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837A - Tray for cooking appliance - Google Patents

Tray for cooking appli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837A
KR20230151837A KR1020220051670A KR20220051670A KR20230151837A KR 20230151837 A KR20230151837 A KR 20230151837A KR 1020220051670 A KR1020220051670 A KR 1020220051670A KR 20220051670 A KR20220051670 A KR 20220051670A KR 20230151837 A KR20230151837 A KR 20230151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protruding support
support portion
tra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6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여태홍
최은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837A/en
Publication of KR20230151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8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테두리부가 돌출 형성된 조리기기용 트레이로서, 트레이는 테두리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며, 핸들 조립체는, 테두리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제1 핸들프레임 및 테두리부의 수용 공간에 결합되어 제1 핸들프레임을 수용 공간 내에 고정하는 제2 핸들프레임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cavity of a cooking appliance and has an edge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The tray includes a handle assembly accommodat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in the edge portion, and the handle assembly accommodates the edge portion. It includes a first handle frame accommodated in the space and a second handle frame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to secure the first handle frame within the receiving space.

Description

조리기기용 트레이{TRAY FOR COOKING APPLIANCE}Tray for cooking appliances{TRAY FOR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에 조리물을 올려 놓은 상태로 인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that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om a cooking chamber such as an oven while food is placed on it.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A cooking appliance is a type of home appliance used to cook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into open and closed cooking appliances depending on the type of space where food is placed. 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and microwaves, while open cooking appliances include cooktops and hobs.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A clos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hields the space where food is located and cooks the food by heating the shielded space. A closed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where food is placed and shielded when food is to be cooked. This galley is actually a space where food is cooked. A heat source is provided in the interior or exterior space of the galley to heat the galley.

조리실의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기 위한 트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트레이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를 조리실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제공하기 위해, 조리실의 양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가 설치된다.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hamber may be provided with a tray for placing food on it. And this tray can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front of the galley for the user's convenience. In order to provide a tray that can be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galley, a pair of guide member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galley.

가이드부재는 트레이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드(bead)로서 조리실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The guide member is a bead on which the tray is movably installed and is formed to protrude convexly toward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트레이는 가이드부재에 지지된 상태로 조리실의 내부에서 탈착 가능하게 된다.The tray is supported on the guide member and is detachable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트레이는 바닥면이 넓은 사각형 형상으로 가장자리에 조리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돌출부를 가지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The tray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e bottom and includes an edge portion with an upward protrusion to prevent food from falling off the edge.

트레이의 테두리부 양측에는 조리실의 비드에 접촉되어 지지되며 테두리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트레이 핸들이 구비된다. 트레이 핸들은 손으로 파지하여 트레이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도록 내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ray handl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dge of the tray, which are supported by contacting the bead of the cooking chamber and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edge. The tray handle may be made of heat-resistant plastic material so that the tray can be safely moved by gripping it by hand.

이와 같은 트레이 핸들은 나사를 이용하여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트레이 핸들에 체결되는 나사는 대부분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부식 및 녹 발생의 원인이 되며, 나사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의 미적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tray handle can be fastened to the edge of the tray using screws. However, most of the screws fastened to these tray handles are made of metal, which causes corrosion and rust, and because the screw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e aesthetic function of the exterior is deteriorated.

또한, 나사가 체결되는 나사구멍에 이물질이 끼게 되어 나사를 분리한 후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청소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한편, 트레이 핸들의 생산 공정 시 나사를 체결하기 위해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foreign matter gets stuck in the screw hole where the screw is fastened, requiring a process of removing and reassembling the screw, which takes a lot of time for cleaning. In addition,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tray handle, the number of working hours to fasten the screw increases. There was a problem.

본 발명은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나사 체결없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tray without screw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용 트레이는, 테두리부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 방식이 적용된 핸들 조립체를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lementing a handle assembly using a fitting method rather than a screw fastening metho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dge portion.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핸들 조립체가 트레이의 테두리부의 하측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외관을 개선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ppearance and quality while simultaneously reducing assembly time by fitting the handle assembly to the lower side of the edge of the tray.

또한, 본 발명은, 제2 핸들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 리브 사이에 제1 핸들프레임을 긴밀하게 수용함으로써, 제2 핸들프레임에 대한 제1 핸들프레임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측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핸들 조립체의 지지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guid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by tightly accommodating the first handle frame between a pair of support ribs provid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and support The support rigidity of the handle assembly can be strengthened by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impact appli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member.

또한, 본 발명은, 제2 핸들프레임의 지지 리브의 양단부에 트레이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며 원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굴곡부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핸들 조립체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핸들 조립체의 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lly connects both ends of the support rib of the second handle frame with curv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ner side of the tray and is curved in an arc shape, so that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andle assembly can be determined while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assembly. there is.

또한, 본 발명은,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핸들 조립체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feature in that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have a hook coupling structure so tha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coupling performance of the handle assembly.

