve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support bar 18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바(16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사각 바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바(160)의 설치를 위해 제1브라켓(1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브라켓(170)은 상기 붐대(15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붐대(150)의 좌우 양측면에 맞대어지는 측판(173)과, 붐대(150)의 하부면에 맞대어지는 하판(175)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양 측판(173)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붐대(150)의 상부면과 맞대어지는 가로대(17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좌우 양 측판(173)과 하판(175) 및 가로대(176)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붐대(150)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제1브라켓(170)은 붐대(15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first support bar 160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quare bar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Additionally, a first bracket 170 is provided to install the first support bar 160. The first bracket 17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oom 150. More specifically, the side plate 173 abut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om 15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om 150. It includes a lower plate 175 that abuts, and a cross bar 176 that is horizontally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and abuts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150.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boom bar 15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the lower plate 175, and the cross bar 176, and the first bracket 170 is connected to the boom bar 150. It is configur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along.

상기 좌우 양 측판(173)은 붐대(150)의 상부면 높이 이상 더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지지바(160)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174)가 개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양 측판(173)의 상단부 사이에는 각 삽입구(174)와 연통되는 중공의 가로관(177)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상기 제1지지바(160)는 상기 좌우 양 측판(173) 중 어느 일측 측판(173)에 형성된 삽입구(174)에 삽입되어 가로관(177) 내부를 통과한 후 다시 타측 측판(173)에 형성된 삽입구(174)를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상기 삽입구(174)와 가로관(177)의 크기가 제1지지바(160)의 크기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바(160)가 가로관(177) 내부에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물(1)이 붐대(150)를 기준으로 좌우 어느 방향에 위치되더라도 적재물(1)이 위치된 방향으로 제1지지바(16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적재물(1)의 파지하여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extend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150, and an insertion hole 174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bar 16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In addition, a hollow horizontal tube 177 communicating with each insertion hole 174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support bar 1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74 formed in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pipe 177, and then returns to the other side plate. It is inserted to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174 formed in (173), and the size of the insertion hole 174 and the horizontal tube 177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irst support bar 160. )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inside the horizontal pipe 177. 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load (1) is located in either left or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om bar (150), the first support bar (160) is slid and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1) is located to maintain the load (1). You can grab it and lift it.

한편, 적재물(1)의 규격에 따라 제1지지바(160)와 후술하는 제2지지바(180)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바, 이를 위해 상기 제1브라켓(170)의 후방측에는 위치조정실린더(172)가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위치조정실린더(172)는 붐대(150)의 상측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실린더로드 부분이 상기 제1브라켓(170),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관(177)에 결합되어 팽창 및 수축에 따라 상기 제1브라켓(170)과 여기에 설치된 제1지지바(160)를 붐대(15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Meanwhil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load 1, and for this purpose, a space is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bracket 170. An adjustment cylinder 172 is additionally provided. The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172 is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boom 150, and the cylinder rod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bracket 170, more specifically, the horizontal tube 177 to expand and contract. Accordingly, the first bracket 170 and the first support bar 160 installed here ar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boom bar 150.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지바(180)는 붐대(15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된다. 도 6 에는 이러한 제2지지바(180)의 설치 구조가 도시된다. 