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298A -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298A
KR20230154298A KR1020237022657A KR20237022657A KR20230154298A KR 20230154298 A KR20230154298 A KR 20230154298A KR 1020237022657 A KR1020237022657 A KR 1020237022657A KR 20237022657 A KR20237022657 A KR 20237022657A KR 20230154298 A KR20230154298 A KR 20230154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ment
user
earring
fixing structur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윤 주
레이 장
신 퀴
Original Assignee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샥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4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2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10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17/00Details of magnetostrictiv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15/00 or H04R1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압전소자;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 및 귀걸이와 출력조립체를 포함하는 진동전달부재로서, 상기 귀걸이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귀걸이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구비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
본 개시는 음향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에 관한것이다.
압전 세라믹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상기 압전 세라믹의 역압전효과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여 음파들을 외부로 방출한다. 전통적인 전자 음향출력장치들과 비교하여, 상기 압전 세라믹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더 높은 전기-기계 변환효율, 더 낮은 에너지소모, 더 작은 크기, 더 높은 일체화를 가지고 있다. 전통적인 전자기 음향출력장치와 비교하여, 상기 압전 세라믹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저주파수에서 나쁜 응답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저주파수응답 및 타겟 주파수 범위에서 더 적은 진동모드들을 구비하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본 개시의 하나의 실시예는 음향출력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압전소자;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 및 귀걸이와 출력조립체를 포함하는 진동전달부재로서, 상기 귀걸이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귀걸이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구비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한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의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는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연결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면에서의 상기 귀걸이의 투영은 귀걸이 투영곡선일 수 있으며, 제1 직선은 상기 제1 연결면의 중심점을 관통하고 상기 귀걸이 투영곡선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제1 직선 사이의 각도는 0°~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는 상기 제1 압전소자에 연결되고 제2 연결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연결점은 상기 제2 연결면에 있을 수 있고,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상기 연결점과 상기 귀걸이와 상기 출력조립체 사이의 상기 연결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2 직선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면에서의 상기 제1 압전소자의 투영과 상기 제2 직선 사이의 각도는 -20°~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기 접촉면은 사용자의 귀 부근의 얼굴구역에 맞닿을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는 탄성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뒷측에 현수될 수 있다.
[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1 공진피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향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조립체의 측벽은 소리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향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는 상기 소리홀을 통해 상기 출력조립체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저주파수대역 성분으로 나누도록 구성되는 주파수분할모듈;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고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수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저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저주파수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 사이의 분할점은 200Hz~6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1000Hz~30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 중에서 상기 분할점에 가장 가까운 2개의 공진피크들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들은 각각 이고, 를 만족시킬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압전소자; 및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제2 서브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적용되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조절된 형상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력은 0.1N~0.8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의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와 상기 귀걸이 사이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6] 본 개시의 실시예는 착용가능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적용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제2 서브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적용되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조절된 형상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력은 0.1N~0.8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들은 오디오 주파수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압전부재; 및 귀걸이와 출력조립체를 포함하는 진동전달부재로서, 상기 귀걸이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귀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출력조립체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귀걸이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구비하는, 진동전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의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는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연결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면에서의 상기 귀걸이의 투영은 귀걸이 투영곡선일 수 있으며, 제1 직선은 상기 제1 연결면의 중심점을 관통하고 상기 귀걸이 투영곡선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제1 직선 사이의 각도는 0°~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는 상기 제1 압전소자에 연결되고 제2 연결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연결점은 상기 제2 연결면에 있을 수 있고,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상기 연결점과 상기 귀걸이와 상기 출력조립체 사이의 상기 연결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2 직선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결면에서의 상기 제1 압전소자의 투영과 상기 제2 직선 사이의 각도는 -20°~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기 접촉면은 사용자의 귀 부근의 얼굴구역에 맞닿을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는 탄성이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뒷측에 현수될 수 있다.
[1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1 공진피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향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조립체의 측벽은 소리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음향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는 상기 소리홀을 통해 상기 출력조립체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1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저주파수대역 성분으로 나누도록 구성되는 주파수분할모듈;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고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수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저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저주파수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1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 사이의 분할점은 200Hz~6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1000Hz~30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 중에서 상기 분할점에 가장 가까운 2개의 공진피크들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들은 각각 이고, 를 만족시킬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스피커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뒷측에 현수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기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기전도 스피커를 사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현수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가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가시부재를 사용자의 눈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가시부재는 렌즈들 또는 광학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1]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2]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출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3]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4]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음향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5]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조립체를 연결하는 귀걸이의 제1 연결면에서의 음향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의 투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6]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제1 각도 파라미터들하에서의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7] 도 7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걸이를 제1 압전소자에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8] 도 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걸이를 제1 압전소자에 연결시키는 연결면에서의 음향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의 투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9]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제2 각도 파라미터하에서의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10]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착용가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1]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일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고정구조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2]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압전소자들를 이용하여 고정구조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3]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위치들에서의 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14]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압전소자가 상이한 위치들에 있을 때의 조임력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15]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16]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압전소자 및 단일 압전소자에서 제2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17]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배면걸이 헤드셋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18]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헤드셋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19]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안경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20] 도 1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착용가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1]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기술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실시예들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첨부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분명한 것은 아래의 명세서 중의 첨부도면들은 단지 본 개시의 일부 예들 또는 실시예들이며, 이들은 창조적인 노력이 없이 이러한 도면들에 근거하여 다른 유사한 상황들에 응용될 수도 있다. 서술 중에서 또는 별도로 명확히 주장하지 않는 한,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 또는 동작을 표시한다.
[2] 이해해야 할 것은 여기에서 사용한 용어들 "시스템", "장치", "유닛", 및/또는 "모듈"은 상이한 수준들의 상이한 부재들, 소자들, 부품들, 부분들, 또는 조립체들을 구분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러나, 기타 단어들이 동일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이 단어들은 다른 표현들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3] 본 개시 및 그 청구범위에서와 같이, 하문에서 명확히 예외를 시사하지 않은 한, 상기 단어들 "하나", "일", "일 종" 및/또는 단어 "상기"는 단수를 특정하지 않고, 복수의 형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어들 "포함" 및 "구성한다"는 단지 명시된 동작들 및 소자들을 포함함을 제시하고 한정적인 열거를 구성하지 않으며, 상기 방법 또는 장치들은 다른 동작들 또는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4]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음향출력장치를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압전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귀걸이와 출력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된다.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귀걸이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1 공진피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피크의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제공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고정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 주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부재는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와 상기 출력조립체의 파라미터 정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저주파수(예를 들면, 2000Hz보다 작다)에서 더 좋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들은 오디오 기능들을 가지는 전자장치들(예를 들면, 헤드폰들, 안경, 스마트 헬멧들, 등.)에 응용될 수도 있다.
[5]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착용가능장치도 설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에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는 사용자가 상기 고정구조를 통해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가능장치의 프로세서는 상기 압전소자의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런 경우,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상기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상기 압전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의 조절을 달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체험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스피커, 보청기, 안경, 가상현실장치, 현실증강장치, 스마트시계, 등 중의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6]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음향출력장치(100)는 고정구조(110), 제1 압전소자(120), 및 진동전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조(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일단부는 진동전달부재(130)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진동전달부재(130)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7]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머리을 에워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110)는 머리구역, 예를 들면, 뒷측, 이마, 또는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를 에워싸는 밴드, 긴 구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10)는 인체의 머리 주위에 핏팅되는 굽힘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머리, 예를 들면, 뒷측, 이마, 또는 머리 꼭대기 주위에 핏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10)는 탄성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10)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10)는 배면걸이(예를 들면, 도 2에서의 고정구조(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면걸이는 사용자의 머리의 배면윤곽에 적응되는 굽힘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귀에 적응되는 구조일 수 있고,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되거나 집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귀에 집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귀에 집혀질 수 있는 집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정구조(110)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구조(110)는 귓바퀴에 적응되는 굽힘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110) 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 2 및 그 관련 설명들에서 찾을 수 있다.
