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771A - 육공 겸용 모빌리티 - Google Patents

육공 겸용 모빌리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771A
KR20230151771A KR1020220051526A KR20220051526A KR20230151771A KR 20230151771 A KR20230151771 A KR 20230151771A KR 1020220051526 A KR1020220051526 A KR 1020220051526A KR 20220051526 A KR20220051526 A KR 20220051526A KR 20230151771 A KR20230151771 A KR 20230151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rotation shaft
vehicle body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일환
Original Assignee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1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771A/ko
Publication of KR20230151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19/00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 B60B19/02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having characteristics specified in one of the subgroups of this group convertible, e.g. from road wheel to rail wheel; Wheels specially designed for alternative use on road and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B64C1/1476Canopies; Windscreens or similar transparen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52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2Gyrop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과 공중에서 모두 운행 가능하면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여 날씨의 영향을 덜 받고 개인이 직접 운행하기 용이한 육공 겸용 모빌리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공 겸용 모빌리티는, 차체;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에 설치되며, 동축 상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 및 휠을 포함하는 회전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육공 겸용 모빌리티 {Mobility for both land and air}
본 발명은 지면을 주행하거나 공중을 비행할 수 있는 모빌리티에 관한 것이다.
도심 항공 교통 또는 UAM(Urban Air Mobility) 은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하는 차세대 이동수단이다. UAM은 수직이착륙(VTOL, Vertical Tack Off and Landing)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 (PAV, Personal Air Vehicle)와 결합해 하늘을 이동 통로로 활용한다. 이는 도심의 혼잡한 교통 정체로 인한 이동 효율성 저하, 물류 운송 비용 등의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UAM의 프로펠러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로펠러를 회전시키는 로터의 회전축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프로펠러 구동에 의해 UAM은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그리고 UAM의 프로펠러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로터의 회전축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프로펠러 구동에 의해 UAM은 수평 방향으로 순항할 수 있다.
현재 개발 중인 UAM 기술은 크게 세가지로 나누어 진다. 첫째, 수직으로 이륙 후 프로펠러의 로터가 회전 하여 수평 방향으로 순항하게 되는 틸팅 로터 시스템이 있다. 둘째, 여러 개의 프로펠러가 회전하며 수직 이착륙과 순항을 함께 진행하는 멀티콥터 시스템이 있다. 멀티 콥터는 복수의 프로펠러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셋째, 수직 이착륙을 위한 수직 방향의 프로펠러들과 전진을 위한 푸쉬어가 별도로 존재하는 Lift & Cruise 시스템이 있다.
UAM 기체는 기존 항공기들에 비해 매우 가볍고, 도심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날씨의 제약을 많이 받는다. 서울 기준 강수일 수가 연평균 107일 (최근 10년 평균), 눈일 수 25일, 뇌전일 수 20일, 안개일 수 4일, 황사일 수 7일 등 1년에 약 150일 이상 날씨의 영향으로 정상적인 운행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현재의 UAM은 터미널 간의 이동을 가정하고 운행하기 때문에 승객이 UAM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터미널까지 이동을 해야 하고 그렇게 되면 기존 교통 체계에 비해 승객이 시간적으로 얻어지는 이득이 적어진다. 그리고 Terminal 기반이기 때문에 개인이 직접 운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높은 고도를 운행하기 때문에 승객들이 불안감을 느껴 탑승을 꺼려할 확률이 높다. 결국 이는 개인이 운행하기는 어려운 시스템이다.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유럽등록특허공보 EP 038913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면과 공중에서 모두 운행 가능하면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여 날씨의 영향을 덜 받고 개인이 직접 운행하기 용이한 육공 겸용 모빌리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육공 겸용 모빌리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공 겸용 모빌리티는, 차체;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에 설치되며, 동축 상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 및 휠을 포함하는 회전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체의 저부에는 서포터가 설치되며, 서포터는, 상기 차체의 저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차체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신축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는 메인회전축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휠은 상기 메인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서브회전축의 외주에 배치되며, 주행 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축과 서브회전축은 락킹되어 연동되며, 비행 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축과 서브회전축은 락킹 해제되어 상기 메인회전축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회전축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회전축의 일단에는 축 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회전축은 상기 서브회전축 중앙에 삽입되며, 삽입 위치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락킹되거나 이탈되어 락킹 해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서브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출몰 동작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회전축은 상기 전환부에 삽입되고, 측면에 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은, 주행 상태에서 상기 서브회전축의 핀홀에서 이탈하고, 비행 상태에서 상기 서브회전축의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환부와 상기 서브회전축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의 상부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 상면의 상하로 이동하는 푸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비행 상태에서 상기 커버 상측으로 돌출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상기 차체를 추진시키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공 겸용 모빌리티는, 지면 주행 및 공중 비행이 모두 가능하고,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다. 따라서 날씨의 영향을 덜 받고 운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프로펠러와 휠이 동축상에서 구동되며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구동을 위한 구성이 단순해지고 제조 효율 및 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포터 및 푸시부가 주행 또는 비행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주행 및 비행 전환 및 운행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주행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비행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주행 및 비행 상태에서 서포터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전환부, 메인회전축 및 서브회전축의 사시도,
