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741A -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741A
KR20230151741A KR1020220051458A KR20220051458A KR20230151741A KR 20230151741 A KR20230151741 A KR 20230151741A KR 1020220051458 A KR1020220051458 A KR 1020220051458A KR 20220051458 A KR20220051458 A KR 20220051458A KR 20230151741 A KR20230151741 A KR 2023015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display
vehicle system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960B1 (ko
Inventor
이상수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51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960B1/ko
Publication of KR2023015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6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2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 B60R1/23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 B60R1/25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outside the vehicle, e.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with a predetermined field of view to the sides of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a re-scaling of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8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 B60R2300/8066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intended use of the viewing arrangement for monitoring rearward traff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VEHICLE SYSTEM WITH INTEGRATED DIGITAL ROOM MIRROR,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종래의 거울로 구성된 차량용 룸미러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룸미러로 대체하여, 좌측 리어 카메라, 우측 리어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로부터 각각 획득한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용 룸미러는 차량 내부를 비추거나, 차량의 후면에 대한 접근성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의 거울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후방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의 경우, 후방 카메라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영상)을 또 다른 디스플레이를 구비해야만 확인이 가능하여, 차량 내부적으로 공간 소모가 발생하며, 추가 디스플레이의 설치에 따른 비용 소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7925호, 2019.05.07.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러로써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후방 미러 이미지, 좌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 및 우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는,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때, 프로세서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의 기 매칭된 영역 별로 각각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추가로,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카메라 중, 백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 복수의 카메라 중, 좌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및 복수의 카메라 중, 우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제3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 대한 화면 전환, 크기 변경, 및 비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중 비 활성화 상태인 영역이 룸미러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 내지 제3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된 객체 중, 출력된 영역 내에서의 비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주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주의 객체가 출력된 주의 영역을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중 선택하고, 주의 객체가 주의 영역 내에서의 비율이 임계치 미만이 되는 시점까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주의 영역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증가시키고, 디스플레이에서 주의 영역의 크기를 제외한 잔여 영역에 대해,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중 주의 영역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영역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는, 방향 지시등 동작 여부를 식별하고, 방향 지시등이 동작된 것으로 식별되면, 동작이 실행된 방향을 획득하고,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 중, 방향에 대한 방향 이미지를 선택하고, 방향 지시등이 비활성화되는 시점까지,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방향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이,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제1 영역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제1 영역에서 각각 출력되는 비율을 바탕으로,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각각의 객체가 갖는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및 기 설정된 안전 거리의 차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값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영역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은, 운전자의 시선을 모니터링하는 제4 카메라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제4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4 이미지를 바탕으로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운전자의 시선을 트래킹하고, 트래킹 결과를 바탕으로 좌우 방향 중 일 방향을 선택하고,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 중, 선택된 일 방향에 대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일정 크기로 확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시스템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차량용 시스템이,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차량용 시스템이,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및 차량용 시스템이,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는, 제1 이미지에 객체가 식별되지 않거나, 또는 제1 이미지에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제1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1 영역을 거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은, 차량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 및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이때, 프로세서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의 기 매칭된 영역 별로 각각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의 영역 별 크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에 의하면, 거울 모드 및 카메라 영상 출력 모드로의 전환에 의해, 상황에 따른 실용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후방에 근접한 사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후방에 대한 이미지를 출력하지 않고, 해당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거울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출력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또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 또는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또는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또는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100)은 차량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10),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120) 및 카메라 모듈(110), 및 디스플레이(120)와 연결된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120)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영상 전화기,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인공지능 스피커(AI speak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시스템(100)은 메모리,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차량용 시스템(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칩, 저전력 블루투스 칩(BLE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LAN 방식,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 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5th Gener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차량용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및 버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RAM, ROM, 그래픽 처리부, 메인 CPU,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AM은 O/S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시스템(100)가 부팅되면 O/S가 RAM에 저장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데이터가 RAM에 저장될 수 있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여기서, 연산부는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는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하는 구성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될 수 있다.
메인 CPU는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획득하고,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신규 학습용 데이터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상기 테스트 결과, 라벨링된 정보가 소정의 제1 기준값 이상의 정확도로 획득되는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제1 학습용 데이터를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추출된 학습용 데이터가 삭제된 상기 신규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된 모델을 다시 학습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서(130)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그래픽 처리부, 램 및 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에는 프로세서(13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본 흐름도이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출력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100)에 있어서,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20)의 기 매칭된 영역 별로 각각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10)에 포함된 제1 카메라로부터 제1 이미지를, 제2 카메라로부터 제2 이미지를, 제3 카메라로부터 제3 이미지를 각각 획득(S310)하고, 획득된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의 제1 영역(B)에 출력(S320)하고,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의 제2 영역(L)에 출력(S330)하고,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의 제3 영역(R)에 출력(S340)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10)은, 복수의 카메라 중, 백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 복수의 카메라 중, 좌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및 복수의 카메라 중, 우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한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에 대한 화면 전환, 크기 변경, 및 비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UI(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중 비 활성화 상태인 영역이 룸미러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이미지 내지 제3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객체는, 다른 차량, 자전거, 전철, 오토바이, 행인 등에 대한 이미지이다.
