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632A -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632A
KR20230151632A KR1020220051191A KR20220051191A KR20230151632A KR 20230151632 A KR20230151632 A KR 20230151632A KR 1020220051191 A KR1020220051191 A KR 1020220051191A KR 20220051191 A KR20220051191 A KR 20220051191A KR 20230151632 A KR20230151632 A KR 2023015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powder
toner
hopper
contain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대훈
Original Assignee
(주)서경씨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경씨엔씨 filed Critical (주)서경씨엔씨
Priority to KR102022005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632A/en
Publication of KR2023015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63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65B1/12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46Check-weighing of filled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4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59Means for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vertically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는, 토너분말이 공급되는 호퍼; 상부에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을 담는 토너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여 상기 호퍼로 공급하는 순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호퍼용기,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토너분말을 공급받는 투입부, 토너분말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기는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배관에 의해 흡입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의 투입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공급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nd a toner powder supply method.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through which toner powder is supplied; a support portion at the top that supports a toner container cont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a circulator that recovers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s it to the hopper, wherein the hopper includes a hopper container, an inlet portion that receives toner powder into the hopper container, and an outlet portion that discharges the toner powder. and a guide portion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circulator has a suction pipe disposed at one end in a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recover the remainder of the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and includes a supply part arranged to supply the toner powd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to the input part of the hopper.

Description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Toner powder supply device and toner powder supply method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본 발명은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재생 토너의 제조에 사용하는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nd a toner powder supply method. Additionally, it includes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nd a toner powder supply method used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toner.

토너분말은 레이저 프린터 또는 복사기에서 문자나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루 물질이다. 토너분말은 카트리지라고 불리는 토너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에 장착되며,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에 의해 전하가 인가되어 종이에 흡착하게 된다.Toner powder is a powdery substance used to form text or images in a laser printer or copier. Toner powder is placed in a toner container called a cartridge and loaded into a laser printer or copier. An electric charge is applied by the laser printer or copier and adsorbed onto the paper.

토너분말은 수 내지 수십 μm의 미세한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사람이 흡입하는 경우 건강에 해롭다. 따라서, 토너분말을 토너용기에 분급하는 과정에서 토너분말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따라서, 분급 시 작업자의 관여를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Because toner powder has a microscopic size of several to tens of μm, it is harmful to health if inhaled by a per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toner powder from leaking out during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toner powder into the toner containe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inimize operator involvement during classification.

선행기술문헌인 한국 등록특허 제10-1364660호는 기류식 분급기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No. 10-1364660, a prior art document, discloses an airflow type classifier.

한국 등록특허 제10-1364660호Korean Patent No. 10-1364660

본 발명은 토너분말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nd a toner powder supply method that can prevent toner powd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정량의 토너분말을 토너용기에 담을 수 있다. Additionally, a fixed amount of toner powder can be placed in a toner container.

또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Additionally,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는, 토너분말이 공급되는 호퍼; 상부에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을 담는 토너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여 상기 호퍼로 공급하는 순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호퍼용기,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토너분말을 공급받는 투입부, 토너분말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기는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배관에 의해 흡입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의 투입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공급부를 포함한다.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through which toner powder is supplied; a support portion at the top that supports a toner container cont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a circulator that recovers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s it to the hopper, wherein the hopper includes a hopper container, an inlet portion that receives toner powder into the hopper container, and an outlet portion that discharges the toner powder. and a guide portion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circulator has a suction pipe disposed at one end in a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recover the remainder of the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and includes a supply part arranged to supply the toner powde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to the input part of the hopper.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호퍼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아래 방향으로 노출된 관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부와 동심을 갖는 관 형상일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ion may have a tubular shap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hopper container and exposed downward, and the guide portion may have a tubular shape concentric with the discharge portion.

