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925A -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 Google Patents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925A
KR20230151925A KR1020230053907A KR20230053907A KR20230151925A KR 20230151925 A KR20230151925 A KR 20230151925A KR 1020230053907 A KR1020230053907 A KR 1020230053907A KR 20230053907 A KR20230053907 A KR 20230053907A KR 20230151925 A KR20230151925 A KR 20230151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s
charging stand
lead frame
temperature sensor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팡위에 주 (제이슨)
펑웨이 양 (윌리암)
쿤 장 (써니)
렌이 도우 (로니)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에스아이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51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9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1Charging column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6Special arrangement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object to the 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를 개시한다.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의 리드들(20, 20') 및 복수의 리드들(20, 20')을 고정하기 위한 프레임 본체(10)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10, 20, 20'); 및 복수의 리드들(20, 20') 중 2개의 제1 리드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도록 리드 프레임(10, 20, 20')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3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0)에는 충전 단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스루-홀(101)이 형성되고, 온도 센서(30)는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온도 센서가 리드에 직접 용접되므로, 온도 센서와 연결된 리드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CHARGING STAND LEAD FRAME ASSEMBLY AND CHARGING STAND}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4월 26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CN202220985912.9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출원의 전체 개시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를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충전 스탠드 상의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온도 센서가 충전 스탠드의 리드 프레임 상에 설정될 필요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 온도 센서는 일반적으로, 한 쌍의 핀들을 갖고, 리드 프레임 상의 리드는 온도 센서의 핀을 클램핑하기에 적합한 클램핑 부품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는 복잡한 리드 구조, 어려운 설치 및 높은 리드 프레임 비용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양상을 극복하거나 또는 완화시키도록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의 리드들 및 복수의 리드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및 복수의 리드들 중 2개의 제1 리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도록 리드 프레임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에는 충전 단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스루-홀(terminal through-hole)이 형성되고, 온도 센서는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드는, 프레임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제1 입력 단부; 프레임 본체로부터 노출된 제1 출력 단부; 및 제1 입력 단부와 제1 출력 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프레임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제1 연결 부품을 포함한다. 제1 입력 단부는 평평한 용접 표면을 갖고, 온도 센서의 2개의 전극 단부들은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의 용접 표면들 상에 각각 용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은 단자 스루-홀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온도 센서는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 상에 걸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리드들은 제2 리드를 더 포함하고, 제2 리드는, 프레임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제2 입력 단부; 프레임 본체로부터 노출된 제2 출력 단부; 및 제2 입력 단부와 제2 출력 단부 사이에 연결되고 프레임 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제2 연결 부품을 포함한다. 제2 입력 단부는 충전 스탠드의 신호 단자를 클램핑하여 신호 단자와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슬롯은 프레임 본체의 일 측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리드들의 출력 단부들은 슬롯에 위치되고; 프레임 본체의 슬롯 및 복수의 리드들의 출력 단부들은 커넥터와 매칭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리드들의 출력 단부들은 단자 스루-홀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일렬로(in a row)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프레임 본체 상에 설치되고 온도 센서와 열 접촉하는 열 전도 패드를 더 포함하며, 열 전도 패드는 온도 센서를 충전 단자에 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충전 단자와의 열 접촉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에는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이 형성되고, 열 전도 패드는 단자 스루-홀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은 단자 스루-홀의 축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은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에 위치되고, 온도 센서는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 상에 용접되고; 열 전도 패드는 볼록 