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0609A -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0609A
KR20230150609A KR1020220050200A KR20220050200A KR20230150609A KR 20230150609 A KR20230150609 A KR 20230150609A KR 1020220050200 A KR1020220050200 A KR 1020220050200A KR 20220050200 A KR20220050200 A KR 20220050200A KR 20230150609 A KR20230150609 A KR 20230150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ustomer
store
code
web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제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꾼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꾼미디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꾼미디어
Priority to KR102022005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0609A/ko
Publication of KR2023015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060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광고 전송 방법은 매장 내 진열된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가 제공되는 단계, 매장 내 고객 단말에 의해 QR 코드가 인식되면, 고객 단말이 QR 코드에 링크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웹 사이트 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획득하여 광고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품에 대한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ADVERTISEMENT FOR PRODUCT IN STORE }
본 발명은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매장 내 입점한 상품들에 대한 광고를 고객에게 전송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장에 새로운 상품을 적시에 성공적으로 출시하지 못하면 회사의 미래가 불투명해지기도 한다. 반면, 성공한 제품은 다 쓰러져가는 회사를 살리기도 하고, 신생기업을 최고의 다크호스로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신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를 관찰하고 이해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고객 조사와 마케팅 기법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지각에 의존하는 조사만으로는 고객의 숨겨진 욕구를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소비자의 니즈를 이해하기 위한 자발적 행동 관찰을 통해, 신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신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을 객관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면, 시장의 흐름과 소비자의 취향을 신속하게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관심도는 매우 높으나 구매 전환율이 매우 떨어지는 경우에는 가격 정책을 수정하거나, 관심도 자체가 없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광고 전략을 세우는 등의 전략을 수립할 수도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는 매장의 매출까지 영향을 미치므로, 상품을 매장에 공급하는 셀러뿐만 아니라, 매장의 판매자 역시 매장에 입고된 상품들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동일한 상품이라고 하더라도 매장마다의 특성에 따라 매출에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도 잦으므로, 매장의 판매자 입장에서는 실제 자신의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잠재 고객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중요할 수밖에 없다.
잠재 고객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 및 관심이 있는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를 알아내면, 구매 가능성이 높은 해당 잠재 고객에게만 상품의 광고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상품에 대한 관심이 있는 잠재 고객에 대한 파악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에는 단순히 매출 기록만을 분석하여, 고객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고, 고객의 무의식적인 동기나 태도를 이끌어내어 상품에 대한 관심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대하여 방문 고객이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얻기 위한 자연스러운 동작을 이끌어내어, 방문 고객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고, 상품에 대한관심이 있는 고객을 선별하여 광고를 전송할 수 있는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은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매장 내 고객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QR 코드에 링크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웹 사이트 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상기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획득하여 광고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에 대한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로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QR 코드가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내 진열된 상품 별로 각각 매칭되는 서로 다른 QR 코드가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이 존재하는 고객을 상기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이 존재하는 고객 중 접속 시기가 기 설정된 기간 내인 고객을 상기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전송 방법은 상기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QR 코드와 1:1로 매칭된, 상기 상품의 할인 쿠폰을 상기 고객 단말로 지급하되, 상기 상품에 대하여 산정된 관심도에 비례하여 상기 할인 쿠폰의 할인율을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전송 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매장 내 매장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 및 상기 위치 인증 이력이 모두 존재하는 고객을 상기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전송 방법은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매장 내 매장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의 일정 기간 동안의 판매 이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사이 수신된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의 구매 고객을 선별하며, 상기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구매 고객에게 상기 상품의 구매 날짜로부터 상기 상품의 평균적 사용기간 또는 유효기간이 경과하는 날짜까지 남은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에 다다르는 시점에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진열된 상품의 광고 전송 시스템은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QR 코드에 링크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웹 사이트 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상기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에 대한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로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매장 내 진열된 상품은 상기 매장 내 진열된 상품 별로 각각 매칭되는 서로 다른 QR 코드가 부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대하여 방문 고객이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얻기 위한 자연스러운 동작을 이끌어내어, 방문 고객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고, 관심이 있는 고객에게만 광고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QR 코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서버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매장 단말을 통해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진열된 상품의 광고를 전송하는 방법을 간략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 요소를 모두 도시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여 쇼핑을 하는 상황에 있어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여기서, 오프라인 매장은 상품을 판매하는 마트, 옷 매장, 화장품 매장 등 유형의 상품을 판매하는 다양한 매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100) 및 광고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객 단말(100)은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소지하는 단말로,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는 수단이다. 고객 단말(100)은 기본적으로 카메라를 내장하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Navigation)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객 단말(100)은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인터넷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2000)로 연결되어 광고 서버(200) 및 매장 단말(3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2000)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00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무선 온라인,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200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등) 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200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RFID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단말(100)은 광고 서버(200)와는 LTE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하고, 매장 단말(300)과는 비콘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고객 단말(100)은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구성이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고객 단말(100)과 고객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로 기능함과 동시에, 고객 단말(100)과 고객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로 기능할 수 있다.
