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037A - Shoe so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Shoe so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037A
KR20230154037A KR1020237032462A KR20237032462A KR20230154037A KR 20230154037 A KR20230154037 A KR 20230154037A KR 1020237032462 A KR1020237032462 A KR 1020237032462A KR 20237032462 A KR20237032462 A KR 20237032462A KR 20230154037 A KR20230154037 A KR 2023015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p protrusion
slip
protrusion
shoe sol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24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로 와타나베
토모히로 노자키
타카시 타쿠보
Original Assignee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03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04Plastics, rubber or vulcanised fib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행면에 액체가 존재하는 등 보행면이 미끄러운 상황에 있을 때에도 우수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한다.
신발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설치된 횡단면 V자형을 이루는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구비하고, 이들 베이스부(10)와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엘라스토머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에서의 베이스부(10)와의 접속부분에, 베이스부(10)에 가까워짐에 따라 횡단면이 커지는 대좌부(24)가 갖추어지고,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 표면 거칠기(Ra)가 1.5μm 이하로 된다.
We provide shoe soles that can demonstrate excellent resistance to moisture even when the walking surface is slippery, such as when there is liquid on the walking surface.
It is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10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hoe and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0 having a V-shaped cross section installe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nd these base portions 10 and In a shoe sole in which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tegrally with an elastomer,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ith the base portion 10, a pedestal portion whose cross-section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base portion 10 ( 24) is provided,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1.5 μm or less.

Description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Shoe so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미끄러운 상태의 보행면을 보행할 때에도 우수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신발밑창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that can exhibit excellent resistance to activity even when walking on a slippery walking surfa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신발밑창은,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하면에, 복수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갖추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신발밑창은 엘라스토머를 금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다.As shown in FIG. 1A, the shoe sole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0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This type of shoe sole is manufactured by molding elastomer into a mold.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형태는, 신발의 종류나 메이커에 따라 다양하지만,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접지면)과 측면(22)의 경계부의 엣지(23)가 보행면(50)에 강하게 접하여 걸리듯이 됨과 더불어, 그 하면(21) (접지면)의 마찰에 의해 보행면 (50)에 대해 신발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shap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r manufacturer of the shoe, but the edge 23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rface 21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2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the walking surface. In addition to strongly contacting (50) and being caught, it is common to prevent the shoe from slipping against the walking surface (50) due to friction of the lower surface (21) (contact surface).

그런데 종래의 신발밑창은 보행시 하중(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넘어지므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이 보행면(50)에 거의 닿지 않게 될 우려가 있었다. 이 때문에 신발밑창의 내활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hoe sole, the anti-slip protrusion 20 falls over due to the load (weight of the pedestrian) during walking, as shown in Figure 1 (b), so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a walking surface ( 50), there was concern that it would barely reach the level. For this reason, there are cases where the resistance of the shoe sole is not sufficiently demonstrated.

이러한 실상에 비추어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 1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돌기부(3)(미끄럼방지 돌기부)를 횡단면 V자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동 문헌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2)(베이스부)와 각각의 접지 돌기부(3)(미끄럼방지 돌기부)와의 경계선에 경사 보강부(5)(대좌부)가 설치된 신발밑창을 제안하고 있다. In light of this reality, the present applicant formed the grounding protrusion 3 (anti-slip protrusion) in a V-shaped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1 of Patent Document 1, and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2 of the same document, the base portion A shoe sole is proposed in which an inclined reinforcement part (5) (pedestal part) is installed at the border between (2) (base part) and each grounding protrusion (3) (anti-slip protrusion).

접지 돌기부(3) (미끄럼방지 돌기부)를 횡단면 V자형으로 한 것에 의해 접지 돌기부(3)의 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By making the grounding protrusion 3 (anti-slip protrusion) V-shaped in cross section, the bending moment of the grounding protrusion 3 can be increased.

또한, 경사보강부(5) (대좌부)를 설치함으로써 접지돌기부(3)(미끄럼방지 돌기부)의 기초부분의 변형이 어렵게 된다. Additionally, by installing the inclined reinforcement portion 5 (pedestal portion), it becomes difficult to deform the base portion of the grounding protrusion 3 (anti-slip protrusion).

이 때문에 접지 돌기부(3)(미끄럼방지 돌기부)를 모든 방향(예를 들면 전후방향이나 좌우방향)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rounding protrusion 3 (anti-slip protrusion) from falling over in any direction (e.g., forward-backward or left-right direction).

관련된 특허문헌은 국제공개 제2006 - 003740호 이다. The related patent document is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6-003740.

특허문헌의 신발밑창은 접지 돌기부(3)(미끄럼방지 돌기부)가 넘어지기 어렵고 평활한 바닥면에 대한 동마찰계수가 0.5 정도로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The shoe sole of the patent document states that the grounding protrusion 3 (anti-slip protrusion) is difficult to fall over and can exhibit good resistance to friction with a coefficient of dynamic friction against a smooth floor surface of about 0.5.

그러나 특허문헌의 신발밑창은 보행면에 물 등의 액체가 존재하는 경우 등 보행면이 미끄러운 상황에 있을 때의 내활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However, the shoe soles in the patent document have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resistance when the walking surface is slippery, such as when liquid such as water is present on the walking surfac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행면에 액체가 존재하는 등 보행면이 미끄러운 상황에 있을 때에도 우수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신발밑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to provide a shoe sole that can exhibit excellent resistance to moisture even when the walking surface is slippery, such as when liquid is present on the walking surface. Additional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shoe sole.

상기 과제는 신발의 바닥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하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마련된 횡단면 V자형을 이루는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부를 구비하고, 이들 베이스부와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엘라스토머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신발밑창으로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에서의 베이스부와의 접속부분에 베이스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횡단면이 커지는 대좌부가 마련되어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의 표면거칠기(Ra) 가 1.5㎛ 이하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disposed on the bottom of a shoe and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forming a V-shaped cross section provided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these base portions and the anti-slip protrusions are integrally formed with an elastomer. As a shoe sole, a pedestal portion whose cross-section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base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with the base portion,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1.5 ㎛ or less. It provides the sole.

여기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횡단면」이란 도 2 (a)에서의 단면(α)에 나타낸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도 2 (b)를 참조)에 평행한 평면(수평면)으로 절단했을때의 단면을 말한다.Here,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anti-slip protrusion)” refers to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 α1 ) in Fig. 2 (a) ( Fig. 2 (b) Refers to the cross section when cut in a plane (horizontal plane) parallel to the plane (see ).

「횡단면 V자형」이란 그 횡단면(α)이 V자 라인(L)을 따라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V-shaped cross section” means that the cross section (α 1 ) continues along the V-shaped line (L).

이에 반해 도 2(b)에서의 단면(α)에 나타낸 것처럼 미끄럼방지 돌기부를 V자 라인(L)에 수직인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을「(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종단면」 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cross section ( α2 ) in Figure 2(b), the cross sec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cut along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shaped line (L) is sometimes called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the anti-slip protrusion).” .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 하면의 넓은 범위가 보행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 중요한 바, 미끄럼방지 돌기부 하면의 표면 거칠기(Ra)를 1.5㎛ 이하로 함으로써 보행면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 하면의 접촉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hoe sole, it is important that a wide area of the bottom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Therefore,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ottom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set to 1.5㎛ or less to prevent slipping on the walking surface. A wide contact area can be secured on the bottom of the protrusion.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측(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과 보행면 사이)에 액체가 존재하는 상태라 하더라도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이 보행면에 접지하였을 때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측에 있는 액체가 미끄럼방지 돌기부 주위로 쉽게 밀려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ven if there is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non-slip protrus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and the walking surface),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touches the walking surface, the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non-slip protrusion becomes the non-slip protrusion.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push it around.

더불어,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이 보행면에 접지하였을 때에는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측에 있는 공기도 미끄럼방지 돌기부 주위로 밀려나기 쉽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ower surface of the non-slip protrusion touches the walking surface, the air on the lower side of the non-slip protrusion can easily be pushed out around the non-slip protrusion.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과 보행면과의 경계부분에 약진공 상태를 발생시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이 보행면으로 달라붙은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행면에 물 등의 액체가 존재하는 경우 등 보행면이 미끄러운 상황에 있을 때에도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높일 수 있다. For this reason, a weak vacuum state may be gener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and the walking surface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stuck to the walking surface. Therefore, the resistance of the shoe sole can be increased even when the walking surface is slippery, such as when there is liquid such as water on the walking surface.

본 발명의 신발밑창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과 측면이 이루는 엣지(도 2(b)에서의 「엣지(23)」을 참조. 이하, 이 에지를 단순히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엣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의 반경(R) (도 2(b)를 참조) 을 0.5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formed by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see “edge 23” in FIG. 2(b). Hereinafter, this edge is simply referred to as the “edg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t is desirable to set the radius (R) (see Figure 2(b)) to 0.5 mm or less.

이것에 의해,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깎아지른 상태가 되어 보행면에 걸리기 쉬워진다. 더불어, 물 등의 액체가 존재하는 보행면을 보행할 때에는 미끄럼방지 돌기부를 보행면에 접지시킨 후에 미끄럼방지 돌기부 주위에 있는 액체가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측으로 새롭게 들어가기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edges of the anti-slip protrusions become sharp and become prone to getting caught on the walking surface. In addition, when walking on a walking surface containing liquid such as water, it may be difficult for the liquid around the non-slip protrusion to enter the lower side of the non-slip protrusion after the anti-slip protrusion is grounded on the walking surface. Therefore, the resistance of shoe soles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발명의 신발밑창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종단면(α)의 폭(W)(도 2(b) 참조)과 미끄럼방지 돌기부에서의 대좌부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의 비율(H/W)을 0.1 ~ 1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tio (H/W) of the width (W) of the longitudinal section (α 2 ) of the non-slip protrusion (see FIG. 2(b)) and the height (H) of the por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It is desirable to set it in the range of 0.1 to 1.

이는, 비율(H/W)을 0.1 미만으로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가장자리가 보행면에 걸리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비율(H/W)을 1보다 크게 하면 보행시 하중(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쓰러지기 쉬워져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이 보행면에 밀착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This means that if the ratio (H/W) is set to less than 0.1, there is a risk that the edges of the anti-slip protrusions may have difficulty getting caught on the walking surface, and if the ratio (H/W) is set to be larger than 1, the load (pedestrian's weight) may cause damage while walking. This is because the non-slip protrusions tend to fall over, making it difficult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non-slip protrusions to adhere to the walking surface.

