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646A - A tourniquet - Google Patents

A tourniqu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646A
KR20230151646A KR1020220051224A KR20220051224A KR20230151646A KR 20230151646 A KR20230151646 A KR 20230151646A KR 1020220051224 A KR1020220051224 A KR 1020220051224A KR 20220051224 A KR20220051224 A KR 20220051224A KR 20230151646 A KR20230151646 A KR 2023015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expansion
tourniquet
ai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2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유찬
Original Assignee
송유찬
주식회사 케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찬, 주식회사 케이엔티 filed Critical 송유찬
Priority to KR1020220051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646A/en
Publication of KR2023015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46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22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 A61B17/1325Tourniquets comprising a flexible encircling member with means for applying local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지혈대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와, 기다랗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팽창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융착부들을 갖는, 팽창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팽창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팽창부와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융착부들 중 일부에 상기 제1 면이 상기 팽창부와 함께 융착되어 상기 팽창부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면에 접착되고 나머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한다.The tourniqu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n elongated form with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expands when air flows in through the air inlet, is 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and has a flow path in the length direction. an expansion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fused portion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irst surfac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expansion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cing the expansion portion, and It has a second side that is the opposite side, and the first side of some of the fusion portions is fused with the expansion portion and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ortion, and a portion is adhered to the second sid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remainder is a length. It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that is formed to extend further outward from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direction.

Description

지혈대{A tourniquet}A tourniquet

본 발명은 지혈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외과 수술 과정에서 팔 또는 다리에 신속하게 착용하여 환자의 지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혈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rniquet, and more specifically, to a tourniquet that can be quickly worn on an arm or leg during a surgical operation to facilitate hemostasis in a patient.

계속적인 출혈로 인한 혈액의 손실은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부상자의 발생이나 외과 수실시 수술 부위로 혈액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일반적으로 지혈대가 사용되고 있다. 지혈대는 팔이나 다리 등의 수술 부위를 기준으로 심장에 가까운 방향으로 팔이나 다리에 착용한 상태로 환부를 압박하여 출혈을 최소화함으로써 부상으로 인한 출혈시나 외과 수술로 인한 출혈시 환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해준다.Blood loss due to continued bleeding can cause death. To prevent this, tourniquets are generally used to block the supply of blood to the surgical site when an injury occurs or during a surgical operation. A tourniquet is worn on an arm or leg in a direction close to the heart based on the surgical site, such as an arm or leg, and minimizes bleeding by compressing the affected area, thereby ensuring patient safety in the event of bleeding due to an injury or surgical operation. It allows you to

도 1은 종래의 지혈대의 한 종류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혈대는 벨크로 테이프(미도시)가 부착된 외피(1), 외피(1) 속에 삽입되며 공기 주입구(21)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는 팽창부(2)와 팽창부(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팽창부(2)와 지지부재(3)를 빼낸 상태를 나타내었고, 사용시에는 팽창부(2)와 지지부재(3)를 외피(1) 속에 삽입한 상태로 사용한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지혈대는 공기를 투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 부위에 감은 상태에서 공기 주입구(21)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신체 부위가 압박되도록 하여 지혈을 도모한다.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one type of conventional tourniquet. Referring to FIG. 1, a conventional tourniquet includes an outer shell (1) to which a Velcro tape (not shown) is attached, an expansion portion (2) that is inserted into the outer sheath (1) and into which air is injected through an air inlet (21), and an expansion portion.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3) to support (2). In Figure 1, the expansion part (2) and the support member (3) are shown with the expansion part (2) and the support member (3) remov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When used, the expansion part (2) and the support member (3) are used with the expansion part (2) and the support member (3) inserted into the shell (1). . A conventional tourniquet as shown in Figure 1 is wrapped around a body part such as an arm or leg without injecting air, and then inflated by injecting air through the air inlet 21 to compress the body part and thereby achieve hemostasis.