고객은 매장 내 진열대(1)에 진열된 상품들(10~13)을 구경하면서, 관심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 진열대(1)에 진열된 상품들(10~13)에는 각각의 상품에 매칭된 식별 수단이 부착되거나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수단은 QR 코드 또는 NFC 태그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1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식별 수단이 QR 코드로 구현된 예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품들(10~13)의 외부에는 QR 코드(20)가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QR 코드(20)는 각각의 상품들(10~13)마다 서로 다른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가지며, 각 상품마다 고유의 QR 코드(20)가 1:1로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같은 종류의 상품(10)이라고 하더라도, 각각의 상품마다 서로 다른 고유의 QR 코드(20)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은 종류의 상품(13)에 대하여 동일한 QR 코드(20)가 공유될 수도 있다. 이때, QR 코드(20)는 진열대(1)의 선반(1-1~1-4) 중 해당 상품(13)이 배치되는 선반 등에 부착되어 해당 상품(13)에 대한 QR 코드(20)임을 고객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QR 코드(20)의 일 영역에는 상품 또는 매장에 상품을 공급하는 셀러의 회사명의 기 설정된 정보(21)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각 매장 마다 매장 별로 고유한 매장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QR 코드(20)에는 각 매장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매장에 공급되는 상품의 매장 코드는 0201, 근처 B 매장에 공급되는 동일 상품의 매장 코드는 0202 등으로 서로 다를 수 있다.
한편, 고객이 고객 단말(100)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관심 있는 상품(10)의 표면에 부착된 QR 코드(20)를 촬영하여 고객 단말(100)이 QR 코드(20)를 인식하는 경우, QR 코드(20)에 링크된 URL의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웹 사이트는 광고 서버(200)에서 제공되는 사이트로, 해당 상품(10)의 홍보, 상품 설명 및 이벤트 참여, 고객 정보 입력 등을 위한 콘텐츠가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객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접속된 웹 사이트가 표시될 수 있다. 웹 사이트의 일 영역에는 인식된 QR 코드(20)와 매칭된 상품에 대한 홍보 또는 설명을 위한 이미지(31), 소셜 미디어 상에 업로드된 동영상(32), 포스팅된 게시물(33) 및 샘플 신청·이벤트 참여를 위한 메뉴(34) 등의 콘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고객은 접속된 웹 사이트에 게시된 콘텐츠를 통해, 관심있는 상품(10)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웹 사이트의 일 영역에는 접속한 고객으로부터 고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정보는 접속한 고객의 이름, 성별, 나이(생년월일), 전화번호, 사는 지역, SNS 아이디, 이메일 주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객으로부터 입력받은 설문 조사 결과, 고객 의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객의 고객 정보 입력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이러한 고객 정보의 입력은 샘플 신청·이벤트 참여를 위한 메뉴(34)와 연계되어, 샘플 신청·이벤트 참여를 위한 조건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웹 사이트 내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거나,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특정 콘텐츠를 선택한 경우, 특정 콘텐츠가 일정 시간 이상 재생된 경우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광고 서버(200)는 QR 코드(20)와 1:1로 매칭된 상품의 할인 쿠폰을 고객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해당 할인 쿠폰은 QR 코드(20)와 1:1로 매칭되도록 생성되는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품 결제 시 할인 쿠폰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할인을 적용하므로, QR 코드(20)가 부착된 상품에 한정하여 유효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품 결제 시 상품의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웹 사이트 내 할인 코드 입력 메뉴에서 할인 쿠폰의 식별 코드를 입력하면, 할인 쿠폰이 활성화되며, 상품의 할인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할인 쿠폰을 수신한 고객은 인식한 QR 코드(20)가 부착된 상품을 결제할 때에만, 수신된 쿠폰을 사용하여 할인을 받을 수 있다.
