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269A -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269A
KR20230154269A KR1020237034535A KR20237034535A KR20230154269A KR 20230154269 A KR20230154269 A KR 20230154269A KR 1020237034535 A KR1020237034535 A KR 1020237034535A KR 20237034535 A KR20237034535 A KR 20237034535A KR 20230154269 A KR20230154269 A KR 20230154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ic valve
valve
outlet
throttle hol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중보 펑
펑 티엔
샤오홍 마
Original Assignee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제지앙 둔안 아트피셜 인바이런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4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26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Abstract

전자 밸브(100) 및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자 밸브(100)는 밸브체(110) 및 코어 아이언(120)을 포함한다. 밸브체(110)는 밸브 캐비티 및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는 입구(1101)와 출구(1102)를 구비한다. 코어 아이언(120)에는 채널(1201)이 설치되고, 채널(1201)의 일단은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며, 타단은 밀봉 부재(121)에 의해 폐쇄된다. 코어 아이언(120)은 밀봉 부재(121)를 통해 출구(1102)에 리셋 가능하도록 폐쇄된다. 전자 밸브(100)는 제1 스로틀 홀(131) 및/또는 제2 스로틀 홀(132)을 구비한다. 제1 스로틀 홀(131)은 밀봉 부재(121)에 설치된다. 출구(1102)에 폐쇄되면, 제1 스로틀 홀(131) 일단은 출구(1102)와 연통되고, 타단은 채널(1201)을 통해 밸브 캐비티와 연통된다.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체(110)에 설치되며, 밸브 캐비티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공조 시스템은 전자 밸브(100)를 이용하여, 모세관 및 전자 밸브를 병렬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
본 개시는 2021년 3월 11일 출원된 출원번호가 202120531796.9이고 발명의 명칭이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인 중국 출원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는 전체로서 본원에 인용되었다.
본 개시는 공조 시스템 및 이의 부품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조 시스템에서는 압축기가 냉매 및 윤활유를 배출하며, 이는 오일 분리기를 거쳐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병렬로 연결된 모세관과 전자 밸브를 통해 압축기의 가스 흡입구로 환류된다. 압축기가 배출하는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린다. 이는 윤활유가 즉시 압축기로 환류되어 오일 부족으로 인한 압축기 손상을 방지하도록 보장한다. 그러나 공조 시스템에 상기 종래의 방식을 채택하면 압축기 오일 회수 파이프라인에 병렬로 설치된 모세관과 전자 밸브가 필요하다. 따라서 비용이 비교적 높고 구조가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일 양상은 전자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전자 밸브는 밸브체 및 코어 아이언을 포함한다. 상기 밸브체는 밸브 캐비티 및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코어 아이언에는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채널의 일단은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며, 타단은 밀봉 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채널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는 리셋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코어 아이언을 상기 밀봉 부재를 통해 상기 출구에 리셋 가능하도록 폐쇄시키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 및/또는 제2 스로틀 홀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스로틀 홀은 상기 밀봉 부재에 설치된다. 상기 코어 아이언이 상기 출구에 폐쇄되면, 상기 제1 스로틀 홀 일단은 상기 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된다. 상기 제2 스로틀 홀은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캐비티 및 상기 출구와 연통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또 다른 양상은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압축기 및 오일 분리기가 포함된다. 