식별된 객체 중, 출력된 영역 내에서의 비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주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주의 객체가 출력된 주의 영역을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중 선택하고, 주의 객체가 주의 영역 내에서의 비율이 임계치 미만이 되는 시점까지,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되는 주의 영역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증가시킨다.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주의 영역 내에서, 대각선의 길이(α2)가 임계치를 초과하는 객체 인식 영역을 나타내는 사각형을 식별한다.
이때, 식별된 사각형으로부터 주의 영역 내의 잔여 영역에 대한 폭의 길이를 나타내는 값이 2개 이하로 검출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폭의 길이가 가로 방향인 가로폭 값(β3)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로폭 값을 기준으로 차선 변경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좌측 및 우측 중 주의 영역에 대한 방향으로의 차선 변경을 경고하는, 기 설정된 신호를 주의 영역에 대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에서 주의 영역의 크기를 제외한 잔여 영역에 대해,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중 주의 영역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영역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30)는 주의 영역이 복수인 경우,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구간이 정체 구간 또는 신호 대기 구간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의 크기를 기 설정된 기본 규격으로 제한할 수 있다.
주의 영역이 복수인 상태에서 비상 경고등이 동작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가장 근접한 객체에 대한 객체 인식 영역인 사각형의 대각선 길이(α1) 변화율, 객체 인식 영역에 대해 제1 영역이 갖는 양쪽 가로방향 폭의 길이(β1, β2)가 서로 간에 갖는 비율의 변화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길이를 바탕으로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 중 가장 근접한 객체가 제1 카메라에 대해 갖는 상대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상대 속도를 바탕으로 정체 구간 또는 신호 대기 구간에 따른 권장 최저 속도를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양쪽 가로방향 폭의 길이가 서로 간에 갖는 비율의 변화율을 바탕으로 후방 차량의 제1 카메라에 대한 방향(각도)을 산출하고, 산출된 방향 및 대각선의 길이 변화율을 바탕으로 후방 차량의 방향과 속력에 대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방향 지시등 동작 여부를 식별하고, 방향 지시등이 동작된 것으로 식별되면, 동작이 실행된 방향을 획득하고,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 중, 방향에 대한 방향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방향 지시등이 비활성화되는 시점까지,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되는 방향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제1 영역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유지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제1 영역에서 각각 출력되는 비율을 바탕으로,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각각의 객체가 갖는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 및 기 설정된 안전 거리의 차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값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영역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여, 안전 거리가 확보된 뒷 차량에 대해서는 제1 이미지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지 않아 운전자의 시청 피로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10)은, 운전자의 시선을 모니터링하는 제4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제4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4 이미지를 바탕으로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운전자의 시선을 트래킹하고, 트래킹 결과를 바탕으로 좌우 방향 중 일 방향을 선택하고,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 중, 선택된 일 방향에 대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일정 크기로 확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운전 석에 대한 제4 이미지를 제4 카메라로부터 획득하고, 제4 이미지를 바탕으로 운전자의 동공이, 일정 시간 간격 동안 디스플레이(120)를 기준으로 좌향 또는 우향 중 일 방향에 대해 임계 시간 이상으로 시선이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방향에 대해 차선 변경을 준비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방향에 대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해당 방향에 대한 이미지, 즉, 선택된 일 방향에 대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 이외의 2개의 영역에 대하여, 잔여 영역을 동일하게 분할하여 할당함으로써, 제1 이미지 내지 제3 이미지가 모두 디스플레이(120) 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130)는 차량의 기어가 후진 모드인 경우, 제1 이미지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 전체가 연결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용 시스템(100)이,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S310 단계, 차량용 시스템(100)이,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의 제1 영역에 출력하는 S320 단계, 차량용 시스템(100)이,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의 제2 영역에 출력하는 S330 단계, 및 차량용 시스템(100)이, 제3 이미지를 디스플레이(120)의 제3 영역에 출력하는 S340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차량용 시스템(100)이 단계 S320을 수행함에 있어서, 차량용 시스템(100)은 제1 이미지에 객체가 식별되지 않거나, 또는 제1 이미지에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제1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제1 영역을 거울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이 면에 따른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100)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이때,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120)의 기 매칭된 영역 별로 각각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고,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120)의 영역 별 크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파이썬(Python)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차량용 시스템
110 : 카메라 모듈
120 : 디스플레이
130 : 프로세서

Claims (10)

  1. 차량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 매칭된 영역 별로 각각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백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카메라;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좌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2 카메라; 및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우측 사이드 미러 이미지를 획득하는 제3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1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3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3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에 대한 화면 전환, 크기 변경, 및 비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카메라 내지 제3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비활성화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중 비 활성화 상태인 영역이 룸미러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 내지 상기 제3 이미지 각각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객체 중, 출력된 영역 내에서의 비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주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주의 객체가 출력된 주의 영역을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중 선택하고,
    상기 주의 객체가 상기 주의 영역 내에서의 비율이 임계치 미만이 되는 시점까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주의 영역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증가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주의 영역의 크기를 제외한 잔여 영역에 대해,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중 상기 주의 영역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나머지 영역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시스템.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방향 지시등 동작 여부를 식별하고,
    방향 지시등이 동작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동작이 실행된 방향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 중, 상기 방향에 대한 방향 이미지를 선택하고,
    상기 방향 지시등이 비활성화되는 시점까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방향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이,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을 포함하는 크기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영역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유지하는, 차량용 시스템.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제1 영역에서 각각 출력되는 비율을 바탕으로, 상기 제1 카메라를 기준으로 각각의 객체가 갖는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거리 및 기 설정된 안전 거리의 차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차값이 일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영역이 비활성화 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용 시스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운전자의 시선을 모니터링하는 제4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4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제4 이미지를 바탕으로 일정 시간 간격 동안 운전자의 시선을 트래킹하고,
    트래킹 결과를 바탕으로 좌우 방향 중 일 방향을 선택하고,
    상기 제2 이미지 및 상기 제3 이미지 중, 상기 선택된 일 방향에 대한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을 일정 크기로 확대하는, 차량용 시스템.