이와 같은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된 외피를 사용하는 방식의 지혈대는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216790호(2021년 02월 09일 등록),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81279호(2015년 01월 05일 등록) 등에도 개시된 바 있다.Tourniquets using a shell with Velcro tape attached include Korea Patent No. 10-2216790 (registered on February 9, 2021) and Korea Patent No. 10-1481279 (registered on January 5, 2015). registration) has also been disclosed.

이와 같은 종래의 지혈대는 팽창부를 삽입하기 위한 외피를 사용함으로 인해 일회성으로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며, 반복 사용함으로 인해 위생면에서도 문제가 많다. 뿐만 아니라, 외피 내에 팽창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팽창부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여 공기의 주입이 원활하지 않아서 신속하게 지혈을 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문제는 지지부재(3)를 함께 외피 내에 삽입하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지혈대에 대한 요구가 있다.Such a conventional tourniquet is unsuitable for one-time use due to the use of a shell for inserting the expansion part, and has many problems in terms of hygiene due to repeated use. In addition, when air is injected with the expansion part inserted into the outer shell, twisting of the expansion part occurs, making it difficult to inject air smoothly, often preventing rapid hemostasis. This problem is the same even if the support member 3 is inserted into the shell togeth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cept of tourniquet that can solve these various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81279호(2015년 01월 05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81279 (registered on January 5, 2015)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216790호(2021년 02월 09일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216790 (registered on February 9, 20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지혈대에 있어서 신체를 압박하기 위해 팽창하는 팽창부를 외피 내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일회성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고, 외피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비위생적이며, 외피 내에 팽창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부를 팽창시킴에 있어서 꼬임 현상의 잦은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된 지혈대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is that the conventional tourniquet is unsuitable for one-time use because the expansion part that expands to compress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outer shell, and is unhygienic due to repeated use of the outer skin. The aim is to provide an improved tourniquet that can solve the problem of frequent twisting when inflating the expansion part by injecting air in the inserted stat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지혈대는,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와, 기다랗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팽창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융착부들을 갖는, 팽창부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팽창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팽창부와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융착부들 중 일부에 상기 제1 면이 상기 팽창부와 함께 융착되어 상기 팽창부와 연결되는 지지부와,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면에 접착되고 나머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ourniquet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formed with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is elongated, expands when air flows in through the air inlet, and is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an expansion portion that is spaced apart and has a plurality of fused portion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ow pa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expansion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aces the expansion portion. It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a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art by fusion of the first surface with the expansion part to some of the fusion parts, and a part of the support part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that is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urther outside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융착부들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융착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제2 융착부와, 상기 제1 융착부와 상기 제2 융착부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 개의 중간 융착부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usion portions include a first fusion portion located closest to the air inlet, a second fusion portion located furthest from the air inlet, and the first fusion portion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usion portion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융착부 및 상기 제2 융착부에만 상기 팽창부와 함께 융착되고 상기 중간 융착부들에는 융착되지 않는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pport portion is fused together with the expansion portion only to the first fusion portion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and is not fused to the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융착부는 상기 팽창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융착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서, 상기 팽창부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서 커팅 수단을 통해 커팅하기 위한 커팅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fusion portion is located at an end of the expansion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expansion portion does not exist between the first fusion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ut through a cutting means. It includes a cutting part for doing thi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팽창부의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단부가 상기 팽창부에 융착된 공기 주입 호스와, 상기 공기 주입 호스의 단부의 눌림을 억제하도록 상기 공기 주입 호스의 내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ir inlet part includes an air injection hose whose end is fused to the expansion part to form a flow path inside the expansion part, and an inside of the air injection hose to suppress the end of the air injection hose from being pressed. Includes a sleeve coupled to.