리브(convex rib)를 갖고, 볼록 리브는 제2 방향을 따라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 사이에 삽입되고 온도 센서와 열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 리브는 최상부 표면 및 한 쌍의 측부 표면들을 갖고, 볼록 리브의 최상부 표면은 온도 센서의 최하부 표면과 열 접촉하고, 볼록 리브의 한 쌍의 측부 표면들은 각각, 2개의 제1 리드들의 제1 입력 단부들과 열 접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볼록 리브는 원뿔형 안내 전방 단부를 갖고, 이는 2개의 제1 리드들과 온도 센서 사이에 삽입되도록 볼록 리브를 안내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 본체는 개방 수용 공간을 갖고, 2개의 제1 리드들 및 온도 센서의 제1 입력 단부들은 수용 공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센서는 칩 타입의 네거티브 온도 계수 센서 또는 칩 타입의 포지티브 온도 계수 센서이고, 온도 센서는 표면 장착 기술에 의해 2개의 제1 리드들 상에 용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충전 스탠드가 제공된다. 충전 스탠드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하우징에 제공되고 프레임 본체를 통과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온도 센서는 리드에 직접 용접되므로, 온도 센서와 연결된 리드 구조가 단순화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리드 및 온도 센서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 전도 패드는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 전도 패드는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로부터 분리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 전도 패드는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 상에 조립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열 전도 패드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열 전도 패드 및 온도 센서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한 요소들을 지칭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할 것이고, 본 개시내용의 개념을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의 목적들을 위해, 개시된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 사항들이 제시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들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다른 경우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도면을 단순화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가 제공된다.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복수의 리드들 및 복수의 리드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 및 복수의 리드들 중 2개의 제1 리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도록 리드 프레임과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에는 충전 단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스루-홀(terminal through-hole)이 형성되고, 온도 센서는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반적인 개념에 따르면, 충전 스탠드가 제공된다. 충전 스탠드는: 하우징; 하우징에 설치된 상기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하우징에 제공되고 프레임 본체를 통과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리드(20, 20') 및 온도 센서(30)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리드 프레임(10, 20, 20') 및 온도 센서(30)를 포함한다. 리드 프레임(10, 20, 20')은 복수의 리드들(20, 20'), 및 복수의 리드들(20, 20')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본체(10)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10)는 일반적으로, 삽입 사출 성형(inserting injection molding)에 의해 복수의 리드들(20, 20') 상에 형성되는 일체형 사출 성형 부품이다. 복수의 리드들(20, 20')은 온도 센서(30)와 연결된 2개의 제1 리드들(20)을 포함한다. 온도 센서(30)는 2개의 제1 리드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드 프레임들(10, 20, 20')과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부품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예시된 실시예에서, 온도 센서(30)는 표면 장착 기술에 의해 복수의 리드들(20, 20')에서 2개의 제1 리드들(20)에 용접된다. 리드 프레임(10, 20, 20')의 프레임 본체(10)에는 충전 단자(도시되지 않음)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스루-홀(101)이 형성된다. 온도 센서(30)는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리드(20)는: 제1 입력 단부(21), 제1 출력 단부(22), 및 제1 연결 섹션(23)을 포함한다. 제1 입력 단부(21)는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다. 제1 출력 단부(22)는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다. 제1 연결 부품(23)은 제1 입력 단부(21)와 제1 출력 단부(22) 사이에 연결되고, 프레임 본체(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입력 단부(21)는 평평한 용접 표면을 갖고, 온도 센서(30)의 2개의 전극 단부들은 각각, 표면 장착 기술에 의해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의 용접 표면들 상에 용접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온도 센서(30)는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상에 걸쳐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리드들(20, 20')은 또한, 충전 스탠드의 신호 단자(도시되지 않음)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제2 리드(20')를 포함한다. 제2 리드(20')는 제2 입력 단부(21'), 제2 출력 단부(22'), 및 제2 연결 부품(23')을 포함한다. 제2 입력 단부(21')는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다. 제2 출력 단부(22')는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다. 제2 연결 부품(23')은 제2 입력 단부(21')와 제2 출력 단부(22') 사이에 연결되고, 프레임 본체(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입력 단부(21')는 충전 스탠드의 신호 단자를 클램핑하여 신호 단자와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슬롯(102)은 프레임 본체(10)의 일 측 상에 형성되고,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은 슬롯(102)에 위치된다. 