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681A - 가압식 호흡기기 - Google Patents

가압식 호흡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681A
KR20230153681A KR1020220053378A KR20220053378A KR20230153681A KR 20230153681 A KR20230153681 A KR 20230153681A KR 1020220053378 A KR1020220053378 A KR 1020220053378A KR 20220053378 A KR20220053378 A KR 20220053378A KR 20230153681 A KR20230153681 A KR 20230153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liquid
sliders
respiratory device
push button
porous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규
현승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220053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681A/ko
Publication of KR20230153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6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65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 A61M15/0066Inhalators with dosage or measuring devic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dos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1Particle size control
    • A61M11/003Particle size control by passing the aerosol trough sieves or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06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pressure to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07Syringe-type or piston-type sprayers or atomis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실시예는 가압식 호흡기기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 외부 케이스의 단면을 가로지로도록 설치되는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외부 케이스 내측,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약액 저장부; 및 외부 케이스의 내측, 약액 저장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약액을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며,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이 다공성 세라믹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에어로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압식 호흡기기{PRESSING TYPE NEBULIZER}
실시예는 가압식 호흡기기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계(respiratory system)는 공기의 통로가 되는 전도영역(conducting zone)과 직접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호흡영역(respiratory zone)으로 구분되고, 다시 전도영역은 구강(Oropharyngeal region)과 기관(trachea), 기관지(bronchi) 및 종말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를 가리키고, 호흡영역은 호흡 세기관지(respiratory bronchiole), 폐포관(alveolar duct), 폐포낭(alveolar sac), 폐포(alveoli)까지를 가리킨다. 천식이나 만성폐질환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흡입기(inhaler)는 기도로 약물을 직접 도달시켜 치료 효과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장점을 갖는데, 흡입기는 약제 성상에 따라 정량분무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 건조분말 흡입기(dry powder inhaler, DPI), 네뷸라이저(nebulizer) 등으로 구분된다. 흡입기를 통해 흡입되는 약액 에어로졸은 그 입자 크기에 따라, 10 - 30 μm 크기의 입자가 구강에 침착되고, 2 - 16 μm 크기의 입자가 전도영역에서 침착되고 2 μm 미만의 입자가 호흡영역에서 침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량분무식 흡입기는 약통을 누르면 일정량의 약물이 추진제 가스와 함께 분무되는 흡입기로, 약물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약물 분사와 흡입이 동시에 혹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추진제 가스의 사용에 대해 논란이 있다. 건조분말 흡입기는 약물과 부형제가 혼합된 분말을 직접 들이 마시는 것으로 추진제가 따로 없으므로 흡입시 세고, 빠르게 들이마셔야 한다. 네뷸라이저는 나이가 어리거나 흡입기 사용이 미숙한 어린이, 호흡이 어려워 정량분무식 흡입기 사용 능력이 떨어지는 성인이나 어린이가 사용할 수 있는 흡입 기이다. 네블라이저를 통해 분무되는 약액의 평균 입자 크기가 약 0.5 ~ 5 μm일 때 약액이 환자의 세기관지를 통해 폐까지 전달되어 효과를 볼 수 있다. 약액 분무입자가 10 ~ 15 μm 이상일 경우 대부분의 약물이 후두 및 비강 부위에 침착되고 5 ~ 10 μm일 경우에는 기관 및 기관지에 침착되고 1 ~ 5 μm일 경우 주로 폐에 침착되어 흡입 약물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다. 0.5 μm 보다 작을 경우는 약액이 다시 체외로 배출된다. 네뷸라이저는 액상 약물을 에어로졸로 바꾸어 분무시키고 약은 코와 입을 덮는 안면 마스크 혹은 튜브를 통해 흡입한다. 발생된 에어로졸의 상당 부분이 원하는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후두 및 비강 등에 침착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네뷸라이저는 병의원/가정에서 전원을 꽂아서 사용하는 것이었고, 마스크 타입 혹은 마우스피스 타입이 모두 채용되기도 했으나, 마스크 타입의 경우 약액으로부터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발생한 에어로졸의 대부분이 사용자의 입/코 주변에 남고 흡입되는 양이 적거나, 마우스피스 타입의 경우 효과적으로 에어로졸을 발생시키거나 흡입하기가 쉽지 않았다.  휴대용 네뷸라이저가 나오기는 했으나 약액을 휴대용 네뷸라이저의 통에 부어서 채우고(가습기에 물을 채우는 방식과 유사함) 그걸 다 사용하면 다시 채우는 식으로 사용되었는데, 마우스피스를 계속 사용하게 되므로 오염의 문제 등이 심각할 수 있다. 네뷸라이저는 액상 약물을 에어로졸로 바꾸어 분무시키고 약은 코와 입을 덮는 안면 마스크 혹은 튜브를 통해 흡입한다. 발생된 에어로졸의 상당 부분이 원하는 부위에 도달하지 못하고 후두 및 비강 등에 침착하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가 휴대용으로, 환경적으로 혹은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추진제의 사용 없이 평상시의 호흡으로 흡입할 수 있으면서, 약액 에어로졸이 원하지 않는 부위에 침착하지 않으면서 정량의 약액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91760에는 네블라이저(10); 실리콘 마스크(30); 네블라이저(10)와 실리콘 마스크(30)를 연결하는 커넥터(50);을 포함하되, 네블라이저(10)는 펌프(20)의 토출구(23)와 서로 통하게 연결되는 약물 수용체(11)와, 노즐부(13)와, 약물 수용체(11)와 노즐부(13)를 연결하는 연결체(15)와, 약물 수용체(11)의 하면에 착탈되는 배터리 수납체(17)와, 배터리 수납체(17)의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PCB(19)와, PCB(19)에 입력을 주는 입력 버튼부(25)를 포함하는 휴대용 천식 의료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91760