본 발명은 개선된 지혈대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지혈대에 있어서 신체를 압박하기 위해 팽창하는 팽창부를 외피 내에 삽입하여 사용함으로 인해 일회성으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문제, 그리고 외피의 반복 사용으로 인한 비위생적인 문제, 외피 내에 팽창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부를 팽창시킴에 있어서 꼬임 현상의 잦은 발생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tourniquet,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unsuitability for one-time use due to the expansion part of the conventional tourniquet being inserted into the shell to compress the body, and the unhygienic problem due to repeated use of the shell. This has the effect of solving the problem of frequent occurrence of twisting phenomenon when inflating the expansion part by injecting air while the expans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outer shell.

도 1은 종래의 지혈대의 한 종류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일단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타단이면서 접착부(13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hotograph showing one type of conventional tourniquet,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tourniqu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ne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part 130,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ttached drawings and examples are simplified and illustrated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those skilled in the art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일단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타단이면서 접착부(13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 tourniqu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and Figure 4 is a In Figure 2, it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ne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and Figure 5 is the other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hesive part 130. This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혈대는, 지혈을 위해 팔이나 다리 등의 신체 부위에 말아서 착용한 상태에서 접착부(130)에서 이형지(도 5의 133)를 떼어낸 후 접착시트(도 5의 131)에서 접착제(도 5의 132)가 도포된 부분이 지지부(120)의 제2 면(도 3의 F2)에 접착되도록 한 후 공기 유입부(140, 142, 144)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팽창부(110)가 팽창하면서 신체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을 도모하게 된다. 신체 부위에 지혈대가 말려서 착용된 상태를 고려하여 보면 이 상태에서 팽창부(110)는 항상 안쪽으로 위치하고 지지부(120)는 항상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tourniqu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lled up and worn on a body part such as an arm or leg for hemostasis, and the release paper (133 in FIG. 5) is removed from the adhesive portion 130 and then applied to the adhesive sheet (FIG. At 131 in 5, the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132 in FIG. 5) is applied is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F2 in FIG. 3) of the support part 120, and then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s 140, 142, and 144. When air is injected, the expansion unit 110 expands and puts pressure on the body part to achieve hemostasis. Considering the state in which the tourniquet is rolled and worn on a part of the body, in this state, the expansion portion 110 is always located inward and the support portion 120 is always located on the outside.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혈대는, 팽창부(110), 지지부(120), 접착부(130) 및 공기 유입부(140, 142, 144)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ure 2, the tourniqu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pansion part 110, a support part 120, an adhesive part 130, and an air inlet part 140, 142, and 144.

팽창부(110)는 기다랗게 형성되고 공기 유입부(140, 142, 14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팽창한다. 팽창부(110)는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얇고 플렉서블한 두 개의 시트지를 맞대어 외주의 전 구간을 융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두 개의 시트지가 대체로 맞닿아 있으나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팽창함으로써, 착용된 신체 부위를 압박할 수 있게 된다. 팽창부(110)의 재료로서는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10)는 길이 방향(도 2에서는 상하 방향이고 도 3의 (a)에서는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 개의 융착부들(1501, 1502, ..., 150n)을 갖는다.The expansion portion 110 is formed to be long and expands when air flows in through the air inlet portions 140, 142, and 144. The expansion portion 110 may be formed by welding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wo thin, flexible sheets together to form a space through which air can be introduced. In a state where air is not introduced, the two sheets are generally in contact, but when air is introduced, they expand and can put pressure on the body part where they are worn. Urethane may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expansion portion 110. In addition, the expansion portion 110 has a plurality of fusion portions 1501, 1502, ..., 150n locat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 and down direction in FIG. 2 and left and right direction in FIG. 3 (a)). ) has.