도 5는 전환부 및 서브회전축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주행 및 비행 상태에서 푸시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나란한 방향, 축방향 등 기재된 방향의 의미는 엄격한 의미의 방향뿐만 아니라, 그 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를 이루는 근사한 범위 내의 방향까지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주행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비행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주행 및 비행 상태에서 서포터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전환부, 메인회전축 및 서브회전축의 사시도, 도 5는 전환부 및 서브회전축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일 실시예의 주행 및 비행 상태에서 푸시부의 배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체(100)에 기타 구성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차체(100)의 전후방향 또는 측방향으로는 연결부(200)가 돌출되며, 연결부(200)에는 구동부(3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체(100)의 상부에는 탑승자 보호를 위한 커버(400)가 설치되고, 커버(400)의 내외로 이동 가능한 푸시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구동부(300)는 연결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부(310)와, 전환부(310)에 설치되며 동축 상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331) 및 휠(341)을 포함하는 회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320)가 지면에 접하고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휠(341)의 회전으로 지면과의 마찰에 의해 본 발명이 지면을 주행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부(320)의 배치 상태를 주행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320)가 지면에 접하지 않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프로펠러(331)의 회전으로 양력이 발생하여 비행이 가능하며, 이 상태를 비행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주행 또는 비행 상태에 따른 서포터(120)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차체(100)의 본체(110) 저부에는 서포터(120)가 설치될 수 있다. 서포터(120)는 차체(100) 저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20)는 지면과 접하는 부분인 지지부(121)와, 돌출 길이 조절을 위한 제1연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122)는 피스톤과 같이 형성되어, 총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a)는 주행 상태에서 서포터(120)가 지면에 닿지 않고 차체(100) 측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1연장부(122)는 가변범위 중 최단 길이로 가변된 상태가 된다. 지지부(121)의 돌출 길이는 최소가 된다.
도 3 (b)는 주행 상태에서 비행 상태로 전환하기 전, 서포터(120)가 지면과 접하도록 돌출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1연장부(122)는 가변범위 중 최장 길이로 가변된 상태가 된다. 지지부(121)의 돌출 길이는 최대가 된다. 서포터(120)에 의해 본 발명이 지면에 지지되고, 회전부(320)는 지면에서 떨어지며,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회전부(32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비행 상태에서 주행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3 (c)는 비행 상태에서 서포터(120)가 차체(100) 측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비행 중 서포터(120)가 돌출되면 공기 저항을 유발하여 효율 및 제어 성능을 저감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비행 상태에서는 제1연장부(122)를 최단 길이로 가변하고, 지지부(121)의 돌출 길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즉 주행 또는 비행 상태 전환 시에 서포터(120)를 이용하여 전환을 하고, 주행 중 또는 비행 중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서포터(120)를 차체(100) 측으로 이동시켜 주행 또는 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구동부(300)를 설명한다. 구동부(300)는 연결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하는 전환부(310) 및 전환부(310)에 배치되는 회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310)는 관 형상의 연결부(2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하며, 설치 및 이동 경로 제한을 위한 전환용 홀(210)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환용 홀은 연결부(200)의 상부면으로부터 측부에 이르도록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전환부(310)는 연결부(200) 내측으로 연결되는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연장부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전환부(310)는 내측에 서브회전축(3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을 형성하는 내측면에 제1핀홀(3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핀홀(312)을 통과하는 핀(311)을 포함할 수 있다. 핀(311)의 동작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회전부(320)는 실제 주행 또는 비행을 위해 회전 구동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회전부(320)는 외주에 타이어가 배치되는 원형의 프레임(321)과, 프레임(321) 내측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331) 및 휠(34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펠러(331)는 메인회전축(330)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물로 조립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프로펠러(331)의 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메인회전축(330)은 전환부(310)와 연결되며, 연결부(200) 내측에 배치된 모터(미도시)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휠(341)은 서브회전축(340)의 외주에 방사형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물로 조립되거나 용접될 수 있다. 휠(341)의 일단은 서브회전축(34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레임(32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회전축(340)의 회전에 의해 바퀴 전체가 회전하여 주행이 가능하다.
