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428A - Extension un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 Google Patents

Extension un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428A
KR20230154428A KR1020237030644A KR20237030644A KR20230154428A KR 20230154428 A KR20230154428 A KR 20230154428A KR 1020237030644 A KR1020237030644 A KR 1020237030644A KR 20237030644 A KR20237030644 A KR 20237030644A KR 20230154428 A KR20230154428 A KR 20230154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erosol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expansion unit
connection interfa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 폰세카 데 카르발로 가브리엘라 그레코
세르게이 세마쉬코
라만 루삭
Original Assignee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제이티 인터내셔널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30154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428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확장 유닛(및 그에 상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되고, 확장 유닛은, 확장 유닛의 제1 단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 가능한, 제1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유닛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An expa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corresponding aerosol generating devices and systems) is provided, the expansion unit comprising, at a first end of the expansion unit,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dditionally, the unit,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es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ng.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확장 유닛Extension un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확장 유닛,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확장 유닛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the field of aerosol generating device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pa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 system comprising the expansion unit.

전자 담배, 베이핑 장치(vaping device) 및 에어로졸 흡입기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휴대용(hand-held) 장치이고, 통상적으로 무화기(atomizer), 전원, 및 사용자에 의해서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즉, 증기)을 생성하기 위해서 내부에 배치되는 액체-충진 캡슐 또는 유사 수단을 포함한다. 생성된 에어로졸은 예를 들어 니코틴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는 예를 들어 생성된 에어로졸을 흡입함으로써 담배를 흡연하는 시뮬레이션을 할 수 있다.Aerosol generating devices such as electronic cigarettes, vaping devices and aerosol inhalers are known. Such aerosol generating devices are hand-held devices and typically include an atomizer, a power source, and a liquid-filled capsule disposed therein to generate an aerosol (i.e., vapor) that can be inhaled by the user. or similar means. The generated aerosol may comprise, for example, a form of nicotine, and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simulate smoking a cigarette, for example by inhaling the generated aerosol.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여러 가지 태생적 한계가 있다. 특히, 비제한적인 예로서, 휴대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휴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비교적 크기가 작아야 하고 비교적 무게가 가벼워야 하며, 일반적으로 메모리 공간 및 전원이 제한적이어야 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순하거나 최소화되어야 한다.Aerosol generating devices have several inherent limitations. In particular, as a non-limiting example, por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s must generally be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relatively light in weight to be portable, generally have limited memory space and power, and have simple or minimal user interfaces.

현재,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장치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점점 더 많은 부가적인 하드웨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통합하는 것은 장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크기 또는 중량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또한,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소프트웨어 및 프로그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에 제공하는 것은 그러한 장치의 이미 제한된 메모리 공간 및 전원에 더 부담을 줄 수 있다.Currentl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mart” devices that can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incorporating more and more additional hardware in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ality may result in an undesirable increase in size or weight of the device. Additionally, providing additional software and programs within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ality may further strain the already limited memory space and power of such device.

또한, 사용자의 취향 및 선호도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개인화 또는 맞춤화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대한 요구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가 그러한 특정 기능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때로는 불필요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Additionally, there is a demand for electronic devices that can be easily personalized or customiz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s tastes and preferences. As such, the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provid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dditional hardware and/or software to activate certain functions may sometimes be unnecessary,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uses those particular features.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기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메모리 공간, 전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어떠한 제약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가 비교적 작은 크기 그리고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ans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additional functionality as needed. Additionally, the inventors have discovered that the device can maintain a relatively small size and relatively light weight while allowing the addition of functionality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hile also remaining within any constraints on the memory space, power, and user inte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e recognized that there was a need to provide the means to do so.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one or more of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특히, 전술한 한계를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라, 확장 유닛을 고안하였다. 확장 유닛은, 확장 유닛의 제1 단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 가능한, 제1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확장 유닛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In particular, taking into account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signed an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expansion unit includes, at a first end of the expansion unit,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expansion unit,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ng.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라,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추가로 고안하였다. 전원 유닛은 전원, 제어 섹션, 및 본원의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어 섹션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의한 전력 공급의 방향, 및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inventors,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further design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unit. The power unit includes a power source, a control section, and a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an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control sec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ize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transmission of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라,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 및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추가로 고안하였다.The inventors,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further designed a system comprising an expansion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aspect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aspect.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라, 통신 버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추가로 고안하였다.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의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은,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들 중 하나의 확장 유닛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어드레스를 통신 버스의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 중에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어드레스의 각각과, 신호가 수신된 확장 유닛을 나타내는 확장 유닛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방법은,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고 확장 유닛의 결정된 현재 연결 상태에 따라 통신 버스를 통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과 통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The inventors,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aspect of the disclosure, have further devise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muni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Each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can be connected to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are configured to activat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ng. The method includes identifying,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on a communication bus, at least one communication address used for receiving a signal from one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ssocia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addresses wit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ing the expansion unit from which the signal was received. The method further includ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determining a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The method includ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through a communication bus using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cludes additional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라,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추가로 고안하였고, 이러한 명령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섹션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제어 섹션이 본원의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ors, in accordance with the fifth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further designed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which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the control s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use the control section to operate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mode.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6 예시적 양태에 따라, 본원의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추가로 고안하였다.The inventors,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further design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section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발명자들은, 본원의 제7 예시적 양태에 따라, 본원의 제6 예시적 양태에 따른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추가로 고안하였다.The inventors, according to the seventh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further designe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unit according to the six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따라서, 제1 내지 제7 예시적 양태는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각각의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에어로졸 생성 기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기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to seventh exemplary aspects enabl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to be connected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s each expansion unit provides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ther than the aerosol generating function provid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may be enab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한, 제1 내지 제7 예시적 양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제공되는 부가적인 기능이 사용자의 요구/필요를 기초로 개인화될 수 있게 하는데, 이는, 어떠한 확장 유닛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할 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확장 유닛이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와 관련되지 않은 기능을 위해서 불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사용자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통합 또는 미리-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to seventh exemplary embodiments allow the additional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be personalized based on the user's wants/needs, which allows the user to decide which expansion unit to connect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ecause you can choose. Therefore, while each expansion unit can provide additional functions to enrich the user's experience, unnecessary hardware and/or software for functions not relevant to the user are integrated or pre-installed into the user's aerosol generating device. You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한 번에 다수의 확장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실시형태에서, 사용자가 한 번에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 유닛이 양 단부에서 연결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경우, 확장 유닛이 다른 확장 유닛에 설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그 자신의 "설정"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확장 유닛 체인"을 제공하고, 확장 유닛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서 임의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embodiments whe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used with multiple expansion units at a time,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imited to one additional function at a time. If an expansion unit has connection interfaces at both ends, the expansion unit can be installed in another expansion unit, thereby providing a kind of "expansion unit chain" that allows the user to create his own "configuration"; , the expansion units can be configured in any order relativ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섹션이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의한 전력 공급의 방향, 및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력, 메모리, 및 다른 자원에 대한 확장 유닛의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se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aspect is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transfer of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control the expansion unit's demands on power, memory, and other resource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한,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의 통신 어드레스를 통해서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스캔할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연결된 확장 유닛에 의한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는 어드레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하고 통신 버스에 걸친 이러한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between one or more expansion units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aspect is such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erforming the method simply and efficiently operates through a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bus. It makes it possible to scan and thereby identify addresses used for communication by connected expansion units and to appropriately control communication with these expansion units over the communication bus.

따라서,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방법은,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기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방법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메모리 공간, 전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어떠한 제약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가 비교적 작은 크기 그리고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aspect can facilitate the provision of means by which additional functions can be provid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s needed. Additionally,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aspect allows adding functionality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ile also allowing the device to be of relatively small size without deviating from any constraints on memory space, power, and user inte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it can facilitate the provision of means that can maintain a relatively light weight.

이제, 이하에서 설명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비제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 도면들 중 다른 도면들에 나타내는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확장 유닛의 개략도이다.
도 4a는 I2C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마스터" 장치 및 "슬레이브"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b는 I2C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장치와 제2 장치 사이의 연결의 상세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c는 직렬 UART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2개의 장치들 사이의 연결의 상세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d 및 도 4e는 SPI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장치들 사이의 연결의 2개의 상세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외부 확장 유닛과의 통합을 돕기 위해서 도 3의 전원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전력 회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a는 복수의 확장 유닛의 개략도이고, 도 6b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 유닛이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라 구성된 확장 유닛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라 구성된 확장 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8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라 구성된 확장 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9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개시된 예시적인 양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하게 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원의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층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8a 내지 도 18g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층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보드 지원 층(Board Support Layer)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하드웨어 앱스트랙션 층(Hardware Abstraction Layer)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specifically described,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below. Similar reference numbers appearing in different of the drawings may indicate identical or functionally similar elem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aspect herei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unit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aspect herei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expa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aspect herein.
FIG.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ter” device and a “slave” device using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FIG. 4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exampl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using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FIG. 4C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exampl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using the serial UART communication protocol.
4D and 4E are block diagrams showing two detailed example configurations of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ing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power circui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unit of FIG. 3 to aid integration with external expansion units.
Figure 6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urality of expansion units, and Figure 6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how expansion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ure 3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circuit that may be included in an expansion unit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aspect.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circuit 800, which may be included in expansion unit 100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third example aspect.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circuit 900, which may be included in expansion unit 100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ourth example aspect.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suitable for use with the disclosed example aspects.
FIG. 11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ca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example aspects herein.
FIG. 12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process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FIG. 13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process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FIG. 14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process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FIG. 15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process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fourth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FIG. 16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process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fifth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Figures 17A-17C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application software layer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shown in Figure 10.
Figures 18A-18G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system software layer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shown in Figure 10.
Figures 19A-19C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Board Support Layer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shown in Figure 10.
FIGS. 20A-20C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Hardware Abstraction Layer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shown in FIG. 10.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Now,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상세한 설명 또는 임의의 청구항의 기술적 특징 뒤에 참조 부호가 수반되는 경우, 참조 부호는 단지 도면,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서 포함된 것이다. 따라서, 참조 부호의 유무가 임의의 청구항 요소의 범위를 제한하는 어떠한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When reference signs follow technical features in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r any claims, the reference signs are included solel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and claims. Accordingly,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ference signs does not have any effect to limit the scope of any claim element.

도 1은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서 흡입될 수 있는 에어로졸(즉, 증기)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장치이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a portable device configured to generate an aerosol (i.e. vapor) that can be inhaled by a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본 예시적 양태에서와 같이, 소위 "전자-증기" 장치일 수 있다. 전자-증기 장치는 담배를 포함하지 않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니코틴 및/또는 향미제(flavour)를 포함하는 액체를 가열하여, 장치 또는 교체 가능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액체의 직접적인 전기적 가열에 의해서 증기를 생성한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본 예시적 양태에서와 같이, 전원 유닛(10), 에어로졸 생성 유닛(20), 그리고 선택적으로, 본 예시적 양태에서와 같이, 향미제 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be a so-called “electro-vapor” device. An electro-vapor device is one that heats a liqui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nicotine and/or flavors, but does not include tobacco, to produce vapor by direct electrical heating of the liquid contained within the device or replaceable cartridge. Create. In this cas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omprises a power unit 10,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an aerosol generating unit 20, and optionally, a flavoring unit 30,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may include.

에어로졸 생성 유닛(20)은, 본 예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공급원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21) 및 에어로졸 공급원을 무화하기 위한 로드(load)(2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이 전원 유닛(10)에 의해서 로드(22)에 제공된다. 심지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이 제공되어 에어로졸 공급원을 저장용기(21)로부터 로드(22)까지 끌어당길 수 있고, 에어로졸 공급원은 증기를 생성하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may include, as in this example, a storage container 21 for storing the aerosol source and a load 22 for atomizing the aerosol source. Power is provided to load 22 by power unit 10. A wick or any other suitable means may be provided to draw the aerosol source from the reservoir 21 to the rod 22, which may include a liquid such as glycerin, propylene glycol or water that produces a vapor. .

로드(22)는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서) 에어로졸 공급원을 무화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흡입 작용에 응답하여 향미제 유닛(30)을 통과하는 에어로졸을 생성한다. 일 예에서, 로드(22)는 가열 요소의 전기 로드, 즉 가열 요소에 의해서 소비되는 에너지에 의해서 표시된다. 가열 요소는 저항형, 유도형 등일 수 있다.Rod 22 atomizes the aerosol source (e.g., by heating), thereby producing an aerosol that passes through flavor unit 30 in response to the user's inhalation action. In one example, load 22 is represented by the electrical load of the heating element, ie the energy consumed by the heating element. The heating element may be resistive, inductive, etc.

향미제 유닛(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미제 공급원(31) 및 흡입 포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향미제 공급원(31)은, 예를 들어, 파쇄된 원료 담배의 과립 또는 다른 식물(예를 들어, 민트 또는 허브), 및/또는 멘톨 또는 과일 향미제와 같은 향미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이 향미제 공급원(31)을 통과할 때 향미제가 에어로졸에 부가된다.Flavor unit 30 may include a flavor source 31 and an intake port 32, as shown in FIG. 1 . The flavor source 31 may include, for example, granules of shredded raw tobacco or other botanicals (e.g. mint or herbs), and/or flavoring agents such as menthol or fruit flavors, Accordingly, flavoring agent is added to the aerosol as it passes through the flavoring source 31.

전원 유닛(10), 에어로졸 생성 유닛(20), 및 향미제 유닛(30)은 탈착 가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개별적인 유닛들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요소들은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어 하우징들 또는 요소의 다른 부분들 사이의 간섭 핏(interference fit), 스냅 핏(snap fit), 나사 핏, 베이요넷형 핏, 또는 자기 핏을 통해서 함께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원 유닛(10), 에어로졸 생성 유닛(20), 그리고 선택적으로 향미제 유닛(30)은, 여러 요소들이 탈착될 수 없도록, 예를 들어 초음파 용접으로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The power unit 10, aerosol generating unit 20, and flavor unit 30 may be detachable so that the individual units can be easily replaced. By way of example, the element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formed by any suitable means, for example, an interference fit, snap fit, screw fit, bay, or interference fit between housings or other parts of the element. They can be detachably assembled together through a Yonet-type fit or magnetic fit. Alternatively, the power unit 10,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and, optionally, the flavor unit 30 may be fixedly attached, for example by ultrasonic welding, so that the various elements cannot be detached.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저장용기(21) 및/또는 그 내부에 저장된 에어로졸 공급원 및/또는 향미제 공급원(31)이 교체될 수 있다. 예로서, 적어도 에어로졸 생성 유닛(20)의 저장용기(21)가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향미제 유닛(30)의 향미제 공급원(31)이 교체 가능 카트리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storage vessel 21 and/or the aerosol source and/or flavor source 31 stored therein may be replaced. By way of example, at least the storage container 21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placeable cartridg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flavor source 31 of the flavor unit 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eplaceable cartridge.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에어로졸 생성 유닛(20) 및 향미제 유닛(30)이 별도의 유닛들로 도시되어 있지만, 대안적으로 이러한 2개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으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향미제 유닛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유닛(20)의 저장용기(21) 내의 에어로졸 공급원과 함께, 임의의 향미제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lthough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and the flavoring unit 3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Figure 1 are shown as separate units, alternatively these two units could be provided as one unit. As a further alternativ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not comprise a flavoring unit. In this case, any flavoring agent may optionally be provided with the aerosol source in the storage vessel 21 of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소위 "전자-증기" 장치이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비연소-가열 장치(Heat-not-Burn device) 또는 가열형 담배 장치로도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소위 "T-증기" 장치일 수 있다. 비연소-가열은, 증기 생성을 위해서 가열 요소(예를 들어, 담배 스틱을 둘러싸는 튜브형 가열기)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가열되는 담배를 포함한다. 다른 유형의 가열형 담배 장치는, 장치 또는 교체 가능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액체의 직접적인 전기 가열에 의해서 증기를 생성하도록 간접적으로 가열되는 담배(예를 들어, 캡슐 또는 포드 내의 담배 분말)를 포함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a so-called “electro-vapor” device. Alternative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a so-called “T-vapor” device, also commonly referred to as a Heat-not-Burn device or a heated tobacco device. Non-combustion-heating includes tobacco that is heated directly by a heating element (eg, a tubular heater surrounding a tobacco stick) to produce vapor. Other types of heated tobacco devices include tobacco (e.g., tobacco powder in capsules or pods) that is indirectly heated to produce vapor by direct electrical heating of liquid contained within the device or replaceable cartridge.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T-증기" 장치인 예시적인 양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장치 내에 제공된 담배를 (연소가 아니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오븐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담배는, 예를 들어, 통상적인 스틱과 유사한 담배 스틱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exemplary embodiments whe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 “T-vapor” devic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heating oven or other means for heating (rather than burning) the tobacco provided within the device. Cigarettes may, for example, be provided in the form of tobacco sticks, similar to conventional sticks.

더 구체적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T-증기" 장치인 예시적인 양태에서, 전원 유닛(10)이, 전원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유닛 내에 제공될 수 있는, 담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오븐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유닛은 담배를 저장하는 기능만을 할 수 있고, 어떠한 추가적인 전자기기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 “T-vapor” device, a power unit 10 may be provided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unit, in addition to the power source, such as a heating oven for heating tobacco or other It may include means. In this case, the aerosol generating unit may only function to store cigarettes and may not contain any additional electronics.

도 2는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10)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원 유닛(10)은 도 1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전원 유닛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원 유닛(10)은 예를 들어 T-증기 장치와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일 수 있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unit 10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aspect herein. The power unit 10 may be the power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n FIG. 1 . Alternatively, the power unit 10 may be the power unit of any other suitable aerosol generating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T-vapor device.

도 2에 도시된 전원 유닛(10)은 제어 섹션(11), 전원(12), 및 연결 인터페이스(13)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전원 유닛(10)은,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I/O) 섹션(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유닛(10)이 T-증기 장치의 전원 유닛인 경우에, 전원 유닛(10)은, 선택적으로, 담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오븐(16) 또는 다른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unit 10 shown in FIG. 2 includes a control section 11 , a power source 12 and a connection interface 13 . Optionally, power unit 1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14 and/or at least one input/output (I/O) section 15, as in this exemplary aspect. Additionally, if the power unit 10 is a power unit of a T-vapor device, the power unit 10 may optionally comprise a heating oven 16 or other means for heating the tobacco.