프레임 본체(10)의 슬롯(102) 및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매칭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은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은 또한, 다수의 열들로 또는 원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부분 확대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 전도 패드(40)는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분리되고;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 전도 패드(40)는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분리되고;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 전도 패드(40)는 리드 프레임의 프레임 본체(10) 상에 조립되어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열 전도 패드(40)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드 프레임 조립체의 열 전도 패드(40) 및 온도 센서(30)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충전 스탠드의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또한, 프레임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온도 센서(30)와 열 접촉하는 열 전도 패드(40)를 포함한다. 열 전도 패드(40)는 충전 단자에 온도 센서를 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충전 단자와의 열 접촉에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이 프레임 본체(10) 상에 형성된다. 열 전도 패드(40)는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따라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 내에 삽입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에 위치되고, 온도 센서(30)는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상에 용접된다. 열 전도 패드(40)에는, 제2 방향을 따라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사이에 삽입되고 온도 센서(30)와 열 접촉하는 볼록 리브(convex rib)(46)가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열 전도 패드(40) 상의 볼록 리브(46)는 최상부 표면 및 한 쌍의 측부 표면들을 갖는다. 볼록 리브(46)의 최상부 표면은 온도 센서(30)의 최하부 표면과 열 접촉하고, 볼록 리브(46)의 한 쌍의 측부 표면들은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의 측부들과 열 접촉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볼록 리브(46)의 최상부 표면은 온도 센서(30)의 최하부 표면과 간섭하고, 볼록 리브(46)의 측부 표면은 제1 리드(20)의 제1 입력 단부(21)의 측부와 간섭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열 전도 패드(40) 상의 볼록 리브(46)는 2개의 제1 리드들(20)과 온도 센서(30) 사이에 삽입되도록 볼록 리브(46)를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원뿔형 안내 전방 단부(461)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은: 최하부 벽(11); 최하부 벽(11)에 연결된 한 쌍의 측벽들(12); 및 한 쌍의 측벽들(12)의 내부 표면들 상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보스들(13)을 포함한다. 열 전도 패드(40)는: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의 보스(13)와 최하부 벽(1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최하부 플레이트(41);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의 보스(13)의 최상부 표면 상에 위치결정되는 최상부 플레이트(42); 및 측부 플레이트(43)를 포함하고, 측부 플레이트는 최하부 플레이트(41)와 최상부 플레이트(42)의 측부들 사이에 연결되고, 그리고 충전 단자의 주변 표면과의 열 접촉에 적합한 아크 접촉 표면(43a)을 갖는다. 볼록한 리브(46)는 열 전도 패드(40)의 최하부 플레이트(41)의 최상부 표면 상에서 벌징된다(bulged).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프레임 본체(10)는 한 쌍의 보스들(13) 사이에 개방된 수용 공간(16)을 갖는다. 2개의 제1 리드들(20) 및 온도 센서(3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한 쌍의 보스들(13) 사이의 수용 공간(16)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은 또한, 측벽(12)의 내부 측 상에 형성된 제한 돌출부(14)를 포함한다. 열 전도 패드(40)의 최상부 플레이트(42)는,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의 제한 돌출부(14)와 보스(13)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볼록 부품(44)은 열 전도 패드(40)의 최상부 플레이트(42)의 최상부 표면 상에 형성되고,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의 제한 돌출부(14)는 열 전도 패드(40)의 볼록 부품(44) 상에 가압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위치결정 단차부(47)가 열 전도 패드(40)의 최상부 플레이트(42)의 다른 측의 최하부에 형성된다.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은 또한, 한 쌍의 보스들(13) 사이에 연결된 빔(17)을 포함한다. 열 전도 패드(40) 상의 위치결정 단차부(47)는 제2 방향으로의 열 전도 패드(40)의 포지션을 제한하기 위해 빔(17)에 대항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의 빔(17)의 최상부 상에 래치 돌출부(15)가 형성되고, 래치 돌출부(15)와의 맞물림에 적합한 래치(45)가 열 전도 패드(40)의 최상부 플레이트(42)의 최상부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 전도 패드(40)는 프레임 본체(10)의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 내에 잠금(lock)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전술된 온도 센서(30)는 칩 타입의 NTC(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센서 또는 칩 타입의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센서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충전 스탠드가 또한 개시된다. 충전 스탠드는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단자를 포함한다. 리드 프레임 조립체는 하우징에 설치된다.
충전 단자는 하우징에 제공되고, 프레임 본체(10)를 통과한다.
위의 실시예들은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한다. 예컨대, 당업자에 의해 위의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리고 상이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구성 또는 원리에서 충돌하지 않으면서 서로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다.