상기 압축기는 오일 배출구 및 가스 흡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오일 분리기는 오일 입구 및 오일 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오일 입구와 연통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조 시스템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상기 실시방식에 따른 전자 밸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자 밸브의 입구는 상기 오일 출구와 연통된다. 상기 전자 밸브의 출구는 상기 가스 흡입구와 연통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전자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전자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다른 일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방식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부분 시스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개시를 전면적이고 완전하게 만들며, 예시적 실시예의 사상을 당업자에게 전면적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를 나타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의 단면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예시적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공조 시스템의 압축기 환류 방안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관련 설계를 다른 유형의 공조 시스템 또는 다른 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다양한 변형, 추가, 대체, 삭제 또는 기타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의 원리 범위 내에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밸브체(110) 및 코어 아이언(120)을 포함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서 A부분의 확대도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의 각 주요 구성요소의 구조, 연결 방식 및 기능 관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110)는 밸브 캐비티, 입구(1101) 및 출구(1102)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1101)와 상기 출구(1102)는 상기 밸브 캐비티와 각각 연통된다. 상기 코어 아이언(120)에는 채널(1201)이 설치된다. 상기 채널(1201)의 일단은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고, 채널(1201)의 타단은 밀봉 부재(121)에 의해 폐쇄된다. 채널(1201)과 밸브체(110) 사이에는 리셋 부재(122)가 연결된다. 상기 리셋 부재(122)는 코어 아이언(120)을 상기 밀봉 부재(121)를 통해 출구(1102)에 리셋 가능하도록 폐쇄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131)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스로틀 홀(131)은 밀봉 부재(121)에 설치된다. 코어 아이언(120)이 출구(1102)에 폐쇄되면, 제1 스로틀 홀(131) 일단은 출구(1102)와 연통되고, 제1 스로틀 홀(131)의 타단은 채널(1201)을 통해 밸브 캐비티와 연통된다. 따라서 코어 아이언(120)이 폐쇄되더라도 전자 밸브가 일정한 유량을 갖는다. 따라서, 전자 밸브가 공조 시스템의 압축기 오일 환류 방안에 적용될 경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 및 윤활유는 오일 분리기를 거쳐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상기 전자 밸브에 의해 압축기의 가스 흡입구로 환류될 수 있다. 정상 운행 시, 윤활유는 전자 밸브 스로틀 홀을 통해 압축기로 환류된다. 압축기에서 배출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려, 윤활유가 즉시 압축기로 환류되도록 보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 설계를 통해,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전자 밸브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은 모세관 및 전자 밸브를 병렬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131)을 포함한다. 제1 스로틀 홀(131)은 밀봉 부재(121)의 중심 위치에 설치된다. 제1 스로틀 홀(131)은 채널(120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윤활유가 채널(1201) 및 제1 스로틀 홀(131)을 거쳐 출구(1102)로 흐르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밀봉 부재(121)는 대체적으로 기둥형 구조일 수 있다. 즉, 밀봉 부재(121)의 단면은 대체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밀봉 부재(121)는 중앙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코어 아이언(120)에 설치할 수 있다. 즉, 밀봉 부재(121)의 중심선은 채널(1201)의 중심선과 대체적으로 겹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스로틀 홀(131)이 채널(120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대체적으로 밀봉 부재(121)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서도 연장된다.