전원(12)은, 본 예에서와 같이, 재충전 가능 전원일 수 있다. 전원(12)은, 본 예에서와 같이, 리튬 이온 배터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원(12)은, 예를 들어, 충전 가능 이차 배터리 또는 전기 이중 층 커패시터(EDLC)일 수 있다.Power source 12 may be a rechargeable power source, as in this example. Power source 12 may be a lithium ion battery, as in this example. Alternatively, power source 12 may be, for exampl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제어 섹션(11)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 또는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애플리케이션-특정 집적 회로(ASIC))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섹션(11)은, 본 예시적 양태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Control section 11 includes one or more processing units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such as a microprocessor, or a suitably programme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can do. Control section 11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예로서, 제어 섹션(11)은 에어로졸 생성 유닛(20)에 대한 전력 공급 및 전원(12)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섹션(11)은 필요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서(14)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센서(14)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스할 수 있고,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섹션(11)은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에 의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자에 대한 출력을 제어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에 의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리고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섹션(11)은 각각의 기능의 수행을 위한 별도의 모듈들 또는 섹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control section 11 may control the power supply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and the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12 .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ontrol section 11 may control the supply of power to the at least one sensor 14 as required and may receive and process signals from the at least one sensor 14 and ,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ontrol section 11 may control the output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by means of at least one I/O section 15, and the at least one I/O section ( 15), the reception of user input can be controlled, and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put. The control section 11 may include separate modules or sections for performing each function.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제어 섹션(1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메모리 섹션(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섹션은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거나 동일 칩 상에 제공된) 제어 섹션(11)의 일부로 제공될(포함될) 수 있거나, 전원 유닛(10) 내에 별도로 제공되어 제어 섹션(11)에 전기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메모리 섹션은, 예를 들어, 작업 메모리(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하여,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섹션은 컴퓨터-판독 가능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명령어 저장부(예를 들어, 전기-소거 가능 프로그래머블 리드-온리 메모리(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 형태의 ROM)를 포함할 수 있고, 명령어는, 제어 섹션(11)에 의해서 실행될 대, 제어 섹션(11)이 여러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메모리 섹션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및 적어도 하나의 입/출력(I/O) 섹션(15)과 관련된 정보와 같은, 부가적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자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control section 11 may be equipped with any memory section (not shown) necessary to perform the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uch a memory section may be provided (included) as part of the control section 11 (e.g. formed integrally or provided on the same chip),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within the power unit 10 to provide electricity to the control section 11. can be connected By way of example, a memory section may include volatile and non-volatile memory resources, including, for example, working memory (e.g., random access memory). Additionally, the memory section may include an instruction storage unit (e.g., ROM in the form of electrically-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or flash memory) that stores a computer program containing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the control section 11, cause the control section 11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The memory section further includes memory resources for storing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sensor 14 and at least one input/output (I/O) section 15. can do.

연결 인터페이스(13)는, 본 예에서와 같이, 전원(12)의 충전에서 이용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 단자(예를 들어, USB 단자, 마이크로 USB 단자, 무선 충전 단자 등), 및 도 1의 전원 유닛(10)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유닛(20)으로의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인터페이스를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다.The connection interface 13 is, as in this example, one or more charging terminals (e.g., USB terminal, micro USB terminal, wireless charging terminal, etc.) used for charging of the power source 12, and the power unit of FIG. It may include one or more discharge terminals that enable power supply from (10) to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The connection interfa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전원 유닛(10)이 적어도 하나의 센서(14)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본 예시적 양태와 같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는, 본 예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한 흡입 작용의 검출에서 사용되는 흡입 센서, 및/또는 전원(12)의 충전 및 방전의 검출에서 사용되는 전압 및 전류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aspect, such as this exemplary aspect, where the power unit 10 optionally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14, the at least one sensor 14 is configured to, as in this example,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suction sensor used in the detection of a suction action by the user, and/or a voltage and current sensor used in the detection of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power source 12.

전원 유닛(10)이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본 예시적 양태에서와 같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게 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전원 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버튼(17)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원 유닛(10)은 하나 이상의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입력 수단, 또는 그러한 입력 수단들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I/O 수단이 입력 수단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 대신,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14)의 출력을 기초로 제어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such as this exemplary embodiment, where the power unit 10 optionally includes at least one I/O section 15, the at least one I/O section 15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 1) may comprise input means allowing to receive input from a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s a non-limiting example, power unit 10 may include button 17 as shown in FIG. 1 . Alternatively, power unit 10 may include any suitable input means, such as one or more switches or a touch panel, or any suitable combination of such input means. As a further alternative, the at least one I/O means may not comprise an input means, and instead the oper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output of the at least one sensor 14. .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은 정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원 유닛(10)은 LCD 스크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전원 유닛(10)은 다양한 조명 패턴에 따라 동작하여 각각의 표시(예를 들어, 장치 전력 온, 낮은 배터리, 필요한 에어로졸 공급원의 교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원 유닛(10)이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경우에, 연속적인 광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전력이 온이라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점멸 광은 낮은 배터리(즉, 전원(12)의 충전이 필요하다는 것)를 나타낼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I/O section 15 may comprise output mean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y way of example, power unit 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such as an LCD screen or a touch screen.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power unit 10 may have one or more LEDs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various lighting patterns to provide the user with respective indications (e.g., device power on, low battery, replacement of aerosol source required). may include. As an example, if the power supply unit 10 includes one LED, a continuous light may indicate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powered on, and a flashing light may indicate that the power supply 12 is low on battery (i.e., power supply 12). may indicate that charging is required.

도 2에 도시된 예시적인 전원 유닛(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및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이 제어 섹션(11)과 별도로 도시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의 하나 이상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I/O 유닛(15)의 하나 이상이 제어 섹션(11)과 통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14) 중 하나 이상이 에어로졸 생성 유닛(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유닛(20)) 내에 제공될 수 있고, 적절한 연결 단자가 전원 유닛(10) 및 에어로졸 생성 유닛 내에 제공되어 에어로졸 생성 유닛 내의 센서의 출력이 제어 섹션(11)에 제공되게 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power unit 10 shown in FIG. 2 , at least one sensor 14 and at least one I/O section 15 are shown separately from the control section 11 . Alternatively, one or more of the at least one sensor 14 and/or one or more of the at least one I/O unit 15 may be integrated with the control section 11 . As a further alternative, one or more of the at least one sensor 14 may be provided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unit (e.g.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shown in Figure 1) and a suitable connection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unit 10. ) and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unit so that the output of the sensor within the aerosol generating unit is provided to the control section 11.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요구될 때/필요한 때에만 기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부가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기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부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메모리 공간, 전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어떠한 제약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가 비교적 작은 크기 그리고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As mentioned above, the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eans by which functionality can be added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nly when/when required. Additionally, the inventors have demonstrated that functionality can be added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ile also maintaining a relatively small size and relatively light weight without deviating from any constraints on the memory space, power, and user inte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e recognized that there was a need to provide the means to do so.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예시적인 양태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위한 확장 유닛(100)을 고안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s have designed an expansion unit 100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erein.

확장 유닛(100)은 제1 확장 유닛의 제1 단부에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를 포함하고,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에 연결될 수 있다.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t a first end of the first expansion unit,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expansion unit 100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on, can be connected to means 103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선택적으로, 확장 유닛(100)은,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이,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 양태에서, 확장 유닛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만을 포함할 수 있다.Optionally, expansion unit 10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as in this exemplary aspect. In an alternative example aspect, the expansion unit may include only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확장 유닛(100)의 제1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이, 제1의 다른 확장 유닛(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확장 유닛(110 및 120))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may be provided at the first end of the expansion unit 100.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may be connected to a first other expansion unit (e.g., expansion units 110 and 120 shown in FIG. 6B),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또한,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에 대향되는 확장 유닛(100)의 제2 단부에 제공될 수 있고, 제2의 다른 확장 유닛(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확장 유닛(110 및 120)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be provided at a second end of the expansion unit 100 opposite the first end, as shown in Figure 3, and may be provided to connect a second other expansion unit (e.g. For example, it can be connected to expansion units 110 and 120 shown in FIG. 6B.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모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확장 유닛(100)의 양 단부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된 확장 유닛(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대한 그 배향과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In the example embodiment shown in FIG. 3 ,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may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Optionally,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uch that bot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ar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You can. In this case, both ends of the expansion unit 100 can be connected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and the connected expansion unit 100, regardless of its orientation relative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attachment. A functional function can be provid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어 하우징들 또는 이러한 요소들의 다른 부분들 사이의 간섭 핏, 스냅 핏, 나사 핏, 베이요넷형 핏, 또는 자기 핏을 통해서, 다른 확장 유닛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대한 물리적(즉, 기계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다른 확장 유닛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대한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제1의 다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 간섭 핏 연결부, 플러그 연결부, 및 소켓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자기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be formed by any suitable means, for example an interference fit, a snap fit, a screw fit, a bay between the housings or other parts of these elements. It may be connected to other expansion units and/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200 via a Yonet-type fit or magnetic fit.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include any suitable means necessary to facilitate physical (i.e. mechanical) connection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By way of example, to facilitate connection to other expansion units and/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200,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the first othe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gnetic connection, an interference fit connection, a plug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In the example embodiment shown in FIG. 3 ,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includes a magnetic connection.

확장 유닛(100)은, 예를 들어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하는 본 예시적 양태와 같은 예시적 양태에서, 확장 유닛(100)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중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중 하나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expans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exampl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lternatively, in an exemplary aspect, such as this example embodiment where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When one of the interfaces 102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rough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It can be.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00)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하는 본 예시적 양태와 같은 예시적 양태에서, 확장 유닛(100)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중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확장 유닛(100)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수단(103)에 따라,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중 하나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expans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 Alternatively, in an exemplary aspect, such as this example embodiment where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When one of the interfaces 102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pending on the means 103 provided as part of the expansion unit 100,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rough one.

또한, 확장 유닛(100)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데이터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도록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하는 본 예시적 양태와 같은 예시적 양태에서, 확장 유닛(100)은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인터페이스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데이터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도록 또는 그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명령, 명령어, 또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변 전류 또는 전압을 갖는 신호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xpansion unit 1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data from or transmit data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 Alternatively, in exemplary aspects such as this exemplary embodiment wher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expansion unit 100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have a connection interface 102 for aerosol generation. When connected to the device 200 ,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data from or transmit data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 This may include, for example, commands, instructions, or feedback, and may be provided in any suitable form, for example, as a signal with a variable current or voltage.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다른 확장 유닛 및/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대한 전자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제어 섹션(211) 및/또는 전원(212)에 대한 전자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 및/또는 다른 확장 유닛의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자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include any suitable means necessary to facilitate electronic connection to other expansion units and/o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section 211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via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and/or or any suitable means to facilitate electronic connection to the power source 212, and/or to the connection interface of another expansion unit.

예로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중 적어도 하나가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include one or more data terminals and/or one or more power terminals. Preferably, the first and/or second connection interface may include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

예로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에 의한 전력 공급의 크기 및 전력 공급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포함하는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에 의한 전력 공급의 크기 및 전력 공급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 유닛(100)으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의 및/또는 그 반대의 전력 공급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제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may include one or more power terminals.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can be controll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 an exemplary aspect such as this exemplary embodiment where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may include one or more power terminals. It can be included.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can be controll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In this way, the power supply from the expansion unit 100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and/or vice versa is via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to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 It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200).

본 발명자들은, I2C(inter-integrated circuit)가 확장 유닛(100)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또는 다른 확장 유닛 사이의 통신을 위한 가장 적합한 하드웨어 프로토콜일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 대안으로서, 직렬 주변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SPI) 및 비동기식 직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RS-232 또는 범용 비동기식 수신기/송신기(UART))와 같은 다른 통신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I2C의 이용이 추가적인 부가적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inter-integrated circuit (I2C) may be the most suitable hardware protocol for communication between expansion unit 100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or other expansion units. As an alternative, other communication protocols may be used, such as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and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s (e.g., RS-232 or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ART)). However, as discussed below, the use of I2C can provide additional added benefits.

I2C는 다수의 "슬레이브" 디지털 집적 회로("칩")이 하나 이상의 "마스터" 칩과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SPI와 마찬가지로, 이는 단일 장치 내의 단거리 통신을 위해서만 설계된다. 비동기식 직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RS-232 또는 UART)와 마찬가지로, 이는 정보 교환을 위해서 2개의 신호 와이어를 필요로 한다.I2C is a protocol that allows multiple "slave" digital integrated circuits ("chips") to communicate with one or more "master" chips. Like SPI, it is designed only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in a single device. Like asynchronous serial interfaces (such as RS-232 or UART), it requires two signal wires to exchange information.

도 4a는 I2C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마스터" 장치(301) 및 "슬레이브" 장치(302A, 302B, 302C)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b는 I2C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제1 장치와 제2 장치 사이의 연결의 상세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예에서, "마스터"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이고, "슬레이브"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 가능한 확장 유닛이다.FIG. 4A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ter” device 301 and “slave” devices 302A, 302B, and 302C using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FIG. 4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exampl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a first device and a second device using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In this example, the “master” device i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slave” device is an expansion unit connectabl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I2C 버스는 2갱의 신호: SCL 및 SDA로 구성된다. SCL은 클록 신호이고, SDA는 데이터 신호이다. 전류 버스 마스터(301)는 클록 신호를 항상 생성하고; 일부 슬레이브 장치(302A, 302B, 302C)는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마스터 장치(301)를 지연시키기 위해서(또는 마스터 장치(301)가 클럭 아웃을 시도하기 전에 데이터를 준비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도록) 때때로 클록을 로우(low)로 강제할 수 있다. 이는 "클록 스트레칭(clock stretching)"으로 지칭된다. UART 또는 SPI 연결과 달리, I2C 버스 드라이버는 "개방 드레인(open drain)"이고, 이는 I2C 버스 드라이버가 해당 신호 라인을 로우로 만들 수 있으나, 이를 하이로 구동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른 장치가 라인을 로우로 만들려고 하는 동안, 하나의 장치가 라인을 하이로 구동하려고 하는 버스 경합은 발생될 수 없고, 그에 따라 드라이버의 손상 또는 시스템 내의 과다 전력 소산의 가능성을 제거한다. 각각의 신호 라인은, 장치가 신호를 로우로 단정하지 않을 때 신호를 하이로 복원하기 위해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풀-업 저항기(pull-up resistor)(R1, R2)를 갖는다. 저항기 선택은 버스 상의 장치에 따라 달라진다.As shown in Figures 4A and 4B, the I2C bus consists of two gangs of signals: SCL and SDA. SCL is a clock signal and SDA is a data signal. The current bus master 301 always generates a clock signal; Some slave devices (302A, 302B, 302C) may delay the master device 301 from transmitting more data (or require more time to prepare data before the master device 301 attempts to clock out). ) can sometimes force the clock low. This is referred to as “clock stretching.” Unlike UART or SPI connections, the I2C bus driver is "open drain," meaning that it can pull that signal line low, but not drive it high. Therefore, bus contention cannot occur where one device tries to drive a line high while another device tries to push the line low, there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of driver corruption or excessive power dissipation within the system. Each signal line has a pull-up resistor (R1, R2) (as shown in Figure 4b) to restore the signal high when the device does not assert the signal low. Resistor selection depends on the devices on the bus.

I2C 어드레스는 7 비트 또는 10비트이다. 10-비트 어드레스의 사용은 비교적 드물고, 그에 따라 표준 칩은 일반적으로 7-비트 어드레스를 갖는다. 따라서, 7-비트 숫자가 0 내지 127일 수 있기 때문에, 표준이 사용될 때에도, 128개 이하의 장치가 I2C 버스에서 수용될 수 있다. 7-비트 어드레스를 송신할 때, 장치는 8 비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추가적인 비트는, 마스터 장치가 슬레이브 장치에 기록할 때 또는 그로부터 판독하는 경우에, 어드레스 슬레이브 장치를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특히, 추가적인 비트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이는, 마스터 장치가 어드레스 슬레이브 장치에 기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추가적인 비트가 1의 값을 가지는 경우, 이는, 마스터 장치가 어드레스 슬레이브 장치로부터 판독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예로서, 7-비트 어드레스는 바이트의 상부 7개의 비트에 위치될 수 있고, 판독/기록(R/W) 비트는 LSB(Least Significant Bit)에 위치된다. 10-비트 어드레스가 사용되는 경우, 추가적인 비트는, 상응 방식으로, 마스터 장치가 어드레스 슬레이브 장치에 기록하거나 그로부터 판독하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The I2C address is 7 or 10 bits. The use of 10-bit addresses is relatively rare, so standard chips typically have 7-bit addresses. Therefore, even when the standard is used, no more than 128 devices can be accommodated on the I2C bus because a 7-bit number can be from 0 to 127. When transmitting a 7-bit address, the device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8 bits, with the additional bits used to notify the slave device of the address when the master device writes to or reads from the slave device. . In particular, if the additional bit has a value of 0, this may indicate that the master device is writing to the address slave device. Likewise, if the additional bit has a value of 1, this may indicate that the master device is reading the address from the slave device. As an example, a 7-bit address may be located in the top seven bits of a byte, and the read/write (R/W) bits are located in the Least Significant Bit (LSB). If a 10-bit address is used, additional bits may be used, correspondingly, to indicate whether the master device is writing to or reading from the address slave device.

도 4c는 직렬 UART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2개의 장치(401, 402)들 사이의 연결의 상세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직렬 포트가 비동기식(클록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음)이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는 장치(401, 402)는 데이터 속도에 대해서 미리 합의하여야 한다. 2개의 장치(401, 402)는 또한 동일한 속도에 가까운 클록을 가져야 하고: 양 단부의 클록 속도들 사이의 차이가 과도하면, 데이터가 왜곡될 수 있다.Figure 4C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exampl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two devices 401 and 402 using the serial UART communication protocol. Because serial ports are asynchronous (no clock data is transmitted), devices 401 and 402 using them must agree in advance on the data rate. The two devices 401, 402 should also have clocks that are close to the same spee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lock speeds of the two ends is excessive, the data may be distorted.