[8] 상기 제1 압전소자(120)는 오디오 신호를 기계적 진동들로 변환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역압전효과에 의해, 전기신호를 상기 제1 압전소자(120)에 적용하는 경우, 상기 제1 압전소자(120)는 기계적 진동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120)는 압전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압전재료들은 압전 세라믹들, 압전 결정들(예를 들면, 티탄산바륨,티탄산 지르코늄산 납, 등.), 압전 폴리머들(예를 들면, 불화 비닐리덴),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120)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시트, 블록, 기둥체, 고리구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압전소자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 2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9] 상기 진동전달부재(130)는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상기 기계적 진동들을 음향신호로 변환시키는 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전달부재(130)는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진동에 응답하여 진동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소리를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진동전달부재(130)는 귀걸이(131)와 출력조립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131)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1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131)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13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상기 귀걸이(131)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진동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100)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적어도 일부분은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상기 사용자의 근육상태들, 골격들, 피, 등을 통해 상기 수신한 진동들을 상기 사용자의 청각신경에 전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신호에 대응되는 소리정보를 들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측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측면에 돌출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상기 귀걸이(131)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120)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귀걸이(131)와 상기 출력조립체(132)를 포함하는 상기 진동전달부재(130)는 공진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131)는 상기 공진시스템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상기 공진시스템에 질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131)와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저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100)에 제1 공진피크를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출력장치(100)는 저주파수에서 더 좋은 주파수응답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공진피크의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131)의 탄성계수 또는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질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저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100)의 공진주파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충분히 낮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 공진피크 후에 상기 주파수대역에서도 주파수응답이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음향출력장치(100)는 상기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20Hz~1000Hz)에서 더 나은 주파수응답을 가질 수 있다.
[10] 상기 귀걸이(131)는 사용자의 귀에 핏팅되도록 적응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면, 상기 귀걸이는 귀에 현수되는 굽힘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131)는 굽힘부(예를 들면, 도2에 표시하는 귀걸이(231))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굽힘부는 사람 귀에 적응되어 사용자의 귀에 현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131)는 탄성부재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탄성재료들은 플라스틱, 발포고무, 고무, 라텍스, 실리콘, 스폰지, 금속, 합금 재료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귀걸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 2 및 그 관련 설명들에서 찾을 수 있다.
[11]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질량부재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규칙적인 구조(예를 들면, 원기둥체, 장방체, 원뿔, 원뿔대, 구체, 등.) 또는 불규칙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132)의 재료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임의의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 나무, 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질량소자(120)의 재료는 상기 음향출력장치(100)의 오디오 대역폭의 확장을 촉진하는 다양한 메타물질, 예를 들면, 음강성재료들, 입방강성재료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귀걸이(131)와 상기 출력조립체(132)를 포함하는 상기 진동전달부재(130)는 상기 음향출력장치(100)가 상기 저주파수 범위에서 공진피크들을 구비하고, 상기 음향출력장치(100)의 저주파수응답을 개선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는 음향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조립체는 캐비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유닛은 상기 캐비티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음향유닛은 상기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소리를 출력하여 상기 출력조립체의 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를 보충할 수 있다. 상기 출력조립체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 2 및 그 관련 설명들에서 찾을 수 있다.
[12]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음향출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출력조립체(조립체들)(232), 귀걸이(들) 231, 제1 압전소자(들) (220), 및 고정구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210)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를 통해 상기 귀걸이(231)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압전소자(220)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귀걸이(231)의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조(210)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출력조립체(232)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할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210)는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에 현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210)는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에 핏팅되는 굽힘 형상을 구비하는 배면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이한 사용자의 머리 형상들에 적응되기 위해, 상기 고정구조(210)는 유연할 수 있거나, 또는 고정구조(210)의 길이와 형상은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냅을 통해 상기 고정구조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210)는 탄성 금속선과 상기 탄성 금속선을 커버하는 탄성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금속선의 재료는, 스프링 강, 티탄 합금, 티탄-니켈 합금, 크롬몰리브덴강,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 슬리브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210)를 착용하는 편안감과 상기 고정구조(210)의 강도를 고려한다.
[1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210)의 양단부는 각각 차례로 상기 제1 압전소자(220), 상기 귀걸이(231), 및 상기 출력조립체(232)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구조(210)는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 주위를 감쌀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210)의 각 단부에서의 상기 귀걸이(231)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사용자의 귀 부근(예를 들면, 머리의 귀의 앞측, 뒷측, 꼭대기측, 아래측)에 분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는 고정단과 자유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다른 부분들에 고정 또는 지지를 제공하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일단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시,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다른 부분(예를 들면, 상기 자유단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진동강도를 가질 수 있다. 단지 예로써, 상기 고정단은 상기 제1 압전소자(220)상에서 진동가속도 역치보다 작은 진동가속도 또는 가속도 수준 역치보다 작은 가속도 수준을 가지는 위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단은 상기 고정구조(21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210)의 상기 단부는 상기 고정구조(210)의 단부면 및/또는 상기 고정구조(210)의 단부면 가까이의 상기 고정구조(210)의 임의의 부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상기 연결은 볼트연결, 리벳연결, 끼임결합, 스냅, 점착, 사출성형, 용접, 자기흡착,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에 연결되어 상기 출력조립체(232)를 구동하여 진동시켜서 소리를 내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상기 단부이고, 이는 진동하여 상기 고정단에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진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자유단부는 상기 귀걸이(231)에 연결될 수 있다.
[1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231)는 굽힘부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굽힘부는 사람 귀에 적응하여 사용자의 귀 위에 걸릴 수 있다. 상기 귀걸이(231)가 상기 제1 압전소자(220)에 의해 생성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수신하고 전달할 수 있도록 확보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231)는 탄성 금속선과 상기 탄성 금속선을 커버하는 탄성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금속선의 재료는 스프링 강, 티탄 합금, 티탄-니켈 합금, 크롬몰리브덴강,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 슬리브의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미드, 실리콘,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6]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규칙적인 구조, 예를 들면, 장방체, 원기둥체, 원뿔대, 타원체, 반구체, 또는 테라스, 등, 또는 불규칙적인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기 접촉면(232)은 사용자의 귀 부근의 얼굴구역에 맞닿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에 의해 출력되는 소리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상기 접촉은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측벽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출력조립체(232)가 원기둥체인 경우, 상기 접촉면는 상기 원기둥체의 바닥면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외벽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구조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접촉면은 상기 출력조립체(232)로부터 멀리 떨어진 돌출구조들의 일단부일 수 있다.
[17]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압전소자(2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고정구조(21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일부분은 상기 고정구조(210)의 측벽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다른 하나의 부분은 상기 고정구조(210)의 상기 단부에 상대적으로 돌출하고 상기 귀걸이(231)의 일단부 또는 측벽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전체적 구조는 상기 고정구조(210)에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압전소자(220)는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진동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고정구조(210)를 구동하여 진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210)의 진동은 상기 귀걸이(231)를 통해 상기 출력조립체(232)로 전달될 수 있다.
[18]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상기 출력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진동과정에서 사용자의 피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피부는 댐핑구조로 간주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저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주파수응답곡선은 "부하"상태에서 "무부하" 상태에서의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주파수응답곡선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 및 그 관련 설명을 참조 바란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지 않은 경우의(도 3에 표시하는 "무부하"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응답곡선) 상기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5Hz~30Hz)에서 제1 공진피크(31)를 구비하고, 이는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상기 저주파수대역에서 높은 민감도를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경우,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출력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진동시 사용자의 피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는 댐핑구조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피부의 댐핑효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도3에 표시하는 "피부부하"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응답곡선) 상기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상기 저주파수 범위(예를 들면, 5Hz~500Hz)에서 비교적 평활하고, 이는 상기 음향출력장치가 사용될 때 상기 저주파수 범위에서 더 좋은 음질을 가짐을 의미한다.
