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062A -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062A
KR20230153062A KR1020220052797A KR20220052797A KR20230153062A KR 20230153062 A KR20230153062 A KR 20230153062A KR 1020220052797 A KR1020220052797 A KR 1020220052797A KR 20220052797 A KR20220052797 A KR 20220052797A KR 20230153062 A KR20230153062 A KR 20230153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male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식
유병안
유병규
Original Assignee
유정식
유병안
유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식, 유병안, 유병규 filed Critical 유정식
Priority to KR102022005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062A/ko
Publication of KR2023015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16L55/1152Caps fixed by screwing or by means of a screw-threaded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일부 국부적인 개소에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설치하고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전체를 개폐하지 않아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omitted}
본 발명은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일부 국부적인 개소에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설치하고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전체를 개폐하지 않아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상수도용이나 산업용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관의 경우 소화전 지주관이나 수직구 맨홀 내에 개폐 커버가 다수 존재하며,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를 위하여 개폐커버를 열고 닫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개폐 커버의 경우 개폐 커버의 가장자리로부터 다소 내측의 원주상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암수고정나사를 사용하여 소화전 지주관이나 관로의 플랜지에 고정시키게 되고, 관로의 관경이 클수록 개폐 커버의 직경도 비례하여 크게 되므로 암수고정나사도 이에 비례하여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개폐커버를 열고 닫을 경우 다수의 체결된 암수고정나사를 해체하고 고정시키는 작업에는 많은 인건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소화전 지주관이나 관로의 직경이 100mm 내지 1,000mm 정도로 클 경우에도 내부 조사용 카메라나 세척장치용 노즐의 직경은 20mm 내지 30mm 정도로 아주 작으므로 내부 조사용 카메라나 세척장치용 노즐의 투입 및 철수를 위해서 수 개 내지 수 십 개의 암·수 고정나사를 갖는 상대적으로 큰 개폐 커버를 열고 닫는 것은 인건비 측면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내부 조사용 카메라나 세척장치용 노즐의 직경을 다소 초과하는 정도의 직경을 갖는 개폐구와 이를 열고 닫기 편하며 밀폐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개폐 커버 내의 또 다른 작은 개폐구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일부 국부적인 개소에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설치하고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전체를 개폐하지 않아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 대상 구간을 기준으로 시점부와 종점부간의 수두차(h)로 인해서 수위가 낮은 시점부나 종점부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 상의 상기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부착용 암나사 내에 수두차 대응 장치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관로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물돌리기를 생략함으로써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관로 조사나 세척 대상 구간의 시점부와 종점부 간의 수두차(h)로 인해 물이 넘쳐 새지 않도록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별도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물돌리기나 양수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상기 수두차 대응 장치의 상부를 통해 관로 내에 관로 조사장치나 세척장치를 투입하도록 구성하여 물돌리기나 양수 작업 시간과 비용을 생략하거나 절감하여 결과적으로는 관로 조사나 세척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제작 방법을 간략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제작 상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폐 커버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형관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끝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과; 상기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는 원형 밀폐판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면적 정도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와; 상기 부착용 암나사의 내경에 맞게 설치되는 숫나사와; 로 구성되어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는 원형 천공부, 부착용 암나사 및 숫나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형관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끝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과; 상기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는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면적 정도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와; 를 원형 평판 형태의 플랜지 커버와; 상기 플랜지 커버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설치되는 패킹과; 상기 플랜지 커버의 외면으로부터 다소 내측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와; 로 치환하여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로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숫나사를 수두차 대응 장치로 치환하여 관로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물돌리기를 생략함으로써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로 구성하였다.