융착부들(1501, 1502, ..., 150n)은 길이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다. 즉, 팽창부(110)의 폭(W1)에 비해 더 짧은 길이를 갖도록 융착부들(1501, 1502, ..., 150n)이 위치함으로써 공기 유입부(140, 142, 14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될 때 길이 방향으로 유로가 형성되어 팽창부(110)의 전 구간이 골고루 팽창하여 신체 부위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압박할 수 있게 된다. 융착부들(1501, 1502, ..., 150n)은 팽창부(110)를 이루는 두 개의 시트지를 융착함으로써 형성되며, 도 2에서 S1과 S2로 표시한 바와 같이 양측으로 유로가 생길 수 있도록 팽창부(110)의 전체 폭(W1) 중에서 일부분에만 형성된다.The fusion portions 1501, 1502, ..., 150n are formed only in some sections in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ow pa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fusion portions 1501, 1502, ..., 150n are position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width W1 of the expansion portion 110, so that air flows in through the air inlet portions 140, 142, and 144. When this happens, a flow pat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lowing the entire section of the expansion part 110 to expand evenly, thereby quickly and efficiently compressing the body part. The fusion portions 1501, 1502, ..., 150n are formed by fusing two sheets forming the expansion portion 110, and th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to create flow paths on both sides as indicated by S1 and S2 in FIG. 2. It i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total width (W1) of (110).

융착부들(1501, 1502, ..., 150n)은 공기 유입부(140, 142, 144)에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융착부(1501)와 공기 유입부(140, 142, 144)의 반대편 즉, 공기 유입부(140, 141, 144)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제2 융착부(150n)와, 제1 융착부(1501)와 제2 융착부(150n)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중간 융착부들(1502, 1503, ..., 150n-1)을 포함한다. 중간 융착부가 1개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지혈대의 전체 길이를 고려하여 볼 때,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usion portions 1501, 1502, ..., 150n are formed on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located closest to the air inlet portion 140, 142, 144 an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air inlet portion 140, 142, 144. ,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located furthest from the air inlets 140, 141, and 144, and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locate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t includes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1502, 1503, ..., 150n-1. Although only one intermediate fusion portion may be formed, considering the entire length of the tourniquet, it is preferable to have multiple portions.

중간 융착부들(1502, 1503, ..., 150n-1)은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중간 융착부들(1502, 1503, ..., 150n-1)이 형성되지 않고 양측의 제1 융착부(1501)와 제2 융착부(150n)만 형성되면, 지혈대를 신체 부위에 착용할 경우 팽창부(110)의 꼬임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공기 유입부(140, 142, 144)를 통해 공기를 유입하더라도 팽창부(110)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하게 주입되지 않아서 착용된 신체 부위를 원활하게 압박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신속한 지혈 효과를 도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팽창부(110)를 길이 방향으로 일정 구간을 구획하여 꼬임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중간 융착부들(1502, 1503, ..., 150n-1)을 형성한다.The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1502, 1503, ..., 150n-1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ing as shown in (c) of FIG. 3. In this way, the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1502, 1503, ..., If 150n-1) is not formed and only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on both sides are formed, when the tourniquet is worn on the body part, twisting of the expansion portion 110 occurs and the As a result, even if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parts 140, 142, and 144, the air is not smoothly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expansion part 110, making it impossible to smoothly press the worn body part, ultimately achieving a rapid hemostasis effect. You won't be able to do it. Therefor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shortcoming, the expansion portion 110 is divided into a certain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1502, 1503, ..., 150n-1 to prevent twisting.

도 3을 더 참조하면, (a)에서는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팽창부(110)와 지지부(120)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다른 구성요소들은 배제시켜 도시하였다. 양측에 점선 원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융착부(1501)와 제2 융착부(150n)에 의해 팽창부(110)와 지지부(120)가 서로 연결된다. (b)에서 더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팽창부(110)에서는 두 개의 시트지(110a, 110b)가 서로 마주하며, 공기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로 달라붙어 있거나 약간의 공간(110c)을 갖도록 이격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혈대를 신체 부위에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두 개의 시트지(110a, 110b)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공간(110c)이 넓어지게 되면서 신체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이 이루어진다.Referring further to FIG. 3, in (a),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a state in which air is not injected. As indicated by dotted circles on both sides, the expansion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As shown in greater detail in (b), in the expansion portion 110, the two sheets 110a and 110b face each other, and when no air is introduced, they stick to each other or are spaced apart to have a slight space 110c. It is done. Although not shown, when air is injected while a tourniquet is worn on a body part, the gap between the two sheets (110a, 110b) widens due to the inflowing air, thereby widening the space (110c), putting pressure on the body part. Hemostasis is achieved.

