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2408A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 Google Patents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2408A
KR20230152408A KR1020220052134A KR20220052134A KR20230152408A KR 20230152408 A KR20230152408 A KR 20230152408A KR 1020220052134 A KR1020220052134 A KR 1020220052134A KR 20220052134 A KR20220052134 A KR 20220052134A KR 20230152408 A KR20230152408 A KR 202301524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terminal
coordinates
information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1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환
송종근
윤재박
송도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형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형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형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22005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2408A/en
Publication of KR20230152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4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0Position of receiver fixed by co-ordinating a plurality of position lines defined by path-difference measurements, e.g. omega or decca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은,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의 우선순위로 선정된 위치 정보를 각각 제1 좌표, 제2 좌표, 제3 좌표로 추출하고, 상기 각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의 영역이 모두 교차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좌표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 판단한다.
따라서,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주변 상점에 대한 추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hat can track the location of a terminal even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in priority of the Wi-Fi terminal location,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into first, second, and third coordinates, respectively. Extracted, and when all three areas of th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each coordinate intersect,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coordinates are extracted and determined to b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rack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the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and based on this, recommended information for nearby store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본 발명은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GPS 수신이 불가능한 때에도 현재 위치 추적이 가능하며, 이를 기반으로 주변 상점에 대한 추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In detail, the current location can be tracked even when GPS recep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possible, and based on this, a location tracking-based system for providing recommendation information for nearby stores is provided. It is about a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이동 단말의 기술 발전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상점에 대한 정보제공 서비스도 다양화되고 있다. As mobile terminal technology develops, information services about stores provided to users are also diversifying.

최근에는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주변 상점을 애플리케이션에 실행되는 지도 상에 표시함으로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내용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478011(위치기반 가맹점 추천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335287(위치기반의 정보제공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Recently, it is common to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from personal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provide information by displaying nearby stores on a map running in an application. This informa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78011 (Location-based affiliate store recommendation system and method) and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2335287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상술한 위치기반 정보제공 방법에서는 개인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GPS를 이용한 위치 추적은 장소에 따라서 신호가 차단되어 위치 추적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uses GPS location information of a personal terminal. However, in location tracking using GPS, there are cases where the signal is blocked depending on the location, making location tracking impossible.

이에 단말기에서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위치 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때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GPS 수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Accordingly, if the terminal is unable to receive GP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ecessary location-based information cannot be provided to the user. Therefore, users had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able to use the necessary information in a timely manner or having to move to an area where GPS reception was possible.

KRKR 10-1478011 10-1478011 BB KRKR 10-2335287 10-2335287 BB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GPS 위치 정보 외에 수집 가능한 단말기 주변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cked even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by using the location of the Wi-Fi terminal around the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that can be collect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hat ca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은,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서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의 우선 순위로 선정된 3개의 위치 정보를 각각 제1 좌표, 제2 좌표, 제3 좌표로 추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의 각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의 영역이 모두 교차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좌표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erminal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f GPS reception of the terminal is not possible, the server sends thre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in order of priority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Wi-Fi terminal location,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respectively, as the first Coordinates, second coordinates, and third coordinates are extracted, and when all three areas of th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coordinates intersect, a triangl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coordinates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center coordinates and determining them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좌표, 제2 좌표 및 제3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 중 2개가 교차하는 경우, 상기 교차하는 2개의 기준 원의 교차점 2개를 각각 제4 좌표 및 제5 좌표로 추출하고, 상기 제4 좌표 및 제5 좌표 중 어느 한 좌표와 가장 근접한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또는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를 제6 좌표로 추출한 다음, 상기 제4 내지 제6 좌표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when two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ordinates intersect, the server selects two intersection points of the two intersecting reference circles, respectively. The 4th coordinate and the 5th coordinate are extracted, and the Wi-Fi terminal location,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or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closest to any one of the 4th and 5th coordinates is extracted as the 6th coordinate, and then It is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fourth to sixth coordinates and determining them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그리고, 상기 서버는 제1 좌표, 제2 좌표 및 제3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의 영역이 전혀 교차하지 않는 경우, 2개의 기준 원이 교차할 때까지 상기 제1 반경을 일정 반경씩 추가하여 단계적으로 확장한 후 상기 제4 좌표 및 제5 좌표의 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areas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the first coordinate, the second coordinate, and the third coordinate do not intersect at all, the server adjusts the first radius until the two reference circles intersect. After expanding step by step by adding a certain radius, the fourth and fifth coordinates are extracted.