상기 제2지지바(180)는 상기 제1지지바(160)와 같이 사각 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브라켓(17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브라켓(190)에 설치된다. 제2브라켓(190)은 제1브라켓(170)과 동일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second support bar 18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om bar 150. Figure 6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econd support bar 180. The second support bar 180 has a square bar shape like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is installed on the second bracket 190, which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bracket 170. Since the second bracket 190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bracket 170,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붐대(150)의 선단부에는 연장관(200)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관(200)은 적재물(1)의 크기가 큰 경우 제2지지바(180)의 위치를 전방측으로 더 이동시키고자 할때 필요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관(200)은 상기 붐대(150)의 선단부 개구에 삽입 결합되어 붐대(150)로부터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되, 둘레에는 상기 제2브라켓(190)이 전방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212)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212)는 연장관(200)의 둘레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하며, 이 단턱에 상기 제2브라켓(190)의 측판(173)과 하판(175) 및 가로대(176)의 전면이 걸리 지지됨에 따라 제2브라켓(190)이 전방측으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게 가로막는다. 상기 연장관(200)은 붐대(150)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중에도 이동의 소지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붐대(150)와 연장관(200)에는 상응하는 위치에 각각 볼트공(218)이 형성되고, 제2브라켓(190)의 가로대(176)에 형성된 고리(210)에 연결된 사슬(214)의 단부에 고정볼트(216)를 연결하고 상기 고정볼트(216)가 상기 볼트공(218)에 삽입 결함됨에 따라 연장관(200)이 붐대(150)로부터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고정볼트(216)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붐대(150)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연장관(200)의 인출 길이에 따라 고정볼트(216)의 체결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an extension pipe 200 is additionally provided at the tip of the boom 150. The extension pipe 200 is necessary to move the position of the second support bar 180 further forward when the load 1 is large. As shown, the extension tube 200 is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pening of the boom 150 and is configured to slide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boom 150, and the second bracket 190 is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further forward. A stopper 212 is provided to prevent abnormal movement. The stopper 212 protrudes from the circumference of the extension pipe 200 at a certain height to form a step, and the side plate 173, the lower plate 175, and the cross bar 176 of the second bracket 190 are attached to this step. As the front is supported, it blocks the second bracket 190 from moving further to the front. Since the extension pipe 20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side the boom 150, there is a possibility of movement during work. To prevent this, the boom 150 and the extension pipe 200 are provided with bolt holes ( 218) is formed, a fixing bolt 216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hain 214 connected to the ring 210 formed on the cross bar 176 of the second bracket 190, and the fixing bolt 216 is connected to the bolt hole. As the extension tube 200 is inserted into (218), it is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from the boom stand (150). The fixing bolts 216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om 15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fixing bolts 216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rawn-out length of the extension pipe 200.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7 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적재물 상하역 장치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물(1)은 다수개가 직립된 상태로 나란하게 적재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보호프레임(2)의 측면 상측에는 돌출부(3)가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중장비(10) 차량이 이동하여 적재물(1)의 전면측으로 붐대(150)를 배치한다. 이때,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를 적재물(1)이 위치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그 다음, 위치조정실린더(172)를 구동시키거나 연장관(200)을 이동시켜 적재물(1)의 크기에 맞게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 다음, 수평이송실린더(140)를 작동하여 상기 붐대(150)와 연결된 지지플레이트(130)를 캐리지(110)의 상부레일(112) 및 하부레일(114)을 따라 수평 이동시켜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의 수평 위치가 적재물(1)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부(3)의 수평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조정한다. 그 다음, 승강수단(120)을 구동하여 캐리지(110)를 상승시킴에 따라 지지플레이트(130)와 붐대(150)를 상승시켜, 상기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가 적재물(1) 측면의 돌출부(3)의 하부 단턱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와 붐대(150)를 더 상승시키면, 도 7 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에 의해 적재물(1)이 파지되어 들어올려진다. 