본 발명의 신발밑창에서는 상기 구성을 채용한 것에 의해,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 액체면 밀도를 5mg/cm2 이하로 적게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By adopti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each non-slip protrusion to 5 mg/cm2 or less.

여기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액체면 밀도」란 액체가 존재하는 면 (보행면이라고 할 수 있는 면)에 밀어 붙인 후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에 액체가 얼마나 남아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Here,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the anti-slip protrusions” is an indicator of how much liquid remains on the bottom of the anti-slip protrusions after being pushed against the surface where the liquid exists (a surface that can be called a walking surface).

이 잔류액체면 밀도가 적을수록 그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배액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이 잔류액체면 밀도가 클수록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배액성이 나쁜것이 된다.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액체면 밀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다.The smaller the density of this residual liquid surface, the better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non-slip protrusions, and the greater the density of this residual liquid surface, the worse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non-slip protrusions.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도 3 및 도 4는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액체면 밀도측정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ures 3 and 4 are diagrams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1]우선, 도 2 (a)에 나타내듯이, 기판(60) 위에 시액(70)을 떨어뜨린다. 기판(60)은 알루미늄판(61)의 상면에 평활한 수지필름(62)를 붙인 것을 사용한다. [1] First, as shown in FIG. 2 (a), the test solution 70 is dropped on the substrate 60. The substrate 60 uses a smooth resin film 62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an aluminum plate 61.

알루미늄판(61)에 대하여 수지필름(62)이 움직이지 않도록 점착테이프(63) 등으로 수지필름(62)를 알루미늄판(61)에 고정한다. The resin film 62 is fixed to the aluminum plate 61 with an adhesive tape 63 or the like to prevent the resin film 62 from moving relative to the aluminum plate 61.

수지필름(62)은 하기의 [6]에서 기판(60)으로부터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을 떼어낼 때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에 있는 시액(70)(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에서 경화된 시액(70))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측으로 따라가게 (시액(70)이 기판(60)측에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When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removed from the substrate 60 in [6] below, the resin film 62 is applied to the test solution 70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on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his is to ensure that the test solution (70) cured in follows toward the anti-slip protrusion 20 (so that the test solution (70) does not remain on the substrate 60 side).

시액(70) 은 액체 형태의 라텍스(주식회사 레지텍스제의 수용성 접착제 SV-160L에 증점제를 첨가해 점도 3.5Pas로 조정한 것을 사용한다. The test solution 70 is a liquid latex (a water-soluble adhesive SV-160L manufactured by Regtex Co., Ltd., with a thickener added to adjust the viscosity to 3.5 Pas).

시액(70)은 측정을 실시하는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도 3(b)의 하면(접지면) 면적보다 넓어지도록 얇게 늘린다. The test solution 70 is thinly stretched so as to be wider than the area of each non-slip protrusion 20 (the lower surface (ground surface) of FIG. 3(b)) on which measurement is performed.

도 3의 예에서는, 한 번에 5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액체면 밀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기판(60)의 상면에서 5개소에 시액(70)을 떨어뜨린다. In the example of FIG. 3, the test solution 70 is dropped at five loca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0 so that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five anti-slip protrusions 20 can be measured at a time.

[2] 이어서,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접지면)을 하측으로 향한 상태에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시액(70) 위에 살짝 올려놓는다. [2] Next, as shown in FIGS. 3(b) and 3(c),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applied to the test solution 70 with the lower surface (groun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facing downward. Place it slightly on top.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은 베이스부 10(도 1 참조)에서 분리되어 분리된 것을 사용한다.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ed separately from the base portion 10 (see Figure 1).

시액(70) 위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을 올려놓았을때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상면(베이스부(10)과의 절단면)이 수평이 되도록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상면을 평탄하게 해 둔다. When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laced on the test solution 70,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flatten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cut surface with the base part 10) is horizontal. put it

미끄럼방지 돌기부(20)는 같은 형태의 것을 5개 준비(중량도 같도록 조정)해 둔다.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중량(W0)을 미리 측정한다. Five anti-slip protrusions (20) of the same shape are prepared (adjusted so that their weights are the same). The weight (W0) of each anti-slip protrusion (20) is measured in advance.

[3] 이어서 도 3(d) 및 도 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상면에 추(80)를 올려놓는다. [3] Next, as shown in FIGS. 3(d) and 4(e), a weight 8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추(80)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상면을 완전히 덮어씌우는 크기의 판상체(무게 6g)를 사용한다. The weight 80 uses a plate-shaped body (weight 6g) that completely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추(80)(판상체)가 수평을 이루며 추(80)의 중량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상면에 고르게 걸리도록 추(80)를 균형 있게 올려놓는다.The weight 80 (plate-shaped body) is placed horizontally and balanced so that the weight of the weight 80 is evenly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이에 따라, 시액(70)에 대하여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가라앉고,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과 기판(60)의 상면 사이)에 있는 시액(70)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주위로 밀려난다.Accordingly, the anti-slip protrusion 20 sinks with respect to the test solution 70, and the test solution 70 on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60) slides. It is pushed around the prevention protrusion (20).

[4] 그 후에 시액(70)이 경화될 때까지 추(80)를 올려놓은 상태를 유지한다. 시액(70)의 경화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기판(60)과 함께 기어오븐에 넣어서 가열 건조해도 된다. [4] Afterwards, the weight 80 is kept placed until the test solution 70 hardens. In order to shorten the curing time of the test solution 70, the anti-slip protrusion 20 may be placed in a gear oven together with the substrate 60 and dried by heating.

[5] 시액(70)이 경화된 것을 확인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위쪽에서 추(80)를 제거하고 도 4(f)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핀셋(90) 등을 이용하여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주위에 있는 시액(70)(미끄럼방지 돌기부(20) 주위에 뚫린 상태에서 경화되어 있는 시액(70))을 깨끗이 제거한다.[5]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test solution 70 has hardened, remove the weight 80 from the upper part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nd remove the anti-slip protrusion (20) using tweezers 90, etc. as shown in FIG. 4(f). 20) Cleanly remove the surrounding test solution (70) (the test solution (70) that has been hardened in a pierced state arou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이때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에 남은 상태에서 경화되어 있는 시액(70)이 주위로 인출되지 않도록 주의한다.At this time, be careful not to allow the hardened test solution 70, which remains on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 be drawn out to the surroundings.

경화 후의 시액(70)에 커터 나이프 등으로 가볍게 칼집을 넣어 두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주위에 있는 시액(70)만을 제거하기 쉬워진다. If the test solution 70 after hardening is lightly cut with a cutter knife, etc., it becomes easy to remove only the test solution 70 around the non-slip protrusion 20.

[6]이어서, 도 4(g)에 나타내듯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기판(60)의 상측으로부터 떼어낸다.[6] Next, as shown in FIG. 4(g),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remov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bstrate 60.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에서 주위로 밀려나지 않고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에 남은채 경화된 시액(70)은 미끄럼방지 돌기부(20)측에 달라붙은 상태에서 기판(60)으로부터 벗겨진다.The cured test solution 70, which remains on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ithout being pushed out from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60 while sticking to the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Lose.

[7]상기[6]에서 기판(60)으로부터 떼어낸 미끄럼방지 돌기부(20)(그 하측에 경화된 시액(70)이 붙은 상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중량(W1)을 측정한다. [7] Measure the weight (W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he anti-slip protrusion 20 with the cured test solution 70 attached to its lower side) removed from the substrate 60 in [6] above. .

[8] 미끄럼방지 돌기부(20)마다 상기 [7]에서 측정한 중량(W1)과 상기 [2]에서 측정한 중량(W0) 의 차 (W-W) 를 구한다. [8] For each anti-slip protrusion 20, calculate the difference (W1-W0) between the weight (W1) measured in [7] above and the weight ( W0 ) measured in [ 2 ] above.

[9]상기[8]에서 구한 차(W-W) 를,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접지면)의 면적(S)으로 나누어 값((W-W)/S)를 구한다.[9] Divide the difference ( W1W0 ) obtained in [8] above by the area (S) of the lower surface (ground surface) of each anti-slip protrusion 20 to obtain the value (( W1W0 )/ Find S).

[10]같은 형태의 5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에 대해 구한 값((W-W)/S) 의 평균값이, 그 형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가 된다.[10] The average value ((W 1 -W 0 )/S) obtained for five non-slip protrusions 20 of the same shape is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of that shape. do.

또한, 본 발명의 신발밑창에서는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50°의 스테인리스 판에 대한 활주거리를 15mm 이하로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liding distance for a stainless steel plate coated with glycerin and having an inclination angle of 50° to 15 mm or less.

이 활주거리는 10mm 이하, 7mm 이하, 5mm 이하로 더 짧게 만들 수도 있다. 여기서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50°의 스테인리스 판에 대한 활주거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된다. This glide distance can be made shorter, such as 10 mm or less, 7 mm or less, or 5 mm or less. Here, “the sliding distance for a stainless steel plate with an inclination angle of 50° coated with glycerin” is measured in the following manner.

[1] 우선 도 18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판(100)을 50° 경사각도로 설치하고, 그 상면에 농도 90% 의 글리세린(110)을 떨어뜨리고, 스테인리스 판(100)의 상면 전체에 글리세린을 얇게 펴서 바른다.[1] First, as shown in Figure 18 (a), 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is installed at an inclination angle of 50°, glycerin 110 with a concentration of 90% is dropp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is applied. Apply a thin layer of glycerin.

스테인리스 판(100) 및 글리세린(110)은 「JIS T8101 : 안전화」에서의 「9.7 내활시험」(윤활액: 글리세린 수용액, 시험바닥: 스테인레스 판)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and glycerin (110) are the same as those used in “9.7 Lubrication Resistance Test” in “JIS T8101: Safety Shoes” (lubricating fluid: aqueous glycerin solution, test floor: stainless steel plate).

[2] 신발밑창시료(120) (측정대상 신발밑창을 5cm(세로)× 5cm(가로) 정사각형으로 절단한 것)을 준비하고, 그 의장면(미끄럼방지 돌기부가 형성된 면)에 상기와 같은 글리세린을 충분히 도포한다.[2] Prepare a shoe sole sample (120) (the shoe sole to be measured is cut into a 5 cm (length) × 5 cm (horizontal) square), and apply glycerin as described above to the design surface (the surface on which anti-slip protrusions are formed). Apply sufficiently.

[3]이어서, 상기 시료(120)를, 도 18(b)에 나타내듯이, 스테인레스 판(100)의 상면에 올리고, 시료(120)를 스테인리스 판(100)측에 2kg/cm의 압력으로 압박한다.[3] Next, as shown in FIG. 18(b), the sample 12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and the sample 120 is applied to 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side at a pressure of 2 kg/cm 2 . pressure.