이러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 맵 데이터가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부;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정보, 판매자정보, 상품판매정보 및 판매상품 카테고리정보가 저장된 상점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위치추적부의 단말기 위치 추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맵 상에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마커와 상기 단말기 현재 위치의 주변 상점의 판매자정보 및 상품판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점 마커를 생성하는 맵 마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rver includes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 map database unit where map data is stored; A store database unit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seller information,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sales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Based on the terminal location tracking result of the location tracking unit, a current location marker of the terminal on the map provided through the map database unit and a plurality of store markers for providing seller information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of stores arou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re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p marker generator that generates a map marker.

여기서, 상기 맵 마커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 상품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을 상기 상점 마커와 구분되는 다른 색채, 형상 또는 크기로 표현되는 강조 마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when the terminal user's interest product information is input, the map marker generator generates a highlight marker that represents a store selling the input product of interest in a different color, shape, or size to distinguish it from the store marker. do.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는 GPS 위치 정보 외에 수집 가능한 단말기 주변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한다. 상세하게는 GPS 수신이 불가능한 위치에 들어가기 직전에 수집된 GPS 위치, 주변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를 취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GPS location informati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tracked using the collectible locations of Wi-Fi terminals around the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s. In detail,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tracked by collecting the GPS location, nearby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just before entering a location where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따라서,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에게 필요한 위치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cked and necessary location-bas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terminal user.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수집된 최근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가 일정 반경 내에 있는 경우에 한해 단말기의 위치 추적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중 어느 하나가 일정 반경을 벗어난 경우에는 나머지 두 개의 위치 정보를 이용해 가장 근접한 추가 Wi-Fi 단말기 위치 또는 통신사 중계기 위치를 취합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is tracked only when the collected latest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re within a certain radius. If any one of the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s outside a certain radius, the remaining two location information are used to collect the nearest additional Wi-Fi terminal location or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rack.

따라서, GPS 수신이 불가능하면서 위치 태그와 같이 위치 추적을 위한 별도의 추가 장치가 없는 경우에도,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으며 실제 위치와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even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and there is no additional device for location tracking, such as a location ta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cked and the error with the actual location can be minimized.

그리고, 단말기에서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필요한 위치 기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제 때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GPS 수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을 해야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in the terminal, necessary location-base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the user, solv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not being able to use the necessary information at the right time or having to move to an area where GPS reception is possible.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위치 추적을 이용해서, 통신 신호의 세기 측정을 통한 추정 거리를 대신해 일정한 반경을 거리로 적용한다. 따라서,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와 같이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의 고정 지표를 사용하면서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location tracking using triangulation is used to apply a constant radius as the distance instead of the estimated distance through measuring the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signal. Therefore, the location can be tracked while using fixed indicators of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Wi-Fi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위치추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정보제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location tracking process of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terminal current location track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procedure of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cation-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는 단말기(100)와,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해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0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and a terminal (100)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It may include a server 200 that tracks the location of 100).

단말기(100)는 일반적으로 개인이 휴대하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지칭하는 것이며, 스마트폰 외에 태블릿 PC,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generally refer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rried by an individual, and may be a tablet PC, laptop, etc. in addition to a smartphone.

상기 단말기(100)는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200)로 전송한다. The terminal 10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200.

여기서 상기 GPS 위치는 GPS 수신기를 통해 수집되는 실시간 또는 가장 최근의 GPS 위치 정보이며, Wi-Fi 단말기 위치는 상기 단말기(100)가 현재 통신 연결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이다. Here, the GPS location is real-time or most recent GPS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GPS receiver, and the Wi-Fi terminal location is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to which the terminal 100 is currently connected.

그리고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는 상기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 데이터를 전송받기 위해 접속된 통신사 중계기의 위치 정보이다. 이러한 중계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And the loc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i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to which th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receive wireless communication data. This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may use information collected by a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100.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의 데이터 저장 공간에 저장되었다가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 추적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의 정보제공을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또는 상기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위치 추적의 요청이나 정보 제공의 요청이 입력되었을 시에 전송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data storage space of the terminal 10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when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required. For example, transmitted when a dedicated application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or when a request for location tracking or information provision is input through the terminal 100 after executio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It can be.