상기 흡입배관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면 및 상기 배출부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uction pipe may pass through the guide part, and one end thereof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 토너용기가 배치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상하로 이동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may include a support plate on which a toner container is placed and a height adjustment part that moves the support plate up and down.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용기에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토너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한다. 본 방법은, 상기 지지부 상에 토너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토너용기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순환기의 흡입배관이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로 빠져나온 토너분말을 흡입하고 상기 공급부가 상기 흡입배관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supplying toner powder to a toner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described above. The method includes placing a toner container on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supplying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to the toner container; and a step where the suction pipe of the circulator sucks the toner powder that escapes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and the supply portion supplies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suction pipe into the hopper container.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호퍼에서 토너분말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에 토너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게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에 따라 산출된 높이로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includes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and a controller that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weight sensor, controls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and controls discharge of the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Further comprising: in the step of placing the toner container on the suppor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and adjusts the height of the support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is discharged. In the step of placing the support unit between the support unit and the guide uni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to a heigh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호퍼에서 토너분말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에 토너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게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수신하고, 수신된 토너용기의 무게로부터 기준 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토너용기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퍼의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부가 상기 흡입배관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순환기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출부에 의해 배출된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순환기에 의해 공급된 토너분말의 양을 제외한 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용기에 공급되는 실제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실제 공급량이 상기 기준 공급량에 다다를 때까지 상기 배출기가 토너분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includes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and a controller that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weight sensor, controls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and controls discharge of the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Further comprising: in the step of placing the toner container on the support uni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calculates a standard supply amount from the received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and In the step of supplying toner powder from the toner container to the toner container,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of the hopper, and the supply unit supplies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suction pipe to the inside of the hopper container. In the supplying step,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into the hopper container through the suction pipe from the circulator, and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unit. Information on the actual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toner container is calculated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excluding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by the circulator, and the discharger is operated until the actual supply amount reaches the standard supply amount. can be controlled to supply toner powder.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 및 토너분말 공급방법은 토너분말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and toner powder supply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oner powd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또한, 정량의 토너분말을 토너용기에 담을 수 있다. Additionally, a fixed amount of toner powder can be placed in a toner container.

또한,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Additionally,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토너분말에 토너분말이 공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몸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서, 몸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스크류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1 shows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Figure 3 shows the process of supplying toner powder to the toner powder in Figure 2.
Figures 4 and 5 show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with the body removed.
Figures 6 and 7 show the operation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in another embodiment with the body removed.
Figure 8 shows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8.
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crew supply p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dditional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and elements indicated by the same symbol in the drawings are the same element. In addition, the same symbo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for parts that perform similar functions and actions.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ing” a certain elemen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1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분말 공급장치(100)는, 토너분말이 공급되는 호퍼(110); 상부에 상기 호퍼(110)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을 담는 토너용기(10)를 지지하는 지지부(150); 및 상기 호퍼(110)에서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여 상기 호퍼(110)로 공급하는 순환기(130);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110)는 호퍼용기(111), 상기 호퍼용기(111) 내부로 토너분말을 공급받는 투입부(112), 토너분말을 배출하는 배출부(113) 및 상기 배출부(113)를 감싸는 가이드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기(130)는 상기 배출부(113)에서 배출된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흡입배관(131) 및 상기 흡입배관(131)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배관(131)에 의해 흡입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110)의 투입부(112)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공급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100)는 상기 지지부(150)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토너용기(10)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140) 및 상기 무게센서(140)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150)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호퍼(110)에서 토너분말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100)는 상기 호퍼(110) 내부에 공급된 토너분말을 교반하는 교반기(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113), 순환기(130) 및 지지부(150)를 외부와 격리하기 위한 몸체(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igure 1 shows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toner powder suppl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pper 110 through which toner powder is supplied; A support portion 150 supporting the toner container 10 containing the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110 at the top; and a circulator 130 that recovers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110 and supplies it to the hopper 110, wherein the hopper 110 includes a hopper container 111 and the hopper container 111. ) It includes an input portion 112 that receives toner powder inside, an discharge portion 113 that discharges the toner powder, and a guide portion 114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ion 113, and the circulator 130 is configured to discharge the toner powder. A suction pipe 131,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113 and the guide portion 114,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131 are connected to recover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portion 113. and includes a supply part 132 arranged to supply the toner powder sucked in through the suction pipe 131 to the input part 112 of the hopper 110. In addition,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100 is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150 and receives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weight sensor 140 and the weight sensor 140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160 that controls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50 and discharge of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110. Additionally,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stirrer 120 for stirring the toner powder supplied inside the hopper 110.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body 170 for isolating the discharge unit 113, the circulator 130, and the support unit 150 from the outside.