또한,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 후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의 원형 밀폐판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 후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의 내경을 갖는 부착용 암나사를 부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부착용 암나사를 부착시키는 공정 후 부착용 암나사의 내부에 숫나사를 체결시키는 공정과; 로 구성되어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을 간략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제작 상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 후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의 원형 밀폐판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를 플랜지 커버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플랜지 커버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 후 상기 원형 천공부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패킹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원형 천공부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패킹을 설치하는 공정 후 플랜지 커버의 가장자리로부터 다소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를 관통하여 고정나사를 끼워 설치하는 공정과; 로 치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용 암나사의 내부에 숫나사를 체결시키는 공정을 부착용 암나사의 내부에 수두차 대응 장치를 돌려 끼워서 설치하는 공정으로 치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일부 국부적인 개소에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설치하고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를 이용함으로써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전체를 개폐하지 않아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 대상 구간을 기준으로 시점부와 종점부간의 수두차로 인해서 수위가 낮은 시점부나 종점부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 상의 상기 캡형 커버나 플랜지 커버의 부착용 암나사 내에 수두차 대응 장치를 더 포함하여 설치하고 이를 이용함으로써 관로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물돌리기를 생략함으로써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관로 조사나 세척 대상 구간의 시점부와 종점부 간의 수두차로 인해 물이 넘쳐 새지 않도록 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별도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물돌리기나 양수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상기 수두차 대응 장치의 상부를 통해 관로 내에 관로 조사장치나 세척장치를 투입하도록 구성하여 물돌리기나 양수 작업 시간과 비용을 생략하거나 절감하여 결과적으로는 관로 조사나 세척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제작 방법을 간략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제작 상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한가지 실시예의 구성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또 다른 한가지 실시예의 구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부착용 암나사에 체결될 수두차 대응 장치의 구성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의 공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 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한가지 실시예의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또 다른 한가지 실시예의 구성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의 부착용 암나사에 체결될 수두차 대응 장치의 구성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소화전 지주관(1)의 측면부에 돌출되어 외면에 설치된 돌출부 내설 숫나사선(3)에 물리도록 돌리면서 개폐시키도록 구성된 개폐 커버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상적인 관 형태의 통형관(8)과; 상기 통형관(8)의 한쪽 끝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통상적인 나사선 형태의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7)과; 상기 통형관(8)의 다른 한쪽 끝단부는 통형관(8)의 직경과 동일한 규격인 원형 밀폐판(6)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와; 상기 원형 천공부(9, 9')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9, 9')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면적 정도의 내경을 갖으면서 통상적인 용접부(13, 13')를 포함한 방법으로 부착시켜 설치되는 통상적인 암나사인 부착용 암나사(11, 11', 11")와; 상기 부착용 암나사(11, 11', 11")의 내경에 맞게 설치되는 통상적인 숫나사(15, 15', 15")와; 로 구성되어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17)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5)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10)는 원형 천공부(9, 9'), 부착용 암나사(11, 11', 11") 및 숫나사(15, 15', 15")를 포함하도록 구성하였고, 부착용 암나사(11, 11', 11"), 숫나사(15, 15', 15")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동, 신주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형관(8)과; 상기 통형관(8)의 한쪽 끝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7)과; 상기 통형관(8)의 다른 한쪽 끝단부는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와; 상기 원형 천공부(9, 9')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9, 9')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면적 정도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11, 11', 11")와; 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7)의 외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관통되어 밀폐된 상태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돌출관(19, 19')의 끝단부로부터 외측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플랜지(27) 상의 가장자리로부터 다소 내측에 원형 원주 상에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에 천공되어 통상적인 고정나사(23)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원형 평판 형태의 통상적인 플랜지 커버(27)와; 상기 플랜지 커버(27)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원형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와; 상기 원형 천공부(9, 9')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9, 9')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설치되는 통상적인 고무 재질을 포함하는 방수용 패킹(22)과; 상기 플랜지 커버(27)의 가장자리로부터 다소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통상적인 고정나사(23)와; 상기 원형 천공부(9, 9')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9, 9')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의 내경을 갖으면서 용접부(13, 13')를 포함하여 부착시켜 설치되는 통상적인 암나사 형태의 부착용 암나사(11, 11', 11")와; 로 치환하여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17)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5')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부착용 암나사(11, 11', 11")는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 동, 신주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숫나사(15, 15', 15")를 수두차 대응 장치(37)로 치환하여 관로(17)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물돌리기를 생략함으로써 관로(17)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5, 5')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수두차 대응 장치(37)는 관로(17)의 시점부와 종점부 간의 수두차(h)보다 다소 큰 수두 높이 정도로 통상적인 관 형태의 입상관(39, 39')을 길이방향으로 1개 이상 연결시켜 구성하며, 상기 입상관(39, 39')의 양쪽 끝단부 외면에는 소정 길이의 통상적인 나사선인 연결부 나사선(41, 41')을 형성시키고, 상기 입상관(39, 39')을 연결시켜 사용할 경우에는 양쪽 연결부위의 연결부 나사선(41, 41')의 외면에 통상적인 커플링(43)을 돌리면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관(8)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7)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관(8)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7)을 형성시키는 공정 후 통형관(8)의 다른 한쪽 끝단부의 원형 밀폐판(6)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원형 천공부(9, 9')를 형성시키는 공정 후 원형 천공부(9, 9')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9, 