이와 함께, 본 발명은,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제1 핸들프레임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 핸들프레임의 제3 돌출지지부에 의한 삽입홈의 공간 협소로 인해 발생하는 제2 핸들프레임의 결합 문제에 대해 제2 핸들프레임의 제1 돌출지지부를 슬림하게 형성하여 핸들 조립체 장착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resses the coupling problem of the second handle frame that occurs due to narrowing of the space of the insertion groove by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when the first handle frame is inserted into the edge of the tray.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is formed to be slim so that mounting the handle assembly can be performed easi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테두리부가 돌출 형성된 조리기기용 트레이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결합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 내면에 삽입되며, 둥글게 굴곡 형성되는 커링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와 고정되는 제1 핸들프레임 및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제1 핸들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위치가 고정 위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 핸들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a cavity of a cooking appliance and has an edge protruding upward from the edge, wherein the tray includes a handle assembly coupled to a receiving spac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dge portion. do. Here, the handle assembly is inserted into the out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is coupled between a first handle frame and the edge portion and the first handle frame fixed to the edge portion in a curly curved portion to form the first handle frame. 1 It may include a second handle frame that restrains the movement of the first handle fram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frame is maintained at a fixed posi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은, 상기 트레이의 측부를 따라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부의 수용 공간의 폭에 비해 좁은 폭을 가지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부가 상기 커링부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및 상기 오목홈으로부터 상기 커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ndle frame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long along the side of the tray and having a narrow width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edge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concave groov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urrying portion, and a rota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concave groove toward the currying portion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urry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일측면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 내면으로 편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타측면은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타측면과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 내면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first handle frame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out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andle frame is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The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nd an insertion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수용 공간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바디 및 상기 상부 바디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3 돌출지지부 및 제4 돌출지지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상기 제1 돌출지지부에 면접촉되고, 상기 제4 돌출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 내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includes an upper bod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and facing each other,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wherein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and the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an outer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there 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제1 핸들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지지부와 제2 돌출지지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출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 면접촉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andle frame has a lower body supporting the first handle frame, and a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A support member may be included, wherei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with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하부 바디 상에 상기 제1 돌출지지부와 상기 제2 돌출지지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 리브가 서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andle frame may be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 ri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on the lower body. .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는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air of support rib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handle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의 양단부에 상기 테두리부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andle frame may include curve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upport ribs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a corner side of the ed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핸들프레임과 상기 제2 핸들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핸들프레임과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includes a locking hook, the other includes a locking step, and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Can be fixed by combining the locking hook and the locking protrusion.

여기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하부 바디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결합돌출지지부와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제3 돌출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상부 바디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돌출지지부와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제1 돌출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locking hook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 second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body of the second handle frame and a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It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a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body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a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지지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돌출지지부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제1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제3 돌출지지부의 상기 걸림후크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단부까지 슬림하게 형성된 슬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locking hook is formed on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is formed o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handle frame may include a slim portion form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to the en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locking hook.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에 의하면, 트레이의 측면 테두리부의 하측에 나사 체결 방식이 아닌 끼움 결합 방식이 적용된 핸들 조립체를 구현함으로써, 외관을 개선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handle assembly using a fitting method rather than a screw fastening method is impleme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de edge of the tray,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improving quality at the same time. Assembly time can be reduced.

제2 핸들프레임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 리브 사이에 제1 핸들프레임을 긴밀하게 맞닿아 수용함으로써, 제2 핸들프레임에 대한 제1 핸들프레임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측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핸들 조립체의 지지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By receiving the first handle frame in close contact between a pair of support ribs provid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can be guided, and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can be guided. The support rigidity of the handle assembly can be strengthened by preventing deformation due to impact applied from the handle assembly.

제2 핸들프레임의 지지 리브의 양단부에 트레이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며 원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굴곡부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핸들 조립체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핸들 조립체의 정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By integrally connecting both ends of the support rib of the second handle frame with curved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tray and formed in an arc shape,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andle assembly is determined while limiting movement of the handle assembly.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후크 결합 구조로 이루어져 트레이에 대한 핸들 조립체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have a hook coupling structure so that they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coupling performance of the handle assembly to the tray.

트레이의 테두리부에 제1 핸들프레임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 핸들프레임의 제3 돌출지지부에 의한 삽입홈의 공간 협소로 인해 발생하는 제2 핸들프레임의 결합 문제에 대해 제2 핸들프레임의 제1 돌출지지부를 슬림하게 형성하여 핸들 조립체 장착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When the first handle frame is inserted into the edge of the tray, the first handle frame of the second handle frame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truding support part is formed to be slim, making it easy and convenient to install the handle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에 핸들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로부터 핸들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조립 영역에서,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의 후크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조립 영역에서,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의 후크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assembly is coupled to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cut along line “AA” in FIG. 4.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FIG. 7 is a view cut along line “BB” in FIG. 4.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hook coupling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in the second assembly area.
FIG. 9 is a view cut along line “CC” in FIG. 4.
Figur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hook coupling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in the third assembly area.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is example is provided solely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substitutes or adds to the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nd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as well as all changes and equivalent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substitutes.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equivalents, and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water or substitutes. In the drawings, components may be expressed exaggeratedly large or small in size or thicknes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bu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due to this.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implementations or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And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etc.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n other words,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etc. in the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top" or "below"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t only is it placed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of a cooking appliance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예컨대 오븐은 음식물을 수용하고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11)를 구비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며 회전에 의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미도시)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cooking appliance, such as an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having a cavity 11 that accommodates food and forms a cooking chamber for heating and cooking the food, and the main body. It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front of (10) and includes a door (not shown) that opens and closes the galley by rotation.

도 1에서는 도어가 생략되어 있으나, 도어는 수평 축을 중심으로 도어를 회전시키는 풀 다운(pull down) 방식,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수직 축을 중심으로 도어(20)를 회전시키는 스윙(swing) 방식 등 다양한 도어 회동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어(20)를 닫으면 캐비티(11)의 전면이 폐쇄되어 캐비티(11)의 내부 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Although the door is omitted in Figure 1, the door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ull down method that rotates the door about a horizontal axis, or a swing method that rotates the door 20 about a vertical axis on the left or right. A door rotation method may be applied.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front of the cavity 11 is closed and the internal space of the cavity 11 is sealed from the outside.

본체(10)의 특정 공간에는 캐비티(11)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미도시), 송풍팬(미도시) 등의 부품이 수용된다. Components such as a heater (not shown) and a blowing fan (not shown) for heating food contained within the cavity 11 are accommodated in a specific space of the main body 10.