[1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은 상기 귀걸이(231)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진동을 수신할 수 있으며, 5Hz~50,000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가진다.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1 공진피크(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공진피크(31)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공진피크(31)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7Hz~2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1 공진피크(31)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6Hz~1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질량 또는 상기 귀걸이(231)의 탄성계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상기 제1 공진피크는 특정된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5Hz~30Hz)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질량은 타겟 질량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질량 범위는 10g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질량 범위는 0.01g~10g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질량 범위는 0.2g~6g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질량 범위는 1g~5g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공진피크의 공진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귀걸이의 탄성계수는 타겟 탄성계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탄성계수 범위는 9 N/m-6×106 N/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탄성계수 범위는 100 N/m-6×106 N/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탄성계수 범위는 100 N/m-1×106 N/m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귀걸이의 탄성계수 대 상기 출력조립체의 질량의 비율이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5Hz~30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제1 공진피크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상기 저주파수응답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탄성계수 대 상기 질량의 비율의 범위는 타겟 비율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비율 범위는 4.9×106~3.2×1011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비율 범위는 4.5×106~3×1011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비율 범위는 4×106~4×101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타겟 비율 범위는 1×106-1×109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공진피크는 상술한 상기 주파수 범위(예를 들면, 5Hz~ 30Hz) 내에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15Hz, 20Hz, 또는 더 클 수 있으며,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본 출원의 장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의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2 공진피크(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진피크(31)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상기 제2 공진피크(32)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공진피크는 상기 제1 압전소자의 파라미터 정보(예를 들면, 압전층 및/또는 기판층의 재료, 압전층, 두께, 길이,폭, 등.)와 관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전소자의 특성들(예를 들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고유 주파수)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고주파수(예를 들면, 1000Hz~ 40,000Hz)에서 더 나은 민감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상기 저주파수대역(예를 들면, 20Hz~1000Hz) 및 상기 고주파수대역(예를 들면, 1000Hz~ 40,000Hz)의 양자에서 더 나은 민감도를 가질 수 있다.
[1]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232)가 사용자의 귀 부근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착용체험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귀걸이(231)는 굽힘 형상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출력조립체(232)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은 상기 제1 공진피크(31)를 제외한 공진피크들, 예를 들면, "무부하" 에 대응되는 도3에 표시하는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에서 상기 제1 공진피크(31)와 상기 제2 공진피크(32)사이의 공진피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압전소자 자체의 공진은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에서 공진피크들 또는 공진 골짜기들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공진 골짜기들은 상기 고주파수대역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2] 상기 귀걸이 및 상기 압전소자의 특성들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예를 들면, 너무 많은 공진피크들 또는 골짜기들의 출현)의 분균일성을 감소시키고,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음향유닛(도2에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캐비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유닛은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상기 캐비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음향유닛은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소리를 생성하여 특정된 주파수 범위에서 상기 출력조립체의 진동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를 보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진동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저주파수(예를 들면, 20Hz~600Hz)에서 소리를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음향유닛은 고주파수(예를 들면, 600Hz보다 크다)에서 소리를 출력하여 상기 음향출력장치 전체 주파수 범위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질을 개선한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음향유닛은 상기 저주파수(예를 들면, 20Hz~600Hz)의 소리를 보충하여 상기 저주파수에서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음향출력효과를 보상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유닛은 기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측벽은 소리홀들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소리홀들을 통해 상기 음향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가 외부로 전송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유닛은 골전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골전도 스피커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은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측벽을 통해 외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골전도 스피커는 상기 저주파수에서 개선된 주파수응답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저주파수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향출력효과를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저주파수대역 성분으로 나누도록 구성되는 주파수분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고주파수신호처리모듈 및 저주파수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주파수신호는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고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저주파수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어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저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는 상기 저주파수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상기 귀걸이(231)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진동을 수신하고 진동을 생성하여 저주파수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유닛은 고주파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고주파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전체 주파수대역에서 개선된 음질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는 상기 고주파수신호에 응답하여 진동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상기 귀걸이(231)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진동을 수신하고 진동을 생성하여 고주파수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음향유닛은 저주파수출력신호에 근거하여 저주파수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전체 주파수대역에서 개선된 음질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분할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분할모듈의 주파수 분할점은 200Hz~6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300Hz일 수 있다. 이런 경우, 300Hz보다 작은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일 수 있으며, 300Hz보다 큰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분할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분할모듈의 주파수 분할점은 1000Hz~30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1000Hz일 수 있다. 이런 경우, 1000Hz보다 작은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일 수 있고, 1000Hz보다 큰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일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상기 범위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상이한 적용장면들에 근거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100Hz~500Hz, 600Hz~1000Hz, 또는 3000Hz~5000Hz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저주파수대역들과 고주파수대역들의 양자에서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향출력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상기 출력조립체(232) 및 상기 음향유닛의 주파수응답곡선에 대응되는 상기 공진피크들에 근거하여 판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상기 주파수 분할점에 가까운 점에서 2개의 공진피크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분할 점 부근의2개의 공진피크들의 상기 상응한 공진주파수는 각각 이고, 사이의 상대적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1)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분할점의 테스트 방식은 아래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수신호를 상기 제1 압전소자(220)에 적용하며, 상기 출력조립체(232)는 상기 귀걸이(231)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220)의 진동을 수신하고 상기 진동을 생성하여 고주파수 소리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조립체(232)의 진동의 고주파수응답곡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저주파수신호를 상기 출력조립체(232) 중의 상기 음향유닛에 적용하여 상기 음향유닛에 대응되는 저주파수응답곡선을 획득한다. 상기 주파수 분할점은 상기 저주파수응답곡선이 현저히 감소되고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이 현저히 증가되는 주파수대역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주파수 분할점 부근의 상기 2개의 공진피크들 중의 상기 공진주파수 은 각각 상이한 주파수응답곡선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주파수응답곡선은 상기 공진주파수 에서 공진피크를 가질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저주파수응답곡선은 상기 공진주파수에서 공진피크를 가질 수 있다.
[2] 유의해야 할 것은 도2 에 표시하는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구조는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도2에 표시하는 고정구조(210)의 일단부만 차례로 제1 압전소자(220), 상기 귀걸이(231), 상기 출력조립체(232)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조(210)의 다른 단부에는 상기 제1 압전소자(220), 상기 귀걸이(231), 상기 출력조립체(232)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고정구조(210)의 다른 단부는 직접 사용자의 머리(예를 들면, 머리의 뒷측에)에 고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의 귓바퀴에 현수될 수 있다.
[3]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향출력효과를 더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출력조립체, 상기 귀걸이, 및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상기 상대적 위치들이 조절될 수 있다. 기 출력조립체와 상기 귀걸이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제1 각도 파라미터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상대적 위치는 제2 각도 파라미터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상기 제2 각도 파라미터들의 상세한 내용은 도 4-도 8 및 그 관련 설명을 참고 바란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직사각형 구조를 구비하는 출력조립체(432)를 예로 들 수 있다.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조립체(432)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접촉면(4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전소자(420)는 귀걸이(43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431)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432)의 측면에 연결되고 제1 연결면(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면(A) 는 상기 귀걸이(431)(예를 들면, 도4에 표시하는 xw와 yw 축들로 정의되는 평면)의 상기 단부의 단부면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면(A)에서 방향 a(상기 제1 연결면(A)에 수직이 되는)에서 상기 귀걸이(431)의 투영은 도5에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출력조립체를 연결하는 귀걸이의 제1 연결면 상의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의 투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의하면, 상기 제1 연결면(A) 에서 상기 귀걸이(431)의 투영은 귀걸이 투영곡선이다. 제1 직선(42)은 상기 제1 연결면(A)의 중심점(41)을 관통하고 상기 귀걸이 투영곡선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출력조립체(432)의 상기 접촉면(4321)과 상기 제1 직선(42) 사이의 각도 θm는 제1 각도 파라미터로 간주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1 연결면(A)의 중심점(41)은 상기 출력조립체(432)에 연결되는 상기 귀걸이(431)의 단부의 기하학적 중심점을 가리킨다. 상기 귀걸이(431)의 단부(예를 들면, 길이, 폭, 또는 반경)의 크기가 작은 경우, 상기 귀걸이(431)의 상기 단부는 대체로 상기 제1 연결면(A)의 중심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1]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제1 각도 파라미터들하에서 상기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각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각도 θm가 -20° 로부터 20°로 증가되기 때문에, 상기 각도 θm의 증가에 따라, 제1 공진피크(61) 뒤에서 특정된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8Hz~40Hz의 범위 내에서)에서 상기 출력조립체에 대응되는 주파수응답곡선은 점차적으로 평탄해진다. 상기 각도 θm가 50°로 증가되는 경우, 제1 공진피크(61) 뒤에서 특정된 주파수대역의 주파수응답곡선은 명확한 공진골짜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응답곡선은 상기 각도 θm가 -20°일 때의 상기 주파수응답곡선과 비교하여 더 평탄하다.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주파수응답곡선으로 하여금 상기 저주파수대역에서 더 평탄하고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 θm는 0°~5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도 θm는 0°~4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각도 θm는 10°~3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각도 θm는 15°~2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1] 도 7a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귀걸이를 제1 압전소자에 연결시키는 연결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귀걸이를 제1 압전소자에 연결시키는 연결면에서의 음향출력장치의 일부분 구조의 투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a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귀걸이(731)의 일단부는 출력조립체(732)에 연결된다. 제1 압전소자(720) 는 상기 귀걸이(731)\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연결면(B)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압전소자(720)과 상기 귀걸이(731) 사이의 연결점(72)은 상기 제2 연결면(B)(도7a에서의 xw 및 yw 축들로 정의하는 평면)에 있다. 도 7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점(71)과 연결점(72)를 연결하는 선은 제2 선(73)로 정의되고, 상기 제2 선(73)과 상기 제2 연결면(B) 사이의 각도 θd는 상기 제2 각도 파라미터로 간주될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제2 연결면(B)는 대체로 상기 귀걸이(72)를 제1 압전소자(720)에 연결시키는 상기 귀걸이(72)의 단부면으로 간주할 수 있다 .