실시예는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약액을 에어로졸화시켜 흡입할 수 있는 호흡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 외부 케이스의 단면을 가로지로도록 설치되는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외부 케이스 내측,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약액 저장부; 및 외부 케이스의 내측, 약액 저장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약액을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며,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이 다공성 세라믹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에어로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의 기공 크기는 3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가압 장치는, 축부와 축부를 관통하며 경사를 가지는 경사홀과 축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푸쉬 헤드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 푸쉬 버튼의 경사홀을 관통하는 경사 로드와 경사 로드 양단에 형성되며 경사 로드와 반대 방향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좌우 슬라이더, 좌우 슬라이더의 슬라이더부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 슬라이더, 및 푸시 버튼 축부의 상단부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하 슬라이더의 상면에 상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하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의해 약액 저장부의 공간이 확장 및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좌우 슬라이더의 일 측 슬라이드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고, 상하 슬라이더는 스토퍼 돌기를 구속 및 해제할 수 있는 스토퍼 훅을 구비하며, 스토퍼 돌기와 스토퍼 훅은 탄성부재가 압축되었을 때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푸쉬 버튼의 이동을 제어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상하 슬라이더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상면이 약액 저장부의 하면을 정의하며 상하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약액 저장부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상하 슬라이더는 상면에 부착되며 약액의 누출을 막는 러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외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푸시 버튼을 가이드 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의 다른 일 태양으로, 푸시 버튼은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가압식 호흡기기는 탄성 부재의 압축력을 이용하여 약액을 에어로졸화하므로 전력을 사용하지 않아 무게가 가볍고 휴대가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분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버튼 푸쉬 전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버튼 푸쉬 전 단면 사시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버튼 푸쉬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스토퍼 구조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약액 가압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분해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버튼 푸쉬 전 단면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버튼 푸쉬 전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100)와, 외부 케이스(100) 내에 설치되는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 약액 저장부(300), 약액 저장부(300)에 저장된 약액을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40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외부 케이스(100)는 원통형이나 외부 케이스(100)의 형상은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케이스(100)는 원통형 측벽(110)과 측벽을 가로지르는 격벽(120)이 설치된다. 격벽(120)은 중앙에 약액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격벽(120)의 홀 상에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가 설치된다.
약액 저장부(300)에 저장된 약액은 압력에 의해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에어로졸화 된다. 약액이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는 2 ~ 15 ㎛ 범위를 가지도록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의 기공 크기 및 가압 장치(400)의 가압력이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200)의 기공은 3 ~ 12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강의 혈관을 통해 뇌까지 전달될 수 있는 에어로졸 입자의 크기는 2 ~ 5 ㎛이며, 가압식 호흡기기를 통해 발생한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는 2 ~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까지 도달하는 에어로졸 입자의 크기는 1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두까지 도달하는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는 5 ~10 ㎛이며, 도달 시 에어로졸 입자의 속도는 5m/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폐포까지 도달하는 에어로졸의 입자 크기는 크기는 2 ~ 4 ㎛, 도달 시 에어로졸 입자의 속도는 2 m/s 이하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 장치(400)는, 외부 케이스(100) 내에서 약액 저장부(300)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부 케이스(100)의 내주면에 접하는 원통형 측벽(411)과 약액 저장부(300)와 접하며 외부 케이스(100)를 가로지르는 상면(412)을 구비한다. 측벽(411)의 하부에는 마주하는 위치에 한 쌍의 경사면(413)이 형성된다. 또한 상면 중앙(414)에는 후술할 탄성 부재(44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돌기(414)가 형성된다. 한편, 측벽(410)의 일측 경사면(413)과 간격을 두고 상측에는 후술할 스토퍼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스토퍼 홀(416)이 형성된다.