상기 호퍼(110)는 토너분말을 공급받아 저장하거나 토너용기(10)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퍼(110)는 토너분말이 공급되는 투입부(112), 공급된 토너분말이 담기는 호퍼용기(111), 토너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113) 및 상기 배출부(113)를 감싸도록 배치된 가이드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opper 110 performs the function of receiving and storing toner powder or discharging it into the toner container 10. The hopper 110 includes an input portion 112 through which toner powder is supplied, a hopper container 111 containing the supplied toner powder, a discharge portion 113 through which the toner powd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discharge portion 113. It may include a guide portion 114 arranged to surround it.

상기 투입부(112)는 상기 호퍼용기(111)의 상부 또는 측면에 형성된 배관이나 홈일 수 있으며, 상기 호퍼용기(111)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덮개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portion 112 may be a pipe or a groove formed on the top or side of the hopper container 111, and may include a cover or cover to block the hopper container 111 from the outside.

상기 호퍼용기(111)는 공급된 토너분말을 보관하기 위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토너분말이 배출부(113) 쪽으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배출부(113)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호퍼(110)는 원통 및 깔대기 형상의 부재가 상기 원통 하부에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The hopper container 111 forms a certain space to store the supplied toner powder, and may b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113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toner powder toward the discharge unit 113.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hopper 110 may be shaped like a cylinder and a funnel-shaped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ylinder.

상기 배출부(113)는 상기 호퍼(110)의 하부에 형성된 배관이나 홈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13)는 상기 깔대기 형상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깔대기 형상의 부재의 하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배관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토너용기(10)가 상기 배출부(113)에 끼워져 토너분말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rt 113 may be a pipe or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pper 110.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discharge portion 113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funnel-shaped member, and may be a pi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unnel-shaped member. Through this, the toner container 10 can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ion 113 to minimize leakage of toner powder to the outside.

상기 가이드부(114)는 상기 배출부(113)를 감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배출부(113)에서 공급된 토너분말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상기 배출부(113)는 상기 호퍼용기(1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아래 방향으로 노출된 관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부(114)는 상기 배출부(113)와 동심을 갖는 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14)는 하부방향으로 상기 배출부(113)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114)가 토너용기(10)의 상부를 충분히 감쌀 수 있고 토너분말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uide portion 114 is arranged to surround the discharge portion 113, thereby preventing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113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discharge part 113 has a tube shap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hopper container 111 and exposed downward, and the guide part 114 has a tube shape concentric with the discharge part 113. You can. Additionally,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guide portion 114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discharge portion 113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is, the guide portion 114 can sufficiently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toner container 10 and prevent toner powder from leakin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13) 및/또는 가이드부(114)는 상하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토너용기(10)가 일정한 높이로 상승한 이후에는 상기 배출부(113) 및/또는 가이드부(114)가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부(113)가 상기 토너용기(10)의 내부로 정확한 깊이만큼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부(114)가 상기 토너용기(10)의 외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150)만으로 높이를 조절하는 것보다 정확하게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6 and 7, the discharge part 113 and/or the guide part 114 may be formed to move up and down. As shown in FIG. 6, after the toner container 10 rises to a certain height, the discharge portion 113 and/or the guide portion 114 moves downward so that the discharge portion 113 moves toward the toner container 10. It can be inserted inside to a precise depth, and the guide part 114 can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oner container 10. Through this, the height can be controlled more accurately than by adjusting the height only with the support part 150.