비동기식 직렬 포트는 하드웨어 오버헤드를 필요로 한다: 양 단부에서의 UART는 소프트웨어로 정확하게 구현하기가 비교적 복잡하고 어렵다. 적어도 하나의 시작 및 정지 비트가 각각의 데이터 프레임의 일부이다. 그에 따라 8 비트 데이터의 송신은 10 비트의 전송 시간을 필요로 한다.Asynchronous serial ports require hardware overhead: UARTs on both ends are relatively complex and difficult to implement accurately in software. At least one start and stop bit is part of each data frame. Accordingly, transmission of 8 bits of data requires 10 bits of transmission time.

또한, 비동기식 직렬 포트는 본질적으로 단지 2개의 장치들 사이의 통신에 적합하다. 다수의 장치를 단일 직렬 포트에 연결할 수 있지만, 버스 경합(2개의 장치가 동시에 동일 라인을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이 항상 문제가 된다. 이는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외부 하드웨어를 통해서, 주의 깊게 핸들링되어야 한다.Additionally, asynchronous serial ports are inherently suitable for communication between only two devices. Multiple devices can be connected to a single serial port, but bus contention (when two devices try to drive the same line at the same time) is always a problem. This must be handled carefully, usually via external hardware,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도 4d 및 도 4e는 SPI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장치들 사이의 연결의 2개의 상세한 예시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4D and 4E are block diagrams showing two detailed example configurations of connections between devices using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직렬 UART 및 I2C에 비해서, SPI는 비교적 많은 수의 핀을 필요로 한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SPI 버스로 하나의 마스터 장치(403)를 하나의 슬레이브 장치(404)에 연결하는 것은 4개의 라인을 필요로 한다. 또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새로운 슬레이브 장치(405, 406)는 마스터 장치(403) 상에서 하나의 부가적인 칩 선택 I/O 핀을 필요로 하고, 결과적으로, 많은 장치가 하나의 마스터 장치(403)에 슬레이브화되어야 하는 경우, 새로운 슬레이브 장치(405, 406)에 따라 핀 연결이 빠르게 증가한다.Compared to serial UART and I2C, SPI requires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ins. As shown in Figure 4D, connecting one master device 403 to one slave device 404 with an SPI bus requires four lines. Additionally, as shown in Figure 4E, each new slave device 405, 406 requires one additional chip select I/O pin on the master device 403, resulting in many devices having one When a master device 403 needs to be slaved, the pin connections grow rapidly with new slave devices 405 and 406.

또한, 각각의 장치에 대한 많은 수의 연결에 의해서, 타이트한 PCB 레이아웃 상황에서 신호 라우팅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SPI는 버스 상에서 하나의 마스터 장치(403)만을 허용하나, 버스는 임의의 수(버스에 연결된 장치의 구동 능력 및 이용 가능한 칩 선택 핀의 수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다)의 슬레이브 장치(404, 405, 406)를 지원한다.Additionally, the large number of connections to each device can make signal routing more difficult in tight PCB layout situations. SPI allows only one master device 403 on the bus, but the bus can host any number of slave devices 404, 405, and (depending only on the driving capabilities of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bus and the number of chip select pins available) 406) is supported.

SPI는 빠른 데이터 속도 풀-듀블렉스(full-duplex)(데이터 동시 송수신) 연결에 적합하고, 일부 장치에서 10MHz(그리고 그에 따라 초당 천만 비트)까지의 클록 속도 그리고 또한 속도 스케일을 지원한다. 양 단부의 하드웨어는 일반적으로 매우 단순한 시프트 레지스터이고, 그에 따라 소프트웨어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한다.SPI is suitable for high data rate full-duplex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connections, supporting clock rates up to 10 MHz (and therefore 10 million bits per second) in some devices, and also rate scales. The hardware at both ends is generally a very simple shift register, making it easy to implement in software.

따라서, I2C 통신 프로토콜의 이용은, 비동기식 직렬 프로토콜과 같이, 단지 2개의 와이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SPI 통신 프로토콜은 각각의 장치 사이에서 상당한 양의 부가적인 배선을 필요로 한다.Accordingly, the use of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advantageous in that it requires only two wires, like the asynchronous serial protocol. In contrast,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additional wiring between each device.

또한, SPI 통신 프로토콜과 달리, I2C 통신 프로토콜은 다중-마스터 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비록 마스터 장치들은 버스를 통해서 서로 통신할 수 없고 버스 라인을 이용하여 회선을 번갈아 사용해야 하지만) 하나 초과의 마스터 장치는 버스 상의 모든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Additionally, unlike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can support multi-master systems, thereby allowing more than one master device (although master devices can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ver the bus and alternate between lines using bus lines). A master device allows communication with all devices on the bus.

I2C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서 달성되는 데이터 속도는 비동기식 직렬 프로토콜과 SPI 프로토콜에 의해서 달성되는 데이터 속도의 사이에 위치된다. 특히, 대부분의 I2C 장치는 100kHz 또는 400kHz에서 통신할 수 있다. I2C를 갖는 오버헤드가 있다: 8 비트의 데이터마다, 하나의 추가적인 비트의 메가데이터("ACK/NACK" 비트)가 전송된다.The data rate achieved by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lies between the data rates achieved by the asynchronous serial protocol and the SPI protocol. In particular, most I2C devices can communicate at 100kHz or 400kHz. There is an overhead with I2C: for every 8 bits of data, one additional bit of megadata (the "ACK/NACK" bit) is transmitted.

비록 I2C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가 SPI 통신 프로토콜보다 더 복잡하지만, 비동기식 직렬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상당히 덜 복잡하다. 또한, I2C 통신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로 비교적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hardware required to implement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is more complex than the SPI communication protocol, it is significantly less complex than that required to implement an asynchronous serial protocol. Additionally, the hardware needed to implement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relatively simply implemented in software.

따라서, I2C는, 확장 유닛(100)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또는 다른 확장 유닛 사이의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특히 유리한 프로토콜의 선택이 될 수 있다. 특히, 단지 2개의 통신 라인(SDA/SCL)으로 127개까지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능력은, 요구되는 배선량의 과다한 증가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확장 유닛이 하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대부분의 디지털 센서 및 장치는 I2C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따라서, 상당히 빠른 데이터 전달 속도(최대 1MHz)는 다양한 고부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I2C may be a particularly advantageous protocol choice for implemen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expansion unit 100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or other expansion units.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connect up to 127 devices with just two communication lines (SDA/SCL) allows multiple expansion units to be connected to on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out causing an undue increase in the amount of wiring required. let it be Additionally, most digital sensors and devices support the I2C protocol. Therefore, the fairly fast data transfer rate (up to 1 MHz)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high-load data acquisition systems.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확장 유닛(100)은,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추가로 포함한다.Referring back to FIG. 3 , the expansion unit 100 activates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on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additionally includes means 103.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전기적 또는 전자적 기능, 즉 전력을 기초로 얻어질 수 있는 기능 일 수 있다. 예로서, 수단(103)은, 확장 유닛(101)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 중 하나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예를 들어, 제어 섹션(211) 또는 전원 유닛(210)의 전원(212)에) 전자적으로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수단(103)은, 확장 유닛(100)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사이의 전력 및/또는 데이터의 전달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be an electrical or electronic function, i.e. a function that can be obtained on the basis of electric power. By way of example, the means 103 may, when the expansion unit 101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It may be configured to be electronically connected to (e.g., the control section 211 or the power source 212 of the power unit 210). In particular, the means 103 may b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an be achieved based on the transfer of power and/or data between the expansion unit 100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한 에어로졸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예를 들어, 전원 유닛(10), 에어로졸 생성 유닛(20) 그리고 선택적으로 향미제 유닛(30)에 의해서) 제공되는 에어로졸 생성 기능에 대해서 추가적이거나 보충적일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생성된 에어로졸에 대한 향미제의 첨가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을 위한 기능과 구분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at least one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g. For example, it may be additional or supplementary to the aerosol generating function provided by the power unit 10, the aerosol generating unit 20 and optionally the flavoring unit 30). That is,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function for aerosol generation, such as the addition of flavoring agents to the generated aerosol.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예를 들어 이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ality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 점멸등 기능;· Flashing light function;

·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촉각적 피드백 기능;· Tactile feedback function to indicate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 장치에 대한 전력 공급에 관한 전력 공급 기능;· a power supply function relating to supplying power to the connection device via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 디스플레이 기능; 및· Display function; and

· 오디오 출력 기능.· Audio output function.

수단(103)은 확장 유닛(100)에 의해서 가능해 지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에 따라 달라진다.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수단(103)의 예를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means 103 depend on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de possible by the expansion unit 100 . Examples of means 103 for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re described in detail below.

예로서, 확장 유닛이 부착될 때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핸들링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서 흡입되는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와 임의의 연결된 확장 유닛(100)의 조합이 비교적 작은 크기 및 비교적 가벼운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any connection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performed so that, even when an expansion unit is attach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be easily and conveniently handled and used to generate an aerosol to be inhaled by a user.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combination of expansion units 100 to maintain a relatively small size and relatively light weight.

이러한 경우, 각각의 확장 유닛(100) 내의 구성요소의 수 그리고 그에 따라 각각의 확장 유닛(100)의 크기 및 중량이 최소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확장 유닛이 최소 수의 부가적인 기능(예를 들어, 단지 하나의 기능, 또는 2 또는 3개 이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확장 유닛(100)은,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비해서) 많은 수의 전기적 또는 전자적 기능을 제공하고 비교적 크기가 크고 비교적 무거운 모바일 통신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 모바일폰, 태블릿, 랩탑 컴퓨터 등)와 구분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모바일 통신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은 비실제적이고 비실용적일 수 있다. 즉, 확장 유닛(100)은 모바일 통신 장치가 아닐 수 있다.In this case, each expansion unit may be equipped with a minimum number of additional functions (e.g., For example, it may be desirable to provide only one function, or no more than two or three functions. Accordingly, the expansion unit 100 provides a large number of electrical or electronic functions (e.g., compared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is suitable for relatively large and relatively heav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phones, mobile phone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tablets, laptop computers, etc.). In particular, it may be impractical and impractical to us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hile connected to one or mor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hat is, the expansion unit 100 may not b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 확장 유닛(100)이 하나의 유닛으로 함께 사용되고 핸들링될 수 있도록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부착될 때,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본체와 통합될 수 있도록, 확장 유닛(100)의 제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1, 102)에 의해서 제공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대한 물리적 연결이 구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 such cases,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attach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o tha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 the expansion unit 100 can be used and handled together as one unit,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rovided by the first and/or second connection interfaces (101, 102) of the expansion unit (100) so that the expansion unit (100) can be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may be desirable to be able to establish a physical connection to .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또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임의의 대안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준용된다.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aerosol generating device 1 shown in FIG. 1 or any alternativ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FIG. 1 .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regard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보다 특히,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전원 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유닛(210)은 도 2의 전원 유닛(10)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을 수 있다. 전원 유닛(210)은 제어 섹션(211), 전원(212), 및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전원 유닛(10)의 제어 섹션(11), 전원(12) 및 연결 인터페이스(13)에 관한 설명이 제어 섹션(211), 전원(212) 및 연결 인터페이스(213)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그에 따라 여기에서 반복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include a power unit 210. The power unit 210 may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power unit 10 of FIG. 2 . The power unit 210 may include a control section 211, a power source 212, and a connection interface 213.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 section 11, power source 12, and connection interface 13 of the power unit 10 in FIG. 2 applies equally to the control section 211, power source 212, and connection interface 213. , and accordingly will not be repeated here.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확장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로서,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서, 예를 들어 하우징들 또는 이러한 요소의 다른 적합한 부분들 사이의 간섭 핏, 스냅 핏, 나사 핏, 베이요넷형 핏, 또는 자기 핏을 통해서 확장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interface 213 may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100. By way of example, connection interface 213 may be connected by any suitable means, such as through an interference fit, snap fit, screw fit, bayonet fit, or magnetic fit between housings or other suitable portions of such elements. It can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100.

더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연결 인터페이스(213)가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와 양립될 수 있도록,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임의의 적합한 연결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예로서, 확장 유닛(100)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확장 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 간섭 핏 연결부, 플러그 연결부, 및 소켓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의 자기 연결부와 양립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를 포함한다.More generally,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is such that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s compatible wit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of the expansion unit 100. Any suitable connection means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to facilitate connection of the expansion unit 100,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gnetic connection, an interference fit connection, a plug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100. You ca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3 ,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includes a magnetic connection that is compatible with the magnetic connection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of the expansion unit 100 .

제어 섹션(211)은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연결 인터페이스(213)에 의한 전력 공급의 방향, 및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ontrol section 211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size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and the transmission of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there is.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연결 인터페이스(213)에 연결될 때,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해서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연결 인터페이스(213)에 연결될 때, 확장 유닛(100)의 부분으로서 제공되는 수단(103)에 따라,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해서 확장 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comprise means 103 provided as part of the expansion unit 100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expansion unit 100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한 확장 유닛으로의 전력의 공급 그리고 선택적으로 적절하게 구성된 확장 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수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전원 유닛(210)이 많은 수의 부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원 유닛(210)은 연료 게이지, 배터리 충전기, 공급 변환 트랜시버, 부스트 DC/DC 컨버터, 및 전원 관리 로직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 중 하나 이상이 전원 유닛(210)의 제어 섹션(211)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supply of power to the expansion unit via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and, optionally,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a suitably configured expansion unit, the power unit 2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provided in a number of Additional elements may be included. By way of example, power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fuel gauge, battery charger, supply conversion transceiver, boost DC/DC converter, and power management logic. One or more of these elements may be provided as part of the control section 211 of the power unit 210.

예로서, 도 5는, 외부 확장 유닛과의 통합을 돕기 위해서 도 3의 전원 유닛(210)에 포함될 수 있는 전력 회로(5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As an example,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power circuit 500 that may be included in power unit 210 of FIG. 3 to aid integration with external expansion units.

도 5에 도시된 전력 회로(500)는 연료 게이지(501), 배터리 충전기(502), 공급 변환 트랜시버(503), 부스트 DC/DC 컨버터(504), 및 전원 관리 로직(505)뿐만 아니라, 도 3의 전원 유닛(210)의 전원(202)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배터리(506) 및 연결 인터페이스(213)로서의 역할을 하는 외부 연결부(507)를 포함한다. 이러한 요소(501 내지 505) 중 하나 이상이 전원 유닛(210)의 제어 섹션(211)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500 shown in FIG. 5 includes a fuel gauge 501, battery charger 502, supply conversion transceiver 503, boost DC/DC converter 504, and power management logic 505, as well as FIG. It includes a battery 506 serving as a power source 202 of the power unit 210 of 3 and an external connection 507 serving as a connection interface 213. One or more of these elements 501 to 505 may be provided as part of the control section 211 of the power unit 210 .

전력 회로(500)의 일차적인 기능은 전력의 공급 및 외부 연결부(507)를 통한 그 방향을 제어하는 것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자체에서 기준 전압을 형성하고 배터리(506)를 충전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imary function of the power circuit 500 is to control the supply of power and its direction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507, as well as to establish a reference voltage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self and to charge the battery 506. It is about providing the ability.

연료 게이지(501)는 확장 유닛(100)과 같은 확장 유닛에 의해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 배터리 레벨 측정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The fuel gauge 501 functions to perform battery level measurement to support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provided by an expansion unit such as expansion unit 100.

연료 게이지(501)는 휴대용 장치로서 사용되는 배터리(506)의 남은 전력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료 게이지(501)는 배터리 온도 및 전압의 측정 중에 교정 기술로 연료 게이지 오류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료 게이지(501)는 높은 정밀도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감지 장비 또는 유사 수단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Fuel gauge 501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remaining power level of battery 506 used as a portable device. Fuel gauge 501 may be configured to reduce fuel gauge error with calibration techniques during measurement of battery temperature and voltage. Fuel gauge 501 can have high precision, thereby reducing or completely eliminating the need for external sensing equipment or similar means.

배터리 충전기(502)는 단일-셀 리튬-이온 배터리 및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위한 선형 충전기 IC일 수 있다. 경로 기능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보다 시스템 전원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유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전류가 외부 저항으로 조정될 수 있다.Battery charger 502 can be a linear charger IC for single-cell lithium-ion batteries and lithium polymer batteries. The path function can be advantageously configured to prioritize system power over charging the lithium-ion battery. Charging current can be adjusted with an external resistor.

공급 변환 트랜시버(503)는, 상이한 공급 전압들에서 동작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와 확장 유닛(100)과 같은 확장 유닛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공급 변환 트랜시버(503)는 양방향 전압 레벨 변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I2C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에, 전력 공급 회로(5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제1 공급 전압(V_MCU)에서 동작할 수 있고, I2C 랑인은 예를 들어 5V의 제2 공급 전압에서 동작할 수 있다.The supply conversion transceiver 503 may be advantageously used to facilitate interfacing between an expansion unit, such as the expansion unit 100, and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perating at different supply voltages. As an example, supply conversion transceiver 503 may enable bidirectional voltage level conversion. As a further example, when the I2C communication protocol is used, one or more components of the power supply circuit 500 may operate at a first supply voltage (V_MCU), and the I2C range may operate at a second supply voltage of, for example, 5V. It can operate in .

부스트 DC/DC 컨버터(504)는, 전압을 그 입력으로부터의 그 출력으로 승압하는 전력 컨버터이다. 따라서, 전력 공급 회로(500)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제1 공급 전압에서 동작하고 I2C 라인이 예를 들어 5V의 제2 공급 전압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부스트 DC/DC 컨버터는 배터리로부터 이용 가능한 전압을 다양한 IC를 위한 범용 전원으로서 5V로 상승시킨다.Boost DC/DC converter 504 is a power converter that boosts a voltage from its input to its output. Accordingly, if one or more components of power supply circuit 500 operate at a first supply voltage and the I2C line operates at a second supply voltage of, for example, 5V, the boost DC/DC converter operates at a voltage available from the battery. rises to 5V as a general-purpose power supply for various ICs.