도 4를 참고하면, 나아가 메인회전축(330)과 서브회전축(340)은 주행 상태에서 서로 락킹되어 연동 가능하며, 비행 상태에서 메인회전축(330)과 서브회전축(340)은 락킹 해제되어 메인회전축(330)만 회전되도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 (a)는 주행 상태에서의 메인회전축(330)과 서브회전축(340)의 배치, 도 4 (b)는 비행 상태에서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보면 서브회전축(34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브회전축(340)의 일단에는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삽입홉(3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회전축(33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브회전축(340) 중앙에 동축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회전축(330)의 삽입 깊이에 따라 프로펠러(331)가 삽입홉(342)에 삽입되어 메인회전축(330)과 서브회전축(340)이 회전 방향으로 락킹되거나, 프로펠러(331)가 삽입홉(342)으로부터 이탈되어 회전 방향으로 락킹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상태에서 메인회전축(330) 회전 시 서브회전축(340), 휠(341) 및 프레임(321)까지 회전하며 회전부(320) 전체가 회전하고, 비행 상태에서 메인회전축(330)만 회전하게 된다.
한편 비행 상태에서 서브회전축(340)이 회전할 필요는 없으므로, 서브회전축(34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술한 핀(311)을 이용할 수 있다. 서브회전축(340)에는 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2핀홀(34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핀(311)이 서브회전축(340)에 삽입되는지 여부에 따라 서브회전축(340)을 구속하거나 구속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5 (a)는 주행 상태에서 핀(311)이 서브회전축(340)을 전환부(310)에 구속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5 (b)에서는 비행 상태에서 핀(311)이 서브회전축(340)을 전환부(310) 구속하여 메인회전축(330)만 회전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고하여 푸시부(500)를 설명한다. 도 6 (a)는 주행 상태에서 푸시부(500)를 이용하지 않는 것을, 도 6 (b)는 비행 상태에서 푸시부(500)를 이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차체(100)의 상부에 운전자 보호를 위해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400)가 설치될 수 있다. 푸시부(500)는 커버(400) 내측 또는 커버(400)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과 같이 커버(400)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 커버(400)에 관통 형성된 푸셔홀(410)을 통해 출몰 동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푸시부(500)는 커버(400)의 상면 상부로 이동하여 노출되거나 커버(400)의 상면 하부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푸시부(500)는 접이식으로 형성되어 커버(400) 상면에 나란한 상태에서 회전하여 커버(400) 상면에 수직한 상태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푸시부(500)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공기를 강제 이송시키는 푸셔(51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510)는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 육공 겸용 모빌리티의 전후 방향으로 공기를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전후 방향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푸시부(500)는 푸셔(51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단이 차체(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푸셔(510)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연장부(520)는 제1연장부(122)와 마찬가지로 피스톤과 같이 형성되어, 총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연장부(520)의 신장 상태에서 푸셔(510)는 커버(400)의 상면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2연장부(520)의 압축 상태에서 푸셔(510)는 커버(400)의 상면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지면에서 주행이 가능하고, 구동부(300)의 위치 전환 서포터(120)의 구동을 통해 수직 이륙이 가능하다. 나아가 푸셔(510)를 가동하여 수평 방향 비행이 가능하여, 육공 겸용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차체 110 본체
120 서포터 121 지지부
122 제1연장부
200 연결부 210 전환용 홀
300 구동부 310 전환부
311 핀 312 제1핀홀
320 회전부 321 프레임
330 메인회전축 331 프로펠러
340 서브회전축 341 휠
342 삽입홈 343 제2핀홀
400 커버 410 푸셔홀
500 푸시부 510 푸셔
520 제2연장부

Claims (6)

  1. 차체;
    상기 차체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차체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환부; 및
    상기 전환부에 설치되며, 동축 상에서 회전되는 프로펠러 및 휠을 포함하는 회전부;
    를 포함하는 육공 겸용 모빌리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저부에는 서포터가 설치되며,