[2]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제2 각도 파라미터하에서의 출력조립체의 주파수응답곡선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도 θd 가 -20°로부터 0°로 커지는 경우, 제1 공진피크(81) 뒤에서 특정된 주파수대역(예를 들면, 8Hz~1000Hz의 범위 내에서)에서 상기 출력조립체에 대응되는 주파수응답곡선은 점차적으로 평탄해진다. 상기 협각 θd가 지속적으로 20°로 증가되는 경우, 제1 공진피크(81) 뒤에서 특정된 주파수대역에서의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응한 주파수응답곡선은 -20°의 상기 협각 θd, 에 대응되는 상기 주파수응답곡선보다 평탄하지만, 0°의 상기 제2 각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응답곡선보다 요동이 많다.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주파수응답곡선으로 하여금 저주파수대역에서 상대적으로 평탄하고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음질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협각 θd는 -20°~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 θd는 -10°~2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 θd는 0°~1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각도 θd는 0°~5°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협각들 θd 의 양음 값들은 상기 제2 선(73)에 상대적인 상기 제2 연결면의 상이한 방향들로 간주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연결면(B)와 도 7b에서의 제2 선(+θd) 사이의 협각은 양이고, 상기 제2 연결면(B' )와 도 7b에서의 제2 선(-θd) 사이의 협각은 음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720) 또는 상기 귀걸이(731)의 구조 또는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2 각도 파라미터 θd가 조절될 수 있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는 제2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전압이 그 변형도와 양의 관계를 가지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압전소자의 변형도가 클수록, 상기 제2 압전소자가 생성할 수 있는 전압이 더 크다. 즉,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가 탄성 금속선과 상기 탄성 금속선을 커버하는 탄성 슬리브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탄성 금속선에 부착되어 상기 탄성 슬리브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탄성 슬리브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에 의해 구동되는 변형 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을 수신한 후 변형을 생성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 및 사용자 신체 사이의 조임력가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변형에 근거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압전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압전재료들은 압전 세라믹들, 압전 결정들, 압전 폴리머들(예를 들면, 불화 비닐리덴),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시트형식, 블록, 기둥체, 고리구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복수의 제2 압전소자들을 포함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복수의 형상 조절들을 달성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의 기능은 단일 압전소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일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일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에 근거하여 변형되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가 상기 단일 압전소자인 경우,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대한 상기 제2 압전소자의 민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가 도2에 표시하는 배면걸이인 경우,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단일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을 수신하며,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된 형상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하는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조임력은 0.1N~0.8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임력은 0.2N~0.6 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임력은 0.3N~ 0.5 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의 기능은 복수의 압전소자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제1 서브압전소자와 제2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적용하는 상기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런 경우,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은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절된 고정구조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에 대한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의 민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와 상기 고정구조상의 상기 귀걸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은 더 큰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의 복수의 부분들의 형상들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제1 서브압전소자와 복수의 제2 서브압전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서브압전소자들은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에 상대적으로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4]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와 인터랙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전압을 생성할 수 있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은 상기 제2 압전소자의 변형이 사전설정된 변형 범위 내에 있고, 즉,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이 적당하며, 이 때 상기 조임력이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있는 적용 시나리오에 너무 느슨하거나 너무 세지 않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다는 것은 이 때 상기 조임력이 상기 사용자에게 너무 느슨하거나 너무 세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조절된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은 상기 출력조립체에 상기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되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하는 편안감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2 압전소자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데 관한 상세 내용은 도 9 내지 도 19 및 그 관련 설명에서의에서 찾을 수 있다.
[5]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착용가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가능장치(900)는 고정구조(910), 압전소자(920), 및 프로세서(930)를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는 신체부분, 예를 들면, 사용자의 머리, 손, 등에 착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는 안경, 스마트 팔찌들, 헤드폰들, 보청기, 스마트 헬멧들, 스마트시계들, 스마트옷, 스마트 백팩들, 스마트 악세사리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는 기능성 근시안경, 노안안경, 사이클링 안경, 또는 선글라스, 등일 수 있거나, 또는 지능형 안경, 예를 들면, 헤드폰 기능을 구비하는 오디오 안경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는 헤드셋, 예를 들면, 헬멧, 증강현실(AR)장치, 또는 가상현실(VR)장치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AR 장치 또는 상기 VR 장치는 VR 헤드셋, VR 안경, AR 헤드셋, AR 안경,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VR 장치들 및/또는 상기 AR 장치들은 구글안경, Oculus Rift, Hololens, Gear V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고정구조(910)는 사용자의 신체에 설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910)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신체 부분들은 머리, 손들, 다리들, 허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910)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과 접촉하여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910)의 구조는 착용가능장치(900)의 유형과 관련될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착용가능장치들(900)은 상이한 고정구조들(910)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장치(900)가 배면걸이 헤드셋인 경우, 상기 고정구조(910)는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에 핏팅되는 굽힘 형상을 구비하는 배면걸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장치(900)가 헤드셋인 경우, 상기 고정구조(910)는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핏팅되는 구불어진 헤드구조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착용가능장치(900)가 골전도 헤드셋 또는 보청기이면, 상기 고정구조(910)는 사람 귀에 적응되는 굽힘부를 구비하는 사용자의 귀에 걸릴 수 있는 귀걸이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착용가능장치(900)가 AR 또는 VR 안경류인 경우, 상기 고정구조(910)는 코 패드들과 안경다리들을 양측에 구비하는 사용자의 얼굴과 귀들에 착용될 수 있는 틀구조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착용가능장치(900)가 스마트 팔찌인 경우, 상기 고정구조(910)는 상기 사용자의 팔에 착용되는 밴드구조일 수 있다. 상기 배면걸이를 예로 들면, 상기 고정구조(910)는 배면걸이일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910)는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고 고정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910)은 조임력을 상기 배면걸이 헤드셋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 16-도 19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8] 상기 압전소자(920)는 그 전압이 상기 변형도에 관련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전소자(920)의 정방향/역방향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상기 압전소자(920)는 상기 고정구조(910)에 의해 구동되는 변형을 수신한 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920)는 상기 구동전압을 수신하고 변형을 생성하여 상기 고정구조(910)의 형상을 조절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910)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을 조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상기 고정구조(9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상기 변형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압전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압전재료들은 압전 세라믹들, 압전 결정들, 압전 폴리머들(예를 들면, 편향된 폴리불화비닐),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임의의 형상, 예를 들면, 시트, 블록, 기둥체, 고리구조,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시트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900)는 복수의 압전소자들 920을 포함하여 복수의 위치들에서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다.