상기 지지부(150)는 토너용기(1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부(150)는 상부에 토너용기(10)가 배치되는 지지판(151) 및 상기 지지판(151)을 상하로 이동하는 높이조절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portion 150 functions to support the toner container 10. The support unit 150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51 on which the toner container 10 is disposed, and a height adjustment unit 152 that moves the support plate 151 up and down.

상기 지지판(151)은 토너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The support plate 15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tably support the toner container 10.

상기 높이조절부(152)는 상기 지지판(151)을 상하로 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높이조절부(152)는 상기 지지판(151)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또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부(152)는 X형 리프트이며, 작업자가 작동손잡이(153)를 작동하여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높이조절부(152)가 상기 지지판(151)을 아래에 배치한 상태에서 토너용기(10)를 상기 지지판(151) 상에 배치하면, 상기 높이조절부(152)가 상기 지지판(151)을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토너용기(10)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113)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functions to move the support plate 151 up and down.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may include an actuator or motor connected to the support plate 151, and may be driven by an operator or electrical energy. Referring to Figures 3 and 4,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is an X-type lift, and may be driven by an operator operating the operating handle 153. As shown in FIG. 3, when the toner container 10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151 with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late 151,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late 151. (151) can be moved upward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10 is inserted into the discharge portion 113.

상기 순환기(130)는 배출부(113)에서 공급된 토너분말 중 토너용기(1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한 토너분말을 회수하여 다시 호퍼(11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순환기(130)는 상기 배출부(113)에서 배출된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흡입배관(131) 및 상기 흡입배관(131)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배관(131)에 의해 흡입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110)의 투입부(112)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공급부(132)를 포함한다. The circulator 130 performs the function of recovering toner powder that has not entered the toner container 10 among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discharge unit 113 and supplying it back to the hopper 110. The circulator 130 includes a suction pipe 131, one end of which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113 and the guide portion 114, to recover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113, and the suction pipe 131. The other end of the pipe 131 is connected and includes a supply part 132 arranged to supply the toner powder sucked by the suction pipe 131 to the input part 112 of the hopper 110.

상기 흡입배관(131)은 일단이 상기 배출부(113) 쪽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114)를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114)의 내부면 및 상기 배출부(113)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토너용기(10) 내부로 들어가지 못한 토너분말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상기 흡입관의 최하부는 상기 배출관의 최하부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관이 상기 토너용기(10)의 입구에 삽입되기 때문에 토너분말이 누출되는 위치는 배출관의 최하부보다 상부이다. 따라서, 상기 흡입배관(131)을 상기 배출관보다 높게 배치하여야 토너분말을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The suction pipe 131 may be arranged so that one end faces the discharge part 113. Referring to FIG. 2, the suction pipe 131 passes through the guide part 114 and has one end of the guide part 114.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113. Through this, toner powder that has not entered the toner container 10 can be effectively sucked in. The lowermost part of the suction pipe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lowest part of the discharge pipe. Referring to FIG. 3, since the discharge pipe is inserted into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10, the location where the toner powder leaks is higher than the lowest part of the discharge pipe. Therefore, the suction pipe 131 must be placed higher than the discharge pipe to effectively suction the toner powder.

상기 공급부(132)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흡입배관(131)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로터리 펌프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공급부(132)는 상기 호퍼(110)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부재(배관 또는 노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ly unit 132 may include a pump. Through this, suction force can be provided to the suction pipe 131. The pump may be a rotary pump,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supply unit 132 may further include a member (such as a pipe or nozzle) that supplies toner powder to the hopper 110.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호퍼용기(111) 내부의 토너분말을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교반기(120)는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날개를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호퍼용기(111) 중 경사진 형상을 가진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반날개는 깔대기 형상의 부재의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깔대기 형상의 부재의 내부 영역에 토너분말이 모이기 때문에 토너분말이 뭉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교반날개를 이용하여 토너분말이 뭉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tirrer 120 functions to stir the toner powder inside the hopper container 111. The stirrer 120 may include a stirring blade and a motor that rotates the stirring blade. The stirring blade may be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hopper container 111 that has an inclined shape. Referring to Figure 2, the stirring blade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area of the funnel-shaped member. Referring to FIG. 3, a problem of toner powder agglomerating may occur because toner powder collects in the inner area of the funnel-shaped member, and agglomeration of the toner powder can be prevented by using a stirring blade.