    상기 서포터는, 상기 차체의 저부에 배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차체와 상기 지지부를 연결하며 신축되는 제1연결부를 포함하는 육공 겸용 모빌리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펠러는 메인회전축의 외주에 배치되며,
    상기 휠은 상기 메인회전축과 동축 상에 배치되는 서브회전축의 외주에 배치되며,
    주행 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축과 상기 서브회전축은 락킹되어 연동되며, 비행 상태에서 상기 메인회전축과 상기 서브회전축은 락킹 해제되어 상기 메인회전축만 회전하는 육공 겸용 모빌리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회전축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회전축의 일단에는 축 방향으로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메인회전축은 상기 서브회전축 중앙에 삽입되며, 삽입 위치에 따라 상기 프로펠러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락킹되거나 이탈되어 락킹 해제되도록 배치되는 육공 겸용 모빌리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서브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출몰 동작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서브회전축은 상기 전환부에 삽입되고, 측면에 핀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은, 주행 상태에서 상기 서브회전축의 핀홀에서 이탈하고, 비행 상태에서 상기 서브회전축의 핀홀에 삽입되어 상기 전환부와 상기 서브회전축이 결합되는 육공 겸용 모빌리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상부에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는 커버; 및
    상기 커버 상면의 상하로 이동하는 푸시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는, 비행 상태에서 상기 커버 상측으로 돌출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상기 차체를 추진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육공 겸용 모빌리티.
KR1020220051526A 2022-04-26 2022-04-26 육공 겸용 모빌리티 KR20230151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26A KR20230151771A (ko) 2022-04-26 2022-04-26 육공 겸용 모빌리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526A KR20230151771A (ko) 2022-04-26 2022-04-26 육공 겸용 모빌리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771A true KR20230151771A (ko) 2023-11-02

Family

ID=8874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526A KR20230151771A (ko) 2022-04-26 2022-04-26 육공 겸용 모빌리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77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8913B1 (de) 1980-04-26 1983-05-25 Munters Euroform GmbH Füllkörper für den Wärmeaustausch von Stoff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38913B1 (de) 1980-04-26 1983-05-25 Munters Euroform GmbH Füllkörper für den Wärmeaustausch von Stoff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6162B2 (en) Short takeoff and landing vehicle with forward swept wings
JP4469081B2 (ja) 航空機の改良
CN105730170B (zh) 四涵道垂直起降飞行汽车
US20100294877A1 (en) VTOL lifting body flying automobile
EP3335914B1 (en) Vehicle including control pedal arrangement
CN113071275A (zh) 垂直起降的空中移动概念车
CN113365917B (zh) 多模式载具及其操作方法
US20190256193A1 (en) Folding propeller
AU2018267204B2 (en) Method of transformation of motor transportation vehicle for ground and air transport, motor transportation vehicle
CN105730168B (zh) 三涵道垂直起降飞行汽车
WO2019052142A1 (zh) 飞行汽车
JP6631367B2 (ja) 空陸両用乗物
KR20230151771A (ko) 육공 겸용 모빌리티
EP3315404B1 (en) Configurable tail for flying car
DE102009060611A1 (de) Tragflächen und Ausstattung für ein flugfähiges Straßenfahrzeug
CN112622548A (zh) 一种飞行汽车
JP4085716B2 (ja) 垂直離着陸機
CA2884549C (en) Air-thrust vehicle
RU2770718C1 (ru) Гибри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автолет соосной схемы
CN112839829A (zh) 私人自主飞行器
WO2003076224A2 (en) Ducted channel wing, high-lift devices and vehicles therefor
CN103419924B (zh) 海陆空全能羽翼式气流定向飞行器
JP2022028578A (ja) 飛行体
Zhang et al. Preliminary Aerodynamic Simulation of a Flying Car Concept
CN108437720A (zh) 一种复合旋翼飞行汽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