그 다음, 중장비(10) 차량을 화물차량의 적재함 등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위에서 설명한 것과 역순으로 적재물(1)을 다시 내려놓는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에 의해 적재물(1)의 상하역이 손쉽게 수행될 수 있다. So far,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7 ,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of th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itially,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loads 1 are stacked side by side in an upright state, and a protrusion 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rotective frame 2 as described above. In this state, the heavy equipment 10 vehicle moves and places the boom 150 on the front side of the load 1.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slidably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ad 1 is located. Next, the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172 is driven or the extension tube 200 is moved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to suit the size of the load (1). Next, the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140 is operated to horizontally move the support plate 130 connected to the boom bar 150 along the upper rail 112 and lower rail 114 of the carriage 110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bar. The horizontal positions of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protrusion (3) formed on the side of the load (1). Next, the lifting means 120 is driven to raise the carriage 110, thereby raising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boom bar 150, so that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Ensure that it is supported by hanging on the lower step of the protrusion (3) on the side of the load (1). In this state, if the support plate 130 and the boom bar 150 are further raised, the load 1 is held by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s shown in FIG. 7. is lifted Next, move the heavy equipment vehicle (10) to another location, such as a cargo vehicle loading bay, and place the load (1) again in the reverse order as described above. By repeating these operations, loading and unloading of the load 1 can be easily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it is known by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chang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who has i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1 : 적재물 2 : 보호프레임
3 : 돌출부 4 : 포장재
10 : 중장비 110 : 캐리지
112 : 상부레일 114 : 하부레일
120 : 승강수단 130 : 지지플레이트
140 : 수평이송실린더 150 : 붐대
152 : 하부지지대 154 : 연결바
160 : 제1지지바 170 : 제1브라켓
172 : 위치조정실린더 173 : 측판
174 : 삽입구 175 : 하판
176 : 가로대 177 : 가로관
180 : 제2지지바 190 : 제2브라켓
200 : 연장관 210 : 고리
212 : 스토퍼 214 : 사슬
216 : 고정볼트 218 : 볼트공
1: Load 2: Protection frame
3: Protrusion 4: Packaging material
10: heavy equipment 110: carriage
112: upper rail 114: lower rail
120: Elevating means 130: Support plate
140: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150: boom
152: lower support 154: connecting bar
160: first support bar 170: first bracket
172: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173: Side plate
174: Insertion hole 175: Lower plate
176: horizontal bar 177: horizontal pipe
180: second support bar 190: second bracket
200: extension tube 210: ring
212: stopper 214: chain
216: fixing bolt 218: bolt hole

Claims (10)

좌우 양측 상단부에 돌출부(3)가 각각 형성된 적재물(1)의 상하역 장치로서,
중장비(10) 차량에 설치되어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는 캐리지(110)와;
상기 캐리지(110)에 결합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립된 판형부재로 구성된 지지플레이트(13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30) 전면에 구비되고 전방측을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 형성되는 붐대(150)와;
상기 붐대(150)의 중간부 및 전단부에 각각 붐대(150)와 직교하도록 측방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적재물(1)의 좌우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에 걸려 적재물(1)을 지지하는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를 포함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loads (1) with protrusions (3)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 carriage 110 installed on a heavy equipment vehicle (10) and configured to be lifted up and down;
A support plate (130) coupled to the carriage (110) and composed of a plate-shaped member standing upright in a vertical direction;
A boom bar 15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support plate 130 and extending horizontally toward the front side;
The middle and front ends of the boom 150 are arranged laterally and horizontally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om 150, and are hung on the protrusions 3 formed on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ad 1 to support the load 1.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including a first support bar 160 and a second support bar 18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110)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30)를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이송실린더(140)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riage 110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horizontal transfer cylinder 140 that horizontally moves the support plate 130.