송풍팬이 회전함에 따라 본체(10)의 리어 패널을 통해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캐비티(1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As the blowing fan rotates, air heated by the heater may flow into the cavity 11 through the rear panel of the main body 10.

본체(10)의 상측에는 오븐의 동작을 제어하는 회로 기판 등의 각종 전장부품(미도시)이 배치되는 전장실(미도시)이 구비된다.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where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not shown), such as a circuit board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oven, are placed.

본체(10)의 전면에는 전장실을 냉각한 냉각 공기와 캐비티(11)를 외측에서 냉각한 냉각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본체(10)의 전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공기 배출홀(14)이 구비된다. 공기 배출홀(14)은 본체(10) 전면의 상부에 가로 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there is an air discharge hole 14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air that cools the electrical equipment room and the cooling air that cools the cavity 11 from the outside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 is provide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14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front of the main body 10.

캐비티(11)의 양측 내벽에는 트레이(10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트레이(100)의 양측이 지지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15)가 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며, 캐비티(11)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평행하게 길게 형성된다. A tray 100 is movab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of the cavity 11, and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15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tray 100 are formed to protrude convexly in the side direction, and are formed at the front of the cavity 11. It is formed parallel and long toward the rear.

가이드부재(15)는 캐비티(11)의 양측 내벽에 일체로 후방을 향해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재(15)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members 15 may be integrally formed on both inner walls of the cavity 11 and elongated toward the rear.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members 15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체(10)의 캐비티(11) 내부에는 조리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트레이(100)가 구비된다. A tray 100 on which food can be placed is provided inside the cavity 11 of the main body 10.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에 핸들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로부터 핸들 조립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assembly is coupled to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assembly is separated from the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00)는 바닥면이 넓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트레이(100)는 가장자리 에지(edge)면에 조리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부(110)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tray 1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with a wide bottom surface. The tray 100 is formed with an edge portion 110 that protrudes upward to prevent food from falling off.

테두리부(110)의 높이는 대응하는 가이드부재(15)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른 가이드부재(15)에 대해 트레이(100)가 인입 및 인출 시 간섭되지 않는 높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ight of the edge portion 110 may be set to a height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ther guide member 15 located immediately above the corresponding guide member 15 when the tray 100 is pulled in and out.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 양측에는 대응하는 가이드부재(15)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핸들 조립체(200)가 결합된다. 트레이(100)는 본체(10)에 대해 서랍 방식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가이드부재(15) 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트레이(100)를 가이드부재(15)로부터 인출한 뒤, 트레이(100) 위에 조리물을 올려 놓게 되며, 다시 트레이(100)를 캐비티(11)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게 된다. A handle assembly 200 supported by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guide member 15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The tray 100 is supported on the guide member 15 to be inserted or withdrawn from the main body 10 in a drawer manner. Accordingly, the user opens the door 20, pulls out the tray 100 from the guide member 15, places food on the tray 100, and moves the tray 100 back into the cavity 11. It becomes possible to bring it in.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1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시된 도면에서는 캐비티(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복수의 트레이(100)를 설치하여 많은 양의 조리물을 올려놓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100)가 가이드부재(15) 상에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설치될 경우, 오븐을 활용하여 더 다양한 요리를 할 수 있게 된다.At least one tray 1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vity 11. In the illustrated drawing, a plurality of trays 100 are install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cavity 11, so that a large amount of food can be placed on it. When at least one tray 100 is installed to be retractable and retractable on the guide member 15, more diverse dishes can be cooked using the ov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를 나타내는 상세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B-B"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 조립 영역에서,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의 후크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4의 "C-C"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며, 도 10은 제3 조립 영역에서,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의 후크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cut along line “A-A” of FIG. 4,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FIG. 7 is a view cut along the line “B-B” in FIG. 4,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hook coupling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in the second assembly area, and FIG. 9 is a view of FIG. 4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hooking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in the third assembly area.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테두리부(110)에는 하측이 개방되어 후술하는 핸들 조립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120)이 마련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 the lower side of the edge portion 110 is opened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120 that can accommodate the handle assembl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트레이(100)의 외측에 형성된 테두리부(110)는 역 U자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테두리부(110)의 외측 단부에는 원통으로 둥글게 말아 내측으로 굴곡된 형태의 커링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The edge portion 11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tray 100 has a cross-sectional shape of an inverted U. At the outer end of the edge portion 110, a curling portion 1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bent inward.

테두리부(110)의 커링부(111)는 수용 공간(120)의 폭방향 일측에 구비되며, 테두리부(110)의 외측 단부를 커링(curling) 작업에 의해 둥글게 말아 내측으로 굴곡 형성된 라운딩(rounding)부재이다. 커링부(111)는 후술하는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돌기(213)를 감싸 지지하여 제1 핸들프레임(210)이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urrying portion 111 of the edge portion 110 i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120, and the outer end of the edge portion 110 is rounded through a curling operation to form a rounding curved inward. ) is absent. The currying portion 111 surrounds and supports the rotating protrusion 213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prevent the first handle frame 210 from being separated downward.

테두리부(110)의 커링부(111)에는 커링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며, 회전돌기(213)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장공(111a)이 구비된다. The currying portion 111 of the edge portion 110 extends in an open st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urrying portion 111 and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111a into which the rotating protrusion 213 is rotatably inserted.

이와 같이 형성된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는 핸들 조립체(200)가 결합된다. The handle assembly 20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formed in this way.

핸들 조립체(200)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을 발휘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handle assembly 2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has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elasticity and can be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by fitting.