전원 관리 로직(505)은 다양한 전력 공급 회로 및 전력 방향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그 일차적인 기능 중 하나는 외부 연결부(507)의 VDD 포트를 통한 전력 공급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다.Power management logic 505 may implement various power supply circuits and power direction control. One of its primary functions i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through the VDD port of the external connection 507.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100)과 같은 확장 유닛이 연결될 때, 외부 연결부(507)에 5V의 전압을 공급하여 그 전력을 높이고 I2C 버스를 통해서 확장 유닛의 어드레스를 판독하도록 구성된다. 연결된 확장 유닛이 전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전원 관리 로직(505)은 배터리(506)의 추가적인 충전을 위해서 이러한 포트(507)의 전력 공급 방향을 출력으로부터 입력으로 스위칭하여야 한다.For example, when an expansion unit such as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upplies a voltage of 5V to the external connection 507 to increase its power and reads the address of the expansion unit through the I2C bus. It is configured to do so. When the connected expansion unit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power management logic 505 directs the power supply of this port 507 from output to input for additional charging of the battery 506. Switching is required.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연결 인터페이스(213)가 확장 유닛(100)에 연결될 때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해서 데이터를 확장 유닛(100)으로부터 수신하거나 확장 유닛(1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명령, 명령어, 또는 피드백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변 전류 또는 전압을 갖는 신호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3,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ransmit data to the expansion unit 100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when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100.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from or transmit to the expansion unit 100. This may include, for example, commands, instructions, or feedback, and may be provided in any suitable form, for example, as a signal with a variable current or voltage.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확장 유닛(100)에 대한 전자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전자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인터페이스(213)는 확장 유닛(10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Connection interface 213 may include any suitable means necessary to facilitate electronic connection to expansion unit 100. For example,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may include any suitable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nnection via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of the expansion unit 100 . By way of example, connection interface 213 may include one or more data terminals and/or one or more power terminals. Preferably,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may include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expansion unit 100.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확장 유닛(1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구성은 하나의 또는 선택적으로 그 초과의 확장 유닛(확장 유닛(10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상응하게 구성된 확장 유닛을 포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As is clear from the foregoing, the configuration of expansion unit 100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include one or optionally more expansion units (expansion unit 100 and/or at least one correspondingly configured expansion unit). Including)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예로서, 도 6a는 복수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의 개략도이고, 도 6b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서, 확장 유닛(110, 120, 13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것이다. 도 3의 확장 유닛(100)에 관한 설명이 확장 유닛(110, 120, 130)에 동일하게 적용된다.As an example, Figure 6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lurality of expansion units 110, 120, 130, and Figure 6B shows expansion units 110, 120, 130 being attach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on system. This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how they can be connect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s shown in FIG. 3. The description of the expansion unit 100 in FIG. 3 applies equally to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도 6a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확장 유닛(110)은, 확장 유닛(1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점멸등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확장 유닛(120)은, 확장 유닛(12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전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 및/또는 다른 연결된 장치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확장 유닛(130)은, 확장 유닛(13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오디오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을 포함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ure 6A, expansion unit 110 includes means for activating a flashing light function when expansion unit 110 is connected to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hen the expans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expansion unit 120 supplies power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or other connected device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It includes means for activating a power supply function that supplies power to; The expansion unit 130 includes means for activating an audio output function when the expans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유닛(110, 120, 13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직렬로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확장 유닛(11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전원 유닛(210)의 연결 인터페이스(213)에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may be connected in series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As an example,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of the expansion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of the power unit 2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확장 유닛(12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확장 유닛(11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 또한, 확장 유닛(13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하나가 확장 유닛(12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된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6B ,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of the expans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of the expansion unit 110. Additionally,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of the expans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of the expansion unit 120.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에서, 확장 유닛(110, 120, 130)은, 확장 유닛(11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가장 가깝고 확장 유닛(13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서 가장 멀도록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10, 120, 130)은 임의의 순서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으로서, 도 6b에 도시된 예시적인 양태보다 더 적거나 더 많은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shown in FIG. 6B , expansion units 110 , 120 , and 130 are configured such that expansion unit 110 is closest to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 expansion unit 130 is closest to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is connected far away. Alternatively, expansion units 110, 120, 130 may be connected to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any order. As a further alternative, fewer or more expansion units may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an the example embodiment shown in FIG. 6B.

도 6a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확장 유닛(110, 120 및 130)의 각각은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및 130)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만을 포함하고 그러한 선택적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포함하지 않는 대안적인 예시적 양태에서, 확장 유닛(110, 120 및 130) 중 하나의 확장 유닛이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되어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사용자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기능에 따라, 연결되는 확장 유닛을 확장 유닛들(110, 120 및 130) 중에서 교환할 수 있다.In the example embodiment of Figure 6A, each of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In an alternative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each expansion unit (110, 120 and 130) includes only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no such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one of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An expansion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t any given time to provide an aerosol generating system. In this case,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exchange the connected expansion unit among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depending on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requested by the user.

따라서,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제공되는 에어로졸 생성 기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을 연결하는 것에 의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서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기능이 가능해지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as each expansion unit 110, 120, and 130 provides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ther than the aerosol generation function provid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ne or mor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can be enab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제공되는 부가적인 기능은 사용자의 요구/필요를 기초로 개인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이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체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사용자와 관련되지 않은 기능을 위해서 불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통합 또는 미리-설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dditionally, additional functions provid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personalized based on the user's wants/needs. Therefore, while each expansion unit (110, 120, 130)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to enrich the user's experience, unnecessary hardware and/or software for functions not related to the user are installed i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tegrated or pre-installed.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한 번에 다수의 확장 유닛(110, 120, 130)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도 6a 및 도 6b의 예시적인 양태와 같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사용자가 한 번에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확장 유닛(110, 120, 130)이 양 단부에서 연결 인터페이스를 가지기 때문에, 확장 유닛은 다른 확장 유닛에 설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가 그 자신의 "설정"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확장 유닛 체인"을 제공하고, 확장 유닛들(110, 120, 13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서 임의의 순서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in exemplary embodiments, such as those of FIGS. 6A and 6B , wher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used with multipl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at a time, the user may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imited to additional functions. Since th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have connection interfaces at both ends, the expansion units can be installed in other expansion units, thereby creating a kind of "setting" that allows the user to create his own "settings". Providing an "expansion unit chain", th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can be configured in any order relativ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제어 섹션(210)이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연결 인터페이스(213)에 의한 전력 공급의 방향, 및 연결 인터페이스(213)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전력, 메모리, 및 다른 자원에 대한 확장 유닛(110, 120, 130)의 수요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section 210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the amount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and the transfer of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213. By being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control the demand of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on power, memory, and other resource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위한 확장 유닛(110)의 수단(103)의 예를 이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Examples of means 103 of the expansion unit 110 for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제1 예시적 양태로서, 확장 유닛(101)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점멸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s a first exemplary aspect,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expansion unit 101 may include a blinking light function.

점멸등 기능은, 필요할 때,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광을 방출하는 또는 부가적인 광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점멸등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같은 전자 휴대용 장치로 (그 주요 기능에 더하여) 유리하게 통합될 수 있는 유용한 툴이다. 적절히 구성된 확장 유닛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하는 것에 의한 부가적인 점멸등 기능의 제공은, 부가적인 광이 필요할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휴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특히 실용적일 수 있다. 따라서, 점멸등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확장 유닛(100)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고 단순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The blinking light function is a function that emits light or provides additional light when needed, for example in response to input from a user. Flashing lights are useful tools that (in addition to their primary function) can be advantageously integrated into electronic portable devices, such as aerosol generating devices. Providing additional flashing light functionality by connecting a properly configured expansion unit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an be particularly practical, given that users often carr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them so that it is readily available when additional light is needed. there is. Accordingly, the expansion unit 100 configured to provide a flashing light function can provide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accessible and simple to use.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수단(103)은 광을 방출하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xemplary aspect, the means 103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LED. Alternatively, means 103 may comprise any other suitable means for emitting light.

정확하게 동작하게 하기 위해서, 점멸등은 제어되어야 하고 전력 공급되어야 한다. 예로서, 제1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제어 및 전력 공급과 관련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존할 수 있다.To operate correctly, the flashing lights must be controlled and powered. By way of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first exemplary aspect may rely 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control and power supply.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LED는, 예를 들어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방출하고/방출하거나 방출 광이 깜빡이거나 어두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및 전력 공급과 관련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존함으로써, 제1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저렴하고 단순하게 제조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at least one LED may be connected to,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in exemplary embodiments where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It may be configured to emit light and/or cause the emitted light to blink or darken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rough . By relying o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control and power supply,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first exemplary embodiment can be manufactured inexpensively and simply.

따라서, 수단(103)은, 점멸등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100)의 전력 공급 및 제어에 필요한 임의의 요소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점멸등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은, 예를 들어, GPIO 확장기, DC/DC 컨버터, MOSFET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트랜지스터,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저항기 및 커패시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eans 103 may optionally include any elements necessary for power supply and control of the expansion unit 100 having a blinking light function. By way of example,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blinker function 103 may include additional elements, including,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GPIO expander, a DC/DC converter, a MOSFET or any other suitable transistor, and one or more resistors and capacitors. It can be included.

도 7은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라 구성된 확장 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7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circuit 700, which may be included in expansion unit 100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aspect.

회로(700)는 GPIO 확장기(701), DC/DC 컨버터(702), MOSFET(703), LED(704), 2개의 저항기(R1, R2) 및 2개의 커패시터(C1, C2)뿐만 아니라, 2개의 외부 연결부(705, 706)를 포함한다.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외부 연결부(705, 706)에 의해서 구현되고, 도 5의 외부 연결부(507)의 설명이 외부 연결부(705, 706)에 준용된다.Circuit 700 includes a GPIO expander 701, a DC/DC converter 702, a MOSFET 703, an LED 704, two resistors (R1, R2), and two capacitors (C1, C2), as well as 2 It includes two external connections 705, 706.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of the expansion unit 100 are implemented by external connection units 705 and 706, and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507 in FIG. 5 is similar to the external connection units 705 and 706. 706) applies mutatis mutandis.

제어와 관련하여, 제어 신호는, 도 4a, 도 4b 및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I2C 버스를 통해서,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수단을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확장 유닛(100)이 조명을 턴 온 및 턴 오프하게 할 수 있다.With respect to control, control signals may be provid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an I2C bus such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4A, 4B and 5, or any other suitable communication means. The control signal may, for example, cause expansion unit 100 to turn lights on and off.

GPIO 확장기(701)는 I2C 버스로부터의 로직 데이터를 GPIO 확장기(701)의 물리적 상태로 변환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예시적인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이용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LED 상태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GPIO 확장기(701)를 I2C 버스를 통해서 제어하여, I2C로부터의 로직 신호를 물리적인 것으로 변환할 수 있다.The GPIO expander 701 serves to convert logic data from the I2C bus into the physical state of the GPIO expander 701. Accordingly, when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xemplary aspect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directly control the LED state through the available interface. By controlling the GPIO expander 701 through the I2C bus, logic signals from I2C can be converted to physical ones.

I2C 버스가 사용되는 도 7에 도시된 회로와 같은 예에서, 5V 전력 공급 라인은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을 위한 전력 공급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많은 LED가 동작을 위해서 3 내지 3.3V 전력을 일반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5V 전원이 사용되는 경우에, DC/DC 컨버터(702)를 이용하여 전압을 강압할 필요가 있다.In examples such as the circuit shown in FIG. 7 where an I2C bus is used, a 5V power supply line may be used as a power source for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aspect. As many LEDs typically use 3 to 3.3V power for operation, if a 5V power supply is used, it is necessary to step down the voltage using the DC/DC converter 702.

MOSFET(703)은 GPIO 확장기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류를 끌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MOSFET(703)은 DC-DC 변환기(702)로부터의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서 또한 사용된다.MOSFET 703 is provided to prevent drawing current directly from the GPIO expander. MOSFET 703 is also used to control current flow from DC-DC converter 702.

LED(704)는 고전력 LED, 및 고전력 LED보다 전력이 낮은 저전력 LED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다. 고전력 LED는 더 밝은 방출 광을 제공하나 더 많은 전류를 끌어들이며, 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저전력 LED는 고전력 LED보다 덜 밝은 방출 광을 제공하나, 적은 전류를 필요로 하고,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배터리 수명에 실질적으로 더 적은 영향을 미친다. 예로서, 저전력 LED는 몇 시간 동안 턴 온될 수 있다.LED 704 may be selected between a high power LED and a low power LED, which has lower power than the high power LED. High power LEDs provide brighter emitted light but draw more current, which may affect the battery lif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Low power LEDs provide less bright emission light than high power LEDs, but require less current and therefore have substantially less impact on the battery lif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s an example, low-power LEDs can be turned on for several hours.

양 접근 방식들이 상이한 경우들에서 유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700)는 저전력 LED 및 고전력 LED 모두와 양립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7의 전력 회로(700)에서, LED를 위한 전류가 500 mA 이하인 경우, 밝기 및 배터리 수명의 균형을 위해서 LED(704) 및 저항기(R2)를 교환하기만 하면 된다.Circuit 700 is configured to be compatible with both low-power LEDs and high-power LEDs, as both approaches may be useful in different cases. In the power circuit 700 of Figure 7, if the current for the LED is less than 500 mA, simply swap the LED 704 and resistor R2 to balance brightness and battery life.

도 7의 회로(700)는 2개의 저항기(R1, R2) 및 2개의 커패시터(C1, C2)를 추가로 포함한다. 저항기(R1, R2)는 전류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LED(704)가 과열되는 것 및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저항기(R1, R2)의 저항은 LED(704)가 끌어당기는 전력 및 전류에 따라 달라진다.Circuit 700 of Figure 7 further includes two resistors (R1, R2) and two capacitors (C1, C2). Resistors R1 and R2 serve to limit current flow, thereby preventing the LED 704 from overheating and malfunctioning. The resistance of resistors R1 and R2 varies depending on the power and current drawn by LED 704.

제2 예시적 양태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촉각적 피드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은, 예를 들어, 진동 형태의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해서, 편심 회전 질량체(ERM) 진동 모터 및 선형 공진 작동기(LRA),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s a second exemplary aspect,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 tactile feedback func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is case, the means 103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comprise, for example, an eccentric rotating mass (ERM) vibration motor and a linear resonant actuator (LRA),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in the form of vibra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vibration motor.

수단(103)이 ERM 진동 모터 및 LRA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그러한 확장 유닛에서, 수단(103)은, 예를 들어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such an expansion unit where the means 103 comprises at least one of an ERM vibration motor and an LRA vibration motor, the means 103 is connected, for example, to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of the expansion unit 100 and/or (extension configured to generate tactile feedback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re the unit 100 includ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It can be. By way of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aspec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control signals using any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3 .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촉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낮은 배터리 상태 또는 임의의 다른 경고 통지를 나타내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aspect may be controlled to provide tactile feedback to the use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second exemplary aspect,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rovides tactile feedback indicating a low battery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r any other warning notification. It can be configured to do so.

제3 예시적 양태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연결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As a third exemplary aspect,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function to supply power to the connected device.

예로서,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를 통해서 연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확장 유닛(100)이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연결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aspec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nection device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 Alternatively, in an example embodiment in which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ample aspect includes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 may be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connected device.

연결된 장치는, 본 예시적인 양태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드헬드형 휴대용 장치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한된 배터리 수명을 갖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는 확장 유닛(100)에 전력 공급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사용자는 그들의 장치를 더 오래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다. 확장 유닛(100)이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전력이 공급되는 연결된 장치는 연결된 다른 확장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ed device may includ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s in this exemplary embodiment. As handheld, portable devices, aerosol generating devices such as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have limited battery life. By providing power supply functionality to an expansion unit 100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user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continue to use their device for longer periods of time. In an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expansion unit 100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the powered connected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other connected expansion unit.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은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원은, 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 전원, 예를 들어 재충전 가능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유리하게 자체적으로 충전될 수 있다. 예로서, 재충전 가능 전원은 리튬-이온 파워 뱅크 또는 리튬-폴리머 파워 뱅크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작성 시에, 리튬-이온 파워 뱅크가 더 일반적이었다.In this case, the means 103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power source. The at least one power source may be, for example, a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example a rechargeable battery. In this case,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can advantageously be self-charging. By way of example, the rechargeable power source may be a lithium-ion power bank or a lithium-polymer power bank. At the time of writing, lithium-ion power banks are more common.

리튬-이온(Li-이온) 셀은, 제조비가 비교적 낮은 한편, mAh 용량이 제한되지만, 메모리 효과가 없이 더 오래 지속되는 경향을 갖는다는 점에서, 이러한 목적에 있어서 유리하다. 메모리 효과는, 배터리가 충전-방전 및 재충전으로 인해서 시간에 걸쳐 가용 용량을 잃을 때, 발생된다. 다른 한편으로, LiPo(리튬-폴리머) 셀은 신용 카드와 유사한 정도까지 더 얇고 더 가볍게 만들어지고, Li-이온 셀보다 약간 더 큰 비에너지(specific energy)를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LiPo 셀은 제조비가 더 높고, 메모리 효과를 가지며, 수명이 더 짧다. 표 1은 Li-이온 파워 뱅크와 LiPo 파워 뱅크 사이의 가장 중요한 차이를 요약한 것이다.Lithium-ion (Li-ion) cells are advantageous for this purpose in that they have relatively low manufacturing costs, have limited mAh capacity, but tend to last longer without memory effect. The memory effect occurs when a battery loses usable capacity over time due to charging-discharging and recharging. On the other hand, LiPo (lithium-polymer) cells are made thinner and lighter, to a degree similar to a credit card, and can store slightly more specific energy than Li-ion cells. However, LiPo cells have higher manufacturing costs, have a memory effect, and have a shorter lifespan. Table 1 summarizes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s between Li-ion and LiPo power banks.

[표 1][Table 1]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LiPo 배터리의 파워 뱅크의 주요 장점은, 더 콤팩트하고 더 경량이며, 이러한 2가지 점 모두는 전력 공급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100)의 목적에 있어서 유리하다. Li-이온 배터리는 저비용 및 내구성과 관련하여 유리하다. As can be seen from the table, the main advantages of power banks of LiPo batteries are that they are more compact and lighter, both of which are advantageous for the purpose of the expansion unit 100 with power supply function. Li-ion batteries are advantageous with regard to low cost and durability.