[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상기 변형에 근거하여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압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층의 역압전효과에 의해, 변형압력이 상기 압전층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압전층은 상응하게 상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전층은 상기 압전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압전층과 기판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층과 상기 기판층은 상기 압전소자(9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압전소자(920)의 두께방향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기판층의 재료는, 금속들과 합금들, 유리섬유들, 탄소섬유들,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2개의 압전층들과 기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압전층들은 각각 부착, 등을 통해 상기 기판층의 상면과 하면에 물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기타 부분들, 예를 들면, 도 16 내지 도 19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10] 상기 압전소자(920)의 기능은 하나의 압전소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920)는 상기 고정구조(91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경우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3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압전소자(920)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은 상기 고정구조(910)의 형상을 조절하는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내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910)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상기 조임력을 조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복수의 압전소자들을 포함하여 복수의 위치들에서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1] 상기 압전소자(920)의 기능은 복수의 압전소자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920)는 제1 서브압전소자와 제2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910)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전압을 생성할 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30)는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910)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910)과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임력을 조절하여 적당한 범위(예를 들면, 0.1N~0.8N)를 조절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복수의 제2 서브압전소자들을 포함하여 복수의 위치들에서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의 조절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2] 상기 프로세서(930)는 상기 압전소자들(920)과 인터랙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930)는 상기 압전소자(92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프로세서(930)는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상기 압전소자(92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로세서(930)는 상기 압전소자(920)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930)는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 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압전소자(920)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상기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조절된 형상은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편안히 착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로세서(930)는 현지 또는 원격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로세서(930)는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클라우드 플랫폼은 사설 클라우드, 공공 클라우드, 혼합 클라우드, 커뮤니티 클라우드, 분산 클라우드, 인터 클라우드, 다중 클라우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로세서(9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단일 칩 프로세서 또는 다중 칩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로세서(930)는 독립실행형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프로세서(930)는 단말장치의 부내(예를 들면, VR 안경)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 태블릿, 랩톱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930)는 상기 단말장치 또는 상기 클라이언트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1] 상기 압전소자의 기능은 단일 압전소자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단일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처리는 도 10에 표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단일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고정구조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1000은 아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2] 1010에서,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구조는 변형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적응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상의 압전소자는 구동되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의 압전층은 압전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에 힘이 작용하여 상기 변형을 일으키는 경우, 상기 압전소자는 상응하게 상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변형되는 압전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은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도가 클수록, 상기 전압이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따라 0~100 mV의 범위 내의 전압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조임력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구조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 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6,에서의등에서의 관련 설명들에서 찾을 수 있다.
[4] 102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에 관한 더 많은 설명은본 개시의 다른 부분, 예를 들면, 도9에서의 관련 설명들, 등에서 찾을 수 있다.
[5]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기 전에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는 상기 고정구조가 변형되어 적당한 조임력(예를 들면, 0.1N~0.8N)을 제공하는 경우의 상기 압전소자의 출력전압의 범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는 그들 자체의 착용체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프로세서 중의 메모리유닛에 사전 저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는 상이한 유형들과 상기 착용가능장치의 착용위치들, 및 상이한 사용자 그룹들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6] 구체적으로,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는 상기 전압은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이 적당하며,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가 있는 적용 시나리오에 있어서 너무 느슨하거나 또는 너무 세지 않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7]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내에 있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전소자에 적용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전압은 상기 압전소자를 구동하여 변형시키기 위한 전압일 수 있다. 상기 구동전압은 프로세서 제어회로 또는 전자소자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역압전효과에 의해 상기 구동전압을 수신한 후 그 변형을 조절할 수 있으며, 그 후 상기 고정구조를 구동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조절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8]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을 받은 후 그 변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상기 고정구조는 상응하게 그 변형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가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의 조절은 상기 출력조립체에 조임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하는 편안감을 개선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임력은 0.1N~0.8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임력은 0.2N~0.6N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조임력은 0.3N~0.5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9] 구체적으로,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내에 있으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은 너무 느슨하거나 너무 세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압전소자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압전소자에 응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그 변형(예를 들면, 변형도의 크기 또는 상기 변형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변형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가 사용자의 신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에서 변형되는 경우, 상기 압전소자는 추가적인 조임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가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변형되는 경우, 상기 고정구조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이 저하될 수 있다.
[10]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처리 1000 에 관한 상기 설명은 설명의 편의만을 위한 목적으로서,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의 교시하에 상기 처리 1000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들과 변화들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1020 은 복수의 동작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1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의 기능은 복수의 압전소자들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는 도11에 표시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복수의 압전소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제어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처리 1100는 아래의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12] 1110에서,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110에 기재하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동작1010에 기재되는 상기 압전소자와 유사할 수 있으며, 동작 1110의 특정된 기재는 도 10의 동작1010에서 찾을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중복하지 않는다.
[13] 1120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압전소자로부터 전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 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1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 다는 데 응답하기 전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15]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내에 있으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상기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압전소자가 상기 구동전압을 수신한 후, 상기 제2 압전소자의 역압전효과에 의해 상기 제2 압전소자의 변형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연결되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은 상응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이 조절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의 조절은 상기 출력조립체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는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검측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전압이 생성될 수 있다.
[16] 유의해야 할 것은 상기 절차1100에 관한 상기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목적에만 의한 것으로서, 본 개시의 출원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의 교시하에 상기 절차 1100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정들과 변화들은 여전히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작 1120 은 복수의 동작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1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대한 상기 압전소자의 민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가 최대 변형응력는 구비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이한 위치들의 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에서, pt는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고정구조에서 최대 변형응력을 구비하는 위치 사이의 거리이다. 여기에서 사용한, 상기 고정구조는 도2 또는 도 16에 표시하는 배면걸이이다. 상기 고정구조가 상기 배면걸이인 경우, 최대 변형응력을 구비하는 위치는 상기 배면걸이의 중간점에 있을 수 있다. 도12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곡선들 121, 122, 123, 및 124 은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고정구조에서최대 변형응력을 구비하는 위치사이의 거리가 각각 0mm, 5mm, 10mm, 및 15mm인 경우 상기 압전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을 표시한다. 도 12에 의하면,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고정구조에서 최대 변형응력을 가지는 위치에 가까울수록, 상기 압전소자 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 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으로 하여금 상기 프로세서의 필요한 입력의 요구들을 만족시키게 하기 위해,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큰 변형응력을 가지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가 배면걸이인 경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배면걸이상기 고정구조가 안경다리인 경우.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정구조가 헤드셋인 경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헤드셋상기 고정구조가 안경다리인 경우.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고정구조가 안경다리인 경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안경다리에서 사용자의 귀 부근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18]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압전소자가 상이한 위치들에 있는 경우의 조임력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에서, pd 는 상기 압전소자와 고정구조의 일단부(예를 들면, 배면걸이의 단부) 사이의 거리이다. 도13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13, 곡선들 131, 133, 135, 및 137은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각각 15mm, 10mm, 5mm, 및 0mm인 경우, 양의 구동전압에 응답하여(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양의 구동전압에 응답하며, 상기 양의 구동전압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을 증가시키는 데 이용된다) 일정한 기간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을 표시한다. 곡선들 132, 134, 136, 및 138은 상기 압전소자와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단부 사이의 거리가 각각 15mm, 10mm, 5mm, 및 0mm인 경우의 상기 양의 구동전압과 동등한 음의 구동전압에 응답하여(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음의 구동전압에 응답하며, 상기 음의 구동전압은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을 감소시키는 데 이용된다) 일정한 기간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들을 표시한다. 도 13에 의하면,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단부로부터 멀수록, 즉,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고정구조상의 최대 변형응력을 가지는 위치에 가까울 수록,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은 더 크다. 그리고,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단부로부터 멀수록, 동일한 값을 가지는 반대 구동전압들에 응답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의 조절범위는 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로 하여금 더 큰 범위에서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을 조절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큰 변형응력을 가지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양단부로 부터 동일한 거리를 가지는 중간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가 상기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서브압전소자와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의 능력을 증가시킨다.