이와 같이 핸들 조립체(200)가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트레이(100)의 외관을 개선하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트레이(100)에 대한 핸들 조립체(200)의 조립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handle assembly 2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there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quality of the tray 100. .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assembly time of the handle assembly 200 to the tray 100.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의 하측에 수용되는 핸들 조립체(200)는 각각 제1 핸들프레임(210)과 제2 핸들프레임(220)을 포함한다.The handle assembly 200 accommodated below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includes a first handle frame 210 and a second handle frame 220, respectively.

제1 핸들프레임(210)은 테두리부(110)를 따라 직선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바(bar) 형상을 가지는 바디부(211)를 포함한다. The first handle frame 210 includes a body portion 211 having a bar shape that is formed in a long straight line along the edge portion 110.

제1 핸들프레임(210)은, 테두리부(110)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삽입 가능한바, 수용 공간(120) 내에 위치하는 커링부(11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바디부(211)의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212)을 포함한다. 또한, 오목홈(212)으로부터 커링부(111)를 향해 돌출되어 커링부(111)의 장공(111a)에 삽입되며, 커링부(111)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돌기(213)를 포함한다. The first handle frame 210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edge portion 110, and is oriented along the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not to be interfered with by the currying portion 111 locat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20. A portion of the portion 211 includes a concave groove 212 that is concavely formed. In addition, it protrudes from the concave groove 212 toward the currying portion 111 and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1a of the currying portion 111, and includes a rotary protrusion 213 that is rotatable with the currying portion 111 as the rotation axis. .

이와 같은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돌기(213)는 후술하는 제4 돌출지지부(214b)이거나 제4 돌출지지부(214b)로부터 일부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rotating protrusion 213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may be the fourth protruding support 214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partially extended from the fourth protruding support 214b.

제1 핸들프레임(210)은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삽입되는바, 바디부(211)는 테두리부(110)의 수용 공간(120)의 폭에 비해 좁은 폭을 가지게 된다.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and the body portion 211 is aligned with the width of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edge portion 110. It has a narrow width compared to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돌기(213)가 커링부(111)의 장공(111a)의 내측으로 삽입될 경우, 제1 핸들프레임(210)의 상면과, 회전돌기(213)가 형성된 일측면(217)은, 각각 테두리부(110)의 상측 내면과, 커링부(111)가 배치된 외측 내면(121)에 접촉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핸들프레임(210)의 일측면(217)은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의 외측 내면(121)에 접촉하여 수용 공간(120) 내에서 일측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tating protrusion 213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11a of the currying portion 111,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rotating protrusion ( One side 217 on which 213) is formed can contact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110 and the outer inner surface 121 on which the curling portion 111 is disposed, respectively. That is, one side 217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inner surface 121 of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and is disposed biased to one side within the receiving space 120. You can.

따라서, 제1 핸들프레임(210)의 타측면(218)과 상기 수용 공간(120)의 내측 내면(122) 사이에는 삽입홈(216)이 마련된다. 즉, 제1 핸들프레임(210)의 타측면(218)은 수용 공간(120)의 내측 내면(122)으로부터 삽입홈(216)만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Accordingly, an insertion groove 216 is provided between the other side surface 218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inner inner surface 122 of the receiving space 120. That is, the other side surface 218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inner surface 122 of the receiving space 120 by the insertion groove 216.

따라서, 회전돌기(213)가 커링부(111)를 회전축으로 하여 삽입홈(216), 즉 제1 핸들프레임(210)의 타측면(218)과, 이 타측면(218)과 마주하는 수용 공간(120)의 내측 내면(122) 사이의 홈의 공간에서 하방으로 회전할 경우, 제1 핸들프레임(210)이 테두리부(110)의 수용 공간(1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므로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 움직임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수단으로 제2 핸들프레임(220)이 구비된다.Therefore, the rotation protrusion 213 uses the currying portion 111 as the rotation axis to form an insertion groove 216, that is, the other side 218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an accommodation space facing the other side 218. When rotating downward in the space of the groove between the inner inner surfaces 122 of (120), the first handle frame 21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20 of the edge portion 110, so that the first handle frame 210 A second handle frame 220 is provided as a restraining means to restrain the rotational movement of 210.

제2 핸들프레임(220)은,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 및 제1 핸들프레임(210)과 함께 결합하여 제1 핸들프레임(210)이 테두리부(110)와 분리되지 않게 제1 핸들프레임(210)을 수용 공간(120) 내에 구속하게 된다.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coupled with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and the first handle frame 210 to prevent the first handle frame 21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edge portion 110. The handle frame 210 is confined within the receiving space 120.

제2 핸들프레임(220)은 상측이 개방된 대략 U자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21)를 포함한다.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ncludes a body portion 221 having an approximately U-shaped cross-section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바디부(221)는 제1 핸들프레임(210)을 평행하게 지지하는 하부 바디(221a)를 포함하고, 하부 바디(221a)의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1 돌출지지부(222a)와 제2 돌출지지부(222b)를 구비한 지지부재(2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 및 제2 돌출지지부(222b) 사이의 폭은 제1 핸들프레임(210)의 폭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된다. The body portion 221 includes a lower body 221a supporting the first handle frame 210 in parallel, and a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221a and facing each other.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222 having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Here, the width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formed to be approximate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또한, 제2 핸들프레임(220)의 하부 바디(221a) 상에는 제1 돌출지지부(222a)와 제2 돌출지지부(222b)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 리브(223)가 지지된 상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a pair of support ribs 223 are supported on the lower body 221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It is formed by connecting.