그리고,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200)는 추적한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반으로하여 주변의 상점 정보를 상기 단말기(100)에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server 20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nd track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provides information on nearby stores to the terminal 100 based on the tracked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210), 맵 데이터가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부(220), 오프라인 상점 정보가 저장된 상점 데이터베이스부(230),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 추적 결과를 기반으로 주변 상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마커들을 생성하는 맵 마커 생성부(240) 및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마커에 해당하는 정보를 맵 상에서 팝업창을 통해 제공하는 세부정보 제공부(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server 200 includes a location tracking unit 210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 map database unit 220 that stores map data, a store database unit 230 that stores offline store information, and the A map marker generator 240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markers to provide information on nearby stores based on the location tracking results of the terminal 100, and a pop-up window on the map display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selected through the terminal 100. It includes a detailed information provision unit 250 provided through .

상기 위치추적부(21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추적한다.The location tracking unit 210 tra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us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그리고, 상기 상점 데이터베이스부(230)에는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정보, 판매자정보, 상품판매정보 및 판매상품 카테고리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상점 데이터베이스부(230)는 별도의 정보등록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를 각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e database unit 23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seller information,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sales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The store database unit 230 classifies and store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separate information registration terminal 300 into each category.

다음, 상기 맵 마커 생성부(240)는 상기 위치추적부(210)의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맵 상에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마커와 상기 단말기 현재 위치의 주변 상점의 판매자정보 및 상품판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점 마커를 생성한다. Next, the map marker generator 240 creates the current location marker of the terminal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n the map provided through the map database unit 220 based on the terminal current location tracking result of the location tracking unit 210. Create multiple store markers to provide seller information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of stores around the location.

상기 위치 마커 및 상점 마커는 상기 맵 상에서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며, 특히 상기 상점 마커는 해당 상점의 위치정보, 판매자정보, 상품판매정보 및 판매상품 카테고리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보여주기위한 하이퍼링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location marker and the store marker are identifiers that indicate the location on the map. In particular, the store marker has a hyperlink function to show various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seller information,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sales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of the store. It can be done.

또한, 상기 맵 마커 생성부(240)는 상기 단말기(100) 사용자의 관심 상품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을 분류하여 상기 상점 마커와 구분되는 다른 색채, 형상, 크기 또는 해상도로 표현되는 강조 마커를 생성한다.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100 user's product information of interest is input, the map marker generator 240 classifies stores selling the input product of interest and displays a different color, shape, size or resolution distinguishable from the store marker. Creates an emphasis marker expressed as .

여기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맵 및 상기 마커들은 상기 단말기(10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상에 제공된다. Here, the map and the markers provided through the map database unit 220 are provided on the execution screen of the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terminal 100.

다음, 상기 세부정보 제공부(250)는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마커에 해당하는 정보를 상기 맵 상에서 팝업창을 통해 제공한다. Next, the detailed information provider 250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arker selected through the terminal 100 through a pop-up window on the map.

즉, 상기 단말기(100)를 통해 특정 상점 마커나 강조 마커가 선택되면, 상기 단말기(100)의 전용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맵 상에서 팝업창을 통해 상기 선택 마커에 해당되는 상점의 위치정보, 판매자정보, 상품판매정보 및 판매상품 카테고리정보를 포함한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 That is, when a specific store marker or highlight marker is selected through the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and seller information of the store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marker are displayed through a pop-up window on the map displayed on the dedicated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of the terminal 100. ,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sales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is display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위치추적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ure 2 is a flowchart showing the location tracking process of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3 to 6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current location tracking process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

이하에서는 상기 서버(200)의 위치추적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location tracking process of the serv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먼저, 상기 단말기(100)에서 GPS 수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에서 전송되는 현재 GPS 위치 정보를 단말기 현재 위치로 판단하여 주변 상점의 정보를 제공한다. First, if GPS reception is possible in the terminal 100, the server 200 determines the current GPS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nd provides information on nearby stores.

반면, 상기 단말기(100)에서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통해 단말기 현재 위치를 추적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in the terminal 100, the server 200 tra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through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상기 서버(200)의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은 상기 위치추적부(210)에서 수행된다. Tra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of the server 200 is performed by the location tracking unit 210.

도 2를 참고하면,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 과정에서는 먼저, 상기 단말기(100)의 위치 추적 요청과 함께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가 입력(S110)된다.Referring to FIG. 2, in the process of tra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first,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along with a request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is input (S110).