스테인리스판(100)에 있어서 시료(120)를 설치하는 곳에는 미리 표시(도면생략)를 해 둔다.The place where the sample 120 is installed on 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is marked in advance (figure omitted).

[4] 도 1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료(120)의 상면에 추(130)을 올려놓는다. 추(130)는 15cm(세로) x 10cm(가로) x 5mm(두께) 스테인리스 부재(무게596g)를 사용한다. 시료(120) 및 추(130)는 움직이지 않도록 경사방향 하측에서 지지해 둔다.[4] As shown in FIG. 18(b), place the weight 13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mple 120. The weight 130 uses a 15cm (length) x 10cm (width) x 5mm (thickness) stainless steel member (weight 596g). The sample 120 and the weight 130 are supported at the lower side in the inclined direction so as not to move.

[5] 시료(120) 및 추(130)의 지지를 해제하고 도 18(c)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테인리스 판(100)에 대해 시료(120)을 활주(중력에 의해 하강)시킨다.[5] Release the support of the sample 120 and the weight 130 and slide the sample 120 (lower by gravity) on the stainless steel plate 100 as shown in FIG. 18(c).

[6] 스테인리스 판(100)에 대하여 시료(120)를 활주시킨 후 (상기 지지를 해제한 후) 20초가 경과했을 때의 이동거리(X) (상기 [2]에서의 표시 장소로부터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고, 이 이동거리(X)를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50°의 스테인리스 판에 대한 활주거리」로 한다[6] Movement distance ( ) is measured, and this moving distance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보행면에 액체가 존재하는 등 보행면이 미끄러운 상황에 있을 때에도 우수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신발밑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밑창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shoe sole that can exhibit excellent resistance to slippage even when the walking surface is slippery, such as when liquid is present on the walking surface. Additionally,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is sole.

도 1: (a)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서있는 상태의 신발밑창과, (b)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쓰러져 있는 상태의 신발밑창을 나타낸 도면
도 2: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횡단면(α)과 종단면(α)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액체면 밀도의 측정방법(전반부분)을 설명하는 도면
도 4: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액체면 밀도의 측정방법(후반부분)을 설명하는 도면
도 5: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의 하면측을 나타낸 사시도
도 6: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의 저면도
도 7: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측을 나타낸 (a) 사시도와 (b) 저면도
도 8: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 주변을 도 7 의 A-A 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의 저면도
도 10: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의 저면도
도 11: 실험 1에서 이용한 시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열림각도(θ) 가 45°일 때 미끄럼방지 돌기부 종단면 폭(W) 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에서의 대좌부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 의 비율(H/W) 과 동마찰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열림각도(θ) 가 90° 일 때 미끄럼방지 돌기부 종단면 폭(W)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에서의 대좌부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의 비율(H/W)과 동마찰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4: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열림각도(θ) 가 140° 일 때 미끄럼방지 돌기부 종단면 폭 (W)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에서의 대좌부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의 비율 (H/W)과 동마찰계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5: (a)횡단면 V 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와 (b) 횡단면 사각형 미끄럼방지 돌기부와 (c) 횡단면 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에 대해 잔류액체면밀도를 측정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16: (a) 표면거칠기(Ra) 가 0.3μ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와, (b) 표면거칠기(Ra) 가 0.6μ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와, (c) 표면거칠기(Ra) 가 7.4μ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에 대해 잔류액체면 밀도를 측정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17: (a) 엣지의 반경이 0.07m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와, (b) 엣지의 반경이 0.57 mm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에 대해 잔류액체면 밀도를 측정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
도 18: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50°의 스테인리스 판에 대한 활주거리 측정방법을 설명한 도면
Figure 1: (a) A view showing the shoe sole with the non-slip protrusions standing up, and (b) the shoe sole with the non-slip protrusions collapsed.
Figure 2: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ross section (α 1 ) and longitudinal section (α 2 ) of the anti-slip protrusion
Figure 3: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first half)
Figure 4: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second half)
Figure 5: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7: (a) a perspective view and (b)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8: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rea around the non-slip protrusion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cut along the A1 - A1 plane of Fig. 7
Figure 9: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Figure 10: Bottom view of shoe sole of third embodiment
Figure 11: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ample used in Experiment 1.
Figure 12: When the opening angle (θ 1 ) of the non-slip protrusion is 45°, the ratio (H/W) of the height (H)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width (W) of the non-slip protrusion.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Figure 13: When the opening angle (θ 1 ) of the non-slip protrusion is 90°, the ratio (H/W) of the height (H)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width (W) of the non-slip protrusion.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Figure 14: When the opening angle (θ 1 ) of the non-slip protrusion is 140°, the ratio (H/W) of the height (H)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to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width (W) of the non-slip protrusion.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Figure 15: A photograph showing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being measured for (a) a V-shaped anti-slip protrusion in the cross section, (b) a square anti-slip protrusion in the cross section, and (c) a circular anti-slip protrusion in the cross section.
Figure 16: (a) anti-slip protrusions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0.3 μm, (b) anti-slip protrusions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0.6 μm, and (c) non-slip protrusions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7.4 μm A photo showing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being measured against the prevention protrusion.
Figure 17: A photograph showing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being measured for (a) an anti-slip protrusion with an edge radius of 0.07 mm and (b) an anti-slip protrusion with an edge radius of 0.57 mm.
Figure 18: A diagram explaining the method of measuring the sliding distance of a stainless steel plate with an inclination angle of 50° coated with glycerin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3가지 실시형태(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밑창을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th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three embodiments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as examples.

그러나,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본 발명의 신발밑창은 발명의 취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ropriately modified without impairing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1.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우선,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의 하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 바닥면도이다. First,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10)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와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shoe sole 10 of the first embodiment has a base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0.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은 엘라스토머를 금형으로 성형한 것으로 되어 있고, 베이스부(10)과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is made by molding an elastomer using a mold, and the base portion 10 and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0 are formed integrally.

신발밑창에 이용하는 엘라스토머로서는 열경화성 엘라스토머(가황고무 등)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예시된다.Examples of elastomers used in shoe soles include thermosetting elastomers (vulcanized rubber, etc.) and thermoplastic elastomers.

예를 들어 합성고무, 천연고무, 열가소성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S),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SIS),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폴리우레탄 및 폴리염화비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류 또는 복수종류의 탄성중합체와 고무배합제로 이루어진 것이 신발밑창을 성형하는 엘라스토머로서 선택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typ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ynthetic rubber, natural rubber, thermoplastic styrene butadiene rubber (SBS),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 (SIS),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polyurethane, and polyvinyl chloride. An elastomer made of an elastomer and a rubber compound can be selected as the elastomer for forming shoe soles.

신발밑창의 경도는 신발밑창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하지만 신발밑창이 지나치게 부드러우면 미끄럼방지 볼록(20)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워진다.The hardness of the shoe sole is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hoe sole. However, if the shoe sole is too soft, it become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anti-slip convex (20).

이 때문에 신발밑창의 경도 (A경도계로 측정한 값. 이하 같다.)는 보통 10도 이상이 되도록 한다.For this reason, the hardness of shoe soles (value measured with a hardness meter A; the same applies hereinafter) is usually set to 10 degrees or higher.

신발밑창의 경도는 20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35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hardness of the shoe sole is preferably 20 degrees or more, more preferably 30 degrees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35 degrees or more.

단, 신발밑창을 너무 딱딱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져서 원하는 내활성을 얻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밑창의 완충성이 떨어져서 신발 착용감이 나빠질 우려도 있다.However, if the shoe sole is too hard, it may be difficult for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 be elastically deformed, making it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durability. Additionally, there is a risk that the shoe's comfort will worsen due to the poor cushioning properties of the sole.

이 때문에 신발밑창의 경도는 7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hardness of the shoe sole is preferably 7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50 degrees or less.

1.1 베이스부1.1 Base part

베이스부(10)는 대략 발바닥 형상을 하는 부재로 되어 있다. 이 베이스부(10)는 신발의 저부에 배치된다. The base portion 10 is made of a member roughly shaped like the sole of a foot. This base portion 1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hoe.

베이스부(10)는 앞부분(11)과 뒷부분(12)과 중간부분(13)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base portion 10 consists of a front portion 11, a rear portion 12, and a middle portion 13.

앞부분(11) 은 발끝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이고, 뒷부분(12)은 발뒷꿈치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중간부분(13)은 발바닥 중심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The front part 11 is a part placed below the toe, the rear part 12 is a part placed below the heel, and the middle part 13 is a part placed below the center of the sole.

베이스부(10)는 그 하면이 아래쪽으로 볼록해지도록 그 하면이 전후방향을 따라 만곡될 수 있다.The base portion 10 may be curved along the front-to-back direction so that the bottom surface is convex downward.

그러나,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베이스부(10)가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앞부분(11)의 하면과 중간부분(13)의 하면과 뒷부분(12) 의 하면이 동일한 면으로 연속되도록 하고 있다.However,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base portion 10 is formed in a flat shap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1, the lower surface of the middle portion 13,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portion 12 are continuous on the same surface. I'm doing it.

이에 따라, 신발밑창에 있어서의 보다 넓은 범위가 보행면에 접촉하도록(더 많은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보행면에 접촉한다) 하여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보다 높게 할 수 있다.Accordingly, a wider area of the shoe so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more anti-slip protrusions are in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hoe sole.

1.2 미끄럼방지 돌기부1.2 Non-slip protrusions

미끄럼방지 돌기부(20)는 보행면에 대하여 신발밑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부(10)의 하면에서 아래로 돌출된 상태로 마련된다.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intended to prevent the shoe sole from slipping on the walking surface, and is provid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횡단면(α)(도 2 (a) 참조. 이하 같다)는 V자형태 이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형태로 반복 배치되어 있다.The cross section ( α1 ) of each anti-slip protrusion 20 (see FIG. 2(a), hereinafter the same) is V-shaped.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re repeatedly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베이스부(10)의 하면에 있어서 전영역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마련되어 있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nti-slip protrusions 20 are provided on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이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횡단면(α)이 V자형태이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는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을 포함하는 모든 방향에 대해 넘어지기 어려운 형태가 된다.In this way, since the cross-section ( α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V-shaped,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difficult to fall over in all directions includi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과 측면(22)의 경계부의 엣지(23)가 미끄럼방지에 효과가 있는 바,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V자형태로 함으로써 이 엣지(23)의 길이(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둘레를 도는 합계의 길이)를 확보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s already described, the edge 23 at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rface 21 and the side 2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effective in preventing slipping, a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formed in a V-shape. By doing this, it is easy to secure the length of this edge 23 (the total length surrounding the anti-slip protrusion 20).