한편, 광고 서버(200)는 특정 상품에 대한 고객들의 관심도를 예측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고객들에게 광고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광고 서버(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210), 저장부(220), 방문 통계 가공부(230),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방문 통계 가공부(230) 및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안드로이드(Android), 아이오에스(i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고객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객 단말(100)과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상술한 네트워크(2000)의 통신 방식에 따르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저장부(220)는 광고 서버(2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20)는 복수의 상점 각각에 진열된 상품들의 식별 수단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수단이 QR 코드(20)로 구현되는 예의 경우, 저장부(220)는 QR 코드(20) 내에 포함된 매장 코드 및 상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매장 코드는 해당 매장의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방문 통계 가공부(230)에서 웹 사이트에 대한 방문 통계 정보가 가공되면, 저장부(220)는 가공된 방문 통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 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20)는 광고 서버(200) 내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광고 서버(200)와 연결된 외부 데이터 베이스(DB)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 상에서 입력된 고객 정보를 포함하여,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및 접속 시간을 포함하는 접속 기록을 더 수집할 수 있다.
고객 단말(100)이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광고 서버(200)로 고객 단말(100)에 의하여 인식된 QR 코드(20)의 정보를 광고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광고 서버(200)로 전송되는 QR 코드(20)의 정보는 QR 코드(20) 내에 포함된 매장 코드 및 매칭된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수신된 QR 코드의 정보 내 포함된 매장 코드를 독출하고, 저장부(220)에 저장된 매장 코드 및 매장 코드와 매칭된 매장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위치한 매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고객 단말(100)의 각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페이지뷰),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방문 통계 정보는 일주일 또는 한달 등 다양하게 설정된 기간에 따라 가공될 수 있으며, 고객의 나이대, 성별 및 접속 시간대 등의 각 기준에 따른 방문 통계 정보가 가공될 수 있다.
광고 서버(200)는 가공된 방문 통계 정보를 상품을 공급하는 셀러의 셀러 단말(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으며, 셀러 단말은 수신된 방문 통계 정보를 해석하여 상품의 관심도가 높은 수요층을 예측하거나, 판매량을 예측하기 위한 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상품의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고객 관심도를 산정할 수도 있으며, 방문 통계 정보에는 산정된 고객 관심도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상품의 고객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웹 사이트에 접속자가 머무른 시간, 웹 사이트에서 접속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수, 웹 사이트 내에서 선택한 메뉴, 웹 사이트의 접속 종료 전 가장 직전에 재생한 영상 또는 직전에 머물렀던 페이지,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수 그 자체일 수 있다.
또는, 특정 상품의 고객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는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웹 사이트에 접속자가 머무른 시간, 웹 사이트에서 접속자가 시청한 콘텐츠의 수, 웹 사이트 내에서 선택한 메뉴, 웹 사이트의 접속 종료 전 가장 직전에 재생한 영상 또는 직전에 머물렀던 페이지, 이벤트에 참여한 고객의 수 각각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된 관심도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웹 사이트에 접속자가 머무른 시간의 경우, 접속자가 접속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기 전에 접속이 해제된 경우, 해당 접속자는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에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고객 관심도는 단순히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가 아닌, 총 접속자 중에서 실제로 해당 상품에 관심이 높은 고객을 추려낸 숫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품의 고객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에는 일정 기간 동안의 매장의 총 방문자 대비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가 반영될 수도 있고, 또는 일정 기간 동안 상품에 관계없이 매장 내 모든 상품에 각각 부착된 QR 코드(20)를 통해 각각의 웹 사이트에 접속한 총 접속자 수 대비 특정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20)를 통해 웹 사이트에 접속한 접속자 수를 고객 관심도를 나타내는 지표에 반영할 수도 있다.