상기 무게센서(140)는 토너용기(10) 및 토너용기(10)에 담겨지는 토너분말의 무게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게센서(140)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토너용기(10)는 상기 지지부(150) 상부에 배치된 무게센서(1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weight sensor 140 functions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and the toner powder contained in the toner container 10. The weight sensor 1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measure weight. The toner container 10 may be placed on the weight sensor 140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150.

상기 몸체(170)는 상기 배출부(113), 순환기(130) 및 지지부(150)를 외부와 격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몸체(170)는 벽 및 도어(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70)는 각 구성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거나, 토너분말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ody 170 functions to isolate the discharge unit 113, the circulator 130, and the support unit 150 from the outside. The body 170 may include a wall and a door 171. The body 170 can protect each component from the outside or prevent toner powder from leaking to the outside.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100)의 각 구성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정보를 저장 또는 연산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160)는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작업자가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입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와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receives information from each component of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100, stores or calculates the information, and performs functions of controlling operations.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operator and an input device for allowing the operator to input information.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each component.

상기 제어부는 정보를 수신, 저장 및 연산하고 명령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저장부는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다.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반도체 칩을 포함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칩을 포함하여 순환기(130), 교반기(120), 무게센서(140), 높이조절부(152) 등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나, 토너용기(1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160)기는 제어부 및 저장부 등의 구성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PCB 기반 등에 장착되어 이루어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erforms the function of receiving, storing and calculat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commands, and the storage unit performs the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or semiconductor chip and may execute this task by executing a software program. The storage unit includes at least one semiconductor chip and stor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irculator 130, the stirrer 120, the weight sensor 140,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etc., an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oner container 10. It may be to save it. The controller 160 may include a circuit in which components such as a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are mounted on at least one PCB base.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순환기(130), 교반기(120), 무게센서(140), 높이조절부(152) 등의 구성요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명령을 송신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60 can receive information and transmit commands by communicating wired or wirelessly with components such as the circulator 130, agitator 120, weight sensor 140, and height adjuster 152.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스크류공급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공급부(115)는 스크류(115b)를 통해 토너분말을 토너용기(10)로 보다 원활하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 스크류공급부(115)는 상기 배출부(113)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113)로부터 토너분말을 측면이나 상부로 공급받는 스크류 가이드(11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가이드(115c)는 스크류(115b)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스크류(115b)에 의해 토너분말이 아래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를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115b)는 상기 스크류 가이드(115c) 내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토너분말을 아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토너분말은 스크류(115b)의 회전에 의해 잘게 부숴질 수 있고 정량이 공급될 수 있으며 외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115b)를 회전하기 위한 모터(115a)가 상기 스크류(115b)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 가이드(115c)의 하부에는 토너용기(10)로 토너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어뎁터(115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뎁터(115d)는 토너용기(10)의 종류에 맞게 교체가 가능한 형태로 부착될 수 있으며, 토너용기(10)의 입구 형상이나 크기에 대응하는 형상을 함으로써 토너분말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ures 8 and 9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s 8 and 9,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crew supply unit 115. The screw supply unit 115 is a device that more smoothly supplies toner powder to the toner container 10 through the screw 115b. The screw supply unit 115 may include a screw guide 115c tha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ischarge unit 113 and receives toner powder from the discharge unit 113 to the side or top. The screw guide 115c protects the screw 115b from the outside and guides the toner powder to move smoothly in a downward direction by the screw 115b. The screw 115b is disposed inside the screw guide 115c and moves the supplied toner powder downward. At this time, the toner powder can be broken into small pieces by rotating the screw 115b, supplied in a fixed amount, and prevented from flying out. A motor 115a for rotating the screw 115b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screw 115b.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screw guide 115c may further include an adapter 115d for supplying toner powder to the toner container 10. The adapter 115d can be attached in a replaceable form according to the type of toner container 10, and has a shape that corresponds to the shape or size of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10 to prevent toner powd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do.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토너용기(10)에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토너분말 공급장치(100)를 이용한다. 본 방법은, 상기 지지부(150) 상에 토너용기(1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1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10)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호퍼(110)로부터 상기 토너용기(10)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순환기(130)의 흡입배관(131)이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 사이로 빠져나온 토너분말을 흡입하고 상기 공급부(132)가 상기 흡입배관(131)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용기(111)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supplying toner powder to the toner contain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100 described above. The method includes placing a toner container (10) on the support portion (150);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150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10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art 113 and the guide part 114; supplying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110 to the toner container 10; And the suction pipe 131 of the circulator 130 sucks the toner powder discharged between the discharge part 113 and the guide part 114, and the supply part 132 sucks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suction pipe 131. It includes; supplying into the hopper container 111.