제2 핸들프레임(220)의 한 쌍의 지지 리브(223)는 제1 핸들프레임(210)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즉, 한 쌍의 지지 리브(223)는 제1 핸들프레임(210)의 길이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A pair of support ribs 223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re each install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That is, the pair of support ribs 22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length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이와 같이 제1 핸들프레임(210)의 길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 리브(223)는 제2 핸들프레임(220)의 직선형의 하부 바디(221a) 상에 배치된다. In this way, a pair of support ribs 223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are disposed on the straight lower body 221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따라서, 한 쌍의 지지 리브(223)는 제2 핸들프레임(220)에 대한 제1 핸들프레임(21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제2 핸들프레임(220)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 리브(223) 사이에 제1 핸들프레임(210)이 긴밀하게 맞닿아 수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pair of support ribs 223 can guide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220. That is, the first handle frame 210 can be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between a pair of support ribs 223 provid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220.

또한, 지지 리브(223)는 제2 핸들프레임(220)에 대한 제1 핸들프레임(21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효과와 함께 지지부재(222)의 측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핸들 조립체(200)의 지지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rib 223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nd prevents deformation due to impact appli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2. Thus, the support rigidity of the handle assembly 200 can be increased.

제2 핸들프레임(220)은 테두리부(11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바, 각각의 지지 리브(223)의 양단부에는 트레이(100)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는 굴곡부(224)가 일체로 구비된다.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dge portion 110, and curved portions 224 corresponding to the corners of the tray 100 are integrated at both ends of each support rib 223. It is provided with

굴곡부(224)는 트레이(100)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지지 리브(223)의 양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소정 반경을 가지는 원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핸들프레임(220)의 굴곡부(224)가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결합될 경우 핸들 조립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핸들 조립체(200)의 정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The bent portion 224 is curved in an arc shape with a predetermined radius and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each support rib 223 to correspond to the corner side of the tray 100. Therefore, when the curved portion 224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coupled 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the movement of the handle assembly 200 is restricted and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andle assembly 200 is determined. do.

굴곡부(224)에는 제1 돌출지지부(222a)와 제2 돌출지지부(222b)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돌출지지부(222a)의 양단부에 보조돌출지지부(224a)가 구비된다.The bent portion 224 is provided with auxiliary protruding supports 224a at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보조돌출지지부(224a)는 제1 돌출지지부(222a)의 양단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된다. 보조돌출지지부(224a)는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 강성을 증대시켜 제1 돌출지지부(222a)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제1 돌출지지부(222a)와 제2 돌출지지부(222b) 사이의 간격을 변형없이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auxiliary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4a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in a crossing direction. The auxiliary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4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and increases the support rigidity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thereby forming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The gap between (222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can be maintained without de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트레이(100)에 설치되는 핸들 조립체(200)의 조립 상태에 대해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ed state of the handle assembly 200 installed on the cooking appliance tr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0 as follows.

도면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트레이(100)에 대한 핸들 조립체(200)의 조립 구성은 모두 3개의 조립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 the assembly configuration of the handle assembly 200 with respect to the tray 100 can be implemented in three assembly configuration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조립체(200)가 설치된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조립 영역, 제2 조립 영역 및 제3 조립 영역으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4,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on which the handle assembly 200 is installed is divided into a first assembly region, a second assembly region, and a third assembly reg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먼저, 도 5 및 도 6의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조립 영역을 보면,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위치하는 커링부(111)의 장공(111a)에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돌기(213)가 삽입된다.First, referring to the drawings of FIGS. 5 and 6, looking at the first assembly area, the long hole 111a of the currying portion 111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The rotating protrusion 213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nserted.

제2 핸들프레임(220)의 지지부재(222) 중 제1 돌출지지부(222a)는 제1 핸들프레임(210)이 수용된 테두리부(110)의 수용 공간(120) 중 일측의 삽입홈(216) 사이에 삽입되고, 제2 돌출지지부(222b)는 테두리부(110)의 외측 외면(123)에 압착된다.Among the support members 222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is an insertion groove 216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edge portion 110 where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accommodate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123 of the edge portion 110.

이와 같이, 제2 핸들프레임(220)의 지지부재(222) 사이에 제1 핸들프레임(210)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는, 예컨대 테두리부(110)의 수용 공간(120)의 내측 내면(122)과 수용 공간(120)에 수용된 제1 핸들프레임(210)의 타측면(218) 사이의 삽입홈(216)에 억지 끼움 형태로 삽입된다. In this way, in a state where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accommodated between the support members 222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for example, an edge portion. It is inserted in the form of an interference fit into the insertion groove 216 between the inner inner surface 122 of the receiving space 120 of (110) and the other side 218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20. .

그리고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2 돌출지지부(222b)는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의 외측 외면(123)에 긴밀하게 맞닿아 압착되는 구조이다.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i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and is pressed against the outer surface 123 of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edge portion 110.

제1 핸들프레임(210)이 테두리부(110)와 분리되기 위해서는 테두리부(110) 내에서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제2 핸들프레임(220)은 제1 핸들프레임(210)과 테두리부(110) 내측 내면(122) 사이에 끼워져서 제1 핸들프레임(21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제1 핸들프레임(210)은 제1 핸들프레임(210)과 테두리부(110) 사이에 끼워진 제2 핸들프레임(220)을 테두리부(110)에 고정시킨다. 즉, 제1 핸들프레임(210)과 제2 핸들프레임(220)의 상호 작용에 의해 그 구성들의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In order for the first handle frame 210 to be separated from the edge portion 110, the first handle frame 210 must be rotated within the edge portion 110, and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the first handle frame ( 210) and the inner surface 122 of the edge portion 110 to prevent rota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n this way, the first handle frame 210 fixes the second handle frame 220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edge portion 110 to the edge portion 110. 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are not separated due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second handle frame 220.