제1 융착부(1501)와 제2 융착부(150n)에만 팽창부(110)와 함께 지지부(120)가 융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방향으로 볼 때, 대체로 양측에만 각각 제1 융착부(1501)와 제2 융착부(150n)에 의해 팽창부(110)와 지지부(120)가 연결되어 있다.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융착부의 더 외측(도 2의 상측 방향 또는 도 3의 좌측 방향)으로도 팽창부(110)를 이루는 두 개의 시트지가 더 연장되어 있으며, 연장된 시트지 부분에 공기 유입부(140, 142, 144)가 위치한다. 공기 유입부(140, 142, 144)에 관하여는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The support portion 120 along with the expansion portion 110 may be fused only to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Therefore,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xpansion portion 110 and the support portion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ly on both sides by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Two sheets constituting the expansion part 110 extend further outside the first fusion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upper direction in FIG. 2 or left direction in FIG. 3), and an air inlet part is provided in the extended sheet portion ( 140, 142, 144) are located. The air inlets 140, 142, and 14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지지부(1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팽창부(110)와 나란히 배치되고, 팽창부(110)와 마주하는 제1 면(도 3의 F1)과 제1 면(F1)의 반대 면인 제2 면(F2)을 가지며, 융착부들 중 일부, 즉 제1 융착부(1501)와 제2 융착부(150n)이 팽창부(110)와 함께 융착되어 팽창부(120)와 연결된다. 지지부(120)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PE)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러한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120)도 또한 플렉서블한 재료로 형성되나, 지혈대가 신체 부위에 착용된 상태에서 팽창부(110)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하는 경우 팽창부(110)를 지지함으로써 신체 부위를 압박하여야 하므로, 지지부(120)는 팽창부(110)보다 상대적으로 더 강성인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part 12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expansion part 1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first surface (F1 in FIG. 3) facing the expansion part 110 and a second surface (F1 in FIG. 3)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F1). F2), and some of the fusion portions, that is,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150n, are fused together with the expansion portion 110 and connected to the expansion portion 120. Polyethylene (PE) may be used as a material for the support portion 120,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terial. The support part 120 is also made of a flexible material, but when air flows into the expansion part 110 and expands while the tourniquet is worn on a body part, the body part must be compressed by supporting the expansion part 110. The support portion 12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relatively more rigid than the expansion portion 110.

접착부(130)는 접착제(132)가 도포된 접착시트(131)와 접착제(132)를 커버하기 위한 이형지(133)로 이루어진다. 접착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지지부(120)의 제2 면(F2)에 접착되고(도 3 참조), 나머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부(120)의 외측으로(도 5에서 우측 방향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The adhesive portion 130 consists of an adhesive sheet 131 coated with adhesive 132 and release paper 133 to cover the adhesive 132. As shown in FIG. 5, part of the adhesive portion 130 is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F2 of the support portion 120 (see FIG. 3), and the remainder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portion 12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ee FIG. 5 to the right) and is formed to extend further.