또한,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관심도와는 구별되는 개념으로, 상품에 대한 고객 별 관심 지수를 산정할 수도 있으며, 방문 통계 정보에는 산정된 고객 별 관심 지수가 포함될 수 있다. 고객 별 관심 지수는 해당 상품에 대하여 고객이 얼마나 관심이 있는지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수치화하여 나타낸 값이다.
예를 들어, 고객이 웹 사이트에 머무른 시간이 길수록 관심 지수가 높아질 수 있다. 관심 지수는 고객이 웹 사이트에 머무른 시간, 웹 사이트에서 시청한 콘텐츠의 수, 웹 사이트 내에서 선택한 메뉴, 웹 사이트 내에서 선택한 메뉴의 수 및 이벤트 참여 여부 등의 요소 등을 반영하여 산정될 수 있으며, 상술한 요소 별로 가중치가 적용되어 산출된 값일 수 있다.
한편, 셀러 단말은 매장에 상품을 공급하는 주체가 되는 사업자 또는 회사의 단말로서,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셀러 단말은 광고 서버(200)로부터 방문 통계 정보, 산정된 관심도, 고객 별 관심 지수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셀러는 방문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자체에 대한 고객의 관심 정도를 알 수 있고, 상품의 해당 매장 내 매출을 예측할 수 있으며, 상품의 판매 타겟을 정하는데 유용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고 서버(200)는 특정 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산정되면, 과거 다른 상품에 대하여 산정된 관심도 대비 판매 이력과 비교하여, 해당 특정 상품에 대한 판매량을 예측하여 셀러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광고 서버(200)는 셀러 단말 또는 매장 내 매장 단말(300)로부터 관심도가 산정된 상품의 일정 기간 동안의 판매 이력을 수신하고, 이를 누적시켜 향후 관심도 대비 판매량을 예측하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수신된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관심도 대비 구매 전환율을 더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가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구매 전환율은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고객 정보를 입력한 고객 중 실제 구매로 이어진 고객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고객 단말(100)이 매장 내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20)를 촬영하여 각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웹 사이트의 접속 순서에 기초하여, 고객의 관심 상품에 대한 변화를 추적하고, 이러한 변화 추세를 방문 통계 정보로 가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A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20)를 촬영하여 A 상품의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다음 B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20)를 촬영하여 B 상품의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고객의 관심 상품이 A 상품에서 B 상품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A 상품과 B 상품의 종류 및 관계에 따라, A 상품과 B 상품의 배치 변경, 상품의 교체, A 상품과 B 상품을 연계하는 할인 정책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방문 통계 가공부(230)는 고객 단말(100)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 중 재생한 콘텐츠, 선택한 메뉴, 특정 페이지에 머무른 시간, 웹 사이트의 접속 종료 전 가장 최근에 재생한 영상 또는 페이지 및, 상품의 구매 여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구매 행동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방문 통계 정보로 가공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고객이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에 있어서 웹 사이트 내에서 일정 비율 이상의 고객에게 공통적으로 보여진 구매 행동 패턴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구매 결정에 영향을 미친 콘텐츠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웹 사이트의 구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는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200)에 등록된 고객 중 광고 타겟팅이 되는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잠재 구매 고객은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가능성이 높은 고객으로,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는 광고 서버(200)에 등록된 고객 중에서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이 존재하는 고객을 잠재 구매고객으로 선별할 수 있다. 이는, 상품에 부착된 QR 코드(20)를 촬영하여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했던 적이 있는 고객은 적어도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찾아본 적이 있다고 해석될 수 있으므로, 그렇지 않은 고객보다 상품의 구매(재구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는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이 존재하는 고객 중에서도 접속 시기가 기 설정된 기간 내인 고객을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의 과거 접속 시기가 6개월이 경과한 고객과 6개월 내인 고객이 있다고 가정하면, 접속 시기가 6개월 내인 고객이 상품에 대한 관심이 남아 있을 가능성이 더 크므로, 접속 시기가 6개월 내인 고객을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시기의 기준이 되는 기간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방문 통계 가공부(230) 및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를 프로세서(250)와 별도로 구성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서, 방문 통계 가공부(230) 및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가 프로세서(250)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프로세서(25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는 위치 인증을 더 수행하여, 잠재 구매 고객을 선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매장 단말을 통해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광고 전송 시스템(1000)은 고객 단말(100)이 매장 내 매장 단말(3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매장 단말(300)은 매장에 구비되어 매장 관리인이 관리하는 단말로서, 네트워크(1000)를 통해 외부의 카드 회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결제 및 매출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매장 