파워 공급 기능은 선택적으로 많은 수의 썬-기능(sun-functionality)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썬-기능은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의 수단(103)에 포함된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전원(212)을 충전하는 것; 확장 유닛(100) 자체의 전력 레벨에 관한 정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제공하는 것; 그에 연결된 다른 확장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 및/또는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의 수단(103)에 포함된 전원을 충전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function may optionally include a number of sun-functionalities. By way of example, this sun-function may include charging the power source 212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ith power from a power source included in the means 103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aspect; provid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ith information regarding the power level of the expansion unit 100 itself; supplying power to other expansion units connected thereto; and/or charging the power source included in the means 103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aspect.

이를 위해서, 전원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은 선택적으로 제어 섹션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어 섹션은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power function 103 may optionally further comprise a control section. As an example, the control section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power supply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예로서, 도 8은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라 구성된 확장 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8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회로(800)는 배터리(801) 형태의 전원, 연료 게이지(802), 배터리 충전기(803), 부스트 DC/DC 컨버터(804), 및 전원 관리 로직(805)뿐만 아니라, 외부 연결부(806, 807)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circuit 800, which may be included in expansion unit 100 configured according to the third example aspect. Circuit 800 includes a power source in the form of a battery 801, a fuel gauge 802, a battery charger 803, a boost DC/DC converter 804, and power management logic 805, as well as external connections 806, 807. ) includes.

배터리(801)는 전술한 전원 중 임의의 것, 예를 들어 리튬-이온 파워 뱅크 또는 리튬-폴리머 파워 뱅크일 수 있다. 도 5의 연료 게이지(501) 및 배터리 충전기(502)의 설명이 연료 게이지(802) 및 배터리 충전기(803)에 준용된다. 확장 유닛(100)읜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외부 연결부(806, 807)에 의해서 구현된다.Battery 801 may be any of the power sources described above, such as a lithium-ion power bank or a lithium-polymer power bank. The description of the fuel gauge 501 and the battery charger 502 in FIG. 5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fuel gauge 802 and the battery charger 803.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of the expansion unit 100 are implemented by external connection units 806 and 807.

부스트 DC/DC 컨버터(804)는, 전압을 그 입력으로부터 출력으로 승압하는 그리고 전압을 확장 유닛(100)의 배터리(801)로부터 5V의 전압으로 상승시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전원(212)을 충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전력 컨버터이다.The boost DC/DC converter 804 boosts the voltage from its input to its output and increases the voltage from the battery 801 of the expansion unit 100 to a voltage of 5V to power the power source 212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is a power converter used to charge.

도 5의 외부 연결부(507)의 설명이 외부 연결부(806, 807)에 준용된다. 그러나,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의 외부 연결부는 기능과 관련된 전력 라인을 위한 더 복잡한 인터페이스를 갖는다.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507 in FIG. 5 applies mutatis mutandis to the external connection units 806 and 807. However, the external connection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aspect has a more complex interface for the power line related function.

특히, 외부 연결부(806)는 "연결부 아웃(Connector Out)"으로 지칭될 수 있고, 즉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을 충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하는 연결부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확장 유닛과의 주요 차이는,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이 이러한 연결부를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지 않고 다른 장치에 전력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역전류가 5V 전력 공급 라인에서 검출되는 경우에 전력 스위칭 회로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이를 통해서 확장기에 전력을 공급한다. 외부 연결부(807)는 "연결부 인"으로 지칭될 수 있고, 즉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을 다른 확장 유닛 또는 충전기에 연결하는 연결부로 지칭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확장 유닛이 연결된 경우,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VDD_In/Out 포트를 통해서 5V 전력을 그에 공급한다. 그러나, 충전기가 연결되는 경우,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VDD_In/Out 포트를 통해서 충전된다.In particular, the external connection 806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or Out”, i.e. a connection connecting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to the charged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re is. The main difference from other expansion units is that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does not receive power through this connection but supplies power to other devices.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aspect has a power switching circuit through which it generally supplies power to the expander when a reverse current is detected in the 5V power supply line. The external connection 807 may be referred to as a “connection in”, that is, a connection connecting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to another expansion unit or a charger. When another type of expansion unit is connected,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aspect supplies 5V power to it through the VDD_In/Out port. However,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aspect is charged through the VDD_In/Out port.

연결부에서 전력 라인을 제어하기 위한 이러한 모든 기능은 전원 관리 로직(805)에서 구현된다. 이러한 모듈은 연결부를 통한 전력 관리 및 전력 공급 방향을 구현한다. 디폴트에 의해서, 장치가 연결부 아웃(806)의 VDD 핀을 통해서 모든 확장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모듈의 기능 중 하나는 이러한 핀에서 전력 방향을 변화시켜 장치 자체를 충전하는 것이다. 전력 방향의 변경 후에, 제3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연결부 인(807)의 VDD_In/Out 핀을 통해서 다음 확장 유닛에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하여야 한다. 동시에, 충전기가 연결부 인(807)에 연결된 경우, 모듈은 확장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그 자체의 충전을 위해서 VDD_In/Out에서 공급 방향을 스위칭한다.All of these functions for controlling the power lines at the connection are implemented in power management logic 805. These modules implement power management and power supply direction through the connections. Since, by default, the device supplies power to all expanders through the VDD pins of connector out 806, one of the functions of the module is to redirect power from these pins to charge the device itself. After changing the power direction,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must independently supply power to the next expansion unit through the VDD_In/Out pin of the connection in 807. At the same time, when the charger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 807, the module does not supply power to the expansion unit, but switches the supply direction at VDD_In/Out for its own charging.

제4 예시적 양태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은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s a fourth exemplary aspect,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 display function. In this case, the means 103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comprise at least one display unit.

디스플레이 유닛의 예로서, OLED 기술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OLED 기술은, 단색 및 컬러 모두로, 작은 스크린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해결책은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저렴하며, 작은 치수를 갖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장점은 경량 및 적은 전력 소비이다.As an example of a display unit, OLED technology can be advantageously used. OLED technology allows the creation of small screens, both in monochrome and in color. Such a solution is convenient to use, inexpensive and has small dimensions. The advantages of these displays are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디스플레이 유닛, 예를 들어 스크린을 사용하면, 배터리 충전 %, 퍼프(puff)의 수, 장치에서의 사용 가능 메모리의 양, 및 사용자에게 유용한 다른 통계와 같은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편리한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의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의 충전 레벨,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흡입 작용의 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의 양, 현재 시간,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경고 통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unit, for example a screen, can be used to display more specific information, such as battery charge %, number of puffs, amount of memory available on the device, and other statistics useful to the user, in a format convenient to the user. You can.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charge level of the power sour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number of inhalation actions that the user can perform, and the available memory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amount, current time, and warning notifica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닛은, 예를 들어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display unit may have, for example,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or (in an exemplary embodiment where the expansion unit 100 comprises an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 Through 102), 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예로서, 도 9는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라 구성된 확장 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는, 회로(900)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회로(900)는 디스플레이 유닛(901), 외부 연결부(902, 903) 및 입력 전압(VDD)을 디스플레이 유닛(901)에 적합한 공급 전압(VCC)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 모듈(904)을 포함한다.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는 외부 연결부(902, 903)에 의해서 구현되고, 도 5의 외부 연결부(507)의 설명이 외부 연결부(902, 903)에 준용된다.As an example,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circuit 900, which may be included in expansion unit 100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ourth example aspect. Circuit 900 includes a display unit 901 , external connections 902 , 903 and a module 904 configured to convert an input voltage (VDD) to a supply voltage (VCC) suitable for display unit 901 .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of the expansion unit 100 are implemented by external connection units 902 and 903, and the descrip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unit 507 in FIG. 5 is similar to the external connection units 902 and 903. 903) applies mutatis mutandis.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은, 도 9의 회로(900)에서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I2C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xemplary aspect is configured to receive control signals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an I2C bus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uch as in circuit 900 of FIG. 9 It is composed.

제5 예시적 양태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오디오 출력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단(103)은,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예를 들어, 이동 코일 라우드스피커), 부저, 혼(horn) 및 사운더(sounder) 중 하나 이상과 같은, 오디오 출력 트랜스듀서를 포함할 수 있다.As a fifth exemplary aspect,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include an audio output function. In this case, means 103 may provide an audio output transducer,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loudspeaker (e.g. a moving coil loudspeaker), buzzer, horn and sounder. It can be included.

예로서,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은, 확장 유닛(100)이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오디오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예시적 양태의 확장 유닛(10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낮은 배터리 상태 또는 임의의 다른 경고 통지를 나타내는 오디오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aspect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udio feedback indicating the stat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o the user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For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of the fifth exemplary aspect,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s configured to output audio feedback indicating a low battery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r any other warning notification. It can be configured.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수단(103)은, 예를 들어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의 제1 연결 인터페이스(101) 및/또는 (확장 유닛(100)이 선택적인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2 연결 인터페이스(102)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오디오 피드백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은 도 3과 관련하여 전술한 임의의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the means 103 may be configured, for example, to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101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embodiment and/or to the optional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1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udio feedback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102 (in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ing a connection interface). By way of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aspec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control signals using any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 3 .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에 의해서 출력된 오디오 피드백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톤(tone), 비프 소음, 휘슬 소음, 멜로디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의 수단(103)은 선택적으로, 오디오 피드백을 나타내는 데이터(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오디오 파일)를 저장하는 제어 섹션 및/또는 메모리 섹션과 같은, 오디오 피드백을 출력하기 위해서 오디오 출력 트랜스듀서를 제어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부가적인 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디오 피드백의 출력은,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이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Audio feedback output by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aspect may be provided in any suitable form, for example, a tone, a beep noise, a whistle noise, a melody, etc. Accordingly, the means 103 of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aspect optionally comprises a control section and/or a memory section for storing data representing audio feedback (e.g. one or more audio files). , it may further include any additional means necessary to control the audio output transducer to output audio feedback. Alternatively, the output of audio feedback may be controll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hen 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fth exemplary aspect is connected.

전술한 제1 내지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100)은 하나의 각각의 부가적인 기능을 가지며,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포함한다. 대안예로서, 확장 유닛(100)은, 확장 유닛(1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둘 이상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The expansion unit 10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has one respective additional function, and activates one additional function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includes a means (103) for doing so. As an alternative, the expansion unit 100 may include means 103 for activating two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when the expansion unit 100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예를 들어, 확장 유닛(100)은, 제1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점멸등 기능, 제2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촉각적 피드백 기능, 제4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 및 제5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오디오 출력 기능 중 둘 이상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이러한 기능 중 적어도 2개를 제공하도록 확장 유닛(100)을 구성함으로써, 유리하게 다수 형태의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예로서, 확장 유닛(100)은, 제1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점멸등 기능, 제2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촉각적 피드백 기능, 제4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 및 제5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오디오 출력 기능과 함께, 제3 예시적 양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전력 공급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확장 유닛(10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전원의 상태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남은 충전 시간, 충전 상태, 남은 전력 등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유리하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may include a blinking light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xample aspect, a tactile feedback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xample aspect, and a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ourth example aspect. means 103 for activating two or more of a display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an audio output function a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fifth exemplary aspect. By configuring the expansion unit 100 to provide at least two of these functions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t may advantageously provide multiple forms of feedback to the user. As a further example, the expansion unit 100 may include a blinking light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rst example aspect, a tactile feedback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xample aspect, and a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ourth example aspect. means 103 for activating a power supply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third example aspect, together with a display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fth example aspect and an audio output function a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ifth example aspect. In this way, information about the power status of the expansion unit 100 o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remaining charging time, charging status, remaining power, etc., may be advantageously provided to the user.

보다 일반적으로, 확장 유닛(100)은, 전술한 기능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능을 포함하여, 임의의 적합한 수의 부가적인 기능 또는 그 조합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포함할 수 있다.More generally, the expansion unit 100 may include means 103 for activating any suitable number of additional functions or combinations thereof, including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or any other suitable functions.

확장 유닛(100) 그리고 보다 일반적으로 확장 유닛(100)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서, 본 발명자들은, 추가적인 유지 보수 및 스케일링(scaling)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를 위한 층상형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였다.For the development of the expansion unit 100 and more generally the aerosol generation system comprising the expansion unit 100 and the aerosol generation device 200, the inventors have used software to enable further maintenance and scaling. It was recognized that it could be advantageous to use a layered architecture for .

도 10은 개시된 예시적인 양태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의 층상형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는 하드웨어 앱스트랙션 층(HAL)(1010), 보드 지원 층(BSP)(1020), 시스템 소프트웨어 층(1030)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층(1040)을 포함한다.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suitable for use with the disclosed example aspects.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of FIG. 10 includes a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L) 1010, a board support layer (BSP) 1020, a system software layer 1030, and an application software layer 1040.

HAL(1010)은 상부 층(애플리케이션, 라이브러리, 및 스택)과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일반 다중-인스턴스의 간단한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의 세트(generic multi-instance simple set)를 제공한다. HAL(1010)은 일반 API 및 확장 API로 구성된다. HAL(1010)은 일반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직접적으로 구축된다. HAL(1010)은, MCU 사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해도, 미들웨어 층과 같은 빌트-업온 층(built-upon layer)이 그 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층은 하드웨어 인터페이스(I2C, SPI, UART 등), 레지스터 및 MCU 인터럽트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HAL 1010 provides a generic multi-instance simple set of AP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the upper layers (applications, libraries, and stack). HAL (1010) consists of a general API and an extended API. HAL (1010) is built directly on the general architecture. HAL (1010) can enable a built-upon layer, such as a middleware layer, to implement its functions without requiring detailed knowledge of how to use the MCU. These layers provide access to hardware interfaces (I2C, SPI, UART, etc.), registers, and MCU interrupts.

BSP(1020)는, 특정 소프트웨어 시스템(일반적으로 실시간 운영 시스템 또는 RTOS)이 특정 하드웨어 환경에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특정 드라이버 및 기타 루틴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층이다. BSP는 맞춤 가능하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옵션의 선택을 기초로 어떠한 드라이버 및 루틴을 빌드(build)에 포함시킬지를 사용자가 특정할 수 있게 한다. 드라이버 및 보드 지원 층(1020)은, 특정 하드웨어 플랫폼의 모든 장비 및 특징의 지원을 구현하는, 하드웨어-특정 드라이버 및 다른 루틴을 포함한다.BSP 1020 is a software layer that contains hardware-specific drivers and other routines to enable a particular software system (typically a real-time operating system or RTOS) to function in a particular hardware environment. BSP is customizable, allowing the user to specify which drivers and routines to include in the buil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options. Driver and board support layer 1020 includes hardware-specific drivers and other routines that implement support for all equipment and features of a particular hardware platform.

시스템 소프트웨어 층(1030)은,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스레드-세이프 액세스(thread-safe access)를 제공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 층에 전달하며, 하드웨어 자원의 시스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별도의 스레드/모듈/서비스로 구성된다. 또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층(1030)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앱스트랙트 운영 시스템에 제공한다.The system software layer 1030 is a separate thread/module that provides thread-safe access to hardware resources, collects and passes data to the application layer, and performs system monitoring of hardware resources. /consists of services. Additionally, the system software layer 1030 provides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to the AppStract operating system.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층(1040)은 장치와의 사용자 상호 작용의 모든 비지니스 로직(business logic)을 설명한다.The application software layer 1040 describes all business logic of user interaction with the device.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통신 버스(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e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I2C 버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erforms control of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e.g., an I2C bus or any other suitable bus,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4A-4E). It may be configured in any suitable way so as to do so.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제어 섹션(211)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의 통신의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섹션(211)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섹션을 구비할 수 있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제어 섹션(211)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제어 섹션(211)이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의 제어를 수행하게 한다.By way of example, the control section 211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via a communication bus. For example, the control section 211 may have a memory section that stores a computer program that, when executed by the control section 211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uses the control section 211 to Control of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through a communication bus is performed.

도 11은 본원의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하게 하는 프로세스(11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1 illustrates a process 1100 for caus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example aspects herein. This is a flow chart.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제어 섹션(21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를 제어하여 도 11의 프로세스(1100)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 도 6a 및 도 6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의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As an example, control section 211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control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o perform process 1100 of FIG. 11 .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3, 6A and 6B, each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can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nd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on, is configured to activat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도 11의 프로세스 단계(S11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10, 120, 130) 중 하나의 확장 유닛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어드레스를 통신 버스의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 중에서 식별한다.In the process step S1101 of FIG. 1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uses a communication address to receive at least one signal from one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A communication address is identified amo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on a communication bus.

통신 버스는, 통신 버스를 통해서 통신하는 장치가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가능한 통신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는, 사용될 수 있는 고정된 수의 가능한 통신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4a 및 도 4b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I2C 어드레스는 7 비트를 가질 수 있고, 그에 따라 128개까지의 장치가 I2C 통신 버스에서 수용될 수 있는데, 이는 7-비트의 숫자가 0 내지 127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10-비트 어드레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더 많은 어드레스가 이용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안적으로,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사용되는 통신 어드레스를 고정된 수의 가능한 통신 어드레스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서 얻어진,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의해서 잠재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통신 어드레스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A communication bus may include a plurality of possible communication addresses that can be used by devices communicating over the communication bus. Such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may include a fixed number of possible communication addresses that can be used. As an example, as discussed above with respect to FIGS. 4A and 4B, an I2C address may have 7 bits, such that up to 128 devices can be accommodated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which is a 7-bit number. This is because it can be from 0 to 127. If 10-bit addresses are used, more addresses can be used.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may be provided to th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obtained by removing the communication addresses us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rom a fixed number of possible communication addresses. may contain a set of communication addresses that can potentially be used by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의 각각에 대해서, 통신 버스를 통해서 통신하기 위해 해당 통신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확장 유닛(110, 120, 13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신호가 해당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서 이러한 확장 유닛에 어드레스될 수 있는 경우에, 확장 유닛(110, 120, 130)은 특정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식별된 통신 어드레스는 통신 버스 상에서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의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결정된 통신 어드레스의 세트를 나타낸다.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for examp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whether a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expansion units 110, 120, 130 that use that communication address to communicate via a communication bus. You can decide whether or not. Expansion units 110, 120, 130 may be considered to be communicating using a specific communication address if a signal can be addressed to this expansion unit via a communication bus using that address. Accordingly, at least the identified communication addresses represent the set of communication addresses determined to be used by expansion units 110, 120, 130 on the communication bus.

예로서, 신호는, 확장 유닛(110, 120, 130)이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메시지, 통지 또는 표시일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signal may be any suitable message, notification, or indication that expansion unit 110, 120, 130 can transmit to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a communication bus.