또한 물 등의 액체(또는 액상물)가 존재하는 보행면에 대해 미끄럼방지 돌기부(20) 를 접지시켰을 때의 배액성을 높이는 것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drainage when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grounded against a walking surface where liquid (or liquid matter) such as water is present.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 (뒤에 열거한 도 7(b) 참조.)은 0° 보다 크고 180° 보다 작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see Fig. 7(b) listed lat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greater than 0° and smaller than 180°.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 1을 너무 작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좌우 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워진다.However, if the opening angle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made too small, the anti-slip protrusion 20 tends to fal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는 보통 50° 이상이 된다. 미끄럼방지돌기부(20)의 열림각도(θ)는 60°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80°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opening angle (θ 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50° or more. 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60° or more, more preferably 70°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80° or more.

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를 너무 크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전후방향 (V자의 개구와 정점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쓰러지기 쉬워진다. However, if 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made too large,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prone to collaps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direction connecting the V-shaped opening and the vertex).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는 통상 130° 이하로 여겨진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는 12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10°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00°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130° or less. 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set to 120° or less, more preferably 110°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00° or less.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는 90°로 설정되어 있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set to 90°.

또한,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모든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그것이 형성하는 V자의 열린쪽이 전방(발끝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Additionally,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ll anti-slip protrusions 20 are arranged so that the open side of the V shape they form faces forward (towards the toe).

이에 따라, 보행할 때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전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미끄럼방지 돌기부(20)로 확실히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reliably receive the load applied from the front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 the non-slip protrusion 20 when walking.

단, 운동용 신발 등 좌우 방향으로 버티는 것도 예상되는 신발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V자가 좌측이나 우측으로 열린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혼재시키는 등 다른 방향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마련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applied to shoes that are expected to hold up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uch as sports shoes, anti-slip protrusions 20 in other directions may be provided, such as mixing anti-slip protrusions 20 with a V shape open to the left or right. .

도 7은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나타낸다. 도 7 (a)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측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b)은 미끄럼방지 돌기부 (20)의 저면도이다.Fig. 7 shows an anti-slip protrusion 20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FIG. 7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nd FIG. 7 (b) is a bottom vie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주변을 도 7 (b)에서의 A1 - A1면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eriphery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cut along the plane A1 - A1 in Fig. 7(b).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횡단면 크기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선단측(하단측)에서는 일정하게 되어 있으나(상하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부근부분(상단 부근)에서는 베이스부 10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cross-sectional siz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constant at the tip side (bottom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constant regardless of the upper and lower position), but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is constant The portion near the prevention protrusion 20 (near the top) is formed to become larger as it approaches the base portion 10.

즉, 베이스부 10에 가까워짐에 따라 횡단면이 커지는 대좌부(24)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에 있어서의 부근 부분(베이스부 10과의 접속 부분)에 설치하고 있다.That is, the pedestal portion 24 whose cross-section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base portion 10 is provided near the anti-slip protrusion portion 20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ase portion 10).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을 하면측에서 보았을 때에는 대좌부(24)가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나타난다.As shown in FIG. 7(b), when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viewed from the bottom side, the pedestal portion 24 appears to surrou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내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에 있어서 넓은 범위가 보행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 중요한데 보행 시 하중(보행자의 체중)에 의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쓰러져 버리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이 보행면에 밀착되기 어려워진다.As already described,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t is important that a wide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The load (pedestrian's weight) during walking is important. ), if the anti-slip protrusion 20 collapses,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walking surface.

이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부근 부분에 횡단면이 큰 대좌부(24)를 설치함으로써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보강되어 쓰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Advantage: By providing the pedestal portion 24 with a large cross-section near the non-slip protrusion 20,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reinforced and becomes difficult to fall over.

또한, 대좌부(24)의 존재에 의해서,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에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끼여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Additionally, the presence of the pedestal portion 24 makes it difficult for foreign substances such as trash to become trapped in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non-slip protrusions 20.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종단면(α)(도 2(b)를 참조. 이하 동일)의 폭(W)(도 7)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에서의 대좌부(24) 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도 7)의 비율(H/W) 은 0.1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24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ith respect to the width W (FIG. 7)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α 2 (see FIG. 2(b), hereinafter the same)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t is desirable that the ratio (H/W) of the height (H) of the part (Figure 7) is 0.1 or more.

이 비율(H/W)이 0.1 미만이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 가 보행면에 잘 걸리지 않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f this ratio (H/W) is less than 0.1, there is a risk that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may not be easily caught on the walking surface.

비율(H/W)은 0.1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ratio (H/W) is more preferably 0.15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0.2 or more.

단, 비율(H/W)을 너무 크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쓰러뜨리는 방향의 힘에 대해서 대좌부(24) 만으로는 대항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if the ratio (H/W) is made too large,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pedestal portion 24 alone to resist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collapsing the anti-slip protrusion 20.

이 때문에, 비율(H/W)은, 1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율(H/W)은 0.8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 이하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H/W) is 1 or less. The ratio (H/W) is more preferably 0.8 or less, further preferably 0.6 or less, and especially preferably 0.5 or less.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신발밑창의 내활성(동마찰계수)은 비율(H/W) 이 0.25 부근에 있을 때 최대가 된다.As described later, the resistanc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the shoe sole is maximized when the ratio (H/W) is around 0.25.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종단면(α)의 폭(W) W(그림 8)의 구체적인 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폭(W)을 너무 좁히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파손되기 쉬워진다.The specific value of the width (W) W (Figure 8) of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α 2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too narrow,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prone to damage.

또한, 상기 비율(H/W)을 1 이하로 설정하기 어려워지고,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높이기 어렵게 된다.In addition, it becomes difficult to set the above ratio (H/W) to 1 or less, making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hoe sole.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 폭(W)은 통상 1mm 이상으로 여겨진다. 미끄럼 방지 돌기부(20)의 폭(W)은 1.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1 mm or more. The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1.5 mm or more, more preferably 2 mm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2.5 mm or more.

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폭(W)을 너무 넓게 하면 베이스부(10)에 설치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수를 늘리기 어려워지고 미끄럼방지에 효과가 있는 엣지(23)의 수를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if the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is too wide, it becomes difficult to increase the number of anti-slip protrusions 20 installed on the base portion 10, and the number of edges 23 that are effective in preventing slipping increases.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또한, 상기 비율(H/W)을 0.1 이상으로 설정하기 어려워져서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높이기 어렵게 된다.In addition, it becomes difficult to set the ratio (H/W) to 0.1 or more, making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hoe sole.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폭(W)은 통상 10mm 이하로 이루어진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폭(W)은 7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10 mm or less. The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7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 mm or les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에서의 대좌부(24)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도 8)의 구체적인 값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specific value of the height H (FIG. 8)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2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높이(H)를 너무 낮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가 미끄럼방지에 효과가 낮아질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height 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made too low, there is a risk that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may become less effective in preventing slip.

또한, 상기 비율(H/W)을 0.1 이상으로 설정하기 어려워져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높이기 어렵게 된다.In addition, it becomes difficult to set the ratio (H/W) to 0.1 or more, making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hoe sole.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높이(H)는 보통 0.5 mm 이상으로 한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높이(H)는 0.7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 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height (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set to 0.5 mm or more. The height 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0.7 mm or more, more preferably 0.9 mm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1 mm or more.

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높이 H를 너무 높게 하면 상기 비율(H/W)을 1이하로 설정하기 어려워져서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높이기 어렵게 된다.However, if the height 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made too high, it becomes difficult to set the ratio (H/W) to 1 or less, making it difficult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shoe sole.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높이 H는 보통 5mm 이하로 한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높이 H는 3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1.5m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height 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5 mm or less. The height H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3 mm or less, more preferably 2 m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1.5 mm or les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에서의 대좌부(24)를 제외한 부분의 가로폭(W)(도 7(b))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W)을 너무 좁게 하면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작아져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강도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The horizontal width W 1 of the portion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24 (FIG. 7(b))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horizontal width W 1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is made too narrow, each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small, making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ngth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성형도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W)은 보통 5mm 이상으로 한다.Additionally, forming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difficult. For this reason, the horizontal width (W 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5 mm or more.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W)은 1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width ( W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10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2 mm or more.

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 (W)을 너무 넓게 하면 개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커져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조밀하게 배치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if the horizontal width W 1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is made too wide, each anti-slip protrusion 20 becomes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densely arrange the anti-slip protrusions 20.

따라서 미끄럼방지에 효과가 있는 엣지(23)의 총장을 길개 확보하기 어렵게 된다.Therefore,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the total length of the edge 23, which is effective in preventing slipping.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 (W)은 보통 50mm 이하로 한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 (W)은 40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0m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horizontal width (W 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50 mm or less. The horizontal width ( W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40 mm or less, more preferably 30 m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20 mm or less.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가로폭 (W)을 약 14mm로 설정하였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horizontal width ( W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as set to about 14 mm.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과 측면(22)의 경계부 가장자리)의 반경(R)(도 8)은 0.5mm 이하로 설정된다 .The radius R (FIG. 8)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he edg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rface 21 and the side surface 2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FIG. 8) is set to 0.5 mm or less.

이것에 의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가 보행면에 걸리기 쉬워진다. 또한 신발밑창의 배액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게 된다.This makes it easy for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 get caught on the walking surface. Additional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crease the drainage properties of shoe sole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은 0.4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2m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referably 0.4 mm or less, more preferably 0.3 m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2 mm or les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신발밑창을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상 이유 등으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을 0.03mm 보다 작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The lower limit of 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smaller than 0.03 mm due to reasons such as the production of molds for forming shoe sole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은 보통 0.05mm 이상으로 하며, 대부분 0.07mm 이상이 된다.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0.05 mm or more, and in most cases, 0.07 mm or more.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은 매끄럽게 (요철이 없는 형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행면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It is desirable that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 smooth (shape without irregularitie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contact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ith respect to the walking surface.

더불어, 보행면에 대하여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이 접지하였을 때에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측에 있는 액체뿐만 아니라 공기도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주위로 밀려나기 쉽게 하여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과 보행면과의 경계부분에 약진공상태가 생기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uches the walking surface, not only the liquid on the lower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ut also the air is easily pushed out arou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preventing slipping. A weak vacuum state can be cre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rface 21 of the prevention protrusion 20 and the walking surface.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을 보행면으로 빨려 들어간 상태로서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istance to slippage of the shoe sole can be further incr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sucked into the walking surface.