[19]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단일 압전소자로서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대한 상기 압전소자의 민감도를 개선하고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상기 압전소자의 능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곡선 141은 여기력하에서 단일 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을 표시하고, 곡선들 142와 143는 각각 상기 동일한 여기력하에서 단일 압전소자와 이중 압전소자 중의 상기 고정구조에 부착되는 제1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들을 표시하며, 상기 단일 압전소자와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의 양자는 상기 고정구조(상기 배면걸이)의 단부로부터5mm의 거리를 둔다. 곡선들 144와 145는 각각 상기 동일한 여기력하에서 단일 압전소자와 이중 압전소자 중의 상기 고정구조에 부착되는 제1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들을 표시하며, 상기 단일 압전소자와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의 양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단부로부터0mm의 거리를 둔다. 도 14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소자 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가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가까울수록, 상기 압전소자 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의 출력전압이 작다. 그리고, 상기 단일 압전소자는 상기 이중 압전소자 중의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보다 큰 전압을 출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 압전소자로 하여금 비교적 큰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대한 필요한 입력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단일 압전소자일 수 있다.
[20] 도 1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이중 압전소자 및 단일 압전소자에서 제2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들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곡선 151은 상기 구동전압하에서 상기 단일 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을 표시하고, 곡선들 152와 153은 각각 상기 동일한 구동력하에서 단일 압전소자와 이중 압전소자 중의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을 표시하며, 상기 단일 압전소자 및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의 양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단부(상기 배면걸이이 단부)로부터 5mm의 거리를 둔다. 곡선들 154와155는 각각 상기 동일한 구동력하에서 단일 압전소자와 이중 압전소자 중에서 고정구조에 연결되는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을 표시하며, 상기 단일 압전소자 및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의 양자는 상기 고정구조의 단부로부터 0mm의 거리를 둔다. 도 15에 의하면, 상기 단일 압전소자 또는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가 상기 고정구조의 상기 단부로부터 가까울수록, 상기 단일 압전소자 또는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이 더 작다. 그리고, 상기 단일 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은 상기 이중 압전소자 중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의해 조절되는 조임력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단일 압전소자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의 조임력은 더 큰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다.
[1] 도 1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배면걸이 헤드셋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가능장치는 배면걸이 헤드셋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고정구조(1610), 기능소자(1620), 및 압전소자(1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610)는 굽힘 형상을 가져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에 핏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610)는 탄성 금속선 및 상기 탄성 금속선을 커버하는 탄성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61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기능소자(1620)에 연결된다. 상기 압전소자(1630)는 상기 고정구조(1610)에 위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연결들은 나사결합, 리벳팅, 끼임결합, 스냅, 점착, 사출성형, 용접, 자기흡착, 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능소자(1620)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기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1610)는 사용자의 머리 뒤에 현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610)는 상기 기능소자(1620)를 상기 사용자의 양 귀에 가깝게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소자(1620)는 사용자의 귓바퀴의 앞에서 얼굴구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능소자(1620)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능소자(1620)가 상기 골전도 스피커 또는 보청기인 경우, 상기 골전도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에 의해 생성되는 골전도 음파는 골격들, 피, 근육상태들, 등을 통해 사용자의 청각신경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610)는 탄성적이여서 상이한 사용자의 머리의 형상 또는 상이한 적용장면들에서 타이트하게 착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상이한 요구들에 적응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610)는 상이한 사용자들이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이한 정도로 변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굽힘부재(1611)("귀걸이"라고도 알려진다)는 상기 고정구조(1610)상에서 상기 기능소자(16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재(1611)는 사람 귀에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굽힘부재(1611)는 귀에 현수될 수 있다.
[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610)의 변형도에 대한 상기 압전소자(1630)의 민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압전소자(1630)는 상기 고정구조(16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구조(1610)의 중심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압전소자(1630)는 상기 고정구조(1610)상에서 상기 기능소자(162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6에 표시하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압전소자(1630)는 상기 고정구조(1610)상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610)는 이 위치에서 큰 변형도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630)는 복수의 압전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 중 하나는 상기 고정구조(1610)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기타 압전소자들은 상기 구동전압에 따라 변형되어 고정구조(161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압전소자(1630)는 제1 압전소자와 제2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1610)의 중심점 부근에 위치하여 감지하고 고정구조(161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1610)상에서 상기 제1 압전소자로부터 일정한 거리(예를 들면, 2 cm)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상기 압전소자(1630)는 제1 압전소자, 제2 압전소자, 및 제3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1610)의 중심점 부근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압전소자와 상기 제3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1610)의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구조(1610)의 형상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단일 압전소자 또는 복수의 압전소자들은 상기 고정구조(1610)의 굽힘부재(161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구조(1610)에는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는 압전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재(1611)에 설치된 상기 압전소자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상기 기능소자(1620)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61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상기 압전소자(1630)는 상기 고정구조(1610)에 의해 구동될 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1630)는 그 변형도에 대응되는 전압 값을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수신한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고정구조(1610)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은 적당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또는 상기 사용자의 적용장면에 있어서, 상기 조임력은 너무 느슨하지도 않거나 또는 너무 세지도 않다. 상기 전압이 상기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으면, 상기 조임력은 상기 사용자에게 너무 느슨하거 너무 세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전소자(16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압전소자(1630)에 적용하여 고정구조(1610)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고정구조(1610)는 조임력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귀에 핏팅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630)의 변형은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조절될 수 있다(예를 들면, 상기 변형도의 크기 또는 상기 변형의 방향).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압전소자(1630)의 변형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630)는 상기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사용자의 신체를 향하거나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1630)가 사용자의 신체를 향해 변형되는 경우, 상기 압전소자(1630)는 추가적인 조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610)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1630)가 사용자의 신체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변형되는 경우, 상기 고정구조(1610)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조임력은 감소된다.
[5] 유의해야 할 것은 도 16에 표시하는 상기 기능소자(1620)와 상기 굽힘부재(1611)는 도 1에서의 상기 진동전달소자(130)(예를 들면, 상기 출력조립체(132)와 상기 귀걸이(131))일 수 있다. 상기 진동전달소자(130)를 포함하는 상기 기능소자(1620)는 도 2 및 그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6에 표시하는 상기 기능소자(1620)는 상기 스피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청기일 수도 있다.
[6]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헤드셋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가능장치는 헤드셋일 수 있다. 도 1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고정구조(1710), 기능성 부재(1720), 및 압전소자(1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710)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 구역에 적응되는 머리 훅일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710)의 양단부는 각각 기능성 부재들(17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1730)는 상기 고정구조(171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능소자(1720)는 기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1710)는 사용자의 머리에 현수될 수 있으며, 상기 기능소자(1720)는 상기 고정구조(1710)의 작용하에서 사용자의 귀를 덮을 수 있다.
[7]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압전소자들(1730)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만의 압전소자(1730)가 있는 경우, 상기 압전소자(1730)는 상기 고정구조(1710)의 중간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압전소자(1730)는 상기 고정구조(1710)상에서 상기 기능소자(172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1710)의 중심점은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가까울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 변형도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2개, 3개, 또는 더 많은 압전소자들(173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압전소자들(1730)의 특정된 설치방식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16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8] 도 1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안경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착용가능장치는 한 쌍의 안경일 수 있다.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고정구조(1810), 기능소자(1820), 및 압전소자(1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810)는 한 세트의 안경다리일 수 있으며, 상기 기능소자(1820)는 상기 고정구조(181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렌즈일 수 있으며, 상기 압전소자(1830)는 상기 고정구조(1810)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1810)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될 수 있다.