다음으로, 상기 위치추적부(21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서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의 우선순위로 선정된 3개의 위치 정보를 각각 제1 좌표(P1), 제2 좌표(P2), 제3 좌표(P3)로 추출함으로써 1차 기준 좌표를 추출(S120)한다. Next, the location tracking unit 210 selects three types of location information in order of priority: the Wi-Fi terminal location,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is extracted by extracting the first coordinate (P1), the second coordinate (P2), and the third coordinate (P3) (S120).

여기서, 제1 좌표(P1), 제2 좌표(P2), 제3 좌표(P3)는 단말기의 현재 위치 추적을 위한 기준 좌표로써 사용되는 것이다. Here, the first coordinate (P1), the second coordinate (P2), and the third coordinate (P3) are used as reference coordinates for tra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상기 1차 기준 좌표 3개를 추출(S120)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Wi-Fi 단말기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In order to extract the three first reference coordinates (S120), the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first checked.

상기 Wi-Fi 단말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가 현재 Wi-Fi 단말기와 통신 연결된 상태인 경우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Wi-Fi 단말기 위치 정보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Wi-Fi 단말기 위치 정보를 제1 순위로 선택한다. The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exists when the terminal 100 is currently connected to a Wi-Fi terminal. Therefore, if the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as the first priority.

그 다음,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를 확인 한다. Next,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타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수에 따라 수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된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이 3개라면, 3개의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가 입력되었다면,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를 제2 순위로 선택한다.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other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terminal 100. For example, if there are three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terminal 100, location information of three telecommunication carrier repeaters may be collected. Therefore, i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as the second priority.

그 다음,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Next, check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information.

상기 Wi-Fi 단말기 위치 정보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1차 기준 좌표로 사용할 좌표 3개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 정보를 제3 순위로 선택한다. If three coordinates to be used as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s are not extracted from the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as the third priority.

즉,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가 각 하나씩 존재한다면, 각 위치 정보를 제1 좌표(P1), 제2 좌표(P2) 및 제3 좌표(P3)로 추출할 수 있다. That is, if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includes one Wi-Fi terminal location, one 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on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each location information is divided into first coordinates (P1) and second coordinates ( P2) and third coordinates (P3) can be extracted.

그런데 만약, 상기 단말기(100)가 현재 Wi-Fi 단말기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상기 Wi-Fi 단말기 위치 정보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때에는 다음 우선순위인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 1 내지 2개 및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를 나머지로 각 제1 좌표(P1), 제2 좌표(P2) 및 제3 좌표(P3)로 추출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terminal 100 is not currently connected to the Wi-Fi terminal, the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is not confirmed. At this time, the next priority one or two locations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and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can be extracted as the first coordinates (P1), second coordinates (P2), and third coordinates (P3). .

한편,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도 우선순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는 상기 위치추적부(210)에 사전 설정해두는 것에 따라서, 타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에 따라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단말기(100)에 설치될 수 있는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다수 중 어느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우선으로 선택할지의 선택 순서를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이다. Meanwhile,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selected according to priority. Specifically, as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nformation is preset in the location tracking unit 210, the informat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other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s.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rder of which application's information is to be selected first among the many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s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terminal 100 is set in advance.

이렇게 상기 1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20)에서 좌표 3개가 모두 추출된다면, 상기 제1 좌표(P1), 제2 좌표(P2) 및 제3 좌표(P3) 각각을 중심으로한 제1 반경(r)의 기준 원 3개(C1,C2,C3)를 생성(S130)한다. 이때, 상기 기준 원들(C1,C2,C3)은 동일한 제1 반경(r)으로 생성되며, 그 반경은 1~2km의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f all three coordinates are extracted in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S120), the first radius (r) centered on each of the first coordinate (P1), second coordinate (P2), and third coordinate (P3) ) Create (S130) three reference circles (C1, C2, C3). At this time, the reference circles (C1, C2, C3) are created with the same first radius (r), and the radius is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 km.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원 생성 과정(S130)에서 생성된 기준 원 3개(C1,C2,C3)의 영역이 모두 교차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좌표(P1), 제2 좌표(P2) 및 제3 좌표(P3)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CP)를 추출(S140)하여 단말기 현재 위치로 판단(S150)한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areas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C1, C2, C3) generated in the reference circle creation process (S130) all intersect, the first coordinate (P1) and the second coordinate ( The center coordinate (CP) of the triangle formed by P2) and the third coordinate (P3) is extracted (S140) and determined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S150).