제1 핸들프레임(210)의 단면 형상은 전체적으로 폐쇄된 단면 형상의 바디부(211)로 구현된다. 이러한 제1 핸들프레임(210)의 단면 형상은 제1 핸들프레임(210) 바디부(21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mplemented as a body portion 211 with an overall closed cross-sectional shape. This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can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body portion 211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제2 조립 영역을 보면, 서로 다른 후크결합부(300)에 의해 제1 핸들프레임(210)과 제2 핸들프레임(220)이 서로 결합 가능하게 된다.Looking at the second assembly area,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second handle frame 22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different hook coupling portions 300.

도 7 및 도 8의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조립 영역에서, 제1 핸들프레임(210)은 역 U자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바디부(211)를 가진다. 제1 핸들프레임(210)은 상부 바디(211a)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3 돌출지지부(214a)와 제4 돌출지지부(214b)를 가지는 지지부재(21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of FIGS. 7 and 8, in the second assembly area, the first handle frame 210 has a body portion 211 having an inverted U-shaped cross section. The first handle frame 210 includes a support member 214 that extends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211a and has a third protruding support part 214a and a fourth protruding support part 214b facing each other.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3 돌출지지부(214a)는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에 면접촉하게 된다. 이와 함께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4 돌출지지부(214b)는 테두리부(110)의 외측 내면(121)에 면접촉하게 된다.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a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t the same time, the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b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comes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outer inner surface 121 of the edge portion 110.

또한, 제1 핸들프레임(210)은 제3 돌출지지부(214a)와 제4 돌출지지부(214b) 사이의 상부 바디(211a)에서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 결합돌출지지부(215)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결합돌출지지부(215)에는 내측 중심부에 홈이 형성된 제1 걸림턱(31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handle frame 210 includes a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upper body 211a between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a and the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b. do.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protrusion 311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inner center.

제2 핸들프레임(220)은 제1 돌출지지부(222a)와 제2 돌출지지부(222b) 사이의 하부 바디(221a)에서 상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제1 결합돌출지지부(215)에 대응하는 제2 결합돌출지지부(225)를 포함한다. The second handle frame 220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body 221a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b and has a second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It includes 2 combined protruding supports (225).

제2 결합돌출지지부(225)에는 제1 결합돌출지지부(215)에 형성된 제1 걸림턱(311)에 걸려 구속되는 제1 걸림후크(312)가 형성된다. 제1 걸림후크(312)의 선단에는 제1 걸림턱(311)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A first hook 312 is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5 and is caught and restrained by a first hook 311 formed on the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First locking protrusions 311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first hook 312 to face each other.

이와 같이 제1 핸들프레임(210)에 구비된 제1 걸림턱(311)과, 제2 핸들프레임(220)에 구비된 제1 걸림후크(312)로 이루어진 후크 결합부(300)에 의해 제1 핸들프레임과 제2 핸들프레임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됨으로써, 트레이(100)에 대한 핸들 조립체(200)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311 provided on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first hook 312 provid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re formed by the hook coupling portion 300. Since the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upling performance of the handle assembly 200 to the tray 100 can be improved.

도 9 및 도 10의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조립 영역을 보면, 제2 핸들프레임(220)에는 제1 돌출지지부(222a)의 내측 중심부에 홈이 형성된 제2 걸림턱(321)이 형성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of FIGS. 9 and 10, looking at the third assembly area,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formed with a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 having a groove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3 돌출지지부(214a)에는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에 형성된 제2 걸림턱(321)에 걸려 구속되는 제2 걸림후크(322)가 형성된다. 제2 걸림후크(322)의 선단에는 제2 걸림턱(321)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A second hook 322 is attached to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a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by being caught by a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 formed o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 is formed. Second locking protrusions 321 are formed at the tip of the second hook 322 to face each other.

이와 같이 제1 핸들프레임(210)에 구비된 제2 걸림후크(322)와, 제2 핸들프레임(220)에 구비된 제2 걸림턱(321)으로 이루어진 후크 결합부(300)에 의해 제1 핸들프레임(210)과 제2 핸들프레임(220)이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됨으로써, 트레이(100)에 대한 핸들 조립체(200)의 결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locking hook 322 provided on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 provid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re formed by the hook coupling portion 300. Since the handle frame 210 and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upling performance of the handle assembly 200 to the tray 100 can be improved.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걸림후크(312) 및 제2 걸림후크(322)에는 제2 핸들프레임(220) 및 제1 핸들프레임(210)의 바디부(221,211)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301)가 형성된다. 탄성변형부(301)에 의해, 제1 걸림후크(312) 및 제2 걸림후크(322)는 전방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때, 탄성변형부(301)가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결합돌출지지부(225) 및 제3 돌출지지부(214a)에는 탄성변형부(301)의 주변으로 절개공(302)이 형성되며, 절개공(302)의 일측에는 힌지부(303)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3, the first hook 312 and the second hook 322 have a second handle frame 220 and a body portion 221 and 211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tha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301 is form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301, the first hook 312 and the second hook 322 can elastically move forward. At this time, a cut hole 302 is formed around the elastic deformable part 301 in the second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art 225 and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art 214a so that the elastic deformable part 301 can rotate forward, and the cut hole 302 is formed around the elastic deformable part 301. A hinge portion 30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ll 302.