[9] 상기 고정구조(1810)가 안경다리인 경우, 안경다리의 하나의 단부는 렌즈들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상기 안경을 착용할 때, 상기 단부 부근의 변형도는 크다. 그리고, 상기 안경다리 구조의 상기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의 변형도는 크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810)상에서 상기 압전소자(1830)를 상기 렌즈 가까이 또는 상기 렌즈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고정구조(1810)의 변형에 대한 상기 압전소자(1830)의 민감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830)는 상기 안경다리의 중간에서 상기 안경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기능유닛(1820)은 상기 렌즈가 연결되는 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틀구조는 연결봉(미도시)을 통해 상기 안경다리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안경을 착용할 때, 상기 연결봉은 상대적으로 높은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830)는 상기 연결봉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압전소자들(1830)은 상기 착용가능장치의 상기 고정구조(181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만의 압전소자를 구비할 때, 상기 압전소자는 단일 안경다리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로써, 2개의 압전소자들이 있을 때, 상기 압전소자들은 2개의 안경다리들에 각각 또는 동일한 안경다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1830)는 상기 고정구조(1810)의 상기 연장방향을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압전소자(1830)는 상기 고정구조(1810)의 변형을 더 잘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가능장치의 프로세서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압전소자들(1830)과 인터랙션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상기 고정구조 사이의 조임력의 조절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조임력의 감시 및 조절에 관한 상세 내용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압전소자들을 통해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도 16에서 찾을 수 있다.
[10]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하는 안경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810)는 스피커 또는 보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기능유닛(1820)은 사용자의 얼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810)는 상기 기능유닛(1820)의 일측으로부터 사용자의 귀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귀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810)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는 상기 사용자의 양 귀에 가까울 수 있다 .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의 장착을 쉽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조(1810)의 양측의 안경다리는 각각 함몰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는 상기 함몰구조에 설치될 수 있다.
[11] 도 1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예시적인 착용가능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도 19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VR 또는 AR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고정구조(1910), 기능소자(1920), 및 압전소자(19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910)는 배면걸이일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910)의 양단부는 각각 상기 기능소자들(19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능소자(1920)는 상기 고정구조(191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광학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는 영상과 색상을 나타내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910)는 상기 기능소자(1920)를 상기 사용자의 눈들에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1910)는 사용자의 머리를 둘러싸고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될 수 있다.
[12]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910)의 변형도에 대한 상기 압전소자(1930)의 민감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압전소자(1930)는 상기 고정구조(1910)(예를 들면, 상기 배면걸이)의 중간구역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압전소자(1930)는 상기 고정구조(1910)상에서 상기 기능소자(192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19에 표시하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압전소자(1930)는 상기 고정구조(1910)상에서 사용자의 머리의 뒷측 부근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910)는 그 위치에서 큰 변형도를 가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나 이상의 압전소자들(19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조(1910)에 설치되는 상기 압전소자에 관한 상세 내용은 도 에서의 16 및 그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13]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91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로부터 독립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전소자(1920)는 상기 고정구조(1910)의 변형을 검측하고 상기 고정구조(1910)의 변형도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전압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전압 값에 근거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조임력의 감시와 조절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압전소자를 통해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을 감시하고 제어하는 도 16에서 찾을 수 있다.
[14]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는 오디오 기능을 구비하는 VR 또는 AR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고정구조(1910)는 스피커 또는 보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910)상의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는 사용자의 귀 가까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의 장착의 편의를 위해, 상기 고정구조(1910)는 귀 부근에 함몰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보청기는 상기 함몰구조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고정구조(1910)는 귀 부근에 상기 함몰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스피커들 또는 보청기는 양쪽에서 상기 함몰구조에 설치될 수 있다.
[15] 유의해야 할 것은 도 16- 19에 나타내는 상기 착용가능장치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써 임의의 제한을 형성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착용가능장치들은 스마트시계들, 헬멧들, 또는 기타 장치들일수 도 있다. 상응하게, 상기 압전소자들은 스마트시계의 띠 또는 헬멧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압전소자는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데만 이용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적당한 조임력으로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착용가능장치 또는 상기 착용가능장치에 연결되는 전자장치들(예를 들면, 휴대폰, 태블릿, 등.)의 제어시스템을 통해 제어명령어들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어들에 근거하여,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압전소자의 변형도를 제어하여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16] 위에서는 기본 개념을 설명하였다. 물론,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상기 상세한 개시는 단지 하나의 예로서, 본 개시에 대한 한정을 형성하지 않는다. 여기에서 명백하게 해석하지 않았지만,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있어서, 본 개시에 대해 다양한 변형, 개량 및 수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개량, 및 수정은 본 개시의 교시를 받았으며, 이러한 변화, 개량, 및 수정은 여전히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지와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17] 동시에,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데 어떤 기술용어를 사용하였다. 예를 들면,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특정된 특징, 구조 또는 특성들을 가리킨다. 따라서, 여기에서 강조하고 주의를 주는 것은 본 개시의 상이한 부분에서 2번 이상 언급한 "일 실시예" 또는 "하나의 실시예" 또는 "대안실시예"는 동일한 실시예를 가리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특정된 특징,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적당히 조합될 수 있다.
[18] 또한,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주장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기재한 처리소자들과 서열들의 순서, 숫자들 및 문자들의 사용, 또는 기타 명칭들의 사용은 본 개시의 처리와 방법들의 순서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개시는 현재 유용하다고 인정되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의 다양한 예의 방식으로 논의되었지만, 이해해야 할 것은 이러한 상세내용은 단지 설명만을 위한 것으며 첨부된 청구범위들이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범위들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요지와 범위 내에 떨어지는 모든 수정들 및 등가조합들에 대한 커버를 의도로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상기 시스템 부재들은 하드웨어 장치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만의 해결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존의 서버 또는 이동장치상의 상술한 시스템에 장착할 수 있다.
[19] 유사하게, 유의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설명을 간단화하여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상술한 설명에서는, 어떤 경우 복수의 특징들을 하나의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에 조합한다. 설명의 방법은 본 개시의 주제는 청구범위 중에 기재한 바보다 더 많은 특징들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보호를 청구하는 주제는 개시한 상기 단일 실시예의 전부의 특징들보다 적은 특징들을 포함함을 강조한다.
[1]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부재들 및 특성들의 수량을 설명하는 데 숫자들을 사용하였다.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이러한 숫자들은 일부 예들에서 "약", "대체로", 또는 "기본상"의 수식어들을 이용함을 이해해야 한다. 별도의 설명이 없는 경우, "약", "대체로" 또는 "실질적으로"는 주장하는 수치가 ±20%의 변화를 허용함을 의미한다. 상응하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상기 수치 파라미터들은 근사치이며, 이 근사치는 개별 실시예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수치 파라미터들은 지정된 유효 숫자를 고려하며 일반적인 숫자 보유방법을 이용해야 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들의 범위를 확인하는 데 사용하는 숫자 범위와 파라미터들은 근사치이지만,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의 이러한 수치들의 설정은 가능한 범위 내에서 될 수록 정확하다.
[2] 본 출원에서 인용한 각 특허, 특허출원, 특허출원공보, 및 논문, 서적, 명세서, 공보, 서류 등과 같은 기타 자료는 그 전체가 참조되어 본 출원에 포함되어 있다. 본 개시의 내용들과 불일치하거나 충돌되는 출원의 이력서류들은 제외하며, 현재 또는 금 후 본 개시에 첨부되는 서류 중 본 개시의 최대 주장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제외한다. 유의해햐 할 것은 본 개시의 첨부 재료들과 본 개시의 내용에서 사용된 설명, 정의 및/또는 용어들 사이에서 임의의 불일치 또는 충돌되는 것이 있는 경우,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설명, 정의 및/또는 용어들을 기준으로 한다.