여기서, 상기 중심 좌표(CP)의 추출은 삼각측량법(Triangulation)을 이용한다. 이때, 삼각측량의 고정 지표인 삼각점에는 상기 기준 좌표가 대입되며, 추적할 중심 좌표와 각 삼각점 간의 거리는 동일한 거리인 제1 반경을 대입함으로써 구해진다. Here, the extraction of the center coordinates (CP) uses triangulation. At this time, the reference coordinates are substituted into the triangular points, which are fixed indicators of triangula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coordinates to be tracked and each triangular point is obtained by substituting the first radius, which is the same distance.

즉, 통신 신호의 수신 강도를 통해 추정한 거리 대신에 제1 반경을 거리에 대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와 같이 서로 다른 고정 지표를 사용하더라도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radius is substituted for the distance instead of the distance estimated through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communication signal.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can be tracked even if different fixed indicators are used, such as the location of the Wi-Fi terminal and the loc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그런데, 상기 단말기(100)가 현재 Wi-Fi 단말기에 연결되지 않아서 Wi-Fi 단말기 위치 정보가 없고, 타 위치기반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수가 부족하거나 접속이 불안정하여 통신사 중계기 위치 정보의 수집 개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1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20)에서 기준 좌표 3개의 추출이 불가능해 진다. However, since the terminal 100 is not currently connected to a Wi-Fi terminal, there is no Wi-Fi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other location-based service providing applications is insufficient or the connection is unstable, so the number of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is insufficient. In this case, it becomes impossible to extract three reference coordinates in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S120).

이러한 경우, 상기 1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20)에서 2개의 기준 좌표가 추출 되었다면, 추출된 2개의 기준 좌표를 이용해 단말기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In this case, if two reference coordinates are extracted in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S120),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cked using the two extracted reference coordinates.

먼저, 상기 1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20)에서 추출된 2개의 좌표 각각을 중심으로한 제1 반경(r)의 기준 원 2개를 생성(S131)한다. 이때, 역시 상기 기준 원들은 동일한 제1 반경(r)으로 생성된다. First, two reference circles of a first radius r centered on each of the two coordinates extracted in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S120) are created (S131). At this time, the reference circles are also created with the same first radius (r).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원 생성 과정(S131)에서 생성된 기준 원 2개(C2,C3)의 영역이 서로 교차하면, 상기 기준 원 2개(C2,C3)의 교차점 2개를 각각 제4 좌표(P4) 및 제5 좌표(P5)로 추출함으로써 2차 기준 좌표를 추출(S133)한다. As shown in (a) of FIG. 4, when the areas of the two reference circles (C2, C3) generated in the reference circle creation process (S131) intersect each other, the areas of the two reference circles (C2, C3) Secondary reference coordinates are extracted by extracting the two intersection points as fourth coordinates (P4) and fifth coordinates (P5), respectively (S133).

다음으로, 상기 제4 좌표(P4) 및 제5 좌표(P5) 중 어느 한 좌표와 가장 근접한 Wi-Fi 단말기 위치 또는 통신사 중계기 위치를 탐색하여 제6 좌표(P6)로 추출(S134)한다.Next, the location of the Wi-Fi terminal or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closest to one of the fourth coordinates (P4) and the fifth coordinates (P5) is searched and extracted as the sixth coordinate (P6) (S134).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좌표(P4), 제5 좌표(P5) 및 제6 좌표(P6)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CP)를 추출(S135)하여 단말기 현재 위치로 판단(S150)한다. Then, as shown in FIG. 5, the center coordinate (CP)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fourth coordinate (P4), the fifth coordinate (P5), and the sixth coordinate (P6) is extracted (S135)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t is judged (S150).

그러나, 상기 1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20)에서 1개 이하의 좌표가 추출 되었다면, 위치 추적 실패로 판단(S160)하고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을 종료한다. However, if less than one coordinate is extracted in the first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S120), location tracking is determined to have failed (S160) and tracking of the terminal's current location is terminated.

한편, 상기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가 나머지 두 위치로부터 멀리 떨어진 경우에는, 상기 기준 원 3개 생성 과정(S130)에서 생성된 3개의 기준 원(C1,C2,C3)의 영역이 모두 교차하지 않게 된다.Meanwhile, if any one of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is far away from the other two locations, the three references generated in the three reference circle creation process (S130) The areas of the circles (C1, C2, C3) do not all intersect.