상기 지지부(150) 상에 토너용기(10)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무게센서(140)에서 측정한 상기 토너용기(10)의 무게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60)의 저장부에는 토너용기(10)의 무게 및 토너용기(10)의 크기, 토너용기(10)에 분급해야 하는 토너분말의 무게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토너용기(10)의 무게에 대응하는 지지부(150)의 높이 및 토너분말의 분급 무게를 도출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placing the toner container 10 on the support unit 150,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140. The storage unit of the controller 160 may store a database on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the size of the toner container 10, and the weight of toner powder to be sorted into the toner container 10, and the controller 160 can derive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150 and the classification weight of the toner powder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from the database.

상기 지지부(1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10)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토너용기(10)의 무게에 따라 산출된 지지부(150)의 높이로 상기 지지부(150)가 이동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52)에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지지부(150)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150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10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art 113 and the guide part 114,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toner container 10 )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150 can be controlled by sending a command 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to move the support unit 150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150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support unit 150.

상기 지지부(15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10)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배출부(113)를 아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부(113)가 상기 토너용기(1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이를 통해 상기 배출부(113)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는 상기 가이드부(114)를 아래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앞서 지지부(150)의 높이를 제어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토너용기(10)의 무게에 대응하는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의 높이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토너용기(10)의 무게에 따라 산출된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의 높이로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가 이동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152)에 명령을 송신함으로써 상기 배출부(113) 및 가이드부(114)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The step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150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10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113 and the guide portion 114 includes moving the discharge portion 113 downward. A step of inserting the discharge unit 113 into the toner container 10 may be further included (see FIGS. 6 and 7). Through thi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art 113 can be controlled more accurately. Additionally, this step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guide portion 114 downwar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art 113 and the guide part 114 can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150. The controller 160 may derive the height of the discharge unit 113 and the guide unit 114 corresponding to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from the database, and the controller 160 may determine the height of the toner container 10 ( By sending a command to the height adjustment unit 152 to move the discharge unit 113 and the guide unit 114 to the height of the discharge unit 113 and the guide unit 114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10)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art 113 and the guide part 114 can be controlled.