단말(300)은 예를 들어, POS(Point Of Sale system)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고객 단말(100)은 매장 단말(300)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고객 단말(100)이 매장 내 위치함을 인증하는 위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의 QR 코드(20)를 인식한 고객의 웹 사이트 접속에 한정하여, 방문 통계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상품의 매장 외 대량 반출이나 QR 코드(20)의 유출, QR 코드(20)의 우회에 의한 웹 사이트의 접속에 의해 실제 해당 매장에 입점한 상품의 매출 예측에 대한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근거리 통신에 의해 고객 단말(100)이 매장 단말(300)에 대한 고유 식별 번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위치 인증이 완료되면 고객 단말(100)이 매장 단말(300)의 고유 식별 번호를 광고 서버(200)에 전송함으로써, 고객 단말(100)이 위치한 매장을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는 위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200)에 등록된 고객 중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 및 위치 인증 이력이 모두 존재하는 고객을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광고 서버(200)의 제어부(250)는 잠재 구매 고객이 예측되어 선별되면,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100)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되는 광고는 단문 형태의 텍스트를 주고받을 수 있는 SMS(Short Message Service), 사진·그림·동영상 등을 주고받을 수 있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모바일 인스턴트 메시지 등을 포함하여, 스마트폰 등의 고객 단말(100)에서 주고받을 수 있는 메시지의 형태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나, 메일(Mail) 등 인터넷 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카오톡, 왓츠앱, 네이버라인 등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메시지의 형태로 광고가 전송될 수도 있다.
광고 서버(200)는 QR 코드(20)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서 입력된 고객 정보에 포함된 고객의 전화번호, SNS 아이디, 메일주소 등을 이용하여 고객 단말(100)로 광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QR 코드(20)와 1:1로 매칭된, 상품의 할인 쿠폰을 고객 단말(100)로 지급하되, 상품에 대하여 산정된 관심도에 비례하여 할인 쿠폰의 할인율을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동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관심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상품의 경우 할인율을 5%로, 관심도가 일정 기준보다 높은 상품의 경우 할인율을 10%로 자동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240)는 매장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200)에 등록된 고객 중 상품의 구매 고객을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50)는 선별된 구매 고객에게 상품의 구매 날짜로부터 상품의 평균적 사용기간 또는 유효기간이 경과하는 날짜까지 남은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에 다다르는 시점에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균적 사용기간 또는 유효(유통)기간이 3개월인 상품의 경우, 구매 날짜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는 날짜의 일주일 전에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여 재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매장에 진열된 상품에 대하여 방문 고객이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정보를 얻기 위한 자연스러운 동작을 이끌어내어, 방문 고객의 상품에 대한 관심도를 파악하고, 관심이 있는 고객에게만 광고를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매장 내 상품의 광고 전송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즉, 각종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되어 상술한 광고 전송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예로, 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가 제공되는 단계, ⅱ) 매장 내 고객 단말에 의해 QR 코드가 인식되면, 고객 단말이 QR 코드에 링크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ⅲ) 고객 단말로부터,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웹 사이트 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ⅳ)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획득하여 광고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ⅴ)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품에 대한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는 단계 및, ⅵ)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고객 단말 200: 광고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관심도 산정부 240: 잠재 구매고객 예측부
250: 제어부 300: 매장 단말

Claims (10)

  1. 매장 내 진열된 상품에 대한 광고 서버의 광고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가 제공되는 단계;
    상기 매장 내 고객 단말에 의해 상기 QR 코드가 인식되면,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QR 코드에 링크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웹 사이트 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상기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획득하여 광고 서버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에 대한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로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가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매장 내 진열된 상품 별로 각각 매칭되는 서로 다른 QR 코드가 부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이 존재하는 고객을 상기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이 존재하는 고객 중 접속 시기가 기 설정된 기간 내인 고객을 상기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상기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도를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QR 코드와 1:1로 매칭된, 상기 상품의 할인 쿠폰을 상기 고객 단말로 지급하되, 상기 상품에 대하여 산정된 관심도에 비례하여 상기 할인 쿠폰의 할인율을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이 상기 매장 내 매장 단말과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여 위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인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에 링크된 웹 사이트에 접속한 이력 및 상기 위치 인증 이력이 모두 존재하는 고객을 상기 잠재 구매 고객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서버가 상기 매장 내 매장 단말로부터 상기 상품의 일정 기간 동안의 판매 이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별하는 단계는,