즉, 상기 제1 좌표(P1), 제2 좌표(P2) 및 제3 좌표(P3)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r)의 기준 원들(C1,C2,C3)의 영역 중 2개의 기준 원이 교차하는 경우와, 상기 기준 원들(C1,C2,C3)의 영역이 전혀 교차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한다. That is, two reference circles among the areas of the reference circles (C1, C2, C3) of the first radius (r) centered on the first coordinate (P1), the second coordinate (P2), and the third coordinate (P3) There are cases where the areas of the reference circles (C1, C2, C3) do not intersect at all.

이러한 경우에도 2개의 기준 좌표 추출을 통해 단말기 현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can be tracked by extracting two reference coordinates.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준 원 3개 생성 과정(S130) 후, 상기 제1 반경(r)으로 생성된 3개의 기준 원(C1,C2,C3)의 영역 중 2개의 기준 원(C2,C3)만이 교차하는 경우에는 상기 2개의 기준 원(C2,C3)의 교차점 2개를 각각 제4 좌표(P4) 및 제5 좌표(P5)로 추출 하는 2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33)이 수행되고, 이어서 제6 좌표(P6)를 추출(S134)하고, 상기 제4 좌표(P4), 제5 좌표(P5) 및 제6 좌표(P6)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CP)를 추출(S135)하여 단말기 현재 위치로 판단(S150)한다.As shown in (b) of FIG. 4, after the three reference circles creation process (S130), two of the areas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C1, C2, C3) created with the first radius (r) When only the reference circles (C2, C3) intersect, the secondary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extracts the two intersection points of the two reference circles (C2, C3) as the fourth coordinate (P4) and the fifth coordinate (P5), respectively. (S133) is performed, and then the sixth coordinate (P6) is extracted (S134), and the center coordinate (CP)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fourth coordinate (P4), the fifth coordinate (P5), and the sixth coordinate (P6) is performed. ) is extracted (S135) and determined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S150).

그런데, 상기 기준 원 3개 생성 과정(S130)에서 생성된 3개의 기준 원(C1,C2,C3)의 영역이 전혀 교차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the areas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C1, C2, C3) created in the three reference circle creation process (S130) do not intersect at all.

이러한 경우에 상기 위치추적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기준 원(C1,C2,C3) 중 2개의 기준 원이 교차할 때까지 상기 제1 반경(r)으로부터 일정 반경(α)씩 단계적으로 확장하는 과정(S132)을 수행한다. In this case, the position tracking unit 210 moves a certain radius from the first radius r until two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C1, C2, and C3 intersect, as shown in FIG. 6. The expansion process (S132) is performed step by step (α).

여기서, 상기 확장 반경(α)은 50~200m의 범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반경(r)에서 50n~200n 만큼씩 추가된다. (n=반경 확장 횟수)Here, the expansion radius (α) is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50 to 200 m. That is, 50n to 200n are added to the first radius (r). (n=number of radius expansions)

그리고, 확장된 반경의 2개의 기준 원(C2',C3')이 교차하는 때에, 상기 기준 원 2개(C2',C3')의 교차점 2개를 각각 제4 좌표(P4) 및 제5 좌표(P5)로 추출함으로써 2차 기준 좌표 추출 과정(S133)이 수행되고, 이어서 제 6좌표를 추출(S134)하고, 상기 제4 좌표(P4), 제5 좌표(P5) 및 제6 좌표(P6)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CP)를 추출(S135)하여 단말기 현재 위치로 판단(S150)한다.And, when two reference circles (C2', C3') of extended radii intersect, the two intersection points of the two reference circles (C2', C3') are assigned to the fourth coordinate (P4) and the fifth coordinate, respectively. A secondary reference coordinate extraction process (S133) is performed by extracting (P5), and then the sixth coordinate is extracted (S134), and the fourth coordinate (P4), the fifth coordinate (P5), and the sixth coordinate (P6) are performed. ) is extracted (S135) and determined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S15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정보제공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Figure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information provision procedure of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의 정보제공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S210)으로 시작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by the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egins with execution (S210) of the application for providing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단말기(100)가 주변 상점 정보 제공을 서버(200)에 요청(S220)한다. First, the terminal 100 requests the server 200 to provide information on nearby stores (S220).

상기 단말기(100)에서 GPS 수신이 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200)는 맵 데이터베이스부(220)를 통해 제공되는 맵 상에 상기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마커와 함께 상기 단말기 현재 위치의 주변 상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점 마커를 생성(S310)한 후, 상기 단말기(100)로 맵을 전송(S320)한다. If GPS reception is possible in the terminal 100, the server 200 displays the current location marker of the terminal 100 on the map provided through the map database unit 220, as well as stores near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fter creating a plurality of store markers to provide information (S310), the map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S320).