따라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는 1.5μ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는 1.0μ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7μ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0.5μm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1.5 μm or less.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more preferably 1.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7 μm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0.5 μm or les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신발밑창을 성형하는 금형의 제작상 이유 등으로 인해 0.1μm 보다 작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The lower limit of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very difficult to set it to less than 0.1 μm due to reasons such as the production of molds for forming shoe soles.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는 통상 0.1m 이상으로 되며, 대부분 0.2m 이상으로 된다.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는 약 0.3μm 이다.For this reason,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usually 0.1 m or more, and in most cases, 0.2 m or more.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about 0.3 μm.

대좌부(24)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종단면(α2)이 베이스부(10) 측을 향해 펼쳐지는 사다리꼴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그 측면이 베이스부(10) 의 하면에 대해 각도(θ2)로 경사져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측면(22)과 연결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pedestal portion 24 has a trapezoidal shape with its longitudinal cross-section (α2) extending toward the base portion 10, and its side surface has an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It is inclined and connected to the side 2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상기 대좌부(24) 에 의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잘 쓰러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The pedestal portion 24 not only prevents the anti-slip protrusion 20 from falling over, but also improves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따라서, 신발밑창의 내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durability of shoe sole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com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neighboring non-slip protrusions 20.

대좌부(24)의 높이(H) (도 8)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좌부(24)가 너무 낮으면, 대좌부(24)를 설치하는 의의가 저하된다. The height H1 (FIG. 8)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pedestal portion 24 is too low, the significance of installing the pedestal portion 24 is reduced.

이 때문에, 대좌부(24)의 높이(H)는, 통상, 0.1mm 이상으로 한다. 대좌부(24)의 높이 (H)는 0.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4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height H1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usually set to 0.1 mm or more. The height ( H1 )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preferably 0.3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0.4 mm or more.

단, 받침대(24)를 너무 높게 하면 받침대(24) 자체가 변형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대좌부(24)의 높이(H)는, 통상, 3mm이하로 한다.However, if the stand 24 is set too high, there is a risk that the stand 24 itself may be easily deformed. For this reason, the height ( H1 )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usually 3 mm or less.

대좌부(24)의 높이 H1은 2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height H1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preferably 2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1 mm or less.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대좌부(24)의 높이(H)를 0.5mm로 설정하였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height ( H1 ) of the pedestal portion 24 was set to 0.5 mm.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도 8)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가 너무 작으면,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간격 D1, D2 (도 6)를 넓게 확보할 필요가 생겨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을 조밀하게 배치하기 어렵게 된다.The inclination angle θ 2 (FIG. 8)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also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f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too small, it becomes necessary to ensure a wide spacing D1 and D2 (FIG. 6) between the adjacent anti-slip protrusions 20, so that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re It becomes difficult to place it densely.

이 때문에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는 보통 10° 이상으로 한다.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는 2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4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usually set to 10° or more.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preferably 20° or more, more preferably 30° or more, and even more preferably 40° or more.

단,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를 너무 크게 하면 (90° 에 가깝게 하면) 대좌부(24)에 의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보강효과가 한정적으로 된다.However, if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24 is too large (close to 90°), the reinforcing effect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y the pedestal 24 becomes limited.

이 때문에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는 보통 80° 이하로 한다.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는 7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0°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For this reason,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usually set to 80° or less.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portion 24 is preferably 70° or less, more preferably 60°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50° or less.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는 대좌부(24)의 경사각도(θ)를 45° 로 설정하였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the inclination angle θ 2 of the pedestal portion 24 was set to 45°.

좌우에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도 6)이나 전후에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2 (도 6)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Neither the gap width D1 (FIG. 6)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nor the gap width D2 (FIG. 6)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djacent to the front and rear are particularly limited.

그러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이나 틈새폭 D2 을 너무 좁게 하면,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에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쉽게 막히게 된다.However, if the gap width D1 or gap width D2 of the non-slip protrusions 20 is too narrow, foreign substances such as trash can easily clog the gaps of neighboring anti-slip protrusions 20.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및 틈새폭 D2 은 통상 각각 1mm 이상으로 한다.For this reason, the gap width D1 and gap width D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re usually each 1 mm or more.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및 틈새폭 D2 은 각각 1.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width D1 and the gap width D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re each 1.5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2 mm or more.

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이나 틈새폭 D2 을 너무 넓게 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조밀하게 배치하기 어렵게 된다.However, if the gap width D1 or gap width D2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is too wide, it becomes difficult to densely arrange the anti-slip protrusions 20.

이 때문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및 틈새폭 D2은 통상 각각 5mm 이하로 한다.For this reason, the gap width D1 and gap width D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re usually each 5 mm or less.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틈새폭 D1 및 틈새폭 D2 은 각각 4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m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ap width D1 and the gap width D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re each 4 m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3 mm or less.

1.3 소괄1.3 Summary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은 상기 구성을 채용하였기 때문에 내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특히 배액성이 뛰어나 물 등 액체가 존재하는 보행면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쾌적하게 보행할 수 있다.Since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dopts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t has very excellent resistance to corrosion. In particular, it has excellent drainage properties, allowing you to walk comfortably without slipping even on walking surfaces containing liquids such as water.

상술한 도 3 및 도 4 의 순서로 측정되는 잔류액체면 밀도는 일반적인 신발밑창에서 채용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에서는 6 mg/cm2 인 것이 대부분인데,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5 mg/cm2 이하로 적게 억제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measured in the order of FIGS. 3 and 4 described above is mostly 6 mg/cm2 in the non-slip protrusions used in general shoe soles, but is 5 mg/cm2 or less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suppress less.

후술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액체면 밀도는 4.5 mg/cm2 이하로 할 수도 있고, 4 mg/cm2 이하로 할 수도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may be 4.5 mg/cm2 or less, or 4 mg/cm2 or less.

1.4 용도 1.4 Purpose

본 발명의 신발밑창은 그 용도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각종 신발의 밑창으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its use and can be suitably applied as the sole of various types of shoes.

본 발명의 신발밑창은 출퇴근용이나 통학용 신발이나 멋스럽게 착용한 신발이나 스포츠용 신발이나 작업화 등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applied to commuting or school shoes, stylishly worn shoes, sports shoes, work shoes, etc.

그 중에서도 평활한 보행면을 보행하는 신발의 밑창으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고, 물이나 기름 등의 액체로 덮여 미끄러운 상황에 있는 보행면을 보행하는 신발의 밑창으로 특히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Among them, it can be suitably applied as the sole of a shoe for walking on a smooth walking surface, and it can be particularly preferably applied as the sole of a shoe for walking on a slippery walking surface covered with liquid such as water or oil.

이러한 신발로는 식품 공장이나 레스토랑의 주방에서 착용되는 주방화나 금속 가공장이나 공사용 발판에서 착용되는 작업화 등을 들 수 있다.Such shoes include kitchen shoes worn in food factories or restaurant kitchens, and work shoes worn in metal processing plants or construction scaffolding.

2. 제2 실시형태의 밑창2.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어서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대해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과 다른 구성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Next,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imited to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의 저면도이다.For configuration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applied to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Fig. 9 is a bottom view of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는 도 6 과 같이 베이스부(10)의 하면의 전영역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균일하게 갖추어져 있었다.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nti-slip protrusions 20 were uniformly provided on the entir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0, as shown in FIG. 6.

이에 반해,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도 9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의 앞부분(11)과 뒷부분(12)의 하면에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균일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베이스부(10)의 중간부분(13)에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 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빈영역(β)이 존재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anti-slip protrusions 20 are uniform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11 and the rear portion 12 of the base portion 10, but the base portion ( In the middle portion 13 of 10), there is an empty area β that is not provided with the anti-slip protrusion 20.

베이스부(10)의 중간부분(13)에는 앞부분(11) 이나 뒷부분(12)과 비교하여 하중이 잘 걸리지 않기 때문에 중간부분(13)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는 앞부분(11) 이나 뒷부분(12)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 만큼 미끄럼방지에 효과가 없다. 따라서 중간부분(13)에는 빈영역 (β)이 갖추어질 수 있다.Since the middle part 13 of the base part 10 does not receive much load compared to the front part 11 or the rear part 12, the anti-slip protrusion 20 of the middle part 13 is attached to the front part 11 or the rear part (11). It is not as effective in preventing slipping as the anti-slip protrusion 20 of 12). Therefore, the middle portion 13 may be provided with an empty area (β).

3.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3.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이어서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대해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과 다른 구성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Next,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imited to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이나 제2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 적용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도 10은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 저면도이다.For configurations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applied to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ho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Figure 10 shows the shoe of the third embodiment. This is a bottom view of the sole.

제1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도 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모든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형성하는 V자 개구가 발끝 쪽(전방)을 향하고 있었다. In the shoe sole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all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re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V-shaped opening formed by all the anti-slip protrusions 20 faces toward the toe (front). there was.

이에 반해,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서는 도 10 에 나타낸 것처럼 V자의 개구가 발끝 측(전방)을 향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와 V자의 개구가 발뒷꿈치측(후방)을 향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혼재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an anti-slip protrusion 20 with a V-shaped opening facing toward the toe side (front) and an anti-slip protrusion with a V-shaped opening toward the heel side (rear) ( 20) are mixed.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방향으로 늘어선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로 이루어진 돌기부열(20a, 20b, 20c, 20d, 20e) 을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하고 있는데, 제3 실시형태의 신발밑창에 있어서는 특정 돌기부열(20b, 20d) 에서는 V자의 개구가 발끝 측(전방)을 향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로 구성하고, 그 돌기부열(20b, 20d) 옆의 돌기부열(20a, 20c, 20e) 에서는 V자의 개구가 발꿈치측(후방)을 향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구성하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rows 20a, 20b, 20c, 20d, 20e, which are made up of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0 lined up in the front-back direction,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shoe sole of the third embodiment, there are specific In the rows of protrusions (20b, 20d), the V-shaped opening is composed of anti-slip protrusions (20) facing the toe side (front), and in the rows of protrusions (20a, 20c, 20e) next to the rows of protrusions (20b, 20d), V The opening of the ruler constitutes a non-slip protrusion 20 that faces the heel side (rear).

이에 따라, 신발밑창의 발끝측(전방)에서 발뒤꿈치측(후방)으로 하중이 가해졌을 때 뿐만 아니라, 신발밑창의 발뒤꿈치측(후방)에서 발끝측(전방)으로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도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Accordingly, good durability is achieved not only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toe side (front) of the shoe sole to the heel side (rear), but also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heel side (rear) of the shoe sole to the toe side (front). It can be active.