한편,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1 결합돌출지지부(215)는, 제2 핸들프레임(220)의 하부 바디(221a) 상에 지지된다. 제2 핸들프레임(220)의 하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supported on the lower body 221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Deformation due to impact applied from below the second handle frame 220 can be prevented.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3 돌출지지부(214a)에 형성된 제2 걸림후크(322)와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의 내측 내면(122) 사이의 삽입홈(216)에 삽입되는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에는 제2 걸림턱(321)의 홈으로부터 단부까지 여타 다른 지지부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슬림하게 형성되는 슬림부(222a-1)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second hook 322 formed on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a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receiving space formed on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6 between the inner inner surfaces 122 of (120) has other supports from the groove of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321 to the end. A slim portion 222a-1 is formed that is relatively slim compared to the member.

슬림부(222a-1)는,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의 수용 공간(120)에 제1 핸들프레임(2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를 수용 공간(120)의 삽입홈(216)에 삽입 시,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2 걸림후크(322)의 간섭에 의한 삽입홈(216)의 공간 협소를 대비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가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2 걸림후크(322)의 간섭에 의해 삽입홈(216)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슬림부(222a-1)에 의해 삽입홈(216)에 대한 장착 작업을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 slim portion 222a-1 is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when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When inserting (222a) into the insertion groove 216 of the receiving space 120, to prepare for narrowing of the space of the insertion groove 216 due to interference by the second latching hook 322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It is a composition. That is, whe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6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second hook 322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the slim portion Through (222a-1), the mounting operation on the insertion groove 216 can be performed easily and conveniently.

따라서, 제1 돌출지지부(222a)의 적어도 일부분에 슬림부(222a-1)가 형성되어 제1 돌출지지부(222a)가 삽입홈(216)에 삽입될 경우, 제3 돌출지지부(214a)와 제1 돌출지지부(222a) 사이에는 제1 돌출지지부(222a)의 슬림부(222a-1)가 슬림하게 형성된 만큼 여유 간극(g)이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slim portion 222a-1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and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16,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a and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a A clearance gap g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s 222a as the slim portion 222a-1 of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art 222a is formed to be slim.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핸들프레임(210)과 제2 핸들프레임(220)은 후크결합부(30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에 나사 체결없이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ndle frame 210 and the second handle frame 220 are firmly fixed by the hook coupling portion 300 and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 can be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 the space without screw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핸들프레임(220)에 구비된 한 쌍의 지지 리브(223) 사이에 제1 핸들프레임(210)을 긴밀하게 맞닿아 수용함으로써, 제2 핸들프레임(220)에 대한 제1 핸들프레임(21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효과와 함께 지지부재(222)의 측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여 핸들 조립체(200)의 지지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accommodated in close contact between a pair of support ribs 223 provided on the second handle frame 220, so that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t has the effect of guid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210 with respect to (220) and prevents deformation due to impact applied from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222, thereby reinforcing the support rigidity of the handle assembly 200.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핸들프레임(220)의 지지 리브(223)의 양단부에 트레이(100)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며 원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굴곡부(224)를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핸들 조립체(200)의 이동을 제한하면서 핸들 조립체(200)의 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nt portions 224, which correspond to the corner sides of the tray 100 and are curved in an arc shape, ar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 ribs 223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By doing so, the correct position of the handle assembly 200 can be determined while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andle assembly 200.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100)의 테두리부(110)에 제1 핸들프레임(210)을 삽입한 상태에서 제1 핸들프레임(210)의 제2 걸림후크에 의한 삽입홈(216)의 공간 협소로 인해 발생 가능한 제2 핸들프레임(220)의 결합 문제에 대해 제2 핸들프레임(220)의 제1 돌출지지부(222a)를 슬림하게 형성하여 핸들 조립체(200) 장착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handle frame 210 is inserted into the edge portion 110 of the tray 100, the insertion groove ( In response to coupling problems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that may occur due to the narrow space of 216),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 of the second handle frame 220 is formed to be slim, making it easy to install the handle assembly 200. However, it can be done convenient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below.

10 : 본체
11 : 캐비티
12 : 공기유입홀
13 : 전장실
14 : 공기배출홀
15 : 가이드부재
16 : 체결부재
20 ; 도어
21 : 투시창
100 : 트레이
110 : 테두리부
111 : 커링부
111a : 장공
120 : 수용 공간
121 : 외측 내면
122 : 내측 내면
123 : 외측 외면
200 : 핸들 조립체
210 : 제1 핸들프레임
211 : 바디부
211a : 상부 바디
212 : 오목홈
213 : 회전돌기
214 : 지지부재
214a : 제3 돌출지지부
214b : 제4 돌출지지부
215 : 제1 결합돌출지지부
216 : 삽입홈
217 : 일측면
218 ; 타측면
220 : 제2 핸들프레임
221 : 바디부
221a : 하부 바디
222 : 지지부재
222a : 제1 돌출지지부
222a-1 : 슬림부
222b : 제2 돌출지지부
223 : 지지 리브
224 : 굴곡부
224a : 보조돌출지지부
225 : 제2 결합돌출지지부
300 : 후크결합부
301 : 탄성변형부
302 : 절개공
303 : 힌지부
311 : 제1 걸림턱
312 : 제1 걸림후크
321 : 제2 걸림턱
322 : 제2 걸림후크
g : 여유 간극
10: main body
11: Cavity
12: air inlet hole
13: Battle room
14: Air discharge hole
15: Guide member
16: fastening member
20 ; door
21: viewing window
100: Tray
110: border part
111: Curling part
111a: Janggong
120: Accommodation space
121: outer inner surface
122: inner inner surface
123: outer surface
200: handle assembly
210: 1st handle frame
211: body part
211a: upper body
212: concave groove
213: rotating protrusion
214: support member
214a: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4b: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215: first combined protruding support
216: Insertion groove
217: one side
218 ; other side
220: 2nd handle frame
221: Body part
221a: lower body
222: Support member
222a: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222a-1: slim part
222b: second protruding support
223: support rib
224: bend part
224a: Auxiliary protruding support
225: second combined protruding support
300: Hook joint
301: Elastic deformation part
302: cut hole
303: Hinge part
311: 1st locking jaw
312: first catching hook
321: 2nd locking jaw
322: Second catching hook
g: clearance