이때, 상기 단말기 현재 위치는 상기 단말기(100)의 GPS 수신기로 파악한 GPS 좌표이다. At this tim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is the GPS coordinates determined by the GPS receiver of the terminal 100.

그리고 상기 단말기(100)에서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기(100)가 위치 정보를 수집(S230)한 후에 상기 서버(200)로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서 위치 추적을 요청(S240)한다. And when GPS reception is not possible in the terminal 100, the terminal 100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S230) and then transmits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0 and requests location tracking (S240). .

다음, 상기 서버(200)의 위치추적부(210)는 상기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서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를 추출하여 단말기 현재 위치를 추적(S330)한다. 이후, 단말기 현재 위치 마커 및 상점 마커를 생성(S310)한 후, 상기 단말기(100)로 맵을 전송(S320)한다. Next, the location tracking unit 210 of the server 200 extracts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0 and track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S330). Afterwards, a terminal current location marker and a store marker are created (S310), and then the map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0 (S320).

한편, 사용자가 단말기(100)에 관심 상품을 입력하면, 상기 서버(200)의 맵 마커 생성부(240)에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강조 마커를 생성(S311)한다. 이때, 상기 강조 마커는 상기 상점 마커와 구분되는 다른 색채, 형상 또는 크기로 표현된다. Meanwhile, when a user inputs a product of interest into the terminal 100, the map marker generator 240 of the server 200 creates an emphasis marker to provide information on a store selling the product of interest (S311). At this time, the highlight marker is expressed in a different color, shape, or size that is distinct from the store marker.

그리고, 사용자가 단말기(100)에서 맵 상의 특정 상점 마커를 선택하면, 상기 서버(200)의 세부정보 제공부(250)가 해당 상점의 정보를 보여주는 팝업창을 생성하여 맵 상에 표시(S312)하고, 상기 단말기(100)로 맵을 전송(S320)함으로써 정보를 제공한다. The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store marker on the map in the terminal 100, the detailed information provider 250 of the server 200 creates a pop-up window showing information about the store and displays it on the map (S312). , information is provided by transmitting the map to the terminal 100 (S320).

이렇게 상기 서버(200)로부터 단말기(100)로 전송되는 맵에는 다양한 단말기 현재 위치 추적에 기반한 다양한 정보가 생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맵은 상기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에 디스플레이(S250)된다. The map transmitt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terminal 100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based on tracking the current location of various terminals, and this map is displayed on the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of the terminal 100 (S250).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xample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단말기
200 : 서버
210 : 위치추적부
220 : 맵 데이터베이스부
230 : 상점 데이터베이스부
240 : 맵 마커 생성부
250 : 세부정보 제공부
C1,C2,C3,C4,C5 : 기준 원
P1,P2,P3,P4,P5,P6 : 기준 좌표
CP : 중심 좌표
100: terminal
200: server
210: Location tracking unit
220: Map database unit
230: Store database section
240: Map marker creation unit
250: Detailed information provision section
C1,C2,C3,C4,C5: Reference circle
P1,P2,P3,P4,P5,P6: Reference coordinates
CP: Center coordinate

Claims (5)