  8. 제1 항의 차량용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시스템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제1 이미지, 제2 이미지 및 제3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시스템이, 상기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차량용 시스템이, 상기 제2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용 시스템이, 상기 제3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3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에 객체가 식별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1 이미지에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객체가 상기 제1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영역을 거울 모드로 전환하는, 차량용 시스템의 제어 방법.
  9.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8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서 독출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차량의 후방,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사용자 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차량 내부에 배치되고, 운전자의 시야 범위 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기 매칭된 영역 별로 각각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획득된 사용자 명령을 바탕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의 영역 별 크기를 제어하는, 차량용 시스템.
KR1020220051458A 2022-04-26 2022-04-26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27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58A KR102627960B1 (ko) 2022-04-26 2022-04-26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458A KR102627960B1 (ko) 2022-04-26 2022-04-26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741A true KR20230151741A (ko) 2023-11-02
KR102627960B1 KR102627960B1 (ko) 2024-01-19

Family

ID=8874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458A KR102627960B1 (ko) 2022-04-26 2022-04-26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9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501A (ko) * 1997-06-25 1997-10-13 황일행 후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후방 감시용 룸미러
KR20110080985A (ko) * 2010-01-07 2011-07-13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다시점 룸미러
KR20180063917A (ko) * 2016-12-02 2018-06-14 안재홍 자동차용 후방 관찰장치
KR20180065527A (ko) * 2016-12-08 2018-06-18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 후측방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고 방법
KR101977925B1 (ko) 2017-08-31 2019-05-13 이종목 차량용 룸미러
JP2020093574A (ja) * 2018-12-10 2020-06-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501A (ko) * 1997-06-25 1997-10-13 황일행 후방 감시 카메라를 이용한 후방 감시용 룸미러
KR20110080985A (ko) * 2010-01-07 2011-07-13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차량용 다시점 룸미러
KR20180063917A (ko) * 2016-12-02 2018-06-14 안재홍 자동차용 후방 관찰장치
KR20180065527A (ko) * 2016-12-08 2018-06-18 경창산업주식회사 차량 후측방 경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고 방법
KR101977925B1 (ko) 2017-08-31 2019-05-13 이종목 차량용 룸미러
JP2020093574A (ja) * 2018-12-10 2020-06-1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960B1 (ko) 2024-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693B1 (en) Determining comfort settings in vehicles using computer vision
US11488398B2 (en) Detecting illegal use of phone to prevent the driver from getting a fine
US10628670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and iris recognition method thereof
US11891002B1 (en) Determining comfort settings in vehicles using computer vision
US11713600B1 (en) Child safety lock
US10744936B1 (en) Using camera data to automatically change the tint of transparent materials
CN106663400B (zh) 用于可穿戴显示器的管理
US11715180B1 (en) Emirror adaptable stitching
US10956759B1 (en) Age detection in vehicles using computer vision
US20140240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11161456B1 (en) Using the image from a rear view camera in a three-camera electronic mirror system to provide early detection of on-coming cyclists in a bike lane
US20170287192A1 (en) User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an object image in which a feature part changes based on image metadata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091446A (ja) ユーザ入力に基づいた車両オブジェクトセンサ装置による画像取り込み
KR20200071841A (ko) 차량용 음성명령어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048022A1 (en) Management for wearable display
KR102174863B1 (ko) 자율주행 차량의 외장 디스플레이 인터랙션 장치 및 방법
CN111989917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627960B1 (ko) 통합형 디지털 룸미러가 장착된 차량용 시스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9891459B (zh) 图像处理装置及图像处理方法
KR10252927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55887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301346A1 (en) Learning apparatus, learning system, and nonverbal information learning method
US11989345B1 (en) Machine learning based forecasting of human gaze
KR20180056268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256711A1 (en) Object tracking apparatus, object track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