9')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의 내경을 갖는 부착용 암나사(11, 11', 11")를 부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부착용 암나사(11, 11', 11")를 부착시키는 공정 후 부착용 암나사(11, 11', 11")의 내부에 숫나사(15, 15', 15")를 체결시키는 공정과; 로 구성되어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을 간략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제작 상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상기 통형관(8)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7)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관(8)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7)을 형성시키는 공정 후 통형관(8)의 다른 한쪽 끝단부의 원형 밀폐판(6)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를 플랜지 커버(27)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플랜지 커버(27)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9, 9')를 형성시키는 공정 후 상기 원형 천공부(9, 9')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9, 9')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패킹(22)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원형 천공부(9, 9')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빈공간(9, 9')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패킹(22)을 설치하는 공정 후 플랜지 커버(27)의 가장자리로부터 다소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를 관통하여 고정나사(23)를 끼워 설치하는 공정과; 로 치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부착용 암나사(11, 11', 11")의 내부에 숫나사(15, 15', 15")를 체결시키는 공정을 부착용 암나사(11, 11', 11")의 내부에 수두차 대응 장치(37)를 돌려 끼워서 설치하는 공정으로 치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두차 대응 장치(37)의 길이는 관로(17)의 시점부와 종점부 간의 물(52)의 상부 수면의 수위 차이인 수두차(h)보다 다소 큰 수두 높이 정도로 통상적인 관 형태의 입상관(39, 39')을 길이방향으로 1개 이상 연결시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소화전 지주관 3 : 돌출부 내설 숫나사
5, 5' :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커버
6 : 원형 밀폐판 7 : 캡형 커버 내설 나사
8 : 통형관 9, 9' : 원형 천공부
10 :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 11, 11', 11" : 부착용 암나사
13, 13' : 용접부 15, 15", 15"' : 숫나사
17 : 관로 19, 19' : 돌출관
21 : 플랜지 22 : 패킹
23 : 고정나사 27 : 플랜지 커버
37 : 수두차 대응 장치 39, 39' : 입상관
41, 41' : 연결부 나사선 43 : 커플링
52 : 물

Claims (6)

  1. 개폐 커버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형관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끝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과;
    상기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는 원형 밀폐판의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면적 정도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와;
    상기 부착용 암나사의 내경에 맞게 설치되는 숫나사와;
    로 구성되어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통형관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끝단부 내면에 형성되는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과;
    상기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는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빈 면적과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면적 정도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와; 를
    원형 평판 형태의 플랜지 커버와;
    상기 플랜지 커버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설치되는 패킹과;
    상기 플랜지 커버의 외면으로부터 다소 내측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의 내경을 갖으면서 부착시켜 설치되는 부착용 암나사와;
    로 치환하여 개폐가 용이하면서도 개폐시간을 감소시켜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숫나사를 수두차 대응 장치로 치환하여 관로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거나 물돌리기를 생략함으로써 관로의 내부 조사나 세척을 포함한 유지관리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4.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 후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의 원형 밀폐판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 후 원형 천공부의 외면이나 내면이나 내·외면 중의 어느 하나에 원형 천공부와 동일하거나 다소 작은 직경의 내경을 갖는 부착용 암나사를 부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부착용 암나사를 부착시키는 공정 후 부착용 암나사의 내부에 숫나사를 체결시키는 공정과;
    로 구성되어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을 간략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제작 상의 시공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통형관의 한쪽 내면에 캡형 커버 내설 암나사선을 형성시키는 공정 후 통형관의 다른 한쪽 끝단부의 원형 밀폐판 일부에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를
    플랜지 커버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과;
    상기 플랜지 커버 상에 일부 국부적으로 뚫린 원형 천공부를 형성시키는 공정 후 상기 원형 천공부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패킹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원형 천공부의 한쪽면 하부에 원형 천공부보다 다소 큰 원형으로 패킹을 설치하는 공정 후 플랜지 커버의 가장자리로부터 다소 내측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의 개소를 관통하여 고정나사를 끼워 설치하는 공정과;
    로 치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암나사의 내부에 숫나사를 체결시키는 공정을
    부착용 암나사의 내부에 수두차 대응 장치를 돌려 끼워서 설치하는 공정
    으로 치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제품의 보수 및 신규 제품의 제작을 포함한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의 제작 방법.
KR1020220052797A 2022-04-28 2022-04-28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30153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97A KR20230153062A (ko) 2022-04-28 2022-04-28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797A KR20230153062A (ko) 2022-04-28 2022-04-28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062A true KR20230153062A (ko) 2023-11-06

Family

ID=8874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797A KR20230153062A (ko) 2022-04-28 2022-04-28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0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01923Y (zh) 混凝土预埋防渗漏专用套管
CN101539216A (zh) 隐蔽式分体龙头及其安装方法
KR20230153062A (ko) 암수나사형 국부 개폐구를 갖는 개폐 커버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0634781B1 (ko) 지중 구조물용 조립식 관로구
CN203891185U (zh) 一种防渗接水地漏
KR100899598B1 (ko) 플랜지 소켓 일체형 맨홀 관접속장치
CN106437841B (zh) 一种可防渗漏的铁路隧道排水盲管及其施工方法
KR102257516B1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보강용 콘크리트 블록 연결구조체
KR100765851B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용 연결장치
KR200407976Y1 (ko) 배수관 연결구
KR200273548Y1 (ko) 수도꼭지 소켓이음의 커버
KR20030060561A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US2024579A (en) Joint for standpipes and the like
CN205826167U (zh) 一种在线检测硫酸铜电解液温度的温度检测装置
KR20210029133A (ko) 에어컨 매립배관의 윤활제 주입방법
KR100779987B1 (ko) 본관과 지관의 연결을 위한 관 연결구
KR200164510Y1 (ko) 관로의 구조물벽체 접속부 수밀장치(joint area sealing device)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CN114909524B (zh) 一种螺纹式管道穿板组件及施工方法
CN110594495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埋管件
KR200266748Y1 (ko) 건물용 물탱크의 파이프 연결구조
KR20110020371A (ko) 밸브실의 관로 교체용 치구
CN217206408U (zh) 大通径可钻封隔器同心双管分注工具
JP5485339B2 (ja) ハンドホールのケーブル支持管接続工法及びケーブル支持管接続構造
CN213508948U (zh) 一种建筑墙体用悬挑预埋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