더 구체적인 예로서, 수신된 신호는 확인(acknowledgement)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버스가 I2C 버스인 본 예시적 양태에서와 같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마스터 장치로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의 각각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I2C 버스에서 통신을 개시할 수 있고, 통신 버스에 연결된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즉, 슬레이브 장치)은 확인을 되돌려 보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인이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하기 전에, 정해진 횟수로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다.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received signal may include an acknowledgment. For example, in an exemplary aspect, such as in the present exemplary aspect where the communication bus is an I2C bu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s a master device)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2C bus by sending a signal to each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Communication can be initiated, and each expansion unit 110, 120, 130 (i.e., slave devic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bus can send back an acknowledgment. As a furthe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attempt to transmit a signal to each expansion unit 110, 120, 130 a set number of times before determining that an acknowledgment has not been received.

표 2는 예시적인 통신 어드레스{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에 대한,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수신된 신호의 예를 제공한다:Table 2 provides examples of signals receiv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via the communication bus for example communication addresses {000, 001, 010, 011, 100, 101, 110, 111}:

[표 2][Table 2]

표 2의 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110, 120, 130) 중 하나의 확장 유닛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에 이용되는 통신 어드레스로서 통신 어드레스{000, 011, 100}를 식별한다. 예로서, 확장 유닛(110)은 통신 어드레스(000)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확장 유닛(120)은 통신 어드레스(011)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확장 유닛(130)은 통신 어드레스(100)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able 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uses the communication address to receive a signal from one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 011, 100}. As an example, expansion unit 110 may communicate using communication address 000, expansion unit 120 may communicate using communication address 011, and expansion unit 130 may communicate using communication address (011). 100) can be used to communicate.

도 11의 프로세스 단계(S11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어드레스의 각각과, 신호가 수신된 확장 유닛을 나타내는 확장 유닛 식별자를 연관시킨다.In process step S1102 of FIG. 11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ssociates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address wit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ing the expansion unit from which the signal was received.

즉,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는 특정 확장 유닛(110, 120, 130)을 나타내거나 식별한다.That is,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represents or identifies a specific expansion unit (110, 120, 130).

즉,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신호를 수신하는 각각의 통신 어드레스는 신호를 전송한 확장 유닛을 나타내는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될 수 있다. 예로서,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는 임의의 적합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고유하게 식별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 유닛 식별자는 영숫자, 십진수, 16진수 또는 이진수 형태의 식별 숫자일 수 있다. 각각의 식별된 통신 어드레스와 연관된 확장 유닛 식별자는 해당 통신 어드레스를 기초로 할 수 있다(예를 들어, 통신 어드레스 또는 그 순열(permutation)이 확장 유닛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That is, each communication address at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 sig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may be associated wit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ing the expansion unit that transmitted the signal. By way of example,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may include any suitable information and may be in any suitable form that allows the expansion unit to be uniquely identified by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For example, the extended unit identifier may be an identifying number in alphanumeric, decimal, hexadecimal, or binary form. The extension unit identifier associated with each identified communication address may be based on that communication address (eg, a communication address or a permutation thereof may be used as the extension unit identifier).

표 3은, 상기 표 2에서 식별된, 통신 어드레스{000, 011, 100}와 각각 연관된 확장 유닛 식별자{aaa, bbb, ccc}의 예를 제공한다.Table 3 provides examples of expansion unit identifiers {aaa, bbb, ccc},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addresses {000, 011, 100}, identified in Table 2 above.

[표 3][Table 3]

즉, 이러한 예에서, 확장 유닛 식별자(aaa)는 확장 유닛(110)을 식별하고, 확장 유닛 식별자(bbb)는 확장 유닛(120)을 식별하고, 확장 유닛 식별자(ccc)는 확장 유닛(130)을 식별한다.That is, in this example,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aa) identifies expansion unit 110,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bbb) identifies expansion unit 120, and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ccc) identifies expansion unit 130. Identify .

도 11의 프로세스 단계(S110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110, 120, 130)의 현재 연결 상태를 결정한다.In the process step S1103 of FIG. 11,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예로서, 확장 유닛(110, 120, 130)의 각각의 연결 상태는,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 식별자가 연관된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이 통신 버스를 통해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each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may indicate whether the expansion uni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s a further exampl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each expansion unit 110, 120, 130 with whic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associated is physically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bus.

연관된 확장 유닛 식별자를 갖는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은, 확장 유닛으로부터의 신호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수신되는 시점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확장 유닛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가능성, 또는 (예를 들어, 잘못된 물리적 연결로 인해서, 또는 사용자가 확장 유닛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정확하게 부착하지 않은 것으로 인해서)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프로세스 단계(1103)는, 연관된 확장 유닛 식별자를 갖는 각각의 확장 유닛의 연결 상태를 검증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Each expansion unit 110, 120, 130, having an associated expansion unit identifier, will have be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t the time a signal from the expansion unit is receiv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Howev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ser may detach the expansion unit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g., due to an incorrect physical connection, or that the user may not attach the expansion unit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orrect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xpansion unit may be accidentally separa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ccordingly, process step 1103 may serve to verify the connection status of each expansion unit with its associated expansion unit identifier.

표 4는 전술한 표 3으로부터의 확장 유닛 식별자{aaa, bbb, ccc} 및 통신 어드레스{000, 011, 100}의 예를 제공하며, 각각의 확장 유닛의 상응 연결 상태가 확장 유닛 식별자{aaa, bbb, ccc}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Table 4 provides examples of expansion unit identifiers {aaa, bbb, ccc} and communication addresses {000, 011, 100} from the above-mentioned Table 3, and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tatus of each expansion unit is extended unit identifier {aaa, It is indicated by bbb, ccc}.

[표 4][Table 4]

도 11의 프로세스의 프로세스(1100)는 프로세스 단계(1104)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인 프로세스 단계(110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을 결정한다.Process 1100 of the process of FIG. 11 may optionally include process step 1104. In optional process step 110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onfigur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110, 120, 130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Determine the type.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은 해당 확장 유닛에 의해서 제공되는 특정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은 점멸등 기능, 촉각적 피드백 기능, 전력 공급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및 오디오 출력 기능 중 하나일 수 있다. 대안적인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103)을 기초로, 예를 들어 수단(103)이 센서, 작동기, 또는 전원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be a specific function provided by the corresponding expansion unit. For example,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be one of a flashing light function, a tactile feedback function, a power supply function, a display function, and an audio output function. As an alternative example,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may be activated based on means 103 for activating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e.g., based on whether means 103 comprises a sensor, actuator, or power source. can do.

확장 유닛(110, 120, 130)의 유형은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로서, 각각의 확장 유닛(110, 120, 130)은, 통신 버스를 통한 통신을 위해서 하나 이상의 특정 통신 어드레스만을 사용하도록 미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각각의 통신 어드레스와 그러한 통신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는 확장 유닛의 유형 사이의 상응성을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구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이러한 상응성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통신 버스를 통해 연결된 확장 유닛(110, 120, 130)과 추가적인 신호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ype of expansion unit 110, 120, 130 may be determined in any suitable manner. As an example, each expansion unit 110, 120, 130 may be pre-configured to use only one or more specific communication addresses for communication over a communication bus. In this cas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equipped in advance with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rrespondence between each communication address and the type of expansion unit that can use such communication address, an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accordingly Based on the correspondence,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an be determined. Alternative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by exchanging additional signals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130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bus. .

프로세스 단계(S110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고 확장 유닛(110, 120, 130)의 결정된 현재 연결 상태에 따라, 통신 버스를 통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110, 120, 130)과 통신하는 것을 제어한다.In process step S1105,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us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Controls communication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indicated by expansion unit identifiers through a communication bus.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선택적인 프로세스 단계(S1104)를 수행하는 본 예시적 양태와 같은 예시적인 양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결정된 유형에 따라,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such as this exemplary embodiment in whic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performs an optional process step (S110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clud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an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110, 120, 130,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unit 110, 120, 130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can be controlled.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해당 확장 유닛으로 전송할 명령 및 기타 메시지를 해당 통신 어드레스로 어드레싱하는 것에 의해서, 특정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특정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예로서, 해당 확장 유닛에 전송되는 메시지(신호)의 어드레스 프레임 내에서 해당 통신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ommunicates with a specific expansion unit (110, 120, 130) through a communication bus using a specific communication address by addressing commands and other messages to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expansion unit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address. can be controlled. This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including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address within the address frame of the message (signal)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expansion unit.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110, 120, 130)의 결정된 현재 연결 상태 그리고 선택적으로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에 따라,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특정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depending on the determined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110, 120, 130 and optionally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110, 120, 130, Communication with specific expansion units (110, 120, 130) can be controlled in an appropriate manner.

예로서,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되었다는 것을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가 나타내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명령을 확장 유닛에 전송하여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연결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가 나타내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과 통신하지 않을 수 있거나, 확인이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하기 전에 고정된 횟수로 확장 유닛에 신호를 송신하는 시도를 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urrent connection status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s that the expan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transmit a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can be controlled. In contrast, if the current connection status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s that the expansion unit is not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not communicate with the expansion unit or determines that no confirmation has been received. It may attempt to transmit a signal to the expansion unit a fixed number of times before doing so.

추가적인 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특정 확장 유닛에 전송된 명령 및 다른 메시지의 형태 및/또는 콘텐츠는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에 전송된 명령은 확장 유닛에 의해서 출력될 오디오 콘텐츠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할 수 있는 반면, 점멸등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에 전송된 명령은 그러한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확장 유닛이 광 방출 상태와 비-광 방출 상태 사이에서 토글링(toggle)되게 할 수 있다.As a further example, the form and/or content of commands and other messages transmitt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o a particular expansion unit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More specifically, a command sent to an expansion unit with an audio output function may include a data field containing information indicating audio content to be output by the expansion unit, while a command sent to an expansion unit with a blinking light function may include a data field contain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audio content to be output by the expansion unit. It may not include such a data field and may allow the expansion unit to toggle between light emitting and non-light emitting states.

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2 내지 도 16과 관련하여 설명된 프로세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고 확장 유닛(110, 120, 130)의 결정된 현재 연결 상태에 따라, 통신 버스를 통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110, 120, 130)과 통신하는 것을 제어한다.More general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uses,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by performing one or more of the processe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S. 12-16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connection status of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controll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us.

도 12는 본원의 제1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를 통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2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2 illustrates an example process 1200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130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 is a flow chart showing.

도 12의 프로세스 단계(S12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제1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결정된 유형에 따라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들 중 제1 확장 유닛에 전송될 명령을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201 of FIG. 1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lects a first expansion unit among the expansion units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first expansion unit. Determines the command to be sent to the unit.

예로서, 점멸등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에서, 결정된 명령은, 명령에 응답하여 확장 유닛의 적어도 하나의 LED가 광을 방출하게 하는 및/또는 방출 광이 깜박이거나 어두워지게 하는 명령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촉각적 피드백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에서, 결정된 명령은 확장 유닛이, 예를 들어 진동 형태의, 사용자를 위한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게 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기능 또는 오디오 출력 기능을 갖는 확장 유닛에서, 결정된 명령은,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각각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거나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게 하는 명령일 수 있다.For example, in an expansion unit with a blinking light function, the determined command may be a command that causes at least one LED of the expansion unit to emit light and/or cause the emitted light to blink or dim in response to the command. As a further example, in an extension unit with a tactile feedback function, the determined command may be a command that causes the extension unit to generate tactile feedback for the user, for example in the form of vibration. Additionally, in an expansion unit having a display function or an audio output function, the determined command may be a command that causes the expansion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r output audio content, respectively,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더 일반적으로, 결정된 명령은, 명령이 전송되는 확장 유닛의 수단(103)이 센서 또는 작동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독 명령은, 수단(103)이 센서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에 전송될 수 있는 반면, 기록 명령은, 수단(103)이 작동기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에 전송될 수 있다.More generally, the determined command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means 103 of the expansion unit to which the command is sent comprises a sensor or an actuator. For example, a read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nsion unit whose means 103 comprises a sensor, while a write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nsion unit whose means 103 comprises an actuator.

도 12의 프로세스 단계(S12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제1 확장 유닛을 나타내는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제1 확장 유닛에 명령을 전송한다.In process step S1202 of FIG. 12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ransmits a command to the first expansion unit via a communication bus using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representing the first expansion unit.

도 13은 본원의 제2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를 통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3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3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1300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130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aspect of the disclosure. ) is a flow chart showing.

도 13의 프로세스 단계(S13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확장 유닛에 판독 명령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제어를 주기적으로 수행한다.In the process step S1301 of FIG. 13,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lects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when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the first type. For , control of transmitting a read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is periodically performed using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예로서, 제1 유형은 확장 유닛의 수단(103)이 센서(예를 들어, 습도, 압력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고, 그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센서에 의해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규칙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By way of example, the first type may indicate that the means 103 of the expansion unit comprises a sensor (e.g. a humidity, pressure or temperature sensor), where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roduces the output by the sensor. Data can be obtained regularly.

예로서, 판독 명령을 확장 유닛에 전송하는 것의 제어는, 확장 유닛과 연관된 미리 규정된 빈도수에 따라 또는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규정된 빈도수는 1분에 1번, 1초에 1번, 또는 1초에 다수의 횟수일 수 있다.By way of example, control of sending read commands to the expansion unit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defined frequency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or according to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For example, the predefined frequency may be once per minute, once per second, or multiple times per second.

도 14는 본원의 제3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를 통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4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4 illustrates an example process 1400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130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 is a flow chart showing.

도 14의 프로세스(1400)는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와 관련하여 수행될 수 있다.Process 1400 of FIG. 14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도 14의 프로세스 단계(S14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주어진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의 연결 상태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401 of FIG. 1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given expansion unit identifier.

도 14의 프로세스 단계(S14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의 연결 상태가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402 of FIG. 14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the same as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의 연결 상태가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와 동일한 경우, 프로세스(1400)가 종료된다.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의 연결 상태가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1400)는 프로세스 단계(S1403)로 진행한다.If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the same as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the process 1400 ends. If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not the same as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the process 1400 proceeds to process step S1403.

도 14의 프로세스 단계(S140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의 연결 상태가 비-연결 상태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가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In the process step S1403 of FIG. 1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represents a non-connection state and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s a connection completed state. Determine whether to indicate .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 연결 상태가 비-연결 상태를 나타내고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가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프로세스(1400)는 단계(140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스(1400)는 단계(1405)로 진행한다.If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es a non-connection state and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s a connection completion state, the process 1400 proceeds to step 1404. Otherwise, process 1400 proceeds to step 1405.

도 14의 프로세스 단계(140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을 초기화한다. 예로서, 확장 유닛의 초기화는 확장 유닛의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확장 유닛의 매개변수는 확장 유닛에 포함되는 수단(103)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로서, 매개변수는 센서의 동작 주파수 또는 동기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In process step 1404 of FIG. 14,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itializes the expansion unit. By way of example, initialization of an expansion unit may include setting the value of one or more parameters of the expansion unit. The parameters of the expansion unit may vary depending on the means 103 included in the expansion unit. By way of example, the parameters may include the sensor's operating frequency or synchronization time.

도 14의 프로세스 단계(140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통지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는, 확장 유닛의 연결 상태가 변경되었는지 여부, 예를 들어 확장 유닛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In process step 1405 of FIG. 14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utputs a notification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 For example, this may inform the user whether the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has changed, for example whether the expansion unit has been disconnect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도 14의 프로세스 단계(S1405) 후에, 프로세스(1400)가 종료된다.After process step S1405 in Figure 14, process 1400 ends.

도 15는 본원의 제4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를 통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5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5 illustrates an exemplary process 1500 for enablin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130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aspect herein. ) is a flow chart showing.

도 15의 프로세스 단계(S15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입력 유닛(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버튼(17) 또는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적어도 하나의 I/O 섹션(15) 중 임의의 I/O 섹션)을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501 of FIG. 15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lects an input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e.g. the button 17 shown in FIG. 1 or at least one I/ described in relation to FIG. 2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via any I/O section of the O section (15).

도 15의 프로세스 단계(S15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제1 확장 유닛 식별자 및 연관된 제1 통신 어드레스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502 of FIG. 15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a first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n associated first communication address based on the received input.

도 15의 프로세스 단계(S150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제1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에 전송할 명령을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503 of FIG. 15,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first expansion unit identifier based on the received input.

도 15의 프로세스 단계(S150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연관된 제1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확장 유닛에 명령을 전송한다.In process step S1504 of FIG. 15,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ransmits a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via the communication bus using the associated first communication address.

예로서, 사용자는, 점멸등 기능을 활성화하는 확장 유닛의 LED를 턴 온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나타내는 입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터치 스크린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점멸등 기능을 활성화하는 확장 유닛의 확장 유닛 식별자 및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인식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LED를 턴 온시키도록 확장 유닛에 지시하는 것과 같은 명령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명령을 적절한 확장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user may provide input to the touch scree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presenting a command to turn on the LED of the expansion unit activating the blinker function. According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recognize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ssociated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expansion unit that activates the blinking light function based on the received input.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additionally determine commands, such as instructing an expansion unit to turn on an LED, and transmit these commands to the appropriate expansion unit.

도 16는 본원의 제5 예시적 양태에 따른,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를 통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예시적인 프로세스(16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6 illustrates an example process 1600 that allow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f FIG. 3 to control communication with expansion units 110, 120, 130 via a communication bus, according to a fifth example aspect of the disclosure. ) is a flow chart showing.

도 16의 프로세스 단계(16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들 중 하나의 확장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1601 of Figure 16,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 signal via a communication bus from one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indicative of input by a user of the aerosol-generating device.

도 16의 프로세스 단계(16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 식별자 및 확장 유닛의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결정한다.At process step 1602 of FIG. 16,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the expansion unit's associated communication address.

도 16의 프로세스 단계(160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확장 유닛에 전송할 명령을 결정한다.In process step 1603 of FIG. 16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a command to transmit to the expansion unit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도 16의 프로세스 단계(160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결정된 연관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확장 유닛에 명령을 전송한다.In process step 1604 of FIG. 16,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ransmits a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via a communication bus using the determined associated communication address.