상기 호퍼(110)로부터 상기 토너용기(10)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호퍼(110)의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부(132)가 상기 흡입배관(131)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용기(111)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순환기(130)로부터 상기 흡입배관(131)을 통해 상기 호퍼용기(111) 내부로 공급되는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60)는 상기 배출부(113)에 의해 배출된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순환기(130)에 의해 공급된 토너분말의 양을 제외한 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용기(10)에 공급되는 실제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실제 공급량이 상기 기준 공급량에 다다를 때까지 상기 배출기가 토너분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부(113)에 의해 배출된 토너분말의 양에서 상기 순환기(130)에 의해 공급된 토너분말의 양을 제외한 양을 뺌으로써 상기 토너용기(10)에 공급되는 실제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60)는 앞서 도출한 상기 토너용기(10)에 대응하는 토너분말의 분급 무게에 해당할 때까지 상기 배출부(113)로부터 토너분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step of supplying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110 to the toner container 10, the controller 160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ejector of the hopper 110. In addition, in the step where the supply unit 132 supplies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suction pipe 131 into the hopper container 111, the controller 160 controls the suction pipe 131 from the circulator 130. ), it is possible to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into the hopper container 111. The controller 160 us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unit 113 an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excluding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by the circulator 130 to control the toner container ( 10), information on the actual supply amount can be calculated, and the ejector can be controlled to supply toner powder until the actual supply amount reaches the reference supply amount. More specifically, the actual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toner container 10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amount excluding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by the circulator 130 from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unit 113. information can be calculated. The controller 160 can cause toner powder to be supplied from the discharge unit 113 until it corresponds to the weight of the toner powder corresponding to the toner container 10 derived previously.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ttached drawings, but is intended to be limited by the attached claims. Accordingly, various forms of substitution, modification, and change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and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100: 토너분말 공급장치, 110: 호퍼, 111: 호퍼용기, 112: 투입부, 113: 배출부, 114: 가이드부, 120: 교반기, 130: 순환기, 131: 흡입배관, 132: 공급부, 140: 무게센서, 150: 지지부, 151: 지지판, 152: 높이조절부, 153: 작동손잡이, 160: 제어기, 170: 몸체, 171: 도어, 10: 토너용기100: toner powder supply device, 110: hopper, 111: hopper container, 112: input part, 113: discharge part, 114: guide part, 120: stirrer, 130: circulator, 131: suction pipe, 132: supply part, 140: Weight sensor, 150: support, 151: support plate, 152: height adjustment, 153: operating handle, 160: controller, 170: body, 171: door, 10: toner container

Claims (7)

토너분말이 공급되는 호퍼;
상부에 상기 호퍼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을 담는 토너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여 상기 호퍼로 공급하는 순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호퍼는 호퍼용기,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토너분말을 공급받는 투입부, 토너분말을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를 감싸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기는 상기 배출부에서 배출된 토너분말의 잔여분을 회수하도록 일단이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단이 연결되고 상기 흡입배관에 의해 흡입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의 투입부로 공급하도록 배치된 공급부를 포함하는,
토너분말 공급장치.
A hopper through which toner powder is supplied;
a support portion at the top that supports a toner container cont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It includes a circulator that recovers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hopper and supplies it to the hopper,
The hopper includes a hopper container, an input portion that receives toner powder into the hopper container, an discharge portion that discharges the toner powder, and a guide portion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ion,
The circulator is connected to a suction pipe at one end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to recover the remaining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toner powder sucked by the suction pipe. Comprising a supply part arranged to supply to the input part of the hopper,
Toner powde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호퍼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아래 방향으로 노출된 관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배출부와 동심을 갖는 관 형상인,
토너분말 공급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discharge portion has a tube shap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hopper container and exposed downward,
The guide portion has a tubular shape concentric with the discharge portion,
Toner powde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배관은 상기 가이드부를 관통하여, 그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의 내부면 및 상기 배출부의 외부면 사이에 배치되는,
토너분말 공급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uction pipe penetrates the guide part, and one end thereof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Toner powder suppl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토너분말을 공급받는 스크류 가이드, 상기 공급받은 토너분말을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 및 상기 스크류 가이드의 하부에 배치되어 토너용기로 상기 토너분말을 공급하도록 하는 어뎁터를 포함하는 스크류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토너분말 공급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A screw guide that receives the toner powder from the discharge unit, a screw that moves the supplied toner powder downward, a motor that rotates the screw, and a motor disposed below the screw guide to supply the toner powder to the toner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crew supply unit including an adapter,
Toner powder supply device.
제1항의 토너분말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토너용기에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에 토너용기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토너용기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순환기의 흡입배관이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로 빠져나온 토너분말을 흡입하고 상기 공급부가 상기 흡입배관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너분말 공급 방법.
In the method of supplying toner powder to a toner container using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of claim 1,
placing a toner container on the support portio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supplying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to the toner container; and
A suction pipe of the circulator sucks the toner powder discharged between the discharge unit and the guide unit, and the supply unit supplies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suction pipe into the hopper container.
Toner powder supply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호퍼에서 토너분말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에 토너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게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토너용기의 입구가 상기 배출부 및 가이드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에 따라 산출된 높이로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것인,
토너분말 공급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includes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and a controller that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weight sensor, controls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and controls discharge of the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It further includes,
In the step of placing the toner container on the support uni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inlet of the toner container is disposed between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guide portio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height of the support portion to a heigh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
Toner powder supply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분말 공급장치는 상기 지지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센서 및 상기 무게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고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제어하고 상기 호퍼에서 토너분말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 상에 토너용기를 배치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무게센서에서 측정한 상기 토너용기의 무게를 수신하고, 수신된 토너용기의 무게로부터 기준 공급량을 산출하고,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토너용기로 토너분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호퍼의 배출기로부터 배출되는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급부가 상기 흡입배관으로부터 공급된 토너분말을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순환기로부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상기 호퍼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출부에 의해 배출된 토너분말의 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순환기에 의해 공급된 토너분말의 양을 제외한 양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토너용기에 공급되는 실제 공급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실제 공급량이 상기 기준 공급량에 다다를 때까지 상기 배출기가 토너분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토너분말 공급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toner powder supply device includes a weight sensor disposed on the support unit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and a controller that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weight sensor, controls the height of the support unit, and controls discharge of the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It further includes,
In the step of placing the toner container on the support unit, the controller receives the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measured by the weight sensor and calculates a standard supply amount from the received weight of the toner container,
In the step of supplying toner powder from the hopper to the toner container,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r of the hopper,
In the step of supplying the toner powder supplied from the suction pipe into the hopper container by the supply unit, the controller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into the hopper container through the suction pipe from the circulator, ,
The controller calculates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supply amount supplied to the toner container using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toner powder discharged by the discharge unit and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excluding the amount of toner powder supplied by the circulator. and controlling the ejector to supply toner powder until the actual supply amount reaches the reference supply amount,
Toner powder supply method.