GPS 위치, Wi-Fi 단말기 위치 및 통신사 중계기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이용해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의 GPS 수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에서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의 우선순위로 선정된 3개의 위치 정보를 각각 제1 좌표, 제2 좌표, 제3 좌표로 추출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의 각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의 영역이 모두 교차하는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좌표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
A terminal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including GPS location, Wi-Fi terminal location, and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and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using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If GPS reception of the terminal is not possible, the server sends three location information selected in priority order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Wi-Fi terminal location,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repeater location, and the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respectively, as the first Coordinates, second coordinates, and third coordinates are extracted, and when all three areas of th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coordinates intersect, a triangle formed by the first to third coordinates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center coordinates of and determ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좌표, 제2 좌표 및 제3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 중 2개가 교차하는 경우, 상기 교차하는 2개의 기준 원의 교차점 2개를 각각 제4 좌표 및 제5 좌표로 추출하고, 상기 제4 좌표 및 제5 좌표 중 어느 한 좌표와 가장 근접한 Wi-Fi 단말기 위치, 통신사 중계기 위치 또는 가장 최근 수집된 GPS 위치를 제6 좌표로 추출한 다음, 상기 제4 내지 제6 좌표가 이루는 삼각형의 중심 좌표를 추출하여 단말기의 현재 위치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rver:
When two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ordinates intersect, two intersection points of the two intersecting reference circles are used as the fourth and fifth coordinates, respectively. Coordinates are extracted, and the Wi-Fi terminal location, carrier repeater location, or most recently collected GPS location closest to any one of the fourth and fifth coordinates is extracted as the sixth coordinate, and then the fourth to sixth coordinates are extracted.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by extracting the coordinates of the center of the triangle formed by the coordinates and determining them a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제1 좌표, 제2 좌표 및 제3 좌표를 중심으로한 제1 반경의 기준 원 3개의 영역이 전혀 교차하지 않는 경우, 2개의 기준 원이 교차할 때까지 상기 제1 반경을 일정 반경씩 추가하여 단계적으로 확장한 후 상기 제4 좌표 및 제5 좌표의 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rver:
If the areas of the three reference circles of the first radius centered o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ordinates do not intersect at all, the first radius is added by a certain radius until the two reference circles intersect.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fourth and fifth coordinates are extracted after step-by-step expansion.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
맵 데이터가 저장된 맵 데이터베이스부;
오프라인 상점의 위치정보, 판매자정보, 상품판매정보 및 판매상품 카테고리정보가 저장된 상점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위치추적부의 단말기 위치 추적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맵 데이터베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맵 상에서 상기 단말기의 현재 위치 마커와 상기 단말기 현재 위치의 주변 상점의 판매자정보 및 상품판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상점 마커를 생성하는 맵 마커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rver is,
a location tracking unit that track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A map database unit where map data is stored;
A store database unit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seller information, product sales information, and sales product category information of offline stores;
Based on the terminal location tracking result of the location tracking unit, a current location marker of the terminal on the map provided through the map database unit and a plurality of store markers for providing seller information and product sales information of stores arou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terminal are used. A location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comprising a map marker generator that generates a map mark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맵 마커 생성부는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관심 상품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관심 상품을 판매하는 상점을 상기 상점 마커와 구분되는 다른 색채, 형상 또는 크기로 표현되는 강조 마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추적 기반의 정보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map marker generator is a loc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information on the product of interest of the terminal user is input, a store selling the input product of interest is expressed in a different color, shape or size to distinguish it from the store marker. Tracking-base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KR1020220052134A 2022-04-27 2022-04-27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KR202301524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34A KR20230152408A (en) 2022-04-27 2022-04-27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134A KR20230152408A (en) 2022-04-27 2022-04-27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408A true KR20230152408A (en) 2023-11-03

Family

ID=8874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134A KR20230152408A (en) 2022-04-27 2022-04-27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2408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11B1 (en) 2010-10-12 2015-01-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hop based on user's location
KR102335287B1 (en) 2015-01-16 2021-12-06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11B1 (en) 2010-10-12 2015-01-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commending shop based on user's location
KR102335287B1 (en) 2015-01-16 2021-12-06 김성일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2016B1 (en) Providing 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for mobile resources using a data-enabled network
CN106455058B (en) A kind of method and device of determining population distribution situation
CN101668335B (en) Method and locating device for locating at least one mobile radio subscriber
CN107179524B (en) Fire fighting equipment positio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05680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mall cell based augmented reality
AU2004301199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inding a mobile radio terminal
CN102083204A (en) Positioning and tracking system method of active nodes in linear environment
KR100726567B1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ocation and geographic information
US105930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 representation of spatial data
CN110996250B (en) Mining personnel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N105451329B (en) A kind of localiza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AU20202036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an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broadcast (ADS-B) signal
CN105444757A (en) Navigation path generation method based on airport indoor environment and user terminal
CN105136137A (en) Indoor navigation method and indoor navigation device
US11722986B2 (en) Positioning system for continuously and accurately updating position value of wireless LAN AP, and method therefor
CN112153568B (en) Wi-Fi identification and bind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based on service scene
KR20230152408A (e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based on location tracking
CN111107487B (en) Position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8199886B (en) Network fault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200349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wing dynamic loca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CN115052339A (en) Wireless positioning method, system,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medium
US99907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nd highlighting elements of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data with respect to one or more variables
CN113490151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positioning park workers
CN207966100U (en) The system of ATM and positioning failure ATM
Kozmin et al. Comparison of spectrum monitoring coverage features of AOA and TDOA geolocation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