가압 장치(400)는 측벽(410)의 경사면(413)과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424)를 구비하며, 각 슬라이드부(424)를 연결하는 경사 로드(422)를 구비하는 좌우 슬라이드(420)를 구비한다. 경사 로드(422)는 경사면(413)과 반대로 기울어진 경사를 가진다. 또한 스토퍼 홀(416)이 형성된 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드부(424)의 상측에는 스토퍼 돌기(426)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가압 장치(400)는, 축부(434), 축부(434)를 관통하며 경사 로드(422)와 동일한 경사를 가지는 경사홀(434a), 축부(434)의 하단에 형성되는 푸쉬 헤드(432)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430)을 구비한다.
또한 가압 장치(400)는 외부 케이스(100)의 하단에 결합되며, 푸쉬 버튼(430) 및 좌우 슬라이더(42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하부 케이스(450)를 구비한다.
하부 케이스(430)는 외부 케이스(1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결합면(452), 푸시 버튼(430)의 헤드(432)와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헤드(432)가 상하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헤드 가이드부(454), 축부(434)에 대응하는 단면을 가지며 축부(434)의 이동을 안내하는 축부 가이드부(456)를 포함한다. 축부 가이드부(456)는 헤드 가이드부(454)보다 작은 단면을 가진다. 헤드 가이드부(454)의 상단으로부터 좌우 슬라이더(420)의 슬라이드부(424)의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축부 가이드부(456)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 구조의 좌우 슬라이더 가이드부(458)가 형성된다. 헤드 가이드부(454)의 상단과 좌우 슬라이드 가이드부(458) 사이에 좌우 슬라이더(420)의 슬라이드부(424)가 위치함으로써, 좌우 슬라이더(420)가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제한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축부(424)의 상단 부근에는 탄성부재(440)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 리브(436)가 돌출형성된다.
탄성부재(440)는, 상하 슬라이더(410)의 고정 돌기(414)에 상단이 고정되고, 축부(424)의 상단과 지지 리브(436)에 하단이 고정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푸쉬 버튼(430)을 누르면 탄성부재(440)가 압축된다.
한편, 상하 슬라이더(410)의 상면(412)에는 약액 저장부(300)로부터 약액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500)가 부착되거나 설치될 수 있다. 실링재(500)는 상하 슬라이더(410)의 상면(412)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로, 상하 슬라이더(410)의 이동 시에 실링재(500)도 함께 이동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버튼 푸쉬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스토퍼 구조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푸시 버튼(430)을 누르면, 푸시 버튼(430)은 전체적으로 하부 케이스(450)의 가이드를 따라 상승한다. 푸시 버튼(430)의 축부(434)에 형성된 경사홀(434a)도 함께 상승하게 되는데, 좌우 슬라이드(4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경사홀(434a)을 관통하는 경사 로드(424)는 경사홀(434a)의 상승에 따라 도면 상 우측으로 슬라이드하게 된다. 즉 좌우 슬라이더(420)가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좌우 슬라이더(420)가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좌우 슬라이더(420)의 슬라이드부(422)와 접하는 경사면(413)에 힘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상하 슬라이더(410)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푸시 버튼(430)의 축부(434)는 상승하고, 상하 슬라이더(410)는 하강함에 따라 푸시 버튼(430)과 상하 슬라이더(410)에 양단이 지지 설치되는 탄성부재(440)는 압축된다. 탄성부재(440)는 푸시 버튼(430)의 상승 거리와 상하 슬라이더(410)의 하강 거리를 더한 길이만큼 압축 변형된다. 한편, 상하 슬라이더(410)가 하강함에 따라 약액 저장부(300)의 저장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때, 푸시 버튼(430)을 눌러 탄성 부재(440)는 압축되고 약액 저장부(300)는 확장된 상태에서, 좌우 슬라이더(420)의 스토퍼 돌기(426)와 스토퍼 홀(416)이 서로 걸림되어 가압 장치(4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돌기(426)는 후크 형태로 되어 있어, 스토퍼 홀(416)이 걸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액 저장부(300)의 저장 공간이 확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약액을 주입한다. 약액의 주입은 약액 저장부(300) 상측에 위치한 다공성 세라믹 플레이트(200)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여, 다공성 세라믹 플레이트(200)를 분리한 다음 약액을 주입할 수도 있고. 외부 케이스(100)의 측벽에 별도의 약액 주입부(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가압식 호흡기기의 약액 가압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돌기(426)와 스토퍼 홀(416)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푸시 버튼(430)을 더 누르면 축부(424)는 고정 상태보다 조금 더 상승하고, 좌우 슬라이더(420)는 조금 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 돌기(426)와 스토퍼 홀(416)의 걸림이 해제되고 사용자가 푸시 버튼(430)에서 손을 떼면 탄성 부재(440)의 복원력에 의해 푸시 버튼(430)이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약액 저장부(300)가 확장된 상태에서 약액이 주입됨에 따라, 스토퍼 돌기(426)와 스토퍼 홀(416)의 걸림이 해제되더라도 푸시 버튼(430)이 바로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푸쉬 버튼(430)의 축부(434)의 경사홀(434a)과, 좌우 슬라이더(420), 상하 슬라이더(410)의 움직임이 모두 연동되기 때문에, 상하 슬라이더(410)가 상승하지 못하면, 좌우 슬라이더(420)와 푸쉬 버튼(430)도 모두 원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대신 탄성 부재(440)의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상하 슬라이더(410)와 푸쉬 버튼(430)에 작용하며, 그에 따라 상하 슬라이더(410)가 약액 저장부(300) 측으로 상승한다. 약액 저장부(300)에 저장된 약액은 상하 슬라이더(410)가 상승하면서 압력을 받게 되고, 다공성 세라믹 플레이트(200)를 통과하면서 에어로졸화되어 사용자가 흡입가능한 상태로 제공된다.