공기 유입부(140, 142, 144)는 공기 주입 호스(140)와 슬리브(142)를 포함하며, 공기 주입 호스(140)의 단부이면서 슬리브(142)의 바깥 영역에서 팽창부(110)에 융착되는 호스 융착부(144)를 더 포함한다. 즉, 공기 주입 호스(140)는 팽창부(110)의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팽창부(110)의 내부와 융착되며, 공기 주입 호스(140)의 단부의 눌림을 억제하여 공기 주입 호스(140)를 통해서 공기가 원활히 주입될 수 있도록 공기 주입 호스(140)의 내부에 슬리브(142)가 결합된다. 슬리브(142)는 지혈대의 사용시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수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공이 형성된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inlet portions 140, 142, and 144 include an air injection hose 140 and a sleeve 142, and are the ends of the air injection hose 140 and are fused to the expansion portion 110 in the outer area of the sleeve 142. It further includes a hose fusion portion 144. That is, the air injection hose 140 is fused with the inside of the expansion part 110 to form a flow path inside the expansion part 110, and suppressing the end of the air injection hose 140 to prevent the air injection hose 140 from being pressed. The sleeve 14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ir injection hose 140 so that air can be smoothly injected through ). The sleeve 142 is preferably made of a hollow metal material to prevent it from shrinking even when pressure is applied when using the tourniquet.

도 4는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일단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팽창부(110)와 지지부(120)의 타단이면서 접착부(130)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one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and Figure 5 is the other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support part 120 in Figure 2 and the adhesive part 130. )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도 4에서 참조부호 122로 나타낸 부분은 제1 융착부(1501)가 위치한 지점부터 좌측으로 더 연장된 지지부(120)의 일부분으로서, 공기 유입부(140, 142, 144)가 제1 융착부(1501)가 위치한 지점에서부터 더 연장되어 대체로 팽창부(110)의 한 쪽 끝부분에 위치하므로, 이를 감안하여, 지지부(120)도 팽창부(110)의 길이에 대응되게 더 연장된다. 팽창부(110)의 단부와 지지부(120)의 단부가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2 in FIG. 4 is a part of the support portion 120 extending further to the left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is located, and the air inlet portions 140, 142, and 144 are connected to the first fusion portion (1501). Since it extends further from the point where 1501) is located and is generally located at one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support part 120 is also extended further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expansion part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expansion part 110 and th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ar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도 5에서 참조부호 124로 나타낸 부분은 지혈을 종료한 후 신체 부위로부터 지혈대를 제거하기 위해 커팅 수단(예컨대, 가위)으로 커팅하기 위한 커팅부이다. 즉, 커팅부(124)는 길이 방향으로 제1 융착부(150n)와 접착부(130) 사이에서 팽창부(110)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서, 지혈대를 신체 부위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팽창부(120)를 함께 커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므로, 커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대(120)와 접착부(130)만 존재하는 구간, 즉 커팅부(124)를 형성한다.The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4 in FIG. 5 is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with a cutting means (eg, scissors) to remove the tourniquet from a body part after stopping hemostasis. That is, the cutting portion 124 is a section in which the expansion portion 110 does not exist between the first fusion portion 150n and the adhesive portion 1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pansion portion 120 is used to remove the tourniquet from the body part. Since it is not easy to cut together, a section where only the support 120 and the adhesive portion 130 exist, that is, the cutting portion 124, is formed to facilitate cutting.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지혈대는 종래의 지혈대에서 외피를 사용함으로 인한 번거로움, 위생문제, 지혈대의 꼬임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explained above, the tourniqu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all the inconvenience, hygiene problems, and twisting problems of the tourniquet caused by using the outer skin of the conventional tourniquet.

110 : 팽창부
120 : 지지부
130 : 접착부
140 : 공기 주입 호스
142 : 슬리브
144 : 호스 융착부
1501, 1502, ..., 150n : 융착부
110: expansion part
120: support part
130: adhesive part
140: air injection hose
142: sleeve
144: Hose fusion part
1501, 1502, ..., 150n: Fusion zone