선택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밸브체(110)는 도관부(111) 및 본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관부(111)는 대체적으로 실린더형 구조일 수 있다. 도관부(111)의 일단 실린더 개구는 폐쇄된다. 코어 아이언(120)은 도관부(111)의 실린더 캐비티(1111) 내에 설치된다. 코어 아이언(120)과 도관부(111)의 실린더벽 사이에는 갭(G)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12)는 도관부(111)의 타단 실린더 개구에 설치된다. 본체부(112)는 내부 캐비티(1121)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캐비티(1121)는 도관부(111)의 실린더 캐비티(1111)와 연통되어 함께 전자 밸브의 밸브 캐비티를 한정한다. 이를 기반으로, 전자 밸브의 입구(1101)와 출구(1102)는 본체부(112)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10)에 실린더형 구조이고 일단 실린더 개구가 폐쇄된 도관부(111)가 포함되는 구조적 설계를 기반으로,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도관부(111)의 실린더 캐비티(1111) 내에는 흡인자 부재(1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인자 부재(113)는 도관부(111)의 일단 실린더 개구를 폐쇄한다. 이를 기반으로, 리셋 부재(122)는 흡인자 부재(113)와 코어 아이언(120)의 채널(120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관부(111)의 실린더 캐비티(1111) 내에 흡인자 부재(113)가 설치되는 구조적 설계를 기반으로,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채널(1201) 내에는 단차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리셋 부재(122)의 일단은 상기 단차 구조의 단차면에 연결되고, 리셋 부재(122)의 타단은 채널(1201)에서 연장되어 흡인자 부재(113)에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리셋 부재(122)는 리셋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코어 아이언(120)에는 밸런스 홀(120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밸런스 홀(1202)은 대략 코어 아이언(12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밸런스 홀(1202)은 코어 아이언(120)의 채널(1201)을 통해 연통된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제1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코어 아이언(120)이 닫히더라도, 즉 코어 아이언(120)이 밀봉 부재(121)를 통해 전자 밸브의 출구(1102)에 폐쇄되더라도,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는 여전히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밸런스 홀(1202)→실린더 캐비티(1111))→채널(1201)→제1 스로틀 홀(131)→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는 닫힌 상태에서 일정한 유량을 갖는다.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리고, 코어 아이언(120)이 열린다. 즉, 코어 아이언(120)이 출구(1102)에서 분리되고, 윤활유는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 있다. 물론 동시에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실린더 캐비티(1111))→채널(1201)→제1 스로틀 홀(131)→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도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유량의 유통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자 밸브 실시방식 2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제1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의 제2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상기 제1 실시방식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적 설계를 채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2 실시방식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밸브를 대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 부분을 대표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밀봉 부재(121)는 대체적으로 구형 구조이다. 이를 기반으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제2 스로틀 홀(132)을 구비하고, 제1 스로틀 홀(131)을 구비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체(110)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 캐비티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따라서, 구형 구조를 갖는 밀봉 부재(121)는 코어 아이언(120) 작동 과정에서 회전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밀봉 부재(121)에 제1 스로틀 홀(131)을 더 이상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제1 스로틀 홀(131)이 밀봉 부재(121)의 회전으로 인해 채널(1201) 및 출구(1102)와 연통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체(110)에 제2 스로틀 홀(132)을 설치하여 밸브 캐비티를 출구(1102)와 직접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도 일정 유량을 갖도록 보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밸브체(110)는 본체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2)의 내부 캐비티(1121)는 밸브 캐비티의 일부분을 한정한다. 또한 전자 밸브의 입구(1101)와 출구(1102)는 본체부(112)에 각각 설치된다. 이를 기반으로, 제2 스로틀 홀(132)은 본체부(112)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스로틀 홀(132)은 내부 캐비티(1121)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다른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에 제2 스로틀 홀(132)만 설치된 경우, 전자 밸브의 밀봉 부재(121)는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밀봉 부재(121)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으며, 이는 본 실시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제2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제2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코어 아이언(120)이 닫히더라도, 즉 코어 아이언(120)이 밀봉 부재(121)를 통해 전자 밸브의 출구(1102)에 폐쇄되더라도,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는 여전히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제2 스로틀 홀(132)→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는 닫힌 상태에서 일정한 유량을 갖는다.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리고, 코어 아이언(120)이 열린다. 즉, 코어 아이언(120)이 출구(1102)에서 분리되고, 윤활유는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 있다. 물론 동시에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제2 스로틀 홀(132)→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도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유량의 유통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자 밸브 실시방식 3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제1 실시방식 및 제2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의 제3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제3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상기 제1 실시방식 및 제2 실시방식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적 설계를 채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3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3 실시방식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도 2에서 도 1의 A부분에 대응하는 확대 영역을 참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131) 및 제2 스로틀 홀(13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 스로틀 홀(131)은 밀봉 부재(121)에 설치된다. 또한 제1 스로틀 홀(131)은 채널(1201)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체(110)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 캐비티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상기 구조적 설계를 통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131) 및 제2 스로틀 홀(132)을 이용하여, 전자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도 일정한 유량을 갖는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제3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제3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작동 원리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코어 아이언(120)이 닫히더라도, 즉 코어 아이언(120)이 밀봉 부재(121)를 통해 전자 밸브의 출구(1102)에 폐쇄되더라도,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는 여전히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밸런스 홀(1202)→실린더 캐비티(1111))→채널(1201)→제1 스로틀 홀(131)→출구(1102)" 및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제2 스로틀 홀(132)→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전자 밸브는 닫힌 상태에서 일정한 유량을 갖는다.