Claims (11)

조리기기의 캐비티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테두리부가 돌출 형성된 조리기기용 트레이로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테두리부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 공간에 결합되는 핸들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 조립체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 내면에 삽입되며, 둥글게 굴곡 형성되는 커링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와 고정되는 제1 핸들프레임; 및
상기 테두리부 및 상기 제1 핸들프레임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위치가 고정 위치로 유지되도록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제2 핸들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 tray for cooking appliances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vity of a cooking appliance and has an edge protruding upward at the edge,
The tray includes a handle assembly coupled to a receiving space concavely formed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edge portion,
The handle assembly is,
A first handle frame inserted into the out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nd fixed to the edge portion at a curly curved portion; and
A second handle frame coupled between the edge portion and the first handle frame to constrain the movement of the first handle fram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is maintained at a fix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은, 상기 트레이의 측부를 따라 길게 형성된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두리부의 수용 공간의 폭에 비해 좁은 폭을 가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부가 상기 커링부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 및
상기 오목홈으로부터 상기 커링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돌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handle frame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bar long along the side of the tray and having a narrow width compared to the width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 concave groove formed concav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not interfered with by the curling portion; and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rotating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concave groove toward the currying portion a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urry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일측면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수용 공간의 외측 내면으로 편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타측면은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 내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타측면과 상기 수용 공간의 내측 내면 사이에 삽입홈이 형성된,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paragraph 2,
One side of the first handle frame is disposed to be biased toward the out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andle fram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A cooking appliance tray having an insertion groove formed betwee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inner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수용 공간 상면에 접촉하는 상부 바디; 및
상기 상부 바디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제3 돌출지지부 및 제4 돌출지지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3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상기 제1 돌출지지부에 면접촉되고, 상기 제4 돌출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 내면에 면접촉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an upper bod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nd
A support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body and having a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a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facing each other,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and the fourth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an outer inn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제1 핸들 프레임을 지지하는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 양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돌출지지부와 제2 돌출지지부를 가지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돌출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기 수용 공간 내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돌출지지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면에 면접촉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second handle frame is,
A lower body supporting the first handle frame: and
A support member having a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body,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edge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is in surface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edg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하부 바디 상에 상기 제1 돌출지지부와 상기 제2 돌출지지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지지 리브가 서로 이격되어 지지된,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5,
The second handle frame is a cooking appliance tray supported by a pair of support rib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protruding support portion on the lower bod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는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6,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pair of support ribs are each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handle fra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지지 리브의 양단부에 상기 테두리부의 모서리측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In clause 7,
The second handle frame includes curved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ir of support ribs in an arc shape corresponding to a corner side of the edge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핸들프레임과 상기 제2 핸들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핸들프레임과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은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턱의 결합에 의해 고정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5,
One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includes a locking hook,
the other includes a locking jaw,
A tray for a cooking appliance, wherein the first handle frame and the second handle frame are fixed by a combination of the locking hook and the locking protrus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후크는,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하부 바디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결합돌출지지부와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제3 돌출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상부 바디에서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결합돌출지지부와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제1 돌출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9,
The locking hook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 second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body of the second handle frame and a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 first coupling protrud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body of the first handle frame and a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지지부에는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돌출지지부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형성되되,
상기 제2 핸들프레임의 제1 돌출지지부는, 상기 제1 핸들프레임의 제3 돌출지지부의 상기 걸림후크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단부까지 슬림하게 형성된 슬림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용 트레이.

According to clause 10,
The 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and the locking hook is formed on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The first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second handle frame includes a slim portion form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to the end to minimize interference with the hook of the third protruding support portion of the first handle frame. .

KR1020220051670A 2022-04-26 2022-04-26 Tray for cooking appliance KR202301518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670A KR20230151837A (en) 2022-04-26 2022-04-26 Tray for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670A KR20230151837A (en) 2022-04-26 2022-04-26 Tray for cooking appli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837A true KR20230151837A (en) 2023-11-02

Family

ID=8874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670A KR20230151837A (en) 2022-04-26 2022-04-26 Tray for cooking appli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83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2433B2 (en) Oven
EP3853529B1 (en) Oven
US20120285437A1 (en) Door of electric oven
US10443857B2 (en) Cooking appliance
KR101276498B1 (en) Drawer unit and electric oven comprising the same
EP3282817A1 (en) Structure for covering connection line, electric cooking applian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cap of electric cooking appliance
KR20230151837A (en) Tray for cooking appliance
KR100727161B1 (en) Cooking equipment by heating
KR102467315B1 (en) Cooking apparatus
KR100700770B1 (en) Electric oven
EP4343210A2 (en) Household appliance
US10465914B2 (en) Cooking device
KR100697462B1 (en) Oven rack for Electric oven
CN111852230B (en) Household appliance
KR200380809Y1 (en) Oven rack for Electric oven
US20240183540A1 (en) Push-in catalyst assembly for a home cooking appliance
US20220307698A1 (en) Door assembly and a cooking appliance therewith
EP1579152B1 (en) Microwave oven
KR20060035904A (en) Cooling system for electric oven of built-in type
KR0119866Y1 (en) Microwave oven
US20240044499A1 (en) Cooking appliance
KR200380808Y1 (en) Oven cavity for Electric oven
KR100986480B1 (en) A cooker
KR100424588B1 (en) Heat blocking structure of toaster panel for microwave oven having toaster
KR100938384B1 (en) Rack for ov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