    사이 수신된 판매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광고 서버에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의 구매 고객을 선별하고,
    상기 광고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선별된 구매 고객에게 상기 상품의 구매 날짜로부터 상기 상품의 평균적 사용기간 또는 유효기간이 경과하는 날짜까지 남은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에 다다르는 시점에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방법.
  8. 매장 내 진열된 상품의 광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품과 매칭된 QR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QR 코드에 링크된 기 설정된 웹 사이트에 접속하는 고객 단말; 및
    상기 고객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된 웹 사이트 상에서 고객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웹 사이트의 접속 기록 및 상기 입력된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웹 사이트의 총 접속자 수, 접속 시간, 고객의 나이 및 성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문 통계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문 통계 정보에 기초하여, 등록된 고객 중 상기 상품에 대한 잠재 구매 고객을 예측하여 선별하며, 상기 선별된 잠재 구매 고객의 고객 단말로 상기 상품에 대한 광고를 전송하는 광고 서버;를 포함하는 광고 전송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내 진열된 상품은,
    상기 매장 내 진열된 상품 별로 각각 매칭되는 서로 다른 QR 코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전송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광고 전송 방법을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50200A 2022-04-22 2022-04-22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1506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200A KR20230150609A (ko) 2022-04-22 2022-04-22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200A KR20230150609A (ko) 2022-04-22 2022-04-22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0609A true KR20230150609A (ko) 2023-10-31

Family

ID=8854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200A KR20230150609A (ko) 2022-04-22 2022-04-22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060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900B1 (ko) 리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601803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oud based payment intelligence
US201303391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grated shopping experience
US201601714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location-based service and retail service enhancement applications
US11347757B2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anking content channels
US20170243288A1 (en) Delivery apparatus, delivery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delivery system
KR2018009925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9298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immediate gratification promotions
KR102084719B1 (ko) 판매 예측 정보 제공 시스템
US202000511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merchant payment card marketing laboratory
US20210342883A1 (en) Deal program life cycle
US201300858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lized product offerings publications
KR2019004399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US2018023274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KR101602106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640120B1 (ko) 오프라인 매장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40095283A1 (en) Referral based marketing system
US20220044264A1 (en) Dynamically Altering Displayed Menu Content Data In Response To Real-Time Event Data
KR20230150609A (ko) 매장 내 상품에 대한 광고 전송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3798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ed market analysis testing
KR20230150610A (ko) 매장 내 상품의 관심도 예측 방법 및 그 시스템
JP7091276B2 (ja) 提案装置、提案方法および提案プログラム
Rahman et al. Modelling optimal warranty price for lifetime policies taking into account the uncertainties in life measures
US109776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tilizing proximity density mapping to assist relevance determinations
WO20142007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ontent to mobi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