예로서, 사용자는 점멸등 기능을 활성화하는 확장 유닛의 입력 유닛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고, 확장 유닛은 이러한 입력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 유닛의 확장 유닛 식별자를 입력이 수신된 확장 유닛에 의해서 사용되는 통신 어드레스와 연관된 것으로 결정한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추가적으로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LED를 턴 온시키도록 확장 유닛에 지시하는 것과 같은 명령을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명령을 적절한 확장 유닛에 전송할 수 있다.As an example, a user may provide input to an input unit of the expansion unit that activates a blinking light function, and the expansion unit may transmit this input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of the expansion unit to be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address used by the expansion unit from which the input was receive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may additionally determine commands, such as instructing the expansion unit to turn on the LE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transmit these commands to the appropriate expansion unit.

도 11의 프로세스(1100)를 다시 참조하면, 이러한 프로세스는, 어떠한 어드레스가 연결된 확장 유닛(110, 120, 130)에 의한 통신을 위해서 사용되는지 그리고 통신 버스를 통한 이러한 확장 유닛(110, 120, 130)과의 통신을 적절히 제어하기 위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가 통신 버스의 통신 어드레스를 통해서 단순하고 효율적으로 스캔할 수 있게 한다.Referring back to the process 1100 of FIG. 11, this process determines which addresses are used for communication by the connected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and which addresses are used for communication by these expansion units 110, 120, and 130 over the communication bus.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simply and efficiently scan through the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communication bus.

도 11의 프로세스(1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연결된 확장 유닛(110, 120, 130)에 관한 최신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Process 1100 of FIG. 11 may be performed periodically by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this wa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n maintain up-to-date information about the connected expansion units 110, 120, 130.

따라서, 도 11의 프로세스(100)는,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기능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제공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프로세스(1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기능을 부가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메모리 공간, 전원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어떠한 제약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장치가 비교적 작은 크기 그리고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의 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ocess 100 of FIG. 11 may facilitate the provision of means by which additional functionality may be provid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s desired. Additionally, the process 1100 of FIG. 11 allows adding functionality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hile also remaining within any constraints on the memory space, power, and user interface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is may facilitate the provision of means by which the device can maintain a relatively small size and relatively light weight.

도 17a 내지 도 17c, 도 18a 내지 도 18g, 도 19a 내지 도 19c 및 도 20a 내지 도 20c는, 도 11의 프로세스(110)가 I/O 섹션으로서 터치 스크린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 지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확장 유닛은 또한 확장기로도 지칭된다.17A-17C, 18A-18G, 19A-19C and 20A-20C are diagrams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which the process 110 of FIG. 11 has a touch screen as I/O section. This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how it can be implemented in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shown at 10. Hereinafter, the expansion unit is also referred to as an expander.

도 17a 내지 도 17c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층(104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S. 17A-17C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the application software layer 1040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shown in FIG. 10.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그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초기화한다.In process step S1701 of FIG. 17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itializes its hardware components.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 모듈을 생성하고 초기화한다.In process step S1702 of FIG. 17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reates and initializes the touch screen module.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허브 모듈을 생성하고 초기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를 도 18a에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In process step S1703 of FIG. 17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erforms a process to create and initialize the expander hub module. This process is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FIG. 18A.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7b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터치 스크린 이벤트 콜백 프로세스(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를 등록한다.In process step S1704 of FIG. 17A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gisters the 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7B.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7c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를 등록한다.In process step S1705 of FIG. 17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gisters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7C.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6)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OS(운영 시스템) 스케줄러를 시작하고 이어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In process step S1706 of FIG. 17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tarts the OS (operating system) scheduler and then ends the process.

도 17b는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4)에서 등록된 터치 스크린 이벤트 콜백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7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 registered in process step S1704 of FIG. 17A.

도 17b의 프로세스 단계(S171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터치 스크린 이벤트 콜백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이벤트 유형을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711 of FIG. 17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n event type as input to the 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

도 17b의 프로세스 단계(S171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이벤트 유형이 터치 스크린의 이중 탭핑(double tap)인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712 of FIG. 17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event type is a double tap of the touch screen.

이벤트 유형이 터치 스크린의 이중 탭핑인 경우에, 터치 스크린 이벤트 콜백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S171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터치 스크린 이벤트 콜백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f the event type is double tapping of the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S1713. Otherwise, the 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 terminates.

도 17b의 프로세스 단계(S171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g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작동기 명령 확장기 허브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터치 스크린 이벤트 콜백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713 of FIG. 17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s the actuator command expander hub process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G. Then, the touch screen event callback process ends.

도 17c는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5)에서 등록된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7C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registered in process step S1705 of FIG. 17A.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S172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확장기 유형 및 연결 상태를 수신한다. 이러한 입력은 도 18f와 관련하여 설명된 스캐닝 절차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In process step S1721 of FIG. 17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the expander type and connection state as input to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This input may be provided by the scanning procedure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F.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S172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연결 상태가 확장기가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722 of FIG. 17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connection status indicates that the expander is connected.

연결 상태가 확장기의 연결을 나타내는 경우,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단계(S1723)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S1726)로 진행한다.If the connection status indicates a connection of an expander, the expander connection status change callback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S1723. If not,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S1726.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S172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유형이 센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723 of FIG. 17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expander type is a sensor.

확장기 유형이 센서인 경우,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S172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1726)로 진행한다.If the expander type is a sensor,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S1724). Otherwise,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1726.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S172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데이터 준비 콜백 프로세스를 등록한다.In process step S1724 of FIG. 17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gisters the diastolic data preparation callback process.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S172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b와 관련하여 설명된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pooling)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In process step S1725 of FIG. 17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s the process for pooling data from the diastolic sensor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B.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S1726)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사용자에게 통지를 제공한다. 이어서,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726 of FIG. 17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rovides a notification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hen,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process ends.

도 18a 내지 도 18g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의 시스템 소프트웨어 층(10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S. 18A-18G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the system software layer 1030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shown in FIG. 10.

도 18a는 도 17a의 프로세스 단계(S1703)에서 실행된 확장기 허브 모듈을 생성하고 초기화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8A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cess for creating and initializing an expander hub module executed in process step S1703 of FIG. 17A.

도 18a의 프로세스 단계(S18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d와 관련하여 설명된 프로세스에서 프로세스되기 전에 이벤트를 저장하는 이벤트 세트를 위한 컨테이너인, 이벤트 그룹을 생성한다.In process step S1801 of FIG. 18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reates an event group, which is a container for a set of events that stores events before being processed in the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D.

도 18a의 프로세스 단계(S18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d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확장기 허브 스레드를 생성한다. 이어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802 of FIG. 18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generates the dilator hub thread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D. Then the process ends.

도 18b는 도 17c의 프로세스 단계(1725)에서 실행된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8B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for pooling data from a diastolic sensor executed in process step 1725 of FIG. 17C.

도 18b의 프로세스 단계(S181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Hz의 확장기 데이터 속도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811 of FIG. 18B,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 diastolic data rate in Hz as input to a process for pulling data from diastolic sensors.

도 18b의 프로세스 단계(S181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e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를 생성한다. 이어서,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812 of FIG. 18B,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generates the expander <x> data preparation timer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E. The process for pulling data from the diastolic sensor then ends.

도 18c는 스캐닝 타어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ure 18C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scanning tarmac process.

도 18c의 프로세스 단계(S182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타임아웃의 값을 1초로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821 of FIG. 18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the timeout value to 1 second.

도 18c의 프로세스 단계(S182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1밀리초 동안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행을 지연시킨다.In process step S1822 of FIG. 18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lays execution of the process for pulling data from the diastolic sensor for 1 millisecond.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2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타임아웃의 값을 1밀리초만큼 감소시킨다.In process step S1823 of FIG. 18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creases the value of timeout by 1 millisecond.

타임아웃이 0에 도달하면, 도 18c의 프로세스 단계(S182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스캐닝 이벤트를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출력으로서 전송한다(도시된 흐름도의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타임아웃 값을 1000ms로 설정할 수 있고 1밀리초로 지연시킬 수 있으며; 타임아웃 값이 0 초과인 동안 타임아웃 값은 1밀리초만큼 감소될 수 있고 프로세스가 반복될 수 있으며; 0에 도달하면, 이벤트는 종료된다). 이어서, 확장기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When the timeout reaches 0, in process step S1824 of FIG. 18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transmits a scanning event as the output of the process for pulling data from the diastolic sensor (one of the flow diagrams shown). In an illustrative example, the timeout value can be set to 1000 ms and delayed by 1 millisecond; the timeout value can be decreased by 1 millisecond and the process can be repeated while the timeout value is above 0; 0 When reached, the event ends). The process for pulling data from the diastolic sensor then ends.

도 18d는 도 18a의 프로세스 단계(S1802)에서 생성된 확장기 허브 스레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8D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expander hub thread created in process step S1802 of FIG. 18A.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c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은 스캐닝 타어머를 생성한다.In process step S1831 of FIG. 18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generates a scanning tarmer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C.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타임아웃의 값을 0초로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832 of FIG. 18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the value of timeout to 0 seconds.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다음 이벤트의 수신까지 대기한다.In process step S1833 of FIG. 18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waits until receipt of the next event.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허브 스레드에 대한 입력으로서, 확장기 허브 이벤트 내용을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834 of FIG. 18D,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expander hub event content as input to the expander hub thread.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이벤트를 규정한다.In process step S1835 of FIG. 18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fines an event.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6)에서, (도 18g와 관련하여 설명된 작동기 명령 확장기 허브 프로세스의 출력인) 명령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9a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명령을 특정 확장기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확장기 허브 스레드는 프로세스 단계(S1832)로 복귀한다.At process step S1836 of FIG. 18D , in response to receipt of a command event (which is an output of the actuator command expander hub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G ),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erforms the command event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9A As shown, a process for transmitting a command to a specific extender is executed. The expander hub thread then returns to process step S1832.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7)에서, (도 18c와 관련하여 설명된 확장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풀링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출력인) 스캐닝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8f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스캐닝 절차를 실행한다. 이어서, 확장기 허브 스레드는 프로세스 단계(S1832)로 복귀한다.In process step S1837 of FIG. 18D, in response to receiving a scanning event (which is the output of the process for pulling data from the expander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 the scanning procedure, as described in relation thereto. The expander hub thread then returns to process step S1832.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8)에서, (도 18e와 관련하여 설명된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의 출력인) 데이터 준비 이벤트의 수신에 응답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9b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 확장기로부터의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확장기 허브 스레드는 프로세스 단계(S1839)로 진행한다.At process step S1838 of FIG. 18D, in response to receipt of a data ready event (which is an output of the expander <x> data ready timer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8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erforms the steps of FIG. 19B and As described herein, a process for reading data from a particular expander is executed. The expander hub thread then proceeds to process step S1839.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1839)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데이터 준비 콜백 프로세스를 호출한다. 이어서, 확장기 허브 스레드는 프로세스 단계(S1832)로 복귀한다.At process step 1839 of FIG. 18D,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lls the data preparation callback process. The expander hub thread then returns to process step S1832.

도 18e는 도 18b의 프로세스 단계(1812)에서 생성된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8E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Expander <x> Data Ready Timer process generated in process step 1812 of FIG. 18B.

도 18e의 프로세스 단계(S184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Hz의 확장기 데이터 속도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841 of FIG. 18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 diastolic data rate in Hz as input to the diastolic <x> data ready timer process.

도 18e의 프로세스 단계(S184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타임아웃의 값을 프로세스 단계(S1841)에서 수신된 Hz의 확장기 데이터 속도로 나눈 1000밀리초로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842 of FIG. 18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the value of the timeout to 1000 milliseconds divided by the diastolic data rate in Hz received in process step S1841.

도 18e의 프로세스 단계(S184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1밀리초 동안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의 실행을 지연시킨다.In process step S1843 of FIG. 18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lays execution of the expander <x> data ready timer process for 1 millisecond.

도 18e의 프로세스 단계(S184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타임아웃의 값을 1밀리초만큼 감소시킨다.In process step S1844 of FIG. 18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creases the value of timeout by 1 millisecond.

타임아웃이 0에 도달하면, 도 18e의 프로세스 단계(S184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데이터 준비 이벤트를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의 출력으로서 전송한다. 이어서, 확장기 <x> 데이터 준비 타이머 프로세스가 종료된다(예시적인 예가 도 18c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도출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단계(S1824)와 관련한 설명을 참조한다).When the timeout reaches 0, in process step S1845 of Figure 18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nds a data ready event as the output of the expander <x> data ready timer process. The expander <x> data ready timer process then terminates (an illustrative example can be derived similarly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18C, see the description regarding step S1824).

도 18f는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S1837)에서 실행된 스캐닝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8F is a flowchart showing the scanning procedure executed in process step S1837 of FIG. 18D.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9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In process step S1851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s a process to obtain a list of connected dilators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9C.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실행으로부터의 스캐닝 절차에 대한 입력으로서,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852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the list of connected dilators as input to a scanning procedure from execution of a process to obtain the list of connected dilators.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변수(i)를 0으로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853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variable (i) to 0.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가 연결된 확장기 개수 미만인 동안, 스캐닝 절차를 반복하도록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854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s set to repeat the scanning procedure as long as i is less than the number of connected expanders.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의 값에 상응하는 확장기의 현재 연결 상태가 이전의 연결 상태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855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dilator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is the same as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i의 값에 상응하는 확장기의 현재 연결 상태가 이전의 연결 상태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스캐닝 절차는 프로세스 단계(S185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스캐닝 절차는 프로세스 단계(S1859)로 진행한다.If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der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is not the same as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the scanning procedure proceeds to process step S1856. Otherwise, the scanning procedure proceeds to process step S1859.

프로세스(S1856)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i의 값에 상응하는 확장기의 현재 연결 상태가 연결된 확장기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1856,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der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indicates a connected expander.

i의 값에 상응하는 확장기의 현재 연결 상태가 연결된 확장기를 나타내는 경우, 스캐닝 절차는 프로세스 단계(S185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스캐닝 절차는 프로세스 단계(S1858)로 진행한다.If the current connection status of the expander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indicates a connected expander, the scanning procedure proceeds to process step S1857. Otherwise, the scanning procedure proceeds to process step S1858.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7)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의 값에 상응하는 확장기를 초기화한다.In process step S1857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itializes the expander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8)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17c와 관련하여 설명된 확장기 연결 상태 변화 콜백을 호출한다.In process step S1858 of FIG. 18F,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calls the expander connection state change callback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7C.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S1859)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i의 값이 연결된 확장기의 수와 동일해 질 때, 스캐닝 절차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859 of FIG. 18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creases the value of i by 1. When the value of i becomes equal to the number of connected expanders, the scanning procedure ends.

도 18g는 도 17b의 프로세스 단계(S1713)에서 실행된 작동기 명령 확장기 허브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8G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actuator command expander hub process executed in process step S1713 of FIG. 17B.

도 18g의 프로세스 단계(S186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작동기 명령을 수신한다(예를 들어, 해당 확장기의 작동기를 이용하는 확장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나타내는 정보가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송신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작동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된다).In process step S1861 of FIG. 18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n actuator command (e.g., information representing a user's input to an expander using an actuator of that expander is transmit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via a communication bus. transmitted to 200 or input by a user using an actuator, such as a touch screen, of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도 18g의 프로세스 단계(S186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작동기 명령 확장기 허브 프로세스의 출력으로서, 명령 이벤트를 전송한다. 이어서, 작동기 명령 확장기 허브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862 of Figure 18g,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sends a command event as an output of the actuator command expander hub process. The actuator command expander hub process then terminates.

도 19a 내지 도 19c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의 보드 지원 층(10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S. 19A-19C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the board support layer 1020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shown in FIG. 10.

도 19a는 명령을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1836)에서 실행된 특정 작동기 확장기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9A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for sending instructions to a specific actuator expander executed at process step 1836 of FIG. 18D.

도 19a의 프로세스 단계(S19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명령을 특정 작동기 확장기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확장기 ID 및 명령을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901 of FIG. 19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n expander ID and command as input to the process for transmitting the command to a specific actuator expander.

도 19a의 프로세스 단계(S19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ID를 기초로 인터페이스 및 드라이버를 규정한다.In process step S1902 of FIG. 19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fines the interface and driver based on the expander ID.

도 19a의 프로세스 단계(S190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20a와 관련하여 설명된 I2C 기록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명령을 특정 작동기 확장기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903 of FIG. 19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s the I2C write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20A. The process for transmitting commands to specific actuator expanders then ends.

도 19b는 명령을 도 18d의 프로세스 단계(1838)에서 실행된 특정 확장기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9B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reading data from a particular expander whose instructions are executed at process step 1838 of FIG. 18D.

도 19b의 프로세스 단계(S191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특정 확장기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확장기 ID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1911 of FIG. 19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n expander ID as an input to the process for reading data from a specific expander.

도 19b의 프로세스 단계(S191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 ID를 기초로 인터페이스 및 드라이버를 규정한다.In process step S1912 of FIG. 19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fines the interface and driver based on the expander ID.

도 19b의 프로세스 단계(S191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20b와 관련하여 설명된 I2C 판독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어서, 특정 확장기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1913 of FIG. 19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s the I2C readout proces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20B. Then, the process for reading data from a particular expander ends.

도 19c는 명령을 도 18f의 프로세스 단계(1851)에서 실행된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19C i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for obtaining a list of connected expanders whose instructions are executed at process step 1851 of FIG. 18F.

도 19c의 프로세스 단계(192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확장기의 모든 가능한 I2C 어드레스의 목록을 획득한다.In process step 1921 of FIG. 19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obtains a list of all possible I2C addresses of the expander.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변수(i)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922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the value of variable (i) to 0.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가 확장기의 가능한 I2C 어드레스의 개수 미만인 동안,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반복하도록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1923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s set to repeat the process to obtain a list of connected expanders while i is less than the number of possible I2C addresses of the expanders.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도 20c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I2C 통신 버스 상의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In process step S1924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executes a process to check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20C.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ACK가 i의 값에 상응하는 I2C 어드레스에 대해서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1925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an ACK has been received for the I2C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ACK가 i의 값에 상응하는 I2C 어드레스에 대해서 수신된 경우, 프로세스는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S1926)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단계(S1927)로 진행한다.If an ACK is received for the I2C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the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S1926 to obtain a list of connected extenders. If not, the process to obtain a list of connected expanders proceeds to process step S1927.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6)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의 값에 상응하는 I2C 어드레스를 기초로 하는 확장기 ID를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에 추가한다.In process step S1926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adds an expander ID based on the I2C address corresponding to the value of i to the list of connected expanders.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7)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In process step S1927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creases the value of i by 1.

i의 값이 확장기의 가능한 I2C 어드레스의 개수와 같아질 때,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을 획득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S1928)로 진행한다. 도 19d의 프로세스 단계(S1928)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연결된 확장기의 목록으로 복귀한다.When the value of i becomes equal to the number of possible I2C addresses of the expander, the process for obtaining the list of connected expanders proceeds to process step S1928. In process step S1928 of FIG. 19D,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turns to the list of connected expanders.