이 외에, V자의 개구가 좌측을 향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 나, V자의 개구가 우측을 향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혼재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anti-slip protrusions 20 with V-shaped openings facing left and anti-slip protrusions 20 with V-shaped openings facing right can be mixed.

이와 같이, 다른 방향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혼재시킴으로써, 신발밑창을 모든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하여 양호한 내활성을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In this way, by mixing anti-slip protrusions 20 in different directions, the shoe sole can be made to exhibit good resistance to loads from all directions.

4) 실험4) Experiment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이하의 실험 1~5 를 수행하였다.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xperiments 1 to 5 were performed.

4.1 실험 1 4.1 Experiment 1

도 11은 실험 1에서 이용한 시료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험 1에서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로 세로 50mm의 베이스부(10)에 복수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형성된 시료를 제작하여 그 동마찰계수를 측정하였다.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ample used in Experiment 1. In Experiment 1, as shown in FIG. 1, a sample with a plurality of anti-slip protrusions 20 formed on a base portion 10 measuring 50 mm in width and height was manufactured and its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was measured.

시료는 아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폭(W)(도 7) 및 높이 (H)(도 8)를 바꿈으로써 비율(H/W) 이 0 인 것 (시료 1, 5, 9, 13, 17, 22, 27, 31) 과 0,25 인 것(시료 2,6 ,10 ,14 ,18 ,23 ,28 ,32) 과 0.5인 것(시료 11, 15 ,19 ,24) 과 0.75 인 것 (시료 3,7 ,12,16 ,20 ,25 )과 1인 것 (시료 4, 21, 264)을 준비했다.The sample had a ratio (H/W) of 0 by changing the width (W) (FIG. 7) and height (H) (FIG. 8)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s shown in Table 1 below (Sample 1, 5, 9, 13, 17, 22, 27, 31) and 0,25 (samples 2,6, 10, 14, 18, 23, 28, 32) and 0.5 (samples 11, 15, 19, 24) and 0.75 (samples 3, 7, 12, 16, 20, 25) and 1 (samples 4, 21, 264) were prepared.

또한 시료에 따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린각도(1) (도 7(b)) 도 변경했다. 시료는 총 34 종류를 준비했다.Additionally, the opening angle 1 (FIG. 7(b))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as also changed depending on the sample. A total of 34 types of samples were prepared.

시료 1~34 모두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의 방향을 통일했다. 또한 베이스부의 두께 (T) (도 8) 를 2.5mm로 통일하고, 대좌부(24)의 높이 (도 8) 를 1mm 로 통일했다.In all samples 1 to 34, the directions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were unified. In addition, the thickness T (FIG. 8) of the base portion was unified to 2.5 mm, and the height of the pedestal portion 24 (FIG. 8) was unified to 1 mm.

또한, 좌우에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간격(D1)(도 6) 을 2.03mm로 통일해 앞뒤에 이웃하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간격(D2)(도 6)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폭(W)(도 7) 의 0.7 배가 되도록 했다.In addition, the spacing D1 (FIG. 6)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is unified to 2.03 mm, so that the spacing D2 (FIG. 6)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adjacent to the front and back is equal to the anti-slip protrusions. It was set to be 0.7 times the width (W) of (20) (Figure 7).

또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과 측면(22)이 이루는 엣지(23)의 반경은 0.05mm 로 하고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의 표면 거칠기(Ra)는 0.1m로 했다.In addition, the radius of the edge 23 formed by the lower surface 21 and the side 2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0.05 mm, and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0.1. It was set to m.

시료 1 ~ 34 는 모두 합성고무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형성하였다. 시료 1~34는 도 11에 나타내는 횡단면 V자형을 사용하고 시료 1~34 의 JIS-A 경도는 60도로 동일하게 했다.Samples 1 to 34 were all made of synthetic rubber. Samples 1 to 34 used the V-shaped cross section shown in Figure 11, and the JIS-A hardness of samples 1 to 34 was the same at 60 degrees.

시료 1 ~ 34의 동마찰계수 측정은 「JIS T 8101」에 규정된 방법에 준거하여 실시했다. 단, 연직하중은 200N으로 설정했다.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measurements of Samples 1 to 34 were conducted based on the method specified in “JIS T 8101.” However, the vertical load was set to 200N.

시료 1~34 의 신발밑창 동마찰계수 측정결과에 대해 표 1 및 도 12 ~ 도 14 에 나타낸다.Table 1 and Figures 12 to 14 show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of shoe soles for Samples 1 to 34.

도 12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가 45°일 때의 측정 결과를, 도 13 은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가 90°일 때의 측정 결과를, 도 14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의 열림각도(θ)가 140°일 때의 측정 결과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FIG. 12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when the opening angle (θ 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45°, and FIG. 13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when the opening angle (θ 1 )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90°. 14 shows measurement results when the opening angle θ 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140°.

열림각도opening angle width 높이height 비율ratio 동마찰계수Dynamic friction coefficient 시료 1sample 1



45°




45°

2mm

2mm
0mm0mm 00 0.3770.377
시료 2sample 2 0.5mm0.5mm 0.250.25 1.0061.006 시료 3Sample 3 1.5mm1.5mm 0.750.75 0.9210.921 시료 4Sample 4 2mm2mm 1One 0.8460.846 시료 5Sample 5

7mm


7mm
0mm0mm 00 0.3290.329
시료 6Sample 6 1.75mm1.75mm 0.250.25 0.7810.781 시료 7Sample 7 5.25mm5.25mm 0.750.75 0.7670.767 시료 8Sample 8 7mm7mm 1One 0.6990.699 시료 9Sample 9








90°









90°


2mm


2mm
0mm0mm 00 0.4930.493
시료 10Sample 10 0.5mm0.5mm 0.250.25 0.9830.983 시료 11Sample 11 1mm1mm 0.50.5 0.7890.789 시료 12Sample 12 1.5mm1.5mm 0.750.75 0.7210.721 시료 13Sample 13

4mm


4mm
0mm0mm 00 0.5130.513
시료 14Sample 14 1mm1mm 0.250.25 0.8470.847 시료 15Sample 15 2mm2mm 0.50.5 0.7230.723 시료 16Sample 16 3mm3mm 0.750.75 0.6980.698 시료 17Sample 17

5mm


5mm
0mm0mm 00 0.4880.488
시료 18Sample 18 1.25mm1.25mm 0.250.25 0.8540.854 시료 19Sample 19 2.5mm2.5mm 0.50.5 0.7840.784 시료 20Sample 20 3.75mm3.75mm 0.750.75 0.6860.686 시료 21Sample 21 5mm5mm 1One 0.5590.559 시료 22Sample 22

7mm


7mm
0mm0mm 00 0.4230.423
시료 23Sample 23 1.75mm1.75mm 0.250.25 0.8810.881 시료 24Sample 24 3.5mm3.5mm 0.50.5 0.7900.790 시료 25Sample 25 5.25mm5.25mm 0.750.75 0.6340.634 시료 26Sample 26 7mm7mm 1One 0.5880.588 시료 27Sample 27



140°




140°


2mm


2mm
0mm0mm 00 0.3630.363
시료 28Sample 28 0.5mm0.5mm 0.250.25 0.5370.537 시료 29Sample 29 1.5mm1.5mm 0.750.75 0.5160.516 시료 30Sample 30 2mm2mm 1One 0.4790.479 시료 31Sample 31

7mm


7mm
0mm0mm 00 0.2250.225
시료 32Sample 32 1.75mm1.75mm 0.250.25 0.6340.634 시료 33Sample 33 5.25mm5.25mm 0.750.75 0.5160.516 시료 34Sample 34 7mm7mm 1One 0.4790.479

이상의 측정결과에 의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열림각도(θ1) 나 폭(W)에 관계없이 비율(H/W)에 따라 동마찰계수가 변동함과 동시에 비율(H/W) 이 0.25~0.5 범위에 있을 때 동마찰계수가 피크에 가까운 값을 취하여 우수한 내활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above measurement results,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θ1) or width (W)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changes depending on the ratio (H/W), and the ratio (H/W) varies from 0.25 to 0.25. When in the 0.5 range,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took a value close to the peak, showing excellent resistance to resistance.

또, 비율(H/W) 을 0 보다 크고, 1 이하로 했을 때에는 동마찰계수가 0.5 보다 커지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ratio (H/W) wa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 the dynamic friction coefficient became greater than 0.5.

4.2 실험 24.2 Experiment 2

이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형상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 (실험 2) 을 실시했다.Next, an experiment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shap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ffects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구체적으로는 횡단면 V 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시료 40) 와 횡단면 사각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1) 와 횡단면 원형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2) 의 각각에 대해서 잔류액체면 밀도를 측정했다.Specifically, the residual liquid surface for each of the cross-section V-shaped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0), the cross-section squar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1), and the cross-section circular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2). Density was measured.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는 상술한 방법(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method described using FIGS. 3 and 4).

횡단면 V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0)에서는 V 자의 열림각도(θ1) (도 7)을 90°로 하고, 폭(W)(도 7) 를 3mm 로 하며, 높이(H) (도 8)를 1.5mm 로 하고,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과 측면(22) 가 하는 엣지(23)의 반경(R) (도 8)을 0.07mm 로 하고,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를 0.3μm 로 하고, 하면(21)(접지면)의 면적을 0.58cm2 로 했다.In the cross-sectional V-shaped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0), the V-shaped opening angle (θ1) (Figure 7) is set to 90°, the width (W) (Figure 7) is set to 3 mm, and the height (H) (Figure 7) is set to 90°. 8) is set to 1.5 mm, the radius (R) of the edge 23 (FIG. 8) formed by the lower surface 21 and the side surface 22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set to 0.07 mm, a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set to 0.07 mm. ),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was set to 0.3 μm, and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ground surface) was set to 0.58 cm 2 .

횡단면 사각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1) 및 횡단면 원형 모양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2)에서도 하면(21)(접지면)의 면적을 0.58cm2 로 조정하는 등 조건은 상기 횡단면 V 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0) 에 가능한 한 맞추었다.Conditions such as adjusting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ground surface) to 0.58 cm 2 in the cross-section squar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1) and the cross-section circular-shaped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2) are the cross section V It was adjusted as much as possible to the shaped non-slip protrusion 20 (sample 40).

도 15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를 측정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FIG. 15 show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ing measured.