오일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리고, 코어 아이언(120)이 열린다. 즉, 코어 아이언(120)이 출구(1102)에서 분리되고, 윤활유는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 있다. 물론 동시에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실린더 캐비티(1111))→채널(1201)→제1 스로틀 홀(131)→출구(1102)" 및 "입구(1101)→밸브 캐비티(내부 캐비티(1121))→제2 스로틀 홀(132)→출구(1102)"의 경로를 거쳐 전자 밸브를 흐를 수도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유량의 유통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자 밸브 실시방식 4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제3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의 제4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상기 제4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상기 제3 실시방식과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조적 설계를 채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4 실시방식에서 전자 밸브의 주요 차이점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4 실시방식에서 본 개시에 따른 전자 밸브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도 2에서 도 1의 A부분에 대응하는 확대 영역을 참조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3개의 제1 스로틀 홀(131) 및 2개의 제2 스로틀 홀(132)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3개의 제1 스로틀 홀(131)은 밀봉 부재(121)에 설치되며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1 스로틀 홀(131)은 채널(1201)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2개의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체(110)에 설치되며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2 스로틀 홀(132)은 밸브 캐비티 및 출구(1102)와 연통된다. 상기 구조적 설계를 통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3개의 제1 스로틀 홀(131) 및 2개의 제2 스로틀 홀(132)을 이용하여, 전자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도 일정한 유량을 갖는다.
다른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에 제1 스로틀 홀(131)만 구비되는 경우, 제1 스로틀 홀(131)의 수량은 1개일 수 있으며, 2개 이상일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에 제2 스로틀 홀(132)만 구비되는 경우, 제2 스로틀 홀(132)의 수량은 1개일 수 있으며,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에 제1 스로틀 홀(131) 및 제2 스로틀 홀(132)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 제1 스로틀 홀(131)의 수량은 1개일 수 있으며,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스로틀 홀(132)의 수량은 1개일 수 있으며, 2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전자 밸브에 제1 스로틀 홀(131) 및 제2 스로틀 홀(132)이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 제1 스로틀 홀(131)과 제2 스로틀 홀(132)의 수량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전자 밸브는 본 개시의 원리를 채택할 수 있는 많은 전자 밸브 중 일부 예시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의 원리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전자 밸브의 임의 세부 사항 또는 임의 부재로 제한되지 않음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요약하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 및/또는 제2 스로틀 홀을 설치함으로써, 코어 아이언이 출구를 폐쇄한 경우에도 전자 밸브가 일정한 유량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오일 분리기에서 배출된 냉매 및 윤활유는 오일 분리기를 거쳐 분리된다. 분리된 윤활유는 상기 전자 밸브에 의해 압축기의 가스 흡입구로 환류될 수 있다. 정상 운행 시, 윤활유는 전자 밸브 스로틀 홀을 통해 압축기로 환류된다. 압축기에서 배출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려, 윤활유가 즉시 압축기로 환류되도록 보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 설계를 통해,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전자 밸브를 이용한 공조 시스템은 모세관 및 전자 밸브를 병렬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상기 전자 밸브의 여러 예시적 실시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의 일 예시적 실시방식을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며, 이는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의 부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공조 시스템의 압축기 오일 환류 부분을 도시하였다. 상기 예시적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 오일 환류 설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관련 설계를 다른 유형의 공조 시스템 또는 다른 공정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 다양한 변형, 추가, 대체, 삭제 또는 기타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변화는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의 원리 범위 내에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방식에 있어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은 압축기(200) 및 오일 분리기(3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200)는 오일 배출구 및 가스 흡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오일 분리기(300)는 오일 입구 및 오일 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오일 입구와 연통된다. 이를 기반으로, 공조 시스템은 본 개시에서 제공하고 상기 실시방식에서 상세히 설명된 전자 밸브(100)를 더 포함한다. 전자 밸브(100)의 입구는 제1 파이프라인(410)을 통해 오일 출구와 연통된다. 전자 밸브(100)의 출구는 제2 파이프라인(420)을 통해 가스 흡입구와 연통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100)를 채택함으로써, 정상 작동 시, 윤활유가 전자 밸브(100) 스로틀 홀을 통해 압축기(200)로 환류된다. 