수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변경들 또는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것이며, 그 범위는 청구항들 및 이들의 등가물들에서 정의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표현으로 인용된 요소는, 상기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복수형을 배제하지 않는 것(이러한 배제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참조들은, 인용된 특징들을 또한 포함하는 추가의 실시예들의 존재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게다가, 명시적으로 반대로 언급되지 않는 한, 특별한 특징을 갖는 원소 또는 복수 개의 원소들을 "포함"하거나 "갖는" 실시예들은 그 특징을 갖지 않는 이러한 추가 원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5)

  1.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로서,
    복수의 리드들(20, 20') 및 복수의 리드들(20, 20')을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 본체(10)를 포함하는 리드 프레임(lead frame)(10, 20, 20'); 및
    복수의 리드들(20, 20') 중 2개의 제1 리드들(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리드 프레임(10, 20, 20')과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부품을 형성하는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에는 충전 단자가 통과할 수 있게 하는 단자 스루-홀(terminal through-hole)(101)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 센서(30)는 충전 단자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2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 제1 입력 단부(21);
    상기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 제1 출력 단부(22); 및
    상기 제1 입력 단부(21)와 상기 제1 출력 단부(2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제1 연결 부품(2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입력 단부(21)는 평평한 용접 표면을 갖고, 상기 온도 센서(30)의 2개의 전극 단부들은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의 용접 표면들 상에 각각 용접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3. 제2 항에 있어서,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상기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열되고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되며, 상기 온도 센서(30)는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상에 걸쳐 있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들(20, 20')은 제2 리드(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리드(2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 제2 입력 단부(21');
    상기 프레임 본체(10)로부터 노출된 제2 출력 단부(22'); 및
    상기 제2 입력 단부(21')와 상기 제2 출력 단부(2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되는 제2 연결 부품(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단부(21')는 충전 스탠드의 신호 단자를 클램핑하여 상기 신호 단자와 전기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0)의 일 측 상에 슬롯(102)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이 상기 슬롯(102)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10)의 슬롯(102)과 상기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은 커넥터와 매칭하기에 적합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들(20, 20')의 출력 단부들(22, 22')은 상기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0) 상에 설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30)와 열 접촉하는 열 전도 패드(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전도 패드(40)는 상기 온도 센서를 상기 충전 단자에 열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충전 단자와의 열 접촉에 적합한,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0)에는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이 형성되고, 상기 열 전도 패드(40)는 상기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상기 단자 스루-홀(101)의 축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제1 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은 상기 열 전도 패드 설치 부품에 위치되고, 상기 온도 센서(30)는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상에 용접되며;
    상기 열 전도 패드(40)는 볼록 리브(convex rib)(46)를 가지며, 상기 볼록 리브는 제2 방향을 따라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온도 센서(30)와 열 접촉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리브(46)는 최상부 표면 및 한 쌍의 측부 표면들을 갖고, 상기 볼록 리브(46)의 최상부 표면은 상기 온도 센서(30)의 최하부 표면과 열 접촉하고, 그리고 볼록 리브(46)의 한 쌍의 측부 표면들은 각각,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과 열 접촉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 리브(46)는 원뿔형 안내 전방 단부(461)를 갖고, 상기 원뿔형 안내 전방 단부는 2개의 제1 리드들(20)과 온도 센서(30) 사이에 삽입되도록 볼록 리브(46)를 안내하는 데 사용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13.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10)는 개방 수용 공간(16)을 갖고, 2개의 제1 리드들(20)의 제1 입력 단부들(21) 및 온도 센서(30)는 상기 개방 수용 공간(16)에 위치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센서(30)는 칩 타입의 네거티브 온도 계수 센서 또는 칩 타입의 포지티브 온도 계수 센서이고, 상기 온도 센서(30)는 표면 장착 기술에 의해 2개의 제1 리드들(20) 상에 용접되는,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15. 충전 스탠드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상기 하우징에 제공되고 프레임 본체(10)를 통과하는 충전 단자를 포함하는,
    충전 스탠드.
KR1020230053907A 2022-04-26 2023-04-25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KR202301519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20985912.9 2022-04-26
CN202220985912.9U CN218415238U (zh) 2022-04-26 2022-04-26 充电座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925A true KR20230151925A (ko) 2023-11-02

Family

ID=8499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907A KR20230151925A (ko) 2022-04-26 2023-04-25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51925A (ko)
CN (1) CN218415238U (ko)
DE (1) DE102023110566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8415238U (zh) 2023-01-31
DE102023110566A1 (de)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M619876U (zh) 端子模組以及背板連接器
US7273381B2 (en) Plug connector
US7922525B2 (en) USB electrical connector
US8876538B2 (en) Connector
TW202226679A (zh) 整體屏蔽式電纜連接器
US10879649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1048926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
TWI826872B (zh) 端子模組以及背板連接器
US2020025927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2013564A (ja) 温度センサの取付構造
US20190280410A1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ies
KR20230151925A (ko) 충전 스탠드 리드 프레임 조립체 및 충전 스탠드
US20150229066A1 (en) Connector with convenient installation
US20210066823A1 (en) Parallel-type wire connector
CN214204113U (zh) 接口连接器
KR100882868B1 (ko) 전구 소켓
CN110323600B (zh) 电连接器及其制作方法
CN218444203U (zh) 温度检测装置、充电座引线框架组件和充电座
CN111244668A (zh) 一种高速电连接器
CN110707454A (zh) 电连接器
KR20230151927A (ko) 써멀 패드, 충전 도크 리드 프레임 어셈블리 및 충전 도크
CN211743471U (zh) 一种高速电连接器
US12000650B2 (en)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
CN217586074U (zh) 锁定件、电池芯温度检测模块、电池包托盘和电池包托盘组件
US20220196321A1 (en) Reed switch assembly and refrigera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