도 15 (a)는 횡단면 V 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시료 40) 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5(b)는 횡단면 사각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시료 41)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며, 도 15(c)는 횡단면 원형 모양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시료 42) 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다.Figure 15 (a) shows the measurement being performed on the cross-section V-shaped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0), and Fig. 15 (b) shows the measurement on the cross-section squar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1). is being carried out, and Figure 15(c) is a measurement being carried out on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2)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도 15 (a), (b), (c)는 시액(70) 이 경화된 후의 수지필름(62)(도 3)을 알루미늄판(61)2(도 3)에서 떼어내고, 그 수지필름(62)(투명 필름)을 뒷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실린 면과는 반대쪽 면) 측으로부터 촬영한 것이다.15 (a), (b), and (c) show that the resin film 62 (FIG. 3) after the test solution 70 has been cured is removed from the aluminum plate 61 2 (FIG. 3), and the resin film (FIG. 62) (Transparent film) was photographed from the back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laced).

도 15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단면 V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0)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이 뚜렷하게 나타나 있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 (21)과 수지필름(62) 사이에 시액(70)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5 (a), in the cross-sectional V-shaped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0),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clearly visible, so that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nd It can be seen that almost no sample solution 70 remains between the resin films 62.

이것에 비해, 도 15(b)에 나타나는 횡단면 사각형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1)이나, 도 15(c)에 표시되는 횡단면 원형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2)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아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과 수지필름(62) 사이에 시액(70) 이 상당히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In contrast, the non-slip protrusion 20 (sample 41)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shown in FIG. 15(b) or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2) having a circular cross-section shown in FIG. 15(c) shows a non-slip effect. Since the lower surface 21 of the protrusion 20 is not clearly visible, it can be see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he test solution 70 remains between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nd the resin film 62.

하기 표 2 에 시료 40~42 의 잔류 액체면 밀도 측정 결과 (N=5의 평균값) 를 나타낸다.Table 2 below shows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measurement results (average value of N=5) of samples 40 to 42.


잔류액체면밀도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시료 40 (횡단면 V자 형상)

Sample 40 (V-shaped cross section)

1.72mg/cm2

1.72mg/ cm2

시료 41 (횡단면 사각형상)

Sample 41 (square cross section)

6.76mg/cm2

6.76mg/ cm2

시료 42 (횡단면 원형상)

Sample 42 (circular cross-section)

6.00mg/cm2

6.00mg/ cm2

상기 표 2를 보면 횡단면 V자형으로 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40)는 횡단면 사각형 또는 횡단면 원형형으로 한 미끄럼방지 돌기부(20) (시료 41 또는 시료 42) 보다 잔류 액체면 밀도가 대폭 저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2,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0) with a V-shaped cross-sec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41 or 42) with a square cross-section or a circular cross-section. It can be seen that it is done.

이로 부터, 미끄럼방지 돌기부(20)를 횡단면 V자형으로 하는 것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From this, it was found that having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 a V-shaped cross sec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4.3 실험 34.3 Experiment 3

이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가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실험 3)을 실시했다.Next, an experiment (Experiment 3)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ffects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구체적으로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가 0.3㎛ 인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50),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가 0.6㎛인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51),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가 1.5㎛인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52) 및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가 7.4㎛인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53) 각각에 대한 잔류 액체면 밀도를 측정했다.Specifically,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50)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0.3 ㎛,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51)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0.6 ㎛ ),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52)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1.5 ㎛, a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53)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7.4 ㎛ )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for each was measured.

시료 50~53 은 모두 횡단면 V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으로 하고, 하면(21) 의 표면 거칠기(Ra)를 변화시킨 이외에는 상기 실험 2의 시료 40과 같은 치수와 형상의 것을 이용했다.Samples 50 to 53 all had V-shaped anti-slip protrusions 20 in cross section, and were used with the same dimensions and shape as sample 40 in Experiment 2, except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was changed.

도 16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를 측정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Figure 16 show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ing measured.

도 16 (a)는 표면 거칠기(Ra)가 0.3μ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20) (시료 50)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6(b)은 표면 거칠기(Ra)가 0.6μ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20) (시료 51)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며, 도 16(c)은 표면 거칠기(Ra)가 1.5μ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20)(시료 52)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6(d)은 표면 거칠기(Ra)가 7.4μm 인 것이다.Figure 16 (a) shows measurement being performed on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50)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0.3 μm, and Figure 16 (b) shows a surface roughness (Ra) of 0.6 μm. Measurements are being performed on the anti-slip protrusions 20 (sample 51), and Figure 16(c) shows measurements on the anti-slip protrusions 20 (sample 52)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1.5 μm. 16(d) shows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is 7.4μm.

도 16 (a), (b), (c), (d)는 시액(70)이 경화된 후의 수지필름(62)(도 3) 을 알루미늄판 (62)(도 3)에서 떼어내고 그 수지필름(62)(투명 필름)을 뒷면(미끄럼방지 돌기부(20)가 올려진 면과는 반대쪽 면) 측으로부터 촬영한 것이다. 16 (a), (b), (c), and (d) show the resin film 62 (FIG. 3) after the test solution 70 has been cured, removed from the aluminum plate 62 (FIG. 3), and the resin film 62 (FIG. 3) is removed from the aluminum plate 62 (FIG. 3). The film 62 (transparent film) was photographed from the back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laced).

도 16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Ra)가 0.3μm 로 매우 작은 시료 50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아래쪽에 시액(70) 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As shown in Figure 16 (a), in sample 50, which has a very small surface roughness (Ra) of 0.3 μm, almost no test solution 70 remains below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또한 도 1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Ra)가 0.6m 인 시료 51 에서도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아래쪽에는 시액(70)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6(b), even in sample 51 with a surface roughness (Ra) of 0.6 m, almost no test solution 70 remains below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이에 반해 도 16(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Ra)가 1.5μm 인 시료 52 쯤에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의 하측에 남은 시액(70) 이 눈에 띄기 시작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6(c), the remaining test solution 70 began to become visible around sample 52, which had a surface roughness (Ra) of 1.5 μm, on the lower sid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도 16(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면 거칠기(Ra)가 7.4μm 로 큰 시료 53 에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아래쪽에는 하면(21) 의 전역에 걸쳐 시액(70) 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6(d), in sample 53, which has a large surface roughness (Ra) of 7.4 μm, test solution 70 remains throughout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can be seen.

아래 표 3 에 시료 50~53의 잔류 액체면 밀도 측정 결과(N=5의 평균값)를 나타낸다.Table 3 below shows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measurement results (average value of N=5) for samples 50 to 53.


잔류액체면 밀도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시료 50 (Ra = 0.3μm)

Sample 50 (Ra = 0.3μm)

1.72mg/cm2

1.72mg/ cm2

시료 51 (Ra = 0.6μm)

Sample 51 (Ra = 0.6μm)

3.45mg/cm2

3.45mg/ cm2

시료 52 (Ra = 1.5μm)

Sample 52 (Ra = 1.5μm)

5.17mg/cm2

5.17mg/ cm2

시료 53 (Ra = 7.4μm)

Sample 53 (Ra = 7.4μm)

6.90mg/cm2

6.90mg/ cm2

상기 표 3을 보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의 표면 거칠기(Ra)가 커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3, it can be seen that as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creases.

반대로 말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의 표면 거칠기(Ra)가 작아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as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decreases,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decreases.

이로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의 표면 거칠기(Ra)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From this, it was found that suppressing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to small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4.4 실험 44.4 Experiment 4

마지막으로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 의 반경(R)(도 2(b)) 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 실험(실험 4)을 실시했다.Finally, an experiment (Experiment 4)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FIG. 2(b)) affects the drainage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구체적으로는 엣지(23) 의 반경(R)이 0.07mm 인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60)와 엣지(23) 의 반경(R)이 0.57mm 인 미끄럼방지 돌기부(20)(시료 61) 각각에 대한 잔류 액체면 밀도를 측정했다.Specifically,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60) with a radius (R) of the edge 23 of 0.07 mm and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61) with a radius (R) of the edge 23 of 0.57 mm.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for each was measured.

시료 60, 61 은 모두 횡단면 V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으로 하고 엣지(23) 의 반경(R)을 변화시킨 이외에는 상기 실험 2의 시료 40과 같은 치수 형상인 것을 이용했다.Samples 60 and 61 both had V-shaped anti-slip protrusions 20 in cross section and had the same dimensions and shape as sample 40 in Experiment 2, except that the radius (R) of the edge 23 was changed.

단, 시료 60 에서는 하면(21)(접지면)의 면적이 0.58cm2 인 데 반해 시료 61에서는 하면(21) 의 면적(접지면)이 0.39cm2 가 되었다.However, in sample 60,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ground surface) was 0.58 cm 2 , whereas in sample 61,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ground surface) was 0.39 cm 2 .

이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횡단면 면적이 같아도 엣지(23) 의 반경(R)이 커지면 그만큼 하면(21)(접지면)의 면적이 작아지는데 기인한다. This is because, even i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the same, as the radius R of the edge 23 increases,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21 (ground surface) becomes smaller.

도 17에,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를 측정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다. Figure 17 shows a photograph showing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being measured.

도 17 (a)는 엣지의 반경(R) 이 0.07m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20) (시료 60)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고, 도 17의 (b)는 엣지의 반경(R) 이 0.57mm 인 미끄럼방지용 돌기부(20)(시료 61) 에 대해 측정을 실시하고 있는 모습이다.Figure 17 (a) shows measurement being performed on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60) with an edge radius (R) of 0.07 mm, and Figure 17 (b) shows the edge radius (R). Measurements are being taken on the anti-slip protrusion 20 (sample 61) of 0.57 mm.

도 17 (a), (b)는 시액(70) 이 경화된 후의 수지필름(62) (도 3)를 알루미늄판(62)(도 3)에서 떼어내고, 그 수지필름(62)(투명필름)을 뒷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이 실린 면과는 반대쪽 면) 측으로부터 촬영한 것이다.17 (a) and (b) show the resin film 62 (FIG. 3) after the test solution 70 has been cured being removed from the aluminum plate 62 (FIG. 3), and the resin film 62 (transparent film) ) was taken from the back side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placed).

도 17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엣지(23)의 반경(R) 이 0.07mm 로 작은 시료 60에서는 엣지(23)가 뚜렷하게 나타나 있는 반면, 도 17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엣지(23)의 반경(R)이 0.57mm 로 큰 시료 61 에서는 엣지(23)가 흐릿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17 (a), the edge 23 is clearly visible in sample 60 in which the radius (R) of the edge 23 is small at 0.07 mm, while the edge 23 is clearly visible as shown in Figure 17 (b). It can be seen that the edge 23 appears blurred in sample 61, which has a large radius (R) of 0.57 mm.