도 20a 내지 도 20c는 도 10에 도시된 층 소프트웨어 아키텍처(1000)의 하드웨어 앱스트랙션 층(10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에 의해서 수행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S. 20A-20C are flow diagrams illustrating operations perform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 the hardware abstraction layer 1010 of the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1000 shown in FIG. 10.

도 20a는 도 19a의 프로세스 단계(S1903)에서 실행된 I2C 기록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20A is a flowchart showing the I2C write process executed in process step S1903 of FIG. 19A.

도 20a의 프로세스 단계(S200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기록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장치 어드레스, 레지스터, 기록하기 위한 데이터, 및 데이터의 크기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2001 of FIG. 20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as input to the I2C write process, a device address, a register, data to write, and the size of the data.

도 20a의 프로세스 단계(S200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하드웨어 기록 시퀀스를 수행한다. 이어서, I2C 기록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2002 of FIG. 20A,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erforms an I2C hardware write sequence. Then, the I2C write process ends.

도 20b는 도 19b의 프로세스 단계(S1913)에서 실행된 I2C 판독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FIG. 20B is a flowchart showing the I2C read process executed in process step S1913 of FIG. 19B.

도 20b의 프로세스 단계(S201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기록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장치 어드레스, 레지스터, 데이터에 대한 버퍼 및 데이터의 크기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2011 of FIG. 20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the device address, register, buffer for data, and size of data as input to the I2C write process.

도 20b의 프로세스 단계(S201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하드웨어 판독 시퀀스를 수행한다. 이어서, I2C 판독 프로세스가 종료된다.In process step S2012 of FIG. 20B,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performs an I2C hardware read sequence. Then, the I2C read process ends.

도 20c는 도 19c의 프로세스 단계(S1924)에서 실행된 I2C 통신 버스 상의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FIG. 20C shows a flow diagram illustrating the process for checking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executed in process step S1924 of FIG. 19C.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1)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통신 버스 상에서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대한 입력으로서, 장치 어드레스 및 시도의 횟수(a number of trials)를 수신한다.In process step S2021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ceives the device address and a number of trials as input to the process for checking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Receive.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2)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변수(i)의 값을 0으로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2022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the value of variable (i) to 0.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3)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가 시도의 횟수 미만인 동안, I2C 통신 버스 상에서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반복되도록 설정한다.In process step S2023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sets the process for checking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to be repeated while i is less than the number of attempts.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4)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START 조건을 생성한다.In process step S2024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generates an I2C START condition.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5)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2C I2C STOPF 플래그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In process step S2025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I2C I2C STOPF flag is set.

I2C STOPF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 I2C 통신 버스 상의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단계(S2027)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I2C 통신 버스 상의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단계(S2026)로 진행한다.If the I2C STOPF flag is set, the process to check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proceeds to process step (S2027). If not, the process for checking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proceeds to process step S2026.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6)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i의 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In process step S2026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increases the value of i by 1.

i의 값이 시도의 횟수와 같아질 때, I2C 통신 버스 상의 장치 확인(ACK)을 체크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프로세스 단계(S2027)로 진행한다. 도 20c의 프로세스 단계(S2027)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200)는 체크의 결과로 복귀한다.When the value of i becomes equal to the number of attempts, the process proceeds to process step S2027 to check device acknowledgment (ACK) on the I2C communication bus. In process step S2027 of FIG. 20C,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200 returns with the results of the check.

또한, 이하의 양태가 제공된다:Additionally, the following aspects are provided:

A1.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확장 유닛으로서,A1. An expa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확장 유닛의 제1 단부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 가능한,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At a first end of the expansion unit,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ng,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을 포함하는, 확장 유닛.An expansion unit containing.

A2. 양태 A1에 있어서,A2. In aspect A1,

제1의 다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부에 대향되는 확장 유닛의 제2 단부에 위치되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확장 유닛.The expansion unit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located at a second end of the expansion unit opposite the first end, connectable to the first other expansion unit.

A3. 양태 A2에 있어서,A3. In aspect A2,

제1 연결 인터페이스는 제2의 다른 확장 유닛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a second other expansion unit;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확장 유닛.An expansion unit,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can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4. 양태 A2 또는 양태 A3에 있어서,A4. The method of Aspect A2 or A3,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또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제1의 다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 간섭 핏 연결부, 플러그 연결부, 및 소켓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An expansion unit,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magnetic connection, an interference fit connection, a plug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to the first other expansion unit. .

A5. 양태 A2 내지 양태 A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A5. In any one of Aspect A2 to A4,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data terminals and/or one or more power terminals, and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interfaces include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 , expansion unit.

A6. 양태 A1 내지 양태 A5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A6. In any one of Aspect A1 to A5,

확장 유닛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유닛.The expansion unit,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7. 양태 A1 내지 양태 A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A7. In any one of Aspect A1 to A6,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점멸등 기능을 포함하고;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flashing light function;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An expansion unit,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t least one LED.

A8. 양태 A7에 있어서,A8. In aspect A7,

적어도 하나의 LED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방출하고/방출하거나 방출 광이 깜빡이거나 어두워지도록 구성되는, 확장 유닛.The expansion unit, wherein the at least one LED is configured to emit light and/or cause the emitted light to blink or dim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9. 양태 A1 내지 양태 A8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A9. In any one of Aspect A1 to A8,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촉각적 피드백 기능을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tactile feedback func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형태의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해서, 편심 회전 질량체(ERM) 진동 모터 및 선형 공진 작동기(LRA),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The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n eccentric rotating mass (ERM) vibration motor and a linear resonant actuator (LRA),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tactile feedback in the form of vibration. , an expansion uni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vibration motor.

A10. 양태 A1 내지 양태 A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A10. In any one of Aspect A1 to A6,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연결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기능을 포함하고;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power supply function to provide power to the connected device;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포함하는, 확장 유닛.An expansion unit,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t least one power source.

A11. 양태 A8에 있어서,A11. In aspect A8,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전원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확장 유닛.An expansion unit,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further comprises a control section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power source.

A12. 양태 A1 내지 양태 A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A12. In any one of Aspect A1 to A6,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고;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display function;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정보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The extension unit,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t least one display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to a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13.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서, 전원 유닛은,A1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unit, the power unit comprising:

전원;everyone;

제어 섹션; 및control section; and

양태 A1 내지 양태 A12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인터페이스A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an expansion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A1 to A12.

를 포함하고,Including,

제어 섹션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의한 전력 공급의 방향, 및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The control sec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transmission of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A14. 양태 A13에 있어서,A14. In aspect A13,

연결 인터페이스는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 간섭 핏 연결부, 플러그 연결부, 및 소켓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하거나;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gnetic connection, an interference fit connection, a plug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연결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 및/또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연결 인터페이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herein 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data terminals and/or one or more power terminals, and preferably 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

A15. 시스템으로서,A15. As a system,

양태 A13 또는 양태 A14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spect A13 or aspect A14; and

양태 A1 내지 양태 A14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제1 확장 유닛A first expansion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A1 to A14.

을 포함하고,Including,

제1 확장 유닛은 전원 유닛의 연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시스템.The system wherein the first expans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interface of the power unit.

B1. 통신 버스를 통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의 각각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 이외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며, 방법은,B1. A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with one or more expansion units over a communication bus, wherein each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can be connected to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other than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figured to activat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the method comprising: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들 중 하나의 확장 유닛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에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어드레스를 통신 버스의 복수의 통신 어드레스 중에서 식별하는 단계;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identify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address used for receiving a signal from one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amo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addresses on the communication bus;

적어도 하나의 통신 어드레스의 각각과, 신호가 수신된 확장 유닛을 나타내는 확장 유닛 식별자를 연관시키는 단계;Associating each of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address wit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ing the expansion unit from which the signal was received;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determining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고 확장 유닛의 결정된 현재 연결 상태에 따라 통신 버스를 통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과 통신하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controlling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through a communication bus using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를 포함하는, 방법.Method, including.

B2. 양태 B1에 있어서,B2. In aspect B1,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determining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과의 통신이,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결정된 유형에 따라 더 제어되는, 방법.The method wherein,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further controlled according to a determined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B3. 양태 B2에 있어서,B3. In aspect B2,

제1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결정된 유형에 따라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들 중 제1 확장 유닛에 전송될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a first expansion unit among expansion units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ccording to the determined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first expansion unit; and

제1 확장 유닛을 표시하는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제1 확장 유닛에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command to the first expansion unit via a communication bus using a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ing the first expansion unit.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A method further comprising:

B4. 양태 B2 또는 양태 B3에 있어서,B4. In aspect B2 or aspect B3,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와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확장 유닛에 판독 명령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제어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If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the first type, 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a read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using the communication address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 method further comprising periodically performing control over transmitting.

B5. 양태 B4에 있어서,B5. In aspect B4,

판독 명령을 확장 유닛에 전송하는 것의 제어는, 확장 유닛과 연관된 미리 규정된 빈도수에 따라 또는 확장 유닛에 의해서 활성화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의 유형에 따라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방법.Method, wherein control of transmitting read commands to the expansion unit is performed periodically according to a predefined frequency associated with the expansion unit or according to the type of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activated by the expansion unit.

B6. 양태 B1 내지 양태 B5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B6. In any one of Aspect B1 to Aspect B5,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 연결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및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determining a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 연결 상태가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통지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if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s not the same as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outputting a notification to the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A method further comprising:

B7. 양태 B6에 있어서,B7. In aspect B6,

각각의 확장 유닛 식별자에 대해서,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의 이전 연결 상태가 비-연결 상태를 나타내고 확장 유닛의 현재 연결 상태가 연결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확장 유닛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For each expansion unit identifier, if the previous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expansion unit identifier indicates a non-connection state and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the expansion unit indicates a connection completion state, an additional step of initializing the expansion unit is added. Including, method.

B8. 양태 B1 내지 양태 B7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B8. In any one of Aspect B1 to Aspect B7,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입력 유닛을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input from a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rough an input unit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제1 확장 유닛 식별자 및 연관된 제1 통신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first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n associated first communication address based on the received input;

수신된 입력을 기초로 제1 확장 유닛 식별자에 의해서 표시된 확장 유닛에 전송할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expansion unit indicated by the first expansion unit identifier based on the received input; and

연관된 제1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확장 유닛에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via a communication bus using the associated first communication address.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A method further comprising:

B9. 양태 B1 내지 양태 B8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B9. The method of any one of Aspects B1 to B8,

통신 버스를 통해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들 중 하나의 확장 유닛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signal from one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representing input by a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via a communication bus;

확장 유닛 식별자 및 확장 유닛의 연관된 통신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expansion unit identifier and an associated communication address of the expansion unit;

수신된 신호를 기초로 확장 유닛에 전송할 명령을 결정하는 단계; 및determining a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expansion unit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and

결정된 연관 통신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 버스를 통해 확장 유닛에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command to the expansion unit through a communication bus using the determined associated communication address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A method further comprising:

B10. 양태 B1 내지 양태 B9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B10. In any one of Aspect B1 to Aspect B9,

통신 버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통신 버스이고;The communication bus is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communication bus;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서 기능하고;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functions as a master device;

하나 이상의 확장 유닛의 각각은 슬레이브 장치로서 기능하는, 방법.A method, wherein each of the one or more expansion units functions as a slave device.

B11.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명령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섹션에 의해서 실행될 때, 제어 섹션이 양태 B1 내지 양태 B10 중 어느 한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B11.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wherein the instructions, when executed by a control sec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use the control section to perform the method of any one of aspects B1 to B10.

B12. 양태 B1 내지 양태 B10 중 어느 한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어 섹션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전원 유닛.B12. A power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section configured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aspects B1 to B10.

B13. 양태 B12에 따른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B13.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unit according to aspect B12.

전술한 A 양태 중 임의의 양태가 전술한 B 양태 중 임의의 양태와 조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any of the Aspects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with any of the Aspects B described above.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는 단지 독립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되는 본 발명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이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this is merely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independent claims and should not be considered limiting.

Claims (15)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확장 유닛으로서,
상기 확장 유닛의 제1 단부에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 가능한,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에어로졸 생성에 더하여,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에 의한 전력 공급의 크기 및 전력 공급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서 제어되는, 확장 유닛.
An expa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t a first end of the expansion unit, a first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ans for activating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addition to aerosol generating,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power terminals, and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is controlled b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 expans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부에 대향되는 상기 확장 유닛의 제2 단부에서, 제1의 다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제2 연결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paragraph 1,
At a second end of the expansion unit opposite the first end, the expansion un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the first other expansion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는 제2의 다른 확장 유닛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may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a second other expansion unit;
Expansion unit, wherein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can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 또는 상기 제1의 다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 간섭 핏 연결부, 플러그 연결부, 및 소켓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paragraph 2 or 3,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or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comprises at least one of a magnetic connection, an interference fit connection, a plug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or to the first other expansion unit. expansion unit.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인터페이스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및 제2 연결 인터페이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data terminals, and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interfaces include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연결될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expansion unit, when connected to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i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점멸등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flashing light function;
An expansion unit,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t least one 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광을 방출하고/방출하거나 방출 광이 깜빡이게 하거나 어두워지게 하도록 구성되는, 확장 유닛.
In clause 7,
Wherein the at least one LED is configured to emit light and/or cause the emitted light to blink or dim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촉각적 피드백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진동 형태의 촉각적 피드백을 생성하기 위해서, 편심 회전 질량체(ERM) 진동 모터 및 선형 공진 작동기(LRA) 진동 모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tactile feedback function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n eccentric rotating mass (ERM) vibration motor and a linear resonant actuator,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o generate tactile feedback in the form of vibration. LRA) expansion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vibration motors.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은 연결된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전원을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power supply function for supplying power to a connected device;
and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t least one power sour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전력 공급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clause 8,
The expansion unit, wherein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further comprises a control section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and direction of the power supply.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이 디스플레이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수단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정보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확장 유닛.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includes a display function;
The means for activating the at least one additional function comprises at least one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to a user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전원 유닛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로서, 상기 전원 유닛은,
전원;
제어 섹션; 및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전력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섹션은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전력 공급의 크기 및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에 의한 전력 공급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unit, the power unit comprising:
everyone;
control section; and
Connection interface connectable to the expansion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Including,
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power terminals, and the control section is configured to control at least one of the magnitude of power supply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and the direction of power supply by the connection interf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확장 유닛에 연결될 수 있는 자기 연결부, 간섭 핏 연결부, 플러그 연결부, 및 소켓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하거나;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한 데이터의 전달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According to clause 13,
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at least one of a magnetic connection, an interference fit connection, a plug connection, and a socket connec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expansion unit;
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data terminals, the connection interface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transfer of data through the connection interface, preferably the connection interface includes an inter-integrated circuit (I2C) interface,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시스템으로서,
제13항 또는 제14항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1 확장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확장 유닛은 상기 전원 유닛의 연결 인터페이스에 연결되는, 시스템.
As a system,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or 14; and
A first expansion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Including,
The system wherein the first expansion unit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interface of the power unit.
KR1020237030644A 2021-03-01 2022-02-04 Extension un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KR2023015442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59927 2021-03-01
EP21159927.9 2021-03-01
PCT/EP2022/052705 WO2022184378A1 (en) 2021-03-01 2022-02-04 Extension unit for an aerosol gener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428A true KR20230154428A (en) 2023-11-08

Family

ID=74844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644A KR20230154428A (en) 2021-03-01 2022-02-04 Extension un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148079A1 (en)
EP (1) EP4301169A1 (en)
JP (1) JP2024509425A (en)
KR (1) KR20230154428A (en)
CN (1) CN116940256A (en)
WO (1) WO2022184378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40775A1 (en) * 2012-04-25 2013-12-26 Bernard Juster Application development for a network with an electronic cigarette
US20150313282A1 (en) * 2014-05-01 2015-11-05 R.J. Reynolds Tobacco Company Electronic smoking article
CN116172269A (en) * 2014-08-13 2023-05-30 菲利普莫里斯生产公司 Aerosol generating system including a multipurpose computing device
KR102123535B1 (en) * 2018-05-08 2020-06-16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Aerosol generating apparatus
EP3968798B1 (en) * 2019-05-17 2023-07-05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nd haptic output elements for an aerosol-genera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4378A1 (en) 2022-09-09
US20240148079A1 (en) 2024-05-09
JP2024509425A (en) 2024-03-01
CN116940256A (en) 2023-10-24
EP4301169A1 (en) 202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009B1 (en) Body wear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device
US8901875B2 (en) Bi-directional wireless charger
EP1856613A2 (en) Flash memory with integrated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wireless capability
CN111697652A (en) Charging box, wireless earphone and charging method of wireless earphone
US20150076201A1 (en) Wristband container for an earpiece
US20230045242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US20200022414A1 (en) Device for powering electronic cigarettes from a mobile device
CN111756086B (en) Power bridging device and bridging method using mobile robot battery
TW201729491A (en) Charging device
KR20230154428A (en) Extension unit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KR20230154425A (e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having one or more expansion units
US20130103878A1 (en) Universal usb charger
CN110636404A (en) Single-line multi-equipment priority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JP6092926B2 (en) Electronics
US20240065335A1 (en) Circuit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EP4338610A1 (en) Circuit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and aerosol generation device
CN207475258U (en) A kind of electricity is wirelessly transferred sharing apparatus
EP3937340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CN216563861U (en) Extension socket
WO2022239408A1 (en)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CN206209328U (en) A kind of portable dismountable MIDI switching devices
JP2023040805A (en) Physical layer chip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7391418A (en) A kind of data capsule based on USBHUB technologies
Lach Approval Sheet
KR20100001365U (en) Solar cell charger with hd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