Claims (5)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 유입부;
기다랗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팽창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폭 방향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복수 개의 융착부들을 갖는, 팽창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팽창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팽창부와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융착부들 중 일부에 상기 제1 면이 상기 팽창부와 함께 융착되어 상기 팽창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및
일부가 상기 지지부의 상기 제2 면에 접착되고 나머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되는,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an air inlet for introducing air;
It is formed long, expands when air flows in through the air inlet, and is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ength, and has a plurality of fused portions formed only in a portion of the width direction to form a flow path in the length direction. , expansion part;
I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expansion par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first surface facing the expansion part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is in some of the fusion parts with the expansion part. A support portion fused together and connected to the expansion portion; and
A tourniquet comprising: an adhesive portion, a portion of which is adhered to the second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urther outside the support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들은,
상기 공기 유입부와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제1 융착부와, 상기 공기 유입부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는 제2 융착부와, 상기 제1 융착부와 상기 제2 융착부 사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복수 개의 중간 융착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sion portions are:
A first fusion portion located closest to the air inlet, a second fusion portion located furthest from the air inlet,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fusion portion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A tournique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융착부 및 상기 제2 융착부에만 상기 팽창부와 함께 융착되고 상기 중간 융착부들에는 융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part is:
A tournique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sed with the expansion portion only to the first fusion portion and the second fusion portion and is not fused to the intermediate fusion portion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융착부는 상기 팽창부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융착부와 상기 접착부 사이에서, 상기 팽창부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으로서 커팅 수단을 통해 커팅하기 위한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In claim 2,
The first fusion portion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expansion portion,
The support portion is a section in which the expansion portion does not exist between the first fusion portion and the adhesiv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cutting portion for cutting through a cutting mea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팽창부의 내부로 유로를 형성하도록 단부가 상기 팽창부에 융착된 공기 주입 호스와,
상기 공기 주입 호스의 단부의 눌림을 억제하도록 상기 공기 주입 호스의 내부에 결합된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혈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ir inlet,
an air injection hose whose end is fused to the expansion portion to form a flow path inside the expansion portion;
A tourniquet comprising a sleev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ir injection hose to suppress compression of the end of the air injection hose.
KR1020220051224A 2022-04-26 2022-04-26 A tourniquet KR2023015164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24A KR20230151646A (en) 2022-04-26 2022-04-26 A tourniqu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224A KR20230151646A (en) 2022-04-26 2022-04-26 A tourniqu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46A true KR20230151646A (en) 2023-11-02

Family

ID=88747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224A KR20230151646A (en) 2022-04-26 2022-04-26 A tourniqu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64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79B1 (en) 2013-06-13 2015-01-22 (주)대성마리프 Tourniquet
KR102216790B1 (en) 2020-11-27 2021-02-17 (주)탑바이오메디칼 A pneumatic tourniqu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279B1 (en) 2013-06-13 2015-01-22 (주)대성마리프 Tourniquet
KR102216790B1 (en) 2020-11-27 2021-02-17 (주)탑바이오메디칼 A pneumatic tourniqu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1128B2 (en) Hemostatic device
JP6980140B2 (en) Hemostasis device
JP6740232B2 (en) Hemostatic device
JP4837112B2 (en) Guide wire with releasable barb anchor
JP2588349B2 (en) Balloon catheter
WO2016163326A1 (en) Tourniquet
JP6667392B2 (en) Hemostatic device
JP6573309B2 (en) Hemostatic device
JP6783083B2 (en) Hemostatic device
JP7041056B2 (en) Hemostasis device
WO2018070158A1 (en) Stretchable sheet, wearable article using same, and stretchable sheet production device
JP6730137B2 (en) Hemostatic device
KR20120113261A (en) Pull-up disposable wearing article
WO2017039006A1 (en) Hemostatic instrument
JP6573310B2 (en) Hemostatic device
JP6389510B2 (en) Hemostatic device
KR20230151646A (en) A tourniquet
JP2012010825A (en) Hemostatic unit
KR102608393B1 (en) A pneumatic tourniquet
JP2017047039A (en) Hemostatic device
US11596417B2 (en) Hemostasis band with improved edge design
JP6612561B2 (en) Hemostatic device
KR102129958B1 (en) A hemostatic device for hemostasis
JP6612560B2 (en) Hemostatic device
WO2023189408A1 (en) Hemostatic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for expansio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