한편, 사용자가 직접 누르는 대신 푸시 버튼(430)은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Claims (9)

  1.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
    외부 케이스의 단면을 가로지로도록 설치되는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외부 케이스 내측,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하부에 형성되는 약액 저장부; 및
    외부 케이스의 내측, 약액 저장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약액을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장치;를 포함하며,
    약액 저장부에 저장된 약액이 다공성 세라믹 플레이트를 통과하면서 에어로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다공체 세라믹 플레이트의 기공 크기는 3 ~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가압 장치는,
    축부, 축부를 관통하며 경사를 가지는 경사홀, 축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푸쉬 헤드를 구비하는 푸쉬 버튼,
    푸쉬 버튼의 경사홀을 관통하는 경사 로드와 경사 로드 양단에 형성되며 경사 로드와 반대 방향 기울기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좌우 슬라이더,
    좌우 슬라이더의 슬라이더부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상하 슬라이더, 및
    푸시 버튼 축부의 상단부에 하단이 지지되고, 상하 슬라이더의 상면에 상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하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의해 약액 저장부의 공간이 확장 및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좌우 슬라이더의 일 측 슬라이드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스토퍼 돌기를 구비하고,
    상하 슬라이더는 스토퍼 돌기를 구속 및 해제할 수 있는 스토퍼 훅을 구비하며,
    스토퍼 돌기와 스토퍼 훅은 탄성부재가 압축되었을 때 서로 맞물려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푸쉬 버튼의 이동을 제어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하 슬라이더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형이며, 상면이 약액 저장부의 하면을 정의하며 상하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약액 저장부의 크기가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하 슬라이더는 상면에 부착되며 약액의 누출을 막는 러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의 하단에 결합되며, 푸시 버튼을 가이드 하는 하부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9. 제3항에 있어서,
    푸시 버튼은 모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식 호흡기기.


KR1020220053378A 2022-04-29 2022-04-29 가압식 호흡기기 KR202301536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78A KR20230153681A (ko) 2022-04-29 2022-04-29 가압식 호흡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378A KR20230153681A (ko) 2022-04-29 2022-04-29 가압식 호흡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681A true KR20230153681A (ko) 2023-11-07

Family

ID=8874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378A KR20230153681A (ko) 2022-04-29 2022-04-29 가압식 호흡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68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760A (ko) 2018-01-29 2019-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천식 의료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1760A (ko) 2018-01-29 2019-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천식 의료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7858B1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JP3213587U (ja) 幼児および呼吸不全患者のための噴霧器
US9757528B2 (en) Nebulizer having different negative pressure threshold settings
US5823179A (en) Nebulizer apparatus and method
EP2914319B1 (en) Nebulizer apparatus
US8181646B2 (en) Adapter for use in an aerosol delivery system
US20120318261A1 (en) Valved Holding Chamber With Whistle for the Administration of Inhalable Drugs
MX2008002560A (es) Pieza en "t" con valvulas y pieza en "t" con sello propio.
JP2008049127A (ja) 吸入装置
KR20230153681A (ko) 가압식 호흡기기
KR20230155698A (ko) 약액 잔량 손실 방지 호흡기기
EP3459577B1 (en) Nebulizer for aerosolizing a drug solution with an inner flared-out structure limiting the aerosol waste
KR20240041082A (ko) 약액 카트리지 및 휴대용 약액 에어로졸 흡입기
CN215585112U (zh) 一种计时储雾罐
CN213131351U (zh) 一种儿童雾化给药装置
AU2013209385B2 (en) Nebulizer for infants and respiratory compromised patients
AU2004202959A1 (en) Nebulizer Apparatus and Method
WO2018127591A1 (en) Jet aerosol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