[3] 최종적으로, 이해해야 할 것은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단지 그 실시예들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는 것이다. 기타 수정들도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로써 및 비한정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의 대안적 구성들은 본 개시의 교시들과 일치하다고 인정될 수 있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에서 명시적으로 소개하고 기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32)

  1. 음향출력장치로서,
    오디오 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압전소자;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고, 일단부가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일단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 및
    귀걸이와 출력조립체를 포함하는 진동전달부재로서, 상기 귀걸이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귀걸이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구비하는, 상기 진동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의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는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연결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면에서의 상기 귀걸이의 투영은 귀걸이 투영곡선일 수 있고, 제1 직선은 상기 제1 연결면의 중심점을 관통하고 상기 귀걸이 투영곡선과 접하며,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제1 직선 사이의 각도는 0°~50°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출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는 상기 제1 압전소자에 연결되고 제2 연결면을 구비하며,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연결점은 상기 제2 연결면에 있고,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상기 연결점과 상기 귀걸이와 상기 출력조립체 사이의 상기 연결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2 직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연결면에서의 상기 제1 압전소자의 투영과 상기 제2 직선 사이의 각도는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출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기 접촉면은 사용자의 귀 부근의 얼굴구역에 맞닿는
    음향출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탄성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뒷측에 현수되는
    음향출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1 공진피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출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조립체의 측벽은 소리홀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는 상기 소리홀을 통해 상기 출력조립체의 외부로 전달되는
    음향출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저주파수대역 성분으로 나누도록 구성되는 주파수분할모듈;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고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수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저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저주파수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 사이의 분할점은 200Hz~600Hz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1000Hz~3000Hz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출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 중에서 상기 분할점에 가장 가까운 2개의 공진피크들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들은 각각 이고, 를 만족시키는
    음향출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압전소자; 및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압전소자에 적용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는
    음향출력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전소자는 제2 서브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적용되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음향출력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조절된 형상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하며, 상기 조임력은 0.1N~0.8N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출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압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에서 상기 출력조립체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는 상기 고정구조상의 상기 제1 서브압전소자와 상기 귀걸이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는
    음향출력장치.
  16. 착용가능장치로서,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사용자의 머리에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고정구조;
    상기 고정구조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응답하여 전압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압전소자; 및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적용되여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착용가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소자는 제2서브압전소자 및 상기 고정구조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전압을 생성하는 제1 서브압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압을 수신하고, 상기 전압이 사전설정된 전압 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는 데 응답하여, 상기 제2 서브압전소자에 적용되어 상기 고정구조의 형상을 조절하는 구동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착용가능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조절된 형상을 구비하는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사용자의 귀 부근에 핏팅시키기 위한 조임력을 제공하며, 상기 조임력은 0.1N~0.8N의 범위 내에 있는
    착용가능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오디오 주파수신호에 근거하여 진동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압전부재; 및
    귀걸이와 출력조립체를 포함하는 진동전달부재로서, 상기 귀걸이의 일단부는 상기 고정구조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제1 압전소자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귀걸이의 다른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귀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출력조립체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며,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귀걸이를 통해 상기 제1 압전소자의 진동을 수신하고 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소리의 주파수응답곡선은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을 구비하는, 진동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착용가능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립체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의 상기 출력조립체에 연결되는 단부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연결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연결면에서의 상기 귀걸이의 투영은 귀걸이 투영곡선일 수 있고, 제1 직선은 상기 제1 연결면의 중심점을 관통하고 상기 귀걸이 투영곡선과 접하며, 상기 접촉면과 상기 제1 직선 사이의 각도는 0°~50°의 범위 내에 있는
    착용가능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는 상기 제1 압전소자에 연결되고 제2 연결면을 구비하며,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연결점은 상기 제2 연결면에 있고, 상기 귀걸이와 상기 제1 압전소자 사이의 상기 연결점과 상기 귀걸이와 상기 출력조립체 사이의 상기 연결점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2 직선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 연결면에서의 상기 제1 압전소자의 투영과 상기 제2 직선 사이의 각도는 -20°~20°의 범위 내에 있는
    착용가능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출력조립체의 상기 접촉면은 사용자의 귀 부근의 얼굴구역에 맞닿는
    착용가능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탄성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음향출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뒷측에 현수되는
    착용가능장치.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은 제1 공진피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진피크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는 5Hz~30Hz의 범위 내에 있는
    착용가능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립체는 상기 출력조립체의 내부에 위치하는 음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출력조립체의 측벽은 소리홀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소리는 상기 소리홀을 통해 상기 출력조립체의 외부로 전달되는
    착용가능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를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저주파수대역 성분으로 나누도록 구성되는 주파수분할모듈;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고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고주파수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주파수분할모듈과 결합되며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에 근거하여 저주파수출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저주파수신호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착용가능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수대역 성분과 상기 저주파수대역 성분 사이의 분할점은 200Hz~600Hz의 범위 내에 있거나, 또는 1000Hz~3000Hz의 범위 내에 있는
    음향출력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공진피크들 중에서 상기 분할점에 가장 가까운 2개의 공진피크들에 대응되는 공진주파수들은 각각 이고, 를 만족시키는
    음향출력장치.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막지 않고 상기 스피커를 사용자의 귀 부근에 배치하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뒷측에 현수되는
    음향출력장치.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기전도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기전도 스피커를 사용자의 귀를 커버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머리 꼭대기에 현수되는
    음향출력장치.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가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가시부재를 사용자의 눈들에 배치하며, 사용자가 상기 착용가능장치를 착용할 때, 상기 고정구조는 사용자의 귀에 현수되는
    음향출력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부재는 렌즈들 또는 광학 디스플레이인
    음향출력장치.
KR1020237022657A 2022-04-29 2022-04-29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 KR202301542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2/090663 WO2023206531A1 (zh) 2022-04-29 2022-04-29 一种声学输出装置及可穿戴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298A true KR20230154298A (ko) 2023-11-07

Family

ID=8851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657A KR20230154298A (ko) 2022-04-29 2022-04-29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53926A1 (ko)
EP (1) EP4294038A4 (ko)
JP (1) JP2024520967A (ko)
KR (1) KR20230154298A (ko)
CN (1) CN117322008A (ko)
WO (1) WO2023206531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710378D0 (en) * 2007-05-31 2007-07-11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US9020168B2 (en) * 2011-08-30 2015-04-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elivery with different sound conduction transducers
CN103852890B (zh) * 2012-11-28 2017-05-24 联想(北京)有限公司 头戴式电子设备和音频处理方法
CN106792322A (zh) * 2017-02-08 2017-05-31 贵州翔通科技实业有限公司 头戴式耳机
US20200204901A1 (en) * 2018-12-21 2020-06-25 Plantronics, Inc. Adjustable Headphone Neck Band
WO2020140456A1 (zh) * 2019-01-05 2020-07-09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扬声器装置
CN212785798U (zh) * 2020-09-10 2021-03-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耳机
CN112190246A (zh) * 2020-10-09 2021-01-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其主体
CN214544724U (zh) * 2021-03-19 2021-10-29 精拓丽音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骨传导耳机
CN214708014U (zh) * 2021-04-09 2021-11-12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耳机
CN114236842A (zh) * 2021-12-23 2022-03-25 歌尔微电子股份有限公司 虚拟头盔及其智能佩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4038A1 (en) 2023-12-20
WO2023206531A1 (zh) 2023-11-02
US20230353926A1 (en) 2023-11-02
JP2024520967A (ja) 2024-05-28
CN117322008A (zh) 2023-12-29
EP4294038A4 (en)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811043U (zh) 穿戴式生理活动感测装置及感测系统
US8989410B2 (en) Compact bone conduction audio transducer
JP3556151B2 (ja)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送受話装置
EP1791392A1 (en)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US9380379B1 (en) Bone-conduction anvil and diaphragm
EP2387252A1 (en) Spheno-tempor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and/or hearing aid equipment
US20220386011A1 (en) Acoustic device
CN110022503A (zh) 骨传导发声装置
CN112544086A (zh) 软骨传导音频设备的制造
US11212610B2 (en) Hearing device
US10950217B1 (en) Acoustic quadrupole system for head mounted wearable device
CN217335858U (zh) 一种骨传导耳机
JPWO2008004274A1 (ja) 音声伝達装置
KR20230154298A (ko) 음향출력장치와 착용가능장치
KR102115270B1 (ko) 골 전도용 헤드셋
CN217135670U (zh) 一种骨传导耳机
US20240042162A1 (en) Wearable device for vibrotactile and/or thermal nerve stimulation
TW202344070A (zh) 一種可穿戴設備
CN117014779A (zh) 一种声学输出装置
WO2022134103A1 (zh) 一种眼镜
JP2024511098A (ja) 音響入出力装置
RU2800594C1 (ru) Акус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CN209497601U (zh) 用于眼镜的骨导传音支撑架及骨导传音系统
JP3242737U (ja) 眼鏡
JP7219975B2 (ja) 聴音装置及びスピーカ付眼部装着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