압축기(200)에서 배출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은 경우, 전자 밸브(100)가 열리며 윤활유가 압축기(200)로 즉시 환류되도록 보장한다. 상기 구조적 설계를 채택함으로써,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은 모세관 및 전자 밸브(100)를 병렬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자 밸브(100) 및 공조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공조 시스템은 본 개시의 원리를 채택할 수 있는 많은 공조 시스템 중 일부 예시에 불과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본 개시의 원리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거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공조 시스템의 임의 세부 사항 또는 임의 부재로 제한되지 않음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요약하면,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공조 시스템은 본 개시에서 제공하는 전자 밸브를 채택한다. 이를 통해 정상 운행 시, 윤활유는 전자 밸브 스로틀 홀을 통해 압축기로 환류된다. 압축기에서 배출된 윤활유가 비교적 많으면, 전자 밸브가 열려, 윤활유가 즉시 압축기로 환류되도록 보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 설계를 통해,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공조 시스템은 모세관 및 전자 밸브를 병렬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비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동시에 시스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여러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개시를 설명하였으나, 사용된 용어는 설명적이고 예시적인 것으로, 제한적인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본 개시는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본질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사상과 범위 내에서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 또는 그 등가의 범위 내에 해당하는 모든 변형 및 개선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포괄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Claims (10)

  1. 전자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밸브체 및 코어 아이언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체는 밸브 캐비티 및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는 입구와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코어 아이언에는 채널이 설치되고, 상기 채널의 일단은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고, 타단은 밀봉 부재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채널과 상기 밸브체 사이에는 리셋 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코어 아이언을 상기 밀봉 부재를 통해 상기 출구에 리셋 가능하도록 폐쇄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전자 밸브는 제1 스로틀 홀 및/또는 제2 스로틀 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스로틀 홀은 상기 밀봉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코어 아이언이 상기 출구에 폐쇄되면, 상기 제1 스로틀 홀의 일단은 상기 출구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밸브 캐비티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스로틀 홀은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 캐비티 및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전자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1개의 상기 제1 스로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로틀 홀은 상기 밀봉 부재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스로틀 홀은 상기 채널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전자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제1 스로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1 스로틀 홀은 상기 채널의 중심선 방향을 따라 각각 연장되며 이격 배치되는, 전자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 캐비티는 상기 밸브 캐비티의 일부분을 한정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스로틀 홀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스로틀 홀은 상기 내부 캐비티 및 상기 출구와 연통되는, 전자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밸브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제2 스로틀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스로틀 홀은 이격 배치되는, 전자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아이언은 구형 구조이고, 상기 전자 밸브는 상기 제2 스로틀 홀만 구비하는, 전자 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도관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관부는 실린더형 구조이고, 상기 도관부의 일단 실린더 개구는 폐쇄되고, 상기 코어 아이언은 상기 도관부의 실린더 캐비티 내에 설치되며 실린더벽과 갭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도관부의 타단 실린더 개구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 캐비티는 상기 도관부의 실린더 캐비티와 연통되며 함께 상기 밸브 캐비티를 한정하고,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는 상기 본체부에 각각 설치되는, 전자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부의 실린더 캐비티 내에는 흡인자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흡인자 부재는 상기 도관부의 일단 실린더 개구를 폐쇄하고, 상기 리셋 부재는 상기 흡인자 부재와 상기 코어 아이언의 상기 채널 사이에 연결되는, 전자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내에는 단차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리셋 부재의 일단은 상기 단차 구조의 단차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채널에서 연장되며 상기 흡인자 부재에 연결되는, 전자 밸브.