KR1020220051191A 2022-04-26 2022-04-26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KR2023015163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91A KR20230151632A (en) 2022-04-26 2022-04-26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191A KR20230151632A (en) 2022-04-26 2022-04-26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632A true KR20230151632A (en) 2023-11-02

Family

ID=88747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191A KR20230151632A (en) 2022-04-26 2022-04-26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632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660B1 (en) 2009-03-03 2014-02-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Classifying apparatus, classify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t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660B1 (en) 2009-03-03 2014-02-19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Classifying apparatus, classify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to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9853B2 (en) Stencil printer print head
JP6283736B2 (en) Solder supply device
JP5604024B2 (en) Powder metering and filling equipment
JP6243449B2 (en) Solder supply device
JP3988399B2 (en) Chromosome specimen expansion device
EP1847888B1 (en) Powder Suppl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H06222679A (en) Developing device for wet copying machine
JPWO2015083271A1 (en) Solder supply device
KR20230151632A (en) Apparatus for suppling powder toner filling method of powder toner
US11141981B2 (en) Waste fluid quantity measuring device and printer equipped therewith
US5435171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eparing solution of powdery product as specimen for use in viscosity measurement
EP3339193B1 (en) Filling nozzle
EP3378656A1 (en) Liquid discharge apparatus and waste liquid amount detection method
JP4336546B2 (en) Powder sample filling method
KR101198959B1 (en)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oner to cartridge of laser printer by using air pressure difference and the method thereof
JP7323421B2 (en) 3D printer
KR20220157473A (en) powder supply device
KR100516962B1 (en) Powder Automatic Weighing Optimization Method
KR100509092B1 (en) a toner refill apparatus for a copier
JP4274537B2 (en) Powder filling method
KR20140118080A (en) Toner supply device
CN110475438B (en) Automatic solder container supply device and method
KR101124199B1 (en) Micropowder charging apparatus using pressure difference
KR101526867B1 (en) screw feeding device
CN214919100U (en) Powder raw material metering and air-draft dust-collec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