아래 표 4 에 시료 60, 61 의 잔류 액체면 밀도 측정 결과(N=5의 평균값)를 나타낸다.Table 4 below shows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measurement results (average value of N=5) of Samples 60 and 61.


잔류액체면 밀도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시료 60 (R = 0.07mm)

Sample 60 (R = 0.07mm)

1.72mg/cm2

1.72mg/ cm2

시료 61 (R = 0.77mm)

Sample 61 (R = 0.77mm)

5.14mg/cm2

5.14mg/ cm2

상기 표 4를 보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이 커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4, it can be seen that as 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creases.

반대로 말하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이 작아짐에 따라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잔류 액체면 밀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Conversely, it can be seen that as 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decreases, the density of the residual liquid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decreases.

이를 통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엣지(23)의 반경(R) 을 작게 하는 것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reducing the radius (R) of the edge 23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is an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the drainage of the non-slip protrusion 20.

4.5 실험 54.5 Experiment 5

이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 표면 거칠기(Ra)가 액체로 젖은 바닥면에서의 내활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실험(실험5)을 실시했다.Next, an experiment (Experiment 5)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affects the anti-activity ability on a floor wet with liquid.

구체적으로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21) 의 표면 거칠기(Ra)가 0.2μm로 조정된 신발밑창 시료(시료 70)와, 같은 표면 거칠기(Ra)가 0.75μm로 조정된 밑창 시료(시료 71)와 같은 표면 거칠기(Ra)가 1.5μm로 조정된 밑창 시료(시료 72) 각각에 대해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50°의 스테인리스 판에 대한 활주거리(이하 단순히 활주거리라고 부른다.)를 측정했다.이 활주거리는 상술한 방법(도 18을 이용해 설명한 방법)에 따라 측정했다. Specifically, a shoe sole sample (sample 70) in which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was adjusted to 0.2 μm, and a sole sample (sample 70) in which the same surface roughness (Ra) was adjusted to 0.75 μm ( For each sole sample (sample 72) with the same surface roughness (Ra) adjusted to 1.5 μm as sample 71), the sliding distanc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he sliding distance) on a stainless steel plate with an inclination angle of 50° coated with glycerin was calculated. This sliding distanc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method explained using Figure 18).

시료 70~72는 모두 횡단면 V자형 미끄럼방지 돌기부(20)으로 하고, 하면(21)의 표면 거칠기(Ra)를 변화시킨 이외에는 상기 실험 2의 시료 40과 같은 치수 형상인 것을 이용했다.Samples 70 to 72 all had V-shaped anti-slip protrusions 20 in cross section, and had the same dimensions and shape as sample 40 in Experiment 2, except that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lower surface 21 was changed.

아래 표 5 에, 시료 70, 71, 72 의 활주거리의 측정결과를 나타낸다.Table 5 below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sliding distances of samples 70, 71, and 72.


활주거리

Run distance

시료 70
(표면거칠기 (Ra) : 0.2μm)

Sample 70
(Surface roughness (Ra): 0.2μm)

5mm

5mm

시료 71
(표면거칠기 (Ra) : 0.75μm)

Sample 71
(Surface roughness (Ra): 0.75μm)

10mm

10mm

시료 72
(표면거칠기 (Ra) : 1.5μm)

Sample 72
(Surface roughness (Ra): 1.5μm)

15mm

15mm

상기 표 5를 보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 표면 거칠기(Ra)가 작을수록(부드러울수록) 활주거리가 짧아지고(미끄럽지 않게 되어 있음) 있음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able 5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smaller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the softer it is), the shorter the sliding distance is (making it less slippery).

일반적으로 미끄럼방지돌기(20)의 하면이 거친 쪽이 마찰이 커져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는 이미지를 있으나, 액체가 있는 환경에서는 그와 반대되는 결과가 나오고 있다.In general, there is an image that the rougher bottom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ncreases friction and prevents slipping, but in a liquid environment, the opposite result is obtained.

이는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이 높아짐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crease in drainage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by smoothing the lower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s 20.

이상의 것으로부터,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하면 표면 거칠기(Ra)를 작게 하는 것이 미끄럼방지 돌기부(20)의 배액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From the above, it was shown that reducing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is important in improving the drainage properties of the anti-slip protrusion 20.

10: 베이스부
11: 앞부분
12: 뒷부분
13: 중간부분
20: 미끄럼방지 돌기부
20a: 돌기부열
20b: 돌기부열
20c: 돌기부열
20d: 돌기부열
20e: 돌기부열
21: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접지면)
22: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측면
23: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과 측면의 경계부의 엣지
24: 대좌부
50: 보행면
60: 기판
61: 알루미늄판
62: 수지필름
63: 점착테이프
70: 시액
80: 추
90: 핀셋
100: 스테인레스판
110: 글리세린
120: 시료
130: 추
: 좌우에 서로 인접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틈새폭
: 전후에 서로 인접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틈새폭
H: 미끄럼방지 돌기부에 있어서 대좌부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
: 대좌부의 높이
L: V자 라인
R: 미끄럼방지 돌기부 (접지면) 과 측면이 이루는 엣지의 반경
W: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종단면의 폭
X: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활주거리
α: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횡단면
α: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종단면
β: 빈영역
θ: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열린각도
θ: 대좌부의 측면의 경사각도
10: Base part
11: Front part
12: back part
13: Middle part
20: Non-slip protrusion
20a: Protuberance row
20b: Protuberance row
20c: aponeurosis
20d: Paranoid fever
20e: Protuberance row
21: Bottom surface (ground surface) of anti-slip protrusion
22: Side of anti-slip protrusion
23: Edg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24: Pedestal part
50: walking surface
60: substrate
61: Aluminum plate
62: Resin film
63: Adhesive tape
70: test solution
80: Chu
90: tweezers
100: Stainless steel plate
110: Glycerin
120: sample
130: Chu
: Gap width of non-slip protrusion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 Gap width between non-slip protrusions adjacent to each other before and after
H: Height of the non-slip protrusion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H 1 : Height of pedestal part
L: V-shaped line
R: Radius of the edge formed by the anti-slip protrusion (ground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W: Width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X: A run range for stainless steel plates of inclination angle of sliced glycerin
α 1 : Cross section of anti-slip protrusion
α 2 :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anti-slip protrusion
β: empty area
θ 1 : Opening angle of the anti-slip protrusion
θ 2 :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of the pedestal part

Claims (6)

신발의 저부에 배치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하면에서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된, 횡단면이 V자 형태를 이루는 복수개의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미끄럼방지 돌기부가, 엘라스토머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접속부분에, 베이스부에 근접함에 따라 횡단면이 커지는 대좌부가 갖추어지고,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의 표면조도(Ra)가, 1.5μm 이하로 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A base portion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hoe,
A plurality of non-slip protrusions are formed to fac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have a V-shaped cross section,
In a shoe sole in which the base portion and the anti-slip protrusion portion are integrally formed of elastomer,
In the non-slip protrusion, a pedestal portion whose cross-section increases as it approaches the base portion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portion,
The surface roughness (Ra) of the under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1.5μm or less.
Shoe sole featuring .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잔류액체면 밀도가 5mg/cm이하가 되는 신발밑창.
According to paragraph 1,
Shoe soles in which the residual liquid surface density of each non-slip protrusion is 5 mg/cm 2 or less.
제 2 항에 있어서,
글리세린을 도포한 경사각도 50° 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한 활주거리가 15mm 이하가 되는 신발밑창.
According to claim 2,
A shoe sole with a sliding distance of 15 mm or less on a stainless steel plate coated with glycerin and with an inclination angle of 50°.
제 3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하면과 측면이 이루는 엣지의 반경이 0.5mm 이하가 되는 신발밑창.
According to claim 3,
A shoe sole in which the radius of the edge formed by the bottom and side of the anti-slip protrusion is less than 0.5 mm.
제 4 항에 있어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종단면의 폭(W)에 대한, 미끄럼방지 돌기부의 대좌부를 제외한 부분의 높이(H)의 비율(H/W) 이 0.1 ~ 1 의 범위로 되는 신발밑창.
According to claim 4,
A shoe sole in which the ratio (H/W) of the height (H) of the portion excluding the pedestal por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to the width (W)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non-slip protrusion is in the range of 0.1 to 1.
제 1 항 내지 제 5 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신발밑창의 제조방법.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hoe so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KR1020237032462A 2021-10-27 2022-10-25 Shoe so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KR2023015403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75436 2021-10-27
JP2021175436A JP7109826B1 (en) 2021-10-27 2021-10-27 Shoe so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JP2022/039804 WO2023074710A1 (en) 2021-10-27 2022-10-25 Shoe so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037A true KR20230154037A (en) 2023-11-07

Family

ID=8265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2462A KR20230154037A (en) 2021-10-27 2022-10-25 Shoe so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09826B1 (en)
KR (1) KR20230154037A (en)
CN (1) CN116963633A (en)
WO (1) WO2023074710A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8132A1 (en) 2004-07-01 2009-07-30 Nisshin Rubber Co., Ltd Slip-resistant shoe sole
JP2013126529A (en) 2011-11-18 2013-06-27 Achilles Corp Antislip shoe sole
JP2014104286A (en) 2012-11-29 2014-06-09 Nisshin Rubber Kk Shoe sole
JP2016093365A (en) 2014-11-14 2016-05-26 弘進ゴム株式会社 Anti-slip resistant sole and shoe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064958A (en) 2023-05-12
WO2023074710A1 (en) 2023-05-04
JP7109826B1 (en) 2022-08-01
CN116963633A (en)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59648B2 (en) Slip resistant sole
JP5965130B2 (en) Outer tread pattern
US9867426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extender
JP5747218B2 (en) Anti-slip sole and mold for molding the sole
KR20230154037A (en) Shoe sol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JP4721261B2 (en) Anti-slip sole
JP4975736B2 (en) Sole sheet, soles, shoes and footwear
JP3451205B2 (en) Slip-resistant soles
KR102555764B1 (en) Shoe soles, shoes and non-slip members
JP5291850B2 (en) Anti-slip sole
JP2014104286A (en) Shoe sole
WO2019198645A1 (en) Shoe sole, and shoe
JP3553041B2 (en) Slip-resistant soles
JP2007044178A (en) Mat for work
JP7199424B2 (en) Athletic prosthesis sole
JPH0349522Y2 (en)
JP2020074859A (en) Anti-slip shoes bottom and anti-slip shoes
GB2577919A (en) Shoe Tread
JP2006046032A (en) Bathroom floor
JP2009095460A (en) Sole sh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