  10.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압축기 및 오일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오일 배출구 및 가스 흡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오일 분리기는 오일 입구 및 오일 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오일 배출구는 상기 오일 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공조 시스템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자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밸브의 입구는 상기 오일 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전자 밸브의 출구는 상기 가스 흡입구와 연통되는, 공조 시스템.
KR1020237034535A 2021-03-11 2022-01-11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 KR202301542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531796.9 2021-03-11
CN202120531796.9U CN214888901U (zh) 2021-03-11 2021-03-11 电磁阀及空调系统
PCT/CN2022/071294 WO2022188540A1 (zh) 2021-03-11 2022-01-11 电磁阀及空调系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269A true KR20230154269A (ko) 2023-11-07

Family

ID=79036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4535A KR20230154269A (ko) 2021-03-11 2022-01-11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512248A (ko)
KR (1) KR20230154269A (ko)
CN (1) CN214888901U (ko)
WO (1) WO20221885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4888901U (zh) * 2021-03-11 2021-11-26 浙江盾安机械有限公司 电磁阀及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8994B2 (ja) * 2009-11-04 2013-10-0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空気圧縮機
CN102192358B (zh) * 2010-03-09 2014-03-12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磁阀
CN206669079U (zh) * 2017-03-09 2017-11-2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带节流功能的冷媒电磁阀结构
CN212536845U (zh) * 2020-06-11 2021-02-12 安徽江淮松芝空调有限公司 一种带有节流短管的电磁阀
CN214888901U (zh) * 2021-03-11 2021-11-26 浙江盾安机械有限公司 电磁阀及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2248A (ja) 2024-03-19
CN214888901U (zh) 2021-11-26
WO2022188540A1 (zh)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7616B1 (ko)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각시스템
CN105143738A (zh) 用于利用文杜里效应产生真空的吸气器的流量控制方法
CN103574991B (zh) 多压缩机系统回油控制方法
KR20230154269A (ko) 전자 밸브 및 공조 시스템
US9631850B2 (en) Thermal expansion valve with one-way control function
CN105569770A (zh) Pcv阀的安装结构
CN110195670A (zh) 特别是用于供应高压气体设有通气口的节流阀体或致动器
CN103670715A (zh) 过滤器旁路阀
US20100139634A1 (en)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 assembly with a vacuum pulsation dampener
WO2019122462A1 (en) Flow control valve
EP1711731B1 (en) Low pressure drop check valve
US10352209B2 (en) Pressure regulator assemblies
CN111238096A (zh) 一种空调器及其节流阀
CN108397260B (zh) 发动机壳体部件
CN117006290A (zh) 一种静音节流阀及节流阀组件
CN206988496U (zh) 一种空气压缩机用最小压力阀
CN102865213B (zh) 多压缩机系统及其均油方法和装置
CN213685321U (zh) 电磁阀
CN110446831B (zh) 流体pcv阀组件和系统
US7921877B2 (en) Spool valve and method
CN212253247U (zh) 一种空调器及其节流阀
CN111927793B (zh) 离心压缩机平衡管组件、离心压缩机和制冷系统
CN109751417B (zh) 一种先导式电磁阀
CN112211844B (zh) 平衡系统及平衡系统的控制方法
EP4324666A1 (en) Fluid management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