제 2 항에 있어서,
캐리지(1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상부레일(112)과 하부레일(114)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부레일(112)의 상단 및 하부레일(114)의 하단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carriage 110 are provided with an upper rail 112 and a lower rail 114,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late 130 are each bent in a 'ㄷ' shape to form the upper rail 112. )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ower rail 114,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는 붐대(150)를 기준으로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s,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configured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boom bar 15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바(160) 및 제2지지바(180)는 상기 붐대(150) 외측에 결합된 제1브라켓(170) 및 제2브라켓(190)에 좌우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mounted on the first bracket 170 and the second bracket 190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boom bar 150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70) 및 제2브라켓(190)은 상기 붐대(150) 외측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붐대(15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irst bracket 170 and the second bracket 190 ar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boom 150 and are configured to sl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boom 15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70) 및 제2브라켓(190)은,
상기 붐대(150)의 좌우 양측면에 맞대어지는 측판(173)과;
상기 붐대(150)의 하부면에 맞대어지는 하판(175)과;
상기 좌우 양 측판(173) 사이에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붐대(150)의 상부면과 맞대어지는 가로대(176)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양 측판(173)은 붐대(150)의 상부면 높이 이상 더 길게 연장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가 관통 삽입되는 삽입구(174)가 개구 형성되며;
상기 좌우 양 측판(173)의 상단부 사이에는 각 삽입구(174)와 연통되어 제1지지바(160)와 제2지지바(18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중공의 가로관(177)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bracket 170 and the second bracket 190 are,
A side plate 173 abutt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om 150;
a lower plate 175 abut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boom 150;
It includes a cross bar (176) disposed horizont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and abut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bar (150);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are formed to extend long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om bar 150, and an insertion hole 174 through which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are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plates 173, a hollow horizontal tube 177 is connected,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insertion hole 174 and is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support bar 160 and the second support bar 180 to slide.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70)의 후방측에는 제1브라켓(170)을 붐대(150)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위치조정실린더(1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bracket (170) further includes a position adjustment cylinder (172) for sliding the first bracket (17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the boom (15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150)는 중공의 관체로 구성되고, 상기 붐대(150)의 선단부 개구에는 연장관(200)이 삽입 결합되어 붐대(150)로부터 전후방측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boom 150 is composed of a hollow tube body, and an extension tube 200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pening of the boom 150 to enable sliding movement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boom 150.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200)의 둘레에는 상기 제2브라켓(190)이 전방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21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상하역 장치.
According to clause 9,
A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topper 212 is provided around the extension pipe 200 to prevent the second bracket 190 from moving further forward.
KR1020220054230A 2022-05-02 2022-05-02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KR2023015460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30A KR20230154605A (en) 2022-05-02 2022-05-02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230A KR20230154605A (en) 2022-05-02 2022-05-02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605A true KR20230154605A (en) 2023-11-09

Family

ID=8874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230A KR20230154605A (en) 2022-05-02 2022-05-02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460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74B1 (en) 2014-03-24 2015-07-02 김채모 Glass board carrying cargo handling gear
KR20190136505A (en) 2018-05-31 2019-12-10 김채모 Equipped with support means Clamping lift for freight of glass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774B1 (en) 2014-03-24 2015-07-02 김채모 Glass board carrying cargo handling gear
KR20190136505A (en) 2018-05-31 2019-12-10 김채모 Equipped with support means Clamping lift for freight of glass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6341A (en) Apparatus for mounting a forklift vehicle on a carrier vehicle
JP3881369B2 (en) Cargo rack
KR102354929B1 (en) A container for framework elements
KR101848423B1 (en) Pallet for transporting glass
KR20230154605A (en) Load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JP5606170B2 (en) Attachment for forklift and load handling method using the same
JP34738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plate material
FI86531B (en) Lifting device.
US6543986B2 (en) Apparatus with upper displacement member for handling articles
JPH0578097A (en) Correction device for cargo shifting on forklift
CA2306424A1 (en) Tool caddy
KR20220142866A (en) A heavy object carrying apparatus for vertical ladder
ES2473090T3 (en) Carriage frame and fork lock pin assembly
KR101201215B1 (en) Moving tool for mold of concrete building
JP6914581B2 (en) Tubing device
US3363791A (en) Carton lift attachment for industrial lift trucks
KR200396801Y1 (en) A lift for transporting package box for plate glass
CN218840123U (en) Logistics positioning bracket
AU2007100972A4 (en) Improvements to transportable lifting devices
JP3439061B2 (en) WORKING DEVICE FOR MOVING TRANSPORTED STATION AND WORKING VEHICLE HAVING THE SAME
EP2346774B1 (en) An implement, a system, and a method for the manipulation of elongated pieces
JP5507918B2 (en) truck
CN116902511A (en) Convenient safe table trolley
JP4456693B2 (en) Heavy material suspension rod storage equipment
JPH084194Y2 (en) Crop e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